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997B1 -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94997B1 KR102494997B1 KR1020200126233A KR20200126233A KR102494997B1 KR 102494997 B1 KR102494997 B1 KR 102494997B1 KR 1020200126233 A KR1020200126233 A KR 1020200126233A KR 20200126233 A KR20200126233 A KR 20200126233A KR 102494997 B1 KR102494997 B1 KR 102494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ntal stress
- arousal
- emotional
- subject
- emotional arous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37007 arous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10000003403 autonomic nervous system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1002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10000002820 sympathetic nervous syste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10000004709 eyebrow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8000004301 Sinus Arrhyth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326 chronic str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2360 prefro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936 parie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3478 temporal lob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1013 sinoatrial nod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03119 arrhyth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6793 arrhythmia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889 sympath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734 parasympath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2442 prefrontal cortex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461 physiological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2567 electromy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08000029078 coronary arte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8000004476 Acute Coronary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2383 Angina Pecto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03694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44 atroph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97 emotional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71 hippocamp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542 behaviou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652 frontal lob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479 physiological effects,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982 action potenti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65 myocardi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457 myocytus nodali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30 nerve co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700 sympathetic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25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558 Cardiac failure chron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4264 Letharg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26 alert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7 brain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4 ear auri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10 evaluation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57 neuropsyc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01 parasympathetic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7 parasympathetic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61B5/374—Detect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signals, e.g. detecting delta, theta, alpha, beta or gamma wa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Description
1) 공개번호 : 10-2013-0082859 (2013-07-22) "스트레스 관리용 기능성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2) 공개번호 : 10-2019-0043319 (2019-04-26) "사용자의 활동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지수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3) 공개번호 : 10-2020-0080494 (2020-07-07) "감정 노동자를 위한 스트레스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4) 공개번호 : 10-2021-0007357 (2021-01-20) "심전도 기반의 스트레스 완화 장치 및 그 방법"
5) HELLER, Wendy; NITSCHKE, Jack B.; LINDSAY, Dana L.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arousal in self-reported emotion. Cognition & Emotion, 1997, 11.4: 383-402.
6) SCHMIDTKE, Jennifer Isom; HELLER, Wendy. Personality, affect and EEG: predicting patterns of regional brain activity related to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4, 36.3: 717-732.
7) NITSCHKE, Jonas P., et al. Stressed connections: cortisol levels following acute psychosocial stress disrupt affiliative mimicry in huma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020, 287.1927: 20192941.
8) KHAZI, Manzoor; KUMAR, Atul; VIDYA, M. J. Analysis of EEG using 10: 20 electrode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ve Research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12, 1.2: 185-191.
9) JURCAK, Valer; TSUZUKI, Daisuke; DAN, Ippeita. 10/20, 10/10, and 10/5 systems revisited: their validity as relative head-surface-based positioning systems. Neuroimage, 2007, 34.4: 1600-1611.
10) DOLCOS, Florin; LABAR, Kevin S.; CABEZA, Roberto. Dissociable effects of arousal and valence on prefrontal activity indexing emotional evaluation and subsequent memory: an event-related fMRI study. Neuroimage, 2004, 23.1: 64-74.
11) MCCRATY, Rollin, et al. The effects of emotions on short-ter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995, 76.14: 1089-1093.
12) KATMAH, Rateb, et al. A Review on Mental Stress Assessment Methods Using EEG Signals. Sensors, 2021, 21.15: 5043.
13) BEGUM, Shahina, et al. Diagnosis and biofeedback system for stress. I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Workshop on Wearable, Micro, and Nano Technologies for Personalized Health. IEEE, 2009. p. 17-20.
14) MCEWEN, Bruce S.; MORRISON, John H. The brain on stress: vulnerability and plasticity of the prefrontal cortex over the life course. Neuron, 2013, 79.1: 16-29.
15) SCHAEUBLE, Derek, et al. Prefrontal Cortex Regulates Chronic Stress-Induced Cardiovascular Susceptibility.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19, 8.24: e014451.
16) HAFEEZ, Yasir, et al. Investigating neurofeedback protocols for stress mitig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stimulus contents. IEEE Access, 2019, 7: 141021-141035.
17) GALVIN, Jennifer A., et al. The relaxation response: reducing stress and improving cognition in healthy aging adults. Complementary therapies in clinical practice, 2006, 12.3: 186-191.
