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748B1 -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 - Google Patents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748B1
KR102497748B1 KR1020200110198A KR20200110198A KR102497748B1 KR 102497748 B1 KR102497748 B1 KR 102497748B1 KR 1020200110198 A KR1020200110198 A KR 1020200110198A KR 20200110198 A KR20200110198 A KR 20200110198A KR 102497748 B1 KR102497748 B1 KR 10249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rusion
ingredients
blender
ex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758A (ko
Inventor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20011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7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20Apparatus for coating or filling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2007Manufacture of filled articles, composite articles, multi-layer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23P2020/253Coating food items by printing onto them; Printing layers of food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서로 다른 식재료를 저장한 복수의 캡슐이 수납된 캡슐부; 상기 캡슐부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식재료를 공급받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의 내부의 식재료를 혼합하는 혼합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태의 식품이 성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압출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미리 정해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밀폐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Method for manufacturing Macaron using almond powder and printer therefor}
본 발명은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3D프린터는 잉크 대신 합성수지, 분말, 세포 등을 얇은 두께로 층층이 쌓아 일정한 모양을 만들어 내는 일종의 공작기계이다. 미국의 찰스 헐(Charles Hull)이 기본 원리를 착안하고, '88년 최초의 3D 프린터(SLA-250)를 개발하였다. 이후 이 기술의 가능성을 눈여겨본 대학과 기업들의 참여로 다양한 제품들이 물밀듯이 출시되었다. 각 분야에서의 3D프린터의 활약을 살펴보면 의료 분야에서 환자의 세포를 이용하는 '바이오 잉크'를 입체적으로 쌓아 신장, 귀, 뼈 등의 인공장기를 만드는 기술이 탄생하였다. 또한 MRI(자기공명영상 법)과 결합하여 고난도 수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환자의 신체 구조에 정확히 맞는 보조 기구도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 분야에서는 이미 수십년 전부터 시제품을 제작하는데 이용해왔고, 최근에는 완성차까지 만들어지고 있다. 항공분야에서는 엔진 등 부품을 만들고, 여객기의 무게를 줄이는데 활용중이다. 우주분야에서는 작업에 필요 한 공구에서부터 인공위성 망원경을 제작하는데에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개도국의 낮은 수공비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선진국의 주얼리 업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패션에서는 완성에 이르는 시간의 단축과 주문량 및 디자인 변경에 대한 능동적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유수의 농기계 업계에서는 3D프린팅을 이용하여 시제품을 만들고, 고가의 농기계 부품을 대체하는 기업도 탄생했다. 뿐만 아니라 병해충 종합 관리 시스템(IPM), 토양 연구, 도시농업 분야에서도 많이 응용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미세 조류, 배양육, 식용 곤충 등을 원료로 하여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기존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식품이 탄생할 수 있는 기회도 만들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4668 호
마카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한다.
마카롱 식품 제조에 있어서, 머랭화 및 식재료의 혼합 시 기계적인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한다.
마카롱 식품 제조에 있어서, 머랭화 및 식재료의 혼합 시 압출부 내부의 표면에 식재료가 부착되어 혼합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서로 다른 식재료를 저장한 복수의 캡슐이 수납된 캡슐부; 상기 캡슐부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식재료를 공급받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의 내부의 식재료를 혼합하는 혼합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태의 식품이 성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압출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및 미리 정해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밀폐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압출부 내의 식재료들의 혼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압출부 내부 표면에 부착된 혼합된 식재료를 긁어내고, 상기 압출부 내부의 혼합된 식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가압부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스톤구동부, 상게 제1 피스톤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출부 내부에 부착된 식재료를 상기 압출부 내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표면클린부로 구성된 제1 가압부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가압부는 제2 피스톤, 상기 제2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피스톤구동부, 상기 제2 피스톤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출부 내부에 혼합된 식재료를 상기 압출부의 노즐부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커버부로 구성된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혼합부이송부, 상기 압출부의 하단의 노즐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압출부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식재료들을 혼합하는 블랜더부, 상기 블랜더부의 상하 이동 및 상기 블랜더부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혼합부 이송부에 설치된 블랜더제어부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캡슐부는 상기 복수의 캡슐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압출부에 서로 다른 식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압출부는 상기 복수의 이동부 중 어느 하나와 정렬하여 정렬된 이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상기 압출부에 투입될 때, 상기 블랜더부는 상기 압출부 내에 삽입된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식재료는 계란 흰자, 설탕, 아몬드분말, 설탕파우더, 식용 색소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조가 어려운 마카롱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마카롱을 제조할 수 있다.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마카롱을 제조할 수 있다.
