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964B1 -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 Google Patents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64B1
KR102495964B1 KR1020200175736A KR20200175736A KR102495964B1 KR 102495964 B1 KR102495964 B1 KR 102495964B1 KR 1020200175736 A KR1020200175736 A KR 1020200175736A KR 20200175736 A KR20200175736 A KR 20200175736A KR 102495964 B1 KR102495964 B1 KR 10249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valve
control device
mounting plate
inter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915A (ko
Inventor
장병언
송재두
Original Assignee
(주)글로애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로애져 filed Critical (주)글로애져
Priority to KR102020017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64B1/ko
Priority to PCT/KR2021/018913 priority patent/WO2022131730A1/ko
Publication of KR2022008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4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exteri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는, 인터락 바디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그리고 인터락 바디의 외부에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 연결부재, 및 인터락 바디의 외부에서 인터락 바디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원판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복수의 핸들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는, 인터락 바디의 내부에서 하부 어댑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UPPER ADAPTER OF VALVE-CONTROLLING EQUIPMENT}
본 발명은, 밸브(valve)의 바디(body)로부터 돌출하는 스템(stem)과 요크 슬리브(york sleeve)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요크 슬리브 상에서 스템을 둘러싸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valve)는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는 배관(pipe)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 경로 상에서 유체의 유량과 유속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는 산업 현장에서 복수로 연결되어 잠금 도구(lock tool)와 함께 사용된다. 상기 잠금 도구는 밸브에 적용되는 자물쇠(lock)와 체인(chain)으로써 밸브의 핸들 조작전 밸브에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을 요구하여 사용자의 조작 실수를 방지하지 못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자물쇠와 체인은 밸브에서 밸브 인터락(valve interlock)으로 대체되고 있다. 상기 밸브 인터락은 밸브 상에 설치되어 밸브의 핸들 조작전 밸브에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 기계적 매커니즘을 적용하여 밸브의 핸들 조작후 사용자의 조작 실수를 방지하는 보호 장치이다. 즉, 상기 밸브 인터락은 밸브의 핸들 조작전 하나 또는 두 개의 제어키를 수용하여 밸브의 핸들 조작후 밸브의 개폐를 시퀀스(sequence) 제어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밸브와 밸브 인터락의 결합 관계는 도 1에서 설명된다. 여기서, 발명의 설명을 단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밸브는 게이트 밸브(10)로 제한하고, 상기 밸브 인터락(70)은 핸드휠(handwheel, 또는 핸들(handle)) 밸브 인터락으로 제한한다. 상기 게이트 밸브(10)는 도 1(a)와 같이 밸브 바디(body; 9)로부터 돌출하는 스템(stem; 3)과 요크 슬리브(york sleeve; 6)를 갖는다.
상기 요크 슬리브(6)는 스템(3)을 관통시키면서 밸브 바디(9)에 대해 스템(3)과 함께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게이트 밸브(10)에 밸브 인터락(70)을 설치하기 위해, 상기 스템(3)과 요크 슬리브(6)는 도 1(b)와 같이 슬리브 고정체(30)의 슬리브 회전부(24)와 고정 너트(28)로 둘러싸인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리브 회전부(24)는 요크 슬리브(6)를 둘러싸서 요크 슬리브(6)의 각진 형상 때문에 요크 슬리브(6)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너트(28)는 슬리브 회전부(24) 상에서 스템(3)을 둘러싼다.
상기 밸브 바디(9) 상에 슬리브 고정체(30)를 설치한 후, 도 1(c)와 같이, 상기 슬리브 고정체(30)는 인터락 바디(50)의 하부를 통해 인터락 바디(50)에 삽입되어 인터락 바디(50)에 나사 고정된다. 상기 인터락 바디(50)는 하나의 제어키(44 또는 48)를 수용하거나 두 개의 제어키(44, 48)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인터락 바디(50)는 인터락 바디(50)의 상부를 통해 핸들 연결체(60)를 수용하여 핸들 연결체(60)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 핸들 연결체(60)는 인터락 바디(50)를 통해 밸브 핸들(도면에 미도시)의 회전 토오크를 슬리브 고정체(3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 핸들은 핸들 연결체(60)를 둘러싸면서 핸들 연결체(60)의 각진 형상 때문에 핸들 연결체(6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인터락 바디(50)에 하나의 제어키(44 또는 48)의 수용시, 상기 슬리브 고정체(30)와 핸들 연결체(60)는 인터락 바디(50)를 통해 회전되지 않아 스템(3)과 요크 슬리브(6)를 회전시키지 않는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인터락 바디(50)에 두 개의 제어키(44, 48)의 수용시, 상기 슬리브 고정체(30)와 핸들 연결체(60)는 인터락 바디(50)를 통해 회전되어 스템(3)과 요크 슬리브(6)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도 1(d)와 같이, 상기 슬리브 고정체(30)와 두 개의 제어키(44, 48), 그리고 인터락 바디(50)와 핸들 연결체(60)는 밸브 인터락(70)을 구성한다. 그러나, 상기 게이트 밸브(10)의 크기가 달라지면, 상기 밸브 핸들의 크기도 달라진다.
