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454B1 -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 Google Patents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454B1
KR102495454B1 KR1020210056126A KR20210056126A KR102495454B1 KR 102495454 B1 KR102495454 B1 KR 102495454B1 KR 1020210056126 A KR1020210056126 A KR 1020210056126A KR 20210056126 A KR20210056126 A KR 20210056126A KR 102495454 B1 KR102495454 B1 KR 10249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offshore wind
hull
lifting
wind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018A (ko
Inventor
이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05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4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05B2230/61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 F05B2230/6102Assembly methods using auxiliary equipment for lifting or holding carried on a floating plat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의 높이보다 길이가 긴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세워 해상에 설치할 수 있어 크레인 설치 비용과 설치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을 이용해 수직으로 세운 상태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원하는 위치로 안전하면서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에도 블레이드와 너셀 하중에 의해 무게중심이 흐트러지며 뒤집히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 확보에도 유리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 Crane for Wind Turbine Installation }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 풍력발전기를 설치시 길이가 긴 대형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설치하는데 유용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석연료의 사용 증가로 인한 대기질 저하 등의 환경 오염으로 인해 친환경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구의 환경파괴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신재생 그린에너지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고, 기술개발과 시장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 그린에너지인 풍력발전은 현재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이미 운영중이며, 발전용량의 확대에 따라 풍력터빈의 대형화, 단지의 확장, 그리고 해상풍력 발전으로의 전환 등, 세계적 추이가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포스트(post) 상단에 장착되는 풍력터빈을 풍력에 의해 구동시킴으로써 직접 전기를 생성하거나 풍력터빈의 동력을 발전기에 전달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블레이드와 너셀, 타워, 기초구조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풍력발전기의 효율은 풍속이 강하면서 풍향의 변화가 적을수록 높아진다. 해상에서는 바람의 유동을 저하시키는 지형 등에 따른 영향이 적으므로, 해상풍의 평균풍속이 지상풍의 풍속보다 높고 해상풍의 풍량 또한 지상풍의 풍량보다 풍부하다. 특히, 내륙에서 먼 곳의 해상풍일수록 난류의 특성이 작아지므로 풍력발전이 더욱 유리함에 따라 풍력발전기를 주로 육상보다는 해상에 설치하고자 하는 연구 역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풍력발전기를 지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소음 및 미관 등의 제약에 의해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되나, 풍력발전기를 해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이러한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이에 해상에 설치되는 풍력발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0)와 너셀(20), 타워(30) 및 기초구조물(40)을 설치시 지반조건과 수심, 풍하중, 부식, 풍력터빈 규모, 파고높이, 결빙 등의 다양한 설계인자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되며, 해상에서의 장비이동과 운용이 육상과 달리 어려워 공사관리와 품질 관리 등에 전문성이 크게 요구된다.
이러한 해상 풍력발전기(1)는 선박에 의해 풍력발전기의 부품을 운반한 다음, 설치선에 구비된 타워 컨트롤 데릭(Tower control derrick) 등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조립하여 설치한다.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에 관한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2119024호(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1360285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참고문헌 1의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선체 데크에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어 선체를 해저 지반에 고정하는 레그(leg) 및 크레인을 포함하는 선박으로서, 크레인은, 데크에 설치되며 레그가 삽입되는 안착 공간이 형성된 크레인 붐과, 안착 공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안착 공간에 삽입된 레그의 모서리를 가압 고정하는 가이드 스토퍼와, 안착 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그의 돌출부를 고정하는 이동 스토퍼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참고문헌 2의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선수(船首) 및 선미(船尾)로부터 각각, 선체의 중간부를 향해 수용홈이 형성된 선체;상기 선체의 각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며, 해저를 향해 승강되는 복수의 리그(Rig);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선체의 상부에 설치되되 일측은 선수 측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각각 선체의 너비방향으로 한 쌍의 제1레일이 설치되고, 제1레일 사이에는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제2레일이 설치된 이렉트 패드;상기 이렉트 패드와 선체 사이에 설치되며, 이렉트 패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상기 이렉트 패드를 해상 기초재 측으로 밀어 올리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참고문헌 1,2 등을 통해 제안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은 해상을 부유하여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서 수심이 깊은 해상에서는 동력선 등을 이용해 해상 풍력발전기의 설치장소로 쉽게 견인 가능하다.
하지만 해상 풍력발전기는 블레이드 고도가 높아질수록 양질의 바람으로 발전이 가능해 2010년 이후 세계 해상풍력 개발계획과 기술 발전에 의한 터빈(Turbine) 크기의 대형화는 물론 블레이드가 설치된 너셀을 상단에 고정하고 하부는 기초구조물에 고정되는 타워 역시 대형화 추세에 있어 설치선에 설치되는 크레인의 높이 역시 더욱 높아져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510864호(참고문헌 3)에 제안된 메인 크레인 역시 크레인 높이에 비해 길이가 짧은 해상 풍력발전기만을 설치하는데 유용한다.
