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15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158B1
KR102494158B1 KR1020180092269A KR20180092269A KR102494158B1 KR 102494158 B1 KR102494158 B1 KR 102494158B1 KR 1020180092269 A KR1020180092269 A KR 1020180092269A KR 20180092269 A KR20180092269 A KR 20180092269A KR 102494158 B1 KR102494158 B1 KR 10249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play device
linear plate
camera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088A (ko
Inventor
최진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1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홀이 형성된 도광판; 상기 카메라홀에 삽입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카메라홀 내측에 삽입되어 입광부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유입시켜 상기 카메라홀의 둘레 영역을 따라 이동시키고 출광부로 전달하여 방출시키는 빛 전달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또는 표시장치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디스플레이는 자체가 빛을 내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발광형과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이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디스플레이들 중에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같은 화면 크기의 브라운관에 비해 평균소비전력도 작을 뿐만 아니라 방열량도 적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의 하부에 광원을 두고, 액정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액정의 배열을 제어함으로써 광원에서 발생된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화상을 구현 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전자 장비에 적용된다. 특히, 액정 표시장치는 커버 글라스(cover glass) 하부에 액정 패널이 배치되고, 액정 패널 하부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되고, 액정 패널 또는 백라이트 유닛을 수납하거나 지지하는 커버 바텀(Cover Bottom)을 포함하고 있다.
근래의 디스플레이는 두께가 얇은 슬림 베젤(Slim Bezel)과, 초박형 디스플레이를 지향하게 되면서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 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모바일 기기 등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림 베젤을 넘어서 기기 내에서 액정 패널의 가시 영역을 최대한 넓히도록 베젤의 폭을 최대한 얇게 줄인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카메라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에서 내로우 베젤 구현을 위해 액정 패널을 기기의 전면으로 확장하는 경우, 카메라가 설치된 영역까지 확장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가 설치된 카메라홀 영역의 액정 패널, 편광판, 백라이트 유닛은 관통홀이 타공되거나 투명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내로우 베젤 디스플레이에서 카메라홀 영역의 암부를 제거할 수 있고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홀이 형성된 도광판; 상기 카메라홀에 삽입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카메라홀 내측에 삽입되어 입광부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유입시켜 상기 카메라홀의 둘레 영역을 따라 이동시키고 출광부로 전달하여 방출시키는 빛 전달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빛 전달링은, 상기 입광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입사부; 상기 입사부로부터 유입된 빛을 상기 카메라홀의 둘레 영역을 따라 이동시키는 선회부; 및 상기 선회부를 따라 이동한 빛을 상기 출광부로 방출시키는 출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사부는 상기 입광부로부터 유입되는 빛과 수직을 이루도록 카메라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선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선형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제1 선형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선형 플레이트 및 제3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사부는 상기 입광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카메라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3 선형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선형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제3 선형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4 선형 플레이트 및 제5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빛을 확산시키는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점 패턴(Dot Pattern),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선회부는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곡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부는 상기 입사부의 선형 플레이트와 상기 출사부 선형 플레이트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 곡선형 플레이트; 및 상기 입사부의 선형 플레이트와 상기 출사부 선형 플레이트의 타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2 곡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 전달링은 도광판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빛 전달링의 내측에는 전반사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반사 코팅은 은반사 코팅, 비전도성 진공증착(NCVM) 증착, 반사 시트(Reflector Sheet) 삽입, 화이트(white) 인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빛 전달링은 폴리 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PolyMethylMethacrylAte), 유리(Glass), 실리콘(Silicon), 자외선 수지(UV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 전달링은 굴절률이 1.49 내지 1.6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도광판의 카메라홀 영역에 빛 전달링을 설치함으로써 카메라홀 영역의 암부를 제거할 수 있고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카메라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의 장치의 (a) 정면도 및 (b) 커버 글라스와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영역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카메라홀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빛 전달링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로서 빛 전달 과정을 보여준다.
도 6은 빛 전달링이 사용되지 않은 카메라홀 영역의 암부 발생을 보여준다.
도 7은 빛 전달링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빛 전달링이 카메라홀에 (a)장착되지 않은 경우 (b)장착된 경우에 관한 시뮬레이션 실험결과이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의 카메라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의 장치의 (a) 정면도 및 (b) 커버 글라스와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영역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면에 카메라(2)를 구비하며, 커버 글라스(10)로 덮여진 액정 패널(200)의 가시 영역을 최대한 넓히도록 베젤의 폭을 최대한 얇게 줄인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고 있다.
