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260B1 -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260B1
KR102495260B1 KR1020210170048A KR20210170048A KR102495260B1 KR 102495260 B1 KR102495260 B1 KR 102495260B1 KR 1020210170048 A KR1020210170048 A KR 1020210170048A KR 20210170048 A KR20210170048 A KR 20210170048A KR 102495260 B1 KR102495260 B1 KR 10249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ourist
user
destination
tourist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명주
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천사랑세계여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사랑세계여행 filed Critical (주)천사랑세계여행
Priority to KR102021017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은 부 서버를 통하여 수집된 관광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특정 위치로부터 설정된 반경 이내의 복수의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관광지 정보에 대한 대기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기 입력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상기 대기정보, 기 설정된 대기 임계시간에 기반하여, 복수의 관광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한 후 추출된 관광지 정보들에 대한 순위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 TRAVEL ROU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관광지 정보 및 대기정보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여행 경로를 추천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관광지, 식당이나 카페 방문, 레저, 문화활동 등이 대중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 개인 블로그 및 대중 매체 등에서 다양한 정보가 다량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에는 해당 장소의 이미지, 평가, 후기, 대기시간, 예약 방법 등을 포함하고, 특정 지역에 대한 이동 경로도 포함한다. 사람들은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여행 경로를 설정한다.
다만, 이러한 정보들은 실제 여행 중의 상황을 모두 예측 및 반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여행 경로는 특정 요일, 시간, 날씨, 교통상황에 영향을 미쳐 실제 여행하는 중에 많은 변수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명소로 소문난 장소는 판매하는 물건이나 음식이 품절되거나, 대기시간이 예상보다 길어져 방문이 어렵거나 다음 일정에 차질이 생기거나, 대기하는 중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공공보 제10-2021-0105496호(2021.08.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관광지 정보를 통하여 예측된 대기시간과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여행 경로를 추천함으로써 관광지 도착 후 대기하는데 소비되는 시간을 줄여 효율적인 여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를 통하여 수집된 관광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특정 위치로부터 설정된 반경 이내의 복수의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관광지 정보에 대한 대기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기 입력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상기 대기정보, 기 설정된 대기 임계시간에 기반하여, 복수의 관광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한 후 추출된 관광지 정보들에 대한 순위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대기정보 및 상기 관광지와 관련된 교통정보에 근거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교통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관광지까지의 경로 및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관광지까지 이동한 것을 가정하였을 때 대기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대기시간이 상기 대기 임계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대기시간이 상기 대기 임계시간 미만이 되는 예상 시점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정보 처리부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관광지의 순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는 선택된 관광지에 대한 상기 대기시간이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기 대기시간이 상기 대기 임계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미 선택된 관광지에 대한 추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미 선택된 관광지에 대한 설명 데이터, 지도 상에 표시된 위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광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목적지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추가 관광지를 추출하며, 대기정보, 상기 목적지의 카테고리, 날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가 관광지에 대한 매력도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는 수집된 관광지 정보를 통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며, 증강현실 이미지의 위치에 대응되는 관광지에 대한 텍스트 정보가 함께 출력되도록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대기정보, 교통 혼잡도, 평점, 교육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를 통하여 수집된 관광지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특정 위치로부터 설정된 반경 이내의 복수의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관광지 정보에 대한 대기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기 입력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상기 대기정보, 기 설정된 대기 임계시간에 기반하여, 복수의 관광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한 후 추출된 관광지 정보들에 대한 순위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행 경로 추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복수의 관광지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선호도와 대기시간을 반영한 관광지의 순위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관광지 도착 후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 하면서 최적의 명소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택한 목적지 도달 후 대기정보와 선호도 정보에 근거하여 목적지와 가까운 추가 관광지를 추천하므로 다음 목적지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가중치 조정에 따라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현재 위치 기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현재 위치정보 기반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6의 방법의 구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 및 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목적지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경로를 제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필요 일정을 여행 경로에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관광지 정보를 가상현실 기반 이미지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도 11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1000)은 정보 저장부(100), 정보 수집부(200) 및 정보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서버(2000)는 특정 웹 페이지, 특정 검색어로부터 검색된 검색 결과 페이지, 관광지와 관련된 웹페이지,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날씨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교통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을 포함하며,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는 제어모듈,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1000)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3000)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광지 정보 및 사용자 기본정보를 수집 및 저장한다(S100). 