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647B1 -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647B1
KR102493647B1 KR1020220135527A KR20220135527A KR102493647B1 KR 102493647 B1 KR102493647 B1 KR 102493647B1 KR 1020220135527 A KR1020220135527 A KR 1020220135527A KR 20220135527 A KR20220135527 A KR 20220135527A KR 102493647 B1 KR102493647 B1 KR 102493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air
module
sun vi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Priority to KR1020220135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5/00Labelling fabrics or comparable materials or articles with deformable surface, e.g. paper, fabric rolls, stocking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2Removing separate labels from stacks
    • B65C9/14Removing separate labels from stacks by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등록제10-2170801호에서 라벨 자동 융착 장치의 경우에, 롤 형태의 필름에 부착된 라벨을 절단시킨 후, 라벨 불량검출 후 라벨을 공급시키기 때문에, 기기전체의 부피가 커지고, 열융착을 위한 라벨위치가 뒤틀려서 공급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상의 라벨 열융착 불량율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과, 선바이저시트(Sheet)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때, 제대로 흡착이 안되고, 라벨융착 공정부에 놓여지는 선바이저시트(Sheet) 위치가 정위치되지 않고, 뒤틀려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메인본체(100),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200),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300), 라벨 적층수납모듈(400),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500), 라벨 투입이송모듈(600), 스마트 열융착모듈(700),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800), 지능형제어부(900)가 구성됨으로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의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단시간에 라벨이 열융착된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대량생산시킬 수 있어, 생산효율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고,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와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 열융착모듈의 보조열판과 라벨위치가 서로 뒤틀리지 않고,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정확하게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에 비해 라벨열융착 불량율을 60%이하로 낮출 수 있으며, 메인열판을 기준으로 삼각, 사각, 원형, 오각형상을 갖는 보조열판을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도록 볼트조임방식으로 구성됨으로서, 선바이저시트(Sheet)에 열융착되는 라벨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차량용 시트(Sheet)에 열융착되는 라벨에도 적용시킬 수 있어, 제품의 다각화를 통한 수익창출을 기존에 비해 1.5배~3배로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Intelligent label automatic welding device}
본 발명은 라벨이 열융착되는 차량용 선바이저시트(Sheet), 또는 다른 종류의 차량용 시트(Sheet)에 적용되어, 위치인식과 설정된 이송거리에 따른 지능형제어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 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을 거쳐 라벨이 열융착된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자동형성시키도록 제어시킬 수 있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자동차 선바이저 가죽이나 시트(Sheet)에 부착되는 에어백 경고라벨(이하, '라벨'이라 칭한다)은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생산이 이루어졌는데 라벨의 표면에 인쇄된 전용 잉크가 마르기 전에 표면에 마찰이 이루어지면 번짐이 발생하여 불량이 발생하고, 라벨 잉크를 건조시키는 작업을 추가로 하면 생산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에 많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라벨의 부착면에 핫멜트를 형성하고 열로 융착시키는 공정을 통해 인쇄 번짐의 문제를 해소하여 생산하였으나, 라벨을 융착시키는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손이 많이 가고 수작업으로 공정이 이루어지다보니 작업자의 컨디션이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 융착 공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화상을 입을 수 있고, 동일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고, 라벨이 정확한 위치에 융착되지 않고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여 비뚤어지거나 라벨에 기포가 발생하는 등 품질이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라벨의 표면에 이물질이 묻어있거나 인쇄불량인 라벨을 육안으로 검수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확히 검수하기 어려우며, 잘못 인쇄된 라벨을 그대로 융착시킬 경우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특허등록제10-2170801호에서 라벨 자동 융착 장치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롤 형태의 필름에 부착된 라벨을 절단시킨 후, 라벨 불량검출 후 라벨을 공급시키기 때문에, 기기전체의 부피가 커지고, 열융착을 위한 라벨위치가 뒤틀려서 공급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상의 라벨 열융착 불량율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바이저시트(Sheet)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때, 제대로 흡착이 안되고, 라벨융착 공정부에 놓여지는 선바이저시트(Sheet) 위치가 정위치되지 않고, 뒤틀려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8286호 2.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70801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의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고,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와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 열융착모듈의 보조열판과 라벨위치가 서로 뒤틀리지 않고,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정확하게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킬 수 있으며, 메인열판을 기준으로 삼각, 사각, 원형, 오각형상을 갖는 보조열판을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도록 볼트조임방식으로 구성됨으로서, 선바이저시트(Sheet)에 열융착되는 라벨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차량용 시트(Sheet)에 열융착되는 라벨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는
위치인식과 설정된 이송거리에 따른 지능형제어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 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을 거쳐 라벨이 열융착된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자동형성시키도록 제어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직립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메인본체(100)와,
박스형상의 수납구조에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적층하여 수납시키는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200)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고,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300)과,
박스형상의 수납구조에 라벨을 적층하여 수납시키는 라벨 적층수납모듈(400)과,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과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 사이에 위치되고, 스마트 열융착모듈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지지한 상태에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과, 그 라벨을 열융착시키는 스마트열융착모듈을 하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500)과,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을 기준으로 Y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 사이에 위치되어, 라벨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라벨을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방향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운동을 통해 라벨을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내려놓는 라벨 투입이송모듈(600)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의 수직방향에 위치되어, 승하강되면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면서 열융착시키는 스마트 열융착모듈(700)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을 통해 완성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는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800)과,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 라벨 적층수납모듈,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 라벨 투입이송모듈, 스마트 열융착모듈,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위치인식과 설정된 이송거리에 따른 지능형제어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 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을 거쳐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자동형성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지능형제어부(9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의 전반적인 공정을 자동화하여 단시간에 라벨이 열융착된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대량생산시킬 수 있어, 생산효율을 기존에 비해 80%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와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 열융착모듈의 보조열판과 라벨위치가 서로 뒤틀리지 않고,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정확하게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에 비해 라벨열융착 불량율을 60%이하로 낮출 수 있다.