이와 같이 해상 풍력발전기 대형화 추세에 따른 크레인의 높이 증가 및 대형화는 크레인 설치 비용의 증가는 물론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설치선 역시 대형화가 요구되는 단점을 안고 있다.
참고문헌 1: 등록특허 제10-2119024호 참고문헌 2: 등록특허 제10-1360285호 참고문헌 3: 등록특허 제10-1510864호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를 설치시 설치선에 구비되어 운영하는 크레인의 높이보다 길이가 긴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세우는데 유리한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을 이용해 수직으로 세운 상태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원하는 위치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설치선의 선체 전반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크레인모듈와, 선체 후반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3 및 제4 크레인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선체에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주용 프레임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이 설치되는 선체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해상 풍력발전기의 타워 중간부와 하측부에 고정되는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되는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보빈과, 상기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보빈을 회전시키는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모터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는 상측 안내롤러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는 하측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의 지주용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지주용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해상 풍력발전기는 블레이드와 너셀 및 타워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서 상기 타워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가 고정되는 제1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타워(30)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가 고정되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아울러 상기 해상 풍력발전기의 타워 하단은 선체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타워 상단은 선체의 후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가 제1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는 제2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크레인모듈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를 상측 승강용 보빈에 감으면서 상기 제3 및 제4 크레인모듈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를 하측 승강용 보빈에 감아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세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 중에 어느 하나의 크레인모듈을 구성하는 지주용 프레임은 나머지 지주용 프레임에 비해 높게 형성하고, 상기 지주용 프레임이 설치되는 선체의 상부 일측에는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가 권취되는 최상단 승강용 보빈과 그 최상단 승강용 보빈을 회전시키는 최상단 승강용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해당 지주용 프레임의 최상단에는 상기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를 안내하는 최상단 안내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상 풍력발전기는 블레이드와 너셀 및 타워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서 상기 타워의 상측부에는 상기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가 고정되는 제3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를 최상단 승강용 보빈에 감으면서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제1 및 제2 크레인모듈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를 상측 승강용 보빈에 감으며, 제3 및 제4 크레인모듈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를 하측 승강용 보빈에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의 높이보다 길이가 긴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세워 해상에 설치할 수 있어 크레인 설치 비용과 설치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을 이용해 안전하게 수직으로 세운 상태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의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에도 블레이드와 너셀 하중에 의해 무게중심이 흐트러지거나 뒤집히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 확보에도 유리하다.
도 1은 일반적인 해상 풍력발전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초기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에 해상 풍력발전기를 운반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을 이용해 해상 풍력발전기를 기울어진 상태로 들어 올린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을 이용해 해상 풍력발전기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의 일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설치선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일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및 운반선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1)의 설치선(100)은 해상 풍력발전기(1)의 블레이드(10)와 너셀(20), 타워(30) 및 기초구조물(40) 등의 부속들을 설치현장에서 조립 및 설치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때 해상 풍력발전기(1)의 기초구조물(40)은 일반적으로 모노파일, 중력식, 쟈켓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노파일(Monopile)은 직경 4 ~ 6M의 강관형태의 말뚝과 타워를 연결하는 전이부(Transition piece)로 구성되며, 말뚝은 항타나 굴착을 통하여 설치되고 전이부(Transition piece)와 그라우팅으로 연결된다. 수심 20M 내외의 지형에서 경제적인 구조로 알려져 있으며, 설치수심이 20M이상이 되고 터빈 용량이 5MW급 이상이 되면 파일 직경이 6m를 초과하게 되어 강재량이 많이 소요되며 항타와 굴착 등 시공장비 확보에도 제한이 있으므로 기초지반의 특성과 함께 적용성이 검토 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력식(Gravity base)은 자중으로 전도모멘트에 저항하는 구조로서 원래 낮은 수심(10M)에서 적용되었으나, 2008년 개장한 Thornton Bank에서는 수심 약 30M에 적용된 사례가 있다. 이 형식은 육상에서 제작되어 해상크레인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설치시 공사비는 저렴하나 해체시 비용이 많이 들고 해저 면 기반암심도가 깊은 경우 설치가 곤란하므로 가설 현장의 조건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쟈켓(Jacket)은 원래 석유 및 가스 시추사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식으로 20~80M의 대수심 환경에 적용된다. 직경 5 ~ 15m의 원형 강관을 용접하여 쟈켓을 조립하고, 쟈켓 Leg 내에 쟈켓파일과 핀파일등을 설치하여 고정시킨다. 영국의 Beatrice 시범단지와 독일의 Alpha Ventus에서 적용된 사례가 있다. 합성파일(Composite pile)은 대구경 강관 파일을 해상 항타 후 강관 내부에 파일 속채움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시킨 것으로 해상교량 기초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형식이며, 20~80M의 대수심 환경에 적용된다.