복수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카롱을 제조할 수 있다.
마카롱 제조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가 손쉽게 마카롱을 제조할 수 있다.
마카롱 제조 시 적정량의 복수의 식재료의 함량이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보다 쉽게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마카롱을 제조할 수 있다.
마카롱 식품 제조에 있어서, 머랭화 및 식재료의 혼합 시 기계적인 구성을 통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마카롱 식품 제조에 있어서, 머랭화 및 식재료의 혼합 시 블랜더의 로드의 측정을 통해 혼합의 정도를 자동으로 검출 및 조절할 수 있다.
마카롱 식품 제조에 있어서, 머랭화 및 식재료의 혼합 시 압출부 내부의 표면에 식재료가 부착되어 혼합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압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압출부의 개략도이다.
도 5에서 점선부분은 압출부의 상부면 그리고 하부면 각각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6에서 (a)는 압출부가 제1 위치에서 제1 가압부와 압출부의 정렬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에서 (b)는 압출부가 제2 위치에서 제2 가압부와 압출부의 정렬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표면클린부에 의해 압출부의 내부의 표면에 부착된 식재료가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혼합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압부, 압출부 그리고 혼합부의 개략도이다.
도 9는 압출부가 제2 이동부와 정렬하여 제2 이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압출부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압출부가 제3 이동부와 정렬하여 제3 이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압출부 내부로 배출되는 것은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압출부가 제1 이동부와 정렬하여 제1 이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압출부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혼합부와 압출부의 미정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혼합부와 압출부의 정렬 상태에서 블랜더가 압출부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베이스부에 식품이 성형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5는 압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압출부의 개략도이고, 도 5에서 점선부분은 압출부의 상부면 그리고 하부면 각각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6에서 (a)는 압출부가 제1 위치에서 제1 가압부와 압출부의 정렬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에서 (b)는 압출부가 제2 위치에서 제2 가압부와 압출부의 정렬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표면클린부에 의해 압출부의 내부의 표면에 부착된 식재료가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8은 혼합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가압부, 압출부 그리고 혼합부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10)는 케이스(100), 캡슐부(200), 압출부(300), 가압부(400), 혼합부(500), 베이스부(600), 이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미리 정해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밀폐된 공간을 가질 수 있고, 케이스(100) 내부에는 캡슐부(200), 압출부(300), 가압부(400), 혼합부(500), 베이스부(600), 이송부(700)가 설치된다.
케이스(100)의 전면은 도어 타입으로 구성되어 전면을 개방 또는 밀폐시킬 수 있으며 전면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가 시인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스(100)의 외부면에는 입력장치(101)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101)는 물리적인 입력장치 및 터치 방식의 입력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101)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여 제조하고 싶은 마카롱의 색상, 마카롱의 크기 그리고 마카롱의 설탕 농도 등 사용자의 기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스(100)에는 프린터의 구동에 관련된 각종 제어장치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 그리고 프린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력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캡슐부(200)는 케이스(100)의 상단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식재료를 저장할 수 있다. 캡슐부(200)에는 복수의 캡슐이 수납될 수 있고, 복수의 캡슐 각각은 서로 다른 식재료를 보관할 수 있다.
캡슐부(200)는 캡슐부케이스(201)와 캡슐부케이스(210)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식재료이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부케이스(210) 내부에는 복수의 캡슐이 수납된다.
