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287B1 -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287B1
KR102495287B1 KR1020210002456A KR20210002456A KR102495287B1 KR 102495287 B1 KR102495287 B1 KR 102495287B1 KR 1020210002456 A KR1020210002456 A KR 1020210002456A KR 20210002456 A KR20210002456 A KR 20210002456A KR 102495287 B1 KR102495287 B1 KR 10249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grated control
control server
location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0245A (ko
Inventor
김승호
김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즈
Priority to KR102021000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2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은 도시에 설치되어 설치 영역의 안전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도시 관제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되고 통합 관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및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되고 통합 관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위험요소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부터 미리정해진 반경 내의 사용자 단말과 관리자 단말에 이벤트 위치와 연관된 증강현실 요소를 전송하고,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 및 관리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증강현실 요소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LIF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 시민들이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국 각 지자체에서 신도시 건설 시 계획부터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을 적용하여 스마트시티로 개발한다. 스마트 시티는 첨단 정보통신 기술(ICT)을 이용해 도시 생활 속에서 유발되는 교통, 환경, 주거, 시설 등 기반시설이 인간의 신경망처럼 도시 구석구석까지 연결되어 있는 도시를 말하며, 시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한 "똑똑한 도시"를 의미한다.
한정된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며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도시에서는 인프라 부족 및 노후화, 교통혼잡, 에너지 소비 확대, 환경오염, 범죄, 재난 등의 도시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또한 인구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나 신규 인프라 공급 등 물리적 방식을 통한 문제 해결이 한계에 도달하면서 스마트시티가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기술을 통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스마트 기술과 CCTV를 포함한 IoT 기술, 이를 관리하는 통합관제실 등을 결합한 도시 관제 시스템 구축으로 시작된다. 일반적으로, 위험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특수학교, 어린이,어르신 안심케어, 스마트교차로 알림, 주정차단속시스템, 쓰레기무단투기감시, 홍수관리시스템, 지하매설물 관리, 미세먼지 알림, 제설취약지역 서비스 등 각종 스마트 사업을 통합 관제실에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영중인 스마트시티는 통합 관제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통합 관제실에서 얻어지는 정보가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시민들에게는 제공되지 않고 있으며 실제 시민들이 스마트시티에 거주하면서도 이를 생활에서 체감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증강 현실 기술은 현실 세계에 문자나 그래픽 같은 가상의 물체를 중첩하여 한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증강현실 기술은 2000년대 중반까지는 연구 개발과 시험 적용 단계에 있었으나 최근 기술 환경이 갖추어지면서 실용화 단계에 진입하였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의 등장 및 인터넷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증강 현실 기술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현실의 세계를 찍고 그 위에 기생성된 컴퓨터 그래픽을 오버레이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가상과 현실이 혼재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현실의 영상을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쉽게 획득할 수 있고 컴퓨터 그래픽도 스마트폰의 컴퓨팅 기능을 통해 쉽게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증강 현실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에서 구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증강 현실 기술은 카메라에 비추어지는 현실세계 위에 가상의 객체를 덧붙여 보여주는 기술을 의미하며, 이러한 기술은 물리적으로 구현이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을 3D객체를 통해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게 하고, 카메라로 입력되는 현실세계의 영상과 관련 있는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현실감 있는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많은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시티와 연결되어 스마트시티를 운영하는 통합 관제실에서 얻어지는 정보 중 시민의 생활과 관련된 정보, 특히 시민의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도시에 설치되어 설치 영역의 안전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도시 관제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되고 통합 관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되고 통합 관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위험요소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부터 미리정해진 반경 내의 사용자 단말과 관리자 단말에 이벤트 위치와 연관된 증강현실 요소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 및 관리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증강현실 요소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위험상황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위험상황 판단 모듈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가속도 및 각속도 센서로부터의 검출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위험상황 판단 모듈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면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통보하도록 구성된 비상호출 모듈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위치 조회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정보, CCTV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 정보, 및 비상벨이 설치된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통합 관제 서버에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요소를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 조회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수신된 증강현실요소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상기 비상호출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가능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비상호출 모듈을 동작시킨 경우 비상 호출 모듈은 통합 관제 서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모듈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컴퍼스 모듈 및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모듈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모듈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에 전송하고,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요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증강현실 요소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방향에서 촬영한 화상 프레임과 함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시티와 연결되어 스마트시티를 운영하는 통합 관제실에서 얻어지는 정보 중 시민의 생활과 관련된 정보, 특히 시민의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집 장치, 게이트웨이 및 통합 관제 서버 사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D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또는 관리자 단말)에서 RTK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비상 이벤트 발생시 담당 관리자를 배정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위치 조회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AR 네비게이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1)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1)은 도시내에 설치되어 안전관리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장치(또는 IoT 장치)(10), 데이터 수집 장치(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빅데이터화하고 그에 기반하여 통합 관제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50); 통합 관제 서버(50)로부터 안전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20) 및 관리자 단말(30)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집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IoT 장치와 그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를 의미할 수 있다. IoT 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데이터 또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도시에 설치되는 CCTV, 연기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조도 감지 센서, 수량 또는 수위 감지 센서, 주차 감지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한다.
