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194B1 -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194B1
KR102492194B1 KR1020200070754A KR20200070754A KR102492194B1 KR 102492194 B1 KR102492194 B1 KR 102492194B1 KR 1020200070754 A KR1020200070754 A KR 1020200070754A KR 20200070754 A KR20200070754 A KR 20200070754A KR 102492194 B1 KR102492194 B1 KR 10249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in secretion
fdopa
secretion ability
pancreatic insulin
pancre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281A (ko
Inventor
박성수
김성은
권영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1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7Emission to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8F-FDOPA PET/CT 장치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PET/CT 장치를 통해 18F-FDOPA를 투여받은 환자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으로부터 췌장 영역내 대사 항진 영역을 검출 및 분석하여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이하면, 췌장 인슐린 분비능이 정상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는 단계;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대사 항진 영역에 기반하여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 평균 섭취능(SUVmean), 및 TLG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 후,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pancreas function of hormone secretion}
본 발명은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18F-FDOPA PET/CT 기술을 이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18F-FDOPA PET/CT는 1980년대부터 파킨슨병 환자의 평가를 위해 실험적으로 연구가 시작된 이래, 종양학(뇌종양 혹은 신경내분비종양의 평가)과 소아과학(고인슐린혈증의 평가)등으로 그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18F-FDOPA PET/CT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비해 아직 임상에서 명확히 확립된 적응증은 없는 상태이다.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소아에서의 선천적 고인슐린혈증(congenital hyperinsulinemia)의 평가를 위한 18F-FDOPA PET/CT의 활용은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에 대한 본 검사법의 유용성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최근까지 당뇨병을 가진 성인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를 위한 18F-FDOPA PET/CT 의 시도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한편, 당뇨병 환자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가지 검사법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혈액검사를 통한 간접적 평가이거나 침습적인 경우가 대부분인 한계가 있다.
국내 등록 특허 제10-1840516호(등록 일자 : 2018.03.14)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18F-FDOPA PET/CT 장치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식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PET/CT 장치를 통해 18F-FDOPA를 투여받은 환자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으로부터 췌장 영역내 대사 항진 영역을 검출 및 분석하여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이하면, 췌장 인슐린 분비능이 정상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는 단계;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대사 항진 영역에 기반하여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 평균 섭취능(SUVmean), 및 TLG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 후,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로써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대사 항진 영역의 밀도와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환자가 수분은 충분히 섭취하되, 최소 4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18F-FDOPA를 정맥에 주사 투여받은 후, 1~2시간 정도 충분한 안정을 취한 상태에서 의료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로써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약제 투약력으로부터 관심 약품의 투약 시기 및 용량을 획득하여 상기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관심 약품은 카르비도파(Carbidopa), 카테콜-오-메틸전이효소 억제제(CCOMT inhibitor),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MAO inhibitor), 할로페리돌(Haloperidol), 레저핀(Reserpin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대사 항진 영역의 밀도와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PET/CT 장치를 통해 18F-FDOPA를 투여받은 환자의 의료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의료 영상으로부터 췌장 영역내 대사 항진 영역을 검출 및 분석하여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한 후,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이하면, 췌장 인슐린 분비능이 정상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는 정성 분석부; 및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대사 항진 영역에 기반하여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 평균 섭취능(SUVmean), 및 TLG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한 