연쇄적으로, 상기 핸들 연결체(60)는 게이트 밸브(10)의 크기 별로 밸브 핸들에 개별 맞춤 크기로 대응되어야 하기 때문에 게이트 밸브(10)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핸들 연결체(60)의 복수 존재는 인터락 바디(50)에 핸들 연결체(60)의 설치시 사용자에게 작업 부담을 준다. 따라서, 상기 핸들 연결체(60)가 밸브 핸들에 맞춤 크기로 설치되지 않는 때, 상기 밸브 인터락(70)은 인터락 바디(50) 상에서 핸들 연결체(60)와 밸브 핸들의 결합 관계에서 사용자의 설치 실수를 방지하지 못한다.
한편, 상기 밸브 인터락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5788호에 종래기술로서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5788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게이트 밸브의 크기를 다르게 가지더라도, 밸브 핸들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함 없이 요크 슬리브 상에서 인터락 바디와 함께 스템을 둘러싸서, 인터락 바디와 하부 어댑터를 통해 스템과 요크 슬리브의 회전을 용이하게 제어하는데 적합하도록,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는, 밸브 제어 장치를 통해 밸브의 밸브 바디로부터 돌출하는 스템과 요크 슬리브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밸브 제어 장치에서 상기 요크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둘러싸는 하부 어댑터와 인터락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어댑터와 상기 인터락 바디와 결합하여 상기 인터락 바디를 통해 상기 하부 어댑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인터락 바디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그리고 상기 인터락 바디의 외부에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 연결부재; 및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인터락 바디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원판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복수의 핸들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는,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하부 어댑터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판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는,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외부에서 기구 설치판과 걸림단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 형상의 상기 핸들 연결 부재는,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내부에서 고정관과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구 설치판과 상기 걸림단과 상기 고정관과 상기 연결관은,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스템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기구 설치판은, 원기둥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단편의 중앙 영역에 상기 스템을 관통시키는 원형의 중공(中空)을 가지면서 상기 기구 설치판의 일 면에 방사상으로 함몰시켜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복수의 활주(滑走)홈을 가지며, 상기 기구 설치판에서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 사이에 부채꼴 형상의 활주단을 가지고,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에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의 밸브 핸들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활주단은, 상기 활주단의 양 측부 중 개별 측부에서 상기 활주단의 하부 측에 활주 레일과 상기 활주단의 상부 측에 분리방지 턱을 가지고, 상기 활주 레일과 상기 분리방지 턱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핸들 고정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걸림단은, 상기 기구 설치판의 타 면에 위치되어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 주변으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인터락 바디와 상기 기구 설치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인터락 바디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관은, 상기 걸림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을 통해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과 연통하고, 상기 고정관의 외주면에 각진 형상을 가지면서 개별 각진 형상에 고정홈을 가지고, 상기 고정관의 상기 고정홈에 상기 인터락 바디를 지나는 고정 나사를 수용하여 상기 인터락 바디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고정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과 상기 고정관을 통해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과 연통하고,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요철부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관의 요부 및 철부에 상기 하부 어댑터의 철부 및 요부를 대응시켜 상기 하부 어댑터와 결합할 수 있다.