각종 센서로 이루어진 데이터 수집 장치(10)는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 관제 서버(50)에 전송하기 위해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게이트웨이와 여러 IoT 디바이스(10)들은 지그비(Zigbee) 통신, 블루투스 통신, RF443MHz 통신, RF447MHz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이더넷 통신, USB 통신, 시리얼 통신 등을 통해 서로 간에 통신을 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와 IoT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방법은 상기 예시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통합 관제 서버(50)로 전송되고 전송된 각종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분류되어 저장된다.
사용자 단말(20)는 통합관제서버(50)에 접속하여 IoT 장치 관련 데이터를 수신 및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20)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통합 관제 서버(5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20)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사용자 단말(20)은 복수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에는 통합관제서버(5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발생시키고 자신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에 기반한 안전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동작된다. 사용자 단말(20)에서 위치 정보는 GPS 방식, 보다 바람직하게는 RTK GPS 또는 DGPS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3a는 사용자 단말(20)에서 DGPS 기반의 위치를 수신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GPS 수신기(20a)는 GPS 좌표를 얻기 위해 GPS 위성(20b) 및 DGPS 기준국(20c)과 통신가능하게 설계된다.
GPS 위성(20b)은 현재 주지된 것과 같이 무기 유도, 항법, 측량, 지도 제작, 측지, 시각 동기 등 군용 및 민간용 목적의 것 등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위치정보 및 항법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민간용의 것으로 적용됨은 당연하다.
DGPS 기준국(20c)은 이미 알고 있는 기준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GPS 의사거리에 포함된 오차량을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오차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DGPS 기준국(20c)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는 수신한 오차정보를 이용하여 수십 센티에서 수 미터 이내의 오차로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DGPS는 기준국 수신기의 의사거리와 기준국 위치로 계산된 의사거리의 차이를 계산하여 그 값을 위성별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수신 받은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측 수신기의 오차를 제거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DGPS 기준국은 현재 해양수산부에서는 전국적으로 해안기준국 11개소, 내륙기준국 6 개소에서 NDGPS(Nation-Wide DGPS)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DGPS 수신기(20a)는 위치정보, 항법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동작한다. DGPS 수신기(20a)는 GPS 위성(20b)과 DGPS 기준국(20c)을 통해 수신된 GPS 데이터와 DGPS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위치 좌표를 사용자 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20)의 애플리케이션은 DGPS 수신기(20a)로부터 전달받은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관제 서버(50)로부터의 안전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3b는 사용자 단말(20)에서 RTK GPS 기반의 위치를 수신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는 GPS 좌표를 얻기 위해 GPS 위성(20b) 및 GPS 베이스(30a)과 통신가능하게 구성된다.
GPS 위성(20b)은 현재 주지된 것과 같이 무기 유도, 항법, 측량, 지도 제작, 측지, 시각 동기 등 군용 및 민간용 목적의 것 등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위치정보 및 항법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민간용의 것으로 적용됨은 당연하다.
GPS 베이스는(30a)은 자신의 위도/고도/경도 위치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기준점으로서 동작하게 된다. GPS 베이스는(30a)는 자신의 위치/고도/경도 정보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GPS 위성들(20b)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자신의 위치 정보(기준 정보)와 비교를 수행하고 수신되는 GPS 오차를 계산하게 된다.
