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72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 contensts using dro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 contensts using dr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72B1
KR102498572B1 KR1020220084776A KR20220084776A KR102498572B1 KR 102498572 B1 KR102498572 B1 KR 102498572B1 KR 1020220084776 A KR1020220084776 A KR 1020220084776A KR 20220084776 A KR20220084776 A KR 20220084776A KR 102498572 B1 KR102498572 B1 KR 10249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virtual image
augmented reality
drone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7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정호
Original Assignee
(주)군집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군집텍 filed Critical (주)군집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using drones, which display virtual images together with captured images of swarm drones conducting a drone show. The system comprises: a drone control unit that controls at least one drone according to a preset drone show program; a video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one or more drone shooting videos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 unit; a virtual image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t least one preset virtual image based on an object image including an actual drone generated by a drone shooting video received from the video receiving unit, in the form of an object image including a drone or according to a dron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 unit; and an AR implementation unit that merges the virtual image extracted from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unit with the object image including the drone generated by the video receiving unit to provide AR content to a user terminal. The system can build realistic content using AR technology, can extend the play time of a performance that combines media art technology, and thus can provide the realistic content by provi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to users watching the drone show by utilizing AR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erformance planning that is well coordinated overall and accurately reflects a planner's intention.

Description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 contensts using dron}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using drone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 contensts using dron}

본 발명은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쇼를 진행하는 군집용 드론의 촬영 이미지에 가상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drones, and more particularly, to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drones that display virtual images together with images taken by swarm drones performing drone shows. It relates to a provision system and method.

일반적으로 드론(Drone)은 지상 관제시스템의 원격 제어에 의한 수동 비행, 또는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한 자율 비행 등으로 항공 촬영이나 공중 타격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군사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드론 보급 의 확대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기술의 개발로 인해, 고공 영상 또는 사진 촬영과 배달, 기상정보 수집 등의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제독,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을 위한 방역용도, 병해충 방제용 농약 살포를 위한 농업용도, 고층 빌딩이나 깊은 산속 등의 화재 진압용도, 상공에서의 다양한 퍼포먼스를 연출하는 공연용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In general, drones have been used for military purposes such as aerial photography or aerial strikes through manual flight by remote control of a ground control system or autonomous flight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ue to the expansion of supply and the development of control technolog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it is not only in the field of high-altitude video or photo shooting and delivery, weather information collection, etc.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gricultural use for spraying pesticides for pest control, fire suppression in high-rise buildings or deep mountains, and performances for various performances in the sky.

드론은 보통 프로펠러의 갯수에 따라 쿼드콥터(4 개), 헥사콥터(6 개) 및 옥토콥터(8 개)로 나눠지며, 카메라 등을 탑재할 수 있는 몸체부, 비행을 위한 회전익 구조체 및 이/착륙 용 다리로 구성된다. 현재 이와 같은 드론은 공중에서 한 자리에 장시간 머물 수 있으며, 위치의 제어가 용이하여 촬영, 영농, 구난지원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Drones are usually divided into quadcopters (4 pieces), hexacopters (6 pieces) and octocopters (8 pie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pellers. It consists of landing legs. Currently, such drones can stay in one place for a long time in the air, and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ilming, farming, rescue support, etc. because their location is easy to control.

특히,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7482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론에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군집 드론을 이용한 조명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드론에 조명 수단을 설치하여 군집 드론으로 공중에 서 라이트 쇼를 시연하는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0174827, drones are equipped with a lighting device to be used as a lighting means using cluster drones, and lighting means are installed on drones to perform light shows in the air with cluster drones. It is also used for demonstration purposes.

공연용 드론의 경우, 공연에 필요한 다양한 퍼포먼스의 구현을 위해 복수 개의 드론이 도입되고 있 으며, 빔 프로젝트 등을 이용하여 엘이디 빔 또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면서 동시에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연무나 거품 등의 특수효과물질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들에 의해 빛을 난반사시켜 다양한 퍼포먼스를 연출하게 된다. In the case of performance drones, a plurality of drones are being introduced to implement various performances required for performances, and while emitting LED beams or laser beams using a beam projector, etc. By generating effect materials, light is diffusely reflected by them to produce various performances.

한편, 종래의 관람형 드론 콘텐츠는 관람객 공감형성이 부족하고, 드론 운영시간에 따른 짧은 행사 시간과 야간비행 승인에 대한 법적 규제 문제가 대두 되어오고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viewing-type drone content lacks sympathy from viewers, and legal regulatory issues regarding short event time and night flight approval have emerged.

