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873B1 -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873B1
KR102490873B1 KR1020200181258A KR20200181258A KR102490873B1 KR 102490873 B1 KR102490873 B1 KR 102490873B1 KR 1020200181258 A KR1020200181258 A KR 1020200181258A KR 20200181258 A KR20200181258 A KR 20200181258A KR 102490873 B1 KR102490873 B1 KR 10249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output
contents
output device
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251A (ko
Inventor
박찬희
오지성
Original Assignee
박찬희
오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희, 오지성 filed Critical 박찬희
Priority to KR102020018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87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 작품을 콘서트(Concert) 및 전시회(Exhibition)를 융합시킨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위치,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 전시작품 콘텐츠를 시간, 위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USION OF CONCERT AND EXHIBITION BASED CONCEXHIBITION SERVICE FOR ART GALLERY}
본 발명은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술작품을 조명, 영상 및 음악과 함께 시간의 흐름에 따라 디지털 영상화하여 전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최근 미디어들이 서로 통합되는 미디어 컨버전스(Media Convergence)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여러 미디어들의 융합형태의 뉴 미디어들이 등장하고 공간 속에서 사람들과 다양한 체험을 유도한다. 뉴 미디어란 사용자 만족을 위해 최대한 다양한 기술이 서로 결합돼 현장감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공간을 최대화하는 인간 만족 체험의 매체다. 이제는 시각적 체험뿐만 아니라 실제대상을 만지는 듯한 체험적 뉴 미디어 시대다. 특히 전시 공간에서 뉴 미디어 기술에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의 개발이 급속하게 이루어고 있다. 오늘날의 전시 공간은 뉴 미디어를 기반으로 미디어아트를 적극 활용한 체험형 전시에 주목하고 있다.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의 발전은 전시공간을 바라보고 느끼는 방법의 변화를 의미하며, 공간 안에서 지각의 새로운 차원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뉴 미디어의 유형에 따라 전시공간이 트렌스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 멀티미디어, 소셜 미디어, 3D 미디어, 영상 미디어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로 나누어지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93400호(2018년08월22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7-0027080호(2007년03월09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0-0054344호(2000년09월05일 공개)에는, 적어도 벽면 또는 바닥면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전시를 제공하는 고정 전시물을 스마트 단말로 촬영함으로써 특정된 고정 전시물에 적당한 증강현실을 함께 표시 및 촬영하는 구성과, 전시 작품을 DRM 패키지 데이터로 생성하여 가상 전시관 템플릿에 전시하는 구성, 가상현실(VR)을 이용하여 갤러리와 유사한 환경에서 예술작품을 감사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미술작품이 시각적인 측면에서 감상될 뿐 청각을 이용한 감상을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여전히 갤러리의 이동방향을 따라 관람객이 이동하면서 미술작품을 관람해야 한다. 뉴 미디어를 이용한 디지털 미술관이 감각자극성, 상호작용성, 연상성, 유도성 및 연계성의 체험적 및 디자인 특성을 가진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시각에만 의존하여 미술작품을 관람하는 방법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디지털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는 뉴 미디어의 패러다임에 맞게 텍스트, 그림, 비디오, 사운드 등 다양한 정보 형태를 디지털 신호라는 하나의 형태로 통합하면서도 시각에 의존하지 않는 전시 공간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서트와 전시회를 융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프로젝터, 모니터, 조명, 스피커 및 VR 기기를 통하여 미술작품을 콘서트와 같이 조명, 영상 및 음악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간에 따라 스토리와 상황에 맞도록 스포트라이트, 무빙라이트 및 레이저를 포함한 조명으로 연출하여 전시관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미디어아트의 영상 및 스토리 중심의 음악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한 편의 공연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표현할 수 있고, 미술작품을 모두 관람한 후에는 전시장 내 별도의 VR 룸에서 VR 기기에 나오는 엔딩(Ending) VR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감각을 통하여 미술작품을 접할 수 있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 작품을 콘서트(Concert) 및 전시회(Exhibition)를 융합시킨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위치,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 전시작품 콘텐츠를 시간, 위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시 작품을 콘서트(Concert) 및 전시회(Exhibition)를 융합시킨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생성하고, 전시작품 콘텐츠가 시계열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전시작품 콘텐츠를 시계열적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될 위치, 시간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기화를 진행하는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콘서트와 전시회를 융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프로젝터, 모니터, 조명, 스피커 및 VR 기기를 통하여 미술작품을 콘서트와 같이 조명, 영상 및 음악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간에 따라 스토리와 상황에 맞도록 스포트라이트, 무빙라이트 및 레이저를 포함한 조명으로 연출하여 전시관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미디어아트의 영상 및 