GPS 베이스(30a)는 계산된 GPS 오차 정보를 RF 방식, 예를 들면 네트워크, UHF RF,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주변의 GPS 단말, 즉 사용자 단말(20)에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의 단말(20)는 수신 받은 GPS 오차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측 수신기의 오차를 제거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베이스(30a,30b)는 스마트 시티 내에 구역별로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GPS 베이스(30a,30b) 각각은 각각의 커버리지를 갖도록 설계되고 일부 커버리지가 중복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또는 GPS 수신기(20)는 신호강도가 높은 GPS 베이스(30a,30b)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GPS 오차 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자신의 GPS 정보의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현재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GPS 베이스(30a,30b)는 스마트 시티내에 설치되는 가로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100m 내지 200m 사이의 RF 통신 반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GPS 베이스(30a,30b)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두고, RTK GPS 기반의 개선된 위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고,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되어 통합 관제 서버(5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 안전 애플리케이션(200)의 주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애플리케이션(200)은 위치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50)에 전송하는 GPS 송수신 모듈(210); 사용자 단말(220)에 설치된 센서 또는 사용자 웨어러블장치(예를 들면 스마트워치)에 제공된 센서 등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위험상황 판단모듈(220), 위험 상황 판단 모듈(220)에서의 결과에 기반하여 비상신호를 발생하는 비상호출 모듈(225); 관제실 또는 관리자 단말과 화면을 공유하기 위한 화면 공유 모듈(230), CCTV 또는 비상벨과 같이 미리정해진 위치 또는 위험상황 이벤트가 발생된 장소의 위치를 조회하기 위한 위치 조회 모듈(240) 및 위치 조회 모듈(240)에서 조회된 장소로 증강현실 기반 길안내를 실행하기 위한 AR 네비게이션 모듈(245)을 포함한다.
GPS 송수신 모듈(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DGPS 또는 RTK GPS 기반 위치 정보를 필요시 통합 관제 서버(5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정보는 통합 관제 서버(50)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전송되거나, 비상호출 모듈(225)의 이용시, 위치 조회 모듈(240)의 이용시, AR 네비게이션 모듈(245)의 이용시 통합 관제 서버(50)에 자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서버에 자동 전송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험상황 판단 모듈(220)은 사용자 단말(20) 또는 스마트워치와 같은 사용자 웨어러블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 예를 들면 가속도 및 각속도 센서(IMU 센서), 심박 센서, 모션 감지 센서로부터의 검출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놓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비상호출 모듈(225)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IMU 센서는 이동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계와 회전관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계와 방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자계로 이루어진 하나의 통합된 센서 유닛을 지칭하고, IMU 센서는 3차원 공간내에서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센서(가속도, 자이로, 지자계)를 3축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자세 상태(3축(x축, y축, z축)상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검출한다.
위험 상황 판단 모듈(220)은 이는 사용자가 정신을 잃은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데, IMU 센서로부터 3축 상에서의
Figure 112021002503153-pat00001
값(SMV값)이 3.85보다 크며, 50 프레임 안에 5번 이상일 경우 그리고 5번의 간격의 표준편차가 0.1보다 낮을 경우 위험 상황 판단 모듈(220)은 비상호출 모듈(225)에 이를 통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3축 가속도 값 (x,y,z)를 기반으로 SMV 값을 계산하였을 때, 피크 값은 최소 3.85로 나타났고, 또한 50프레임 안에 5번 이상으로 지정한 이유는 피크값 간의 간격이 약 10프레임으로 조사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각속도의 SMV의 경우 움직임이 없을 시 0에 가까운 양의 실수 값이 나타나며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 즉 장치의 회전이 발생한 경우 회전이 빠를수록 값이 커진다. 각속도의 SMV가 5.5 deg/s보다 크면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각속도의 SMV가 5.5 deg/s보다 작으면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자가 움직일때 순간적으로 장치의 회전이 적어 각속도의 SMV가 5.5 deg/s보다 적게 나와 움직임이 없다고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중간 카운터 변수를 추가한다. 각속도의 SMV가 5.5보다 크면 카운터 변수에 1을 추가하고 반대로 5.5보다 작으면 카운터 변수를 1만큼 감소시킨다. 카운터 변수는 0에서 20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카운터 변수가 3보다 작을 시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위험 상황 판단 모듈(220)은 사용자가 움직임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위험 상황 판단 모듈(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3축 가속도 값 (x,y,z)를 기반으로 SMV 값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험을 판단하거나, 또는 각속도의 값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위험을 판단하거나, 양자를 모두 조합하여 사용자의 위험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해낼 수 있다.
