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84B1 -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84B1
KR102498584B1 KR1020200148742A KR20200148742A KR102498584B1 KR 102498584 B1 KR102498584 B1 KR 102498584B1 KR 1020200148742 A KR1020200148742 A KR 1020200148742A KR 20200148742 A KR20200148742 A KR 20200148742A KR 102498584 B1 KR102498584 B1 KR 10249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ser
light
sterilization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2955A (ko
Inventor
황창환
황현동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정보보안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정보보안기술원 filed Critical (주) 한국정보보안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4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584B1/ko
Publication of KR2022006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살균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살균력을 가지는 기 설정된 파장을 가지는 광을 살균광으로서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살균광 조사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제어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PORTABLE STERILIZ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살균 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살균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로 인한 팬데믹(pandemic)이 발생하면서,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개인위생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개인위생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개인위생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한편 손이나 물건 등을 소독함으로써 바이러스의 감염률을 크게 낮출 수 있으므로, 손이나 물건 등을 소독할 수 있는 소독제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소독제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액상 형태로서 손이나 물건 등에 분비하여 상기 손 또는 물건 등에 묻은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직접 소독제를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에 묻혀야 하므로, 액상의 소독제를 바르기 어려운 물건(예를 들어 칫솔이나 전자기기 등)이나 면적이 넓은 경우 살균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이 공기 감염을 통해 전파될 수 있는 바이러스의 경우, 에어로졸(aerosol) 상태로 공기 중에 부유하므로, 이러한 액상의 소독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는 사용자 주변의 공기를 소독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바이러스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처럼 직접 씻거나 소독하지 못하는 물건들을 소독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자외선(UV, ultraviolet lays)을 이용하는 살균 방식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자외선 살균 방식은 살균력이 강한 250nm ~ 280nm 파장의 자외선을 대상에 조사하여 대상에 묻은 바이러스 등을 살균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 250nm ~ 280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의 경우, DNA 변형, 피부 노화, 그리고 시력 손상 등 인체에도 피해를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인체에 직접 닿거나 눈으로 직접 보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250nm ~ 280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사용하는 방식은 인체 주변의 공기를 소독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자 주변의 공기를 소독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주변의 공기에 부유하고 있는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들이 살균될 수 있도록 하는 살균 장치에 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사용자 주변의 공기를 소독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살균광을 사용자 주변에 조사할 수 있는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살균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살균력을 가지는 기 설정된 파장을 가지는 광을 살균광으로서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살균광 조사부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제어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살균광은, 405nm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선 또는 222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며, 상기 살균광 조사부는, 상기 405nm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LED(Light Emited Diode) 또는 상기 222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램프를 상기 살균광을 발광하는 발광 램프로서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 램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무지향성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 램프는,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의 지향각을 가지는 지향성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살균광 조사부는, 상기 발광 램프와, 상기 발광 램프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상기 본체 외부로 반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살균광이 조사될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상단 가장 자리에,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발광 램프가, 자외선 램프인 경우 230nm 이상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광학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광학필터를 통과하여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가 사용자와 접촉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감지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1 커플러와 사용자가 구비하는 제2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와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두부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착용되며,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두부 아래쪽으로부터 상측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 턱밑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 턱밑의 형상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하며, 판단된 사용자의 두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턱 끝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에 해당하는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근거하여 후보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후보 영역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선형 폐곡선 형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눈에 해당하는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흑백 이미지를 획득하는 흑백 카메라 또는 기 설정된 해상도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저해상도 카메라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결과,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본체가 움직인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살균광의 조사를 일시 정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측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지역 방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과 상기 측위 센서로부터 산출된 본체의 위치를 매핑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지역 방역 정보에 포함된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살균 장치의 본체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 결과 상기 본체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경우,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의 본체의 착용 여부를 재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 재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를 재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를 재판별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두부 아래쪽으로부터 상측 방향을 지향하도록 상기 본체에 배치된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이미지의 외곽선을 검출하여,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 턱밑의 형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상기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살균 장치의 본체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두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를 재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모션 센서로부터,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본체가 움직인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살균 