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271B1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271B1
KR102498271B1 KR1020210099973A KR20210099973A KR102498271B1 KR 102498271 B1 KR102498271 B1 KR 102498271B1 KR 1020210099973 A KR1020210099973 A KR 1020210099973A KR 20210099973 A KR20210099973 A KR 20210099973A KR 102498271 B1 KR102498271 B1 KR 10249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convex portion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7087A (en
Inventor
구원회
김수강
조소영
장지향
임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2660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85918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271B1/en
Publication of KR2021009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0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각 화소 영역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 오버 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제1전극, 제1전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는 바닥에서 정상까지 기울기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an overcoating layer disposed on a substrate and including a convex portion or a concave portion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pixel region,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overco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second electrode disposed thereon, and having a shape in which a slope of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increases from a bottom to a top and then decreases.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that display images.

최근,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함으로써 응답속도가 빠르고, 명암비(Contrast Ration),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 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Recentl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has been in the limelight as a display device us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at emits light by itself, so it has a fast response speed, contrast ratio, luminous efficiency, luminance, and viewing angle. There are advantages.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은 유기발광표시 장치의 여러 엘리먼트들을 통과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 외부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들이 존재하게 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문제가 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를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asses through various elem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comes o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owever,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light that does not come o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s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xists,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ecomes a problem.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method of attaching a micro lens array (MLA) to the outside of a substrat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used.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외부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낮추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external light emitting efficiency and lowers power consumption.

일 실시예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오버 코팅층, 오버 코팅층 상에 배치되는 제1전극, 제1전극 상에 배치되고 볼록하거나 오목한 굴곡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includes an overcoating layer disposed on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overco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including a convex or concave curv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bove may be provided.

유기발광층는 최단 두께를 갖는 영역이 굴곡의 바닥과 정상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 region having the shortest thicknes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and top of the cur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외부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external light emitting efficiency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X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X영역의 오버 코팅층과 제1전극, 패턴층에 대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a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3c는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의 바닥에서 간격(G)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동일한 종횡비를 가진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들의 형상을 비교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동일 또는 유사한 종횡비(A/R)를 가진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각기 다양한 값을 가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의, 반높이 너비에 따른 전류 효율 상승률(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또는 enhancement of current efficiency (%))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의 최대 기울기에 따른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최대 기울기(Smax)가 각기 다양한 값을 가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의, 최대 기울기(Smax)에 따른 전류 효율 상승률(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또는 enhancement of current efficiency (%))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X of FIG. 1 .
FIG. 2B is a partial plan view of an overcoating layer, a first electrode, and a pattern layer in region X of FIG. 1 .
FIG. 3A conceptually shows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
3B illustrates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shape of a convex portion of an overcoating layer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gap G at the bottom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overcoat layer.
4A to 4D are cross-sectional views comparing shapes of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ving the same aspect ratio.
5 shows various shapes of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ing layer having the same or similar aspect ratio (A/R).
FIG. 6 shows the 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 according to the half-height width of eac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various values. Or, it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hancement of current efficiency (%)).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ight path according to a maximum slope of a convex portion of an overcoating layer.
8 shows 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 according to the maximum slope (Smax)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in which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various values. ) or enhancement of current efficiency (%)).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vercoating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to,”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at element is o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at other element, but intervenes between each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X영역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X영역의 오버 코팅층과 제1전극, 패턴층에 대한 부분 평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X of FIG. 1 . FIG. 2B is a partial plan view of an overcoating layer, a first electrode, and a pattern layer in region X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기판(110), 박막 트랜지스터(120), 컬러 필터(150), 오버 코팅층(160), 패턴층(337) 및 유기발광소자(140)를 포함한다. 1 and 2 ,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110, a thin film transistor 120, a color filter 150, an overcoating layer 160, and a pattern layer 337.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바텀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컬러 필터(150)이 기판(11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S. 1 and 2A is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owev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color filter 150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110 .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 액티브층(122),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배치된다. A thin film transistor 120 including a gate electrode 121 , an active layer 122 , a source electrode 123 and a drain electrode 124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

구체적으로,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이 배치되고, 게이트 전극(121) 및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21)과 액티브층(122)을 절연시키기 위한 게이트 절연층(131)이 배치되고, 게이트 절연층(131) 상에 액티브층(122)이 배치되고, 액티브층(122) 상에 에치 스타퍼(etch stopper; 132)가 배치되고, 액티브층(122) 및 에치 스타퍼(132) 상에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이 배치된다.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은 액티브층(122)과 접하는 방식으로 액티브층(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에치 스타퍼(132)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된다. 에치 스타퍼(132)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Specifically, a gate electrode 121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and a gate insulating layer 131 for insulating the gate electrode 121 and the active layer 122 on the gate electrode 121 and the substrate 110. ) is disposed, the active layer 122 is dispos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31, an etch stopper 132 is disposed on the active layer 122, and the active layer 122 and the etch star A source electrode 123 and a drain electrode 124 are disposed on the fur 132 . The source electrode 123 and the drain electrode 12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122 in a manner in contact with the active layer 122 and ar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etch stopper 132 . The etch stopper 132 may not be disposed.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중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액티브층(122)을 기준으로 게이트 전극(121)이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의 반대 편에 위치하는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 또는 바텀 게이트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나 액티브층(122)을 기준으로 게이트 전극(121)이 소스 전극(123) 및 드레인 전극(124)과 같은 편에 위치하는 코플래너(coplanar) 구조 또는 탑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사용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only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mong various thin film transist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has an inverted staggered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121 is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source electrode 123 and the drain electrode 124 with respect to the active layer 122. ) structure or a bottom gate structure, but a coplanar structure or top gat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121 is located on the same side as the source electrode 123 and the drain electrode 124 based on the active layer 122 Structured thin film transistors may also be used.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에 패시베이션층(133)이 배치되고, 패시베이션층(133) 상에 컬러 필터(150)가 배치된다. A passivation layer 133 is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 and a color filter 150 is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133 .

도 2a에서는 패시베이션층(133)이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부를 평탄화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패시베이션층(133)은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부를 평탄화하지 않고, 하부에 위치한 엘리먼트들의 표면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In FIG. 2A , the passivation layer 133 is illustrated as planariz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 but the passivation layer 133 does not planarize the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and may be disposed along the surface shapes of elements located below. may be

컬러 필터(150)는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을 색 변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및 청색 컬러 필터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color filter 150 is for color-converting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emission layer 142 and may be one of a red color filter, a green color filter, and a blue color filter.

컬러 필터(150)는 패시베이션층(133) 상에서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발광 영역은 제1전극(141) 및 제2전극(143)에 의해 유기 발광층(142)이 발광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컬러 필터(150)가 배치된다는 것은 인접한 발광 영역들에서 발광된 광이 서로 섞여 블러링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컬러 필터(150)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The color filter 15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mission area on the passivation layer 133 . Here, the light emitting area means an area wher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emits light by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and the color filter 15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This means that the color filter 150 is disposed to prevent blurring and ghosting from occurring by mix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regions.

