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633B1 - Brush - Google Patents

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633B1
KR102495633B1 KR1020220063902A KR20220063902A KR102495633B1 KR 102495633 B1 KR102495633 B1 KR 102495633B1 KR 1020220063902 A KR1020220063902 A KR 1020220063902A KR 20220063902 A KR20220063902 A KR 20220063902A KR 102495633 B1 KR102495633 B1 KR 10249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urved
brush
cleaning
cleaning bru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요섭
Original Assignee
임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요섭 filed Critical 임요섭
Priority to KR102022006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63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and relates to a brush having a head portion having a handle at the rear end and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cleaning brushes include a pair of connection portion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in which both sides thereo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convex curve upward.

Description

브러쉬{BRUSH}Brush {BRUSH}

본 발명은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정솔의 내구성과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ush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and cleaning performance of a cleaning brush.

일반적으로 칫솔은 구강 내부와 치아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위생도구로서, 사용자의 연령이나 치아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며, 칫솔모에 치약을 묻혀 치아는 물론 혀 등을 문질러 세척하는 방식을 사용한다.In general, a toothbrush is a sanitary tool used to keep the inside of the mouth and teeth clean, and various forms are used depending on the user's age or dental condition. use.

이러한 칫솔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면에 다수의 칫솔모가 결합되는 헤드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 용도에 따라 칫솔모의 형태와 배치상태 및 소재가 다양하게 적용되며, 칫솔모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마모되거나 변형되는 경우 칫솔은 수명을 다하게 된다.Such a toothbrush is composed of a handle part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and a head part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handle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bristle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shape, arrangement, and material of the bristles are appl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when the bristles are worn or deformed beyond a certain level, the life of the toothbrush ends.

그런데, 종래의 칫솔은 일정 횟수 이상 사용시 칫솔모가 기울어지거나 눌린 상태로 쉽게 변형되므로, 칫솔모의 내구성이 좋지 않아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구조였고, 칫솔모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 치아와 닫는 칫솔모의 개수가 감소하므로 세정 성능이 쉽게 저하되는 구조였다. 또한 칫솔모의 단부가 좁은 면적으로 잇몸에 접촉되므로 칫솔모의 접촉 압력에 의해 잇몸이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othbrush, since the bristles are easily deformed in a tilted or pressed state when us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durability of the bristles is not good, making it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It was a structure that easily degraded performance. In addition, since the ends of the bristles contact the gums in a small area, there is a concern that the gums may be damaged by the contact pressure of the bristles.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2017-0075247호(2017년 07월 03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As prior literatu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2017-0075247 (July 03, 2017), and a toothbrush is disclosed in the prior literature.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솔의 내구성과 세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ush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and cleaning performance of a cleaning brus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브러쉬는 후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다수의 세척솔이 구비되는 브러쉬로서, 상기 세척솔은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볼록한 곡선을 형성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us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ush having a head portion having a handle at the rear end and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cleaning brushes are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r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convex curve upward.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연결부의 대응되는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head part, and the curved part may form a curv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또한, 하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조 세척솔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may be further included, the low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and the upper end of which extends to the upper part of the head par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브러쉬는 후단에 손잡이가 연결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다수의 세척솔이 구비되는 브러쉬로서, 상기 세척솔은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연결부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볼록한 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부의 전후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는 제1만곡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2연결부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볼록한 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부의 좌우 좌우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하는 제2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ush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ush having a head portion connected to a handle at the rear end and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wherein the cleaning brushes ar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head portion A pair of first connection portion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r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n upwardly convex curve, and a cur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ead portion A first curved part to be formed, a pair of second connection parts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and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art,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curved portion that is bent in the direction to form a convex curve upward and forms a cur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ortion.

또한, 상기 제1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 중 하나 이상은 길이방향이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may cross each other in a direction in which a longitudinal direction is orthogonal to each other.

본 발명은 세정솔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일정 압력으로 접촉되므로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정 대상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촉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회피 이동되므로 치아의 마모와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세정솔과 세정 대상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치석 제거 성능 및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eaning brush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target (teeth, gums, etc.) at a certain pressure, foreign matter removal performance can be improved. It is possible to reduce damage to the gums,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rush and the object to be cleaned, thereby improving tartar removal performance and cleaning power.

