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088B1 -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088B1
KR102497088B1 KR1020210114814A KR20210114814A KR102497088B1 KR 102497088 B1 KR102497088 B1 KR 102497088B1 KR 1020210114814 A KR1020210114814 A KR 1020210114814A KR 20210114814 A KR20210114814 A KR 20210114814A KR 102497088 B1 KR102497088 B1 KR 10249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information
monitoring
remote
weap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용
진정훈
송형곤
조규태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9/00Systems for controlling missiles or projecti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GUI가 없거나 모니터가 없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관없이 관리자가 원격에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태 모니터링하거나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고,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개발자가 원격 제어 기능을 매번 따로 구현할 필요없이 본 발명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원격 제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종료 후 재실행없이 원격에서 특정 기능을 복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embedded weapon system}
본 발명은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BIT(Built-In Test)로 무기체계 제품별로 개별 동작하는 기능을 내장 테스트 및 통신 모듈을 구성하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기존 확인 방법은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태와 복구 방법을 제공하기 어렵고, 제품별로 테스트 방법과 통신 모듈이 구성되고 있다. 즉, 기존 확인 방법은 개발자에 의해 정의된 상태만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비정상 상태를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관되고 편리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34168호(2019. 11. 08.)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5158호(2015. 07. 23.) 등록특허공보 제10-0840349호(2008. 06. 20.)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2229호(2008. 08. 0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은,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으로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전체 명령어를 등록하는 단계; 관리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요청을 받으면, 상기 관리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의 원격 접속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인증된 상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요청 명령어를 상기 원격 통신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명령어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명령어는,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 및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어는,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및 재시작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IPC의 사용을 온(on) 및 오프(off)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는, 태스크의 상태를 시작(start), 종료지(stop), 일시정지(suspend) 및 재개(resume)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메시지의 사용을 온 및 오프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는, 로그 그룹의 출력 플래그(flag)를 변경하거나, 로그의 레벨을 변경하거나, 로그 그룹의 사용 플래그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는, 타이머를 정지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루틴의 사용을 온 및 오프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재시작 명령어는, 프레임워크 설정과 동적 모듈을 변경하고 프레임워크를 재부팅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는,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및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프레임워크의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IPC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IPC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태스크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태스크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이고, 상기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메시지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메시지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로그의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로그 그룹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로그 그룹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타이머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타이머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상기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리소스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리소스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노드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노드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상기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루틴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정보 설정 단계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별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TCP 통신 프로토콜, UDP 통신 프로토콜 및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로 상기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통신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체 명령어 등록 단계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별 전체 명령어 정보를 포함하는 기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명령어를 등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 통신 모듈은, 상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이면, 상기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며, 상기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하면,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하고,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상기 결과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상기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킨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로서,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전체 명령어를 등록하며, 관리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요청을 받으면, 상기 관리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의 원격 접속 가능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상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요청 명령어를 상기 원격 통신 모듈에 전송하며, 상기 요청 명령어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전체 명령어는,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 및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어는,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및 재시작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는,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및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격 통신 모듈은, 상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이면, 상기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며, 상기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하면,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하고,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상기 결과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함으로써, GUI가 없거나 모니터가 없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관없이 관리자가 원격에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태 모니터링하거나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개발자가 원격 제어 기능을 매번 따로 구현할 필요없이 본 발명을 사용하면 간편하게 원격 제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종료 후 재실행없이 원격에서 특정 기능을 복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이 수행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컨대,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컨대,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 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이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라 한다)(100)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이때,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시리얼(serial)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하고자 하는 대상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200)과 연결 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통신 모듈(200)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와 연결되면, 자신이 탑재되어 있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무기 식별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 식별 정보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일련번호 등과 같은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말한다.
또한, 원격 통신 모듈(200)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탑재되거나,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탑재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면 원격에서 제어(복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동작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 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며,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200)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 받아 동작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유무와 상관 없이 원격에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어도, 원격에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장애 또는 문제가 발생시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오작동에 의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에게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군사용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뿐만 아니라 산업용 내장형 시스템 분야, 우주용 내장형 시스템 분야 등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 및 통신 버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31)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31)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로 하여금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프로그램(131)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50)는 프로세서(1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30)를 포함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장치(10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7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70) 및 통신 인터페이스(190)는 통신 버스(150)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80)은 입출력 인터페이스(1700)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되며,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입출력 장치(도시하지 않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의 프로세서(110)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110).
