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763B1 -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 Google Patents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763B1
KR102491763B1 KR1020210022283A KR20210022283A KR102491763B1 KR 102491763 B1 KR102491763 B1 KR 102491763B1 KR 1020210022283 A KR1020210022283 A KR 1020210022283A KR 20210022283 A KR20210022283 A KR 20210022283A KR 102491763 B1 KR102491763 B1 KR 10249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module
resonator
rim
module
fasten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9199A (ko
Inventor
이동형
박상범
최성훈
안희찬
김락환
박순세
윤영덕
Original Assignee
현대성우캐스팅(주)
코리아웨코스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성우캐스팅(주), 코리아웨코스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성우캐스팅(주)
Priority to KR102021002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763B1/ko
Priority to US17/592,526 priority patent/US20220266628A1/en
Priority to CN202210138831.XA priority patent/CN114953840A/zh
Publication of KR2022011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2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 B60B21/025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the transverse section being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2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 B60B21/026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the shape of rim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7Reson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림과 공명기 모듈 간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공명기 모듈의 양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 내부에 체결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 및 체결밴드의 스토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의 하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wheel for vehicle equipped with the resonator module in which improved fastening force}
본 발명은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림과 공명기 모듈 간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공명기 모듈의 양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 내부에 체결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 및 체결밴드의 스토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의 하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경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어 실내 측으로 유입된다. 이 중 가장 큰 요소는 노면에 의해 발생되는 노면 소음으로서, 이는 노면 소음, 부밍음, 럼블음 등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노면 소음은, 지면, 타이어, 휠, 서스펜션 등을 통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와 같은 노면 소음은 운전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음의 특정 파장대를 측정하고, 해당 파장대의 소음의 파장대를 상쇄시켜 소음을 제거하는 공명 방식의 소음 저감 모듈이 일반적으로 차량용 휠에 채택되고 있다.
한편, 차량용 휠은 이러한 공명기 모듈을 차량용 휠에 결합 및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종래 차량용 휠(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6227705호)의 공명기 모듈과 림간 체결방식은 공명기 모듈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부와 림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홈이 상호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종래 이러한 방식의 공명기 모듈과 림 간 상호 체결방식은 각각의 부품의 사출과정 또는 제작과정 후 고정부 및 고정홈을 결합하는 추가적인 가공 공정이 필요로 하여 생산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고정부 및 고정홈의 위치를 조정하고, 고정부와 고정홈을 상호 체결하는 생산 공정이 증가하여 기존 차량용 휠의 생산 라인의 추가적인 변형이 불가피하였다.
또한, 공명공간의 바닥면이 뚫려 있는 상태로 직접 림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고정부 및 고정홈의 결합만으로는 차량용 휠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공명기 모듈이 림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공명음 상쇄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산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공명기 모듈 자체적으로 림에 체결되는 자체 체결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상술한 종래 차량용 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업체에서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휠을 연구를 수행한 사례가 있으나, 실제 제품화하기에는 추가 체결수단이 형성된 휠 구조를 구비하기 위해서 소모되는 비용이 과도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해당 장치의 제조 단가 대비 체결력 증대 효과가 크지 않아 종래 차량용 휠과 비교할 때 시장 경쟁력이 떨어져 본격 상용화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상술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명기 모듈의 자체 체결 수단 외에도 채결밴드 등의 부가적인 체결 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을 포함함으로써 림과 공명기 모듈의 체결력이 1차적으로 향상된 차량용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제1수용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그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밴드가 공명기 모듈의 외측을 향해 하방 가압함으로써 림과 공명기 모듈간 체결력이 2차적으로 향상된 차량용 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포크, 스포크의 둘레부와 연결되는 림 및 림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림 접촉부, 림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길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림 접촉부와의 사이에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공명부를 포함하는 공명기 모듈을 포함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을 제공한다.
