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927B1 - 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 Google Patents

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27B1
KR102495927B1 KR1020220152273A KR20220152273A KR102495927B1 KR 102495927 B1 KR102495927 B1 KR 102495927B1 KR 1020220152273 A KR1020220152273 A KR 1020220152273A KR 20220152273 A KR20220152273 A KR 20220152273A KR 102495927 B1 KR102495927 B1 KR 10249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ial
shaft
unit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영
이충훈
Original Assignee
김진영
이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이충훈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1020220152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75Automatic scrambling
    • E05B37/0093Obligatory manual scramb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5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changeable combin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05B37/0037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with a key requiring successive operations, e.g. different mechanisms in a predetermined ord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48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changeable comb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l locking device with an easily changeable combination which can easily change the combination of a door. The dial locking device with an easily changeable combination comprises a lever part, a dial part, a stopping part, and a combination change part in a main body part. A shaft touches the lever part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When a door is opened, a state in which the shaft is inserted into a shaft insertion hole of the stopping part is maintained to prevent damage to the shaft caused by repeated use. The dial locking device with an easily changeable combina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peration limit part touches an operation limit groove formed in the back to allow locking while the combination change part and the stopping part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o allow intuitive operation to prevent damage to parts and eliminate malfunction.

Description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본 발명은 도어의 비밀번호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l lock that can easily change a password for a door.

일반적으로, 학교 및 도서관이나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에는 사물함이 설치되어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In general, lockers are installed in schools and libraries or public places commonly used by many people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users.

이러한 사물함은 도어를 열거나 잠글 수 있도록 열쇠를 이용한 잠금장치와,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잠금장치의 작동을 허용 또는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다이얼이 구비되고 있다.Such a locker is equipped with a locking device using a key to open or lock the door, and a plurality of dials for permitting or prevent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by setting a passwor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사물함은 먼저 전용키나 열쇠를 이용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다이얼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에 도어를 닫고, 잠금레버를 회전시켜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 다음 다이얼을 무작위로 회전시켜 사용자만의 비밀번호를 설정 및 인지하여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lock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oor is first unlocked using a dedicated key or a key, a password is set using a dial, and t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lock lever is rotated to keep the door closed. Then, the dial is rotated randomly to set and recognize the user's own password so that the door of the locker can be opened and closed.

그러나 이러한 사물함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는 경우 관리자의 마스터키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해야 함에 따라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한 비밀번호를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user forgets the password and cannot open the door, the locker must reset the password while unlocking the door with the manager's master key, so that the user cannot find the previously set passwor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0094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가 있다.As a related background art, there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8009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상기 특허문헌 1은 본체에 열쇠 뭉치와 다이얼 뭉치가 각각 장착되어, 열쇠 뭉치의 하부에 다이얼 뭉치가 배치되고, 다이얼 뭉치의 비밀번호를 맞춘후, 열쇠 뭉치의 손잡이를 잠금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돌리면, 열쇠 뭉치의 래치가 잠금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각회전되고, 다이얼 뭉치와 상관없이, 열쇠를 열쇠뭉치의 열쇠구멍에 꽂은 후, 손잡이를 잠금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돌리면, 열쇠 뭉치의 래치가 잠금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각회전되는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뭉치와 작동이 연관되도록, 본체에 장착되어, 다이얼 뭉치의 가이드 부재의 측부에 배치되는 등록변경버튼을 더 포함하고, 다이얼 뭉치의 샤프트의 상단부가 열쇠 뭉치의 실린더의 열림홈 위치에 배치될 때, 다이얼 뭉치의 샤프트가 제 2 스프링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다이얼 뭉치의 샤프트의 상단부는 열림홈으로 인입되지만, 다이얼 뭉치의 가이드 부재가 등록변경버튼에 걸려, 가이드 부재가 샤프트와 함께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다이얼 링의 제 1 치합부와 다이얼 기어의 제 2 치합부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1, a key bundle and a dial bundle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dial bundle is disposed under the key bundle, and after matching the password of the dial bundle, when the handle of the key bundle is turned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the key The latch of the bundle is angularly rotated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regardless of the dial assembly, after inserting the key into the keyhole of the key assembly, turning the handle from the lock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the latch of the key assembly opens from the locked position A dial lock for a locker that is angularly rotated into 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registration change button mounted on the body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uide member of the dial assembly so that the op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dial assembly,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of the dial assembly When is placed in the opening groove position of the cylinder of the key assembly, the shaft of the dial assembly is raised by the second spring,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haft of the dial assembly is drawn into the opening groove, but the guide member of the dial assembly is the registration change button , the guide member is prevented from rising together with the shaft, and the first meshing portion of the dial ring and the second meshing portion of the dial gear are kept engaged with each other.

(특허문헌 1) KR 10-1980094 B1 (Patent Document 1) KR 10-1980094 B1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은 도어의 닫힌상태 및 열린상태일 때에 다이얼 뭉치의 샤프트가 실린더에 닿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샤프트의 파손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haft of the dial assembly touches the cylinder when the door is closed and open, and as the number of uses increases, the shaft is damag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durability.

