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28B1 -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28B1
KR102493728B1 KR1020210142378A KR20210142378A KR102493728B1 KR 102493728 B1 KR102493728 B1 KR 102493728B1 KR 1020210142378 A KR1020210142378 A KR 1020210142378A KR 20210142378 A KR20210142378 A KR 20210142378A KR 102493728 B1 KR102493728 B1 KR 102493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andling
cargo
role
transport
ex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형철
Original Assignee
포트로직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트로직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트로직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7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based on Incoterms. The device comprises: a trade order input unit which receives a trade order from an export shipper terminal; a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which analyzes the trade order and determines whether to handle cargo for a plurality of predefined transport points; a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a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f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handle the cargo; and a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which tracks the transport progress of cargo, detects that the cargo enters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nd notifies the cargo handling role to the cargo handling subject for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ndardize and manage scattered import/export-related information per incoterms.

Description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및 방법{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Incoterms-based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수출입물류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출입물류 관리를 위해 산재되어 있는 수출입 관련 정보들을 인코텀즈 별로 정형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coterms-based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standardizing and managing scattered export-import-related information for each Incoterm.

포워더(forwarder)는 복합운송주선업자로서, 한번에 대용량의 화물을 선적할 수 있는 선사(국제운송업자)의 화물선 또는 항공사의 항공기 카고에 상대적으로 적은 용량을 갖는 화주들의 화물들을 효율성 있게 분배하여 선적할 수 있도록 중개하여 주고, 이와 동시에 자신이 중개한 화물들의 통관, 보험 등의 제반업무를 일괄 처리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물류업체에 해당할 수 있다.A forwarder is a multimodal transport broker that can efficiently distribute and ship cargoes of shippers that have a relatively small capacity in a cargo ship of a shipping company (international carrier) or an airline's aircraft cargo that can load a large amount of cargo at one time. It may correspond to a logistics company that acts as an intermediary for the delivery of goods, and at the same time handles overall tasks such as customs clearance and insurance for the cargoes brokered by itself.

일반적으로 화주 또는 포워더는 수출입물류에 있어서 해외의 도착항에서 최종목적지까지의 물류조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기존의 현지 파트너인 해외 현지 물류업체를 이용하거나 다른 경로를 통하여 연계된 해외 현지 물류업체를 통해서 물류조작을 의뢰하고 있다.In general, a shipper or forwarder performs logistics operations from an overseas port of arrival to the final destination in import and export logistics by using an existing local partner, a local overseas logistics company, or through a local overseas logistics company linked through other routes. operation is requested.

종래에는 수출입 지역 현지에서의 물류 수행을 해외 현지 물류업체에게 의존하여 국한된 서비스만 제공받게 되고, 물류비도 임의로 정한 요율에 의해 좌우되며, 운송 시간 및 경로 또한 해외 현지 물류업체에 의해 결정 또는 변경되는 등 정보 부재에서 오는 불이익으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In the past, local logistics services in import and export regions depended on overseas local logistics companies to receive only limited services, logistics costs were also influenced by arbitrarily set rates, and transportation time and route were also determined or changed by local overseas logistics companies. Disadvantages resulting from the absence of information are causing economic losses.

또한,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수입물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화물 하역에서부터 관세 신고, 내륙 운송을 위한 화물 배차(Inland trucking) 등의 물류처리를 위해 다양한 운송주체들과 원활한 소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플레이어들 사이에 독립된 구조의 운영 시스템으로 인해 물류 관리의 효율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ort logistics coming from abroad, smooth communication with various transport entities is essential for logistics processing such as cargo unloading, customs declaration, and cargo dispatch for inland transportation. The efficiency of logistics management is very low due to the operating system of an independent structure between players.

또한, 경우에 따라 화물이 특정일내에 빠르게 운송되어야 하거나, 기일에 관계없이 가장 저렴한 물류비용을 운송되어져야 하는 등 다양한 환경과 상황에 맞게 물류수행이 이루어져야 하나, 정보 수집의 한계로 인해 국내의 화주와 포워더의 의사와 관계없이 물류수행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some cases, logistics must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various environments and situations, such as cargoes must be transported quickly within a specific date or transported at the lowest logistics cost regardless of the date. However, due to limitations in information collection, domestic shippers There is a problem that logistics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the forwarder and the forwarder.

또한, 종래에는 화주나 포워더가 하나의 수출입 물류건에 관련된 서류들이 내용상 서로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각각 별도로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오류로 인한 재작성, 하자 발생시 처리시간 및 재발송 비용 등 인력 및 제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shippers or forwarders not only ha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pare each document separately, even though the documents related to on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case are similar in content, but also manpower such as rewriting due to errors, processing time and retransmission costs in case of defec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all cost increases.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69590호 (2002.09.0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69590 (2002.09.0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출입물류 관리를 위해 산재되어 있는 수출입 관련 정보들을 인코텀즈 별로 정형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coterms-based export/im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standardizing and managing scattered export/import related information by Incoterms for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실시예들 중에서, 인코텀즈(incoterms)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는 수출 화주 단말로부터 트레이드 오더를 입력받는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 상기 트레이드 오더를 분석하여 기 정의된 복수의 운송지점들에 대한 화물 핸들링 여부를 결정하는 화물 핸들링 결정부; 상기 화물 핸들링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하여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을 결정하는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 및 화물의 운송 경과를 추적하여 상기 화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진입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한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을 통지하는 화물 운송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Among the embodiments, an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based on Incoterms includes a trade order input unit for receiving a trade order from an export shipper terminal; a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that analyzes the trade order and determines whether to handle cargo for a plurality of predefined transport points; a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f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ation points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argo handling is performed; and a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that tracks the transport progress of the cargo, detects that the cargo enters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nd notifies the cargo handling entity of the cargo handling role for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can do.

상기 화물 핸들링 결정부는 상기 트레이드 오더에서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각각에 대한 비용부담주체를 검출하고, 상기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을 결정하여 화물 핸들링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The cargo handling determining unit may detect a cost bear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in the trade order, determine a transport point corresponding to an export shipper by the cost bearer, and determine cargo handling.

