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267B1 -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267B1
KR102492267B1 KR1020210104176A KR20210104176A KR102492267B1 KR 102492267 B1 KR102492267 B1 KR 102492267B1 KR 1020210104176 A KR1020210104176 A KR 1020210104176A KR 20210104176 A KR20210104176 A KR 20210104176A KR 102492267 B1 KR102492267 B1 KR 102492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late
lighting
light source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열
Original Assignee
(주)하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톤 filed Critical (주)하톤
Priority to KR102021010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2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환형의 내주면을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과판이 구비된 조명프레임부: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투과판을 통해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단에는 화분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Appratus for supporting interior lighting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화분을 받치는 받침대에 조명이 설치된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분의 개념은 대부분 실내외에서 식물을 키우는 목적과 관상목적 및 정서적 안정과 만족을 위한 것이었다면, 최근에는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화분의 용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인테리어, 공기정화 아로마테라피 또는 반려식물, 실내외 조명인테리어로서의 용도가 폭넓게 형성되고 있다.
특히 조명을 설치하여 조명화분 인테리어가 각광을 받는데, 화분 상측에 조명을 설치하거나 화분에 직접 설치한 구조가 제시된 바 있었으나 기능이 빈약하고 번거로운 구조로 불편한 점이 많았다.
좀 더 개선된 많은 인테리어 조명화분이 공지되었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화분 자체에 조명을 삽입하거나 매설하여 인테리어 조명 효과를 시도하였으나, 제한된 구조로 인해 인테리어 조명의 폭넓고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4949(2005.8.31.)"실내장식용 화초스탠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6196(2018.4.6.)"화분용 조명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4440(2011.6.28.)"조명이 구비된 유리화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69361(2013.9.30.)"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 받침대의 주위에 환형의 조명프레임부를 구비하여 화분에 조명을 비추게 함으로써 무드등, 조명등, 시각적 표현과 같은 인테리어 효과를 줄 수 있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는, 환형의 내주면을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과판이 구비된 조명프레임부: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투과판을 통해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단에는 화분이 거치되는 거치대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프레임부는, 환형을 이루고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판과, 환형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내주를 따라 결합되는 투과판과,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광원부가 연속적으로 부착되는 외부프레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중공형상이거나, 환형을 이루고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되,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상단폭과 하단폭의 비는 1:1.5 ~ 1:5일 수 있고, 상기 투과판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넓어지되, 상기 투과판의 상단폭과 하단폭의 비는 1:1.5 ~ 1:5일 수 있다.
또 상기 측면프레임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투과판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투과판의 일단으로부터 내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내주는 원형이고, 외주는 다각형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측면프레임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외부프레임판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의 조명이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명프레임부와 동일한 구조의 서브조명프레임부가 하나 이상 결합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각 서브조명프레임부의 내부에는 서브광원부가 매설되며, 상기 서브조명프레임부의 하부에는 화분을 거치하는 서브거치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는 화분은 흙과 식물을 수용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를 수용하고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용기 및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상단을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이중화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광원부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명제어부에는 원격에서 발신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가 포함되어 상기 광원부의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거치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거치봉이 삽입되는 보스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봉의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결합됨으로서, 상기 거치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거치대가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상단에는 줄을 삽입하여 천장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행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투과판은 광확산제로 부식처리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조명이 확산되도록 하고, 하나 이상을 적층하여 상기 광원부의 광확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투과판은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하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부재이거나 ,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로 지지되거나, 판재를 절곡시켜 단면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하단을 수용하도록 배치되는 ㄷ앵글부재로 지지되거나, 판재를 절곡시켜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는 ㄱ앵글부재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화분 주위를 환형으로 둘러싼 조명프레임부에서 은은한 조명이 방사되어 화분을 비추기 때문에 실내 조명등이나 무드등의 인테리어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조명프레임부의 상부는 식물을 직접 조명하고, 하부는 하측에서 간접적으로 조명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조명프레임부의 크기가 하부로 갈수록 크게 하여 내부에 매설된 LED 램프가 투과판을 통과하면서 비출 수 있으므로 균일한 조도, 휘도, 광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컬러와 점멸 등의 효과를 부가하여 조명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조명프레임부의 내주는 환형으로 하고 외주를 원형뿐 아니라 다각형으로 할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프레임부에 서브조명프레임부를 여러 개 적층시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재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명프레임부를 일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게 할 수도 있다.