또한, 본 발명은 세정솔이 압력에 의해 눌린 상태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세정 대상과 접촉되는 세정솔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세정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세정솔의 돌출된 상단이 넓은 면적으로 세정 대상에 접촉되므로 칫솔질을 할 때 잇몸을 찌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formed in a pressed state by pressure,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long-term use is possible, and since the number of cleaning brushe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object is kept constant, the cleaning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and the cleaning brush Since the protruding upper end of the toothbrush contacts the cleaning target over a large area, it does not puncture the gums when brushing, so it can be used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헤드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만곡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브러쉬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세정솔을 엇갈리게 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보조 세정솔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보조 세정솔이 적용된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헤드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만곡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브러쉬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브러쉬의 세정솔이 엇갈리게 배치시킨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브러쉬에 보조 세정솔이 적용된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완충부가 적용된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절곡부가 적용된 상태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탄성 변형부가 적용된 상태를 측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가 교차된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ved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applied to the head of a 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showing the brush according to Figure 1 in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and planar direc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brushes of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cleaning brush is applied to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cleaning brush is applied to a 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ront direction, a side direction, and a plane direc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ved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head of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for showing the brush according to Figure 6 in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and planar direction.
8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cleaning brushes of the brush according to FIG. 6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front direction, a side direction, and a plane direction.
9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cleaning brush is applied to the brush according to FIG. 6 in a front direction, a side direction, and a plane direction.
10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ffer unit is applied to a 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ront direction, a side direction, and a plane direction.
11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nt portion is applied to a 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planar direction.
12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deformation part is applied to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teral direction.
13 is a view for showing a 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rontal direction, a lateral direction, and a planar direction.
14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curved part and a second curved part of a 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sect in a frontal direction, a lateral direction, and a planar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헤드부에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만곡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브러쉬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세정솔을 엇갈리게 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보조 세정솔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보조 세정솔이 적용된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헤드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만곡부를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브러쉬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ved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head of a 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ush according to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brushes of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FIG. 4 is an auxiliary cleaning brush to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lied state, and FIG. 5 is a view for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is applied to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and planar direction, and FIG. 6 is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ved portion having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applied to the head of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brush according to FIG. 6 in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and plane direction. it is a drawing

도 8은 도 6에 따른 브러쉬의 세정솔이 엇갈리게 배치시킨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6에 따른 브러쉬에 보조 세정솔이 적용된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완충부가 적용된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절곡부가 적용된 상태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에 탄성 변형부가 적용된 상태를 측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cleaning brushes of the brush according to FIG. 6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front direction, a side direction, and a planar direction, and FIG. 9 is a front direction and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uxiliary cleaning brushes are applied to the brush according to FIG. 6 10 is a view for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uffer is applied to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and plan direction, and FIG. 11 is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s applied to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a drawing to give.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의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가 교차된 상태를 정면 방향과 측면 방향 및 평면 방향에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showing a 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and planar direction, and FIG. 14 is a first curved part and a second curved part of the bru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to show the crossed state in the front direction, side direction, and plane direction.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는 후단에 손잡이(20)가 연결되는 헤드부(10) 및, 헤드부(10)의 상면에 다수의 세척솔(100)이 구비되며, 세척솔(100)은 한 쌍의 연결부(110) 및, 만곡부(120)를 포함한다.1 to 12, the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0 to which a handle 20 is connected at the rear end, and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1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 is provided, and the cleaning brush 100 includes a pair of connection parts 110 and a curved part 120.

헤드부(10)는 세척솔(1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결합홈(1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결합홈(11)은 헤드부(10)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결합홈(11)의 위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 are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so that the cleaning brush 100 can be coupled thereto. Coupling grooves 11 may b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ortion 10, and the location and number of coupling grooves 11 may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여기서, 헤드부(10)의 가장자리는 유선형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고, 헤드부(10)의 상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20)의 전단이 헤드부(10)의 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edge of the head portion 10 may have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may be formed horizontally, and the front end of the handle 2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10. It can have a length backwards in the state.

또한, 헤드부(10)는 도 10에서처럼 가장자리와 하면을 감싸는 완충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200)는 인체에 무해한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를 이용해 일정 두께의 층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완충부(200)의 소재를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head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part 200 surrounding the edge and the lower surface as shown in FIG. 10 . The buffer unit 200 may be formed as a layer having a certain thickness using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the material of the buffer unit 200 is not limited.

이와 같은 완충부(200)는 헤드부(10)를 사용자의 입 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칫솔질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잇몸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헤드부(10)가 잇몸과 강하게 접촉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즉 완충부(200)가 헤드부(10)와 잇몸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잇몸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The buffer part 200 is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gums when brushing while the head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user's mouth, and the head part 10 strongly contacts the gums during the brushing process. shock can be cushioned. That is, the shock absorbing part 200 can buffer the shock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head part 10 and the gum, so that the user's gum can be protected from being damaged.

