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972B1 -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72B1
KR102495972B1 KR1020220093891A KR20220093891A KR102495972B1 KR 102495972 B1 KR102495972 B1 KR 102495972B1 KR 1020220093891 A KR1020220093891 A KR 1020220093891A KR 20220093891 A KR20220093891 A KR 20220093891A KR 102495972 B1 KR102495972 B1 KR 102495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measuring
muscle fatigue
measuring device
muscle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수
Original Assignee
신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이수 filed Critical 신이수
Priority to KR102022009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72B1/ko
Priority to PCT/KR2023/011009 priority patent/WO20240253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397Analysis of electromy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부에서 수신한 근전도 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앞으로 수행할 운동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정규화하는 단계; 및 운동 시작 이후 근전도 센싱을 통하여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REALTIME MUSCLE ACTIVITY AND FATIGUE BASED ON ELECTROMYOGRAPHY}
본 발명은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인 사용자가 운동시 신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여 정상범위인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과 건강관리 및 체형관리 차원으로 헬스 트레이닝, 필라테스, 사이클, 등산 등 다양한 신체활동을 즐기고 있다.
특히, 헬스 트레이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개별 트레이닝(Personal Training)이 대중화된 만큼 올바르고 건강한 운동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의 세계적인 이슈로 인하여, 짐(Gym)과 같은 다중 집합 장소보다는 가정에서의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홈 트레이닝의 경우, 전문 트레이너와 같은 운동 전문가의 부재로 인하여 올바른 운동법, 운동 강도를 사용자 혼자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확인하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중의 하나의 기술이, 근전도 기반의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이다. 근전도(electromyogram) 신호의 스펙트럼의 분포 상태에 따라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 수준으로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근전도라 함은 골격근의 수축과 동시에 발생하는 활동전위 변화를 도출하여 증폭 기록한 파형도를 말하고, 스펙트럼이라 함은 전자파나 기타 파동을 분광 장치로 파장 성분을 구분하여 파장에 따라 정렬시킨 것을 말한다.
기존의 센서에서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수치로 게산하는 데에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기까지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운동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6-0022002호,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 표면에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되는 비침습적 방법의 표면 근전도 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신호를 계측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측정 기기는 일반인 사용자가 운동시 신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로우 데이터(raw data)가 아닌 분석이 완료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측정 기기는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정 기기에서 분석된 데이터는 근전도 센서에 포함된 칩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서버에 일괄 전송하여, 서버에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 기기는 구조적으로 전극과 일체형인 근전도 센서로 신체에 탈부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측정 기기에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부에서 수신한 근전도 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앞으로 수행할 운동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정규화하는 단계; 및 운동 시작 이후 근전도 센싱을 통하여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된 근피로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알림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패치 소재가 상기 측정 기기의 일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 면에는 하나의 접지와 두 개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기기에서 운동 시작 후 측정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컷오프(cut-off) 필터 기반으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측정 기기;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전극부; 통신부; 및 센싱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정보 분석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부에서 수신한 근전도 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앞으로 수행할 운동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정규화하며, 운동 시작 이후 근전도 센싱을 통하여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센싱 정보 분석부에서 상기 측정된 근피로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에 알림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패치 소재가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부는 하나의 접지와 두 개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기기에서 운동 시작 후 측정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센싱 정보 분석부는 상기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컷오프(cut-off) 필터 기반으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를 때, 피부 표면에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되는 비침습적 방법의 표면 근전도 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신호를 계측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측정 기기는 일반인 사용자가 운동시 신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로우 데이터(raw data)가 아닌 분석이 완료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측정 기기는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정 기기에서 분석된 데이터는 근전도 센서에 포함된 칩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서버에 일괄 전송하여, 서버에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 기기는 구조적으로 전극과 일체형인 근전도 센서로 신체에 탈부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 및 사용자 단말의 연결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의 전극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웨이트 근력 운동, 사이클, 맨손 운동 등 홈 트레이닝을 수행하면, 사용자의 신체 근 신경계가 자극되면서 근육의 수축 및 이완 작용이 발생된다.
측정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생체 신호를 센싱하게 되며, 근육의 미세 전위를 측정하여 이에 기반하여 생체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피부 표면에 전극을 부착하여 측정되는 비침습적 방법의 표면 근전도 센서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신호를 계측한다. 유선(wire) 방식의 근전도 센서는 높은 샘플링 주파수와 다채널의 신호를 노이즈없이 센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웨이트 트레이닝과 같이 동적인 활동시 착용에 큰 불편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무선(wireless) 방식의 근전도 센서가 이용되며, 다중 채널 통신이 가능하여, 다수의 근전도 센서의 생체 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의 근전도 센서의 경우에는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서 송신기 및 수신기가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간편한 활용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근전도 센서 자체에 송신 기능을 탑재하는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나, 수신기가 별도로 존재하여 PC나 태블릿, 스마트폰과 연결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 불편함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는 측정 기기 내부에 송수신 통신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휴대가 편리하며, 동적인 운동에도 적합한 기기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 및 사용자 단말의 연결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기기로서 사용자 단말(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을 전제로 한 통신망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할 수 있는 기기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의 측정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부착되는 전극 패치와 전극 패치에 부착되는 측정 기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200)는 측정 기기(100)에서 분석된 생체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표시하는 기기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시계, 스마트목걸이, 스마트안경, 스마트헬멧, 스마트장갑, 스마트벨트, 태블릿, 노트북, 데스크탑, MAC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과정은 하기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운동하고자 하는 근육, 즉 생체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근육에 전극 패치 및 측정 기기를 부착한다.