셋째, 메인열판을 기준으로 삼각, 사각, 원형, 오각형상을 갖는 보조열판을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도록 볼트조임방식으로 구성됨으로서, 선바이저시트(Sheet)에 열융착되는 라벨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차량용 시트(Sheet)에 열융착되는 라벨에도 적용시킬 수 있어, 제품의 다각화를 통한 수익창출을 기존에 비해 1.5배~3배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시,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선바이저시트(Sheet)쪽으로 누르는 힘과 에어흡착의 힘으로 선바이저시트(Sheet)를 드는 모습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적층수납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 투입이송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로드리스실린더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열융착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열판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열판부가 승하강가이드봉의 승하강 가이드구동에 따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에서 승하강구동되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의 선바이저시트(Sheet)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어,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상에 내려놓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회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가 위치인식과 설정된 이송거리에 따른 지능형제어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 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을 거쳐 라벨이 열융착된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자동형성시키도록 제어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위치인식과 설정된 이송거리에 따른 지능형제어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 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을 거쳐 라벨이 열융착된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자동형성시키도록 제어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1)는 메인본체(100),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200),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300), 라벨 적층수납모듈(400),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500), 라벨 투입이송모듈(600), 스마트 열융착모듈(700),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800), 지능형제어부(9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메인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메인본체(100)는 직립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프레임이 직립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 일측에 스타트지점인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200)이 형성되고,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300)이 형성되며, 좌측 일측에 엔드지점인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800)이 형성되고,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과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 사이에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500)이 형성되고, 그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을 기준으로 Y축 길이방향을 따라 라벨 투입이송모듈(600)이 형성되며, 그 라벨 투입이송모듈과 동일선상의 하단 일측에 라벨 적층수납모듈(400)이 형성되고, 그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의 상단방향으로 스마트 열융착모듈(70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본체의 바닥부위에 지능형제어부(900)와 키패드부(1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과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이 설치되는 곳에 직립의 수직구조의 판넬구조로 이루어진 베이스플레이트(12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본체의 측면 일측 또는 후면 일측에 제1 에어컴퓨레셔, 라벨용 에어컴퓨레셔, 제2 에어컴퓨레셔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 일측과 X축의 동일선상에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900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200)은 박스형상의 수납구조에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적층하여 수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선바이저시트(Sheet)가 적층시 위치가 뒤틀리지 않게 가로방향, 세로방향으로 정위치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제1 수납모듈본체(2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수납모듈본체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는 볼트조임(220)을 통해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납모듈본체의 크기는 선바이저시트(Sheet)의 크기에 맞게 맞춤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일측에 제1 감지센서(2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감지센서는 선바이저시트(Sheet)가 적층되거나, 또는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가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에어흡입되어 이송되었음을 감지하여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센싱신호는 지능형제어부의 입력단자로 입력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300)은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고,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라는 것은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의 중앙부위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정위치 공급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310), 제1 LM 레일부(320), 제1 무빙플레이트부(330), 제1 "ㄱ"자형 엘보부(340),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350),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360),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37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3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310)는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켜 제1 무빙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압실린더(311), 제1 실린더로드(3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실린더로드 끝단에 제1 무빙플레이트부가 브라켓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312)는 메인본체의 구성요소 중 직립의 수직구조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상단부위 일측에 X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를 통해, 제1 무빙플레이트부와, 제1 무빙플레이트부에 연결된 제1 "ㄱ"자형 엘보부,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에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쪽으로 직선이송시키고, 다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에서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쪽으로 직선이송시킬 수 있어, 선바이저시트(Sheet)를 안전하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정위치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안전하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는 것은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의 직선이송거리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까지의 직선이송거리에 맞게 프로그램 설정함으로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LM 레일부(3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LM 레일부(320)는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1 베이스플레이트부를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무빙플레이트부(3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무빙플레이트부(330)는 직립의 수직구조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고, 정면방향으로 제1 "ㄱ"자형 엘보부가 연결되어, 제1 "ㄱ"자형 엘보부,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직립의 수직구조상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의 제1 실린더로드와 브라켓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방향으로 제1 "ㄱ"자형 엘보부가 볼트와 너트 결합되어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ㄱ"자형 