예를 들어, 컬러 필터(150)는 발광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발광 영역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컬러 필터(150)의 배치 위치, 크기는 발광 영역의 크기 및 위치뿐만 아니라, 컬러 필터(150)와 제1전극(141) 사이의 거리, 컬러 필터(150)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 사이의 거리, 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 사이의 거리 등과 같은 다양한 팩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or filter 15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light emitting area and may have a siz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light emitting area. However,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ize of the color filter 150 are not only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area, but also the distance between the color filter 150 and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lor filter 150 and the overcoating layer 160. It may be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x portions 162 and the distance between light emitting regions.

컬러 필터(150) 및 (133) 상에 오버 코팅층(160)이 배치된다. 도 2a에서는 패시베이션층(133)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패시베이션층(133)이 사용되지 않고, 박막 트랜지스터(120) 상에 바로 오버 코팅층(160)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a에서는 컬러 필터(150)가 패시베이션층(133)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컬러 필터(150)는 오버 코팅층(160)과 기판(11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n overcoat layer 160 is disposed on the color filters 150 and 133. Although the passivation layer 133 is illustrated as being inclu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in FIG. 2A , the overcoating layer 160 may be disposed directly on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without using the passivation layer 133 . there is. In FIG. 2A , the color filter 150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 the passivation layer 133,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lor filter 150 is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substrate 110. It can be.

오버 코팅층(160)은 컬러 필터(150)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162) 및 서로 인접한 볼록부(162)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161)를 포함한다. 도 2a는 육각 형상의 복수의 볼록부(162)의 단면도이다. 제1연결부(161)는 서로 인접한 볼록부(162) 사이의 낮은 부분이다. 오버 코팅층(160)은 복수의 볼록부(162)가 배치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평탄화층으로서 기능한다.The overcoating layer 160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2 disposed to overlap the color filter 150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connecting the convex portions 162 adjacent to each other.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urality of hexagonal convex portions 162 .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61 is a low portion between adjacent convex portions 162 . The overcoating layer 160 functions as a planarization layer in areas where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2 are not disposed.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록부(162) 및 제1연결부(161) 각각은 평면상으로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 또는 반타원체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볼록부(162)는 평면상으로 육각형상의 벌집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육각 형상의 하나의 볼록부(162)와 인접한 다른 볼록부(162)가 일측을 공유하여 일체로 형성된 육각형 벌집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each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2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may have a hexagonal shape as a whole on a pla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hemispherical shape, a semi-ellipsoidal shape, or a square shape as a whole. can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162 may be arranged in a hexagonal honeycomb structure on a plane. In other words, one convex portion 162 of a hexagonal shape and another convex portion 162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disposed in a hexagonal honeycomb structure integrally formed by sharing one side.

오버 코팅층(160) 상에 제1전극(141), 유기 발광층(142) 및 제2전극(143)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140) 및 뱅크(136)이 배치된다. 이 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오버 코팅층(160)으로부터의 아웃개싱이 유기발광소자(140)에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모폴로지를 그대로 따르는 형상을 가지면서 제1전극(141)과 유사한 굴절률을 가지면서 절연성의 제2 패시베이션층(미도시)이 오버 코팅층(160)과 제1전극(141) 사이에 추가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14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and the bank 136 are disposed on the overcoating layer 160 . 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diffusion of outgassing from the overcoating layer 160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is prevented while having a shape that follows the morphology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s it is. An insulating second passivation layer (not shown) having a refractive index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added between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electrode 141 .

구체적으로, 오버 코팅층(160) 상에 유기 발광층(142)에 전자 또는 정공 중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제1전극(141)이 배치된다. 제1전극(141)은 보통의 유기발광소자(normal OLED)에서 양극, 화소 전극 또는 애노드일 수 있고, 인버티드 유기발광소자(inverted OLED)에서 음극, 화소 전극 또는 캐소드일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141 for supplying either electrons or hol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disposed on the overcoating layer 160 .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an anode, a pixel electrode, or an anode in a normal OLED, and may be a cathode, a pixel electrode, or a cathode in an inverted OLED.

제1전극(141)은 오버 코팅층(160)과 패시베이션층(133)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120)의 소스 전극(123)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N-type 박막 트랜지스터인 경우를 가정하여, 제1전극(141)이 소스 전극(123)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박막 트랜지스터(120)가 P-type 박막 트랜지스터인 경우에는 제1전극(141)이 드레인 전극(124)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전극(141)는 직접 유기 발광층(142)에 접하거나, 도전성 물질을 사이에 두고 유기 발광층(142)과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123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passivation layer 133 . In this spec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is an N-typ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first electrode 141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123, but the thin film transistor 120 is a P-type thin film transistor. In the case of , the first electrode 141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24 . The first electrode 141 may directly contact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through a conductive material.

제1전극(141)은 오버 코팅층(160) 표면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따르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전극(141)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에서 볼록한 모폴로지를 갖는다. The first electrode 141 is disposed in a shape following the morphology of the surface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141 has a convex morphology at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

오버 코팅층(160)과 제1전극(141) 상에 제1전극(141)을 노출하는 개구부(136a)를 포함하는 뱅크층(136)이 배치된다. 뱅크층(136)은 인접하는 화소(또는 서브 화소) 영역 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하여, 인접하는 화소(서브 화소) 영역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는 뱅크층(136)의 개구부(136a)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는 컬러 필터(150)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는 하부로 컬러 필터(150)와 중첩되고 상부로 뱅크층(136)의 개구부(136a)와 중첩한다. A bank layer 136 including an opening 136a exposing the first electrode 141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160 and the first electrode 141 . The bank layer 136 serves to divide adjacent pixel (or sub-pixel) areas, and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pixel (or sub-pixel) areas.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are disposed to overlap the opening 136a of the bank layer 136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are disposed to overlap the color filter 150,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 161 overlaps the color filter 150 at the bottom and the opening 136a of the bank layer 136 at the top.

