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400B1 -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 Google Patents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400B1
KR102498400B1 KR1020180001502A KR20180001502A KR102498400B1 KR 102498400 B1 KR102498400 B1 KR 102498400B1 KR 1020180001502 A KR1020180001502 A KR 1020180001502A KR 20180001502 A KR20180001502 A KR 20180001502A KR 102498400 B1 KR102498400 B1 KR 102498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treatment unit
bed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717A (ko
Inventor
윤석호
임성복
박종준
Original Assignee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아이벡스메디칼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8000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4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61G10/026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for hyperbaric oxyge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부 내부의 하면에는 치료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레일이 구비되고, 이송부는 일면이 제1 레일의 일면과 접하고 단면이 제1 레일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제2 레일 및 제2 레일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2 레일과 체결되는 침대부를 포함하며, 침대부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치료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를 자동으로 투입 및 인출할 수 있어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아 인적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식이 없거나 심한 부상을 안고 있는 환자를 누워있는 상태에서 바로 챔버 내부로 투입할 수 있어, 환자 이송 과정에서 생기는 추가적인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는 챔버 내부에서 치료받는 과정에서 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챔버 외부에 있는 작업자는 챔버 내부에 있는 환자가 필요로 하는 고압 산소량을 점등 신호로도 쉽게 알 수 있어, 챔버를 지속적으로 주시하지 않아도 된다.

Description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HYPERBARIC OXYGEN CHAMHER WITH PULL OUT CONVENIENCE OF BED}
본 발명은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환자를 들것에서 고압 산소 챔버로 손쉽게 자동으로 옮길 수 있고, 환자의 치료 후에도 환자를 고압 산소 챔버에서 손쉽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는 고압 산소 챔버에 관한 것이다.
고압 산소 챔버는 고압 산소 치료법에 사용되는 장비로서, 일반적인 호흡환견보다 높은 압력으로 구비되는 공간에서 100%순도 또는 매우 높은 농도로 구비되는 산소를 호흡하게 한다. 이를 통해 잠수병, 질소마취, 외상, 염증 및 병균감염 등에 의해 손상된 조직세포에 효과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된다. 최근에는 운동선수의 부상에 대한 회복 속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압 산소 챔버를 사용하는 주요 주체가 의식을 잃은 중환자인 만큼 환자를 고압 산소 챔버에 투입시키기 어렵고, 억지로 환자를 챔버 내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부상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일본 공개특허 특개2002-17784호)에서는 환자 수용부 내의 베드부 상에 캡슐부를 탑재하여 환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바로 치료를 할 수 있는 환자 반송 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캡슐부와 환자 수용부의 사이를 견고하게 밀폐하지 않으면 고압 산소로 인해 환자 및 반송 장치의 근처에 있는 사람이 크게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캡슐부 내부에서 치료 중인 환자를 급히 인출해야하는 경우, 캡슐부와 환자 수용부를 바로 분리하기 어렵고, 환자는 자력으로 캡슐부의 외부로 나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2-17784호 (2002.01.22.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환자를 자동으로 투입 및 인출할 수 있는 고압 산소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들것에 실려있는 환자를 손쉽게 챔버 내부로 투입하고, 챔버 내부에 있는 환자를 들것으로 손쉽게 옮길 수 있는 고압 산소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챔버 내부의 환자가 필요로 하는 고압 산소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챔버 내부의 환자가 치료 과정에서 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고압 산소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부 및 환자를 치료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고압 산소 챔버로서, 치료부 내부의 하면에는 치료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레일이 구비되고, 이송부는 일면이 제1 레일의 일면과 접하고 단면이 제1 레일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제2 레일 및 제2 레일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2 레일과 체결되는 침대부를 포함하며, 침대부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치료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를 자동으로 투입 및 인출할 수 있어 많은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아 인적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식이 없거나 심한 부상을 안고 있는 환자를 누워있는 상태에서 바로 챔버 내부로 투입할 수 있어, 환자 이송 과정에서 생기는 추가적인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는 챔버 내부에서 치료받는 과정에서 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챔버 