KR102499021B1 -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 - Google Patents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021B1
KR102499021B1 KR1020210120207A KR20210120207A KR102499021B1 KR 102499021 B1 KR102499021 B1 KR 102499021B1 KR 1020210120207 A KR1020210120207 A KR 1020210120207A KR 20210120207 A KR20210120207 A KR 20210120207A KR 102499021 B1 KR102499021 B1 KR 10249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uardrail
animal
clamped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2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용대
원준석
임수영
Original Assignee
임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영 filed Critical 임수영
Priority to KR102021012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0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0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92Provisions for guiding in combination with rails, e.g. tire-g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prevention fence capable of being clamped to a roadside guardrail, including: a support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guardrail and supporting a mesh network; a link for connecting the support and a guardrail pillar; a fastening bolt for fastening the support and one end of the link; and a clamp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and surrounding the guardrail pillar. The clamp includes a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surrounding the guardrail pillar.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is fasten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is fastened one by one to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Accordingly, installation work time can be saved, and costs can be reduced.

Description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the guardrail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새로운 도로의 개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개설된 도로의 통행 속도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많은 수의 도로가 개설되면서 도로 주변에서 서식하는 야생동물이 도로 내로 진입하는 일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차량의 빠른 속도에 의해 운전자가 야생동물을 뒤늦게 인지하거나 피하지 못하고 야생동물들이 차량과 출동하여 사망하는 로드킬 사고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The opening of new road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speed of traffic on these roads is also increasing significantly. As a large number of roads have been opened, wild animals living near the roads enter the road more frequently, and the high speed of the vehicle prevents the driver from recognizing or avoiding the wild animals lately, and the wild animals run into the vehicle. The number of roadkill accidents in which people are dispatched and die is greatly increasing.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야생동물이 빈번하게 출현하는 장소에는 야생동물의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펜스가 마련되고 있다. 펜스를 설치할 때에는 콘크리트 지주를 사용하는데, 콘크리트 지주의 무게와 길이가 커서 작업에 어려움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fences are being prepared in places where wild animals frequently appear to restrict access of wild animals. When installing a fence, concrete supports are used, but the heavy weight and length of the concrete supports make it difficult to work.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설치가 용이한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를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tudied for a long time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n easy-to-install guardrail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rial and error.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 guardrail that is easy to install.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Meanwhile, other u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도로변의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의 후측에 설치되고 메쉬망을 지지하는 지주; 상기 지주와 상기 가드레일 기둥을 연결하는 링크; 상기 지주와 상기 링크의 일단면을 체결하는 체결볼트; 상기 링크에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가드레일 기둥을 둘러싸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가드레일 기둥을 둘러싸는 한 쌍의 조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조임 구조체 각각의 일단은 서로 체결되고, 상기 한 쌍의 조임 구조체 각각의 타단은 상기 링크의 타단의 양면에 하나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roadside guardrail, the post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guardrail and supports a mesh net; a link connecting the post and the guardrail pillar; Fastening bolts fastening one end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link; It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and includes a clamp surrounding the guardrail pillar, wherein the clamp includes a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surrounding the guardrail pillar, and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It is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tightening structures is provided with an animal-proof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characterized in that one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부와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일단면은 상기 지주의 외주면의 요부에 접촉될 수 있다. A recessed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and one end surface of the link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cessed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상기 링크에는, 상기 링크의 일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지주를 상기 지주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홈으로 삽입될 수 있다. The link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extending inwardly from one end surface of the link, and the fastening bolt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by penetrating the suppo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to the front.

상기 지주는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의 상면에는 상기 중공부를 개폐하는 상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지주의 하면에는 상기 중공부를 개폐하는 하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의 하면에는 물이 이동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upport has a hollow inside, an upper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low is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 lower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low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water is pres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p. An outlet for movement may be provided.

상기 링크의 일단면은 상기 지주의 외주면의 요부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One end surface of the link may have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의하면 설치 작업 시간이 절약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ation work time can be saved and costs accordingly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는 기 설치된 가드레일을 변형시키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without modifying the previously installed guardrail.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의하면 수분 침입에 따른 결로현상, 녹 등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w condensation and rust due to moisture intrusion can be prevented.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 it is added that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provisional effects are treat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가 가드레일에 결합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가 가드레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지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지주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링크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링크가 지주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상부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상부캡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하부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다른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추가로 결합되는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view showing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guardrail.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guardrail.
6 is a view showing a post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post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links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link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ink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a post.
12 is a view showing an upper cap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upper cap of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lower cap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clamp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other link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band additionally coupled to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veal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llustrated as reference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related known func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obvious matte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는 도로변(2)의 가드레일(10) 주변에 설치되고 가드레일(11)과 결합되어, 동물이 도로(1)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는 도로변(2)에서 가드레일(1)의 후측(도로(1)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1 to 3,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round the guardrail 10 on the roadside 2 and coupled with the guardrail 11, so that animals can prevent the road 1 )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side. The animal-preventing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guardrail 1 at the roadside 2 (opposite the road 1).