세척솔(100)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고, 헤드부(1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세척솔(10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cleaning brush 100 i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eeth,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is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front-back and left-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10. can Here, materials such as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polyurethane, and silicon may be selectively used as the cleaning brush 100 .

한 쌍의 연결부(110)는 세척솔(100)을 헤드부(10)의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연결부(110)의 하단이 헤드부(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연결부(110)들의 하단이 결합홈(11)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air of connection parts 110 are parts for fixing the cleaning brush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10 is attached to the coupling groove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 It is coupled in an inserted state, and 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parts 110 may be coupled vertically to the coupling groove 11.

만곡부(120)는 표면 마찰을 통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부(110)의 상단에 일체로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볼록한 곡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만곡부(120)는 반원, 타원 등의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돌출될 수 있으나, 만곡부(12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The curved part 120 is a part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teeth, gums, etc.) through surface friction,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10 and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forms an upward convex curve. Here, the curved portion 120 may be bent in a shape such as a semicircle or an ellipse to protrude upward, but the shape of the curved portion 120 may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그리고, 연결부(110)들은 도 1 내지 9에서처럼 헤드부(10)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고, 만곡부(120)는 길이방향이 연결부(110)의 대응되는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한다. 즉 만곡부(120)는 상단이 치아 및 잇몸 등과 접촉시 하부로 벤딩 변형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s 110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ront-back or left-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as shown in FIGS. 1 to 9, and the curved part 12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curv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110. form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ortion 120 may be bent downward when it contacts teeth and gums,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elastic restoring force.

예를 들어, 도 1 내지 3에서처럼 연결부(110)들이 헤드부(10)의 전후 방향에 각각 위치되고, 만곡부(120)가 헤드부(10)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세척솔(100)은 헤드부(1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만곡부(120)의 길이방향이 헤드부(10)의 전후 방향을 향하므로 헤드부(10)를 만곡부(1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세정 대상을 넓은 면적으로 닦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nection parts 110 may be positio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the curved part 120 may have a length in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and the cleaning brush ( 100) may b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10. In this case, sin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120 is dir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10, the object to be cleaned can be wiped over a large area while moving the head portion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120.

또한, 도 1 내지 3에서처럼 세척솔(100)은 헤드부(1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병렬로 배열시키는 경우, 만곡부(120)는 길이방향이 헤드부(10)의 전후 방향을 향하고, 인접하는 폭방향이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처럼 좌우 방향에 위치된 만곡부(120)들의 길이방향 양측이 전후 방향으로 엇갈리게 위치될 수 있다.1 to 3, when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100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front-back and left-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10, the curved portion 12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ead unit 10. , adjacent width directions may be positioned side by side, and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s 120 positio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positioned alternate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s shown in FIG. 3 .

반면, 도 6 내지 8에서처럼 연결부(110)들이 헤드부(10)의 좌우 방향에 각각 위치되고, 만곡부(120)가 헤드부(10)의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세척솔(100)은 헤드부(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거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만곡부(120)의 길이방향이 헤드부(10)의 좌우 방향을 향하므로 헤드부(10)를 만곡부(12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세정 대상을 넓은 면적으로 닦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6 to 8 , the connection parts 110 are loc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the curved part 120 may have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and the washing brush 100 The silver heads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ead unit 10 or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front-back and left-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sinc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120 is direct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ortion 10, the object to be cleaned can be wiped over a large area while moving the head portion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 120.

또한, 도 6 내지 8에서처럼 세척솔(100)을 헤드부(1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병렬로 배열시키는 경우, 만곡부(120)는 길이방향이 헤드부(10)의 좌우 방향을 향하고, 인접하는 폭방향이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도 8에서처럼 전후 방향에 위치된 만곡부(120)들의 길이방향 양측이 좌우 방향으로 엇갈리게 위치될 수 있다.6 to 8, when the cleaning brushes 100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the curved part 12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and , Adjacent width directions may be positioned side by side, and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portions 120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may be positioned alternate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shown in FIG. 8 .