외부에 있는 작업자는 챔버 내부에 있는 환자가 필요로 하는 고압 산소량을 점등 신호로도 쉽게 알 수 있어, 챔버를 지속적으로 주시하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산소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일 및 침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일 및 침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부가 치료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정부가 기울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제부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산소 챔버를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압 산소 챔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산소 챔버는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부(100) 및 환자를 치료부(100)로 이송하는 이송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고압 산소 챔버는 치료부(100) 내부의 하면에 치료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레일(110), 일면이 제1 레일(110)의 일면과 접하는 제2 레일(210), 제2 레일(210)의 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체결부(211), 제1 레일(1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삽입홈(111) 및 제2 레일(2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제2 레일(210)과 체결되는 침대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 방향”은 지면과 수직하는 방향을 뜻하고, “수평 방향”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을 뜻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부(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치료부(100)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치료부(100)의 일면에는 출입구(101)가 구비되고, 별도의 잠금 수단이 구비되어 출입구(101)를 잠금으로써, 치료부(100)의 내부는 밀폐되어 고압의 산소를 공급받으면서도 치료부(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것은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치료부(100) 내부의 하면에는 제1 레일(110)이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1 레일(110)은 도 3에서 후술하게 되는 침대부(220)를 치료부(1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 레일(110)은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치료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레일(110)의 수직방향으로의 단면은 원 형상 또는 환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1 레일(110)은 복수 개로 구비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침대부(220)를 치료부(100)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고, 작은 힘으로도 침대부(220)를 용이하게 치료부(10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레일(110)의 일면에는 삽입홈(111)이 구비된다. 삽입홈(111)은 제1 레일(110)과 도 3에서 후술할 제2 레일(210)을 보다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홈(111)에 제2 레일(210)의 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삽입체결부(211)가 삽입됨으로써,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210)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삽입홈(111)은 삽입체결부(2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체결부(211)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삽입홈(111)의 직경이 삽입체결부(211)의 직경과 같도록 구비됨으로써, 삽입체결부(211)는 삽입홈(111)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아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210)의 연결은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일(210) 및 침대부(22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레일(210) 및 침대부(2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송부(200)는 환자를 치료부(100)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이송부(200)는 하측에 복수 개의 바퀴를 구비하고, 상측에는 환자를 배치하는 침대부(220)가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송부(200)에는 별도의 상하조정부가 구비되어 침대부(220)가 배치되는 위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침대부(220)를 치료부(100)로 이송시키는 제2 레일(210)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제2 레일(210)은 이송부(200)와 침대부(220)를 연결하기 위해 제1 레일(110)과 연결된다. 제2 레일(210)은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이송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또한, 제2 레일(210)의 단면은 제1 레일(110)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후술할 침대부(220)가 이송부(200)에서 치료부(1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침대부(220)가 제1 레일(110)에 걸려 이동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210)의 일면이 서로 접할 때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210)이 동일한 직경으로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는 침대부(220)를 치료부(100) 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힘을 가하기만 하면 되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환자를 치료부(100)의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다.