스토리 중심의 음악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한 편의 공연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표현할 수 있고, 미술작품을 모두 관람한 후에는 전시장 내 별도의 VR 룸에서 VR 기기에 나오는 엔딩(Ending) VR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감각을 통하여 미술작품을 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콘스비션(Concexhibition)이란 콘서트(Concert)와 전시회(Exhibition)의 합성어로 콘서트와 같이 조명, 영상 및 음악을 이용하여 시간 흐름에 따라 미술작품을 소리, 영상 및 조명으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술작품을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의 시간에 동기화된 제어를 위하여 각 출력장치(400)와 출력 데이터인 전시작품 콘텐츠를 시간 도메인에 싱크를 맞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미술작품 전시회의 기획자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를 식별하도록 ID 및 출력 데이터의 종류 등을 등록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장치(400)의 ID 및 출력 데이터(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가 출력 데이터에 대응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람객의 모션이나 제스처 또는 이동이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미도시)를 이용함으로써 관람객의 이동이나 입장 등에 따라 전시작품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소리, 영상, 빛 등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ID가 부여되어 식별되도록 하거나 시리얼 넘버 등을 이용하여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등록되는 장치일 수 있고,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의해 소리의 크기, 조명의 점등 및 점멸, 조명의 조도, 영상의 출력 등이 제어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입력부(320), 제어부(330) 및 싱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로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시 작품을 콘서트(Concert) 및 전시회(Exhibition)를 융합시킨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전시 작품을 콘서트(Concert) 및 전시회(Exhibition)를 융합시킨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생성하고, 전시작품 콘텐츠가 시계열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디지털 영상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지는데, 이 두 개가 하나의 영상 안에서 어우러지기 위해서는 싱크를 맞추어야 한다. 또, 전시장이라는 하나의 공간 안에서 어느 영상이 어느 방향에서 출력되는지를 제어받아야 하나의 객체가 전시장 공간 내에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느 출력 장치(400)에서, 언제, 어떠한 디지털 영상을 출력할 것인지가 결정되어야 하므로, 수신부(310)에서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후술될 입력부(320)에서 어느 장치를 언제 어디에서 제어할 것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위치,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전시장 양측 벽면에 설치되어 전시작품 콘텐츠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 전시장의 천장부 및 좌측에 전시장과 구분되도록 분리된 VR 룸 전면부에 설치되어 디지털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및 전시장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이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설치되어 전시작품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시장은, 전시 영역 및 VR 영역으로 분리되고, 전시 영역은, 관람객의 입출을 위한 출입구로 외부와 연결되고, 전시 영역 중 우측에는 메인작품 영역이 유리벽으로 구획되고, 메인작품 영역 내에 메인작품이 전시될 수 있다. 물론, 전시장에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가 배치되는 숫자나 위치는 변경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에 전시작품 콘텐츠를 시간, 위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전시작품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전시작품 콘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 및 전시작품 콘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전시작품 콘텐츠가 VR 또는 AR 영상인 경우, VR 또는 AR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VR 또는 AR 기기일 수 있다.
덧붙여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는, 전시작품 콘텐츠와 시간에 동기화되어 점등, 점멸, 광도 및 턴오프가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는 전시작품 콘텐츠 중 오디오 데이터의 오디오 성분, 예를 들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조명제어가 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우선, 오디오 데이터 중 주파수 정보를 얻기 위하여 각 주파수 밴드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주파수를 시각화하여 조명에 매핑시키면 조명 변화도 유사하게 나타나므로 시각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잔잔한 음악의 조명의 조도 변화량이 적고 밝기가 작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신나는 음악의 경우 변화량이 크고 조도가 높을 수 있다. 음악 장르에 따라 관람객이 시각적으로 감성적인 영향을 받을 수도 있고, 음악과 조명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영상-조명 관계에 정의를 하는 경우, 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 프레임 내 밝기가 밝거나 피사체의 움직임이 큰 경우에는 조도의 변화를 크게 주고, 영상 프레임 내 밝기가 어둡거나 피사체의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는 조도의 변화를 낮게 주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내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는 각 프레임 간의 좌표 이동값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사람이고, 손 끝이 X,Y 좌표에 있다가 X',Y'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이동값은 대각선으로 두 점을 잇는 선분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프로젝터의 경우에는, 복수의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하나의 화면을 만드는 경우에는 각 프로젝터 간의 연결부분에 대한 이질감을 제거하기 위하여 프로젝터 맵핑 및 에지 블랜딩(Edge Blending)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를 이용한 맵핑은 스크린으로 사용될 투사 영역이 전시장의 벽 구조 등이 가진 특징들을 고려해 전시작품 콘텐츠를 프로젝터에 의해 빛을 영사하여, 현실의 대상과 가상으로 만들어진 비현실적인 영상이 어우러져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3 대의 프로젝터가 1 개의 영상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3 대의 프로젝터와 본 발명의 제어부(330)가 네트워크 신호를 기반으로 하나로 묶여서 구성되게 된다. 