즉, 본 발명의 만곡부(120)는 일정 탄성으로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접촉되므로 치석 등의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정 대상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촉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회피 이동되므로 치아의 마모와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만곡부(120)와 세정 대상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치석 제거 성능 및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curved portion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es into contact with a cleaning object (teeth, gums, etc.) with a certain elasticity, i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calculus, and is de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contacting the cleaning object with a certain pressure or more. Since it is moved to avoid, it is possible to reduce wear of teeth and damage to gums,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urved part 120 and the object to be cleaned, so that tartar removal performance and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또한, 만곡부(120)는 치아를 세정시 돌출 방향으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눌린 상태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세정 대상과 접촉되는 만곡부(120)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세정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만곡부(120)의 돌출된 상단이 넓은 면적으로 세정 대상에 접촉되므로 칫솔질을 할 때 만곡부(120)가 잇몸을 찌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curved portion 120 is not deformed in a pressed state by the pressure transmitte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when cleaning the teeth,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long-term use is possible, and the number of curved portions 120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target is reduced. Since it is kept constant, the cleaning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and since the protruding upper end of the curved portion 120 contacts the cleaning target over a large area, the curved portion 120 does not pierce the gums during brushing, so it can be used saf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는 도 4와 5 및 9에서처럼 하단이 헤드부(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헤드부(10)의 상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조 세척솔(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세척솔(130)은 칫솔질을 하는 경우 상단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접촉되어 치석 등의 이물질 제거한다.The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having a lower end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 and an upper end exte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head part 10 as shown in FIGS. 4, 5 and 9 may further include. Here,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130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target (teeth, gums, etc.)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calculus when brushing.

보조 세척솔(130)들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 세척솔(13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ar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eeth and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Here, materials such as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polyurethane, and silicon may be selectively used as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130 .

그리고, 보조 세척솔(130)들의 하단이 헤드부(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보조 세척솔(130)들의 하단이 결합홈(11)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보조 세척솔(130)의 개수, 상하 길이, 폭방향 직경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ower ends of 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are coup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and the lower ends of 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are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grooves 11. It can be combined, and the number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vertical length, width direction diameter, etc.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또한, 보조 세척솔(130)은 헤드부(10)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일렬로 배열되거나, 헤드부(10)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으나 보조 세척솔(130)의 배열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may b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10, or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10, but may be auxiliary.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leaning brush 130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예를 들어, 보조 세척솔(130)을 세척솔(100)들의 사이 간격에 배치시키거나 헤드부(10)의 가장자리측 상면을 따라 배치시킬 수 있고, 세척솔(100)들의 사이 간격과 헤드부(10)의 가장자리측 상면을 따라 복합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칫솔질을 하는 경우 보조 세척솔(130)의 상단이 좁은 면적으로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접촉되므로 치석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between the cleaning brushes 100 or may be dispos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head portion 10,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cleaning brushes 100 and the head portion It can be arranged in a complex manner along the edge-side upper surface of (10). That is, when brushing,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130 is in contact with a cleaning object (teeth, gums, etc.) in a small area, so foreign substances such as calculus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는 도 13 및 14에서처럼 만곡부(120)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벤딩되어 상부로 홈부(310)를 형성시키는 절곡부(300) 및, 연결부(110)들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 변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concave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art 120 to the lower part as shown in FIGS.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deformable portion 400 that is bent and protruded horizont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m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절곡부(300)는 만곡부(120)의 상단이 세정 대상과 접촉시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도 13에서처럼 만곡부(120)의 상단을 곡선 형태로 절곡시켜 상부에 홈부(310)를 오목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홈부(310)를 기준으로 만곡부(120)의 양측 상단이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여기서 절곡부(300)는 다수의 세정솔(100)들 중 헤드부(10)의 중심영역에 배치된 세정솔(100)들의 만곡부(120)에만 형성시킬 수 있다.The bent part 300 is a part for improving the frictional force when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art 120 comes into contact with a cleaning object, and as shown in FIG. It can be formed, and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curved part 120 are convexly protruded upward based on the groove part 310 . Here, the bent portion 300 may be formed only on the curved portion 120 of the cleaning brushes 100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head portion 10 among the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100 .

이와 같이, 절곡부(300)를 형성시킨 만곡부(120)의 경우 홈부(310)를 기준으로 양측 상단이 좁은 면적으로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에 밀착되므로, 만곡부(120)의 길이방향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만곡부(120)의 상단이 세정 대상에 밀착되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치석 등의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약을 만곡부(120)의 상단에 부착시키는 경우 치약이 홈부(310)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므로 치약이 세정솔(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In this way, in the case of the curved part 120 formed with the bent part 300,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groove part 31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target (teeth, gums, etc.) with a small area, so that the curved part 1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on the curved part 12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essure that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art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cleaned, so that the performanc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tartar can be improved, and when toothpaste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art 120 Since the toothpaste is attach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310, the toothpaste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cleaning brush 100.

