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952B1 -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hat induce tolerance - Google Patents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hat induce toler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952B1
KR102490952B1 KR1020187035046A KR20187035046A KR102490952B1 KR 102490952 B1 KR102490952 B1 KR 102490952B1 KR 1020187035046 A KR1020187035046 A KR 1020187035046A KR 20187035046 A KR20187035046 A KR 20187035046A KR 102490952 B1 KR102490952 B1 KR 102490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ell
cells
antigen
immu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5186A (en
Inventor
스캇 러프헤드
조나단 비. 길버트
하워드 번스타인
알몬 알. 샤레이
피놀라 무레
Original Assignee
에스큐지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큐지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컴퍼니 filed Critical 에스큐지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9000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1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08Antigens related to auto-immune diseases; Preparations to induce self-tole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5Cells of the myeloid line, e.g. granulocytes, basophils, eosinophils, neutrophils, leucocytes, monocytes, macrophages or mast cells; Myeloid precursor cells; Antigen-presenting cells, e.g. dendritic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05Natural 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uracil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61K35/17Lymphocytes; B-cells; T-cells; Natural killer cells; Interferon-activated or cytokine-activated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Preparations to induce tolerance to non-self, e.g. prior to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2B-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2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 A61K39/462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immunosuppressive or immunotoler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2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zed by the effect or the function of the cells
    • A61K39/4622Antigen presenting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33Antigens related to auto-immune diseases; Preparations to induce self-toler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5B lymph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C12N5/0637Immunosuppressive T lymphocytes, e.g. regulatory T cells or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2035/12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for inducing tolerance or supression of immune respo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4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e.g. dendritic cells or macr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7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sponse, e.g. Th1, Th2
    • A61K2039/577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sponse, e.g. Th1, Th2 tolerising response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및/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및/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개체에게 전달되고,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or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contain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thereby reducing antigen and/or tolerogenicity. wherein the factor enters the cell,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and/or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and/or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are delivered to an individual and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and/or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Description

관용을 유도하는 생체분자의 세포내 전달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hat induce toleranc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16년 5월 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331,384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이에 의해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to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2/331,384, filed on May 3, 2016, which application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발명의 분야field of invention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세포 현탁액을 세포-변형 협착부에 통과시킴으로써 화합물을 세포 내로 전달하는 것에 의해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Generally,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by delivering a compound into a cell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through a cell-modifying constriction.

바람직하지 않은 면역 반응이 자가면역, 이식 거부, 알레르기, 및 항약물 반응에 기여한다. 일반적으로 자기-항원에 대한 조절곤란 면역 반응의 결과로서, 생물이 항-자가 반응을 개시할 때 자가면역이 발달된다. 자가면역 질환은, 예를 들어, I형 당뇨병, 전신 홍반 루푸스, 류머티스성 관절염, 자가면역 용혈 빈혈, 및 다발경화증을 포함한다. 공여자 장기의 이식 후의 수여 생물에서의 병원성 면역 반응은 이식 거부 및 환자 생존 감소에 이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음식 및 환경 항원에 대한 원치 않는 면역 반응이 알레르기 질환 예컨대 천식, 음식 알레르기, 및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발한다. 따라서, 항원에 대한 면역학적 관용을 확립하기 위한 접근법이 집중적인 치료법 개발의 초점이다.Undesirable immune responses contribute to autoimmunity, transplant rejection, allergy, and antidrug responses. Autoimmunity develops when an organism initiates an anti-autologous response, usually as a result of a dysregulated immune response to self-antigens. Autoimmune diseases include, for example, type I diabete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heumatoid arthritis, autoimmune hemolytic anemia, and multiple sclerosis.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in the recipient organism following transplantation of a donor organ can lead to transplant rejection and reduced patient survival. Additionally, unwanted immune responses to food and environmental antigens lead to allergic diseases such as asthma, food allergies, and atopic dermatitis. Therefore, approaches to establish immunological tolerance to an antigen are the focus of intensive therapy development.

현재의 세포내 전달 방법은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도하기 위해 세포 표현형 또는 기능을 조정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를 세포의 세포질 내로 로딩할 수 있고 자가면역 질환 및 이식 거부의 기저를 이루는 병원성 면역 반응의 치료를 위한 강력한 면역억제 반응을 구동시킬 수 있는 세포내 전달 기술에 대한 요구가 충족되지 않았다. 미세유체 협착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세포에 전달하는 방법이 기술된 참고문헌은 WO2013059343, WO2015023982, WO2016070136, WO2016077761, 및 PCT/US2016/13113을 포함한다.Current intracellular delivery methods are not effective in modulating cell phenotype or function to induce antigen-specific toler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ntracellular delivery technologies capable of loading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into the cytoplasm of cells and driving potent immunosuppressive responses for the treatment of pathogenic immune responses underlying autoimmune diseases and transplant rejection. not met References describing methods of delivering compounds to cells using microfluidic constriction include WO2013059343, WO2015023982, WO2016070136, WO2016077761, and PCT/US2016/13113.

특허 출원 및 공보를 포함하여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은 전문이 참조로 포함된다.All references cited herein, including patent applications and publications,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대성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가 생성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예를 들어 상기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한 상기 항원의 제시에 의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조정하고/하거나, 면역억제성 분자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조정하고/하거나, 염증성 분자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조정하고/하거나, 또 다른 면역 세포의 활성을 조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nducing challenge to an antigen in a subject, wherein a cell suspension contain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o cause cell disruption so that the antigen and/or tolerogenic factor become immune. entering a cell, wherein tolerogenic immune cells are produced, and introducing the immune cells into a subject.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immune cells are capable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eg, by presentation of said antigen by said tolerogenic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activity and/or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modulates the activity and/or expression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and/or modulates the activity and/or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molecule. and/or modulates the activity of another immune cell.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가 생성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and/or tolerogenic factors are released. Entering an immune cell, wherein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is generated, and introducing the immune cell into a subject. In some embodiments, presentation of said antigen by said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면역 세포는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 세포를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한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 subject comprising introducing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immune cells comprise an antigen and/or tolerogenic factor, wherein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 is introduced into the immune cells by passing the immune cells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o cause disruption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and/or tolerogenic factors enter the immune cells.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면역 세포는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 세포를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한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comprising introducing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immune cells comprise an antigen and/or tolerogenic factor, wherein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 comprise an immune cell. Introduction of the immune cells by passing th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and/or tolerogenic factors enter the immune cells.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he tolerogenic factor is immune. and enters cells, thereby producing tolerogenic immune cells.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olerogenic factors are and enters immune cells, thereby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관용원성 항원-제시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제2 협착부를 추가로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제2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immune cells, wherein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further pass through a second constriction, wherein the second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to antigen It provides a method of entering the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제2 협착부를 추가로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제2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immune cells,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further pass through a second constriction, wherein the second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and thereby disrupts the cells. causing antigens to enter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 제시 세포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도입 전에 시험관 내에서 또는 생체 내에서 생성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s pas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perturbation of the cells by modifying the cells so that tolerogenic factors are introduced into the antigen-presenting cells. It provides a way to ente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antigen-presenting cells are generated in vitro or in vivo prior to introduction of the immunosuppressive molecule.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 제시 세포는 관용원성 인자의 도입 전에 시험관 내에서 또는 생체 내에서 생성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s,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s pas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so that the tolerogenic factor is antigen-presenting. A method of entering a cell is provided.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antigen presenting cells are generated in vitro or in vivo prior to introduction of tolerogenic factors.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관용원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관용원성 인자를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는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tolerogenic factors that produce an tolerogenic phenotype into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immune cells so that the cells causing perturbation of the tolerogenic factor to enter the cell,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tolerogenic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관용원성 인자를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tolerogenic factors that produce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into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is caused by modifying the immune cells. Tolerogenic factors that cause perturbation of the cells to produce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enter the cells,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tolerogenic factor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1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제2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2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가 생성되는 것인 단계, 및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개체 내로 동시에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개체 내로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wherein a first cell suspension comprising a first immune cell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an antigen is released from the immune cells. wherein the second cell suspension comprising second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o cause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he tolerogenic factor enters the immune cells, wherein immunosuppression wherein sexual immune cells are produced, and introducing the first and second immune cells into a subject. In some embodiments, presentation of said antigen by said first or second immune cell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nd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to the subject simultaneously. In some embodiments, a first immune cell and a second immune cell are introduced sequentially into an individual.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1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제2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2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가 생성되는 것인 단계, 및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개체 내로 동시에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개체 내로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 subject by passing a first cell suspension comprising a first immune cell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so that the antigen becomes entering immune cells, passing a second cell suspension comprising second immune cells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turbance of the cells by modifying the cells so that tolerogenic factors enter the immune cells, wherein Tolerogenic immune cells are produced, and introducing the first and second immune cells into a subject. In some embodiments, presentation of said antigen by said first or second immune cell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nd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to the subject simultaneously. In some embodiments, a first immune cell and a second immune cell are introduced sequentially into an individual.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화합물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발현되고, 여기서 상기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유리 염증성 시토카인에 결합하고, 예를 들어, 염증성 면역 세포를 저해함으로써, 이에 의해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비-기능성 시토카인 수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수용체는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이 결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표적 시토카인을 절단하는 단백질분해 부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항-시토카인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항-시토카인 B 세포 수용체를 포함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deforms the cells,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thereby encoding a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wherein a compound that causes entry into an immune cell, and introducing the immune cell into a subject,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is expressed,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binds to a free inflammatory cytokine. binding and thereby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for example by inhibiting inflammatory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 non-functional cytokine receptor.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receptor lacks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 proteolytic site that cleaves a target cytokine.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n anti-cytokine antibody.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n anti-cytokine B cell receptor.

이전 실시양태와 조합될 수 있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개체로부터의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상이한 개체로부터의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다중 개체로부터의 세포의 풀로부터의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that may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immune cells are from an individual.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s are from different individual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s are from a pool of cells from multiple individuals.

이전 실시양태와 조합될 수 있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는 미세유체 채널 내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는 세공이거나 또는 세공 내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표면 내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필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막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 크기는 면역 세포 직경의 함수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 크기는 세포 직경의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또는 약 99%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채널은 약 10 μm의 협착부 길이 및 약 4 μm의 협착부 폭을 포함한다. 일부에서, 세공 크기는 약 0.4 μm, 약 3 μm, 약 4 μm, 약 5 μm, 약 8 μm, 약 10 μm, 약 12 μm, 또는 약 14 μm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약 -5℃ 내지 약 45℃에서 수행된다.In some embodiments that may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constriction is contained within the microfluidic channel. In some embodiments, the constriction is a pore or is contained within a por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are contained within the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 filter.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 membrane. In some embodiments, constriction size is a function of immune cell diameter. In some embodiments, the constriction size is about 20%, about 30%,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about 80%, about 90%, or about 99% of the cell diameter. In some embodiments, the channel comprises a constriction length of about 10 μm and a constriction width of about 4 μm. In some, the pore size is about 0.4 μm, about 3 μm, about 4 μm, about 5 μm, about 8 μm, about 10 μm, about 12 μm, or about 14 μm.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is performed at about -5°C to about 45°C.

달리 상술되지 않는 한, 무핵 세포 직경에 관한 언급은 협착부를 통과하기 전, 예를 들어, 세포가 협착부에 접근할 때의 유체 내의 세포의 직경을 의미한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reference to the diameter of an unnucleated cell refers to the diameter of a cell in fluid prior to passing through the constriction, eg, as the cell approaches the constriction.

이전 실시양태와 조합될 수 있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혼합 세포 집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전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말초혈 단핵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정제된 세포 집단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포유동물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원숭이, 마우스, 개, 고양이, 말, 래트, 양, 염소, 돼지, 또는 토끼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인간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비-포유동물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박테리아, 효모, 닭, 개구리, 곤충, 어류, 또는 선충류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포유동물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원숭이, 마우스, 개, 고양이, 말, 래트, 양, 염소, 돼지, 또는 토끼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인간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T 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NK 세포, 선천성 림프계 세포, 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 골수 유래 억제제 세포, 또는 비만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제시 세포는 포유동물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제시 세포는 원숭이, 마우스, 개, 고양이, 말, 래트, 양, 염소, 돼지, 또는 토끼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제시 세포는 인간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제시 세포는 T 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NK 세포, 선천성 림프계 세포, 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 골수 유래 억제제 세포, 또는 비만 세포이다.In some embodiments that may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a mixed cell popul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is whole blood.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In some embodiments, a cell suspension comprises a purified cell population. In some embodiments, a cell suspension comprises mammalian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monkey, mouse, dog, cat, horse, rat, sheep, goat, pig, or rabbit cells. In some embodiments, a cell suspension comprises human cells. In some embodiments, a cell suspension comprises non-mammalian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bacterial, yeast, chicken, frog, insect, fish, or nematod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s are mammalian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s are monkey, mouse, dog, cat, horse, rat, sheep, goat, pig, or rabbit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s are human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 is a T cell, B cell, dendritic cell, monocyte, macrophage, NK cell, innate lymphoid cell, neutrophil, basophil, eosinophil, bone marrow derived suppressor cell, or mast cell.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presenting cell is a mammalian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presenting cells are monkey, mouse, dog, cat, horse, rat, sheep, goat, pig, or rabbit cells.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presenting cell is a human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presenting cell is a T cell, B cell, dendritic cell, monocyte, macrophage, NK cell, innate lymphoid cell, neutrophil, basophil, eosinophil, bone marrow derived suppressor cell, or mast cell.

이전 실시양태와 조합될 수 있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외래 항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자기-항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동종이식편 이식 항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변형된 항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형된 항원은 치료제와 융합된 항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형된 항원은 표적화 펩티드와 융합된 항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협착부 통과 전에, 협착부 통과와 동시에, 또는 협착부 통과 후에 항원과 접촉된다.In some embodiments that may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foreign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self-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 allograft transplant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modified antigen. In some embodiments, a modified antigen comprises an antigen fused with a therapeutic agent. In some embodiments, a modified antigen comprises an antigen fused with a targeting peptide.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antigen before, concurrently with, or after passage through the stenosis.

이전 실시양태와 조합될 수 있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활성을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조정하는 핵산을 결실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를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억제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자극 분자는 CD80 또는 CD86이다.In some embodiments that may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activity of the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deletes a nucleic acid that modulates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hibitor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costimulatory molecule is CD80 or CD86.

이전 실시양태와 조합될 수 있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인자의 활성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 전사 조절인자, 또는 면역억제성 분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활성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를 코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인핸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저해 분자는 PD-L1, PD-L2, 또는 CTLA-4이다.In some embodiment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potentiates the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osuppressive factor is a co-inhibitory molecule, transcriptional regulator, or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potentiates the activity of a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expression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enhances the expression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polypeptide to increase expression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enhancer of a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co-inhibitory molecule is PD-L1, PD-L2, or CTLA-4.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활성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를 코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인핸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분자는 아르기나제-1 (ARG1), 산화질소 (NO), 산화질소 신타제 2 (NOS2), 인돌아민 2,3-디옥시게나제 (IDO), IL-4, IL-10, IL-13, IL-35, IFNα, 또는 TGFβ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hances the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factors increase expression of immunosuppressive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enhances the expression of immunosuppressive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polypeptide to enhance expression of immunosuppressive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enhancer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osuppressive molecule is arginase-1 (ARG1), nitric oxide (NO), nitric oxide synthase 2 (NOS2), indoleamine 2,3-dioxygenase (IDO), IL-4 , IL-10, IL-13, IL-35, IFNα, or TGFβ.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분자의 활성을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분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를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을 결실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의 억제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전사 인자는 NF-κB, 인터페론 조절 인자, 또는 JAK-STAT 신호전달 경로와 연관된 분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원에 결합 시 면역억제성 시토카인의 생산을 촉발하는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을 함유하는 변형된 TCR을 코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원에 결합 시 면역억제성 시토카인의 생산을 촉발하는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을 함유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코딩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activity of an 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molecule is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delet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hibitor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s a molecule associated with NF-κB, an interferon regulator, or the JAK-STAT signaling pathway.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modified TCR containing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that upon binding to antigen triggers the production of immunosuppressive cytokin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that contains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that upon binding to the antigen triggers the production of immunosuppressive cytokines.

이전 실시양태와 조합될 수 있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siRNA, mRNA, miRNA, lncRNA, tRNA, 또는 shRNA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플라스미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단백질-핵산 복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Cas 폴리펩티드 및 가이드 RNA 또는 공여자 DN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Cas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핵산 및 가이드 RNA 또는 공여자 DN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Cas9 폴리펩티드 및 가이드 RNA 또는 공여자 DN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Cas9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핵산 및 가이드 RNA 또는 공여자 DN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뉴클레아제, TALEN 단백질, 아연 핑거 뉴클레아제, 메가 뉴클레아제, 또는 CRE 레콤비나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트랜스포사제 또는 인테그라제 효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전사 인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소형 분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나노입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협착부 통과 전에, 협착부 통과와 동시에, 또는 협착부 통과 후에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된다.In some embodiment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factors include nucleic acids encoding siRNA, mRNA, miRNA, lncRNA, tRNA, or shRNA.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plasmid.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protein-nucleic acid complex.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Cas polypeptide and a guide RNA or donor DNA.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 Cas polypeptide and a guide RNA or donor DNA.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Cas9 polypeptide and a guide RNA or donor DNA.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 Cas9 polypeptide and a guide RNA or donor DNA.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polypeptide. In some embodiments, the polypeptide is a nuclease, TALEN protein, zinc finger nuclease, meganuclease, or CRE recombinase. In some embodiments, the polypeptide is a transposase or integrase enzyme. In some embodiments, a polypeptide is an antibody. In some embodiments, a polypeptide is a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small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nanoparticle.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tolerogenic factor before, concurrently with, or after passage through the stenosis.

면역 반응이 억제되는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은 적어도 약 25%, 약 50%, 약 75%, 약 100%, 약 150%, 약 200%, 또는 약 200% 초과만큼 억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T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활성화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생존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증식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기능성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표현형에서의 변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T 세포의 비-공동자극 활성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Treg 반응 강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B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 세포 반응 감소는 항체 생산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시토카인 생산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자가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알레르기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이식된 조직과 연관된 항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이식된 조직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바이러스와 연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성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박테리아와 연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박테리아에 대한 병원성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진균과 연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진균에 대한 병원성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치료제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치료용 비히클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in which the immune response is suppressed, the immune response is suppressed by at least about 25%, about 50%, about 75%, about 100%, about 150%, about 200%, or greater than about 200%.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 T cell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activation.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survival.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proliferation.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functionality. In some embodiments, a decrease in T cell response comprises a change in T cell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non-co-stimulatory activation of T cells.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enhancing a Treg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 B cell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B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tibody production.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cytokine production.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 auto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 allergic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 antigen associated with the transplanted tissue.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 immune response to the transplanted tissu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ssociated with a virus.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to a virus.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associated with a bacterium.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to a bacterium.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ssociated with a fungus.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to the fungus.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 immune response to a therapeutic agent.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he immun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vehicle.

관용이 유도되는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T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활성화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생존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증식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기능성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표현형에서의 변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T 세포의 비-공동자극 활성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Treg 반응 강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B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 세포 반응 감소는 항체 생산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시토카인 생산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자가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알레르기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이식된 조직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성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치료제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치료용 비히클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in which tolerance is induced, tolerance may include a decrease in T cell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activation.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survival.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proliferation.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functionality. In some embodiments, a decrease in T cell response comprises a change in T cell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includes non-costimulatory activation of T cells.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comprises enhancing Treg responses.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 B cell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B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tibody production.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comprises a decrease in cytokine production.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includes reducing an auto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includes reducing an allergic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comprises a reduced immune response to the transplanted tissue.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to a virus.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comprises a reduced immun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agent.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comprises a reduced immun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vehicle.

변형된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투여되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된 면역 세포의 적어도 1회 (예컨대 적어도 2, 3, 4, 5, 6회 또는 그 초과)의 추가 투여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임의의 2회의 투여 사이의 기간은 적어도 1일, 1주일,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또는 1년이다.In some embodiments in which modified immune cells are administered to an individual, the method comprises at least one (such as at least 2, 3, 4, 5, 6 or more) additional administrations of the modified immune cells as described above. include additional In some embodiments, the period of time between any two administrations is at least 1 day, 1 week, 1 month, 2 months, 3 months, 4 months, 5 months, 6 months or 1 year.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상기 언급된 방법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하기 위한, 협착부, 면역 세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은 상기 언급된 방법 중 어느 하나에서 사용하기 위한, 협착부, 면역 세포, 및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Certain aspec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systems comprising strictures, immune cells, antigens, and/or tolerogenic factors for use in any of the aforementioned methods. Certain aspec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a system comprising a constrictor, an immune cell, and a compound encoding a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for use in any of the aforementioned methods.

도 1은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를 제시한다.
도 2는 4개의 처리군으로부터의 마우스에서의 제12일의 OT-I- 및 OT-II-특이적 T 세포의 수를 제시한다.
도 3은 높은 수준의 IFN-γ를 발현한 비장 T 세포의 퍼센트 (좌측) 및 IFN-γ 생산 수준 (우측)을 제시한다.
도 4는 ELI스폿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IFN-γ를 생산하는 OT-I T 세포의 수를 제시한다.
도 5는 각각의 처리군에 대한 TCRVa2+ 비장 OT-I 및 림프절 OT-II T 세포에 대한 대표적인 유동 사이토그램을 제시한다.
도 6은 IFN-γ 및 CD44 항원-활성화 마커가 높은 OT-I 세포에 대한 대표적인 유동 사이토그램을 제시한다.
도 7은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를 제시한다.
도 8은 4개의 처리군으로부터의 마우스에서의 제12일의 OT-I- 및 OT-II-특이적 T 세포의 수를 제시한다.
도 9는 높은 수준의 IFN-γ를 발현한 비장 T 세포의 퍼센트를 제시한다.
도 10은 OT-I T 세포 수 대 CD8+ T 세포 (상부 패널) 및 IFN-γ가 높은 세포 대 CD44 항원-활성화 마커 (하부 패널)에 대한 대표적인 유동 사이토그램을 제시한다.
도 11a 및 11b는 대표적인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를 제시한다.
도 12a 및 12b는 대표적인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를 제시한다.
1 present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ing schedule.
Figure 2 shows the number of OT-I- and OT-II-specific T cells at day 12 in mice from the four treatment groups.
Figure 3 shows the percentage of splenic T cells that expressed high levels of IFN-[gamma] (left) and the level of IFN-[gamma] production (right).
4 shows the number of OT-I T cells producing IFN-γ as determined by ELI spots.
5 shows representative flow cytograms for TCRVa2+ splenic OT-I and lymph node OT-II T cells for each treatment group.
6 shows representative flow cytograms for OT-I cells high in IFN-γ and CD44 antigen-activating markers.
7 present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ing schedule.
Figure 8 shows the number of OT-I- and OT-II-specific T cells at day 12 in mice from the four treatment groups.
9 shows the percentage of splenic T cells that expressed high levels of IFN-γ.
10 shows representative flow cytograms for OT-I T cell counts versus CD8+ T cells (upper panel) and cells high in IFN-γ versus CD44 antigen-activating marker (lower panel).
11A and 11B present schematic diagrams of representative processing schedules.
12A and 12B present schematic diagrams of representative processing schedules.

본 발명은 면역 세포를 함유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켜,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를 면역 세포에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개체에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는 미세유체 채널 내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는 세공이거나 또는 세공 내에 함유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ducing tolerance and/or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containing immune cells through a stricture, thereby enabling delivery of antigens and/or tolerogenic factors to immune cells. to provide. In some embodiments, the constriction is contained within the microfluidic channel. In some embodiments, the constriction is a pore or is contained within a pore.

본 개시내용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세포에서의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환경에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환경에서 프로세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 및/또는 면역 억제는 항원-특이적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 및/또는 면역 억제는 복수의 항원에 대한 관용 및/또는 면역 반응의 억제를 포함하여 비-특이적이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and/or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and thereby disrupts the cells. causing the antigen to enter an immune cell, and introducing the immune cell into a subject. In some embodiments, presentation of an antigen on tolerogenic cells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and/or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in a tolerogenic environment.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ocessed in an tolerogenic environment.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ance and/or immune suppression is antigen-specific.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and/or immune suppression is non-specific, comprising inhibition of tolerance and/or immune responses to multiple antigens.

본 개시내용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원은 관용원성 환경에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관용원성 환경을 생성시키고, 상기 관용원성 환경에서의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원은 관용원성 환경에서 프로세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 및/또는 면역 억제는 항원-특이적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 및/또는 면역 억제는 복수의 항원에 대한 관용 및/또는 면역 반응의 억제를 포함하여 비-특이적이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and/or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and thereby disrupts the cells. causing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to enter immune cells, and introducing immune cells into a subject, thereby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and/or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esented in an tolerogenic environment.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factors create an tolerogenic environment, and presentation of an antigen in the tolerogenic environment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and/or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in an tolerogenic environment.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ance and/or immune suppression is antigen-specific.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and/or immune suppression is non-specific, comprising inhibition of tolerance and/or immune responses to multiple antigens.

본 개시내용의 특정 측면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관용원성 환경을 생성시키고, 상기 관용원성 환경에서의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 및/또는 면역 억제는 항원-특이적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 및/또는 면역 억제는 복수의 항원에 대한 관용 및/또는 면역 반응의 억제를 포함하여 비-특이적이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and/or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and thereby disrupts the cells. causing tolerogenic factors to enter immune cells, and introducing immune cells into a subject, thereby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and/or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factors create an tolerogenic environment, and presentation of an antigen in the tolerogenic environment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and/or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ance and/or immune suppression is antigen-specific.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and/or immune suppression is non-specific, comprising inhibition of tolerance and/or immune responses to multiple antigens.

본 개시내용의 특정 측면은 관용원성 및/또는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미거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A particula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and/or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s,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s pas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to allow tolerance. wherein the genic factor enters the antigen-presenting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 일반 기술I. General Skills

본원에서 기술 또는 언급된 기술 및 절차는 일반적으로 잘 이해되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론, 예를 들어, 문헌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Sambrook et al., 4th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2012)];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F.M. Ausubel, et al. eds., 2003)]; 시리즈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Inc.)]; [PCR 2: A Practical Approach (M.J. MacPherson, B.D. Hames and G.R. Taylor eds., 1995)];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Harlow and Lane, eds., 1988)]; [Culture of Animal Cells: A Manual of Basic Technique and Specialized Applications (R.I. Freshney, 6th ed., J. Wiley and Sons, 2010)]; [Oligonucleotide Synthesis (M.J. Gait, ed., 1984)];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Humana Press]; [Cell Biology: A Laboratory Notebook (J.E. Cellis, ed., Academic Press, 1998)]; [Introduction to Cell and Tissue Culture (J.P. Mather and P.E. Roberts, Plenum Press, 1998)]; [Cell and Tissue Culture: Laboratory Procedures (A. Doyle, J.B. Griffiths, and D.G. Newell, eds., J. Wiley and Sons, 1993-8)];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D.M. Weir and C.C. Blackwell, eds., 1996)]; [Gene Transfer Vectors for Mammalian Cells (J.M. Miller and M.P. Calos, eds., 1987)]; [PCR: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Mullis et al., eds., 1994)];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J.E. Coligan et al., eds., 1991)]; [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Ausubel et al., eds., J. Wiley and Sons, 2002)]; [Immunobiology (C.A. Janeway et al., 2004)]; [Antibodies (P. Finch, 1997)]; [Antibodies: A Practical Approach (D. Catty., ed., IRL Press, 1988-1989)]; [Monoclonal Antibodies: A Practical Approach (P. Shepherd and C. Dean, e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Using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E. Harlow and D. Lane,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99)]; [The Antibodies (M. Zanetti and J. D. Capra, ed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5)]; 및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V.T. DeVita et al., eds., J.B. Lippincott Company, 2011)]에 기술된 널리 활용되는 방법론을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된다.The techniques and procedures described or referred to herein are generally well understood and routine methodolog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those described in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Sambrook et al. , 4th ed. ,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2012); [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FM Ausubel, et al. eds., 2003)]; series [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Inc.)]; [ PCR 2: A Practical Approach (MJ MacPherson, BD Hames and GR Taylor eds., 1995)];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 Harlow and Lane, eds., 1988); [ Culture of Animal Cells: A Manual of Basic Technique and Specialized Applications (RI Freshney, 6th ed., J. Wiley and Sons, 2010)]; [ Oligonucleotide Synthesis (MJ Gait, ed., 1984)]; [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 Humana Press]; [ Cell Biology: A Laboratory Notebook (JE Cellis, ed., Academic Press, 1998)]; [ Introduction to Cell and Tissue Culture (JP Mather and PE Roberts, Plenum Press, 1998)]; [ Cell and Tissue Culture: Laboratory Procedures (A. Doyle, JB Griffiths, and DG Newell, eds., J. Wiley and Sons, 1993-8)]; [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DM Weir and CC Blackwell, eds., 1996)]; [ Gene Transfer Vectors for Mammalian Cells (JM Miller and MP Calos, eds., 1987)]; [ PCR: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 (Mullis et al. , eds., 1994)]; [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JE Coligan et al. , eds., 1991)]; [ 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Ausubel et al. , eds., J. Wiley and Sons, 2002)]; [ Immunobiology (CA Janeway et al. , 2004)]; [ Antibodies (P. Finch, 1997)]; [ Antibodies: A Practical Approach (D. Catty., ed., IRL Press, 1988-1989)]; [ Monoclonal Antibodies: A Practical Approach (P. Shepherd and C. Dean, e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 Using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E. Harlow and D. Lane,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99)]; [ The Antibodies (M. Zanetti and JD Capra, ed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5)]; and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VT DeVita et al. , eds., JB Lippincott Company, 2011).