엘보부(3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ㄱ"자형 엘보부(340)는 "ㄱ"자형 엘보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무빙플레이트부의 정면방향에 위치되어,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상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3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350)는 제1 "ㄱ"자형 엘보부 하단에 위치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3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360)는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승하강구동시키고,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361), 제1 탄성스프링(362), 제1 스프링바(36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361)는 제1 탄성스트링, 제1 스트링바를 지지해주면서,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제1 탄성스프링과 제1 스프링바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탄성스프링(362)는 제1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 하단에 위치되어, 제1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로부터 승하강 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하단의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스프링바(363)는 제1 탄성스프링 사이에 수직의 길이방향 바형태로 삽입되어,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승하강 구동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고, 이때 제1 탄성스프링의 힘으로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부드럽게 눌러주면서 승하강구동시킬 수 있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시,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선바이저시트(Sheet)쪽으로 누르는 힘과 에어흡착의 힘으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손쉽게 들을 수가 있게 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3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370)는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에어컴퓨레셔(371), 제1 에어공급파이프(372), 제1 에어캡(373), 제1 에어센서부(374), 제1 에어흡착패드(375), 제1 에어흡착홀더(37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에어컴퓨레셔(371)는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켜 제1 에어공급파이프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에어공급파이프(372)는 제1 에어컴퓨레셔와 제1 에어캡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에어컴퓨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제1 에어캡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에어캡(373)은 제1 에어흡착패드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제1 에어공급파이프와 연결되어, 제1 에어공급파이프로부터 흡입 또는 배출의 에어를 공급받아 제1 에어흡착홀더쪽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에어센서부(374)는 제1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지능형제어부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에어흡착패드(375)는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에어공급파이프, 제1 에어캡, 제1 에어센서부, 제1 에어흡착홀더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에어흡착홀더(376)는 제1 에어흡착패드의 하단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적층수납모듈(4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라벨 적층수납모듈(400)은 박스형상의 수납구조에 라벨을 적층하여 수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제2 수납모듈본체(4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수납모듈본체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는 볼트조임(420)을 통해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이 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수납모듈본체의 크기는 라벨의 크기에 맞게 맞춤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일측에 제2 감지센서(4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감지센서(430)는 라벨이 적층되거나, 또는 적층된 라벨이 라벨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에어흡입되어 이송되었음을 감지하여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센싱신호는 지능형제어부의 입력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라벨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되어 수납된 라벨은 에어백 터짐 및 에어백 사용에 관한 경고문이나 안내문이 텍스트로 형성된 것으로,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VC(폴리염화비닐), ABS의 플라스틱수지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5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500)은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과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 사이에 위치되고, 스마트 열융착모듈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지지한 상태에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과, 그 라벨을 열융착시키는 스마트열융착모듈을 하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위에 방열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의 판구조로 형성된 알루미늄플레이트(5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알루미늄플레이트 상에 융착 지지판(52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융착 지지판(520)은 상단면 좌·우측과 전방 외곽에 길이방향으로 직사각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단면 중앙에 올려지는 선바이저시트(Sheet)의 위치 및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선바이저시트(Sheet)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또는 1.1배~1.3배 큰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표면상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융착 지지판은 일측에 제3 감지센서(5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3 감지센서(530)는 융착 지지판에 얹어지는 선바이저시트(Sheet)를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라벨 투입이송모듈(6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라벨 투입이송모듈(600)은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을 기준으로 Y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 사이에 위치되어, 라벨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라벨을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방향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운동을 통해 라벨을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라벨 투입이라는 것은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로 라벨을 정위치 공급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자형 LM가이드박스부(610), 로드리스실린더부(620),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630), 엘보덧댐부(640), 실린더연결브라켓부(650),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660),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670),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68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LM가이드박스부(6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일자형 LM가이드박스부(610)는 일자형상을 갖는 길이방향의 박스구조로 형성되고,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을 기준으로 Y축방향으로 형성되어, 로드리스실린더부,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 엘보덧댐부, 실린더연결브라켓부,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와 접촉되는 상단표면부위에 로드리스실린더부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된 셔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내부공간에 로드리스실린더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로드리스실린더부(6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로드리스실린더부(620)는 일자형 LM가이드박스부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켜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리스유압실린더(621)와 로드리스실린더로드(622)로 구성된다.
그리고, 로드리스실린더로드의 상단일측에 셔틀(621a)이 형성되고, 그 셔틀에 브라켓을 통해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과 연결된다.