즉, 프로세서(110)는 기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TCP 통신 프로토콜, UDP 통신 프로토콜 및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로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설정 정보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별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미리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획득하고, 획득한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무기 식별 정보가 "BBB"인 경우, 프로세서(100)는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로 통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무기 식별 정보 통신 프로토콜 정보
AAA TCP 통신 프로토콜
BBB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물론, 프로세서(110)는 미리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기 그룹을 획득하고, 무기 그룹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획득하고, 획득한 통신 프로토콜로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통신 정보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 설정 정보는 무기 식별 정보별 무기 그룹 정보, 무기 그룹 정보별 통신 프로토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10)는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전체 명령어를 등록할 수 있다(S120).
즉, 프로세서(110)는 기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전체 명령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설정 정보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별 전체 명령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미리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전체 명령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전체 명령어를 등록할 수 있다. 즉, 무기 식별 정보가 "BBB"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전체 명령어 B"를 등록할 수 있다.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무기 식별 정보 전체 명령어 정보
AAA 전체 명령어 A
BBB 전체 명령어 B
물론, 프로세서(110)는 미리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기 그룹을 획득하고, 무기 그룹에 대응되는 전체 명령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전체 명령어를 등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 설정 정보는 무기 식별 정보별 무기 그룹 정보, 무기 그룹 정보별 전체 명령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명령어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 및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을 복구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격 제어 명령어는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및 재시작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IPC의 사용을 온(on) 및 오프(off)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아래의 [표 3]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Change ipc 'ID' use on/off IPC를 on/off로 변경
그리고,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는 태스크의 상태를 시작(start), 종료지(stop), 일시정지(suspend) 및 재개(resume)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는 아래의 [표 4]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Change task 'ID' state start/stop/suspend/resume Task의 상태를 start, stop, suspend, resume으로 변경
그리고,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메시지의 사용을 온 및 오프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아래의 [표 5]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Change msg 'ID' use on/off Msg를 on/off로 변경
그리고,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는 로그 그룹의 출력 플래그(flag)를 변경하거나, 로그의 레벨을 변경하거나, 로그 그룹의 사용 플래그를 변경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는 아래의 [표 6]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Change logconf group add/del 'log gourp명' 로그 그룹 출력 flag 변경
Change logconf group 'lgo group명 portID level' 로그 레벨 변경
Change logprot 'log group명 portID' use on/off 로그 그룹 사용 on/off로 변경
그리고,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는 타이머를 정지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는 아래의 [표 7]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Change timer 'ID' state stop Timer 정지(run에서 idle로 변경
그리고,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루틴의 사용을 온 및 오프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아래의 [표 8]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Change routine 'taskID' use on/off Routine을 on/off로 변경
그리고, 재시작 명령어는 프레임워크 설정과 동적 모듈을 변경하고 프레임워크를 재부팅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재시작 명령어는 아래의 [표 9]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설명
restart 프레임워크를 재시작
restart fw 'new setting' 프레임워크 설정을 변경하여 프레임워크를 재시작
restart taskID Task를 재시작
restart taskID 'new object' 동적 모듈을 변경하여 Task를 재시작
이와 같은 재시작 명령을 통해 프레임워크의 내부 태스크나 프레임워크의 응용 소프트웨어의 태스크를 재시작할 수 있고, 재시작 시 새롭게 변경된 설정을 적용하며, 재컴파일없이 동적 모듈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동적 모듈을 변경하여 적용할 때 소프트웨어를 재컴파일하지 않고도 다른 동적 모듈을 지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는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및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프레임워크의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0]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fw 프레임워크 설정정보 node ID, 응용모듈이름, 버전, 폴더위치, 설정파일명, CLI 설정, Endian, OS/bit, Resolution, 모드