후,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로써 출력하는 정량 분석부를 포함하는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18F-FDOPA PET/CT 기술에 기반한 비침습적인 검사 방법을 이용하여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을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예후 예측과 치료방법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획득 및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폴스 칼라로 표현되는 대사 항진 부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장 인슐린 분비능 지표와 당뇨병 환자의 수술 예후간 상관 관계를 나타낸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장치(100)는 PET/CT 장치(200)와 상호 연동되어, PET/CT 장치(200)가 쵤영 및 제공한 8F-FDOPA를 섭취한 환자의 의료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영상 입력부(110), 의료 영상으로부터 췌장 영역내 대사 항진 영역을 검출 및 분석하여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한 후,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에 기반하여 췌장 인슐린 분비능의 정상 여부를 결정하는 정성 분석부(120), 췌장 인슐린 분비능이 비정상인 경우, 대사 항진 영역의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또는 MTV), 평균 섭취능(SUVmean), TLG(total lesion glycolysis) 중 적어도 하나를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로써 획득 및 제공하는 정량 분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PET/CT 장치를 통해 18F-FDOPA를 섭취한 환자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영상 분석함으로써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을 측정 및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8F-FDOPA를 섭취한 환자의 PET/CT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18F-FDOPA를 섭취한 상태에서 PET/CT 촬영하면, PET/CT 장치(200)가 쵤영 및 제공한 환자의 의료 영상에는 폴스 칼라(false color)로 표현되는 대상 항진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폴스 칼라는 픽셀(pixel)이나 복셀(voxel)을 그레이 값(gray-value)으로 코드화한 것으로, 이는 CT 이미지를 코드화함으로써 구성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기 설정된 그레이값을 가지는 픽셀들을 모두 검출 및 수집하여 18F-FDOPA에 의해 대상 항진된 영역을 검출하고, 이의 영상 특징을 분석하여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 평균 섭취능(SUVmean), TLG(total lesion glycolysis) 중 적어도 하나를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를 획득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은 크게 환자 준비 단계(S10), PET/CT 촬영 단계(S20), 정성 분석 단계(S30), 및 정량 분석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환자 준비 단계(S10)는 환자는 수분은 충분히 섭취하되, 최소 4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18F-FDOPA를 정맥에 주사 투여받은 후, 1~2시간 정도 충분한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PET/CT 촬영 단계(S20)에서는, 18F-FDOPA를 주사 투여받은 당뇨병 환자가 PET/CT 장치(200)의 촬영대에 누우면, PET/CT 장치(200)를 통해 환자의 의료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PET/CT 장치(200)는 PET 장치와 CT 장치를 통해 환자 머리끝에서 허벅지까지 환자 신체를 스캐닝하여 다수의 CT 영상과 다수의 PET 영상을 순차적으로 획득한 후, 이들을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재구성함으로써,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장치가 인식 가능한 의료 영상을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한다.
정성 분석 단계(S30)에서는, 의료 영상에서 기 설정된 그레이값을 가지는 픽셀들을 모두 검출 및 수집함으로써 췌장 영역내 대사 항진 영역을 검출하고, 대상 항진 영역의 밀도와 크기를 기반으로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약함, 보통, 강함)을 파악한다(S31).
그리고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된 값(예를 들어, 보통) 보다 작으면(S32), 환자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은 정상 상태임을 확인하고 분석 동작을 종료하되, 그렇지 않으면 환자의 췌장 인슐린 분비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정량 분석 단계(S30)를 추가 진행하도록 한다(S33).
정량 분석 단계(S40)에서는, 영상내 픽셀값 기준으로 대사 항진 영역의 18F-FDOPA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을 측정한다, 그리고 최대 섭취능의 40%를 기준으로 18F-FDOPA 섭취가 증가된 모든 복셀(voxel)을 더하여, 췌장의 기능적 부피를 나타내는 MTV 40(Metabolic Target Volume)을 산출한다. 그리고 MTV 40을 획득하는 이유는, PET 영상을 기반으로 한 기능적 부피 측정에서 최대 섭취능 기준 컷 오프(cutoff)의 절대적인 값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40% 를 적용하였을 때 표준화되고 재현 가능한 결과를 보고할 수 있음이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EJNMMI Res 2017, 7:30). 그리고 대사 항진 영역에 대응되는 평균 섭취능(SUVmean)를 추가 측정한 후, 췌장의 기능적 부피에 평균 섭취능을 곱함으로써, TLG(total lesion glycolysis)를 산출한다(S41).
그리고 나서,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 평균 섭취능(SUVmean), TLG 중 적어도 하나를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PISCE; Pancreatic insulin secretion capacity evaluation index)로써 획득 및 출력한다(S42).
이때,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는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 평균 섭취능(SUVmean), 및 TLG 중 적어도 하나를 별도의 파라메터로 개별 구비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하나의 파라메타 값으로 통합하여 제공할 수도 있도록 한다.