가드레일(10)은 기둥(11)과 레일(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11)은 도로(1)의 외측에 위치하는 도로변(2)의 지반에 삽입되어(도 2 참고) 고정될 수 있다. 레일(12)은 기둥(11)에 결합부재(13)를 통해 결합(예를 들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레일(12)은 두 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The guardrail 10 may include a post 11 and a rail 12 . The pillar 11 may be inserted into the ground of the roadside 2 located outside the road 1 (see FIG. 2) and fixed. The rail 12 may be coupled to the pillar 11 through a coupling member 13 (eg, bolt coupling). The rail 12 may be formed in two lin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2에서는 가드레일(10)과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가 설치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가드레일(10)과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를 위해 가드레일(10)을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는 기 설치된 가드레일(10)을 활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the guardrail 10 and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is prevents animals that can be clamped to the guardrail 10 and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for expla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fence, and it is not limited to separately installing the guardrail 10 for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mal-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using a pre-installed guardrail 1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가 가드레일(10)에 결합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가 가드레일(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coupling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to a guardrai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guardrail 1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지주(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지주(100)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post 100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post 100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링크(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링크(200)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링크(200)가 지주(100)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a link 200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a link 200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nk 200 of the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00.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클램프(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15 is a view showing a clamp 400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는, 지주(100), 링크(200), 체결볼트(300), 클램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는 링크(200), 체결볼트(300) 및 클램프(400)를 통해 가드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1 to 5,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st 100, a link 200, a fastening bolt 300, and a clamp 400 there is.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holding 100 may be coupled to the guardrail through a link 200 , a fastening bolt 300 and a clamp 400 .

지주(100)는 가드레일 기둥(11)의 후측(도로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지주(100)는 상하로 길게 연장되고 지면 상에 위치하며, 지주(100)는 가드레일 기둥(11)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주(100)는 가드레일 기둥(1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주(100)는 금속,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st 10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ide (opposite the road) of the guardrail post 11. The post 100 extends vertically and is located on the ground, and the post 100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guardrail pillar 11. The pillars 100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guardrail pillars 11,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holding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or plastic.

지주(100)는 도로변(2)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는 도로변(2)에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지주(100)의 하부는 도로변(2)에 닿거나, 도로변(2) 지반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holding 100 may be located above the roadside 2 . As shown in FIG. 3 , the holding 10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adside 2 . However, it is not limited in this way,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100 may touch the roadside 2 or be inserted into the ground of the roadside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주(100)는 내부에 중공부(S)를 구비하며 내주면과 외주면을 가질 수 있다. 지주(100)의 상면과 하면은 개방될 수 있다. 지주(1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holding 100 may have a hollow portion S therein and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lding 100 may be open. Cross-sec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100 may have a generally circular shape.

지주(100)의 외주면은 요부(110)와 철부(120)를 가질 수 있다. 요부(110)와 철부(120) 각각은 지주(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철부(120)는 지주(10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고, 요부(110)는 철부(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있다. 요부(110)와 철부(120)는 각각 복수로 형성되고, 지주(100)의 둘레를 따라 요부(110)와 철부(120)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요부(110)는 두 개의 철부(120) 사이에, 철부(120)는 두 개의 요부(110) 사이에 배치된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100 may have a concave portion 110 and a convex portion 120 . Each of the concave portion 110 and the convex portion 1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100 . The convex part 120 has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100, and the recessed part 110 is relatively recessed compared to the convex part 120. The concave portion 110 and the convex portion 120 are formed in plurality, respectively, and the concave portion 110 and the convex portion 120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lding 100 . The concave portion 110 is disposed between the two convex portions 120 and the convex portion 120 is disposed between the two convex portions 110 .

요부(110)는 철부(120)보다 더 큰 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요부(110)의 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R)가 구비될 수 있고, 함몰부(R)는 지주(1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즉, 함몰부(R)는 요부(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함몰부(R)는 볼트결합 시 볼트의 헤드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거나, 볼트를 위한 구멍을 형성(가공)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110 may occupy a larger area than the convex portion 120 . A recessed portion R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110 and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R, and the recessed portion R extend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100 . That is, the recessed portion R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cave portion 110 . The recessed portion R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d of the bolt is seated during bolt coupling, or may guide a position for forming (processing) a hole for the bol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에는 네 개의 요부(110)와 네 개의 철부(120)가 포함되며, 각각의 요부(110)에 함몰부(R)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support 100 includes four recessed parts 110 and four convex parts 120, and each recessed part 110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R.

지주(100)의 두께는 지주(10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하며, 지주(100)의 내주면은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주(100)의 내주면도 요철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지주(100)의 내주면에는 지주(100)의 외주면의 철부(120)에 대응되는 공간(A)이 마련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holding post 100 is constan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lding post 1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post 10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100 may also have irregularities. In particular, a space A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post 10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post 100 .