상기 화물 핸들링 결정부는 상기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이 단계별 연속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화물 핸들링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rgo handling determining unit may detect an error in the cargo handling by determining whether a transportation point corresponding to an export shipper of the cost bearer has step-by-step continuity.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 각각에 대하여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로서 직접 핸들러 또는 포워더 핸들러를 결정하고,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를 기초로 블록체인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 direct handler or a forwarder handler as the cargo handling entity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point, and may determine a block chain code based on the cargo handling entity.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는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가 포워더 핸들러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워더 핸들러의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다른 화물을 포함한 대량운송처리에 관한 가격을 협상하여 협상 운임을 결정할 수 있다.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a negotiated freight rate by negotiating a price for bulk transport including other cargo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of the forwarder handler when the cargo handling entity corresponds to a forwarder handler.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는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가 결정된 운송지점에 대하여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로서 다음 운송지점의 도달위치 및 도달시간과 상기 화물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이전을 결정하고,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을 상기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arrival position and arrival time of the next transport point and direct or indirect transfer of the cargo as the cargo handling role for the transport point where the cargo handling entity is determined, and determines the cargo handling role as the cargo handling role. It can be stored in an accessible data block based on blockchain code.

상기 화물 운송 처리부는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완료를 수신하고, 상기 완료에 따라 상기 수출 화주 단말에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처리 내용을 통지할 수 있다.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may receive comple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from the terminal of the cargo handling principal, and notify the export shipper terminal of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cargo handling rol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실시예들 중에서, 인코텀즈(incoterms)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방법은 수출 화주 단말로부터 트레이드 오더를 입력받는 트레이드 오더 입력단계; 상기 트레이드 오더를 분석하여 기 정의된 복수의 운송지점들에 대한 화물 핸들링 여부를 결정하는 화물 핸들링 결정단계; 상기 화물 핸들링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하여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을 결정하는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단계; 및 화물의 운송 경과를 추적하여 상기 화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진입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한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을 통지하는 화물 운송 처리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method based on Incoterms includes a trade order input step of receiving a trade order from an export shipper terminal; a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step of analyzing the trade order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handle cargo for a plurality of predefined transport points; a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f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argo handling is performed; and a cargo transport processing step of tracking the transport progress of the cargo, detecting that the cargo enters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nd notifying the cargo handling role of the cargo handling entity for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include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및 방법은 수출입물류 관리를 위해 산재되어 있는 수출입 관련 정보들을 인코텀즈 별로 정형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Incoterms-based export/import logistics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ndardize and manage scattered export/import related information by Incoterms for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의 이해관계자 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존의 수출입물류 관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9b 및 9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이점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keholder map of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sting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process.
7 is a diagram explaining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a, 9b and 9c are diagrams illustrating advantages provided by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n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and a database 150 .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들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입물류 관리에 있어 사용자는 화주, 항공사, 선사, 운송사, 관세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device operated by a us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understood as one or more users, and a plurality of users may be divided into one or more user groups. Each of one or more users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0 . For example, in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users may include shippers, airlines, shipping companies, transportation companies, and the Korea Customs Service.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수출입물류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하나의 장치로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와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포함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은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와 연동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app)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as one device constituting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or a computer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s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including a tablet PC and the like. It can b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10 may install and run a dedicated program, web or application (or app, app) for interworking with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텀즈 기반의 수출입물류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코텀즈(Incoterms)는 국제상공회의소(ICC)에서 각국의 무역 용어를 조사하여 작성한 무역 조건에 대한 국제 규칙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LT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performs the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coterms may correspond to international rules for trade conditions prepared by examining trade terms of each country at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ICC). In additio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LTE, etc.,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

또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독립된 외부 시스템(도 1에 미도시함)과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결제 시스템, 예약 시스템, 블록체인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빅데이터 분석과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in connection with an independent external system (not shown in FIG. 1) to provide related services. For example,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in conjunction with a payment system, a reservation system, a blockchain system, and the like. In one embodiment,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cloud server,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of providing big data analysis and user-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a cloud service.

데이터베이스(150)는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양한 무역 조건과 프로세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스 별로 필요한 다양한 문서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가 본 발명에 따른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 For example, the database 150 may store information on various trade conditions and processes, and may store various documents required for each proces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can be stor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method.

또한,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150)는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와 독립적인 장치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논리적인 저장장치로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FIG. 1, the database 150 is shown as a device independent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luded in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as a logical storage device. Of course you can.

도 2는 도 1의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 관리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n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procedure based on Incoter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in this process, and volatile memory in the memory 230 You can schedule the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the and non-volatile memory.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data flow between them. can do.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 second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all data required for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In addition, the memory 230 may store a set of instructions executing the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executed by the electrically connected processor 210 .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and includes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It may include devices and output devices including adapters such as monitors or touch screens.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a Value Added Network (VA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or a 4G or highe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도 3은 도 1의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310),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 화물 운송 처리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includes a trade order input unit 310, a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30, a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a freight transportation processing unit 370, and a control unit 390. ) may be included.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310)는 수출 화주 단말로부터 트레이드 오더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트레이드 오더(trade order)는 수출입물류 운송을 요청하는 주문에 해당할 수 있으며, 수출 화주 단말을 통해 관련 정보가 입력되면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310)는 트레이드 오더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출 화주 단말은 트레이드 오더의 입력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310)는 전용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수출입물류에 관한 운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드 오더는 운송 물량에 관한 정보, 운송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310)는 트레이드 오더를 수신하여 인덱싱하고 데이터베이스(150)에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트레이드 오더는 유형, 수단, 요금, 장소 등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The trade order input unit 310 may receive a trade order from an export shipper terminal. Here, the trade order may correspond to an order requesting import/export logistics transportation, and when related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export shipper terminal, the trade order input unit 310 receives the trade order and stores the trade order in the database 150. can be saved To this end, the export shipper terminal may install and execute a dedicated program for inputting a trade order, and the trade order input unit 310 may receive transport information related to import/export logistics in conjunction with the dedicated program. For example, the trade ord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transport, transpor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trade order input unit 310 may receive, index, classify, and store trade orders in the database 150 . That is, trade orders can be classified and managed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type, method, fee, and location.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는 트레이드 오더를 분석하여 기 정의된 복수의 운송지점들에 대한 화물 핸들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운송지점들은 수출입물류 관리를 위해 구축된 물류 관리 거점들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지점에는 창고, 상하역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는 트레이더 오더의 운송 정보와 물량 정보를 기반으로 화물 핸들링이 필요한 운송지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지점들 A, B 및 C가 있고, 트레이드 오더 X의 경우 운송지점 A와 C를 통과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경우,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는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에서 운송지점 A와 C에 대해 트레이드 오더 X에 관한 화물 핸들링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화물 핸들링은 수출입물류 관리 과정에서 화물의 운송이나 점검 등과 같이 사람에 의한 관리가 필요한 관리 업무에 해당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는 트레이드 오더의 정보들로부터 화물 핸들링이 필요한 운송지점들을 결정하고, 운송지점들 간의 연결을 통해 수출입물류 관리를 위한 스케줄링을 처리할 수 있다.The cargo handling determining unit 330 may analyze the trade order and determine whether cargo is handled for a plurality of predefined transport points. A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may correspond to logistics management bases established for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For example, transportation points may include warehouses, loading and unloading areas, and the like. The cargo handling determining unit 330 may determine transport points requiring cargo handling based on the transport information and quantity information of the trader order. For example, if there are transport points A, B, and C, and it is most appropriate to pass through transport points A and C in the case of trade order X, the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30 selects transport point A among a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For C and C, cargo handling for trade order X can be determined. That is, cargo handling may correspond to management tasks that require human management, such as transporting or inspecting cargo in the course of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The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30 may determine transport points requiring cargo handling based on trade order information, and process scheduling for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through connection between the transport points.

