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26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268B1
KR102494268B1 KR1020170151594A KR20170151594A KR102494268B1 KR 102494268 B1 KR102494268 B1 KR 102494268B1 KR 1020170151594 A KR1020170151594 A KR 1020170151594A KR 20170151594 A KR20170151594 A KR 20170151594A KR 102494268 B1 KR102494268 B1 KR 102494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rs
bandwidth
base station
paramet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216A (ko
Inventor
유현일
김태영
신철규
남형주
노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60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73606B1/en
Priority to PCT/KR2018/011653 priority patent/WO2019066625A1/en
Priority to CN201880062945.2A priority patent/CN111149319B/zh
Priority to US16/148,545 priority patent/US10602518B2/en
Publication of KR2019003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216A/ko
Priority to US16/822,502 priority patent/US11330590B2/en
Priority to US17/739,452 priority patent/US1185656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전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 대역폭 부분(UE bandwidth part)를 고려한 단말 특정 SRS(UE-specific Sounding Reference Signal) 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Bandwidth part를 고려한 SRS를 전송할 때, 단말 특정(UE specific)으로 SRS 자원을 할당하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르면 LTE와 는 다르게 시스템 대역폭 (System bandwidth)을 고려하지 않고, 단말 대역폭(UE bandwidth)과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내의 대역폭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a 와 도 1b는 LTE에서 SRS frequency resource configuration을 위한 cell specific SRS parameter, C_SRS에 의한 SRS bandwidth설정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RS bandwidth tabl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양자화 된 SRS bandwidth를 지원함에 따른 문제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SRS의 주파수 위치를 조절하는 두 번째 방법을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SRS의 주파수 위치를 조절하는 두 번째 방법을 위한 단말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에 나타난 테이블을 기반으로, SRS bandwidth를 272 RB까지 확장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table을 이용하여 SRS를 할당하고,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단말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빔포밍이란 둘 이상의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를 활용하여 전파의 도달 영역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켜 전송 거리를 늘리면서 동시에 해당 집중된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는 줄어들어 불필요한 신호 간섭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술이다. 빔포밍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서비스 영역 증가/간섭 신호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최적의 빔을 형성하기 위한 기지국과 단말간 상호 빔의 방향 마출 필요가 있다. 즉, 최적의 빔 세기를 갖는 빔 방향을 찾아야한다.
하향링크의 경우 빔형성을 위한 훈련 신호로서 주기적인 동기신호 또는 UE specific 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을 이용할 수 있다. CSI-RS의 경우, FD-MIMO에서 하향링크 빔 훈련 신호로 이용해 왔다.
하지만, 상향링크의 경우, 이를 위한 훈련 신호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 상향링크 빔 훈련 신호로서, RACH(Random Access Channel),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UL DMRS(U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신호들중에서 RACH와 UL DMRS는 주기성을 지니지 않는다.
SRS의 경우, LTE에서 Cell Specific SRS configuration과 UE-specific SRS 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이 실제 전송하는 SRS subframe을 지정하여 전송하고 있다. 다음은 LTE에서 SRS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LTE에서 주파수 configuration을 위한 cell specific configuratio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도 1a 와 도 1b는 LTE에서 SRS frequency resource configuration을 위한 cell specific SRS parameter, C_SRS에 의한 SRS bandwidth설정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a와 도 1b를 도 1이라 지칭한다.