비상 호출 모듈(225)는 위험상황 판단 모듈(220)에서 위험상황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자동으로 실행되어 통합 관제 서버(50)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통합 관제 서버(50)는 사용자로부터 구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위치 정보 포함한 긴급 구조 신호를 통합 관제실의 관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가장 가까운 관리자 단말(30)에 사용자 위치 정보와 구조 명령을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근방에 위치한(예를 들면 반경 500m 이내) 관리자 단말(30)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구조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비상 호출 모듈(225)는 위험상황 판단 모듈(22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안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제공된 비상 호출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도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어린이, 노약자, 여성과 같이 상대적으로 범죄에 취약한 계층에서 위험에 노출된 경우 이용하도록 제공된다. 사용자가 비상 호출 버튼을 클릭한 경우 비상호출 모듈은 이전 자동으로 실행된 것과 동일하게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즉시 통합 관제 서버(50)로 전송되고 통합 관제 서버는 사용자 근방의 관리자 단말(30)에 사용자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화면 공유 모듈(230)을 포함한다. 화면 공유 모듈(230)은 안전 애플리이션에 제공된 카메라 구동 기능에 의해 촬영되는 화면 영상을 통합 관제 서버(5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통합 관제 서버(50)은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어온 화면 영상을 관제실의 관제 모니터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영상을 전송한 사용자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30)에 공유하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은 화면 공유 모듈에 의한 화면 공유 기능은 도시에 설치된 IoT 장치로부터 감지되지 않은 위험 요소에 대해 통합 관제 센터에서 즉각적으로 조취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거나 화재와 같은 경우 발생되는 심각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50)는 도시에 설치된 CCTV를 통한 문제를 발견하거나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상 호출 신호를 수신하거나 화면 공유 모듈에 의한 문제를 수신하면 이벤트 발생 위치에 근접한 한명 이상의 관리자 단말에 이벤트 발생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통합 관제 서버(50)에서의 우선순위에 기반한 관리자 호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소 A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먼저 통합 관제 서버(50)는 이벤트 발생 장소에 대한 포인트 위치(좌표)를 결정하고 이벤트 발생 위치를 결정한다. 이벤트 발생 위치가 결정되고 나면, 통합 관제 서버(50)는 먼저 이벤트 발생 위치의 근방(예를 들면 반경 500m) 내에 관리자 단말을 검색한다. 도 5의 예시적인 화면에서는 반경 500m 내(이벤트 장소까지 도착 시간: 5분 이내 거리)에 제1 관리자 단말 내지 제3 관리자 단말을 발견한다. 제4 관리자 단말의 경우 미리결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벤트 처리를 위한 대상에서 제외 된다.
이후 통합 관제 서버(50)는 제1 내지 제3 관리자 단말의 업무 히스토리를 조회하게 된다. 만일 제1 관리자 단말이 현재 다른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위치 B로 이동중에 있다면 제1 관리자 단말을 이벤트 처리 대상에서 제외하고 제2 내지 제3 관리자 단말의 업무 히스토리를 조회한다. 제2 관리자 단말 현재 다른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고 있거나 다른 이벤트 처리를 위해 이동중이라면 통합 관제 서버(50)는 가장 멀리 위치된 제3 관리자 단말을 이벤트 처리를 위한 단말로 결정하고 지점 A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함께 해당 장소로 출동할 것을 명령하게 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 관리자 단말이 다른 이벤트 발생 장소에 대해 이동중이거나 현재 다른 이벤트를 처리하고 있는 경우 통합 관제 서버(50)는 반경을 보다 넓게 검색하여(예를 들면 반경 750m) 다른 관리자 단말(제4 관리자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4 관리자 단말에 대해 지점 A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함께 해당 장소로 출동할 것을 명령하게 된다.