II. 정의II. Justice

본 명세서를 해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의 정의가 적용될 것이고, 적합한 경우, 단수형으로 사용된 용어는 복수형을 또한 포함할 것이며,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하기에 기재된 임의의 정의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임의의 문서와 상충되는 경우, 기재된 정의가 우선하여야 한다.For purposes of interpreting this specification, the following definitions will apply and where appropriate, terms used in the singular will also include the plural and vice versa. In the event that any definition set forth below conflicts with any document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set forth definition shall prevail.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 형태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본원에 기술된 발명의 측면 및 실시양태는 측면 및 실시양태를 "포함하는 것", 측면 및 실시양태로 "이루어지는 것", 및 측면 및 실시양태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It is understood that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include "comprising", "consisting" of, and "consisting essentially of" the aspects and embodiments. .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약"은 이러한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용이하게 아는 각각의 값에 대한 일반적인 오차 범위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약"의 값 또는 파라미터에 대한 언급은 이러한 값 또는 파라미터 자체에 대한 실시양태를 포함 (및 기술)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bout" refers to the typical error range for each value readi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Reference herein to a value or parameter of “about” includes (and describes) embodiments to that value or parameter per se.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세공"은 물질 내의 구멍, 인열부, 공동, 간극부, 파쇄부, 틈, 또는 천공을 포함하는 개구부를 지칭한다. 일부 예에서, (지시된 경우에) 이러한 용어는 본 개시내용의 표면 내의 세공을 지칭한다. 다른 예에서, (지시된 경우에) 세공은 세포 막 내의 세공을 지칭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ore" refers to an opening comprising a hole, tear, cavity, gap, fracture, crevice, or perforation in a material. In some instances (where indicated) these terms refer to pores within a surfa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nother example, a pore (where indicated) can refer to a pore in a cell membrane.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막"은 세공을 함유하는 선택적 장벽 또는 시트를 지칭한다. 이러한 용어는 경계 또는 라이닝으로서 작용하는 휘어질 수 있는 시트형 구조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용어는 세공을 포함하는 표면 또는 필터를 지칭한다. 이러한 용어는 용어 "세포 막"과 별개이다.The term "membrane" as used herein refers to a selective barrier or sheet containing pores. This term includes flexible sheet-like structures that act as borders or linings. In some instances, these terms refer to a surface or filter that includes pores. This term is distinct from the term “cell membrane”.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필터"는 세공을 선택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다공성 물품을 지칭한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용어는 세공을 함유하는 표면 또는 막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filter" refers to a porous article that allows selective passage through pores. In some instances, these terms refer to a surface or membrane containing pores.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비균질성"은 구조 또는 조성 면에서 혼합되었거나 균일하지 않은 것을 지칭한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용어는 크기, 형상, 또는 소정의 표면 내에서의 분포가 다양한 세공을 지칭한다.The term “heterogeneous” as used herein refers to being mixed or not uniform in structure or composition. In some instances, these terms refer to pores that vary in size, shape, or distribution within a given surface.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균질성"은 전체적으로 구조 또는 조성 면에서 일관적이거나 균일한 것을 지칭한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용어는 크기, 형상, 또는 소정의 표면 내에서의 분포가 일관적인 세공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homogeneous” refers to being consistent or uniform in structure or composition throughout. In some instances, these terms refer to pores that are consistent in size, shape, or distribution within a given surface.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이종성"은 상이한 생물로부터 유래된 분자를 지칭한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용어는 소정의 생물에서 정상적으로 발견 또는 발현되지 않는 핵산 또는 단백질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heterologous" refers to molecules derived from different organisms. In some instances, these terms refer to nucleic acids or proteins that are not normally found or expressed in a given organism.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저해하다"는 특정 표적의 존재 또는 활성을 차단하거나, 저하시키거나, 제거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길항하는 작용을 지칭할 수 있다. 저해는 부분적 저해 또는 완전 저해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역 반응을 저해하는 것은 면역 반응의 차단, 저하, 제거, 또는 임의의 다른 길항작용에 이르는 임의의 작용을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핵산 발현의 저해는 핵산 전사의 저하, mRNA 과다의 저하 (예를 들어, mRNA 전사를 침묵화함), mRNA 분해, mRNA 번역의 저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에서, 단백질 발현의 저해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의 전사의 저하, 단백질을 코딩하는 mRNA의 안정성의 저하, 단백질 번역의 저해, 단백질 안정성의 저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inhibit” can refer to an action that blocks, reduces, eliminates, or otherwise antagonizes the presence or activity of a particular target. Inhibition can refer to partial or complete inhibition. For example, inhibiting an immune response can refer to any action leading to blockage, reduction, elimination, or any other antagonism of an immune response. In other examples, inhibition of nucleic acid expression can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reduction of nucleic acid transcription, reduction of mRNA abundance (eg, silencing mRNA transcription), mRNA degradation, inhibition of mRNA translation, and the like. In another example, inhibition of protein express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reduction of transcription of a nucleic acid encoding a protein, reduction of stability of mRNA encoding a protein, inhibition of protein translation, reduction of protein stability, and the like.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억제하다"는 특정 표적의 존재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저하시키거나, 금지하거나, 제한하거나, 축소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억제는 부분적 억제 또는 완전 억제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은 면역 반응을 감소시키거나, 저하시키거나, 금지하거나, 제한하거나, 축소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저감시키는 것에 이르는 임의의 작용을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핵산 발현의 억제는 핵산 전사의 저하, mRNA 과다의 저하 (예를 들어, mRNA 전사를 침묵화함), mRNA 분해, mRNA 번역의 저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에서, 단백질 발현의 억제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의 전사의 저하, 단백질을 코딩하는 mRNA의 안정성의 저하, 단백질 번역의 저해, 단백질 안정성의 저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inhibit” can refer to reducing, reducing, inhibiting, limiting, reducing, or otherwise reducing the presence or activity of a particular target. Inhibition can refer to partial or complete inhibition. For example, inhibiting an immune response can refer to any action that leads to reducing, lowering, inhibiting, limiting, curtailing, or otherwise reducing an immune response. In other examples, inhibition of nucleic acid expression can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reduction of nucleic acid transcription, reduction of mRNA abundance (eg, silencing mRNA transcription), mRNA degradation, inhibition of mRNA translation, and the like. In another example, inhibition of protein express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lowering of transcription of a nucleic acid encoding a protein, lowering of stability of mRNA encoding a protein, inhibition of protein translation, lowering of protein stability, and the like.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강화하다"는 특정 표적의 존재 또는 활성을 개선하거나, 증진시키거나, 고조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증가시키는 작용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역 반응을 강화하는 것은 면역 반응을 개선하거나, 증진시키거나, 고조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증가시키는 것에 이르는 임의의 작용을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핵산 발현을 강화하는 것은 핵산 전사의 증가, mRNA 과다의 증가 (예를 들어, mRNA 전사를 증가시킴), mRNA 분해의 감소, mRNA 번역의 증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에서, 단백질 발현을 강화하는 것은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의 전사의 증가, 단백질을 코딩하는 mRNA의 안정성의 증가, 단백질 번역의 증가, 단백질 안정성의 증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enhance" can refer to an action that improves, enhances, heightens, or otherwise increases the presence or activity of a particular target. For example, enhancing an immune response can refer to any action that leads to improving, enhancing, heightening, or otherwise increasing the immune response. In another example, enhancing nucleic acid expression can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creasing nucleic acid transcription, increasing mRNA abundance (eg, increasing mRNA transcription), decreasing mRNA degradation, increasing mRNA translation, and the like. don't In another example, enhancing protein express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creased transcription of a nucleic acid encoding the protein, increased stability of mRNA encoding the protein, increased protein translation, increased protein stability, and the like. .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도하다"는 결과를 개시시키거나, 촉진하거나, 자극하거나, 확립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생산하는 작용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은 원하는 면역 반응을 개시시키거나, 촉진하거나, 자극하거나, 확립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생산하는 것에 이르는 임의의 작용을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핵산 발현을 유도하는 것은 핵산 전사의 개시, mRNA 번역의 개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예에서,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는 것은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의 전사의 증가, 단백질을 코딩하는 mRNA의 안정성의 증가, 단백질 번역의 증가, 단백질 안정성의 증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induce” can refer to an action that initiates, promotes, stimulates, establishes, or otherwise produces a result. For example, inducing an immune response can refer to any action leading to initiating, promoting, stimulating, establishing, or otherwise producing a desired immune response. In another example, inducing nucleic acid express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itiation of nucleic acid transcription, initiation of mRNA translation, and the like. In another example, inducing protein expressio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increased transcription of a nucleic acid encoding the protein, increased stability of mRNA encoding the protein, increased protein translation, increased protein stability, and the like. .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상동성"은 동일한 생물로부터 유래된 분자를 지칭한다. 일부 예에서, 이러한 용어는 소정의 생물에서 정상적으로 발견 또는 발현되는 핵산 또는 단백질을 지칭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homologous” refers to molecules derived from the same organism. In some instances, these terms refer to nucleic acids or proteins normally found or expressed in a given organism.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핵산"은 리보뉴클레오티드 및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여, 임의 길이의 중합체 형태의 뉴클레오티드를 지칭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어는 단일-, 이중- 또는 다중-가닥 DNA 또는 RNA, 게놈 DNA, cDNA, DNA-RNA 하이브리드, 또는 퓨린 및 피리미딘 염기, 또는 천연이거나,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으로 변형되었거나, 비-천연이거나 또는 유도체화된 기타 뉴클레오티드 염기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백본은 당 및 포스페이트 기 (전형적으로 RNA 또는 DNA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을 수 있음), 또는 변형된 또는 치환된 당 또는 포스페이트 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백본은 펩티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반복 단위, 예컨대 N-(2-아미노에틸)-글리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펩티드 핵산). 대안적으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백본은 합성 서브유닛 예컨대 포스포르아미데이트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시드 포스포르아미데이트 (P-NH2) 또는 혼합형 포스포르아미데이트-포스포디에스테르 올리고머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보적 가닥을 합성하고 적합한 조건 하에 가닥들을 어닐링시킴으로써, 또는 DNA 폴리머라제와 적합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신생으로 상보적 가닥을 합성함으로써, 화학적 합성의 단일 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 생성물로부터 이중-가닥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수득될 수 있다.The term “polynucleotide” or “nucleic acid” as used herein refers to nucleotides of any length in the form of polymers, including ribonucleotides and deoxyribonucleotides. Accordingly, these terms include single-, double- or multi-stranded DNA or RNA, genomic DNA, cDNA, DNA-RNA hybrids, or purine and pyrimidine bases, or natural, chemically or biochemically modified, or non-natural polymers comprising other nucleotide bases that are nucleotide bases, or are derivatiz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backbone of a polynucleotide may include sugar and phosphate groups (which may be typically found in RNA or DNA), or modified or substituted sugar or phosphate groups. The backbone of a polynucleotide may include repeating units linked by peptide bonds, such as N-(2-aminoethyl)-glycine (ie, a peptide nucleic acid). Alternatively, the backbone of the polynucleotide may comprise polymers of synthetic subunits such as phosphoramidates, thus oligodeoxynucleoside phosphoramidates (P-NH2) or mixed phosphoramidate-phosphodisomes. It may be an ester oligomer. Additionally, double-stranded polynucleotides can be prepared from single-stranded polynucleotide products of chemical synthesis by synthesizing complementary strands and annealing the strands under suitable conditions, or by synthesizing complementary strands de novo using DNA polymerase and suitable primers. can be obtained.

용어 "폴리펩티드" 및 "단백질"은 아미노산 잔기들의 중합체를 지칭하도록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최소 길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아미노산 잔기 중합체는 천연 또는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할 수 있고, 아미노산 잔기의 펩티드, 올리고펩티드, 이량체, 삼량체, 및 다량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장 단백질 및 그의 단편 둘 다가 이러한 정의에 포함된다. 이러한 용어는 폴리펩티드의 발현-후 변형, 예를 들어, 글리코실화, 시알릴화, 아세틸화, 인산화 등을 또한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폴리펩티드"는 천연 서열에 대한 변형, 예컨대 결실, 부가 및 치환 (일반적으로 성질 면에서 보존적임)을 포함하는 단백질을 지칭하고, 단 이러한 단백질은 원하는 활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변형은 부위-지정 돌연변이유발을 통해서와 같이 의도적일 수 있거나, 또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숙주의 돌연변이 또는 PCR 증폭에 기인하는 오류를 통해서와 같이 우발적일 수 있다.The terms "polypeptide" and "protein" are used interchangeably to refer to a polymer of amino acid residues and are not limited to a minimum length. Such polymers of amino acid residues may contain natural or non-natural amino acid residues, an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eptides, oligopeptides, dimers, trimers, and multimers of amino acid residues. Both full-length proteins and fragm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is definition. This term also includes post-expression modifications of the polypeptide, such as glycosylation, sialylation, acetylation, phosphorylation, and the like. Moreover, for purposes of this invention, "polypeptide" refers to a protein comprising modifications to its native sequence, such as dele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generally conservative in nature), provided that such proteins retain the desired activity. do. Such modifications may be intentional, such as through site-directed mutagenesis, or accidental, such as through errors due to PCR amplification or mutation of the host producing the protein.

본원에 기술된 임의의 구조적 및 기능적 특성에 대해, 이러한 특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관련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For any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y described herein, methods for determining such property are known in the art.

III. 면역 억제 및 관용III. Immune Suppression and Tolerance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하거나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관용원성 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가 생성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하거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in a subject,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to antigenic antigens. and/or tolerogenic factors enter the immune cells, wherein tolerogenic or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are produced, and introducing the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to the antigen Inducing tolerance to and/or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관용원성 방식으로 항원을 제시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한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함) 또는 관용원성 표현형을 또 다른 세포, 예컨대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함으로써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킬 수 있는 면역 세포로서 특성화된다.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면역억제성 방식으로 항원을 제시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한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함) 또는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또 다른 세포, 예컨대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함으로써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킬 수 있는 면역 세포로서 특성화된다.Tolerogenic immune cells can present antigens in an tolerogenic manner (e.g., presentation of an antigen by tolerogenic immune cells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or transfer the tolerogenic phenotype to another cell, such as another antigen. -characterized as an immune cell capable of produc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by conferring onto presenting cells.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an present antigens in an immunosuppressive manner (e.g., presentation of antigens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suppresse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s) or transfers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to another. It is characterized as an immune cell capable of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by conferring onto a cell, such as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관용원성 및/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는 아주반트와 접촉되지 않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아주반트는 패턴 인식 수용체 수용체 (PRR) (예를 들어, 톨-유사 수용체 (TLR), NOD-유사 수용체 (NLR), RIG-I-유사 수용체 (RLR), 및 C형 렉틴 수용체 (CLR))에 대한 리간드, 및 병원체-연관 분자 패턴 (PAMP)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아주반트는 TLR3 및 RLR 리간드 (예를 들어, dsRNA의 합성 유사체, 예컨대 폴리(I:C)), TLR4 리간드 (예를 들어, 지질다당질 (LPS), 모노포스포릴 지질 A (MPLA)), TLR5 리간드 (예를 들어, 박테리아 플라젤린 (단독이거나 또는 항원에 융합됨)), TLR7/8 리간드 (예를 들어, 이미다조퀴놀린 예컨대 이미퀴모드, 가르디퀴모드, 및 R848), TLR9 리간드 (예를 들어, CpG ODN 예컨대 ODN 1826 및 ODN 2006을 포함하여, 특정 CpG 모티프를 함유하는 올리고데옥시뉴클레오티드), NOD2 리간드 (예를 들어, 박테리아 세포벽 단편 예컨대 무라밀 디펩티드 (MDP)), 명반, 유중수 에멀젼 (프로인트 불완전 아주반트, MF59), rhIL-2, 항-CD40 또는 CD40L, IL-12, 및 시클릭 디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and/or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or precursors thereof, described herein have not been contacted with an adjuvant. In some embodiments, the adjuvant activates pattern recognition receptor receptors (PRRs) (e.g., toll-like receptors (TLRs), NOD-like receptors (NLRs), RIG-I-like receptors (RLRs), and C-type lectins). receptors (CLR)), and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 In some embodiments, the adjuvant is a TLR3 and RLR ligand (e.g., a synthetic analog of dsRNA, such as poly(I:C)), a TLR4 ligand (e.g., lipopolysaccharide (LPS), monophosphoryl lipid A ( MPLA)), TLR5 ligands (e.g., bacterial flagellin (alone or fused to an antigen)), TLR7/8 ligands (e.g., imidazoquinolines such as imiquimod, gardiquimod, and R848), TLR9 ligands (e.g. CpG ODNs such as oligodeoxynucleotides containing specific CpG motifs, including ODN 1826 and ODN 2006), NOD2 ligands (e.g. bacterial cell wall fragments such as muramyl dipeptide (MDP)) , alum, water-in-oil emulsion (Freund's incomplete adjuvant, MF59), rhIL-2, anti-CD40 or CD40L, IL-12, and cyclic dinucleotides.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관용원성 및/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비-관용원성 및/또는 비-면역억제성 전구체에 비교 시 하나 이상의 공동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능력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자극 신호는 CD40, CD80, CD86, CD54, CD83, CD79, 또는 ICOS 리간드를 통한 신호전달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a tolerogenic and/or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described herein comprises a reduced ability to provide one or more costimulatory signals when compared to a non-tolerogenic and/or non-immunosuppressive precursor. In some embodiments, a costimulatory signal comprises signaling through a CD40, CD80, CD86, CD54, CD83, CD79, or ICOS ligand.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관용원성 및/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비-관용원성 및/또는 비-면역억제성 전구체에 비교 시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신호를 제공하는 능력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신호는 인터류킨-1 (IL-1), IL-12, IL-18, 종양 괴사 인자 (TNF), 인터페론 감마 (IFN-감마),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 NF-κB, 인터페론 조절 인자 (IRF), 또는 JAK-STAT를 통한 신호전달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and/or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described herein comprise a reduced ability to provide one or more inflammatory signals when compared to a non-tolerogenic and/or non-immunosuppressive precursor.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signal is interleukin-1 (IL-1), IL-12, IL-18,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feron gamma (IFN-gamma),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 CSF), NF-κB,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IRF), or JAK-STAT.

