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55B1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55B1
KR102520955B1 KR1020160067665A KR20160067665A KR102520955B1 KR 102520955 B1 KR102520955 B1 KR 102520955B1 KR 1020160067665 A KR1020160067665 A KR 1020160067665A KR 20160067665 A KR20160067665 A KR 20160067665A KR 102520955 B1 KR102520955 B1 KR 102520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osed
display device
emit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7267A (en
Inventor
장지향
김수강
조소영
구원회
임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16116119.5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16116119B4/en
Priority to US15/252,053 priority patent/US10008697B2/en
Priority to CN201610797049.3A priority patent/CN106486525B/en
Priority to TW105128044A priority patent/TWI615961B/en
Publication of KR2017002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소자의 제 1 전극,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다수의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이 배치된다.Disclosed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isclos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ing plate, a substrate disposed on the polarizing plate, an overcoat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microlenses, and a first electro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the micro len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epressions and walls surrounding the depressions, and a reflective pattern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s.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패턴이 적용된 산란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tterned scattering layer.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로서,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 self-luminous display device, and unlik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light source and can be manufactured as a lightweight and thin type. 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not only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due to low voltage driving, but also has excellent color implementation, response speed,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R), and is being studied as a next-generation display.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통과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 외부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들이 존재하게 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문제가 된다.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asses through various component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comes o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owever, amo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light that does not come out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s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xists, an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becomes a problem.

특히, 유기발광 표시장치 중 하부발광 구조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애노드 전극에 의해 전반사 또는 광 흡수가 일어나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은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50%이고, 기판에 의해 전반사 또는 광흡수가 일어나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은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30%정도이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80%의 광이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게 되고, 약 20%의 광만이 외부로 추출되므로 광 효율이 매우 낮다.In particular,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a bottom emission structure amo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total reflection or light absorption by the anode electrode causes light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account for about 5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amount of light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ue to total reflection or light absorption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about 3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s such, light efficiency is very low because about 80%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trapp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only about 20% of the light is extracted to the outside.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를 부착하거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오버코트층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A method of attaching a micro lens array (MLA) to the outside of a substrat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r forming a micro lens on an overcoat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this is being proposed.

그러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도입하거나, 오버코트층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소자 안에 갇히는 광이 많음으로써, 외부로 추출되는 광 량이 적은 문제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마이크로 렌즈를 적용함으로써, 기판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일부가 편광판의 편광축과 동일한 상태로 반사된다. 이로 인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반사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은 기판을 통과하여 편광판에 도달하고, 편광판에서 다시 반사되어 기판 방향으로 경로가 전환된다. 여기서, 기판 방향으로 나아가는 광의 일부는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인접한 화소(pixel)의 마이크로 렌즈에 도달하여 빛샘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However, despite introducing a microlens array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r forming a microlens on the overcoat lay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to the outside is small due to the large amount of light trapped in the device. In addition, by applying a micro lens array and a micro lens, a part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ubstrate is reflected in the same state as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As a result, the reflect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to reach the polarizing plate, is reflected from the polarizing plate, and is converted to a path toward the substrate. Here, some of the light traveling toward the substrate may reach micro lenses of adjacent pixels emitting different colors and cause light leak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이고, 반사율을 낮추며,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lowering reflectance, and preventing light leakag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편광판, 상기 편광판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소자의 제 1 전극,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다수의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반사패턴의 폭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돌출부의 최대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a polarizing plate, a substrate disposed on the polarizing plate, an overcoat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micro lenses, and an overcoat layer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and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 microlen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epressions and walls surrounding the depressions, and a reflective pattern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s. this is placed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reflective pattern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microlens.

또한,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은 제 1 벽과 제 2 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1 벽과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벽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돌출부를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제 1 벽과 제 2 벽은 수평면에 대해 수직인 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all surrounding the depression is composed of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and the first wall,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orm a protrusion of the microlens. In this case,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bout a line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또한,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은 일정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고, 상기 편광판을 통해 상기 기판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반대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has a polarization axis in a certain direction, and light incident to the substrate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attern and converted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

또한,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들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입사되는 광 중,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광은 상기 편광판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상기 반사패턴에 적어도 1 번 도달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light incident from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alls surrounding the depression, light greater than a critical angle for total reflection may reach the polarizer and then be reflected and reach the reflective pattern at least onc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추출되는 광 중, 제 1 벽 또는 제 2 벽의 접선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30도 각도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반사패턴에 적어도 1 번 도달할 수 있다.Furth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light extracted from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rounding the depression, an angle of -30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a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first wall or the second wall is applied. Incident light may reach the reflective pattern at least once.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마이크로 렌즈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이 배치됨으로써, 반사패턴의 배치영역과 비례하여 외광 반사율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lective pattern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microlens, the external light reflectance can be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area where the reflective pattern is dispo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각도로 진행하는 광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반사패턴에 의해 다른 화소의 마이크로 렌즈에 도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enting a light leakage phenomenon by preventing light from reaching the microlenses of other pixels due to the reflection pattern even when light traveling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is generat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광 중 마이크로 렌즈의 제 2 벽의 슬로프를 나타내는 직선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로 진행하는 광까지 상기 기판 밖으로 추출함으로써,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agates at an angle between -30 degrees and 30 degrees bas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a straight line representing the slope of the second wall of the microlens among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By extracting light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light efficiency.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하부발광(bottom-emission)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 영역을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및 반사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및 반사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반사율이 저감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빛샘 현상이 억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ea where a microlens is dispo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rea where a micro lens is disposed along AB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cro lens and a reflection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cro lens and a reflection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positions of reflection patter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reducing reflectance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suppressing a light leakage phenomenon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hape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indic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shape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on” o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both cases where another element or layer is intervening as well as directly on another element or layer. do.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on”, it indicates that no other element or layer is intervening.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refer to one element or component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ther elements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both below and above.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이 배치되고, 다수의 서브픽셀(Sub Pixel)이 배치된 표시패널(1100), 다수의 데이터 라인(DL1~DLm)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1200), 다수의 게이트 라인(GL1~GLn)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부(1300), 데이터 구동부(1200) 및 게이트 구동부(130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0) 등을 포함한다.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Referring to FIG. 1 , a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and a plurality of sub pixels. The disposed display panel 1100, the data driver 1200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m, the gate driver 1300 driving the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the data driver 1200, and A timing controller 1400 controlling the gate driver 1300 and the like are included.

상기 데이터 구동부(120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구동부(1300)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The data driver 1200 drives a plurality of data lines by supplying data voltages to the plurality of data lines. The gate driver 1300 sequentially drives the plurality of gate lines by sequentially supplying scan signals to the plurality of gate lines.