커버 글라스(10)는 상면에 보호필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라스(10)는 터치패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 줄을 촘촘하게 설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감압식과, 커버 글라스(10) 표면에 전하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들을 설치한 후 접촉 시에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정전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10)의 아래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편광판(110)이 위치하며, 상부 편광판(110)에는 카메라(2)의 동작을 위해 관통홀(H)이 타공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편광판(110)에 형성된 관통홀(H)은 카메라(도 2에는 미도시)가 설치되는 카메라홀(CH)과 대응되는 위치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관통홀(H)과 카메라홀(CH)의 사이에는 액정 패널(200)이 위치하며, 액정 패널(200)은 관통홀(H)과 카메라홀(CH)의 사이에 위치하는 투명부(230)를 가질 수 있다.
액정 패널(200)은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영상을 출력하며,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210)과, 어레이 기판(220) 및 컬러필터 기판(210)과 어레이 기판(220) 사이의 셀 갭이 형성된 액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기판(210)은 적, 녹, 청(RGB)의 색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서브-컬러필터로 구성된 컬러필터와, 서브-컬러필터 사이를 구분하고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을 차단하는 블랙매트릭스, 그리고 컬러필터와 블랙매트릭스 위에 형성된 오버코트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레이 기판(220)에는 종횡으로 배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의 교차영역에는 스위칭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라인에 연결된 게이트전극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된 소오스전극 및 화소전극에 연결된 드레인전극으로 구성된다.
컬러필터 기판(210)과 어레이 기판(220)이 합착된 액정 패널(200)에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하며,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액정층의 액정은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전계에 따라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소별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화소별로 제어하기 위해서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스위칭소자는 화소들에 개별적으로 구비된다.
투명부(230)는 카메라홀(CH) 및 관통홀(H)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카메라(2)가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부(230)는 컬러필터 기판(210) 층의 서브 필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액정 패널(200)의 일부 영역을 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컬러필터 기판(210)과 어레이 기판(220)의 외측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편광판(110, 120)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편광판(120)은 백라이트 유닛(300)을 경유한 빛을 어레이 기판(220) 방향으로 편광시키며, 상부 편광판(110)은 액정 패널(200)을 경유한 빛을 편광시킨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액정 패널(200) 하부에 배치되는 도광판(320)과, 도광판(3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효율을 향상시켜 액정 패널(200)에 조사하는 다수의 광학 시트(310)와, 반사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320)은 광원(미도시)로부터 빛을 제공받고, 이 빛을 액정 패널(200) 방향으로 안내한다. 도광판(320)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MethacrylAte)나 폴리 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학 시트(310)는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를 포함하며, DBEF와 같은 휘도 강화 필름 및 보호시트가 추가될 수 있다. 광학 시트(310)는 도광판(320)의 상면과 액정 패널(200)의 후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반사판(330)은 커버 바텀(400)과 도광판(320)의 배면 사이에 위치한다. 반사판(330)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과 도광판(320)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액정 패널(200) 방향으로 반사한다. 광원에서 출사된 빛은 투명한 재질의 도광판(320) 측면으로 입사되고, 도광판(320)의 배면에 배치된 반사판(330)은 도광판(320)의 배면으로 투과되는 빛을 도광판(320) 상면의 광학 시트(310) 방향으로 반사시켜 빛의 손실을 줄이고 휘도의 균일도를 향상시킨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300)은 커버 바텀(400)의 내부에 수납된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300)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적용될 수 있다.