18) CERQUEIRA, Joao J., et al. The prefrontal cortex as a key target of the maladaptive response to stress. Journal of Neuroscience, 2007, 27.11: 2781-2787.
19) KINNUNEN, M. L., et al. Stress and relaxation based on heart rate variability: Associations with self-reported mental strain and differences between waking hours and sleep. Promotion of Well-Being in Modern Society, 2006, 136-139.
20) ATTALLAH, Omneya. An effective mental stress state detection and evaluation system using minimum number of frontal brain electrodes. Diagnostics, 2020, 10.5: 292.
21) AL OSMAN, Hussein; DONG, Haiwei; EL SADDIK, Abdulmotaleb. Ubiquitous biofeedback serious game for stress management. IEEE Access, 2016, 4: 1274-1286.
22) WEN, Tee Yi, et al. Electroencephalogram (EEG) Human Stress Level Classification based on Theta/Beta Ratio.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engineering, 2020, 12.6: 174-180.
23) GOESSL, Vera C.; CURTISS, Joshua E.; HOFMANN, Stefan G. The effect of heart rate variability biofeedback training on stress and anxiety: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medicine, 2017, 47.15: 2578-2586.
사회가 복잡해지고, 복잡해지는 사회 내에서 경제 활동을 영위하는 현대인은 정신적 스트레스에 직면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ussel의 2차원 감성평면과 감성그리드를 융합하여 개발한 방사상 5점 척도의 2차원 감성평가 도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각성-이완을 평가하기 위한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와,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및 Poincare Plot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전극부착 위치와 얼굴근전도(facial electromyogram: fEMG)의 측정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심전도로부터 심박변이도(HRV)와 Poincare plot분석을 이용한 각성도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10 : 측정부
120 : 평가부
Claims (19)
-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의 측정부에서, 대상자가 갖는 감성에 따라 변화하는 뇌파에 관한 감성적 각성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부에서, 상기 대상자가 갖는 감성에 따라 변화하는 얼굴에 관한 쾌 불쾌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성적 각성도가, 상기 대상자의 자율신경계와 연관되는 육체적 각성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하면,
상기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의 평가부에서, 상기 감성적 각성도와 상기 쾌 불쾌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갖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자가 갖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단계는,
[수학식 1]
을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학식 1]에서의 Pn(r)은, 전극번호 n에서의 평균적인 power 비율이며, 전극번호 n에서의 뇌 피질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적 각성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자의 호흡변화와 심전도, 또는 상기 호흡변화와 광혈량도(photoplethysmogram: PPG)를 동시에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동시 측정 중, 호흡성 동성부정맥(respiratory sinus arrhythmia: RSA)이 나타나는 구간을, 상기 감성적 각성도로서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호흡성 동성부정맥(RSA)은,
상기 호흡변화에 의한 맥박의 불규칙적 변화를 나타내는 부정맥인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적 각성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시간영역의 시계열 신호인, 상기 대상자의 심전도, 또는 광혈량도(PPG)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심전도 또는 상기 광혈량도(PPG)에 대해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주파수 영역의 심박변이도 스펙트럼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심박변이도 스펙트럼 중 중간주파수 영역(Medium Frequency, MF 영역: 0.08~0.15 Hz)의 Power가 증가하면 감성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적 각성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우측 두정측두엽(P4)과, 앞이마 중앙부분(Fz)의 활성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상기 감성적 각성도를 논리곱 참으로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쾌 불쾌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좌측 눈썹 또는 우측 눈썹 위에 위치한 얼굴근전도(facial electromyogram: fEMG)의 값 M2는 증가하나 좌측 볼 또는 우측 볼에 위치한 fEMG의 값 M1은 증가하지 않는 배타적논리합(exclusive OR)과, 우측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동시에 참일 때, 상기 쾌 불쾌 정도 중 불쾌 정도로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은,
상기 평가부에서, 동방결절의 교감신경 조절과 부교감신경 조절을 구분하기 위한 전체적인 심신경(neurocardiac) 기능을 측정하는 비침습적인 생리지표로서의,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갖는 각성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변이도(HRV)의 파워스펙트럼은,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 보다 높은 비율로 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반영하는 LF 영역(0.01~0.08 Hz),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 만을 반영하는 HF 영역(0.15~0.4 Hz), 및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혼합된 영역이지만 교감신경계의 활성도 보다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높게 반영하는 MF 영역(0.08~0.15 Hz) 으로 구분되고,