장치의 본체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본체가 움직인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본체에 구비된 측위 센서의 측위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기 저장된 지역 방역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과 상기 측위 센서로부터 산출된 본체의 위치를 매핑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지역 방역 정보에 포함된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에 따른 판별 결과에 따라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미생물 및 바이러스에 대한 살균력을 가지는 222nm 파장의 단파장 자외선 또는 405nm 파장의 가시광선이 사용자 얼굴 주변의 공기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주변의 공기가 소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공기 중 바이러스의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휴대 및 착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이동한 사용자 주변의 공기를 소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에 살균광이 조사될 위험성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눈에 살균광이 조사될 위험이 있는 경우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함으로써, 사용자 시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살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에서, 살균광 조사부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조립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살균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카메라를 구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살균 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살균 장치에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들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서 도시된 살균 장치에서 가속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측위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도시된 살균 장치에서 측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가, 하나 이상의 살균광 조사부를 구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 예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살균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센서부(110), 살균광 조사부(120), 전원공급부(13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살균 장치(1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센서부(110)는 살균 장치(10)가 착용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는 살균 장치(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접촉 센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 센서(111)는 사용자의 신체 등이 근접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또는 터치 센서(touch sensor)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센서부(110)를 통해 근접 센서 또는 터치 센서에 사용자 신체가 접촉된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접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 센서(111)는 서로 간에 체결 및 체결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암 커플러(coupler)와 수 커플러를 포함하는 커플러 결합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 센서(111)는 상기 암 커플러와 수 커플러가 체결 여부를 감지하고, 체결 상태에 따라 살균 장치(10)가 착용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 커플러와 수 커플러는, 암 커플러의 내부로 수 커플러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수 커플러는 상기 암 커플러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암 커플러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커플러 결합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암 커플러와 수 커플러 중 어느 하나는 사용자가 착용하고, 다른 하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 커플러와 수 커플러가 체결되는 경우 살균 장치(10)가 사용자가 착용한 커플러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의 체결을 통해 제어부(100)는 상기 살균 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암 커플러와 수 커플러 중, 살균 장치(10)에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커플러를 제1 커플러라고 하기로 하고, 사용자가 착용한 다른 하나의 커플러를 제2 커플러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센서부(110)는 이미지를 획득 가능한 카메라(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12)는 살균 장치(10)의 특정 위치에서 상기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를 지향하여 상기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112)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를 통해 살균 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 장치(10)는,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스트랩(strap)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홀더(holder)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스트랩을 상기 홀더에 연결하여 상기 살균 장치(10)를 목에 거는 형태로 휴대할 수 있다.
이처럼 살균 장치(10)를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 살균 장치(10)는 사용자의 두부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112)는 사용자의 두부 아랫면, 즉 사용자 턱밑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112)를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턱밑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검출되는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살균 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서부(110)는 모션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센서(113)는 살균 장치(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위치에 근거하여 살균 장치(1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가 모션 센서(113)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모션 센서(113)를 통해 검출되는 살균 장치(1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살균 장치(10)의 착용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10)는 살균 장치(1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측위 센서(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위 센서(114)는 살균 장치(1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로서,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살균 장치(10)의 위치를 획득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측위 센서(114)는 인접한 WiFi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신호에 기반하여 살균 장치(10)의 위치를 검출하는 WiFi(Wireless Fidelity)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110)는 상술한 접촉 센서(111), 카메라(112), 모션 센서(113) 및 측위 센서(114)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들 중 일부만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센서들 중 어느 하나의 센서만 구비할 수 있으며, 둘 또는 세개의 센서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기 설정된 살균광을 조사하여 사용자 주변의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살균 장치(10)는 기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 램프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램프에서 발광된 광을 특정 방향으로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살균광 조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살균광은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미생물 및 바이러스에 대해 강한 살균력을 가지는 가시광선 파장의 광일 수 있다. 상기 발광램프는 405nm(nanometer)의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도록 형성된 LED(Light Emitted Diode)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는 상기 405nm 파장의 가시광선을,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 얼굴 전면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살균광은 특정 대역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 파장의 광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살균 및 소독에 사용되는 UV-C(UltraViolet-C) 대역(100nm ~ 280nm의 파장)의 자외선은 파장이 짧아 에너지가 높기에 인체에 해롭다고 알려져 있다. 