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298B1 -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298B1
KR102496298B1 KR1020220125577A KR20220125577A KR102496298B1 KR 102496298 B1 KR102496298 B1 KR 102496298B1 KR 1020220125577 A KR1020220125577 A KR 1020220125577A KR 20220125577 A KR20220125577 A KR 20220125577A KR 102496298 B1 KR102496298 B1 KR 10249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stened
injection
maintenance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호
Original Assignee
강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호 filed Critical 강인호
Priority to KR1020220125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 축전지, 정류기, 및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장비를 정기적 또는 긴급 유지 보수를 위한 스케줄 생성 및 부품 관리를 실행하는 보수 서버와,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의 가스를 제거하거나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 유닛이 포함된 축전지 랙이 구비된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Communication service maintenance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전반, 축전지, 정류기, 및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장비를 정기적 또는 긴급 유지 보수를 위한 스케줄 생성 및 부품 관리를 실행하는 보수 서버와,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의 가스를 제거하거나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 유닛이 포함된 축전지 랙이 구비된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20년 하반기 나라장터 국가종합전자조달사이트를 통하여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정보통신장비 유지보수용역 입찰공고의 과업요청서 내용을 살펴보면 불명확한 부분이 많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발주처에서는 입찰공고 유지보수과업 요청서에 4가지 형태로 유지보수방법을 명시하고 있었는데 첫째는 정보통신장비의 고장이 발생하면 수리만 하라는 것이고, 둘째는 정보통신장비의 고장수리도 하고 그 장비에 대한 일일점검도 하라는 것이다.
셋째는 정보통신장비에 대한 점검만 하라는 것이고, 넷째는 정보통신장비의 고장수리도 하고 구내 배선에 대한 수리도 하라는 것이다.
아울러 정보통신장비의 유지보수사업을 수행하는 기술자의 근무방법은 2가지로 분류되어 있는데 한 가지는 정보통신장비에 고장이 발생하면 현장에 와서 수리를 하고 돌아가는 일종의 출장수리 방식과, 또 다른 한 가지는 1 명 이상의 기술자가 매일 현장에 출근하도록 하는 일종의 배치근무 방식이다.
이처럼 유지보수 방법과 기술자의 근무방법이 다르다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으나 출장수리방식과 배치근무방식의 비용 산출에 있어서는 불명확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정기적 및 긴급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는 스케줄을 생성하고, 통신 장비 및 관련 세부 부품들을 데이터화하여 관리하는 기능부들이 포함된 서버를 구축하여 효과적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서비스를 위한 분전반, 축전지, 정류기, 및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장비가 구비된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장비를 정기적 및 긴급 유지 보수를 하고, 통신 장비와 그 세부 부품들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부들이 포함된 보수 서버가 구비된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에서 발생한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 제거 유닛이 포함된 축전지 랙이 구비된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에서 전달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 유닛이 포함된 축전지 랙이 구비된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를 위한 분전반, 축전지, 정류기, 및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비는, 유지 보수를 위한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화재 및 고장 발생 시에 긴급 신호를 생성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보수 서버는, 상기 통신 장비 각각에 대한 일련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장비관리부, 상기 통신 장비 각각의 유지보수를 위한 세부 부품들의 재고 및 작동 여부를 관리하는 부품관리부, 상기 통신 장비 각각을 유지보수하도록 정기적인 스케줄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로 송수신하는 스케줄부, 상기 통신 장비에서 생성한 긴급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긴급점검 신호를 송수신하는 긴급점검부, 상기 스케줄부 및 상기 긴급점검부에서의 상기 통신 장비에 대한 유지 보수 기록 및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단말기로 송수신하는 유지보수부, 상기 통신 장비 및 세부 부품들의 새로운 교체가 필요하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주문 가능하게 관리하는 주문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전지는 축전지 랙에 안착 및 보호되고, 상기 축전지 랙은, 상기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축전지 랙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 제거 유닛, 상기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축전지 랙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완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제거 유닛은, 상기 축전지 랙에 내장되어 공기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에어 탱크, 상기 에어 탱크와 일체로 연통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메인 파이프, 'ㅗ'자 형상이며 내부가 통공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가 삽입되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부재,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메인 파이프가 삽입되는 중간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중간 몸체를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재, 상기 중간 몸체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재,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분사를 위한 탄성력을 생성하는 분사 스프링, 복수 개의 상기 분사 스프링 각각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분사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중간 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메인 파이프가 삽입되는 하부 몸체, 상기 삽입부재, 및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의 둘레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어 상기 상부 몸체 내지 상기 하부 몸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링,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메인 파이프의 일단부와 체결되면서 회전 가능한 분사부 지지부재, 상기 분사부 지지부재의 하단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체결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를 이동한 공기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서브 파이프,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파이프 