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222B1 -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 Google Patents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222B1
KR102496222B1 KR1020220011281A KR20220011281A KR102496222B1 KR 102496222 B1 KR102496222 B1 KR 102496222B1 KR 1020220011281 A KR1020220011281 A KR 1020220011281A KR 20220011281 A KR20220011281 A KR 20220011281A KR 102496222 B1 KR102496222 B1 KR 102496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elt
leather
leather belt
weigh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0405A (en
Inventor
박규태
Original Assignee
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태 filed Critical 박규태
Priority to KR102022001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222B1/en
Publication of KR20220140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4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2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body or the legs, e.g. for the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ckl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에 관한 것으로, 가죽으로 제작되는 가죽띠 및 상기 가죽띠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죽띠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가죽띠에 접촉 가압되어 고정하는 버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부는 상기 가죽띠가 통과되는 통과구를 구비하는 버클통; 상기 버클통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띠의 길이를 조절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버클통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띠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including a leather belt made of leather and a buckle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ather belt and fixed by being pressed in contact with the leather bel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And, the buckle part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eather belt pas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including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front of the buckle barrel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and a fixing portion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buckle barrel to which one end of the leather belt is fixed. there is.

Description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용 편의성 및 편안함을 높이기 위해 벨트에 구비된 버클통을 통해 가죽이 벨트 바깥쪽으로 나가도록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which allows leather to come out of the belt through a buckle barrel provided in the belt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and comfort. It's about the belt.

웨이트리프팅(Weightlifting)은 기다란 바의 양 끝에 여러 중량의 원판을 동일한 무게가 되도록 양쪽에 부착한 역기(바벨, Barbell)를 두 손으로 들어올리는 운동으로 역도라고도 한다. 웨이트리프팅은 고중량을 들어올리므로 신체의 여러 부위의 근육을 써야되고 그 만큼 부상의 위험이 있다. Weightlifting is an exercise in lifting with both hands a weight (barbell) attached to both ends of a long bar with discs of various weights so that the weight is the same. Weightlifting lifts heavy weights, so you have to use the muscles of various parts of the body and there is a risk of injury.

이에 운동자는 웨이트리프팅을 하기 전, 웨이트리프팅 벨트(Weigthlifting belt), 스트랩(Strap), 무릅아대(Knee wrap), 손목밴드(Wristband) 등을 착용하고 리프트 동작을 해야 부상의 위험에서 안전할 수 있다. Therefore, before weightlifting, the exerciser must wear a weightlifting belt, strap, knee wrap, wristband, etc. before performing the lift operation to be safe from the risk of injury. .

여기서, 웨이트리프팅 벨트는 역도벨트라고도 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허리부위를 압박하여 허리를 똑바로 펴진 상태로 만들어 주면서 허리 및 척추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복강압을 통한 근력향상에 도움이 된다. Here, the weightlifting belt is also called a weightlifting belt. It is fixed to wrap around the user's waist and compresses the waist to make the waist straight while protecting the waist and spine, as well as helping to improve muscle strength through intra-abdominal pressure. .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허리에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꽉 동여매면 배에 힘을 줬을 때 복압이 효과적으로 올라가게 되어 신체의 몸통은 하나의 덩어리처럼 단단해져 허리가 다치지 않게 된다.Specifically, when a user tightly ties a weightlifting belt around his or her waist, abdominal pressure is effectively increased when force is applied to the stomach, so that the torso of the body becomes hard like a lump, so that the waist is not injured.

시중에는 다양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판매하고 있으며, 레버밸트(Lever belt), PR벨트(Power rachet belt), SBD벨트, 프롱벨트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각각의 웨이트리프팅 벨트는 각각 문제점이 있어 새로운 형태의 웨이트리프팅 벨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Various weightlifting belts are sold on the market, and representative belts are lever belts, PR belts (Power rachet belts), SBD belts, and prong belts. However, each weight-lifting belt has its own problems, so a new type of weight-lifting belt is needed.

구체적으로, 레버벨트는 길이 조절을 위해 드라이버로 버클을 풀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다시 나사를 결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착용 시 여분의 가죽이 벨트 안으로 들어가 사용자가 복부 또는 허리에 이물감을 느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ever belt is inconvenient to loosen the buckle with a screwdriver to adjust the length and then screw the screw back to the desired location, and when worn, excess leather enters the belt and the user may feel a foreign body on the abdomen or waist. .

PR벨트는 래칫을 착용시 오래 걸리고 웨빙을 래칫의 도르래로 감는 반복되는 동작으로 손에 피로가 올 수 있다. SBD벨트는 착용이 간편하고 빠르나, 여분의 가죽이 벨트 안쪽으로 말려들어가 사용자가 불편할 수 있다. 프롱벨트는 일반적인 의복용 벨트와 비슷한 형태이고, 착의 및 탈의 시 손에 힘을 가하여 버클을 결합하고 해제하기 때문에 힘들고 오래걸릴 수 있다. The PR belt takes a long time when wearing the ratchet, and the repeated motion of winding the webbing around the pulley of the ratchet can cause fatigue in the hand. SBD belts are easy and fast to wear, but excess leather is rolled inside the belt, which can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A prong belt has a similar shape to a general belt for clothing, and it can be difficult and takes a long time to connect and release the buckle by applying force to the hand when putting on and taking off.

이에,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1481호 “허리보호용 복대”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2개의 분할부들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허리 지지부와, 상기 허리 지지부의 양측 단부에서 허리를 감싸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측 밴드부, 상기 분할되어 대향 배치된 허리 지지부들의 단부에 제공된 고리들을 통해 지지부들을 서로 결합시키도록 조이는 당김줄을 구비하는 허리보호용 복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허리 지지부는 대향되게 배치되는 2개의 분할부들 각각의 대향된 단부에는 연결부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부는 플라스틱판에 일정 간격으로 제공된 홀더가 플라스틱판에 고정되고 플라스틱판의 단부에서 일부 돌출되어 재봉질로 고정되며, 홀더에는 각각 상기 당김줄용 고리를 제안하고 있다.Accordingly, as the prior art,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41481, "belly belt for waist protection" is described. The technology is divided into two divided parts and coupled waist support, left and right band parts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waist at both ends of the waist support and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divided and opposed waist supports. It relates to a belly band for waist protection having a pulling line tightened so as to couple the support parts to each other through rings provided at the ends, wherein the waist support par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art at the opposite end of each of the two divided part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part The holde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plastic plate are fixed to the plastic plate, partly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plastic plate and are fixed with sewing material, and each holder has a loop for the pull line.

