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478B1 - Accessory connector - Google Patents
Accessory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5478B1 KR102495478B1 KR1020220042585A KR20220042585A KR102495478B1 KR 102495478 B1 KR102495478 B1 KR 102495478B1 KR 1020220042585 A KR1020220042585 A KR 1020220042585A KR 20220042585 A KR20220042585 A KR 20220042585A KR 102495478 B1 KR102495478 B1 KR 1024954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ing
- piece
- folding piece
- rotatably connected
- accesso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2—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 A44C5/24—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closed straps with folding device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신구의 양단을 연결 및 분리시켜 주는 장신구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신구를 바닥에 떨어뜨릴 염려 없이 쉽고 안전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ory connector that connects and separates both ends of an accessor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cessory connector that allows an accessory to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easily and safely without fear of dropping it on the floor.
일반적으로 팔찌나 시계줄 그리고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들은 양단이 분리되어 있으며 착용이 가능하도록 장신구의 양단을 견고하게 연결 및 분리시켜 주는 연결체를 구비한다.In general, accessories such as bracelets, watch straps, and necklaces are separated at both ends and have connectors for firmly connecting and separating both ends of the accessories so that they can be worn.
도 1은 종래의 장신구 연결체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신구 연결체는 장신구를 이루는 밴드몸체(10)의 일단에 연결된 걸림편(15)을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accessory connector, and as shown, the conventional accessory connector includes a
그리고, 상기 걸림편(15)은 밴드몸체(10)에 일체로 연결된 걸림요부(17)를 갖는 고정편(20)과, 상기 고정편(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밀착판(25)을 가진 덮개(30)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hooking
또한, 상기 밴드몸체(10)의 타단에는 요홀(45)이 형성되고, 상기 요홀(45)에는 상기 걸림요부(17)에 걸리는 고정핀(40)이 고정된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 연결체는 장신구를 착용 신체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20)에 고정핀(40)을 삽입하여 고정편(20)의 걸림요부(17)가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덮개(30)를 회전시켜 밀착판(25)을 고정편(20)에 밀착시키면 밴드몸체(10)의 일단과 타단이 상호 연결된다.In the conventional accessory connection body as described above, a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 연결체는 밴드몸체(10)의 일단과 타단이 분리된 상태에서 착용해야 하므로 연결 및 분리 조작을 수행하기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ccessory connector must be worn in a state in which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특히, 장신구가 팔찌인 경우에는 한손만 이용하여 연결 및 분리 조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상기한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In particular, when the accessory is a bracelet,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using only one hand, so the above problem is further aggravated.
이와 같이, 종래의 장신구 연결체는 사용자가 장신구를 착용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매우 크고, 이로 인하여 고가의 장신구를 바닥에 떨어뜨려 파손시키는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바,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In this way, the conventional accessory connector requires the user to pay great attention to wearing the accessory, so the inconvenience in use is very large, and as a result, accidents in which expensive jewelry is dropped on the floor and damaged occur frequently. improvement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신구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이 장신구를 바닥에 떨어뜨릴 염려 없이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장신구 연결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essory connection system in which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jewelry are performed easily and safely without fear of dropping the accessory on the flo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체는 장신구를 이루는 밴드몸체의 일단에 연결된 제1걸림편과, 상기 제1걸림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접철편과, 상기 제1접철편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접철편을 구비한 제1접철부재와 일단은 상기 제1접철부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밴드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접철부재 수용브라켓과,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접철편과 상기 제3접철편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4접철편과 상기 제3접철편에 형성된 제1밀착부와 상기 제4접철편 회전시 제1밀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4접철편의 단부에 형성된 제1탄성후크를 구비한 제1버클부재과, 상기 제4접철편 회전시 상기 제3접철편과 제4접철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걸림편에 구비된 제1걸림핀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ccessory connect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oking piece connected to one end of a band body constituting an accessory, a first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olding piece, and the first folding piece. A first folding member having a second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thereof, a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folding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A third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 four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folding piece, and a first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third folding piece and the rotation of the fourth folding piece A first buckle member having a first elastic hook formed at the end of the fourth folding piec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folding pieces when the fourth folding piece rotates. It includes a first locking pin provided on the first locking piece.