더 많은 하드웨어를 연결해서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각 프로젝터에서 투사하는 영역이 맞물려서 하나의 영상을 만들게 되는데 이 맞물리게 되는 부분이 주변 환경에 따라서 움직임이 생기면 그 부분이 패널을 사용한 것처럼 공백이 생기게 된다. 그래서 투사하는 영역이 중복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겹치는 부분에 대한 기술적인 처리가 필요한데 이것이 에지블랜딩 기술이다. 이는 설치환경에서 하드웨어 적으로 중복되어지는 영역에 대한 정보와 콘텐츠에서 프로젝터가 각각 가지게 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를 가로로 확장하게 되면 가로로 무한하게 확장할 수 있는 스크린을 만들어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에지블랜딩은, 겹쳐지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서 밝기 영역과 콘텐츠를 하나로 만들어 줄 수 있는데, 에지블랜딩은 스크린 영역이 평면인 상황에서 프로젝터가 이상적인 설치가 되었다는 전제를 가지고 사용되는 방법으로, 평면이 아닌 스크린 공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와핑(Wapping)을 더 이용할 수 있다. 와핑은 평면으로 이루어진 프로젝션 스크린 영역을 기하학적으로 움직여서 곡면의 형태나 스크린에 투사되는 모양을 보정할 수 있는데, 스크린 면에 사용되는 모든 프로젝터들을 에지블랜딩과 와핑을 통해서 공간 안에 원하는 형태로 조정을 해서 맵핑을 완료할 수 있다. 사각형의 격자무늬들을 이동하게 되면서 결과 이미지의 직선 부분들이 곡면으로 변하고 이것이 프로젝터에서 실제로 투사되는 영역을 움직여서 원하는 스크린의 모양에 맞게 조정해나가는 작업이 더 요구될 수 있다. 이 작업을 통해서 사각형의 스크린에서 삼각형, 오각형, 마름모 등 정형화된 모양 및 정형화 되지 않은 스크린 영역도 원하는 대로 변형이 가능하다.
싱크부(340)는, 입력부(33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위치,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은 후,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구동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시간 도메인에 대한 동기화 데이터를 입력받는 싱크(Synchronization)를 맞출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와 같은 다중병렬 클라이언트를 위한 연속매체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LTS(Logical Time System)을 이용하여 동기화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LTS는 여러 논리 입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동시에 처리되어야 하는 논리장치들은 같은 타임스탬프(Time Stamp)를 가지는 데이터를 통합처리함으로써 동기화를 맞추게 된다. LTS 내에서 각 미디어에 타임스탬프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연속매체를 일정단위(Frame)로 나누어 관리하게 된다. LTS와 Real Timer는 일정한 비율로 조정하여 가면서 LTS가 일정 시점(t)이 되는 경우의 타임스탬프 값이 t인 미디어들을 모두 해당 입출력장치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LTS와 타임스탬프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방식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미디어나 장치 특성상, 예를 들어, 버퍼 용량, 처리 속도, 전송 속도와 같이 적정한 동기화를 이루지 못하고 버퍼에 처리할 데이터가 없거나(Starvation) 넘치는 현상(Buffer Overrun)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상태를 두고 봉쇄(Locked) 되었다고 말하는데, 이때 계속적으로 LTS가 증가한다면 LTS와 장치 사이에는 사행(Skew) 현상이 더욱 커져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사행현상이 발생되는 범위를 감지하여 상한치를 넘게되면 LTS와 타임스탬프의 사행현상이 심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LTS를 정상화될 때까지 정지시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가 자율적인 협력을 통하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분산형 네트워크(Distributed Network)로 이루어진 경우, 단말 간 동기 획득, 자원 할당, 라우팅이나, 단말 간 동기화를 위하여 컨센서스(Consensus)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컨센서스 알고리즘은, 각 단말이 자신과 이웃 단말의 상태 값을 활용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신의 상태 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단말 간 동기를 획득하는 알고리즘이다.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고립된(Isolated) 단말이 존재하지 않을 때 분산 단말 간 완벽한 동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에 속한 단말들이 주기적으로 자신의 상태 값을 이웃 단말들에게 전송하고, 이후 한 주기 동안 이웃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상태 값들과 자신의 상태 값을 기 설정된 응답 함수에 입력하고, 출력된 값을 자신의 상태 값으로 갱신하는 방법으로 전시장 내 위치한 출력장치(400)의 동기화를 이룰 수도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관람객의 위치 및 모션에 대응하여 인터랙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전시장의 입구에 설치된 모션센서를 이용하여 관람객의 입장이 감지된 경우 전시작품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할 수도 있다. 물론, 관람객은 계속해서 들어올 수 있으므로 관람객의 입장 감지 여부에 무관하게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스쳐의 유무만 판단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와 같은 이동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고, 제스쳐의 종류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분석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모션캡쳐를 수행하는데, 모션캡쳐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추출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기계식, 전자기장식, 광학식으로 분류된다. 