이 때, 공명기 모듈은 림과 공명기 모듈 간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공명기 모듈의 양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 내부에 체결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공명기 모듈은 체결밴드가 공명기 모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명기 모듈의 양 측면과 제1수용홈 사이에 배치되어 공명기 모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 방지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명기 모듈 양 측면에 배치되는 이탈 방지 가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여유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제1수용홈 내부에 삽입된 체결밴드를 인출하고 교체할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명기 모듈은 체결밴드의 스토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의 하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되는 제2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수용홈은 체결밴드가 공명기 모듈의 외측을 향해 하방 가압함으로써 공명기 모듈과 림간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스페이서와 제2수용홈이 공명기 모듈의 폭 방향 축 상 동일한 선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공명기 모듈의 중량 감소를 위하여 공명기 모듈의 일측에 천공되는 경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공명기 모듈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공명기 모듈의 단부에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해결수단은 아래에서 이어지는 설명에서 일부 설명될 것이고, 그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지득될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단지 예시적이고 설명을 위한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명기 모듈의 자체 체결 수단 외에도 채결밴드 등의 부가적인 체결 수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을 포함함으로써 림과 공명기 모듈의 체결력이 1차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제1수용홈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그 내부에 수용되는 체결밴드가 공명기 모듈의 외측을 향해 하방 가압함으로써 림과 공명기 모듈간 체결력이 2차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차량용 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공명기 모듈의 상세도이다.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제1체결홈의 상세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이탈 방지 가이더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 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단지 명세서를 용이하게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차량용 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공명기 모듈(100)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례를 따르는 차량용 휠은 스포크(10), 림(20) 및 공명기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포크(10)는 둘레부와 스포크(10)의 중심부로부터 둘레부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 개로 구비된 지지부는 서로 인접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지지부의 개수와 지지부 간의 간격에는 그 제한이 없다. 즉 지지부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차량용 휠의 전체 둘레를 고려하여 지지부를 적절한 개수로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림(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타이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스포크(10)의 둘레부와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림(20)의 형태 역시 제한 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포크(10) 및 림(20)의 일반적인 사항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공명기 모듈(100)은 전체적으로 림(2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차량의 운행 시 발생하는 공명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공명기 모듈(100)은 림(20)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림 접촉부와, 림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길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림 접촉부와의 사이에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공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림 접촉부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공명기 모듈(100)의 바닥을 이루며, 공명부(120)는 림 접촉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공명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림 접촉부의 전체 길이는 림(20)의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공명부(120)는 림 접촉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공명부(120)는 총 4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적은 개수가 구비되거나 또는 보다 많은 개수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공명공간은 전체적으로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되, 공명부(120)의 소정 위치에는 공명공간과 외부를 연통되게 일부가 돌출되는 공명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명기 모듈(100)은 공명공간과 공명공간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공명넥에 의해 헬름홀츠 공명기(Helmholtz Resonator)의 구조를 가지게 되며, 노면과 휠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 설정된 주파수 범위의 공명음을 흡수하게 된다.
이 때, 공명넥의 높이는 공명부(120)의 높이와 같고, 공명넥의 폭은 공명부(1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명넥은 공명부(120)의 단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인접하는 공명부(120) 사이의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헬름홀츠 공명기의 원리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공명기 모듈(100)은 합성섬유, 천연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 다양한 섬유 재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공명기 모듈(100)은 PP(Polypropylene)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공명기 모듈(100)은 공명기 모듈(100)의 중량 감소를 위하여 공명기 모듈(100)의 일측에 천공되는 경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PP 소재는 프로필렌의 중합체로써 가장 가벼운 플라스틱 중 하나이고, 비중 0.82~0.92이고, 전체적인 물성은 폴리에틸렌과 유사하나 스트레스 분쇄특성, 투명성, 항장력 등에 있어 PE보다 우수하고, 폴리에틸렌보다 다소 가벼우며 내열성도 좋고, 경첩 힌지성이 우수하며, 