이중 265nm 또는 253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은 바이러스 및 미생물을 살균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체에 노출되면 해를 끼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UV-C(UltraViolet-C) 대역의 자외선 중 파장이 222nm인 자외선의 경우, 살균력은 265nm 또는 253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과 유사하면서도, 파장의 길이가 짧아 자외선 빛의 입자가 살아있는 세포의 DNA에 도달하기 전에 외피 세포에 있는 단백질에 모두 흡수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의 발광램프는 222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222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 사용자의 얼굴 전면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가 222nm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반사판으로 인해 발광램프에서 발광된 자외선의 파장이 변경되어 222nm을 넘는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230nm 파장 이상의 자외선은 인체에 해로우므로,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는 광학 필터를 더 구비하여 230nm 이상의 파장의 광이 인체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부(13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3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살균 장치(10)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3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3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3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40)는 다양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신부(140)는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 등의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를 기 설정된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서버는 방역 정보를 관리 및 상기 방역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대한 정보는,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로 인한 질병의 확진자의 감염 경로 또는 감염자 수 등에 따라 상기 질병의 확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지역의 정보로서, 방역을 위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메모리(150)는 제어부(100)의 동작 및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와 제어부(100) 사이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통상적으로 살균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제어부(100)는 센서부(11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살균광 조사부(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센서부(110)를 통해 살균 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경우에 한하여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하였다 할지라도, 센서부(11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 장치(10)의 착용 상태가 양호한지 또는 현재 사용자의 두부 상태가 살균광을 조사하기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상태라고 할지라도 사용자가 급격하게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살균광이 잘못된 방향으로 조사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불필요한 살균광의 조사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살균광의 조사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을 통해 사용자가 목에 거는 형태로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 장치(10)가 착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서 일정 각도 이하의 아래 방향을 주시하는 상태가 되면, 살균 장치(10)의 살균광이 사용자의 눈을 향해 조사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에서 조사되는 살균광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할지라도, 눈의 경우 피부에 의해 보호되는 신체 다른 부위와 달리 단백질 층이 얇으며, 또한 살균력을 가지는 자외선의 특성상, 사용자의 눈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어부(100)는 살균광의 조사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공급부(130)로서 배터리를 내장할 수 있다. 따라서 한정된 전원으로 구동 시간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력의 효율적인 소비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의 감염 위험도가 낮은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은, 배터리 전력을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 장치(10)는 측위 센서(114)를 통해 측정된 본체의 위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기 수신된 방역 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사용자가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 등으로 인한 감염 우려가 높은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함으로써, 한정된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a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외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2a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본체를 둘러싸는 구(sphere)형의 외관을 가지는 케이스(2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전원공급부(130)로서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측면 일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살균 장치(1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촉 센서(111)가 형성된 접촉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 센서(111)가 커플러들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암 커플러와 수 커플러 중, 제1 커플러가 상기 접촉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형의 케이스(200) 상단에는 스트랩(221)과 연결되는 홀더(22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221)은 홀더(220)에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홀더(220)와 연결된 스트랩(221)을 사용자가 목에 걸음으로서 살균 장치(10)를 휴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a의 (a)에는 상기 홀더(220)가 케이스(200) 상단 정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보이고 있으나, 상기 홀더(22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 경우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목에 건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10)의 접촉부(210)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거나, 사용자가 구비한 제2 커플러에 상기 제1 커플러가 결합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살균광을 조사하기에 적합하게 살균 장치(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2a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살균광 조사부(120)는 케이스(200) 상단의 정중앙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200) 상단의 정중앙과 다른 방향으로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방향은 상기 접촉부(210)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서, 상기 접촉부(210)가 형성된 방향을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방향, 즉 후방으로 가정하면, 상기 케이스(200) 상단의 정중앙으로부터 소정 각도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목에 거는 방식으로 착용하는 경우, 상기 살균광은 케이스(200)의 수직 상방향이 아니라 소정 각도 전방, 즉 사용자의 얼굴 전면이 향하는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두부에 의하여 조사되는 살균광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얼굴 주변의 공기를 향하여 살균광을 조사하여 보다 효과적인 소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는 지향성 또는 무지향성으로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예로 살균광이 무지향성으로 조사되는 경우, 살균광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 램프가 살균 장치(10)의 본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된 발광 램프로부터 무지향성 살균광이 발광될 수 있다. 이처럼 무지향성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살균 가능한 범위가 넓어진다는 잇점이 있으나, 살균 범위에 비례하여 살균력이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는 일정한 범위의 지향각을 가지는 지향성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광 램프는 살균 장치(10)의 본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지향성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살균 범위가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사용자 주변 영역의 공기로 살균 범위를 한정하여 공기 소독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도 2b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에서, 살균광 조사부(120)가 지향성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b의 (a)는 살균광 조사부(120)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분해도이며, 도 2b의 (b)는 케이스(200)에 함입되도록 형성된 살균광 조사부(12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b의 (a) 및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는 발광 램프(121), 반사판(122), 그리고 플랜지부(12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램프(121)는 기 설정된 살균광을 발광하는 램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램프(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405nm의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LED로 형성되거나 또는 222nm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램프일 수 있다.