더욱이, 특허문헌 1의 등록변경버튼은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수직봉과 실질적으로 가이드부재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평 걸림부가 같은 수평선상에 있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구조적으로 부하가 발생할 수 있어 파손율이 높은 문제점도 지적되어 왔다.Moreover, the registration change button of Patent Document 1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 rod operated by the user and the horizontal locking portion for substantially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member are not on the same horizontal line, so structural loads may occur and the damage rate is high. Problems have also been pointed ou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는 도어의 잠금시에는 샤프트가 레버부와 맞닿아 레버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도어의 열림상태일 때에는 샤프트가 걸림부의 샤프트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샤프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ial lock device for easy password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by contacting the shaft with the lever part when the door is locked, and when the door is open, the shaft moves to the locking par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ial lock that can easily change a password that can prevent damage to a shaft due to repeated use by maintaining a state inserted into a shaft insertion ho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밀번호 변경부와 걸림부가 수직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에 형성된 작동제한홈에 작동제한부가 맞닿아 잠금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작동이 직관적으로 이루어져 부품의 파손 방지 및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on limiting unit contacts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in a state in which the password change unit and the locking unit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locks, so that the operation is intuitive and the parts are damaged. To prevent and prevent malfunctions from occur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방지 스프링을 더 형성하여 도어의 잠금 및 도어의 열림시 레버부가 외력을 가하지 안을 때에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레버부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에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form an anti-rotation spring to prevent the lever from rotating when the door is locked and opened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by preventing the lever from rotating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he user's convenience. It is in order to increase it.

본 발명은 샤프트가 레버부와 맞닿아 레버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도어의 열림상태일 때에는 샤프트가 걸림부의 샤프트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샤프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contacts the lever part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and when the door is open, the shaft maintains a state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hole of the locking part,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shaft due to repeated use. .

또한, 비밀번호 변경부와 걸림부가 수직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에 형성된 작동제한홈에 작동제한부가 맞닿아 잠금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작동이 직관적으로 이루어져 부품의 파손 방지 및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with the password changing unit and the locking unit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ration limiting unit touches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to lock the operation, which makes the operation intuitive, preventing damage to parts and causing malfunctions. I never do that.

아울러, 회전방지 스프링을 더 형성하여 도어의 잠금 및 도어의 열림시 레버부가 외력을 가하지 안을 때에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레버부가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때에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In addition, an anti-rotation spring is further formed to prevent the lever from rotating when the door is locked and the door is opened without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reby preventing the lever from rotating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다이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레버부가 닫힘상태일 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레버부가 열림상태일 때를 도시한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al lock device for easy password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al lock device for easy password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rom another angl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dial part is disassemb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the lever unit is 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when the lever unit is open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looking at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우선,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소의 케이스가 한조를 이루어 결합되며, 내측에 수납부(O)를 형성하여 다른 구성부품이 내부에 결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body portion 10 is a general body unit 10, as shown in FIGS. 1 to 3, in which two cases are combined to form a set, and a receiving portion O is formed on the inside to allow other components to be coupled therein. Since it consists of a structure,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으로, 레버부(20)는 상술한 본체부(10)의 내측, 즉, 수납부(O)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이다.Next, the lever part 2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body part 10 described above, that is, to the housing part O, so that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can be substantially performed.

이러한, 레버부(20)는 본체부(10)의 수납부(O)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실린더(22)가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22)에서 연장된 몸통(27)의 내측에는 마스터키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마스터키부(23)의 외주면에는 레버(24)가 형성되며, 실린더(22)의 외주면에는 열림 위치면(25)과 단턱(26a)을 포함하는 닫힘 위치면(26)이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The lever part 20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cylinder 22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O of the body part 10, and the inside of the body 27 extending from the cylinder 22 has a master key part ( 23) is formed, the lever 2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ster key part 23,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2 has an open position surface 25 and a closed position surface 26 including a step 26a formed in a different location.

여기서, 상기 상기 열림 위치면(25)은 닫힘 위치면(26)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좋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 position surface 25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close position surface 26 .

다음으로, 다이얼부(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수납부(O)에 배치되며, 레버부(20)의 하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Next,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dial unit 30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unit O of the body unit 10 and disposed below the lever unit 20 .

이러한, 다이얼부(3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0 - 9까지의 숫자를 포함하며, 내측으로 다수의 제1 걸림홈(31a)을 형성하고 있는 다수의 다이얼(31)이 형성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ial portion 30 includes numbers from 0 to 9, and a plurality of dials 31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grooves 31a are formed on the inside.

또한, 상기 다이얼(31)의 제1 걸림턱(31a)과 대응하는 제1 걸림턱(32a)을 외측에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다수의 제2 걸림홈(32b)을 형성하고 있는 샤프트 링락(32)이 다이얼(31)의 내측에 배치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haft ring lock 32 has a first locking jaw 3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king jaw 31a of the dial 31 formed on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locking grooves 32b formed on the inside. ) is arranged inside the dial 31.

여기서, 상기 샤프트 링락(32)은 다이얼(31)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다이얼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다.Here, the shaft ring lock 32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dial 31 and is made up of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dials.

그리고 샤프트(33)는 상술한 샤프트 링락(32)의 제2 걸림홈(32b)에 대응하는 제2 걸림턱(3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턱(33a)의 상측으로는 제3 걸림턱(33b)이 구성된다.And the shaft 33 is formed with a second locking jaw 33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32b of the shaft ring lock 32 described above, and a third locking upp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shoulder 33a. A jaw 33b is constructed.

여기서, 상기 제2 걸림턱(33a)은 샤프트(33)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샤프트 링락(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s 33a have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shaft ring locks 3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aft 33 extends.