일 실시예에서,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는 트레이드 오더에서 복수의 운송지점들 각각에 대한 비용부담주체를 검출하고,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을 결정하여 화물 핸들링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트레이드 오더에는 운송 수단이나 운송 경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는 각 운송지점들에서 발생하는 운송 및 관리 비용을 부담하는 비용부담주체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운송지점에 대한 화물 핸들링은 수출 화주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는 운송지점들 중에서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들을 선별하고 해당 운송지점들에 대한 화물 핸들링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handling determining unit 330 detects a cost bearing ent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in the trade order, determines a transport point corresponding to an export shipper by the cost bearing entity, and performs cargo handling. can decide The trade ord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transportation means or transportation routes, and the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30 may determine a cost bearer responsible for transportation and management costs incurred at each transportation point. If there is a transportation point corresponding to the export shipper for the cost bearer, cargo handling for the transportation poin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export shipper. Accordingly, the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30 may select transport points corresponding to an export shipper by a cost bearer from among transport points and determine cargo handling for th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s.

일 실시예에서,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는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이 단계별 연속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화물 핸들링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들은 상호 간의 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단계적인 순서에 따라 수출입물류 관리를 위한 업무의 단계적인 연속성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운송지점들 간의 단계별 연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화물 핸들링의 오류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해당 사실이 사용자에게 통지될 수 있고 사용자의 확인을 거친 후 관련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30 may detect an error in cargo handling by determining whether a transportation point corresponding to an export shipper has continuity by stage. In other words, transportation points where the cost bearer corresponds to the export shipper can form a mutually connected relationship, and can have step-by-step continuity of work for managing import and export logistics in a step-by-step order. If there is no step-by-step continuity between transportation points, the fact can be notified to the user in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n error in handling the cargo, and a related operation can be performed after the user confirms it.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화물 핸들링 여부가 결정되면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하여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트레이드 오더에 따른 화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각 운송지점 마다 화물 핸들링 주체와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물 핸들링 주체는 해당 운송지점에서 해당 화물의 관리를 담당하는 담당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운송업체, 창고업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물 핸들링 역할은 해당 운송지점에서 해당 화물의 관리를 위한 수행 업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각 운송지점에서의 화물 핸들링 주체와 역할을 독립적으로 결정하여 화물 핸들링이 단계별 연속성을 가진 운송지점들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cargo handling is performed,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may determine a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f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point among a plurality of transportation points.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may determine a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for each transportation point in order to process cargo according to a trade order. Here, the cargo handling subject may correspond to a person in charge of managing the cargo at a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point, and may include a transport company, a warehouse compan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argo handling role may correspond to tasks performed for managing the cargo at the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point. That is,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independently determines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at each transport point so that cargo handling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between transport points having step-by-step continuity.

일 실시예에서,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 각각에 대하여 화물 핸들링 주체로서 직접 핸들러 또는 포워더 핸들러를 결정하고, 화물 핸들링 주체를 기초로 블록체인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접 핸들러는 화물 관리를 자기 주도하에 처리하는 주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선사, 항공사, 관세청 및 거래처 포워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워더 핸들러는 직접 화물 관리를 처리하는 대신 화물을 중개하는 주체에 해당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트레이드 오더를 처리하기 위해 결정된 운송지점들 마다 화물 핸들링 주체를 직접 핸들러 또는 포워더 핸들러로서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화물 핸들링 주체에 관한 블록체인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determines a direct handler or a forwarder handler as a cargo handling entity for each of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point, and determines a block chain code based on the cargo handling entity. there is. Here, the direct handler may correspond to a subject that handles cargo management under his/her own initiative, and may include shipping companies, airlines, customs offices, and customer forwarders. In addition, the forwarder handler may correspond to a subject that mediates cargo instead of directly handling cargo management.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may determine the cargo handling entity as a direct handler or forwarder handler at each transportation point determined to process the trade order, and may generate a blockchain code related to the determined cargo handling entity. .

여기에서, 블록체인코드는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서의 식별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코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 참여자를 식별하거나 데이터 블록을 식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Here, the block chain code may correspond to an identification code in a block chain system linked with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 In other words, blockchain code can be used to identify node participants or data blocks on a blockchain network.

일 실시예에서,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화물 핸들링 주체가 포워더 핸들러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포워더 핸들러의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다른 화물을 포함한 대량운송처리에 관한 가격을 협상하여 협상 운임을 결정할 수 있다. 포워더 핸들러는 해당 운송지점에서 다양한 화물들을 통합 관리하는 점에서 관리 시점에서의 물류 현황에 따라 물류 가격이 상이하게 책정될 수 있으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포워더 핸들러가 화물 핸들링 주체로 결정된 운송지점에 대해 포워더 핸들러와 직접적인 협상을 통해 협상 운임을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포워더 핸들러의 단말 상에서 설치되어 실행되는 전용 프로그램, 웹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negotiates and negotiates a price for mass transport processing including other cargo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of the forwarder handler when the cargo handling entity corresponds to the forwarder handler. fare can be determined. In that the forwarder handler integrates and manages various cargoes at the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point, logistics prices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ogistics status at the time of management, and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determines that the forwarder handler is the cargo handling subject. It is possible to operate to determine the negotiated freight rate through direct negotiation with the forwarder handler for the transport point determined by . To this end,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dedicated program, web, or application installed and executed on the terminal of the forwarder handler.