이와 같은 기술은 허리를 감싸는 밴드부의 수명이 짧고, 복부 및 허리의 지지력이 리프트 동작을 하기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밴드부가 벨크로로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의 동작 시 풀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This technique has problems in that the life span of the band part covering the waist is shor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abdomen and waist may not be sufficient for a lift operation, and the band part is fixed with Velcro and can be released during a user's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용 편의성 및 편안함을 높이기 위해 벨트에 구비된 버클통을 통해 가죽이 벨트 바깥쪽으로 나가도록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by allowing the leather to go out of the belt through the buckle barrel provided in the belt to increase the user's wearing convenience and comfor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eight lifting bel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는 가죽으로 제작되는 가죽띠 및 상기 가죽띠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가죽띠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가죽띠에 접촉 가압되어 고정하는 버클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부는 상기 가죽띠가 통과되는 통과구를 구비하는 버클통; 상기 버클통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띠의 길이를 조절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버클통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띠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eather belt made of leather and one side of the leather belt, an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A buckle barrel including a buckle part fixed by contacting with a leather belt, and the buckle part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eather belt passes; It may include a handle part formed on the front of the buckle barrel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and a fixing part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buckle barrel to which one end of the leather belt is fixed.

또한, 상기 가죽띠는 일단에 상기 고정부가 결합하는 다수 개의 고정홀 및 타단에 상기 가죽띠의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하는 다수개의 길이조절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ther bel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holes to which the fixing part is coupled at one end and a plurality of length adjusting holes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at the other end and coupled to the handle part. .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버클통의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지지대를 감싸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버클플레이트; 'H' 형태로 형성되어 타측이 상기 제1 버클플레이트의 타측과 힌지 결합하는 제2 버클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버클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되, 후면에 다수개의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가죽띠의 길이조절홀과 결합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가죽띠에 결합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uckle cylinder; A first buckle plate hing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and formed in a 'c' shape to surround the support; A second buckle plate formed in an 'H' shape,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uckle plate, and a hing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uckle plate, and a plurality of lock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leather belt It includes a fixing lever coupled to a length adjustment hole, and the handle part is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leather belt by rotation of the hing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버클통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버클통나사어댑터; 상기 고정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이 구비된 나사판 및 상기 고정홀과 상기 나사홀에 맞춰 삽입되는 다수개의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buckle barrel and the buckle barrel screw adapter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t may include a screw plate provided with a screw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and a plurality of screws inserted in alignment with the fixing hole and the screw hole.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손잡이부는 상기 지지대 후측에 형성되되, 탈부착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버클통과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of the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and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plate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ans and detachable from the buckle passage.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상기 고정레버는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힌지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클플레이트가 다수개의 힌지홀 중 하나의 힌지홀과 결합하여 미세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xing lever of the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inge holes formed along both side surfaces, and the second buckle plate is one of the plurality of hinge ho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length by combining with the hole.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는 리프트 동작 시 허리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보조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밴드부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일단에 제1 결합홈과 타단에 벨트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제1 밴드; 상기 제1 밴드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일단에 제2 결합홈과 타단에 벨트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제2 밴드 및 일단이 상기 제1 밴드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밴드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탄성부재를 교체할 수 있는 탄성부재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수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끝단에 형성되되, 교체홈이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교체수단 및 상기 교체수단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밴드와 제2밴드를 연결하는 밴드이음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band part capable of reducing the burden on the waist during a lift operation, and the auxiliary band part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once A first band having a first coupling groove and a belt connection means at the other end; A second band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band,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groove at one end and a belt connection means at the other end,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ba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band, , An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capable of replacing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wherein the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nd has replacement grooves to allow the elastic member to be inserted; and I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placement means,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may include a band joint means for connecting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가죽띠는 일측의 상기 고정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길이를 따라 분할되도록 형성되되, 분할된 가죽띠 각각에 일렬로 길이조절홀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형상에 따라 구역별로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eather belt of the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divided along the length from a point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ixing hole on one side, and each of the divided leather belts has a length in a ro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djustment hole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for each zon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고정레버는 상기 가죽띠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일단이 걸림수단과 힌지 결합되어 다른 걸림수단 측으로 회동할 수 있고 타측에 걸림홈이 구비되어 상기 다른 걸림수단과 결합될 수 있는 보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lever of the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hinged with the hooking means so a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leather belt, so that it can rotate toward the other hooking means and is hooked on the other side It is provided with a groove and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ar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other engaging means.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버클통은 상기 손잡이부를 감싸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보다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하단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버클플레이트 및 제2 버클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하는 버클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고정장치는 상기 버클통의 내측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내측 끝단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홈; 상기 원통홈의 내부에 형성되고 회동이 가능하며 스프링과 결합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회전바 및 상기 버클통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와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버클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ckle barrel of the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 shape to surround the handle, protrudes from the front than the handle, and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front surfaces, It includes a buckle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first buckle plate and the second buckle plate, wherein the buckle fixing device includes a cylindrical groove formed to have a length inside the buckle cylinder and having a step at an inner end; It may include a rotating bar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groove, rotatable, coupled with a spring and having an elastic force, and a buckle hold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ckle cylinder, connected to the rotating bar, and rot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는 벨트 착용 시 가죽을 고정할 수 있는 버클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착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uckle portion capable of fixing the leather when the belt is worn, thereby providing wear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벨트 착용 시 가죽이 벨트 바깥쪽으로 나갈 수 있도록 버클통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고 편안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elt is worn, a buckle tube is provided so that the leather can go out of the belt, so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without feeling foreign body.

또한, 탈착플레이트를 통해 손잡이부를 교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part can be replaced through the detachable plate.

또한, 고정레버에 다수개의 힌지홀을 두어 가죽띠의 미세한 길이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by placing a plurality of hinge holes in the fixing lever.

또한, 보조밴드부를 통해 리프트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허리 부담을 줄여주며 힘을 보강해줄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s waist burden according to the lift operation can be reduced through the auxiliary band unit and strength can be reinforced.

또한, 사용자의 근력상태에 따라 탄성부재를 교체하여 보강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orce to be reinforced by replacing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the user's muscle strength state.

또한, 고정레버의 보조바를 통해 걸림수단이 가죽띠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리프트 동작 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eventing the locking means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leather belt through the auxiliary bar of the fixing l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when the user lifts.