개별 핸들 고정부재는, 상기 밸브 핸들이 상기 밸브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핸들로부터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을 가지는 때,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서 하나의 아암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 핸들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개별 핸들 고정부재는, 상기 밸브 핸들이 상기 밸브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핸들로부터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을 가지는 때,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일 면에서 개별 활주홈에 착탈되도록,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서 상기 개별 활주홈에 삽입되는 가이딩 블럭; 상기 가이딩 블럭을 관통하고 상기 가이딩 블럭으로부터 곧게 솟아오르면서 상기 가이딩 블럭과 나선 결합하는 회전 나사; 상기 가이딩 블럭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회전 나사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누름 도구; 및 상기 누름 도구 상에서 상기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주단이, 상기 활주단의 양 측부 중 개별 측부에서 상기 활주단의 하부 측에 활주 레일과 상기 활주단의 상부 측에 분리방지 턱을 가지는 때, 상기 가이딩 블럭은, 상기 활주 레일과 상기 분리방지 턱 사이에 삽입되는 제1 가이딩 블럭; 및 상기 제1 가이딩 블럭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 턱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가이딩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나사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 핸들의 회전시 하나의 아암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도구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 나사를 둘러싸면서 상기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서포터(supporter); 및 상기 서포터로부터 돌출하여 하나의 아암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하나의 아암과 접촉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서 하나의 아암에 접촉하는 때, 상기 회전 나사를 따라 상기 누름 부재에 회전 토오크를 전달하여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하나의 아암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인접한 두 개의 핸들 고정부재는, 상기 밸브 핸들이 상기 밸브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핸들로부터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을 가지는 때,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둘러싸서 상기 밸브 핸들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인접한 두 개의 핸들 고정부재는, 상기 밸브 핸들이 상기 밸브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핸들로부터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을 가지는 때,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일 면에서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에 착탈되도록, 하나의 아암의 양 측부에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에 삽입되는 두 개의 가이딩 블럭; 상기 두 개의 가이딩 블럭을 관통하고 상기 두 개의 가이딩 블럭으로부터 곧게 솟아오르면서 상기 두 개의 가이딩 블럭과 나선 결합하는 두 개의 회전 나사; 상기 두 개의 가이딩 블럭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두 개의 회전 나사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두 개의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하나의 누름 도구; 및 상기 하나의 누름 도구 상에서 상기 두 개의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두 개의 고정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누름 도구는,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 개의 회전 나사를 이어주면서 상기 하나의 아암을 타고 넘어 상기 하나의 아암을 둘러쌀 수 있다.
밸브 제어 장치를 통해 밸브의 밸브 바디로부터 돌출하는 스템과 요크 슬리브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밸브 제어 장치에서 상기 요크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둘러싸는 하부 어댑터와 인터락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어댑터와 상기 인터락 바디와 결합하여 상기 인터락 바디를 통해 상기 하부 어댑터를 회전시키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는, 인터락 바디의 내부 및 외부에 위치되어 하부 어댑터 및 밸브 핸들과 결합하는 핸들 연결부재, 그리고 인터락 바디의 외부에서 핸들 연결 부재에 삽입되어 핸들 연결부재에 밸브 핸들을 고정시키는 복수의 핸들 고정부재를 포함하므로,
게이트 밸브의 크기를 다르게 가지더라도, 밸브 핸들의 크기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함 없이 요크 슬리브 상에서 인터락 바디와 함께 스템을 둘러싸서, 인터락 바디와 하부 어댑터를 통해 스템과 요크 슬리브의 회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게이트 밸브와 밸브 인터락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제어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밸브 제어 장치에서 제1 실시예의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상부 어댑터에서 핸들 연결부재를 일측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4의 상부 어댑터에서 핸들 연결부재를 타측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4의 상부 어댑터에서 핸들 고정부재를 일측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4의 상부 어댑터에서 핸들 고정부재를 타측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밸브 제어 장치에서 인터락 바디 상에 핸들 연결부재와 핸들 고정부재와 밸브 핸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제어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밸브 제어 장치에서 제1 실시예의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상부 어댑터에서 핸들 연결부재를 일측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4의 상부 어댑터에서 핸들 연결부재를 타측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4의 상부 어댑터에서 핸들 고정부재를 일측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4의 상부 어댑터에서 핸들 고정부재를 타측 방향에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밸브 제어 장치에서 인터락 바디 상에 핸들 연결부재와 핸들 고정부재와 밸브 핸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이 경우에, 상기 게이트 밸브는, 아래에서, 문구 '밸브'로 축약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 제어 장치(210)는, 도 1 및 2를 고려해 볼 때, 밸브 제어 장치(210)를 통해 밸브(10)의 밸브 바디(9)로부터 돌출하는 스템(3)과 요크 슬리브(6)의 회전을 조작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210)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하부 어댑터(80)와 인터락 바디(90)와 상부 어댑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상기 하부 어댑터(80)와 인터락 바디(90)는, 밸브 제어 장치(210)에서 요크 슬리브(6)를 순차적으로 둘러싼다. 상기 상부 어댑터(200)는, 밸브 제어 장치(210)에서 하부 어댑터(80)와 인터락 바디(90)와 결합하여 인터락 바디(90)를 통해 하부 어댑터(80)를 회전시킨다.