KRKR 10-2235407 10-2235407 B1B1 KRKR 10-2014-0174827 10-2014-0174827 AA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증강 현실(AR)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를 구축하고, 미디어 아트 기술을 융합한 공연 플레이 타임의 연장이 가능하여 증강현실 (AR) 기술을 활용하여 드론쇼를 관람하는 사용자들에게 공연 정보등을 제공하여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such a technical background, and builds realistic content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and utilize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to extend the play time of performances converged with media art technology.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drones that can provide realistic content by provid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users watching a drone show.

또한 미디어 아트를 활용하여 드론쇼 공연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보다 짜임새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체 음원 및 영상 제작이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잘 어우러지고 기획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한 공연 기획이 가능한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ose the overall story of the drone show performance more structuredly by using media art,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its own sound source and video, so it harmonizes well overall and is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drones that can accurately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plann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기 설정된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제어부, 상기 드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드론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드론 촬영 영상에 의해 생성된 실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기반하여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 형태 또는 상기 드론 제어부에서의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가상 이미지 추출부 및 상기 가상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가상 이미지를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생성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병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구현부를 포함한다.That is, the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control unit that controls at least one drone according to a preset drone show program, and images captured by one or more drones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 unit. An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dron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based on an object image including a real drone generated by the drone image, or a virtual image preset according to a dron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 unit. It includes a virtual image extractor for extracting at least one and an augmented reality implementer for merging the virtual image extracted from the virtual image extractor with an object image including a drone generated by the image receiver and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a user terminal. .

한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제어 단계, 상기 드론 제어 단계에서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드론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단계, 상기 영상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드론 촬영 영상에 의해 생성된 실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기반하여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 형태 또는 상기 드론 제어부에서의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가상 이미지 추출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가상 이미지를 상기 영상 수신 단계에서 생성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병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구현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drones performed in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drones, the drone control step of controlling at least one drone according to a preset drone show program, the drone An image reception step of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one or more drones controlled in the control step, an object image including a drone based on an object image including a real drone generated by the drone captured image received in the image reception step, or the image form of the object including the drone. A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preset virtual images according to a dron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 unit and merging the virtual image extracted in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with the object image including the drone generated in the image reception step and an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step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a user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증강 현실(AR)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를 구축하고, 미디어 아트 기술을 융합한 공연 플레이 타임의 연장이 가능하여 증강현실 (AR) 기술을 활용하여 드론쇼를 관람하는 사용자들에게 공연 정보등을 제공하여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uild immersive content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and extend the play time of a performance converged with media art technology, so that users who watch drone shows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The effect of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drone capable of providing realistic content by provid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a person is derived.

또한 미디어 아트를 활용하여 드론쇼 공연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보다 짜임새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자체 음원 및 영상 제작이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잘 어우러지고 기획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한 공연 기획이 가능한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pose the overall story of the drone show performance more structuredly by using media art, 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its own sound source and video, so it harmonizes well overall and is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drones that can accurately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plann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f.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세스템의 드론 제어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rone control technology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term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excessively inclu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positive sense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증강 현실(AR) 기술을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를 구축하고, 미디어 아트 기술을 융합한 공연 플레이 타임의 연장이 가능하다. 즉, 증강현실 (AR) 기술을 활용하여 드론쇼를 관람하는 사용자들에게 공연 정보등을 제공하여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builds immersive content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and can extend the play time of a performance converged with media art technology.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immersive content by provid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users watching a drone show using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이에 더하여 미디어 아트를 활용하여 드론쇼 공연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보다 짜임새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체 음원 및 영상 제작이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잘 어우러지고 기획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한 공연 기획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compose the overall story of the drone show performance more structuredly by utilizing media art.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oduce its own sound source and video, it is possible to plan a performance that harmonizes well with the whole and accurately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planner.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군집용 드론을 제어하기 위해 와이파이 라우터, RTK 안테나, 원격 측정(Telemetry)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 using dro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Wi-Fi router, an RTK antenna, and a telemetry antenna to control swarm drones.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군집된 드론을 인식하여 드론 아트쇼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 아트 기술과 융합하고 증강시켜 전달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실감형 드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ognizes clustered drones, converges and augments information about a drone art show with media art technology, and provides augmented reality-based realistic drone content. can

도 2 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통신부(110), 드론 제어부(120), 영상 수신부(130), 가상 이미지 추출부(140), 증강현실 구현부(150), 아트 콘텐츠 제공부(160), 컨셉 선택부(170), 가상 이미지 관리부(180), 아트 콘텐츠 관리부(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 drone control unit 120, an image receiving unit 130, a virtual image extraction unit 140, an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unit 150, It includes an art content providing unit 160, a concept selection unit 170, a virtual image management unit 180, and an art content management unit 190.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communicates with any internal component or at least one external terminal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etc. ,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Wi-Fi, Wi-Fi Direc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addition, wir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may includ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communication, Ethernet, serial communication, optical/coaxial cables, and the like.