제1전극(141) 상에 유기 발광층(142)이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142)상에 유기 발광층(142)에 전자 또는 정공 중 하나를 공급하기 위한 제2전극(143)가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142)은 백색광을 발광하기 위해 복수의 유기 발광층이 적층된 구조(tandem white)로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142)은 청색광을 발광하는 제1 유기 발광층 및 제1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고, 청색과 혼합하여 백색이 되는 색의 광을 발광하는 제2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기 발광층은, 예를 들어, 황녹색(yellowgreen)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일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층(142)은 청색광, 적색광, 녹색광 중 하나를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컬러 필터(15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전극(143)은 보통의 유기발광소자(normal OLED)에서 음극, 공통 전극 또는 캐소드일 수 있고, 인버티드 유기발광소자(inverted OLED)에서 양극, 공통 전극 또는 애노드일 수도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41 , and a second electrode 143 for supplying either electrons or hol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disposed in a tandem whit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organic light emitting layers are stacked to emit white light.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may include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at emits blue light and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at is disposed on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emits light of a color that becomes white when mixed with blue light. The second organic light-emitting layer may be, for example, an organic light-emitting layer that emits yellow-green light. Meanwhil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may include only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one of blue light, red light, and green light. In this case, the color filter 150 may not be included. The second electrode 143 may be a cathode, a common electrode, or a cathode in a normal OLED, and may be an anode, a common electrode, or an anode in an inverted OLED.

도 2a를 참조하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 사이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정상 또는 제1연결부(161)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특히,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 사이 유기 발광층(142)의 기울기(slope)가 가장 큰 위치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가 가장 작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betwe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is the top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or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 In particular,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may be the smallest at a position where the slop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the largest betwe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예를 들어 증착하는 방식으로 유기 발광층(142)을 형성하는 경우 기판(11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증착되는 유기 발광층(142)이 오버 코팅층(160)의 모폴로지를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증착 공정의 특성상 유기 발광층(142)의 기울기가 가장 큰 위치에서 실제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 사이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d1)는 가장 얇게 된다. 유기 발광층(142)의 기울기가 가장 작은 위치, 즉 바닥이나 정상에서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2) 사이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d2, d3)는 가장 두껍게 된다. 유기 발광층(142)의 두께(d1, d2, d3 등)에 따른 유기 발광층(142)의 발광량 측면에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 사이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단위면적당 발광량이 볼록부(162)의 바닥 또는 제1연결부(161)의 정상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단위면적당 발광량보다 클 수 있다. 특히,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 사이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기울기(slope)가 가장 큰 위치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발광량이 가장 클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rganic emission layer 142 is formed by deposition, the organic emission layer 142 deposi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110 may have a shape following the morphology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osition process, the actual thickness d1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becomes the thinnest at the position where the slop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the largest. The thicknesses d2 and d3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2 are the thickest at the position where the slop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the smallest, that is, the bottom or the top. In terms of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ccording to the thickness (d1, d2, d3, etc.)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 The amount of light emitted per unit area of 142)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light emitted per unit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t the bottom of the convex portion 162 or the top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 In particular,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may be greatest at a position where the slop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greatest between the convex part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161.

유기 발광층(142) 및 제2전극(143)은 오버 코팅층(160) 표면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따르는 형상을 갖는 제1전극(141), 유기 발광층(142) 및 제2전극(143)은 제1전극(141) 상면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따른다. 결과적으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를 이용하여 유기발광소자(140)의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are the first electrode 141 having a shape following the morphology of the surface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are It follows the morpholog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41. As a result, the shap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may be implemented using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

유기발광소자(140)이 외부 광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구조를 가지는 경우, 패턴의 특성상 유기발광소자(140) 표면에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에 의해 볼록한 굴곡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기울기가 큰 영역일 수록 제1전극(141)과 제2전극(143) 사이 유기 발광층(142)에서 최단 거리의 두께인 최단 두께(d1)가 얇아지면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모이는 효율 발광 영역(Y), 즉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 사이 영역이 발생한다. 유기발광소자(140)를 구동하면 이러한 효율 발광 영역에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고 주된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주된 발광이 일어나게 되는 반면에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에서는 비효율 발광 영역(Z)으로 거의 광이 추출되지 않는다. 이 비효율 발광 영역(Z)에서는 전력을 소비함에도 불구하고 거의 광을 추출하지 못해 외부 발광 추출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has a micro lens array structure for improving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shown in FIG. ) results in a convex curve. At this time, as the gradient increases, the shortest thickness d1, which is the thickness of the shortest distanc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becomes thinner, and the efficiency light emitting region (Y ), that is, a region betwe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occurs.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is driven, an electric field is locally concentrated in this efficient light emitting area and a main current path is formed, so that main light emission occurs. ), almost no light is extracted. In this inefficient light emitting region Z, almost no light is extracted even though power is consumed, and thus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lowered.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컬러필터(150) 상에 볼록한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패턴의 오버 코팅층(160)에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이 제1전극(141)과 유기 발광층(142) 내부에 전반사되면서 갇히던 것이 삽입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구조에 의해 전반사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진행하며 다중 반사를 통해 외부 발광 효율을 증가할 수 있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overcoating layer 160 having a convex micro lens array pattern on the color filter 150 .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totally reflected inside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propagates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of total reflection by the micro lens array structure in which the confined light is inserted. The luminous efficiency can be increased.

이 때,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패턴에 의해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의 진행 각도가 바뀌게 되는데,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형상의 미세한 차이에 의해서도 광의 진행 각도가 확연히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pagation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changed by the micro lens array pattern, and the propagation angle of the light may be clearly different even by the minute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micro lens array.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등과 같은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이 때 수행하게 되는 열처리 과정을 조절하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모폴로지를 조절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formed through a process such as photolithography, and by adjust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performed at this time, the morphology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can be adjust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볼록한 형상으로 패터닝 한 후 열처리를 수행한다. 이 때, 한번에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2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여야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200℃ 이상 250℃ 이하 부근에서의 최종 열처리를 수행하기 전에 약 100℃ 이상 130℃ 이하 부근에서의 중간 열처리를 먼저 수행하여야 한다.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In order to form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photoresist is applied and patterned into a convex shape through a photolithography process, followed by heat treatment.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can be formed only whe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step by step over two stages, rather than being performed at once. For example, an intermediate heat treatment at about 100 °C or more and 130 °C or less should be performed first before performing the final heat treatment at about 200 °C or more and 250 °C or less.

이 때, 중간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모폴로지와 관련이 있다. 중간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태가 증가하게 된다. 극단적으로, 중간 열처리를 수행하는 시간이 없이 바로 최종 열처리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태는 없어지고 오버 코팅층(160)은 평탄화된다.At this time, the time for performing the intermediate heat treatment is related to the morphology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s the time for performing the intermediate heat treatment increases,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finally formed overcoating layer 160 increases. Extremely, when only the final heat treatment is performed without the time for performing the intermediate heat treatment,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lost and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flattened.

이러한 경향성을 이용하여,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모폴로지가 각기 다른 여러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가 얼마의 모폴로지를 가질 때, 즉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가 특정 종횡비를 가질 때 유기발광소자(140)가 최대의 발광 효율을 내며 동작할 수 있을지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Using this tendency, variou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having different morphologies of the convex portions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were manufactured. Using this, wh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certain morphology, that is, wh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specific aspect rati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40 emits maximum ligh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ee if it could operate with efficiency.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외부 광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 형상에 따라 변화되는 광 경로를 통해 유기발광소자(140) 내부에 전반사되어 갇히던 광들이 외부로 추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totally reflect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through a light path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to improv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t is to allow the trapped light to be extracted to the outside.