만일 확장된 반경 내에 제4 관리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합 관제 서버(50)는 제1 내지 제3 관리자 단말의 현재 진행중인 이벤트 내역과 새롭게 발생된 이벤트 내역을 비교하여 우선 순위를 재할당하게 된다. 즉 현재 발생된 이벤트가 화재 발생 또는 가스 누출과 같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거나, 인명구조와 같이 긴급을 필요로하는 경우 통합 관제 서버(50)는 지점 A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 관리자 단말에 대해 이벤트 장소 A로 먼저 출동하고 난 후 이벤트 장소 B로 출동할 것을 재지시하게 된다.
만일 제1 관리자 단말에서 현재 수행중인 이벤트 B가 새롭게 발생된 이벤트 A에 비해 우선순위가 높거나 동일하다면 통합 관제 서버(50)는 다른 관리자 단말을 검색하여 우선순위에 기반한 이벤트 처리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화면 공유 모듈(230)은 사용자 다자간의 화면 공유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화면 공유 모듈(230)에서 촬영되는 화면 영상이 통합 관제 서버(50)에 전송되면, 통합 관제 서버(50)은 사용자로부터 전송되어온 화면 영상을 관제실의 관제 모니터와, 영상 전송 사용자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30)에 공유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근방에서 동일한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화면에 이를 공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도시내에서 문제가 발견될 시 사용자가 이를 화면을 통해 공유하면 통합 관제 서버(50)에서 이를 수신하고 사용자 주변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을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나은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응급환자 발생의 경우 주변에 위치된 의사들을 하나의 채널에 참여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의 인지와 협력을 포함하는 집단 지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라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화면 공유 모듈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으로서, 도시속 늘상 존재하는 문제, 예를 들면 부정 주정차, 쓰레기 무단 투기, 공공기물 파손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부정 주정차된 차량을 발견한 경우 사용자는 화면 공유 모듈(230)을 통해 관제 센터에 직접 이를 신고할 수도 있고, 화면 공유 모듈을 통해 범죄 현장을 관제 센터에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신고할 수 있다는 이점도 얻어질 수 있다.
위치 조회 모듈(240)은 도심속 미리 정해진 위치, 또는 비상 호출 모듈(225)/화면공유모듈(230)에 의해 생성된 이벤트 발생 위치를 조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 조회 모듈(240)은 미리 정해진 위치, 예를 들면 도심내 CCTV 위치, 도심내 비상벨 위치, 도심내 관광지 위치 등과 같은 위치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를 통해 조회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심내 CCTV의 위치를 조회하고자 하는 경우 위치 조회 모듈(240)은 GPS 송수신 모듈(210)을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와 함께 CCTV 위치 조회 요청을 통합 관제 서버에 전달하고, 통합 관제 서버(50)는 사용자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 주변의 CCTV 위치를 가상현실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하게 된다.
위치 조회 모듈(240)은 현재 사용자의 카메라의 화면에 관심 대상 위치에 가상 현실 아이콘을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GPS 모듈, 객체 기반 인식 모듈, 컴퍼스 모듈,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모듈, 카메라와 같은 하드웨어를 이용하게 된다.
카메라 모듈은 주변 이미지를 캡쳐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를 표시하고, GPS 송수신 모듈(21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컴퍼스 모듈은 모바일 기기의 방향을 식별하는데 이용되고,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모듈은 모바일 기기의 기울어짐을 확인하고 공간내 아이콘을 배포하기 위해 이용된다.