그리고 제1 스프링(S1)은 상술한 샤프트 링락(32)의 제2 걸림홈(32b)에서 샤프트(33)의 제2 걸림턱(33a)이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형성되고, 제2 스프링(S2)은 다이얼(31)의 제1 걸림홈(31a)과 샤프트 링락(32)의 제1 걸림턱(32a)의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해 형성된다.And the first spring (S1) is formed to add elastic force so that the second locking jaw (33a) of the shaft 33 can be coupled and released from the second locking groove (32b) of the shaft ring lock (32)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spring (S2) is formed to add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locking groove (31a) of the dial 31 and the first locking jaw (32a) of the shaft ring lock 32 can be coupled and released. .

다음으로, 걸림부(40)는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샤프트(33)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다이얼(31) 및 샤프트 링락(32)과 맞닿아 다이얼부(30)의 상측방향 거동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41)의 상측으로는 걸림부 몸체(42)가 형성된다.Next, the locking part 40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aft 33 constituting the dial part 30, and is in contact with the dial 31 and the shaft ring lock 32 constituting the dial part 30 to dial the dial. A support part 41 for limi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part 30 is formed, and a hooking part body 4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41.

상기 걸림부 몸체(42)는 내측으로 다이얼부(30)의 샤프트(33)가 결합할 수 있도록 지지부(41)까지 수직방향으로 타공된 샤프트 삽입홀(42a)이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ㄷ자 형상으로 타공된 작동제한홈(42b)이 형성디어 있으며, 상기 작동제한홈(42b)이 형성된 위치의 하측으로는 다이얼부(30)의 샤프트(32)에 형성된 제3 걸림턱(33b)이 인입되는 제3 걸림턱 위치홈(42c)이 형성되어 있다.The locking part body 42 has a shaft insertion hole 42a dri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to the support part 41 so that the shaft 33 of the dial part 30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and a U-shape on the rear side A perforated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is formed, and the third locking jaw 33b formed on the shaft 32 of the dial unit 30 is inserted below the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is formed. A third locking jaw location groove 42c is formed.

다음으로, 비밀번호 변경부(50)는 걸림부(40)의 작동을 제한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Next, the password change unit 50 is a configuration for changing the password by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40 .

이러한 비밀번호 변경부(50)는 걸림부(40)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42)가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부 몸체(42)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진 걸림부 결합홀(51a)을 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 결합홀(51a)의 일측에 형성되어 걸림부(40)의 작동제한홈(42b)에 삽입되는 작동제한부(51c)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40)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42)의 제3 걸림턱 위치홈(42c)에 인입되는 샤프트(33)의 제3 걸림턱(33b)의 상측 방향의 거동을 제한하여 도어의 잠금 및 열림시 샤프트(33)의 상단이 걸림부(40)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홀(42a)의 상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작동제한부(51c)의 하측에 형성되는 스토퍼(51b)를 포함하는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51)가 형성되고, 상기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51)의 일측으로 바 형태의 결합부(52)와 상기 결합부(52)의 타측의 버튼(53)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password changing unit 50 forms a locking part coupling hole 51a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locking part body 42 so that the locking part body 42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40 can be coupled thereto. And, an operation limiting portion 51c form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portion coupling hole 51a and inserted into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of the locking portion 40 is formed, and the locking portion constituting the locking portion 40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shaft 33 when the door is locked and opened by limi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third locking shoulder 33b of the shaft 33 inserted into the third locking jaw location groove 42c of the sub body 42. A password changing unit body 51 including a stopper 51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limiting unit 51c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shaft insertion hole 42a formed in the locking unit 40 is formed, It consists of a bar-shaped coupling portion 52 on one side of the password changing unit body 51 and a button 53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52.

여기서, 상기 걸림부(40))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42)의 작동제한홈(42b)의 수직방향 길이는 비밀번호 변경부(50)를 구성하는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51)의 작동제한부(51c)의 수직방향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Here,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of the locking part body 42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40 is the operation limiting part of the password changing unit body 51 constituting the password changing unit 5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51c).

또한, 상기 레버부(20)는 도어의 잠금시에는 실린더(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닫힘 위치면(26)이 다이얼부(30))의 샤프트(33)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어 걸림부(40)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42)의 상단과 접촉하여 걸림부(40)가 하측방향으로 가압되고,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샤프트(33)는 걸림부(40)의 걸림부 몸체(42)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홀(42a)에서 상향 돌출되어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닫힘 위치면(26)에 형성된 단턱에 삽입되어 다이얼부(3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작동하고, 레버부(20)의 도어 열림 위치시 사용자가 레버부(20)를 구성하는 실린더(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열림 위치면(25)이 다이얼부(30)의 샤프트(33)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면 걸림부(40)가 닫힘 위치면(26)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걸림부(40)가 상향 이동되어 샤프트(33)가 샤프트 삽입홀(42a)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걸림부(40) 및 샤프트(33)가 열림 위치면(25)과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locked, the lever part 2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haft 33 of the dial part 30 is formed so that the closing position surface 2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2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hooking part body 42 constituting the hooking part 40 is pressed downward, and the shaft 33 constituting the dial part 30 is the hooking part body of the hooking part 40 ( It protrudes upward from the shaft insertion hole 42a formed in 42) and is inserted into the step formed on the closed position surface 26 constituting the dial unit 30 to operate to prevent rotation of the dial unit 30, and the lever unit ( 20), when the user places the open position surface 2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2 constituting the lever part 20 at the position where the shaft 33 of the dial part 30 is formed, the engaging part 40 is released from pressing by the closing position surface 26, and the hooking part 40 is moved upward so that the shaft 33 is not protruded from the shaft insertion hole 42a,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ing part 40 and the shaft (33) can act to maintain no contact with the open position surface (25).