각각에 삽입되어 이동한 공기에 압력을 공급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력부재,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파이프 각각에 삽입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하단부에 몸체 체결부재가 형성된 분사부 몸체, 상기 몸체 체결부재에 체결되며, 압축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부재, 상기 분사부재의 하단면에 체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내장되도록 상기 분사부재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분사부 헤드, 상기 분사부 헤드의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분사공을 개폐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몸체 체결부재에 체결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부를 따라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연결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원판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 헤드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 제거 유닛은, 상기 에어 탱크에서 상기 메인 파이프로 이동하는 공기를 복수 개의 상기 분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분사되도록 하고, 복수 개의 상기 압력부재를 통해 압축 공기로 생성하여 상기 분사부로 분사하여 상기 축전지에서 발생한 가스 및 화재를 제거 및 진압하고, 상기 분사부 지지부재의 회전으로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의 회전 분사가 가능하고,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파이프의 각도를 조절하여 집중 분사 및 분산 분사가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에 체결된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돌기의 슬라이딩으로 상기 분사부의 개폐가 가능한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축전지 랙 내부에 설치되는 유닛 몸체, 상기 유닛 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 브라켓, 상기 유닛 브라켓의 중앙 하단면에서 하향으로 형성되고, 완충 가스가 저장된 제 1 완충 파이프, 상기 유닛 브라켓의 하단면에서 하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완충 가스가 저장된 제 2 완충 파이프, 상기 제 1 완충 파이프 및 상기 제 2 완충 파이프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사선 지지부재, 상기 제 1 완충 파이프에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피스톤부, 복수 개의 상기 제 2 완충 파이프 각각에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2 피스톤부, 상기 제 1 완충 파이프 및 복수 개의 상기 제 2 완충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파이프 연결부재, 상기 제 1 피스톤부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완충 파이프 내부의 완충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구비된 제 1 마감부재, 상기 제 2 피스톤부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완충 파이프 내부의 완충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구비된 제 2 마감부재, 상기 제 1 피스톤부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부, 복수 개의 상기 제 2 피스톤부의 타단부 및 상기 완충부의 하단부에 일체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지지 몸체, 상기 지지 몸체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 지지판, 상기 브라켓 지지판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유동부 브라켓, 상기 유동부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전지를 지지하는 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둘레부를 따라 체결 나사산이 형성된 완충부 몸체, 상기 완충부 몸체의 내부 단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원충부 하우징, 상기 완충부 하우징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재,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의 상기 고정돌기에 끼움 결합되고, 탄성력을 생성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 스프링, 상기 완충부 몸체의 상기 체결 나사산을 따라 체결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탄성 소재의 완충부재, 상기 완충부재의 상기 체결공으로 삽입되도록 체결나사가 돌출 형성된 완충부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유닛은, 상기 축전지로 충격이 발생하면, 상기 제 1 피스톤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제 2 피스톤부가 완충 가스를 밀어내면서 피스톤 운동을 하여 완충 작용을 하고, 상기 완충부의 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완충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 작용을 하며, 상기 유동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축전지가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전반, 축전지, 정류기, 및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장비를 정기적 또는 긴급 유지 보수를 위한 스케줄 생성 및 부품 관리를 실행하는 보수 서버와,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의 가스를 제거하거나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 유닛이 포함된 축전지 랙이 구비된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에 따른 전체적인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보수 서버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정기 유지 보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긴급 유지 보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축전지 랙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가스 제거 유닛의 분해도 및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분사부의 조립도 및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완충 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완충부의 조립도 및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에 따른 전체적인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를 위한 분전반, 축전지, 정류기, 및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장비(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비(10)는 유지 보수를 위한 보수 서버(2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화재 및 고장 발생 시에 긴급 신호를 생성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수 서버(20)는 축전지를 안착 및 보호하는 축전지 랙(100)과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보수 서버(20)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수 서버(20)는 장비관리부(21), 부품관리부(22), 스케줄부(23), 긴급점검부(24), 유지보수부(25) 및 주문관리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관리부(21)는 통신 장비(10) 각각에 대한 일련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부품관리부(22)는 통신 장비(10) 각각의 유지보수를 위한 세부 부품들의 재고 및 작동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스케줄부(23)는 통신 장비(10) 각각을 유지보수하도록 정기적인 스케줄을 생성하여 단말기로 송수신할 수 있다.