또한, 버틀통의 버클고정장치를 통해 손잡이부를 고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can be fixed through the buckle fixing device of the buttle barrel.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contents, and may further include all effects predictable from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손잡이부가 가죽띠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죽띠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버클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도 4의 부분분리사시도 및 부분분리후면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도 1의 체결예시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버클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버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의 (a) 및 (b)는 도 8의 사용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의 (a) 및 (b)는 도 10의 보조밴드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및 분리후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의 (a) 및 (b)는 도 12의 버클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5의 (a) 및 (b)는 도 14의 동작예시도.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사용예시도.
도 17의 (a) 및 (b)는 도 16의 사용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art of FIG. 1 is coupled to a leather bel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ather belt of Fig. 1 is unfold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uckle portion of Figure 1;
Figure 5 (a) and (b)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separated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4.
Figure 6 (a) and (b) is an example of fastening of Figure 1.
Figure 7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ckle portion of the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le of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a) and (b) is an example of the use of Figure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 and (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separated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uxiliary band part of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ckle portion of Figure 12.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 and (b) are operational examples of FIG. 14;
16 (a) and (b) are examples of use of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 and (b) are examples of use of FIG. 16;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 addition, the content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per se,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dica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should be construed, and understood not to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착용 편의성 및 편안함을 높이기 위해 벨트에 구비된 버클통을 통해 가죽이 벨트 바깥쪽으로 나가도록 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which allows leather to come out of the belt through a buckle barrel provided in the belt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and comfort. I would like to provide you with a bel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7 attach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손잡이부가 가죽띠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죽띠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버클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도 4의 부분분리사시도 및 부분분리후면사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도 1의 체결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andle part of FIG. 1 coupled to a leather belt, and FIG. 3 is the leather of FIG. 1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bel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uckle part of Figure 1, Figure 5 (a) and (b) are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separated rear perspective view of Figure 4, 6 (a) and (b) are examples of fastening of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방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크게 가죽띠(10) 및 버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6 ,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eather belt 10 and a buckle part 20 .

이하에서는 벨트를 착용하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상기 버클부(20)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이에 따라, '좌측', '우측',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방 및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Hereinafter,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of the buckle part 20 centering on the user wearing the belt is referred to as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rear'. Accordingly,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left', 'right', 'upper' and 'downward' are defined as indicating respective directions based o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죽띠(10)를 버클부(20)에 통과시킨 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가죽띠(10)의 둘레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weight lifting belt 1 is worn by passing the leather belt 10 through the buckle part 20 and then adjusting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leather belt 10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can do.

먼저, 가죽띠(10)는 띠형태로 형성되되, 사용자의 허리를 여유롭게 감쌀 수 있는 길이를 형성되어 허리를 지지할 수 있다. 가죽띠(10)는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80 내지 15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죽띠(10)는 버클부(20)와 결합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허리둘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First, the leather belt 10 is formed in a belt shape and has a length that can comfortably wrap around the user's waist to support the waist. The leather belt 10 may be formed to a length of 80 to 150 cm depending on the user's waist circumfere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eather belt 10 is combined with the buckle part 20 and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user's waist circumference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이때, 가죽띠(10)의 길이가 80㎝ 미만인 경우, 허리둘레가 80㎝ 이상인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면서 지지하기 어려울 수 있고, 150cm 초과인 경우, 허리둘레가 130㎝ 미만인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고도 가죽띠(10)가 많이 남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리프트 동작 시 가죽띠(10)가 걸려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10 is less than 80 cm, it may be difficult to support while wrapping the waist of a user with a waist circumference of 80 cm or more, and if it is more than 150 cm, it may be difficult to wrap the waist of a user with a waist circumference of less than 130 cm. A large number of leather belts 10 may cause a user to feel uncomfortable, and safety problems may occur because the leather belts 10 are caught during a lift operation.

또한, 가죽띠(10)는 사용자의 복부 및 허리를 지지하고 압박할 수 있도록 1 내지 1.5㎝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leather belt 10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1 to 1.5 cm to support and press the user's abdomen and wai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가죽띠(10)의 두께가 1㎝ 미만일 경우, 사용자의 복부 및 허리를 잡아주지 못하고 구부러지거나 균열이 생겨 사용기간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두께가 1.5㎝ 초과일 경우, 가죽띠(10)가 뻣뻣하여 사용자가 답답함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가죽띠(10)의 두께는 1.2 내지 1.4㎝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f the thickness of the leather belt 10 is less than 1 cm, it cannot hold the user's abdomen and waist, and may be bent or cracked, resulting in a shortened use period.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exceeds 1.5 cm, the leather belt 10 is stiff and the user may feel stuffy and uncomfortable.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leather belt 10 is most preferably formed in the range of 1.2 to 1.4 cm.

또한, 가죽띠(10)의 폭은 80 내지 120㎜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가죽띠(10)의 폭이 80㎜ 미만일 경우 허리 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고, 120㎜ 초과일 경우 리프트 동작을 수행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ther belt 10 may have a width of 80 to 12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width of the leather belt 10 is less than 80 mm, the waist supporting force may decrease, and if the width exceeds 120 mm, it may interfere with performing a lift operation.

또한, 가죽띠(10)는 가죽으로 제작되되, 다수개의 가죽시트를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죽시트는 신체에 밀착되고 질기고 탄성을 가지는 가죽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능과 성질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leather belt 10 is made of leather and may b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eather sheets. The leather seat is preferably formed of a leather material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and has toughness and elastic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the above functions and properties.

도 3을 참조하면, 가죽띠(10)는 버클부(20)와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도록 고정홀(11) 및 길이조절홀(1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leather belt 10 may include a fixing hole 11 and a length adjustment hole 12 to be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buckle part 20 .

고정홀(11)은 일단에 형성되어 버클부(2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홀(11)은 다수개로 형성되되, 버클부(20)와 견고한 결합을 하기 위해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fixing hole 11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coupled to the buckle part 20 . The fixing hole 11 is formed in plural numbers, and is preferably formed in 4 pieces in order to firmly couple with the buckle part 2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길이조절홀(12)은 타단에 가죽띠(10)의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버클부(20)와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의 길이조절홀(12)에 버클부(20)를 결합하여 가죽띠(10)의 둘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The length adjustment hole 12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10, and can be coupled to and released from the buckle part 20. Accordingly, the user can adjust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leather belt 10 by coupling the buckle part 20 to the length adjustment hole 12 at a desired position.

또한, 길이조절홀(12)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1열 또는 2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길이조절홀(12)이 3열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는 사용자의 조작이 많아져 착용시 복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adjustment hole 12 is preferably formed in one column or two columns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length adjustment holes 12 are formed in three or more rows, the user's manipulation increases, which can be complicated when worn.