일 실시예에서,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화물 핸들링 주체가 결정된 운송지점에 대하여 화물 핸들링 역할로서 다음 운송지점의 도달위치 및 도달시간과 화물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이전을 결정하고, 화물 핸들링 역할을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역할에는 화물의 관리를 위한 수행 업무가 특정될 수 있으며, 화물 운송에 따른 운송지점에 관한 정보와 화물 운송의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물의 직접적 이전은 다른 운송수단에 직접 로딩하여 이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으며, 화물의 간접적 이전은 특정 운송장소에 화물을 하역한 다음 이전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determines the arrival location and arrival time of the next transport point and direct or indirect transfer of the cargo as the cargo handling role for the transport point at which the cargo handling entity is determined, and Handling roles can be stored in accessible data blocks based on blockchain code. In the cargo handling role, tasks to be performed for cargo management may be specified, and information on a transport point for cargo transport and information on a cargo transport method may be included. Here, the direct transfer of cargo may correspond to loading and transferring directly to an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indirect transfer of cargo may correspond to unloading and then transferring cargo to a specific transport location.

또한,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부여되는 화물 핸들링 역할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화물 핸들링 역할은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화물 핸들링 역할은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블록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블록체인코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되는 데이터블록을 검색하여 접근하는 과정에서 인덱스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may create a cargo handling role assigned to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the created cargo handling role may be stored in a blockchain system. At this time, the cargo handling role can be stored in an accessible data block based on the blockchain code. In other words, the block chain code can be used as index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nd accessing data blocks stored in the block chain network.

또한, 블록체인코드를 통해 접근 가능한 데이터블록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다. 즉,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하나의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블록이 하나인 경우 데이터 블록을 추가로 생성할 수 있다. 만약 블록체인코드를 통해 접근 가능한 데이터블록이 복수인 경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블록체인코드와 연관된 데이터블록들 간의 순환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순환 리스트 정보는 데이터블록들이 순환 가능한 일방향 연결을 통해 순환 리스트를 형성하는 경우 참여하는 데이터블록들의 정보와 연결 방향 및 순서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코드와 연관지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50)를 검색하여 순환 리스트 정보의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순환 리스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순환 리스트 정보를 기초로 순환 리스트의 임의의 데이터블록에 접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data blocks accessible through the block chain code may be plural. That is,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may additionally generate a data block when there is one accessible data block based on one block chain cod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data blocks accessible through the block chain code,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may generate circular list information between the data blocks associated with the block chain code. Here, the circular list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including information of participating data blocks and connection direction and order when data blocks form a circular list through a cyclic one-way connection. ) can be stored in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may search the database 150 based on the block chain code to determine whether to generate circular list information, and if the circular list information exists, it is circulated based on the circular list information. You can access any block of data in the list.

일 실시예에서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블록을 결정할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블록에 화물 핸들링 역할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화물 핸들링 역할을 암호화할 수 있다. 이때, 화물 핸들링 역할의 암호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블록체인코드와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1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과정에서 암호화 키 생성을 위한 난수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may determine a data block on the blockchain network based on the blockchain code, and encrypt the cargo handling role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cargo handling role in the corresponding data block. can At this time, the encryption process of the cargo handling role may be performed as follows.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may generate a random number for generating an encryption key in an encryption process based on the blockchain code and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보다 구체적으로,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블록체인코드를 이진화코드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진화코드 상의 서로 다른 위치의 제1 및 제2 비트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1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트가 0이고 제2 비트가 1인 경우 화물 핸들링 역할의 '01' 번째 항목이 제1 정보로 결정될 수 있다. 이후,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해당 제1 정보를 난수 발생기에 입력하여 암호화 키 생성을 위한 난수를 생성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는 난수와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2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화물 핸들링 역할을 암호화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may convert the blockchain code into a binary code, and the cargo handling rol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bits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binary code. 1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bit is 0 and the second bit is 1, the '01' item of the cargo handling role may be determined as the first information. Thereafter,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may generate a random number for generating an encryption key by inputting the corresponding first information to a random number generator.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may generate an encryption key based on the random number and the second informa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and may encrypt the cargo handling ro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ncryption algorithm using the encryption key. .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화물의 운송 경과를 추적하여 화물이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진입하는 것을 검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한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화물 핸들링 역할을 통지할 수 있다.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화물 핸들링 주체의 단말과 통신을 통해 화물의 상하역 여부, 운송 개시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물의 운송 경과를 추적할 수 있다.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화물의 운송에 따라 화물이 특정 운송지점에 집입하는 경우, 해당 운송지점의 화물 핸들링 주체와 화물 핸들링 역할을 검색한 다음, 해당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검색된 화물 핸들링 역할을 통지하여 화물 핸들링 주체가 화물에 대한 물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may track the transport progress of cargo, detect that the cargo enters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nd notify the cargo handling role to the cargo handling entity for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may obtain information on whether cargo is loaded and unloaded, whether transport has started, etc.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of a cargo handling subject, and through this, the transport progress of the cargo may be tracked.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searches for a cargo handling entity and a cargo handling role of th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when cargo is transported to a specific transport point, and then notifies the cargo handling entity of the searched cargo handling role. Thu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cargo handling entity to efficiently manage the logistics of the cargo.

일 실시예에서,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해당 운송지점에 대한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화물 핸들링 역할을 통지하기 위하여, 해당 화물 핸들링 주체의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블록을 조회할 수 있다.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조회된 데이터블록 상에서 암호화된 화물 핸들링 역할을 검출할 수 있으며, 화물 핸들링 역할을 복호화 한 후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may search a data block on a blockchain network based on a blockchain code of a corresponding cargo handling entity in order to notify a cargo handling entity of a cargo handling role for a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there is. The cargo transportation processing unit 370 may detect the encrypted cargo handling role on the inquired data block, and may transmit the cargo handling role to the cargo handling entity after decrypting the cargo handling role.