이때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는 드론(20), 사용자 단말(30), 미디어 아트 서버(40) 중 하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arbitrary external terminal may be one of the drone 20,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media art server 40.

사용자 단말(3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30 includes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foldable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PMP). Player terminal, telematics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personal computer, notebook computer, slate PC,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Device, for example, watch type terminal (Smartwatch), glass 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Wibro terminal,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terminal, smart TV, digital broadcasting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erminals such as terminals, audio video navigation (AVN) terminals, audio/video (A/V) systems, flexible terminals, digital signage devices,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30)은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이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이다. 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30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who wants to use the content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 .

드론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을 제어한다. 즉 여러대의 드론 비행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드론 제어부(120)는 이동식 지상 관제국 GCS(Ground Control Solution)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드론 제어부(120)는 드론 및 부송장비들의 지휘 및 통제(C2)와 조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drone controller 120 controls at least one drone according to a preset drone show program.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ight of several drones at the same time. The drone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mobile ground control station GCS (Ground Control Solution) software. The drone control unit 120 may perform command and control (C2) and control functions of drones and transport equipment.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세스템의 드론 제어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drone control technology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론 제어부(120)는 와이파이 라우터(wifi router), RTK 안테나, 원격측정(telemetry)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하여 제어신호를 군집 비행용 드론(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rone control unit 12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drones 20 for swarm flight via at least one of a wifi router, an RTK antenna, and a telemetry antenna.

영상 수신부(130)는 드론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드론 촬영 영상을 수신한다.The image receiving unit 130 receives one or more drone captured images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ler 120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영상 수신부(130)는 사용자 단말(30)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한다. In one embodiment, the image receiving unit 130 receives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30 .

가상 이미지 추출부(140)는 영상 수신부(130)에서 수신된 드론 촬영 영상에 의해 생성된 실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기반하여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 형태 또는 드론 제어부(120)에서의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한다.The virtual image extractor 140 responds to the form of an object image including a drone or a dron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ler 120 based on an object image including a real drone generated by the drone captured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er 130. Accordingly, at least one of preset virtual images is extracted.

가상 이미지 추출부(140)는 드론쇼를 관람중인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30)로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의해 생성된 드론 객체 이미지 형태에 따라 가상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unit 140 may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the user terminal 30 possessed by a user watching a drone show, and extract a virtual image according to a shape of a drone object image generated by the captured image.

일예로 가상 이미지 추출부(140)는 드론 제어부(120)에서의 드론 제어에 따라 드론쇼에 투입된 군집 드론들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드론 제어부(120)로부터 드론쇼 프로그램을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현재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른 군집 드론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unit 140 may determine the shape of cluster drones put into a drone show according to drone control by the drone controller 120 . That is, the dron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the drone show program and determine the form of cluster drones according to the current drone show program in real time.

실시간으로 드론쇼 촬영 영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적용하는 경우에 드론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드론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드론들로 제공되는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현 시점에서의 군집 드론 형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case of appl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drone show footage in real time, the method of detecting drones by receiving drone footage is not limited, but cluster drones at the present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rone show program provided to the drones. form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예로 가상 이미지 추출부(14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영상 수신부(130)로 수신되는 드론 촬영 영상에 기반하여 군집 드론 형태에 따라 매칭되는 가상 이미지를 추출할 수있다. 가상 이미지 추출부(140)는 군집 드론이 촬영된 드론 촬영 영상에서 드론을 검출하고, 군집 드론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virtual image extractor 140 may extract a virtual image match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group of drones based on a drone captured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 to the image receiver 130 . The virtual image extractor 140 may detect drones from a drone-captured image in which the cluster drones are captured, and determine the form of the cluster drones.

실시간으로 드론쇼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기존에 촬영하거나 다양한 경로로 수신한 군집 드론 촬영 영상을 적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Even if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not used by using drone show footage in real time, users can receive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applying cluster drone footage previously filmed or received through various routes.