개략적으로 살펴 볼 때, 상기 상부 어댑터(200)는, 도 2 내지 도 7을 고려해 볼 때, 인터락 바디(90)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그리고 인터락 바디(90)의 외부에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 연결부재(140), 및 인터락 바디(90)의 외부에서 인터락 바디(90)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원판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140)에 삽입되는 복수의 핸들 고정부재(194)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통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140)는, 인터락 바디(90)의 내부에서 하부 어댑터(80)와 결합한다. 좀 더 상세하게 살펴 볼 때, 상기 원판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140)는, 도 2 및 도 5(a)와 도 5(b)를 고려해 볼 때, 인터락 바디(90)의 외부에서 기구 설치판(109)과 걸림단(115)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140)는, 도 2 및 도 5(a)와 도 5(b)를 고려해 볼 때, 인터락 바디(90)의 내부에서 고정관(128)과 연결관(139)을 포함한다. 상기 기구 설치판(109)과 걸림단(115)과 고정관(128)과 연결관(139)은, 도 1 및 도 2 및 도 5(a)와 도 5(b)를 고려해 볼 때, 인터락 바디(90)의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스템(3)을 둘러싼다,
상기 기구 설치판(109)은, 도 3 및 도 4 및 도 5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원기둥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단편의 중앙 영역에 스템(3)을 관통시키는 원형의 중공(中空; 108)을 가지면서 기구 설치판(109)의 일 면에 방사상으로 함몰시켜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108)과 연통하는 복수의 활주(滑走)홈(101)을 가지며, 기구 설치판(109)에서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10) 사이에 부채꼴 형상의 활주단(107)을 가지고,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108)에서 밸브 제어 장치(210)의 밸브 핸들(도 9의 240)과 결합한다.
상기 활주단(107)은, 도 4 및 도 5를 고려해 볼 때, 활주단(107)의 양 측부 중 개별 측부에서 활주단(107)의 하부 측에 활주 레일(103)과 활주단(107)의 상부 측에 분리방지 턱(105)을 가지고, 활주 레일(103)과 분리방지 턱(105)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핸들 고정부재(194)를 수용한다.
상기 걸림단(115)은, 도 2 및 도 5 및 도 7을 고려해 볼 때, 기구 설치판(109)의 타 면에 위치되어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 주변(108)으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고, 인터락 바디(90)와 기구 설치판(109) 사이에 위치되어 인터락 바디(90)와 접촉한다.
상기 고정관(128)은, 도 2 및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걸림단(115)과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단(115)을 통해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108)과 연통하고, 고정관(128)의 외주면에 각진 형상을 가지면서 개별 각진 형상에 고정홈(124)을 가지고, 고정관(128)의 고정홈(124)에 인터락 바디(90)를 지나는 고정 나사(도면에 미도시)를 수용하여 인터락 바디(90)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관(139)은, 도 2 및 도 5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고정관(128)과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단(115)과 고정관(139)을 통해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108)과 연통하고, 인터락 바디(90)의 내부에서 연결관(139)의 단부에 요철부(133, 136)를 가지면서 연결관(139)의 요부(133) 및 철부(136)에 하부 어댑터(80)의 철부 및 요부(도면에 미도시)를 대응시켜 하부 어댑터(80)와 결합한다.
개별 핸들 고정부재(194)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밸브 핸들(240)이 밸브 핸들(240)의 내부에서 밸브 핸들(240)로부터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 235)을 가지는 때, 인접한 두 개의 아암(235) 사이에서 하나의 아암(235)과 접촉하여 밸브 핸들(240)의 회전을 방해한다.