면역학적 관용은 관용이 유도되어 있는 항원의 챌린지에 대한 면역학적 무반응이다. 대상체가 관용-유도 항원의 후속 챌린지에 대해 무반응성일 때 관용이 실연된다. 관용은 자가반응 세포의 아폽토시스, 아네르기 유도, 또는 림프구 표현형의 편향을 포함하는 여러 상이한 메카니즘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특정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의 불활성화를 야기하는 T 세포 비-반응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용은 세포 표면 분자 또는 세포독성 인자와의 접촉-의존적 상호작용에 의해 또는 면역억제성 시토카인의 분비를 통해 조절 T 세포 (Treg)에 의해 매개될 수도 있다. 관용원성 메카니즘에서의 결함은 자가면역 질환, 이식 거부, 항-약물 반응, 및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병원성 반응에 기여할 수 있다. 면역억제는 면역 반응 활성의 감소이다. 예를 들어, 면역억제는, 비제한적으로, 항원 챌린지에 대한 반응성 감소, 면역 세포 활성화 및 증식 감소, 시토카인 생산 및/또는 분비 조정, 면역 세포 생존 감소, 또는 면역 세포 이펙터 기능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Immunological tolerance is an immunological unresponsiveness to challenge with an antigen for which tolerance has been induced. Tolerance is demonstrated when the subject is unresponsive to a subsequent challenge with a tolerance-inducing antigen. Tolerance can be mediated by several different mechanisms including apoptosis of autoreactive cells, induction of anergy, or bias in the lymphocyte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may include T cell non-reactivity resulting in inactivation of an immune response to a particular antigen. Tolerance may also be mediated by regulatory T cells (Tregs) by contact-dependent interactions with cell surface molecules or cytotoxic factors or through secretion of immunosuppressive cytokines. Defects in tolerogenic mechanisms can contribute to autoimmune diseases, transplant rejection, anti-drug responses, and pathogenic responses to viral infections. Immunosuppression is a decrease in the activity of an immune response. For example, immunosuppression can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reducing responsiveness to antigenic challenge, reducing immune cell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modulating cytokine production and/or secretion, reducing immune cell survival, or reducing immune cell effector function. .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면역 세포에 전달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세포는 포유동물 세포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1차 세포 또는 세포주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혈액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 세포는 면역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림프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T 세포, B 세포, 천연 킬러 (NK) 세포, 수지상 세포 (DC), NKT 세포, 비만 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호염기구, 호산구, 또는 호중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입양 면역 세포 예컨대 T 세포 또는 B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세포 외에서 생성된 세포 (예를 들어, 세포 외에서 생성된 수지상 세포)이다. 예시적인 세포 외에서 생성된 세포는 줄기 세포 또는 전구체 세포 (예를 들어, 자가 줄기 세포 또는 전구체 세포)로부터 생성된 면역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선천 면역 세포이다. 예시적인 선천 면역 세포는 선천성 림프계 세포 (ILC 1, ILC2, ILC3), 호염기구, 호산구, 비만 세포, NK 세포, 호중구, 및 단핵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기억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세포는 1차 인간 T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마우스, 개, 고양이, 말, 래트, 염소, 원숭이, 또는 토끼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인간 세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비-포유동물 세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닭, 개구리, 곤충, 어류 또는 선충류 세포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elivering to an immune cell, wherein the cell is a mammalian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a primary cell or cell li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a blood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blood cells are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 is a lymphocyte.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 is a T cell, B cell, natural killer (NK) cell, dendritic cell (DC), NKT cell, mast cell, monocyte, macrophage, basophil, eosinophil, or neutrophil.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 is an adoptive immune cell such as a T cell or B cell. In some embodiments, an immune cell is an extracellularly generated cell (eg, an extracellularly generated dendritic cell). Exemplary extracellularly generated cells include immune cells generated from stem cells or precursor cells (eg, autologous stem cells or precursor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 is an innate immune cell. Exemplary innate immune cells include innate lymphoid cells (ILC 1, ILC2, ILC3), basophils, eosinophils, mast cells, NK cells, neutrophils, and monocyte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s are memory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e cell is a primary human T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a mouse, dog, cat, horse, rat, goat, monkey, or rabbit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a human cell. In some embodiments, a cell suspension comprises non-mammalian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a chicken, frog, insect, fish or nematode cell.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면역 세포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이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관용원성 표현형을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며,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항원-특이적이다.In certain asp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 subject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thereby causing antigen contact with the cells. entering the immune cell, and introducing the immune cell into a subject, wherein the immune cell is a tolerogenic immune cell, and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to provide.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esent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to induce toleranc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immune cells confer an tolerogenic phenotype on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and antigens are presented by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to antigen induce tolerance for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is antigen-specifi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단계, 및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관용원성 표현형을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며,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항원-특이적이다.In certain asp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 subject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thereby causing antigen contact with the cells. and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ters the immune cells,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and introducing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s It provide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for.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esent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to induce toleranc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immune cells confer an tolerogenic phenotype onto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and antigens are presented by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to antigen induce tolerance for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is antigen-specifi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면역 세포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이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며,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는 항원-특이적이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 subject,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thereby contacting the cells. wherein the antigen enters an immune cell, and introduces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immune cell is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elicit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t provides a way to suppress.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esented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confers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on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and is induced by the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to antigen It is presented and suppresse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immunosuppression is antigen-specifi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단계, 및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며,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는 항원-특이적이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 subject,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thereby contacting the cells. wherein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 enter the immune cell, thereby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and introducing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antigen The presentation i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esented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confers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on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and is induced by the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to antigen It is presented and suppresse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immunosuppression is antigen-specifi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항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 여기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를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에 진입한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관용원성 표현형을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며,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항원-특이적이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 subject comprising introducing tolerogenic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e an antigen,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comprises the antigen. induces tolerance to, wherein the antigen has been introduced into tolerogenic immune cells by passing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or precursors thereof to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he antigen is introduced into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It provides a method that has entered the cell or its precursor.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esent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to induce toleranc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immune cells confer an tolerogenic phenotype on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and antigens are presented by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to antigen induce tolerance for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is antigen-specifi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고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 여기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를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에 진입한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관용원성 표현형을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며,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은 항원-특이적이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 subject comprising introducing tolerogenic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e an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s,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wherein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s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by passing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or their precursors to a stricture, wherein the stricture transforms the cell so that the cell It provides a method wherein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enter tolerogenic immune cells or precursors thereof by causing perturbation of.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esent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to induce toleranc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immune cells confer an tolerogenic phenotype onto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and antigens are presented by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to antigen induce tolerance for In some embodiments, tolerance is antigen-specifi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항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여기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를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에 진입한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며,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는 항원-특이적이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 subject comprising introduc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e the antigen, wherein the antigen is Presentation inhibits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wherein the antigen has been introduced to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by passing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or their precursors to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 and thereby disrupts the cell. causing the antigen to enter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or precursors thereof.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esented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confers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on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and is induced by the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to antigen It is presented and suppresse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immunosuppression is antigen-specifi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여기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를 협착부에 통과시킴으로써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에 진입한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또 다른 항원-제시 세포 상에 부여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며,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에 의해 항원이 제시되어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는 항원-특이적이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 subject comprising introduc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e an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s;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wherein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 have been introduced into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by passing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a precursor thereof to a stricture, wherein the stricture blocks the cell It provides a method wherein the cell is disrupted by transformation so that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enter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or precursors thereof.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presented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confers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on another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and is induced by the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to antigen It is presented and suppresse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immunosuppression is antigen-specifi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관용원성 항원-제시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는 제2 협착부를 추가로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제2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In certain asp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thereby contacting the cells. Tolerogenic factors enter immune cells,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immune cells. 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immune cells, wherein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further pass through a second constriction, wherein the second constriction causes disruption of the cells by modifying the cells, An antigen contacted with a cell enters an immune cell, wherein the antigen is presented by a tolerogenic immune cell.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제2 협착부를 추가로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제2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de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to contact the cells. Provided is a method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tered into immune cells, thereby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immune cells,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further pass through a second constriction, wherein the second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disrupting the cells. to cause antigens contacted with cells to enter immune cells, wherein the antigens are presented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조정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조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저해, 면역억제제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강화, 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저해, 및/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강화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modulation of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immunosuppressive agent, or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agent, expressing and/or expressing an inflammatory molecule, and/or inhibition of activity, and/or enhancement of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molecules.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저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자극제는 공동자극 분자이다. 공동자극 분자와 그의 리간드 사이의 상호작용은 최적의 T 세포 증식 및 분화를 자극하기 위해 TCR 신호전달을 지속 및 통합시키는데 중요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 감소를 포함한다. 항원-제시 세포 상에서 발현되는 예시적인 공동자극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CD40, CD80, CD86, CD54, CD83, CD79, 또는 ICOS 리간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자극 분자는 CD80 또는 CD86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시키거나 또는 그의 발현을 조정하는 핵산의 발현의 저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시키거나 또는 그의 발현을 조정하는 핵산이 결실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시키거나 또는 그의 발현을 조정하는 핵산의 결실은 유전자 편집을 통해 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의 저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 또는 기능의 저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 인자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의 분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를 파괴용으로 표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자극 분자를 유비퀴틴화함으로써 이를 파괴용으로 표적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an immunostimulatory agent is a costimulatory molecule. Interactions between costimulatory molecules and their ligands are important for sustaining and integrating TCR signaling to stimulate optimal T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Exemplary costimulatory molecules expressed on antigen-presenting cel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D40, CD80, CD86, CD54, CD83, CD79, or ICOS ligands. In some embodiments, the costimulatory molecule is CD80 or CD86.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expression of a nucleic acid that expresses or modulates the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a nucleic acid that expresses or modulates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s deleted. In some embodiments, deletion of a nucleic acid that expresses or modulates the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s achieved through gene editing.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or funct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that inhibit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degradat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labeling costimulatory molecules for destruction. For example,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an include targeting costimulatory molecules for destruction by ubiquitination.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억제제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강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제는 공동-저해 분자, 전사 조절인자, 또는 면역억제성 분자이다. 공동-저해 분자는 림프구 활성화를 음성적으로 조절한다. 예시적인 공동-저해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PD-L1, PD-L2, HVEM, B7-H3, TRAIL, 면역글로불린-유사 전사체 (ILT) 수용체 (ILT2, ILT3, ILT4), FasL, CTLA4, CD39, CD73, 및 B7-H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저해 분자는 PD-L1 또는 PD-L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저해 분자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폴리펩티드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공동-저해 분자의 저해제의 저해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agent.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osuppressive agent is a co-inhibitory molecule, transcriptional regulator, or immunosuppressive molecule. Co-inhibitory molecules negatively regulate lymphocyte activation. Exemplary co-inhibitory molec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D-L1, PD-L2, HVEM, B7-H3, TRAIL, immunoglobulin-like transcript (ILT) receptors (ILT2, ILT3, ILT4), FasL, CTLA4, CD39, CD73, and B7-H4. In some embodiments, the co-inhibitory molecule is PD-L1 or PD-L2.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ed expression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that enhance expression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a polypeptide that increases expression of a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an inhibitor of a co-inhibitory molecule.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면역억제성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아르기나제-1 (ARG1), 인돌아민 2,3-디옥시게나제 (IDO),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유도성 산화질소 신타제 (iNOS), 산화질소 (NO), 산화질소 신타제 2 (NOS2), TSLP, 혈관 장 펩티드 (VIP), 간세포 성장 인자 (HGF), TGFβ, IFNα, IL-4, IL-10, IL-13, 및 IL-3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분자는 NO 또는 IDO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억제성 분자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폴리펩티드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면역억제성 분자의 음성 조절인자의 저해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Exemplary immunosuppressive molec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rginase-1 (ARG1), indoleamine 2,3-dioxygenase (IDO), prostaglandin E2 (PGE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Nitric oxide (NO), nitric oxide synthase 2 (NOS2), TSLP, vascular intestinal peptide (VIP),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TGFβ, IFNα, IL-4, IL-10, IL-13, and IL- contains 35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osuppressive molecule is NO or IDO.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that enhance expression of immunosuppressive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a polypeptide that enhances the expression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negative regulators of immunosuppressive molecules.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저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분자는 염증성 시토카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시토카인은 인터류킨-1 (IL-1), IL-12, 및 IL-18, 종양 괴사 인자 (TNF), 인터페론 감마 (IFN-감마), 및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분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염증성 전사 인자의 저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전사 인자는 NF-κB, 인터페론 조절 인자 (IRF), 또는 JAK-STAT 신호전달 경로와 연관된 분자이다. NF-κB 경로는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부착 분자를 포함하는 염증유발성 유전자의 발현을 매개하는 원형 염증유발성 신호전달 경로이다. 인터페론 조절 인자 (IRF)는 염증유발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전사 인자들의 패밀리를 구성한다. JAK-STAT 신호전달 경로는 세포외 시토카인 신호로부터의 정보를 핵으로 전달하여, 면역 세포 증식 및 분화에서 수반되는 유전자의 DNA 전사 및 발현을 초래한다. JAK-STAT 시스템은 세포 표면 수용체, 야누스 키나제 (JAK), 및 신호 전달인자 및 전사 활성화제 (STAT)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JAK-STAT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JAK1, JAK2, JAK 3, Tyk2, STAT1, STAT2, STAT3, STAT4, STAT5 (STAT5A 및 STAT5B), 및 STAT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시토카인 신호전달의 억제제 (SOCS) 단백질의 발현 강화를 포함한다. SOCS 단백질은 JAK-STAT 경로를 통한 신호전달을 저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의 발현의 저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이 결실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 증가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inflamm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molecule is an inflammatory cytokine.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cytokines are interleukin-1 (IL-1), IL-12, and IL-18,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feron gamma (IFN-gamma), and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 GM-CSF).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molecule is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expression of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s.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s a molecule associated with NF-κB,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IRF), or JAK-STAT signaling pathway. The NF-κB pathway is a pro-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 that mediates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including cytokines, chemokines and adhesion molecules. Interferon regulatory factors (IRFs) constitute a family of transcription factors that can regulate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The JAK-STAT signaling pathway transmits information from extracellular cytokine signals to the nucleus, resulting in DNA transcription and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immun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e JAK-STAT system consists of a cell surface receptor, Janus kinase (JAK), and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 proteins. Exemplary JAK-STAT molec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JAK1, JAK2, JAK 3, Tyk2, STAT1, STAT2, STAT3, STAT4, STAT5 (STAT5A and STAT5B), and STAT6.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enhancing expression of an inhibitor of cytokine signaling (SOCS) protein. SOCS proteins can inhibit signaling through the JAK-STAT pathway.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hibition of expression of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s deleted.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that inhibit expression of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ing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s.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강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염증성 분자는 항염증성 시토카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염증성 시토카인은 IL-4, IL-10, IL-13, IFN-알파 및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TGFβ)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염증성 분자는 항염증성 전사 인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항염증성 전사 인자의 강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항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항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의 발현 강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이 결실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항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억제 및/또는 관용은 항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 감소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inflammatory molecule is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is selected from IL-4, IL-10, IL-13, IFN-alph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In some embodiments, the anti-inflammatory molecule is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enhancement of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increased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enhancing expression of nucleic acids encoding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s. In some embodiments, a nucleic acid encoding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s deleted.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the activity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that inhibit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s. In some embodiments, immune suppression and/or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expression of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a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 comprising an antigen, wherein the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 passe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 thereby generating an antigen entering the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s pas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so that the tolerogenic factor is antigen-presenting. and enters cells,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comprising an antigen,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s pas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thereby allowing antigen and tolerance wherein the genic factor enters the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comprising an antigen,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passe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 thereby preventing perturbation of the cell. causing the antigen to enter the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comprising the antigen.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s,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s pas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so that the tolerogenic factor is antigen-presenting. and enters presenting cells, thereby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comprising an antigen,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 passe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 thereby generating antigen and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ters the antigen-presenting cell, thereby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comprising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원을 제1 면역 세포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제1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항원과 접촉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1 면역 세포에 전달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표현형을 제1 면역 세포에 부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예를 들어, 제1 면역 세포에 의해, 관용원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또 다른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제2 면역 세포, 예컨대 제1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 또는 제1 면역 세포와 독립적인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에 의해 관용원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 MHC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I MHC에 의해 제시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an antigen into first immune cells (eg,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the first immune cells through a stricture, wherein the stricture provides a method wherein a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an antigen by modifying a first immune cell to cause disruption of the cell so that an antigen enters the cell. In some embodiments, a tolerogenic factor is delivered to a first immune cell by a method disclosed herein, thereby conferring a tolerogenic phenotype to the first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esented in a tolerogenic manner, eg, by a first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other immune cell, e.g., a second immune cell, such as an immune cell having an tolerogenic phenotype conferred by the nature of the first immune cell, or tolerogenicity independent of the first immune cell. It is presented in a tolerogenic manner by immune cells with a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ocess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eg, by first or second immune cells) and presented by class I MHCs.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ocess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eg, by first or second immune cells) and presented by class II MHCs.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관용원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관용원성 인자를 제1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제1 면역 세포 또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세포내이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1 면역 세포 또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전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관용원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또 다른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제2 면역 세포,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 또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와 독립적인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에 의해 관용원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 MHC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I MHC에 의해 제시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a tolerogenic factor that produces a tolerogenic phenotype into first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the first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is immune to immune cells. Transforming the cells causes perturbation of the cells so that tolerogenic factors enter the cells,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tolerogenic factors,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endocytosed by a first immune cell or tolerogenic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delivered to a first immune cell or tolerogenic immune cell by any of the methods disclos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in a tolerogenic manner, eg, by tolerogenic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other immune cell, e.g., an immune cell having a tolerogenic phenotype conferred by the properties of a second immune cell, e.g., a tolerogenic immune cell, or independent of a tolerogenic immune cell. It is presented in a tolerogenic manner by immune cells with a tolerogenic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eg, by tolerogenic immune cells or secondary immune cells) and presented by class I MHC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eg, by tolerogenic immune cells or secondary immune cells) and presented by class II MH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관용원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를 제1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관용원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또 다른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제2 면역 세포,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 또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와 독립적인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에 의해 관용원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 MHC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I MHC에 의해 제시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that produce an tolerogenic phenotype into first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the first immune cells through a stricture, wherein the stricture transforms immune cells to cause cell perturbation so that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enter the cells,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ing the antigens. provid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in a tolerogenic manner, eg, by tolerogenic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independent of another immune cell, e.g., a second immune cell, e.g., an immune cell having a tolerogenic phenotype conferred by the properties of a tolerogenic immune cell, or a tolerogenic immune cell. It is presented in a tolerogenic manner by immune cells with a phosphorus tolerogenic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eg, by tolerogenic immune cells or secondary immune cells) and presented by class I MHC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eg, by tolerogenic immune cells or secondary immune cells) and presented by class II MH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원을 제1 면역 세포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제1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항원과 접촉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1 면역 세포에 전달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제1 면역 세포에 부여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예를 들어, 제1 면역 세포에 의해, 면역억제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또 다른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제2 면역 세포, 예컨대 제1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 또는 제1 면역 세포와 독립적인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에 의해 면역억제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 MHC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I MHC에 의해 제시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an antigen into first immune cells (e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the first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first immune cell to cause perturbation of the cell so that the antigen enters the cell,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delivered to the first immune cell by a method disclosed herein, thereby conferring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to the first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esented in an immunosuppressive manner, eg, by a first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other immune cell, e.g., a second immune cell, such as an immune cell with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conferred by the nature of the first immune cell, or an immune cell independent of the first immune cell. It is presented in an immunosuppressive manner by immune cells with a suppressive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eg, by a first or second immune cell) and presented by a class I MHC.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eg, by a first or second immune cell) and presented by a class II MH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관용원성 인자를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제1 면역 세포 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세포내이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제1 면역 세포 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전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면역억제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또 다른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제2 면역 세포,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 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와 독립적인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에 의해 면역억제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 MHC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I MHC에 의해 제시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tolerogenic factors that produce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into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immune cells. thereby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so that tolerogenic factors that produce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enter the cells,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tolerogenic factors, thereby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endocytosed by a first immune cell or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delivered to a first immune cell or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by any of the methods disclos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in an immunosuppressive manner, eg,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other immune cell, e.g., a second immune cell, e.g., an immune cell with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conferred by the nature of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It is presented in an immunosuppressive manner by immune cells with a cell-independent tolerogenic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eg,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a second immune cell) and presented by a class I MHC.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eg,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a second immune cell) and presented by a class II MH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를 제1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면역억제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또 다른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제2 면역 세포,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 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와 독립적인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에 의해 면역억제성 방식으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 MHC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예를 들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클래스 II MHC에 의해 제시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that produce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into first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the first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immune cells, causing cellular disruption so that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enter the cells, where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thereby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ntaining the antigens. provides a way to do it.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in an immunosuppressive manner, eg, by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other immune cell, e.g., a second immune cell, e.g., an immune cell with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conferred by the nature of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It is presented in an immunosuppressive manner by immune cells with a cell-independent immunosuppressive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eg,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a second immune cell) and presented by a class I MHC.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ocessed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eg,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a second immune cell) and presented by a class II MHC.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1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제2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2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가 생성되는 것인 단계, 및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원은 면역억제성 방식으로 제시되고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제1 면역 세포에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는 제2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제3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제2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3 면역 세포는 제2 면역 세포의 성질과 독립적인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3 면역 세포는 개체 내로의 제2 면역 세포의 도입 전의 관용원성 표현형을 가졌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동시에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개체 내로의 도입 전에 세포 현탁액에서 조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도입된 후 제2 면역 세포가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도입되고 나서 약 1분, 5분, 10분, 15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12시간, 또는 24시간 중 임의의 것을 초과하는 시간 후에 제2 면역 세포가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도입된 후 제1 면역 세포가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도입되고 나서 약 1분, 5분, 10분, 15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12시간, 또는 24시간 중 임의의 것을 초과하는 시간 후에 제1 면역 세포가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를 제2 세포에 전달하는 것은 제2 세포에 분비 기능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제2 세포가 IL-4, IL-10, IL-13, IFNα 및/또는 TGFβ를 분비함으로써 면역억제성 미세환경을 강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미세환경은 제1 세포에 의한 항원의 관용원성 제시를 허용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wherein a first cell suspension comprising a first immune cell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are immune. entering the cell, passing a second cell suspension comprising a second immune cell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turbance of the cell by transforming the cell so that the tolerogenic factor enters the immune cell, wherein the immune cell suppressive immune cells are produced, and introducing the first and second immune cells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antigen is presented in an immunosuppressive manner and suppresse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provides a way to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esented on a first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 has a tolerogenic phenotype conferred by the nature of the second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by secondary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esented by a third immune cell, eg, an immune cell that has a tolerogenic phenotype conferred by the nature of the second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immune cell has an tolerogenic phenotype independent of the nature of the second immune cell (e.g., the third immune cell had an tolerogenic phenotype prior to introduction of the second immune cell into the individual). .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nd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simultaneously.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nd the second immune cells are combined in a cell suspension prior to introduction into a subject.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nd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sequentially. In some embodiments, a first immune cell is introduced into an individual followed by a second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about 1 minute,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30 minutes, 1 hour, 2 hours, 3 hours, 4 hours, 5 hours, 6 hours, 12 hours after the first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After an hour or more than any of 24 hours, a second immune cell is introduced.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re introduced after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In some embodiments, about 1 minute,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30 minutes, 1 hour, 2 hours, 3 hours, 4 hours, 5 hours, 6 hours, 12 hours after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After an hour or more than any of 24 hours, the first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 some embodiments, delivering the tolerogenic factor to the second cell confers a secretory function on the second cell. For example, the second cell may enhance the immunosuppressive microenvironment by secreting IL-4, IL-10, IL-13, IFNα and/or TGFβ.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osuppressive microenvironment permits tolerogenic presentation of antigen by the first cell.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항원-특이적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1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제2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2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원은 관용원성 방식으로 제시되고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제1 면역 세포에서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는 제2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제2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제3 면역 세포, 예를 들어, 제2 면역 세포의 성질에 의해 부여된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3 면역 세포는 제2 면역 세포의 성질과 독립적인 관용원성 표현형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3 면역 세포는 개체 내로의 제2 면역 세포의 도입 전의 관용원성 표현형을 가졌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동시에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는 개체 내로의 도입 전에 세포 현탁액에서 조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도입된 후 제2 면역 세포가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도입되고 나서 약 1분, 5분, 10분, 15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12시간, 또는 24시간 중 임의의 것을 초과하는 시간 후에 제2 면역 세포가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도입된 후 제1 면역 세포가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면역 세포가 개체에게 도입되고 나서 약 1분, 5분, 10분, 15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12시간, 또는 24시간 중 임의의 것을 초과하는 시간 후에 제1 면역 세포가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를 제2 세포에 전달하는 것은 제2 세포에 분비 기능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제2 세포가 IL-4, IL-10, IL-13, IFNα 및/또는 TGFβ를 분비함으로써 면역억제성 미세환경을 강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미세환경은 제1 세포에 의한 항원의 관용원성 제시를 허용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inducing antigen-specific tolerance in a subject, wherein a first cell suspension comprising a first immune cell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ruption of the cells by modifying the cells, wherein the antigen enters the immune cells, a second cell suspension comprising second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turbance of the cells by transforming the cells so that the tolerogenic factor enters the immune cells. and introducing a first immune cell and a second immune cell into a subject, wherein the antigen is presented in a tolerogenic manner and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esented on a first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 has a tolerogenic phenotype conferred by the nature of the second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presented by secondary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presented by a third immune cell, eg, an immune cell that has a tolerogenic phenotype conferred by the nature of the second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third immune cell has an tolerogenic phenotype independent of the nature of the second immune cell (e.g., the third immune cell had an tolerogenic phenotype prior to introduction of the second immune cell into the individual). .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nd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simultaneously.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nd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sequentially.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nd the second immune cells are combined in a cell suspension prior to introduction into a subject. In some embodiments, a first immune cell is introduced into an individual followed by a second immune cell. In some embodiments, about 1 minute,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30 minutes, 1 hour, 2 hours, 3 hours, 4 hours, 5 hours, 6 hours, 12 hours after the first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After an hour or more than any of 24 hours, a second immune cell is introduced.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immune cells are introduced after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In some embodiments, about 1 minute,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30 minutes, 1 hour, 2 hours, 3 hours, 4 hours, 5 hours, 6 hours, 12 hours after the second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After an hour or more than any of 24 hours, the first immune cells are introduced. In some embodiments, delivering the tolerogenic factor to the second cell confers a secretory function on the second cell. For example, the second cell may enhance the immunosuppressive microenvironment by secreting IL-4, IL-10, IL-13, IFNα and/or TGFβ.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osuppressive microenvironment permits tolerogenic presentation of antigen by the first cell.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화합물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발현되고, 여기서 상기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유리 염증성 시토카인에 결합하며, 이에 의해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유리 염증성 시토카인에 결합하고/하거나 이를 격리시킴으로써, 이러한 시토카인이 기능성 시토카인 수용체에 결합하여 하류 신호전달을 촉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의 내재화 및 세포내 프로세싱 시 시토카인이 파괴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비-기능성 시토카인 수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수용체는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이 결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표적 시토카인을 절단하는 단백질분해 부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결합 시 시토카인을 절단 또는 분해하는 효소를 함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항-시토카인 항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B 세포 수용체를 포함한다. 비-기능성 시토카인 수용체가 결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시토카인은, 비제한적으로, IL-2, IL-6, TNFα, IL-1, 및 IFNγ를 포함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o cause perturbation of the cells to release a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wherein the encoding compound enters an immune cell, and introducing the immune cell into a subject,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is expressed,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is a free inflammatory cytokine It binds to, thereby providing a method of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For exampl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s can bind to and/or sequester free inflammatory cytokines, thereby preventing these cytokines from binding to functional cytokine receptors and triggering downstream signaling. In some embodiments, the cytokine is destroyed upon internalization and intracellular processing of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 non-functional cytokine receptor.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receptor lacks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 proteolytic site that cleaves a target cytokine. For example, a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may contain enzymes that cleave or degrade the cytokine upon binding.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n anti-cytokine antibody. In some embodiments,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 B cell receptor. Exemplary cytokines to which non-functional cytokine receptors can bin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L-2, IL-6, TNFα, IL-1, and IFNγ.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75%, 약 80%, 약 90%, 또는 약 100% 중 임의의 것만큼 면역 반응이 억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T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T 세포 반응 감소는, 비제한적으로, T 세포 활성화 또는 증식 감소, T 세포 생존 감소, 또는 세포 기능성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활성화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생존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증식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 세포 반응 감소는 T 세포 기능성 감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T 세포 기능성 감소는, 비제한적으로, 시토카인 분비 조정, 염증 부위로의 T 세포 이동 감소, 및 T 세포 세포독성 활성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염증성 시토카인 생산 및/또는 분비 감소, 및/또는 항염증성 시토카인 생산 및/또는 분비 증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인터류킨-1 (IL-1), IL-12, 및 IL-18, 종양 괴사 인자 (TNF), 인터페론 감마 (IFN-감마), 및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 및/또는 분비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IL-4, IL-10, IL-13, IL-35, IFN-알파 및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TGFβ)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 및/또는 분비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T 세포 표현형에서의 변화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T 세포 상태가 염증유발성 표현형에서 조절 또는 항염증 표현형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T 세포의 비-공동자극 활성화를 포함하고, 이는 후속적으로 세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조절 T 세포 (Treg) 반응 강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조절 B 세포 (Breg), 관용원성 단핵구, 골수 유래 억제제 세포, 또는 관용원성 대식세포 반응 강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B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 세포 반응 감소는 항체 생산 감소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at least about 10%, about 15%, about 20%, about 25%, about 30%,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about 75%, about 80%, The immune response is suppressed by any of about 90%, or about 100%.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 T cell response. For example, a decrease in T cell response can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reduced T cell activation or proliferation, reduced T cell survival, or reduced cell functionality.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activation.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survival.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proliferation.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functionality. For example, reduced T cell functionality ca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odulating cytokine secretion, reducing T cell migration to sites of inflammation, and reducing T cell cytotoxic activity.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or secretion, and/or increasing anti-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or secretion.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interleukin-1 (IL-1), IL-12, and IL-18,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feron gamma (IFN-gamma), and granulocyte- and reducing the production and/or secretion of one or more inflammatory cytokines selected from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In some embodiments, the suppression of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tion of tolerance involves one or more anti-inflammatory cytokines selected from IL-4, IL-10, IL-13, IL-35, IFN-alpha,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reduction in the production and/or secretion of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a change in a T cell phenotype. For example, the T cell state may change from a pro-inflammatory phenotype to a regulatory or anti-inflammatory phenotype.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non-co-stimulatory activation of T cells, which may subsequently lead to cell death.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enhancing a regulatory T cell (Treg)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enhancing a regulatory B cell (Breg), tolerogenic monocyte, bone marrow derived suppressor cell, or tolerogenic macrophag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 B cell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reducing a B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tibody production.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자가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가면역 반응 감소는, 비제한적으로, 제I형 당뇨병, 류머티스성 관절염, 건선, 다발경화증, 크론병, 또는 궤양성 결장염과 연관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 또는 관용 유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알레르기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알레르기 반응 감소는 알레르기성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건초열), 또는 식품 알레르기와 연관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 또는 관용 유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이식된 조직과 연관된 항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이식된 조직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 또는 관용 유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바이러스와 연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성 면역 반응 감소 또는 관용 유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병원성 면역 반응은 특정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생성되는 시토카인 폭풍을 포함할 수 있다. 시토카인 폭풍은 시토카인과 백혈 세포 사이의 양성 피드백 루프로 이루어지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면역 반응이다.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n autoimmune response. For example, reducing an autoimmune response can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reducing an immune response to or inducing tolerance to antigens associated with type I diabetes, rheumatoid arthritis, psoriasis, multiple sclerosis, Crohn's disease, or ulcerative colitis. there is.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n allergic response. For example, reducing an allergic response can include reducing an immune response to or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associated with allergic asthma,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hay fever), or food allergy.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 antigen associated with the transplanted tissue.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n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to the transplanted tissu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ssociated with a virus.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to a virus or inducing tolerance. For example,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can include a cytokine storm produced by certain viral infections. A cytokine storm is a potentially lethal immune response consisting of a positive feedback loop between cytokines and leukocytes.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치료제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응고 인자이다. 예시적인 응고 인자는, 비제한적으로, 인자 VIII 및 인자 IX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항체이다. 예시적인 치료용 항체는, 비제한적으로, 항-TNFα, 항-VEGF, 항-CD3, 항-CD20, 항-IL-2R, 항-Her2, 항-RSVF, 항-CEA, 항-IL-1베타, 항-CD15, 항-미오신, 항-PSMA, 항-40 kDa 당단백질, 항-CD33, 항-CD52, 항-IgE, 항-CD11a, 항-EGFR, 항-C5, 항-알파-4 인테그린, 항-IL-12/IL-23, 항-IL-6R, 및 항-RANKL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성장 인자이다. 예시적인 치료용 성장 인자는, 비제한적으로,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및 거핵세포 분화 및 성장 인자 (MDGF)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호르몬이다. 예시적인 치료용 호르몬은, 비제한적으로, 인슐린, 인간 성장 호르몬, 및 난포 자극 호르몬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재조합 시토카인이다. 예시적인 치료용 재조합 시토카인은, 비제한적으로, IFNβ, IFNα, 및 GM-CSF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는 치료용 비히클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치료용 비히클은 유전자 요법에 사용되는 바이러스, 예컨대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바큘로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또는 레트로바이러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용 비히클은 지질-기반 비히클, 예를 들어, 리포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용 비히클은 나노입자이다.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 immune response to a therapeutic agent.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agent is a clotting factor. Exemplary clotting fact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actor VIII and Factor IX. In some embodiments, a therapeutic agent is an antibody. Exemplary therapeutic antibodi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nti-TNFα, anti-VEGF, anti-CD3, anti-CD20, anti-IL-2R, anti-Her2, anti-RSVF, anti-CEA, anti-IL-1 Beta, anti-CD15, anti-myosin, anti-PSMA, anti-40 kDa glycoprotein, anti-CD33, anti-CD52, anti-IgE, anti-CD11a, anti-EGFR, anti-C5, anti-alpha-4 integrins, anti-IL-12/IL-23, anti-IL-6R, and anti-RANKL.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agent is a growth factor. Exemplary therapeutic growth fact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rythropoietin (EPO) and megakaryocytic differentiation and growth factor (MDGF).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agent is a hormone. Exemplary therapeutic hormo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sulin, human growth hormone,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agent is a recombinant cytokine. Exemplary therapeutic recombinant cytoki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FNβ, IFNα, and GM-CSF.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he immun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vehicle.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vehicle is a virus used in gene therapy, such as an adenovirus, adeno-associated virus, baculovirus, herpes virus, or retrovirus.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vehicle is a lipid-based vehicle, such as a liposome.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vehicle is a nanoparticle.

IV. 세포-변형 협착부를 제공하는 미세유체 채널IV. Microfluidic channels providing cell-modified constrictions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협착부는 미세유체 채널 내에 함유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중 협착부가 미세유체 채널 내에 병렬 및/또는 직렬로 놓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포-변형 협착부를 함유하는 예시적인 미세유체 채널이 WO2013059343에 기술되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공이 있는 예시적인 표면이 2015년 9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2/214,820에 기술되어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immune cells, thereby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or tolerogenic factors are released into the cells. , wherein the constriction is contained within the microfluidic channel. In some embodiments, multiple constrictions can be placed in parallel and/or series within a microfluidic channel. An exemplary microfluidic channel containing a cell-modified constriction for use in the methods disclosed herein is described in WO2013059343. An exemplary surface with pores for use in the methods disclosed herein is described in US provisional application Ser. No. 62/214,820, filed September 4, 2015.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세유체 채널은 루멘을 포함하고, 완충제 내에 현탁된 세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미세유체 채널은 협착부를 포함한다. 미세유체 채널은 실리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세라믹, 유리, 결정질 기판, 무정형 기판, 또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PDMS, 시클릭 올레핀 공중합체 (COC)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물질 중 임의의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미세유체 채널의 제작은 건식 에칭, 습식 에칭, 포토리소그래피, 사출 성형, 레이저 삭마, 또는 SU-8 마스크를 포함하는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icrofluidic channel comprises a lumen and is configured to allow passage of cells suspended in a buffer, wherein the microfluidic channel comprises a constriction. The microfluidic channel may be silicon, metal (eg, stainless steel), plastic (eg, polystyrene), ceramic, glass, crystalline substrate, amorphous substrate, or polymer (eg,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 PDMS, cyclic olefin copolymer (COC), etc.). Fabrication of the microfluidic channel may be performed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including dry etching, wet etching, photolithography, injection molding, laser ablation, or SU-8 masking.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세유체 채널 내의 협착부는 입구 부분, 중심점, 및 출구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세유체 채널 내의 협착부의 길이, 깊이, 및 폭은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세유체 채널 내의 협착부의 직경은 세포 또는 세포 클러스터의 직경의 함수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세유체 채널 내의 협착부의 직경은 세포 직경의 약 20% 내지 약 99%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 크기는 세포 직경의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또는 약 99%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 크기는 세포의 최소 단면 거리의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또는 약 99%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채널은 약 2 μm 내지 약 10 μm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폭 또는 폭 범위의 협착부 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협착부 폭은 약 2 μm, 약 3 μm, 약 4 μm, 약 5 μm, 약 6 μm, 또는 약 7 μm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채널은 약 10 μm의 협착부 길이 및 약 4 μm의 협착부 폭을 포함한다. 채널, 입구 부분, 중심점, 및 출구 부분의 단면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은 형상 면에서 원형, 타원형, 긴 틈새, 사각형, 육각형, 또는 삼각형일 수 있다. 입구 부분은 협착부 각도를 정의하고, 협착부 각도는 채널 막힘을 저하시키도록 최적화되고, 화합물의 세포 내로의 전달 강화를 위해 최적화된다. 출구 부분의 각도 또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층류를 초래할 수 있는 난류의 가능성을 저하시키도록 출구 부분의 각도가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입구 부분 및/또는 출구 부분의 벽은 직선형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입구 부분 및/또는 출구 부분의 벽은 곡선형이다.In some embodiments, a constriction within a microfluidic channel includes an inlet portion, a center point, and an outlet portion. In some embodiments, the length, depth, and width of a constriction within a microfluidic channel can vary. In some embodiments, the diameter of a constriction within a microfluidic channel is a function of the diameter of a cell or cell cluster. In some embodiments, the diameter of the constriction within the microfluidic channel is between about 20% and about 99% of the cell diameter. In some embodiments, the constriction size is about 20%, about 30%,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about 80%, about 90%, or about 99% of the cell diameter. In some embodiments, the constriction size is about 20%, about 30%,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about 80%, about 90%, or about 99% of the smallest cross sectional distance of the cells. to be. In some embodiments, the channel comprises a constriction width of from about 2 μm to about 10 μm or any width or range of widths therebetween. For example, the constriction width may be any of about 2 μm, about 3 μm, about 4 μm, about 5 μm, about 6 μm, or about 7 μm. In some embodiments, the channel comprises a constriction length of about 10 μm and a constriction width of about 4 μm. Cross-sections of the channels, inlet portion, center point, and outlet portion may also vary. For example, the cross-section may be circular, elliptical, elongated, square, hexagonal, or triangular in shape. The inlet portion defines the constriction angle, which is optimized to reduce channel blockage and to enhance delivery of the compound into cells. The angle of the exit portion may also vary. For example, the angle of the exit portion is configur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turbulence that can result in non-laminar flow. In some embodiments, the walls of the inlet portion and/or outlet portion are straight. In other embodiments, the walls of the inlet portion and/or outlet portion are curved.

V. 세포 변형 협착부를 제공하는 세공이 있는 표면V. Porous surfaces providing cell transformation constrictions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협착부는 세공이거나 또는 세공 내에 함유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표면 내에 함유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세공이 있는 예시적인 표면이 2015년 9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2/214,820에 기술되어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immune cells, resulting in cell perturbation, resulting in antigenic and/or tolerogenic factors. enters a cell, wherein the constriction is or is contained within a por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are contained within the surface. An exemplary surface with pores for use in the methods disclosed herein is described in US provisional application Ser. No. 62/214,820, filed September 4, 2015.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은 표면은 다수의 물질 중 임의의 것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다수의 형태 중 임의의 것을 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필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막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필터는 접선 유동 필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스폰지 또는 스폰지-유사 매트릭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매트릭스이다.A surface as disclosed herein may be made of any of a number of materials and may take any of a number of forms.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 filter.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 membrane. In some embodiments, the filter is a tangential flow filter.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 sponge or sponge-like matrix.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 matrix.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굴곡 경로 표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굴곡 경로 표면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비제한적으로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 실리콘, 유리, 금속, 합금, 셀룰로스 니트레이트, 은,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AN), 폴리프로필렌, 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혼합형 셀룰로스 에스테르, 자기, 및 세라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 bend path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bend path surface comprises cellulose acetate.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 synthetic or natural polymer, polycarbonate, silicone, glass, metal, alloy, cellulose nitrate, silver, cellulose acetate, nylon, polyester, polyethersulfone, polyacrylonitrile, without limitation. (PAN), polypropylene, PVDF, polytetrafluoroethylene, mixed cellulose esters, porcelain, and ceramics.

본원에 개시된 표면은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형상, 예를 들어 3차원 형상일 수 있다. 표면의 2차원 형상은, 비제한적으로, 원형, 타원형, 구형, 사각형, 성상형, 삼각형, 다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또는 팔각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형상 면에서 구형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의 3차원 형상은 원통형, 원뿔형, 또는 입방형이다.A surface disclosed herein may be of any shape known in the art, such as a three-dimensional shape. The two-dimensional shape of the surface can be, without limitation, a circle, ellipse, sphere, rectangle, star, triangle, polygon, pentagon, hexagon, heptagon, or octago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spherical in shape. In some embodiments,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urface is cylindrical, conical, or cubic.

표면은 단면 폭 및 두께가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의 단면 폭은 약 1 mm 내지 약 1 m,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단면 폭 또는 단면 폭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규정된 두께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표면 두께는 균일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 두께는 가변적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의 일부분이 표면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거나 또는 더 얇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 두께는 약 1% 내지 약 90%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백분율 또는 백분율 범위만큼 다양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약 0.01 μm 내지 약 5 mm 두께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두께 또는 두께 범위이다.The surface may vary in cross-sectional width and thickness. In some embodiments,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urface is from about 1 mm to about 1 m, or any cross-sectional width or range of cross-sectional widths therebetwee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has a defined thickness.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thickness is uniform.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thickness is variable.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portions of the surface are thicker or thinn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thickness varies from about 1% to about 90% or any percentage or percentage range in betwee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about 0.01 μm to about 5 mm thick or any thickness or thickness range in between.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는 세공이거나 또는 세공 내에 함유된다. 세공의 단면 폭은 처리될 세포의 유형에 관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크기는 처리될 세포 또는 세포 클러스터의 직경의 함수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크기는 세공 통과 시 세포가 교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크기는 세포 직경 미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크기는 세포 직경의 약 10% 내지 약 99%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크기는 세포 직경의 약 10%, 약 15%,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또는 약 99%이다. 최적의 세공 크기 또는 세공 단면 폭은 용도 및/또는 세포 유형을 기초로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크기는 약 2 μm 내지 약 14 μm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크기는 약 2 μm, 약 3 μm, 약 4 μm, 약 5 μm, 약 8 μm, 약 10 μm, 약 12 μm, 또는 약 14 μm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면 폭은 약 2 μm 내지 약 14 μm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단면은 약 2 μm, 약 3 μm, 약 4 μm, 약 5 μm, 약 8 μm, 약 10 μm, 약 12 μm, 또는 약 14 μm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striction is a pore or is contained within a pore.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pore is related to the type of cells to be treated. In some embodiments, pore size is a function of the diameter of the cells or cell clusters to be treated.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size is such that cells are disturbed when passing through the por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size is less than the cell diameter.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size is between about 10% and about 99% of the cell diameter.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size is about 10%, about 15%, about 20%, about 30%,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about 80%, about 90% of the cell diameter. , or about 99%. Optimal pore size or pore cross-sectional width may vary based on application and/or cell typ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size is between about 2 μm and about 14 μm.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size is about 2 μm, about 3 μm, about 4 μm, about 5 μm, about 8 μm, about 10 μm, about 12 μm, or about 14 μm. In some embodiments, the cross-sectional width is between about 2 μm and about 14 μm.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cross section is about 2 μm, about 3 μm, about 4 μm, about 5 μm, about 8 μm, about 10 μm, about 12 μm, or about 14 μm.