상향링크 bandwidth에 따라 도 1의 4개의 table중 하나를 선택하게되고, 선택한 table에서 C_SRS값에 따라 SRS bandwidth가 결정된다. 따라서 셀 내 모든 단말은 동일한 SRS bandwidth를 할당받게 되고, 할당받은 SRS bandwidth내에서 SRS를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5G 통신에서는 bandwidth part개념을 이용하여 운용한다. Bandwidth part란, system bandwidth 내에서, 단말의 capability가 system bandwidth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이 지원 가능한 bandwidth를 설정하여 bandwidth part로 운용할 수 있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단말이 지원 가능한 bandwidth가 10MHz이고, system bandwidth가 100MHz인 경우, bandwidth part는 단말이 지원가능한 bandwidth인 10MHz보다 작은 값을 설정하여 그 안에서 운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SRS 또한 cell specific configuration에 따른 SRS bandwidth를 지원할 수 없으므로, C_SRS가 UE-specific configuration을 통해 각각 단말에게 전송되고, 각각 단말이 서로 다른 SRS bandwidth를 할당받아 운용하게 된다. 따라서, 5G 통신을 위한 새로운 SRS bandwidth를 설계해야한다. 새로운 SRS bandwidth할당을 설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한다. 도 1에 나타난 B_SRS는 UE-specific SRS bandwidth를 나타낸다. 즉, B_srs=0인 경우, UE는 wideband SRS를 전송하고, B_srs=3인 경우, narrow band SRS를 전송하게 된다. LTE보다 더 넓은 SRS bandwidth할 때(예를 들어 272 RB), B_srs를 몇 개까지 고려해야하는가를 결정해야한다. 너무 작은 B_srs의 지원은 wideband SRS 전송과 narrow band SRS 전송 사이의 granularity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B_srs가 지원하는 UE-specific SRS bandwidth는 최소 단위의 SRS bandwidth의 배수로 만들어져야 하므로, LTE와 동일한 4의 B_SRS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LTE와 같이 4 가지의 uplink bandwidth에 따른 table을 정의하지 않고, 최소 단위의 BW(bandwidth)부터 최대 BW를 지원하는 table을 설계하고, UE capability에 따른 SRS bandwidth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RS bandwidth table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보다 넓은 SRS bandwidth를 지원하면서, UL bandwidth와 무관한 SRS bandwidth를 지원할 수 있는 SRS bandwidth table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난바와 같이, 단말은 기지국과 사전에 단말이 지원가능한 UL bandwidth 정보를 공유하고, 기지국은 이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C_SRS와 B_SRS를 UE-specific하게 할당한다. 단말은 C_SRS와 B_SRS에 따라, 해당 길이만큼의 SRS를 생성하고, wideband 또는 narrow band SRS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난 테이블은, 도 1에 나타난 테이블 기반으로 272 RB까지 확장하여 만들어졌다. 96RB를 초과하는 엔트리에 대해서는, 새로 설계가 필요하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96RB를 초과하는 엔트리는 다음과 같은 배경으로 설계되었다. 각 C_SRS의 B_SRS의 엔트리는 모두 4의 배수를 갖는다. 여기서 4는 SRS의 자원이 4의 RB의 배수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B_SRS = n)의 m_srs,n에 해당하는 값은, (B_srs =n+1)의 (m,srs,n+1)과 N_n+1의 곱으로 표현될수 있는 값들로 선정해야한다. 여기서, 예외적으로, 272 RB에 대해서는 272 RB보다 작은 엔트리들이 포함하지 않는 값을 설정하였다.