한편, 개별 핸들 고정부재(194)는, 도 2 및 도 4 및 도 6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밸브 핸들(240)이 밸브 핸들(240)의 내부에서 밸브 핸들(240)로부터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108)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 235)을 가지는 때, 기구 설치판(109)의 일 면에서 개별 활주홈(101)에 착탈되도록, 인접한 두 개의 아암(235) 사이에서 개별 활주홈(101)에 삽입되는 가이딩 블럭(158), 가이딩 블럭(158)을 관통하고 가이딩 블럭(158)으로부터 곧게 솟아오르면서 가이딩 블럭(158)과 나선 결합하는 회전 나사(165), 가이딩 블럭(158)으로부터 이격하여 회전 나사(165)를 관통시키면서 회전 나사(165)와 나선 결합하는 누름 도구(176), 및 누름 도구(176) 상에서 회전 나사(165)와 나선 결합하는 고정 너트(185)를 포함한다.
상기 활주단(107)이, 도 5와 같이, 상기 활주단(107)의 양 측부 중 개별 측부에서 활주단(107)의 하부 측에 활주 레일(103)과 활주단(107)의 상부 측에 분리방지 턱(105)을 가지는 때, 상기 가이딩 블럭(158)은, 도 4 내지 도 7을 고려해 볼 때, 활주 레일(103)과 분리방지 턱(105) 사이에 삽입되는 제1 가이딩 블럭(152), 및 제1 가이딩 블럭(152)과 일체로 형성되어 분리방지 턱(105)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가이딩 블럭(15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나사(165)는, 도 4 및 도 6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인접한 두 개의 아암(235) 사이에 위치되어 밸브 핸들(240)의 회전시 하나의 아암(235)과 접촉한다. 상기 누름 도구(176)는, 도 4 및 도 6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인접한 두 개의 아암(235)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나사(165)를 둘러싸면서 회전 나사(165)와 나선 결합하는 서포터(supporter; 172), 및 서포터(172)로부터 돌출하여 하나의 아암(235)을 향해 돌출하여 하나의 아암(235)과 접촉하는 스토퍼(stopper; 17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너트(185)는, 도 4 및 도 6 및 도 7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누름 부재(176)가 인접한 두 개의 아암(235) 사이에서 하나의 아암(235)에 접촉하는 때, 회전 나사(165)를 따라 누름 부재(176)에 회전 토오크를 전달하여 누름 부재(176)를 하나의 아암(235)에 밀착시킨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상부 어댑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어댑터(220)가, 도 1 내지 도 7 및 도 9의 상부 어댑터(200)와 유사하지만, 상기 상부 어댑터(220)의 핸들 고정부재(198)는, 도 1 내지 도 7 및 도 9의 상부 어댑터(200)의 핸들 고정부재(194)와 다른 구조를 갖는다.
개략적으로 살펴볼 때, 인접한 두 개의 핸들 고정부재(198)는, 도 8(a) 및 도 8(b)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밸브 핸들(도 9의 240)이 밸브 핸들(도 9의 240)의 내부에서 밸브 핸들(240)로부터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108)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 235)을 가지는 때, 적어도 하나의 아암(235)을 둘러싸서 밸브 핸들(240)의 회전을 방해한다.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볼 때, 인접한 두 개의 핸들 고정부재(198)는, 도 8(a) 및 도 8(b) 및 도 9를 고려해 볼 때, 밸브 핸들(240)이 밸브 핸들(240)의 내부에서 밸브 핸들(240)로부터 기구 설치판(109)의 중공(108)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 235)을 가지는 때, 기구 설치판(109)의 일 면에서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101)에 착탈되도록, 하나의 아암(235)의 양 측부에서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101)에 삽입되는 두 개의 가이딩 블럭(158), 두 개의 가이딩 블럭(158)을 관통하고 두 개의 가이딩 블럭(158)으로부터 곧게 솟아오르면서 두 개의 가이딩 블럭(158)과 나선 결합하는 두 개의 회전 나사(165), 두 개의 가이딩 블럭(158)으로부터 이격하여 두 개의 회전 나사(165)를 관통시키면서 두 개의 회전 나사(165)와 나선 결합하는 하나의 누름 도구(178), 및 하나의 누름 도구(178) 상에서 두 개의 회전 나사(165)와 나선 결합하는 두 개의 고정 너트(18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누름 도구는,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두 개의 회전 나사(165)를 이어주면서 하나의 아암(235)을 타고 넘어 하나의 아암(235)을 둘러싼다.