세공 통로의 입구 및 출구는 각도가 다양할 수 있다. 세공 각도는 세포가 통과하는 동안 세공 막힘을 최소화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을 통과하는 유속은 약 0.001 mL/㎠/s 내지 약 100 L/㎠/s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속도 또는 속도 범위이다. 예를 들어, 입구 또는 출구 부분의 각도는 약 0 내지 약 90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입구 또는 출구 부분은 90도를 초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입구 및 출구 각도가 동일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입구 및 출구 각도가 상이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가장자리는 매끄럽고, 예를 들어, 둥글거나 곡선형이다. 매끄러운 세공 가장자리는 혹, 융기부 또는 균일하지 않은 부분이 없으면서 표면이 연속적이고, 평평하며 균일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가장자리는 날카롭다. 날카로운 세공 가장자리는 뾰족하거나 예각인 얇은 가장자리가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통로는 직선형이다. 직선형 세공 통로는 곡선, 만곡부, 각도, 또는 기타 불규칙 부분을 함유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통로는 곡선형이다. 곡선형 세공 통로는 구부러지거나 또는 직선으로부터 벗어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통로는 다수의 곡선, 예를 들어 약 2, 3, 4, 5, 6, 7, 8, 9, 10개 또는 그 초과의 곡선이 있다.The inlet and outlet of the pore passage may vary in angle. The pore angle can be selected to minimize pore blockage during cell passage. In some embodiments, the flow rate through the surface is from about 0.001 mL/cm 2 /s to about 100 L/cm 2 /s or any rate or rate range in between. For example, the angle of the inlet or outlet portion may be from about 0 to about 90 degrees. In some embodiments, the inlet or outlet portion may be greater than 90 degrees.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have equal inlet and outlet angles.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have different inlet and outlet angles.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edges are smooth, eg rounded or curved. A smooth pore edge has a continuous, flat and uniform surface without humps, ridges or unevenness.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edges are sharp. Sharp pore edges have pointed or acute thin edges.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passages are straight. Straight pore passages do not contain curves, bends, angles, or other irregularities.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passage is curved. The curved pore passages bend or deviate from straight lines.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passageway has multiple curves, for example about 2, 3, 4, 5, 6, 7, 8, 9, 10 or more curves.

세공은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포함하여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세공 형상 (예를 들어, 단면 형상)은, 비제한적으로, 원형, 타원형, 구형, 사각형, 성상형, 삼각형, 다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및 팔각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의 단면은 형상 면에서 구형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의 3차원 형상은 원통형 또는 원뿔형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세로 홈이 있는 입구 및 출구 형상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형상은 소정의 표면 내의 세공들 사이에서 균질하다 (즉, 일관적이거나 규칙적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형상은 소정의 표면 내의 세공들 사이에서 균질하지 않다 (즉, 혼합형이거나 다양하다).The pores may be of any shape known in the art, including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shapes. The pore shape (eg, cross-sectional shape) can be, without limitation, round, oval, spherical, square, star-shaped, triangular, polygonal, pentagonal, hexagonal, heptagonal, and octagonal. In some embodiments, the cross section of the pore is spherical in shape. In some embodiments,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pores is cylindrical or conical.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have a fluted inlet and outlet shap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shape is homogeneous (ie, consistent or regular) among the pores within a given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shape is not homogeneous (ie, mixed or varied) among pores within a given surface.

본원에 기술된 표면은 총 세공 수가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총 표면적의 약 10% 내지 약 8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약 1.0x105개 내지 약 1.0x1030개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수 또는 수 범위의 총 세공을 함유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 표면적당 약 10개 내지 약 1.0x1015개의 세공을 포함한다.The surfaces described herein may vary in total pore count.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comprise from about 10% to about 80% of the total surface area.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contains a total number of pores from about 1.0x10 5 to about 1.0x10 30 or any number or range of numbers in between.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comprises from about 10 to about 1.0x10 15 pores per mm 2 surface area.

세공은 소정의 표면 내에서 수많은 방식으로 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소정의 표면 내에서 병렬로 분포된다. 하나의 이러한 예에서, 세공은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분포되고, 소정의 표면 내에서 동일한 거리로 떨어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분포는 정연하거나 또는 균질하다. 하나의 이러한 예에서, 세공은 규칙적이고 조직적인 패턴으로 분포되거나, 또는 소정의 표면 내에서 동일한 거리로 떨어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 분포는 무작위이거나 또는 비균질성이다. 하나의 이러한 예에서, 세공은 불규칙하고 무질서한 패턴으로 분포되거나, 또는 소정의 표면 내에서 상이한 거리로 떨어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중 표면이 일렬로 분포된다. 다중 표면은 표면 크기, 형상 및/또는 조도 면에서 균질성 또는 비균질성일 수 있다. 다중 표면은 세공 크기, 형상 및/또는 수가 균질성 또는 비균질성인 세공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광범위한 화합물을 상이한 세포 유형들 내로 동시에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pores can be distributed in a number of ways within a given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are distributed in parallel within a given surface. In one such example, the pores are distributed side by side in the same direction and spaced equidistantly within a given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distribution is orderly or homogeneous. In one such example, the pores are distributed in a regular and organized pattern, or equally spaced apart within a given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pore distribution is random or non-homogeneous. In one such example, the pores are distributed in an irregular and disordered pattern, or fall at different distances within a given surface. In some embodiments, multiple surfaces are distributed in line. Multiple surfaces can be homogeneous or non-homogeneous in surface size, shape and/or roughness. The multiple surfaces may further contain pores that are homogeneous or heterogeneous in pore size, shape and/or number, thereby allowing simultaneous delivery of a wide range of compounds into different cell types.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별적인 세공은 폭 치수가 균일하다 (즉, 세공 통로의 길이를 따라 폭이 일정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별적인 세공은 폭이 가변적이다 (즉, 세공 통로의 길이를 따라 폭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소정의 표면 내의 세공은 개별적인 세공 깊이가 동일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소정의 표면 내의 세공은 개별적인 세공 깊이가 상이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서로 인접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서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공은 약 0.001 μm 내지 약 30 mm의 거리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거리 또는 거리 범위만큼 서로 떨어진다.In some embodiments, individual pores are uniform in width dimension (ie, constant in width along the length of the pore passageway). In some embodiments, individual pores are variable in width (ie, increase or decrease in width along the length of the pore passageway). In some embodiments, pores within a given surface are equal in individual pore depth. In some embodiments, pores within a given surface differ in individual pore depths.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some embodiments, the po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of from about 0.001 μm to about 30 mm or any distance or range of distances therebetween.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물질로 코팅된다. 물질은 테플론, 접착성 코팅물, 계면활성제, 단백질, 부착 분자, 항체, 항응고제, 세포 기능을 조정하는 인자, 핵산, 지질, 탄수화물, 또는 막횡단 단백질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코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물질은 표면에 공유결합으로 부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물질은 표면에 비-공유결합으로 부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 분자는 세포가 세공을 통과할 때 방출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coated with a material. Materials known in the ar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eflon, adhesive coatings, surfactants, proteins, adhesion molecules, antibodies, anticoagulants, factors that modulate cellular function, nucleic acids, lipids, carbohydrates, or transmembrane proteins. It can be selected from any material.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coated with polyvinylpyrrolidone. In some embodiments, the material is covalently attached to the surface. In some embodiments, the material is non-covalently attached to the surface. In some embodiments, surface molecules are released when cells pass through pores.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변형된 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극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친수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비-극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소수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하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양으로 및/또는 음으로 하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일부 영역에서는 양으로 하전되고, 다른 영역에서는 음으로 하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전반적인 양전하 또는 전반적인 음전하를 띤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매끄럽거나, 전해연마되거나, 거칠거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된 것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쯔비터이온 또는 이극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플라즈마 처리된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has modified chemistry.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polar.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hydrophilic.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non-polar.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hydrophobic.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charged.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positively and/or negatively charged.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may be positively charged in some areas and negatively charged in other areas.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has an overall positive charge or an overall negative charge.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can be any of smooth, electropolished, rough, or plasma treated.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comprises a zwitterionic or dipolar compound.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plasma treated.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더 큰 모듈 내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주사기, 예컨대 플라스틱 또는 유리 주사기 내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플라스틱 필터 홀더 내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표면은 피펫 팁 내에 함유된다.In some embodiments, surfaces are contained within larger modules.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contained within a syringe, such as a plastic or glass syringe.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contained within a plastic filter holder. In some embodiments, the surface is contained within a pipette tip.

VI. 세포 교란VI. cell disruption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여기서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세포에서의 교란은 세포 외부로부터의 물질이 세포 내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세포 내의 틈새 (예를 들어, 구멍, 인열부, 공동, 간극부, 세공, 파쇄부, 틈, 천공)인 방법을 제공한다. 변형은, 예를 들어, 기계적 변형력 및/또는 전단력에 의해 유도된 압력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교란은 세포 막 내에서의 교란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교란은 일시적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교란은 약 1.0x10-9초 내지 약 2시간,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시간 또는 시간 범위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교란은 약 1.0x10-9초 내지 약 1초, 약 1초 내지 약 1분, 또는 약 1분 내지 약 1시간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교란은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2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3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4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5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6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7초, 또는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8초 중 임의의 것 사이 동안 지속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교란은 약 1.0x10-8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7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6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5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4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3초 내지 약 1.0x10-1초, 또는 약 1.0x10-2초 내지 약 1.0x10-1초 중 임의의 시간 동안 지속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 세포 교란 (예를 들어, 세공 또는 구멍)은 보체 또는 박테리아 용혈소에 의해 생성된 것과 같은 다량체성 세공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단백질 서브유닛의 조립의 결과로서 형성되지 않는다.In some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by passing a cell suspension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immune cells,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so that an antigen or tolerogenic factor is released into the cells. where a disturbance in a cell is a gap (e.g., hole, tear, cavity, interstice, pore, fracture, fissure, perforation) within the cell that allows material from outside the cell to move into the cell. provides a way Deformation can be caused by pressure induced by, for example, mechanical strain and/or shear forces. In some embodiments, a perturbation is a perturbation within a cell membrane. In some embodiments, a perturbation is transient.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perturbation lasts from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2 hours, or any time or time range in between.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perturbation lasts between about 1.0x10 −9 seconds and about 1 second, between about 1 second and about 1 minute, or between about 1 minute and about 1 hour.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perturbation is from about 1.0x10 -9 sec to about 1.0x10 -1 sec, from about 1.0x10 -9 sec to about 1.0x10 -2 sec, from about 1.0x10 -9 sec to about 1.0x10 -3 sec,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4 seconds,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5 seconds,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6 seconds,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7 seconds, or any between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8 seconds.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perturbation is from about 1.0x10 -8 sec to about 1.0x10 -1 sec, from about 1.0x10 -7 sec to about 1.0x10 -1 sec, from about 1.0x10 -6 sec to about 1.0x10 -1 sec, From about 1.0x10 -5 seconds to about 1.0x10 -1 seconds, from about 1.0x10 -4 seconds to about 1.0x10 -1 seconds, from about 1.0x10 -3 seconds to about 1.0x10 -1 seconds, or from about 1.0x10 -2 seconds Lasts for a random period of about 1.0x10 -1 seconds. Cellular disturbances (e.g., pores or pores) produced by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do not form as a result of the assembly of protein subunits to form multimeric pore structures such as those produced by complement or bacterial hemolysins. .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함에 따라, 협착부는 일시적으로 세포 막에 대한 손상을 부여하고, 이는 교란을 통한 물질의 수동 확산을 야기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른 기간 (예를 들어, 나노초 내지 수 시간 범위)도 가능하지만, 세포는 100 μs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만 변형되어, 세포 신호전달 메카니즘을 통해 아폽토시스 경로를 활성화시킬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약 1.0x10-9초 내지 약 2시간,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시간 또는 시간 범위 동안 변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약 1.0x10-9초 내지 약 1초, 약 1초 내지 약 1분, 또는 약 1분 내지 약 1시간 동안 변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2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3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4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5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6초,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7초, 또는 약 1.0x10-9초 내지 약 1.0x10-8초 중 임의의 것 사이 동안 변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약 1.0x10-8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7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6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5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4초 내지 약 1.0x10-1초, 약 1.0x10-3초 내지 약 1.0x10-1초, 또는 약 1.0x10-2초 내지 약 1.0x10-1초 중 임의의 시간 동안 변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를 변형시키는 것은 비제한적으로 약 1 μs 내지 적어도 약 750 μs 범위의 시간,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 μs, 10 μs, 50 μs, 100 μs, 500 μs, 또는 750 μs 동안 세포를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As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the constriction temporarily imparts damage to the cell membrane, which causes passive diffusion of substances through perturb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modified only for a period as short as 100 μs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activating an apoptotic pathway through a cell signaling mechanism, although other time periods (eg, ranging from nanoseconds to several hours) are possible. . In some embodiments, the cells are deformed for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2 hours, or any time or time range in between.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deformed for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 second, about 1 second to about 1 minute, or about 1 minute to about 1 hour.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about 1.0x10 -9 sec to about 1.0x10 -1 sec, about 1.0x10 -9 sec to about 1.0x10 -2 sec, about 1.0x10 -9 sec to about 1.0x10 -3 sec,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4 seconds,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5 seconds,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6 seconds,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 x10 -7 seconds, or any between about 1.0x10 -9 seconds to about 1.0x10 -8 seconds.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about 1.0x10 -8 sec to about 1.0x10 -1 sec, about 1.0x10 -7 sec to about 1.0x10 -1 sec, about 1.0x10 -6 sec to about 1.0x10 -1 sec, about 1.0x10 -5 seconds to about 1.0x10 -1 seconds, about 1.0x10 -4 seconds to about 1.0x10 -1 seconds, about 1.0x10 -3 seconds to about 1.0x10 -1 seconds, or about 1.0x10 -2 seconds to about Deformed for a random period of 1.0x10 -1 sec. In some embodiments, modifying a cell is for a time ranging from, but not limited to, about 1 μs to at least about 750 μs, for example, for at least about 1 μs, 10 μs, 50 μs, 100 μs, 500 μs, or 750 μs. including transforming cells.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내로의 화합물 통행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는 것 및/또는 세포 교란과 동시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내로의 화합물 통행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한 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내로의 화합물 통행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수 분 정도 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내로의 화합물 통행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1.0x10-2초 내지 적어도 약 30분 후에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세포 내로의 화합물 통행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1.0x10-2초 내지 약 1초, 약 1초 내지 약 1분, 또는 약 1분 내지 약 30분 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내로의 화합물 통행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1.0x10-2초 내지 약 10분, 약 1.0x10-2초 내지 약 5분, 약 1.0x10-2초 내지 약 1분, 약 1.0x10-2초 내지 약 50초, 약 1.0x10-2초 내지 약 10초, 약 1.0x10-2초 내지 약 1초, 또는 약 1.0x10-2초 내지 약 0.1초 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내로의 화합물 통행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1.0x10-1초 내지 약 10분, 약 1초 내지 약 10분, 약 10초 내지 약 10분, 약 50초 내지 약 10분, 약 1분 내지 약 10분, 또는 약 5분 내지 약 10분 후에 발생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한 후의 세포에서의 교란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5분 정도 후 이내에 수정된다.In some embodiments, passage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 occurs concurrently with the cell passing through the constriction and/or disrupting the cell. In some embodiments, passage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 occurs after the cell passes through the constriction. In some embodiments, passage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 occurs on the order of minutes after the cell has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In some embodiments, passage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 occurs between about 1.0x10 −2 seconds and at least about 30 minutes after the cell has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For example, passage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 occurs between about 1.0x10 -2 sec and about 1 sec, between about 1 sec and about 1 min, or between about 1 min and about 30 min after the cell has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In some embodiments, passage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 is between about 1.0x10 -2 seconds and about 10 minutes, between about 1.0x10 -2 seconds and about 5 minutes, between about 1.0x10 -2 seconds and about 1 minute after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 _ _ _ In some embodiments, passage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 is from about 1.0x10 −1 sec to about 10 min, from about 1 sec to about 10 min, from about 10 sec to about 10 min, from about 50 sec to about 10 min after the cell has passed the constriction. 10 minutes, about 1 minute to about 10 minutes, or about 5 minutes to about 10 minutes. In some embodiments, a disturbance in a cell after the cell has passed the constriction is corrected within about 5 minutes or less after the cell has passed the constriction.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를 통과한 후의 세포 생육성은 약 5% 내지 약 10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를 통과한 후의 세포 생육성은 적어도 약 5%, 10%, 20%, 30%, 40%, 50%, 60%, 70%, 75%, 80%, 85%, 90%, 95%, 또는 99%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생육성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1.0x10-2초 내지 적어도 약 10일 후에 측정된다. 예를 들어, 세포 생육성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1.0x10-2초 내지 약 1초, 약 1초 내지 약 1분, 약 1분 내지 약 30분, 또는 약 30분 내지 약 2시간 후에 측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생육성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1.0x10-2초 내지 약 2시간, 약 1.0x10-2초 내지 약 1시간, 약 1.0x10-2초 내지 약 30분, 약 1.0x10-2초 내지 약 1분, 약 1.0x10-2초 내지 약 30초, 약 1.0x10-2초 내지 약 1초, 또는 약 1.0x10-2초 내지 약 0.1초 후에 측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생육성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1.5시간 내지 약 2시간, 약 1시간 내지 약 2시간, 약 30분 내지 약 2시간, 약 15분 내지 약 2시간, 약 1분 내지 약 2시간, 약 30초 내지 약 2시간, 또는 약 1초 내지 약 2시간 후에 측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생육성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고 나서 약 2시간 내지 약 5시간, 약 5시간 내지 약 12시간, 약 12시간 내지 약 24시간, 또는 약 24시간 내지 약 10일 후에 측정된다.In some embodiments, cell viability after crossing the constriction is between about 5% and about 100%. In some embodiments, cell viability after crossing the constriction is at least about 5%, 10%, 20%, 30%, 40%, 50%, 60%, 70%, 75%, 80%, 85%, 90% , 95%, or 99%. In some embodiments, cell viability is measured from about 1.0x10 −2 seconds to at least about 10 days after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For example, cell viability can be determined from about 1.0x10 -2 seconds to about 1 second, from about 1 second to about 1 minute, from about 1 minute to about 30 minutes, or from about 30 minutes to about 2 hours after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It is measured.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viability is between about 1.0x10 -2 seconds and about 2 hours, between about 1.0x10 -2 seconds and about 1 hour, between about 1.0x10 -2 seconds and about 30 minutes, about 1.0 x10 −2 seconds to about 1 minute, about 1.0×10 −2 seconds to about 30 seconds, about 1.0×10 −2 seconds to about 1 second, or about 1.0×10 −2 seconds to about 0.1 seconds.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viability is from about 1.5 hours to about 2 hours, from about 1 hour to about 2 hours, from about 30 minutes to about 2 hours, from about 15 minutes to about 2 hours, from about 1 minute after the cells pass the constriction. to about 2 hours, about 30 seconds to about 2 hours, or about 1 second to about 2 hours. In some embodiments, cell viability is measured between about 2 hours and about 5 hours, between about 5 hours and about 12 hours, between about 12 hours and about 24 hours, or between about 24 hours and about 10 days after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

VII. 전달 파라미터VII. transfer parameter

다수의 파라미터가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해 화합물을 세포에 전달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협착부 통과 전에, 협착부 통과와 동시에, 또는 협착부 통과 후에 화합물과 접촉된다.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한 후에 화합물이 세포 현탁액에 첨가될 수 있지만, 세포는 전달할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에 현탁되어 협착부를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달될 화합물은 협착부 상에 코팅된다.A number of parameters can affect the delivery of a compound to a cell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or induce tolerance by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compound before, concurrently with, or after passage through the stenosis. Although the compound may be added to the cell suspension after the cells have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the cells may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suspended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compound to be delivered. In some embodiments, the compound to be delivered is coated onto the stricture.

세포 내로의 화합물 전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라미터의 예는 협착부의 치수, 협착부의 입구 각도, 협착부의 표면 성질 (예를 들어, 조도, 화학적 변형, 친수성, 소수성 등), 작업 유속 (예를 들어, 세포의 협착부 이행 시간), 세포 농도, 세포 현탁액 내의 화합물의 농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협착부를 통과한 후에 세포가 회수 또는 인큐베이션되는 시간의 양이 전달되는 화합물이 세포 내로 통행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포 내로의 화합물 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적인 파라미터는 협착부 내에서의 세포의 속도, 협착부 내에서의 전단 속도, 세포 현탁액의 점도, 유속에 수직인 속도 성분, 및 협착부에서의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화합물 전달을 제어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농도는 약 10개 내지 적어도 약 1012개의 세포/ml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농도 또는 농도 범위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달 화합물 농도는 약 10 ng/ml 내지 약 1g/mL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농도 또는 농도 범위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달 화합물 농도는 약 1 pM 내지 적어도 약 2 M 또는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농도 또는 농도 범위의 범위일 수 있다.Examples of parameters that can affect the delivery of a compound into cells include the dimensions of the constriction, the angle of entrance to the constriction,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constriction (eg, roughness, chemical modification, hydrophilicity, hydrophobicity, etc.), working flow rate (eg, , constriction transit time), cell concentration, concentration of the compound in the cell suspens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amount of time the cells are withdrawn or incub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striction, the amount of time the delivered compound is dependent on passage into the cell. can affect Additional parameters that affect delivery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s may include the velocity of the cells within the constriction, the shear rate within the constriction, the viscosity of the cell suspension, the velocity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flow rate, and the time in the constriction. These parameters can be designed to control compound delivery.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concentration ranges from about 10 to at least about 10 12 cells/ml or any concentration or concentration range in between. In some embodiments, the delivery compound concentration may range from about 10 ng/ml to about 1 g/mL or any concentration or concentration range in between. In some embodiments, the delivery compound concentration may range from about 1 pM to at least about 2 M or any concentration or concentration range in between.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온도는 화합물 전달 및 세포 생육성에 영향을 미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약 -5℃ 내지 약 45℃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방법은 실온 (예를 들어, 약 20℃), 생리학적 온도 (예를 들어, 약 37℃), 생리학적 온도보다 높은 온도 (예를 들어, 약 37℃ 초과 내지 45℃ 또는 그 초과), 또는 낮은 온도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4℃), 또는 이러한 예시적인 온도들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Temperatures used in the method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djusted to affect compound delivery and cell viability.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is performed at about -5°C to about 45°C. For example, the method may be room temperature (e.g., about 20°C), physiological temperature (e.g., about 37°C), a temperature above physiological temperature (e.g., greater than about 37°C to 45°C or above), or at a lower temperature (eg, from about -5°C to about 4°C), or at a temperature between these exemplary temperatures.

다양한 방법이 세포를 협착부를 통과해 구동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측의 펌프 (예를 들어, 가스 실린더, 또는 압축기)에 의해 압력을 적용할 수 있고/있거나, 출구 측의 진공 펌프에 의해 진공을 적용할 수 있고/있거나, 튜브를 통해 모세관 작용을 적용할 수 있고/있거나, 시스템에 중력이 공급될 수 있다. 변위 기반 유동 시스템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기 펌프, 연동 펌프, 수동 주사기 또는 피펫, 피스톤 등).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협착부를 통과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일정한 압력 또는 가변성 압력에 의해 협착부를 통과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압력은 주사기를 사용하여 적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압력은 펌프를 사용하여 적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펌프는 연동 펌프 또는 펌프 또는 다이어프램 펌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압력은 진공을 사용하여 적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g-힘에 의해 협착부를 통과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원심력에 의해 협착부를 통과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모세관 압력에 의해 협착부를 통과한다.A variety of methods are available for driving cells through the constriction. For example, pressure may be applied by a pump (eg, gas cylinder, or compressor) on the inlet side, vacuum may be applied by a vacuum pump on the outlet side, and/or capillary tubes may be applied through tubing. Actions can be applied and/or gravity can be supplied to the system. Displacement based flow systems can also be used (eg, syringe pumps, peristaltic pumps, hand syringes or pipettes, pistons, etc.). In some embodiments,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with positive or negative pressure. In some embodiments,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with constant or variable pressure. In some embodiments, pressure is applied using a syringe. In some embodiments, pressure is applied using a pump. In some embodiments, the pump is a peristaltic pump or pump or diaphragm pump. In some embodiments, pressure is applied using a vacuum.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passes through the constriction with a g-force. In some embodiments,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by centrifugal force. In some embodiments,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by capillary pressure.

일부 실시양태에서, 유체 흐름이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게 지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유체 흐름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기 전에 난류이다. 난류는 소정의 지점에서의 속도가 규모 및 방향 면에서 불안정하게 변하는 유체 흐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협착부를 통하는 유체 흐름은 층류이다. 층류는 모든 지점에서의 흐름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고체 경계 근처의 유체에서의 중단되지 않은 흐름을 수반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유체 흐름은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한 후에 난류이다. 세포가 협착부를 통과하는 속도는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균일한 세포 속도로 협착부를 통과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변동되는 세포 속도로 협착부를 통과한다.In some embodiments, fluid flow directs the cells through the constriction. In some embodiments, the fluid flow is turbulent before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Turbulence is a fluid flow in which the velocity at a given point varies unsteadily in magnitude and direction. In some embodiments, fluid flow through the constriction is laminar. Laminar flow involves uninterrupted flow in a fluid near a solid boundary where the direction of flow at all points remains constant. In some embodiments, the fluid flow is turbulent after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The rate at which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can vary. In some embodiments,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at a uniform cell velocity. In some embodiments, the cells pass through the constriction at a fluctuating cell speed.

다른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협착부가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또는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는 것에 의해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는데 조합 처리가 사용되고,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협착부의 하류에서 전기장에 노출시키는 것이 이어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한 후에 적어도 1개의 전극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을 통과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기장은 화합물을 세포 내부의 제2 장소 예컨대 세포핵에 전달하는 것을 보조한다. 예를 들어, 세포-변형 협착부 및 전기장의 조합이 항체를 코딩하는 플라스미드를 세포 (예를 들어, 세포핵) 내로 전달하여, 항체의 신생 생산을 초래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전극이 세포-변형 협착부에 인접하여 전기장을 생성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기장은 약 0.1 kV/m 내지 약 100 MV/m,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숫자 또는 숫자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집적 회로가 전극을 구동시키는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약 1 ns 내지 약 1 s의 펄스 폭 및 약 100 ns 내지 약 10 s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시간 또는 시간 범위의 기간으로 전기장에 노출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ell suspension is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and the constriction modifies immune cells,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thereby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by allowing antigens or tolerogenic factors to enter the cells. used, for example, followed by exposure to an electric field downstream of the constriction in the method describ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passed through an electric field generated by at least one electrode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striction. 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ic field assists in delivering the compound to a second location inside the cell, such as the cell nucleus. For example, the combination of a cell-modifying constriction and an electric field delivers a plasmid encoding the antibody into a cell (eg, cell nucleus), resulting in de novo production of the antibody. In some embodiments, one or more electrodes are adjacent to the cell-modified constriction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In some embodiments, the electric field is from about 0.1 kV/m to about 100 MV/m, or any number or range of numbers therebetween. In some embodiments, an integrated circuit is used to provide electrical signals to drive the electrodes.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exposed to the electric field with a pulse width of about 1 ns to about 1 s and a duration of about 100 ns to about 10 s or any time or time range in between.

VIII. 면역 세포로의 전달을 위한 세포 현탁액VIII. Cell suspension for delivery to immune cells

세포 현탁액은 혼합된 또는 정제된 세포 집단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혼합 세포 집단, 예컨대 전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정제된 세포 집단, 예컨대 정제된 면역 세포 집단이다.A cell suspension can be a mixed or purified cell popul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is a mixed cell population, such as whole blood.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is a purified cell population, such as a purified immune cell population.

세포 현탁액의 조성 (예를 들어, 오스몰농도, 염 농도, 혈청 함량, 세포 농도, pH 등)이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화합물의 전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현탁액은 전혈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세포 현탁액은 생리식염수 용액 또는 혈액 이외의 생리학적 매질 내의 세포 혼합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은 수성 용액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수성 용액은 세포 배양 배지, PBS, 염, 당, 성장 인자, 동물 유래 생성물, 벌크화 물질, 계면활성제, 윤활제,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세포 주기 저해제, 및/또는 액틴 중합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배양 배지는 DMEM, 옵티-MEM(Opti-MEM)®, IMDM, 또는 RPMI이다. 추가적으로, 용액 완충제가 하나 이상의 윤활제 (플루로닉 또는 기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어, 표면 막힘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하고 세포 생육성을 개선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시적인 계면활성제는, 비제한적으로, 폴록사머, 폴리소르베이트, 당 또는 당 알콜 예컨대 만니톨, 소르비톨, 동물 유래 혈청, 및 알부민 단백질을 포함한다.The composition of the cell suspension (eg, osmolarity, salt concentration, serum content, cell concentration, pH, etc.) can affect the delivery of a compound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or induce tolerance. In some embodiments, the suspension comprises whole blood. Alternatively, a cell suspension is a mixture of cells in a physiological medium other than saline solution or blood.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an aqueous solu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queous solution is added to cell culture medium, PBS, salts, sugars, growth factors, animal derived products, bulking materials, surfactants, lubricants, vitamins, amino acids, proteins, cell cycle inhibitors, and/or actin polymerization. Including agents that affect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culture medium is DMEM, Opti-MEM®, IMDM, or RPMI. Additionally, the solution buffer may include one or more lubricants (pluronics or other surfactants), which may be designed, for example, to reduce or eliminate surface clogging and improve cell viability. Exemplary surfact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oxamers, polysorbates, sugars or sugar alcohols such as mannitol, sorbitol, animal derived serum, and albumin proteins.