상기 로드리스실린더부는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을 기준으로 Y축방향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드리스실린더부를 통해,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와, 제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에 연결된 엘보덧댐부, 실린더연결브라켓부,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라벨 적층수납모듈에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쪽으로 직선이송시키고, 다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에서 라벨 적층수납모듈쪽으로 직선이송시킬 수 있어, 라벨을 안전하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정위치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라벨을 안전하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는 것은 로드리스실린더부의 직선이송거리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까지의 직선이송거리에 맞게 프로그램설정함으로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라벨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6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630)는 역"ㄱ"자형상의 거치형구조로 형성되어, 로드리스실린더부가 연결되고, 정면방향으로 엘보덧댐부가 연결되어, 엘보덧댐부, 실린더연결브라켓부,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직립의 수직구조상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로드리스실린더부의 로드실린더로드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셔틀과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시킨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방향으로 엘보덧댐부가 볼트와 너트 결합되어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엘보덧댐부(6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엘보덧댐부(640)는 엘보형상으로 형성되고,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의 정면방향에 위치되어, 실린더연결브라켓부,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연결브라켓부(6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실린더연결브라켓부(650)는 엘보덧댐부의 전단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6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660)는 실린더연결브라켓부 하단에 위치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6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670)는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승하강구동시키고,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용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671), 라벨용 탄성스프링(672), 라벨용 스프링바(673)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용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671)는 라벨용 탄성스트링, 라벨용 스트링바를 지지해주면서, 라벨용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라벨용 탄성스프링과 라벨용 스프링바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벨용 탄성스프링(672)는 라벨용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 하단에 위치되어, 라벨용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로부터 승하강 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하단의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벨용 스프링바(673)는 라벨용 탄성스프링 사이에 수직의 길이방향 바형태로 삽입되어,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승하강 구동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즉, 라벨용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고, 이때 라벨용 탄성스프링의 힘으로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부드럽게 눌러주면서 승하강구동시킬 수 있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라벨과 접촉시,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라벨쪽으로 누르는 힘과 에어흡착의 힘으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손쉽게 들을 수가 있게 된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6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680)는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어, 라벨과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용 에어컴퓨레셔(681),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682), 라벨용 에어캡(683), 라벨용 에어센서부(684), 라벨용 에어흡착패드(685), 라벨용 에어흡착홀더(686)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용 에어컴퓨레셔(681)는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켜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682)는 라벨용 에어컴퓨레셔와 라벨용 에어캡 사이에 위치되어, 라벨용 에어컴퓨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라벨용 에어캡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벨용 에어캡(683)은 라벨용 에어흡착패드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와 연결되어,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로부터 흡입 또는 배출의 에어를 공급받아 라벨용 에어흡착홀더쪽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벨용 에어센서부(684)는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지능형제어부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라벨용 에어흡착패드(685)는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어,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 라벨용 에어캡, 라벨용 에어센서부, 라벨용 에어흡착홀더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벨용 에어흡착홀더(686)는 라벨용 에어흡착패드의 하단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라벨과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열융착모듈(7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열융착모듈(700)은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의 수직방향에 위치되어, 승하강되면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면서 열융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융착모듈본체(710), 열융착모듈용 승하강실린더부(720), 승하강가이드봉(730), 열판구동전원부(740), 시프트체인부(750), 스마트열판부(7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모듈본체(7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열융착모듈본체(710)는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의 수직방향에 위치되어, 열융착모듈용 승하강실린더부, 승하강가이드봉, 열판구동부, 시프트체인부, 스마트열판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브라켓을 통해 메인본체의 중앙 상단부위에 위치해있다가, 지능형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동일선상에 위치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쪽으로 승하강가이드봉, 열판구동전원부, 시프트체인부, 스마트열판부가 승하강구동된다.
즉, 열융착모듈용 승하강실린더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승하강 가이드봉이 형성되고, 그 승하강 가이드봉 일측에 시프트체인부가 형성되며, 승하강 가이드봉 하단 일측에 스파트열판부가 형성되고, 시프트체인부 하단 일측에 열판구동전원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모듈용 승하강실린더부(7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열융착모듈용 승하강 유압실린더부(720)는 열융착모듈본체의 중앙에 세로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열판구동전원부, 시프트체인부, 스마트열판부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지능형제어부가 연결되어,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가이드봉(7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승하강가이드봉(730)은 열융착모듈용 승하강 유압실린더부 일측에 위치되어, 열융착모듈용 승하강 유압실린더부의 승하강 힘을 전달받아, 열판구동전원부, 시프트체인부, 스마트열판부를 승하강되도록 안내시키는 가이드역할을 수행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열판구동부(7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열판구동전원부(740)는 시프트체인부 하단에 위치되고, 시프트체인부로부터 승하강 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면서,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열판부에 열판구동전원을 인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체인부(7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시프트체인부(750)는 승하강가이드봉 일측에 위치되고, 열판구동전원부를 상단방향에서 지지해주면서, 승하강가이드봉의 승하강 가이드구동에 따라 열판구동전원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열판부(7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열판부(760)는 승하강가이드봉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승하강가이드봉의 승하강 가이드구동에 따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에서 승하강구동되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의 선바이저시트(Sheet)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열판(761), 보조열판(762), 십자가형 적외선 빔센서(763)가 구성된다.
상기 메인열판(761)은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열선을 통해 열을 생성시키고, 생성시킨 열을 보조열판쪽으로 전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내부공간에 균일판 표면접촉을 갖는 열선이 형성되어, 열판구동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140도~220도의 온도와 15초~45초시간동안 열전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열판(762)은 메인열판의 하단부위에 위치되고, 라벨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라벨을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라벨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라벨이 사각이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라벨이 원형이면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라벨이 삼각이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라벨이 오각이면 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즉, 라벨의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열판은 특수 열처리 코팅이 되어 있어, 내구성 및 이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삼각, 사각, 원형, 오각형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보조열판으로 구성되고, 메인열판을 기준으로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도록 볼트조임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763)는 열융착되는 라벨방향쪽으로 십자가형상의 적외선빔을 쏴주어 보조열판이 라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메인열판의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보조열판이 라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센싱시키고, 지능형제어부에서 센싱신호에 따라 라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제어시킬 수 있어, 라벨위치에 정위치로 보조열판을 위치시켜 열융착시킬 수 있다.