일 실시예에서,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화물 핸들링 주체의 단말로부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완료를 수신하고, 완료에 따라 수출 화주 단말에 화물 핸들링 역할의 처리 내용을 통지할 수 있다. 화물 핸들링 주체는 화물 핸들링 역할에 따라 화물 관리를 위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으며, 해당 운송지점에서의 업무가 완료되는 경우 화물 핸들링 주체의 단말을 통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에게 업무 완료 사실을 입력할 수 있다.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부여된 화물 핸들링 역할이 모두 완료된 것으로 보고되면, 수출 화주 단말에게 처리 내용을 통지하여 수출 화주가 화물의 운송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reight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may receive the comple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from the terminal of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notify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cargo handling role to the export shipper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pletion. The cargo handling subject may process cargo management tasks according to the cargo handling role, and when the work at the corresponding transportation point is completed, input the fact of completion of the work to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through the terminal of the cargo handling subject. can do. When it is reported that all cargo handling roles assigned to the cargo handling entity have been completed,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notifies the processing details to the export shipper terminal so that the export shipper can check the transport details of the cargo in real time.

일 실시예에서,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화물 핸들링 주체의 단말로부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완료를 수신한 경우, 화물 핸들링 주체의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블록을 검색한 다음 해당 데이터블록에서 화물 핸들링 역할을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화물 핸들링 주체의 단말로부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완료를 수신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블록을 검색한 다음 해당 데이터블록을 신규 데이터블록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때, 신규 데이터블록으로 대체된 해당 데이터블록에는 화물 핸들링 역할의 완료에 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으며, 핸들링 주체의 단말에 전송되어 보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receives the comple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from the terminal of the cargo handling entity, it searches for a data block on the blockchain network based on the blockchain code of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then retrieves the corresponding data. You can delete the cargo handling role from the block. In another embodiment,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may search for a data block on a blockchain network when receiving completion of a cargo handling role from a terminal of a cargo handling subject, and then replace the corresponding data block with a new data block. 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may be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data block replaced with the new data block, and may b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terminal of the handling subject.

한편,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신규 데이터블록의 대체로 인해 해당 데이터블록을 핸들링 주체의 단말에 전송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블록에 대응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은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 단위로, 고유하면서 상호 교환할 수 없는 토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화물 핸들링의 완료에 따라 해당 화물 핸들링에 관한 정보를 NFT로 발행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운송 처리부(37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NFT를 기초로 트레이드 오더 및 화물 핸들링에 관한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reight transportation processing unit 370 transmits the data block to the terminal of the handling subject due to replacement of the new data block, it may generate a non-fungible token corresponding to the data block on the blockchain network. Here, a non-fungible token (NFT) is a unit of data stored in a blockchain and may correspond to a token that is unique and non-interchangeable. That is,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may issue information on cargo handling as an NFT upon completion of cargo handling and manage it on a blockchain network. For example, the freight transportation processing unit 370 may issue a certificate for trade orders and freight handling based on NFTs on a blockchain network.

제어부(390)는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310),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 및 화물 운송 처리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the trade order input unit 310, the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30,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ation unit 350, and the freight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 can manage th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the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310)를 통해 수출 화주 단말로부터 트레이드 오더를 입력받을 수 있다(단계 S410).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화물 핸들링 결정부(330)를 통해 트레이드 오더를 분석하여 기 정의된 복수의 운송지점들에 대한 화물 핸들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30).Referring to FIG. 4 ,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receive a trade order from an export shipper terminal through the trade order input unit 310 (step S410).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analyze the trade order through the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30 to determine whether cargo is handled for a plurality of predefined transport points (step S430).

또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350)를 통해 화물 핸들링 여부가 결정되면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하여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50).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화물 운송 처리부(370)를 통해 화물의 운송 경과를 추적하여 화물이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진입하는 것을 검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한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화물 핸들링 역할을 통지할 수 있다(단계 S470).In addition,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determine a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f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mong a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when cargo handling is determined through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unit 350. Yes (step S450).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tracks the transport progress of the cargo through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370, detects that the cargo enters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nd informs the cargo handling subject f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 cargo handling role may be notified (step S47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시장의 이해관계자 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keholder map of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mar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시장은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복잡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수출입물류의 경우 다양한 관련 플레이어들이 존재하고 상호 간에 복잡한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 주체마다 다양한 형태의 운영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각 주체 간의 연결과 화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포워더(Forwarder)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market may exist in a complex form with various stakeholder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mport and export logistics, there are various related players and complex mutual interests are formed, and each entity is establishing various types of operating structures. For this, the role of the forwarder can be very important.

도 6은 기존의 수출입물류 관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isting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process.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수출입물류 관리 프로세스는 분산화되고 수출입 업무가 통합되지 않아 업무 처리의 불명확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특히, 포워더 별로 상이한 정보 기입 방식으로 인해 업무 통합화가 불가능하였다. 도 6의 위 그림과 같이, 동일한 수출 화주로부터 트레이드 오더가 수신된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물류를 처리하는 포워더 별로 업무 체계가 상이하여 통합된 물류 관리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ventional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process is decentralized and import/export operations are not integrat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ncertainty of business processing is high. In particular, business integration was impossible due to different information entry methods for each forwarder. As shown in the above figure of FIG. 6, even if a trade order is received from the same export shipper, there is a problem that integrated logistics management is practically difficult because the work system is different for each forwarder that handles the logistics.

또한, 도 6의 아래 그림과 같이, 동일한 수출 화주로부터 요청된 트레이드 오더에 대해 포워더 A가 물류 관리를 수행하더라도 이후 물류 단계에서 해당 화물을 관리하는 화물 핸들링 주체에 따라 독립적인 업무 수행으로 인해 데이터의 취합이나 통합적인 현황 정보 확인이 불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below in FIG. 6, even if forwarder A performs logistics management for a trade order requested from the same export shipper, the data is It may not be possible to collect or comprehensively check current status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explaining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수출입물류 관리에 있어 통합적인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수출 화주들로부터 수신되는 트레이드 오더들을 통합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고, 화물 핸들링을 위한 독립적인 주체들을 통합 관리하여 트레이드 오더가 시스템의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트레이드 오더에 따른 수출입물류는 아웃소싱(outsourcing) 방식에 따라 복수의 포워더들에게 분배될 수 있고, 다이렉트 핸들링(direct handling) 방식에 따라 복수의 직접 핸들러들에게 분배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an integrated management environment for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integrate and manage trade orders received from export shippers, and integrate and manage independent entities for cargo handling so that trade orders can be processed through an automated process of the system. there is. Import and export logistics according to trade orders may be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forwarders according to an outsourcing method, or may be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direct handlers according to a direct handl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여 원클릭을 통한 업무 현황 모니터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정보 기입 방식의 표준화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수출입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업무 체계를 디지털화 하여 체계화된 트레이드 오더 접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전산화된 오더 접수가 가능할 수 있고, 각 오더 별 업무 조회 기능과 함께 실시간 진행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n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to provide business status monitoring through one-click. In additio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integrate and manage various types of import and export processes through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entry methods. More specifically,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a systematic trade order reception system by digitizing the business system. That is,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capable of receiving computerized orders, and may provide real-time progress information along with a task inquiry function for each order.

