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968B1 - AED based on Augmented Reality - Google Patents

AED based on Augmented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68B1
KR102495968B1 KR1020200111599A KR20200111599A KR102495968B1 KR 102495968 B1 KR102495968 B1 KR 102495968B1 KR 1020200111599 A KR1020200111599 A KR 1020200111599A KR 20200111599 A KR20200111599 A KR 20200111599A KR 102495968 B1 KR102495968 B1 KR 102495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user
patient
glasses
cp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8587A (en
Inventor
박재병
안정민
최수연
변장원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28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5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in combin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ritical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가 제공된다. 상기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는, 자동제세동기 본체;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의 내부에 보관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착용할 경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증강현실로 제공하여,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AR(Augmented Reality) 글라스; 및 상기 AR 글라스에 장착되며, 상기 AR 글라스가 제공하는 상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에 반영되도록, 상기 환자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s provided.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may include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main body; It is stored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and when the user withdraws from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and wears it, information on CPR is provided to the user in augmented reality, so that the user who performs CPR on the patient AR (Augmented Reality) glasses to guide; and a context recognition module mounted on the AR glasses and recognizing current situations of the patient and the user so as to be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on CPR provided by the AR glasses.

Figure R1020200111599
Figure R1020200111599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AED based on Augmented Reality}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based on augmented reality {AED based o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급 상황에 직면한 일반인의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based on augmented reality capable of improving the ability of ordinary people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일반적으로, 심장마비 환자가 갑작스럽게 발생하게 되면, 응급 구조대를 호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심장마비의 경우에는 짧은 시간 안에 응급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응급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환자가 사망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공호흡 등의 심폐소생술이 환자에게 행해져야 한다.In general, when a heart attack patient suddenly occurs, an emergency rescue team is called in most cases.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heart attack, if emergency measures are not taken within a short time, death often occurs. Therefore, until the emergency services arrive, CPR, such as artificial respiration, must be performed on the patient in order to prevent the patient from dying.

하지만, 비전문가에 의해 행해지는 인공호흡 등의 심폐소생술을 통해 심장마비 환자의 심장 박동을 되살릴 확률은 그리 높지 않은 실정이다.However, the probability of reviving the heartbeat of a heart attack patient through CPR such as artificial respiration performed by non-professionals is not very high.

한편, 마비된 심장을 가장 확실하게 되살릴 수 있으면서 마지막으로 시도되는 방법은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하여 심장의 박동을 되살리는 전기 충격 요법인데, 이러한 전기 충격 요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자동제세동기라는 장치가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last method that can most definitely revive a paralyzed heart is electric shock therapy, which restores the heartbea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the heart. do.

일반적으로,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자동으로 세동을 제거하는 의료 기기로, 심장 박동이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 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이 발생할 때, 외부 전기 충격을 주어서 심장 박동이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한다.In general,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is a medical device that automatically removes defibrillation. As the heartbeat stops, blood flow to each tissue is stopped, and the supply of oxygen, etc. essential for vital activities is stopped. When this occurs, an external electric shock is given to return the heartbeat to normal.

상기와 같은 자동제세동기 또한 심장에 마비가 발생된 때로부터 수분 이내에 신속하게 사용되어야만 심장 박동이 소생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s described above also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reviving the heartbeat only when it is used quickly within a few minutes from the occurrence of cardiac arrest.