기계식 모션 캡쳐(Electro-mechanical Motion Capture System)는 인체의 각 관절 부위 움직임에 대해 기계장치를 부착하여 캡쳐하는 방식으로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전위차계(Potentiometer)와 슬라이더(Slider)의 복합체로 구성되는데, 캡쳐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부착된 기계장치의 영향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장비의 구매 및 운용 비용이 가장 합리적이고, 기계장치가 피관찰자의 인체에 직접 부착하여 운용되는 체계로 대상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캡쳐하여 로 노이즈 데이터(Low Noise Data)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기장식 모션 캡쳐(Electromagnetic Motion Capture System)는 피관찰자의 각 관절 부위에 자기장의 방향 및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를 부착하고 움직임에 따라 자기장 발생원과의 변화를 측정,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자기장에 영향을 주는 사물이 없는 공간을 보장해야 하는 체계이다. 전자기장식 모션 캡쳐의 장점은 운용 장비의 용이성 및 유지비의 경제성, 필요분 만큼의 센서를 구입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투자 방지, 마커(Marker)가 손실되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광학식 모션 캡쳐(Optical Motion Capture System)는 피관찰자의 움직임을 캡쳐하기 위해 특정 부위에 반사 마커를 부착하고, 수 대의 카메라를 통해 2차원 이미지로 촬영 후 3차원 위치 데이터로 계산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이다. 모션 캡쳐의 3가지 방식 중 가장 높은 퀄리티(Quality)의 캡쳐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이는 카메라의 숫자가 많을수록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체계적 특성이 있다. 광학식 모션 캡쳐의 장점은 고속 촬영이 가능하여 정보 유실 위험의 최소화, 피관찰자의 움직임에 대한 제한요소가 없어 자유로운 동작 표현으로 섬세한 동작까지도 추출해 낼 수 있다. 또한 즉각적인 피드백(Feedback), 사물의 특성에 따라 실시간 움직임 포착까지 가능하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a는 전시작품 콘텐츠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로 출력되도록 매핑 및 동기화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도 3b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가 실제 공간에 배치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미술작품에 대한 디지털 영상인 전시작품 콘텐츠가 완성되고 나면, 이를 오디오, 비디오로 분리하고, 각각의 오디오와 비디오가 어느 출력장치(400)에서 출력될 것인지를 매핑하여 저장하며, 각각의 오디오와 비디오의 위치를 고려하여 언제 어느 위치에서 출력이 될 것인지를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어느 출력 데이터가 어디에서 나와야 하는지도 설정할 수 있는데, 이 또한 비디오, 오디오 및 조명에 따라 나누어서 각각의 출력장치(400)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VR 콘텐츠도 VR 기기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VR 콘텐츠를 VR 기기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b를 보면, 각각의 출력장치(400)가 설치된 일 실시예인데, 각각의 조명(Light, L)은 전시장 중 전시영역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고, 프로젝터(Projector, P)는 천장의 중앙 및 전시장 중 좌측에 전시영역과 구획된 VR 룸 앞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니터는 전시장 중 전시영역의 앞뒷면에 내부를 바라보도록, 또 두 개의 모니터가 서로를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메인작품(Main, M)은, 유리벽(GlassWall, G)을 통하여 볼 수 있도록 모니터가 위치한 선의 수직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VR 룸에는 적어도 하나의 VR 기기(V)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객이 걸어다니면서 보는 전시의 형태가 아닌, 관객이 서서 공연처럼 관람하는 형태의 전시가 가능해진다. 즉, 작품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기존 작품이 같은 장소에 고정적으로 걸려있는 것과는 다르게 시간에 따라 스토리와 상황에 맞게 같은 장소에 미술작품이 보여지거나, 사라지거나 하는 등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또, 기존 전시에서 조명이 노란색 또는 다른 색이지만 변하지 않고 주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콘서트와 같이 스토리 및 상황에 맞도록 공연에서 사용되는 스포트라이트, 무빙라이트, 레이저 등을 다양한 조명으로 연출하여 전시관람의 즐거움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기존 전시에서는 영상은 따로 전시물로 다루어졌다면, 영상 연출의 일환인 미디어아트를 이용하여 뮤지컬의 배경화면 및 극의 효과를 주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음악은 일반적인 전시에서는 클래식 또는 전시작품에 맞는 음악을 루프(Loop)의 형태로 사용하였다면, 스토리 중심의 음악을 통하여 한 편의 공연을 보는 것과 같은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400)를 위치, 종류 및 ID를 구분하여 등록하고(S4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S4200), 전시작품 콘텐츠 내 비디오 및 오디오를 분리하여(S4300)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제어 데이터를 수신 및 매핑하여 저장한다(S4400). 그리고,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디오, 오디오를 제어하며(S4500, S4600), 그 결과를 모니터링하며 피드백을 받아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제어를 수행하며(S4700)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조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고(S4800) 각각의 조명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장치(4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8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8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 작품을 콘서트(Concert) 및 전시회(Exhibition)를 융합시킨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한다(S5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위치,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를 입력받고(S5200)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 전시작품 콘텐츠를 시간, 위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5300).