일 예로 사용자가 드론 아트쇼(Drone Art show)를 증강현실(AR)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감하는 실감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realistic content in which a user interacts with a drone art show through an augmented reality (AR) application.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론 아트쇼(The star of universe’ 우주의 별자리 (증간현실(AR)기술, 미디어 아트 기술, 군집 비행 기술 융합), 미디어 아트 (우주공간지상영상). 별 (드론 라이트 상공구현), 증강현실 (AR을 활용한 실감형 별자리 정보 및 체험) 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drone art show (The star of universe' constellation of the univers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media art technology, swarm flight technology fusion), media art (outer space terrestrial image), star (drone light) It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realization of sky and sky) and augmented reality (realistic constellation information and experience using AR).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The Only contents’ 오직 하나뿐인 미래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nly contents' may provide only one future content.

또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은 특별한 사연을 가진 이들을 위한 세상 하나뿐인 실감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죽은 딸을 드론 아트 쇼를 통해 표현하고,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이루어지는 소통 기회를 마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10 may provide one-of-a-kind realistic content for those with a special story. For example, a dead daughter can be expressed through a drone art show, and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throug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an be prepared.

증강현실 구현부(150)는 가상 이미지 추출부(140)에서 추출된 가상 이미지를 영상 수신부(130)에서 생성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병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한다.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er 150 merges the virtual image extracted by the virtual image extractor 140 with the object image including the drone generated by the image receiver 130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30 .

증강현실 구현부(150)는 실시간 컴퓨터 비전을 목적으로 한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인 Open CV(Open Source Computer Vision)로 이미지를 인식하고 학습할 수 있다.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unit 150 may recognize and learn an image using Open Source Computer Vision (Open CV), a programming library for real-time computer vision.

증강현실 구현부(150)는 Open CV로 군집된 드론의 형태를 인식하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되면 증강현실 신호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하여 이미지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unit 150 recognizes the shape of drones clustered with Open CV and machine learns, it can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 so that an image or video can be outpu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강현실 구현부(150)는 사용자 단말(30)에서 구동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앱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ugmented reality implementer 150 may be implemented on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app using a drone driven in the user terminal 30 .

이에 따라 기존의 드론쇼는 수동적으로 관람하는 데 그친 반면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시켜 관람하는 사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실감형 공연형태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conventional drone shows are only watched passively,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form of immersive performances that users can participate i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아트 콘텐츠 제공부(160)는 드론 제어부(120)에서 제어되는 드론쇼 프로그램에 매칭되게 동기화된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제공한다. 아트 콘텐츠 제공부(160)는 미디어 아트 서버(40)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드론쇼 프로그램과 매칭되는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 content provider 160 provides synchronized media art content to match the drone show program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ler 120. The art content provider 160 may receive media art content matched with various types of drone show programs from the media art server 4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아트 콘텐츠 관리부(190)는 아트 콘텐츠 제공부(160)가 제공하는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업로드받은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편집한다. 아트 콘텐츠 제공부(190)는 미디어 아트 서버(40)와 연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아트 콘텐츠 관리부(190)는 다양한 형식과 방법으로 미디어 아트의 편집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art content manager 190 receives media art content provided by the art content provider 160 and edits the uploaded media art content. The art content provider 190 may be implemented to interwork with the media art server 40 . The art content management unit 190 may edit and manage media art in various formats and methods.

아트 콘텐츠 제공부(160)는 미디어 아트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을 상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드론 쇼 공연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연장하여 시간을 10분 내외 에서 30분 내외로 연장하고, 자체 음원 및 영상제작, 편집이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잘 어우러진 공연 기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art content provider 160 can configure storytelling in detail using media art, extend the overall story of the drone show performance to extend the time from around 10 minutes to around 30 minutes, and produce its own sound source and video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edit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well-coordinated performance planning information as a whole.

컨셉 선택부(17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가상 이미지 컨셉을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하고, 제공된 가상 이미지 컨셉 중 하나를 선택받는다, The concept selector 170 provides at least two or more virtual image concepts to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and selects one of the provided virtual image concepts.

그리고 가상 이미지 추출부(140)는 컨셉 선택부(170)에서 선택된 가상 이미지 컨셉에 맞는 가상 이미지를 추출한다.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unit 140 extracts a virtual image suitable for the virtual image concept selected by the concept selection unit 170 .

가상 이미지 컨셉은 다양한 형태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군집용 드론 형태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30)에 상이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공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virtual image concept is to provide various types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to provide different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different user terminals 30 for the same swarm drone type.

동일한 형태의 군집용 드론을 촬영하더라도 사용자 a가 선택한 가상이미지 컨셉과 사용자 b가 선택한 가상 이미지 컨셉이 상이한 경우에 상이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Even if the same type of swarm drone is photographed, when the virtual image concept selected by user a and the virtual image concept selected by user b are different, different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provided.