또한, 상기 제1걸림편에는 제1접철편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타단에는 제3접철편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후크가 제1밀착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1걸림편과 접철부재 수용브라켓과 제1버클부재의 상면이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opening portion to which a first folding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at the first locking piece, and a second opening portion to which a third folding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hook is fitted into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holding piece,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nd the first buckle member are all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can be formed
한편,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타단과 밴드몸체의 타단은 장신구의 밴드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제2걸림편과, 접철시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에 수용되는 제2접철부재와 상기 제2접철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버클부재와 상기 제2걸림편에 구비된 제2걸림핀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are connected to the second hooking pie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of the accessory, and the second fold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during folding and the second folding member. It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buckle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pin provided on the second locking piece.
이 경우, 상기 제2접철부재는 제2걸림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5접철편과 상기 제2접철부재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6접철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버클부재는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7접철편과 상기 제7접철편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8접철편과 상기 제7접철부에 형성된 제2밀착부와 상기 제8접철편 회전시 제2밀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8접철편의 단부에 형성된 제2탄성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2걸림핀은 제8접철편 회전시 상기 제7접철편과 제8접철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folding member includes a fif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lding piece and a six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olding member, and the second buckle member A seven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n eigh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venth folding piece, a second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seventh folding portion, and the eighth folding piece. A second elastic hook formed at an end of the eighth fold piece is provided so as to be fit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during rotation, and the second holding pin is interposed between the seventh and eighth fold piece when the eighth fold piece rotates. It may be provided to position.
아울러, 상기 제2걸림편에는 제5접철편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타단에는 제6접철편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후크가 제2밀착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개방부와 제4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2걸림편과 접철부재 수용브라켓과 제2버클부재의 상면이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ird opening to which a fifth folding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on the second locking piece, and a fourth opening to which a sixth folding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2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hook is fitted in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holding piece, the folding member receiving bracket, and the second buckle member are all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through the third opening and the fourth opening. can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는 장신구의 밴드몸체 양단에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신구 착용시 연결 및 분리 조작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장신구가 바닥으로 떨어져 손상되는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a configuration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and body of the accessory, connection and separation operations are made very easy when wearing the accessory,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the accessory is damaged by falling to the floor. There is a preventive effect.
도 1은 종래의 장신구 연결체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accessory connecto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jewel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do not reflec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with the corresponding meaning and concept.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include" or "has"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part is presen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below"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below"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herei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only different parts are mainly described so as not to overlap as much as possible for clarity.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는 목걸이나 팔찌 발찌 또는 시계 등과 같이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밴드몸체를 구비한 고리 형태의 장신구에 적용된다.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ing-shaped accessory having a band body so as to be worn on the body, such as a necklace, bracelet, anklet, or watch.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가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의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100)는 장신구를 이루는 밴드몸체(도시 안됨)의 일단에 연결된 제1걸림편(110)과, 상기 제1걸림편(110)에 연결된 제1접철부재(120)와, 상기 제1접철부재(120)와 밴드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과,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에 연결된 제1버클부재(140)와, 상기 제1버클부재(140)와 연결되는 제1걸림핀(150)을 포함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accessory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and as shown, the
상기 제1걸림편(110)은 밴드몸체의 일단에 연결된 판상의 부재로서, 제1접철부재(120)를 향하는 제1개방부(111)를 가진다. 상기 제1개방부(111)에는 제1접철부재(1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제1접철부재(120)는 제1걸림편(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접철편(121)과, 상기 제1접철부재(12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접철편(122)을 구비한다.The