또한 반사판(122)은 상기 발광 램프(121)에서 발광되는 광이 특정 방향으로 조사되도록 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반사판(122) 상기 발광 램프(121)를 감싸며 살균광이 조사될 방향(이하 상방이라고 하기로 하고, 상방의 반대 방향을 하방이라고 하기로 한다)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122)과 케이스(200)가 접하는 상기 반사판(122) 상단 가장자리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의하면, 살균광이 자외선인 경우, 상기 반사판에 의해 인체에 해로운 230nm 이상 파장의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학 필터를 사용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발광 램프(121)가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램프일 경우, 230nm 이상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광학 필터가 플랜지부(123)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학 필터는 플랜지부(12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램프(121)로부터 발생된 자외선 광이 상기 광학 필터를 통과하여 조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도 1에서 도시한 센서부(110)의 구성과 같이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적어도 일부의 센서만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센서부(110)가 각각 서로 다른 센서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어부(100)가 센서부(110)를 구성하는 센서들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각각의 흐름도 및 예시도들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상기 센서부(110)가 접촉 센서(111)로 구성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살균 장치(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제어부(100)는 접촉 센서(111)의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S300). 그리고 수신된 센서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2).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상기 접촉 센서(111)는 근접 센서 또는 터치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접촉부(210)는 상기 근접 센서 또는 터치 센서가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210)에 사용자의 신체 등이 접촉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살균 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상기 접촉 센서(111)는 암 커플러와 수 커플러로 이루어지는 커플러 결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접촉부(210)에는 상기 암 커플러와 수 커플러 중 제1 커플러가, 사용자의 의복 등에는 제2 커플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가 결합된 경우, 제어부(100)는 살균 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302 단계의 판단 결과, 살균 장치(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100)는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하여 살균광을 조사할 수 있다(S306). 만약 현재 살균광 조사부(120)가 살균광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S300 단계로 진행하여 접촉 센서(111)의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300 단계의 감지 정보 수신 결과, 근접 센서 또는 터치 센서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접촉이 감지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 사이의 결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S302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304). 그리고 상기 S300 단계로 진행하여 접촉 센서(111)의 감지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살균 장치(10)의 착용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02 단계의 판단 결과 살균 장치(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로 판단되면, 다시 S306 단계로 진행하여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S300 단계로 진행하여 접촉 센서(111)의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304 단계는, 제어부(100)가 전원공급부(130)로부터 살균광 조사부(12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불필요한 살균광의 조사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 장치(10)의 착용 상태 여부는 상기 접촉 센서(111)에 의해 검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휴대하는 것과는 별개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살균 장치(10) 본체가 연결된 스트랩을 목에 걸음으로서 상기 살균 장치(10)를 휴대하였다고 하여도, 상기 접촉 센서(111)를 통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접촉 센서(111) 외에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112)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에 근거하여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두부 상태에 근거하여 살균광의 조사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본체가 형성되는 케이스(200) 상단 중앙에 카메라(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12)는 고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112)는 스트랩(221)으로 연결되는 짧은 거리 내에서 사용자의 턱밑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고해상도 이미지의 획득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저해상도 이미지 또는 흑백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형성된 카메라로도 충분히 대체될 수 있다. 이처럼 저해상도 카메라 또는 흑백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살균 장치(10)의 제작 단가를 보다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112)는 도 4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200) 상단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12)는 케이스(200)로부터 연직 상 방향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살균 장치(10) 본체는 케이스(200)에 형성된 홀더(220)와 연결된 스트랩(221)에 의해, 사용자가 목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112)가 상기 케이스(200) 상단의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200)의 연직 상 방향으로 카메라 촬영각(40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12)는 상기 살균 장치(10)를 스트랩(221)으로 걸고 있는 사용자의 두부 하면, 즉, 사용자 턱밑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살균광 조사부(120)는 케이스(200) 상단의 정중앙으로부터 이격되어 소정 각도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살균광 조사부(120)에서 조사되는 살균광은,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인접한 영역(450)에 조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턱에 의하여 조사되는 살균광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얼굴 주변의 공기를 소독하여 소독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살균 장치가,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살균 장치에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들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먼저 카메라(112)로부터 사용자 턱밑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500). 그리고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외곽선을 검출할 수 있다(S502).