[수학식 1]
PISCE = α·SUVmax + β·SUVmean + γ·MTV 40 + δ·TLG
이때, α, β, γ, δ는 기 설정된 상수이며, α, β, γ, δ를 통해 SUVmax, SUVmean, MTV 40, TLG 각각의 고려 비중을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진료 정보 시스템과 같은 데이터 서버와 상호 연동하여, 해당 환자의 투약력을 검색하여 관심 약품의 투약 시기 및 용량 등을 확인한 후, 이의 정보를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와 함께 제공하여 줄 수도 있도록 한다.
이때, 관심 약품은 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품들로, 예를 들어 카르비도파(Carbidopa), 카테콜-오-메틸전이효소 억제제(CCOMT inhibitor),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MAO inhibitor), 할로페리돌(Haloperidol), 레저핀(Reserpine) 등일 수 있다.
말초 도파탈이산화탄소효소억제제(Peripheral DOPA decarboxylase inhibitor)인 카르비도파(Carbidopa)는 체내에서 췌장 실질 내 FDOPA섭취를 저해하고, 카테콜-오-메틸전이효소 억제제(CCOMT inhibitor) 및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MAO inhibitor) 제제는 췌장 실질의 PET 신호를 증가시키고, 할로페리돌(Haloperidol) 및 레저핀(Reserpine) 등의 약제는 도파민 수용체와 상호작용하여 체내 도파민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제이다.
즉, 본 발명은 환자가 기 복용하고 있던 약제 투약력을 자동으로 검출 및 제공함으로써, 의료진이 이를 고려한 영상 해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췌장 인슐린 분비능 지표와 당뇨병 환자의 수술 예후간 상관 관계를 나타낸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표는 비만 대사 수술을 시행한 제2형당뇨병 환자들의 치료 경과를 추적 모니터링한 결과로, 이를 참고하면, 당뇨병 관해(완치) 상태에 도달한 환자들의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PISCE)는 당뇨병 비관해(미완치) 상태에 머무르는 환자들의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PISCE)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는 특징이 가짐을 확인하였다.
즉,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PISCE)에 비례하여 당뇨병 환자의 수술 예후가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췌장의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PISCE)를 수술 예측 가늠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PET/CT 장치를 통해 18F-FDOPA를 투여받은 환자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의료 영상으로부터 췌장 영역내 대사 항진 영역을 검출 및 분석하여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이하면, 췌장 인슐린 분비능이 정상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대사 항진 영역에 기반하여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 평균 섭취능(SUVmean), 및 TLG를 산출한 후, 하기의 수학식
    PISCE = α·SUVmax + β·SUVmean + γ·MTV 40 + δ·TLG
    에 따라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PISCE은 상기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이고, α, β, γ, δ는 기 설정된 상수이며, 상기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는 당뇨병 환자의 수술 예후를 예측하는 지표인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대사 항진 영역의 밀도와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의료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환자가 수분은 충분히 섭취하되, 최소 4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18F-FDOPA를 정맥에 주사 투여받은 후, 1~2시간 정도 충분한 안정을 취한 상태에서 의료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로써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약제 투약력으로부터 관심 약품의 투약 시기 및 용량을 획득하여 상기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와 함께 제공하며, 상기 관심 약품은 카르비도파(Carbidopa), 카테콜-오-메틸전이효소 억제제(CCOMT inhibitor), 모노아민옥시다제 억제제(MAO inhibitor), 할로페리돌(Haloperidol), 레저핀(Reserpine)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5. PET/CT 장치를 통해 18F-FDOPA를 투여받은 환자의 의료 영상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의료 영상으로부터 췌장 영역내 대사 항진 영역을 검출 및 분석하여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을 파악한 후,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이하면, 췌장 인슐린 분비능이 정상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는 정성 분석부; 및
    상기 췌장의 18F-FDOPA 섭취율이 기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대사 항진 영역에 기반하여 최대 섭취능(SUVmax, SUVpeak), MTV 40, 평균 섭취능(SUVmean), 및 TLG를 산출한 후, 하기의 수학식
    PISCE = α·SUVmax + β·SUVmean + γ·MTV 40 + δ·TLG
    에 따라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정량 분석부를 포함하고,
    PISCE은 상기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이고, α, β, γ, δ는 기 설정된 상수이며, 상기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는 당뇨병 환자의 수술 예후를 예측하는 지표인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장치.