이 경우, 상기 제1접철편(121)은 제2접철편(122)의 하부로 접철되어 상기 제2접철편의 하부로 수용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제1접철부재(120)는 접철시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하부에 수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은 일단이 상기 제1접철부재(12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밴드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판상의 부재로서, 하부에는 접철된 제1접철부재(120)를 수용하는 수용홈(도시 안됨)이 형성된다.The folding
상기 제1버클부재(140)는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접철편(141)과, 상기 제3접철편(14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4접철편(142)과, 상기 제3접철편(141)에 형성된 제1밀착부(143)와, 상기 제4접철편(142) 회전시 제1밀착부(143)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4접철편(142)의 단부에 형성된 제1탄성후크(144)를 구비한다.The
이 경우,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일단에는 제2개방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개방부(131)에는 상기 제3접철편(14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In this case, a
상기 제1걸림핀(150)은 제4접철편(142) 회전시 상기 제3접철편(141)과 제4접철편(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걸림편(110)의 제1개방부(111)에 구비된다.The
한편,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타단과 밴드몸체의 타단은 장신구의 밴드몸체의 타단에 다이렉트로 연결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제2걸림편(160)과, 접철시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에 수용되는 제2접철부재(170)와, 상기 제2접철부재(1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버클부재(180)와, 상기 제2걸림편(160)에 구비된 제2걸림핀(190)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이 경우, 상기 제2접철부재(170)는 제2걸림편(16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5접철편(171)과, 상기 제5접철편(17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6접철편(172)을 구비한다.In this case, the
아울러, 상기 제2버클부재(180)는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7접철편(181)과, 상기 제7접철편(18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8접철편(182)과, 상기 제7접철편(181)에 형성된 제2밀착부(183)와, 상기 제8접철편(182) 회전시 제2밀착부(183)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8접철편(182)의 단부에 형성된 제2탄성후크(184)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2걸림핀(190)은 제8접철편(182) 회전시 상기 제7접철편(181)과 제8접철편(18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제2걸림편(160)에는 제5접철편(17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개방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타단에는 제6접철편(172)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개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체(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The
먼저, 장신구를 착용하고자 하는 신체에 끼운 상태에서 제1접철편(121)과 제2접철편(122)을 접는 동시에 제3접철편(141)과 제4접철편(142)을 펼친 상태에서 제4접철편(142)을 제1걸림핀(150)의 하부로 통과시킨 후에 제1개방부(111)를 통해 제3접철편(141)측으로 회전시켜 접는다.First, the
이렇게 하면, 제1접철부재(120)는 제1접철편(121)과 제2접철편(122)이 접혀진 상태로 자연스럽게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하부로 수용됨과 함께 상기 제3접철편(141)은 제4접철편(142)과 마주하게 되고 상기 제1걸림핀(150)은 제3접철편(141)과 제4접철편(14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way, the
이 과정에서 제1걸림편(110)과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면서 착용자의 신체에 밴드몸체가 밀착된다.In this process, the band body adheres to the wearer's body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ooking
그리고, 제4접철편(142)을 회전시켜 제4접철편(142)과 제3접철편(141)을 완전하게 접게 되면 제1탄성후크(144)가 제2개방부(131)를 통과하여 마주하는 제1밀착부(143)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면서 밴드몸체의 일측과 타측이 견고하게 연결된다.Then, when the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4접철편(142)의 일측이 제1개방부(111)의 상면을 이루게 되고 타측이 제2개방부(131)의 상면을 이루게 된다.In this state, one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제1걸림편(110)과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과 제1버클부재(140)의 상면이 모두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착용한 장신구의 외관 또한 깔끔하고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자칫 상기 제4접철편(142)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부로 들리면서 제1밀착부(143)로부터 이탈되어 장신구의 연결이 해제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upper surfaces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밴드몸체는 착용전에 이미 양단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장신구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연결 및 분리 조작시 장신구가 바닥으로 떨어져 손상되는 사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n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ready connected at both ends before wearing, it is very easy to connect and separate the accessories,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accidents in which the accessories fall to the floor and get damaged during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perations. there will be
한편,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타단과 밴드몸체의 타단이 제2걸림편(160)과, 제2접철부재(170)와, 제2버클부재(180)와, 제2걸림핀(190)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이 경우, 상기 제2걸림편(160)에는 제5접철편(171)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개방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의 타단에는 제6접철편(172)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개방부(132)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
그리고, 상기 제2탄성후크(184)가 제2밀착부(183)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개방부(161)와 제4개방부(132)를 통해 상기 제2걸림편(160)과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과 제2버클부재(180)의 상면이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된다.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따라서, 장신구 착용시 제1걸림편(110)과 마찬가지로 제2걸림편(160)과 접철부재 수용브라켓(130)과의 거리도 줄어들게 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여유있게 장신구를 신체에 끼운 상태에서 장신구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wearing jewelry, the distance between the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As such,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y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which also It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장신구 연결체 110...제1걸림편
111...제1개방부 120...제1접철부재
121...제1접철편 122...제2접철편
130...접철부재 수용브라켓 131...제2개방부
132...제4개방부 140...제1버클부재
141...제3접철편 142...제4접철편
143...제1밀착부 144...제1탄성후크
150...제1걸림핀 160...제2걸림편
161...제3개방부 170...제2접철부재
171...제5접철편 172...제6접철편
180...제2버클부재 181...제7접철편
182...제8접철편 183...제2밀착부
184...제2탄성후크 190...제2걸림핀100...