도 4를 참조하면, 버클부(20)는 고정홀(11)을 통해 가죽띠(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허리를 따라 감싸고 돌아온 가죽띠(10)의 타측에 형성된 길이조절홀(12)과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버클부(20)는 강도가 강하며 수분 및 땀에 녹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조 단가 및 버클부(20)의 수명을 위해 스테인레스 강 도금한 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4, the buckle part 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ather belt 10 through the fixing hole 11, and the length adjustment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ather belt 10 wrapped around the user's waist ( 12) and can be fixed. The buckle part 20 is preferably formed of stainless steel, which has strong strength and does not rust against moisture and sweat,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plated with stainless steel may be used for the manufacturing cost and lifespan of the buckle part 20 .

버클부(20)는 버클통(21), 손잡이부(22) 및 고정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ckle part 20 may include a buckle cylinder 21 , a handle part 22 and a fixing part 23 .

먼저 버클통(21)은 통과구(210)가 구비되어 가죽띠(10)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통과구(210)는 가죽띠(10)가 좌우방향으로 쉽게 통과가 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는 흔들리지 않도록 가죽띠(10)의 폭보다 2 내지 3㎜ 정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First, the buckle barrel 21 is provided with a passage hole 210 so that the leather belt 10 can pass therethrough. The passage hole 210 is preferably formed about 2 to 3 mm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eather belt 10 so that the leather belt 10 can easily pas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s not shaken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버클통(21)은 사용자의 허리를 따라 감싸고 돌아온 가죽띠(10)를 안쪽이 아닌 바깥쪽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리프트 동작 시 복부 및 허리에서 이물감을 덜 느낄 수 있다. The buckle container 21 may provide comfort to the user by discharging the leather belt 10 wrapped around the user's waist to the outside instead of the inside. Accordingly, the user may feel less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abdomen and waist during the lift operation.

손잡이부(22)는 사용자가 착용시 조작하는 부분으로, 버클통(21) 전면에 형성되고 가죽띠(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대(220), 제1 버클플레이트(221), 제2 버클플레이트(222) 및 고정레버(2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andle part 22 is a part that the user manipulates when worn, and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buckle cylinder 21 and includes a support 220, a first buckle plate 221, a first buckle plate 221, 2 may include a buckle plate 222 and a fixing lever 223.

또한, 지지대(220), 제1 버클플레이트(221), 제2 버클플레이트(222) 및 고정레버(223)는 일측 및 타측 중 하나 이상인 위치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 결합은 힌지홀 및 힌지핀이 결합되되,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손잡이부(22)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220, the first buckle plate 221, the second buckle plate 222 and the fixing lever 223 may be hinged at one or more position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Here, the hinge coupling is formed so that the hinge hole and the hinge pin are coupled and rotated, and the handle portion 22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지지대(220)는 버클통(21)의 전면에 형성되되,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220)는 손잡이부(22)에서 유일하게 움직이지 않는 구성으로 손잡이부(22)의 다른 구성들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대(220)의 일측에는 제1 버클플레이트(221)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220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buckle cylinder 2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upport 220 is the only non-moving component of the handle portion 22 and may serve to support other components of the handle portion 22 . A hinge hole that is hinged with the first buckle plate 22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220 .

제1 버클플레이트(221)는 지지대(220)를 감싸도록 '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ㄷ' 형태의 개방된 부분을 일측, 닫힌 부분을 타측이라고 할 때, 제1 버클플레이트(221)는 양 끝단에 힌지홀이 형성되어 힌지핀에 의해 지지대(220)와 결합할 수 있다. The first buckle plate 221 may be formed in a 'c' shape to surround the support 220 . Here, when the 'c'-shaped open part is referred to as one side and the closed part as the other side, hinge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buckle plate 221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220 by hinge pins.

이에 제1 버클플레이트(221)의 일측은 지지대(220)의 일측과 힌지 결합하고, 타측은 제2 버클플레이트(222)의 타측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Accordingly, one side of the first buckle plate 221 may be hing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220 and the other side may be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uckle plate 222 .

또한, 제1 버클플레이트(221)은 버클통(21)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uckle plate 221 is formed to have a length protruding from the buckle cylinder 21 so that the user can use it as a handl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lengths.

제2 버클플레이트(222)는 'H' 형태로 형성되되 타측이 제1 버클플레이트(221)를 감싸도록 개방된 부분이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버클플레이트(222)의 타측은 제1 버클플레이트(221)의 타측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The second buckle plate 222 is formed in an 'H' shape, and an open portion may be formed deeper so that the other side surrounds the first buckle plate 221 .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buckle plate 222 may be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uckle plate 221 .

한편, 제2 버클플레이트(222)의 일측은 고정레버(223)의 타측과 힌지 결합할 수 있다. Meanwhile, one side of the second buckle plate 222 may be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lever 223 .

고정레버(223)는 상기 설명과 같이, 제2 버클플레이트(22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되, 후면에 다수개의 걸림수단(2230)이 구비되어 가죽띠(10)의 길이조절홀(12)과 결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lever 223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uckle plate 222, and a plurality of locking means 2230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hole 12 of the leather belt 10 and can be combined

여기서, 걸림수단(2230)은 후측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가죽띠(1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가죽띠(1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최외측에 형성된 걸림수단(2230)의 끝단은 버클통(21)측으로 'ㄱ' 형태로 구부러져 있어 가죽띠(1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Here, the engaging means 2230 is formed to have a length toward the rear side, and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eather belt 10 so as to pass through the leather belt 10 . The end of the hooking means 2230 formed on the outermost side is bent in an 'a' shape toward the buckle barrel 21, so that bonding force with the leather belt 10 can be increased.

또한, 걸림수단(2230)은 길이조절홀(12)의 형태에 따라 1열 또는 2열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열당 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engaging means 2230 may be formed in one column or two row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ength adjusting hole 12, and preferably two columns per colum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2)의 지지대(220), 제1 버클플레이트(221), 제2 버클플레이트(222) 및 고정레버(223)는 일측 및 타측 중 하나 이상인 위치에 결합된 힌지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죽띠(10)에 결합 또는 해제가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220 of the handle portion 22, the first buckle plate 221, the second buckle plate 222, and the fixing lever 223 are hinges coupled to one or more position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y the rotation of , it can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gage or release the leather belt 10 .

마지막으로, 고정부(2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통(21)의 후단에 형성되어 가죽띠(1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클통나사어댑터(230), 나사판(231) 및 나사(232)를 포함할 수 있다. Finally,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part 2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uckle cylinder 21 so that one end of the leather belt 10 can be fixed. To this end, a buckle thread adapter 230, a screw plate 231 and a screw 232 may be included.