AR 기술은 카메라 데이터, 위치 데이터, 센서 데이터(자계, 가속도계, 회전 벡터)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통합함으로써 이용되는데, 예를 들면,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 시스템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구성 요소들이 채용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정보/서비스 기능은 컴퓨터 프로그램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제어 특징들로서 위치 및 시간 데이터에 대한 특정 제어를 포함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레벨 서비스의 일반적인 클래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 기반 정보 및 관련 서비스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요소이다. 일 실시 예로, 위치 기반 서비스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 시스템 API 구성 요소 즉, (1)Access_Fine_Location, (2) Location Provider, (3)Location Listener, (4) Location Updates, (5) Reverse GeoCoding 들을 통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객체 기반 인식(Object-based recognition)은 컴퓨터 비젼에서 이미지나 비디오 시퀀스에서 지정된 객체를 발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객체 기반 인식은 다음 동작들 즉, (1)연속적인 라이브 뷰우 스트림으로 부터 디테일/특징 추출, (2) 기존의 사진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3)결과들의 즉시 전달을 실시하는 알고리듬들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 기반의 정보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되었고, 위치 조회 모듈은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관심 대상(CCTV)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객체 기반의 인식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위치 조회 모듈은 물리적 위치 이미지에서 지정된 객체로서 각 POI를 발견한다. 위치 조회 모듈을 실행하는 동안 이 기능은 계속하여 특징들과 속성들을 추출하고, 기존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검색을 실행 한 후 그 기능은 POI를 "인식"하고 라벨을 호출하여 각 POI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통합 관제 센터에서 데이터 수집 장치에 의해 도심내 화재, 지진, 교통 사고, 폭발과 같은 사고가 발생된 경우 통합 관제 서버(50)는 사고의 위치를 결정하고 사고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 내 있는 안전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에게 사고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안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고 위치가 수신되고 사용자는 위치 조회 모듈을 통해 사고의 위치를 가상현실 아이콘을 통해 사고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사고 위치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회 모듈(240)은 현재의 자신의 위치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조회 모듈(240)을 통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 공유가 허용된 사용자끼리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위치 공유를 허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ID를 입력하고 과제 서버에서 이를 기억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 공유를 원하는 제1 사용자는 통합 관제 서버(50)에 위치 공유를 원하는 제2 사용자의 ID를 등록한다.
이후 통합 관제 서버(50)는 제2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사용자와 GPS 정보를 공유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2 사용자로부터 위치 공유가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GPS 값을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고, 제2 사용자의 GPS 값을 제1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공유 기능은 현재 도시에서 원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검색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어린 아이 및 치매 노인이 길을 잃어 버렸거나 위치 확인이 불가능할 때 이들을 찾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응급 상황 발생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시민의 참여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ID를 발급받은 후 현재의 위치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와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시민 참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장소에서 위급 상황 발생시, 예를 들면 CCTV를 통해 시민이 쓰러지는 것과 같은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통합 관제 서버는 통합 관제 서버와 위치를 공유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고 일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에게 이벤트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알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벤트에 대한 상황을 알 수 있게 되고,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이벤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AR 네비게이션 모듈(245)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증강현실 아이콘을 이용한 AR 네비게이션 모듈(245)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R 네비게이션 모듈(245)는 이벤트가 발생된 특정 위치,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위치, 또는 위치 조회 모듈(240)을 통해 조회된 특정 위치까지의 길안내를 증강현실 안내자에 의해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20)의 AR 네비게이션 모듈(245)는 경로 안내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및 방향에서 촬영되는 영상데이터(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사용자 단말(2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GPS 송수신 모듈(210)은 사용자의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컴퍼스 모듈 및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모듈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 정보(예를 들면 방위각 또는 지자기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20)의 AR 네비게이션 모듈(245)은 무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방향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AR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AR 정보는 상기 위치 및 방향에서 촬영한 화상 프레임과 함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 단말(20)이 목적지에 도달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목적지에 도달되면 AR 네비게이션 모듈은 길안내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AR 정보를 이용한 네이게이션 기능은 현장 지리 정보에 익숙하지 않은 관리자가 사고가 발생된 현장으로 출동하는 경우,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비상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현장에 도움을 주길 원하는 시민이 현장으로 접근하고자 할 때 매우 신속한 길안내를 제공하여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0: 데이터 수집 장치 20: 사용자 단말
30: 관리자 단말 50: 통합 관제 서버
200: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210: GPS 송수신 모듈
220: 위험상황 판단모듈 225: 비상호출모듈
230: 화면 공유 모듈 240: 위치 조회 모듈
245: AR 네비게이션 모듈

Claims (6)