대부분의 사람들은 심폐소생술을 숙지하고 있지만, 실제 응급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을 해본 사람은 거의 없으며, 이에 따라, 자동제세동기 또한 실제로 사용해 본 사람도 찾아보기 힘들다.Most people are familiar with CPR, but few have ever performed CPR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find people who have actually used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이에 따라, 의료 인력을 제외한 비전문가, 즉, 일반인들은 실제 응급 상황 발생 시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여 응급 처치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고, 사용법을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응급 상황과 맞닥뜨리게 되면, 대부분 당황하기 때문에 응급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려운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not easy for non-professionals, that is, the general public, except for medical personnel, to perform first aid using CPR and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and even if they know how to use it, when they encounter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most of them panic. Because of this, it is difficult to properly respond to emergenci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응급 상황에 직면한 일반인의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ability of ordinary people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는, 자동제세동기 본체;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의 내부에 보관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착용할 경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증강현실로 제공하여,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AR(Augmented Reality) 글라스; 및 상기 AR 글라스에 장착되며, 상기 AR 글라스가 제공하는 상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에 반영되도록, 상기 환자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may include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main body; It is stored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and when the user withdraws from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and wears it, information on CPR is provided to the user in augmented reality, so that the user who performs CPR on the patient AR (Augmented Reality) glasses to guide; and a context recognition module mounted on the AR glasses and recognizing current situations of the patient and the user so as to be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on CPR provided by the AR glass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인식 모듈은 상기 환자의 신체를 인식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인식된 상기 환자의 신체에 흉부 압박을 실시해야 하는 흉부 압박 위치를 안내하는 제1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includes an infrared sensor for recognizing the patient's body, and the AR glasses determine a chest compression position to perform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s body recogniz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The first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guide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인식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해 감지된 흉부 압박 속도가 적정 흉부 압박 속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교정되도록 현재의 흉부 압박 속도를 경고하는 제2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더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furth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 chest compression rate performed by a user, and the AR glasses detects a chest compression rate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When the appropriate chest compression rate is out of range, second augmented reality content warning of the current chest compression rate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hest compression ra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인식 모듈은 상기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기울기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가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가 교정되도록 현재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와 가상의 수직 라인을 비교하는 제3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더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further includes a tilt sensor for detecting a change in tilt between the user's arm performing the chest compression and the ground, and the AR glasses are configured to detect a tilt change of the user's arm detected through the tilt sensor. If the slope formed by the arm and the ground is not perpendicular, the third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compares the slope formed by the user's arm and the ground and a virtual vertical line so that the slope formed by the user's arm and the ground is corrected. can provide more recognizab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 전기적 충격을 가하는 한 쌍의 전극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가 부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제4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ED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electrode pads for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s body, and the AR glass includes a fourth electrode guide for guiding a position where the pair of electrode pads are attached. Augmented reality conten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인식 모듈은 상기 환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상기 환자의 자세가 교정되도록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음성 안내하거나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예시하는 제5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patient, and the AR glasses detect the patient's posture when the posture of the patien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In order to correct the CPR, a voice guide for possible CPR may be provided, or a fifth augmented reality content exemplifying possible CP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인식 모듈은 상기 환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한 자세의 신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제6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6 증강현실 콘텐츠 상에 상기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상응하는 상기 환자의 신체 부위를 위치시켜, 상기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한 자세가 되도록 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patient, and the AR glasses are capable of performing CPR when the posture of the patien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A sixth augmented reality content indicating a position of at least one part of the body in a posture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and the user receives the patient's body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part on the sixth augmented reality content. By positioning the body part, the posture of the patient can be corrected so that it becomes a posture capable of performing CP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AR glasses are withdrawn from the AED main body, they may be automatically switched from a sleep mode to an operating mod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응급 상황 신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응급 상황 신고 모듈은 상기 AR 글라스가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응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119안전신고센터에 자동 신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reporting module, and when the AR glasses are switched to the operation mode,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may recognize an emergency and automatically report it to the 119 safety reporting cent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AR 글라스에는 위치 인식 모듈이 탑재되며, 상기 응급 상황 신고 모듈은, 신고 시 상기 위치 인식 모듈을 통해 인식되는 상기 AR 글라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119안전신고센터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location recogni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AR glasses, and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R glasses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recognition module to the 119 safety reporting center when a report is made. ca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통화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통화 모듈은, 상기 응급 상황 신고 모듈에 의한 신고가 상기 119안전신고센터에 접수된 것으로 확인되면, 출동한 구급 대원의 연락처를 상기 119안전신고센터로부터 제공 받으며, 상기 구급 대원이 응급 상황에 대한 영상을 보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과 연동되는 상기 AR 글라스와 상기 구급 대원의 휴대폰 간의 영상 통화를 연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deo call module further includes a video call modu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port by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has been received by the 119 safety call center,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dispatched paramedic is sent to the 119 call center. It is provided from the Safety Report Center, and a video call between the AR glasses linked with the user's mobile phone and the paramedic's mobile phone can be connected so that the paramedic can directly instruct the user while watching an emergency video.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제세동기 본체;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의 내부에 보관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착용할 경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증강현실로 제공하여,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AR(Augmented Reality) 글라스; 및 상기 AR 글라스에 장착되며, 상기 AR 글라스가 제공하는 상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에 반영되도록, 상기 환자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main body; It is stored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and when the user withdraws from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and wears it, information on CPR is provided to the user in augmented reality, so that the user who performs CPR on the patient AR (Augmented Reality) glasses to guide; and a context recognition module mounted on the AR glasses and recognizing current situations of the patient and the user so as to be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on CPR provided by the AR glasses.

이에 따라,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사람에게 유용하고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고, 심폐소생술을 처음 진행해보는 사람에게 올바른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직면한 비전문가인 일반인의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ly, it can provide useful and direct help to those who perform CPR, and by guiding those who are new to CPR to perform correct CPR, the ability of non-professionals to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AR 글라스 착용과 동시에 119안전신고센터에 자동 접수됨은 물론, 심폐소생술 중에 영상 통화 연결되는 구급 대원의 직접적인 지시를 받게 됨에 따라, 빠른 응급 대처가 가능하여 응급 상황의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응급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AR glasses are automatically received at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at the same time, as well as receiving direct instructions from paramedics who are connected by video call during CPR, quick emergency response is possible and emergency situations It is possible to secure a golden time, and through this,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apable of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of emergency patients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심폐소생술 교육 시 실제 응급 상황과 같은 생동감 있는 교육 환경 조성이 가능하여, 심폐소생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lively educational environment like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during CPR training, so that an augmented reality-based AED that can increase understanding of CPR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를 나타낸 사시도로, AR 글라스의 슬립 모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를 나타낸 사시도로, AR 글라스의 동작 모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의 AR 글라스와 상황 인식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서, 적외선 센서를 통해 환자 신체의 인식하고, 이에 따라, 흉부 압박을 실시해야 하는 흉부 압박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AR 글라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해 흉부 압박 속도를 감지하고, 흉부 압박 속도가 적정 흉부 압박 속도로 교정되도록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AR 글라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서, 기울기 센서를 통해,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팔과 지면과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고, 팔과 지면이 수직을 이루도록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AR 글라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서, 전극 패드가 부착되는 위치를 증강현실 콘텐츠로 제공하는 AR 글라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서, 심폐소생술 가능한 자세에 대한 예시를 보여주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AR 글라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서,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하게 환자의 자세를 정렬시킬 수 있는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AR 글라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에서, 사용자와 구급 대원 간의 영상 통화를 연결하는 영상 통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의 AR 글라스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가 아닌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의 AR 글라스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 제세동기에서, 구급 대원과 영상 통화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p mode state of AR glasses.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mode state of AR glasses.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R glasses and a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cognizes a patient's body through an infrared sensor and, accordingly, provides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guiding a chest compression position where chest compression should be performed. It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R glasses.
6 is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ng a chest compression rate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so that the chest compression rate is corrected to an appropriate chest compression rate. It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R glasses.
7 i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ing a change in inclination between an arm performing chest compressions and the ground through a tilt sensor, and making the arm and the groun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R glasses that provide.
FIG.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R glasses that provide a location where an electrode pad is attached as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R glasses that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showing an example of a posture capabl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R glasses that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guides a position where a patient's posture can be aligned to enabl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1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video call module that connects a video call between a user and an ambulance in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R glasses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rating AR glasses of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tient's posture is not in a posture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video call with an ambulance in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 the drawings, shapes and size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although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s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In the specifica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to mean both indirectly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100)는, 심장 박동이 갑자기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 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응급 상황이 발생할 때, 외부 전기 충격을 주어서 심장 박동이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하는 의료 장치이다.As shown in FIG. 1 ,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flow to each tissue is stopped due to a sudden stop of the heartbeat, and the supply of oxygen, etc. essential for biological activities is stopped. When an emergency occurs, it is a medical device that restores the normal heartbeat by giving an external electric shock.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100)는, 응급 상황과 직면하여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게 되는 비전문가인 일반인이 증강현실을 통해 심폐소생술 과정을 안내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n-expert general who is to perform CPR on a patient in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guided through the CPR process through augmented reality. can make i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100)는, 자동제세동기 본체(110), AR 글라스(120) 및 상황 인식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augmented reality-based A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ED main body 110, AR glasses 120, and a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130.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는 하부 케이스(111) 및 이에 힌지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111)의 상단을 개방하는 상부 커버(112)로 그 외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111)에는 AR 글라스(120)를 보관할 수 있는 수용홈(111a)이 마련될 수 있다. AR 글라스(120)는 수용홈(111a)에 보관된 상태에서는 슬립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ED main body 110 may have a lower case 111 and an upper cover 112 hinged thereto to open the top of the lower case 111. At this time, the lower case 111 may be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groove 111a capable of storing the AR glass 120. The AR glass 120 may be maintained in a sleep mode while stored in the receiving groove 111a.