제2 레일(210)의 일면에는 삽입체결부(211)가 구비된다. 삽입체결부(211)는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210)의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삽입홈(111)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삽입체결부(211)는 제2 레일(2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직경은 제2 레일(21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된다. 또한, 삽입체결부(211)는 제2 레일(210)의 구비되는 개수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레일(210)이 2개로 구비되므로, 삽입체결부(211) 또한 2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210)의 일면이 서로 접하도록 치료부(100) 및 이송부(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체결부(211)는 삽입홈(111)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210)은 분리되지 않고 체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삽입체결부(211)와 삽입홈(111)을 이용하여 치료부(100)와 이송부(200)를 체결하고, 환자를 치료부(100)의 내부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삽입체결부(211) 및 삽입홈(111)을 통해, 환자를 치료부(100)로 옮기는 과정에서 환자가 치료부(100) 또는 이송부(2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침대부(220)는 환자를 배치시키고 환자를 이송부(200)에서 치료부(100)로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침대부(220)의 상면이 평평하도록 구비되되, 양측면(도 4에서 침대부(220)의 좌측 및 우측을 뜻함)은 환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으로 만곡되어 구비된다. 즉, 침대부(220)의 양측면이 상측으로 굽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침대부(220)는 완만한 “U”자 형상의 단면을 구비한다. 이를 통해, 환자가 침대부(220)에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침대부(220)의 하면에는 가이드홈(221)이 구비된다(도 4 참조). 가이드홈(221)은 침대부(220)와 제2 레일(210)을 체결하여, 제2 레일(210)을 따라 침대부(2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가이드홈(221)은 침대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침대부(220)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음각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일(210)이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침대부(220)는 제2 레일(210)을 따라 이송부(200)에서 치료부(10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침대부(220)는 가이드홈(221)을 통해 제2 레일(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부(200)에서 치료부(1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침대부(220) 상에 배치되는 환자가 제2 레일(210)로부터 이탈되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레일(210`)의 수직방향으로의 단면은 밑면의 길이가 윗면의 길이보다 작은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가이드홈(221`)은 위와 같은 제2 레일(2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침대부(220`)가 제2 레일(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의 수직방향으로의 단면이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부(220)가 치료부(100)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210)이 접하여 체결되는 것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치료부(100)의 일부분을 절단하고 이를 하측에서 바라보는 사시도로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체결부(211)가 삽입홈(111)에 삽입됨에 따라,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210)은 각각의 일면이 서로 접한 상태에서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에 따라, 제2 레일(210)의 상측에 구비된 침대부(220)는 제2 레일(210) 및 제1 레일(110)을 따라 이송부(200)에서 치료부(100)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210)은 각각의 직경 및 형상이 동일하도록 구비되므로, 침대부(220)는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210)이 접하는 부분에서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침대부(220)에 배치된 중환자가 이동 과정에서 추가적인 충격 또는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료부(100)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치료부(100)의 내부에는 고온의 공기를 치료부의 출입구(101) 측으로 분사하는 고온 공기 분사부(120), 치료부(100)의 내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침대부(220)의 치료부 내 배치 여부 및 치료부(100)의 밀폐 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부(140)를 포함한다.
고온 공기 분사부(120)는 고온의 공기를 분사한다. 일반적으로, 고압 산소 챔버의 내부는 고압의 산소가 유입 또는 배출되기 때문에 구비되는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고압 산소 챔버에 투입되는 환자는 대부분 잠수병, 질소마취 등과 같은 의식이 뚜렷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입되거나, 수중에서 올라온 상태에서 투입되기 때문에 저체온증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환자의 체온을 올려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저체온증에 의한 추가적인 질병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온 공기 분사부(120)가 구비된다. 고온 공기 분사부(120)는 치료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고온 공기 분사부(120)가 치료부(100)의 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온의 공기를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로라도 변경 가능하다. 고온 공기 분사부(120)는 팬(fan) 등의 방식으로 구비되어 고온의 공기를 분사하는데, 여기서 고온의 공기는 섭씨 20도 내지 섭씨 40도의 온도로 구비된다. 이는 정상적인 인체의 체온에 근접한 온도로 구비됨으로써, 환자가 고온의 공기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온 공기 분사부(120)는 치료부(100) 내부에 배치된 환자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환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출입구(101)가 개방된 시점부터 출입구(101)가 폐쇄되는 시점까지 작동하여 고온의 공기를 분사한다.