즉,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를 통해 십자가형상의 적외선빔에 라벨이 정위치되면, 정위치된 센싱신호를 지능형제어부로 전송시키고, 이때 지능형제어부에서는 열판구동전원부쪽으로 전원인가신호를 보내고, 열융착모듈용 승하강실린더부쪽으로 승하강구동신호를 보내어, 보조열판이 라벨과 동일선상에 정위치되도록 제어시킨다.
이와 반대로,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를 통해 십자가형상의 적외선빔에 라벨이 정위치되어 있지 않으면, 경고등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열판구동전원부의 구동과, 열융착모듈용 승하강실린더부의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시킨다.
이로 인해, 보조열판과 라벨위치가 서로 뒤틀리지 않고,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정확하게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에 비해 라벨열융착 불량율을 60%이하로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8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800)은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을 통해 완성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810), 제2 LM 레일부(820), 제2 무빙플레이트부(830), 제2 "ㄱ"자형 엘보부(840),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850),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860),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87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8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810)는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켜 제2 무빙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유압실린더(811), 제2 실린더로드(812)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실린더로드 끝단에 제2 무빙플레이트부가 브라켓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는 메인본체의 구성요소 중 직립의 수직구조로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하단부위 일측에 X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를 통해, 제2 무빙플레이트부와, 제2 무빙플레이트부에 연결된 제2 "ㄱ"자형 엘보부,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에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쪽으로 직선이송시키고, 다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에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쪽으로 직선이송시킬 수 있어,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안전하게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상에 정위치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안전하게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상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는 것은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의 직선이송거리를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까지의 직선이송거리에 맞게 프로그램설정함으로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상에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LM 레일부(8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LM 레일부(820)는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베이스플레이트부를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도록 안내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무빙플레이트부(8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무빙플레이트부(830)는 직립의 수직구조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고, 정면방향으로 제2 "ㄱ"자형 엘보부가 연결되어, 제2 "ㄱ"자형 엘보부,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직립의 수직구조상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의 제2 실린더로드와 브라켓을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방향으로 제2 "ㄱ"자형 엘보부가 볼트와 너트 결합되어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ㄱ"자형 엘보부(8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ㄱ"자형 엘보부(840)는 "ㄱ"자형 엘보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무빙플레이트부의 정면방향에 위치되어,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상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8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850)는 제2 "ㄱ"자형 엘보부 하단에 위치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8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860)는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승하강구동시키고,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861), 제2 탄성스프링(862), 제2 스프링바(863)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861)는 제2 탄성스트링, 제2 스트링바를 지지해주면서,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제2 탄성스프링과 제2 스프링바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탄성스프링(862)는 제2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 하단에 위치되어, 제2 탄성스프링지지플레이트로부터 승하강 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하단의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860)에서는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고, 이때 제2 탄성스프링의 힘으로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부드럽게 눌러주면서 승하강구동시킬 수 있어,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시,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가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쪽으로 누르는 힘과 에어흡착의 힘으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손쉽게 들을 수가 있게 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8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870)는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어,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에어컴퓨레셔(871), 제2 에어공급파이프(872), 제2 에어캡(873), 제2 에어센서부(874), 제2 에어흡착패드(875), 제2 에어흡착홀더(876)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에어컴퓨레셔(871)는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켜 제2 에어공급파이프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에어공급파이프(872)는 제2 에어컴퓨레셔와 제2 에어캡 사이에 위치되어, 제2 에어컴퓨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제2 에어캡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에어캡(873)은 제2 에어흡착패드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제2 에어공급파이프와 연결되어, 제2 에어공급파이프로부터 흡입 또는 배출의 에어를 공급받아 제2 에어흡착홀더쪽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에어센서부(874)는 제2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지능형제어부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 에어흡착패드(875)는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에어공급파이프, 제2 에어캡, 제2 에어센서부, 제2 에어흡착홀더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에어흡착홀더(876)는 제2 에어흡착패드의 하단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제어부(9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지능형제어부(900)는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 라벨 적층수납모듈,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 라벨 투입이송모듈, 스마트 열융착모듈,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위치인식과 설정된 이송거리에 따른 지능형제어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 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을 거쳐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자동형성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PIC원칩마이컴,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즉,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 일측에 제1 감지센서(230)가 연결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가 적층되거나, 또는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가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에어흡입되어 이송되었음을 감지한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1 에어센서부(374)가 연결되어, 제1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라벨 적층수납모듈의 제2 감지센서(430)가 연결되어, 라벨이 적층되거나, 또는 적층된 라벨이 라벨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에어흡입되어 이송되었음을 감지하여 센싱시킨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의 제3 감지센서(530)가 연결되어, 융착 지지판에 얹어지는 선바이저시트(Sheet)를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라벨용 에어센서부(684)가 연결되어,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킨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763)가 연결되어, 열융착되는 라벨방향쪽으로 십자가형상의 적외선빔을 쏴주어 보조열판이 라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2 에어센서부(874)가 연결되어, 제2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출력단자 일측에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의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310)가 연결되어,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의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350)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의 제1 에어컴퓨레셔(371)가 연결되어,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라벨 투입이송모듈의 로드리스실린더부(620)가 연결되어,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660)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의 라벨용 에어컴퓨레셔(681)가 연결되어,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스마트 열융착모듈의 열융착모듈용 승하강 유압실린더부(720)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열판구동전원부(740)가 연결되어, 스마트열판부에 열판구동전원을 인가시키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의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810)가 연결되어,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850)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에어컴퓨레셔(871)가 연결되어,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능형제어부(900)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제어모드(910), 라벨투입이송제어모드(920), 라벨 열융착제어모드(930),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제어모드(940)가 포함되어 프로그램 구성된다.