여기에서 관광지는 지역의 명소, 식당, 숙박, 박물관, 유적지, 전통 시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0)는 특정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는 관광지 서버 등에 개시된 기본 정보(영업시간, 휴무일, 브레이크 타임, 이벤트 일정 등) 관광지의 카테고리(식당, 유적지, 지역 명소, 박물관 등), 관광지에 대한 연령대별 평가, 후기 정보, 주차정보 및 주차현황 등을 포함한다. 상기 관광지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현 위치, 여행을 위한 지역, 여행의 목적, 여행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 저장부(100)는 최대한 많은 관광지 정보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기준 시간마다 업데이트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0)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개인정보는 이름, 성별, 나이, 여행의 동행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설정에 따라 각 관광지에서의 비용이 결제될 수 있도록 신용카드 정보, 특정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정보, 신체의 불편함 정보, 여행 중 차량 보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대기에 대한 임계시간, 걸어서 이동 가능한 시간, 활동의 선호 유형(실내/실외, 엑티비티, 구경 등), 여행 목적(휴식, 관광, 비즈니스 등)을 포함하며, 희망하는 식사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c)는 특정 지역이 관심명소를 미리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다.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지역의 평점이 높거나 새로 생긴 명소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관심있는 지역을 미리 선택할 수 있게 하여 관광지를 순위화 하는 경우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한 명소 외 지역을 검색하여 관심 명소로 입력할 수 있다.
도 3(d)는 미리 예약할 수 있는 화면을 도시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명소 중 티켓을 예약구매하거나, 대기 예약을 할 수 있는 관광지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미리 예약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에 대한 최대한 많은 정보 수집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사용자가 만족하는 맞춤형 여행 경로를 제안할 수 있다.
상기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1000)은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관광지 정보를 추출하고 관광지의 대기정보를 수집한다(S200). 여기에서 특정 위치는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설정될 수 있다. 특정 위치는 넓게는 시, 도를 기준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현재 위치 기반 구, 군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 되지 아니하였으나,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1000)은 최초 설정된 관광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기준 위치 정보 및 범위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범위를 조절한다. 사용자는 지도 이미지 또는 주소 정보 등을 통하여 범위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 수집부(200)는 관광지의 대기정보를 수집한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대기정보는 해당 관광지의 방문객 수, 정해진 수용 관광객 대비 현재 방문한 방문객 수 및 이에 따른 대기인원, 대기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따. 정보 수집부(200)는 해당 관광지로부터 상기 대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정보 저장부(10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관광지가 특정 서버 또는 상기 정보 저장부(100)에 해당되는 서버에 실시간 대기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관광지와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1000)의 운영자는 제휴를 맺고 정보를 공유 받을 수 있으며, 관광지의 광고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제공하거나, 관광지의 쿠폰을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정보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던 대기정보를 활용하여 현재의 대기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저장부(100)는 여행경로 추천 시스템(1000)의 사용자가 관광지에 도착하였을 때 대기정보를 시각, 날짜, 날씨 등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는 관광지의 후기 등 웹페이지에 업로드 되어 있는 데이터 등을 추출 및 조합하여 현재 시점과 유사한 시점에 대한 추정 대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대기정보를 기반으로 대기시간을 계산한다(S300).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교통정보 및 대기정보를 이용하여 대기시간을 계산한다. 교통정보는 현재 위치(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로부터 관광지까지의 경로, 교통상황을 통한 이동 시간을 포함하며, 대기시간은 이동 시간이 경과하여 사용자가 관광지에 도착하였을 때 예상되는 대기가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즉 이동시간을 제외한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관광지까지 걸리는 시간이 10분인 경우, 10분 뒤 관광지의 대기시간 및 대기인원을 추정하여 제공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대기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400), 임계시간 미만인 경우 선호도 정보와 대기정보를 기준으로 관광지를 순위화 하여 제공한다(S600). 임계시간을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1개의 관광지에서 대기 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된다(예를 들어, 1시간). 설정된 정보가 없는 경우, 임계시간을 적용하지 않거나, 전체 여행 일정의 기간,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통하여 임계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대기시간이 임계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대기정보가 임계치 이하가 되는 시점을 계산한다(S500). 현재 대기 인원, 1인당 (관람, 식사 등의) 소요시간, 평균 방문객 상황 등을 통하여, 대기시간이 임계치 이하가 되는 시각을 계산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선호도 정보, 대기정보 및 대기시간이 임계치 이하가 되는 시각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관광지를 순위를 선정(Ranking)하고, 이를 정렬하여 제공한다. 복수의 관광지에 대한 순위 선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선호도 정보를 활용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와 대기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관광지의 추천 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선호도 3, 대기정보 7인 경우,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관광지라고 하더라도 대기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경우 후 순위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가중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예를 들어, 1 ~ 9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선호도 정보와 대기정보 간의 고려 비율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면 충분하다.