5G 시스템과 LTE가 공존하는 시나리오에서는, 다음과 같이 SRS bandwidth 을 설정할 수 있다. 셀내 모든 단말은 SIB를 통해 도 1에 나타난 cell specific SRS bandwidth를 할당받을 수 있다. 여기서, bandwidth part를 고려한 UE-specific한 BW를 운용하는 단말들은 필요시 도 2에 나타난 값을 UE-specific signalling을 통해 다시 수신하여, SRS bandwidth 를 갱신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table 기반의 SRS bandwidth를 운용할 시, 모든 가능한 UE specific BW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table 기반으로 양자화 함에 따라, 전체 UE BW를 sounding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양자화 된 SRS bandwidth를 지원함에 따른 문제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UE capability에 따른 BW와 기지국이 할당한 bandwidth part(BWP)내의 BW는 상이할 수 있다. 즉, BWP 내의 BW는 UE capability에 따른 BW보다 클 수 없다. 도 3은 이와 같이 양자화된 SRS bandwidth를 지원하면서, 전체 대역을 sounding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왼쪽 그림은, UE specific BW와 C-SRS로 할당된 SRS bandwidth가 다름에 따라 전 대역의 채널을 추정할 수 없는 문제를 보여준다. 기지국은 SRS를 통해 추정한 채널을 기반으로, 단말의 하향/상향링크 scheduling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 대역에 SRS를 전송해야하는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은 UE-specific signaling(DCI/MAC CE/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에게 SRS의 주파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SRS의 주파수 위치를 조절하는 첫번 째 방법으로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정 Offset을 할당하여 이전에 sounding하지 못한 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게 SRS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도 4와 5는 이와 같이 offset을 이용한 SRS를 전송하기 위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Offset을 이용한 SRS 전송 주파수 위치를 변경하고, 이에 맞게 수신하는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100과정에서 기지국은 셀 내 단말들의 bandwidth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한다. 즉, 단말은 단말이 지원가능한 bandwidth 정보를 기지국에게 알려준다. 이를 바탕으로 기지국은 bandwidth in bandwidth part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SRS 를 전송하기 위한 SRS bandwidth(SRS BW)를 설정한다. SIB 또는 UE –specific signaling(RRC / MAC CE 또는 DCI)를 통해 단말에게 설정한 SRS BW를 알려준다. 120 과정에서는 UE-specific SRS 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이 실제 SRS를 전송하는 UE SRS BW를 할당한다. 130과정에서는 단말이 SRS를 전송할 때, 주파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offset 값을 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이 offset 값은 110과 120과정에서, RRC configur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SRS 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해당 offset 값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SRS를 생성할 때부터 offset을 고려하여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RRC configuration과는 별개로, DCI/MAC CE을 이용하여 offset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RRC configuration으로 SRS를 생성하고, 실제 전송 시, offset값을 반영할지 DCI/MAC CE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130과정에서 offset 값을 전달했는지의 판단에 따라, 0이 아닌 offset 값을 단말에게 전달하였으면 (140), offset 값 만큼 주파수를 이동하여 단말이 전송한 SRS를 수신하고, offset 값을 전달하지 않았거나 0으로 할당한 경우, 기존 방법과 동일하게 SRS를 수신한다(1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Offset을 이용한 SRS 전송 주파수 위치를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맞게 SRS를 전송하는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 200은 기지국으로부터 SIB 또는 UE-specific signaling(RRC, DCI, MAC CE등)을 통해 SRS BW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210은 UE-specific SRS configuration을 통해 UE SRS BW를 할당받는 과정이다. 220과정에서는 단말이 SRS 전송할 때, 주파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offset 값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이 offset 값은 200 또는 210 과정에서, RRC configuration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SRS configuration을 수신하면, 해당 offset값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SRS를 생성할 때부터 offset값을 고려하여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SRS의 RRC configuration과는 별개로, DCI/MAC CE등을 이용하여 offset 값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SRS의 RRC configuration을 통해 SRS를 생성하고, 실제 전송 시에 offset 값을 반영할지를 DCI/MAC CE등으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220과정에서 전달된 offset 값에 따라, 0이 아닌 offset값을 단말이 추정하면(230), offset 값 만큼 주파수를 이동하여 SRS를 송신한다. 여기서, offset값은 Hz 단위, RB 단위 또는 RE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Offset 값이 전달되지 않았거나, 0으로 할당된 경우, offset값을 적용하지 않고 기존 방법과 동일하게 SRS를 송신한다.