넷째, 식물의 성장에 따라 화분을 거치하는 거치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섯째, 조명프레임부의 상단을 천장이나 벽에 걸어 모빌과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섯째, 엣지가 조명에 반사되어 원거리에서 링형상의 조명띠가 보이도록 하여 미감을 자극한다.
일곱째, 이중화분을 사용함으로써 이중화분이 가지는 다양한 장점을 누릴 수 있다.
여덟째, 원격으로 상기 광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광원부의 온오프, 밝기, 컬러 등을 무선으로 자유롭게 제어하여 매우 편리하다. 뿐만아니라, 사물인터넷 기능이 추가되어 외부에서도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종단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광원부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프레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투과판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환형의 조명프레임부(100),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에 매설되어 조명을 발산하는 광원부(200) 및 상기 조명프레임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조명프레임부(100)는 전체적으로 환형의 링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광원부(200)가 내설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empty) 중공형상의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프레임부(100)는 환형을 이루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판(11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구비되고, 환형띠 형상을 이루는 투과판(120)이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내주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외주를 따라서 환형띠 형상의 외부프레임판(130)이 결합된다.
따라서,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외부프레임판(130)의 내부면에 광원부(200)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투과판(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의 광원부(200)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상기 투과판(120)을 통해 통과하면서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중심을 향해 은은한 조명을 발산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투과판(120)은 조명이 투과하면서 확산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도, 휘도, 조도를 가질 수 있도록 광확산제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상기 투과판(120)을 금형으로 제조시 광확산제로 부식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폭(외경과 내경의 차이)은 일정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상단폭과 하단폭의 비가 1:1.5 내지 1:5인 것이 적당하다.
그리고 상기 투과판(120)의 폭도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투과판(120)의 상단폭과 하단폭의 비도 1:1.5 내지 1:5인 것이 적당하다.
참고로 상기 외부프레임판(130)도 상기 투과판(120)처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커지는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단면은 대략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내부공간은 상부보다 하부에서 더 커지므로 내부에 설치된 광원부(200)가 상기 투과판(120)을 통해 투과되는 조명의 광도, 조도, 휘도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고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상부에서는 광확산성이 약하더라도 하부에서는 광확산성이 커져 투과되는 조명이 균일하게 비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광원부(200)는 복수개의 LED 램프(210)를 상기 외부프레임판(130)의 내부면을 따라 연속적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측면프레임판(110) 중에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내경이 더 작게 형성되어 폭이 더 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투과판(120)의 일단으로부터 내향 돌출 연장된 원형의 엣지(111)가 형성된다.
상기 엣지(111)로 인해 상기 투과판(120)을 투과한 조명이 상기 엣지(111)에 반사되어 외부에서 바라볼 때 환형의 조명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내주는 원형이되, 외주는 다각형일 수 있다.
즉,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외주가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물론, 다각형인 경우 상기 외부프레임판(130)은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다각형으로 절곡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조명프레임부(100)는 단면이 원형인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는,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상기 광원부(200)가 매설되고 내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상기 투과판(120)이 형성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상기 광원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광원부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이다.
상기 광원부(200)는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내부,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프레임판(130)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조명을 방사한다.
상기 광원부(200)는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LED 램프(2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램프의 경우 플렉시블(flexible)한 스트랩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거나 PCB 형태로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다수개의 LED 램프(210)가 일정 간격으로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투과판(120)이 반투명 소재인 경우 이격된 LED 램프의 조명이 확산되면서 균일한 광도, 휘도를 가진 상태로 방사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광원부(200)가 상기 투과판(120)과 거리가 가까우면 LED 램프가 위치한 곳은 더 밝고 다른 부분은 덜 밝은 상태가 되어 조명의 확산이 균일하지 못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하부가 상부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하부에 매설된 LED 램프는 상기 투과판(120)과 거리가 멀기 때문에 투과된 조명이 균일하게 비치게 된다.