지주(100)는 메쉬망(N)을 지지할 수 있다. 메쉬망(N)은 지주(10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쉬망(N)은 인접한 두 지주(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쉬망(N)은 금속, 피복된 금속, 코팅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은 스테인리스 스틸, 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쉬망(N)은 와이어가 소정의 패턴으로 꼬여서 형성될 수 있다.The holding 100 may support the mesh network (N). Mesh network (N) may be coupled to the holding (100). The mesh network (N) may be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posts (100). The mesh network N may be formed of metal, coated metal, or coated metal. Metal may include stainless steel, iron, and the like. The mesh network (N) may be formed by twisting wires in a predetermined pattern.

지주(100)에는 다양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지주(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망 결합공(NH)이 형성될 수 있다. 망 결합공(NH)은 메쉬망(N)을 고정결합하기 위한 구멍으로, 메쉬망(N)의 일부가 삽입되거나 메쉬망(N) 결합을 위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망 결합공(NH)은 함몰부(R)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망 결합공(NH)은 세 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A varie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holding 100 . First, at least one net coupling hole NH may be formed in the holding 100 . The mesh coupling hole (NH) is a hole for fixing the mesh network (N), and a part of the mesh network (N) may be inserted or a bolt for coupling the mesh network (N) may be inserted. The mesh coupling hole (NH) may be formed on the recessed portion (R). In addition, in FIG. 3, the net coupling hole NH is shown as thre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지주(100)에는 볼트공(H1, 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공(H1, H2)은 상부캡(500)과 하부캡(600)의 볼트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주(100)에는 체결볼트(300)가 삽입되기 위한 홀(HH, 도 5 참고)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홀(HH)은 지주의 정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되며, 체결볼트(300)는 두 개의 홀(HH)을 일괄 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bolt holes H1 and H2 may be formed in the holding 100 . The bolt holes H1 and H2 may enable bolt coupling between the upper cap 500 and the lower cap 600 . In addition, a hole (HH, see FIG. 5) for inserting the fastening bolt 300 may be provided in the holding 100. These holes (HH)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lding, respectively, and the fastening bolt 300 may pass through the two holes (HH) collectively.

링크(200)는 지주(100)와 가드레일 기둥(11)을 연결할 수 있다. 링크(200)는 사각형의 종단면을 가지고 T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얇은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200)는 T자의 상측이 지주(10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link 200 may connect the holding 100 and the guardrail pillar 11 . The link 200 may be formed of a thin structure having a rectangular longitudinal section and a T-shaped cross section. The link 20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letter T faces the holding 100 .

도 11을 참조하면, 링크(200)의 일단면(201)은 지주(10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200)의 일단면(201)은 지주(100)의 외주면 중 요부(110)에 접촉되고, 링크(200)의 일단은 지주(100)의 외주면 중 인접한 두 개의 철부(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200)의 일단은 두 개의 철부(1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 구조에 따르면, 링크(200) 설치 시 링크(200)의 위치 설정이 용이해지고, 결합 강도가 우수해지고, 외부 충격에 대한 변형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100 . In this case, 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is in contact with the main portion 11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100, and one end of the link 200 is adjacent to the two convex parts 12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100 can be located in between. One end of the link 20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two iron parts 120 . According to this fitting structure, when the link 200 is installed, positioning of the link 200 becomes easy, coupling strength is improved, and the risk of deformation due to external impact may be reduced.

예를 들어, 링크(200)가 T자형의 횡단면을 가질 때, T자의 상측이 두개의 철부(120) 사이에 끼워지고, T자의 상면은 요부(110)에 접촉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ink 200 has a T-shaped cross section, the upper side of the T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convex parts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 can be in contact with the concave portion 110.

링크(200)의 일단면(201)은 외주면(요부(110))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링크(200)의 일단면(201) 전체가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링크(200)의 일단면(201)의 곡률반경과 외주면 요부(110)의 곡률반경이 동일할 수 있다.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may have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cave portion 110). That is, the entir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adius of curvature of 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concave portion 110 may be the same.

링크(200)의 타단은 링크(200)의 일단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200)의 타단은 얇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 링크(200)의 타단면은 가드레일 기둥(11)에 접촉될 수 있다. 링크(200)의 타단면은 가드레일 기둥(11)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곡면을 가질 수 있으나, 타단면의 면적이 좁다면 평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링크(200)의 타단의 양면은 평평하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평한 면은 클램프(400)의 결합 부위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link 200 may be formed with a narrower width than one end of the link 200 . The other end of the link 200 may be formed in a thin recta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link 2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guardrail post 11 .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link 200 may have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rail pillar 11, but may be implemented as a flat surface if the area of the other end surface is small.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200 may be formed flat and parallel to each other. This flat surface can make the coupling area of the clamp 400 larger.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링크(200)의 일단면(201)으로부터 내측으로 길게 연장(관통)되는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220)에는 체결볼트(300)가 삽입될 수 있다. 홈(220)의 최내측 부분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200)의 일단면(201)에는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그루브(G)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G)는 홈(220) 가공 시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홈(220)과 그루브(G)는 링크(200)의 일단면(201)에서 교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a groove 220 extending (penetrating) inward from 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may be formed. Fastening bolts 300 may be inserted into these grooves 220 . An innermost portion of the groove 220 may be formed to be tapered. In addition, a groove G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on 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 Groove (G) may guide the position when processing the groove (220). The groove 220 and the groove G may intersect at 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