긴급점검부(24)는 통신 장비(10)에서 생성한 긴급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로 긴급점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유지보수부(25)는 스케줄 부 및 긴급점검부(24)에서의 통신 장비(10)에 대한 유지 보수 기록 및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며, 단말기로 송수신할 수 있다.
주문관리부(26)는 통신 장비(10) 및 세부 부품들의 새로운 교체가 필요하면 단말기를 통해 주문 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정기 유지 보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S110 단계 : 통신 장비(10) 각각의 일련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S120 단계 : 통신 장비(10) 각각의 세부 부품들의 재고 및 작동 여부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S130 단계 : 통신 장비(10) 각각의 정기적인 유지보수 스케줄을 생성한다.
S140 단계 : 정기 스케줄을 관리자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S150 단계 : 통신 장비(10) 각각의 유지보수 기록 및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한다.
S160 단계 : 새로운 교체가 필요한 통신 장비(10) 및 세부 부품들을 단말기를 통해 주문한다.
이때, S160 단계에서 S110 단계로 회귀하여 정기적인 유지보수 스케줄로 통신 장비(10)를 관리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긴급 유지 보수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S210 단계 : 통신 장비(10)에서 화재 및 고장 발생 시 긴급 신호를 단말기로 송신한다.
S220 단계 : 통신 장비(10)의 유지 보수 기록 및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한다.
S230 단계 : 새로운 교체가 필요한 통신 장비(10) 및 세부 부품들을 단말기를 통해 주문한다.
이때, S230 단계에서 S110 단계로 회귀하여 긴급 유지보수 이후 정기적인 유지보수 스케줄을 생성하여 통신 장비(10)를 관리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새로운 통신 장비(10) 및 세부 부품들을 일련번호를 지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재고 관리에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가스 제거 유닛(200)의 분해도 및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축전지 랙(100)은 보수 서버(2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면서 축전지 랙(100)의 내부 상단면에 설치되어 축전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 제거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제거 유닛(200)은 에어 탱크(210), 메인 파이프(220), 상부 몸체(230), 삽입부재(240), 중간 몸체(250), 몸체 연결부재(251), 파이프 지지부재(260), 분사 스프링(270), 스프링 지지부재(280), 하부 몸체(290), 지지링(300), 분사부 지지부재(310), 서브 파이프(320), 압력부재(330), 및 분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탱크(210)는 축전지 랙(100)에 내장되어 공기를 저장하고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메인 파이프(220)는 에어 탱크(210)와 일체로 연통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몸체(230)는 'ㅗ'자 형상이며 내부가 통공되어 메인 파이프(22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재(240)는 상부 몸체(230) 내부에 내장되어 메인 파이프(220)의 삽입을 가이드하고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중간 몸체(250)는 상부 몸체(230)의 하부에 체결되며 메인 파이프(220)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몸체 연결부재(251)는 상부 몸체(230)와 중간 몸체(25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몸체 연결부재(251)는 상부 몸체(230) 및 중간 몸체(250)의 형상과 둘레부가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파이프 지지부재(260)는 중간 몸체(250) 내부에 내장되어 메인 파이프(220)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 스프링(270)은 파이프 지지부재(260)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분사를 위한 탄성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부재(280)는 복수 개의 분사 스프링(270) 각각에 끼움 결합되어 파이프 지지부재(260)로부터 분사 스프링(270)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몸체(290)는 중간 몸체(250)의 하부에 체결되며 메인 파이프(220)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링(300)은 삽입부재(240), 및 파이프 지지부재(260)의 둘레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어 상부 몸체(230), 중간 몸체(250), 하부 몸체(29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 지지부재(310)는 하부 몸체(290)의 내부에 내장되되 메인 파이프(220)의 일단부와 체결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서브 파이프(320)는 분사부 지지부재(310)의 하단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체결되어 메인 파이프(220)를 이동한 공기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압력부재(330)는 복수 개의 서브 파이프(320) 각각에 삽입되어 이동한 공기에 압력을 공급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340)는 