상기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제어모드(910)는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과 연결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을 구동시켜,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고,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의 직선이송거리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까지의 직선이송거리에 맞게 설정함으로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라벨투입이송제어모드(920)는 라벨 투입이송모듈과 연결되어, 라벨 투입이송모듈을 구동시켜, 라벨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라벨을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방향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운동을 통해 라벨을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내려놓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라벨 투입이송모듈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로드리스실린더부의 직선이송거리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까지의 직선이송거리에 맞게 설정함으로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의 선바이저시트(Sheet)에 얹어진 라벨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라벨 열융착제어모드(930)는 스마트 열융착모듈과 연결되어, 스마트 열융착모듈을 구동시켜, 승하강되면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면서 열융착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제어모드(940)는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과 연결되어,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을 구동시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을 통해 완성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 수납부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에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적층하여 수납시킨다.
다음으로, 라벨 적층수납모듈에 라벨을 적층하여 수납시킨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이 구동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고,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도록 제어시킨다.
이때, 지능형제어부에서는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의 직선이송거리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까지의 직선이송거리에 맞게 프로그램 설정함으로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라벨 투입이송모듈이 구동되어, 라벨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라벨을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방향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운동을 통해 라벨을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내려놓도록 제어시킨다.
이때, 지능형제어부에서는 라벨 투입이송모듈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로드리스실린더부의 직선이송거리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까지의 직선이송거리에 맞게 프로그램 설정함으로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의 선바이저시트(Sheet)에 얹어진 라벨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 열융착모듈이 구동되어, 스마트 열융착모듈이 승하강되면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면서 열융착시키도록 제어시킨다.
끝으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이 구동되어,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을 통해 완성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 수납부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도록 제어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이 열융착된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가 자동으로 형성된다.
1 :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100 : 메인본체
200 :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
300 :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
310 :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
320 : 제1 LM 레일부
330 : 제1 무빙플레이트부
340 : 제1 "ㄱ"자형 엘보부
350 :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360 :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
370 :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
400 : 라벨 적층수납모듈
500 :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
600 : 라벨 투입이송모듈
610 : 일자형 LM가이드박스부
620 : 로드리스실린더부
630 :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
640 : 엘보덧댐부
650 : 실린더연결브라켓부
660 :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670 :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680 :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
700 : 스마트 열융착모듈
800 :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
900 : 지능형제어부

Claims (12)

  1. 위치인식과 설정된 이송거리에 따른 지능형제어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 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을 거쳐 라벨이 열융착된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자동형성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는
    직립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메인본체(100)와,
    박스형상의 수납구조에 선바이저시트(Sheet)를 적층하여 수납시키는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200)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고,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300)과,
    박스형상의 수납구조에 라벨을 적층하여 수납시키는 라벨 적층수납모듈(400)과,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과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 사이에 위치되고, 스마트 열융착모듈과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이송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지지한 상태에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과, 그 라벨을 열융착시키는 스마트열융착모듈을 하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500)과,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을 기준으로 Y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 사이에 위치되어, 라벨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라벨을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방향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운동을 통해 라벨을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내려놓는 라벨 투입이송모듈(600)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의 수직방향에 위치되어, 승하강되면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면서 열융착시키는 스마트 열융착모듈(700)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 일측에 위치되어,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을 통해 완성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는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800)과,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 라벨 적층수납모듈,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 라벨 투입이송모듈, 스마트 열융착모듈,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위치인식과 설정된 이송거리에 따른 지능형제어로,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 라벨투입이송, 라벨 열융착,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을 거쳐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를 자동형성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지능형제어부(900)로 구성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300)은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켜 제1 무빙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310)와,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1 베이스플레이트부를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도록 안내시키는 제1 LM 레일부(320)와,