한편, LED 램프는 한가지 컬러뿐 아니라 다양한 컬러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LED 램프가 다양한 컬러를 번갈아가며 발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지지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프레임부(100)를 지지하는 동시에 화분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거치대(310) 및 지지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310)는 화분을 거치하도록 화분의 하단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310)의 테두리를 따라 화분이 맞춤 삽입된 상태에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거치대(310)의 하부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하부를 하향 관통하는 거치봉(3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거치봉(312)은 상기 투과판(120)과 외부프레임판(130)을 관통한다.
상기 지지대(320)는 상기 거치봉(312)의 하단에 결합되면서 상기 거치대(310) 및 조명프레임부(1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지지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확관되는 혼(horn) 형상이거나 다리가 3개 이상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와 거치대(310)를 지지할 수 있는 어떤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거치대(3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봉(312)의 하부 외주면에 수나사산(31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지지대(320)의 중앙에 암나사산(322)이 형성된 보스(321)가 구비되게 하여, 상기 거치봉(312)이 상기 보스(321)와 나사결합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봉(31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거치대(310)는 승강할 수 있으므로, 최초에 상기 거치대(310)를 높게 조절했다가 화분의 식물이 자라는 경우 상기 거치대(310)의 높이를 적절하게 낮추어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봉(312)의 하단에 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상기 거치봉(312)을 고정하거나, 상기 보스(321) 내부에 너트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치봉(312)과 체결시키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320) 내부에는 조명제어부(6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부(600)는 상기 광원부(20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PCB 형태로 상기 지지대(320)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조명제어부(600)는 상기 광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200)의 광도, 조도, 휘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온오프, 점멸, 컬러 등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제어부(600)에는 전원커넥터나 충전단자 또는 소켓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지지대(320) 내부에 무선수신부(610)도 함께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무선수신부(610)는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원격에서 리모컨으로 발신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200)를 원격으로 온오프하거나 디밍(dim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수신부(610)는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방식 등 어떤 것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최하단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최하단, 다시 말해서,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투과판(120)과 측면프레임판(110)의 폭이 가장 큰 지점을 잇는 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45°의 이내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상기 지지부(300)가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이것은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310)에는 일반화분이 거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이중화분이 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화분(500)은 내부용기(510)가 외부용기(520) 내부에 수용된 이중의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510)에 흙과 식물이 수용되고, 상기 내부용기(510)와 외부용기(520) 사이에 물이 채워져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용기(510)의 상단과 외부용기(520)의 상단 사이에는 내부의 물을 가리도록 덮개(530)가 설치된다. 또 상기 내부용기(5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조명프레임부(100)가 복수개 연결, 적층된 구조로 실시할 수 있다. 도 6,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외주면, 다시 말해서, 상기 외부프레임판(130)에 하나 이상의 서브조명프레임부(100')가 결합된다.
상기 서브조명프레임부(100')는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서브조명프레임부(100')도 환형을 이루는 한 쌍의 서브측면프레임판(미도시)과, 환형띠 형상의 서브투과판(미도시) 및 상기 서브측면프레임판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는 서브외부프레임판(미도시)으로 이루어져,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는 중공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조명프레임부(100')의 내부, 다시 말해서 상기 서브외부프레임판의 내부면에 서브광원부(미도시)가 부착, 매설된다.