탄성 변형부(400)는 연결부(110)의 일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도 14에서처럼 연결부(110)들의 길이방향 양측을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 돌출시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 변형부(400)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하도록 간격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elastic deformation part 400 is a part for compressing and tensioning a part of the connection part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14, both longitudinal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110 are bent and protruded horizontally in the width direction to elastically deform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Possibly provided,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400, the spacing portion is formed to be concave so that compression and tension are poss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예를 들어, 만곡부(120)의 상단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밀착되는 경우, 연결부(110)의 하부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부(400)의 절곡 부위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고, 탄성 변형부(4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110)가 상부로 탄성 복귀될 수 있다. 즉 만곡부(120)가 세정 대상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촉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회피 이동되므로 치아의 마모와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end of the curved part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a cleaning target (teeth, gums, etc.), the bent part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400 is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ressure acting on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part 110. While the impact is buffered, the connection part 110 can be elastically returned to the upper part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deformable part 400 . That is, when the curved portion 120 contacts the object to be cleaned with a certain pressure or more, it is de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moved to avoid, so that abrasion of teeth and damage to gums can be reduced.

이하, 도 13 및 1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는 후단에 손잡이가 연결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다수의 세척솔이 구비되며, 세척솔은 한 쌍의 제1연결부(141)와, 제1만곡부(142)와, 한 쌍의 제2연결부(151) 및, 제2만곡부(152)를 포함한다.Hereinafter, a 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The bru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to which a handle is connected at the rear end, and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nd the cleaning brush includes a pair of first connection portions 141 and a first curved portion. 142, a pair of second connection parts 151, and a second curved part 152.

헤드부(10)는 세척솔(1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면에 다수의 결합홈(11)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결합홈(11)은 헤드부(10)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결합홈(11)의 위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 are conca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so that the cleaning brush 100 can be coupled thereto. Coupling grooves 11 may b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ortion 10, and the location and number of coupling grooves 11 may be variously applied as needed.

여기서, 헤드부(10)의 가장자리는 유선형의 곡면이 형성될 수 있고, 헤드부(10)의 상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20)의 전단이 헤드부(10)의 후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edge of the head portion 10 may have a streamlined curved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 may be formed horizontally, and the front end of the handle 2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head portion 10. It can have a length backwards in the state.

또한, 헤드부(10)는 도 11에서처럼 가장자리와 하면을 감싸는 완충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200)는 인체에 무해한 고무(rubber),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를 이용해 일정 두께의 층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완충부(200)의 소재를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head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part 200 surrounding the edge and the lower surface as shown in FIG. 11 . The buffer unit 200 may be formed as a layer having a certain thickness using a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the material of the buffer unit 200 is not limited.

이와 같은 완충부(200)는 헤드부(10)를 사용자의 입 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칫솔질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잇몸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헤드부(10)가 잇몸과 강하게 접촉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즉 완충부(200)가 헤드부(10)와 잇몸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잇몸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The buffer part 200 is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gums when brushing while the head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user's mouth, and the head part 10 strongly contacts the gums during the brushing process. shock can be cushioned. That is, the shock absorbing part 200 can buffer the shock caus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head part 10 and the gum, so that the user's gum can be protected from being damaged.

세척솔(100)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고, 헤드부(1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세척솔(10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cleaning brush 100 is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eeth,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is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front-back and left-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10. can Here, materials such as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polyurethane, and silicon may be selectively used as the cleaning brush 100 .

한 쌍의 제1연결부(141)는 세척솔(100)을 헤드부(10)의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제1연결부(141)들의 하단이 헤드부(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제1연결부(141)들의 하단이 결합홈(11)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부(141)들은 헤드부(10)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된다.The pair of first connection parts 141 are parts for fixing the cleaning brush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s 141 are coupled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 (11) is inserted into the coupled state,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1 can be coupled vertically to the coupling groove (11). 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s 141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

제1만곡부(142)는 표면 마찰을 통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길이방향 양측이 연결부(110)의 상단에 일체로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볼록한 곡선을 형성하며, 헤드부(10)의 전후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한다.The first curved portion 142 is a portion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cleaned (teeth, gums, etc.) through surface friction,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10, respecti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bent to form an upwardly convex curve, and forms a cur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head portion 10 .

여기서, 제1만곡부(142)는 반원, 타원 등의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돌출될 수 있으나, 제1만곡부(14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제1만곡부(142)는 상단이 치아 및 잇몸 등과 접촉시 하부로 벤딩 변형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may be bent in a shape such as a semicircle or an ellipse to protrude upward, but the shap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may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and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can be bent downward when the upper end contacts teeth and gums,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elastic restoring force.