버클통나사어댑터(230)는 버클통(21) 후면에 형성되되, 가죽띠(10)의 고정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홀(11)에 삽입될 수 있다. 버클통나사어댑터(230)는 일반적인 나사어댑버와 동일하게 내측으로 나사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uckle barrel screw adapter 2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ckle barrel 21, is formed to protru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11 of the leather belt 1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1. The buckle through screw adapter 23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a screw is coupled to the inside in the same way as a general screw adapter.

나사판(231)은 고정홀(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231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버클통나사어댑터(230)에 고정홀(11), 나사판(231)이 순차적으로 끼워질 수 있다. 나사판(231)은 버클부(20)와 가죽띠(10)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가죽띠(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screw plate 231 may have a screw hole 23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11 . Accordingly, the fixing hole 11 and the screw plate 231 may be sequentially fitted into the buckle through screw adapter 230 . The screw plate 231 may serve to strengthen the coupling between the buckle part 20 and the leather belt 10 and to support the leather belt 10 so that it does not shake.

나사(232)는 고정홀(11)과 나사홀(2310)에 맞춰 버클통나사어댑터(230)에 삽입될 수 있다. 나사(232)는 고정홀(11)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screw 232 may be inserted into the buckle through screw adapter 230 according to the fixing hole 11 and the screw hole 2310 . The number of screws 232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fixing holes 11 .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부(20)의 고정부(23)와 가죽띠(10)의 고정홀(11)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죽띠(10)를 버클통(21)의 통과구(210)로 통과시켜 사용자의 허리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손잡이부(22)는 힌지에 의해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체결하려는 길이조절홀(12)에 위치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2)의 걸림수단(2230)이 가죽띠(10)의 길이조절홀(12)에 삽입되고 제1 버클플레이트(221) 및 제2 버클플레이트(222)가 버클통(21)측으로 이동하여 버클부(20)가 가죽띠(10)에 체결될 수 있다.Therefore, the weight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hole 11 of 10) is coupled, the leather belt 10 can be passed through the passage 210 of the buckle barrel 21 to fit the user's waist. The handle part 22 may be positioned in a length adjustment hole 12 to be fastened in a state in which rotation is possible by a hinge. Then, as shown in (b) of FIG. 6, the engaging means 2230 of the handle part 22 is inserted into the length adjustment hole 12 of the leather belt 10, and the first buckle plate 221 and The second buckle plate 222 moves toward the buckle cylinder 21 so that the buckle part 20 can be fastened to the leather belt 10 .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버클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다. 7 (a) and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le of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버클통(21)과 손잡이부(22)를 분리할 수 있는 탈착플레이트(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plate 225 capable of separating the buckle cylinder 21 and the handle portion 22. can include

여기서, 탈착플레이트(225)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Here, except for the detachable plate 225,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fting belt 1.

따라서, 탈착플레이트(225)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refore, only the detachable plate 22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탈착플레이트(225)는 지지대(220) 후측에 형성되되, 탈부착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버클통(21)과 탈부착될 수 있다. 탈착플레이트(225)는 버클통(21) 폭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하 양끝단이 버클통(21)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버클통(21)을 감쌀 수 있다. The detachable plate 225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220, and a detachable means (not shown)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detached from the buckle barrel 21. The detachable plate 225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uckle tube 21, and both upper and lower ends ar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buckle tube 21 to cover the buckle tube 21.

탈착플레이트(225)와 버클통(21)의 탈부착수단(미도시)은 나사로 체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슬라이드 방식 등 탈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tachable means (not shown) of the detachable plate 225 and the buckle cylinder 21 may be fastened with screws,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detachable ways such as a slide metho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또한, 탈착플레이트(225)는 고정레버(223)가 구비된 손잡이부(22) 외에도 종래의 PR벨트의 래칫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손잡이부(22)를 원하는 구성으로 교체하여 기호성에 맞춰 사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etachable plate 225 may be used by attaching a ratchet of a conventional PR belt in addition to the handle portion 22 provided with the fixing lever 223. Accordingly, the user can replace the handle part 22 with a desired configuration and use it according to preferenc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PR벨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래칫이 구비된 탈착플레이트(225)로 손잡이부(22)의 구성을 바꾸고 가죽띠(10)의 길이조절홀(12)에 웨빙을 설치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PR belt, the webbing can be installed in the length adjustment hole 12 of the leather belt 10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le part 22 with the detachable plate 225 equipped with a ratchet.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버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의 (a) 및 (b)는 도 8의 사용예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ckle of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 and (b) are exemplary usage views of FIG. 8 .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의 고정레버(223)는 가죽띠(10)의 미세한 길이조절을 위해 다수개의 힌지홀(2240)을 포함할 수 있다.8 and 9, the fixing lever 223 of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hinges for fin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10. A hole 2240 may be included.

여기서, 고정레버(223)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Here, except for the fixing lever 223,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fting belt 1.

따라서, 고정레버(223)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fixing lever 22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고정레버(223)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을 따라 다수개의 힌지홀(224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힌지홀(2240) 중 하나의 힌지홀(2240)이 제2 버클플레이트(222)와 결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 the fixing lever 223 may form a plurality of hinge holes 2240 along both side surfaces. Here, one hinge hole 2240 among a plurality of hinge holes 224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uckle plate 222 .

구체적으로,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버클플레이트(222)는 다수개의 힌지홀(2240) 중 하나의 힌지홀(2240)와 결합하여 버클통(21)과 걸림수단(2230)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가죽띠(10) 둘레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a) and (b) of FIG. 9, the second buckle plate 222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hinge holes 2240 and one of the hinge holes 2240 to form a buckle barrel 21 The distance between the locking means 2230 may be adjusted. Accordingly,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leather belt 10 can be finely adjus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의 (a) 및 (b)는 도 10의 보조밴드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및 분리후면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a) and (b) are separated perspective views and separated rear views showing the auxiliary band part of FIG. 10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리프트 동작 시 허리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보조밴드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0 and 11,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band part 30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waist during a lift operation. can

여기서, 보조밴드부(3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Here, except for the auxiliary band unit 30,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fting belt 1.