도 4는 가중치 조정에 따라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다.
도 4(a) 및 (b)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을 현 위치 또는 여행 중인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이미지(10)를 제공한다. 기준이 되는 위치가 선택되면 관광지의 카테고리(11)를 제공한다. 카테고리(11)는 식당, 공원, 박물관, 숙박 등에 해당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c) 및 (d)를 참조하면, 특정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상기 선호도 정보 및 대기정보에 근거하여 순위화된 관광지 리스트(12)가 출력된다. 관광지 리스트는 관광지명, 대기시간, 구체적인 정보(14)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제어 이미지,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제2 제어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선호도와 대기시간의 가중치를 나타내는 제3 제어 이미지(13)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3 제어 이미지(13)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시간에 7, 선호도에 3의 가중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를 대기시간에 4, 선호도에 6의 가중치가 적용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광지 리스트(12)에 나열되어 있던 관광지 정보가 변경된다. 즉, 선호도는 높으나 대기시간이 길어서 후순위가 되었던 관광지가 선순위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중치 정보를 조정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관광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카테고리 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 기반 관광지의 순위를 업데이트 하여 제공한다(S700).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사용자가 특정 관광지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 위치를 벗어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지 않는 경우, 제공된 관광지들의 정보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업데이트 한다. 즉, 순위화된 관광지에 대한 대기정보를 수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대기시간을 계산한다.
대기시간이 변경되어 순위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관광지의 순위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관광지의 순위가 높아지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푸쉬알림(Push)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이동 중인 경우, 네비게이션 화면 상에 해당 관광지의 위치 및 대기시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관광지의 대기시간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관련 알람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관광지가 선택되어 사용자가 이동하는 중, 특정 관광지에 단체 손님이 유입된 경우 대기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변경된 대기시간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고, 다른 관광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0)는 계산된 대기시간 및 대기시간이 변동된 데이터를 저장 및 업데이트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호도가 반영된 관광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해당 관광지에 입장까지의 대기시간을 미리 파악하여 대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여행 중 대기시간으로 낭비되는 일정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각 관광지에 개별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한정된 시간 안에 보다 효율적인 여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현재 위치 기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210). 사용자는 관광지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0)는 GPS등 위치 감지 모듈을 통한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가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21).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가 일치하거나, 현재 위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에 포함되는 경우, 현재 위치정보를 기반하여 상기 대기시간을 계산한다(S222).
다만,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 정보와 현재 위치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 내에 사용자가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보 수집부(200)는 여행 계획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집한다(S223). 여행 계획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방문할 예상 날짜, 시간 등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현재 시점 뿐만 아니라 미리 대기정보 등을 파악하여 여행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상기 정보 저장부(10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반하여 관광지 정보 및 대기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대기정보에 근거하여 순위화된 관광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순위화에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선호도 정보뿐만 아니라, 여행 계획 정보에 기반한 예상 날씨 정보, 평균 교통 정보 등을 포함하여 산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행 중 실시간 대기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앞으로 계획하고 있는 여행의 경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현재 위치정보 기반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도 6의 방법의 구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순위화된 관광지 정보를 제공(S600)한 이후, 선택된 관광지 및 순위가 높은 관광지의 대기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한다(S810). 예를 들어 하나의 관광지가 선택되고 사용자가 선택된 관광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선택된 관광지에 도착하기 전까지 선택된 관광지 및 다른 관광지의 대기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교통정보를 통하여 도착 예상 시간을 계산하고, 도착 예상 시간에 따른 대기시간을 산출하도록 상기 정보 처리부(300)를 제어한다. 대기시간이 상기 임계시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821) 판단결과 대기시간이 상기 임계시간 내에 속할 경우 별도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대기정보의 업데이트를 상태를 유지한다(S810).