외부 광 추출 효율 향상을 위해 삽입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 형상에 따른 광 경로 변화가 광 추출 효율 개선의 주요 요인이므로 그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로써 이하에 정의되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지름(D(Diameter)), 높이(H (Height)), 종횡비(A/R(Aspect Ratio)), 반높이 너비(F(Full Width Half Max)),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H/F)), 기울기(S(Slope)), 볼록부(162)의 바닥에서 이격 거리(G(Gap)),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Ratio of MLA=(F_A/R)/(A/R))) 등이 있다. Since the light path chan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nserted to improve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a major factor in improving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e overcoating layer 160 defined below as a variable determining the shape ) of the convex part 162 (D (Diameter)), height (H (Height)), aspect ratio (A / R (Aspect Ratio)), half height width (F (Full Width Half Max)), half height Width aspect ratio (F_A/R (=H/F)), slope (S (Slop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convex part 162 (G (Gap)), half-height width aspect ratio (Rm (Ratio of MLA=(F_A/R)/(A/R))) and the like.

도 3a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개념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의 형상을 결정짓는 변수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3c는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의 바닥에서 간격(G)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A conceptually shows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 3B illustrates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shape of a convex portion of an overcoating layer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C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gap G at the bottom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overcoat layer.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지름(D)은 바닥 위치에서 볼록부(161)의 길이를 의미하고, 높이(H)는 볼록부(162)의 정상부터 제1연결부(161)의 바닥까지 길이를 의미한다. 반높이 너비(F)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62)의 높이의 절반 위치에서 볼록부(162)의 길이를 의미한다. 볼록부(162)의 종횡비(A/R)는 볼록부(162)의 높이(H)를 볼록부(162)의 반지름(D/2)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3A and 3B, the diameter (D) of the convex part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means the length of the convex part 161 at the bottom position, and the height (H) is the convex part 162 It means the length from the top of the to the bottom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As shown in FIG. 3A, the half-height width F means the length of the convex part 162 at half the height of the convex part 162.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mean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height (H) of the convex portion 162 by the radius (D/2) of the convex portion 162 .

볼록부(162)는 지름(D)이 1 내지 5㎛이고, 높이(H)는 1 내지 4㎛인 육각 형상일 수 있다. The convex portion 162 may have a hexagonal shape having a diameter D of 1 μm to 5 μm and a height H of 1 μm to 4 μm.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약 0.2 이상 0.8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경우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1A)의 종횡비(A/R)가 0.8 초과의 값을 가지는 경우보다 전류 효율 상승률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오히려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약 0.8 초과의 값을 가지는 경우 전류 효율 상승률은 오히려 저하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가 약 0.4 이상 0.7 이하 사이의 값을 가질 때 전류 효율 상승률이 최대인 것으로 볼 수 있다.When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value of about 0.2 or more and less than or equal to 0.8,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1A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efficiency increase rate is more excellent than when the value exceeds 0.8. Rather, when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value greater than about 0.8, the rate of increase in current efficiency tends to decrease. In particular, when the aspect ratio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value between about 0.4 and 0.7,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current efficiency is greatest.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서 유기발광소자(140)가 배치되는 표면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약 0.2 이상 약 0.8 이하 사이의 값을 가지는 오버 코팅층(160)의 상면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시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서 유기발광소자(140)가 배치되는 표면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약 0.2 이상 약 0.8 이하 사이의 값을 가지는 오버 코팅층(160)의 모폴로지를 그대로 따르는 제2 패시베이션층(미도시)의 상면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이 때의 오버 코팅층(160) 또는 제2 패시베이션층(미도시)은 그 표면이 종횡비(A/R)가 약 0.2 이상 약 0.8 이하 사이의 값을 가지는 완만한 비평탄화면이고 이로써 유기발광소자(140)는 종횡비가 약 0.2 이상 약 0.8 이하 사이의 값을 가지는 완만한 비평탄화면에 형성되고, 애노드(141), 유기 발광층(142) 및 캐소드(143)는 완만한 비평탄화면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of the surface on whi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40 is disposed in the illustrat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about 0.2 or more. It may be the top surface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ving a value of about 0.8 or less. Alternatively, in the illustrat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It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not shown) that follows the morphology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ving a value between about 0.2 and about 0.8. That is, the overcoating layer 160 or the second passivation layer (not shown) at this time is a gentle non-flat surface having an aspect ratio (A/R) of about 0.2 or more and about 0.8 or less, and thereby organic light emitting. The device 140 is formed on a gentle non-flat screen having an aspect ratio of about 0.2 or more and about 0.8 or less, and the anode 14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the cathode 143 have a morphology of the gentle non-flat screen. has a shape that follows

종합하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를 형성함에 있어서 중간 열처리 과정을 반드시 거치되 다소 짧게 가져감으로써,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제1연결부(161)가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0.2 이상 0.8 이하의 값을 가지도록 오버 코팅층(160)을 형성할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 상에 제1전극(141), 유기 발광층(142) 및 제2전극(143)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140)와 뱅크(136)를 형성할 수 있다.In summary, in forming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the intermediate heat treatment process must be carried out, but by making it somewhat shorter,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t can be formed to have a gentle slope. According to this method, when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formed such that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value of 0.2 or more and 0.8 or less, as shown in FIG. 1, the overcoa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40 including the first electrode 14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 and the second electrode 143 and the bank 136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160 .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을 정의하는 변수로 종횡비(A/R)만 적용하였을 때, 종횡비(A/R)가 동일하여 지름(D)과 높이(H)로만 정의하는 그 비율이 동일하더라도 반높이 너비(F)나 볼록부들 사이 간격(G) 등 나머지 변수들로 정의되는 값들이 달라질 때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이 확연히 달라지게 된다. When only the aspect ratio (A/R) is applied as a variable defining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the aspect ratio (A/R) is the same and is defined only by the diameter (D) and height (H). Even if the ratio is the same, the shape of the convex part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changes significantly when the values defined by other variables such as the width of the half height (F) or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x parts (G) are changed.

도 4a 내지 도 4d는 동일한 종횡비를 가진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들의 형상을 비교한 단면도들이다. 4A to 4D are cross-sectional views comparing shapes of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ving the same aspect ratio.

도 4a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를 높이를 기준으로 삼등분할 때 각 등분에 포함되는 제1내지 제3영역들(C, B, A)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FIG. 4A illustrates positions of first to third regions C, B, and A included in each division wh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divided into thirds based on the height.