도 3을 참조하면, AR 글라스(120)는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출 시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AR 글라스(120)가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출되어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 후술되는 응급 상황 신고 모듈(140)에 의해 응급 상황으로 인식되어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자동으로 신고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 when the AR glasses 120 are withdrawn from the AED main body 110, they may be switched to an operating mode. At this time, when the AR glass 120 is withdrawn from the AED main body 110 and switched to an operation mode, it is recognized as an emergency by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140 described later and automatically sent to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It can be report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한편,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에는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한 쌍의 전극 패드(도 8의 113)가 연결된다. 한 쌍의 전극 패드(113)는 환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환자의 신체에 전기적 충격을 가하게 된다.Meanwhile, a pair of electrode pads ( 113 in FIG. 8 ) receiving power from the AED body 110 are connected to the AED body 110 . The pair of electrode pads 113 are attached to the patient's body and apply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s body through power applied from the AED main body 110 .

이때, 한 쌍의 전극 패드(113) 중 어느 하나의 전극 패드는 환자의 오른쪽 쇄골 중심 하부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하나의 전극 패드는 환자의 왼쪽 젖꼭지와 겨드랑이 사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one of the pair of electrode pads 113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patient's right clavicle. The other electrode pad is preferably attached between the patient's left nipple and armpit.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에는 전원 버튼, 쇼크 버튼, 표시창 등이 구비되고, 심전도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의 기본 형태 또는 구조는 일반적인 자동제세동기 와 다르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AED main body 110 includes a power button, a shock button, a display window, and the like, and a program for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is embedded therein. Since the basic form or structure of the AED main bod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a general A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AR(Augmented Reality) 글라스(120)는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의 내부, 즉,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의 하부 케이스(111)에 마련되어 있는 수용홈(111a)에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다.1 to 3 , AR (Augmented Reality) glasses 120 ar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AED main body 110, that is, in the lower case 111 of the AED main body 110, the receiving groove ( 111a) and can be stored.

AR 글라스(120)는, 사용자가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출하여 착용할 경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증강현실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AR 글라스(120)는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사용자를 가이드할 수 있다.When the AR glasses 120 are removed from the AED main body 110 and worn by the user, information on CPR is provided to the user in augmented reality. Through this, the AR glasses 120 may guide a user performing CPR on a patie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100)는 이러한 AR 글라스(120)를 통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사람에게 유용하고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고, 심폐소생술을 처음 진행해보는 사람에게 올바른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직면한 비전문가인 일반인의 응급 상황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based AE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useful and direct help to a person performing CPR through the AR glasses 120, and a person who is new to CPR By guiding the person to perform proper CPR, the emergency response ability of non-professionals facing an emerg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100)는 이러한 AR 글라스(120)를 통해, 심폐소생술 교육 시 실제 응급 상황과 같은 생동감 있는 교육 환경 조성을 조성할 수 있어, 심폐소생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reate a lively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during CPR training through the AR glasses 120, so that CPR can increase your understanding of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 글라스(120)는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출될 때,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자동 전환은 일례로,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와 AR 글라스(120) 간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AR glasse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thdrawn from the AED main body 110, they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from a sleep mode to an operating mode. Such an automatic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by disconnect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AED main body 110 and the AR glasses 120.

또한, 이러한 모드 자동 전환은 다른 예로,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센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모드 자동 전환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모드 자동 전환 방식을 상기의 예시들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such an automatic mode conversion may be performed by a sensor provided in the AED main body 110 as another example. In addition to this, since automatic mode switching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mode swi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R 글라스(120)는 증강 현실 제공 모듈(121), 위치 인식 모듈(122) 및 배터리 모듈(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AR glasse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a location recognition module 122, and a battery module 123.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상황 인식 모듈(130)을 통해 전달되는 환자 및 사용자의 상태 정보들을 토대로,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사용자를 가이드할 수 있는 다양한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예컨대, 프로젝터 및 프리즘을 통해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다양한 방식으로 증강현실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can guide the user wearing the AR glasses 120 based on the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patient and the user transmitted through the contextual recognition module 130, and the user can recognize various augmented reality contents. can provide In this case,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recognizable to the user through, for example, a projector and a prism.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generate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various ways and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be recognizable to the user.