이러한 해상 풍력발전기(1)를 해상에 설치하는데 이용하는 설치선(100)은 부력에 의해 해상으로 뜰 수 있는 선체(110)와, 상기 선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지면에 접촉가능한 바퀴부(120)와, 상기 선체(110)를 해저 지반에 고정하는 레그부(130)와, 해상 풍력발전기(1)의 부속들을 승강시키는 크레인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크레인부(140)는 크레인부(140)의 높이에 비해 길이가 긴 해상 풍력발전기(1)도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세울 수 있고 수평으로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해상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인부(140)의 상세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선(100)에서 해상 풍력발전기(1)의 조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반선(200)이 이동하면서 해상의 다른 대형 운반선이나 육상으로부터 해상 풍력발전기(1)의 부속인 블레이드(10)와 너셀(20), 타워(30) 및 기초구조물(40) 등을 운반한다.
물론 상기 선체(110)를 구성하는 레그부(130)와, 해상 풍력발전기(1)의 부속들을 승강시키는 크레인부(140)의 부속 역시 상기 운반선(200)을 이용해 해상 풍력발전기(1)가 설치되는 구역으로 이동한 설치선(100)으로 운반하여 설치한다. 이는 설치선(100)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작업 구역으로 쉽게 이동하기 위함이다.
이에 설치선(100)의 선체(110)에는 해상 풍력발전기(1)를 조립 또는 설치시 필요한 다양한 부속을 데크 위에서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타워 크레인(160)이 기본으로 탑재된다. 이러한 타워 크레인(160)은 수평회전은 물론 지브(161)를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어 선체(110)의 데크 상부 임의의 위치로 각종 부속을 원활하게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설치선(100)은 이동중에는 지브(161)의 단부가 선체(110)의 후방을 향하도록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크레인(160)은 크레인지주(또는 마스트)(162)를 인상하는 작업을 통해 한 단계씩 올리면서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인상용 크레인지주(또는 마스트)(162a)는 운반선(200)을 통해 설치선(100)으로 옮길 수 있다.
따라서 설치선(100)은 레그부(130) 및 크레인부(140) 등의 각종 대형 설비가 제거된 상태로 작업 현장으로 이동하여 레그부(130)와 크레인부(140)를 현장 상황에 맞게 조립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레그부(130)는 선체(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선체(110)는 높이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해상 풍력발전기(1)의 조립 및 설치시 부속품의 적재 및 작업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대면적의 데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선체(110)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체(1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11)은 풍력 발전기(1)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부력을 발생하도록 밀폐된 부력공간(111a)이 형성되는 것으로 선체(1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력공간(111a)에는 수직 및 수평으로 교차되도록 복수의 보강프레임(113)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러한 하우징(111)은 강판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철재 강판에 비해 비중이 작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하여 중량을 낮춤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 즉 부력공간(111a)에 충진하는 발포체(112)는 스티로폼, 우레탄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발포체(112)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와 유사한 물리특성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난연성과 내수성 및 부착성에서 우수한 성능 발현이 가능한 다양한 기능성 발포우레탄폼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우징(111)의 부력공간(111a)에 발포체(112)를 충진함에 따라 선체(110) 전면부나 측면부가 지반이나 암초에 충돌해 찢기더라도 발포체(112)로 인해 해수가 부력공간(111a)에 전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선(100)의 이동 및 해상 풍력발전기(1)의 설치 작업을 계속해서 무리없이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선체(110)는 중앙에 상하로 개방되어 해상 풍력발전기(1)의 타워(30) 및 기초구조물(40)을 설치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운반선(200)이 정차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구조의 작업공간(114)이 마련되고 후미에는 운반선(200)이 출입가능한 출입구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선체(110)는 대면적의 데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선체(110)가 전방으로 이동시 해수 또는 지면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선수는 중앙부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유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선체(110)의 전방 저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선체(110)는 분할된 복수의 선체모듈(110a,110b)이 관절부(150)를 통해 전후단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간조시간 또는 해수면 위로 노출된 지면위를 이동시 갯골 등으로 인해 지반이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도 부분적으로 관절부(150)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꺾이면서 선체(1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관절부(150)는 전방 선체모듈(110a)에 고정되고 구 형상의 관절구(151a)가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링크(151)와, 상기 제1 연결링크(151)의 관절구(151a)가 안착되는 관절구 안착부(152b)가 전단에 형성되고 후단이 후방 선체모듈(110b)의 전방에 고정되는 제2 연결링크(1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151,152)는 제1 및 제2 고정핀(153,154)에 의해 전방 및 후방 선체모듈(110a,110b)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제1 및 제2 고정핀(153,154)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힌지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 제1 및 제2 연결링크(151,152)가 수평으로 회동할 수 있어 지형이 더욱 험한 지면 조건하에서도 원활한 선체(110)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체(110)가 해상 풍력발전기(1)의 설치현장으로 이동한 후에는 모든 선체모듈(110a,110b)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해야 한다. 이에 고정판(155)을 전방 및 후방 선체모듈(110a,110b)의 측면에 밀착시키고 나사 등의 체결수단(155a)으로 일체한다. 