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987B1 -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 Google Patents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87B1
KR102495987B1 KR1020210055248A KR20210055248A KR102495987B1 KR 102495987 B1 KR102495987 B1 KR 102495987B1 KR 1020210055248 A KR1020210055248 A KR 1020210055248A KR 20210055248 A KR20210055248 A KR 20210055248A KR 102495987 B1 KR102495987 B1 KR 10249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filter
connection support
port
filter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014A (ko
Inventor
이문규
권찬중
권희두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티.에프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5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6Dielectric waveguides, i.e. without a longitudinal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포트 필터, 송신 포트 필터 및 안테나부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안테나부에서의 크랙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는, 수신 포트를 구비하는 수신 포트 필터,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송신 포트를 구비하는 송신 포트 필터,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고 안테나 포트를 구비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MONOBLOCK CERAMIC WAVEGUIDE DUPLEXER}
본 발명은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크랙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무선 중계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고주파 대역의 광역통신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높은 파워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고 주파수의 온도 안정성이 높은 소형의 듀플렉서(Duplexer)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19,456호는 일체형 유전체 세라믹 도파관 듀플렉서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안테나측 유전체 조립체, 수신측 유전체 조립체 및 송신측 유전체조립체는 각각 복수 개의 단위 유전체 블록들을 포함하고 있다. 조립체로 형성되는 듀플렉서는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듀플렉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듀플렉서는 수신 포트 필터와 송신 포트 필터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안테나부에서 수신 포트 필터와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 듀플렉서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안테나부에서 크랙이 발생되어 특성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포트 필터, 송신 포트 필터 및 안테나부를 일체로 형성하면서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안테나부에서의 크랙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는, 수신 포트를 구비하는 수신 포트 필터,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송신 포트를 구비하는 송신 포트 필터,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고 안테나 포트를 구비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는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지지대, 및 상기 제1 연결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길이의 1/2 지점에서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지지대, 및 상기 제1 연결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길이의 1/3 지점과 2/3지점 각각에서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지지대와 제3 연결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지지대, 및 상기 제1 연결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길이의 1/4 지점과 2/4지점 및 3/4지점 각각에서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지지대와 제3 연결 지지대 및 제4 연결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대는 0보다 크고 2mm 미만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대는 0.05보다 크고 1mm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신 포트, 상기 송신 포트 및 상기 안테나 포트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신 포트, 상기 송신 포트 및 상기 안테나 포트를 각각 구비하는 상기 상기 수신 포트 필터, 상기 송신 포트 필터, 및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연결 지지대와 함께 사각형 또는 사각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테나부에서 이격되어 수신 포트 필터와 송신 포트 필터를 연결 지지대로 연결하여, 수신 포트 필터와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잡아주므로 진동이나 충격에도 안테나부에서의 크랙이 발생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연결 지지대의 폭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연결 지지대의 폭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수신 포트의 삽입 손실과 송신 포트에서 안테나 포트로의 삽입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와 제1 내지 제3 변형예와 같이 연결 지지대의 위치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와 제1 내지 제3 변형예와 같이 연결 지지대의 위치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수신 포트의 삽입 손실과 송신 포트에서 안테나 포트로의 삽입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 지지대의 위치와 개수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수신 포트의 삽입 손실과 송신 포트에서 안테나 포트로의 삽입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듀플렉서(100)는 수신 포트 필터(20), 송신 포트 필터(30), 안테나부(10) 및 연결 지지대(40)를 포함한다. 듀플렉서(100)는 세라믹의 단일 소체로 형성된다.
수신 포트 필터(20)는 수신 포트(2)를 구비하고, 송신 포트 필터(30)는 수신 포트 필터(20)와 설정된 간격(G)으로 배치되고 송신 포트(3)를 구비한다. 안테나부(10)는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를 서로 연결하고 안테나 포트(1)를 구비한다.
연결 지지대(40)는 안테나부(10)에서 이격되어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를 서로 연결한다. 즉 연결 지지대(40)는 간격(G)으로 인하여 서로 이격 배치되는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 지지대(40)는 폭(W)을 가지며, 그 폭(W)으로 양측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수신 포트 필터(20), 송신 포트 필터(30), 안테나부(10) 및 연결 지지대(40)는 폐다각형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듀플렉서(100)에 진동이나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의 진동이 안테나부(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안테나부(10)에서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감소된다.