여기서 상기 검출된 외곽선은 사용자 턱밑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형상과 상기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가 이루는 면, 즉 착용면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면은, 상기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 가슴 부분의 의복에 의해 형성되는 면으로, 사용자의 턱밑의 형상은 상기 착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영역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상기 착용면 위로 돌출된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근거하여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된 사용자의 두부 상태가 살균 장치(10)에서 살균광을 조사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살균광의 조사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고개를 숙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목에 거는 형태로 착용한 경우라면, 살균 장치(10)에서 조사되는 살균광이 사용자의 눈을 향해 조사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살균광이 사용자의 눈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균광의 조사가 일시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가 고개를 옆으로 돌리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 살균광의 조사가 일시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상기 착용면 위로 돌출된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의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 이상일 경우에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착용면 위로 돌출된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의 면적이 기 설정된 면적 미만일 경우에는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카메라(112)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대응하는 면적을 검출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획득된 이미지에서 착용면 위로 돌출된 사용자 턱밑의 형상 중 최고점과 상기 착용면에 대응하는 이미지 상의 경계선 사이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S506).
그리고 검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에 살균광을 조사하거나 또는 살균광이 조사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510).
반면 검출된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측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거나 또는 고개를 숙여서 아래 방향을 주시하는 것으로 판별하고, 살균광의 조사가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508).
그리고 다시 S500 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112)로부터 사용자의 턱밑 이미지를 획득하고, S502 단계 내지 S506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다시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판별 결과에 따라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이처럼 카메라(112)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650)들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상기 도 4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목에 거는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카메라(112)에서 획득되는 이미지(650)는 사용자의 턱밑 아래에서 수직 상 방향으로 이미지를 획득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인 경우, 도 6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복에 의해 형성되는 착용면 위로 사용자의 턱밑 형상(600)이 돌출된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착용면은 획득된 이미지의 좌우측 수평 경계선(61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턱밑 형상(600)은 상기 경계선(610) 위로 돌출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턱밑 형상(600)을 이루는 외곽선으로부터, 상기 경계선(610)으로부터의 수직 이격 거리가 가장 큰 지점(최고점, 601)을 검출하고, 검출된 최고점(601)과 상기 경계선(610) 사이의 수직 거리(620)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수직 거리에 따라 상기 S508 단계 또는 S510 단계로 진행하여,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거나 또는 살균광을 조사(또는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거리는, 획득된 이미지(650)의 하단 경계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산출되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검출된 최고점(601)과 경계선(610) 사이의 수직 거리(620)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하거나 살균광을 조사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는 사용자가 우측 방향으로 고개를 돌리고 있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고개를 돌림에 따라 착용면 위로 돌출된 사용자 턱밑 형상(600)의 영역이 상당 부분 축소된 예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도 6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턱밑 형상(600)을 이루는 외곽선으로부터 검출된 최고점(601)과 경계선(610) 사이의 수직 이격 거리 역시 도 6의 (a)에 비하여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획득된 이미지(650)로부터 검출된 최고점(601)과 경계선(610) 사이의 수직 거리(620)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라면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획득된 이미지 도 6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은 경우 제어부(100)는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살균광의 조사가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하면, 다시 도 5의 S500 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112)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S502 단계에서 S504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하거나 또는 살균광을 조사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c)는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서 아래 방향을 바라보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고개를 숙임에 따라 착용면 위로 돌출된 사용자 턱밑 형상(600)의 영역이 상당 부분 축소된 예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는 경우 살균광 조사부(120)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눈이 노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눈이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의 살균광에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눈이 살균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00)는 검출된 이미지의 외곽선 추출을 통해 사용자의 턱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턱 윤곽선으로부터 사용자 턱 밑면의 최고점(601)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사용자 턱밑 이미지의 검출된 최고점(601)과 경계선(610) 사이의 수직 거리(620)가 기 설정된 거리 미만인 경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S500 단계 내지 S504 단계를 다시 수행하여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두부 상태에 따라 살균광의 