    직립의 수직구조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고, 정면방향으로 제1 "ㄱ"자형 엘보부가 연결되어, 제1 "ㄱ"자형 엘보부,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직립의 수직구조상에서 지지해주는 제1 무빙플레이트부(330)와,
    "ㄱ"자형 엘보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무빙플레이트부의 정면방향에 위치되어,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상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제1 "ㄱ"자형 엘보부(340)와,
    제1 "ㄱ"자형 엘보부 하단에 위치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350)와,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승하강구동시키고,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360)와,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하는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3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370)는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켜 제1 에어공급파이프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1 에어컴퓨레셔(371)와,
    제1 에어컴퓨레셔와 제1 에어캡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에어컴퓨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제1 에어캡으로 전달시키는 제1 에어공급파이프(372)와,
    제1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제1 에어센서부(373)와,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에어공급파이프, 제1 에어캡, 제1 에어센서부, 제1 에어흡착홀더를 지지해주는 제1 에어흡착패드(374)와,
    제1 에어흡착패드의 하단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제1 에어흡착홀더(3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투입이송모듈(600)은
    일자형상을 갖는 길이방향의 박스구조로 형성되고,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을 기준으로 Y축방향으로 형성되어, 로드리스실린더부,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 엘보덧댐부, 실린더연결브라켓부,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지지해주는 일자형 LM가이드박스부(610)와,
    일자형 LM가이드박스부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켜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는 로드리스실린더부(620)와,
    역"ㄱ"자형상의 거치형구조로 형성되어, 로드리스실린더부가 연결되고, 정면방향으로 엘보덧댐부가 연결되어, 엘보덧댐부, 실린더연결브라켓부,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직립의 수직구조상에서 지지해주는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630)와,
    엘보형상으로 형성되고, 거치형 무빙플레이트부의 정면방향에 위치되어, 실린더연결브라켓부,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지지해주는 엘보덧댐부(640)와,
    엘보덧댐부의 전단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지지해주는 실린더연결브라켓부(650)와,
    실린더연결브라켓부 하단에 위치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660)와,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승하강구동시키고,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으로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670)와,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어, 라벨과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하는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6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680)는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켜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쪽으로 전달시키는 라벨용 에어컴퓨레셔(681)와,
    라벨용 에어컴퓨레셔와 라벨용 에어캡 사이에 위치되어, 라벨용 에어컴퓨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라벨용 에어캡으로 전달시키는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682)와,
    라벨용 에어흡착패드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와 연결되어,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로부터 흡입 또는 배출의 에어를 공급받아 라벨용 에어흡착홀더쪽으로 공급시키는 라벨용 에어캡(683)과,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라벨용 에어센서부(684)와,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어,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 라벨용 에어캡, 라벨용 에어센서부, 라벨용 에어흡착홀더를 지지해주는 라벨용 에어흡착패드(685)와,
    라벨용 에어흡착패드의 하단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라벨과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하는 라벨용 에어흡착홀더(6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열융착모듈(700)은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의 수직방향에 위치되어, 열융착모듈용 승하강실린더부, 승하강가이드봉, 열판구동부, 시프트체인부, 스마트열판부를 지지해주는 열융착모듈본체(710)와,
    열융착모듈본체의 중앙에 세로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열판구동전원부, 시프트체인부, 스마트열판부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열융착모듈용 승하강 유압실린더부(720)와,
    열융착모듈용 승하강 유압실린더부 일측에 위치되어, 열융착모듈용 승하강 유압실린더부의 승하강 힘을 전달받아, 열판구동전원부, 시프트체인부, 스마트열판부를 승하강되도록 안내시키는 가이드역할을 수행하는 승하강가이드봉(730)과,
    시프트체인부 하단에 위치되고, 시프트체인부로부터 승하강 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면서, 지능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마트열판부에 열판구동전원을 인가시키는 열판구동전원부(740)와,
    승하강가이드봉 일측에 위치되고, 열판구동전원부를 상단방향에서 지지해주면서, 승하강가이드봉의 승하강 가이드구동에 따라 열판구동전원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시프트체인부(750)와,
    승하강가이드봉 하단 일측에 위치되어, 승하강가이드봉의 승하강 가이드구동에 따라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동일선상에서 승하강구동되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의 선바이저시트(Sheet)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키는 스마트열판부(7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열판부(760)는
    사각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열선을 통해 열을 생성시키고, 생성시킨 열을 보조열판쪽으로 전도시키는 메인열판(761)과,
    메인열판의 하단부위에 위치되고, 라벨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라벨을 누르는 힘과 함께 열융착시키는 보조열판(762)과,
    열융착되는 라벨방향쪽으로 십자가형상의 적외선빔을 쏴주어 보조열판이 라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센싱시키는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7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800)은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켜 제2 무빙플레이트부쪽으로 전달시키는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810)와,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베이스플레이트부를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도록 안내시키는 제2 LM 레일부(820)와,
    직립의 수직구조를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고, 정면방향으로 제2 "ㄱ"자형 엘보부가 연결되어, 제2 "ㄱ"자형 엘보부,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직립의 수직구조상에서 지지해주는 제2 무빙플레이트부(830)와,
    "ㄱ"자형 엘보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무빙플레이트부의 정면방향에 위치되어,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상단방향에서 지지해주는 제2 "ㄱ"자형 엘보부(840)와,