한편, 현재 위치 및 업데이트 된 대기정보에 근거하여 대기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정보를 제공한다(S822). 도 7(a)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의 푸쉬알람(Push)을 통하여 선택된 관광지(A)의 대기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였음에 대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에는 목적지를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제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목적지 상기 제어 이미지가 선택되면, 미선택 관광지의 정보 및 대기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S830).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현재 위치 기반 각 관광지까지의 거리 및 도착 시간으로부터 대기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계산하도록 상기 정보 처리부(300)를 제어한다. 이에, 상기 추가 정보는 관광지에 대한 교육정보
현재위치 및 업데이트 된 대기정보에 근거하여 대기시간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S822).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0)에 네비게이션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추가 정보를 팝업 이미지(21)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팝업 이미지(21)에는 예상했던 대기시간이 증가하였다는 정보 및 목적지 변경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아이콘(21a)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기존 관광지를 목적지로 유지하거나 다른 관광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 처리부(300)는 추가 정보 요청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미선택 관광지의 정보와 대기정보를 포함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S822). 추가정보(22)는 업데이트된 대기시간 및 관광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정보(22)는 현재 위치로 부터 관광지까지의 거리, 교통 현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아이콘(22a)를 선택하여 제공된 관광지에 대한 설명 데이터(23)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관광지에 대하여 상기 정보 저장부(100)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설명 데이터(23)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선택된 관광지의 홈페이지, 검색 결과에 대한 웹페이지의 URL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제어 아이콘(22b)의 선택을 통하여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재선택된 관광지로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S840). 이 경우 현재 위치로부터 변경된 목적지까지의 네비게이션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미선택 관광지는 기 선택된 관광지와 동일하거나 다른 카테고리의 관광지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관광지가 식당인 경우, 또 다른 식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식사 전 방문할 수 있는 박물관, 공원, 휴식 공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 선택된 관광지를 변경하지 아니하고 목적지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의 제3 제어 아이콘(22c)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순위화된 관광지의 위치를 현재 위치 및 기 선택된 목적지(C)까지의 경로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즉, 지도 이미지 상에 현재 위치와 목적지(C)까지의 이동 경로와 추가 제공된 관광지의 위치가 함께 출력되어 사용자는 중간의 경로를 추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정보 수집부(200)는 사용자가 목적지로 이동하는 중에 실시간 교통정보를 함께 수집하며, 교통정보상의 이상 데이터가 수집되는 경우,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도록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할 관광지가 선택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관광지의 상황이 변동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예상치 못한 대기시간이나 관광지를 방문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관광지를 대체할 수 있는 추가 정보, 대기정보, 교통정보와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여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8은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 및 학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사용자의 목적지 도착 정보를 수신한다(S120). 또한 실시간 관광지 정보 및 만족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상기 정보 수집부(200)는 사용자 단말기(3000)를 통하여 수신된 대기정보(관광지의 대기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되는 대기 알람 정보 등)로 시간에 따른 대기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관광지의 만족도를 통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은 보다 정확하게 대기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별 선호도 정보를 축적하여 만족도가 높은 추천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목적지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경로를 제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르 참조하면, 상기 정보 처리부(300)은 목적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의 관광지를 추출한다(S140).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목적지에 도달하였을 때 이를 수행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요청 또는 설정에 근거하여 수행할 수 있는바, 수행되는 시점에는 제한이 없다. 기 설정된 거리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나(예를 들어, 100km내, 30km내로 설정할 수 있음), 설정된 거리 내에 관광지가 없는 경우 거리를 확장하여 관광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목적지의 카테고리, 네비게이션 정보, 관광지 정보, 대기정보 및 날씨 정보에 기반하여 매력도를 산출한다(S150). 정보 처리부(300)는 목적지의 카테고리와 다른 카테고리의 관광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정보는 실시가 교통상황, 주차 정보 등을 포함하며, 현재 위치에서 관광지까지의 경로를 이용한 사용 건 수를 포함할 수 있다. 관광지의 카테고리 별 날씨(및 계절)에 따른 매력도 가중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의 관광지 정보를 기준으로 다음 관광지 정보를 추천 받을 수 있는 바, 효율적인 이동 경로를 계획할 수 있다.