즉 고정판(155)의 전반부는 전방의 선체모듈(110a)에 고정하고 고정판(155)의 후반부는 후방의 선체모듈(110b)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선체(110)를 고정판(155)으로 평평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레그부(130)와 크레인부(14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120)는 상기 선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썰물 등으로 해수면이 낮아지거나 해수면 상으로 노출된 갯벌 등의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갯벌은 갯골 등으로 인해 대체적으로 지면이 고르지 않아 바퀴부(120)가 빠질 수 있으며 이에 신속하게 해당 지역을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바퀴부(120)는 선체(11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메인 바퀴모듈(120a)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퀴모듈(120a)은 선체(110)의 양측에 지면에 접촉되는 메인 바퀴(121)와, 상기 메인 바퀴(121)가 지지되는 메인 휠축(122)으로 이루어져 복수가 선체(110)의 양측면에 연속적으로 일렬로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각각의 선체모듈(110a,110b)의 양측에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바퀴부(110)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메인 바퀴모듈(120a)은 지면의 충격이 선체(1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완충기능을 하는 메인 댐퍼(123)를 매개로 선체(110)에 지지된다. 즉, 선체(110)에 메인 댐퍼(123)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 댐퍼(123)에 메인 바퀴(121)가 지지되는 메인 휠축(122)이 지지된다.
물론 상기 메인 바퀴모듈(120a)에 구비되는 메인 댐퍼(123)는 일 예로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 댐퍼를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외에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판형 또는 코일형 압축 스프링으로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정도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상기 선체(110)는 자체적인 동력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메인 바퀴모듈(120a)의 메인 휠축(122)에 메인 바퀴(121)가 일체로 고정되어 엔진구동에 따른 동력에 의해 선체(110)를 전후진 시킬 수 있고, 바지선과 같이 비동력방식의 경우 예인선 등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퀴모듈(120a)의 메인 바퀴(12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가볍고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메인 튜브(121a)와, 상기 튜브(121a) 내부에 채워지는 메인 충진재(1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튜브(121a)는 찢어짐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강선을 내부에 인서트 사출한 합성고무를 사용하고, 상기 메인 충진재(121b)는 상기 선체(110)의 하우징(111)의 부력공간(111a)에 충진하는 발포체(112)와 마찬가지고 스티로폼, 우레탄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퀴부(120)를 구성하며 선체의 양 측면에 각각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바퀴모듈(120a)의 메인 바퀴(121)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트 형상의 궤도밸트(124)를 장착하여 무한궤도 바퀴처럼 운영할 수 있다. 이는 궤도밸트(124)가 지면에 접촉되어 이동시 메인 바퀴(121)가 빠지기 쉬운 갯골 등을 벗어나는데 유용하다. 이 경우 상기 궤도밸트(124)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궤도 내에 복수의 메인 바퀴(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장착한다.
물론 상기 바퀴부(120)는 선체(110)의 양 측면에 공지(公志)의 금속재 무한궤도를 장착하여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바퀴부(120)는 메인 바퀴모듈(120a) 이외에도 선체(110) 저면이 지면에 직접 접촉되어 파손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선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 바퀴모듈(120b)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바퀴모듈(120b)은 선체(110) 내부 하측에 고정되는 보조 댐퍼(125)와 상기 보조 댐퍼(125) 하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축(126)과, 상기 수직축(126)의 하단에 구비되는 보조 휠축(127)과, 상기 보조 휠축(127)에 고정되는 보조 바퀴(12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바퀴(128)는 메인 바퀴(121)와 동일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가볍고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튜브(128a)와, 상기 튜브(128a) 내부에 채워지는 충진재(128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선체(110)의 하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수직축(126)의 하단에 편심되게 브라켓(129)을 장착하고, 상기 브라켓(129)에 수평하게 보조 휠축(127)을 고정함으로서 지면에 암초 등의 장애물에 보조 바퀴(128)가 부딪히면 수직축(126)이 수평 회전하면서 보조 바퀴(128)가 암초 등의 장애물을 회피하여 선체(11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레그부(130)는 선체(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면에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선체(110)에는 복수의 레그모듈(130a)이 구비된다. 이 경우 레그모듈(130a)은 선체(110)의 전반부 양측과 후반부 양측에 구비하여 총 4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그모듈(130a)은 선체(13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공(118) 내부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레그(131)와, 상기 레그(13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132)은 일 예로 상기 레그(13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크(132a)와, 상기 레크(132a)에 치압되는 피니언(132b)과, 상기 피니언(132b)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엑츄에이터(132c)로 구성된다. 여기서 엑츄에이터(132c)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터 등 다양한 동력 발생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레그모듈(130a)은 제어반(101)을 통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반(101)은 조작반(102)의 조작에 따라 상기 레그모듈(130a)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반(101)은 수평감지수단(103)으로부터 선체(110)의 수평상태를 감시하여 복수의 레그모듈(130a)를 각각 독립 제어하여 선체(110)를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감지수단(103)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하나 이상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선체 상부면의 기울기정보를 감시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그(131)를 하강시키고자 조작반(102)을 조작하면 제어반(101)은 엑츄에이터(132d)를 구동시켜 복수의 레그모듈(130a)의 레그(131)를 동시에 하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반(101)은 수평감지수단(103)으로 부터 측정되는 기울기정보를 입력받아 선체(110)가 수평상태가 아니면 평면좌표상에서 어느 방향으로 하향하여 기울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고 해당방향의 복수의 레그모듈(130a)의 레그(131)를 더욱 하강하는 방식으로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반(101)은 초기 동작시에는 엑츄에이터(132c)를 구동시켜 복수의 레그모듈(130a)의 레그(131)를 동시에 하강시키면서 수평감지수단(103)으로 부터 측정되는 기울기정보를 분석하게 되고, 선체(110) 전반부 우측 하부가 하측으로 기울어 수평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돠면 복수의 레그모듈(130a) 중 선체(110) 전반부 우측에 구비되는 레그모듈(310a)의 레그(131)를 더욱 하강하여 지면에 지지하여 선체(110) 전반부 우측 하부를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반(101)은 선체(110)가 수평이 맞춰지면 상기 복수의 레그모듈(130a)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러한 상태는 선체(110)가 지면에 지지되어 선체(110)가 수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서 해상 풍력발전기(1)의 조립 및 설치 작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레그(131)를 상승시키기 위해 조작반(102)을 조작하면 제어반(101)은 엑츄에이터(132c)를 구동시켜 복수의 레그모듈(130a)의 레그(131)를 동시에 상승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반(101)은 상한 각각의 레그모듈(130a)에 구비되는 상한감지센서(134)를 통해 상한이 감지되면 해당 레그모듈(130a)의 레그(131) 상승을 정지한다. 