도 4b 내지 도 4d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지름(D)과 높이(H)가 동일 또는 유사하여 종횡비(A/R)가 동일 또는 유사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들(162)의 단면도들이다.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약 0.6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류 효율 상승률이 우수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0.2 이상 0.8 이하의 범위에 포함된다. 4B to 4D are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ving the same or similar aspect ratio (A/R) because the diameter (D) and height (H)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re the same or similar. Sections of (162).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shown in FIGS. 4B to 4D is about 0.6, 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n excellent current efficiency increase rate. It is included in the range of 0.2 or more and 0.8 or less of

도 4b에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높이(H)를 기준으로 삼등분할 때 제1영역(C)에 기울기가 최대인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볼록부(162)의 기울기(S)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62)의 하면의 접선과 수평면 사이 각도를 의미한다. 이때 최대 기울기(Smax)는 볼록부(162)의 하면의 접선과 수평면 사이 각도가 최대인 기울기를 의미한다. FIG. 4B shows the overcoating layer 160 where the maximum slope Smax is located in the first region C wh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divided into thirds based on the height H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 convex portion 162 is shown. At this time, the slope S of the convex portion 162 means an angle between a tangential lin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62 and a horizontal plane, as shown in FIG. 4A. At this time, the maximum slope Smax means a slope at which the angle between the tangen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62 and the horizontal plane is the maximum.

도 4c에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높이(H)를 기준으로 삼등분할 때 제2영역(B)에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를 도시하고 있다.FIG. 4C shows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where the maximum slope Smax is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B when the height H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divided into thirds. ) is shown.

도 4d에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높이(H)를 기준으로 삼등분할 때 제3영역(A)에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를 도시하고 있다.4D,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the maximum slope Smax located in the third area A when the height H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divided into thirds. ) is shown.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동일 또는 유사함에도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 유기 발광층(142)로부터 발광하는 광의 경로가 다르게 나타나고 광 추출 효율 개선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볼록부(162)의 형상이 존재할 수 있다. Although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shown in FIGS. 4B to 4D is the same or similar,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There may be a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in which a path of light emitted from 142 is different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not improved at all.

도 5는 동일 또는 유사한 종횡비(A/R)를 가진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5 shows various shapes of convex portions of the overcoating layer having the same or similar aspect ratio (A/R).

도 5를 참조하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이라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는 지름의 절반(D/2)이다. 이때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하면의 기울기(S)는 모두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5, i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tri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5,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the diameter is half (D/2) of At this time, the slopes S of the lower surfaces of the convex portions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re all the same.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포함되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는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작을 수 있다.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크다는 것은 볼록부(162)의 측면이 삼각형 형상과 비교하여 뚱뚱한 형상을 이루므로 측면 방향의 광 경로가 증가하여 외부 광 추출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반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작다는 것은 볼록부(162)의 측면이 삼각형 형상과 비교하여 홀쭉한 형상을 이루므로 측면 방향의 광 경로가 감소하여 외부 광 추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포함되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는 볼록부(162)의 반지름(D/2)에 대한 반높이 너비(F)의 비가, 0.1 이하로 작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nclu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half-height width (F) smaller than a radius (D/2). . The fact that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larger than the radius (D/2) means that the side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62 has a thicker shape compared to the triangular shape, so that light in the lateral direction is reduced. An increase in the path may reduc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onverse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smaller than the radius (D/2), the side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162 has a slender shape compared to a triangular shape. Since the light path in the lateral direction is reduced, th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half-height width (F) to the radius (D/2)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nclu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 may be as small as 0.1 or less.

도 6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각기 다양한 값을 가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의, 반높이 너비에 따른 전류 효율 상승률(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또는 enhancement of current efficiency (%))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때 전류 효율 상승률이 클수록 발광 효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FIG. 6 shows the 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 according to the half-height width of each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various values. Or, it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hancement of current efficiency (%)). At this time,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current efficiency increase rate, the better the luminous efficiency.

예를 들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지름(D)이 4.5um이고 높이(H)가 1.7um로 종횡비(A/R)가 0.76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서 반높이 너비(F)가 2.0um 미만인 경우가 반높이 너비(F)가 2.0 이상인 경우보다 전류 효율 상승률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2.0um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전류 효율 상승률은 오히려 저하하는 경향성(상승률이 음의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in which the diameter (D)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4.5 μm, the height (H) is 1.7 μm, and the aspect ratio (A/R) is 0.76, the half-height It was confirmed that the case where the width (F) was less than 2.0um had a higher current efficiency increase rate than the case where the half-height width (F) was 2.0 or more. Rather, when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value of 2.0 μm or more, the current efficiency increase rate tends to decrease (the increase rate has a negative value).

종합하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최적의 값을 가지는 구조라도 반높이 너비(F)가 2.0um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유기발광소자(140) 내부에 진행하는 빛의 각도가 기판(110)과 유기 발광층(142) 사이에 갇힐 수 밖에 없는 전반사 임계각(예를 들어 42 도) 이상이 된다. 이로 인해 전류 효율 상승률이 오히려 저하하는 경향성을 갖게 되어 발광 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summary, even in a structure in which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n optimal value, when the half-height width (F) has a value of 2.0 μm or more, the in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The angle of propagating light becomes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of total reflection (for example, 42 degrees) that cannot but be confined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 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current efficiency tends to decrease, thereby reducing the luminous efficiency.

한편,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가 종횡비(A/R)보다 클 수 있다. 이때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는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에 대한 높이(H)를 의미한다. 볼록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가 1.0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록부(162)의 종횡비(A/R)가 0.7 이상 0.8이하인 경우에, 예를 들어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는 0.8 초과 2.0 미만일 수 있다. Meanwhile, the half-height-width aspect ratio (F_A/R) of the convex portion 162 may be greater than the aspect ratio (A/R). At this time, the half-height-width aspect ratio (F_A/R) of the convex portion 162 means the height (H) of the convex portion 162 to the half-height width (F). The aspect ratio of the half-height and width to the aspect ratio of the convex portion 162 may be greater than 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spect ratio (A/R) of the convex portion 16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0.7 and less than or equal to 0.8, the half-height-width aspect ratio (F_A/R) of the convex portion 162 may be greater than 0.8 and less than 2.0.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는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작고 반높이 너비(F)가 동일하더라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may have various shapes even if the half-height width F is smaller than the radius D/2 and the half-height width F is the same.

예를 들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작은 경우로 좌측면을 기준으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기울기(S)가 바닥에서 정상까지 계속해서 증가하는 형상(도 5의 f1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경우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기울기(S)가 최대 기울기(Smax)로부터 최소 기울기(Smin)로 점점 작아졌다 최소 기울기(Smin)로부터 다시 점점 커지는 형상(도 5의 f2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경우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기울기(S)가 점점 커져 최대 기울기(Smax)에 도달한 후 다시 점점 작아지는 형상(도 5의 f3)을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smaller than the radius (D/2), the slo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relative to the left side is (S) may have a continuously increasing shape from the bottom to the top (f1 shape in FIG. 5). Also, in the same case, the slope S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maximum slope Smax to the minimum slope Smin and gradually increases again from the minimum slope Smin (FIG. 5 of f2 shape). Also, in the same case, the slope S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may gradually increase to reach the maximum slope Smax and then gradually decrease again (f3 in FIG. 5).