특정 세포 유형이 있는 일부 구성에서, 세포는 세포 내부로의 화합물 전달을 보조하는 하나 이상의 용액에서 인큐베이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수성 용액은 액틴 중합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액틴 중합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제는 라트룬쿨린 A, 시토칼라신, 및/또는 콜키신이다. 예를 들어, 액틴 세포골격을 탈중합시키기 위해 전달 전에 1시간 동안 탈중합 용액 예컨대 라트룬쿨린 A (0.1 μg/ml)에서 세포를 인큐베이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미세관 네트워크를 탈중합시키기 위해 전달 전에 2시간 동안 10 μM 콜키친 (시그마(Sigma))에서 세포를 인큐베이션할 수 있다.In some configurations with certain cell types, the cells may be incubated in one or more solutions that aid in the delivery of the compound into th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aqueous solution includes an agent that affects actin polymeriz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gent that affects actin polymerization is latrunculin A, cytochalasin, and/or colchicine. For example, cells can be incubated in a depolymerization solution such as latrunculin A (0.1 μg/ml) for 1 hour prior to transfer to depolymerize the actin cytoskeleton. As a further example, cells can be incubated in 10 μM Colchicine (Sigma) for 2 hours prior to transfer to depolymerize the microtubule network.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된 방법에서의 사용 전에 세포 집단이 강화된다. 예를 들어, 세포가 체액, 예를 들어, 말초혈로부터 수득되고, 임의적으로, B 세포가 농축되도록 강화 또는 정제된다. 자기 세포 분리, 형광 활성화 세포 분류 (FACS), 또는 밀도 구배 원심분리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세포가 강화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cell population is enriched prior to use in a disclosed method. For example, cells are obtained from a bodily fluid, such as peripheral blood, and optionally enriched or purified to enrich for B cells. Cells can be enriched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magnetic cell separation,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or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세포 현탁액의 점도 또한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현탁액의 점도의 범위는 약 8.9x10-4 Pa.s 내지 약 4.0x10-3 Pa.s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값 또는 값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점도 범위는 약 8.9x10-4 Pa.s 내지 약 4.0 x10-3 Pa.s, 약 8.9x10-4 Pa.s 내지 약 3.0 x10-3 Pa.s, 약 8.9x10-4 Pa.s 내지 약 2.0 x10-3 Pa.s, 또는 약 8.9x10-3 Pa.s 내지 약 1.0 x10-3 Pa.s 중 임의의 것 사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점도 범위는 약 0.89 cP 내지 약 4.0 cP, 약 0.89 cP 내지 약 3.0 cP, 약 0.89 cP 내지 약 2.0 cP, 또는 약 0.89 cP 내지 약 1.0 cP 중 임의의 것 사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단 변형의 조건 하에 세포 현탁액의 점도가 감소되는 전단 박화 효과가 관찰된다. 점도계, 예컨대 유리 모세관 점도계, 또는 검류계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관련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점도계는 하나의 유동 조건 하에서의 점도를 측정하는 한편, 검류계는 유동 조건에 따라 변하는 점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단 박화 용액 예컨대 혈액에 대해 점도가 측정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 -5℃ 내지 약 45℃에서 점도가 측정된다. 예를 들어, 실온 (예를 들어, 약 20℃), 생리학적 온도 (예를 들어, 약 37℃), 생리학적 온도보다 높은 온도 (예를 들어, 약 37℃ 초과 내지 45℃ 또는 그 초과), 낮은 온도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4℃), 또는 이러한 예시적인 온도들 사이의 온도에서 점도가 측정된다.Viscosity of the cell suspension can also affect the methods disclos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the viscosity of the cell suspension ranges from about 8.9x10 -4 Pa.s to about 4.0x10 -3 Pa.s or any value or range of values therebetween. In some embodiments, the viscosity ranges from about 8.9x10 -4 Pa.s to about 4.0 x10 -3 Pa.s, from about 8.9x10 -4 Pa.s to about 3.0 x10 -3 Pa.s, from about 8.9x10 -4 Pa.s. s to about 2.0 x10 -3 Pa.s, or from about 8.9 x10 -3 Pa.s to about 1.0 x10 -3 Pa.s. In some embodiments, the viscosity range is between any of about 0.89 cP to about 4.0 cP, about 0.89 cP to about 3.0 cP, about 0.89 cP to about 2.0 cP, or about 0.89 cP to about 1.0 cP. In some embodiments, a shear thinning effect is observed where the viscosity of the cell suspension is reduced under conditions of shear deformation. Viscosity can be measured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viscometer, such as a glass capillary viscometer, or a galvanometer. Viscometers measure viscosity under one flow condition, while galvanometers are used to measure viscosity that changes with flow conditions. In some embodiments, viscosity is measured for shear thinning solutions such as blood. In some embodiments, the viscosity is measured between about -5°C and about 45°C. For example, room temperature (e.g., about 20°C), physiological temperature (e.g., about 37°C), temperature above physiological temperature (e.g., greater than about 37°C to 45°C or greater) , a low temperature (eg, about -5° C. to about 4° C.), or a temperature between these exemplary temperatures.

IX.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IX.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for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항원이 본원에 기술된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세포에 전달되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항원의 전달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단일 항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항원 혼합물이다. 항원은 특이적인 면역 반응, 예컨대 세포 또는 항체-매개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물질이다. 항원은 면역 세포가 발현하는 수용체, 예컨대 T 세포 수용체 (TCR)에 결합하고, 이는 특정 항원에 대해 특이적이다. 이어서 항원-수용체 결합이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를 촉발하고, 이는 하류 면역 이펙터 경로, 예컨대 세포 활성화, 시토카인 생산, 세포 이동, 세포독성 인자 분비, 및 항체 생산에 이른다.In some embodiments, the invention provides delivery of an antigen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or induce tolerance, wherein the antigen is delivered to a cell by any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a singl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mixture of antigens. An antigen is a substance that stimulates a specific immune response, such as a cell or antibody-mediated immune response. Antigens bind to receptors expressed by immune cells, such as the T cell receptor (TCR), which are specific for a particular antigen. Antigen-receptor binding then triggers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that lead to downstream immune effector pathways such as cell activation, cytokine production, cell migration, cytotoxic factor secretion, and antibody production.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폴리펩티드 항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질환-연관 항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외래 출처, 예컨대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또는 알레르기원으로부터 유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내부 출처, 예컨대 자기-단백질로부터 유래된다 (즉, 자기-항원).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세포 용해물 내에 있다. 자기-항원은 생물 자신의 세포 상 또는 내에 존재하는 항원이다. 자기-항원은 정상적으로는 면역 반응을 자극하지 않지만,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I형 당뇨병 또는 류머티스성 관절염의 정황에서는 그럴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치료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치료용 폴리펩티드, 또는 치료용 폴리펩티드의 단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응고 인자이다. 예시적인 응고 인자는, 비제한적으로, 인자 VIII 및 인자 IX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항원은 혈우병의 치료에서 사용되는 인자 VIII 단백질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항체이다. 예시적인 치료용 항체는, 비제한적으로, 항-TNFα, 항-VEGF, 항-CD3, 항-CD20, 항-IL-2R, 항-Her2, 항-RSVF, 항-CEA, 항-IL-1베타, 항-CD15, 항-미오신, 항-PSMA, 항-40 kDa 당단백질, 항-CD33, 항-CD52, 항-IgE, 항-CD11a, 항-EGFR, 항-C5, 항-알파-4 인테그린, 항-IL-12/IL-23, 항-IL-6R, 및 항-RANKL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성장 인자이다. 예시적인 치료용 성장 인자는, 비제한적으로,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및 거핵세포 분화 및 성장 인자 (MDGF)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호르몬이다. 예시적인 치료용 호르몬은, 비제한적으로, 인슐린, 인간 성장 호르몬, 및 난포 자극 호르몬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재조합 시토카인이다. 예시적인 치료용 재조합 시토카인은, 비제한적으로, IFNβ, IFNα, 및 GM-CSF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polypeptid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compound comprises a disease-associated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from a foreign source, such as a bacterium, fungus, virus, or aller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derived from an internal source, such as a self-protein (ie, self-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in a cell lysate. Self-antigens are antigens present on or within the cells of an organism's own. Self-antigens do not normally stimulate an immune response, but may in the context of autoimmune diseases such as type I diabetes or rheumatoid arthritis.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a therapeutic agent. In some embodiments, an antigen is a therapeutic polypeptide or fragment of a therapeutic polypeptide.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agent is a clotting factor. Exemplary clotting fact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actor VIII and Factor IX. For example, the antigen may be a factor VIII protein used in the treatment of hemophilia. In some embodiments, a therapeutic agent is an antibody. Exemplary therapeutic antibodi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nti-TNFα, anti-VEGF, anti-CD3, anti-CD20, anti-IL-2R, anti-Her2, anti-RSVF, anti-CEA, anti-IL-1 Beta, anti-CD15, anti-myosin, anti-PSMA, anti-40 kDa glycoprotein, anti-CD33, anti-CD52, anti-IgE, anti-CD11a, anti-EGFR, anti-C5, anti-alpha-4 integrins, anti-IL-12/IL-23, anti-IL-6R, and anti-RANKL.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agent is a growth factor. Exemplary therapeutic growth fact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rythropoietin (EPO) and megakaryocytic differentiation and growth factor (MDGF).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agent is a hormone. Exemplary therapeutic hormo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sulin, human growth hormone, an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agent is a recombinant cytokine. Exemplary therapeutic recombinant cytokin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FNβ, IFNα, and GM-CSF.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동종이식편 이식 항원이다. 동종이식편 이식은 동일한 종의 유전적으로 동일하지 않은 공여자로부터 수용자에게 세포, 조직 또는 장기를 전달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변형된 항원이다. 예를 들어, 항원은 치료제 또는 표적화 펩티드와 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형된 항원은 폴리펩티드와 융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변형된 항원은 지질과 융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비-단백질 항원, 예컨대 지질, 당지질, 또는 다당류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전체 미생물, 예컨대 무손상 박테리아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n allograft transplant antigen. Allograft transplantation is the transfer of cells, tissues or organs from a genetically non-identical donor of the same species to a recipient.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modified antigen. For example, an antigen can be fused with a therapeutic agent or targeting peptide. In some embodiments, a modified antigen is fused to a polypeptide. In some embodiments, the modified antigen is fused with a lipid.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non-protein antigen, such as a lipid, glycolipid, or polysaccharide.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whole microorganism, such as an intact bacterium.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바이러스와 연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바이러스 항원이다. 예시적인 바이러스 항원은 SARS-CoV 항원 및 인플루엔자 항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미지의 병원체로 감염된 조직으로부터의 세포 용해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치료용 비히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용 비히클은 유전자 요법에 사용되는 바이러스, 예컨대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바큘로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또는 레트로바이러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용 비히클은 리포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용 비히클은 나노입자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ssociated with a viru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viral antigen. Exemplary viral antigens include SARS-CoV antigens and influenza antigens. In some embodiments, the compound comprises a cell lysate from tissue infected with an unknown pathogen. 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 therapeutic vehicle.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vehicle is a virus used in gene therapy, such as an adenovirus, adeno-associated virus, baculovirus, herpes virus, or retrovirus.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vehicle is a liposome. In some embodiments, the therapeutic vehicle is a nanoparticle.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미생물, 예를 들어 박테리아와 연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 억제 및/또는 관용 유도는 미생물, 예를 들어, 박테리아에 대한 병원성 면역 반응 감소 또는 관용 유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생물은 개체의 마이크로바이옴의 일부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생물은 개체의 마이크로바이옴에 이로울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ntigen is associated with a microorganism, such as a bacterium. In some embodiments,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and/or inducing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or inducing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against a microorganism, eg, a bacterium. In some embodiments, a microorganism is part of an individual's microbiome. In some embodiments, a microorganism may be beneficial to an individual's microbiome.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원을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항원과 접촉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환경에서의 항원의 프로세싱 및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환경에서의 상기 항원의 프로세싱 및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원은 시험관 내에서, 생체 외에서, 또는 생체 내에서 면역 세포에 전달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an antigen into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immune cells, thereby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so that the antigen is transferred to the cells.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an antigen. In some embodiments,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an antigen in a tolerogenic environment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processing and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n a tolerogenic environment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antigens are delivered to immune cells in vitro, ex vivo, or in vivo.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관용원성 인자가 본원에 기술된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세포에 전달되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관용원성 인자의 전달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의 억제를 강화하거나 항원에 대한 관용의 유도를 강화한다. 예를 들어, 관용원성 인자는 항원-제시 세포에 의한 항원의 관용원성 제시를 촉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원과 동시에 도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 및 항원은 순차적으로 도입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elivery of tolerogenic factor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or induce tolerance,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s are delivered to cells by any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hances the suppression of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or enhances the induction of tolerance to the antigen. For example, tolerogenic factors can promote tolerogenic presentation of antigens by antigen-presenting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introduced simultaneously with the antigen.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and antigen are introduced sequentially.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immune cells comprising an antigen,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pas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ruption of the cells by transforming them, wherein the antigen enters an immune cell, thereby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조정제 (예컨대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면역억제제, 또는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조정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자극제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하고/하거나, 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활성을 저해한다. 공동자극 분자와 그의 리간드 사이의 상호작용은 최적의 T 세포 증식 및 분화를 자극하기 위해 TCR 신호전달을 지속 및 통합시키는데 중요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저하시킨다. 항원-제시 세포 상에서 발현되는 예시적인 공동자극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CD40, CD80, CD86, CD54, CD83, CD79, 또는 ICOS 리간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자극 분자는 CD80 또는 CD86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시키거나 또는 그의 발현을 조정하는 핵산의 발현을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시키거나 또는 그의 발현을 조정하는 핵산을 결실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시키거나 또는 그의 발현을 조정하는 핵산의 결실은 유전자 편집을 통해 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를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를 저해하는 siRNA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억제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를 분해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를 파괴용으로 표지시킨다. 예를 들어,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유비퀴틴화를 강화함으로써, 이를 파괴용으로 표적화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modulat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modulatory agen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 immunosuppressive agent, or an inflammatory or anti-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timulatory agent (eg, a co-stimulatory molecule), enhanc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and/or inflammatory molecule inhibit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d/or enhanc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activity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nteractions between costimulatory molecules and their ligands are important for sustaining and integrating TCR signaling to stimulate optimal T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Exemplary costimulatory molecules expressed on antigen-presenting cel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D40, CD80, CD86, CD54, CD83, CD79, or ICOS ligands. In some embodiments, the costimulatory molecule is CD80 or CD86.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expression of a nucleic acid that expresses or modulates the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deletes a nucleic acid that expresses or modulates the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deletion of a nucleic acid that expresses or modulates the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s achieved through gene editing.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siRNA that inhibits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hibitor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degrades the costimul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labels costimulatory molecules for destruction. For example, tolerogenic factors can enhance the ubiquitinat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thereby targeting them for destruction.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분자는 공동-저해 분자, 전사 조절인자, 또는 면역억제성 분자이다. 공동-저해 분자는 림프구 활성화를 음성적으로 조절한다. 예시적인 공동-저해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PD-L1, PD-L2, HVEM, B7-H3, TRAIL, 면역글로불린-유사 전사체 (ILT) 수용체 (ILT2, ILT3, ILT4), FasL, CTLA4, CD39, CD73, 및 B7-H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동-저해 분자는 PD-L1 또는 PD-L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를 코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인핸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공동-저해 분자의 저해제를 저해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hanc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osuppressive molecule is a co-inhibitory molecule, transcriptional regulator, or immunosuppressive molecule. Co-inhibitory molecules negatively regulate lymphocyte activation. Exemplary co-inhibitory molec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D-L1, PD-L2, HVEM, B7-H3, TRAIL, immunoglobulin-like transcript (ILT) receptors (ILT2, ILT3, ILT4), FasL, CTLA4, CD39, CD73, and B7-H4. In some embodiments, the co-inhibitory molecule is PD-L1 or PD-L2.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expression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enhances the expression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polypeptide to increase expression of co-inhibi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enhancer of a co-inhibi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inhibitor of the co-inhibitory molecule.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증가시킨다. 예시적인 면역억제성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아르기나제-1 (ARG1), 인돌아민 2,3-디옥시게나제 (IDO),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 유도성 산화질소 신타제 (iNOS), 산화질소 (NO), 산화질소 신타제 2 (NOS2), 흉선 기질 림포포이에틴 (TSLP), 혈관 장 펩티드 (VIP), 간세포 성장 인자 (HGF),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 (TGFβ), IFNα, IL-4, IL-10, IL-13, 및 IL-3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억제성 분자는 NO 또는 IDO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를 코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인핸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분자의 음성 조절인자를 저해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Exemplary immunosuppressive molec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rginase-1 (ARG1), indoleamine 2,3-dioxygenase (IDO), prostaglandin E2 (PGE2),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Nitric oxide (NO), nitric oxide synthase 2 (NOS2),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 vascular intestinal peptide (VIP),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IFNα, IL-4, IL-10, IL-13, and IL-35. In some embodiments, the immunosuppressive molecule is NO or IDO.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enhances the expression of immunosuppressive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polypeptide to enhance expression of immunosuppressive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enhancer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a negative regulator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분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를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염증성 전사 인자는 NF-κB, 인터페론 조절 인자 (IRF), 또는 JAK-STAT 신호전달 경로와 연관된 분자이다. NF-κB 경로는 시토카인, 케모카인 및 부착 분자를 포함하는 염증유발성 유전자의 발현을 매개하는 원형 염증유발성 신호전달 경로이다. 인터페론 조절 인자 (IRF)는 염증유발성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전사 인자들의 패밀리를 구성한다. JAK-STAT 신호전달 경로는 세포외 시토카인 신호로부터의 정보를 핵으로 전달하여, 면역 세포 증식 및 분화에서 수반되는 유전자의 DNA 전사 및 발현을 초래한다. JAK-STAT 시스템은 세포 표면 수용체, 야누스 키나제 (JAK), 및 신호 전달인자 및 전사 활성화제 (STAT)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JAK-STAT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JAK1, JAK2, JAK 3, Tyk2, STAT1, STAT2, STAT3, STAT4, STAT5 (STAT5A 및 STAT5B), 및 STAT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시토카인 신호전달의 억제제 (SOCS) 단백질의 발현을 강화한다. SOCS 단백질은 JAK-STAT 경로를 통한 신호전달을 저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의 발현을 저해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을 결실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전사 인자의 억제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nflammatory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molecule is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s a molecule associated with NF-κB,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IRF), or JAK-STAT signaling pathway. The NF-κB pathway is a pro-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 that mediates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including cytokines, chemokines and adhesion molecules. Interferon regulatory factors (IRFs) constitute a family of transcription factors that can regulate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The JAK-STAT signaling pathway transmits information from extracellular cytokine signals to the nucleus, resulting in DNA transcription and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immune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The JAK-STAT system consists of a cell surface receptor, Janus kinase (JAK), and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STAT) proteins. Exemplary JAK-STAT molec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JAK1, JAK2, JAK 3, Tyk2, STAT1, STAT2, STAT3, STAT4, STAT5 (STAT5A and STAT5B), and STAT6.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hances expression of an inhibitor of cytokine signaling (SOCS) protein. SOCS proteins can inhibit signaling through the JAK-STAT pathway.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expression of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delet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hibitor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염증성 분자는 항염증성 전사 인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염증성 전사 인자를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의 발현을 강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염증성 전사 인자의 인핸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hance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anti-inflammatory molecule is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hances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expression of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hances expression of a nucleic acid encoding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inhibits expression of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expression of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enhancer of an anti-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핵산이다. 예시적인 핵산은, 비제한적으로, 재조합 핵산, DNA, 재조합 DNA, cDNA, 게놈 DNA, RNA, siRNA, mRNA, saRNA, miRNA, lncRNA, tRNA, guide RNA, 및 shRN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핵산은 세포 내의 핵산과 상동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핵산은 세포 내의 핵산에 대해 이종성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플라스미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핵산은 치료용 핵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핵산은 치료용 폴리펩티드를 코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siRNA, mRNA, miRNA, lncRNA, tRNA, 또는 shRNA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관용원성 인자는 염증성 유전자의 발현을 녹-다운시키는 siRNA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NFκB에 결합하여 NFκB 활성화 및 하류 신호전달을 방지하는 DNA 서열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nucleic acid. Exemplary nucleic acid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ecombinant nucleic acids, DNA, recombinant DNA, cDNA, genomic DNA, RNA, siRNA, mRNA, saRNA, miRNA, lncRNA, tRNA, guide RNA, and shRNA. In some embodiments, a nucleic acid is homologous to a nucleic acid in a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nucleic acid is heterologous to the nucleic acid in the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plasmid. In some embodiments, the nucleic acid is a therapeutic nucleic acid. In some embodiments, the nucleic acid encodes a therapeutic polypeptide.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factors include nucleic acids encoding siRNA, mRNA, miRNA, lncRNA, tRNA, or shRNA. For example, tolerogenic factors can include siRNAs that knock-dow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gen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DNA sequence that binds to NFκB and prevents NFκB activation and downstream signaling.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폴리펩티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는 치료용 단백질, 항체, 융합 단백질, 항원, 합성 단백질, 리포터 마커, 또는 선별성 마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백질은 유전자-편집 단백질 또는 뉴클레아제 예컨대 아연-핑거 뉴클레아제 (ZFN), 전사 활성화제-유사 이펙터 뉴클레아제 (TALEN), 메가 뉴클레아제, CRE 레콤비나제, 트랜스포사제, CAS9 효소, 또는 인테그라제 효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융합 단백질은, 비제한적으로, 키메라 단백질 약물 예컨대 항체 약물 접합체 또는 재조합 융합 단백질 예컨대 GST 또는 스트렙타비딘 태그가 부착된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전사 인자이다. 예시적인 전사 인자는, 비제한적으로, Oct5, Sox2, c-Myc, Klf-4, T-bet, GATA3, FoxP3, 및 RORγt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IL-4, IL-10, IL-13, IL-35, IFNα, 또는 TGFβ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치료용 폴리펩티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치료용 폴리펩티드의 단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는 펩티드 핵산 (PNA)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polypeptid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polypeptide. In some embodiments, the protein or polypeptide is a therapeutic protein, antibody, fusion protein, antigen, synthetic protein, reporter marker, or selectable marker. In some embodiments, the protein is a gene-editing protein or nuclease such as zinc-finger nuclease (ZFN), transcription activator-like effector nuclease (TALEN), meganuclease, CRE recombinase, trans propellase, CAS9 enzyme, or integrase enzyme. In some embodiments, the fusion protein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himeric protein drug such as an antibody drug conjugate or a recombinant fusion protein such as a GST or streptavidin tagged protein. In some embodiments, the compound is a transcription factor. Exemplary transcription facto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ct5, Sox2, c-Myc, Klf-4, T-bet, GATA3, FoxP3, and RORγt. In some embodiments, the polypeptide is IL-4, IL-10, IL-13, IL-35, IFNα, or TGFβ. In some embodiments, the polypeptide is a therapeutic polypeptide. In some embodiments, the polypeptide is a fragment of a therapeutic polypeptide. In some embodiments, a polypeptide is a peptide nucleic acid (PNA).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단백질-핵산 복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단백질-핵산 복합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단백질-핵산 복합체, 예컨대 클러스터링된 규칙적인 간격의 짧은 회문식 반복물(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Cas9가 게놈 편집 용도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복합체는 비-특이적 DNA 절단 뉴클레아제와 조합된 서열-특이적 DNA-결합 도메인을 함유한다. 이러한 복합체는 특이적 유전자의 서열을 부가하거나, 파괴하거나 또는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표적화된 게놈 편집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장애형 CRISPR가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차단 또는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Cas9 단백질 및 가이드 RNA 또는 공여자 DNA를 함유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Cas9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및 가이드 RNA 또는 공여자 DN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유전자 편집 복합체는 공동자극 분자 (예를 들어, CD80 및/또는 CD86)의 발현을 표적화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protein-nucleic acid complex.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protein-nucleic acid complex. In some embodiments, protein-nucleic acid complexes such as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Cas9 are used for genome editing applications. These complexes contain sequence-specific DNA-binding domains in combination with non-specific DNA cleavage nucleases. These complexes enable targeted genome editing, including adding, destroying or changing the sequence of specific genes. In some embodiments, impaired CRISPR is used to block or induce transcription of a target gene.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ntains a Cas9 protein and guide RNA or donor DNA.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 Cas9 protein and a guide RNA or donor DNA. In some embodiments, the gene editing complex targets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eg, CD80 and/or CD86).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CAR)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CAR은 세포외 인식 도메인 (예를 들어, 항원-결합 도메인), 막횡단 도메인, 및 하나 이상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의 융합체이다. 항원과 맞물리면, CAR의 세포내 신호전달 부분이 면역 세포에서 면역억제 또는 관용원성-관련 반응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CAR은 키메라 T 세포 항원 수용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CAR 항원-결합 도메인은 단일쇄 항체 가변 단편 (scFv)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원에 결합 시 면역억제성 시토카인의 생산을 촉발하는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을 함유하는 변형된 TCR을 코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항원에 결합 시 면역억제성 시토카인의 생산을 촉발하는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을 함유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코딩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In some embodiments, a CAR is a fusion of an extracellular recognition domain (eg, an antigen-binding domain), a transmembrane domain, and one or more intracellular signaling domains. Upon engagement with an antigen,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ortion of the CAR can initiate an immunosuppressive or tolerogenic-related response in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CAR is a chimeric T cell antigen receptor. In some embodiments, the CAR antigen-binding domain is a single chain antibody variable fragment (scFv).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modified TCR containing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that upon binding to antigen triggers the production of immunosuppressive cytokin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that contains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that upon binding to the antigen triggers the production of an immunosuppressive cytokine.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소형 분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소형 분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소형 분자는 공동자극 분자의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공동-저해 분자의 활성을 강화하고/하거나, 염증성 분자의 활성을 저해한다. 예시적인 소형 분자는, 비제한적으로, 약제, 대사산물, 및 방사성핵종 또는 방사성핵종-함유 분자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제는 치료용 약물 및/또는 세포독성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나노입자의 예는 금 나노입자, 양자점, 탄소 나노튜브, 나노쉘, 덴드리머, 및 리포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노입자는 치료용 분자를 함유하거나 또는 이에 (공유결합으로 또는 비공유결합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나노입자는 핵산, 예컨대 mRNA 또는 cDNA를 함유한다.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factors include small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tolerogenic factor is a small molecule. In some embodiments, the small molecule inhibits the activity of a costimulatory molecule, enhances the activity of a co-inhibitory molecule, and/or inhibits the activity of an inflammatory molecule. Exemplary small molec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harmaceuticals, metabolites, and radionuclides or radionuclide-containing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the medicament is a therapeutic drug and/or cytotoxic agent. In some embodiments, the compound comprises nanoparticles. Examples of nanoparticles include gold nanoparticles, quantum dots, carbon nanotubes, nanoshells, dendrimers, and liposomes. In some embodiments, nanoparticles contain or are linked (covalently or non-covalently) to therapeutic molecules. In some embodiments, nanoparticles contain nucleic acids, such as mRNA or cDNA.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관용원성 인자를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고, 여기서 상기 세포 현탁액은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관용원성 인자는 시험관 내에서, 생체 외에서, 또는 생체 내에서 면역 세포에 전달된다.In certain aspects,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delivering tolerogenic factors into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immune cells, thereby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to allow tolerance. The tolerogenic factor enters the cell,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tolerogenic factor. In some embodiments, tolerogenic factors are delivered to immune cells in vitro, ex vivo, or in vivo.

일부 실시양태에서, 전달될 화합물은 정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적어도 약 60 중량% (건조 중량)가 관심 화합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정제된 화합물은 적어도 약 75%, 90%, 또는 99%가 관심 화합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정제된 화합물은 적어도 약 90%, 91%, 92%, 93%, 94%, 95%, 98%, 99%, 또는 100% (w/w)가 관심 화합물이다. 순도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HPLC 분석, NMR, 질량 분광법, 또는 SDS-PAGE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으로 결정된다. 정제된 DNA 또는 RNA는 외인성 핵산, 탄수화물 및 지질이 없는 DNA 또는 RNA로서 정의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mpound to be delivered is purified. In some embodiments, the compound is at least about 60% by weight (dry weight) of the compound of interest. In some embodiments, the purified compound is at least about 75%, 90%, or 99% of the compound of interest. In some embodiments, the purified compound is at least about 90%, 91%, 92%, 93%, 94%, 95%, 98%, 99%, or 100% (w/w) of the compound of interest. Purity is determined by any known metho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NMR, mass spectrometry, or SDS-PAGE. Purified DNA or RNA is defined as DNA or RNA free of exogenous nucleic acids, carbohydrates and lipids.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중간체 화합물이다. 중간체 화합물은 선행 중간체로부터 형성되어 최종 반응 생성물을 추가로 제공하도록 반응하는 분자 실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간체 화합물은 단백질 전구체, 또는 전단백질이고, 이는 성숙한 기능성 형태의 단백질이 생산되도록 효소에 의해 절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간체 화합물은 불활성 효소 전구체, 또는 효소원이며, 이는 활성 효소를 생산하도록 변형 또는 절단을 필요로 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mpound is an intermediate compound. An intermediate compound may be a molecular entity that is formed from a preceding intermediate and reacts to further provide a final reaction product. In some embodiments, an intermediate compound is a protein precursor, or whole protein, which is enzymatically cleaved to produce a mature functional form of the protein. In some embodiments, an intermediate compound is an inactive enzyme precursor, or enzyme source, which requires modification or cleavage to produce an active enzyme.