또한, 상기 레버부(20)를 도어 열림 위치에 위치시킨 후 비밀번호 변경부(50))의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51)가 이동하여 걸림부(40)의 작동제한홈(42b)에서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51)의 작동제한부(51c)의 결합이 해제되어 다이얼부(30)의 제2 스프링(S2)에 의해 샤프트 링락(32) 및 걸림부(4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다이얼(31)의 제1 걸림홈(31a)에서 샤프트 링락(32a)의 제1 걸림턱(32a)의 결합이 해제되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작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utton of the password change unit 50 is pressed after positioning the lever unit 20 at the door open position, the password change unit body 51 moves and moves in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of the locking unit 40. The coupling of the operation limiting part 51c of the password changing part body 51 is released, and the shaft ring lock 32 and the locking part 40 are moved upward by the second spring S2 of the dial part 30. In the first locking groove 31a of the dial 31, the coupling of the first locking jaw 32a of the shaft ring lock 32a is released, so that the password can be chang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정유닛(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xing unit 60 may be further includ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본체부(10)에는 한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경사면(a1)과 제1 수직면(b1)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라쳇(R1)을 포함하는 본체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본체 결합부(11)의 제1 라쳇(R1)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a2)과 제2 수직면(b2)을 포함하는 제2 라쳇(R2)을 포함하는 고정유닛(60)이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ain body part 10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oupling part 11 including a first ratchet R1 in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1 and a first vertical surface b1 are continuously formed so as to be movable in only one direction. ) Is formed, the second ratchet (R2) includ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a2) and a second vertical surface (b2)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chet (R1) of the body coupling portion 11 of the body portion 10 A fixing unit 60 including a may be configur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레버부(20)가 닫힘 및 열림상태일 때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스프링(7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rotation spring 70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lever unit 20 in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when the lever unit 20 is in a closed and open state.

상기 회전방지 스프링(7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본체부(10)의 수납부(O) 중 레버부(20)가 형성된 상단에는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바 결합홈(12a)을 형성한 한쌍의 걸림바(12)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12)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바 결합홈(12a) 중 어느 하나의 걸림바 결합홈(12a)에 결합하는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수평바(71)와 상기 제1 수평바(71)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바(72)와 상기 제1, 2 수평바(71, 72)를 연결하는 연결바(7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수평바(72)에는 레버부(20)의 실린더(22)와 맞닿아 사용자가 원치 않을 때의 레버부(2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경사진 제1, 2 탄성부(74, 75)가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form the anti-rotation spring 70,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locking bar coupling grooves 12a are formed at the upper end where the lever unit 20 is formed among the housing parts O of the main body unit 10. A pair of locking bars 12 are further formed, and a first horizontally extending first engaging one of the locking bar coupling grooves 12a among the plurality of locking bar coupling grooves 12a formed in the locking bar 12 It consists of a horizontal bar 71, a second horizontal bar 72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bar 71, and a connecting bar 73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71 and 72. , The second horizontal bar 72 is in contact with the cylinder 22 of the lever unit 2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lever unit 20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be made, the first inclined in the form of facing each other, 2 elastic parts 74 and 75 are included and 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잠금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look at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dial lock device for easy password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잠금장치(100)는 종래의 잠금장치와 마찬가지로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다이얼(31)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맞춘 상태에서는 레버부(20)가 회전하여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고,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다이얼부(30)을 구성하는 다이얼(31)의 비밀번호가 맞지 않으면 레버부(20)가 회전하지 않도록 작동한다.First, in the dial lock device 100, in which the password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unit 20 rotates in a state in which the password is set using the dial 31 constituting the dial unit 30, as in the conventional locking device. Thus, the door can be locked and unlocked, and if the password of the dial 31 constituting the dial 30 does not match in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the lever 20 operates so as not to rotate.

여기서, 레버부(20)가 닫힌상태이며 다이얼부(30)의 비밀번호가 맞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레버부(20)를 구성하는 실린더(22)에 형성된 닫힘 위치면(26)이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샤프트(32)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된다.Here, when the lever part 20 is closed and the password of the dial part 30 is not correct, the closed position surface 26 formed on the cylinder 22 constituting the lever part 20 is the dial part 30 It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shaft 32 constituting the is formed.

여기서, 상기 레버부(20)의 실린더(22) 외주면에 형성되는 닫힘 위치면(26)은 열림 위치면(25)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샤프트(32)의 상측에 위치시 걸림부(40)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42)의 상측면을 가압하도록 하여 걸림부(40)가 닫힘 위치면(2)에 의해 가압되어 하측방향으로 눌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Here, the closing position surface 2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22 of the lever unit 20 is configured to protrude more than the open position surface 25, and when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aft 32, the engaging portion ( 40)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body 42 so that the hook part 40 is pressed by the closing position surface 2 and maintains a state of being pressed downward.

여기서, 걸림부(40)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42)의 내측에는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샤프트(32)가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샤프트 삽입홀(42a)이 형성되어 있다.Here, a shaft insertion hole 42a is formed inside the locking part body 42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40 so that the shaft 32 constituting the dial part 30 moves upward and downward.