이러한 상태는 지면에서 레그(131)가 선체(110)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여서 선체(110)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레인부(140)는 해상 풍력발전기(1)를 조립 또는 설치하기 위해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선체(110)에는 복수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이 구비된다. 이 경우 선체(110)의 전반부 양측에 제1 및 제2 크레인모듈(140a,140b)를 구비하고, 선체(110)의 후반부 양측에 제3 및 제4 크레인모듈(140c,140d)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은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각의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은 선체(110)에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주용 프레임(141)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141)이 설치되는 선체(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가 권취되는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보빈(143a,143b)과, 상기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보빈(143a,143b)을 회전시키는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모터(144a,144b)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14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를 안내하는 상측 안내롤러(145)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14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를 안내하는 하측 안내롤러(146)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의 단부에는 후크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측 안내롤러(146)는 상기 상측 안내롤러(145)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지주용 프레임(141)의 하측 또는 중간부분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지주용 프레임(141)들은 수평 프레임(147)으로 연결되어 지주용 프레임(141)의 강도를 보강한다. 이러한 수평 프레임(147)은 일단부가 일측 지주용 프레임(141)의 측면에 조립 고정되고, 타단부는 타측 지주용 프레임(141)에 조립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은 동일한 구조이지만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반(101)을 통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반(101)은 조작반(102)의 조작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조작반(102) 조작을 통해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을 각기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를 조정함으로서 블레이드(10)와 너셀(20), 타워(30)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의 해상 풍력발전기(1) 및 기초구조물(40) 등을 위치 이동시켜 설치 현장에 조립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초구조물(40)을 지면에 설치시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모든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를 사용하여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구조물(40)을 지면에 설치한 후 기초구조물(40)의 상측에 해상 풍력발전기(1)를 고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해상 풍력발전기(1)의 경우 블레이드(10)와 너셀(20) 및 타워(30)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타워(30)를 수직으로 세워 기초구조물(4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워(30)의 중간부에는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가 고정되는 제1지지부(31)가 구비되고, 상기 타워(30)의 하측부에는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가 고정되는 제2지지부(3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31,32)는 타워(30) 표면에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의 후크가 끼워지는 지지공을 사방으로 4개씩 형성하여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지지공에 고정되는 아이볼트 형태로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물론 후크 없이 각각의 와이어를 직접 감아 고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타워(30) 상단이 선체(110)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탑재된 운반선(200)이 설치선(100)의 선체 출입구를 통해 작업공간(114)으로 진입하면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는 상기 제1 지지부(31)에 고정하고,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는 상기 제2 지지부(32)에 고정한다. 즉, 상기 타워(30)의 하단은 선체(110)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타워(30) 상단은 선체(110)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운반선(200)이 설치선(100)의 선체 출입구를 통해 작업공간(114)으로 진입하고 승강용 와이어들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모든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를 일정부분 동시에 감아 해상 풍력발전기(1)가 운반선(200)에서 분리되도록 상부로 들어올리고, 운반선(200)을 설치선(100)의 작업공간(114)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가 조작반(102)을 조작하여 제어반(101)에 의해 선체(110) 전반부의 제1 및 제2 크레인모듈(140a,140b)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를 상측 승강용 보빈(143a)에 감으면서, 동시에 선체(110) 후반부의 제3 및 제4 크레인모듈(140c,140d)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를 하측 승강용 보빈(143b)에 감게 되면 해상 풍력발전기(1)가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렇게 해상 풍력발전기(1)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를 감아 더욱 상승시키고, 각각의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를 풀거나 감으면서 기초구조물(40)의 상측에 일치되도록 수평 이동한다.