X. 용도X. Use

일부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이 세포에 진입하도록 협착부에 통과시킴으로써 변형된 면역 세포를 환자에게 도입하는 것에 의해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이러한 변형된 면역 세포를 환자에게 도입하는 단계를 다중 (예컨대 2, 3, 4, 5, 6회, 또는 그 초과 중 임의의 것)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를 환자로부터 단리하고, 개시된 방법에 따라 변형시키고, 다시 환자 내로 도입한다. 예를 들어, 면역 세포 집단을 환자로부터 단리하고, 협착부에 통과시켜 화합물 전달을 달성한 후, 환자 내로 재주입하여 치료적 면역 반응을 증대시킨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를 개체로부터 단리하고, 개시된 방법에 따라 변형시키고, 개체 내로 다시 도입한다. 예를 들어, 면역 세포 집단을 개체로부터 단리하고, 협착부에 통과시켜 화합물 전달을 달성한 후, 환자 내로 재주입하여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한다.In some aspects,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patient by introducing modified immune cells into the patient by passing the compound through a constriction to allow entry into the cells. In some embodiments, treatment comprises introducing such modified immune cells into the patient multiple times (such as any of 2, 3, 4, 5, 6, or more). In some embodiments, cells are isolated from a patient, modifi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methods, and introduced back into the patient. For example, an immune cell population is isolated from a patient, passed through a stricture to achieve compound delivery, and then reintroduced into the patient to augment a therapeutic immune response. In some embodiments, cells are isolated from an individual, modifi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methods, and re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For example, an immune cell population is isolated from a subject, passed through a stricture to achieve compound delivery, and then reintroduced into a patient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or induce tolerance in the subject.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이 세포에 진입하도록 협착부에 통과시킴으로써 변형된 세포를 개체에게 도입하는 것에 의해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자가 세포이다. 예를 들어, 면역 세포를 개체 (예를 들어, 환자)로부터 단리하고, 개시된 방법에 따라 변형시키고, 개체 내로 다시 도입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를 개체로부터 단리하고, 개시된 방법에 따라 변형시키고, 동일한 개체 내로 다시 도입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는 동종이형 세포이다. 예를 들어, 세포를 상이한 개체로부터 단리하고, 개시된 방법에 따라 변형시키고, 제1 개체 (예를 들어, 환자) 내로 도입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중 개체로부터의 세포의 풀을 개시된 방법에 따라 변형시키고, 제 1개체 (예를 들어, 환자) 내로 도입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를 개체로부터 단리하고, 개시된 방법에 따라 변형시키고, 상이한 개체 내로 도입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 집단을 개체 (환자) 또는 상이한 개체로부터 단리하고, 협착부에 통과시켜 디-노보 항체 생산을 유도하는 화합물의 전달을 달성한 후, 환자 내로 주입하여 치료 반응을 증대시킨다.In some embodiments,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n individual by introducing modified cells into the individual by passing the compound through a constriction to allow entry into the cells. In some embodiments, the cells are autologous cells. For example, immune cells are isolated from a subject (eg, a patient), modifi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methods, and reintroduced into the subject. In some embodiments, cells are isolated from an individual, modifi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methods, and reintroduced into the same individual. In some embodiments, the cell is an allogeneic cell. For example, cells are isolated from a different subject, modifi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methods, and introduced into a first subject (eg, patient). In some embodiments, pools of cells from multiple individuals are modifi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methods and introduced into a first subject (eg, patient). In some embodiments, cells are isolated from an individual, modified according to the disclosed methods, and introduced into a different individual. In some embodiments, a population of cells is isolated from an individual (patient) or a different individual, passed through the stricture to achieve delivery of a compound that induces production of di-novo antibodies, and then injected into the patient to enhance the therapeutic response.

일부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변형된 면역 세포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다중 (예컨대 2, 3, 4, 5, 6회, 또는 그 초과 중 임의의 것)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이 세포에 진입하도록 협착부에 통과시킴으로서 변형된 세포를 개체에게 2, 3, 4, 5, 6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 투여함으로써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임의의 2회의 연속적인 세포 투여 사이의 기간은 적어도 약 1일 (예컨대 적어도 약 2일, 3일, 4일, 5일, 6일, 1주일, 2주일, 3주일,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7개월, 8개월, 9개월, 10개월, 11개월, 1년, 또는 그 초과의 기간 (이러한 값들 사이의 임의의 범위를 포함함) 중 임의의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treatment comprises multiple (eg, any of 2, 3, 4, 5, 6, or more) administrations of modified immune cells as described herein to the individual.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a method of treating an individual is provided by administering to the individual two, three, four, five, six or more times cells modified by passing the compound through the constriction to enter the cells. do. In some embodiments, the period between any two consecutive cell administrations is at least about 1 day (such as at least about 2 days, 3 days, 4 days, 5 days, 6 days, 1 week, 2 weeks, 3 weeks, 1 months, 2 months, 3 months, 4 months, 5 months, 6 months, 7 months, 8 months, 9 months, 10 months, 11 months, 1 year, or more (including any range between these values) ) is any of them).

상기 기술된 방법 중 임의의 것이 시험관 내에서, 생체 외에서, 또는 생체 내에서 수행된다. 생체내 용도를 위해, 장치가 혈관 내강에 이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라인 스텐트가 동맥 또는 정맥 내에 이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환자 세포의 생체외 치료 및 환자 내로의 즉각적인 세포 재도입을 위한 병상 시스템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은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방법은 전형적인 병원 실험실에서 최소한도로 훈련된 기술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 조작 치료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이 직접적으로 환자로부터 우회되고, 협착부를 통과하여, 혈액 세포로의 화합물 전달을 초래하며, 치료 후 환자 내로 직접적으로 다시 수혈되는 인-라인 혈액 치료 시스템을 사용하여 방법이 실행된다.Any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are performed in vitro, ex vivo, or in vivo. For in vivo use, the device can be implanted into the lumen of a blood vessel, for example an in-line stent can be implanted into an artery or vein.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is used as part of a bedside system for ex vivo treatment of patient cells and immediate reintroduction of cells into a patient. Such methods can be used as a mean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or induce tolerance in a subject.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s can be performed by minimally trained technicians in a typical hospital laboratory. In some embodiments, a patient manipulation treatment system may be used.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is practiced using an in-line blood therapy system in which blood is bypassed directly from the patient, passed through the stenosis, resulting in delivery of the compound to blood cells, and transfused directly back into the patient after treatment. do.

XI. 시스템 및 키트XI. systems and kits

일부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협착부, 세포 현탁액 및 화합물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세포-변형 협착부를 제공하는 세공이 있는 표면 또는 미세유체 채널, 세포 현탁액, 세포 교란, 전달 파라미터, 화합물, 및/또는 용도 등을 포함하여, 상기 개시된 방법에 대해 기술된 임의의 실시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세포-변형 협착부는 면역 세포로의 전달을 위한 크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화합물의 최대 반응을 위해 전달 파라미터, 예컨대 작업 유속, 세포 및 화합물 농도, 협착부에서의 세포의 속도, 및 세포 현탁액의 조성 (예를 들어, 오스몰농도, 염 농도, 혈청 함량, 세포 농도, pH 등)이 최적화된다.In some aspects, the invention provides a system comprising a constriction, a cell suspension and a compound for use in a method disclosed herein. Such systems may be any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for the methods disclosed above, including microfluidic channels or pore surfaces that provide cell-modified constrictions, cell suspensions, cell perturbations, delivery parameters, compounds, and/or uses, and the like. can include In some embodiments, the cell-modified constriction is sized for delivery to immune cells. In some embodiments, delivery parameters such as working flow rate, cell and compound concentration, rate of cells at the constriction, and composition of the cell suspension (e.g., , osmolarity, salt concentration, serum content, cell concentration, pH, etc.) are optimized.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도록 화합물을 전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키트 또는 제작품이 또한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적절한 포장재 내의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예를 들어 미세유체 채널 또는 세공을 함유하는 표면, 세포 현탁액, 및/또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포장재 물질은 관련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바이알 (예컨대 밀봉 바이알), 용기, 앰풀, 병, 단지, 가요성 포장재 (예를 들어, 밀봉 마일라 또는 플라스틱 백)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작품은 추가로 멸균 및/또는 밀봉될 수 있다.Kits or articles of manufacture for use in delivering compound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or induce tolerance are also provided. In some embodiments, a kit includes a composition described herein (eg, a surface containing microfluidic channels or pores, a cell suspension, and/or a compound) in suitable packaging. Suitable packaging materials are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for example, vials (eg, sealed vials), containers, ampoules, bottles, jars, flexible packaging (eg, sealed mylar or plastic bags), and the like. Such articles of manufacture may further be sterilized and/or sealed.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성분들을 포함하는 키트를 또한 제공하고,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명서(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키트는 다른 완충제, 희석제, 필터, 바늘, 주사기, 및 임의의 본원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명서, 예를 들어,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설명서가 있는 포장 삽입물을 포함하여, 다른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invention may also provide kits comprising components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and may further include instructions(s) for performing the methods to suppress an immune response or induce tolerance. Kits described herein may be packaged with other buffers, diluents, filters, needles, syringes, and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ny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eg,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materials, including inserts.

XII. 예시적인 실시양태XII. Exemplary Embodiments

실시양태 1.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Embodiment 1.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a.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a.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de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the immune cells; and

b.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b. Introducing immune cells into a subject

를 포함하며,Including,

여기서 면역 세포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이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것인wherein the immune cells are tolerogenic immune cells,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방법.Way.

실시양태 2.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Embodiment 2.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a.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단계; 및a.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the immune cells, whereby the tolerogenicity including the antigens is achieved. generating immune cells; and

b.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b. Introducing tolerogenic immune cells into a subject

를 포함하며,Including,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것인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방법.Way.

실시양태 3.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Embodiment 3.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a.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a.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de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the immune cells; and

b.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b. Introducing immune cells into a subject

를 포함하며,Including,

여기서 면역 세포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이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wherein the immune cells are tolerogenic immune cells,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방법.Way.

실시양태 4.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Embodiment 4.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a.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단계; 및a.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the immune cells, whereby immunosuppression including the antigens is performed. generating sexual immune cells; and

b.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b. Introduc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nto a subject

를 포함하며,Including,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s to suppres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방법.Way.

실시양태 5.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 여기서 항원은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를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에 진입한 것인 방법.Embodiment 5.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comprising introducing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into the individual, wherein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wherein the antigen is The method wherein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or precursors thereof were introduced into tolerogenic immune cells by passing them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o cause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he antigen enters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or precursors thereof. .

실시양태 6.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를 포함하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 여기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를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에 진입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wherein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s are 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wherein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s were introduced into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by passing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or their precursors to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he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are introduced into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Or a method comprising entering a precursor thereof.

실시양태 7.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고,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여기서 항원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를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에 진입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7.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wherei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are introduced into the individual,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wherein the antigen is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or their precursors were introduced into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by passing them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d cell disruption by transforming the cells so that antigens entered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or their precursors. A method comprising steps.

실시양태 8.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를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고, 여기서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여기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를 협착부에 통과시킴으로써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도입되었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에 진입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8.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 subject, wherei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ing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s are introduced into the subject,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suppresse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wherein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 are introduced into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by passing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a precursor thereof into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 to cause cell disruption so that the antigen and tolerogenic factor are immunosuppressive A method comprising entering a sexual immune cell or a precursor thereof.

실시양태 9.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9. A method of producing tolerogenic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turbance of the cells by modifying the cells, thereby causing tolerogenic factors contacted with the cells. wherein enters immune cells, thereby generating tolerogenic immune cells.

실시양태 10.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 A method of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comprising passing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cells, thereby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resulting in tolerogenic properties in contact with the cells. wherein the factor enters the immune cell, thereby generat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실시양태 11. 실시양태 9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협착부가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관용원성 인자 및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9 or 10,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olerogenic factors and antigen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immune cells.

실시양태 12. 실시양태 9 또는 10에 있어서, 면역 세포가 제2 협착부를 추가로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제2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 The method of embodiment 9 or 10, wherein the immune cell further passes through a second constriction, wherein the second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 such that an antigen contacted with the cell enters the immune cell. how it would be.

실시양태 13. 실시양태 9-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세포가 항원-제시 세포인 방법.Embodiment 1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9-12, wherein the immune cells are antigen-presenting cells.

실시양태 14. 항원을 포함하는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관용원성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 A method of generating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comprising an antigen, wherein the tolerogenic antigen-presenting cells pas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ells. wherein the antigen enters an antigen-presenting cell.

실시양태 15.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면역억제성 항원-제시 세포는 협착부를 통과하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항원-제시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 A method of generating an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comprising an antigen,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antigen-presenting cell passe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ruption of the cell by modifying the cell, thereby wherein the contacted antigen enters an antigen-presenting cell.

실시양태 16. 관용원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관용원성 인자를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세포 현탁액을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자극제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하고/하거나, 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 A method of delivering a tolerogenic factor that produces a tolerogenic phenotype into immune cells,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immune cells, thereby causing perturbation of the cells, resulting in tolerance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ters the cell, and contacting the cell suspension with a tolerogenic factor,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timulatory agent and/or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The method of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inhibit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nflammatory molecule, and/or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anti-inflammatory molecule.

실시양태 17. 항원을 관용원성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세포 현탁액을 항원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Embodiment 17. A method of delivering an antigen into tolerogenic immune cells,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tolerogenic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thereby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so that the antigen is transferred to the cells and contacting the cell suspension with an antigen.

실시양태 18.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생성시키는 관용원성 인자를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세포 현탁액을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자극제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하고/하거나, 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8. A method of delivering a tolerogenic factor that produces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into immune cells,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immune cells,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ters the cell, and contacting the cell suspension with the tolerogenic factor,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timulatory agent and/or has an immunosuppressive effect.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the molecule, inhibit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the inflammatory molecule, and/or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the anti-inflammatory molecule.

실시양태 19. 항원을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내로 전달하는 방법이며,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이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세포 현탁액을 항원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Embodiment 19. A method of delivering an antigen into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wherein a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is passed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modifies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s, thereby causing disruption of the cells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llowing the antigen to enter the cell, and contacting the cell suspension with the antigen.

실시양태 20.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Embodiment 20.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a.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1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a. passing the first cell suspension comprising the first immune cells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o cause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the immune cells;

b. 제2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2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단계; 및b. A second cell suspension comprising a second immune cell is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deforms the cells, thereby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tolerogenic factor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the immune cells, thereby producing immunosuppressive immunity. generating cells; and

c.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c. introducing a first immune cell and a second immune cell into a subject;

를 포함하며,Including,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s to suppres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방법.Way.

실시양태 21. 실시양태 20에 있어서, 상기 항원의 상기 제1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한 제시가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21. The method of embodiment 20, wherein the presentation of said antigen by said first or second immune cell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실시양태 22. 실시양태 20에 있어서, 제2 면역 세포가 제1 면역 세포 상에 면역억제성 표현형을 부여함으로써 면역억제성 제1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고, 상기 항원의 상기 면역억제성 제1 면역 세포에 의한 제시가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22. The method of embodiment 20, wherein the second immune cell imparts an immunosuppressive phenotype on the first immune cell to generate an immunosuppressive first immune cell, and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first immune cell of the antigen wherein the presentation by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실시양태 23. 개체에서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이며,Embodiment 23.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an antigen in an individual,

a. 제1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1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항원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a. passing the first cell suspension comprising the first immune cells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transforms the cells to cause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antigen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the immune cells;

b. 제2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제2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에 진입하며, 이에 의해 관용원성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는 것인 단계; 및b. A second cell suspension comprising a second immune cell is passed through the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turbance of the cells by deforming the cells so that tolerogenic factors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 the immune cells, whereby the tolerogenic immune cells The step of generating; and

c.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c. introducing a first immune cell and a second immune cell into a subject;

를 포함하며,Including,

여기서 상기 항원의 제시는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것인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is to suppress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방법.Way.

실시양태 24. 실시양태 23에 있어서, 상기 항원의 상기 제1 또는 제2 면역 세포에 의한 제시가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24. The method of embodiment 23, wherein presentation of said antigen by said first or second immune cell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실시양태 25. 실시양태 23에 있어서, 제2 면역 세포가 제1 면역 세포 상에 관용원성 표현형을 부여함으로써 관용원성 제1 면역 세포를 생성시키고, 상기 항원의 상기 관용원성 제1 면역 세포에 의한 제시가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25. The method of embodiment 23, wherein the second immune cell confer an tolerogenic phenotype on the first immune cell to produce an tolerogenic first immune cell, and the presentation of said antigen by said tolerogenic first immune cell. A method of inducing tolerance to the antigen.

실시양태 26. 실시양태 20-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가 개체 내로 동시에 도입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2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20-25, wherein the first immune cell and the second immune cell are introduced into the subject simultaneously.

실시양태 27. 실시양태 20-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면역 세포 및 제2 면역 세포가 개체 내로 순차적으로 도입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2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20-25, wherein the first immune cell and the second immune cell are introduced into the subject sequentially.

실시양태 28. 실시양태 1, 2, 5, 6, 9, 11-14, 16, 17, 및 23-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가 아주반트와 접촉되지 않은 것인 방법.Embodiment 28.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9, 11-14, 16, 17, and 23-27, wherein the tolerogenic immune cell or precursor thereof is not contacted with an adjuvant. Way.

실시양태 29. 실시양태 3, 4, 7, 8, 10-13, 15, 18-22, 26, 및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 또는 그의 전구체가 아주반트와 접촉되지 않은 것인 방법.Embodiment 29.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10-13, 15, 18-22, 26, and 27,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or precursor thereof is not contacted with an adjuvant way of being.

실시양태 30. 실시양태 28 또는 29에 있어서, 아주반트가 TLR3 및 RLR 리간드, TLR4 리간드, TLR5 리간드, TLR7/8 리간드, TLR9 리간드, NOD2 리간드, 명반, 유중수 에멀젼, rhIL-2, 항-CD40, CD40L, IL-12, 및 시클릭 디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0.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28 or 29, wherein the adjuvant is a TLR3 and RLR ligand, a TLR4 ligand, a TLR5 ligand, a TLR7/8 ligand, a TLR9 ligand, a NOD2 ligand, alum, a water-in-oil emulsion, rhIL-2, an anti-CD40 , CD40L, IL-12, and a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ic dinucleotides.

실시양태 31. 실시양태 1, 2, 5, 6, 9, 11-14, 16, 17, 및 23-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가 관용원성 면역 세포의 비-관용원성 전구체에 비교 시 하나 이상의 공동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능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9, 11-14, 16, 17, and 23-28, wherein the tolerogenic immune cell is directed to a non-tolerogenic precursor of the tolerogenic immune cell. and a reduced ability to provide one or more costimulatory signals when compared.

실시양태 32. 실시양태 3, 4, 7, 8, 10-13, 15, 18-22, 26, 27, 및 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의 비-면역억제성 전구체에 비교 시 하나 이상의 공동자극 신호를 제공하는 능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2.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10-13, 15, 18-22, 26, 27, and 29,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is non- and a reduced ability to provide one or more costimulatory signals as compared to an immunosuppressive precursor.

실시양태 33. 실시양태 31 또는 3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공동자극 신호가 CD40, CD80, CD86, CD54, CD83, CD79, 및 ICOS 리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분자에 의해 매개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3. The method of embodiment 31 or 32, wherein the one or more costimulatory signals are mediated by a molecu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D40, CD80, CD86, CD54, CD83, CD79, and ICOS ligands.

실시양태 34. 실시양태 1, 2, 5, 6, 9, 11-14, 16, 17, 23-28, 및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면역 세포가 관용원성 면역 세포의 비-관용원성 전구체에 비교 시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신호를 제공하는 능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4. The tolerogenic immune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9, 11-14, 16, 17, 23-28, and 31, wherein the tolerogenic immune cell has a non-tolerogenic effect A method comprising a reduced ability to provide one or more inflammatory signals as compared to a precursor.

실시양태 35. 실시양태 3, 4, 7, 8, 10-13, 15, 18-22, 26, 27, 29, 및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가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의 비-면역억제성 전구체에 비교 시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신호를 제공하는 능력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5.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10-13, 15, 18-22, 26, 27, 29, and 32,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is and a reduced ability to provide one or more inflammatory signals as compared to a non-immunosuppressive precursor.

실시양태 36. 실시양태 34 또는 35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신호가 인터류킨-1 (IL-1), IL-12, IL-18, 종양 괴사 인자 (TNF), 인터페론 감마 (IFN-감마),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 NF-κB, 인터페론 조절 인자 (IRF), 및 JAK-STAT 신호전달 경로와 연관된 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분자에 의해 매개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6.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34 or 35, wherein the one or more inflammatory signals are interleukin-1 (IL-1), IL-12, IL-18,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feron gamma (IFN-gamma), granulocytes -mediated by a molecul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NF-κB,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IRF), and molecules associated with the JAK-STAT signaling pathway.

실시양태 37. 실시양태 2, 4, 6, 8-11, 16, 18, 20, 및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는 면역자극제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하고/하거나, 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고/하거나, 항염증성 분자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강화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2, 4, 6, 8-11, 16, 18, 20, and 23,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 immunostimulant and/or is immunosuppressive.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inflammatory molecules, inhibit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inflammatory molecules, and/or enhancing the expression and/or activity of anti-inflammatory molecules.

실시양태 38. 실시양태 1, 2, 5, 6, 11-14, 17, 23-28, 및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관용원성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11-14, 17, 23-28, and 31, wherein the antigen is presented by tolerogenic immune cells.

실시양태 39. 실시양태 3, 4, 7, 8, 11-13, 15, 19-22, 26, 27, 29, 및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면역억제성 면역 세포에 의해 제시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39.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11-13, 15, 19-22, 26, 27, 29, and 32, wherein the antigen is presented by an immunosuppressive immune cell way of being.

실시양태 40. 실시양태 2, 6, 9, 11-13, 16, 23-28, 및 3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원에 대한 관용이 유도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2, 6, 9, 11-13, 16, 23-28, and 31, wherein tolerance to at least one other antigen is induced.

실시양태 41. 실시양태 4, 8, 10-13, 18, 20-22, 26, 27, 29, 및 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억제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4, 8, 10-13, 18, 20-22, 26, 27, 29, and 32, wherein an immune response to at least one other antigen is suppressed.

실시양태 42. 실시양태 1-8, 11, 12, 14, 15, 17, 19, 및 20-2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항원이 세포 내로 도입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8, 11, 12, 14, 15, 17, 19, and 20-25, wherein at least one additional antigen is introduced into the cell.

실시양태 43. 실시양태 2, 4, 6, 8, 9-11, 16, 18, 20, 및 2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관용원성 인자가 세포 내로 도입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2, 4, 6, 8, 9-11, 16, 18, 20, and 23, wherein at least one additional tolerogenic factor is introduced into the cell.

실시양태 44.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며,Embodiment 44.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in an individual,

a.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를 통과시키고,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세포와 접촉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화합물이 면역 세포에 진입하는 것인 단계; 및a. passing the cell suspension compris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deforms the cells, causing disturbance of the cells so that a compound encoding a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ntacted with the cells enters the immune cells; and

b.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b. Introducing immune cells into a subject

를 포함하며,Including,

여기서 상기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발현되고, 여기서 상기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은 유리 염증성 시토카인에 결합하는 것인wherein said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is expressed, wherein said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binds a free inflammatory cytokine.

방법.Way.

실시양태 45. 실시양태 44에 있어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이 비-기능성 시토카인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5. The method of embodiment 44,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 non-functional cytokine receptor.

실시양태 46. 실시양태 45에 있어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수용체가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이 결여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6. The method of embodiment 45,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receptor lacks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실시양태 47. 실시양태 44에 있어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이 표적 시토카인을 절단하는 단백질분해 부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7. The method of embodiment 44,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 proteolytic site that cleaves a target cytokine.

실시양태 48. 실시양태 44에 있어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이 항-시토카인 항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8. The method of embodiment 44,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n anti-cytokine antibody.

실시양태 49. 실시양태 44에 있어서,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이 항-시토카인 B 세포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49. The method of embodiment 44, wherein the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comprises an anti-cytokine B cell receptor.

실시양태 50. 실시양태 1-7 및 20-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세포가 개체로부터의 것인 방법.Embodiment 5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7 and 20-44, wherein the immune cells are from an individual.

실시양태 51. 실시양태 1-7 및 20-4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세포가 상이한 개체로부터의 것인 방법.Embodiment 5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7 and 20-44, wherein the immune cells are from different individuals.

실시양태 52. 실시양태 1-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협착부가 미세유체 채널 내에 함유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5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51, wherein the constriction is contained within the microfluidic channel.

실시양태 53. 실시양태 1-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협착부가 세공이거나 또는 세공 내에 함유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5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51, wherein the constriction is or is contained within a pore.

실시양태 54. 실시양태 53에 있어서, 세공이 표면 내에 함유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54. The method of embodiment 53, wherein the pores are contained within the surface.

실시양태 55. 실시양태 54에 있어서, 표면이 필터인 방법.Embodiment 55. The method of embodiment 54, wherein the surface is a filter.

실시양태 56. 실시양태 54에 있어서, 표면이 막인 방법.Embodiment 56. The method of embodiment 54, wherein the surface is a membrane.

실시양태 57. 실시양태 1-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협착부 크기가 면역 세포의 직경의 함수인 방법.Embodiment 5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56, wherein the constriction size is a function of the diameter of an immune cell.

실시양태 58. 실시양태 1-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협착부 크기가 세포 직경의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80%, 약 90%, 또는 약 99%인 방법.Embodiment 5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57, wherein the constriction size is about 20%, about 30%,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about 80%, about 90%, or about 99%.

실시양태 59. 실시양태 1-5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채널이 약 10 μm의 협착부 길이 및 약 4 μm의 협착부 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5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58, wherein the channel comprises a constriction length of about 10 μm and a constriction width of about 4 μm.

실시양태 60. 실시양태 1-5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공 크기가 약 0.4 μm, 약 3 μm, 약 4 μm, 약 5μm, 약 8 μm, 약 10 μm, 약 12 μm, 또는 약 14 μm인 방법.Embodiment 6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59, wherein the pore size is about 0.4 μm, about 3 μm, about 4 μm, about 5 μm, about 8 μm, about 10 μm, about 12 μm, or about 14 μm Way.

실시양태 61. 실시양태 1-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약 -5℃ 내지 약 45℃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60, wherein the method is performed at about -5°C to about 45°C.

실시양태 62. 실시양태 1-4, 9, 10, 및 16-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혼합 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9, 10, and 16-61,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a mixed cell population.

실시양태 63. 실시양태 62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전혈인 방법.Embodiment 63. The method of embodiment 62,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whole blood.

실시양태 64. 실시양태 62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말초혈 단핵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4. The method of embodiment 62,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실시양태 65. 실시양태 1-4, 9, 10, 및 16-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정제된 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9, 10, and 16-61,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a purified cell population.

실시양태 66. 실시양태 1-4, 9, 10, 및 16-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포유동물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9, 10, and 16-65,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mammalian cells.

실시양태 67. 실시양태 1-4, 9, 10, 및 16-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원숭이, 마우스, 개, 고양이, 말, 래트, 양, 염소, 돼지, 또는 토끼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9, 10, and 16-66,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monkey, mouse, dog, cat, horse, rat, sheep, goat, pig, or rabbit cells. How to do.

실시양태 68. 실시양태 1-4, 9, 10, 및 16-6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인간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9, 10, and 16-66,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human cells.

실시양태 69. 실시양태 1-4, 9, 10, 및 16-6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비-포유동물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6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9, 10, and 16-65,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non-mammalian cells.

실시양태 70. 실시양태 1-4, 9, 10, 16-65, 및 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박테리아, 효모, 닭, 개구리, 곤충, 어류, 또는 선충류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7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9, 10, 16-65, and 69,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bacterial, yeast, chicken, frog, insect, fish, or nematode cells. .

실시양태 71. 실시양태 1-13 및 16-6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세포가 포유동물 세포인 방법.Embodiment 7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3 and 16-68, wherein the immune cells are mammalian cells.

실시양태 72. 실시양태 1-13, 16-68, 및 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세포가 원숭이, 마우스, 개, 고양이, 말, 래트, 양, 염소, 돼지, 또는 토끼 세포인 방법.Embodiment 7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3, 16-68, and 71, wherein the immune cells are monkey, mouse, dog, cat, horse, rat, sheep, goat, pig, or rabbit cells.

실시양태 73. 실시양태 1-13, 16-68, 및 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세포가 인간 세포인 방법.Embodiment 7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3, 16-68, and 71, wherein the immune cells are human cells.

실시양태 74. 실시양태 1-13 및 16-7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세포가 T 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NK 세포, 선천성 림프계 세포, 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 골수 유래 억제제 세포, 또는 비만 세포인 방법.Embodiment 7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13 and 16-73, wherein the immune cell is a T cell, B cell, dendritic cell, monocyte, macrophage, NK cell, innate lymphoid cell, neutrophil, basophil, eosinophil, Bone marrow derived suppressor cells, or mast cells.

실시양태 75. 실시양태 14, 15, 및 50-7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제시 세포가 포유동물 세포인 방법.Embodiment 7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15, and 50-74,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 is a mammalian cell.

실시양태 76. 실시양태 14, 15, 및 50-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제시 세포가 원숭이, 마우스, 개, 고양이, 말, 래트, 양, 염소, 돼지, 또는 토끼 세포인 방법.Embodiment 7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15, and 50-75,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s are monkey, mouse, dog, cat, horse, rat, sheep, goat, pig, or rabbit cells.

실시양태 77. 실시양태 14, 15, 및 50-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제시 세포가 인간 세포인 방법.Embodiment 7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15, and 50-75,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 is a human cell.

실시양태 78. 실시양태 14, 15, 및 50-7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제시 세포가 T 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NK 세포, 선천성 림프계 세포, 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 골수 유래 억제제 세포, 또는 비만 세포인 방법.Embodiment 7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4, 15, and 50-77,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 is a T cell, B cell, dendritic cell, monocyte, macrophage, NK cell, innate lymphoid cell, neutrophil, basophil , eosinophils, bone marrow derived suppressor cells, or mast cells.

실시양태 79. 실시양태 1-15, 20-43, 및 50-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외래 항원인 방법.Embodiment 7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 20-43, and 50-78, wherein the antigen is a foreign antigen.

실시양태 80. 실시양태 1-15, 20-43, 및 50-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자기-항원인 방법.Embodiment 8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 20-43, and 50-78, wherein the antigen is a self-antigen.

실시양태 81. 실시양태 1-15, 20-43, 및 50-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동종이식편 이식 항원인 방법.Embodiment 8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 20-43, and 50-78, wherein the antigen is an allograft transplant antigen.

실시양태 82. 실시양태 1-15, 20-43, 및 50-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인 방법.Embodiment 8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 20-43, and 50-78, wherein the antigen is a protein or polypeptide.

실시양태 83. 실시양태 1-15, 20-43, 및 50-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용해물인 방법.Embodiment 8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 20-43, and 50-78, wherein the antigen is a lysate.

실시양태 84. 실시양태 1-15, 20-43, 및 50-8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변형된 항원인 방법.Embodiment 8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 20-43, and 50-83, wherein the antigen is a modified antigen.

실시양태 85. 실시양태 84에 있어서, 변형된 항원이 치료제와 융합된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85. The method of embodiment 84, wherein the modified antigen comprises an antigen fused with a therapeutic agent.

실시양태 86. 실시양태 84에 있어서, 변형된 항원이 표적화 펩티드와 융합된 항원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86. The method of embodiment 84, wherein the modified antigen comprises an antigen fused with a targeting peptide.