링크(200)에는 체결홀(230)이 형성되고, 체결홀(230)은 볼트(B3)를 통과시킬 수 있다. 체결홀(230)은 링크(200)의 타단에 형성되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A fastening hole 230 is formed in the link 200, and the fastening hole 230 can pass the bolt B3. The fastening hole 23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ink 200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링크(200)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관통홀(210)은 지주(100)와 링크(200)의 체결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밴드(700)를 통과시킬 수 있다. 관통홀(210)의 관통 방향은 가드레일(10)의 레일(12)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관통홀(21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0)은 상기 홈(220)을 회피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210)과 홈(220)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A through hole 210 is formed in the link 200, and the through hole 210 can pass a band 700 that can be additionally coupled to increase the strength of fastening between the holding 100 and the link 200. . The through hole 210 may hav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the rail 12 of the guard rail 10 . The through hole 2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The through hole 210 may be formed avoiding the groove 220 . That is, the through hole 210 and the groove 220 may not overlap each other.

체결볼트(300)는 지주(100)의 후면에서 정면 측으로 지주(100)를 관통하여 링크(200)까지 일괄 관통할 수 있다. 체결볼트(300)는 지주(100)와 링크(20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체결볼트(300)는 상술한 홈(220)으로 삽입될 수 있다. 체결볼트의 말단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bolt 300 may pass through the holding 100 from the rear side of the holding 100 to the front side and pass through the link 200 collectively. The fastening bolt 300 may firmly fasten the holding 100 and the link 200 . The fastening bolt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20 described above. An end of the fastening bolt may be formed to be tapered.

클램프(400)는 링크(200)의 타단에 결합되고, 가드레일 기둥(11)을 둘러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주(100)는 링크(200), 체결볼트, 클램프(400)에 의해 가드레일(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clamp 400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200 and surround the guardrail pillar 11 . Accordingly, the post 100 may be coupled to the guardrail 10 by the link 200, the fastening bolt, and the clamp 400.

도 15를 참조하면, 클램프(400)는 가드레일 기둥을 둘러싸는 한 쌍의 조임 구조체(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조임 구조체(410, 420)는 '옴(Ω)'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조임 구조체의 벌어진 간격이 조절되기 용이할 수 있다. 한 쌍의 조임 구조체(410, 420) 각각의 일단은 서로 체결되고, 한 쌍의 조임 구조체(410, 420) 각각의 타단은 링크의 타단의 양면에 하나씩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은 볼트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the clamp 400 may include a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410 and 420 surrounding the guardrail posts. Each of the tightening structures 410 and 420 may be implemented in an 'ohm (Ω)' shap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may be easy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tightening structures.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410 and 42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410 and 420 may b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one by one. Here, fastening may be implemented by bolt coupling.

한 쌍의 조임 구조체(410, 420)는 서로 마주보고, 도로(1) 측에 있는 볼트공(H4)에는 볼트(B4)가 일괄 삽입되어 너트(N4)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조임 구조체(410, 420)의 각각의 일단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410 and 420 face each other, and the bolt B4 may be collectively inserted into the bolt hole H4 on the side of the road 1 and fastened with the nut N4. Accordingly,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410 and 42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한 쌍의 조임 구조체(410, 420)의 링크(200) 측에 있는 볼트공(H3)에는 볼트(B3)가 일괄 삽입되어 너트(N3)와 체결되되, 한 쌍의 볼트공(H3) 사이에 링크(200)가 개재되고, 볼트(B3)는 볼트공(H3)-링크(200)의 체결홀(230)-볼트공(H3) 순서대로 삽입되어 너트(N3)와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조임 구조체(410, 420)의 각각의 타단은 링크(200)와 체결될 수 있다. A bolt (B3) is collectively inserted into the bolt hole (H3) on the link 200 side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410, 420) and fastened with the nut (N3), but between the pair of bolt holes (H3) The link 200 is interposed, and the bolt B3 may be inserted into the bolt hole H3 - the fastening hole 230 of the link 200 - the bolt hole H3 in order to be fastened with the nut N3. Accordingly, each other end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410 and 420 may be engaged with the link 200 .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는 상부캡(500)과 하부캡(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ap 500 and a lower cap 60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상부캡(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상부캡(500)의 뒷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하부캡(6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부캡(500)과 하부캡(600)을 설명한다.12 is a view showing an upper cap 500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upper cap 500 of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lower cap 600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2 to 14 , the upper cap 500 and the lower cap 600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지주(100)는 중공부(S)를 구비하며,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다. 지주(100)에는 상부캡(500)과 하부캡(600)이 결합되어, 중공부(S)가 폐쇄될 수 있다. 다만, 상부캡(500)과 하부캡(600)은 탈착 가능하므로 중공부(S)를 개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lding 100 has a hollow part (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The upper cap 500 and the lower cap 600 are coupled to the holding 100, so that the hollow part S can be closed. However, since the upper cap 500 and the lower cap 600 are detachable, the hollow part S can be opened and closed.