또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0)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1200) 및 게이트 구동부(1300)로 제어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구동부(1200) 및 게이트 구동부(1300)를 제어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120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Also, the timing controller 1400 controls the data driver 1200 and the gate driver 1300 by su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data driver 1200 and the gate driver 1300 . The timing controller 1400 starts scanning according to the timing implemented in each frame, converts input image data input from the outside to suit the data signal format used by the data driver 1200, and outputs the converted image data. , data drive is controlled at an appropriate time according to the scan.

상기 게이트 구동부(1300)는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다수의 게이트 라인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1300)는 구동 방식이나 표시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10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0, the gate driver 1300 sequentially supplies scan signals of an on voltage or an off voltage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to sequentially drive the plurality of gate lines. . In addition, the gate driver 1300 may be located on only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0, as shown in FIG. 1, or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in some cases, depending on a driving method or a design method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130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ate driver 1300 may include one or more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s. Each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is connected to a bonding pad of the display panel 1100 using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method or a chip on glass (COG) method, or a gate in panel (GIP) type. , and may be directly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0 or may be integrated and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100 in some cases.

또한, 각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게이트 구동부 집적회로에 해당하는 게이트 구동 칩은 연성 필름에 실장되고, 연성 필름의 일 단이 표시패널(1100)에 본딩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 may be implemented in a Chip On Film (COF) method. In this case, a gate driving chip corresponding to each gate driving integrated circuit may be mounted on a flexible film, and one end of the flexible film may be bonded to the display panel 1100 .

상기 데이터 구동부(1200)는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120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할 수 있다. When a specific gate line is opened, the data driver 1200 converts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0 into analog data voltages and supplies them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thereby driving the plurality of data lines. Also, the data driver 1200 may include at least one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to drive a plurality of data lines.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s connected to a bonding pad of the display panel 1100 through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method or a chip on glass (COG) method, 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0. In some cases, it may be integrated and arranged on the display panel 1100 .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해당하는 소스 구동 칩은 연성 필름에 실장되고, 연성 필름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 단은 표시패널(1100)에 본딩된다. In addition,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may be implemented in a Chip On Film (COF) method. In this case, a source driving chip corresponding to each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 is mounted on a flexible film, one end of the flexible film is bonded to at least on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is a display panel ( 1100).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과 연결된다.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400)가 배치된다. 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a connection medium such as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 timing controller 1400 is dispos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표시패널(1100), 데이터 구동부(1200) 및 게이트 구동부(1300) 등으로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a power controller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to supply voltage or current to the display panel 1100, the data driver 1200, and the gate driver 1300 or to control the voltage or current to be supplied. there is. 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mentioned above may be a single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본 발명의 화소(pixel)는 하나 이상의 서브화소(subpixel)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화소는 특정한 한 종류의 컬러필터가 형성되거나, 또는 컬러필터가 형성되지 않고 유기발광소자가 특별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서브화소에서 정의하는 색상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과 선택적으로 백색(W)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a pix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subpixels. The sub-pixel refers to a unit in which a specific type of color filter is forme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emit light of a specific color without a color filter. Colors defined in the sub-pixels may include red (R), green (G), blue (B), and optionally white (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표시패널의 각 서브화소 영역의 발광을 제어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전극을 제 1 전극이라 하며, 표시패널 전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전극을 제 2 전극이라 한다. 상기 제 1 전극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 제 2 전극이 캐소드 전극이 되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하, 제 1 전극의 일 실시예로 애노드 전극을, 제 2전극의 일 실시예로 캐소드 전극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an electrode connected to a thin film transistor that controls light emission of each sub-pixel region of the display panel is referred to as a first electrode, and an electrode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or disposed to cover two or more pixel regions is referred to as a second electrode. . When the first electrode is an anode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becomes a cathode electrode, and vice versa. Hereinafter, an anode electrode as an embodiment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cathode electrode as an embodiment of the second electrode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전술한 서브화소 영역에는 단일한 색상의 컬러필터가 배치되거나, 혹은 배치되지 않는 기준이 된다. 컬러필터는 단일한 유기발광층의 색상을 특정한 파장의 색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각각의 서브화소 영역에는 유기발광층의 광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산란층(light-scattering layer)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산란층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나노패턴(nano pattern), 확산패턴(diffuse pattern), 실리카비드(silica bead)로 명명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a criterion that a color filter of a single color is disposed or not disposed in the aforementioned sub-pixel area. The color filter converts the color of a singl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into a color of a specific wavelength. In addition, a light-scattering layer may be disposed in each sub-pixel area to increas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aforementioned scattering layer may be referred to as a micro lens array, a nano pattern, a diffuse pattern, or a silica bead.

이하 산란층의 실시예들로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산란시키는 다양한 구조가 결합될 수 있다.Hereinafter, examples of the scattering layer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micro lens array, bu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light scattering structures may be combin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하부발광(bottom-emission)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하부발광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액티브층(102), 게이트 전극(104), 소스전극(106) 및 드레인전극(107)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전극(111), 유기발광층(113) 및 제 2 전극(114)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Referring to FIG. 2 ,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s a thin film including an active layer 102, a gate electrode 104, a source electrode 106, and a drain electrode 107. A transistor T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r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111,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and a second electrode 114 are included.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100) 상에 버퍼층(101)이 배치된다. 상기 버퍼층(101)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액티브층(102)이 배치된다. 상기 액티브층(102)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03) 및 게이트 전극(104)이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04) 상에는 층간 절연막(105)이 배치된다. Specifically, a buffer layer 101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 An active layer 102 of a thin film transistor Tr is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101 . A gate insulating layer 103 and a gate electrode 104 are disposed on the active layer 102 .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5 is disposed on the gate electrode 104 .

그리고, 상기 층간절연막(104) 상에는 상기 층간절연막(104)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상기 액티브층(102)과 접촉하는 소스전극(106) 및 드레인전극(107)이 배치된다. 상기 소스전극(106) 및 드레인전극(107) 상에는 보호층(108)이 배치된다. 상기 보호층(108)의 일면에는 컬러필터층(109)이 배치될 수 있다.A source electrode 106 and a drain electrode 107 contacting the active layer 102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4 are dispos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04 . A protective layer 108 is disposed on the source electrode 106 and the drain electrode 107 . A color filter layer 109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layer 108 .

상기 컬러필터층(109)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는 오버코트층(190)이 배치된다. 상기 오버코트층(190) 상에는 상기 박막 트렌지스터(Tr)의 드레인전극(107)과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 1 전극(111)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오버코트층(109)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111)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뱅크 패턴(112)이 배치된다. 여기서, 뱅크 패턴(112)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뱅크 패턴(112)에 의해 노출된 제 1 전극(111)의 상면 및 상기 뱅크 패턴(112) 상에는 유기발광층(113)이 배치된다. 유기발광층(113) 상에는 유기발광소자의 제 2 전극(114)이 배치된다.An overcoat layer 19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including the color filter layer 109 . The first electrode 111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07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190 . A bank pattern 112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109 to expose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11 . Here, the bank pattern 112 defines an emission area and a non-emission area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 organic emission layer 113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111 exposed by the bank pattern 112 and on the bank pattern 112 .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the second electrode 114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is disposed.