따라서, 보조밴드부(30)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auxiliary band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데드리프트(Deadlift)는 웨이트 리프팅 중 가장 오래되고 기본적인 운동으로 등, 허리,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등 후면의 근육을 강화해주는 운동이다. 구체적으로 데드리프트는 바벨을 들고 등의 각도가 지면과 수평에 가까워질 때까지 상체를 숙인 후, 허벅지 뒤쪽 근육인 대퇴이두근, 등 근육인 척추기립근 및 엉덩이의 대둔근을 이용하여 상체를 일으키는 운동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할 경우, 사용자는 등을 곧게 펴지 않거나 무리하게 힘을 쓰면 허리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허리뿐만 아니라 바벨을 잡는 손과 손목, 몸을 지탱하고 무게중심을 잡는 발과 종아리 등에도 무리가 갈 수 있다. Deadlift is the oldest and most basic weight lifting exercise that strengthens the back muscles, such as the back, waist, buttocks, thighs, and calves. Specifically, the deadlift is an exercise that raises the upper body by holding a barbell, bending the upper body until the angle of the back is close to the ground, and then using the biceps femoris muscle, the back muscle, the erector spinae muscle, and the gluteus maximus muscle of the buttocks.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if the user does not straighten the back or exerts excessive force, pain may occur in the lower back. In addition, not only the waist, but also the hands and wrists that hold the barbell, and the feet and calves that support the body and hold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strained.

이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보조밴드부(30)를 통해 리프트 동작 시 힘이 보강되어 허리의 부담이 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ce is reinforced during the lift operation through the auxiliary band unit 30 so that the waist is not burdened.

보조밴드부(30)는 어깨가 감기도록 가죽띠(10)에 설치되되, 어깨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밴드(31), 제2 밴드(32) 및 탄성부재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band part 30 is installed on the leather belt 10 so that the shoulder is wound, and the first band 31, the second band 32 and the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art 33 ar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one by one on both sides of the shoulder. can include

먼저, 제1 밴드(31)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일단에 제1 결합홈(310)과 타단에 벨트연결수단(3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연결수단(311)은 가죽띠(10)가 끼워지는 홀이 구비될 수 있고 가죽띠(10)에 흔들림없이 지지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First, the first band 31 is formed to have a length, and may have a first coupling groove 310 at one end and a belt connection means 311 at the other end. Here, the belt connection means 311 may have a hole into which the leather belt 10 is inserted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leather belt 10 without shak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밴드(32)는 제1 밴드(31)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일단에 제2 결합홈(320)과 타단에 벨트연결수단(32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밴드(32)의 벨트연결수단(321)은 제1 밴드(31)의 벨트연결수단(311)와 같은 형태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and 32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band 31, and may have a second coupling groove 320 at one end and a belt connection means 321 at the other end. Here, the belt connection means 321 of the second band 32 may be formed of the same shape and material as the belt connection means 311 of the first band 31 .

탄성부재수용부(33)는 일단이 제1 밴드(3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밴드(32)와 연결되며, 탄성부재(330)를 수용 및 교체할 수 있도록 교체수단(331) 및 밴드이음수단(3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3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band 3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band 32, and a replacement means 331 and a band to accommodate and replace the elastic member 330. A joint means 332 may be included.

교체수단(331)은 탄성부재(330)의 양끝단에 형성되되, 교체홈이 구비되어 탄성부재(330)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330)는 제1 밴드(31) 및 제2 밴드(32)보다 탄성력이 강한 소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근력 또는 운동 강도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The replacement means 33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330, and has a replacement groove so that the elastic member 330 can be inserted. Here, the elastic member 33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ronger elasticity than the first band 31 and the second band 32, and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user's muscle strength or exercise intensity.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웨이트 리프팅 초심자거나 운동 강도를 약하게 하고자 할 경우 탄성력이 강한 탄성부재(330)를 사용하여 리프트 동작 시 힘이 적게 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고강도로 리프트 동작을 하고자 할 경우 탄성력이 약한 탄성부재(330)를 사용하여 근육에 자극이 크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user is new to weight lifting or wants to reduce exercise intensity, an elastic member 330 having strong elasticity may be used to reduce force during a lift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perform a high-intensity lift operation, the exercise effect can be increased by using the elastic member 330 having a weak elastic force to increase muscle stimulation.

밴드이음수단(332)은 교체수단(331)의 후면에 형성되되, 제1 결합홈(310) 및 제2 결합홈(3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밴드(31)와 제2 밴드(32)를 연결할 수 있다. 밴드이음수단(332)은 후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끝단이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어 제1 결합홈(310) 및 제2 결합홈(3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and joint means 33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placement means 331,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1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0, so that the first band 31 and the second band (32) can be connected. The band connecting means 332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rear side, and its ends are bent inward so as to be fix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31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0.

이때, 밴드이음수단(332)과 제1 결합홈(310) 및 제2 결합홈(320)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고, 서로 결합하여 고정되고 탈부착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band joint means 332, the first coupling groove 31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320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are fixed and detachable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의 (a) 및 (b)는 도 12의 버클부를 도시한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a) and (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ckle part of FIG. 12.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의 가죽띠(10)는 분할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길이조절이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2 and 13 , the leather belt 10 of the weight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여기서, 가죽띠(10)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Here, except for the leather belt 10,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fting belt 1.

따라서, 가죽띠(10)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leather belt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가죽띠(10)는 일측의 고정홀(11)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길이를 따라 분할되도록 형성되되, 분할된 가죽띠(10) 각각에 일렬로 길이조절홀(12)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구역별로 길이조절을 할 수 있다. The leather belt 10 is formed to be divided along the length from a point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ixing hole 11 on one side, and length adjustment holes 12 are formed in a row at each of the divided leather belts 10, so that the user can Depending on the body type, the length can be adjusted for each area.

여기서, 가죽띠(10)의 고정홀(11) 부분은 버클부(20)의 고정부(23)와의 고정력을 높이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흐트러지지 않도록 분할되지 않을 수 있다. Here, the fixing hole 11 of the leather belt 10 may not be divided so as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buckle part 20 with the fixing part 23 and not be disturb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죽띠(10)가 2열로 분할될 경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상측의 가죽띠(10) 둘레는 크게, 하측의 가죽띠(10) 둘레는 작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leather belt 10 is divided into two rows, the upper leather belt 10 has a larger circumference and the lower leather belt 10 has a smaller circumferenc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can be adjusted.

이때, 고정레버(223)의 걸림수단(223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의 가죽띠(10)의 길이조절홀(12)와 대응되도록 2열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3, the locking means 2230 of the fixing lever 223 is most preferably formed in two rows to correspond to the length adjustment holes 12 of the upper and lower leather belts 10.

이에 따라, 가죽띠(10)는 사용자 체형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를 도시한 후면사시도이고, 도 15의 (a) 및 (b)는 도 14의 동작예시도이다.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5 (a) and (b) are exemplary operation views of FIG. 14 .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의 고정레버(223)는 가죽띠(1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보조바(2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4 and 15, the fixing lever 223 of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xiliary bar 2231 to increase bonding strength with the leather belt 10. )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고정레버(223)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Here, except for the fixing lever 223,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fting belt 1.