상부캡(500)은 지주(100)의 상면에 중공부(S)를 개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부캡(500)은 지주(100)의 상면에 끼움결합 및/또는 볼트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cap 5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100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part S. The upper cap 500 may be fitted and/or bol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100 .

상부캡(500)은 지주(100)의 중공부(S)로 삽입되는 삽입부(510)와 지주(1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ap 500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510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S of the post 100 and a cover part 52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 100 .

삽입부(510)는 지주(100)의 중공부(S)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510)는 지주(100) 외주면의 요부(110)에 해당하는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삽입부(5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510)에는 볼트공(500H)이 형성되고, 지주(100)의 볼트공(H1)을 관통한 볼트(B1)가 상기 볼트공(500H)에 삽입되어 상부캡(500)과 지주(100)는 볼트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트공(500H)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sertion portion 510 may be fitted into the hollow portion (S) of the holding (100). Insertion portion 5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11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100 . Insertion portion 5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bolt hole 500H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510, and a bolt B1 penetrating the bolt hole H1 of the post 100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500H to form an upper cap 500 and a post ( 100) may be bolted. At least one bolt hole 500H may be formed.

커버부(520)는 삽입부(5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나 이물질이 커버부(520) 상에 떨어졌을 때 볼록한 면을 따라 낙하할 수 있다. The cover portion 52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510 and formed convex upward. Accordingly, when water or foreign matter falls on the cover part 520, it may fall along the convex surface.

또한, 커버부(520)는 복수의 날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100)의 중공부(S)는 외주면의 요부(110)와 철부(120)에 따라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530)는 외주면의 철부(120)에 대응되는 부분(도 7에서 공간 A)을 커버할 수 있다. 날개부(530)는 외주면의 철부(120)의 개수에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5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g parts 530 . The hollow part (S) of the support 100 is formed to have a curve according to the recessed part 110 and the convex part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wing part 530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art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ig. At 7, space A) can be covered. The wing portion 53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날개부(530)의 배면(하면)에는 돌기(5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540)는 지주(100)의 중공부(S) 중에서 외주면의 철부(120)에 대응되는 위치(도 7에서 공간 A)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돌기(540)는 위치고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돌기(540)는 복수의 날개부(5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54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lower surface) of the wing unit 530 . The protrusion 540 may be inserted into a position (space A in FIG. 7 )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art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S of the post 100 . That is, the protrusion 540 may be used for position fixing. The protrusion 54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ing parts 530 .

하부캡(600)은 지주(100)의 하면에 중공부(S)를 개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부캡(600)은 지주(100)의 하면에 끼움결합 및/또는 볼트결합될 수 있다. The lower cap 600 may be coupled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portion 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100. The lower cap 600 may be fitted and/or bol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100 .

하부캡(600)은 지주(100)의 중공부(S)로 삽입되는 삽입부(610)와 지주(100)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cap 600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610 inserted into the hollow part S of the post 100 and a cover part 62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 100 .

삽입부(610)는 지주(100)의 중공부(S)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610)는 지주(100) 외주면의 요부(110)에 해당하는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삽입부(6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610)에는 볼트공(600H)이 형성되고, 지주(100)의 볼트공(H2)을 관통한 볼트(B2)가 상기 볼트공(600H)에 삽입되어 하부캡(600)과 지주(100)는 볼트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트공(600H)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Insertion portion 610 may be fitted into the hollow portion (S) of the holding (100). Insertion portion 6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rtion 11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100 . Insertion portion 6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bolt hole 600H is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610, and a bolt B2 penetrating the bolt hole H2 of the post 100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600H to form a lower cap 600 and a post ( 100) may be bolted. At least one bolt hole 600H may be formed.

커버부(620)는 삽입부(6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620)의 하면에는 배출구(65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650)는 커버부(620)를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나 이물질이 중공부(S)로 유입되어 커버부(620)로 수용되었을 때 물이나 이물질은 커버부(620)의 볼록한 곡면을 따라 중앙부로 모이게 되고 배출구(6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620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610 and convex downward. An outlet 650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620 . The outlet 650 may pass through the cover part 620 vertically. Accordingly, when water or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hollow part (S) and is accommodated in the cover part 620, the water or foreign matter is gathered in the central part along the convex curved surface of the cover part 62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650 It can be.