실시양태 87. 실시양태 1-4, 9, 10, 및 16-8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포 현탁액이 협착부 통과 전에, 협착부 통과와 동시에, 또는 협착부 통과 후에 항원과 접촉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8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 9, 10, and 16-86, wherein said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he antigen before, simultaneously with, or after passage through the stenosis.

실시양태 88. 실시양태 1-43 및 50-8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자극 분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8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87,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activity of a costimulatory molecule.

실시양태 89. 실시양태 1-43 및 50-8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8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8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실시양태 90. 실시양태 1-43 및 50-8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조정하는 핵산을 결실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9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89,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deletes a nucleic acid that modulates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실시양태 91. 실시양태 1-43 및 50-8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자극 분자를 저해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9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8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a costimulatory molecule.

실시양태 92. 실시양태 1-43 및 50-9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9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91,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costimulatory molecules.

실시양태 93. 실시양태 1-43 및 50-9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자극 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9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91,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express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실시양태 94. 실시양태 1-43 및 50-8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자극 분자의 억제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9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8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hibitor of a costimulatory molecule.

실시양태 95. 실시양태 88-9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동자극 분자가 CD80 또는 CD86인 방법.Embodiment 9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88-94, wherein the costimulatory molecule is CD80 or CD86.

실시양태 96. 실시양태 1-43 및 50-9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인자의 활성을 강화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9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95,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potentiates the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factor.

실시양태 97. 실시양태 96에 있어서, 면역억제성 인자가 공동-저해 분자, 전사 조절인자, 또는 면역억제성 분자인 방법.Embodiment 97. The method of embodiment 96,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factor is a co-inhibitory molecule, a transcriptional regulator, or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실시양태 98. 실시양태 1-43, 50-87, 96, 및 9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저해 분자의 활성을 강화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9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 and 97,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potentiates the activity of a co-inhibitory molecule.

실시양태 99. 실시양태 1-43, 50-87, 및 96-9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9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96-9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expression of a co-inhibitory molecule.

실시양태 100. 실시양태 1-43, 50-87, 및 96-9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저해 분자를 코딩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96-99,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co-inhibitory molecule.

실시양태 101. 실시양태 1-43, 50-87, 및 96-10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저해 분자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96-100,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co-inhibitory molecule.

실시양태 102. 실시양태 1-43, 50-87, 및 96-9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96-9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enhances expression of a co-inhibitory molecule.

실시양태 103. 실시양태 1-43, 50-87, 96-98, 및 10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저해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98, and 102,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polypeptide that increases expression of a co-inhibitory molecule.

실시양태 104. 실시양태 1-43, 50-87, 96-98, 및 10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공동-저해 분자의 인핸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98, and 102,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enhancer of a co-inhibitory molecule.

실시양태 105. 실시양태 97-10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동-저해 분자가 PD-L1, PD-L2, 또는 CTLA-4인 방법.Embodiment 10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97-104, wherein the co-inhibitory molecule is PD-L1, PD-L2, or CTLA-4.

실시양태 106. 실시양태 1-43, 50-87, 96, 및 9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분자의 활성을 강화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 and 97,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hances the activity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실시양태 107. 실시양태 1-43, 50-87, 96, 97, 및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 97, and 10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expression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실시양태 108. 실시양태 1-43, 50-87, 96, 97, 및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분자를 코딩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 97, and 10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실시양태 109. 실시양태 1-43, 50-87, 96, 97, 및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분자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0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 97, and 10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the immunosuppressive molecule.

실시양태 110. 실시양태 1-43, 50-87, 96, 97, 및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 97, and 10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enhances the expression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

실시양태 111. 실시양태 1-43, 50-87, 96, 97, 및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분자의 발현을 강화하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 97, and 10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polypeptide that enhances the expression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실시양태 112. 실시양태 1-43, 50-87, 96, 97, 및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억제성 분자의 인핸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96, 97, and 10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enhancer of an immunosuppressive molecule.

실시양태 113. 실시양태 97 및 10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억제성 분자가 ARG1, NO, NOS2, IDO, IL-4, IL-10, IL-13, IL-35, IFNα, 또는 TGFβ인 방법.Embodiment 11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97 and 106, wherein the immunosuppressive molecule is ARG1, NO, NOS2, IDO, IL-4, IL-10, IL-13, IL-35, IFNα, or TGFβ .

실시양태 114. 실시양태 1-43 및 50-8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염증성 분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87,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the activity of an inflammatory molecule.

실시양태 115. 실시양태 114에 있어서, 염증성 분자가 염증성 전사 인자인 방법.Embodiment 115. The method of embodiment 114, wherein the inflammatory molecule is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실시양태 116. 실시양태 1-43, 50-87, 114, 및 1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염증성 전사 인자를 저해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114, and 115,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hibits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실시양태 117. 실시양태 1-43, 50-87, 및 114-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114-11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실시양태 118. 실시양태 1-43, 50-87, 및 114-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염증성 전사 인자를 코딩하는 핵산을 결실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114-11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delet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실시양태 119. 실시양태 1-43, 50-87, 및 114-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전사 조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1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114-11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transcriptional regula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실시양태 120. 실시양태 1-43, 50-87, 및 114-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염증성 전사 인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단백질 저해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114-11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the activity of a protein inhibitor that inhibits the expression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실시양태 121. 실시양태 1-43, 50-87, 및 114-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염증성 전사 인자의 억제제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114-11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n inhibitor of an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실시양태 122. 실시양태 115-1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염증성 전사 인자가 NF-κB, 인터페론 조절 인자, 또는 JAK-STAT 신호전달 경로와 연관된 분자인 방법.Embodiment 12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121, wherein the inflammatory transcription factor is NF-κB, an interferon regulator, or a molecule associated with the JAK-STAT signaling pathway.

실시양태 123. 실시양태 1-43, 50-87, 및 114-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 및/또는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114-11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reduces production and/or secretion of one or more inflammatory cytokines.

실시양태 124. 실시양태 123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시토카인이 인터류킨-1 (IL-1), IL-12, 및 IL-18, 종양 괴사 인자 (TNF), 인터페론 감마 (IFN-감마), 및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4.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23, wherein the one or more inflammatory cytokines are interleukin-1 (IL-1), IL-12, and IL-18,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feron gamma (IFN-gamma), and granulocytes - a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실시양태 125. 실시양태 1-43, 50-87, 및 114-1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 및/또는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87, and 114-116,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ncreases production and/or secretion of one or more anti-inflammatory cytokines.

실시양태 126. 실시양태 125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시토카인이 IL-4, IL-10, IL-13, IL-35, IFN-α 및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TGF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6. is according to embodiment 125, wherein the one or more anti-inflammatory cytokin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L-4, IL-10, IL-13, IL-35, IFN-α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How to be.

실시양태 127. 실시양태 1-43 및 50-8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에 결합 시 면역억제성 시토카인의 생산을 촉발하는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을 함유하는 변형된 TCR을 코딩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7. is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87,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modified TCR containing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that triggers the production of immunosuppressive cytokines upon binding to the antigen. way of being.

실시양태 128. 실시양태 1-43 및 50-8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항원에 결합 시 면역억제성 시토카인의 생산을 촉발하는 세포질 신호전달 도메인을 함유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코딩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87,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encodes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ontaining a cytoplasmic signaling domain that triggers production of an immunosuppressive cytokine upon binding to the antigen. way of being.

실시양태 129. 실시양태 1-43 및 50-1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핵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2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2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실시양태 130. 실시양태 1-43 및 50-1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siRNA, mRNA, miRNA, lncRNA, tRNA, 또는 shRNA를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3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29,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siRNA, mRNA, miRNA, lncRNA, tRNA, or shRNA.

실시양태 131. 실시양태 1-43 및 50-1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플라스미드인 방법.Embodiment 13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30,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s a plasmid.

실시양태 132. 실시양태 1-43 및 50-1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단백질-핵산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3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2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protein-nucleic acid complex.

실시양태 133. 실시양태 1-43, 50-128, 및 13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Cas9 폴리펩티드 및 가이드 RNA 또는 공여자 DNA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3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128, and 132,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Cas9 polypeptide and a guide RNA or donor DNA.

실시양태 134. 실시양태 1-43 및 50-1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Cas9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핵산 및 가이드 RNA 또는 공여자 DNA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3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29,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nucleic acid encoding a Cas9 polypeptide and a guide RNA or donor DNA.

실시양태 135. 실시양태 1-43 및 50-1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3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2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comprises a polypeptide.

실시양태 136. 실시양태 1-43, 50-128, 및 1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펩티드가 뉴클레아제, TALEN 단백질, 아연 핑거 뉴클레아제, 메가 뉴클레아제, 또는 CRE 레콤비나제인 방법.Embodiment 13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128, and 135, wherein the polypeptide is a nuclease, TALEN protein, zinc finger nuclease, meganuclease, or CRE recombinase.

실시양태 137. 실시양태 1-43, 50-128, 및 1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펩티드가 트랜스포사제 또는 인테그라제 효소인 방법.Embodiment 13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128, and 135, wherein the polypeptide is a transposase or integrase enzyme.

실시양태 138. 실시양태 1-43, 50-128, 및 1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펩티드가 항체인 방법.Embodiment 13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128, and 135, wherein the polypeptide is an antibody.

실시양태 139. 실시양태 1-43, 50-128, 및 13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폴리펩티드가 전사 인자인 방법.Embodiment 13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50-128, and 135, wherein the polypeptide is a transcription factor.

실시양태 140. 실시양태 1-43 및 50-1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소형 분자인 방법.Embodiment 14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2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s a small molecule.

실시양태 141. 실시양태 1-43 및 50-1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원성 인자가 나노입자인 방법.Embodiment 14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28, wherein the tolerogenic factor is a nanoparticle.

실시양태 142. 실시양태 1-43 및 50-14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세포 현탁액이 협착부 통과 전에, 협착부 통과와 동시에, 또는 협착부 통과 후에 관용원성 인자와 접촉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41, wherein said cell suspension is contacted with tolerogenic factors before, concurrently with, or after passage through the stenosis.

실시양태 143. 실시양태 3, 4, 7, 8, 및 10-1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이 적어도 약 10%, 약 15%, 약 20%, 약 25%,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75%, 약 80%, 약 90%, 또는 약 100%만큼 억제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42, wherein the immune response is at least about 10%, about 15%, about 20%, about 25%, about 30%, about 40% %, about 50%, about 60%, about 70%, about 75%, about 80%, about 90%, or about 100%.

실시양태 144. 실시양태 3, 4, 7, 8, 및 10-1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 및/또는 분비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43,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production and/or secretion of one or more inflammatory cytokines.

실시양태 145. 실시양태 144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시토카인이 인터류킨-1 (IL-1), IL-12, 및 IL-18, 종양 괴사 인자 (TNF), 인터페론 감마 (IFN-감마), 및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5.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44, wherein the one or more inflammatory cytokines are interleukin-1 (IL-1), IL-12, and IL-18,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feron gamma (IFN-gamma), and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실시양태 146. 실시양태 3, 4, 7, 8, 및 10-1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 및/또는 분비 증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43,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increasing production and/or secretion of one or more anti-inflammatory cytokines.

실시양태 147. 실시양태 146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시토카인이 IL-4, IL-10, IL-13, IL-35, IFN-α 및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TGF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7. is according to embodiment 146, wherein the one or more anti-inflammatory cytokin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L-4, IL-10, IL-13, IL-35, IFN-α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How to be.

실시양태 148. 실시양태 3, 4, 7, 8, 및 10-14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T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43,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 T cell response.

실시양태 149. 실시양태 148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활성화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49. The method of embodiment 148, wherein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activation.

실시양태 150. 실시양태 148 또는 149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생존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0. The method of embodiment 148 or 149, wherein reducing the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survival.

실시양태 151. 실시양태 148-1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증식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8-150, wherein reducing the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proliferation.

실시양태 152. 실시양태 148-1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기능성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8-151, wherein reducing the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functionality.

실시양태 153. 실시양태 3, 4, 7, 8, 및 10-15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Treg 반응 강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52,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enhancing a Treg response.

실시양태 154. 실시양태 3, 4, 7, 8, 및 10-15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B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53,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 B cell response.

실시양태 155. 실시양태 154에 있어서, B 세포 반응 감소가 항체 생산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5. The method of embodiment 154, wherein reducing the B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tibody production.

실시양태 156. 실시양태 3, 4, 7, 8, 및 10-15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시토카인 생산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55,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cytokine production.

실시양태 157. 실시양태 3, 4, 7, 8, 및 10-15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자가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56,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 autoimmune response.

실시양태 158. 실시양태 3, 4, 7, 8, 및 10-15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알레르기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58.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57,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 allergic response.

실시양태 159. 실시양태 1-15, 20-43, 및 50-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이식된 조직과 연관된 항원인 방법.Embodiment 15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 20-43, and 50-78, wherein the antigen is an antigen associated with a transplanted tissue.

실시양태 160. 실시양태 3, 4, 7, 8, 및 10-15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이식된 조직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59,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he immune response to the transplanted tissue.

실시양태 161. 실시양태 1-15, 20-43, 및 50-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항원이 바이러스와 연관된 것인 방법.Embodiment 16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5, 20-43, and 50-78, wherein the antigen is associated with a virus.

실시양태 162. 실시양태 3, 4, 7, 8, 및 10-16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성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61,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to the virus.

실시양태 163. 실시양태 3, 4, 7, 8, 및 10-16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치료제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62,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he immun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agent.

실시양태 164. 실시양태 3, 4, 7, 8, 및 10-16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면역 반응 억제가 치료용 비히클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3, 4, 7, 8, and 10-163, wherein suppressing the immune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he immun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vehicle.

실시양태 165. 실시양태 1, 2, 5, 6, 23-43, 및 50-1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 및/또는 분비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and 50-142, wherein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production and/or secretion of one or more inflammatory cytokines.

실시양태 166. 실시양태 165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염증성 시토카인이 인터류킨-1 (IL-1), IL-12, 및 IL-18, 종양 괴사 인자 (TNF), 인터페론 감마 (IFN-감마), 및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GM-CS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6. The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 165, wherein the one or more inflammatory cytokines are interleukin-1 (IL-1), IL-12, and IL-18, tumor necrosis factor (TNF), interferon gamma (IFN-gamma), and granulocytes - a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M-CSF).

실시양태 167. 실시양태 1, 2, 5, 6, 23-43, 및 50-1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시토카인의 생산 및/또는 분비 증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and 50-142, wherein tolerance comprises increased production and/or secretion of one or more anti-inflammatory cytokines.

실시양태 168. 실시양태 167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시토카인이 IL-4, IL-10, IL-13, IL-35, IFN-α 및 형질전환 성장 인자-베타 (TGF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8. is according to embodiment 167, wherein the one or more anti-inflammatory cytokine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L-4, IL-10, IL-13, IL-35, IFN-α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β) How to be.

실시양태 169. 실시양태 1, 2, 5, 6, 23-43, 및 50-1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T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6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and 50-142,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 T cell response.

실시양태 170. 실시양태 169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활성화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0. The method of embodiment 169, wherein reducing a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activation.

실시양태 171. 실시양태 169 또는 170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생존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1. The method of embodiment 169 or 170, wherein reducing the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survival.

실시양태 172. 실시양태 169-17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증식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69-171, wherein reducing the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proliferation.

실시양태 173. 실시양태 169-17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기능성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69-172, wherein reducing the T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T cell functionality.

실시양태 174. 실시양태 169-17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T 세포 반응 감소가 T 세포 표현형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69-173, wherein the reduction in T cell response comprises a change in T cell phenotype.

실시양태 175.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7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T 세포의 비-공동자극 활성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74,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non-costimulatory activation of T cells.

실시양태 176.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7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Treg 반응 강화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75,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enhancing a Treg response.

실시양태 177.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7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B 세포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7.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76,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 B cell response.

실시양태 178. 실시양태 177에 있어서, B 세포 반응 감소가 항체 생산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8. The method of embodiment 177, wherein reducing the B cell response comprises reducing antibody production.

실시양태 179.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7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시토카인 생산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79.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78,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cytokine production.

실시양태 180.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7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자가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80.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79,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n autoimmune response.

실시양태 181.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8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알레르기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81.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80,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n allergic response.

실시양태 182.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8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이식된 조직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82.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81,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n immune response to the transplanted tissue.

실시양태 183.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8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성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83.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82,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reducing a pathogenic immune response to the virus.

실시양태 184.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8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치료제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84.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83,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a reduced immun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agent.

실시양태 185. 실시양태 1, 2, 5, 6, 23-43, 50-142, 및 169-18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용이 치료용 비히클에 대한 면역 반응 감소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85.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 2, 5, 6, 23-43, 50-142, and 169-184, wherein the tolerance comprises a reduced immune response to the therapeutic vehicle.

실시양태 186. 실시양태 1-18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방법이 적어도 1, 2, 3, 4, 5, 또는 6회 반복되는 것인 방법.Embodiment 186.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185, wherein the method is repeated at least 1, 2, 3, 4, 5, or 6 times.

실시양태 187. 실시양태 186에 있어서, 방법의 임의의 2회의 반복 사이의 기간이 적어도 1일, 1주일,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또는 1년인 방법.Embodiment 187 The method of embodiment 186, wherein the period between any two repetitions of the method is at least 1 day, 1 week, 1 month, 2 months, 3 months, 4 months, 5 months, 6 months or 1 year.

실시양태 188. 실시양태 1-43 및 50-187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협착부, 면역 세포, 항원, 및/또는 관용원성 인자를 포함하는 시스템.Embodiment 188. A system comprising a stricture, immune cell, antigen, and/or tolerogenic factor for use in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1-43 and 50-187.

실시양태 189. 실시양태 44-18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협착부, 면역 세포, 및 비-기능성 시토카인 결합 단백질을 코딩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시스템.Embodiment 189. A system comprising a constriction, an immune cell, and a compound encoding a non-functional cytokine binding protein for use in the method of any one of embodiments 44-187.

실시예Example

하기 실시예는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양태를 예시하려는 목적으로 제공되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목표를 수행하고 언급된 목적 및 장점, 뿐만 아니라 본원에 고유한 목표, 목적 및 장점을 수득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이 잘 개조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개시내용의 취지 내에 포함되는 본원에서의 변화 및 기타 용도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어날 것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in any way. Those skilled in the relevant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the present disclosure is well adapted to carry out the objectives and obtain the objects and advantages mentioned, as well as the objects, objects and advantages inherent herein. Variations and other uses herein will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ome within the spirit of the disclosure a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실시예 1: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의 B 세포로의 협착-매개 전달Example 1: Constriction-mediated delivery of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to B cells to induce tolerance

모델 항원 및 트랜스제닉 T 세포를 사용하여 관용 유도를 실연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에 착수한다.A series of experiments are undertaken to demonstrate tolerance induction using model antigens and transgenic T cells.

B 세포를 관용원성 인자 및 OVA 항원 +/- 관용원성 인자와 혼합하고, 미세유체 채널 내의 협착부, 또는 세공을 함유하는 표면에 통과시킨다 (이러한 협착-매개 전달은 SQZ로도 칭해짐). 전달을 달성하도록 압력, 온도, 및 완충제 조성을 최적화한다. CFSE 표지 OT-I 또는 OT-II T 세포를 CD45.1 마우스 내로 전달한 후, OVA 및 관용원성 인자-로딩 B 세포를 전달한다. 추후에 마우스가 OVA+LPS의 i.d. 주사로 챌린지된다. 배출 오금 림프절을 수확하여, OT-I 또는 OT-II T 세포의 확장을 측정한다.B cells are mixed with tolerogenic factors and OVA antigen +/- tolerogenic factors and pass through constrictions in microfluidic channels, or surfaces containing pores (this constriction-mediated delivery is also referred to as SQZ). Optimize pressure, temperature, and buffer composition to achieve delivery. CFSE-labeled OT-I or OT-II T cells are transferred into CD45.1 mice followed by OVA and tolerogenic factor-loaded B cells. Later, the mice received i.d. of OVA+LPS. Challenged by injection. Draining popliteal lymph nodes are harvested to measure the expansion of OT-I or OT-II T cells.

실시예 2: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항원의 B 세포로의 협착-매개 전달Example 2: Constriction-mediated delivery of antigens to B cells to induce tolerance

이러한 연구에서, 항원의 협착-매개 전달에 의해 생성된 세포내 항원을 함유하는 B 세포 항원-제시 세포 (APC)가 생체내 항원-의존적 관용을 유도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마우스에 항원-특이적 T 세포를 접종하고, B 세포 APC의 주사에 의해 관용화시키고, 항원-특이적 T 세포의 수 및 염증성 시토카인 IFN-γ의 수준을 결정하였다.In this study, the ability of B cell antigen-presenting cells (APCs), which contain intracellular antigens generated by constriction-mediated delivery of antigens, to induce antigen-dependent tolerance in vivo was evaluated. Mice were inoculated with antigen-specific T cells, tolerized by injection of B cell APC, and the number of antigen-specific T cells and the level of the inflammatory cytokine IFN-γ were determined.

물질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제0일에 암컷 공여자 마우스로부터 마우스당 OVA-특이적 CD8+ OT-I 세포 (1x106개) 및 CD4+ OT-II T 세포 (1x106개) (둘 다 CD45.2+)를 C57BL/6J 수용자 마우스 (CD45.1+)에게 입양에 의해 전달하였다. 제1일에, C57BL/6J 마우스로부터의 B 세포를 수확하고, 협착 없이 완전 OVA 단백질과 함께 인큐베이션하거나 (B 세포-Endo), 또는 OVA 단백질을 협착-매개 세포내 전달하였다 (B 세포-SQZ). 그 후, 5x106개의 각각의 B 세포/마우스를 수용자 마우스 내로 주사하였다. 대조군 동물은 PBS (챌린지 대조군) 또는 10 μg 유리 OVA (관용 대조군)를 주사하였다. 제8일에 10 μg OVA 단백질 + 50 ng LPS/마우스의 피내 주사로 항원을 챌린지하였다. 각각의 마우스의 배출 림프절 및 비장를 제12일에 분석하였고, 항원 챌린지에 대한 OT-I 및 OT-II T 세포 반응을 OT-I 및 OT-II T 세포의 수에 대한 유동 세포측정법, IFN-γ 세포내 염색, 및 ELI스폿 검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가 도 1에 제시되고, 처리군이 표 1에 요약된다.OVA-specific CD8 + OT-I cells (1x10 6 ) and CD4 + OT-II T cells (1x10 6 ) (both CD45.2+) per mouse from female donor mice on day 0 were C57BL/6J Adoptive transfer into recipient mice (CD45.1+). On day 1, B cells from C57BL/6J mice were harvested and incubated with complete OVA protein without constriction (B cell-Endo) or OVA protein was delivered constriction-mediated intracellularly (B cell-SQZ). . Then, 5x10 6 of each B cell/mouse were injected into recipient mice. Control animals were injected with PBS (challenge control) or 10 μg free OVA (tolerance control). Antigen was challenged on day 8 with intradermal injection of 10 μg OVA protein + 50 ng LPS/mouse. Draining lymph nodes and spleens of each mouse were analyzed on day 12, and OT-I and OT-II T cell responses to antigen challenge were analyzed by flow cytometry for the number of OT-I and OT-II T cells, IFN-γ Intracellular staining, and measured by ELI spot assay. A schematic diagram of the treatment schedule is presented in FIG. 1 and the treatment groups are summarized in Table 1.

표 1Table 1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1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1

결과result

4개의 처리군으로부터의 마우스에서 제12일에 OT-I- 및 OT-II-특이적 T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배출 림프절 (CD3+/CD8+ 게이팅 또는 CD3+/CD4+ 게이팅) 및 비장 (CD3+/CD8+ 게이팅)로부터의 세포를 항원-제시 세포에 대한 마커로서의 T-세포 수용체 (TCR) V 알파 2 (TCRVa2) 및 공여자 T 세포에 대한 마커로서의 CD45.2에 대한 염색과 함께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CD8+ OT-I T 세포 (TCRVa2+/CD45.2+)의 백분율의 감소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도 2, 좌측 및 가운데 패널), 배출 림프절 및 비장 둘 다에서의 OT-I T 세포의 활성화 및 증식이 챌린지 대조군에 비교 시 OVA 단백질이 협착-매개 전달된 B 세포로 프라이밍된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저해되었다 (*P<0.05). 협착 없이 OVA와 함께 인큐베이션된 B 세포로 프라이밍된 마우스에 비교 시 B 세포-SQZ 동물에서 CD8+ OT-I T 세포의 수준 감소가 나타난 바와 같이 (**P<0.01), 이러한 효과는 협착-매개 세포내 항원 전달에 의존적이었다. CD4+ OT-II 세포 (TCRVa2+/CD45.2+)의 백분율 또한 챌린지 대조군에 비교 시 B 세포-SQZ 동물에 대해 림프절에서 유의하게 저해되었다 (도 2, 우측 패널; *P<0.05). B 세포-SQZ 동물은 유의성을 향하는 경향으로 B 세포-Endo에 비교 시 챌린지 후 OT-II의 백분율에서의 약간의 감소를 또한 제시한 한편, 처리군들 사이에서 비장 OT-II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데이터는 제시되지 않음).OT-I- and OT-II-specific T cell numbers were measured on day 12 in mice from the four treatment groups. Cells from draining lymph nodes (CD3 + /CD8 + gating or CD3 + /CD4 + gating) and spleen (CD3 + /CD8 + gating) were tested for T-cell receptor (TCR) V alpha 2 ( TCRVa2) and staining for CD45.2 as a marker for donor T cells. Activation of OT-I T cells in both draining lymph nodes and spleen, as indicated by a decrease in the percentage of CD8+ OT-I T cells (TCRVa2+/CD45.2+) (Figure 2, left and middle panels) and Prolifera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mice primed with B cells with OVA protein stenosis-mediated transfer when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 P < 0.05). As shown by reduced levels of CD8+ OT-I T cells in B cell-SQZ animals compared to mice primed with B cells incubated with OVA without strictures (** P < 0.01), this effect is not due to stricture-mediated cell It was dependent on delivery of my antigens. The percentage of CD4+ OT-II cells (TCRVa2+/CD45.2+) was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in lymph nodes for B cell-SQZ animals when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FIG. 2, right panel; * P <0.05). B cell-SQZ animals also showed a slight decrease in the percentage of OT-II after challenge when compared to B cell-Endo with a trend toward significance,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lenic OT-II levels between treatment groups were absent (data not shown).

T 세포 기능에 대한 B 세포-SQZ-매개 관용의 기능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SIINFEKL 펩티드 (서열식별번호(SEQ ID NO): 1) (CD8+ 활성 OVA 에피토프)로 재자극된 OT-I T 세포의 높은 수준의 IFN-γ를 발현한 비장 T 세포의 퍼센트 (도 3, 좌측), 및 세포당 IFN-γ 생산 수준 (도 3, 우측; TCRVa2+/CD45.2+/CD44hi 세포를 기초로 하는 MFI)을 모든 군에 대해 세포내 시토카인 염색에 의해 평가하였다. B 세포-SQZ 마우스로부터의 OT-I T 세포는, B 세포-Endo 처리 마우스(***P<0.0005, ****P<0.0001) 뿐만 아니라, 챌린지 대조군에 비교 시 IFN-γ 고발현 세포의 백분율 및 IFN-γ 생산 둘 다에서 감소를 제시하였다 (***P<0.0005). 흥미롭게, B 세포-SQZ 마우스는 심지어 관용 대조군에 비교 시 IFN-γ가 높은 세포의 백분율에서 유의한 감소를 제시하였다 (*P<0.05). IFN-γ를 생산하는 OT-I T 세포의 수를 ELI스폿에 의해 추가로 확인하였다 (도 4). 유동 세포측정법 데이터와 상관되어, 챌린지 대조군 (**P<0.01) 및 B 세포-Endo (****P<0.0001)에 비교 시 B 세포-SQZ 동물은 유의하게 더 낮은 수의 IFN-γ-양성 T 세포를 생산하였다.To evaluate the functional effect of B cell-SQZ-mediated tolerance on T cell function, OT-I T cells restimulated with the SIINFEKL peptide (SEQ ID NO: 1) (CD8+ active OVA epitope) Percentage of splenic T cells expressing high levels of IFN-γ ( FIG. 3 , left), and IFN-γ production levels per cell ( FIG. 3 , right; MFI based on TCRVa2+/CD45.2+/CD44hi cells) was evaluated by 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for all groups. OT-I T cells from B cell-SQZ mice, as well as B cell-Endo treated mice (*** P <0.0005, **** P <0.0001), as well as IFN-γ high expressing cells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showed a decrease in both the percentage of and IFN-γ production (*** P < 0.0005). Interestingly, B cell-SQZ mice ev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ercentage of cells with high IFN-γ when compared to tolerant controls (* P < 0.05). The number of OT-I T cells producing IFN-γ was further confirmed by ELI spot (FIG. 4). Correlating with flow cytometry data, B cell-SQZ animals had significantly lower numbers of IFN-γ- when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 P < 0.01) and B cell-Endo (**** P < 0.0001). Positive T cells were produced.

각각의 처리군에 대한 TCRVa2+ 비장 OT-I 및 림프절 OT-II T 세포에 대한 대표적인 유동 사이토그램은 챌린지 대조군 및 B 세포-Endo에 비교 시 B 세포-SQZ 마우스가 OT-I 및 OT-II의 수가 더 낮다는 것을 제시한다 (도 5, 표 2). IFN-γ 및 CD44 항원-활성화 마커가 높은 OT-I 세포에 대한 대표적인 ICS 유동 사이토그램은 챌린지 대조군 및 B 세포-Endo에 비교 시 B 세포-SQZ 샘플이 IFN-γ가 높은 T 세포의 수가 더 낮았음을 제시한다 (도 6, 표 3).Representative flow cytograms for TCRVa2+ splenic OT-I and lymph node OT-II T cells for each treatment group show that B cell-SQZ mice have higher numbers of OT-I and OT-II when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and B cell-Endo. lower (Fig. 5, Table 2). Representative ICS flow cytograms for OT-I cells with high IFN-γ and CD44 antigen-activation markers show lower numbers of T cells with high IFN-γ in B cell-SQZ samples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and B cell-Endo. notes (Fig. 6, Table 3).