KR1020200070754A 2020-06-11 2020-06-11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9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54A KR102492194B1 (ko) 2020-06-11 2020-06-11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754A KR102492194B1 (ko) 2020-06-11 2020-06-11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281A KR20210154281A (ko) 2021-12-21
KR102492194B1 true KR102492194B1 (ko) 2023-01-27

Family

ID=7916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754A KR102492194B1 (ko) 2020-06-11 2020-06-11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4355B (zh) * 2023-04-27 2024-04-02 广东食品药品职业学院 基于神经网络闭环胰岛素输注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521A1 (ja) 2016-11-11 2018-05-17 大塚製薬株式会社 肝の糖取込み能評価方法
JP6401297B2 (ja) 2014-12-25 2018-10-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スリン分泌能分析装置、当該装置を備えるインスリン分泌能分析システム及びインスリン分泌能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516B1 (ko) 2014-10-31 2018-05-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구 당 부하 검사를 이용한 장기 대사 기능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1297B2 (ja) 2014-12-25 2018-10-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スリン分泌能分析装置、当該装置を備えるインスリン分泌能分析システム及びインスリン分泌能分析方法
WO2018088521A1 (ja) 2016-11-11 2018-05-17 大塚製薬株式会社 肝の糖取込み能評価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dre P. van Beek 등. Clinical Nuclear Medicine. 제42권, 제3호, 페이지 163-168 (201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281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ussy et al. Noninvasive, quantitative assessment of liver fat by MRI‐PDFF as an endpoint in NASH trials
Lee et al. Phantomless calibration of CT scans for measurement of BMD and bone strength—inter-operator reanalysis precision
Greenman et al. Foot small muscle atrophy is present before the detection of clinical neuropathy
Nikolaou et al. Assessment of myocardial perfusion and viability from routine contrast-enhanced 16-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y of the heart: preliminary results
Melzer et al. Gout tophus detection—a comparison of dual-energy CT (DECT) and histology
Wu et al. MR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of postinfarct myocardium structural remodeling in a porcine model
Bastarrika et al.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disease and epicardial adipose tissue quantification at cardiac CT: comparison between automatic volumetric measurement and manual bidimensional estimation
US11880989B2 (en) Imaging abnormalities in vascular response
Dalbeth et al. Dual-energy computed tomography for gout diagnosis and management
US20080044073A1 (en) X-ray device having a dual energy mode and method to analyze projection images detected in the dual energy mode
Kim et al. Computerized automated quantification of subcutaneous and visceral adipose tissue from computed tomography sca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Rist et al. Contrast bolus optimization for cardiac 16-slice computed tomography: comparison of contrast medium formulations containing 300 and 400 milligrams of iodine per milliliter
Oto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dynamic contrast enhanced MRI for assessment of bowel inflammation in Crohn's disease: pilot study
Klaming et al. The relation between anticipatory anxiety and movement during an MR examination
CN108514425A (zh) 一种造影剂跟踪扫描的方法和装置
Ruple et al. Comparisons between skeletal muscle imaging techniques and histology in tracking midthigh hypertrophic adaptations following 10 wk of resistance training
KR102492194B1 (ko) 췌장 인슐린 분비능 평가 지표 제공 방법 및 장치
Brodoefel et al. Coronary plaque quantification by voxel analysis: dual-source MDCT angiography versus intravascular sonography
Corrias et al. Comparison of multimaterial decomposition fat fraction with DECT and proton density fat fraction with IDEAL IQ MRI for quantification of liver steatosis in a population exposed to chemotherapy
US20160128659A1 (en) Method of contrast enhanced breast imaging, and contrast agent reference insert
Ferencik et al. Coronary calcium quantification using various calibration phantoms and scoring thresholds
Commean et al. Volumetric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measurement precision for volumes and densities of tarsal and metatarsal bones
Chen et al. T2 mapping at 7T MRI can quantitatively assess intramyocardial hemorrhage in rats with acute reperfused myocardial infarction in vivo
JP6822690B2 (ja) フリーラジカル消費速度情報の取得方法およびnashの判定方法
Lynch et al. Measurement of changes in trabecular bone at fracture sites using X‐ray CT and automated image registration and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