식재료이동부(220)는 캡슐부케이스(210)로부터 인출되어 압출부(300) 내부로 각종 식재료를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식재료이동부(220)의 일단은 캡슐부케이스(210)를 통해 캡슐에 연결되고 캡슐로부터의 식재료를 압출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캡슐부(200)에는 캡슐의 식재료가 식재료이동부(220)를 통해 압출부(3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식재료토출장치가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식재료토출장치는 압력을 이용하여 캡슐 내부의 식재료를 식재료이동부(220)로 배출하여 식재료가 식재료이동부(220)를 통해 압출부(300)로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식재료이동부(220)는 제1 이동부(221), 제2 이동부(222), 제3 이동부(22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이동부(221)는 마카롱의 색상을 결정하는 식용색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제2 이동부(222)는 마카롱 제조의 원재료 중 하나인 계란이나 설탕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고, 제3 이동부(223)는 마카롱 제조의 원재료를 구성하는 아몬드 분말과 설탕파우더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식재료이동부(220)는 제1 내지 제3 이동부(221, 222, 223) 외에 추가적인 이동부로 구성될 수 있고, 물 등을 공급하기 위한 이동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압출부(300)는 캡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식재료가 수납되고, 복수의 식재료가 혼합된 혼합식재료를 토출할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압출부(300)는 본체부(310), 노즐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3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310)는 식재료가 수납되는 내부케이스(312)와 내부케이스(312)를 둘러싼 외부케이스(311)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12)와 외부케이스(311) 사이에는 히팅장치(313)가 설치될 수 있고, 히팅장치(313)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내부케이스(312) 내부는 식재료 가공에 필요한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12)의 상부면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부케이스(312)에 수납된 식재료는 노즐 구멍(322)을 통해 베이스부(600)로 토출될 수 있다.
본체부(310)의 하부며에는 노즐부(320)가 마련된다. 노즐부(320)는 노즐(321)과 노즐(321)의 중앙에 노즐 구멍(322)이 형성된다.
노즐 구멍(322)은 혼합된 식재료가 도출되기 위한 소정의 직경을 가진다.
가압부(400)는 압출부(300) 내의 식재료들의 혼합력을 높이기 위해 압출부(300) 내부 표면에 부착된 혼합된 식재료를 긁어내고, 압출부(300) 내부의 혼합된 식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면, 가압부(400)는 제1 가압부(410)와 제2 가압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압부(410)는 제1 피스톤(411), 제1 피스톤구동부(412), 표면클린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스톤구동부(412)는 압출부(300)가 제1 위치에 위치하여 가압부(400)와 Z 축 방향으로 정렬하면, 제1 피스톤(411)을 Z축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에서 원형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표면클린부(413)의 상부면이다.
표면클린부(413)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 원통형케이스(413a)를 포함한다. 그리고, 표면클린부(413)의 원통형케이스(413a)의 직경은 압출부(300)의 내부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표면 클린부(413)가 압출부(300) 내부에 삽입시 표면클린부(413)와 압출부(300)의 내부 표면은 밀착된다.
표면클린부(413)의 상부면에는 가장자리 일 지점에서 일직선으로 타 지점까지 연장된 연장바(414b)가 형성된다. 연장바(414b)는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연장바로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연장바(414b)가 만나는 지점인 표면클린부(413)의 상부면의 중심 영역(414d)에는 제1 피스톤(411)의 끝단이 연결된다. 표면클린부(413)의 상부면은 두 개의 연장바(414b)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하고 개방되므로 개구부(413c)를 가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피스톤구동부(412)는 제1 피스톤(411)을 Z축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표면클린부(413)를 압출부(300)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표면클린부(413)는 압출부(300)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므로 압출부(300) 내부 표면에 부착된 식재료를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2 가압부(420)는 제2 피스톤(421), 제2 피스톤구동부(422), 커버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피스톤구동부(422)는 압출부(300)가 제2 위치에 위치하여 가압부(400)와 Z 축 방향으로 정렬하면, 제2 피스톤(421)을 Z축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부(423)는 제2 피스톤(421)의 끝단에 연결되고, 제2 피스톤(421)이 Z축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커버부(423)는 압출부(3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 피스톤(421)의 하측 방향으로의 운동에 따라 압출부(300) 내부의 혼합된 식재료에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식재료를 노즐부(32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베이스부(600)는 압출부(300)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성형되는 영역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부(600)는 온도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베이스부(600)의 상부면 표면을 미리 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혼합부(500)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혼합부이송부(510), 압출부(300)의 하단의 노즐 구멍(322)을 통해 삽입되어 압출부(30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식재료들을 혼합하는 블랜더부(520), 블랜더부(520)의 상하 이동 및 블랜더부(520)의 크기를 조절하며 혼합부이송부(510)에 설치된 블랜더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압출부(300)가 X축 방향에서 제2 위치에 위치하면, 제2 가압부(420)의 커버부(423)는 압출부(30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압출부(300)의 상부면을 덮개된다. 그리고, 혼합부(500)의 혼합부이송부(510)는 X 및 Y 축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X축 방향에서 제2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부(520)를 수축시켜 노즐 구멍(322)을 통해 블랜더부(520)가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조절한다. 그리고,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부(520)를 상승시킨다. 블랜더부(520)는 블랜더(521)와 블랜더 연결부(522)로 구성되고, 블랜더(521)는 수축하여 노즐 구멍(322)을 통해 압출부(300) 내부로 삽입된다.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521)가 압출부(3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블랜더(521)를 팽창시킨다.