특히, 상기 걸림부(40)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42)에는 작동제한홈(42b)이 형성되고, 이 작동제한홈(42b)에는 비밀번호 변경부(50)를 구성하는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51)의 작동제한부(51c)가 제3 스프링(S3)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걸림부(40) 및 다이얼부(30)의 다이얼(31) 및 샤프트 링락(32)이 제2 스프링(S2)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부(40)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42)의 작동제한홈(42b)의 수직방향 길이는 비밀번호 변경부(50)를 구성하는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51)의 작동제한부(51c)의 수직방향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걸림부(40)가 하측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일 때에 제1 스프링(S1)에 의해 샤프트(33)가 걸림부 몸체(42)에서 돌출되어 레버부(20)를 구성하는 닫힘 위치면(26)의 단턱(26a)에 배치됨으로써 레버부(20)의 회전을 제한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In particular, an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is formed in the locking part body 42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40, and the password changer body constituting the password change unit 50 is formed in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 51) of the operation limiting portion 51c maintains a coupled state by the third spring S3,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40 and the dial 31 and the shaft ring lock 32 of the dial portion 3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spring. (S2) to prevent upward movement,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of the locking body 42 constituting the locking portion 40 is the password change unit 50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limiting portion (51c) of the password changer body (51) configured, so that when the locking portion (40) is press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pring (S1) The shaft 33 protrudes from the locking part body 42 and is disposed on the step 26a of the closing position surface 26 constituting the lever part 20,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20 and locking the door. It works to maintain the state.

한편, 사용자가 다이얼부(30)의 다이얼(31)을 통해 비밀번호를 맞추게 되면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샤프트 링락(32)의 제2 걸림홈(32b)과 샤프트(33)의 제2 걸림턱(33a)이 같은 선상에 배치되어 샤프트(33)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matches the password through the dial 31 of the dial unit 30, the second locking groove 32b of the shaft ring lock 32 constituting the dial unit 30 and the second locking of the shaft 33 The jaws 33a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so that the shaft 33 can move downward.

따라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맞춘 후 레버부(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닫힘 위치면(26)에 있던 샤프트(33)가 닫힘 위치면(26) 및 실린더(22)에 의해 하향 이동하게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회전하는 레버부(20)는 열림 위치면(25)이 샤프트(32) 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도어의 잠금이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part 20 after matching the password, the shaft 33 located on the closing position surface 26 is moved downward by the closing position surface 26 and the cylinder 22 and rotates. The door lock is unlocked when the opening position surface 25 of the lever unit 20 rotates in this way moves to the upper side of the shaft 32.

여기서, 도어의 닫힘 상태일 때에는 레버부(20)의 닫힌 위치면(26)에 의해 걸림부(40)가 가압되어 있지만, 열림 위치면(25)이 샤프트(32)의 상측에 위치시에는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샤프트(3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Here, the locking portion 40 is pressed by the closed position surface 26 of the lever unit 20 when the door is in the closed state, but presses when the open position surface 25 is positioned above the shaft 32. This is not done so that the shaft 32 remains unexposed to the outside.

이는, 상기와 같이 도어의 열림이 되도록 레버부(20)가 회전하게 되면 더 이상 걸림부(40)의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비밀번호 변경부(50)의 스토퍼(51b)에 의해 샤프트(32)의 제3 걸림턱(33b)이 더 이상 상향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샤프트(33)가 도어의 잠금시에만 레버부(20)와 접촉하도록 작용하여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샤프트(3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ver part 20 is rotated to open the door, the locking part 40 is no longer pressed, and the shaft 32 is opened by the stopper 51b of the password change part 50. This is because the third locking jaw (33b) of the ) is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any more, and as a result, the shaft 33 acts to contact the lever unit 20 only when the door is locked, causing the shaft 32 due to repeated us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ction effect that can prevent damage to.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의 열림시에는 비밀번호 변경부(50)를 작동시켜 다이얼부(30)의 비밀번호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oor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password of the dial unit 30 can be easily changed by operating the password change unit 50 .

상기 비밀번호 변경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이얼부(30)를 구성하는 다이얼(31)의 내측에는 샤프트 링락(32)이 배치되는데, 다이얼(31)의 제1 걸림홈(31a)에 샤프트 링락(32)의 제1 걸림턱(32a)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평상시에는 다이얼(31)을 회전시키면 다이얼(31)과 다이얼 링락(32)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Looking at the password change process in more detail, a shaft ring lock 32 is disposed inside the dial 31 constituting the dial unit 30, and the shaft ring lock 32 is placed in the first locking groove 31a of the dial 31. When the dial 31 is rotated normally by maintaining the first locking jaw 32a of the coupled state, the dial 31 and the dial ring lock 32 rotate together.

또한, 비밀번호 변경부(50)는 제3 스프링(S3)에 의해 탄성력이 작용하여 걸림부(40)의 작동제한홈(42b)에 작동제한부(51c)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걸림부(40) 및 샤프트 링락(32)이 제2 스프링(S2)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상승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password change unit 50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limiting portion 51c is coupled to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of the locking portion 40 by the elastic force acting by the third spring S3 to keep the locking portion ( 40) and the shaft ring lock 32 do not rise even if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spring S2 acts and maintains the current state.