점등부(130)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고압 산소의 잔량을 알리는 목적으로 구비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상세하게, 환자가 치료되기 위해 필요한 고압 산소의 양은 환자의 상태가 호전됨에 따라 점점 그 양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를 알리는 것이 점등부(130)이다. 점등부(130)는 치료부(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복수 개로 구비되며, 미리 설정된 색상을 구비하는 광을 치료부(100)의 내부에 조사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환자를 치료하는데 필요한 고압 산소의 잔량이 큰 경우(b1), 점등부(130)는 작은 조도로 구비되는 광을 조사한다. 하지만, 점점 필요한 고압 산소의 잔량이 감소하게 되면서(b2) 점등부(130)는 점차 큰 조도로 구비되는 광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환자는 치료부(100)의 내부가 점차 밝아지는 것을 느끼면서 심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치료부(100)의 외측면이 투명한 강화유리 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작업자는 치료부(100)의 내부에 있는 환자가 치료 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시기에 치료부(100)의 출입구(101)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환자가 치료부(100)의 내부에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치료부(100)는 침대부(220)의 치료부(100) 내 배치 여부와 치료부(100)의 밀폐 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부(14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140)는 치료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140)가 치료부(100)의 내측면에 구비된다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센서부(140)는 침대부(220)가 치료부(100)에 모두 삽입되었는지 측정하는 제1 센서(141), 치료부(100)의 밀폐 여부를 측정하는 제2 센서(142)로 구분된다. 상세하게, 제1 센서(141)는 레이저 등의 광을 치료부(100) 내부의 일 부분에 조사하고, 침대부(220)가 상기 치료부(100) 내부의 일 부분을 통과할 때, 이를 인식하여 침대부(220)의 삽입 여부를 측정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센서(141)는 제1 레일(110)을 따라 치료부(100)의 내부로 이동하는 침대부(2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제1 센서(141)는 서로 대향하도록 치료부(100)의 내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한 쌍의 제1 센서(141) 중 하나의 제1 센서(141)에서 조사한 광이 나머지 제1 센서(141)로 조사되는데, 침대부(220)가 한 쌍의 제1 센서(141)의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 이를 인식하여 삽입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센서(141)는 삽입 여부를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150)로 송신하게 된다. 제2 센서(142)는 치료부(100)의 출입구(101)가 완전히 폐쇄되었는지 측정하는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2 센서(142)는 치료부(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2 센서(142)는 치료부(100) 내부의 공기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공기량을 별도로 구비되는 제어부(150)로 송신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정부(160)를 나타내고, 제1 레일(110)이 기울기 조정부(160)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울기 조정부를 설명하기에 앞서, 치료부(100)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50)는 제1 레일(11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울기 조정부(160)를 조정한다. 상세하게, 제1 센서(141) 및 제2 센서(142)로부터 침대부(220)의 삽입 여부를 측정한 결과 및 치료부(100)의 밀폐 여부를 측정한 결과를 각각 수신받고, 이를 토대로 제1 레일(110)의 기울기를 조정한다. 여기서, 침대부(220)가 치료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치료부(100)가 밀폐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레일(110)의 타단이 일단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기울기 조정부(16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침대부(220)가 치료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치료부(100)의 출입구(101)가 개방된 경우, 제어부(150)는 제1 레일(110)의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기울기 조정부(16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기울기 조정부(160)는 제1 레일(110)의 경사를 조정하는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기울기 조정부(160)는 치료부(100) 내부의 하면에 구비되되, 제1 레일(110)의 하측에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레일(110)의 하측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170)가 구비되어 제1 레일(110)을 지지하고, 상기 플레이트(170)의 하측에는 기울기 조정부(160)가 구비된다. 