도 10은 필요 일정을 여행 경로에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필요 일정 정보 수신한다(S170). 여기에서 필요 일정은 사용자가 여행 중 어느 시기 중 반드시 해야하는 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오늘 하루 중 세안도구 구매, 2박 3일 여행 일정 중 기념품 샵 방문, 3시간 이내에 주유소 방문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즉, 필요일정 정보는 기한,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집부(200)는 상기 필요 일정에 근거하여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S180).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상기 위치 정보, 선택된 관광지 정보 및 산출된 대기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필요 일정을 수행하기 위한 추천 경로를 계산 및 제공한다(S190).
상기 정보 처리부(300)는 예상된 대기시간 보다 대기시간이 증가 한 경우 필요 일정에 다른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시간 내에 필요 일정을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관광지를 순위화 하는 경우 선호도가 높은 관광지의 대기시간 중에 필요 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한 일정을 잊지 않고 수행할 수 있으며, 대기시간 동안에 경로로 포함하여 불필요한 시간의 소모 없이 효율적인 여행 계획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관광지 정보를 가상현실 기반 이미지로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100)는 관광지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며, 이 경우 관광지 정보(30)는 실제 관광지가 포함된 거리뷰 이미지(31) 및 각 거리뷰 이미지에 포함된 추가 텍스트 정보(32)를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관광지가 선택되는 경우, 관광지의 증강현실 이미지 정보를 제공한다(S911).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근거한 증강현실 이미지(31')를 출력한다(S912).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31')는 관광지에 도달하기 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텍스트 정보(3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관광지에 가까운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위치에 포함되는 관광지에 대한 텍스트 정보(33a, 33b)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텍스트 정보는 관광지에 대한 교육 정보 등, 동영상 정보 등 추가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교육 정보는 해당 관광지의 과거 모습, 유래 등을 설명하기 위한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정보는 대기정보, 교통 혼잡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광지에 대한 가성비 정보, 평점, 후기 정보 등을 추출하여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관광지에 대한 위치, 경로 및 실제 모습을 확인하고 방문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다수의 관광지가 상기 증강현실 이미지에 포함되는 경우, 각 관광지에 해당되는 텍스트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방문하고자 하는 관광지를 선택할 수 있다. 관광지들이 모여 있는 경우 실제 방문하여 선택하는 것과 같이, 외형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0 :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2000 : 외부 서버
3000 :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외부 서버를 통하여 수집된 관광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특정 위치로부터 설정된 반경 이내의 복수의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관광지 정보에 대한 대기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기 입력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상기 대기정보, 기 설정된 대기 임계시간에 기반하여, 복수의 관광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추출한 후 추출된 관광지 정보들에 대한 순위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현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에 관광지의 카테고리를 제공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관광지의 카테고리를 선택 받는 경우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관광지 중 상기 순위에 따른 관광지 정보들을 표시하되,
    상기 순위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상기 대기정보에 각각 부여된 가중치를 기반으로 계산되고,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상기 대기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이미지를 상기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 이미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상기 대기정보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할 때마다 상기 순위가 변경되어 상기 화면에 표시된 관광지 정보들 또한 변경되며,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 및 상기 대기정보에 대한 가중치는, 상기 관광지의 카테고리별로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특정 관광지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관광지의 대기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관광지와 관련된 교통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관광지에 대한 대기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화면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관광지의 위치 및 상기 선택된 관광지에 대한 대기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선택된 관광지에 대한 대기시간이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관광지에 대한 대기시간이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였다는 푸시알람 및 목적지 변경을 위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는 제어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목적지 변경을 위한 제어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미선택 관광지에 대한 추가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추가정보에 포함된 관광지에 대한 설명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제어 아이콘, 상기 추가정보에 포함된 관광지로의 목적지 변경을 위한 제2 제어 아이콘 및 상기 추가정보에 포함된 관광지의 위치를 기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와 함께 출력하기 위한 제3 제어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화면에 내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동 중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관광지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선택된 관광지 및 상기 순위에 따른 관광지의 대기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관광지까지의 경로 및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시간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관광지까지 이동한 것을 가정하였을 때 대기할 것으로 예측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대기시간이 상기 대기 임계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대기시간이 상기 대기 임계시간 미만이 되는 예상 시점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정보 처리부는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관광지의 순위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광지 중 하나가 선택되어 목적지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는 상기 목적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추가 관광지를 추출하며, 대기정보, 상기 목적지의 카테고리, 날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가 관광지에 대한 매력도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수집된 관광지 정보를 통하여 증강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며, 증강현실 이미지의 위치에 대응되는 관광지에 대한 텍스트 정보가 함께 출력되도록 생성 및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 의하여 수집된 상기 대기정보, 교통 혼잡도, 평점, 교육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10. 삭제