위치 인식 모듈(122)은 GPS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인식 모듈(122)은, 후술되는 응급 상황 신고 모듈(140)에 의해 응급 상황이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신고될 때, 응급 환자와 마주하고 있는 AR 글라스(1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location recognition module 122 may be provided as a GPS module. This location recognition module 122, when an emergency is reported to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by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140 described lat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R glasses 120 facing the emergency patient can provide.

배터리 모듈(123)은, AR 글라스(120)가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출될 때, 동작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증강 현실 제공 모듈(121)과 위치 인식 모듈(12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123 supplies power to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module 122 so that they can be switched to an operating mode when the AR glasses 120 are withdrawn from the AED main body 110. can suppl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 모듈(123)은 충,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23)은 예컨대,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의 내부에 수납되어 보관될 때,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의 전원에 접속되어 무선 충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123 may include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module 12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relessly 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of the AED main body 110 when stored inside the AED main body 110, for exampl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황 인식 모듈(130)은 AR 글라스(120)에 장착된다. 상황 인식 모듈(130)은, AR 글라스(12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에 반영되도록, 환자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식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130 is mounted on the AR glasses 120.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130 recogniz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atient and the user so that the information on CPR provided to the user by the AR glasses 120 is reflected.

도 4를 참조하면,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식 모듈(130)은 적외선 센서(13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for this purpose,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131 .

도 5를 참조하면, 적외선 센서(131)는 환자의 신체,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신체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131)에 의해 인식된 환자 신체의 형상에 대한 정보는 AR 글라스(120)에 구비되는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에 전달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infrared sensor 131 may recognize the patient's body, more specifically, the patient's body shape. Information about the shape of the patient's body recognized by the infrared sensor 131 is transmitted to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provided in the AR glass 120 .

이에 따라,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먼저, 적외선 센서(131)를 통해 인식된 환자의 신체 형상을 나타내는 증강현실 콘텐츠(AR1)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first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1 representing the patient's body shape recogniz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131 in a way that the user can recognize.

이에,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사용자는 실제 환자 및 실제 환자에 겹쳐져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1을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게 된다.Accordingly, a user wearing the AR glasses 120 sees the real patient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1 overlapping and displayed on the real patient through the AR glasses 120 .

그 다음,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적외선 센서(131)를 통해 인식된 환자의 신체 형상을 기반으로, 흉부 압박을 실시해야 하는 올바른 흉부 압박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흉부 압박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2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Next,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determines the correct chest compression position where chest compression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the patient's body shape recogniz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131, and guides the determined chest compression position. Augmented reality content AR2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이에,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사용자는 실제 환자 및 실제 환자에 겹쳐져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1, AR2를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게 된다.Accordingly, a user wearing the AR glasses 120 sees the actual patient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s AR1 and AR2 overlapping and displayed on the actual patient through the AR glasses 120 .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환자의 흉부 상에 겹쳐져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2에 양손을 위치시켜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CPR on the patient by placing both hands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2 displayed through the AR glasses 120 and superimposed on the patient's chest.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식 모듈(130)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132 .

도 6을 참조하면,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132)는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를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132)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에 대한 정보는 AR 글라스(120)에 구비되는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에 전달된다.Referring to FIG. 6 , an acceleration sensor and gyro sensor 132 detects a chest compression rate performed by a user. Information on the chest compression speed sens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132 and performed by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provided in the AR glasses 120 .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132)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적정 흉부 압박 속도를 벗어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교정될 수 있도록, 현재의 흉부 압박 속도를 경고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3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correct the chest compression speed performed by the user when the chest compression speed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132 is out of an appropriate chest compression speed. The AR content AR3 warning of the current chest compression spee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예를 들어,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적정 흉부 압박 속도를 벗어나면, 깜빡이는 빨간색 원으로 이루어진 증강현실 콘텐츠 AR3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적정 흉부 압박 속도를 나타내면,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파란색 원으로 이루어진 증강현실 콘텐츠 AR3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3 consisting of a blinking red circle to the user in a perceptible manner when the chest compression speed performed by the user exceeds the proper chest compression speed. When the chest compression rate performed by the user indicates an appropriate chest compression rate,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3 consisting of a blue circle in a perceptual manner to the user.

이때,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지 않도록, 흉부 압박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2에 인접한 위치, 보다 상세하게,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에 증강현실 콘텐츠 AR3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is configured to provide a position adjacent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2 for guiding the chest compression position, more specifically, chest compression to the patient so that the gaze of the user who performs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is not distracte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3 to a position where the user's gaze is direct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이에,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사용자는 실제 환자 및 실제 환자에 겹쳐져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1, AR2 및 AR3를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게 된다.Accordingly, a user wearing the AR glasses 120 sees a real patient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AR1 , AR2 , and AR3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actual patient through the AR glasses 120 .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흉부 압박 속도를 경고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3를 보면서 적정 속도를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at an appropriate speed while view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R3 warning the chest compression speed, which is visible through the AR glasses 120 .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식 모듈(130)은 기울기 센서(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133 .

도 7을 참조하면, 기울기 센서(133)는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에서 제공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들을 보면서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 변화를 감지한다. 기울기 센서(133)에 의해 감지된,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 변화에 대한 정보는 AR 글라스(120)에 구비되는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에 전달된다.Referring to FIG. 7 , the inclination sensor 133 detects a change in inclination of the user's arm performing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and the ground while view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provided by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tilt between the user's arm and the ground performing chest compressions on the patient, detected by the tilt sensor 133, is transmitted to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provided in the AR glasses 120.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기울기 센서(133)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가 수직을 이루지 않는 경우,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가 교정될 수 있도록, 현재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와 가상의 수직 라인을 비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4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correct the tilt between the user's arm and the ground, which is detected by the tilt sensor 133, when the tilt between the user's arm and the ground is not perpendicular. In order to do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4 that compares the virtual vertical line with the slope formed by the current user's arm and the groun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예를 들어,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현재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를 표시하는 현재 기울기 라인과, 지면과 수직한 기준 라인으로 이루어진 증강현실 콘텐츠 AR4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4 consisting of a current inclination line displaying the inclination between the user's arm performing chest compression and the ground, and a reference lin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can possibly be provided.