조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계선(6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복에 의해 형성되는 착용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의복에 형성되는 주름에 따라 큰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경계선(610)의 굴곡에 의해 상기 최고점(601)과 경계선(610) 사이의 수직 거리가 잘못 측정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상기 경계선(610)과 획득된 이미지(650)의 좌우측 경계의 교점들(611, 612)을 잇는 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형성된 직선을 상기 경계선(610)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교점들(611, 612)을 잇는 직선과 최고점(601) 사이의 수직 거리가 산출될 수 있으며, 산출된 수직 거리에 따라 상기 S508 단계 또는 S510 단계로 진행하여,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거나 또는 살균광을 조사(또는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획득된 이미지의 경우 상기 경계선(610)이 검출되지 않는 이미지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획득된 이미지(650)의 하단 경계를 상기 경계선(610)으로 간주하고 상기 최고점(601)과 상기 이미지의 하단 경계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S508 단계 또는 S510 단계로 진행하여,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거나 또는 살균광을 조사(또는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살균광이 사용자의 눈에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곽선 처리를 통해 사용자의 턱밑 윤곽선을 추출하는 구성을 언급하였으나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 턱 밑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턱 끝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도 6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는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태에서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최고점(601)을 포함하는 일 영역을 상기 턱 끝에 해당하는 영역(이하 턱 끝 영역)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턱 끝 영역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턱 밑면의 면적 변화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획득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눈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카메라(112)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로부터 얼굴 인식에 기반한 눈 검출(Eye detection)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눈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턱밑 형상(600)의 상단에 후보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후보 영역에 눈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람의 좌우 눈 형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형태의 유선형 폐곡선 형상이 메모리(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선형 폐곡선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상기 후보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카메라(112)로부터 획득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눈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획득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눈 영역이 포함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도 5의 S508 단계 또는 S510 단계로 진행하여,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거나 또는 살균광을 조사(또는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모션 센서(113)를 포함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모션 센서(113)의 감지값에 근거하여 살균 장치(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된 움직임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 살균광을 조사하기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살균광의 조사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움직임은, 움직인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이거나 또는 움직인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예로서, 살균 장치(10)가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살균 장치(1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가속도 센서의 경우, 가속도 센서가 탑재된 살균 장치(10)의 본체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발생하는 속도의 증가량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 장치(10) 본체가 이동하는 경우 가속도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 7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113)에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의 검출 결과는 본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가속도가 클수록 상기 본체의 움직임이 큰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살균광을 이용한 소독의 경우 살균광을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조사하여야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이 사멸할 수 있다. 따라서 살균광이 조사되는 방향 및 위치가 일정 수준 이상 변경되는 경우 소독의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모션 센서, 일 예로 가속도 센서(113)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소독 효과가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살균광의 조사가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경우에 가속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제어부(100)는 구비된 모션 센서, 즉 가속도 센서(113)로부터 살균 장치(10) 본체의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S800). 그리고 검출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지를 검출하여, 상기 본체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802).
상기 S802 단계의 판별 결과, 검출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살균 장치(10) 본체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살균광이 조사되는 방향 및 위치가 자주 변경될 수 있으며, 또 움직임이 큰 만큼 살균광의 조사 방향 및 위치가 변경되는 변위 역시 커지게 되므로, 상기 살균광에 의한 소독 효과가 그리 크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불필요한 살균광의 조사에 따른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살균광의 조사가 정지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804).
반면 상기 S802 단계의 판별 결과, 검출된 가속도가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인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살균 장치(10) 본체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수준 미만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살균광이 조사되는 방향 및 위치가 크게 변경되지 않으므로, 특정 방향 및 위치에 지속적으로 살균광이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주변의 공기가 충분히 소독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하거나 또는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806).