또한, 기울기 조정부(160)는 제1 레일(110)의 용이한 경사 조정을 위해 2개가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2개의 기울기 조정부(160)는 각각 치료부(100)의 일면 및 타면에 근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기울기 조정부(160)는 전기 또는 유압 등으로 구동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기울기 조정부(160)의 일단은 플레이트(170)와 접촉하여 플레이트(170) 및 제1 레일(110)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침대부(220)는 치료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치료부(100)의 출입구(101)는 밀폐된 상태에서(도 10 참조), 제어부(150)는 기울기 조정부(160)에 제1 레일(110)의 경사를 조정하는 제1 신호를 송신한다. 제1 신호를 수신받은 2개의 기울기 조정부(160) 중 치료부(100)의 일면에 근접한 기울기 조정부(160)의 일단은 상측방향으로 상승함으로써, 제1 레일(110)의 일단은 상측으로 상승한다. 또한, 치료부(100)의 타면에 근접한 기울기 조정부(160)의 일단은 하측방향으로 하강함으로써, 제1 레일(110)의 타단은 하측으로 하강한다. 이에 따라, 제1 레일(110)은 일단이 타단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경사를 이룸으로써, 제1 레일(110)의 상측에 배치된 침대부(220)는 제1 레일(110)의 타단을 향해 슬라이딩하게 된다. 반대로, 침대부(220)가 치료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치료부(100)의 출입구(101)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11 참조), 제어부(150)는 기울기 조정부(160)에 제1 레일(110)의 경사를 조정하는 제2 신호를 송신한다. 제2 신호를 수신받은 기울기 조정부(160) 중 치료부(100)의 일면에 근접한 기울기 조정부(160)의 일단은 하측방향으로 하강하고, 치료부(100)의 타면에 근접한 기울기 조정부(160)의 일단은 상측방향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제1 레일(110)은 일단이 타단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경사를 이루게 된다. 이를 통해, 침대부(220)는 제1 레일(110)의 일단을 향해 슬라이딩하게 된다. 기울기 조정부(160)를 통해, 제1 레일(110)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어 환자가 배치된 침대부(220)에 직접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제1 레일(110)의 일단 방향 또는 타단 방향으로 침대부(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침대부(220)를 치료부(100)의 내부로 깊숙하게 밀어넣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치료가 끝난 침대부(220)를 치료부(100)의 내부에서 꺼내기 위해 몸을 숙여 힘을 써야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부(100) 및 환자를 상기 치료부(100)로 이송하는 이송부(200)를 포함하는 고압 산소 챔버로서,
    상기 치료부(100) 내부의 하면에는 상기 치료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레일(110)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200)는,
    일면이 상기 제1 레일(110)의 일면과 접하고, 단면이 상기 제1 레일(110)의 단면의 형상 및 크기와 동일하도록 구비되는 제2 레일(210);
    상기 제2 레일(21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레일(210)과 체결되는 침대부(220);
    상기 제1 레일(110)의 일면에 구비되는 삽입홈(111); 및
    상기 제2 레일(2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삽입홈(111)에 삽입되는 삽입체결부(211);를 포함하며,
    상기 침대부(220)는 상기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치료부(100)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침대부(220)의 하면에는 상기 제2 레일(210)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홈(221)이 상기 침대부(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 레일(210)은 상기 가이드홈(221)에 삽입되며,
    상기 치료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치료부(100)의 출입구(101)가 개방될 때부터 상기 출입구(101)가 폐쇄될 때까지 고온의 공기를 상기 치료부(100)의 출입구(101) 측으로 분사하는 고온 공기 분사부(12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온의 공기는 섭씨 20도 내지 40도로 구비되며,
    상기 치료부(100)의 내부에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고압 산소의 잔량을 알리는 점등부(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점등부(130)는 미리 설정된 색상을 구비하는 광을 조사하며, 조사되는 광은 고압 산소의 잔량이 적어질수록 큰 조도로 구비되되,
    상기 치료부(100)는,
    상기 치료부(100)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 레일(11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울기 조정부(16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침대부(220)의 치료부(100) 내 배치 여부 및 상기 치료부(100)의 밀폐 여부를 측정하는 센서부(140); 및
    상기 센서부(140)의 상기 배치 여부 및 밀폐 여부에 따라 상기 기울기 조정부(160)가 상기 제1 레일(110)을 기울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조정부(160)는,