그리고,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IPC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IPC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1]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통해 IPC의 정보, IPC의 상태(Live, Idle)별 개수, IPC의 데이터 송신/수신 량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ipclist IPC list 정보 IPC 수, Data Size, IPC ID, IPC명, 프로세스 ID, Interface Type, Transport Type, Task명, Use 여부, 상태, 송/수신 데이터 크기
show ipc ipcID IPC 상세정보 IPC ID, IPC명, IPC 접근 ID, 프로세스 ID, Interface Type, Transport Type, Task명, 장치주소, IP/Port, Data flag/TX/RX 버퍼/server/frame/flow ctrl/CRC/Datalog flag, TX/RX 관련 정보, IPC 사용여부, IPC상태, Interface Type, Transport Type
그리고,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태스크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태스크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2]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통해 태스크의 정보, 태스크의 상태(Run, Suspend, Idle)별 개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tasklist Task list 정보 Task 수, Task ID, Task명, Task 엔트리 함수, Thread ID, CPU 번호, core mask, Task 시작 순서, 시작 시간, 우선 순위, 상태정보, 사용여부, Task Load
show task taskID Task 상세정보 TaskID, Thread ID, Task명, 함수명, 프로세스 ID, CPU번호, core mask, 시작순서, stack 크기, Task 스케줄, Task 실행함수 포함파일, 우선순위, 우선순위 실제 OS설정값, 상태정보, Task Load, 동작시간, 사용여부
그리고,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메시지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메시지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3]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msglist Msg list 정보 Msg ID, Msg명, 사용여부
show msg msgID Msg 상세정보 Msg ID, 수신 Task명, 송/수신 IPC ID, 사용여부
그리고,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로그의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로그 그룹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로그 그룹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4]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logconf Log 설정정보 Log ID, Log 레벨, Group ID
show loggrouplist Log group list 정보 Group ID, 표준출력, 파일출력, IPC log 레벨, CLI log 레벨, IPC 액세스 포인트, 최대 log 크기, 최대 log 파일 크기, 버퍼크기, log 옵션, 폴더명, 파일명
show logport 로그명 Log gourp의 port 상세설정정보 Log Type, Enable/Timestamp/file/function/line/simplefile flag, 사용여부
그리고,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타이머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타이머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5]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timerlist Timer list 정보 Timer 수, Timer ID, Timer명, type, CPU 번호, core mask, Timer 주기, 핸들러명, 상태, 사용여부
show timer timerID Timer 상세정보 Timer ID, Timer명, type, Timer 횟수, Timer 주기, Task ID, 상태, 사용여부
그리고,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리소스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리소스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6]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통해 뮤텍스, 세마포어, 공유메모리 등과 같은 리소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resourcelist Resource list 정보 Resource ID, Resource명, Type
show resourceID Resource 상세정보 Resource ID, Resource명, Type, 세마포어 cout, 공유메모리 주소/크기
그리고,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노드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노드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7]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통해 노드의 정보, 노드의 상태(Live, Missed)별 개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nodelist Node list 정보 Master/Slave, node 수, node ID, 응용 모듈명, 버전, OS/bit, node 상태
show node nodeID Node 상세정보 node ID, 응용모듈이름, 버전, 폴더위치, 설정파일명, CLI 설정, Endian, OS/bit, Resolution, 모드
그리고,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루틴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일 수 있다. 예컨대,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아래의 [표 18]과 같은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 모니터링 정보 설명
show routinelist Routine list 정보 Msg ID, Routine명, Task명, event type, event ID, 함수명, 사용여부
이후, 원격 접속 요청을 받으면(S130-Y), 프로세서(110)는 원격 접속 가능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S140).
즉, 프로세서(110)는 관리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요청을 받으면, 관리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의 원격 접속 가능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식별 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등과 같이 관리자의 접근 권한을 확인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말한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기 저장된 관리자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관리자가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권한 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등과 같은 고유 정보별 원격 접속 가능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인증되면(S140-Y), 프로세서(110)는 인증된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요청 명령어가 입력할 수 있다(S150).