SRS의 주파수 위치를 조절하는 두번 째 방법은, SRS의 전송을 전송하기 위한 시작과 끝 위치를 단말에게 알려주는 방법이다. SRS를 전송하기 위한 시작과 끝 위치는, system bandwidth기반의 physical index로 알려줄 수 있다. 또는, UE BW내에서의 논리적인 RB 인덱스를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은 SRS 전송을 위한 시작과 끝의 위치는 UE-specific signaling(DCI/MAC CE/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SRS의 주파수 위치를 조절하는 두 번째 방법을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RS 전송을 위한 주파수의 시작과 끝의 위치를 단말에게 알려주는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300에서는, 기지국은 셀 내 단말들의 bandwidth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한다. 즉, 단말이 지원가능한 bandwidth 정보를 기지국에게 알려준다. 이를 바탕으로 기지국은 bandwidth in bandwidth part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SRS 를 전송하기 위한 SRS bandwidth(SRS BW)를 설정한다. 310과정에서는 설정한 SRS BW를 SIB 또는 UE-specific signaling(RRC / MAC CE 또는 DCI)를 통해 단말에게 설정한 SRS BW를 알려준다. 320 과정에서는 UE-specific SRS 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이 실제 SRS를 전송하는 UE SRS BW를 할당한다. 330 단말의 SRS 전송 위치를 변경 할 수 있도록, 시작과 끝이 위치를 UE specific signalling을 통해 단말에게 알려주는 과정이다. 여기서, 시작과 끝의 위치는 Hz, RE index, RB index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340에서 할당한 UE SRS의 시작 및 끝의 위치로부터 단말이 전송한 SRS를 수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SRS의 주파수 위치를 조절하는 두 번째 방법을 위한 단말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RS 전송을 위한 주파수의 시작과 끝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SRS를 전송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400은 기지국으로부터 SIB 또는 UE-specific signaling(RRC, DCI, MAC CE등)을 통해 SRS BW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410은 UE-specific SRS configuration을 통해 UE SRS BW를 할당받는 과정이다. 420과정에서는 단말이 SRS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위치를 할당받는 과정이다. 단말은 UE specific signaling을 통해, 단말이 SRS전송하기 위한 시작 주파수 위치, 끝의 위치 또는 시작과 끝의 위치를 할당받을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정보는 system bandwidth를 기준으로 physical PRB index 0을 기준으로 한 절대적인 값일 수 있다. 즉, physical PRB index 0을 기준으로, Hz, RE index, 또는 RB index를 할당받는 것이다. 또는 UE BW를 기준으로 시작과 끝의 값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즉, UE BW RB index를 0으로 기준삼아, Hz 단위, RE, RB index를 할당 받을 수 있다. 430과정을 할당받은 SRS의 시작과 끝의 위치를 기반으로 SRS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4와 도 6의 실시 예는 결합되어 실시 될 수 있으며, 도 4와 도 6의 실시 예의동작 중 일부 동작을 결합하여 실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와 도 7의 실시 예는 결합되어 실시 될 수 있으며, 도 5와 도 7의 실시 예 동작 중 일부 동작을 결합하여 실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송수신부 (810), 제어부 (820), 저장부 (8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8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8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8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930)는 상기 송수신부 (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9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은 송수신부 (910), 제어부 (920), 저장부 (9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9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9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9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930)는 상기 송수신부 (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9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에 나타난 테이블을 기반으로, SRS bandwidth를 272 RB까지 확장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0a 및 도 10b를 도 10이라 지칭한다.