한 쌍의 제2연결부(151)는 세척솔(100)을 헤드부(10)의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제2연결부(151)들의 하단이 헤드부(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제2연결부(151)들의 하단이 결합홈(11)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연결부(151)들은 헤드부(10)의 전후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된다.The pair of second connection parts 151 are parts for fixing the cleaning brush 10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 and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s 151 are coupled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0. (11) is inserted into the coupled stat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1 can be coupled vertically to the coupling groove (11). Here, the second connection parts 151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head part 10 .

제2만곡부(152)는 표면 마찰을 통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길이방향 양측이 제2연결부(151)의 상단에 일체로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볼록한 곡선을 형성하며, 제1만곡부(151)와 직교하는 각도를 갖도록 헤드부(10)의 좌우 방향으로 곡선을 형성한다.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is a portion for cleaning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a cleaning object (teeth, gums, etc.) through surface friction,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1, respectively, and the length It is bent in the direction to form a convex curve upward, and forms a cur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portion 10 to have an angle orthogonal to the first curved portion 151 .

여기서, 제2만곡부(152)는 반원, 타원 등의 형상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돌출될 수 있으나, 제2만곡부(15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제2만곡부(152)는 상단이 치아 및 잇몸 등과 접촉시 하부로 벤딩 변형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may be bent in a shape such as a semicircle or an ellipse to protrude upward, but the shape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can be bent downward when the upper end contacts teeth and gums,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shape by elastic restoring force.

또한,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 중 하나 이상은 도 11에서처럼 길이방향이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 중 하나의 상단이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 중 다른 하나가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may intersect in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longitudinal directions, as shown in FIG. 11 .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one of the first curved part 142 and the second curved part 152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curved part 142 and the second curved part 152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

예를 들어,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의 교차되는 상단이 세정 대상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촉하는 경우,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 중 하나의 상단이 세정 대상과 밀착되고,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의 교차되는 상단이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회피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rossed upper end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contact the object to be cleaned with a certain pressure or higher, the upper end of on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target, and the upper ends where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intersect are de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so as to avoid movement.

즉, 본 발명의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는 일정 탄성으로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접촉되므로 치석 등의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정 대상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촉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회피 이동되므로 치아의 마모와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와 세정 대상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치석 제거 성능 및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ct the cleaning object (teeth, gums, etc.) with a certain elasticity, the performanc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calculus can be improved, and the cleaning object and a certain pressure Since it is deformed and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wear of teeth and damage to gums,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curved part 142 and the second curved part 152 and the object to be cleaned, so that tartar is formed. Removal performance and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또한,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는 치아를 세정시 돌출 방향으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눌린 상태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세정 대상과 접촉되는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세정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제1만곡부(142)와 제2만곡부(152)의 돌출된 상단이 넓은 면적으로 세정 대상에 접촉되므로 칫솔질을 할 때 잇몸을 찌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are not deformed in a pressed state by the pressure transmitted in the protrusion direction when cleaning the teeth,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cleaning target and Since the number of contacting first curved portions 142 and second curved portions 152 is kept constant, the cleaning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and the protruding upper end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cover a large area. Because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target, it does not prick the gums when brushing, so it can be used saf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는 하단이 헤드부(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헤드부(10)의 상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조 세척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세척솔은 칫솔질을 하는 경우 상단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접촉되어 치석 등의 이물질 제거한다.The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having lower end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unit 10 and upper ends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unit 10 . Here, when brushing,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comes in contact with a cleaning target (teeth, gums, etc.)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calculus.

보조 세척솔들은 치아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 세척솔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EBS(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are used to remov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eeth and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be elastically deformed. Here, materials such as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EBS (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polyurethane, and silicon can be selectively used as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그리고, 보조 세척솔들의 하단이 헤드부(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보조 세척솔(130)들의 하단이 결합홈(11)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보조 세척솔(130)의 개수, 상하 길이, 폭방향 직경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lower ends of 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may be coup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unit 10, and the lower ends of 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may be vertical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s 11. In addition, the number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130, vertical length, width direction diameter, etc.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또한, 보조 세척솔은 헤드부(10)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일렬로 배열되거나, 헤드부(10)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으나 보조 세척솔의 배열 구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may b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10, or a plurality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10. The array structure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as needed.