또한, 커버부(620)는 복수의 날개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100)의 중공부(S)는 외주면의 요부(110)와 철부(120)에 따라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630)는 외주면의 철부(120)에 대응되는 부분(도 7에서 공간 A)을 커버할 수 있다. 날개부(630)는 외주면의 철부(120)의 개수에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art 6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wing parts 630 . The hollow part (S) of the support 100 is formed to have a curve according to the recessed part 110 and the convex part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wing part 630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art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ig. At 7, space A) can be covered. The wing portion 63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날개부(630)의 배면에는 돌기(6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640)는 지주(100)의 중공부(S) 중에서 외주면의 철부(120)에 대응되는 위치(도 7에서 공간 A)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돌기(640)는 위치고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돌기(640)는 복수의 날개부(63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64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630 . The protrusion 640 may be inserted into a position (space A in FIG. 7 )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art 12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S of the support 100 . That is, the protrusion 640 may be used for position fixing. The protrusion 640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ing parts 630 .

상술한 상부캡(500)과 하부캡(600)에 의하면 물이나 이물질이 지주(100)의 중공부(S) 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적고, 유입되더라도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하부캡(600)의 배출구(650)에 의해 지주(100)의 외부와 중공부(S) 간의 온도차가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로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캡(500)과 하부캡(600)에 의해 벌 등의 벌레가 중공부(S)로 침입하거나 중공부(S) 내에 산란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upper cap 500 and lower cap 600, it is less likely that water or foreign matter will flow into the hollow part S of the holding 100, and even if it flows in, it can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holding 100 and the hollow part (S) can be reduced by the outlet 650 of the lower cap 600. Therefore, dew condensation that may occur due to moisture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by the upper cap 500 and the lower cap 600, insects such as bees can be prevented from invading into the hollow part (S) or spawning in the hollow part (S).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의 다른 링크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nother link of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를 참조하면, 링크(200)는 사각형의 종단면을 가지고, I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얇은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200)는 I자의 상측과 하측 각각이 지주(100)와 가드레일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 the link 200 may be formed of a thin structure having a rectangular longitudinal section and an I-shaped cross section. The link 20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tter I face the holding 100 and the guardrail, respectively.

링크(200)의 일단면은 지주(10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200)의 일단면은 지주(100)의 외주면 중 요부(110)에 접촉되고, 링크(200)의 일단은 지주(100)의 외주면 중 인접한 두 개의 철부(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200)의 일단은 두 개의 철부(1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 구조에 따르면, 링크(200) 설치 시 링크(200)의 위치 설정이 용이해지고, 결합 강도가 우수해지고, 외부 충격에 대한 변형 위험이 감소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link 2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100 . In this case, one end surface of the link 200 is in contact with the main portion 11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100, and one end of the link 200 is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convex parts 12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lar 100. can do. One end of the link 20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two iron parts 120 . According to this fitting structure, when the link 200 is installed, positioning of the link 200 becomes easy, coupling strength is improved, and the risk of deformation due to external impact may be reduced.

예를 들어, 링크(200)가 I자형의 횡단면을 가질 때, I자의 상측이 두개의 철부(120) 사이에 끼워지고, I자의 상면은 요부(110)에 접촉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ink 200 has an I-shaped cross section, the upper side of the I is sandwiched between the two convex portions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cessed portion 110.

링크(200)의 일단면(201)은 외주면(요부(110))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링크(200)의 일단면(201) 전체가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링크(200)의 일단면(201)의 곡률반경과 외주면 요부(110)의 곡률반경이 동일할 수 있다.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may have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cave portion 110). That is, the entir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radius of curvature of one end surface 201 of the link 200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concave portion 110 may be the same.

링크(200)의 타단면(202)은 가드레일 기둥(11)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링크(200)가 I자형의 횡단면을 가질 때, I자의 하측이 가드레일 기둥(11)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링크(200)의 타단면(202)은 가드레일 기둥(1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링크(200)의 타단면(202) 전체가 가드레일 기둥(11)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링크(200)의 타단면(202)의 곡률반경과 가드레일 기둥(11)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이 동일할 수 있다.The other end surface 202 of the link 200 ma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rail post 11 . When the link 200 has an I-shaped cross section, the lower side of the I-shape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rail pillar 11 . The other end surface 202 of the link 200 may have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rail post 11 . That is, the entire other end surface 202 of the link 200 ma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rail post 11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ther end surface 202 of the link 200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ardrail pillar 11 may be the same.

링크(200)의 일단면(201)과 타단면(202)의 곡면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곡면의 곡률반경은 지주(100)와 가드레일 기둥(11)의 둘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curved surfaces of one end surface 201 and the other end surface 202 of the link 200 may not be the same, and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may vary depending on the circumference of the post 100 and the guardrail pillar 11.

링크(200)에는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210)은 링크(20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1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210 is formed in the link 200 , and the through hole 210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ink 200 , respectively. The through hole 210 may be formed in plurality.