이와 같이 안테나부(10)에 대한 기계적 강성을 강화할 때,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에서 신호의 간섭이 방지되어야 한다. 즉 연결 지지대(40)에 의한 듀플렉서(100)의 특성저하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강성을 강화하지만 지나치게 넓어지는 경우 신호 간섭으로 특성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10) 및 연결 지지대(40)는 간격(G)을 유지하는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 사이에서 용량성 결합을 구현하여, 듀플렉서(100) 제작 후 튜닝을 용이하게 한다.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는 간격(G)을 유지하며,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 각각은 길이(L)를 가진다. 연결 지지대(40)는 안테나부(1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이때, 수신 포트(2), 송신 포트(3) 및 안테나 포트(1)를 각각 구비하는 수신 포트 필터(20), 송신 포트 필터(30), 및 안테나부(10)는 연결 지지대(40)와 함께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2는 연결 지지대의 폭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가로축 주파수(GHz)에 대한 세로축 S파라미터(parameter) 값(dB)을 나타내고 있다. S파라미터는 특정 주파수에서 입력 전압에 대한 출력 전압의 비율을 의미한다. S11은 반사 손실이고, 안테나 포트(1)에 입력되는 전압(입력 전압)과 안테나 포트(1)로부터 반사되는 전압(반사 전압) 간의 비율이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을 0.5, 1, 2, 3mm로 설정한 경우(S1, S2, S3, S4)와 연결 지지대가 없는(폭이 0mm) 경우(S5), 안테나 포트(1)의 반사 손실(S11)을 주파수에 대한 S파라미터로 도시하고 있다. 주파수가 4.3~4.9GHz에서 대체로 유사 내지 동일한 S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연결 지지대(40)의 폭(W)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안테나 포트(1)의 반사 손실(S11)에는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연결 지지대의 폭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수신 포트의 삽입 손실과 송신 포트에서 안테나 포트로의 삽입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S21은 삽입 손실이고, 안테나 포트(1)에 입력되는 전압(입력 전압)과 수신 포트(2)에 수신되는 전압(수신 전압) 간의 비율이다. 또한 그래프에서 S31은 삽입 손실이고, 송신 포트(3)에 입력되는 전압(입력 전압)과 안테나 포트(1)에 수신되는 전압(수신 전압) 간의 비율이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이 0.5, 1mm, 2, 3mm인 경우, 안테나 포트(1)와 수신 포트(2) 사이의 삽입 손실(S21)은 수신 대역(4.4~4.52GHz)에서 거의 0dB에 가까운 값(L2)으로 일치하고, 송신 대역(4.62~4.78GHz)에서 서로 다른 값(L21, L22, L23)으로 나타난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이 0.5mm와 1mm 일 때의 삽입 손실(S21)은 매우 유사하여 도 3에서 L21로 도시되어 있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이 0.5, 1mm, 2, 3mm인 경우, 송신 포트(3)와 안테나 포트(1) 사이의 삽입 손실(S31)은 송신 대역(4.62~4.78GHz)에서 거의 0dB에 가까운 값(L3)으로 일치하고, 수신 대역(4.4~4.52GHz)에서 서로 다른 값(L31, L32, L33)으로 나타난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이 0.5, 1mm일 때, 수신 대역(4.4~4.52GHz)에서 삽입 손실(S21)과 삽입 손실(S31) 간의 차(L2와 L31 간의 차)인 격리도가 약 100dB 이상으로 우수하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이 2, 3mm로 증가할수록, 수신 대역(4.4~4.52GHz)에서 삽입 손실(S21)과 삽입 손실(S31) 간의 차(L2와 L32 간의 차, 또는 L2와 L33 간의 차)인 격리도가 약 100dB 미만으로 약 60dB까지 악화됨을 알 수 있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이 0.5, 1mm일 때, 송신 대역(4.62~4.78GHz)에서 삽입 손실(S31)과 삽입 손실(S21) 간의 차(L3과 L21 간의 차)인 격리도가 약 100dB 이상으로 우수하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이 2, 3mm로 증가할수록, 송신 대역(4.62~4.78GHz)에서 삽입 손실(S31)과 삽입 손실(S21) 간의 차(L3과 L22 간의 차, 또는 L3과 L23 간의 차)인 격리도가 약 100dB 미만으로 약 60dB까지 악화됨을 알 수 있다.