한편, 사용자가 다이얼부(30)의 비밀번호 변경을 하고자 하면 비밀번호 변경부(50)를 누르게 되면 걸림부(40)의 작동제한홈(42b)에서 비밀번호 변경부(50)의 작동제한부(51c)가 이탈되고, 이로 인해 걸림부(40) 및 다이얼부(30)의 샤프트 링락(32)은 제2 스프링(S2)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password change unit 50 to change the password of the dial unit 30, the operation limiting unit 51c of the password change unit 50 in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of the locking unit 40 Is separated, and due to this, the shaft ring lock 32 of the locking part 40 and the dial part 30 is moved upward by the second spring S2, so that a state in which the password can be changed is achieved.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비밀번호 변경부(50)는 샤프트(32)가 형성된 위치에 걸림부(40)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Here, the password change unit 5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locking portion 40 at the position where the shaft 32 is formed.

따라서, 비밀번호 변경부(50)와 걸림부(40)가 수직방향으로 같은 위치에서 배치된 상태에서 후방에 형성된 작동제한홈(42b)에 작동제한부(51c)가 맞닿아 잠금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종래 기술에 비해 작동성이 직관적으로 이루어져 부품의 파손 방지 및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password changing unit 50 and the locking unit 40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ration limiting unit 51c abuts on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42b formed at the rear to lock the structure. 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operation is made intuitive,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parts and preventing malfunctions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방지 스프링(70)을 통해 사용자가 원치 않을 때에 자연적으로 레버부(2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part 20 naturally when the user does not want it through the anti-rotation spring 70.

즉, 상기 회전방지 스프링(70)은 제1, 2 수평바(71, 72)가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걸림바(12)의 걸림바 결합홈(12a)에 결합되어 있어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수평바(72)의 일부에는 레버부(20)의 실린더(22)와 맞닿아 실린더(22)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1, 2 탄성부(74, 75)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in the anti-rotation spring 70,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71 and 72 are coupled to the locking bar coupling groove 12a of the locking bar 12 constituting the main body 10 to maintain elastic force. First and second elastic parts 74 and 75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ylinder 22 of the lever part 20 and limit the rotation of the cylinder 22 are part of the second horizontal bar 72 in a coupled state so as to be able to do so. is formed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부(20)를 회전하기 위한 힘이 작용시에는 실린더(22)가 제1, 2 탄성부(74, 75) 중 어느 하나의 경사진 탄성부를 밀면서 회전하다가 일정량의 회전이 완료되면 제1, 2 탄성부(74, 75) 중 어느 하나의 경사진 부분의 탄성부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레버부(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작용하여 사용자가 원치 않은, 다시 말해, 사용자가 레버부(20)의 작동을 실시하려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버부(2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force for rotating the lever part 20 is applied by the user, the cylinder 22 rotates while pushing the inclined elastic part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arts 74 and 75, and then a certain amount of rotation is completed. Then, the elastic part of any one of the inclined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arts 74 and 75 acts to rotate the lever part 20 to the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does not want it, that is,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unit 20 is not operated, the lever unit 20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described fo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pecifi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부
11 : 본체 결합부 R1 : 제1 라쳇 a1 : 제1 경사면 b1 : 제1 수직면
12 : 걸림바 12a : 걸림바 결합홈
O : 수납부
20 : 레버부
22 : 실린더 23 : 마스터키부 24 : 레버 25 : 열림 위치면
26 : 닫힘 위치면 26a : 단턱 27 : 몸통
30 : 다이얼부
31 : 다이얼 31a : 제1 걸림홈
32 : 샤프트 링락 32a : 제1 걸림턱 32b : 제2 걸림홈
33 : 샤프트 33a : 제2 걸림턱 33b : 제3 걸림턱
S1 : 제1 스프링 S2 : 제2 스프링
40 : 걸림부
41 : 지지부
42 : 걸림부 몸체
42a : 샤프트 삽입홀 42b : 작동제한홈 42c : 제 걸림턱 위치홈
50 : 비밀번호 변경부
51 :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
51a : 걸림부 결합홀 51b : 스토퍼 51c : 작동제한부
52 : 결합부 53 : 버튼
S3 : 제3 스프링
60 : 고정유닛 R2 : 제2 라쳇 a2 : 제2 경사면 b2 : 제2 수직면
70 : 회전방지 스프링
71 : 제1 수평바 72 : 제2 수평바 73 : 연결바 74 : 제1 탄성부
75 : 제2 탄성부
100 :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잠금장치
10: body part
11: body coupling part R1: first ratchet a1: first inclined surface b1: first vertical surface
12: hanging bar 12a: hanging bar coupling groove
O: storage part
20: lever part
22: cylinder 23: master key part 24: lever 25: open position surface
26: closed position surface 26a: stepped 27: body
30: dial part
31: dial 31a: first locking groove
32: shaft ring lock 32a: first locking jaw 32b: second locking groove
33: shaft 33a: second locking jaw 33b: third locking jaw
S1: first spring S2: second spring
40: hanging part
41: support
42: hanging part body
42a: shaft insertion hole 42b: operation limiting groove 42c: first locking jaw location groove
50: password change unit
51: password change unit body
51a: engaging part coupling hole 51b: stopper 51c: operation limiting part
52: coupling part 53: button
S3: 3rd spring
60: fixed unit R2: second ratchet a2: second inclined plane b2: second vertical plane
70: anti-rotation spring
71: first horizontal bar 72: second horizontal bar 73: connecting bar 74: first elastic part
75: second elastic part
100: Dial lock for easy password change