표 2Table 2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2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2

표 3Table 3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3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3

실시예 3: 관용을 유도하기 위한, 항원의 T 세포로의 협착-매개 전달Example 3: Constriction-mediated delivery of antigens to T cells to induce tolerance

항원의 협착-매개 전달에 의해 생성된 세포내 항원을 함유하는 T 세포 항원-제시 세포 (APC)가 생체내 항원-의존적 관용을 유도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항원-특이적 T 세포의 수 및 염증성 시토카인 IFN-γ의 수준을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To assess the ability of T cells antigen-presenting cells (APCs) containing intracellular antigens produced by constriction-mediated delivery of antigens to induce antigen-dependent tolerance in vivo, the number of antigen-specific T cells and Levels of the inflammatory cytokine IFN-γ were measured by flow cytometry.

물질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제0일에 암컷 OT-I 공여자 마우스 (CD45.2)로부터 마우스당 2.5x106개의 OVA-특이적 OT-I T 세포를 C57BL/6J 수용자 마우스 (CD45.1)에게 입양에 의해 전달하였다. 같은 날에, 협착 없이 면역원성 OVA 에피토프 (SIINFEKL 펩티드, 서열식별번호: 1)의 존재 하에 인큐베이션되었거나 또는 전체 OVA 단백질이 협착-매개 전달된 T 세포인 5x106개의 T APC 세포 (CD90.1)도 마우스에 주사하였다. 나이브 (T APC 세포 없음, 항원 없음)에 비교하여, 챌린지 동물에서의 10 μg OVA 단백질 (항원) + 50 ng LPS (아주반트)/마우스의 피내 주사로 제8일에 항원을 챌린지하였다. 항원 챌린지에 대한 OT-I T 세포 반응을 제12일에 OT-I T 세포 수에 대한 유동 세포측정법 및 IFN-γ 세포내 염색에 의해 측정하였다.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가 도 7에 제시되고, 처리군이 표 4에 요약된다.On day 0, 2.5x10 6 OVA-specific OT-I T cells per mouse were transferred adoptively from female OT-I donor mice (CD45.2) to C57BL/6J recipient mice (CD45.1). On the same day, 5x10 6 T APC cells (CD90.1), T cells incubated in the presence of an immunogenic OVA epitope (SIINFEKL peptide, SEQ ID NO: 1) without stricture or with stricture-mediated transfer of the entire OVA protein, were also transfected. injected into mice. Compared to naïve (no T APC cells, no antigen), challenge animals were challenged with antigen on day 8 with intradermal injection of 10 μg OVA protein (antigen) + 50 ng LPS (adjuvant)/mouse. OT-I T cell responses to antigen challenge were measured on day 12 by flow cytometry for OT-I T cell numbers and IFN-γ intracellular staining. A schematic diagram of the treatment schedule is presented in FIG. 7 and the treatment groups are summarized in Table 4.

표 4Table 4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4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4

결과result

4개의 처리군으로부터의 마우스에서 제12일에 OT-I-특이적 T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배출 림프절 및 비장 둘 다에서의 OT-I T 세포의 활성화 및 증식이 챌린지 대조군에 비교 시 OVA 단백질이 협착-매개 전달된 T 세포로 프라이밍된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저해되었다 (****P<0.0001) (도 8). 이러한 마우스들은 나이브 마우스 또는 유리 OVA 관용 대조군과 유사한 OT-I T 세포 수를 나타냈다.The number of OT-I-specific T cells was determined on day 12 in mice from the four treatment groups.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of OT-I T cells in both the draining lymph nodes and spleen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in mice primed with T cells with OVA protein stenosis-mediated transfer when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 P < 0.0001 ) (Fig. 8). These mice displayed similar OT-I T cell numbers to naïve mice or free OVA tolerant controls.

OT-I 특이적 T 세포 기능에 대한 T 세포-SQZ APC-매개 관용의 기능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유리 SIINFEKL 펩티드로 재자극된 OT-I T 세포의 IFN-γ 생산 수준을 모든 군에 대해 평가하였다 (도 9). T 세포-SQZ 마우스로부터의 OT-I T 세포는, 관용 대조군 (****P<0.0001)과 유사하게, 챌린지 대조군에 비교 시 IFN-γ 고발현 세포의 백분율에서의 큰 감소를 제시하였다 (****P<0.0001).To evaluate the functional effect of T cell-SQZ APC-mediated tolerance on OT-I specific T cell function, IFN-γ production levels of OT-I T cells restimulated with free SIINFEKL peptide were evaluated for all groups (FIG. 9). OT-I T cells from T cell-SQZ mice showed a large decrease in the percentage of IFN-γ high expressing cells when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similar to tolerance controls (**** P <0.0001) ( **** P <0.0001).

OT-I T 세포 수 대 CD8+ T 세포 (도 10, 상부 패널) 및 IFN-γ가 높은 세포의 백분율 대 CD44 항원-활성화 마커 (도 10, 하부 패널)에 대한 대표적인 유동 사이토그램은 챌린지 대조군에 비교 시 T 세포-SQZ 동물이 OT-I T 세포 수 및 IFN-γ 생산 둘 다가 더 낮았음을 제시한다 (표 5).Representative flow cytograms for OT-I T cell counts versus CD8+ T cells (FIG. 10, top panel) and percentage of cells with high IFN-γ versus CD44 antigen-activation marker (FIG. 10, bottom panel) compared to challenge controls. T cell-SQZ animals had lower OT-I T cell numbers and IFN-γ production (Table 5).

표 5table 5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5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5

실시예 4A: 뮤린 I형 당뇨병 모델에서의 예방Example 4A: Prevention in Murine Type I Diabetes Model

개론Introduction

SQZ에 의해 전달된 항원을 함유하는 항원 제시 세포 (APC - 예를 들어 B 및/또는 T 세포)가 뮤린 I형 당뇨병의 예방 생체내 모델에서 항원-의존적 관용을 유도하는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관용 유도 후에 경시적으로 매주 혈액 글루코스 수준을 측정한다.To determine the ability of 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 eg B and/or T cells) containing antigen delivered by SQZ to induce antigen-dependent tolerance in a prophylactic in vivo model of murine type I diabetes, tolerance Blood glucose levels are measured weekly over time after induction.

물질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NOD/ShiltJ 마우스를 10주령에 APC로 처리한다. 제0일에, NOD/ShiltJ 마우스로부터의 APC를 수확하고, 협착 없이 인슐린 B-쇄 펩티드 9-23 (InsB9-23: CKKGSSHLVEALYLVCGERG, 서열식별번호: 2)과 함께 인큐베이션하거나, 또는 InsB9-23을 SQZ 조건에 의해 전달한 후, 5 M APC/마우스를 수용자 마우스 내로 주사한다. 대조군 동물은 PBS (챌린지 대조군)을 주사한다. 처리 후 제7일 (11주령)에 시작하여, 매주 혈액 글루코스 측정을 수행한다. 바이엘 컨투어 당뇨병 측정기/글루코스 테스트 스트립(Bayer Contour Diabetes Meter/Glucose Test Strip)에 의해 측정 시 혈액 글루코스 수준이 260 mg/dL를 초과할 때 마우스가 당뇨병으로 간주된다. 대표적인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가 도 11a에 제시되고, 처리군이 표 6에 요약된다.NOD/ShiltJ mice are treated with APC at 10 weeks of age. On day 0, APCs from NOD/ShiltJ mice were harvested and incubated with insulin B-chain peptide 9-23 (InsB9-23: CKKGSSHLVEALYLVCGERG, SEQ ID NO: 2) without constriction, or InsB9-23 with SQZ After delivery by condition, 5 M APC/mouse is injected into recipient mice. Control animals are injected with PBS (challenge control). Beginning on day 7 (11 weeks of age) after treatment, weekly blood glucose measurements are performed. A mouse is considered diabetic when blood glucose levels exceed 260 mg/dL as measured by a Bayer Contour Diabetes Meter/Glucose Test Strip. A schematic diagram of a representative treatment schedule is presented in FIG. 11A and the treatment groups are summarized in Table 6.

표 6table 6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6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6

실시예 4B: 뮤린 I형 당뇨병에서의 치료법Example 4B: Treatment in Murine Type I Diabetes

개론Introduction

SQZ에 의해 전달된 항원을 함유하는 항원 제시 세포 (APC - 예를 들어 B 및/또는 T 세포)가 뮤린 I형 당뇨병의 치료 생체내 모델에서 항원-의존적 관용을 유도하는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마우스에서의 관용 유도 후에 경시적으로 매주 혈액 글루코스 수준을 측정한다.To determine the ability of 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 eg B and/or T cells) containing antigen delivered by SQZ to induce antigen-dependent tolerance in a therapeutic in vivo model of murine type I diabetes, mice Blood glucose levels are measured weekly over time after induction of tolerance at .

물질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수용자에서 T1D의 신속한 발병을 유도하기 위해, CD4 T 세포를 BDC2.5 NOD 마우스로부터 수확하고, 4일 동안 p31 미메토프 펩티드 (YVRPLWVRME, 서열식별번호: 3)로 생체 외에서 활성화시키고, 정상혈당성 NOD 수용자 내로 입양에 의해 전달한다 (5 M 세포/마우스). 입양 전달 8시간 후 관용 유도를 시작하고, 총 3회의 용량에 대해 3일 마다 반복한다. 수용자를 PBS (챌린지 대조군) 또는 p31과 함께 인큐베이션되거나 (APC-Endo) 또는 SQZ에 의해 p31이 전달된 (APC-SQZ) 5 M APC로 처리한다. 바이엘 컨투어 당뇨병 측정기/글루코스 테스트 스트립에 의해 혈액 글루코스를 매일 측정한다. 혈액 글루코스 수준이 260 mg/dL를 초과할 때 마우스가 당뇨병으로 간주된다. 대표적인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가 도 11b에 제시되고, 처리군이 표 7에 요약된다.To induce rapid onset of T1D in recipients, CD4 T cells are harvested from BDC2.5 NOD mice, activated ex vivo with p31 mimetope peptide (YVRPLWVRME, SEQ ID NO: 3) for 4 days, and euglycemic NOD Adoptive transfer into recipients (5 M cells/mouse). Begin tolerance induction 8 hours after adoptive transfer and repeat every 3 days for a total of 3 doses. Recipients are treated with PBS (challenge control) or 5 M APC incubated with p31 (APC-Endo) or to which p31 was delivered by SQZ (APC-SQZ). Blood glucose is measured daily by Bayer Contour Diabetes Meter/Glucose Test Strips. Mice are considered diabetic when blood glucose levels exceed 260 mg/dL. A schematic diagram of a representative treatment schedule is presented in FIG. 11B and the treatment groups are summarized in Table 7.

표 7table 7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7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7

실시예 5A: 뮤린 MS형 자가면역 장애에서의 예방Example 5A: Prevention in Murine MS-type Autoimmune Disorders

개론Introduction

SQZ에 의해 전달된 항원을 함유하는 항원 제시 세포 (APC - 예를 들어 B 및/또는 T 세포)가 뮤린 MS형 자가면역 장애의 생체내 예방 모델에서 항원-의존적 관용을 유도하는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경시적으로 매일 임상 기동성 점수를 평가한다.To determine the ability of 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 eg B and/or T cells) containing antigen delivered by SQZ to induce antigen-dependent tolerance in an in vivo preventive model of murine MS-type autoimmune disorders , and assess daily clinical mobility scores over time.

물질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암컷 C57BL/6 마우스 (10-12주령)를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EAE)의 유도 전에 APC로 처리한다. 제-7일에, C57BL/6 마우스로부터의 APC를 수확하고, APC를 협착 없이 미엘린 핍지교세포 당단백질 펩티드 35-55 (MOG35-55: MEVGWYRSPFSRVVHLYRNGKGS, 서열식별번호: 4)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거나, 또는 MOG35-55 또는 OVA323-339 펩티드 (음성 대조군: ISQAVHAAHAEINEAGRGS, 서열식별번호: 5)를 SQZ 조건에 의해 APC에 전달한 후, 5 M APC/마우스를 수용자 마우스 내로 주사한다. 제0일에, CFA 내의 MOG35-55 및 PBS 내의 백일해 독소 (후크(Hooke) 키트)의 투여에 의해 EAE를 유도한다. 제7일에 시작하여 매일 마우스를 채점하고, 임상 점수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1, 꼬리 늘어짐; 2, 부분적인 뒷다리 마비; 3, 완전한 뒷다리 마비; 4, 완전한 뒷다리 마비 및 부분적인 앞다리 마비; 및 5, 빈사. 대표적인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가 도 12a에 제시되고, 처리군이 표 8에 요약된다.Female C57BL/6 mice (10-12 weeks old) are treated with APC prior to induction of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On day -7, APCs from C57BL/6 mice were harvested and APCs were incubated with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peptide 35-55 (MOG 35-55 : MEVGWYRSPFSRVVHLYRNGKGS, SEQ ID NO: 4) without constriction, or or MOG 35-55 or OVA 323-339 peptides (negative control: ISQAVHAAHAEINEAGRGS, SEQ ID NO: 5) are delivered to APCs by SQZ conditions, followed by injection of 5 M APC/mouse into recipient mice. On day 0, EAE is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MOG 35-55 in CFA and pertussis toxin (Hooke kit) in PBS. Mice are scored daily starting on day 7, and clinical scores are defined as follows: 1, tail droop; 2, partial hind limb paralysis; 3, complete hind limb paralysis; 4, complete hindlimb paralysis and partial forelimb paralysis; and 5, moribund. A schematic diagram of a representative treatment schedule is presented in FIG. 12A and the treatment groups are summarized in Table 8.

표 8Table 8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8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8

실시예 5B: 뮤린 MS형 자가면역 장애에서의 치료법Example 5B: Treatment in Murine Autoimmune Disorders Type MS

개론Introduction

SQZ에 의해 전달된 항원을 함유하는 항원 제시 세포 (APC - 예를 들어 B 및/또는 T 세포)가 확립된 뮤린 MS형 자가면역 장애의 생체내 모델에서 항원-의존적 관용을 유도하는 능력을 결정하기 위해, 경시적으로 매일 임상 기동성 점수를 평가한다.To determine the ability of 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 eg B and/or T cells) containing antigen delivered by SQZ to induce antigen-dependent tolerance in an established murine MS-type autoimmune disorder in vivo model For this purpose, clinical mobility scores are assessed daily over time.

물질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암컷 C57BL/6 마우스 (10-12주령)에서, 제0일에 CFA 내의 MOG35-55 및 PBS 내의 백일해 독소 (후크 키트)의 투여에 의해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 (EAE)을 유도한다. 그 후, 하기의 기동성 기준을 기초로 마우스의 점수가 ≥1이면 발생하는 EAE의 발병일에 마우스를 APC로 처리한다. 제~11/12일에, C57BL/6 마우스로부터의 B 세포를 수확하고, 협착 없이 미엘린 핍지교세포 당단백질 펩티드 35-55 (MOG35-55: MEVGWYRSPFSRVVHLYRNGKGS, 서열식별번호: 4)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거나, 또는 MOG35-55 또는 OVA323-339 펩티드 (음성 대조군: ISQAVHAAHAEINEAGRGS, 서열식별번호: 5)를 SQZ 조건에 의해 APC에 전달한 후, 5 M APC/마우스를 수용자 마우스 내로 주사한다. 제19일에 시작하여 매일 마우스를 채점하고, 임상 점수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1, 꼬리 늘어짐; 2, 부분적인 뒷다리 마비; 3, 완전한 뒷다리 마비; 4, 완전한 뒷다리 마비 및 부분적인 앞다리 마비; 및 5, 빈사. 대표적인 처리 스케줄의 개략도가 도 12b에 제시되고, 처리군이 표 9에 요약된다.In female C57BL/6 mice (10-12 weeks old), 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is induced on day 0 by administration of MOG 35-55 in CFA and pertussis toxin (Hook kit) in PBS. Mice are then treated with APC on the day of onset of EAE, which occurs if the mouse scores ≧1 based on the following mobility criteria. On days -11/12, B cells from C57BL/6 mice were harvested and incubated with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peptide 35-55 (MOG 35-55 : MEVGWYRSPFSRVVHLYRNGKGS, SEQ ID NO: 4) without constriction or , or MOG 35-55 or OVA 323-339 peptides (negative control: ISQAVHAAHAEINEAGRGS, SEQ ID NO: 5) are delivered to APCs by SQZ conditions, followed by injection of 5 M APC/mouse into recipient mice. Mice are scored daily starting on day 19, and clinical scores are defined as follows: 1, tail droop; 2, partial hind limb paralysis; 3, complete hind limb paralysis; 4, complete hindlimb paralysis and partial forelimb paralysis; and 5, moribund. A schematic diagram of a representative treatment schedule is presented in FIG. 12B and the treatment groups are summarized in Table 9.

표 9Table 9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9
Figure 112018120906797-pct00009

서열 목록sequence listing

Figure 112018120906797-pct00010
Figure 112018120906797-pct00010

SEQUENCE LISTING <110> SQZ BIOTECHNOLOGIES COMPANY LOUGHHEAD, Scott GILBERT, Jonathan B. BERNSTEIN, Howard SHAREI, Armon R. MOORE, Finola <120>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O INDUCE TOLERANCE <130> 75032-20012.40 <140> PCT/US2017/030933 <141> 2017-05-03 <150> US 62/331,384 <151> 2016-05-03 <160> 5 <170> FastSEQ for Windows Version 4.0 <210> 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1 Ser Ile Ile Asn Phe Glu Lys Leu 1 5 <210> 2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2 Cys Lys Lys Gly Ser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Leu Val 1 5 10 15 Cys Gly Glu Arg Gly 20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3 Tyr Val Arg Pro Leu Trp Val Arg Met Glu 1 5 10 <210> 4 <211> 2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4 Met Glu Val Gly Trp Tyr Arg Ser Pro Phe Ser Arg Val Val His 1 5 10 15 Leu Tyr Arg Asn Gly Lys Gly Ser 20 <210> 5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 <400> 5 Ile Ser Gln Ala Val His Ala Ala His Ala Glu Ile Asn Glu Ala 1 5 10 15 Gly Arg Gly Ser 19 SEQUENCE LISTING <110> SQZ BIOTECHNOLOGIES COMPANY LOUGHEAD, Scott GILBERT, Jonathan B. BERNSTEIN, Howard SHAREI, Armon R. MOORE, Finola <120>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O INDUCE TOLERANCE <130> 75032-20012.40 <140> PCT/US2017/030933 <141> 2017-05-03 <150> US 62/331,384 <151> 2016-05-03 <160> 5 <170> FastSEQ for Windows Version 4.0 <210> 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ion <400> 1 Ser Ile Ile Asn Phe Glu Lys Leu 1 5 <210> 2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ion <400> 2 Cys Lys Lys Gly Ser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Leu Val 1 5 10 15 Cys Gly Glu Arg Gly 20 <210> 3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ion <400> 3 Tyr Val Arg Pro Leu Trp Val Arg Met Glu 1 5 10 <210> 4 <211> 2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ion <400> 4 Met Glu Val Gly Trp Tyr Arg Ser Pro Phe Ser Arg Val Val His 1 5 10 15 Leu Tyr Arg Asn Gly Lys Gly Ser 20 <210> 5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construction <400> 5 Ile Ser Gln Ala Val His Ala Ala His Ala Glu Ile Asn Glu Ala 1 5 10 15 Gly Arg Gly Ser 19

Claims (189)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관용을 유도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관용을 유도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항원을 포함하는 면역 세포이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a.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현탁액을 협착부에 통과시키는 단계이며, 여기서 상기 협착부는 면역 세포를 변형시킴으로써 면역 세포의 교란을 야기하여, 항원 및 관용원성 인자가 면역 세포와 접촉되었을 때 교란을 통해 면역 세포에 진입하도록 하고, 여기서 협착부는 2 μm 내지 10 μm의 폭을 가지는 것인 단계; 및
b. 면역 세포를 개체 내로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여기서 면역 세포에 의한 상기 항원의 제시가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거나 또는 항원에 대한 관용을 유도하고, 면역 세포는 항원-제시 세포이고, 관용원성 인자는 아르기나제-1 (ARG1), 산화질소 (NO), 산화질소 신타제 2 (NOS2), 인돌아민 2,3-디옥시게나제 (IDO), IL-4, IL-10, IL-13, TGF-β, IL-35, 또는 IFNα인 면역 세포.
An immune cell comprising an antigen for use in a method of suppressing an immune response or inducing tolerance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a. A step of passing a cell suspension containing immune cells through a constriction, wherein the constriction causes disruption of the immune cells by modifying the immune cells, so that antigens and tolerogenic factors enter the immune cells through the disruption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mmune cells. and wherein the constriction has a width of 2 μm to 10 μm; and
b. Introducing immune cells into a subject
including,
wherein the presentation of the antigen by an immune cell suppresses an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or induces tolerance to the antigen, the immune cell is an antigen-presenting cell, and the tolerogenic factor is arginase-1 (ARG1), oxidation nitrogen (NO), nitric oxide synthase 2 (NOS2), indolamine 2,3-dioxygenase (IDO), IL-4, IL-10, IL-13, TGF-β, IL-35, or IFNα immune cells.
제1항에 있어서, 항원-제시 세포가 T 세포, B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대식세포, NK 세포, 선천성 림프계 세포, 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 골수 유래 억제제 세포, 또는 비만 세포인 면역 세포.The immune cell of claim 1, wherein the antigen-presenting cell is a T cell, B cell, dendritic cell, monocyte, macrophage, NK cell, innate lymphoid cell, neutrophil, basophil, eosinophil, bone marrow derived suppressor cell, or mast cell.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 또는 상이한 개체로부터의 것인 면역 세포.3. The immune cel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is from the individual or a different individu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협착부 크기가 면역 세포의 직경의 20%, 30%, 40%, 50%, 60%, 70%, 80%, 90%, 또는 99%인 면역 세포.3. The immune cell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striction size is 20%, 30%, 40%, 50%, 60%, 70%, 80%, 90%, or 99% of the diameter of the immune cel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a) 혼합 세포 집단을 포함하고/거나;
(b) 전혈이고/거나;
(c) 말초혈 단핵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면역 세포.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ell suspension is
(a) comprises a mixed cell population;
(b) is whole blood;
(c) comprising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immune cel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정제된 세포 집단을 포함하는 것인 면역 세포.3. The immune cell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a purified cell popul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포 현탁액이 인간 세포를 포함하는 것인 면역 세포.3. The immune cell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ell suspension comprises human cel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원이
(a) 외래 항원; 또는
(b) 자기-항원인
면역 세포.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antigen
(a) foreign antigen; or
(b) self-antigen
immune cel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항원이
(a) 식품 알레르기원;
(b) 이식된 조직에서 유래된 항원; 또는
(c) 치료제인
면역 세포.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antigen
(a) food allergens;
(b) antigens derived from transplanted tissue; or
(c) a therapeutic
immune cells.
제9항에 있어서, 치료제가
(a) 응고 인자;
(b) 항체;
(c) 성장 인자;
(d) 호르몬; 또는
(e) 재조합 시토카인
중 하나 이상인 면역 세포.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herapeutic agent
(a) clotting factors;
(b) antibodies;
(c) growth factors;
(d) hormones; or
(e) recombinant cytokines
one or more of the immune cel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7035046A 2016-05-03 2017-05-03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hat induce tolerance KR10249095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1384P 2016-05-03 2016-05-03
US62/331,384 2016-05-03
PCT/US2017/030933 WO2017192786A1 (en) 2016-05-03 2017-05-03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o induce toler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186A KR20190005186A (en) 2019-01-15
KR102490952B1 true KR102490952B1 (en) 2023-01-19

Family

ID=5873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046A KR102490952B1 (en) 2016-05-03 2017-05-03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hat induce tolerance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10138050A1 (en)
EP (1) EP3452062A1 (en)
JP (3) JP2019518009A (en)
KR (1) KR102490952B1 (en)
CN (1) CN109475577A (en)
AU (1) AU2017259988B2 (en)
CA (1) CA3023099A1 (en)
IL (1) IL262676B2 (en)
RU (2) RU2747878C2 (en)
SG (1) SG11201809617RA (en)
WO (1) WO201719278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7257B2 (en) 2010-08-10 2016-12-13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Erythrocyte-binding therapeutics
US9850296B2 (en) 2010-08-10 2017-12-26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Erythrocyte-binding therapeutics
CN108117586A (en) 2010-08-10 2018-06-05 洛桑聚合联合学院 Erythrocyte binding therapeutic agent
CN107058101B (en) 2011-10-17 2021-06-01 麻省理工学院 Intracellular delivery
AU2014306423B2 (en) 2013-08-16 2019-04-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elective delivery of material to cells
SG10202010936RA (en) 2014-02-21 2020-12-30 Ecole Polytecnique Fed De Lausanne Epfl Epfl Tto Glycotargeting therapeutics
US10046056B2 (en) 2014-02-21 2018-08-14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Glycotargeting therapeutics
US10953101B2 (en) 2014-02-21 2021-03-23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Glycotargeting therapeutics
US10946079B2 (en) 2014-02-21 2021-03-16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Glycotargeting therapeutics
KR20230098928A (en) 2014-10-31 2023-07-04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Delivery of biomolecules to immune cells
CN107002089B (en) 2014-11-14 2021-09-07 麻省理工学院 Disruption and field-effected delivery of compounds and compositions into cells
AU2016206870B2 (en) 2015-01-12 2022-02-1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Gene editing through microfluidic delivery
EP4257675A3 (en) 2015-07-09 2024-01-03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livery of materials to anucleate cells
WO2017041051A1 (en) * 2015-09-04 2017-03-09 Sqz Biotechnologies Company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o cells comprising a cell wall
US11253579B2 (en) 2017-06-16 2022-02-22 The University Of Chicago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ucing immune tolerance
WO2019113125A1 (en) * 2017-12-05 2019-06-13 Sqz Biotechnologies Company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o modulate antibody production
WO2020176789A1 (en) * 2019-02-28 2020-09-03 Sqz Biotechnologies Company Delivery of biomolecules to pbmcs to modify an immune response
EP3953039A1 (en) 2019-04-08 2022-02-16 SQZ Biotechnologies Company Cartridge for use in a system for delivery of a payload into a cell
AU2021272340A1 (en) 2020-05-11 2022-12-08 F. Hoffmann-La Roche Ag Combination therapy with modified pbmcs and an immunoconjugate
WO2022026620A1 (en) 2020-07-29 2022-02-03 Sqz Biotechnologies Company Methods to stimulate immune responses to mutant ras using nucleated cells
WO2022026621A1 (en) 2020-07-29 2022-02-03 Sqz Biotechnologies Company Methods to stimulate immune responses to mutant ras using anucleate cells
CN111944810B (en) * 2020-07-29 2022-05-27 中国农业大学 sgRNA for targeted deletion of TNF alpha gene, TNF alpha gene-deleted porcine embryo fibroblast line and application thereof
JP2024501023A (en) 2020-12-29 2024-01-10 スクイーズ バイオ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Method for treating cancer using activated antigen carriers
WO2022147017A1 (en) 2020-12-29 2022-07-07 Sqz Biotechnologies Company Formulations for cryopreservation of pbmcs
CA3203709A1 (en) 2020-12-29 2022-07-07 Sqz Biotechnologies Company Formulations of activating antigen carriers
WO2022147026A1 (en) 2020-12-29 2022-07-07 Sqz Biotechnologies Company METHODS FOR TREATING CANCERS WITH MODIFIED PBMCs
WO2023010090A1 (en) 2021-07-29 2023-02-02 Sqz Biotechnologies Company Methods to generate enhanced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hrough microfluidic delivery
WO2023087009A1 (en) 2021-11-11 2023-05-19 Sqz Biotechnologies Company Methods to generate enhanced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hrough microfluidic delivery
WO2024026492A1 (en) 2022-07-28 2024-02-01 Sqz Biotechnologies Company Methods for treating cancer with enhanced antigen presenting cells
WO2024026491A2 (en) 2022-07-28 2024-02-01 Sqz Biotechnologies Company Enhanced antigen presenting cell formul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0136A1 (en) 2014-10-31 2016-05-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livery of biomolecules to immune cells
WO2017041050A1 (en) 2015-09-04 2017-03-09 Sqz Biotechnologies Company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mediated by a surface with por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7863A2 (en) * 2001-02-22 2002-09-06 The Scepens Eye Research Institute, Inc. Tolerogenic antigen presenting cells and in treating immune-inflammatory conditions
WO2003020039A1 (en) * 2001-08-28 2003-03-13 Rush-Presbyterian-St. Luke's Medical Center Immune tolerance to predetermined antigens
US20080311140A1 (en) * 2007-05-29 2008-12-18 Baylor College Of Medicine Antigen specific immunosuppression by dendritic cell therapy
US20090280518A1 (en) * 2008-05-12 2009-11-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 for high throughput measur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cells
WO2011079217A1 (en) * 2009-12-23 2011-06-30 Cytovera, Inc. A system and method for particle filtration
CN107058101B (en) * 2011-10-17 2021-06-01 麻省理工学院 Intracellular delivery
AU2014306423B2 (en) 2013-08-16 2019-04-1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elective delivery of material to cells
CN107002089B (en) 2014-11-14 2021-09-07 麻省理工学院 Disruption and field-effected delivery of compounds and compositions into cel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0136A1 (en) 2014-10-31 2016-05-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livery of biomolecules to immune cells
WO2017041050A1 (en) 2015-09-04 2017-03-09 Sqz Biotechnologies Company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mediated by a surface with po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259988B2 (en) 2023-04-27
RU2021113207A (en) 2021-09-08
JP2022024104A (en) 2022-02-08
US20210138050A1 (en) 2021-05-13
AU2017259988A1 (en) 2018-12-13
RU2018142039A (en) 2020-06-03
JP2024001342A (en) 2024-01-09
IL262676A (en) 2018-12-31
RU2747878C2 (en) 2021-05-17
CA3023099A1 (en) 2017-11-09
IL262676B1 (en) 2023-04-01
CN109475577A (en) 2019-03-15
EP3452062A1 (en) 2019-03-13
RU2018142039A3 (en) 2020-10-16
JP2019518009A (en) 2019-06-27
IL262676B2 (en) 2023-08-01
WO2017192786A1 (en) 2017-11-09
KR20190005186A (en) 2019-01-15
SG11201809617RA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0952B1 (en)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hat induce tolerance
KR102430856B1 (en)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hat induce tolerance
US20220105166A1 (en) Anucleate cell-derived vaccines
US20210388390A1 (en)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o enhance antigen presenting cell function
TW202003019A (en)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o modify immune response
Manicassamy et al. Dendritic cell control of tolerogenic responses
TW202045717A (en) Delivery of biomolecules to pbmcs to modify an immune response
WO2019113125A1 (en) Intracellular delivery of biomolecules to modulate antibody production
Pedersen et al. Dendritic cells modified by vitamin D: future immunotherapy for autoimmune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