도 16(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조임 구조체(410, 420) 각각의 일단은 서로 체결되고, 각각의 타단은 I자형 링크(200)를 사이에 두고 함께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볼트(B3)은 I자형 링크(200)의 관통홀(210)을 통과하거나, 별도의 체결홀(미도시)을 통과할 수 있다. 관통홀(210)과 별도의 체결홀(미도시)은 이격되게 위치하거나, 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b),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410 and 420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s of each may be fastened together with the I-shaped link 200 interposed therebetween. Meanwhile, the bolt B3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10 of the I-shaped link 200 or pass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hole (not shown). The through hole 210 and a separate fastening hole (not shown) may be spaced apart or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추가로 결합되는 밴드(700)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a band 700 additionally coupled to an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a guard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밴드(700)는 관통홀(210)(특히, 도 8 내지 10의 210)을 통과하여 지주(100)를 둘러쌀 수 있다. 즉, 밴드(700)는 지주(100)와 링크(200)를 체결하면서 지주(100)를 둘러쌀 수 있다. 밴드(70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 관통홀(210) 한 개당 밴드(700) 하나씩 통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the band 70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10 (in particular, 210 of FIGS. 8 to 10 ) and surround the holding 100 . That is, the band 700 may surround the holding 100 while fastening the link 200 to the holding 100 . The band 700 may be formed in plurality. One band 700 may pass through each through hole 210 .

밴드(700)는 고리형으로 형성되되, 고리의 크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밴드(700)는 타이(tie)(710)와 고정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nd 70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size of the ring may be adjustable. The band 700 may include a tie 710 and a fixing member 720 .

타이(710)는 고리를 형성하고, 고정부재(720)는 고리를 형성한 타이(710)를 고리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720)는 타이(710)의 일단에 고정결합될 수 있고 타이(710)의 타단을 통과시킬 수 있다. 타이(710)의 타단은 고정부재(720)를 통과하여 외부로 나올 수 있고, 외부로 나오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고리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타이(710)가 고리를 형성한 후에 고정부재(720)는 타이(7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타이(710)를 잡아당겨 고리의 크기를 조절하고, 고리의 크기가 결정되면 고정부재(720)로 타이(71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tie 710 forms a ring, and the fixing member 720 may fix the tie 710 forming the ring so that the ring does not come loose. The fixing member 720 may be fixedly coupled to one end of the tie 710 and may pass the other end of the tie 710 . The other end of the tie 710 may pass through the fixing member 720 and come out, and the size of the ring may decrease as the length of the tie 710 increases. After the tie 710 forms a loop, the fixing member 720 may fix the tie 710 . Therefore,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of the ring by pulling the tie 710, and fix the tie 710 with the fixing member 720 when the size of the ring is determined.

한편, 타이(710)는 일자형과 고리형 두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일자형으로 존재하다가 타이(710)의 타단이 고정부재(720)를 통과하면서 고리형으로 변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ie 710 may be deformed into two types: a straight shape and a ring shape. That is, while existing in a straight shape, the other end of the tie 710 may be transformed into a ring shap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720 .

밴드(700)는 링크(200)의 관통홀(210)을 통과하여 지주(100)를 둘러싸는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볼트(300)와 더불어 밴드(700)는 지주(100)와 링크(200)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The band 70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10 of the link 200 to form a ring surrounding the holding 100 . Accordingly, the band 700 together with the fastening bolt 300 can firmly fix the holding 100 and the link 200.

상술한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따르면, 가드레일을 그대로 두고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드레일과 관련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어진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nimal-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only the animal-prevention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the guardrail can be installed without leaving the guardrail as it is,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work related to the guardrail.

기존에는 가드레일이 설치된 곳에 펜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드레일을 해체하고 재설치했어야 하고, 이 경우 많은 인원과 중장비가 요구되었다. In the past, in order to install a fence where a guardrail was installed, the guardrail had to be dismantled and reinstalled, and in this case, a large number of personnel and heavy equipment were required.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따르면, 중장비를 이용하여 가드레일 해체 및 재설치 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체 및 재설치에 드는 비용과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dismantle and reinstall the guardrail using heavy equipment, so cost and time required for disassembly and reinstallation can be sa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따르면, 가드레일 기둥에 구멍을 뚫거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차량 충돌 시의 강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drill a hole in the guardrail column or change the shape, a strength problem may not occur during a vehicle collis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따르면, 기존의 콘크리트 지주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길고 무거운 콘크리트 지주와 관련된 작업이 축소되어 비용과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guard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isting concrete posts are not used, the work related to the long and heavy concrete posts can be reduced, thereby saving cost and time.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limited due to obvious changes or substitution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 도로
2: 도로변
10: 가드레일
11: 가드레일 기둥
12: 레일
13: 결합부재
N: 메쉬망
100: 지주
110: 요부
120: 철부
200: 링크
210: 관통홀
220: 홈
230: 체결홀
300: 체결볼트
400: 클램프
410, 420: 한 쌍의 조임 구조체
500: 상부캡
600: 하부캡
700: 밴드
1: Road
2: roadside
10: Guardrail
11: guardrail post
12: rail
13: coupling member
N: mesh network
100: holding
110: lower back
120: iron part
200: link
210: through hole
220: home
230: fastening hole
300: fastening bolt
400: clamp
410, 420: a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500: upper cap
600: lower cap
700: band