KR1020210170048A 2021-12-01 2021-12-01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48A KR102495260B1 (ko) 2021-12-01 2021-12-01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048A KR102495260B1 (ko) 2021-12-01 2021-12-01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260B1 true KR102495260B1 (ko) 2023-02-06

Family

ID=8522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048A KR102495260B1 (ko) 2021-12-01 2021-12-01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2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23535A (zh) * 2023-08-30 2023-09-29 环球数科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多模态大模型的行程规划及智能导览系统
CN117172388A (zh) * 2023-10-26 2023-12-05 新唐信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景点排序的景区导航方法
CN117670438A (zh) * 2023-11-20 2024-03-08 江苏达科信息科技有限公司 图像数据智能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863A (ko) * 2008-12-01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적지의 상태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 및 경로안내 정보제공 장치와 내비게이션
KR20170018695A (ko) * 2015-08-10 201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형 여행 일정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JP2018112928A (ja) * 2017-01-12 2018-07-19 奇點無限有限公司 サービスの利用順序の計画方法
KR20200018872A (ko) * 2018-08-13 2020-02-21 (주)위드이노베이션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10086834A (ko) * 2019-12-30 2021-07-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05496A (ko) 2020-02-18 2021-08-27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광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863A (ko) * 2008-12-01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적지의 상태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 및 경로안내 정보제공 장치와 내비게이션
KR20170018695A (ko) * 2015-08-10 2017-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형 여행 일정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JP2018112928A (ja) * 2017-01-12 2018-07-19 奇點無限有限公司 サービスの利用順序の計画方法
KR20200018872A (ko) * 2018-08-13 2020-02-21 (주)위드이노베이션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10086834A (ko) * 2019-12-30 2021-07-0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05496A (ko) 2020-02-18 2021-08-27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관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23535A (zh) * 2023-08-30 2023-09-29 环球数科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多模态大模型的行程规划及智能导览系统
CN116823535B (zh) * 2023-08-30 2023-11-07 环球数科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多模态大模型的行程规划及智能导览系统
CN117172388A (zh) * 2023-10-26 2023-12-05 新唐信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景点排序的景区导航方法
CN117670438A (zh) * 2023-11-20 2024-03-08 江苏达科信息科技有限公司 图像数据智能处理方法及系统
CN117670438B (zh) * 2023-11-20 2024-05-24 江苏达科信息科技有限公司 图像数据智能处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260B1 (ko) 여행 경로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060756B2 (en) Centrally managed waypoints established, communicated and presented via vehicle telematics/infotainment infrastructure
JP5349544B2 (ja) ガイド情報提供支援装置、支援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044160B2 (ja) ガイド情報提供システム
US5948040A (en) Travel reservation information and planning system
JP4722554B2 (ja) Poi情報提供システム、poi情報提供方法、情報配信サーバ、端末装置
KR101785196B1 (ko) 빅 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관광정보시스템
EP28995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ynamic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and trip planning
EP25817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nking points of interest
US20050149254A1 (en) Action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US11902853B2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erver device for providing region information
KR101801335B1 (ko) 기상 및 기후 요소를 고려한 관광매력도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WO2009065638A1 (en) Personalized real-time location-based travel management
CN11203558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程序
KR20170046333A (ko) 여행계획 서비스 시스템
Vansteenwegen et al. Trip planning functionalities: state of the art and future
KR101671856B1 (ko)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관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94347A (ko) 사용자 정보 수집 기반의 맞춤형 여행 일정 가이딩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20914A (ko) 기상 및 기후 요소를 고려한 관광매력도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EP1577642A1 (en) Behavior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JP5128798B2 (ja) ガイド情報選別システム
KR101223140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스케쥴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링 방법
JP2010211000A (ja) 双方向情報配信システム、サーバ、及び情報提供端末装置
JP7470919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019427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