이 때, 상기 제 1 전극(111)은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114)은 불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114)은 반사성이 우수한 불투명도전물질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발광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electrode 114 may be made of an opaque condu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114 may be an opaque conductive material having excellent reflectivity. Through this, a bottom emission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또한, 상기 기판(100)의 배면에는 편광판(110)이 배치된다. 상기 편광판(110)은 일정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110)일 수 있으며, 상기 기판(100) 배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서 상기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축을 가지는 광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 에서는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편광판(110)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편광판(110)이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olarizer 11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 The polarizing plate 110 may be a polarizing plate 110 having a polarization axis in a certain direction, and may pass only light having an ax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olarization axis among light inciden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 In addition, although FIG. 2 discloses the polarizing plate 110 composed of a single lay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larizing plate 110 may be composed of multiple layers.

도 2와 같은 하부발광 구조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광 추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함몰부 또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을 도입하였으나, 상기 오버코트층의 함몰부 또는 돌출부에 의해 광 추출 효율이 영역 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며, 반사율이 높고 빛샘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extraction effect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bottom emiss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2, an overcoat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depressions or protrusions has been introduced, bu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the depressions or protrusions of the overcoat layer. It appears differently for each area,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flectance is high and the light leakage phenomenon occurs.

이하,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버코트층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반사패턴을 이용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반사율을 낮추며,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tend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use a reflective pattern disposed to overlap with an overcoat layer to improve luminous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ower reflectance, and prevent light leakage. It can be preven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 영역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 영역은 제 1 영역(150), 제 2 영역(160) 및 제 3 영역(155)으로 구분된다.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ea where a microlens is dispo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where the micro lens is disposed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150, a second area 160, and a third area 155.

상기 제 1 영역(150)은 마이크로 렌즈의 함몰부의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고, 제 2 영역(160)은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 3 영역(155)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돌출부의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150) 및 제 3 영역(155)은 유기발광소자의 유기발광층의 두께가 상기 제 2 영역(16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50), 제 2 영역(160) 및 제 3 영역(155)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의 두께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영역(150)에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와 중첩하도록 반사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50 may correspond to a partial region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microlens, and the second region 160 may correspond to an area where a wall surrounding the recessed portion is disposed. Area 3 155 may correspond to a partial area of the protrusion of the microlens. Here, the first region 150 and the third region 155 may have a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icker than the second region 160 . That is, the first region 150, the second region 160, and the third region 155 may be divided by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on the micro lens. In this case, a reflective pattern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150 to overlap the micro lens.

또한, 도 3에서는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 영역이 원형인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가 육각형, 타원 등의 형상인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FIG. 3 discloses that the area where the microlenses are disposed is cir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onfigurations in which the microlenses are hexagonal or elliptical may also be included.

이러한 구성을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인 도 4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 영역을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Looking at Figure 4,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is configuration along A-B, it is as follows.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B of an area where a microlens is disposed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코트층(190) 및 반사패턴의 배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기판(100) 상에 반사패턴(120) 및 오버코트층(190)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오버코트층(190)은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180)를 구비한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는 복수의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는 함몰부의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인 복수의 제 1 영역(150)을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4, schematically examin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overcoat layer 190 and the reflective patter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ve pattern 120 and the overcoat layer 190 are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 At this time, the overcoat layer 190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 The micro lens 18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depression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In addition, the microlens 18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150 corresponding to partial regions of the depressions.

여기서, 상기 반사패턴(120)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제 1 영역(15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반사패턴(120)은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광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 제 1 영역(150), 제 2 영역(160) 및 제 3 영역(155)을 통해 추출되지 않고, 유기발광 표시장치 안에 갇히게 되는 광의 반사를 일으켜, 상기 기판(100) 외부로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120)에 의한 광 경로 및 이에 대한 효과는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Here,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150 of the micro lens 180 . In detail,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disposed on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a color filte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 Through thi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not extracted through the first area 150, the second area 160, and the third area 155 of the micro lens 180, but is trapp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ight may be reflected and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100 . The light path by the reflective pattern 120 and its eff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한편,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 영역에서, 마이크로 렌즈의 제 2 영역(160)과 제 3 영역(155)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유기발광소자로 인한 주 발광 현상이 일어난다. Meanwhil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where a plurality of microlenses are disposed, a main light emitting phenomenon du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ccurs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160 and the third area 155 of the microlens.

구체적으로는, 제 2 영역(160)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마이크로 렌즈의 경사면에 입사되는 광(유기발광소자에서 발광된)의 입사각이 주로 전반사 임계각(약 42o) 안쪽으로 모이게 됨으로써, 다중 반사(multiple reflection)를 가능하게 하여 광 추출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제 2 영역(160)에서 유기발광층(113)의 두께가 가장 얇게 이루어짐으로써, 전류밀도가 높아, 상기 제 2 영역(160)에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효율이 높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gle of incidence of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cident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icrolens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160 mainly gathers inside the critical angle of total reflection (about 42o), thereby causing multiple reflection (multiple reflection). reflection) to increase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the thinnest in the second region 160 , the current density is high, so that the light emitting efficienc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n the second region 160 can be high.

또한, 마이크로 렌즈의 제 3 영역(155)은 유기발광층(113)의 두께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경사면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전류밀도는 낮지만, 마이크로 렌즈에 의한 광 추출 효율이 매우 높다.In addition, the third region 155 of the microlens has a low current density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thicker than that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icrolens, but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by the microlens is very high.

이와 같이, 주 발광 현상이 일어나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 2 영역(160)과 제 3 영역(155)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120)이 미 배치된다. 즉, 발광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 1 영역(150)과 대응되는 영역에서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120)이 배치될 수 있다. As such, the reflective patter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disposed in th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160 and the third region 155 of the microlens where the main emission phenomenon occurs. That is, the reflective patter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ly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150 of the microlens where light emission hardly occurs.

이를 통해, 주 발광 현상이 일어나는 영역에서 발광되는 광 중 임계각 각도 이상의 각도로 진행하는 광이 반사패턴(120)에 의해 추가 반사를 겪도록 함으로써,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는 광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주 발광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마이크로 렌즈의 제 1 영역(15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됨으로써, 추가 반사 유도를 통해 더 높은 광 효율 개선이 가능하다.Through this,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light traveling at an angl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among light emitted from the region where the main light emission phenomenon occurs to undergo additional reflection by the reflective pattern 120. . In other words, since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150 of the microlens where the main light emitt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higher light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rough additional reflection induction.