80; 하부 어댑터, 90; 인터락 바디
200; 상부 어댑터, 210; 밸브 제어 장치

Claims (16)

  1. 밸브 제어 장치를 통해 밸브의 밸브 바디로부터 돌출하는 스템과 요크 슬리브의 회전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밸브 제어 장치에서 상기 요크 슬리브를 순차적으로 둘러싸는 하부 어댑터와 인터락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어댑터와 상기 인터락 바디와 결합하여 상기 인터락 바디를 통해 상기 하부 어댑터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인터락 바디의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그리고 상기 인터락 바디의 외부에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핸들 연결부재; 및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외부에서 상기 인터락 바디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원판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에 삽입되는 복수의 핸들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원통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는,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하부 어댑터와 결합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2. 제1 항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핸들 연결부재는,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외부에서 기구 설치판과 걸림단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 형상의 상기 핸들 연결 부재는,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내부에서 고정관과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구 설치판과 상기 걸림단과 상기 고정관과 상기 연결관은,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스템을 둘러싸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설치판은,
    원기둥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단편의 중앙 영역에 상기 스템을 관통시키는 원형의 중공(中空)을 가지면서 상기 기구 설치판의 일 면에 방사상으로 함몰시켜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과 연통하는 복수의 활주(滑走)홈을 가지며,
    상기 기구 설치판에서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 사이에 부채꼴 형상의 활주단을 가지고,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에서 상기 밸브 제어 장치의 밸브 핸들과 결합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단은,
    상기 활주단의 양 측부 중 개별 측부에서 상기 활주단의 하부 측에 활주 레일과 상기 활주단의 상부 측에 분리방지 턱을 가지고,
    상기 활주 레일과 상기 분리방지 턱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핸들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상기 기구 설치판의 타 면에 위치되어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 주변으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인터락 바디와 상기 기구 설치판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인터락 바디와 접촉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상기 걸림단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을 통해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과 연통하고,
    상기 고정관의 외주면에 각진 형상을 가지면서 개별 각진 형상에 고정홈을 가지고,
    상기 고정관의 상기 고정홈에 상기 인터락 바디를 지나는 고정 나사를 수용하여 상기 인터락 바디에 고정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고정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과 상기 고정관을 통해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과 연통하고,
    상기 인터락 바디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요철부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관의 요부 및 철부에 상기 하부 어댑터의 철부 및 요부를 대응시켜 상기 하부 어댑터와 결합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8. 제3 항에 있어서,
    개별 핸들 고정부재는,
    상기 밸브 핸들이 상기 밸브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핸들로부터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을 가지는 때,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서 하나의 아암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 핸들의 회전을 방해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9. 제3 항에 있어서,
    개별 핸들 고정부재는,
    상기 밸브 핸들이 상기 밸브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핸들로부터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을 가지는 때,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일 면에서 개별 활주홈에 착탈되도록,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서 상기 개별 활주홈에 삽입되는 가이딩 블럭;
    상기 가이딩 블럭을 관통하고 상기 가이딩 블럭으로부터 곧게 솟아오르면서 상기 가이딩 블럭과 나선 결합하는 회전 나사;
    상기 가이딩 블럭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회전 나사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누름 도구; 및
    상기 누름 도구 상에서 상기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단이,
    상기 활주단의 양 측부 중 개별 측부에서 상기 활주단의 하부 측에 활주 레일과 상기 활주단의 상부 측에 분리방지 턱을 가지는 때,
    상기 가이딩 블럭은,
    상기 활주 레일과 상기 분리방지 턱 사이에 삽입되는 제1 가이딩 블럭; 및
    상기 제1 가이딩 블럭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방지 턱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가이딩 블럭을 포함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나사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밸브 핸들의 회전시 하나의 아암과 접촉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도구는,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 나사를 둘러싸면서 상기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서포터(supporter); 및