복수 개의 서브 파이프(320) 각각에 삽입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340)는 분사부 몸체(341), 분사부재(342), 연결부재(343), 분사부 헤드(344), 및 커버부재(345)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 몸체(341)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 몸체(341)는 하단부에 몸체 체결부재(3452)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재(342)는 몸체 체결부재(3452)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재(342)는 압축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공(342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재(342)는 몸체 체결부재(3452)에 체결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 베이스부(34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재(342)는 베이스부(342a)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부를 따라 슬라이딩부(342c)가 형성된 돌출부재(34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43)는 분사부재(342)의 하단면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43)는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연결 돌기(343a)가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342c)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분사부 헤드(344)는 연결부재(343)가 내장되도록 분사부재(342)의 하단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재(345)는 분사부 헤드(344)의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분사공(342d)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345)는 원판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34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345)는 커버 플레이트(3451)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분사부 헤드(344)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재(34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 탱크(210)에 메인 파이프(220)가 일체로 연결되고, 메인 파이프(220)의 둘레부에 파이프 지지부재(260), 삽입부재(240)가 삽입된다.
파이프 지지부재(260), 및 삽입부재(240)의 둘레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링(300)이 체결된다.
또한, 파이프 지지부재(260)의 둘레부에 복수 개의 스프링 지지부재(280)와 복수 개의 분사 스프링(270)이 체결된다.
또한, 상기 형상에 상부 몸체(230), 중간 몸체(250)가 조립된다.
메인 파이프(220)의 하단부에 분사부 지지부재(310)가 조립된다.
분사부 지지부재(310)에는 서브 파이프(320), 압력부재(330), 분사부(340)가 순서대로 조립되고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된다.
분사부(340)는 분사부 몸체(341)를 기준으로 분사부재(342), 연결부재(343), 분사부 헤드(344), 커버부재(345) 순으로 조립된다.
가스 제거 유닛(200)은 보수 서버(2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에어 탱크(210)에서 메인 파이프(220)로 이동하는 공기가 복수 개의 분사 스프링(270)의 탄성력에 의해 분사된다.
이때, 복수 개의 압력부재(330)를 통해 압축 공기로 생성하여 분사부(340)로 분사하여 축전지에서 발생한 가스 및 화재를 제거 및 진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부 지지부재(310)의 회전으로 복수 개의 분사부(340)의 회전 분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서브 파이프(320)의 각도를 조절하여 집중 분사가 되거나 분산 분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342c)에 체결된 복수 개의 연결돌기의 슬라이딩으로 분사부(340)의 개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의 완충 유닛(40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면, 축전지 랙(100)은 보수 서버(2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면서 축전지 랙(100)에 설치되어 축전지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하는 완충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유닛(400)은 유닛 몸체(410), 유닛 브라켓(420), 제 1 완충 파이프(430), 제 2 완충 파이프(440), 사선 지지부재(450), 제 1 피스톤부(460), 제 2 피스톤부(470), 파이프 연결부재(480), 제 1 마감부재(490), 제 2 마감부재(500), 완충부(510), 지지 브라켓(520), 지지 몸체(530), 브라켓 지지판(540), 유동부 브라켓(550), 및 유동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몸체(410)는 축전지 랙(100)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닛 브라켓(420)은 유닛 몸체(410)의 하부에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 1 완충 파이프(430)는 유닛 브라켓(420)의 중앙 하단면에서 하향으로 형성되고, 완충 가스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완충 가스는 압축 공기, 질소 가스 등으로 후술할 피스톤 운동을 위한 가스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완충 파이프(440)는 유닛 브라켓(420)의 하단면에서 하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완충 가스가 저장될 수 있다.