이에,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는 실제 환자 및 실제 환자에 겹쳐져 표시되는, 현재 기울기 라인과 기준 라인을 표시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4를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게 된다.Accordingly, a user who performs chest compression on a patient while wearing the AR glasses 120 displays augmented reality content AR4 displaying the actual patient and the current tilt line and reference line, which are superimposed on the actual patient, through the AR glasses 120. ) is seen through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현재 기울기 라인이 기준 라인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계속 체크하면서 환자에 대한 올바른 흉부 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correct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while continuously checking that the current inclination line seen through the AR glasses 120 does not deviate from the reference line.

도 8을 참조하면,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전기 충격을 위한 한 쌍의 전극 패드(113)가 부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5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증간 현실 제공 모듈(121)은 적외선 센서(131)를 통해 인식된 환자의 신체 형상을 기반으로, 전극 패드(113)가 부착될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전극 패드(113) 부착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5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provid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5, which guides a position where a pair of electrode pads 113 for electric shock are attached, in a way that the user can recognize. At this time,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determines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ode pad 113 is to be attached based on the body shape of the patient recogniz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131, and guides the determined attaching position of the electrode pad 113. Augmented reality content AR5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이에,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사용자는 실제 환자 및 실제 환자에 겹쳐져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5를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wearing the AR glasses 120 sees the real patient an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5 overlapping and displayed on the real patient through the AR glasses 120 .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환자의 신체 상에 겹쳐져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5 위치에 전극 패드(113)를 부착시킨 후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쇼크 버튼을 눌러, 환자의 신체에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attaches the electrode pad 113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5 position overlapped and displayed on the patient's body, visible through the AR glasses 120, and then presses the shock button provided on the AED main body 110. By pressing, an electric shock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body.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 인식 모듈(130)은 환자를 촬영하는 카메라(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4 ,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134 for photographing the patient.

도 9를 참조하면, 갑자기 사람이 쓰러지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응급 처리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낭비된다.Referring to FIG. 9 , when a person suddenly falls down, most people panic, and as a result, precious time for emergency treatment is wasted.

갑자기 심정지가 발생되면, 옆으로 누운 상태, 엎드린 상태, 벽에 기대어 앉은 상태 등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기가 불가한 자세로 쓰러질 수 있다.When a sudden cardiac arrest occurs, the patient may collapse in a position in which CPR is impossible, such as lying on the side, lying face down, or sitting against a wall.

AR 글라스(120)에 구비되는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카메라(134)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환자의 자세가 교정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카메라(134)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이면, "환자의 얼굴이 하늘을 향하도록 똑바로 눕혀 주세요"라고 음성 안내할 수 있다.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provided in the AR glasses 120 performs CPR so that the patient's posture can be corrected when the patient's postur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4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Possible positions can be guided by voice. For example, if the patient's posture captured by the camera 134 is in a position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provides voice guidance saying, "Please lay the patient's face upright so that it faces the sky." can do.

또한,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카메라(134)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 즉, 똑바로 누운 자세를 예시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6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is an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exemplifies a posture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that is, an upright posture, when the posture of the patien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4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AR6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이에,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사용자는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예시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6를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거나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AR 글라스(120)를 통해 듣게 된다.Accordingly, a user wearing the AR glasses 120 views augmented reality content AR6 illustrating possible postures for performing CPR through the AR glasses 120 or hears possible postures for performing CPR through the AR glasses 120 .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예시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6를 확인한 후 환자를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하게 똑바로 눕힐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음성 안내 받은 대로 환자를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하게 똑바로 눕힐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lay the patient upright so that CPR can be performed after confirm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R6, which is seen through the AR glasses 120, illustrating a posture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user can lay the patient upright so that CPR can be performed upon receiving voice guidance through the AR glasses 120.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예로,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카메라(134)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한 자세의 신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증강현실 콘텐츠 AR7을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s anothe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when the patient's postur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4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at least one of the body in a posture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Augmented reality content AR7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par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예를 들어, 증강현실 제공 모듈(121)은 머리와 발의 위치를 나타내며 원으로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7을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gmented reality providing module 121 may provide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7 displayed as a circle indicating the positions of the head and feet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이에 따라, 사용자는 증강현실 콘텐츠 AR7 위치에 환자의 머리와 발을 위치시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한 자세가 되도록 교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position the patient's head and feet at the AR7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correct the patient's posture so that it becomes a posture capable of performing CPR.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100)는 응급 상황 신고 모듈(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reporting module 140.

응급 상황 신고 모듈(140)은 AR 글라스(120)가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다시 말해, AR 글라스(120)가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출될 때, 이를 응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자동 신고한다.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140 recognizes it as an emergency when the AR glasses 120 switch from the sleep mode to the operating mode, that is, when the AR glasses 120 are withdrawn from the AED main body 110 and automatically report to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 매뉴얼을 보면, 응급 환자가 발생되면, 먼저, 주변 사람에게 119에 신고할 것을 지시한 후,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하지만, 주변에 아무도 없으면, 비전문가인 일반인은 급격히 당황하게 되어,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골든 타임을 놓칠 수 있다.If you look at the emergency response manual, it appears that when an emergency patient occurs, first, people around you are instructed to call 119, and then CPR is performed on the patient. However, if there is no one around, non-professionals are rapidly panicked and may miss the golden time to save the patie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AR 글라스(120)의 위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응급 상황 신고 모듈(140)에 의해 AR 글라스(120)의 위치 변화 시 자동으로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신고됨으로써, 보다 빠르게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되고, 응급 대처하는 사용자도 한결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sition change of the AR glass 120 is automatically reported to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by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140 that monitors the position change of the AR glass 120,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more quickly, and users who respond to emergencies can have a more comfortable min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급 상황 신고 모듈(140)은, 신고 시 AR 글라스(120)에 탑재되어 있는 위치 인식 모듈(122)을 통해 인식되는 AR 글라스(120)의 현재 위치 정보를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급 대원은 정확한 위치로 출동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on reporting, receiv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R glasses 120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recognition module 122 mounted on the AR glasses 120. It can be provided to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Accordingly, the paramedics can be dispatched to an accurate location.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100)는 영상 통화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11 ,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deo call module 150.