상기 대상자가 갖는 각성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 균형에 관한 LF/HF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대상자의 감성적 각성도 또는 육체적 각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MF영역의 Power가 증가하는 경우, Poincare plot의 타원에서 장반경(SD2)과 단반경(SD1)의 비율(SD2/SD1)이 동시에 증가되면 감성적 각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은,
상기 평가부에서, 상기 감성적 각성도와 상기 쾌 불쾌 정도에 더해, 설문지의 답변에 따른, 상기 대상자의 생리 및 행동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가 갖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감성적 각성도와, 상기 쾌 불쾌 정도로 이뤄지는 좌표가, Russell의 2차원 감성평면의 제2사분면에 나타나면 스트레스 초기로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가 상기 2차원 감성평면의 제3사분면에 나타나면, 만성스트레스로 평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 대상자가 갖는 감성에 따라 변화하는 뇌파에 관한 감성적 각성도와, 상기 대상자가 갖는 감성에 따라 변화하는 얼굴에 관한 쾌 불쾌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감성적 각성도가, 상기 대상자의 자율신경계와 연관되는 육체적 각성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변화하면,
상기 감성적 각성도와 상기 쾌 불쾌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갖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평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부는,
[수학식 1]
을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고,
상기 [수학식 1]에서의 Pn(r)은, 전극번호 n에서의 평균적인 power 비율이며, 전극번호 n에서의 뇌 피질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대상자의 호흡변화와 심전도, 또는 상기 호흡변화와 광혈량도(PPG)를 동시에 측정하고, 상기 동시 측정 중, 호흡성 동성부정맥(RSA)이 나타나는 구간을, 상기 감성적 각성도로서 측정하며,
상기 호흡성 동성부정맥(RSA)은,
상기 호흡변화에 의한 맥박의 불규칙적 변화를 나타내는 부정맥인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시간영역의 시계열 신호인, 상기 대상자의 심전도, 또는 광혈량도(PPG)를 측정하고,
상기 심전도 또는 상기 광혈량도(PPG)에 대해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주파수 영역의 심박변이도 스펙트럼을 출력하며,
상기 심박변이도 스펙트럼 중 중간주파수 영역(MF 영역: 0.08~0.15 Hz)의 Power가 증가하면 감성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측정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우측 두정측두엽(P4)과, 앞이마 중앙부분(Fz)의 활성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상기 감성적 각성도를 논리곱 참으로 측정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좌측 눈썹 또는 우측 눈썹 위에 위치한 fEMG의 값 M2는 증가하나 좌측 볼 또는 우측 볼에 위치한 fEMG의 값 M1은 증가하지 않는 배타적논리합(exclusive OR)과, 우측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동시에 참일 때, 상기 쾌 불쾌 정도 중 불쾌 정도로 측정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동방결절의 교감신경 조절과 부교감신경 조절을 구분하기 위한 전체적인 심신경(neurocardiac) 기능을 측정하는 비침습적인 생리지표로서의, 심박변이도(HRV)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가 갖는 각성상태를 평가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변이도(HRV)의 파워스펙트럼은,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 보다 높은 비율로 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반영하는 LF 영역(0.01~0.08 Hz),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 만을 반영하는 HF 영역(0.15~0.4 Hz), 및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가 혼합된 영역이지만 교감신경계의 활성도 보다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높게 반영하는 MF 영역(0.08~0.15 Hz)으로 구분되고,
상기 평가부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활성도 균형에 관한 LF/HF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대상자의 감성적 각성도 또는 육체적 각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상기 MF영역의 Power가 증가하는 경우, Poincare plot의 타원에서 장반경(SD2)과 단반경(SD1)의 비율(SD2/SD1)이 동시에 증가되면 감성적 각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감성적 각성도와 상기 쾌 불쾌 정도에 더해, 설문지의 답변에 따른, 상기 대상자의 생리 및 행동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부는,
상기 감성적 각성도와, 상기 쾌 불쾌 정도로 이뤄지는 좌표가, Russell의 2차원 감성평면의 제2사분면에 나타나면 스트레스 초기로 평가하고,
상기 좌표가 상기 2차원 감성평면의 제3사분면에 나타나면, 만성스트레스로 평가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가 갖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통해, 상기 정신적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학식 2]는,
이고, 상기 [수학식 2]의 Aff(Va)은, 쾌락도(Affective Valence) 지표이며 '+'이면 쾌이고, '-'이면 불쾌로 평가하고,
상기 [수학식 3]은,
또는 이고, 상기 [수학식 3]의 Aff(Ar)은, P4 또는 Fz 위치에서 뇌 피질의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감성적 각성도(Affective Arousal) 지표이며 증가할수록 각성상태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감소할수록 각성상태가 낮아지는 것으로 평가하는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233A KR102494997B1 (ko) | 2020-09-28 | 2020-09-28 |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233A KR102494997B1 (ko) | 2020-09-28 | 2020-09-28 |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2873A KR20220042873A (ko) | 2022-04-05 |