사선 지지부재(450)는 제 1 완충 파이프(430) 및 제 2 완충 파이프(440) 사이를 지지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피스톤부(460)는 제 1 완충 파이프(430)에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2 피스톤부(470)는 복수 개의 제 2 완충 파이프(440) 각각에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파이프 연결부재(480)는 제 1 완충 파이프(430) 및 복수 개의 제 2 완충 파이프(440)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마감부재(490)는 제 1 피스톤부(46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제 1 완충 파이프(430) 내부의 완충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마감부재(500)는 제 2 피스톤부(470)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제 2 완충 파이프(440) 내부의 완충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510)는 제 1 피스톤부(46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완충 작용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510)는 완충부 몸체(5101), 완충부 하우징(5102), 스프링 고정부재(5103), 완충 스프링(5104), 완충부재(5105), 및 완충부 헤드(5106)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 몸체(5101)는 지지 브라켓(520)의 상단면에 형성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 몸체(5101)는 둘레부를 따라 체결 나사산(510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 몸체(5101)는 내부 단면에 세로 방향으로 슬라이딩 돌기(5101b)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 하우징(5102)은 슬라이딩 돌기(5101b)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홈(5102a)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부재(5103)는 완충부 하우징(5102)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향으로 고정돌기(5103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완충 스프링(5104)은 스프링 고정부재(5103)의 고정돌기(5103a)에 끼움 결합되고, 탄성력을 생성하여 완충 작용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5105)는 완충부 몸체(5101)의 체결 나삿ㄴ을 따라 체결되고, 체결공(5105a)이 형성된 탄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소재는 고무, 우레탄, PVC 등 탄성력을 특성으로 갖춘 소재면 바람직하다.
완충부 헤드(5106)는 완충부재(5105)의 체결공(5105a)으로 삽입되도록 체결나사(5106a)가 돌출 형성되게끔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520)은 복수 개의 제 2 피스톤부(470)의 타단부 및 완충의 하단부에 일체로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몸체(530)는 지지 브라켓(520)의 하단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 지지판(540)은 지지 몸체(530)의 하단부에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유동부 브라켓(550)은 브라켓 지지판(540)의 하단부에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동부(560)는 유동부 브라켓(55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전지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유닛 몸체(410)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닛 브라켓(420)에 제 1 완충 파이프(430), 복수 개의 제 2 완충 파이프(440)가 조립된다.
이때, 제 1 완충 파이프(430)는 제 1 마감부재(490)가 체결된 제 1 피스톤부(460)가, 제 2 완충 파이프(440)는 제 2 마감부재(500)가 체결된 제 2 피스톤부(470)가 삽입된 상태이다.
또한, 제 1 완충 파이프(430) 및 복수 개의 제 2 완충 파이프(440)는 복수 개의 파이프 연결부재(48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된다.
제 1 완충 파이프(430)의 하단부에 완충부(510)가 조립되고, 복수 개의 제 2 완충 파이프(440)와 함께 지지 브라켓(520)에 조립된다.
지지 브라켓(520)에서 하향으로 지지 몸체(530), 브라켓 지지판(540), 유동부 브라켓(550), 유동부(560)가 순서대로 조립된다.
완충부(510)는 지지 브라켓(520)을 기준으로 상향으로 완충부 몸체(5101), 완충부 하우징(5102), 스프링 고정부재(5103), 완충 스프링(5104), 완충부재(5105), 완충부 헤드(5106)가 순서대로 조립된다.
완충 유닛(400)은 보수 서버(2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축전지에 충격이 발생하면 동작한다.