이때, 관리자는 전체 명령어 등록 단계(S120)를 통해 등록된 전체 명령어 중에서 하나의 명령어를 입력하면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원격 모니터링이나 원격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명령어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어 및 해당 명령어에 파라미터가 필요한 경우 해당 명령어에 대응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10)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의 원격 통신 모듈(200)에 요청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S160). 그러면, 원격 통신 모듈(200)은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요청 명령어를 기반으로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통신 모듈(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후, 프로세서(110)는 요청 명령어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원격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70).
그런 다음, 프로세서(110)는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80). 이에 따라, 관리자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결과 정보를 통해 자신이 요청한 명령어에 대한 수행 결과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10)는 관리자의 다음 요청 명령어의 입력을 받기 위해 요청 명령어 입력 단계(S150)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1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다음 요청 명령어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지 않거나,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원격 접속 종료 요청을 받으면, 원격 통신 모듈(200)과의 원격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이 수행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200)은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로부터 요청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다(S210).
그런 다음,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20).
즉,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 통신 모듈(200)은 기 저장된 전체 명령어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 명령어가 기 저장된 전체 명령어 정보에 포함된 명령어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요청 명령어가 등록된 명령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원격 통신 모듈(200)은 자신이 탑재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에 대응되는 전체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고, 요청 명령어가 해당 전체 명령어에 포함된 명령어인지 검증하여 요청 명령어의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이면(S220-Y),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의 유효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S230).
즉,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 통신 모듈(200)은 기 저장된 전체 명령어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한 값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파라미터의 개수, 파라미터의 값타입, 파라미터의 범위 등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하면(S230-Y),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S240).
즉,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를 기반으로 자신이 탑재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가 아니거나(S220-N),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하지 않으면(S230-N), 원격 통신 모듈(200)은 다른 요청 명령어 존재 확인 단계(S270)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50).
즉, 관리자가 수행 결과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원격 통신 모듈(200)은 요청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결과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원격 통신 모듈(200)은 결과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260).
이후, 다른 요청 명령어가 존재하면(S270-Y), 원격 통신 모듈(200)은 다른 요청 명령어를 기반으로 요청 명령어 등록 여부 확인 단계(S220)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요청 명렁어가 존재하지 않으면(S270-N), 원격 통신 모듈(200)은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100)와의 원격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
110 : 프로세서,
130 :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31 : 프로그램,
150 : 통신 버스,
170 : 입출력 인터페이스,
190 :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13)

  1.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으로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전체 명령어를 등록하는 단계;
    관리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요청을 받으면, 상기 관리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의 원격 접속 가능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인증된 상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요청 명령어를 상기 원격 통신 모듈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요청 명령어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체 명령어는,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 및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정보 설정 단계는, 무기 식별 정보별 무기 그룹 정보 및 무기 그룹 정보별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기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기 그룹을 획득하고, TCP 통신 프로토콜, UDP 통신 프로토콜 및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로 상기 무기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통신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체 명령어 등록 단계는, 무기 식별 정보별 무기 그룹 정보 및 무기 그룹 정보별 전체 명령어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기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기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무기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명령어를 등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격 통신 모듈은, 상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이면, 상기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며, 상기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하면,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하고,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상기 결과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어는,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및 재시작 명령어를 포함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IPC의 사용을 온(on) 및 오프(off)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는, 태스크의 상태를 시작(start), 종료지(stop), 일시정지(suspend) 및 재개(resume)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메시지의 사용을 온 및 오프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는, 로그 그룹의 출력 플래그(flag)를 변경하거나, 로그의 레벨을 변경하거나, 로그 그룹의 사용 플래그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는, 타이머를 정지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는, 루틴의 사용을 온 및 오프 중 하나로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재시작 명령어는, 프레임워크 설정과 동적 모듈을 변경하고 프레임워크를 재부팅하는 명령어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는,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및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포함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프레임워크의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IPC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IPC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태스크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태스크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이고,
    상기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메시지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메시지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며,