예를들어 가상 이미지 상에 포함되는 캐릭터가 상이하게 표시되거나, 선택한 컨셉에 따라 별자리 형태로 비행중인 군집용 드론을 촬영한 사용자 단말로 별자리에 관련된 동물이나 사물의 이미지가 가상 이미지로 제공되거나 별자리 관련 신화 관련 이미지가 가상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a character included in a virtual image is displayed differently, or an image of an animal or object related to a constellation is provided as a virtual image to a user terminal that has taken a swarm drone flying in the form of a constellation according to a selected concept, or it is related to a constellation. Myth-related images may be provided as virtual images.

또는 가상 이미지 색감을 컨셉정보로 제공받아서 동시에 동일한 군집용 드론을 촬영한 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가상 이미지의 색깔 톤이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붉은 계열의 컨셉을 선택한 사용자의 경우 붉은 계열의 색으로 이루어진 가상 이미지를 포함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 푸른 계열의 컨셉을 선택한 사용자의 경우 푸른 계열의 색으로 이루어진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Alternatively, the color tone of the virtual image may be provided as concept information, and the color tones of the virtual image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to two or more users who simultaneously photograph the same swarm drone. For example, a user who selects a red-based concept is provided with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virtual images made of red-based colors, and a user who selects a blue-based concept is provided with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virtual images made of blue-based colors. Get real content.

가상 이미지 관리부(180)는 가상 이미지 컨셉에 맞는 가상 이미지를 업로드받고, 업로드 받은 가상 이미지를 편집한다.The virtual image management unit 180 receives a virtual image suitable for the virtual image concept and edits the uploaded virtual image.

가상 이미지 관리부(18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앱을 운용,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드론 쇼를 관장하는 쇼 제공자로부터 증강 현실에 사용될 가상이미지를 군집용 드론 형태와 매칭시켜서 업로드받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virtual image management unit 180 matches and uploads virtual images to be used for augmented reality from a manager who operates and manages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app or a show provider who manages drone sh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tching the shape of drones for swarming. , it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can be edited.

가상 이미지 관리부(180)는 가상 이미지별 컨셉 정보를 입력받아 추가하거나 편집, 삭제할 수도 있다. 즉 가상 이미지의 추가, 편집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태로 드론쇼를 접목시킨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The virtual image manager 180 may receive and add, edit, or delete concept information for each virtual image. In other words, it is easy to add and edit virtual images,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s that combine drone shows in various form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방법은 기 설정된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을 제어한다(S400).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drones performed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drones, at least one drone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preset drone show program (S400).

즉 여러대의 드론 비행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드론 제어 단계는 이동식 지상 관제국 GCS(Ground Control Solution)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드론 제어 단계는 드론 및 부송장비들의 지휘 및 통제(C2)와 조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ight of several drones at the same time. The drone control step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mobile ground control station GCS (Ground Control Solution) software. The drone control stage can perform command and control (C2) and steering functions of drones and transport equipment.

그리고 드론 제어 단계에서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드론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한다(S410).In addition, an image of one or more drones controlled in the drone control step is received (S41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가상 이미지 컨셉을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공된 가상 이미지 컨셉 중 하나를 선택받는다(S420).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virtual image concepts are provid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and one of the provided virtual image concepts is selected (S420).

영상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드론 촬영 영상에 의해 생성된 실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기반하여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 형태 또는 상기 드론 제어부에서의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가상 이미지를 추출한다(S430).A virtual image that extracts at least one of the form of an object image including a drone based on an object image including a real drone generated by the drone captured image received in the image reception step or a preset virtual image according to a dron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 unit. An image is extracted (S430).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 추출 단계는 컨셉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가상 이미지 컨셉에 맞는 가상 이미지를 추출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extracts a virtual image suitable for the virtual image concept selected in the concept selection step.

일예로 가상 이미지 추출 단계는 드론 제어 단계에서의 드론 제어에 따라 드론쇼에 투입된 군집 드론들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드론 제어단계로부터 드론쇼 프로그램을 파악하여 실시간으로 현재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른 군집 드론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hape of cluster drones used in the drone show according to the drone control in the drone control step. That 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drone show program from the drone control step and determine the form of cluster drones according to the current drone show program in real time.