블랜더(521)가 수축된다는 것은 높이는 증가하고 둘레는 축소되는 것이고, 블랜더(521)가 팽창된다는 것은 높이는 감소하고 둘레는 증가하는 것이다.
그 후,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 연결부(522)를 회전시켜, 블랜더 연결부(522)에 연결된 블랜더(52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블랜더(521)의 회전에 의해 압출부(300) 내부의 식재료의 거품 만들기 제조 또는 식재료의 혼합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식재료의 거품 만들기 또는 식재료의 혼합 과정이 마무리되면, 전술한 방식에서 반대의 방향으로 진행되며 블랜더(521)가 압출부(300)의 내부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9는 압출부가 제2 이동부와 정렬하여 제2 이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압출부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압출부가 제3 이동부와 정렬하여 제3 이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압출부 내부로 배출되는 것은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압출부가 제1 이동부와 정렬하여 제1 이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압출부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제2 이동부(222)와 압출부(300)를 Z 축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캡슐부(200)는 제2 이동부(222)와 연결된 캡슐에 수납된 식재료는 압출부(3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이동부(222)를 통해 계란의 흰자 성분이 배출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제3 이동부(223)와 압출부(300)를 Z 축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캡슐부(200)는 제3 이동부(223)와 연결된 캡슐에 수납된 식재료는 압출부(3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제3 이동부(223)를 통해 아몬드분말과 설탕파우터의 혼합 분말이 배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제1 이동부(221)와 압출부(300)를 Z 축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캡슐부(200)는 제1 이동부(221)와 연결된 캡슐에 수납된 식재료는 압출부(3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21)를 통해 식용색소가 배출될 수 있다.
도 12는 혼합부와 압출부의 미정렬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혼합부와 압출부의 정렬 상태에서 블랜더가 압출부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혼합부이송부(510)는 이동하여 혼합부(500)와 압출부(300)의 Z축 방향에서의 정렬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혼합모드가 아닐 때는 혼합부이송부(510)는 이동하여 블랜더부(520)가 베이스부(600)의 상부면에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출부(300)로부터 혼합된 식재료가 베이스부(600)에 도출될 수 있다.
식재료 공급 모드 또는 혼합모드 일 때는 혼합부이송부(510)가 이동하여 블랜더부(520)와 압출부(300)가 Z축 방향에서 정렬하고 블랜더부(520)의 블랜더(521)는 상승하여 압출부(3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세하게, 식재료 공급 모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출부(300)가 이동하여 캡슐부(200)로부터 식재료를 공급받을 때이다. 이 때, 압출부(300)내 삽입된 식재료가 노즐 구멍(32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랜더(521)는 압출부(300) 내부에 삽입되어 노즐 구멍(322)을 밀폐한다.