도 2a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층(142)의 증착 공정의 특성 때문에,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제1연결부(161) 사이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기울기(slope)가 가장 큰 위치, 최대 기울기(Smax)에서 유기 발광층(142)의 발광량이 가장 크다. 따라서 볼록부(162)이 f1의 형상이나 f2의 형상을 가질 경우 발광량이 가장 큰 위치가 볼록부(162)의 바닥이나 정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이 제1전극(141)과 유기 발광층(142) 내부에 전반사되면서 갇히던 것이 삽입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구조에 의해 전반사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진행하며 다중 반사를 통해 외부 발광 효율을 증가하는 효과가 감소할 수 밖에 없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A , due to the nature of the deposition proc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 the slop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betwe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61 ) is the largest,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greatest at the maximum slope (Smax). Therefore, when the convex portion 162 has the shape of f1 or f2, the position where the light emission is greatest is located at the bottom or top of the convex portion 162. In this ca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totally reflected inside the first electrode 141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and propagates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of total reflection by the micro lens array structure in which the confined light is inserted and multiple reflections Through thi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xternal luminous efficiency is inevitably reduced.

다시 말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는 바닥에서 기울기가 증가하다가 최대 기울기에서 감소하는 형상(도 5의 f3)인 경우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된 광이 전반사 임계각보다 작은 각도로 진행하며 다중 반사를 통해 외부 발광 효율을 증가하여 최대 외부 광 추출 효율을 가질 수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when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shape in which the slope increases from the bottom and decreases at the maximum slope (f3 in FIG. 5),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 142), the emitted light travels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critical angle of total reflection, and the external light emitting efficiency is increased through multiple reflections, so that maximum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can be obtained.

한편, 오버 코팅층(161)은 볼록부 각각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가 완만한 경사를 가질 때 외부 광 추출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162)의 바닥에서 이격 거리(G(Gap))는 0이다. G 가 0보다 큰 경우는 인접한 두개의 볼록부들(162) 사이 간격이 존재하는 것으로 유효 발광 영역이 감소하기 때문에 발광 효율이 이격 거리(G)의 영역만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Meanwhile, in the overcoating layer 161 ,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increase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each of the convex portions has a gentle slope. As shown in FIG. 3C , the distance G (Gap) from the bottom of the convex portion 162 is zero. When G is greater than 0, it is because there is a gap between the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162, and since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area is reduced, the luminous efficiency can be reduced by the area of the separation distance (G).

도 7a 및 도 7b는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의 최대 기울기에 따른 광 경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light path according to a maximum slope of a convex portion of an overcoating layer.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기가 증가하다가 최대 기울기(Smax)에서 감소하는 형상(도 5의 f3 형상)을 가진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이더라도 최대 기울기의 각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 even i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shape in which the slope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at the maximum slope Smax (f3 shape in FIG. 5), the angle of the maximum slope Therefore, it can have various shapes.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에서 최대 기울기(Smax)가 60도 초과의 높은 각도, 예를 들어 70도(도 7a) 또는 65도(도 7b)를 가질 때 유효 발광 영역에서부터 진행하기 시작하는 광의 진행 각도가 전반사 임계각인 42 도 이상으로 결국 유기발광소자(140) 내부에 또다시 갇히며 발광 효율 상승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maximum inclination (Smax) in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at a high angle exceeding 60 degrees, for example, 70 degrees (FIG. 7A) or 65 degrees. (FIG. 7B), when the light propagation angle starting from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region is 42 degrees or more, which is the critical angle of total reflection, it is eventually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gain, and the luminous efficiency may not be increased.

따라서,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은 볼록부(162)의 최대 기울기(Smax)가 40도 내지 60도(예를 들어 50도)인 경우 유효 발광 영역에서부터 진행하기 시작하는 광의 진행 각도를 볼 때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한 광이 유기발광소자(140) 내부에 갇히지 않아 발광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shown in FIGS. 4B to 4D is when the maximum inclination (Smax) of the convex portion 162 is 40 degrees to 60 degrees (for example, 50 degrees). When viewing a propagation angle of light starting from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reg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not confined to the insi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and the light emitting efficiency may increase.

도 8은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최대 기울기(Smax)가 각기 다양한 값을 가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들 각각의, 최대 기울기(Smax)에 따른 전류 효율 상승률(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또는 enhancement of current efficiency (%))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8 shows current efficiency enhancement (%) according to the maximum slope (Smax)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in which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various values. ) or enhancement of current efficiency (%)).

도 8을 참조하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최대 기울기(Smax)가 40도 미만인 경우, 유효 발광 영역에서의 광 진행 각도가 오버 코팅층(160)의 평탄한 유기발광소자와 크게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효율 개선이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최대 기울기(Smax)가 60도 초과인 경우는 광 진행 각도가 도 1에 도시한 기판(110)과 기판(110) 외부의 공기층의 전반사 각도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유기발광소자(140) 내부로 갇히는 광량이 크게 증가하여 오버 코팅층(160)의 평탄한 유기발광소자보다 오히려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FIG. 8 , when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less than 40 degrees, the light propagation angle in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reg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la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Since there is no ch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little improvement in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exceeds 60 degrees, the light propagation angle is greater than the total reflection angle between the substrate 110 and the air layer outside the substrate 110 shown in FIG. A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is formed large, the amount of light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greatly increases, resulting in lower efficiency than that of the fla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한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형상은 볼록부(162)의 최대 기울기(Smax)가 40도 내지 60도인 경우 유효 발광 영역에서부터 진행하기 시작하는 광의 진행 각도를 볼 때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한 광이 유기발광소자(140) 내부에 갇히지 않아 발광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shown in FIGS. 4B to 4D proceeds from the effective light emitting area when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convex portion 162 is 40 to 60 degrees. When the starting angle of light is viewed,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is not confined with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so that light emitting efficiency may increase.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b 내지 4d에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높이(H)를 기준으로 삼등분할 때 제1영역(C) 내지 제3영역(A)에 최대 기울기(Smax)가 위치하는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들(162)을 도시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FIGS. 4B to 4D , the maximum slope (Smax) in the first region (C) to the third region (A) when the height (H)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divided into thirds. ) shows the convex portions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where the