    상기 침대부(220)가 상기 치료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치료부(100)가 밀폐된 경우, 상기 제1 레일(110)의 타단이 일단보다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레일(110)을 기울이고,
    상기 침대부(220)가 상기 치료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치료부(100)가 개방된 경우, 상기 제1 레일(110)의 타단이 일단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레일(110)을 기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KR1020180001502A 2018-01-05 2018-01-05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KR102498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02A KR102498400B1 (ko) 2018-01-05 2018-01-05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02A KR102498400B1 (ko) 2018-01-05 2018-01-05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17A KR20190083717A (ko) 2019-07-15
KR102498400B1 true KR102498400B1 (ko) 2023-02-10

Family

ID=67257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02A KR102498400B1 (ko) 2018-01-05 2018-01-05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4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256A (ja) * 2001-10-24 2003-05-07 Yazaki Corp 緊急警報機能付き搬送用酸素吸引器
KR101473721B1 (ko) * 2014-04-02 2014-12-18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레일간 수평이동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KR101609096B1 (ko) * 2015-02-27 2016-04-04 (주)헬스메드 고압산소 챔버장치 및 동작방법
JP2016106987A (ja) * 2014-12-10 2016-06-20 美和医療電機株式会社 手術室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4664A (ja) * 1990-07-25 1992-06-22 Yoshinori Hatake 寝たきり身体障害者用の移送装置および浴槽
KR100418388B1 (ko) 2000-08-31 2004-02-11 유종오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구매자의 구매 의사 결정 지원 방법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256A (ja) * 2001-10-24 2003-05-07 Yazaki Corp 緊急警報機能付き搬送用酸素吸引器
KR101473721B1 (ko) * 2014-04-02 2014-12-18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레일간 수평이동이 가능한 터널 작업 및 안전진단용 대차 구조물
JP2016106987A (ja) * 2014-12-10 2016-06-20 美和医療電機株式会社 手術室空調システム
KR101609096B1 (ko) * 2015-02-27 2016-04-04 (주)헬스메드 고압산소 챔버장치 및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17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816994T3 (pl) Poręcz do mobilizacji i łóżko wyposażone w taką poręcz do mobilizacji
AR108978A1 (es) Camilla para personas con movilidad reducida
CA2866433A1 (en) Cryogenic device
Raith et al. Thermographical measuring of the skin temperature using laser needle acupuncture in preterm neonates
WO2009048394A3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sperms in an uterine tube
MX2010003939A (es) Aparato para controlar el flujo de espermas en una trompa de falopio.
KR102498400B1 (ko) 배드 투입 및 인출이 용이한 고압 산소 챔버
KR20190098400A (ko) 재활치료용 고압산소치료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34267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KR101955479B1 (ko) 안면 착용형 비염치료 장치
KR101151207B1 (ko) 좌식 고압산소 치료기
WO2019240457A1 (ko) 혈압 조절 마사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16328A (ko) 고압산소캡슐
KR102498408B1 (ko) 고압 산소 챔버의 배드 투입 방법
IT201900001812U1 (it) Apparecchiatura a raggi infrarossi per la riabilitazione robotica su tapis roulant, avente attacco pelvico flessibile
US1574884A (en) Combined x-ray protective canopy and table
US4627422A (en) Variable 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Dalkilic et al.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following initiation of clozapine therapy.
KR101834268B1 (ko) 라이트 테라피를 이용한 안면 착용형 비염 치료장치
CN206499631U (zh) 康复训练机器人
KR20200002474U (ko) 혼자 뜨는 연결 쑥뜸기
CN108601696B (zh) 新生儿支撑装置和复苏装置
CN210991234U (zh) 一种新生儿科临床用转运装置
CN212490475U (zh) 一种防乱动的儿科治疗用辅助装置
CN105982815A (zh) 一种坐式艾灸理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