식재료 공급 모드에서 압출부(300)가 이동할 때 혼합부이송부(51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다른 측면에서, 혼합모드 일 때 블랜더(5210)는 압출부(300) 내부에서 회전하여 압출부(300) 내부의 식재료의 거품 내기 동작 또는 복수의 식재료의 혼합이 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베이스부에 식품이 성형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S100)은 압출부에 블랜더를 삽입하는 단계(S101), 압출부와 제2 이동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02), 압출부에 제1 식재료를 투입하는 단계(S103), 압출부와 제2 가압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04), 머랭을 제조하는 단계(S105), 압출부와 제3 이동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06), 압출부에 제2 식재료를 투입하는 단계(S107), 압출부와 제2 가압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08), 제1 및 제2 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09), 압출부와 제1 이동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10), 압출부에 제3 식재료를 투입하는 단계(S111), 압출부와 제2 가압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12), 제1 내지 제3 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13), 제2 가압부를 구동하여 압출부로부터 혼합된 식재료를 도출하여 베이스부에서 식품을 성형하는 단계(S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압출부에 블랜더를 삽입하는 단계(S101)
혼합부이송부(510)는 이동하여 블랜더부(520)와 압출부(300)의 노즐 구멍(322)을 Z축에서 정렬시킨다. 그리고,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부(520)를 압출부(300)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에 따라 압출부(300)의 노즐 구멍(322)은 밀폐된다.
압출부와 제2 이동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02)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제2 이동부(222)와 압출부(300)가 Z축에서 정렬되도록 한다. 이 때, 혼합부이송부(510)와 압출부(300)와 함께 이동한다.
압출부에 제1 식재료를 투입하는 단계(S103)
캡슐부(200)는 압출부(300)에 제2 이동부(222)를 통해 제1 식재료를 투입한다.
여기서의 제1 식재료는 계란 흰자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계란 흰자와 사용자가 설명한 설탕 양에 따라 결정된 소정의 설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슐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제조하고자 하는 마카롱 하나의 사이즈와 마카롱의 수량에 기초하여 적정량의 계한 흰자의 양을 결정하여 압출부(300)로 투입할 수 있다.
압출부와 제2 가압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04)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압출부(300)와 제2 가압부(420)가 Z축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2 가압부(420)의 커버부(423)는 압출부(300)의 상부 개방 영역을 밀폐한다.
머랭을 제조하는 단계(S105)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521)를 회전시킨다. 블랜더(521)의 회전에 의해 제1 식재료인 계란 흰자 또는 계란 흰자와 설탕의 혼합 식재료는 머랭화된다.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521)가 회전할 때의 부하를 측정한다. 블랜더(521)의 회전시 부하를 측정하여 제1 식재료의 머랭화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블랜더제어부(530)는 제1 기 설정치 이상의 부하가 측정되면 블랜더(521)의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압출부와 제3 이동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06)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압출부(300)와 제3 이동부(223)가 Z축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이 때, 혼합부(500)도 압출부(300)와 함께 이동한다.
압출부에 제2 식재료를 투입하는 단계(S107)
캡슐부(200)는 압출부(300)와 제3 이동부(223)가 서로 정렬된 것을 검출하면 제3 이동부(223)를 통해 제2 식재료를 압출부(300)로 투입한다.
여기서의 제2 식재료는 아몬드 분말과 설탕파우터의 혼합 식재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캡슐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제조하고자 하는 마카롱 하나의 사이즈와 마카롱의 수량에 기초하여 적정량의 혼합 식재료의 양을 결정하여 압출부(300)로 투입할 수 있다.
압출부와 제2 가압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08)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압출부(300)와 제2 가압부(420)가 Z축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2 가압부(420)의 커버부(423)는 압출부(300)의 상부 개방 영역을 밀폐한다.
제1 및 제2 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09)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521)를 회전시킨다. 블랜더(521)의 회전에 의해 머랭화된 제1 식재료와 제2 식재료는 서로 혼합된다.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521)가 회전할 때의 부하를 측정한다. 블랜더(521)의 회전시 부하를 측정하여 제1 및 제2 식재료의 혼합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블랜더제어부(530)는 제2 기 설정치 이상의 부하가 측정되면 블랜더(521)의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압출부와 제1 이동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10)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압출부(300)와 제1 이동부(221)가 Z축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이 때, 혼합부(500)도 압출부(300)와 함께 이동한다.
압출부에 제3 식재료를 투입하는 단계(S111)
캡슐부(200)는 압출부(300)와 제1 이동부(221)가 서로 정렬된 것을 검출하면 제1 이동부(221)를 통해 제3 식재료를 압출부(300)로 투입한다.
여기서의 제3 식재료는 식용 색소가 될 수 있다.