실시간으로 드론쇼 촬영 영상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적용하는 경우에 드론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드론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드론들로 제공되는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현 시점에서의 군집 드론 형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case of apply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drone show footage in real time, the method of detecting drones by receiving drone footage is not limited, but cluster drones at the present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rone show program provided to the drones. form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예로 가상 이미지 추출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드론 촬영 영상에 기반하여 군집 드론 형태에 따라 매칭되는 가상 이미지를 추출할 수있다. 가상 이미지 추출 단계는 군집 드론이 촬영된 드론 촬영 영상에서 드론을 검출하고, 군집 드론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a virtual image match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group of drones may be extracted based on a drone captured image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In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drones may be detected from drone images in which cluster drones are captured, and the form of cluster drones may be identified.

실시간으로 드론쇼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기존에 촬영하거나 다양한 경로로 수신한 군집 드론 촬영 영상을 적용하여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Even if augmented reality content is not used by using drone show footage in real time, users can receive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applying cluster drone footage previously filmed or received through various routes.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론 아트쇼(The star of universe’ 우주의 별자리 (증간현실(AR)기술, 미디어 아트 기술, 군집 비행 기술 융합), 미디어 아트 (우주공간지상영상). 별 (드론 라이트 상공구현), 증강현실 (AR을 활용한 실감형 별자리 정보 및 체험) 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drone art show (The star of the universe) Constellation of the Univers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media art technology, swarm flight technology fusion), media art (outer space terrestrial image), star (drone light) It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realization of sky and sky) and augmented reality (realistic constellation information and experience using AR).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The Only contents’ 오직 하나뿐인 미래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nly contents' may provide only one future content.

그리고 가상 이미지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가상 이미지를 상기 영상 수신 단계에서 생성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병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구현한다(S440).In addition, augmented reality is implemented by merging the virtual image extracted in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with the object image including the drone generated in the image reception step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S440).

이에 따라 기존의 드론쇼는 수동적으로 관람하는 데 그친 반면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시켜 관람하는 사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실감형 공연형태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conventional drone shows are only watched passively,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form of immersive performances that users can participate i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드론 제어 단계에서 제어되는 드론쇼 프로그램에 매칭되게 동기화된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더 제공한다(S450).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edia art content synchronized to match the drone show program controlled in the drone control step is further provided (S450).

그리고 미디어 아트 콘텐츠 제공 단계가 제공하는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업로드받은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dia art content provided by the media art content providing step may be uploaded, and the uploaded media art content may be edited.

아트 콘텐츠 제공 단계는 미디어 아트를 활용하여 스토리텔링을 상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드론 쇼 공연의 전체적인 스토리를 연장하여 시간을 10분 내외 에서 30분 내외로 연장하고, 자체 음원 및 영상제작, 편집이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잘 어우러진 공연 기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stage of providing art contents, storytelling can be configured in detail using media art, and the overall story of the drone show performance can be extended to extend the time from around 10 minutes to around 30 minutes, and self-sound and video production and editing can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well-coordinated performance planning information as a whol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 컨셉에 맞는 가상 이미지를 업로드받고, 업로드 받은 가상 이미지를 편집할 수도 있다.In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image suitable for a virtual image concept may be uploaded, and the uploaded virtual image may be edited.

가상 이미지 컨셉은 다양한 형태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군집용 드론 형태에 대해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30)에 상이한 증강현실 콘텐츠가 제공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virtual image concept is to provide various types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and to provide different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different user terminals 30 for the same swarm drone type.

동일한 형태의 군집용 드론을 촬영하더라도 사용자 a가 선택한 가상이미지 컨셉과 사용자 b가 선택한 가상 이미지 컨셉이 상이한 경우에 상이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Even if the same type of swarm drone is photographed, when the virtual image concept selected by user a and the virtual image concept selected by user b are different, different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provided.

예를들어 가상 이미지 상에 포함되는 캐릭터가 상이하게 표시되거나, 선택한 컨셉에 따라 별자리 형태로 비행중인 군집용 드론을 촬영한 사용자 단말로 별자리에 관련된 동물이나 사물의 이미지가 가상 이미지로 제공되거나 별자리 관련 신화 관련 이미지가 가상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a character included in a virtual image is displayed differently, or an image of an animal or object related to a constellation is provided as a virtual image to a user terminal that has taken a swarm drone flying in the form of a constellation according to a selected concept, or it is related to a constellation. Myth-related images may be provided as virtual images.