그리고 타워(30)를 수직 하강시켜 기초구조물(40) 상측에 타워(30) 하단의 하부플랜지(30a)를 일치시킨 후 볼트 및 너트 결합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 중에 어느 하나의 크레인모듈(예를 들어 140b)을 구성하는 지주용 프레임(141a)은 나머지 지주용 프레임(141)에 비해 높게 형성하고, 해당 지주용 프레임(141a)이 설치되는 선체(110)의 상부 일측에는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142c)가 권취되는 최상단 승강용 보빈(143c)과 그 최상단 승강용 보빈(143c)을 회전시키는 최상단 승강용 모터(144c)를 구비하고, 상기 해당 지주용 프레임(141a)의 최상단에는 상기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142c)를 안내하는 최상단 안내롤러(149)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해상 풍력발전기(1)는 블레이드(10)와 너셀(20)의 무게로 인해 수직으로 세우기 쉽지 않으므로 너셀(20)에 가장 인접한 타워(30)의 상측부에는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142c)가 고정되는 제3지지부(33)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3지지부(33)는 제1 및 제2 지지부(31,3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조작반(102)을 조작하여 제어반(101)에 의해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142c)를 최상단 승강용 보빈(143c)에 감으면서 선체(110) 전반부의 제1 및 제2 크레인모듈(140a,140b)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를 상측 승강용 보빈(143a)에 감으며 동시에 선체(110) 후반부의 제3 및 제4 크레인모듈(140c,140d)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를 하측 승강용 보빈(143b)에 감게 되면 해상 풍력발전기(1)가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최상단 안내롤러(149)는 상측 안내롤러(145)에 비해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됨으로서 조립된 상태의 해상 풍력발전기(1)를 구성하는 블레이드(10)와 너셀(20) 하중에 의해 무게중심이 흐트러지며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며 해상 풍력발전기(1)가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선체(110)의 전반부 중앙에는 설치선(100)을 비상시에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선박 견인용 와이어(170)가 권취되는 선박 견인용 보빈(171)과, 상기 선박 견인용 보빈(171)을 회전시키는 견인용 모터(17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선박 견인용 와이어(170)의 단부에는 지반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구(17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170a)는 말뚝은 물론 통상의 닻(anchor)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치선(100)을 이동 중에 암초나 갯골 등에 선체(110)가 좌초된 경우 등 움직이는데 추가 동력이 필요한 경우 선박 견인용 와이어(170)를 설치선(100)의 진행 방향 전방으로 끌어 지면에 고정구(170a)를 고정하고 작업자가 조작반(102)을 조작하면 견인용 모터(172)가 구동되어 선박 견인용 보빈(171)을 회전시켜 선박 견인용 와이어(170)를 감게 되고 이로 인해 설치선(100)이 해당지역을 벗어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구(170a)는 상대적으로 운행이 용이한 예인선 또는 운반선(200)으로 끌고가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횡단면도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설치선(100)의 선체(110)에는 해상 풍력발전기(1)를 조립 또는 설치시 필요한 다양한 부속을 데크 위에서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타워 크레인(160)이 기본으로 탑재된다.
이 경우 선체(110)는 전체전으로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일측에 고중량의 타워 크레인(160)이 설치되므로 설치선(100)의 이동중에 선체(110)의 좌우측이 균형을 이루어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타워 크레인(160)이 설치된 선체(110)의 맞은편 선체모듈(110a 또는 110b)를 구성하는 하우징(111) 내부에는 평형공간(111b)이 형성되며 펌프(117) 구동에 의해 배관 또는 호스 등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평형수 이동관(117a)을 통해 해양의 해수(海水)를 평형공간(111b)에 강제로 채우거나 평형공간(111b) 내의 평형수(W)를 배출하여 선체(110)의 좌우측이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평형공간(111b)은 탱크(tank)형태로 부력공간(111a)과는 독립되게 형성된다.