영상 통화 모듈(150)은 응급 상황에 처한 환자를 직면한 사용자와, 응급 상황 신고 모듈(140)의 신고에 따라 출동한 구급 대원 간의 영상 통화를 연결시킨다.The video call module 150 connects a video call between a user facing a patient in an emergency and an ambulance responding to a report from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140 .

구체적으로, 영상 통화 모듈(150)은, 먼저, 응급 상황 신고 모듈(140)에 의한 신고가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접수된 것으로 확인되면, 119 안전신고센터(10)로부터, 현장으로 출동한 구급 대원의 연락처를 제공 받는다.Specifically, the video call module 150 first dispatches to the scene from the 119 safety reporting center 1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port by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140 has been received by the 119 safety reporting center 10. Receive contact information for an ambulance.

그 다음, 영상 통화 모듈(150)은, 구급 대원이 응급 상황에 대한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에게 직접 지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휴대폰(20)과 연동되는 AR 글라스(120)와, 구급 대원의 휴대폰(30) 간의 영상 통화를 연결시킬 수 있다.Next, the video call module 150 includes the AR glasses 120 interworking with the user's mobile phone 20 and the paramedic's mobile phone ( 30) can connect video calls between them.

이와 같이,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통해, 현장을 보고 있는 구급 대원의 지시를 받게 되면, 빠르고 정확한 응급 대처가 가능하여 응급 상황의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user receives instructions from paramedics watching the scene through a video call, quick and accurate emergency response is possible, thereby securing a golden time in an emergency situation.

구급 대원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응급 환자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져 골든 타임이 확보되면, 응급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Before the paramedics arrive at the scene, if the golden time is secured by appropriately coping with the emergency pati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the emergency patien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의 작용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각 구성들의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 At this time, reference numerals of each component refer to FIGS. 1 to 11 .

도 12를 참조하면, AR 글라스(120)가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출되어,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S210), 적외선 센서(131)를 통해 인식된 환자의 신체에 흉부 압박을 실시해야 하는 흉부 압박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2가 환자의 신체 상에 겹쳐져 제공될 수 있다(S220).Referring to FIG. 12, when the AR glasses 120 are withdrawn from the AED body 110 and converted from the sleep mode to the operating mode (S210), chest compression is applied to the patient's body recogniz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131. Augmented reality content AR2, which guides the chest compression position to be performed, may be overlapped and provided on the patient's body (S2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환자의 흉부 상에 겹쳐져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2에 양손을 위치시켜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CPR on the patient by placing both hands on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2 displayed through the AR glasses 120 and superimposed on the chest of the patient.

이때, 적외선 센서(131)를 통해 인식된 환자의 신체 형상을 나타내는 증강현실 콘텐츠 AR1 또한 환자의 신체 테두리를 따라 겹쳐져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1 representing the patient's body shape recogniz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131 may also be overlapped and provided along the patient's body edge.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사용자가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경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132)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감지될 수 있다(S230).When a user wearing the AR glasses 120 performs chest compression on a patient, the speed of chest compression performed by the user may be detect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132 (S230).

이때,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적정 흉부 압박 속도를 벗어나면(S231),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교정될 수 있도록, 현재의 흉부 압박 속도를 경고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3가 AR 글라스(120)의 전방에 제공될 수 있다(S232).At this time, if the chest compression rate performed by the user is out of the proper chest compression rate (S231), augmented reality content AR3, which warns the current chest compression rate so that the chest compression rate performed by the user can be corrected, is displayed as AR. It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glass 120 (S232).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흉부 압박 속도를 경고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3를 보면서 적정 속도를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at an appropriate speed while view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R3 warning the chest compression speed, which is visible through the AR glasses 120 .

또한, AR 글라스(120)를 착용한 사용자가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경우, 기울기 센서(133)를 통해,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 변화가 감지될 수 있다(S240).In addition, when a user wearing the AR glasses 120 performs chest compression on a patient, the tilt sensor 133 senses a change in inclination between the arm of the user performing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and the ground. It can be (S240).

이때,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가 수직을 이루지 않으면(S241), 환자에 대한 흉부 압박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가 교정될 수 있도록, 현재 사용자의 팔과 지면이 이루는 기울기와 가상의 수직 라인을 비교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4가 AR 글라스(120)의 전방에 환자와 겹쳐지게 제공될 수 있다(S242).At this time, if the slope between the arm of the user performing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and the ground is not perpendicular (S241), the slope between the arm and the ground of the user performing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can be corrected. Augmented reality content AR4, which compares the virtual vertical line with the slope formed by the user's arm and the ground,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AR glasses 120 while overlapping the patient (S242).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현재 기울기 라인이 기준 라인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계속 체크하면서 환자에 대한 올바른 흉부 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correct chest compression on the patient while continuously checking that the current inclination line seen through the AR glasses 120 does not deviate from the reference line.

한편, 사용자가 AR 글라스(120)를 착용하게 되면, 전기 충격을 위한 한 쌍의 전극 패드(113)가 부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5가 환자와 겹쳐지게 제공될 수 있다(S250).Meanwhile, when the user wears the AR glasses 120, augmented reality content AR5 guiding a location where a pair of electrode pads 113 for electric shock are attached may be overlapped with the patient (S250).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환자의 신체 상에 겹쳐져 표시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5 위치에 전극 패드(113)를 부착시킨 후 자동제세동기 본체(110)에 구비되는 쇼크 버튼을 눌러, 환자의 신체에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attaches the electrode pad 113 to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5 position overlapped and displayed on the patient's body, visible through the AR glasses 120, and then presses the shock button provided on the AED main body 110. By pressing, an electric shock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body.