여기서의 식용 색소의 컬러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캡슐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제조하고자 하는 마카롱 하나의 사이즈와 마카롱의 수량에 기초하여 적정량의 제3 식재료의 양을 결정하여 압출부(300)로 투입할 수 있다.
압출부와 제2 가압부를 정렬시키는 단계(S112)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압출부(300)와 제2 가압부(420)가 Z축에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2 가압부(420)의 커버부(423)는 압출부(300)의 상부 개방 영역을 밀폐한다.
제1 내지 제3 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13)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521)를 회전시킨다. 블랜더(521)의 회전에 의해 머랭화된 제1 식재료, 제2 식재료 그리고 제3 식재료는 서로 혼합된다.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521)가 회전할 때의 부하를 측정한다. 블랜더(521)의 회전시 부하를 측정하여 제1 내지 제3 식재료의 혼합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블랜더제어부(530)는 제3 기 설정치 이상의 부하가 측정되면 블랜더(521)의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제2 가압부를 구동하여 압출부로부터 혼합된 식재료를 도출하여 베이스부에서 식품을 성형하는 단계(S114)
블랜더제어부(530)는 블랜더(521)를 압출부(300)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블랜더부(520)가 베이스부(600)의 상부면에 위치하지 않도록 혼합부이송부(510)는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압출부(300)의 노즐 구멍(322)에서 블랜더(521)를 제거하더라도, 압출부(300) 내부의 혼합된 식재료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는 고체화가 진행되었으므로 제2 가압부(420)에 의해 압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노즐 구멍(322)을 배출되지 않는다.
혼합부이송부(510)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 가압부(420)의 제2 피스톤(421)은 Z축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커버부(423)는 압출부(300)의 내부에 압력을 제공하며 아래로 이동하고 압출부(300) 내부의 혼합된 식재료는 노즐 구멍(322)을 통해 베이스부(600)의 상부면으로 도출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600) 상에서 마카롱 식품이 성형될 수 있다. 베이스부(600) 상에서 복수의 식품을 성형하기 위해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압출부(300)와 제2 가압부(420)의 정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압출부(300)와는 독립적으로 이송부(700)에 연결된 제2 가압부(420)도 압출부(300)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에서 머랭을 제조하는 단계(S105), 제1 및 제2 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09) 및 제1 내지 제3 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13)인 혼합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혼합 모드를 일시 중단하는 단계, 압출부와 제1 가압부를 정렬시키는 단계, 압출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식재료를 내부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압출부와 제2 가압부를 정렬시키는 단계 그리고 혼합 모드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머랭을 제조하는 혼합 모드나 제1 및 제2 식재료를 혼합하는 혼합 모드 또는 제1 내지 제3 식재료를 혼합하는 혼합 모드에서 식재료들이 고체화되면서 압출부(300)의 내부 표면에 들러붙을 수 있다. 따라서, 압출부(30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되는 식재료를 내부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머랭을 제조하는 단계(S105), 제1 및 제2 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09) 및 제1 내지 제3 식재료를 혼합하는 단계(S113)인 혼합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혼합 모드를 일시 중단하고, 이송부(700)는 압출부(300)를 이동시켜 압출부(300)와 제1 가압부(410)가 Z축에서 일직선으로 정렬하도록 하고, 제1 피스톤구동부(412)는 제1 피스톤(411)을 구동시켜 제1 피스톤(411)을 Z축 방향에서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면클린부(413)는 압출부(300)의 내부 표면을 긁고 지나가면서 압출부(300)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식재료를 내부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 후, 이송부(700)는 압출부(300)와 제2 가압부(420)를 다시 정렬시킬 수 있다. 그 후 혼합 모드가 재개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서로 다른 식재료를 저장한 복수의 캡슐이 수납된 캡슐부;
    상기 캡슐부로부터 상기 서로 다른 식재료를 공급받는 압출부;
    상기 압출부의 내부의 식재료를 혼합하는 혼합부;
    상기 압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태의 식품이 성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압출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미리 정해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밀폐된 케이스; 및
    상기 압출부 내의 식재료들의 혼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압출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혼합된 식재료를 긁어내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압출부 내부의 혼합된 식재료를 토출하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제2 가압부를 포함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부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피스톤구동부, 상기 제1 피스톤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출부 내부에 부착된 식재료를 상기 압출부 내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표면클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클린부는,