한편, 상기 반사패턴(120)의 폭(d1)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돌출부의 최대폭(D1)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120)의 폭(d1)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돌출부의 최대폭(D1)보다 작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를 통한 광 추출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idth d1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D1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micro lens 180 . When the width d1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D1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micro lens 180, the light extraction effect through the micro lens 180 may be improved.

자세하게는, 상기 반사패턴(120)의 폭(d1)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돌출부의 최대폭(D1)보다 크게 이루어질 경우,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로부터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는 광의 경로가 변경되어, 최종적으로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지 못하고 소자 안에 갇힐 수 있다. 즉, 상기 반사패턴(120)의 폭(d1)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돌출부의 최대폭(D1)보다 크게 이루어질 경우, 소자 안에 갇히는 광량이 증가하여 광 추출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width d1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D1 of the protrusion of the micro lens 180, the path of the light extracted from the micro lens 180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100 is Changed, it may be trapped inside the device without finally being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 That is, when the width d1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greater than the maximum width D1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micro lens 180, the amount of light trapped in the device increases, and thus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decrease.

한편, 반사패턴(120)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은(Ag), 구리(Gu), 금(Au), 주석(Sn) 알루미늄(Al) 등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120)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120)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면 충분하다.Meanwhile,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silver (Ag), copper (Gu), gold (Au), tin (Sn), aluminum (Al), etc., but the reflective patter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No, the reflective patter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fficient if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는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130, 14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1 벽(130)과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벽(140)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돌출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오버코트층(190)이 전술한 바와 같은 마이크로 렌즈(180)를 구비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을 기판(100) 외부로 추출하여 광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The microlens 180 includes walls 130 and 140 surrounding the depression. In this case, the first wall 130 and the second wall 14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may constitute the protruding part of the micro lens 180 . Since the overcoat layer 190 includes the micro lens 180 as described above, light confin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100 to improve light efficiency.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둘러싸는 벽(130, 140)의 슬로프(slope)는 함몰된 부분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40도 내지 60도로 이루어지거나,120도 내지 140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lopes of the walls 130 and 140 surrounding the microlenses may form an angle of 40 to 60 degrees or 120 to 140 degrees with the horizontal plane of the recessed portion.

이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광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130, 140)의 슬로프로 인해 다중 반사가 일어나게 되고, 이로써, 소자 외부로 출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micro lens 180 may be improved. In detail,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subjected to multiple reflections due to the slopes of the walls 130 and 140 surrounding the depressions of the micro lenses,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또한,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형상은 도 4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5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및 반사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 및 반사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Also, the shape of the micro lens 180 is not limited to that of FIG. 4 and may be a shape as shown in FIG. 5 or FIG. 6 .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cro lens and a reflection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icro lens and a reflection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ame components as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omitted. Also,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5에서 개시하는 마이크로 렌즈(280)의 반치폭(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F2)은 도 4에서 개시하는 마이크로 렌즈(180)의 반치폭(F1)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것에 차이가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렌즈의 반치폭은 마이크로 렌즈 높이의 절반의 위치에서 마이크로 렌즈 볼록부의 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의 반치폭은 마이크로 렌즈 형성 공정에서 오버코트층 물질에 조사되는 노광량 및 오버코트층의 재료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difference is that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F2 of the microlens 280 disclosed in FIG. 5 is smaller than the half maximum width F1 of the microlens 180 disclosed in FIG. 4 . Here, the half width of the microlens may be defined as the width of the convex part of the microlens at half the height of the microlens. The half-maximum width of the micro len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material of the overcoat layer and the material of the overcoat lay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micro lens.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280) 역시 함몰부 및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230, 240)의 슬로프는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40도 내지 60도이거나,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120도 내지 140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lens 28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also include a depression and walls 230 and 240 surrounding the depression. In addition, the slopes of the walls 230 and 240 surrounding the depressions may form an angle of 40 degrees to 60 degrees with the horizontal plane or 120 degrees to 140 degrees with the horizontal plane.

다만, 도 4에서 개시하고 있는 마이크로 렌즈(180)의 반치폭(F1)은 도 5에서 개시하고 있는 마이크로 렌즈(180)의 반치폭(F2)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도 4의 마이크로 렌즈(180)의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130, 140)슬로프는 도 5의 마이크로 렌즈(280)의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230, 240)의 슬로프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However, since the half width (F1) of the microlens 180 disclosed in FIG. 4 is larger than the half width (F2) of the microlens 180 disclosed in FIG. 5, the microlens 180 shown in FIG. 4 is recessed. The slopes of the walls 130 and 140 surrounding the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slopes of the walls 230 and 240 surrounding the recessed portion of the micro lens 280 of FIG. 5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는 노광량 및 오버코트층의 재료 등의 조건을 조절하여 마이크로 렌즈의 형상을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광 추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micro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adjusted by adjusting the conditions such as the amount of exposure and the material of the overcoat layer, and accordingly, a desired light extraction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도 5에서도 상기 마이크로 렌즈(280)의 제 1 영역(25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패턴(120)의 폭(d2)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280)의 돌출부의 최대폭(D2)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in FIG. 5 ,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250 of the micro lens 280 . The width d2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D2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micro lens 280 .

도 6에서는 단면상으로 마이크로 렌즈(380)가 기판(100) 상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 렌즈 (380)는 함몰부 및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330, 34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330, 340)의 슬로프는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40도 내지 60도 이거나, 120도 내지 140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FIG. 6 , micro lenses 38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100 in a cross-sectional view. At this time, the microlens 380 may include a depression and walls 330 and 340 surrounding the depression. At this time, the slopes of the walls 330 and 340 surrounding the depressions of the micro lenses may form an angle of 40 to 60 degrees or 120 to 140 degrees with the horizontal plane.

도 6에서 마이크로 렌즈(380)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마이크로 렌즈(380)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마이크로 렌즈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In FIG. 6 , other micro lenses 380 disposed adjacent to the micro lens 38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micro lens 380 and other micro lens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는 마스크 공정을 통해 상기 오버코트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 사이의 이격공간의 형성 여부 및 이격공간의 폭은 마스크 패턴들의 이격거리와 마스크 공정에서의 노광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microlenses 380 may be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through a mask process, and whether or not a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microlenses 380 is formed and the width of the separation space depend o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mask patterns and the exposure amount in the mask proces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자세하게는, 상기 마스크 상에는 오버코트층에 마이크로 렌즈(380)를 형성하기 위한 마이크로 렌즈(380) 패턴이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상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380) 패턴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클 때, 오버코트층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렌즈(380)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크게 나타나며, 마스크 공정 중 노광량이 커질수록 마이크로 렌즈(380)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커질 수 있다. In detail, on the mask, micro lens 380 patterns for forming the micro lens 380 in the overcoat lay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icrolens 380 patterns disposed on the mask is larg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icrolenses 380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is large, and as the exposure amount during the mask process increases, the microlens ( 380) may be increased.