물론 설치선(100)을 작업 현장으로 이동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 해상 풍력발전기(1)의 설치를 위한 각종 부속이나 설비를 운반중에도 평형수(W) 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설치선(100)의 데크에 비해 해수면 또는 지면은 상대적으로 낮고, 연안의 선착장에 접안시 각종 장비(3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설치선(100)의 선체(110) 후미에는 승하차용 보조구(118)가 구비된다.
상기 승하차용 보조구(118)는 발판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 부력을 발생하도록 밀폐된 공간부(118a)가 형성되는 것으로, 측단면이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단에는 걸침턱(118b)이 돌출 형성되어 연안 선착장에 접안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선착장 테두리 상단에 걸쳐지거나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승하차용 보조구(118)는 힌지부(118c)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구조로서 설치선(100)이 이동중에는 도 15의 (a)에서와 같이 승하차용 보조구(118)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수직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하고, 설치선(100)에 각종 장비(300)를 싣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도 15의 (b)에서와 같이 승하차용 보조구(118)의 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승하차용 보조구(118)는 힌지부(118c)를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선체(110)의 후미부분에 유입실린더 바디를 고정하고 실린더 로드는 상기 상기 승하차용 보조구(118)에 힌지결합함으로 유입식으로 상기 승하차용 보조구(118)를 힌지부(118c)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하차용 보조구(118)는 발판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륙양용 차량(300a), 수륙양용 준설용 포크레인(300b), 수륙양용 특수크레인(300c) 등 다양한 장비를 연안 등에서 설치선(100)의 선체(110)에 직접 승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수륙양용 차량(300a)은 작업 인부의 이동이나 각종 소형 부속의 견인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수륙양용 준설용 포크레인(300b), 수륙양용 특수크레인(300c)은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 현장의 바닥 기초 공사 또는 전력선 케이블의 설치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및 운반선의 사시도이다.
이에 의하면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시 이용하는 설치선(100)의 하부 또는 후미에는 선체(110)의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빌지 킬(bilge keel)(119)이 구비된다. 이러한 빌지 킬(119)은 해상에서 설치선(100)이 항해시에는 킬을 수직으로 편 상태로 이동하여 설치선(100)의 직진운동을 원활하게 하며 죄우로 설치선(100)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항해가 가능하다. 물론 상기 설치선(100)은 지면에서 주행해야 하는 갯벌 또는 수심이 낮은 곳에서는 지면에 빌지 킬(119)이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으로 접어 설치선(100)의 하부로 밀착시키도록 회동시킨다. 물론 상기 빌지 킬(119)은 유압모터 방식을 이용하거나 모터를 이용한 로프 권취방식 등을 이용해 수평 또는 수직 회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설치선(100)에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를 위한 각족 부속 및 설비를 운반하는 운반선(200)의 선체(210) 하부 또는 후미에도 선체(210)의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빌지 킬(bilge keel)(219)이 구비된다. 이러한 빌지 킬(219)은 해상에서 운반선(200)이 항해시에는 킬을 수직으로 편 상태로 이동하여 운반선(200)의 직진운동을 원활하게 하며 죄우로 운반선(200)이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항해가 가능하다. 물론 상기 운반선(200)은 지면에서 주행해야 하는 갯벌 또는 수심이 낮은 곳에서는 지면에 빌지 킬(219)이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으로 접어 운반선(200)의 하부로 밀착시키도록 회동시킨다. 물론 상기 빌지 킬(219)은 유압모터 방식을 이용하거나 모터를 이용한 로프 권취방식 등을 이용해 수평 또는 수직 회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해상 풍력발전기 10: 블레이드
20: 너셀 30: 타워
31: 제1지지부 32: 제2지지부
33: 제3지지부 40: 기초구조물
100: 설치선 110: 선체
140a: 제1 크레인모듈 140b: 제2 크레인모듈
140c: 제3 크레인모듈 140d: 제4 크레인모듈
141: 지주용 프레임 142a: 상측 승강용 와이어
142b: 하측 승강용 와이어 142c: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
143a: 상측 승강용 보빈 143b: 하측 승강용 보빈
143c: 최상단 승강용 보빈 144a: 상측 승강용 모터
144b: 하측 승강용 모터 144c: 최상단 승강용 모터
145: 상측 안내롤러 146: 하측 안내롤러
149: 최상단 안내롤러

Claims (6)

  1. 해상 풍력발전기(1)를 설치하는 설치선(100)의 선체(110) 전반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크레인모듈(140a,140b)와, 선체(110) 후반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3 및 제4 크레인모듈(140c,140d)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은 동일한 구조로서 상기 선체(110)에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는 지주용 프레임(141)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141)이 설치되는 선체(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해상 풍력발전기(1)의 타워(30) 중간부와 하측부에 고정되는 상측 및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a,142b)가 권취되는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보빈(143a,143b)과, 상기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보빈(143a,143b)을 회전시키는 상측 및 하측 승강용 모터(144a,144b)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141)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를 안내하는 상측 안내롤러(145)와, 상기 지주용 프레임(14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를 안내하는 하측 안내롤러(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지주용 프레임(14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지주용 프레임(141)은 수평 프레임(147)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풍력발전기(1)는 블레이드(10)와 너셀(20) 및 타워(30)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서 상기 타워(30)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가 고정되는 제1지지부(31)가 