측정 기기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로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근전도 신호의 정상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근전도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극 패치 또는 측정 기기가 잘못 부착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한 환경 설정 과정으로서, 근전도 신호의 이상 수신 유무를 판단한다(S310).
근전도 신호가 측정 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서 정상적으로 수신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하려고 하는 운동을 설정할 수 있다. 측정 기기는 운동 설정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정규화(Normalization) 한다(S320).
운동 설정 정보에는 운동의 종류, 세트수, 반복횟수와 같은 운동의 정량적 데이터가 해당될 수 있다. 측정 기기는 이러한 정량적 데이터의 정규화 과정을 통해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정규화는 사용자가 운동을 1RM(Repetition Maximum) 수행하였을 때 분석된 근피로도 지수를 기준으로 수행한다.
사용자가 본격적으로 운동을 시작하면, 측정 기기에서는 근전도 센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정보를 분석한다(S330).
도 4의 단계 S410 내지 S430은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측정 기기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서는 수신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현실적으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와 관련하여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일반 사용자로서는 단순히 정보를 받는 것으로는 운동량 조절 등에 어떻게 대응 적용해야 하는지 모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는 근피로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알림 정보를 전송하여(S440),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신경근 피로(neuromuscular fatigue)는 반복되거나 지속적인 근수축으로 근육이 생성할 수 있는 최대 수의근력의 감소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피로가 누적될 경우, 부상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은 적절한 운동량을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근피로도가 정상 범위인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을 벗어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기준은 앞서 정규화 과정에서의 센싱된 근피로도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는 측정 기기의 온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신체에 전극 패치가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측정 기기의 발열이 심할 경우, 사용자의 신체에 화상 등의 위험이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기기는 전극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측정을 중단하거나, 저발열 모드로 수행되도록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발열 모드에서는 근전도 측정 주기를 늘리거나, 근피로도 연산 주기를 늘리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운동 중인 관계로 땀이나 집중력에 의해서 이러한 발열의 위험을 쉽게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측정 기기는 사용자 단말에 발열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에서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알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측정기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의 종류 및 정량 데이터와 생체 신호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으며, 이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운동 변화나 피드백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100)는 전극부(110), 센싱 정보 분석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도 5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입출력부, 전원부, 충전부, 저장부 등이 측정 기기(10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전극부(1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전극 패치가 부착되며, 전극 패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전극부(110)는 하나의 접지와 두 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센싱 정보 분석부(120)는 전극부에서 수신한 근전도 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이 때의 근전도 신호의 이상 유무는 측정에 필요한 측정 기기(100)의 전극부(110)가 신체에 잘 부착되어 센싱 신호를 잘 수신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만일, 사용자의 근전도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극 패치 또는 전극부(110)가 잘못 부착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을 위한 환경 설정 과정으로서, 근전도 신호의 이상 수신 유무를 판단한다.
근전도 신호가 측정 기기 및 사용자 단말에서 정상적으로 수신된다고 판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센싱 정보 분석부(120)는 운동 설정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정규화(Normalization) 한다.
운동 시작 이후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전극부(110)는 근전도 센싱을 통하여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고,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센싱 정보 분석부(120)는 상기 측정된 근피로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알림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센싱 정보 분석부(120)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의 두 가지 신호를 센서의 MCU인 센싱 정보 분석부(120)에서 계산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센싱 정보 분석부(120)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컷오프(cut-off) 필터 기반으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컷오프 필터를 사용하는 가장 주요한 이유는 연산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빠르게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 기기의 전극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측정기기는 전극 패치(10)를 포함하며, 전극 패치(10)와 전극부(11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대응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는 전극 패치(10)는 하나의 접지(11)와 두 개의 전극(12 및 13)을 포함하며, 접지(11)는 전극부(110)의 접지(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두 개의 전극 패치(10)의 전극(12 및 13)은 전극부의 두 전극(112 및 1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측정 기기
110: 전극부
120: 센싱 정보 분석부
130: 통신부
200: 사용자 단말

Claims (10)

  1. 측정 기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부에서 수신한 근전도 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앞으로 수행할 운동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정규화하는 단계; 및
    운동 시작 이후 근전도 센싱을 통하여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극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측정을 중단하거나 저발열 모드로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발열 모드는 근전도 측정 주기 또는 근피로도 연산 주기를 늘려서 측정하는 것인, 측정 기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근피로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 알림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 기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패치 소재가 상기 측정 기기의 일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 면에는 하나의 접지와 두 개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기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기에서 운동 시작 후 측정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 기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컷오프(cut-off) 필터 기반으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 기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6.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기기; 및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 기기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전극부;
    통신부; 및
    센싱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정보 분석부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전극부에서 수신한 근전도 신호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앞으로 수행할 운동 설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정규화하며,