이 때,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마이크로 렌즈(380) 사이의 이격공간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의 돌출부의 최대폭(D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를 통한 광 추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micro lens 380 and another micro lens 380 disposed adjacently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D3 of the protrusion of the micro lens 380 . Through this, the light extraction effect through the micro lens 380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들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반사패턴(1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격공간에 의해 컬러필터층(미도시)이 노출될 경우에도, 상기 노출된 컬러필터층(미도시) 상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되어, 상기 컬러필터층(미도시)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컬러필터층(미도시)에 의한 아웃개싱(outgassing)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separ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micro lenses 380 . Since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disposed in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micro lenses 380, even when the color filter layer (not shown) is exposed by the spaced space, reflection is reflected on the exposed color filter layer (not shown). A pattern 120 may be disposed to prevent the color filter layer (not shown) from being exposed. Through this, outgassing by the color filter layer (not shown) can be prevented.

여기서, 상기 반사패턴(120)의 폭(d3)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380)의 돌출부의 최대폭(D3)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반사패턴(120)에 의한 광 추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width d3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D3 of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micro lens 380 . Through this, the light extraction effect by the reflective pattern 120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는 다양한 형상의 마이크로 패턴들이 적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micro patterns of various shapes may be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및 복수의 반사패턴이 적용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and the plurality of reflection patterns are applied is as follows.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오버코트층(190)에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는 보호층(108)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109)과 중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are formed on an overcoat layer 190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color filter layer 109 disposed on the protective layer 108 .

또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는 뱅크패턴(112)으로 정의되는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 중, 발광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가 발광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만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을 기판(100)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는 광 추출에 필요한 영역에만 배치되고. 이를 통해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컬러필터층(109) 상에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도록 복수의 반사패턴(120)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among the light emitting area and the non-light emitting area defined by the bank pattern 112 . As such, since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are disposed only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region,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an be extract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100 . That is,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are disposed only in areas necessary for light extraction. Through this,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improved. A plurality of reflective patterns 120 may be disposed on the color filter layer 109 to correspond to the depressions.

상기 오버코트층(190) 상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전극(107)과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11)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111)은 상기 오버코트층(190)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그대로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111)은 상기 오버코트층(190)에서 마이크로 렌즈(180)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11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07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190 . Here, the first electrode 111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morphology of the overcoat layer 190 as it is.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11 may have recessed portions and protruding portions alternately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micro lens 180 is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190 .

또한, 상기 제 1 전극(111)과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13) 및 제 2 전극(114) 역시 상기 오버코트층(190)에서 마이크로 렌즈(180)가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패턴(120)은 상기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11), 유기발광층(113) 및 제 2 전극(114)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한, 반사패턴(120)은 발광영역(뱅크패턴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and the second electrode 114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111 are also formed in the area where the micro lens 180 is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190 and In corresponding areas, the depressions and protrusions may be alternately disposed. That is,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s of the first electrode 111 ,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 and the second electrode 114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Again,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in the light emitting area (an area where the bank pattern is not disposed).

또한,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180)를 적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마이크로 렌즈가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FIG. 7 show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which a micro lens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icro lense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hereto. may be applied.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 위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8, the position of the reflection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viewed as follows. 8 is a view showing positions of reflection patter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may includ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omitted. Also,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220)은 오버코트층(29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오버코트층(290)과 제 1 전극(2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사패턴(220)은 오버코트층(29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오버코트층(290) 상에 배치되고, 제 1 전극(211)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reflective pattern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vercoat layer 290 and the first electrode 211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overcoat layer 290. there is. That is, the reflective pattern 220 may be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290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overcoat layer 290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electrode 211 .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패턴(220)이 위치할 경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오버코트층(290)을 형성한다. 이 후, 오버코트층(290)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고, 금속층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한다. 그리고, 금속층을 습식식각(wet etching)하여 오버코트층(29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220)을 형성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flective pattern 220 is located, an overcoat layer 290 having a plurality of micro lenses is formed. Thereafter, a metal layer is formed on the overcoat layer 290, and a photoresist is formed on the metal layer. Then, the metal layer is wet etched to form the reflective pattern 220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overcoat layer 290 .

이와 같이, 반사패턴(220)이 오버코트층(290) 상에 배치됨으로써, 반사패턴(220) 형성 공정 중, 노광 시 발생할 수 있는 수분 및 불순물 등으로 인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패턴(220)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오버코트층(290)이 형성 된 후에 형성됨으로써, 반사패턴(220)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순물들로 인해 마이크로 렌즈가 불규칙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uch, the reflective pattern 220 is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290 to prevent irregular formation of a plurality of microlenses due to moisture and impurities that may occur during exposure during the forming process of the reflective pattern 220. can do. Specifically, the reflective pattern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fter the overcoat layer 290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 lenses is formed, due to impuriti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flective pattern 220. Irregular formation of microlenses can be prevented.

한편, 오버코트층(290)의 함몰부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오버코트층(190)의 함몰부에 비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사패턴(220)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211), 유기발광층(213) 및 제 2 전극(214)은 반사패턴(220)에 의해 오버코트층(29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제 1 전극(111), 유기발광층(113) 및 제 2 전극(114)에 비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overcoat layer 290 may be formed flatter than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overcoat layer 190 shown in FIG. 4 ,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21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213, and the second electrode 214 disposed on the reflective pattern 220 are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s of the overcoat layer 290 by the reflective pattern 220. may be formed flatter than the first electrode 111,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and second electrode 114 shown in FIG. 4,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반사율을 저감시키고, 빛샘을 방지하며,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s effects of reducing reflectance, preventing light leakage, and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반사율이 저감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반사패턴(120)이 오버코트층(190)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반사패턴(120) 오버코트층(190)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도 후술하는 설명과 같은 원리로 반사율이 저감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패턴(120) 및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190)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판(100) 편광판(110)이 배치된다. 상기 편광판(110)은 일정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 및 일정한 값의 위상지연값을 가지는 편광판이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reducing reflectance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disposed under the overcoat layer 190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 component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and the overcoat layer 190 may also have a reduced reflectance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Referring to FIG. 9 , an overcoat layer 190 having a plurality of reflection patterns 120 and a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 substrate 100 . In addition, a polarizer 11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 The polarizing plate 110 may include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olarization axis of a certain direction and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hase retardation value of a certain value overlapping each other.