  1.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도시에 설치되어 설치 영역의 안전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도시 관제를 수행하는 통합 관제 서버;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되고 통합 관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접속되고 통합 관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데이터 수집 장치로부터 위험요소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면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로부터 미리정해진 반경 내의 사용자 단말과 관리자 단말에 이벤트 위치와 연관된 증강현실 요소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 및 관리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증강현실 요소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위험상황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위험상황 판단 모듈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된 가속도 및 각속도 센서로부터의 검출 데이터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위험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되,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위험상황 판단 모듈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면 상기 통합 관제 서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통보하도록 구성된 비상호출 모듈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위치 조회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 정보, CCTV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 정보, 및 비상벨이 설치된 위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통합 관제 서버에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요소를 사용자의 단말의 위치 조회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조회 모듈은 수신된 증강현실요소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호출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가능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비상호출 모듈을 동작시킨 경우 비상 호출 모듈은 통합 관제 서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함께 구조 요청을 통보하도록 구성된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안전 애플리케이션은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모듈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컴퍼스 모듈 및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모듈을 통해 현재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고,
    증강현실 네비게이션 모듈은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에 전송하고,
    통합 관제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증강현실 요소를 수신하고,
    수신된 증강현실 요소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방향에서 촬영한 화상 프레임과 함께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210002456A 2021-01-08 2021-01-08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49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56A KR102495287B1 (ko) 2021-01-08 2021-01-08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56A KR102495287B1 (ko) 2021-01-08 2021-01-08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45A KR20220100245A (ko) 2022-07-15
KR102495287B1 true KR102495287B1 (ko) 2023-02-06

Family

ID=8240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456A KR102495287B1 (ko) 2021-01-08 2021-01-08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291B1 (ko) * 2022-11-29 2024-04-2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지진 정보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147B1 (ko) * 2018-10-12 2019-10-04 (주)파슨텍 이벤트 상황을 관제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영상 분석 장치 및 지역 관제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727B1 (ko) * 2014-01-23 2018-03-13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기반의 기상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기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25802B1 (ko) * 2015-08-28 2017-04-11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아이씨티 기반 지능형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5203B1 (ko) * 2015-10-22 2017-05-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 단말을 이용한 위험 감지 및 통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147B1 (ko) * 2018-10-12 2019-10-04 (주)파슨텍 이벤트 상황을 관제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영상 분석 장치 및 지역 관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45A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637B2 (en) Directional and x-ray view techniques for navigation using a mobile device
EP15569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ly accurate real time tracking and location in three dimensions
US8504288B2 (en) Quality control of mapping data
US8386422B1 (en) Using constructed paths to supplement map data
US8548738B1 (en) Constructing paths based on a particle model
EP3593324B1 (en) Target detection and mapping
CN112988925A (zh) 大规模紧急情况中的救援支持
CA2946686C (en) Location error radius determination
US20080192118A1 (en) Three-Dimensional Surveillance Toolkit
CN104931051A (zh) 基于大数据的室内电子地图绘制和导航方法及其系统
US8412183B1 (en) Automatically constructing paths
CN116308944B (zh) 一种面向应急救援的数字战场实战指控平台及架构
JPH1042282A (ja) 映像提示システム
JP2012252614A (ja) 津波避難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05628A (ko) 비콘과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이동거리와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내 측위 시스템
KR102495287B1 (ko)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생활 안전 관리 시스템
CN208968561U (zh) 一种基于自组网的室内惯导定位人员位置监控系统
CN107291092B (zh) 一种WiFi支撑的空地协同无人机系统
KR100515162B1 (ko) 지피에스 및 관성 항법 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재난 방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N109387200A (zh) 一种基于自组网的室内惯导定位人员位置监控系统
CN113068004A (zh) 一种灾害场景立体构建与埋压人员分布感知系统
RU2667793C1 (ru) Геоинформ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в формате 4d
CN111044033A (zh) 基于视频和微蜂窝网络的融合位置路径拟合方法及系统
KR101836113B1 (ko) 스마트 캠퍼스 지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81294B1 (ko) 문제 발생신고 촬영대상지점 위치인식 방법과 문제 신고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