Claims (5)

다이얼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맞추면 도어의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버부를 돌릴 수 있는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수납부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실린더와 실린더에서 연장된 몸통의 내측에 형성되는 마스터키부 및 마스터키부의 외측에 결합하는 레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열림 위치면과 단턱을 포함하는 닫힘 위치면이 형성되며, 상기 열림 위치면은 닫힘 위치면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레버부;
상기 본체부의 수납부에 배치되며 레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숫자를 포함하며 내측으로 다수의 제1 걸림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다이얼과 상기 다이얼의 내측에 배치되며, 다이얼의 제1 걸림홈과 대응하는 제1 걸림턱을 외측에 형성하고, 내측으로 제2 걸림홈을 포함하는 다수의 샤프트 링락과, 상기 샤프트 링락의 제2 걸림홈에 대응하는 제2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제3 걸림턱을 포함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 링락의 제2 걸림홈에서 샤프트의 제2 걸림턱이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다이얼의 제1 걸림홈과 샤프트 링락의 제1 걸림턱의 결합 및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며, 다이얼의 비밀번호가 맞을 때에 샤프트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해 레버부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이얼부;
상기 다이얼부의 샤프트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측으로 샤프트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타공된 샤프트 삽입홀을 형성하고, 후측면으로는 ㄷ자 형상으로 타공된 작동제한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제한홈이 형성된 위치의 하측으로는 다이얼부의 샤프트에 형성된 제3 걸림턱이 인입되는 제3 걸림턱 위치홈이 형성된 걸림부 몸체와 상기 걸림부 몸체의 하측으로는 다이얼부를 구성하는 다이얼 및 샤프트 링락과 맞닿아 다이얼부의 상측방향 거동을 제한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걸림부;
상기 걸림부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가 결합할 수 있도록 걸림부 몸체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진 걸림부 결합홀내측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 결합홀의 일측에 형성되어 걸림부의 작동제한홈에 삽입되는 작동제한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의 제3 걸림턱 위치홈에 인입되는 샤프트의 제3 걸림턱의 상측 방향의 거동을 제한하여 도어의 잠금 및 열림시 샤프트의 상단이 걸림부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홀의 상측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작동제한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와 상기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의 일측으로 바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타측의 버튼을 포함하는 비밀번호 변경부;
상기 비밀번호 변경부를 구성하는 결합부에 결합하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의 작동제한홈에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를 구성하는 작동제한부가 결합되어 걸림부의 상측방향으로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는 제3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In the dial lock device for easy password change that can turn the lever so that the door can be unlocked by matching the password through the dial,
A body portion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inwardly;
It consists of a cylindrical cylinder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of the body part, a master key part formed inside the body extending from the cylinder, and a lev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aster key part, including an open position surface and a step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a lever part having a closed position surface and the open position surface protruding more than the closed position surface;
A plurality of dials dispos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body part, disposed below the lever part, including numbers, and forming a plurality of first catching grooves inwardly, and disposed inside the di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atching grooves of the dials. A first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outside, a plurality of shaft ring locks including a second locking groove inwardly, a second locking step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groove of the shaft ring lock and an upper side of the second locking step A shaft including a third locking jaw formed and a first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econd locking jaw of the shaft can be coupled and disengaged from the second locking groove of the shaft ring lock and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dial A dial unit including a second spring that applies elastic force to engage and disengage the first locking jaw of the shaft ring lock, and configured to move the shaf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rotate the lever unit when the password of the dial is correct;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aft of the dial part, and a shaft insertion hole dri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so that the shaft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and an operation limiting groove perforated in a U-shape is formed on the rear side, and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To the lower side of the formed position, the third locking jaw location groove formed on the shaft of the dial unit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body and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body is in contact with the dial and the shaft ring lock constituting the dial unit. A locking portion made of a support portion that limi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dial portion;
A locking part coupling hol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locking part body is formed on the inside so that the locking part body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can be coupled,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part coupling hole and inserted into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of the locking part. An operation limiting part is formed,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is the locking part when the door is locked or opened by restric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third locking jaw of the shaft inserted into the third locking jaw location groove of the locking part body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A password change unit body including a stopp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limiting unit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shaft insertion hole formed in and a bar-shaped coupling portion to one side of the password change unit body and a button on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password change unit;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constituting the password change unit, but the operation limiting unit constituting the password change unit body is coupled to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of the locking unit body constituting the locking unit by elastic force to limit the upward movement of the locking unit A dial lock that is easy to change a passwo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hird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의 작동제한홈의 수직방향 길이는 비밀번호 변경부를 구성하는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의 작동제한부 수직방향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는 도어의 잠금시에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형성된 닫힘 위치면이 다이얼부의 샤프트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어 걸림부를 구성하는 걸림부 몸체의 상단과 접촉하여 걸림부가 하측방향으로 가압되고, 다이얼부를 구성하는 샤프트는 걸림부의 걸림부 몸체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홀에서 상향 돌출되어 다이얼부를 구성하는 닫힘 위치면에 형성된 단턱에 삽입되어 다이얼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레버부의 도어 열림 위치시 사용자가 레버부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외주면에 형성된 열림 위치면이 다이얼부의 샤프트가 형성된 위치에 배치되면 걸림부가 닫힘 위치면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걸림부가 상향 이동되어 샤프트가 샤프트 삽입홀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걸림부 및 샤프트가 열림 위치면과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length of the operation limiting groove of the locking part body constituting the locking part is formed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peration limit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ssword changer body constituting the password changer,
When the lever part locks the door, the closing position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is disp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haft of the dial part is formed and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body of the engaging part constituting the engaging part, so that the engaging part is pressed downward, constituting the dial part. The shaft protrudes upward from the shaf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dy of the locking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step formed on the closed position surface constituting the dial portion to prevent rotation of the dial portion,
When the door of the lever part is opened, when the user places the open position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er constituting the lever part at the position where the shaft of the dial part is formed, the pressing by the close position surface of the locking part is released, and the locking part moves upward to open the shaft. A dial lock that is easy to change the passwor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insertion hol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part and the shaft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opening position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를 도어 열림 위치에 위치시킨 후 비밀번호 변경부의 버튼을 누르면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가 이동하여 걸림부의 작동제한홈에서 비밀번호 변경부 몸체의 작동제한부의 결합이 해제되어 다이얼부의 제2 스프링에 의해 샤프트 링락 및 걸림부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다이얼의 제1 걸림홈에서 샤프트 링락의 제1 걸림턱의 결합이 해제되어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the button of the password change unit is pressed after the lever unit is positioned at the door open position, the body of the password change unit moves and the coupling of the operation limit unit of the body of the password change unit is released from the operation limit groove of the locking unit, thereby disengaging the dial unit. 2 A dial lock that is easy to change the passwo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ring lock and the locking part are moved upward by the spring, and the first locking jaw of the shaft ring lock is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dial to change the password.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한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제1 경사면과 제1 수직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 라쳇을 포함하는 본체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쳇과 대응하는 제2 경사면과 제2 수직면을 포함하는 제2 라쳇을 포함하는 고정유닛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body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ratchet in which a first inclined surface and a first vertical surface are continuously formed so as to be movable in only one direction,
A dial lock that is easy to change the password,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unit including a second ratchet includ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second vertic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tchet is further inclu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수납부 중 레버부가 형성된 상단에는 내측으로 다수의 걸림바 결합홈을 형성한 한쌍의 걸림바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바의 걸림바 결합홈에는 레버부가 닫힘 및 열림 위치에 있을 때에 레버부에 외력을 가하지 않을 때에 레버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 스프링이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방지 스프링은,
걸림바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바 결합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바 결합홈에 결합하는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수평바와 상기 제1 수평바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바와 상기 제1, 2 수평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수평바에는 레버부의 실린더와 맞닿아 사용자의 원치않는 레버부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경사진 제1, 2 탄성부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air of locking bars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bar coupling grooves formed inwardly are further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v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locking bar coupling groove of the locking bar further includes an anti-rotation spring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lever unit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unit when the lever unit is in the closed and open positions,
The anti-rotation spring,
A first horizontal bar extending horizontally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hanging bar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hanging bar and a second horizontal bar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bar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bars The connection is made directly,
Dial locking device for easy password cha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rizontal bar includes first and second elastic parts that are inclin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lever part that the user does not want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ylinder of the lever part.
KR1020220152273A 2022-11-15 2022-11-15 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KR102495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273A KR102495927B1 (en) 2022-11-15 2022-11-15 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273A KR102495927B1 (en) 2022-11-15 2022-11-15 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927B1 true KR102495927B1 (en) 2023-02-06