충격이 발생하면 제 1 피스톤부(460) 및 복수 개의 제 2 피스톤부(470)가 완충 가스를 밀어내면서 피스톤 운동을 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부(510)의 완충부재(5105) 및 완충 스프링(5104)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완충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유동부(560)는 축전지로 전달된 충격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는 데, 회동을 하지 않으면 축전지의 움직임에 의해 유동부 브라켓(550)이 고정되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유동부(560)를 충격에 의한 축전지의 움직임과 대응하게끔 회동시켜 유동부 브라켓(55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축전지를 이탈하지 않게 고정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통신 장비(10)
보수 서버(20)
장비관리부(21)
부품관리부(22)
스케줄부(23)
긴급점검부(24)
유지보수부(25)
주문관리부(26)
축전지 랙(100)
가스 제거 유닛(200)
에어 탱크(210)
메인 파이프(220)
상부 몸체(230)
삽입부재(240)
중간 몸체(250)
몸체 연결부재(251)
파이프 지지부재(260)
분사 스프링(270)
스프링 지지부재(280)
하부 몸체(290)
지지링(300)
분사부 지지부재(310)
서브 파이프(320)
압력부재(330)
분사부(340)
분사부 몸체(341)
분사부재(342)
베이스부(342a)
돌출부재(342b)
슬라이딩부(342c)
분사공(342d)
연결부재(343)
연결 돌기(343a)
분사부 헤드(344)
커버부재(345)
커버 플레이트(3451)
체결부재(3452)
완충 유닛(400)
유닛 몸체(410)
유닛 브라켓(420)
제 1 완충 파이프(430)
제 2 완충 파이프(440)
사선 지지부재(450)
제 1 피스톤부(460)
제 2 피스톤부(470)
파이프 연결부재(480)
제 1 마감부재(490)
제 2 마감부재(500)
완충부(510)
완충부 몸체(5101)
체결 나사산(5101a)
슬라이딩 돌기(5101b)
완충부 하우징(5102)
슬라이딩 홈(5102a)
스프링 고정부재(5103)
고정돌기(5103a)
완충 스프링(5104)
완충부재(5105)
체결공(5105a)
완충부 헤드(5106)
체결나사(5106a)
지지 브라켓(520)
지지 몸체(530)
브라켓 지지판(540)
유동부 브라켓(550)
유동부(560)

Claims (3)

  1. 통신 서비스를 위한 분전반, 축전지, 정류기, 및 교환기를 구비하는 통신 장비;
    를 포함하는,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비는,
    유지 보수를 위한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화재 및 고장 발생 시에 긴급 신호를 생성하는 특징을 포함하고,
    상기 보수 서버는,
    상기 통신 장비 각각에 대한 일련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장비관리부;
    상기 통신 장비 각각의 유지보수를 위한 세부 부품들의 재고 및 작동 여부를 관리하는 부품관리부;
    상기 통신 장비 각각을 유지보수하도록 정기적인 스케줄을 생성하여 단말기로 송수신하는 스케줄부;
    상기 통신 장비에서 생성한 긴급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로 긴급점검 신호를 송수신하는 긴급점검부;
    상기 스케줄부 및 상기 긴급점검부에서의 상기 통신 장비에 대한 유지 보수 기록 및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단말기로 송수신하는 유지보수부;
    상기 통신 장비 및 세부 부품들의 새로운 교체가 필요하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주문 가능하게 관리하는 주문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지는 축전지 랙에 안착 및 보호되고,
    상기 축전지 랙은,
    상기 보수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축전지 랙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 제거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제거 유닛은,
    상기 축전지 랙에 내장되어 공기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에어 탱크;
    상기 에어 탱크와 일체로 연통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메인 파이프;
    'ㅗ'자 형상이며 내부가 통공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가 삽입되는 상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삽입부재;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메인 파이프가 삽입되는 중간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중간 몸체를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재;
    상기 중간 몸체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의 둘레부에 삽입되어 지지하는 파이프 지지부재;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분사를 위한 탄성력을 생성하는 분사 스프링;
    복수 개의 상기 분사 스프링 각각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로부터 상기 분사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재;
    상기 중간 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기 메인 파이프가 삽입되는 하부 몸체;
    상기 삽입부재, 및 상기 파이프 지지부재의 둘레부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삽입되어 상기 상부 몸체 내지 상기 하부 몸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링;
    상기 하부 몸체의 내부에 내장되되 상기 메인 파이프의 일단부와 체결되면서 회전 가능한 분사부 지지부재;
    상기 분사부 지지부재의 하단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끔 체결되어 상기 메인 파이프를 이동한 공기를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서브 파이프;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파이프 각각에 삽입되어 이동한 공기에 압력을 공급하여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력부재;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파이프 각각에 삽입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하단부에 몸체 체결부재가 형성된 분사부 몸체;
    상기 몸체 체결부재에 체결되며, 압축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부재;