커버 바텀(400)은 백라이트 유닛(300)과 가이드 패널(180)을 내부에 수납시키며 상술한 액정 패널(20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바텀(400)은 베젤 영역의 최소화 및 슬림화를 위하여 바닥부와 측면부로만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커버 바텀(400)은 사각판 형상의 바닥부와, 바닥부의 일측에서 일정 높이 상부로 돌출된 측면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커버 바텀(400)은 예시적일 뿐 다양한 형상의 커버 바텀(400)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부 편광판(110)에는 관통홀(H)이 형성되고, 백라이트 유닛(300)과 커버 바텀(400)에는 카메라(2)가 설치되는 카메라홀(CH)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액정 패널(200)의 투명부(230)는 관통홀(H)과 카메라홀(CH)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3은 실시예의 카메라홀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빛 전달링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로서 빛 전달 과정을 보여주고, 도 6은 빛 전달링이 사용되지 않은 카메라홀 영역의 암부 발생을 보여준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가 카메라홀(CH)의 주변의 암부 발생을 억제하고,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 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광판(320)에는 카메라홀(CH)이 관통 형성되고, 카메라홀(CH)에는 카메라(2)가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빛 전달링(500)은 카메라(2)의 둘레를 감싸도록 카메라홀(CH)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빛 전달링(500)은 상술한 LED 등 광원이 위치한 입광부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유입시켜 카메라홀(CH)의 둘레 영역을 따라 이동시키고 출광부로 전달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빛 전달링(500)은 폴리 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PolyMethylMethacrylAte), 유리(Glass), 실리콘(Silicon), 자외선 수지(UV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빛 전달링(500)은 내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광판(320)과 유사한 1.49 내지 1.6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빛 전달링(500)은 도광판(320)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빛 전달링(500)은 도광판(320)과 조화를 이루면서 카메라홀(CH) 영역의 빛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 전달링(500)은 입사부(510), 선회부(530, 540) 및 출사부(520)를 포함하는 링(Ring)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입사부(510)는 입광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영역을 이루며, 선회부(530, 540)는 입사부(510)로부터 유입된 빛을 카메라홀(CH)의 둘레 영역을 따라 이동시키고, 출사부(520)는 선회부(530, 540)를 따라 이동한 빛을 출광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빛 전달링(500)은 빛의 직진성, 굴절 및 반사 등 빛의 성질을 이용하여 입광부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양을 늘리고, 선회부(530, 540)를 통해 경로를 변경하여 출광부로 방출시키면서 암부를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입사부(510)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사부(510)를 이루는 선형 플레이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광부로부터 유입되는 빛과 수직을 이루도록 카메라홀(CH)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입사부(510)는 입광부로부터 유입되는 빛과 수직인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면, 입광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유입면적을 넓힘으로써 빛 전달링(500)에 보다 많은 빛을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입사부(510)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빛을 확산시키는 패턴(511, 512)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입사부(510)를 이루는 선형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내측면에는 모두 패턴(511, 512)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패턴(511, 512)은 점 패턴(Dot Pattern),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점 패턴은 단면이 점으로 보이지는 반구형상의 돌출부가 표면 상에 다수개가 배치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점 패턴은 엠보싱, 물방울 패턴으로 불릴 수 있다.
프리즘 패턴은 표면에 프리즘 형상의 돌출부가 표면 상에 다수개가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 패턴은 삼각기둥 형상의 돌출부, 반원기둥 형태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V-Cut 패턴, U-Cut으로 불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511, 512)을 포함하는 입사부(510)는 빛의 입사효율을 최대로 증대시켜 선회부(530, 5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출사부(520)는 입사부(510)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출사부(520)를 이루는 선형 플레이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광부와 나란하게 카메라홀(CH)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출사부(520)가 입사부(51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면, 출광부로 유출되는 빛의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보다 많은 빛을 유출시켜서 암부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출사부(520)의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빛을 확산시키는 