    상기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로그의 설정 정보를 모니터링하거나, 로그 그룹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로그 그룹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타이머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타이머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상기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리소스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리소스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명령어이고,
    상기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노드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거나, 노드의 상세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이며,
    상기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는, 루틴의 리스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명령어인,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에 탑재된 원격 통신 모듈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로서,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대상인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통신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무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한 전체 명령어를 등록하며,
    관리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요청을 받으면, 상기 관리자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자의 원격 접속 가능 여부를 인증하고,
    인증된 상기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요청 명령어를 상기 원격 통신 모듈에 전송하며,
    상기 요청 명령어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통신 모듈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결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전체 명령어는,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 및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을 복구하기 위한 원격 제어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무기 식별 정보별 무기 그룹 정보 및 무기 그룹 정보별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기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무기 그룹을 획득하고, TCP 통신 프로토콜, UDP 통신 프로토콜 및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로 상기 무기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통신 정보를 설정하며,
    무기 식별 정보별 무기 그룹 정보 및 무기 그룹 정보별 전체 명령어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원격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상기 무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무기 그룹을 획득하고, 상기 무기 그룹에 대응되는 상기 전체 명령어를 등록하고,
    상기 원격 통신 모듈은, 상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 명령어가 기 등록된 명령어이면, 상기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증하며, 상기 요청 명령어의 파라미터가 유효하면,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하고, 상기 요청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를 문자열로 변환하여 상기 결과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결과 정보를 상기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에 전송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원격 제어 명령어는,
    IPC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태스크 상태 변경 명령어, 메시지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로그 상태 변경 명령어, 타이머 상태 변경 명령어, 루틴 사용 여부 변경 명령어 및 재시작 명령어를 포함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원격 모니터링 명령어는,
    프레임워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IPC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태스크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메시지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로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타이머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리소스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노드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 및 루틴 정보 모니터링 명령어를 포함하는,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장치.
  13. 삭제
KR1020210114814A 2021-08-30 2021-08-30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9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14A KR102497088B1 (ko) 2021-08-30 2021-08-30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14A KR102497088B1 (ko) 2021-08-30 2021-08-30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088B1 true KR102497088B1 (ko) 2023-02-07

Family

ID=85221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814A KR102497088B1 (ko) 2021-08-30 2021-08-30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0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349B1 (ko) 2007-04-23 2008-06-20 (주)유브릿지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72229A (ko) 2007-02-01 2008-08-06 이종훈 경관 조명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및 그에 따른조명장치
KR20150085158A (ko) 2014-01-13 2015-07-23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멸균기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KR102034168B1 (ko) 2018-10-11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기 체계 및 워리어 플랫폼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2229A (ko) 2007-02-01 2008-08-06 이종훈 경관 조명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및 그에 따른조명장치
KR100840349B1 (ko) 2007-04-23 2008-06-20 (주)유브릿지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5158A (ko) 2014-01-13 2015-07-23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멸균기 원격 제어 관리 시스템
KR102034168B1 (ko) 2018-10-11 2019-11-0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기 체계 및 워리어 플랫폼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082B2 (en) Persistent mobile device enrollment
WO2018113514A1 (zh) Cdn管理系统、方法及装置
US8904388B2 (en) Scripting language executor service for applications
US11108628B2 (en) Linking multiple enrollments on a client device
CN106911648B (zh) 一种环境隔离方法及设备
US10102378B2 (en) Boot images for units under test
JP5970559B2 (ja) 遠隔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操作方法
US11868787B2 (en) Managing persistent enrollment of a user device
US9529656B2 (en) Computer recovery method, computer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1005709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the deterministic autoconfiguration of a device
US20160224443A1 (en) Communication system, standby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andby program
KR102497088B1 (ko) 내장형 무기체계 시스템의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256575B2 (en) Methods,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and performing data backup jobs
US20220329480A1 (en) Agent application for managing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s
EP4018629B1 (en) Desktop virtualization with a dedicated cellular network connection for client devices
JP2011145827A (ja) 仮想バス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管理方法
US20080141262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service
US2014035187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6324994A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US94178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pedited loading of an image onto a storage device
US8844006B2 (en) Authentication of services on a partition
US202302974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center monitoring
US20220350631A1 (en) Transition to modern management using managed virtual machines
JP6418716B1 (ja) 情報端末装置の入出力デバイスを設定する方法、情報端末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サーバ
JP669035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