    상기 분사부재의 하단면에 체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가 내장되도록 상기 분사부재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분사부 헤드;
    상기 분사부 헤드의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분사공을 개폐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몸체 체결부재에 체결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고, 둘레부를 따라 슬라이딩부가 형성된 돌출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연결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원판 형상의 커버 플레이트;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서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분사부 헤드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제거 유닛은,
    상기 에어 탱크에서 상기 메인 파이프로 이동하는 공기를 복수 개의 상기 분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분사되도록 하고,
    복수 개의 상기 압력부재를 통해 압축 공기로 생성하여 상기 분사부로 분사하여 상기 축전지에서 발생한 가스 및 화재를 제거 및 진압하고,
    상기 분사부 지지부재의 회전으로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의 회전 분사가 가능하고,
    복수 개의 상기 서브 파이프의 각도를 조절하여 집중 분사 및 분산 분사가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에 체결된 복수 개의 상기 연결돌기의 슬라이딩으로 상기 분사부의 개폐가 가능한 특징을 더 포함하는,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25577A 2022-09-30 2022-09-30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 KR10249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577A KR102496298B1 (ko) 2022-09-30 2022-09-30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577A KR102496298B1 (ko) 2022-09-30 2022-09-30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298B1 true KR102496298B1 (ko) 2023-02-06

Family

ID=8522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577A KR102496298B1 (ko) 2022-09-30 2022-09-30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2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928A (ko) * 2006-06-16 2007-12-21 주식회사 씨피에스 이상발생 감지 정류시스템
JP2012129674A (ja) * 2010-12-14 2012-07-05 Nec Corp ネットワーク保守システムと方法並びに装置
KR101998863B1 (ko) * 2018-08-13 2019-10-01 주식회사 에이디엠 네트워크 장비의 통신장애관리와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928A (ko) * 2006-06-16 2007-12-21 주식회사 씨피에스 이상발생 감지 정류시스템
JP2012129674A (ja) * 2010-12-14 2012-07-05 Nec Corp ネットワーク保守システムと方法並びに装置
KR101998863B1 (ko) * 2018-08-13 2019-10-01 주식회사 에이디엠 네트워크 장비의 통신장애관리와 유지관리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ler A hundred days of continuous integration
US8909634B2 (e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A2831142C (en) Maintenance system for aircraft fleet and method for planning maintenance
US6883170B1 (en) Method and system to maintain a hierarchy of instantiated application objects and to enable recovery from an applications failure
CN109993542A (zh) 一种分派工单的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04731580A (zh) 基于Karaf与ActiveMQ的自动化运维系统及其实现方法
US2007001980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racking support calls and determining proactive support strategies
CN105610987A (zh) 管理服务器集群的方法、应用及系统
Hillestad et al. Models and techniques for recoverable item stockage when demand and the repair process are nonstationary: Part I: Performance measurement
CA2459565A1 (en) Component provisioning or issuance in a maintenance, repair or overhaul environment
Alshammari et al. Disaster recovery with minimum replica plan for reliability checking in multi-cloud
CN106060140A (zh) 一种远程管理服务系统
KR102496298B1 (ko) 통신 서비스 유지 보수 시스템
US2017004388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ealth management of a fleet of aircraft
CN110109371A (zh) 智能家居设备管理系统和设备管理方法
Ilarslan et al. Mitigating the impact of false alarms and no fault found events in military systems
US75842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echnicians access to dispatch information
US20160307127A1 (en) Spatio-temporal crew planning
JP2009026184A (ja) 遠隔端末の保守システムおよび保守方法
CN113762718A (zh) 低轨互联网星座在轨运行自动化管理系统
Franklin et al. A strategy for optimal management of spares
Teorey et al. Dependability and performance measures for the database practitioner
US89660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Isaacson et al. Dyna-METRIC Version 6
Zalewski Beyond ATAM: Architecture analysis in the development of large scale software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