패턴(521, 522)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출사부(520)를 이루는 선형 플레이트의 외측면과 내측면에는 모두 패턴(521, 522)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패턴(521, 522)은 점 패턴(Dot Pattern),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521, 522)을 포함하는 출사부(520)는 빛의 출사효율을 최대로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입사부(510)와 출사부(520)는 빛의 입사량 또는 방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서로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거나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부(530, 540)는 입사부(510)와 출사부(520)를 연결하며 카메라홀(CH) 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곡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형 플레이트는 카메라홀(CH)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선회부(530, 540)는 입사부(510)로부터 유입된 빛을 굴절 및 반사시켜 출사부(5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곡선형 플레이트(530, 540)는 입사부(510)의 좌측과 출사부(520)의 좌측을 연결하는 제1 곡선형 플레이트(530)와, 입사부(510)의 우측과 출사부(520)의 우측을 연결하는 제2 곡선형 플레이트(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빛 전달링(500)은 도광판(320)에 관통된 카메라홀(CH)에 삽입 장착되어 도 5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동작시, 입광부로부터 발생된 빛은 카메라홀(CH)에 장착된 빛 전달링(500)으로 전달된다. 이때, 빛은 직진성을 가지므로 빛 전달링(500)의 입사부(510)는 입광부로부터 유입되는 빛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는 선형 플레이트로 구현되므로 많은 빛을 유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입사부(510)를 이루는 선형 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패턴(511, 512)이 형성되므로 유입된 빛을 효율적으로 굴절 및 반사시켜 선회부(530, 5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선회부(530, 540)는 입사부(5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곡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므로, 입사부(510)를 통과한 빛은 각각 제1 곡선형 플레이트(530)와 제2 곡선형 플레이트(540)를 따라 선회하면서 출사부(52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출사부(520)는 입사부(510)와 마찬가지로 양측면에 패턴이 형성된 선형 플레이트로 구현될 수 있고, 입광부와 나란하게 카메라홀(CH)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출사부(520)는 출광부로 유출되는 빛의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보다 많은 빛을 유출시켜서 암부를 개선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 전달링(500)이 포함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카메라홀(CH)의 뒤쪽까지 입광부의 빛이 전달되지 않아 암부(D)가 발생하던 현상을 본 발명은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빛 전달링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빛 전달링(500a)은 입사부(510a, 531a, 541a)와 출사부(520a, 532a, 542a)의 형태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입사부(510a, 531a, 541a)는 입광부의 빛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선형 플레이트(510a)와, 제1 선형 플레이트(510a)와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제1 선형 플레이트(510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선형 플레이트(531a), 및 제3 선형 플레이트(541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선형 플레이트(510a), 제2 선형 플레이트(531a), 제3 선형 플레이트(541a)의 양측면에도 각각 패턴(511a, 512a, 531a-1, 531a-2, 541a-1, 541a-2) 이 형성될 수 있다.
출사부(520a, 532a, 542a)는 출광부의 빛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4 선형 플레이트(520a)와, 제4 선형 플레이트(520a)와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제4 선형 플레이트(520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5 선형 플레이트(532a), 및 제6 선형 플레이트(542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선형 플레이트(520a), 제5 선형 플레이트(532a), 제6 선형 플레이트(542a)의 양측면에도 각각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선회부(530-1, 540-1)는 제2 선형 플레이트(531a)와 제5 선형 플레이트(532a)를 연결하는 제1 곡선형 플레이트(530-1)와, 제3 선형 플레이트(541a)와 제6 선형 플레이트(542a)를 연결하는 제2 곡선형 플레이트(54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빛 전달링(500)의 내측에는 전반사 코팅(600)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반사 코팅(600)은 빛 전달링(500)의 내측 표면에 은반사 코팅, 비전도성 진공증착(NCVM) 증착, 반사 시트(Reflector Sheet) 삽입, 화이트(white) 인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반사 코팅(600)은 빛 전달링(500)의 내측면 모두에 이루어거나 선회부(530, 540)의 내측면, 입사부(510)의 내측면, 출사부(520)의 내측면 등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반사 코팅(600)이 형성된 빛 전달링(500)은 빛 반사 효율을 증가시켜 출사부(520)로 방출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홀(CH) 방향으로 빛이 누설되는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반사 코팅(600)은 전술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빛 전달링이 카메라홀에 (a)장착되지 않은 경우 (b)장착된 경우에 관한 시뮬레이션 실험결과이다.