KR102494997B1 true KR102494997B1 (ko) | 2023-02-06 |
Family
ID=8118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6233A Active KR102494997B1 (ko) | 2020-09-28 | 2020-09-28 |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949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63401A1 (ko) * | 2023-09-20 | 2025-03-27 |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 불안장애 모니터링 및 바이오 피드백 제공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17862A4 (en) * | 2014-11-11 | 2018-08-08 | Global Stress Index Pty Ltd | A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stress level and stress resilience level information for an individual |
-
2020
- 2020-09-28 KR KR1020200126233A patent/KR102494997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Maria E, etc., Emotion Recognition from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A Review. Electronic Notes in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343, pp.35~55 (2019)* |
Rahnuma K S, etc., EEG Analysis for Understanding Stress Based on Affective Model Basis Function. IEEE 15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umer Electronics. pp.592~597 (June, 2011)*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5063401A1 (ko) * | 2023-09-20 | 2025-03-27 |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 불안장애 모니터링 및 바이오 피드백 제공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2873A (ko) | 2022-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ttar et al. | Stress analysis based on simultaneous heart rate variability and EEG monitoring | |
Ishaque et al. | Trends in heart-rate variability signal analysis | |
Perogamvros et al. | Increased heartbeat-evoked potential during REM sleep in nightmare disorder | |
Seo et al. | Stress and EEG | |
EP1495715B1 (en) | A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combination of three phsysiological parameters for assessment of analgesia during anesthesia or sedation | |
Harder et al. |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sleep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
Schmid et al. | Review of wearable technologies and machine learning methodologies for systematic detection of mild traumatic brain injuries | |
Gevins et al. | Electroencephalography (EEG) in neuroergonomics. | |
Galvez-Pol et al. | Active tactile discrimination is coupled with and modulated by the cardiac cycle | |
Subhani et al. | Associa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EEG scalp potential during playing 2D grand turismo 5 | |
Hayashi et al. | Beta activities in EEG associated with emotional stress | |
JP2013233256A (ja) | 心拍変動指標を用いた精神症状及び精神疾患発病リスク評価法及び評価装置 | |
Nam et al. | Biological‐Signal‐Based User‐Interface System for Virtual‐Reality Applications for Healthcare | |
Sherlin et al. |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feedback in a stressed population exposed to a brief stressor demonstrated by quantitative EEG and sLORETA | |
Chatterjee et al. | Detection of mental stress using novel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brain activations | |
US20230233121A1 (en) | A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 level of anxiety | |
Pakniyat et al. | Age-based analysis of the brain activity during sleep induced by medication | |
Tiwari et al. | Movement artifact-robust mental workload assessment during physical activity using multi-sensor fusion | |
Jegan et al. | Mental stress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SVM classifier: A pilot study | |
KR102494997B1 (ko) | 생체신호 기반 불쾌도 및 감성적 각성도 측정을 이용한 정신적 스트레스 평가 방법 및 장치 | |
Gupta et al. | Overview of the effect of physiological stress on different biological signals | |
Pratiher et al. | Classification of VR-gaming difficulty induced stress levels using physiological (EEG & ECG) signals and machine learning | |
JP2023537996A (ja) | 修正された意識状態のレベルおよび/または疼痛のレベルと組み合わせたおよび/または相関した不安のレベル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Nirabi et al. | EEG signal analysis for mental stress classification: a review | |
Gupta et al. | Mobile ECG-based drowsiness det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