또 상기 서브조명프레임부(100')의 하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투과판의 하단에 화분을 거치할 수 있는 서브거치대(3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서브조명프레임부(100')는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되거나,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에 결합된 어느 하나의 서브조명프레임부(100')의 일측에 다른 서브조명프레임부(100')가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연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명프레임부(100)를 양측으로 이격되게 위치시키고 복수개의 상기 서브조명프레임부(100')를 그 사이에 연결한 구조가 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개의 서브조명프레임부(100')를 결합, 적층시키는 방식으로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명프레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투과판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측면프레임판(11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외부프레임판(130) 사이에 가는 틈 형상의 슬릿(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131)은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외주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하거나 일부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미감을 다르게 의도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조명이 상기 투과판(120)을 통해서 화분으로 방사되지만, 상기 슬릿(140)을 통해 일부가 정면으로 새어나오기 때문에 사용자는 새로운 조명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프레임판(130)에는 한 쌍의 행거홀(1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행거홀(131)에 줄, 와이어, 로프 등을 관통시키고 천정에 매달아 모빌과 같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투과판(120)을 하나 이상 적층함으로서 광확산성을 더 증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투과판(120)이 평판형상일 수도 있으나 도 9와 같이 외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내부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투과판(120)이 볼록한 경우 평평할 때보다 조명의 확산각이 더 커지고, 오목한 경우 확산각이 더 작아지게 된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거치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대(310)는 상술한 형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310)는 상기 거치봉(312)이 없는 상태로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에 바로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거치대(310)는 도 9(a)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하단 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수평부재(3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314)는 평판 또는 이격된 한 쌍의 바(bar)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310)는 상기 수평부재(314)에 올려지거나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수평부재(314)는 하나 이상 더 구비되어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314)가 다단일 경우 더 많은 화분을 거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310)는 도 9(b)와 같이,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하단, 다시 말해서,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315)로 이루어지거나, 도 9(c)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한 쌍씩 결합되는 다리부재(3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재(315)의 일단은 각각 상기 측면프레임판(110)의 각각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거치대(310)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또 상기 거치대(3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한 번 이상 절곡시킨 앵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대(310)는 도 10(a)와 같이, 판재를 2회 절곡하여 단면이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ㄷ앵글부재(316)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ㄷ앵글부재(316)는 상기 조명프레임부(100)의 최하단을 수용하도록 개구부가 하향하도록 하여 덮는다. 상기 거치대(310)는 상기 ㄷ앵글부재(316)의 상부면에 올려놓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또 다르게 도 10(b)와 같이, 판재를 1회 절곡하여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진 ㄱ앵글부재(317)로 상기 거치대(3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ㄱ앵글부재(317)는 상기 측면프레임판(110) 중 어느 하나의 최하단 측면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거치대(310)는 상기 ㄱ앵글부재(317)의 상부면에 올려놓거나 결합시킨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조명프레임부 100' : 서브조명프레임부
110 : 측면프레임판 111 : 엣지
120 : 투과판 130 : 외부프레임판
131 : 행거홀 140 : 슬릿
200 : 광원부 210 : LED 램프
300 : 지지부
310 : 거치대 310' : 서브거치대
311 : 걸림턱 312 : 거치봉
313 : 수나사산 314 : 수평부재
315 : 다리부재 316 : ㄷ앵글부재
317 : ㄱ앵글부재 320 : 지지대
321 : 보스 322 : 암나사산
500 : 이중화분 510 : 내부용기
520 : 외부용기 530 : 덮개
600 : 조명제어부 610 : 무선수신부

Claims (22)

  1. 환형을 이루고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으로 구비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판과, 환형띠 형상을 이루고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내부로부터 방사되는 빛이 통과하여 조명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내주를 따라 결합되는 투과판과,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고 광원부가 연속적으로 내부면에 부착된 외부프레임판으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명프레임부: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투과판을 통해 빛을 발산하는 광원부;
    판재를 절곡시켜 단면이 'ㄱ'형상으로 이루어진 ㄱ앵글부재로 거치대를 지지하고 상기 ㄱ앵글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ㄱ앵글부재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거치대와 하단에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되,
    상기 측면프레임판의 상단폭과 하단폭의 비는 1:1.5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판의 폭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넓어지되,