도 13을 참조하면, AR 글라스(120)가 착용될 경우, 카메라(134)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가능 자세인지 판별할 수 있다(S310).Referring to FIG. 13 , when the AR glasses 120 are wor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posture of the patien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34 is a posture capable of CPR (S310).

이때, 카메라(134)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환자의 자세가 교정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안내하는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S320).At this time, when the posture of the patient photographed by the camera 134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a voice guiding the posture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can be output through a speaker so that the posture of the patient can be corrected. (S3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음성 안내 받은 대로 환자를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하게 똑바로 눕힐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lay the patient upright so that CPR can be performed upon receiving voice guidance through the AR glasses 120.

또한, 카메라(134)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 즉, 똑바로 누운 자세를 예시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6가 AR 글라스(120)의 전방에 제공될 수 있다(S330).In addition, when the patient's postur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34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AR6 exemplifying a posture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that is, an upright posture, is displayed in front of the AR glasses 120. It can be provided to (S330).

이에 따라, 사용자는 AR 글라스(120)를 통해 보이는,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예시하는 증강현실 콘텐츠 AR6를 확인한 후 환자를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하게 똑바로 눕힐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lay the patient upright so that CPR can be performed after confirm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AR6, which is seen through the AR glasses 120, illustrating a posture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다른 예로서, 카메라(134)를 통해 촬영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한 자세의 신체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증강현실 콘텐츠 AR7가 AR 글라스(120)의 전방에 제공될 수 있다(S340).As another example, if the patient's postur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34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augmented reality content AR7 indicating the position of at least one part of the body in a posture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is AR glass It may be provided in front of (120) (S34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증강현실 콘텐츠 AR7 위치에 환자의 머리와 발을 위치시켜,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한 자세가 되도록 교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position the patient's head and feet at the AR7 position of the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correct the patient's posture so that it becomes a posture capable of performing CPR.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AR 글라스(120)가 자동제세동기 본체(110)로부터 인출되어,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전환되면(S110), 이를 응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자동으로 신고될 수 있다(S120).Meanwhile, referring to FIG. 14, when the AR glasses 120 are withdrawn from the AED body 110 and converted from the sleep mode to the operating mode (S110), it is recognized as an emergency situation and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It can be automatically reported to (S120).

이때, 자동 신고 시 AR 글라스(120)의 현재 위치 정보도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R glass 120 may also be provided to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upon automatic reporting.

119 안전신고센터(10)에 신고가 접수되면, 119 안전신고센터(10)로부터, 현장으로 출동한 구급 대원의 연락처를 제공 받을 수 있다.When a report is received at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emergency personnel dispatched to the scene may be provided from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10.

현장으로 출동한 구급 대원의 연락처를 제공 받으면, 구급 대원이 응급 상황에 대한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에게 직접 지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휴대폰(20)과 연동되는 AR 글라스(120)와, 구급 대원의 휴대폰(30) 간의 영상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AR glasses 120 linked to the user's cell phone 20 and the paramedic's mobile phone so that the paramedic can directly instruct the user while watching an emergency video when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paramedic dispatched to the scene is provided Video calls between (30) can be connected.

이와 같이, 사용자가 영상 통화를 통해, 현장을 보고 있는 구급 대원의 지시를 받게 되면, 빠르고 정확한 응급 대처가 가능하여 응급 상황의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user receives instructions from paramedics watching the scene through a video call, quick and accurate emergency response is possible, thereby securing a golden time in an emergency situation.

구급 대원이 현장에 도착하기 전에, 응급 환자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져 골든 타임이 확보되면, 응급 환자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Before the paramedics arrive on the scene, if the golden time is secured by appropriately coping with the emergency pati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the emergency patien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110; 자동제세동기 본체
111; 하부 케이스 111a; 수용홈
112; 상부 커버 113; 전극 패드
120; AR 글라스 121; 증강현실 제공 모듈
122; 위치 인식 모듈 123; 배터리 모듈
130; 상황 인식 모듈 131; 적외선 센서
132;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133; 기울기 센서
134; 카메라 140; 응급 상황 신고 모듈
150; 영상 통화 모듈 10; 119 안전신고센터
20; 사용자 휴대폰 30; 구급 대원 휴대폰
100: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110;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Body
111; lower case 111a; receiving home
112; upper cover 113; electrode pad
120; AR Glass 121; Augmented reality provision module
122; location recognition module 123; battery module
130;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131; infrared sensor
132; acceleration sensor, gyro sensor 133; tilt sensor
134; camera 140; Emergency Reporting Module
150; video call module 10; 119 Safety Report Center
20; user mobile phone 30; paramedic cell phone

Claims (11)