여기서, 기판(100) 배면으로부터 입사된 외광(500)은 상기 편광판(110)을 통과하면서 상기 편광판(110)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광만 통과한다. 그리고, 일정한 방향으로 편광된광은 일정한 위상지연값으로 원편광되어 상기 기판(100)으로 입사된다. 상기 기판(100)으로 입사된 광은 유기발광소자(EL)의 제 2 전극(114)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편광판(110)을 통과한 광에서 180도 위상지연된다. 상기 위상지연된 광은 다시 기판(100) 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external light 500 inciden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passes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110 while only passing ligh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110 . Then, the light polarized in a certain direction is circularly polarized with a certain phase delay value and is incident on the substrate 100 . The light incident on the substrate 100 is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114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 and is delayed by 180 degrees from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polarizer 110 . The phase-delayed light may change its path toward the substrate 100 again.

한편, 오버코트층(190)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를 구비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11), 유기발광층(113) 및 제 2 전극(114) 역시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114)은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며, 이 때, 반사된 광의 일부는 상기 편광판(110)의 편광축과 반대 방향으로 전환된다. Meanwhile, since the overcoat layer 190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the first electrode 111,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and the second electrode 114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also have depressions and protrusions. have a shape in which are arranged alternately. Here, the second electrode 114 reflects light incident from the substrate 100, and at this time, a part of the reflected light is conver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er 110.

그러나, 상기 제 2 전극(114)이 편평하게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편광판(110)의 편광축과 동일한 상태로 반사된다. 이로 인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반사율이 높아질 수 있다However, since the second electrode 114 is not formed flat, the remaining part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substrate 100 is reflected in the same state as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er 110 . As a result, the reflectanc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버코트층(190)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18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된다. 상기 반사패턴(120)은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및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편광판(110)의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광이 입사되어, 일정한 위상지연값을 가지도록 원편광되고, 상기 원편광된 광이 기판(100)으로 입사된다. 상기 기판(100)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반사패턴(120)에 의해 반사되며, 상기 반사패턴(120)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기판(100) 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된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on pattern 120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micro lens 180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190 . The reflective pattern 120 may be disposed on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a color filte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 At this time, ligh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110 is incident and is circularly polarized to have a constant phase retardation value, and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s incident to the substrate 100 . Light incident on the substrate 100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120 , and the path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changed toward the substrate 100 .

상기 기판(100) 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된 광은 상기 일정한 위상지연값을 가지는 편광판을 거쳐 일정한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에 도달하나, 상기 기판(100) 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된 광은 상기 일정한 위상지연값을 가지는 편광판을 거치면서 일정한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의 편광축과 반대방향으로 편광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The light whose path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0 passes through the polarizer having the constant phase retardation value and reaches the polarizer having the constant polarization axis, but the light whose path i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0 has the constant phase retardation value. While passing through the polarizer, the polarization direction may be switch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er having a constant polarization axis.

따라서, 상기 반사패턴(120)에 의해 반사된 광은 상기 기판(100) 외부로 출사되지 못한다. 즉, 상기 반사패턴(120)이 배치된 영역에서는 외광(500)에 의한 반사율이 낮아질 수 있다.Therefore, the light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100 . That is, the reflectance by the external light 500 may be lowered in the region where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disposed.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반사패턴(120)의 배치영역에서 외광(500)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반사패턴(120)의 배치영역과 비례하여 외광(500)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In other word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500 is prevented in the area where the reflection pattern 120 is disposed by disposing the reflective pattern 120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micro lens 180. There are effects that can be done. Through thi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reflectance of the external light 500 in proportion to the disposition area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빛샘 현상이 억제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반사패턴(120)이 오버코트층(190)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반사패턴(120) 오버코트층(190)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도 후술하는 설명과 같은 원리로 빛샘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빛샘 현상이 억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0 , a principle of suppressing light leakage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disposed under the overcoat layer 190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Light leakage can also be suppressed in a configuratio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flective pattern 120 and the overcoat layer 190 by the same princi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suppressing a light leakage phenomenon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패턴(120),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190) 및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11)과 유기발광층(113)의 굴절률은 상기 기판(100) 및 오버코트층(190)의 굴절률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100)과 오버코트층(190)의 굴절률은 약 1.5이고,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11) 및 유기발광층(113)의 굴절률은 1.7 내지 2.0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plurality of reflection pattern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vercoat layer 190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are disposed on a substrate 100. do. In this cas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may be greater than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overcoat layer 190 . For exampl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ubstrate 100 and the overcoat layer 190 may be about 1.5,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may be between 1.7 and 2.0. .

이 때, 상기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광의 일부는 제 2 전극(114)에 의해 반사되어 제 1 전극(111) 방향으로 광 경로가 전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전극(111) 방향으로 출사된다. 즉, 상기 유기발광층(113)에 의해 발생된 광의 대부분은 상기 제 1 전극(111) 방향으로 향한다. At this time,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114 and the light path is switch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remaining part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111. is issued with That is, most of the light generated by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electrode 111 .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층(113)과 제 1 전극(111)의 굴절률은 거의 동일하므로 상기 유기발광층(113)에서 발생된 광은 상기 유기발광층(113)과 제 1 전극(111) 계면에서 광 경로가 변경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111)을 통과한 광은 상기 제 1 전극(111)과 오버코트층(190)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상기 제 1 전극(111)과 오버코트층(190)의 계면에서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된 광은 전반사 될 수 있다. Here, sinc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and the first electrode 111 are almost the sam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has a light path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and the first electrode 111. It doesn't change. Meanwhile,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111 has a critical angl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overcoat layer 190 due to a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overcoat layer 190 . The incident light may be totally reflected.

이 때, 상기 제 1 전극(111)과 오버코트층(190)의 계면에서 전반사 된 광은 상기 오버코트층(190)과 거의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기판(100)을 통과하여 편광판(110)에 도달하고, 상기 편광판(110)에서 다시 반사되어 기판(100) 방향으로 경로가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100) 방향으로 나아가는 광의 일부는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인접한 화소(pixel)의 마이크로 렌즈(180)에 도달하여 빛샘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ight totally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overcoat layer 190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100 having almost the same refractive index as the overcoat layer 190 and reaches the polarizer 110, The light is reflected back from the polarizer 110 and the path is converted toward the substrate 100 . Here, some of the light traveling toward the substrate 100 may reach the micro lenses 180 of adjacent pixels emitting different colors and cause light leakag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버코트층(190)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18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됨으로써, 전반사 임계각(a)보다 큰 각도로 진행하는 광이 인접한 다른 화소의 마이크로 렌즈(18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micro lens 180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190, so that light traveling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a) for total reflection This is prevented from reaching the micro lenses 180 of other adjacent pixels.