    상기 투과판의 상단폭과 하단폭의 비는 1:1.5 ~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투과판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투과판의 일단으로부터 내향 돌출된 원형의 엣지가 형성되어 상기 투과판을 통과한 조명이 상기 엣지에 반사되어 환형의 조명띠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판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외부프레임판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의 조명이 상기 슬릿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는 상기 광원부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명제어부에는 원격에서 발신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가 포함되어 상기 광원부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판은 광확산제로 부식처리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조명이 확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판은 하나 이상을 적층하여 상기 광원부의 광확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판은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조명프레임부의 하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수평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210104176A 2021-08-06 2021-08-06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KR102492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76A KR102492267B1 (ko) 2021-08-06 2021-08-06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176A KR102492267B1 (ko) 2021-08-06 2021-08-06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267B1 true KR102492267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176A KR102492267B1 (ko) 2021-08-06 2021-08-06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267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15Y1 (ko) * 1999-03-08 2000-02-15 이봉천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분받침대
KR200394949Y1 (ko) 2005-06-17 2005-09-07 우경문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
KR20100120999A (ko) * 2009-05-07 2010-11-17 주식회사수프로 조명이 구비된 적층식 가로용 화분
JP2011018626A (ja) * 2009-07-07 2011-01-27 Tsugu Matsushita Engei:Kk Led照明付き鉢装飾器具
KR200454440Y1 (ko) 2008-08-07 2011-07-04 김황호 조명이 구비된 유리 화분
KR20120104729A (ko) * 2011-03-14 2012-09-24 성진철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화분
KR200469361Y1 (ko) 2011-09-28 2013-10-18 정의진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KR20160105760A (ko) * 2014-11-05 2016-09-07 윤병섭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200486196Y1 (ko) 2016-12-19 2018-04-13 주식회사 한고연 화분용 조명장치
KR102165961B1 (ko) * 2020-05-22 2020-10-15 유환 쇼케이스 꽃꽂이대
KR102182589B1 (ko) * 2019-01-09 2020-11-24 정호 화분걸이
KR102223061B1 (ko) * 2020-06-24 2021-03-05 피알씨(주) 이중 화분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15Y1 (ko) * 1999-03-08 2000-02-15 이봉천 높낮이가 조절되는 화분받침대
KR200394949Y1 (ko) 2005-06-17 2005-09-07 우경문 실내 장식용 화초 스탠드
KR200454440Y1 (ko) 2008-08-07 2011-07-04 김황호 조명이 구비된 유리 화분
KR20100120999A (ko) * 2009-05-07 2010-11-17 주식회사수프로 조명이 구비된 적층식 가로용 화분
JP2011018626A (ja) * 2009-07-07 2011-01-27 Tsugu Matsushita Engei:Kk Led照明付き鉢装飾器具
KR20120104729A (ko) * 2011-03-14 2012-09-24 성진철 데코레이션 기능을 갖는 화분
KR200469361Y1 (ko) 2011-09-28 2013-10-18 정의진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KR20160105760A (ko) * 2014-11-05 2016-09-07 윤병섭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200486196Y1 (ko) 2016-12-19 2018-04-13 주식회사 한고연 화분용 조명장치
KR102182589B1 (ko) * 2019-01-09 2020-11-24 정호 화분걸이
KR102165961B1 (ko) * 2020-05-22 2020-10-15 유환 쇼케이스 꽃꽂이대
KR102223061B1 (ko) * 2020-06-24 2021-03-05 피알씨(주) 이중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8118A (en) Illuminated optical fiber display system
US11035533B1 (en) Bendable lamp
US20080152287A1 (en) Fiber Optic Withy Light Device
US4626968A (en) Device for illuminating centripetally viewed three-dimensional objects in wet locations
US4616304A (en) Illuminating device
US20140153243A1 (en) Ornamental light set
US4686611A (en) Apparatus for illuminating centripetally viewed three-dimensional objects
KR20190008681A (ko) 꽃 형상의 엘이디 경관 조명등
US10557598B2 (en) Floor lamp with integrated plant growth system
KR102492267B1 (ko)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US20060112633A1 (en) Illuminated plant holders
US7393116B1 (en) Plant and room illumination apparatus
US5984489A (en) Ornamental lighting for trees
US20060026898A1 (en) Illuminated plant holder
US20130015782A1 (en) Battery Powered Decorative Light with Timer
KR102425568B1 (ko)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JP5286203B2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KR20070088847A (ko) 조명등을 내장한 식물 재배용 화분
US200702532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ighting articles
KR102340375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조명화분 받침대
KR101436825B1 (ko) Led 조명장치가 내장된 테이블
US20120162969A1 (en) Nativity shining star with rays
CN219346300U (zh) 一种灯具
CN102913823A (zh) 一种兼用作挂钟的壁灯
JPH0626113U (ja) 物体を包み隠す機能を有する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