연결 지지대(40)의 폭(W)이 1mm에서 2mm로 증가할 때, 격리도가 악화되면서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 간에 신호의 간섭이 증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바람직하게 연결 지지대(40)는 0보다 크고 2mm 미만의 폭(W)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지지대(40)는 1mm와 2mm 사이의 중간 값인 1.5mm로 설계될 수 있다. 또는 듀플렉서(100)는 세라믹으로 제작되므로 가능한 제작 공정을 고려할 때, 연결 지지대(40)는 0.05보다 크고 1mm 이하의 폭(W)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지지대(40)는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를 서로 잡아주므로 듀플렉서(100)의 특성저하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진동이나 충격에도 안테나부(10)에서 크랙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수신 포트 필터(20)의 수신 포트(2), 송신 포트 필터(30)의 송신 포트(3) 및 안테나부(10)의 안테나 포트(1)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각각 배치된다. 수신 포트(2), 송신 포트(3) 및 안테나 포트(1)를 각각 구비하는 수신 포트 필터(20), 송신 포트 필터(30), 및 안테나부(10)는 연결 지지대(40)와 함께 사각형 또는 사각형 영역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들 및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 및 변형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변형예의 듀플렉서(110, 120, 130)에서 연결 지지대(402, 403, 404)는 제1 실시예의 연결 지지대(40)를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의 끝을 기준으로 하여, 길이의 1/4 지점(L/4), 2/4 지점(2L/4), 3/4 지점(3L/4) 각각에 구비된다.
도 7은 제1 실시예와 제1 내지 제3 변형예와 같이 연결 지지대의 위치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을 참조하면, 길이(L)의 끝 지점, 1/4 지점(L/4), 2/4 지점(2L/4), 3/4 지점(3L/4) 각각에 대한, 안테나 포트(1)의 반사 손실(S11)이 도 2의 결과와 차이가 없다. 4 지점 각각에서의 각 반사 손실(S11; S1, S101, S102, S103)은 겹쳐서 하나로 나타난다.
도 8은 제1 실시예와 제1 내지 제3 변형예와 같이 연결 지지대의 위치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수신 포트의 삽입 손실과 송신 포트에서 안테나 포트로의 삽입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삽입 손실(S21, S31)이 도 3의 결과(L2-L21, L3-L31)와 차이가 없다. 4 지점 각각에서의 각 삽입 손실(S21; L2, L21)은 겹쳐서 하나로 나타났고, 각 삽입 손실(S31; L3, L31)은 겹쳐서 하나로 나타났다(도 8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듀플렉서(200)에서, 연결 지지대(240)는 제1 연결 지지대(41)와 제2 연결 지지대(242)를 포함한다.
제1 연결 지지대(41)는 제1 실시예의 연결 지지대(40)와 동일하며, 안테나부(10)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제2 연결 지지대(242)는 제1 연결 지지대(41)를 기준으로 하여, 길이(L)의 1/2 지점(L/2)에서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를 서로 연결한다. 제2 연결 지지대(242)는 제1 연결 지지대(41)와 동일한 폭 또는 0보다 크고 1mm 이하의 폭(W)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듀플렉서(300)에서, 연결 지지대(340)는 제1 연결 지지대(41)와 제2 연결 지지대(342) 및 제3 연결 지지대(343)를 포함한다.
제2 연결 지지대(342) 및 제3 연결 지지대(343)는 제1 연결 지지대(41)를 기준으로 하여, 길이의 1/3 지점(L/3)과 2/3 지점(2L/3) 각각에서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를 서로 연결한다. 제2 연결 지지대(342) 및 제3 연결 지지대(343)는 제1 연결 지지대(41)와 동일한 폭 또는 0보다 크고 1mm 이하의 폭(W)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듀플렉서(400)에서, 연결 지지대(440)는 제1 연결 지지대(41)와 제2 연결 지지대(442), 제3 연결 지지대(443) 및 제4 연결 지지대(444)를 포함한다.