또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정보 저장 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련 문서 및 로그 데이터를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중요 문서 및 데이터의 안전한 보관을 제공할 수 있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강력한 보안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establish a blockchain technology-based information storage system to distribute and store related documents and log data. Through this,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provide safe storage of important documents and data, and can achieve strong security by utilizing block chain technology.

또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정형화된 선적 서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코텀즈(incoterms) 별로 분류 및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각 오더별 수출입 관련 서류의 통합 관리와 서류별 발생 비용에 대한 통합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by incoterms by establishing a standardized shipping docume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ly,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integrated management of import/export related documents for each order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costs incurred for each document.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시스템(100)은 기업의 수출 및 수입 업무를 위한 오더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에서는 TOMS(Trade Order Management System)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TOMS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으로 운영되던 분산된 오더 관리 시스템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8,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order management system for the export and import business of the company. Specifically, a Trade Order Management System (TOM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here. In other words, TOMS may correspond to an integrated system that can solve many problems of the existing analog method operated distributed order management system.

TOMS는 다양한 무역 조건과 프로세스를 통합하기 위하여 문서 및 오더의 체계적인 관리 기능을 구현하고 제공할 수 있다. TOMS는 고객사에게 최적화된 수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실시간 수출입 관련 정보의 상호 교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통합 오더 및 문서 관리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 수출입 업무 처리 및 진행을 제공할 수 있다.TOMS can implement and provide systematic management of documents and orders to integrate various trade conditions and processes. TOMS can provide an optimized import/export management system for customers, provide an environment for mutual exchange of real-time import/export related information, and provide fast and accurate import/export business processing and progress through integrated order and document management.

특히, TOMS는 인코텀스(Incoterms) 별로 항목들을 정형화하고 항목별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글로벌 스탠다드 시스템(Global Standard System)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OMS는 수출입물류 관리 과정에서 관세청에 대한 수출입 신고, 하역사의 경우 THC 비용의 실시간 확인,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BL 및 CI의 자동 생성 보관, 내륙 운송을 위한 Inland Trucking 관리, 각 국가별 지사 간 수출입 관련 정보의 실시간 교환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OMS can provide a global standard system by standardizing items by Incoterms and establishing a management process for each item. For example, i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process, TOMS reports imports and exports to the Korea Customs Service, checks THC cost in real time for stevedores, automatically creates and stores BL and CI based on input information, manages Inland Trucking for inland transportation, and It can provide functions such as real-time exchange of import/export related information between branch offices in each country.

도 9a, 9b 및 9c는 본 발명에 따른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가 제공하는 이점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9a, 9b and 9c are diagrams illustrating advantages provided by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를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운송 물량과 상관없이 최적의 가격과 최고의 고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도 9a의 portlogics 및 TOMS).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기존 방식에 비하여 더 적은 인력 소모로 다양한 소형 화주의 요청을 수령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다양한 화주들로부터 수신한 소형 화물 오더를 통합 처리하여 대량 구매(volume purchase)를 통해 선사 및 항공사와 운임 협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물량이 많지 않은 중소형 화주에게도 합리적 운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a에서, 기존 방식의 경우, 총 가격이 100 달러인 경우 화주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은 총 운송비용/컨테이너 개수에 따라 $100/1개=100 달러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의 경우 총 가격이 320 달러인 경우 화주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은 총 운송비용/컨테이너 개수에 따라 $320/4개=80 달러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A ,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provide the optimal price and the best customer management servic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transport (portlogics and TOMS in FIG. 9A).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receive and process requests from various small shippers with less man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of negotiating freight rates with shipping companies and airlines through volume purchase by integrating and processing small cargo orders received from various shippers. Through this,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provide a reasonable freight rate even to small and medium-sized shippers who do not have a lot of goods. In FIG. 9A ,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thod, if the total price is 100 dollars, the cost to be paid by the shipper may correspond to $ 100 / 1 = 100 dollars according to the total transportation cost / number of contain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if the total price is 320 dollars, the cost to be paid by the shipper may correspond to $ 320 / 4 = 80 dollars depending on the total transportation cost / number of containers.

도 9b를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업무 현황 통합 관리 및 실시간 업무 공유 공간을 구현하여 기존 인력 기반의 업무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모든 관련 업무자가 자료를 동시에 열람할 수 있어 대체 인력 투입이 용이할 수 있다(도 9b의 TOMS). 즉, 기존의 포워더 업무 체계 하에서는 이메일, 팩스 등 개별 문서 전송이 필요하였고, 문서나 메신저 등의 다양한 매체 사용으로 인해 통합된 문서 관리가 불가능하였으며, 고객사 별로 분산된 데이터와 상이한 소통 매체로 인해 인수인계의 실시간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Referring to FIG. 9B,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improve the existing manpower-based work structure by implementing integrated management of work status and real-time work sharing space, and all related workers can view data at the same time, thereby replacing It may be easy to input manpower (TOMS in FIG. 9B). That is, under the existing forwarder business system, it was necessary to transmit individual documents such as e-mail and fax, and integrated document management was impossible due to the use of various media such as documents and messengers. It was difficult to secure real-time.

이에 반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서로 다른 화주들 간의 업무 인수 인계 시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열람 권한만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자료 전송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개별 문서확인 없이 실시간 업무상태 관리가 가능할 수 있고, Digital POD, Document Storage 및 Communication Channel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통합 데이터와 통합된 소통 매체를 통해 업무 인수 및 이력 관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only viewing rights through a shared database when handing over the business between different shippers, and thus may not require separate data transmission. In additio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capable of real-time business status management without checking individual documents, and may provide digital POD, document storage, and communication channels. As a result,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easily handle business takeover and history management through integrated data and integrated communication media.