Family

ID=8522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273A KR102495927B1 (en) 2022-11-15 2022-11-15 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785B1 (en) 2024-01-19 2024-04-24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Storage furniture with a dial-type key box that keeps the door closed and has a double locking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094B1 (en) * 2018-08-13 2019-05-21 곽영준 Dial locking device for lock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094B1 (en) * 2018-08-13 2019-05-21 곽영준 Dial locking device for loc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785B1 (en) 2024-01-19 2024-04-24 주식회사 크로바가구 Storage furniture with a dial-type key box that keeps the door closed and has a double lock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8833A (en) Button operated combination lock
US7216518B2 (en) Mechanical dial combination lock
US8555686B2 (en) Mechanical pushbutton locking arrangements
KR102495927B1 (en) Dial Lock with Easy Change of Password
US5177466A (en) Lock structure with a warning device
US7222508B2 (en) Door lock unlockable two ways
JP3522715B2 (en) Lock handle device for sign combination lock built-in type door
KR101222457B1 (en) Device for locking a locker
KR20060133938A (en) Lock button for door lock of lever type
US6164099A (en) Door lock
US3214948A (en) Latch for doors, window sashes and similar structures
JP4383420B2 (en) Code lock device
US6557384B1 (en) Multifunction padlock
JP3358082B2 (en) Lock
KR101695847B1 (en) Latch Bolt Direction Setting Automatic Convertible Doorlock Mortise having Transient Opening Function
JPH0660544B2 (en) Code lock device
US3031877A (en) Key controlled, combination changing, permutation locks
KR102332677B1 (en) Locking device to prevent rotation of dialing in opening states
JP2595277Y2 (en) Electronic lock device for desk drawer
JP2002364211A (en) Lock handle device for code matching lock built-in type door
KR102239884B1 (en) One-Time and Regular Type Optional Door Lock
JP2023161205A (en) Mechanical- digital cylinder lock
US7287403B2 (en) Hook latch
JP2023125354A (en) Push-button lock
SU1747660A2 (en) Code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