따라서, 고정레버(223)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fixing lever 22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고정레버(223)의 보조바(2231)는 인접하는 두 개의 걸림수단(2230)을 연결하고 고정하여 고정레버(223)가 가죽띠(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auxiliary bar 2231 of the fixing lever 223 connects and fixes two adjacent hooking means 2230 to prevent the fixing lever 22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eather belt 10 .

구체적으로,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바(2231)는 일단이 걸림수단(2230)과 힌지(224) 결합되고, 결합된 걸림수단(2230)과 일직선상태에서 길이조절홀(12)에 삽입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a) of FIG. 15, the auxiliary bar 2231 has one end coupled to the engaging means 2230 and the hinge 224, and a length adjustment hole in a straight line with the coupled engaging means 2230 (12) can be inserted.

또한,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조절홀(12) 삽입되고 나서 보조바(2231)는 힌지에 의해 다른 걸림수단(2230) 측으로 회동할 수 있고, 타측에 구비된 걸림홈(2231a)이 다른 걸림수단(2230)과 결합되면서 가죽띠(10)와 걸림수단(223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15, after the length adjustment hole 12 is inserted, the auxiliary bar 2231 can be rotated toward the other engaging means 2230 by a hinge, and the engaging groov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s (2231a) is combined with other hooking means 2230,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leather belt 10 and the hooking means 2230 can be increased.

이에 따라, 가죽띠(10)에서 걸림수단(223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리프트 동작 시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죽띠(10)가 복부와 허리를 잘 지탱하여 운동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hooking member 22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eather belt 10, the user can exercise safely during the lift operation, and the leather belt 10 supports the abdomen and waist well, improving the exercise effect. It can be.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의 사용예시도이고, 도 17의 (a) 및 (b)는 도 16의 사용예시도이다.16 (a) and (b) are examples of use of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a) and (b) are examples of use of FIG. 16 It is also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의 버클통(21)은 손잡이부(22)의 일부분을 고정되도록 하는 버클고정장치(211)를 포함할 수 있다. 16 and 17, the buckle holder 21 of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a part of the handle part 22 to the buckle fixing device. (211).

여기서, 버클통(21)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Here, except for the buckle cylinder 21, the weight lifting belt 1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fting belt 1.

따라서, 버클통(21)에 대해서만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only the buckle cylinder 2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버클통(21)은 손잡이부(22)를 고정시킴으로써 갑자기 손잡이부(22)가 전면으로 돌출될 경우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버클통(21)은 손잡이부(22)를 감싸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되, 손잡이부(22)보다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버클고정장치(2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ckle cylinder 21 can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when the handle part 22 suddenly protrudes to the front by fixing the handle part 22 . The buckle tube 21 is formed in a 'c' shape so as to surround the handle portion 22,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handle portion 22, and may include a buckle fixing device 211.

버클고정장치(211)는 버클통(21)의 상하단 전면에 형성되어 손잡이부(22)의 일부 즉, 제1 버클플레이트(221) 및 제2 버클플레이트(222)를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으며, 원통홈(2110), 회전바(2111) 및 버클고정대(21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uckle fixing device 211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front surfaces of the buckle cylinder 21 to fix and release a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22, that is, the first buckle plate 221 and the second buckle plate 222, It may include a cylindrical groove 2110, a rotating bar 2111, and a buckle holder 2112.

원통홈(2110)은 버클통(21)의 내측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내측 끝단에 너비가 넓게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ylindrical groove 21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toward the inside of the buckle cylinder 21, but a step may be formed with a wide width at the inner end.

회전바(2111)는 원통홈(2110)의 내부에 형성되고 회동이 가능하며 스프링(2111a)과 결합될 수 있다. 회전바(2111)는 원통홈(211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되, 원통홈(21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bar 2111 is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groove 2110, can rotate, and can be coupled with the spring 2111a. The rotation bar 2111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ylindrical groove 2110, but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groove 2110.

마지막으로, 버클고정대(2112)는 버클통(21)의 전면에 형성되고 회전바와 연결되며, 스프링(2111a)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선회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Finally, the buckle holder 2112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buckle cylinder 21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bar, and can be tur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spring 2111a.

구체적으로, 버클고정대(2112)는 도 16의 (a) 및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버클플레이트(221) 및 제2 버클플레이트(222)를 전면에서 눌러줌으로써 제1 버클플레이트(221) 및 제2 버클플레이트(222)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uckle holder 2112 presses the first buckle plate 221 and the second buckle plate 222 from the front, as shown in (a) and 17 (a) of FIG. The buckle plate 221 and the second buckle plate 222 may be fixed.

한편, 도 16의 (b) 및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제1 버클플레이트(221) 및 제2 버클플레이트(222)를 누르고 있는 버클고정대(2112)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버클플레이트(221) 및 제2 버클플레이트(222)가 전면측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버클고정대(2112)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질 경우, 버클고정대(2112)는 스프링(2111a)으로 인해 다시 도 16의 (a) 및 도 17의 (a)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16 (b) and FIG. 17 (b), by rotating the buckle holder 2112 holding the first buckle plate 221 and the second buckle plate 2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buckle plate 221 and the second buckle plate 222 are rotated. The buckle plate 221 and the second buckle plate 222 may be unfolded toward the front side. Thereafter,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uckle holder 2112 disappears, the buckle holder 2112 may return to the state shown in FIGS. 16(a) and 17(a) due to the spring 2111a.

이에, 손잡이부(22)는 버클고정장치(211)에 의해 고정 및 해제될 수 있어, 손잡이부(22)가 갑자기 펼쳐지면서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손잡이부(22)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handle part 22 can be fixed and released by the buckle fixing device 211, so that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while the handle part 22 is suddenly unfolded, and the handle part 22 itself can be damaged. can prevent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them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are not restrictive.