자세하게는, 유기발광층(113)에서 발생한 광은 제 1 전극(111) 및 오버코트층(190)의 계면에서 전반사가 일어나고, 여기서, 전반사 임계각(a)보다 큰 각도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오버코트층(190) 및 기판(100)을 통과하여 상기 기판(100)과 편광판(110) 계면에서 다시 반사되어 상기 기판(100) 방향으로 광 경로가 전환된다. In detail, light generat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is totally reflec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11 and the overcoat layer 190, and here, the light traveling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a for total reflection is the overcoat layer ( 190) and the substrate 100, the light is reflected agai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polarizer 110, and the light path is converted to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0.

이 후, 기판(100) 방향으로 경로가 변경된 광은 다시 기판(100)을 통과하여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반사패턴(120)에 도달한다. 반사패턴(120)에 도달한 광은 상기 반사패턴(12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편광판(110) 방향으로 경로가 전환되고, 편광판(110)에 도달한 광은 다시 기판(100)을 통과하여 반사패턴(120)에 도달한다. Thereafter, the light path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0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100 again and reaches the reflective pattern 120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 The light reaching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120 and the path is converted to the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110, and the light reaching the polarizing plate 110 passes through the substrate 100 again and is reflected. Pattern 120 is reached.

즉, 전반사 임계각(a)보다 큰 각도로 진행하는 광이 상기 편광판(110)에 도달한 후 상기 반사패턴(120)에 적어도 1 번 도달함으로써, 기판(100)에 갇힐 수 있다. 따라서, 전반사 임계각(a)보다 큰 각도로 진행하는 광은 기판(100)에 갇힌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That is, when light traveling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of total reflection (a) reaches the reflective pattern 120 at least once after reaching the polarizer 110 , it may be confined to the substrate 100 . Accordingly, light traveling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a) remains confined to the substrate 10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전반사 임계각(a)보다 큰 각도로 진행하는 광이 발생할 경우에도, 상기 반사패턴(120)에 의해 다른 화소의 마이크로 렌즈(180)에 도달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light traveling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total reflection critical angle (a) is generated, the reflection pattern 120 reaches the microlens 180 of another pixel. By preventing thi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light leakage.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반사패턴(120)이 오버코트층(190)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반사패턴(120) 오버코트층(190) 상부에 배치되는 구성도 후술하는 설명과 같은 원리로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1 , a principle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inciple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disposed under the overcoat layer 190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improved in a structure disposed on the reflective pattern 120 and the overcoat layer 190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1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반사패턴(120),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80)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190) 및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11 , on a substrate 100, a plurality of reflection pattern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vercoat layer 190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 lenses 18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are disposed. do.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는 제 1 영역(150), 제 2 영역(160) 및 제 3 영역(155)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2 영역(160)에서 광 추출 효율이 가장 뛰어나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영역(160)은 상기 오버코트층(190)의 모폴로지(morphology)를 그대로 따르는 유기발광층(113)의 두께가 가장 얇게 형성됨으로써, 전류밀도가 높게 걸리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 2 영역(160)에 전기장이 강하게 걸림으로써, 상기 제 2 영역(16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에서 주 발광이 일어나게 된다.The micro lens 180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150, a second area 160, and a third area 155, and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the highest in the second area 160. In detail, the second region 160 has the thinnest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13 following the morphology of the overcoat layer 190, so that the current density is high. Accordingly, since an electric field is strongly applied to the second region 160 , main light emission occurs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160 .

또한,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제 2 영역(160)에 형성된 슬로프로 인해 상기 제 2 영역(160)에서 유기발광 소자로부터 발생한 광 추출 효율이 가장 높다. 예를 들면,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는 함몰부 및 함몰부를 둘러싸는 제 1 벽(130) 및 상기 제 1 벽(130)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벽(140)으로 구성된다고 할 때,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된 광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제 2 영역(160)의 제 1 벽(130)으로 입사될 때, 상기 제 1 벽(130) 또는 제 2 벽(140)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는 광량이 많아지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slope formed in the second region 160 of the micro lens 180, light extraction efficiency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highest in the second region 160. For example, when the micro lens 180 is composed of a depression, a first wall 130 surrounding the depression, and a second wall 140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wall 130 , When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is incident on the first wall 130 of the second area 160 of the micro lens 180, it collides with the first wall 130 or the second wall 140 As a result, the amount of light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increases.

다시 설명하면,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생된 광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제 2 벽(140)으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 중 상기 제 2 벽(140)의 접선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 또는 30도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제 2 벽(140)과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벽(130)과 부딪쳐 상기 기판(100) 밖으로 추출된다.In other word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is incident on the second wall 140 of the micro lens 180, and a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ial line of the second wall 140 among the incident light As a reference, light traveling at an angle between -30 degrees and -90 degrees or at an angle between 30 degrees and 90 degrees collides with the second wall 140 and the first wall 13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생된 광 중 상기 제 2 벽(140)의 접선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제 2 벽(140)과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벽(130)에 도달하지 못함으로써,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지 못하고 소자 안에 갇히게 된다.In addition, amo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the light traveling at an angle between -30 degrees and 30 degrees bas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second wall 140 is the second wall ( 140) and the first wall 130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not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and is trapped inside the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오버코트층(190)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18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됨으로써, 광 추출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by disposing the reflective pattern 120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microlens 180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190. It can be.

자세하게는, 상기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생된 광 중 상기 제 2 벽(140)의 슬로프를 나타내는 직선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반사패턴(120)에 도달하게 된다. In detail, among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the light traveling at an angle between -30 degrees and 30 degrees bas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representing the slope of the second wall 140 is It reaches the reflective pattern 120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of the micro lens 180 .

상기 반사패턴(120)에 도달한 광은 상기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된 마이크로 렌즈(180)와 인접한 다른 마이크로 렌즈(180)에 도달하여 상기 기판(100) 밖으로 추출된다. The light reaching the reflective pattern 120 reaches another micro lens 180 adjacent to the micro lens 180 into which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is incident, and is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

이와 같이, 상기 제 2 벽(140)의 접선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30도 각도로 입사되는 광이 상기 반사패턴(120)에 적어도 1 번 도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벽(140)의 접선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 또는 30도 내지 90도 사이의 각도로 진행하는 광으로 전환되어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As such, light incident at an angle of -30 degrees to 30 degrees bas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of the second wall 140 reaches the reflection pattern 120 at least once, and through this, the first Bas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ial line of the second wall 140, the light traveling at an angle between -30 degrees and -90 degrees or between 30 degrees and 90 degrees may be converted into light and extracted out of the substrate 100. .