자동제세동기 본체;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의 내부에 보관되며, 사용자가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착용할 경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증강현실로 제공하여, 환자에 대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상기 사용자를 가이드하는 AR(Augmented Reality) 글라스; 및
상기 AR 글라스에 장착되며, 상기 AR 글라스가 제공하는 상기 심폐소생술에 대한 정보에 반영되도록, 상기 환자 및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인식하는 상황 인식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상황 인식 모듈은 상기 환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한 자세의 신체 중 머리와 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6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6 증강현실 콘텐츠로 제공되는 머리와 발의 위치 상에 상기 환자의 머리와 발을 상응되게 위치시켜, 상기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한 자세가 되도록 교정하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body;
It is stored inside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and when the user withdraws from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and wears it, information on CPR is provided to the user in augmented reality, so that the user who performs CPR on the patient AR (Augmented Reality) glasses to guide; and
A situation recognition module mounted on the AR glasses and recogni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atient and the user so as to be reflected in the CPR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R glasses;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patient,
In the AR glasses, when the posture of the patien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the user can recognize the sixth augmented reality content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and feet of the body in a position in which CPR can be performed. provide
The user places the patient's head and feet correspondingly on the positions of the head and feet provided as the sixth augmented reality content, thereby correcting the patient's posture so that it becomes a posture capable of performing CPR. motiv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식 모듈은 상기 환자의 신체를 인식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인식된 상기 환자의 신체에 흉부 압박을 실시해야 하는 흉부 압박 위치를 안내하는 제1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includes an infrared sensor for recognizing the patient's body,
The AR glasses provide first augmented reality content that guides the chest compression position at which chest compression should be performed on the patient's body recognized through the infrared sensor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인식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를 통해 감지된 흉부 압박 속도가 적정 흉부 압박 속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는 흉부 압박 속도가 교정되도록 현재의 흉부 압박 속도를 경고하는 제2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더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2,
The situational awareness module furth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for detecting a chest compression rate performed by a user,
The AR glasses are a second augmented reality warning of the current chest compression rate so that the chest compression rate performed by the user is corrected when the chest compression rate sens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is out of the proper chest compression rate. An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that further provides content recognizable to the us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 전기적 충격을 가하는 한 쌍의 전극 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한 쌍의 전극 패드가 부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제4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body includes a pair of electrode pads for applying an electrical shock to the patient's body,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herein the AR glasses provide fourth augmented reality content for guiding a position where the pair of electrode pads are attach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환자의 자세가 심폐소생술 실시가 불가한 자세인 경우, 상기 환자의 자세가 교정되도록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음성 안내하거나 심폐소생술 실시 가능 자세를 예시하는 제5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더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patient's postur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is a posture in which CPR cannot be performed, the AR glass provides voice guidance for a posture capable of performing CPR so that the posture of the patient is corrected, or a device for illustrating a posture capable of performing CPR 5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urthe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be recognizable to the user.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R 글라스는 상기 자동제세동기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 슬립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herein the AR glasses are automatically switched from a sleep mode to an operating mode when being withdrawn from the AED main body.
제8 항에 있어서,
응급 상황 신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응급 상황 신고 모듈은 상기 AR 글라스가 상기 동작 모드로 전환될 때, 응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119안전신고센터에 자동 신고하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8,
It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reporting module;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herein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recognizes an emergency when the AR glasses are switched to the operation mode and automatically reports to the 119 safety reporting cent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AR 글라스에는 위치 인식 모듈이 탑재되며,
상기 응급 상황 신고 모듈은, 신고 시 상기 위치 인식 모듈을 통해 인식되는 상기 AR 글라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119안전신고센터에 제공하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9,
The AR glass is equipped with a location recognition module,
The augmented reality-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herein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provi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R glasses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recognition module when reporting to the 119 safety reporting center.
제9 항에 있어서,
영상 통화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통화 모듈은, 상기 응급 상황 신고 모듈에 의한 신고가 상기 119안전신고센터에 접수된 것으로 확인되면, 출동한 구급 대원의 연락처를 상기 119안전신고센터로부터 제공 받으며,
상기 구급 대원이 응급 상황에 대한 영상을 보면서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휴대폰과 연동되는 상기 AR 글라스와 상기 구급 대원의 휴대폰 간의 영상 통화를 연결시키는,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According to claim 9,
It further includes a video call modul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report by the emergency reporting module has been received by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the video call module receive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dispatched paramedic from the 119 Safety Report Center,
An augmented reality bas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that connects a video call between the AR glasses that work with the user's mobile phone and the paramedic's mobile phone so that the paramedic can directly instruct the user while viewing an emergency video.
KR1020200111599A 2019-09-04 2020-09-02 AED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1024959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9689 2019-09-04
KR1020190109689 2019-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87A KR20210028587A (en) 2021-03-12
KR102495968B1 true KR102495968B1 (en) 2023-02-06

Family

ID=7517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599A KR102495968B1 (en) 2019-09-04 2020-09-02 AED based on Augmented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6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967B1 (en) * 2021-11-16 2024-01-30 (주)일렉콤 System for rescuing emergency employing biometric techniques of solid space and holole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7253B2 (en) * 2008-07-23 2013-12-04 アトレオ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PR assist device for measuring compression parameters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101780214B1 (en) * 2013-11-29 2017-10-10 (주)나눔테크 Emergency rescue system using th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KR20170013091A (en) * 2015-07-27 2017-02-06 (주)나눔테크 guide system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87A (en)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716B2 (en) External defibrillator
US11678807B2 (en) Emergency medical services smart watch
US10092236B2 (en) Emergency medical services smart watch
US6697671B1 (en) Visual and aural user interface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2007027090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defibrillator
US9987496B2 (en) Wearable cardiac defibrillator (WCD) poking the patient when not ready for use
US7672720B2 (en) Resuscitation and life suppor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N108671401B (en) Intelligent medical Internet of things-cooperated A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system and method
US10828500B2 (en) External defibrillator
EP3482795B1 (en) Wear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wcd) system useable with wcd electrodes and also with aed electrodes
CN103189102A (en) Defibrillator delivering audible prompts to earpiece
CN110213428A (en) A kind of the first witness of guidance carries out the System and method for of field first aid
KR102495968B1 (en) AED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20180310847A1 (en) Wearable monitoring device
CN109034776A (en) A kind of financial payment systems and method of the physician guidance first aid of false alarm prevention wechat video
CN106781255A (en) A kind of call device and its first-aid method for detecting heart arrest
CN108635671A (en) A k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ystem and method
CN108877912A (en) A kind of teleengineering support doctor CPR monitoring of respiration financial payment mobile phone and method
CN217394950U (en) Medical health service robot for accidental injury of children in campus
CN109389812A (en) A kind of intelligent wearable device with a key calling function
AU2018100538A4 (en) Cpr assist device
CH710687A2 (en) Support device for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and method for assisting an operator during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CN111803793A (en) First aid method and device
TWM562687U (en) Improv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