반복적으로 접었다 펼쳤다해도 절단되지 않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며 무해하고, 산, 알칼리, 염수, 알코올, 가솔린, 오일에 강하며, 스트레스 크래킹 특성은 폴리에틸렌보다 우수하므로, 공명기 모듈(100)의 경량화 효과와 생산성이 우수하여 원가 절감이 가능하여 생상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공명기 모듈(100)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공명기 모듈(100)의 단부에 배치되는 결합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8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식의 걸쇠에 의해 하나의 공명기 모듈(100)의 일측과 다른 공명기 모듈(100)의 타측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보다 향상된 결속력을 위하여 결합부(180)의 표면에 초음파 융착, 열 융착 또는 진동 융착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접착/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독립적으로 시행되거나 병행될 수 있으며 결합부(180)는 상기 기술한 결합 수단 이외의 공지의 다른 결합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제1체결홈의 상세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차량용 휠의 공명기 모듈(100)과 림(20) 간 체결방식은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공명기 모듈(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부(미도시)가 고정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림(20)의 일측에 배치되는 고정홈(미도시)에 삽입되어 공명기 모듈(100)과 림(20)이 1차적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차량용 휠은 고정부 및 고정홈에 더해 공명기 모듈(100)을 림(20)의 하방으로 가압하는 체결밴드(50)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130) 및 제2수용홈(140)에 의해 공명기 모듈(100)과 림(20)이 2차적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명기 모듈(100)은 림(20)과 공명기 모듈(100) 간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공명기 모듈(100)의 양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 내부에 림(20)과 공명기 모듈(100) 간 추가적인 체결수단인 체결밴드(50)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명기 모듈(100)은 체결밴드(50)의 스토퍼(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1수용홈(130)의 하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되는 제2수용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밴드(50)는 메탈 케이블 타이 등과 같은 공지의 수단이 채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체결 수단인 케이블 타이의 끈에 해당하는 타이부는 공명기 모듈(100)의 측부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130)에 삽입되고 케이블 타이의 타이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바디부는 제2수용홈(140)에 삽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따르는 차량용 휠은 고정홈(미도시) 및 고정부(미도시)에 의해 림(20)과 공명기 모듈(100)이 결합하고 체결밴드(50)가 공명기 모듈(10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림(20)과의 체결 수단을 부가적으로 구비함으로, 공명공간의 바닥면이 뚫려 있는 상태로 직접 림(2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차량용 휠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풍압에 의해 공명기 모듈(100)이 림(20)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공명음 상쇄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나, 본원 발명은 림 접촉부에 의해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공명기 모듈(100)은 림 접촉부 및 공명부(120)가 서로 일체의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에 대비하여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조 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4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홈(130)의 하면은 평탄한 면을 가질 수 있으며,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기 모듈(100)과 림(20)간의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제1수용홈(130)의 하면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평탄한 폭을 가지는 제1수용홈(130)에 삽입된 체결밴드(50)는 공명기 모듈(100)의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는 반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제1수용홈(130)에 삽입된 체결밴드(50)는 공명기 모듈(100)의 수직 하방을 기준으로 외측을 향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체결밴드(50)가 공명기 모듈(100)을 가압하는 방향이 외측으로 기울어진 채 공명기 모듈(100)의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공명기 모듈(100)이 인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공명기 모듈(100)과 림(20)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이탈 방지 가이더(150)의 상세도이다.
공명기 모듈(100)은 이탈 방지 가이더(150) 및 스페이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 가이더(150)는 체결밴드(50)가 공명기 모듈(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명기 모듈(100)의 양 측면과 제1수용홈(130) 사이에 배치되어 공명기 모듈(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탈 방지 가이더(150)는 휠이 회전함에 따라 체결 밴드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 방지 가이더(150)의 내측면으로부터 공명기 모듈(100)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회전 방지 가이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체결밴드(50)가 공명기 모듈(1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므로 림(20)과 공명기 모듈(100) 간 체결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공명기 모듈(100) 양 측면에 배치되는 이탈 방지 가이더(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여유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제1수용홈(130) 내부에 삽입된 체결밴드(50)를 인출하고 교체할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하는 스페이서(15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밴드(50)의 길이가 체결밴드(50)가 장착되는 휠의 지름보다 길거나 짧은 경우 체결밴드(50)의 결합을 해제하여 체결밴드(50)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공명기 모듈(100) 내부에 체결 길이를 재조정한 체결밴드(50)를 재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포크
20 - 림
50 - 체결밴드
51 - 체결밴드 스토퍼
100 - 공명기 모듈
120 - 공명부
130 - 제1수용홈
140 - 제2수용홈
150 - 이탈 방지 가이더
151 - 스페이서
180 - 결합부
190 - 경량부

Claims (10)

  1. 둘레부와 그 중심부로부터 상기 둘레부 방향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포크;