    상기 압출부 내부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의 원통형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케이스의 상부면에는 서로 수직한 두개의 연장바가 형성되고, 상기 두개의 연장바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제1 피스톤의 끝단이 연결되고,
    상기 원통형케이스는 상기 압출부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어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출부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식재료를 상기 압출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압출부는 상기 제1 가압부 또는 상기 제2 가압부와 정렬하여 상기 압출부 내부 표면에 부착된 식재료를 제거하거나 상기 압출부 내부의 식재료를 토출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는 제2 피스톤, 상기 제2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피스톤구동부, 상기 제2 피스톤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압출부 내부에 혼합된 식재료를 상기 압출부의 노즐부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을 제공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혼합부이송부, 상기 압출부의 하단의 노즐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압출부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식재료들을 혼합하는 블랜더부, 상기 블랜더부의 상하 이동 및 상기 블랜더부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혼합부이송부에 설치된 블랜더제어부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부는 상기 복수의 캡슐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압출부에 서로 다른 식재료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는 상기 복수의 이동부 중 어느 하나와 정렬하여 정렬된 이동부로부터 토출되는 식재료가 상기 압출부에 투입될 때, 상기 블랜더부는 상기 압출부 내에 삽입된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료는 계란 흰자, 설탕, 아몬드분말, 설탕파우더, 식용 색소를 포함하는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를 위한 프린터.
KR1020200110198A 2020-08-31 2020-08-31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 KR10249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98A KR102497748B1 (ko) 2020-08-31 2020-08-31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198A KR102497748B1 (ko) 2020-08-31 2020-08-31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58A KR20220028758A (ko) 2022-03-08
KR102497748B1 true KR102497748B1 (ko) 2023-02-08

Family

ID=8081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198A KR102497748B1 (ko) 2020-08-31 2020-08-31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7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45B1 (ko) 2016-10-19 2018-03-29 주식회사 로킷 바이오 3차원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084B1 (ko) 2016-12-06 2018-07-06 황광택 음식물 제조용 3d 프린터
KR102060349B1 (ko) * 2017-11-03 2019-12-30 주식회사 스페이스디 크림을 주원료로 하는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3d 푸드 프린터
KR20190070154A (ko) * 2017-12-12 2019-06-20 서순석 3d 푸드 프린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45B1 (ko) 2016-10-19 2018-03-29 주식회사 로킷 바이오 3차원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758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3866B2 (ja) 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EP3025969B1 (en) Water soluble pouches
JP6567001B2 (ja) 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三次元造形装置
CN107530975B (zh) 用于生成三维打印对象中的图像的系统和方法
KR101940063B1 (ko) 3d 인쇄 기술을 이용한 식품 성형방법
Bhusnure et al. 3D printing &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KR101524441B1 (ko) 다수의 원료공급부가 형성된 3d 프린터의 헤드
JP2000280354A (ja) 三次元造形装置および三次元造形方法
US478330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urface materials having partially different materials
KR102497748B1 (ko) 아몬드 분말을 이용한 마카롱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린터
CN105307841B (zh) 结构体的制造方法和制造装置
KR101770315B1 (ko) 사이드 인젝션 방식 화장용 펜슬의 심체 성형장치
CN106239909A (zh) 一种3d打印系统
KR102141454B1 (ko) 멀티노즐 방식의 3d 조형장치
KR101348128B1 (ko) 격실 튜브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와 그에 따른 격실 튜브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퀴즈 타입 격실 튜브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76051A (ko) 멀티 코팅이 가능한 슬롯다이
CN101239022B (zh) 热填充软胶胶囊的制造方法和冷却系统
CN106393544B (zh) 一种无缝纫一体式面套发泡结构及制备模具和制备方法
JP2005261286A (ja) 食品製造装置および食品製造方法
US8052409B2 (en) Device for molding an air mat
JP2018027637A (ja) 成型物を成型するシステム
KR101796839B1 (ko) 폴리우레탄 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
MX2007016113A (es) Molde para formacion por compresion de una capsula con tapa articulada.
KR101692978B1 (ko) 향기제품을 구현하는 3d 프린터
JP2007124969A (ja) 複数色模様食品の製造に用いるモ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