예를 들어, 보조 세척솔을 세척솔(100)들의 사이 간격에 배치시키거나 헤드부(10)의 가장자리측 상면을 따라 배치시킬 수 있고, 세척솔(100)들의 사이 간격과 헤드부(10)의 가장자리측 상면을 따라 복합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칫솔질을 하는 경우 보조 세척솔의 상단이 좁은 면적으로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접촉되므로 치아의 사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For example, auxiliary cleaning brushes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between the cleaning brushes 100 or dispos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head unit 10,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cleaning brushes 100 and the head unit 10 may be disposed. It can be arranged in a complex manner along the upper edge side of the. That is, when brushing, since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cleaning brush comes in contact with a cleaning target (teeth, gums, etc.) in a small area, foreign substances attached between teeth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는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 중 하나 이상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하게 벤딩되어 상부로 홈부를 형성시키는 절곡부 및, 제1연결부(141) 및 제2연결부(151)들 중 하나 이상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 변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concavely bent downward from the top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to form a groove upward, and a first connection portion ( 14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1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deformable portion that is horizontally bent and protruded in at least one width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절곡부는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의 상단이 세정 대상과 접촉시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의 상단을 곡선 형태로 절곡시켜 상부에 홈부를 오목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홈부를 기준으로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의 양측 상단이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여기서 절곡부는 다수의 세정솔(100)들 중 헤드부(10)의 중심영역에 배치된 세정솔(100)들의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에만 형성시킬 수 있다.The bent part is a part for improving frictional force whe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curved part 142 and the second curved part 152 come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the upper ends of the first curved part 142 and the second curved part 152 are curved. The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concavely at the top by bending, and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protrude convexly upward based on the groove portion. Here, the bent portion may be formed only on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of the cleaning brushes 100 dispose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head portion 10 among the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100 .

이와 같이, 절곡부를 형성시킨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의 경우 홈부를 기준으로 양측 상단이 좁은 면적으로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에 밀착되므로,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의 길이방향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의 상단이 세정 대상에 밀착되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치석 등의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약을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의 상단에 부착시키는 경우 치약이 홈부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므로 치약이 세정솔(1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In this way, in the case of the first curved part 142 and the second curved part 152 formed with the bent part,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based on the groov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cleaned (teeth, gums, etc.) with a small area, so that the first curved part 142 And frictional for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can be improved, and the pressure with which the upper ends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cleaned can b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tartar. The removal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when the toothpaste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the toothpaste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cleaning brush 100 because the toothpaste is attach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

탄성 변형부는 제1연결부(141) 및 제2연결부(151)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제1연결부(141) 및 제2연결부(151)들의 길이방향 양측을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 돌출시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고, 탄성 변형부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하도록 간격부가 오목하게 형성된다.The elastic deformation part is a part for compressing and stretch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14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41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horizontal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rovided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nding and protruding,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the spacing portion is formed concave so that compression and tension are poss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예를 들어, 제1만곡부(142) 또는 제2만곡부(152)의 상단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밀착되는 경우, 제1연결부(141) 및 제2연결부(151)의 하부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부의 절곡 부위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고, 탄성 변형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연결부(141) 및 제2연결부(151)가 상부로 탄성 복귀될 수 있다. 즉 제1만곡부(142) 및 제2만곡부(152)가 세정 대상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촉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회피 이동되므로 치아의 마모와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urved part 142 or the second curved part 152 is in close contact with a cleaning object (teeth, gums, etc.), it acts as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necting part 141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151. The bent portion of the elastic deformable portion is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pressure applied to absorb the impact,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4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51 can be elastically returned to the upper por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That is, when the first curved portion 142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52 come into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cleaned at a certain pressure or higher, they are de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moved to avoid, so that abrasion of teeth and damage to gums can be reduc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세정솔(100)이 세정 대상(치아, 잇몸 등)과 일정 압력으로 접촉되므로 이물질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정 대상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접촉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회피 이동되므로 치아의 마모와 잇몸의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세정솔(100)과 세정 대상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치석 제거 성능 및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eaning brush 100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target (teeth, gums, etc.) at a certain pressure, foreign matter removal performance can be improved, and when contacted with the cleaning target at a certain pressure or higher, it is de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avoid avoidance. Since it is moved, it is possible to reduce abrasion of teeth and damage to gums,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leaning brush 100 and the object to be cleaned, thereby improving tartar removal performance and cleaning power.