111...
121...
130 ... folding
132 ...
141...
143...
150...
161...
171...
180...
182...
184... 2nd
Claims (4)
상기 제1걸림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접철편과, 상기 제1접철편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접철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접철편은 제2접철편의 하부로 접철되는 제1접철부재;
일단은 상기 제1접철부재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밴드몸체의 타단에 연결되며, 하부에는 접철된 상기 제1접철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구비한 접철부재 수용브라켓;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3접철편과, 상기 제3접철편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4접철편과, 상기 제3접철편에 형성된 제1밀착부와, 상기 제4접철편 회전시 제1밀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4접철편의 단부에 형성된 제1탄성후크를 구비한 제1버클부재; 및
상기 제4접철편 회전시 상기 제3접철편과 제4접철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걸림편에 구비된 제1걸림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편에는 제1접철편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타단에는 제3접철편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후크가 제1밀착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1걸림편과 접철부재 수용브라켓과 제1버클부재의 상면이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장신구 연결체.A first hook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and body constituting the accessory;
A first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gripping piece and a second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folding piece, wherein the first folding piece is folded under the second folding piece. 1 folding member;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foldable memb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a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having an accommodating groove in the lower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folded first foldable member;
A third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 four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third folding piece, a first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third folding piece, A first buckle member having a first elastic hook formed at an end of the fourth folding piece so as to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when the fourth folding piece rotates; and
A first holding pin provided on the first holding piece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folding pieces when the fourth folding piece rotates;
A first opening portion to which a first folding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on the first locking piece,
A second opening to which a third folding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astic hook is fitted into the first contact porti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locking piece,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nd the first buckle member are all on the same plane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Placed accessory connector.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타단과 밴드몸체의 타단은 장신구의 밴드몸체의 타단에 연결된 제2걸림편과, 접철시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에 수용되는 제2접철부재와, 상기 제2접철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버클부재와, 상기 제2걸림편에 구비된 제2걸림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2접철부재는 제2걸림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5접철편과, 상기 제5접철편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6접철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버클부재는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7접철편과, 상기 제7접철편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8접철편과, 상기 제7접철편에 형성된 제2밀착부와, 상기 제8접철편 회전시 제2밀착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제8접철편의 단부에 형성된 제2탄성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2걸림핀은 제8접철편 회전시 상기 제7접철편과 제8접철편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 장신구 연결체.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nd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are the second hooking pie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nd body of the accessory, the second folding member accommodated in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during folding, and rotation in the second folding member. Possibly connected to the second buckle member, connected through a second locking pin provided in the second locking piece;
the second folding member includes a fif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lding piece and a six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fth folding piece;
The second buckle member includes a seven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n eighth folding piece rotatab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venth folding piece, and a second contact formed on the seventh folding piece. and a second elastic hook formed at an end of the eighth folding piece to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when the eighth folding piece rotates;
The second locking pin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eventh and eighth folding pieces when the eighth folding piece rotates.