또는 가상 이미지 색감을 컨셉정보로 제공받아서 동시에 동일한 군집용 드론을 촬영한 둘 이상의 사용자들에게 가상 이미지의 색깔 톤이 상이하게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붉은 계열의 컨셉을 선택한 사용자의 경우 붉은 계열의 색으로 이루어진 가상 이미지를 포함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고, 푸른 계열의 컨셉을 선택한 사용자의 경우 푸른 계열의 색으로 이루어진 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Alternatively, the color tone of the virtual image may be provided as concept information, and the color tones of the virtual image may be displayed differently to two or more users who simultaneously photograph the same swarm drone. For example, a user who selects a red-based concept is provided with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virtual images made of red-based colors, and a user who selects a blue-based concept is provided with augmented reality content including virtual images made of blue-based colors. Get real content.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앱을 운용,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드론 쇼를 관장하는 쇼 제공자로부터 증강 현실에 사용될 가상이미지를 군집용 드론 형태와 매칭시켜서 업로드받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 user interface capable of matching, uploading, and editing virtual images to be used in augmented reality from a manager who operates and manages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app or a show provider who manages drone sh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provide.

그리고 가상 이미지별 컨셉 정보를 입력받아 추가하거나 편집, 삭제할 수도 있다. 즉 가상 이미지의 추가, 편집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태로 드론쇼를 접목시킨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concept information for each virtual image can be received and added, edited, or deleted. In other words, it is easy to add and edit virtual images,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s incorporating drone shows in various forms.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thos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be able to.

10 : 콘텐츠 제공시스템 110 : 통신부
120 : 드론 제어부 130 : 영상 수신부
140 : 가상 이미지 추출부 150 : 증강현실 구현부
160 : 아트 콘텐츠 제공부 170 : 컨셉 선택부
180 : 가상 이미지 관리부 190 : 아트 콘텐츠 관리부
10: content providing system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drone control unit 130: video receiving unit
140: virtual image extraction unit 150: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unit
160: Art content providing unit 170: Concept selection unit
180: virtual image management unit 190: art content management unit

Claims (10)

기 설정된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제어부;
상기 드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드론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된 드론 촬영 영상에 의해 생성된 실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기반하여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 형태 또는 상기 드론 제어부에서의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가상 이미지 추출부; 및
상기 가상 이미지 추출부에서 추출된 가상 이미지를 상기 영상 수신부에서 생성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병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구현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가상 이미지 컨셉을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공된 가상 이미지 컨셉 중 하나를 선택받는 컨셉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이미지 추출부는,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드론쇼에 투입된 군집 드론들의 형태를 파악하여 상기 컨셉 선택부에서 선택된 가상 이미지 컨셉에 맞는 가상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드론 제어부에서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되는 군집 드론이 촬영된 드론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a drone control unit controlling one or more drones according to a preset drone show program;
an image receiver for receiving one or more drone-captured images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 unit;
A virtual image that extracts at least one of an object image including a drone based on an object image including a real drone generated by a drone-captured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or a preset virtual image according to a drone control signal from the drone control unit. image extraction unit; and
An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unit that merges the virtual image extracted by the virtual image extractor with an object image including a drone generated by the image receiver and provides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a user terminal;
A concept selection unit that provides at least two or more virtual image concepts to a user terminal through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and selects one of the provided virtual image concepts;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the drone control signal, the shape of the group drones put into the drone show is identified, and a virtual image suitable for the virtual image concept selected in the concept selection unit is extracted,
The video receiver,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drones that receives, from a user terminal, drone-captured images of drones controlled by a drone show program in the dron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부에서 제어되는 드론쇼 프로그램에 매칭되게 동기화된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제공하는 아트 콘텐츠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drones, further comprising: an art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ing synchronized media art content to match the drone show program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 unit.
제 2 항에 있어서,
미디어 아트 콘텐츠 제공부가 제공하는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업로드받은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편집하는 아트 콘텐츠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 drone, further comprising: an art content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media art content uploaded by the media art content provider and edits the uploaded media art conten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 컨셉에 맞는 가상 이미지를 업로드받고, 업로드 받은 가상 이미지를 편집하는 가상 이미지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virtual image management unit for uploading a virtual image suitable for a virtual image concept and editing the uploaded virtual image; further comprising a drone-based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기 설정된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을 제어하는 드론 제어 단계;
상기 드론 제어 단계에서 제어되는 하나 이상의 드론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 단계;
상기 영상 수신 단계에서 수신된 드론 촬영 영상에 의해 생성된 실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기반하여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 형태 또는 상기 드론 제어 단계에서의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가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가상 이미지 추출 단계; 및
상기 가상 이미지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가상 이미지를 상기 영상 수신 단계에서 생성된 드론을 포함한 객체 이미지에 병합하여 증강 현실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구현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가상 이미지 컨셉을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제공된 가상 이미지 컨셉 중 하나를 선택받는 컨셉 선택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상 이미지 추출 단계는,
드론 제어에 따라 드론쇼에 투입된 군집 드론들의 형태를 파악하여 상기 컨셉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가상 이미지 컨셉에 맞는 가상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영상 수신 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드론 제어 단계에서 드론쇼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되는 군집 드론이 촬영된 드론 촬영 영상을 수신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방법.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drones performed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drones,
A drone control step of controlling one or more drones according to a preset drone show program;
an image reception step of receiving an image of one or more drones controlled in the drone control step;
Extracts at least one of an object image including a drone based on an object image including a real drone generated by the drone-captured image received in the image receiving step or a preset virtual image according to a drone control signal in the drone control step. a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and
An augmented reality implementation step of merging the virtual image extracted in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with the object image including the drone generated in the image receiving step to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a user terminal;
A concept selection step of providing at least two or more virtual image concepts to a user terminal through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application and selecting one of the provided virtual image concepts;
The virtual image extraction step,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rone, the shape of the group drones put into the drone show is identified, and a virtual image suitable for the virtual image concept selected in the concept selection step is extracted,
The video receiving step,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drones, wherein a drone-captured image of drones controlled according to a drone show program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in the drone control step.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제어 단계에서 제어되는 드론쇼 프로그램에 매칭되게 동기화된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제공하는 아트 콘텐츠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6,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drones, further comprising: providing art content providing synchronized media art content to match the drone show program controlled in the drone control step.
제 7 항에 있어서,
미디어 아트 콘텐츠 제공 단계가 제공하는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업로드받고, 업로드받은 미디어 아트 콘텐츠를 편집하는 아트 콘텐츠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7,
An art content management step of uploading media art content provided by the media art content providing step and editing the uploaded media art content; further compris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drones.
삭제delete 제 6 항에 있어서,
가상 이미지 컨셉에 맞는 가상 이미지를 업로드받고, 업로드 받은 가상 이미지를 편집하는 가상 이미지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드론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제공방법.
According to claim 6,
A virtual image management step of uploading a virtual image suitable for a virtual image concept and editing the uploaded virtual image; further comprising a drone-based augmented reality-based content providing method.
KR1020220084776A 2022-03-28 2022-07-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 contensts using dron KR10249857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103 2022-03-28
KR20220038103 2022-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572B1 true KR102498572B1 (en) 2023-02-15