1 : 웨이트리프팅 벨트
10 : 가죽띠
11 : 고정홀
12 : 길이조절홀
20 : 버클부
21 : 버클통
210 : 통과구
211 : 버클고정장치
2110 : 원통홈
2111 : 회전바
2111a : 스프링
2112 : 버클고정대
22 : 손잡이부
220 : 지지대
221 : 제1 버클플레이트
222 : 제2 버클플레이트
223 : 고정레버
2230 : 걸림수단
2231 : 보조바
2231a : 걸림홈
224 : 힌지
2240 : 힌지홀
2241 : 힌지핀
225 : 탈착플레이트
23 : 고정부
230 : 버클통나사어댑터
231 : 나사판
2310 : 나사홀
232 : 나사
30 : 보조밴드부
31 : 제1 밴드
310 : 제1 결합홈
311 : 벨트연결수단
32 : 제2 밴드
320 : 제2 결합홈
321 : 벨트연결수단
33 : 탄성부재수용부
330 : 탄성부재
331 : 교체수단
332 : 밴드이음수단
1: Weight Lifting Belt
10 : leather belt
11: fixed hole
12: length adjustment hole
20: buckle part
21 : buckle barrel
210: passage
211: buckle fixing device
2110: cylindrical groove
2111: rotating bar
2111a: Spring
2112: buckle holder
22: handle part
220: support
221: first buckle plate
222: second buckle plate
223: fixed lever
2230: hanging means
2231: auxiliary bar
2231a: locking groove
224: hinge
2240: hinge hole
2241: hinge pin
225: detachable plate
23: fixed part
230: buckle barrel screw adapter
231: screw plate
2310: screw hole
232: screw
30: auxiliary band part
31: first band
310: first coupling groove
311: belt connection means
32: second band
320: second coupling groove
321: belt connection means
33: elastic member accommodating unit
330: elastic member
331: replacement means
332: band joint means

Claims (6)

가죽띠의 일측에 결합되고, 가죽띠의 길이 조절을 위해 상기 가죽띠에 접촉 가압되어 고정하는 웨이트리프팅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가죽띠의 타측이 관통하는 통과구를 구비하는 버클통;
상기 버클통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띠와 결합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버클통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죽띠의 고정홀과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여 회동이 가능하고, 말단에 구비된 고정레버를 통해 가죽띠의 길이조절홀과 결합한 상태로 허리를 조이며,
상기 가죽띠의 타측은 상기 통과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웨이트리프팅 벨트용 버클.
A buckle for a weight lifting belt coupled to one side of a leather belt and fixed by being pressed in contact with the leather belt to adjust the length of the leather belt,
a buckle barrel hav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ther side of the leather belt passes;
a handle port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ckle barrel and engaged with the leather belt; and
A fixing part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ckle barrel and engaged with the fixing hole of the leather belt; including,
The handle part includes a hinge structure and is rotatable, and tightens the waist in a state in which it is coupled with the length adjustment hole of the leather belt through a fixing lever provided at the end,
The other side of the leather belt is discharged outward through the passage hole, and the buckle for a weight lifting belt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버클통의 전면에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를 감싸도록 'ㄷ'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버클플레이트;
'H' 형태로 형성되어 타측이 상기 제1 버클플레이트의 타측과 힌지 결합하는 제2 버클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버클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후면에 걸림수단이 구비된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웨이트리프팅 벨트용 버클.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part,
Support formed on the front of the buckle cylinder;
A first buckle plate hing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and formed in a 'c' shape to surround the support;
A second buckle plate formed in an 'H' shape and having the other side hinged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uckle plate, and
A buckle for a weight lifting belt comprising a fixing lever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buckle plate and having a locking means on the rea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버클통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버클통나사어댑터;
상기 고정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이 구비된 나사판; 및
상기 고정홀과 상기 나사홀에 맞춰 삽입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웨이트리프팅 벨트용 버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art,
a buckle barrel screw adapt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uckle barrel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 screw plate provided with a screw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and
A buckle for a weight lifting belt comprising a; screw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and the screw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지지대 후측에 형성되고, 상기 버클통과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웨이트리프팅 벨트용 버클.
According to claim 3,
The handle part,
A buckle for a weight lifting belt, further comprising a detachable plat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and detachable from the buckle pass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버는, 양측면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힌지홀을 포함하는, 웨이트리프팅 벨트용 버클.
According to claim 3,
The buckle for a weight lifting belt, wherein the fixing lever includes one or more hinge holes formed along both side surfaces.
KR1020220011281A 2021-04-09 2022-01-26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KR102496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281A KR102496222B1 (en) 2021-04-09 2022-01-26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571A KR102357711B1 (en) 2021-04-09 2021-04-09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KR1020220011281A KR102496222B1 (en) 2021-04-09 2022-01-26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71A Division KR102357711B1 (en) 2021-04-09 2021-04-09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405A KR20220140405A (en) 2022-10-18
KR102496222B1 true KR102496222B1 (en) 2023-02-06

Family

ID=802525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71A KR102357711B1 (en) 2021-04-09 2021-04-09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KR1020220011281A KR102496222B1 (en) 2021-04-09 2022-01-26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571A KR102357711B1 (en) 2021-04-09 2021-04-09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771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384791U (en) * 2017-10-21 2018-05-22 安徽即刻动身健身器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mooth buckled type weight lifting waistband
CN212065883U (en) * 2020-03-25 2020-12-04 广东百创源科技股份有限公司 Belt buckle assembly, waistband and backpa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17Y1 (en) * 2011-10-20 2013-11-28 제갈민 Buckle for controling leng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384791U (en) * 2017-10-21 2018-05-22 安徽即刻动身健身器械科技有限公司 A kind of smooth buckled type weight lifting waistband
CN212065883U (en) * 2020-03-25 2020-12-04 广东百创源科技股份有限公司 Belt buckle assembly, waistband and back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711B1 (en) 2022-02-08
KR20220140405A (en)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7730C (en) Golf bag carrying straps
US20020068667A1 (en) Training device
US5507707A (en) Isokinetic cervical exercise device
US20070015642A1 (en) Body vest gym
US20090062087A1 (en) Adjustable exercise apparatus
US9259605B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98211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ervical curvature and for maintaining proper curvature in persons predisposed to develop improper curvature
US8231510B2 (en) Contour elongated exercise weight and method of use
US20070015641A1 (en) Body vest gym
US10857415B2 (en) Multifunctional therapeutic workout enhancement brace
US8777816B2 (en) Bar grip
KR101035089B1 (en) Portable health apparatus capable of hip-up exercise
US20070287609A1 (en) Convertible weightlifting belt
US4735412A (en) Portable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US10398923B2 (en) Adjustable resistance band and system including same
US6063012A (en) Portable multi-use exercise device
US20060234833A1 (en) Gymnastics safety and training aid harness for high bar and other apparatus
US20060247108A1 (en) Gymnastics safety and training aid wrist straps for high bar and other apparatus
KR102496222B1 (en) Weight lifting belt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US20170238625A1 (en) Article of weightlifting equipment with torso pad
US20220257991A1 (en) Adjustable resistance band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331914B2 (en) Muscle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9226844B2 (en) Apparatus for sacro-lumbar back support, reduction of load on vertebrae discs and stimulation of circulation and muscles through axial tensioning exercises
WO2012071061A1 (en) Exercise apparatus
US20090093344A1 (en) Gymnastics safety and training aid bar sleeves for high bar and othe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