도 9c를 참조하면,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기존 견적 산출 과정에서 비용이 불투명하고 부정확하게 산출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즉,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자동 비용 산출 시스템을 통해 투명하고 정확한 견적을 제공할 수 있다(도 9c의 portlogics). 예를 들어, 도 9c에서, 수출 화주는 시스템을 통해 CIF, 수출, 해상, DRY 컨테이너 및 위험물에 관한 추가 조건 및 세부 조항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해당 항목들이 입력된 시점에 예상 비용을 즉시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c,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cost is opaque and inaccurately calculated in the existing estimate calculation process. That is,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a transparent and accurate estimate through an automatic cost calculation system (portlogics in FIG. 9c). For example, in FIG. 9C , an export shipper may directly select additional terms and specifications regarding CIF, Export, Sea, DRY Container and Dangerous Goods through the system.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immediately calculate the estimated cost at the time when the corresponding items are input through a preset algorithm.

즉,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추가 비용 항목 및 비용을 명확히 표시하여 자동 견적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수출 화주 단말에게 예상 견적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동일, 유사 구간의 빅데이터(Big Data)를 통해 즉시적이고 정확한 견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130)는 TOMS를 통해 모든 비용 항목을 정확하게 식별 및 제공할 수 있으며, 관련 비용의 투명성을 확대할 수 있다.That is,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may create an automatic quotation by clearly displaying additional cost items and costs, and may provide the estimated quotation to the export shipper terminal. In additio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provide an immediate and accurate estimate through big data of the same or similar section. Accordingly, the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30 can accurately identify and provide all cost items through TOMS, and can expand the transparency of related cost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수출입물류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수출입물류 관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 330: 화물 핸들링 결정부
350: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
370: 화물 운송 처리부 390: 제어부
100: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10: user terminal 130: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15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trade order input unit 330: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350: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unit
370: freight transportation processing unit 390: control unit

Claims (8)

수출 화주 단말로부터 수출입물류 운송을 요청하는 주문인 트레이드 오더(trade order)를 입력받는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
상기 트레이드 오더를 분석하여 기 정의된 복수의 운송지점들에 대한 화물 관리 업무인 화물 핸들링(handling)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화물 핸들링 결정부;
상기 화물 핸들링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하여 상기 화물 관리를 담당하는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상기 화물 관리 업무에 관한 화물 핸들링 역할을 결정하는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 및
화물의 운송 경과를 추적하여 상기 화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진입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한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을 통지하는 화물 운송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물 핸들링 결정부는 상기 트레이드 오더에서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각각에 대한 비용부담주체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에서 상기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을 결정하여 화물 핸들링의 수행을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에서 상기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들이 상호 간의 연결관계에 따라 수출입물류 관리를 위한 업무의 단계적인 연속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단계적인 연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화물 핸들링의 오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결정하며,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는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를 기초로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데이터 블록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며, 해당 데이터블록에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 과정은 상기 블록체인코드와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1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키 생성을 위한 난수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난수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블록체인코드를 이진화코드로 변환한 다음 상기 이진화코드 상의 서로 다른 위치의 제1 및 제2 비트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1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정보를 난수 발생기에 입력하여 상기 난수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 키는 상기 난수와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2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텀즈(incoterms)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a trade order input unit that receives a trade order, which is an order requesting import and export logistics transport, from an export shipper terminal;
a cargo handling determination unit that analyzes the trade order and determines whether cargo handling, which is a cargo management task for a plurality of predefined transport points, is necessary;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argo handling is performed,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the cargo handling entity responsible for managing the cargo and the cargo handling role related to the cargo management task f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are determined. wealth; and
Including a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that tracks the transport progress of the cargo, detects that the cargo enters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nd notifies the cargo handling subject of the cargo handling role for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
The freight handling determining unit detects a cost bearing ent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ation points in the trade order, determines a transportation point at which the cost bearing entity corresponds to an export shipper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ation points, and performs cargo handling. Determines whether,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ation points, the transportation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xport shippers of the cost-bearing entity have step-by-step continuity of work for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according to mutual connection relationships, and the step-by-step If there is no continu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sibility of error in the cargo handling is high;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blockchain code corresponding to an identification code of a data block in a blockchain system based on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accesses information on the cargo handling role based on the blockchain code.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information on the cargo handling role in the corresponding data block, the information on the cargo handling role is encrypted,
The encryption process includes generating a random number for generating an encryption key based on the blockchain code and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random number converts the blockchain code into a binary code, determines first informa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bits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binary code, and 1 information is input to a random number generator to generate the random number;
The encryption key is generated based on the second information of the random number and the cargo handling role Incoterms (incoterms) based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 각각에 대하여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로서 화물 관리를 자기 주도하에 처리하는 주체인 직접 핸들러 또는 상기 화물 관리를 직접 처리하는 대신 화물을 중개하는 주체인 포워더 핸들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 direct handler, which is an entity that handles cargo management under its own initiative as the cargo handling entity, or a forwarder handler, which is an entity that mediates cargo instead of directly handling the cargo management, is determined. Incoterms-based export/im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는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가 결정된 운송지점에 대하여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로서 다음 운송지점의 도달위치 및 도달시간과 상기 화물의 운송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unit
The Incoterms-based export/im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go handling entity determines the arrival location and arrival time of the next transport point and the transport method of the cargo as the cargo handling role for the determined transport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운송 처리부는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의 단말로부터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에 따른 업무의 완료를 수신하고, 상기 완료에 따라 상기 수출 화주 단말에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에 따른 업무의 처리 내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텀즈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eight transportation processing unit
Receiving completion of the task according to the cargo handling role from the terminal of the cargo handling subject, and notifying the export shipper terminal of the processing contents of the task according to the cargo handling role according to the completion Logistics management device.
수출입물류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수출입물류관리 방법에 있어서,
트레이드 오더 입력부를 통해, 수출 화주 단말로부터 수출입물류 운송을 요청하는 주문인 트레이드 오더(trade order)를 입력받는 트레이드 오더 입력단계;
화물 핸들링 결정부를 통해, 상기 트레이드 오더를 분석하여 기 정의된 복수의 운송지점들에 대한 화물 관리 업무인 화물 핸들링(handling)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화물 핸들링 결정단계;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부를 통해, 상기 화물 핸들링 여부가 결정되면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하여 상기 화물 관리를 담당하는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상기 화물 관리 업무에 관한 화물 핸들링 역할을 결정하는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단계; 및
화물 운송 처리부를 통해, 화물의 운송 경과를 추적하여 상기 화물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진입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해당 운송지점에 대한 화물 핸들링 주체에게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을 통지하는 화물 운송 처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화물 핸들링 결정단계는 상기 트레이드 오더에서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각각에 대한 비용부담주체를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에서 상기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을 결정하여 화물 핸들링의 수행을 결정하며, 상기 복수의 운송지점들 중에서 상기 비용부담주체가 수출 화주에 해당하는 운송지점들이 상호 간의 연결관계에 따라 수출입물류 관리를 위한 업무의 단계적인 연속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단계적인 연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화물 핸들링의 오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 및 역할 결정단계는 상기 화물 핸들링 주체를 기초로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데이터 블록의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블록체인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에 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코드를 기초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 블록에 저장하며, 해당 데이터블록에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화 과정은 상기 블록체인코드와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1 정보를 기초로 암호화 키 생성을 위한 난수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난수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블록체인코드를 이진화코드로 변환한 다음 상기 이진화코드 상의 서로 다른 위치의 제1 및 제2 비트들의 조합에 따라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1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정보를 난수 발생기에 입력하여 상기 난수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 키는 상기 난수와 상기 화물 핸들링 역할의 제2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텀즈(incoterms) 기반 수출입물류관리 방법.
I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method performed in the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 trade order input step of receiving a trade order, which is an order requesting import/export logistics transport, from an export shipper terminal through a trade order input unit;
a cargo handling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cargo handling, which is a cargo management task for a plurality of predefined transport points, is necessary by analyzing the trade order through a cargo handling determining unit;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rgo is handled through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unit, the cargo handling entity in charge of managing the cargo for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and the cargo handling role for the cargo management task Cargo handling subject and role determining step for determining; and
Through the cargo transport processing unit, tracking the transport progress of the cargo, detecting that the cargo enters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and notifying the cargo handling role of the cargo handling entity for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transport point Including the freight transport processing step,
The cargo handling determining step detects a cost bear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in the trade order, determines a transport point at which the cost bearer corresponds to an export shipper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and determines cargo handling determine whether the transport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xport shipper among the plurality of transport points have gradual continuity of work for import and export logistic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utual connection relationship; Determining that the possibility of error in the cargo handling is high when there is no continuous continuity,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role determining step determines a blockchain code corresponding to an identification code of a data block in a blockchain system based on the cargo handling entity, and determines information on the cargo handling role based on the blockchain code. storing in an accessible data block, and encryp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argo handling role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argo handling role in the corresponding data block;
The encryption process includes generating a random number for generating an encryption key based on the blockchain code and the first informa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random number converts the blockchain code into a binary code, determines first informa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first and second bits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binary code, and 1 information is input to a random number generator to generate the random number;
Wherein the encryption key is generated based on the random number and the second information of the cargo handling role.
KR1020210142378A 2021-10-25 2021-10-25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1024937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78A KR102493728B1 (en) 2021-10-25 2021-10-25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78A KR102493728B1 (en) 2021-10-25 2021-10-25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728B1 true KR102493728B1 (en) 2023-02-06