볼록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는 반높이 너비 종횡비(F_A/R)와 종횡비(A/R)의 비율로서 가장 급격한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1영역(C) 내지 제3영역(A)에 존재하는가를 결정짓는 변수라 할 수 있다. 볼록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가 1.0 미만인 경우,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1영역(C)이다. 볼록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가 1.0인 경우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2영역(B)이다. 볼록부(162)의 종횡비에 대한 반높이 너비 종횡비(Rm)가 1.0 초과인 경우 최대 기울기(Smax)를 가지는 영역이 제3영역(A)이다.The half height width aspect ratio Rm to the aspect ratio of the convex portion 162 is the ratio of the half height width aspect ratio F_A/R to the aspect ratio A/R, and the region having the steepest maximum slope Smax is the first region. It can be said to be a variable that determines whether it exists in (C) to the third area (A). When the half-height-width aspect ratio Rm of the convex portion 162 to the aspect ratio is less than 1.0, the region having the maximum slope Smax is the first region C. When the aspect ratio (Rm) of the half-height width to the aspect ratio of the convex portion 162 is 1.0, the area having the maximum slope (Smax) is the second area (B). When the half-height-width aspect ratio Rm of the convex portion 162 is greater than 1.0, the area having the maximum slope Smax is the third area A.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한 유기 발광층(142)에서 발광한 광의 광 경로를 살펴볼 때 볼록부(162)의 최대 기울기(Smax)가 높이(H)를 기준으로 바닥부터 삼등분한 제1내지 제3영역들 중 정상과 인접한 제3영역(A)에 위치할 때 정면 발광 효율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소자(140)를 구동하면 이러한 효율 발광 영역(Y)에서 전기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고 주된 전류 경로가 형성되어 주된 발광이 일어나게 되는 반면에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에서는 비효율 발광 영역(Z)으로 거의 광이 추출되지 않는데, 최대 기울기가 제1영역(C) 및 제2영역(B)에 위치할수록 발광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4b to 4d, the maximum slope Smax of the convex portion 162 is the first to third thirds obtained by dividing the height H from the bottom when examining the light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2 shown in FIGS. 4B to 4D. It can be seen that the front luminous efficiency is the best when located in the third region (A) adjacent to the top among the region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40 is driven, an electric field is locally concentrated in the efficient light emitting region Y, and a main current path is formed, so that main light emission occurs, while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 almost no light is extracted to the inefficient light emitting region Z, and the luminous efficiency may decrease as the maximum slope is located in the first region C and the second region B.

이상 오버 코팅층(160)이 볼록부(162)를 포함할 때 볼록부(162)의 형상에 따른 광 추출 효율 또는 발광 효율을 설명하였다. 이하 오버 코팅층(160)이 오목부를 포함할 경우에도 볼록부(162)와 동일하게 오목부의 형상에 따른 외부 광 추출 효율 또는 발광 효율을 갖는 것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When the overcoating layer 160 includes the convex portion 162,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r luminous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vex portion 162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even when the overcoating layer 160 includes the concave por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that the same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r luminous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as the convex portion 162 is provided.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vercoating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2b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와 비교하여 오버 코팅층(260)이 복수의 오목부(236)를 포함하는 것만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도시하지 않은 유기 발광표시장치(200)의 엘리먼트들은 도 1 내지 도 2b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엘리먼트들과 동일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36 in the overcoating layer 260 compar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of FIGS. 1 to 2B . Only the configuration is different,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so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Elem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200 not shown in FIG. 9 may be the same as elem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B .

오버 코팅층(260)은 컬러 필터(250)와 중첩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264) 및 서로 인접한 오목부(264)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263)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오버 코팅층(260)은 도 1에 도시한 뱅크층(136)의 개구부(136a)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오목부(264)와 오목부(264)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연결부(263)를 포함한다.The overcoating layer 260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64 formed to overlap the color filter 250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63 connecting the concave portions 264 adjacent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overcoating layer 260 includes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64 disposed to overlap the opening 136a of the bank layer 136 shown in FIG. 1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ortions connecting the concave portions 264, respectively. (263).

오버 코팅층(260) 상에 제1전극(241)이 배치된다. 제1전극(241) 상에 유기 발광층(242)과 제2전극(243)이 배치된다. 제1전극(241)과 유기 발광층(242), 제2전극(243)은 유기발광소자(240)를 구성한다. A first electrode 241 is disposed on the overcoating layer 260 . An organic emission layer 242 and a second electrode 243 are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241 . The first electrode 24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42 , and the second electrode 243 constitut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240 .

제1전극(241), 유기 발광층(242) 및 제2전극(243)은 오버 코팅층(260)의 상면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어, 오버 코팅층(260)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24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42, and the second electrode 243 may be disposed along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vercoating layer 260 and may have a shape following the morphology of the overcoating layer 260.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작은 것과 동일하게 오버 코팅층(260)의 의 오목부(264)의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오목부(264)의 반지름(D/2)에 대한 반높이 너비(F)의 비가 0.1 이하일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 the concave portion of the overcoating layer 260 has the sam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as being smaller than the radius (D/2). The half-height width (F) of (264)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D/2).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half-height width F to the radius D/2 of the concave portion 264 may be 0.1 or less.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작은 것과 동일하게, 오버 코팅층(260)의 오목부(264)의 반높이 너비(F)가 반지름(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오목부(264)의 반지름(D/2)에 대한 반높이 너비(F)의 비가 0.1 이하일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and 3B , the concave portion of the overcoating layer 260 is equal to the fact that the half-height width F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smaller than the radius D/2. The half-height width (F) of (264) may be smaller than the radius (D/2). 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half-height width F to the radius D/2 of the concave portion 264 may be 0.1 or less.

이때 오목부(264)는 지름이 1 내지 5㎛이고, 높이는 1 내지 4㎛인 육각 형상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cave portion 264 may have a hexagon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1 to 5 μm and a height of 1 to 4 μm.

도 4b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는 기울기가 증가하다가 최대 기울기에서 점점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것과 동일하게, 오버 코팅층(260)의 오목부(264)는 바닥에서 기울기가 증가하다가 최대 기울기에서 점점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B to 5 , the concave portion 264 of the overcoating layer 260 has the same shape as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has a shape in which the inclination increases and the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maximum inclination. )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lope increases at the bottom and gradually decreases at the maximum slope.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의 최대 기울기가 40도 내지 60도인 것과 동일하게 오버 코팅층(260)의 오목부(264)의 최대 기울기가 4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8 ,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concave portion 264 of the overcoating layer 260 is 40 degrees, the same as the maximum inclination of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is 40 to 60 degrees. degrees to 60 degrees.