도 2에 나타난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96 RB를 초과하는 엔트리에 대해서는 새로운 설계가 필요하다. 96RB를 초과하는 엔트리는 다음과 같은 배경으로 설계되었다. 각 C_SRS의 B_SRS의 엔트리는 모두 4의 배수를 갖는다. 여기서 4는 SRS의 자원이 4의 RB의 배수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마지막 column인 B_srs=3에서는, SRS할당의 최소 단위인 4 RB를 지원한다. 그리고, 그물 구조의 첫 번째 특징으로서, (B_SRS = n)의 m_srs,n에 해당하는 값은, (B_srs =n+1)의 (m,srs,n+1)과 N_n+1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는 값들로 선정해야 한다. 또한, 96 RB이상을 지원할 때, 기존 entry (96 RB이하)를 활용하는 그물구조를 갖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120RB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절반인 60RB를 지원하고, 60RB에 대한 지원은 configuration index 11번에 정의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이로써 기지국은 다수의 entry를 지원할 때 SRS detection의 복잡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96 RB이상, 272RB이하의 값을 갖을 수 있는 entry중, 기존 엔트리 내의 값을 재사용하여 새로운 엔트리 내의 원소로 적용하는 그물 구조를 이용한 값들을 선택하여 SRS bandwidth configuration에 적용한다(31,37,47,48,54, 그리고 58번째 index). 여기서, 예외적으로, 272 RB에 대해서는 272 RB보다 작은 엔트리들이 포함하지 않는 값을 설정하였다. 또한 bandwidth part가 지원하는 RB 보다 작으면서 가장 큰 4의 배수 RB를 지원할수 있다(20,33,51, 그리고 60번째 index). 이로 인해 bandwidth part에 가장 근접한 SRS bandwidth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8의 배수 및 16의 배수를 포함하는 entry를 고려하면서, Bsrs=1,2,3에 대해 4의 배수로 나뉠 수 있는 ent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는, 그물구조의 특성/Bandwidth part의 bandwidth를 지원/Bsrs=0이 8 또는 16의 배수이면서 Bsrs=1,2,3이 4의 배수를 갖는 entry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10에 나타난 table을 이용하여 SRS를 할당하고,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단말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셀 내 단말들의 maximum bandwidth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하고, SRS를 전송할 bandwidth를 설정한다(1100).
설정한 SRS bandwidth(SRS BW)는 도 10에 나타난 table의 SRS bandwidth configuration(C_srs) 의 인덱스로 설정할 수 있다(1110). 여기서, SRS BW는 UE가 지원 가능한 bandwidth 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다음, 단말이 한번에 전송하는 SRS의 길이를 알려주는 UE SRS BW를 도 10에 나타난 테이블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알려준다(1120). UE SRS BW가 SRS BW와 같으면 단말은 주기적인 SRS을 전송할 때 단말은 한번 전송하고, UE SRS BW가 SRS BW보다 작은 경우, 단말은 여러 번에 걸쳐 SRS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S BW가 120RB이고, UE SRS BW가 40RB로 설정되면, 주기적인 SRS를 전송하는 단말은 frequency hopping을 통해 3번에 걸쳐 SRS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에 이에 대응하여 SRS를 수신해야 한다.
기지국은 할당된 SRS bandwidth와 UE SRS BW를 기반으로 SRS를 수신한다(1130).
도 12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SRS BW를 설정하기 위해 UE가 지원 가능한 bandwidth 정보를 송신한다(1200). 기지국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bandwidth part를 고려한 UE specific한 SRS BW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SRS bandwidt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1210). SRS BW는 1200 동작에서의 max. UE bandwidth보다 작거나 같다. SRS BW는 도 10에 나타난 table의 C_srs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다음, 단말은 SRS bandwidth configuration을 통해 UE SRS BW를 수신한다(1220). 여기서, UE SRS BW는 (1210)의 SRS BW보다 작거나 같다. UE SRS BW 또한 도 10에 나타난 table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할당 받은 SRS BW와 UE SRS BW를 기반으로 SRS를 송신한다(1230).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와 연관된 제1 파라미터(BSRS) 및 제2 파라미터(CSRS)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표를 기반으로 상기 SRS 에 대한 대역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식별된 상기 SRS 에 대한 대역폭에 기반하여 상기 SRS 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표는
    Figure 112022096166859-pat00001

    Figure 112022096166859-pat0000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에 기반하는 오프셋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역폭에 대한 시작점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RS 는 상기 대역폭과 상기 식별된 시작점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SRS 에 대한 상기 대역폭은 최대 272 개의 자원 블록들까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와 연관된 제1 파라미터(BSRS) 및 제2 파라미터(CSRS)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SRS 에 대한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표를 기반으로 식별된 대역폭에 기반하여 상기 SRS 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표는
    Figure 112022096166859-pat00003

    Figure 112022096166859-pat0000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에 기반하는 오프셋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SRS 는 상기 대역폭과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대역폭에 대한 시작점에 기반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SRS 에 대한 상기 대역폭은 최대 272 개의 자원 블록들까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와 연관된 제1 파라미터(BSRS) 및 제2 파라미터(CSRS)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표를 기반으로 상기 SRS 에 대한 대역폭을 식별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식별된 상기 SRS 에 대한 대역폭에 기반하여 상기 SRS 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표는
    Figure 112022096166859-pat00005