Family

ID=85224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378A KR102493728B1 (en) 2021-10-25 2021-10-25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7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409B1 (en) * 2023-06-14 2023-12-01 이민수 Trade Transaction Verification Platform Provid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90A (en) 2001-02-26 2002-09-05 글로팩스코리아(주) a management system for forwarding input or output goods and method thereof
KR20180023173A (en)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 위메프 System for shipping and method thereof
KR102054251B1 (en) * 2018-07-16 2019-12-11 권순욱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import and export
KR102095735B1 (en) * 2019-05-20 2020-04-01 김성묵 Logistics vender system using cargo based on region and distribu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90A (en) 2001-02-26 2002-09-05 글로팩스코리아(주) a management system for forwarding input or output goods and method thereof
KR20180023173A (en)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 위메프 System for shipping and method thereof
KR102054251B1 (en) * 2018-07-16 2019-12-11 권순욱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import and export
KR102095735B1 (en) * 2019-05-20 2020-04-01 김성묵 Logistics vender system using cargo based on region and distribu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409B1 (en) * 2023-06-14 2023-12-01 이민수 Trade Transaction Verification Platform Provid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Consumer perceptions to support IoT based smart parcel locker logistics in China
Kayikci E-Commerce i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WO2023092541A1 (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2493728B1 (en) Incoterms-based import/export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Skaf et al. Integrated quay crane and yard truck scheduling problem at port of Tripoli-Lebanon
KR2023013445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aggregation of data and minimization of data loss
Hathikal et al. Prediction of ocean import shipment lead time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s
Zhu et al. Optimisation of containerised air cargo forwarding plans considering a hub consolidation process with cargo loading
CN114386903A (en) Waybill management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20006726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distribution of milk run cargo based on route big data
Dubgorn et al. Analysi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their application in modern companies
Kosasih et al. Designing enterprise architecture for gasoline distribution monitoring system using IoT technology
Wang et al. Untangling process complexity in logistics delivery services with unpredictable service sequences: a mixed-method study of chemical tanker port calls
Chakroun et al. Logistics and supply chain analytics: Benefits and challenges
TW201535282A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data involving terminal operations including tracking, appointment and/or other features
Kose et al. Performance indicators considered for selection of agency in maritime industry
JP2005320110A (en) International marine container delivery management system
Yan Intelligent Analysis of Logistics Information Based on Network Dynamic Data
KR102508617B1 (en) Method and system to manage freight transport
Ping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 in Logistics Management and Distribution
Van der Heide et al. Cross docking for libraries with a depot
Grabowska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potential disruptions in warehouse processes in the distribution centre of the food industry
Mohandas et al. Solving Integrated Logistics Challenges Through a Digital Platform for Humanitarian Efforts
Mirzabeiki et al. Analysis of IoT adoption from a supply chain collaboration perspective
Wanganoo et al. Revamping Reverse Logistics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