상기 제2걸림편에는 제5접철편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재 수용브라켓의 타단에는 제6접철편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후크가 제2밀착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개방부와 제4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2걸림편과 접철부재 수용브라켓과 제2버클부재의 상면이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장신구 연결체.According to claim 3,
a third opening to which a fifth folding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on the second locking piece;
A fourth opening to which a sixth folding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hook is fitted in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locking piece, the folding member accommodating bracket, and the second buckle member are all on the same plane through the third opening and the fourth opening. Placed accessory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2585A KR102495478B1 (en) | 2022-04-06 | 2022-04-06 | Accessory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2585A KR102495478B1 (en) | 2022-04-06 | 2022-04-06 | Accessory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95478B1 true KR102495478B1 (en) | 2023-02-06 |
Family
ID=8522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2585A KR102495478B1 (en) | 2022-04-06 | 2022-04-06 | Accessory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5478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16A (en) * | 1994-06-22 | 1996-01-09 | Honda Seimitsu Kogyo Kk | Center clasp for band |
JPH09252814A (en) * | 1996-03-27 | 1997-09-30 | Citizen Watch Co Ltd | Structure of hinged double-door type middle fastener |
KR100364049B1 (en) | 2000-05-18 | 2002-12-12 | (주)아이벡스 | A buckle for band |
JP2009125552A (en) * | 2007-11-28 | 2009-06-11 | Citizen Watch Co Ltd | Clasp structure of accessory |
WO2016043307A1 (en) * | 2014-09-19 | 2016-03-24 |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 Buckle, wristwatch, and production method for buckle or wristwatch |
-
2022
- 2022-04-06 KR KR1020220042585A patent/KR1024954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16A (en) * | 1994-06-22 | 1996-01-09 | Honda Seimitsu Kogyo Kk | Center clasp for band |
JPH09252814A (en) * | 1996-03-27 | 1997-09-30 | Citizen Watch Co Ltd | Structure of hinged double-door type middle fastener |
KR100364049B1 (en) | 2000-05-18 | 2002-12-12 | (주)아이벡스 | A buckle for band |
JP2009125552A (en) * | 2007-11-28 | 2009-06-11 | Citizen Watch Co Ltd | Clasp structure of accessory |
WO2016043307A1 (en) * | 2014-09-19 | 2016-03-24 |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 Buckle, wristwatch, and production method for buckle or wristwatch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68784A (en) | Watch band attachment mechanism | |
KR20140091451A (en) | Dual locking buckle assembly | |
EP0843976A1 (en) | Clasp for jewellery and fashion accessories | |
US8191209B2 (en) | Clasp for a wristband | |
CA2356803A1 (en) | Clip for attaching pouches and similar devices | |
US20130145586A1 (en) | Clasp for a watch bracelet or a belt | |
US5870803A (en) | Double-locking clasp for watch band | |
KR102495478B1 (en) | Accessory connector | |
KR101333819B1 (en) | Bag having adjustable shoulder strap, shoulder strap assembly and pivotally connecting device used for the same | |
JP2002119311A (en) | Clasp for bracelet | |
KR102526629B1 (en) | Accessory connector | |
US4542630A (en) | Decorative ornament for a band or chain | |
CN218605352U (en) | Connecting device, belt locking member and article fixing device | |
KR102389838B1 (en) | Bidirectional locking bracelet fastener | |
KR20190134292A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an accessories | |
US2996899A (en) | Bracelet with hinged arms biased by a planular spring | |
KR101680244B1 (en) | Coupling device for easy fastening Accessories | |
KR102221140B1 (en) | Fasteners for bracelets with release protection | |
JP5037183B2 (en) | Slide aid and jewelry with slide aid | |
US1776892A (en) | Bracelet clasp | |
KR200201877Y1 (en) | A rotation buckle for decorations | |
JP3690850B2 (en) | Trinket structure of jewelry | |
EP1240841B1 (en) | Unfolding clasp for interchangeable bracelet | |
JPH1057123A (en) | Fastner structure for accessory | |
JPH1118806A (en) | Buckle with lock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