    Figure 112022096166859-pat000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에 기반하는 오프셋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역폭에 대한 시작점을 식별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SRS 는 상기 대역폭과 상기 식별된 시작점에 기반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SRS 에 대한 상기 대역폭은 최대 272 개의 자원 블록들까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삭제
  13.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을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한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와 연관된 제1 파라미터(BSRS) 및 제2 파라미터(CSRS)를 전송하고,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SRS 에 대한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표를 기반으로 식별된 대역폭에 기반하여 상기 SRS 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표는
    Figure 112022096166859-pat00007

    Figure 112022096166859-pat0000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공통 자원 블록(common resource block) 에 기반하는 오프셋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SRS 는 상기 대역폭과 상기 오프셋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된 상기 대역폭에 대한 시작점에 기반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SRS 에 대한 상기 대역폭은 최대 272 개의 자원 블록들까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삭제
KR1020170151594A 2017-09-29 2017-11-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4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60531.5A EP3673606B1 (en) 2017-09-29 2018-10-01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8/011653 WO2019066625A1 (en) 2017-09-29 2018-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880062945.2A CN111149319B (zh) 2017-09-29 2018-10-01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发送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US16/148,545 US10602518B2 (en) 2017-09-29 2018-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822,502 US11330590B2 (en) 2017-09-29 2020-03-18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739,452 US11856566B2 (en) 2017-09-29 2022-05-0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27953 2017-09-29
KR1020170127953 2017-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216A KR20190038216A (ko) 2019-04-08
KR102494268B1 true KR102494268B1 (ko) 2023-02-02

Family

ID=6616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594A KR102494268B1 (ko) 2017-09-29 2017-11-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73606B1 (ko)
KR (1) KR102494268B1 (ko)
CN (1) CN111149319B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17B1 (ko) * 2009-05-15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94815B1 (ko) * 2009-05-15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868322B2 (ja) * 2009-09-21 2016-02-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ウンディング参照信号の転送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2888918B1 (en) * 2012-08-23 2020-1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roviding physical layer resources to different serving sites
CN105812088A (zh) * 2014-12-30 2016-07-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探测参考信号srs发送方法、装置及接收方法、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5474*
3GPP R1-171596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49319A (zh) 2020-05-12
EP3673606A1 (en) 2020-07-01
EP3673606A4 (en) 2020-08-19
CN111149319B (zh) 2023-03-28
KR20190038216A (ko) 2019-04-08
EP3673606B1 (en)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132B1 (ko) 밀리미터 웨이브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47886B1 (ko) V2x 시스템에서 dmrs 정보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591862B1 (ko) 다중 송신 포인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준 신호의 설정
CN110754043B (zh) 用于新无线电的频率选择性上行链路预编码
KR10247452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srp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122958A (ko) 다운링크/업링크(dl/ul) 간 빔 연계 방법 및 장치
EP3741077B1 (en) Reference resource indication techniqu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52728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645317B1 (ko) mmWave 시스템을 위한 beamforming 기반 송수신 동작 방식 및 장치
CN112840582B (zh) 针对功率效率的调制和编码方案表设计
CN113711656A (zh) 非周期性和跨分量载波定位参考信号
CN110291747A (zh) 用户设备及无线通信方法
KR102363564B1 (ko) 랜덤억세스 및 핸드오버 수행 방식
KR102602339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준 신호 설정
KR201900198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운딩 기준 신호의 구성을 위한 방법
US118565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06458A (ko) 밀리미터파 대역들에서의 자기-간섭 및 크로스-링크 간섭 측정들을 위한 방법들
KR102488339B1 (ko) 다중 스케쥴링 요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117301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동기화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2504455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srs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100553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형식 cg의 전송시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42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5654602B2 (ja)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KR10241547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22069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