도 8의 (a)을 참조하면, 빛 전달링(500)이 장착되지 않은 카메라홀(CH) 영역에는 빛샘 영역(Z)이 관찰되며, 카메라홀(CH)의 뒤쪽에는 암부(D)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8의 (b)를 참조하면, 빛 전달링(500)이 카메라홀(CH)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메라홀(CH)의 뒤쪽에는 암부(D1)가 발생하지 않으며, 빛샘 영역(Z1) 또한 관찰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홀 영역에 빛 전달링을 삽입함으로써 카메라홀 영역의 암부를 제거할 수 있고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로우 베젤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전자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2 : 카메라
H : 관통홀 CH : 카메라홀
10 : 커버 글라스 110 : 상부 편광판
120 : 하부 편광판 200 : 액정 패널
210 : 컬러필터 기판 220 : 어레이 기판
230 : 투명부 300 : 백라이트 유닛
310 : 광학 시트(sheet) 320 : 도광판
330 : 반사판 400 : 커버 바텀
500 : 빛 전달링 510 : 입사부
520 : 출사부 530, 540 : 선회부
511, 512, 521, 522 : 패턴 510a : 제1 선형 플레이트
531a : 제2 선형 플레이트 541a : 제3 선형 플레이트
520a : 제4 선형 플레이트 532a : 제5 선형 플레이트
542a : 제6 선형 플레이트 530, 530-1 : 제1 곡선 플레이트
540, 540-1 : 제2 곡선 플레이트 600 : 전반사 코팅

Claims (14)

  1. 카메라홀이 형성된 도광판;
    상기 카메라홀에 삽입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카메라홀 내측에 삽입되어 입광부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유입시켜 상기 카메라홀의 둘레 영역을 따라 이동시키고 출광부로 전달하여 방출시키는 빛 전달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 전달링은,
    상기 입광부로부터 빛이 유입되는 입사부;
    상기 입사부로부터 유입된 빛을 상기 카메라홀의 둘레 영역을 따라 이동시키는 선회부; 및
    상기 선회부를 따라 이동한 빛을 상기 출광부로 방출시키는 출사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는 적어도 하나의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는
    상기 입광부로부터 유입되는 빛과 수직을 이루도록 카메라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선형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선형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제1 선형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 선형 플레이트 및 제3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부는
    상기 입광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카메라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4 선형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선형 플레이트와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상기 제4 선형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5 선형 플레이트 및 제6 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빛을 확산시키는 패턴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점 패턴(Dot Pattern),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는 상기 입사부와 상기 출사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곡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는
    상기 입사부의 선형 플레이트와 상기 출사부 선형 플레이트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1 곡선형 플레이트; 및
    상기 입사부의 선형 플레이트와 상기 출사부 선형 플레이트의 타측을 각각 연결하는 제2 곡선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 전달링은 상기 도광판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 전달링의 내측에는 전반사 코팅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코팅은 은반사 코팅, 비전도성 진공증착(NCVM) 증착, 반사 시트(Reflector Sheet) 삽입, 화이트(white) 인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빛 전달링은 폴리 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PolyMethylMethacrylAte), 유리(Glass), 실리콘(Silicon), 자외선 수지(UV Resin)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빛 전달링은 굴절률이 1.49 내지 1.6을 갖는 재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92269A 2018-08-08 2018-08-08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69A KR102494158B1 (ko) 2018-08-08 2018-08-0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269A KR102494158B1 (ko) 2018-08-08 2018-08-0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88A KR20200017088A (ko) 2020-02-18
KR102494158B1 true KR102494158B1 (ko) 2023-01-31

Family

ID=6963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269A KR102494158B1 (ko) 2018-08-08 2018-08-0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41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5840A (ja) 2012-03-28 2013-10-07 Lg Display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214379A (ja) 2012-03-31 2013-10-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導光板、面光源装置、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066B1 (ko) * 2006-10-30 2013-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방출 렌즈와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액정표시장치
KR20120114520A (ko) * 2011-04-07 201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닛과 액정 표시 장치
CN106287569A (zh) * 2015-05-26 2017-01-04 瑞仪光电(苏州)有限公司 光学透镜、背光模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5840A (ja) 2012-03-28 2013-10-07 Lg Display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214379A (ja) 2012-03-31 2013-10-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導光板、面光源装置、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088A (ko)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728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417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317610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05276444A (zh) 曲面背光单元以及包括该曲面背光单元的曲面显示装置
US20150138487A1 (en) Optical member,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209045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41324A (ko)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CN109976014B (zh) 显示装置
KR102495202B1 (ko) 엘이디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66398A (ko) 프리즘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10030221A (ko) 차광테이프구조 및 차광테이프 부착방법
KR102238482B1 (ko) 이물침투가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KR20130133619A (ko) 영상표시장치
KR2014004738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57461A (ko) 프리즘 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17006410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941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68498A (ko) 도광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75136A (ko) 액정표시장치
KR10174975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210654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6104310A1 (ja) 液晶表示装置
KR1024089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51792A (ko) 프리즘 시트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20075115A (ko) 도광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