제2 연결 지지대(442), 제3 연결 지지대(443) 및 제4 연결 지지대(444)는 제1 연결 지지대(41)를 기준으로 하여, 길이의 1/4 지점(L/4)과 2/4 지점(2L/4) 및 3/4 지점(3L/4) 각각에서 수신 포트 필터(20)와 송신 포트 필터(30)를 서로 연결한다. 제2 연결 지지대(442), 제3 연결 지지대(443) 및 제4 연결 지지대(444)는 제1 연결 지지대(41)와 동일한 폭 또는 0보다 크고 1mm 이하의 폭(W)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의 듀플렉서(100)는 안테나 포트(1)에 수신 포트(2) 및 송신 포트(3)에 이르는 거리가 멀고, 수신 포트(2)에서 송신 포트(3)에 이르는 거리가 짧도록 안테나부(10), 수신 포트 필터(20) 및 송신 포트 필터(30)를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실시예의 듀플렉서(100)는 도 1에서 길이(L) 방향이 길고 이에 교차하는 방향이 짧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12는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연결 지지대의 위치와 개수에 따른 안테나 포트에서 수신 포트의 삽입 손실과 송신 포트에서 안테나 포트로의 삽입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1 실시예에서 연결 지지대(40)는 길이(L)의 끝 지점에 위치하고, 제2 실시예에서 제1, 제2 연결 지지대(41, 242)는 길이(L)의 끝 지점과 2/4 지점(2L/4)에 위치하며, 제3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연결 지지대(41, 342, 343)는 길이(L)의 끝 지점과 1/3, 2/3 지점(L/3, 2L/3)에 위치하고, 제4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제4 연결 지지대(41, 42, 43, 44)는 길이(L)의 끝 지점과 1/4, 2/4, 3/4 지점(L/4, 2L/4, 3L/4)에 위치한다.
도 12(도 8과 거의 일치되지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함)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의 삽입 손실(S21, S31)이 도 3의 결과(L2-L21, L3-L31)와 차이가 없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의 삽입 손실(S21; L2, L21)은 매우 유사하여 일치하게 나타났고, 삽입 손실(S31; L3, L31)은 매우 유사하여 일치하게 나타났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듀플렉서(500)는 안테나 포트(1)에 수신 포트(2) 및 송신 포트(3)에 이르는 거리가 짧고, 수신 포트(2)에서 송신 포트(3)에 이르는 거리가 길도록 안테나부(510), 수신 포트 필터(520) 및 송신 포트 필터(530)를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5 실시예의 듀플렉서(500)는 도 13에서 길이(L5) 방향이 짧고 이에 교차하는 방향이 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안테나 포트(1), 수신 포트(2) 및 송신 포트(3)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의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6 실시예의 듀플렉서(600)는 수신 포트 필터(620) 및 송신 포트 필터(630) 각각에서 일부 영역(A2, A3)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 비하여 수신 포트(2)에서 송신 포트(3)에 이르는 거리가 더 짧아지고, 안테나 포트(1)에 수신 포트(2) 및 송신 포트(3)에 이르는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수신 포트 필터(620) 및 송신 포트 필터(630)는 일부 영역(A2, A3)이 제거된 다각형을 이룬다. 그리고 안테나부(610), 수신 포트 필터(620) 및 송신 포트 필터(630)는 사각형 영역(A)을 포함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안테나 포트 2: 수신 포트
3: 송신 포트 10, 510, 610: 안테나부
20, 520, 620: 수신 포트 필터 30, 530, 630: 송신 포트 필터
40, 240, 340, 440: 연결 지지대 402, 403, 404: 연결 지지대
41, 42: 제1, 제2 연결 지지대 43, 44: 제3, 제4 연결 지지대
100, 110, 120, 130: 듀플렉서 200, 300, 400: 듀플렉서
500, 600: 듀플렉서 242, 342, 442: 제2 연결 지지대
343, 443: 제3 연결 지지대 444: 제4 연결 지지대
A: 사각형 영역 A2, A3: 일부 영역
G: 간격 L, L5: 길이
L/2: 1/2 지점 L/3, 2L/3: 1/3, 2/3 0지점
L/4: 1/4 지점 2L/4: 2/4지점
3L/4: 3/4 지점 S11(S1~S5): 반사 손실
S11(S101~S103): 반사 손실 S21(L2, L21, L22, L23): 삽입 손실(값)
S31(L3, L31, L32, L33): 삽입 손실(값)
W: 폭

Claims (10)

  1. 수신 포트를 구비하는 수신 포트 필터;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고 송신 포트를 구비하는 송신 포트 필터;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고 안테나 포트를 구비하는 안테나부; 및
    상기 안테나부에서 이격되어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는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지지대, 및