Claims (5)

도로변의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에 있어서,
가드레일 기둥의 후측에 설치되고, 메쉬망을 지지하고, 내부에 중공부를 구비하는 지주;
상기 지주와 상기 가드레일 기둥을 연결하는 링크;
상기 지주와 상기 링크의 일단면을 체결하는 체결볼트; 및
상기 링크에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가드레일 기둥을 둘러싸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가드레일 기둥을 둘러싸는 한 쌍의 조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조임 구조체 각각의 일단은 서로 체결되고,
상기 한 쌍의 조임 구조체 각각의 타단은 상기 링크의 타단의 양면에 하나씩 체결되고,
상기 지주의 외주면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부와 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부는 상기 요부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철부의 내측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결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요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상면에는 상기 중공부를 개폐하는 상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캡은,
상기 중공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주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커버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의 하면에는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
In the animal prevention fence clampable to the roadside guardrail,
A post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guardrail pillar, supporting the mesh net, and having a hollow part therein;
a link connecting the post and the guardrail pillar;
Fastening bolts fastening one end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link; and
A clamp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link and surrounding the guardrail pillar,
The clamp includes a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surrounding the guardrail pillars,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fastening structures is fastened to each other,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pair of tightening structures is fastened one by one to both sides of the other end of the link,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includes a concave portion and a convex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The convex part protrudes outward compared to the recessed part,
An inner space connected to the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convex part,
A recessed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and recessed inwar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ss,
An upper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low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he upper cap,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and
A cov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The cover part includes a wing part covering the inner spac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Animal-proof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guard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일단면은 상기 요부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surface of the link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Animal-proof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guard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에는, 상기 링크의 일단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볼트는 상기 지주를 상기 지주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is provided with a groove extending inwardly from one end surface of the l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ol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by penetrating the support from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to the front,
Animal-proof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guardrai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하면에는 상기 중공부를 개폐하는 하부캡이 결합되고,
상기 하부캡의 하면에는 물이 이동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low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ap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moving water,
Animal-proof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guardrai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일단면은 상기 요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에 클램핑 가능한 동물 방지 펜스.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surface of the link h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Animal-proof fence that can be clamped to guardrails.
KR1020210120207A 2021-09-09 2021-09-09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 KR1024990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07A KR102499021B1 (en) 2021-09-09 2021-09-09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207A KR102499021B1 (en) 2021-09-09 2021-09-09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021B1 true KR102499021B1 (en) 2023-02-16

Family

ID=8532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207A KR102499021B1 (en) 2021-09-09 2021-09-09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02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46B1 (en) * 2005-08-31 2006-11-23 신호산업(주) Protective panel installed in a guardrail
JP2017002519A (en)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ネクスコ・メンテナンス北海道 Suspended door for wire net fen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846B1 (en) * 2005-08-31 2006-11-23 신호산업(주) Protective panel installed in a guardrail
JP2017002519A (en)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ネクスコ・メンテナンス北海道 Suspended door for wire net fen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846B1 (en) Protective panel installed in a guardrail
US10267088B2 (en) Adjustable gat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347678B1 (en) Bracket Of Design Type Fence For Easy angle adjustment
KR102499021B1 (en)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lamped to gardrail
KR102499020B1 (en)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coupled to gardrail
US20180232986A1 (en) Parking meter pole
KR200452739Y1 (en) Guard-rail to prevent road-kill
KR101182817B1 (en) Fabricated fence
KR101639291B1 (en) A fence structure for blocking wildlife
KR101993351B1 (en) Fixing device of mesh net for mesh fence
KR102319139B1 (en) Fence
US20140203229A1 (en) Pedestrian and vehicle barrier
US11746558B2 (en) Positioning device for fence supplemented with pet guardrail
KR20230037199A (en) Wild animals prevention fence on the roadside
JP7258587B2 (en) Post for cable type road protection fence, construction method of post for cable type road protection fence, and cable type road protection fence
KR20220084767A (en) Fence for preventing roadkill
KR102442549B1 (en) border fence
DE102007063511A1 (en) Protective device on traffic routes
DE102005034105B4 (en) safety device
KR200156622Y1 (en) Chain link fence
US20110133144A1 (en) Portable cattle guard and method therefor
JP2014132871A (en) Intrusion prevention fence
KR200234686Y1 (en) Prefabricated grating
EP2554749B1 (en) Highway guardrail with joint and stiffener system
KR102255288B1 (en) Fence for exhibition of zoo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