이상 오버 코팅층(260)이 오목부(264)를 포함할 경우에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오버 코팅층(160)의 볼록부(162)와 동일하게 오목부(264)의 형상에 따른 외부 광 추출 효율 또는 발광 효율을 갖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생략한 변수에 따른 오목부(264) 및 제2연결부(263)의 형상에 따른 특성은 볼록부(162) 및 제1연결부(261)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When the overcoating layer 260 includes the concave portion 264, the concave portion 264 is the same as the convex portion 162 of the overcoating layer 160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it has external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r luminous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concave portion 264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63 according to the omitted variables are the convex portion 162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 261)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30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되고, 다수의 서브픽셀(SP)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된 유기발광표시패널(310)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 데이터 드라이버(320)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330)와, 데이터 드라이버(320) 및 게이트 드라이버(33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40) 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 are disposed, and a plurality of subpixels SP are of a matrix type. By supplying data voltages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310 and the plurality of data lines,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re driven by sequentially supplying scan signals to the data driver 320 and the plurality of gate lines. It includes a gate driver 330 that sequentially drives gate lines, a data driver 320 and a controller 340 that controls the gate driver 330, and the like.

전술한 유기발광표시패널(310)에 배치되는 다수의 픽셀 각각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disposed on the above-describ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310 includes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an effect of improving external light emitting efficiency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ombine the configura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such as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300: 유기발광 표시장치
141, 241: 제1전극
142, 142: 유기 발광층
143, 243: 제2전극
160, 260: 오버 코팅층
100, 200, 3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41, 241: first electrode
142, 142: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43, 243: second electrode
160, 260: over coating layer

Claims (12)

기판의 화소 영역에 배치된 볼록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
상기 오버 코팅층의 상기 볼록부와 오목부 상에 배치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볼록부의 바닥 길이보다 작고,
상기 볼록부는 높이를 기준으로, 바닥에서부터 정상까지 삼등분한 제1 영역과 제2영역 및 제3영역을 가지며,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영역은 상기 볼록부의 제3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n over-coating layer including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disposed in the pixel region of the substrate;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convex and concave portions of the over-co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is smaller than the bottom length of the convex portion,
The convex portion has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divided into thirds from the bottom to the top based on the height,
An area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located on a third area of the convex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은 볼록하거나 오목한 굴곡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최단 두께를 갖는 영역은 상기 굴곡의 바닥과 정상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ncludes convex or concave curv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region having the shortest thicknes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positioned between a bottom and a top of the curved li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의 기울기는 상기 유기 발광층의 최단 두께를 갖는 영역에서 가장 큰,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lope of the curvature is greatest in a region having the shortest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의 반높이 너비 종횡비가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의 종횡비보다 큰,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aspect ratio of the half-height, width, and aspect ratio of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is greater than the aspect ratio of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의 최대 기울기는 40도 내지 60도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has a maximum inclination of 40 degrees to 60 degrees.
기판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고, 반지름보다 작은 반높이 너비를 갖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
상기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 상에 배치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볼록부의 바닥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볼록부의 바닥과 정상 사이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높이를 기준으로, 바닥에서부터 정상까지 삼등분한 제1 영역과 제2영역 및 제3영역을 가지며,
상기 유기 발광층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갖는 영역은 상기 볼록부의 제3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n over-coating layer disposed in the pixel area of the substrate and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half-height width smaller than the radiu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convex portion of the overco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is smaller than the bottom length of the convex por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has the thinnest thickness between the bottom and top of the convex portion,
The convex portion has a first area, a second area, and a third area divided into thirds from the bottom to the top based on the height,
An area having the thinnest thicknes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located on a third area of the convex portion.
삭제delete 기판의 화소 영역에 배치되고, 반지름보다 작은 반높이 너비를 갖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오버 코팅층;
상기 오버 코팅층의 볼록부 상에 배치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의 높이는 상기 볼록부의 바닥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유기 발광층은 상기 볼록부의 바닥과 정상 사이에서 가장 얇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화소 영역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오버 코팅층은 인접한 2개의 볼록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기 발광층의 두께는 상기 볼록부의 정상과 상기 연결부 사이에서 가장 얇은, 유기발광 표시장치.
an over-coating layer disposed in the pixel area of the substrate and including convex portions having a half-height width smaller than the radius;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the convex portion of the overcoa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is smaller than the bottom length of the convex por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has the thinnest thickness between the bottom and top of the convex portion,
The convex portion is disposed in plurality in the pixel area,
The overcoating layer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wo adjacent convex portions,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the thinnest between the top of the convex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반높이 너비 종횡비가 상기 볼록부의 종횡비보다 큰,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convex portion has a half-height, width, and aspect ratio greater than an aspect ratio of the convex portion.
제1항 내지 제6항, 제 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반지름에 대한 높이의 비가 0.2 내지 0.8이거나, 상기 볼록부의 바닥 길이는 1 내지 5㎛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8, and 9,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ratio of the height to the radius of the convex part is 0.2 to 0.8, or the bottom length of the convex part is 1 to 5 μm.
제1항 내지 제6항, 제 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평면상으로 육각 형상, 벌집 구조, 또는 육각형 벌집 구조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8, and 9,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convex portion includes a hexagonal shape, a honeycomb structure, or a hexagonal honeycomb structure in plan view.
제1항 내지 제6항, 제 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오버 코팅층의 표면과 접촉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8, and 9,
The first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vercoating layer.
KR1020210099973A 2017-02-28 2021-07-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98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973A KR102498271B1 (en) 2017-02-28 2021-07-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601A KR102285918B1 (en) 2015-08-31 2017-02-28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0210099973A KR102498271B1 (en) 2017-02-28 2021-07-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601A Division KR102285918B1 (en) 2015-08-31 2017-02-28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087A KR20210097087A (en) 2021-08-06
KR102498271B1 true KR102498271B1 (en) 2023-02-08

Family

ID=7731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973A KR102498271B1 (en) 2017-02-28 2021-07-29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27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054A (en) 2004-03-11 2005-10-20 Canon Inc Substrate, electric conductive substrate, finely structured substrate, organic electric field effective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m
JP2006164808A (en) 2004-12-09 2006-06-22 Hitachi Ltd Light emitting element,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having it
JP2012204019A (en) 2011-03-23 2012-10-22 Panasonic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JP2015050037A (en) 2013-09-02 2015-03-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9151A (en) * 2008-02-18 2009-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77261A (en)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054A (en) 2004-03-11 2005-10-20 Canon Inc Substrate, electric conductive substrate, finely structured substrate, organic electric field effective transis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m
JP2006164808A (en) 2004-12-09 2006-06-22 Hitachi Ltd Light emitting element, light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having it
JP2012204019A (en) 2011-03-23 2012-10-22 Panasonic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JP2015050037A (en) 2013-09-02 2015-03-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087A (en)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7743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096659B2 (en)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641685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596763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WI713213B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US1062257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10010736B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US1095787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155227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microlens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30548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8258134B (en) Top-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6982975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N111276626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2095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58739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8591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22746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6671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12864188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658623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low-refractive members
CN108511612B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49827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80277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P3343659B1 (en) Top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2023018056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