또한, 본 발명은 세정솔(100)이 압력에 의해 눌린 상태로 변형되지 않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세정 대상과 접촉되는 세정솔(100)의 개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세정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며, 세정솔(100)의 돌출된 상단이 넓은 면적으로 세정 대상에 접촉되므로 칫솔질을 할 때 잇몸을 찌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eaning brush 100 is not deformed in a pressed state by pressure,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long-term use is possible, and since the number of cleaning brushes 100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object is maintained constant, cleaning performance This does not decrease, and since the protruding upper end of the brush 100 contacts the cleaning target over a large area, it does not prick the gums when brushing, so it can be used safely.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conveyed, and should be defined by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those equivalent to these claim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헤드부 11: 결합홈
20: 손잡이 30: 치약
100: 세척솔 110: 연결부
120: 만곡부 130: 보조 세척솔
141: 제1연결부 142: 제1만곡부
151: 제2연결부 152: 제2만곡부
160: 보조 세척솔 200: 완충부
300: 절곡부 310: 홈부
400: 탄성 변형부
10: head part 11: coupling groove
20: handle 30: toothpaste
100: cleaning brush 110: connection
120: curved part 130: auxiliary cleaning brush
141: first connection portion 142: first curved portion
151: second connection portion 152: second curved portion
160: auxiliary cleaning brush 200: buffer part
300: bent portion 310: groove portion
400: elastic deformation part

Claims (5)

후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다수의 세척솔이 구비되는 브러쉬로서,
상기 세척솔은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부; 및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각각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벤딩되어 상부로 볼록한 곡선을 형성하는 만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솔은 상기 헤드부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의 전후 방향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만곡부가 상기 헤드부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하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헤드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보조 세척솔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세척솔은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 소재로 구비되며,
상기 보조 세척솔은 상기 헤드부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보조 세척솔은 상기 세척솔의 사이 간격과 상기 헤드부의 가장자리측 상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보조 세척솔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만곡부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쉬.
A brush having a head portion having a handle at the rear end and a plurality of cleaning brush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The washing brush includes a pair of connection parts each inserted into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convex curve upward; including,
The cleaning brushes ar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and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material to be elastically deformed,
The connection part i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ead part, and the curved part has a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ead par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the low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and the upper end of which extends to the top of the head part, wherein the auxiliary washing brush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 plurality of auxiliary cleaning brushes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front-back and left-right directions of the head unit, 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are disposed along the gap between the cleaning brush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side of the head unit, and among the auxiliary cleaning brushes At least one brush,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63902A 2022-05-25 2022-05-25 Brush KR102495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902A KR102495633B1 (en) 2022-05-25 2022-05-25 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902A KR102495633B1 (en) 2022-05-25 2022-05-25 Bru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633B1 true KR102495633B1 (en) 2023-02-06

Family

ID=8522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902A KR102495633B1 (en) 2022-05-25 2022-05-25 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63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7082A1 (en) * 1999-02-09 2000-08-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ristle sub-assembl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2262941A (en) * 2001-03-09 2002-09-17 Akira Ueno Toothbrush
JP2005230732A (en) * 2004-02-20 2005-09-02 Tsuchiya Tsco Co Ltd Brush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7082A1 (en) * 1999-02-09 2000-08-1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ristle sub-assembli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2262941A (en) * 2001-03-09 2002-09-17 Akira Ueno Toothbrush
JP2005230732A (en) * 2004-02-20 2005-09-02 Tsuchiya Tsco Co Ltd Brush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60416A1 (en) Oral Care Implement
JP6509902B2 (en) Head for oral care equipment
US7360270B2 (en) Toothbrush
KR101591299B1 (en) Toothbrush
WO2000064307A1 (en) Toothbrush
JP2007530131A (en) toothbrush
CN100401941C (en) Oral devices
KR102495633B1 (en) Brush
JP5296682B2 (en) toothbrush
JP3305329B2 (en) toothbrush
KR20110116058A (en) Toothbrush
KR200468044Y1 (en) Toothbrush having brushing and mopping function
US1674236A (en) Steel-wire brush for cleaning the types on typewriting machines
KR100592088B1 (en) Toothbrush head
WO2002094057A1 (en) Toothbrush
KR20160104155A (en) Toothbrush
CN215688668U (en) Electric toothbrush head and electric toothbrush
JP3059451U (en) toothbrush
KR102100362B1 (en) The tooth brush of the curved bristle by bending
KR100713990B1 (en) Tooth brush having flexible head
KR20080107343A (en) Toothbrush
CN108135351B (en) Oral care implement
US10959510B2 (en) Toothbrush structure
JPH0919323A (en) Tooth brush
JPH119341A (e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