전술한 일 예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제 2 벽(14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마이크로 렌즈(180)의 제 1 벽(130)으로 추출되는 광 역시 동일한 과정을 거쳐 상기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Although the foregoing exampl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wall 140 of the micro lens 180, the light extracted through the first wall 130 of the micro lens 180 also goes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substrate 100. ) can be extracted ou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생된 광 중 상기 제 2 벽(140)의 접선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30도 사이의 각도로 진행하는 광까지 상기 기판(100) 밖으로 추출함으로써,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EL is between -30 degrees and 30 degrees based on a lin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ial line of the second wall 140. By extracting out of the substrate 100 up to the light traveling at an angle of ,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light efficienc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오버코트층(190)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180)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120)이 배치됨으로써, 반사율이 낮고, 빛샘 현상을 방지하며,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reflectance because the reflective pattern 120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 of the microlens 180 formed in the overcoat layer 190.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light leakage and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with respect to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vari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xemplify the above to the extent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seen that variou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that have not been mad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1000: 투명표시장치
1100: 투명표시패널
1200: 데이터 구동부
1300: 게이트 구동부
1400: 타이밍 컨트롤러
1000: transparent display device
1100: transparent display panel
1200: data driving unit
1300: gate driver
1400: timing controller

Claims (14)

편광판;
상기 편광판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 및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형상에 따라 굴곡을 가지는 유기발광 소자의 제 1 전극,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다수의 함몰부와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반사패턴이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polarizer;
a substrate disposed on the polarizing plate;
an overcoat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plurality of micro lenses; and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osed on the overcoat layer and having a curv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icro lens;
The micro lens is formed of a plurality of depressions and walls surrounding the depressions, and a reflective pattern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돌출부를 구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wall surrounding the depression constitutes a protrusion of the microle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하여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icro lens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depressions and protrusions are alternately dispos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의 슬로프(slope)는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40도 내지 60도로 이루어지거나, 120도 내지 140도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lope of the wall surrounding the recessed portion has an angle between 40 and 60 degrees or 120 and 140 degrees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마이크로 렌즈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이격공간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반사패턴이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microlenses are spaced apart from other adjacent microlenses, and a reflective pattern is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paced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일정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고,
상기 편광판을 통해 상기 기판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반사패턴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편광판의 편광축과 반대 방향으로 전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larizer has a polarization axis in a certain direct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light incident to the substrate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and is conver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polarizat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유기발광층의 굴절률은 상기 오버코트층 및 기판의 굴절률보다 큰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re greater than those of the overcoat layer and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들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입사되는 광 중,
전반사 임계각보다 큰 광은 상기 편광판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상기 반사패턴에 적어도 1 번 도달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Of the light inciden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walls surrounding the depress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light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of total reflection is reflected after reaching the polarizer and reaching the reflective pattern at least o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과 대응되는 영역에 입사되는 광 중,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과 수직한 선을 기준으로 -30도 내지 30도 각도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반사패턴에 적어도 1 번 도달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rounding the depressi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light incident at an angle of -30 degrees to 30 degrees relative to a line perpendicular to a wall surrounding the depression reaches the reflective pattern at least o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의 폭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돌출부의 최대폭보다 작게 이루어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width of the reflection pattern is smaller than a maximum width of the protrusion of the micro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은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pattern is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isposed on a color filte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or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a thin film transis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은 상기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상기 오버코트층과 제 1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flective pattern is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isposed between the overcoat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과 제 1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발광영역 및 비 발광영역을 정의하는 뱅크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상기 발광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nk pattern disposed between the overcoat layer and the first electrode and defining a light emitting area and a non-emitting area,
The plurality of micro lenses are provid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함몰부의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제 1 영역, 상기 함몰부를 둘러싸는 벽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상기 다수의 마이크로 렌즈의 돌출부의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제 3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반사패턴은 상기 제 1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may include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a partial region of the depression,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an region where a wall surrounding the depression is disposed, and a third region corresponding to a partial region of the protrusion of the plurality of microlenses. separated by
The reflective pattern is position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KR1020160067665A 2015-08-31 2016-05-3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5209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6119.5A DE102016116119B4 (en) 2015-08-31 2016-08-3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5/252,053 US10008697B2 (en) 2015-08-31 2016-08-3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201610797049.3A CN106486525B (en) 2015-08-31 2016-08-3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W105128044A TWI615961B (en) 2015-08-31 2016-08-3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73 2015-08-31
KR20150123173 2015-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67A KR20170027267A (en) 2017-03-09
KR102520955B1 true KR102520955B1 (en) 2023-04-13

Family

ID=5840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665A KR102520955B1 (en) 2015-08-31 2016-05-3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0955B1 (en)
TW (1) TWI61596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928B1 (en) * 2017-08-31 2022-04-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416417B1 (en) 2017-11-24 2022-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59045B1 (en) * 2017-11-30 2022-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FR3079909B1 (en) * 2018-04-05 2022-10-14 Microoled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IMPROVED RESOLUTION AND RELIABILITY
KR102655476B1 (en) * 2018-05-03 2024-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1599932B (en) * 2019-02-20 2023-02-03 咸阳彩虹光电科技有限公司 OLED display panel and OLED display
KR20220084072A (en) * 2019-10-01 2022-06-21 제이드 버드 디스플레이(상하이) 리미티드 System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display panels with integrated micro lens array
KR20230022943A (en) 2020-06-03 2023-02-16 제이드 버드 디스플레이(상하이) 리미티드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color LED Pixel Unit with Horizontal Light Emission
CN117015257B (en) * 2023-09-27 2024-01-12 惠科股份有限公司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pa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5685A1 (en) 2011-02-11 2012-08-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8870A (en) * 2000-06-20 2002-01-11 Sony Corp Display device
JP2004235019A (en) * 2003-01-30 2004-08-19 Hitachi Displays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JP4277562B2 (en) * 2003-04-11 2009-06-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EL display
KR101730609B1 (en) * 2010-10-12 2017-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JP2012204103A (en) * 2011-03-24 2012-10-22 Toshiba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isplay device and luminaire
JP6118525B2 (en) * 2012-09-03 2017-04-19 出光興産株式会社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15072751A (en) * 2013-10-01 2015-04-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Organic el display device
KR20150077261A (en) * 2013-12-27 2015-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05685A1 (en) 2011-02-11 2012-08-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5961B (en) 2018-02-21
TW201709500A (en) 2017-03-01
KR20170027267A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6525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52095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31994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WI615962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reof
KR10245904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WI637657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155227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microlens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200025618A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234587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258134B (en) Top-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2009187748A (en) Display device
KR10258553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200134752A (en)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JP2007234391A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18119784A1 (en) Bottom-emitting oled displa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731748B2 (en) Display device
JP2018041565A (en) Display device
CN112864188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08234933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US11063245B2 (en) Display apparatus
JP2008234928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pparatus
JP2008112844A (en) Display device
KR10196857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220095312A (en)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51786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