    운동 시작 이후 근전도 센싱을 통하여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측정 기기는,
    상기 전극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측정을 중단하거나 저발열 모드로 수행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저발열 모드는 근전도 측정 주기 또는 근피로도 연산 주기를 늘려서 측정하는 것인,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 분석부에서 상기 측정된 근피로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에 알림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패치 소재가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부는 하나의 접지와 두 개의 전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기에서 운동 시작 후 측정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 분석부는 상기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를 측정하는 경우에,
    컷오프(cut-off) 필터 기반으로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지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
KR1020220093891A 2022-07-28 2022-07-28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495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891A KR102495972B1 (ko) 2022-07-28 2022-07-28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3/011009 WO2024025378A1 (ko) 2022-07-28 2023-07-28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891A KR102495972B1 (ko) 2022-07-28 2022-07-28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972B1 true KR102495972B1 (ko) 2023-02-06

Family

ID=8522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891A KR102495972B1 (ko) 2022-07-28 2022-07-28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5972B1 (ko)
WO (1) WO20240253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378A1 (ko) * 2022-07-28 2024-02-01 신이수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281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1rm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22002A (ko) 2014-08-19 2016-02-2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실시간 근피로도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근피로도 측정 방법
KR20180047780A (ko) * 2016-11-01 2018-05-10 (주)유즈브레인넷 근전도 센서가 장착된 피트니스 웨어와 무선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근전도 측정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소프트웨어 분배서버
KR20180049317A (ko) * 2016-10-31 2018-05-11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운동량에 따른 근피로도 측정방법
KR20180055743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1745B1 (ko) * 2019-04-29 2020-09-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전도 측정을 통한 근육 피로도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232855B1 (ko) * 2019-02-20 2021-03-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전도 신호의 중간주파수를 이용한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
KR20210081998A (ko) *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착탈식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972B1 (ko) * 2022-07-28 2023-02-06 신이수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281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1rm 추정 장치 및 방법
KR20160022002A (ko) 2014-08-19 2016-02-2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실시간 근피로도 경고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근피로도 측정 방법
KR20180049317A (ko) * 2016-10-31 2018-05-11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운동량에 따른 근피로도 측정방법
KR20180047780A (ko) * 2016-11-01 2018-05-10 (주)유즈브레인넷 근전도 센서가 장착된 피트니스 웨어와 무선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근전도 측정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소프트웨어 분배서버
KR20180055743A (ko) * 2016-11-16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2855B1 (ko) * 2019-02-20 2021-03-29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전도 신호의 중간주파수를 이용한 근피로도 측정 시스템
KR102151745B1 (ko) * 2019-04-29 2020-09-03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전도 측정을 통한 근육 피로도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210081998A (ko) *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착탈식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378A1 (ko) * 2022-07-28 2024-02-01 신이수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378A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ttiarachchi et al. Validation of Polar OH1 optical heart rate sensor for moderate and high 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US11253197B2 (en) Non-invasive biofeedback system
Choi et al. Using heart rate monitors to detect mental stress
US20140276188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ssessing and treating pain, discomfort and anxiety
CN109077725B (zh) 一种肌肉疲劳度检测装置
CN109716443B (zh) 利用肌电图传感器的运动管理方法以及系统
US20160213296A1 (en) Screening system for fatigue and stress
EP1512370A1 (en) Train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biofeedback
Muggeridge et al. Measurement of heart rate using the polar OH1 and Fitbit charge 3 wearable devices in healthy adults during light, moderate, vigorous, and sprint-based exercise: validation study
KR102495972B1 (ko) 근전도 기반 실시간 근활성도 및 근피로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Mitchell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martphone pulse rate application for the assessment of resting and elevated pulse rate
Smith et al. Moving beyond self‐report data collection in the natural environment: A review of the past and future directions for ambulatory assessment in eating disorders
US11857837B2 (en) Instrumented resistance exercise device
Lee et al. Accuracy of heart rate measurement using smartphones during treadmill exercise in male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CN110025321B (zh) 一种心理压力评估方法及相关设备
Tanner et al. Validation of Hexoskin biometric shirt to COSMED K4 b2 metabolic unit in adults during trail running
Pereira et al. Relationship between resting heart rate variability and intermittent endurance performance in novice soccer players
Kuo et al. Influence of accelerometer placement and/or heart rate on energy expenditure prediction during uphill exercise
US201403647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functional state of body systems including electromyography
KR102495973B1 (ko) 근전도 기반 근피로도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Abdel-Malek et al. Exploring localized muscle fatigue responses at current upper-extremity ergonomics threshold limit values
Coratella et al. Greater fatigability in knee-flexors vs. knee-extensors after a standardized fatiguing protocol
Brandon et al. Reliability of a combined biomechanical and surface electromyographical analysis system during dynamic barbell squat exercise
Wiles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exercise intensity,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during an incremental isometric exercise test
CN113017633B (zh) 一种基于人体特征数据的智能精神分析和评价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