    상기 서포터로부터 돌출하여 하나의 아암을 향해 돌출하여 상기 하나의 아암과 접촉하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아암 사이에서 하나의 아암에 접촉하는 때,
    상기 회전 나사를 따라 상기 누름 부재에 회전 토오크를 전달하여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하나의 아암에 밀착시키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14. 제3 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개의 핸들 고정부재는,
    상기 밸브 핸들이 상기 밸브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핸들로부터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을 가지는 때,
    적어도 하나의 아암을 둘러싸서 상기 밸브 핸들의 회전을 방해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15. 제3 항에 있어서,
    인접한 두 개의 핸들 고정부재는,
    상기 밸브 핸들이 상기 밸브 핸들의 내부에서 상기 밸브 핸들로부터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중공을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아암(arm)을 가지는 때,
    상기 기구 설치판의 상기 일 면에서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에 착탈되도록,
    하나의 아암의 양 측부에서 상기 인접한 두 개의 활주홈에 삽입되는 두 개의 가이딩 블럭;
    상기 두 개의 가이딩 블럭을 관통하고 상기 두 개의 가이딩 블럭으로부터 곧게 솟아오르면서 상기 두 개의 가이딩 블럭과 나선 결합하는 두 개의 회전 나사;
    상기 두 개의 가이딩 블럭으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두 개의 회전 나사를 관통시키면서 상기 두 개의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하나의 누름 도구; 및
    상기 하나의 누름 도구 상에서 상기 두 개의 회전 나사와 나선 결합하는 두 개의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누름 도구는,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두 개의 회전 나사를 이어주면서 상기 하나의 아암을 타고 넘어 상기 하나의 아암을 둘러싸는,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KR1020200175736A 2020-12-15 2020-12-15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KR10249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36A KR102495964B1 (ko) 2020-12-15 2020-12-15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PCT/KR2021/018913 WO2022131730A1 (ko) 2020-12-15 2021-12-13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736A KR102495964B1 (ko) 2020-12-15 2020-12-15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15A KR20220085915A (ko) 2022-06-23
KR102495964B1 true KR102495964B1 (ko) 2023-02-07

Family

ID=8205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736A KR102495964B1 (ko) 2020-12-15 2020-12-15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5964B1 (ko)
WO (1) WO2022131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6569A1 (ko) * 2022-11-17 2024-05-23 (주)글로애져 유니버셜 바텀 어댑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962A (ja) 2003-12-04 2005-06-23 Kitamura Valve Seizo Kk 緊急遮断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7285A (en) * 1997-04-07 1998-08-25 Sackowitz; Ronald Allan Device for locking rotatable shafts having stop plates
US5741003A (en) * 1997-05-13 1998-04-21 Emhart Inc. Child-resistant handle
JP3234555B2 (ja) * 1997-10-07 2001-12-04 関電興業株式会社 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5210247B2 (ja) * 2009-06-17 2013-06-12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ロック装置付き回転バルブ
KR102135788B1 (ko) 2019-10-08 2020-08-26 주식회사 비티에스 밸브 인터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962A (ja) 2003-12-04 2005-06-23 Kitamura Valve Seizo Kk 緊急遮断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915A (ko) 2022-06-23
WO2022131730A1 (ko)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2789B2 (en) Actuating device for actuating valves
KR101903172B1 (ko) 밸브
KR102495964B1 (ko) 밸브 제어 장치의 상부 어댑터
US5482251A (en) Stem extension for quarter-turn valves
KR101440123B1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장치
JPS61262269A (ja) 球状の栓を有するしや断コツク
TWI675979B (zh) 具鎖定機構的閥與集成閥
JPH0664505B2 (ja) 施錠可能な機素駆動機構
JP6789665B2 (ja) バルブ
US3891005A (en) Single handle water faucet valve
KR102462660B1 (ko) 밸브 제어 장치의 하부 어댑터
KR20150034830A (ko) 로킹장치가 구비된 앵글밸브
US6473940B1 (en) Knob for a post valve
JP6886147B2 (ja) ガスメータ用継手ユニット
US10352461B2 (en) Valve device having a rotating support member for converting rotational displacement into linear displacement of a valve
US6648296B2 (en) Hand-operated valve with locking mechanism
JP2001271941A (ja) タップ
KR20180008944A (ko)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
US10082223B1 (en) Valve with sleeve
TW202006283A (zh) 閥上部
KR20080070294A (ko) 밸브 액츄에이터의 스토퍼장치
US1495630A (en) Lock valve
US20160097467A1 (en) Tap with blocking members to limit rotation of a tap handle
KR20240073193A (ko) 유니버셜 바텀 어댑터
TW201938937A (zh) 衛生設備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