    상기 제1 연결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길이의 1/2 지점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다른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대는
    상기 안테나부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연결 지지대는
    상기 제1 연결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길이의 1/2 지점에서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연결 지지대는
    상기 제1 연결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길이의 1/3 지점과 2/3지점 각각에서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지지대와 제3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연결 지지대는
    상기 제1 연결 지지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길이의 1/4 지점과 2/4지점 및 3/4지점 각각에서 상기 수신 포트 필터와 상기 송신 포트 필터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연결 지지대와 제3 연결 지지대 및 제4 연결 지지대를 포함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대는
    0보다 크고 2mm 미만의 폭을 가지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대는
    0.05보다 크고 1mm 이하의 폭을 가지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포트, 상기 송신 포트 및 상기 안테나 포트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포트, 상기 송신 포트 및 상기 안테나 포트를 각각 구비하는 상기 수신 포트 필터, 상기 송신 포트 필터, 및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연결 지지대와 함께 사각형 또는 사각형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KR1020210055248A 2021-04-28 2021-04-28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KR10249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248A KR102495987B1 (ko) 2021-04-28 2021-04-28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248A KR102495987B1 (ko) 2021-04-28 2021-04-28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14A KR20220148014A (ko) 2022-11-04
KR102495987B1 true KR102495987B1 (ko) 2023-02-06

Family

ID=8410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248A KR102495987B1 (ko) 2021-04-28 2021-04-28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4954A (ja) * 2009-01-08 2012-06-28 シーティーエス・コーポレーション 凹型上部パターンとキャビティを具備した複式フィルタ
KR101919456B1 (ko) * 2016-10-31 2019-02-08 주식회사 릿치마이크로웨이브 일체형 유전체 세라믹 도파관 듀플렉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014A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100B1 (ko) 탄성 표면파 장치, 통신장치
KR20120104114A (ko) 유전체 도파관 필터
US20020135267A1 (en) Surface acoustic wave device
US5812036A (en) Dielectric filter having intrinsic inter-resonator coupling
CN104426501A (zh) 弹性波滤波器装置以及双工器
US20100231324A1 (en) Monoblock dielectric multiplexer capable of processing multi-band signals
KR100313717B1 (ko)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
CN110808440A (zh) 一种介质波导双工器
KR20200131528A (ko) 체적 음향 공진기를 포함하는 필터
JPS6243601B2 (ko)
US7109827B2 (en) Filter arrangement for balanced and unbalanced line systems
KR102495987B1 (ko) 단일 소체 세라믹 웨이브가이드 듀플렉서
US7408429B2 (en) Coupled FBAR filter
EP0917231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480796B1 (ko) 대역내 군지연 평탄 회로 및 왜곡 보상형 증폭기
JP3387422B2 (ja) アンテナ共用器及び通信機装置
US8729980B2 (en) Band-pass filter based on CRLH resonator and duplexer using the same
CN205621822U (zh) 高隔离度低通带通三工器
JP7095582B2 (ja) 高周波モジュール
KR100369211B1 (ko) 일체형 유전체 듀플렉서
JP2000209002A (ja) デュアルモ―ドフィルタ
CN115250128B (zh) 改善双工器性能的方法及双工器、通信设备
CN114927847B (zh) 应用于5g通信系统的介质双模双工器
KR101897625B1 (ko) 삼중모드 유전체 공진기와 nrn 스터브를 이용한 대역통과필터
US6369668B1 (en)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