    상기 스포크의 둘레부와 연결되는 림; 및
    상기 림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림 접촉부, 상기 림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 길이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림 접촉부와의 사이에 공명공간을 형성하는 공명부를 포함하는 공명기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기 모듈은,
    상기 림과 상기 공명기 모듈 간 체결력이 1차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공명기 모듈의 양 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그 내부에 체결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
    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기 모듈은,
    체결밴드가 상기 공명기 모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명기 모듈의 양 측면과 상기 제1수용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명기 모듈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 방지 가이더
    를 포함하며,

    상기 공명기 모듈 양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이탈 방지 가이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여유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상기 제1수용홈 내부에 삽입된 체결밴드를 인출하고 교체할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하는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공명기 모듈은,
    체결밴드의 스토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홈의 하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되는 제2수용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홈은,
    체결밴드가 상기 공명기 모듈의 외측을 향해 하방 가압함으로써 상기 공명기 모듈과 상기 림간의 체결력이 2차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제2수용홈이 상기 공명기 모듈의 폭 방향 축 상 동일한 선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 모듈의 중량 감소를 위하여 상기 공명기 모듈의 일측에 천공되는 경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공명기 모듈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공명기 모듈의 단부에 배치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10. 제9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상기 공명기 모듈 결합 후, 상기 결합부에 초음파 융착, 열 융착 및 진동 융착 방식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KR1020210022283A 2021-02-19 2021-02-19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KR10249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83A KR102491763B1 (ko) 2021-02-19 2021-02-19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US17/592,526 US20220266628A1 (en) 2021-02-19 2022-02-04 Automotive wheel equipped with resonator module having improved fastening force
CN202210138831.XA CN114953840A (zh) 2021-02-19 2022-02-15 具备提高紧固力的共振器模块的车辆用车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283A KR102491763B1 (ko) 2021-02-19 2021-02-19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199A KR20220119199A (ko) 2022-08-29
KR102491763B1 true KR102491763B1 (ko) 2023-01-26

Family

ID=8290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283A KR102491763B1 (ko) 2021-02-19 2021-02-19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66628A1 (ko)
KR (1) KR102491763B1 (ko)
CN (1) CN11495384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231A (ja) * 2005-04-22 2006-11-02 Rintekkusu Kk 車両用ホイール
KR101893350B1 (ko) *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JP2020066382A (ja) 2018-10-26 2020-04-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83022A (ja) * 2018-11-26 2020-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887A (ko) * 2019-03-15 2020-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륜 휠의 공명기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8231A (ja) * 2005-04-22 2006-11-02 Rintekkusu Kk 車両用ホイール
KR101893350B1 (ko) *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JP2020066382A (ja) 2018-10-26 2020-04-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83022A (ja) * 2018-11-26 2020-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53840A (zh) 2022-08-30
KR20220119199A (ko) 2022-08-29
US20220266628A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9903B (zh) 非充气车轮以及用于其中的车轮、悬挂和轮胎
CN103153651B (zh) 充气轮胎
EP3159177B1 (en) Anti-vibration wheel for automobile
CN102821979B (zh) 充气轮胎
FR3020313A1 (fr) Ensemble roulant
EP3083287A1 (fr) Adaptateur pour ensemble roulant et ensemble roulant le comprenant
EP3647075A1 (en) A non-pneumatic tire
KR102491763B1 (ko) 체결력이 향상된 공명기 모듈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
EP3233535B1 (fr) Pneumatique comportant une armature de carcasse formee de deux couches
FR3020013A1 (fr) Adaptateur pour ensemble roulant et ensemble roulant le comprenant
WO2009064075A1 (en) Non-pneumatic wheel and wheel, suspension and tire used therein
US11571932B2 (en) Non-pneumatic tire
KR102249427B1 (ko) 복합흡음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
KR102296157B1 (ko) 비공기입 타이어용 림 및 이를 포함하는 휠
CN111152603B (zh) 非充气轮胎的轮辋及包括该轮辋的车轮
KR102249417B1 (ko) 공명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휠
KR20110004253U (ko) 비공기식 타이어
CN112590467A (zh) 一种新型爆胎防侧翻轮毂
US10882364B2 (en) Tire with concave sidewalls
CN211308139U (zh) 一种防刺折叠超轻胎
JP6767004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用リム及びこれを含むホイール
CN206884609U (zh) 减震轮胎及车轮
CN219172100U (zh) 一种减震轮胎
KR102495867B1 (ko) 비공기입 타이어의 스포크 구조체
WO2017092929A1 (fr) Adaptateur pour ensemble roulant et ensemble roulant le compren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