한편 도 7 내지 도 8의 설명에서는, 모션 센서의 예로서 가속도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 등 다른 센서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상기 살균 장치(10) 본체의 움직임이 검출될 수 있으며, 검출된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살균광 조사부(120)가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측위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위 센서(114)의 측위 결과에 근거하여 살균광 조사부(12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살균 장치(10) 본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측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측위 센서(114)를 통해 산출된 살균 장치(10)의 위치와 기 저장된 지역 방역 정보에 근거하여 살균광의 조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역 방역 정보는, 바이러스 또는 미생물로 인한 질병의 확산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별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질병의 확진자의 감염 경로 또는 감염자 수 등에 따라 결정되는 특정 지역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지역 방역 정보는 방역 정보를 제공하는 기 설정된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살균 장치(10)는 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140)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한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도 9에서 도시된 살균 장치(10)에서, 측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먼저 측위 센서(114)를 통해 본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S1000).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지역 방역 정보에 포함된 위험 지역을 매핑(mapping)하여, 살균 장치(10) 본체가 상기 지역 방역 정보에 포함된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1002).
상기 S1002 단계의 판별 결과, 상기 살균 장치(10)의 본체가 상기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1006). 이 경우 살균 장치(10)가 현재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라면, 상기 S1006 단계는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반면 상기 S1002 단계의 판별 결과, 상기 살균 장치(10)의 본체가 상기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S1004). 이 경우 현재 살균광의 조사가 정지된 상태라면, 상기 S1004 단계는 살균광의 조사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감염의 위험이 낮은 지역의 경우, 감염 위험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불필요하게 살균광을 조사함으로써 전력을 낭비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 조사부(120)가 하나인 경우만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살균광 조사부(120)는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가,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를 구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120a, 120b, 120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120a, 120b, 120c)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120a, 120b, 120c)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발광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120a, 120b, 120c) 각각에 구비된 발광 램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120a, 120b, 120c) 중 일부의 살균광 조사부에서만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120a, 120b, 120c)는 하나의 발광 램프와, 상기 발광 램프와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120a, 120b, 120c) 사이를 각각을 연결하는 도파관들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각 도파관의 개방 또는 폐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살균광 조사부(120a, 120b, 120c) 중 일부의 살균광 조사부에서만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센서부(110)는 접촉 센서, 카메라, 모션 센서, 측위 센서 중 일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모든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 장치(10)는 접촉 센서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살균 장치(10)는 상술한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살균광의 조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살균 장치(10)는 카메라나 모션 센서 중 어느 하나와 접촉 센서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살균 장치(10)의 제어부(100)는 접촉 센서의 감지 결과와 상기 카메라 또는 모션 센서의 감지 결과 모두에 따라 살균광의 조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판단된 사용자의 두부 상태와, 접촉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른 살균 장치(10)의 착용 상태가 모두 살균광의 조사에 적합한 경우에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00)는 모션 센서를 통해 획득된 본체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에도, 접촉 센서의 감지 결과 사용자가 살균 장치(10)를 착용한 상태라면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결과에도 불구하고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모션 센서와 접촉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른 살균광의 조사 여부가 상충하는 경우, 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센서, 예를 들어 접촉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살균광의 조사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측위 센서의 경우 역시, 측위 센서와 접촉 센서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측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도 불구하고 접촉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측위 센서의 감지 결과와 접촉 센서의 감지 결과가 합치되는 경우에 한하여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살균광 조사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살균 장치
100: 제어부 110 : 센서부
111 : 접촉 센서 112 : 카메라
113 : 모션 센서 114 : 측위 센서
120 : 살균광 조사부 130 : 전원공급부
140 : 통신부 150 : 메모리

Claims (19)

  1. 사용자의 두부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착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살균력을 가지는 기 설정된 파장을 가지는 광을 살균광으로서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살균광 조사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착용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제어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살균광의 조사를 정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에서 상측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턱밑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 턱밑의 형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 및, 판단된 두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광 조사부의 살균광 조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광은,
    405nm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선 또는 222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며,
    상기 살균광 조사부는,
    상기 405nm 파장을 가지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LED(Light Emited Diode) 또는 상기 222nm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램프를 상기 살균광을 발광하는 발광 램프로서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램프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무지향성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램프는,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일정 범위의 지향각을 가지는 지향성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살균광 조사부는,
    상기 발광 램프;
    상기 발광 램프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상기 본체 외부로 반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살균광이 조사될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의 상단 가장 자리에,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램프는,