Family

ID=8522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776A KR102498572B1 (en) 2022-03-28 2022-07-11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 contensts using dr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5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492B1 (en) * 2018-05-25 2019-09-1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image via drone
KR20200033064A (en) * 2018-09-19 2020-03-27 이의선 Platform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R graphics support contents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2235407B1 (en) 2020-02-07 2021-04-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Implementation of ar-based drone light show
KR102369019B1 (en) * 2021-05-11 2022-02-28 이은령 Syetem and method for sha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492B1 (en) * 2018-05-25 2019-09-16 (주)아라커뮤니케이션즈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 time image via drone
KR20200033064A (en) * 2018-09-19 2020-03-27 이의선 Platform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R graphics support contents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KR102235407B1 (en) 2020-02-07 2021-04-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Implementation of ar-based drone light show
KR102369019B1 (en) * 2021-05-11 2022-02-28 이은령 Syetem and method for shar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53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drone race or game
US20170257414A1 (en) Method of creating a media com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e
US20100003652A1 (en) Mission training center instructor operator st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20150058709A1 (en) Method of creating a media com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e
CN107660287B (en) Capturing media instants
US20140306995A1 (en) Virtual chroma keying in real time
US1134359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 augmented film crew using purpose
US202202721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haring of experiences between user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5516604A (en) Aerial video sharing method and system
Skinnemoen UAV & satellite communications live mission-critical visual data
CN110414686A (en) A kind of control unmanned plane acquisition image/video quantum of information software
US11695477B2 (en) Spatial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71031B1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video shooting in virtual production
CN113022884A (en) Unmanned aerial vehicle load test simulation method and system
US202300877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0037293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 augmented film crew using storyboards
KR1024985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 contensts using dron
CN110333736A (en) Unmanned plane during flying system, method and remote control method and controlled method
KR20220073684A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user experience sharing
CN108632526B (en) Bird tracking system
US1045349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 augmented film crew using sweet spots
Pattanayak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ENG, EFP and Drone camera and its Impact in Television Production
Casetti 5G Standalone Deployments Are on the Rise [Mobile Radio]
CN112004060B (en) Unmanned aerial vehicle sightseeing method for scenic spot
Mademlis et al. Communications for autonomous unmanned aerial vehicle fleets in outdoor cinematography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