    제2 "ㄱ"자형 엘보부 하단에 위치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850)와,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승하강구동시키고,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860)와,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로부터 승하강구동의 힘을 전달받아 승하강구동되어,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하는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8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흡착플레이트부(870)는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켜 제2 에어공급파이프쪽으로 전달시키는 제2 에어컴퓨레셔(871)와,
    제2 에어컴퓨레셔와 제2 에어캡 사이에 위치되어, 제2 에어컴퓨레셔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제2 에어캡으로 전달시키는 제2 에어공급파이프(872)와,
    제2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제2 에어센서부(873)와,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에어공급파이프, 제2 에어캡, 제2 에어센서부, 제2 에어흡착홀더를 지지해주는 제2 에어흡착패드(874)와,
    제2 에어흡착패드의 하단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와 접촉된 후, 에어흡입하여 들거나, 또는, 에어배출하여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수납부상에 내려놓는 역할을 하는 제2 에어흡착홀더(87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제어부(900)는
    입력단자 일측에 제1 감지센서가 연결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가 적층되거나, 또는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가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에어흡입되어 이송되었음을 감지한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1 에어센서부가 연결되어, 제1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라벨 적층수납모듈의 제2 감지센서가 연결되어, 라벨이 적층되거나, 또는 적층된 라벨이 라벨 투입이송모듈을 통해 에어흡입되어 이송되었음을 감지하여 센싱시킨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의 제3 감지센서가 연결되어, 융착 지지판에 얹어지는 선바이저시트(Sheet)를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라벨용 에어센서부가 연결되어, 라벨용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킨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십자가형 적외선빔센서가 연결되어, 열융착되는 라벨방향쪽으로 십자가형상의 적외선빔을 쏴주어 보조열판이 라벨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되며, 또 다른 입력단자 일측에 제2 에어센서부가 연결되어, 제2 에어공급파이프로 유입된 에어의 힘을 센싱시키는 센싱신호가 입력되고, 출력단자 일측에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의 제1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의 제1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1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1 에어흡착플레이트부의 제1 에어컴퓨레셔가 연결되어,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라벨 투입이송모듈의 로드리스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라벨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라벨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라벨 에어흡착플레이트부의 라벨용 에어컴퓨레셔가 연결되어,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스마트 열융착모듈의 열융착모듈용 승하강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열판구동전원부가 연결되어, 스마트열판부에 열판구동전원을 인가시키는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의 제2 직선이송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메인본체의 X축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승하강용 유압실린더부가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의 힘으로 제2 탄성스프링승하강부를 승하강구동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에어컴퓨레셔가 연결되어, 흡착과 배출의 에어의 힘을 생성시키도록 출력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제어부(900)는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과 연결되어,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모듈을 구동시켜, 선바이저시트(Sheet)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고,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상에 내려놓도록 제어시키는 선바이저시트(Sheet) 투입이송제어모드(910)와,
    라벨 투입이송모듈과 연결되어, 라벨 투입이송모듈을 구동시켜, 라벨 적층수납모듈에 적층된 라벨을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방향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운동을 통해 라벨을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부위에 내려놓도록 제어시키는 라벨투입이송제어모드(920)와,
    스마트 열융착모듈과 연결되어, 스마트 열융착모듈을 구동시켜, 승하강되면서 선바이저시트(Sheet)의 중앙표면부위에 얹어진 라벨을 누르면서 열융착시키도록 제어시키는 라벨 열융착제어모드(930)와,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과 연결되어,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모듈을 구동시켜, 라벨융착플레이트모듈과 스마트 열융착모듈을 통해 완성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Sheet)를 에어흡입한 후, 들어서 완성형 선바이저시트 수납부쪽으로 슬라이드 직선이송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완성형선바이저시트(Sheet) 배출이송제어모드(9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KR1020220135527A 2022-10-20 2022-10-20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KR102493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527A KR102493647B1 (ko) 2022-10-20 2022-10-20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5527A KR102493647B1 (ko) 2022-10-20 2022-10-20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647B1 true KR102493647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527A KR102493647B1 (ko) 2022-10-20 2022-10-20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6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286A (ko) 2016-03-17 2017-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벨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용 자동 라벨 부착 장치
KR102166735B1 (ko) * 2019-03-04 2020-10-16 서한나 라벨 공급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2170801B1 (ko) 2020-03-04 2020-10-27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라벨 자동 융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8286A (ko) 2016-03-17 2017-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벨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용 자동 라벨 부착 장치
KR102166735B1 (ko) * 2019-03-04 2020-10-16 서한나 라벨 공급구조를 갖는 열 프레스
KR102170801B1 (ko) 2020-03-04 2020-10-27 주식회사 우주특수산업 라벨 자동 융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73565B (zh) 自动化板材测厚机
CN212502807U (zh) 一种屏下摄像头贴合组装设备
CN112810322A (zh) 激光打标设备
KR102493647B1 (ko) 지능형 라벨 자동 융착 장치
CN110421982B (zh) 打印封装一体机
CN114192428B (zh) 一种安装流水线用汽车门外板智能上料装置
CN211766799U (zh) 自动包护角机
CN113247401A (zh) 一种兼容多款卷料产品的检测设备
KR101933298B1 (ko) 접착필름용 접착시트 부착장치
KR102165401B1 (ko) 전자부품 케이싱 및 라벨링 장비
KR102170801B1 (ko) 라벨 자동 융착 장치
CN211387541U (zh) 一种用于叠层组装的自动化设备
CN210881262U (zh) 一种撕膜装置
CN109513575B (zh) 用于pcb电路板的定量点胶装置
CN112548511A (zh) 一种用于叠层组装的自动化设备
CN218022388U (zh) 自动贴键盘保护膜设备
CN215785031U (zh) 一种瓷砖分拣系统
CN111229618A (zh) 一种锂电池自动检测及喷码设备
CN109177179B (zh) 点焊机及点焊系统
CN213650177U (zh) 一种工业视觉在线贴标机
CN214554880U (zh) 一种激光测高异步双阀点胶装置
KR20150139752A (ko) Led 패키지 제조 시스템
CN211100191U (zh) 一种锂电池自动检测及喷码设备
CN210418661U (zh) 一种粘性贴片贴装生产线
CN210162383U (zh) 一种自动包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