    자외선 램프이며,
    230nm 이상의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도록 하는 광학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램프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상기 광학필터를 통과하여 조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가 사용자와 접촉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접촉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감지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제1 커플러와 사용자가 구비하는 제2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플러와 제2 커플러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본체와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턱 끝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눈에 해당하는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근거하여 후보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후보 영역에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유선형 폐곡선 형상에 대응하는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사용자의 눈에 해당하는 영역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흑백 이미지를 획득하는 흑백 카메라 또는 기 설정된 해상도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저해상도 카메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션 센서의 감지 결과,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본체가 움직인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살균광의 조사를 일시 정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본체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측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지역 방역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과 상기 측위 센서로부터 산출된 본체의 위치를 매핑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지역 방역 정보에 포함된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
  16. 사용자의 두부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착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측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및, 기 설정된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 조사부를 포함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살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상기 본체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판별 결과 상기 본체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경우,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여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상기 살균 장치의 본체의 착용 여부를 재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 재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를 재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를 재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로부터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턱 밑 평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획득된 상기 사용자 턱밑의 형상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본체를 착용한 사용자의 두부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두부 상태에 근거하여 판별된 상기 본체의 사용자 착용 여부에 따라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착용 여부를 재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모션 센서로부터,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된 움직임으로부터,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본체가 움직인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살균 장치의 본체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하였거나 또는 상기 본체가 움직인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이상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살균광을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본체에 구비된 측위 센서의 측위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기 저장된 지역 방역 정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위험 지역과 상기 측위 센서로부터 산출된 본체의 위치를 매핑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지역 방역 정보에 포함된 위험 지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매핑에 따른 판별 결과에 따라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살균광 조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148742A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98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42A KR102498584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42A KR102498584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55A KR20220062955A (ko) 2022-05-17
KR102498584B1 true KR102498584B1 (ko) 2023-02-09

Family

ID=8180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742A KR102498584B1 (ko) 2020-11-09 2020-11-09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5211759A1 (en) * 2004-02-11 2005-08-25 Barry Ressle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sterilization using UV light source
KR101648216B1 (ko) * 2009-10-14 2016-08-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소독기
KR101553689B1 (ko) * 2013-05-07 2015-09-17 (주) 인슈텍 살균 소독 온열기능을 갖는 발 치료기
KR20200057399A (ko) * 2018-11-16 2020-05-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55A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37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Treatment, Prevention, and Protection
US9597420B2 (en) Radiated energy steriliz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20200254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n Occupied Environment Using Direction Controlled Germicidal Radiation
KR101724481B1 (ko) 자외선 살균시스템
KR101724447B1 (ko) 자외선 살균로봇
US7755744B1 (en) Environment sensor that conveys information about objects in the vicinity of the visually impaired user
US956072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with a portable pointer device
CN109641075A (zh) 光控制系统和将空间子部分暴露给预定光谱范围内的预定阈值强度的光的方法
WO2022107414A1 (ja) 不活化方法および不活化システム
WO2021195003A1 (en) Continuous, real-time ultraviolet disinfection of populated indoor spaces systems and methods
WO2021225951A1 (en) Apparatus for disinfection of occupied spaces
US20230123481A1 (en) Remotely or autonomously operable disinfection apparatus
KR20160088053A (ko) 체온 연동 전신소독장치
US11638766B2 (en) Forward emitting ultraviolet helmet
CN109661300A (zh) 具有自适应照明和操作方法的梳理系统
US20200282087A1 (en) Heavy Traffic Sanitization
KR102498584B1 (ko) 휴대용 살균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CN105090760A (zh) 智能型头灯
US202102908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terilizing spaces or surfaces from stand-off distances
KR20110118965A (ko) 시선 인식을 이용한 자율주행 휠체어 시스템
CN108693191A (zh) 一种检测内窥镜的设备及一种内窥镜系统
KR102487350B1 (ko) 스마트 로봇을 이용한 방역 살균 장치
KR20200001720A (ko) 휴대용 uv 램프
GB2594535A (en) A protective visor
CN109806506B (zh) 非接触式激光生发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