구비되고, 상기 타워(30)의 하측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가 고정되는 제2지지부(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 풍력발전기(1)의 타워(30) 하단은 선체(110)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타워(30) 상단은 선체(110)의 후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가 제1지지부(31)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는 제2지지부(32)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크레인모듈(140a,140b)의 상측 승강용 와이어(142a)를 상측 승강용 보빈(143a)에 감으면서 상기 제3 및 제4 크레인모듈(140c,140d)의 하측 승강용 와이어(142b)를 하측 승강용 보빈(143b)에 감아 해상 풍력발전기(1)를 수직으로 세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크레인모듈(140a,140b,140c,140d) 중에 어느 하나의 크레인모듈을 구성하는 지주용 프레임(141a)은 나머지 지주용 프레임(141)에 비해 높게 형성하고, 상기 지주용 프레임(141a)이 설치되는 선체(110)의 상부 일측에는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142c)가 권취되는 최상단 승강용 보빈(143c)과 그 최상단 승강용 보빈(143c)을 회전시키는 최상단 승강용 모터(144c)를 구비하고, 상기 해당 지주용 프레임(141a)의 최상단에는 상기 최상단 승강용 와이어(142c)를 안내하는 최상단 안내롤러(149)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6. 삭제
KR1020210056126A 2021-04-30 2021-04-30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KR10249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126A KR102495454B1 (ko) 2021-04-30 2021-04-30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126A KR102495454B1 (ko) 2021-04-30 2021-04-30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018A KR20220149018A (ko) 2022-11-08
KR102495454B1 true KR102495454B1 (ko) 2023-02-06

Family

ID=8404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126A KR102495454B1 (ko) 2021-04-30 2021-04-30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4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987Y1 (ko) 2000-09-02 2001-02-01 주식회사고려선박기술 소형 선박 양륙장치
US7112010B1 (en) 2003-12-10 2006-09-26 William Clyde Geig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r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US20110258829A1 (en) 2010-03-29 2011-10-27 GeoSea N.V. Device and method for erecting at sea a large slender body, such as the monopile of a wind turb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860B1 (ko) * 2010-12-22 2013-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도크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 설치방법
KR101360285B1 (ko) 2012-06-07 2014-02-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KR101510864B1 (ko) 2014-05-19 2015-04-10 흥우건설 주식회사 해상 풍력발전기의 설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플로팅도크
KR102119024B1 (ko) 2018-04-10 2020-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987Y1 (ko) 2000-09-02 2001-02-01 주식회사고려선박기술 소형 선박 양륙장치
US7112010B1 (en) 2003-12-10 2006-09-26 William Clyde Geig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rec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US20110258829A1 (en) 2010-03-29 2011-10-27 GeoSea N.V. Device and method for erecting at sea a large slender body, such as the monopile of a wind tur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018A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499B1 (en) Self-installing column stabilized offshore wind turbine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6244013B2 (ja) オフショア設備における、タービンタワーおよびサブステーションまたは類似の要素のための潜水可能なアクティブ支持構造
JP5244822B2 (ja) 水流からエネルギを生成するためのフローティング装置
CA2546588C (en) Articulated false seabed
US20110129334A1 (en) Wind turbine holding and lifting system and movable operating platform above water
EP2952426A1 (en) Offshore wind turbine installation
CN107021190A (zh) 可自浮安装的张力腿式海上浮动风机基础及其安装方法
PT2382389E (pt) Turbinas de vento removíveis no alto mar com sistema de amarração pré-instalada
KR20120115520A (ko) 발전소의 장치
JP2011112045A (ja) 風力タービン固定および吊り上げ装置、および水上移動式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
CN102079365A (zh) 一种打桩船
KR102632315B1 (ko) 부이 및 그 부이를 위한 설치 방법
CA3054007A1 (en) Turbine system and mooring systems
CA2916763A1 (en) Platform for tidal turbines
KR102495454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US20230141253A1 (en) Floating wind turbine systems and methods
KR102444047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선
GB2587316A (en) Floa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energy from fluid currents
KR102480406B1 (ko) 해상 풍력발전 설비 운반선
TWI834746B (zh) 具備起重機之作業台船及其起重機運用方法
NL2031010B1 (en) A method and system of installing a floating foundation, assembly of floating foundation and ballasting frame, and ballasting frame
EP4079621A1 (en) Tail spar buoy offshore upwind hawt foundation
NO20220736A1 (en) Spar-type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GB2620371A (en) Assembly,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of floating wind turbines
TW202106602A (zh) 具備塔式起重機之作業船及其起重機運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