이와 같은 도 5의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콘스비션(Concexhibition)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 작품을 콘서트(Concert) 및 전시회(Exhibition)를 융합시킨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위치,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를 상기 시간, 위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는,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와 시간에 동기화되어 점등, 점멸, 광도 및 턴오프가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는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 중 오디오 데이터의 각 주파수 밴드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얻어진 주파수 정보를 시각화하여 조도에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는,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 및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를 포함하는 것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는,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가 VR 또는 AR 영상인 경우, 상기 VR 또는 AR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VR 또는 AR 기기;
    를 포함하는 것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위치,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되는 시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 구동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간 도메인에 대한 동기화 데이터를 입력받는 싱크(Synchronization)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전시 작품을 콘서트(Concert) 및 전시회(Exhibition)를 융합시킨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한 전시작품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가 시계열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를 시계열적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시작품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가 출력될 위치, 시간 및 출력효과제어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기화를 진행하는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는,
    전시장 양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
    상기 전시장의 천장부 및 좌측에 상기 전시장과 구분되도록 분리된 VR 룸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디지털 영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상기 전시장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이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와 시간에 동기화되어 점등, 점멸, 광도 및 턴오프가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기기는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의 각 주파수 밴드 영역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얻어진 주파수 정보를 시각화하여 조도에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장은, 전시 영역 및 VR 영역으로 분리되고,
    상기 전시 영역은, 관람객의 입출을 위한 출입구로 외부와 연결되고,
    상기 전시 영역 중 우측에는 메인작품 영역이 유리벽으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작품 영역 내에 메인작품이 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람객의 위치 및 모션에 대응하여 인터랙션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전시장의 입구에 설치된 모션센서를 이용하여 관람객의 입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전시작품 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181258A 2020-12-22 2020-12-22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9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258A KR102490873B1 (ko) 2020-12-22 2020-12-22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258A KR102490873B1 (ko) 2020-12-22 2020-12-22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251A KR20220090251A (ko) 2022-06-29
KR102490873B1 true KR102490873B1 (ko) 2023-01-27

Family

ID=8227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258A KR102490873B1 (ko) 2020-12-22 2020-12-22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820B1 (ko) * 2023-06-20 2024-02-19 주식회사 닷밀 미디어 아트 컨텐츠 및 디바이스 원격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6564A (ko) * 2011-04-13 2012-10-23 김성우 증강 현실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WO2020004683A1 (ko) * 2018-06-26 2020-01-02 유영록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거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251A (ko) 202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196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using simulated 3D images
CN210021183U (zh) 沉浸式互动全景全息剧院及演出系统
KR20140010872A (ko) 메인 영상의 시각적 요소를 확장시키는 다면 상영 시스템
CN107534784A (zh) 服务器、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TWI795762B (zh) 用於在現實場景中疊加直播人物影像的方法和電子設備
KR101864685B1 (ko) 가상현실 4d 컨텐츠 상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228768A1 (zh) 一种3d智能教育监控方法、系统和存储介质
US2016026654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source for enhanced pepper's ghost illusion
US11943282B2 (en) System for providing synchronized shar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real time across multiple devices
US20190349636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distributing video that includes message from viewing user
CN105528065B (zh) 向观看者显示定制放置的叠层
CN105324995A (zh) 用于生成多投影图像的方法和系统
CN105324994A (zh) 用于生成多投影图像的方法和系统
US20230412897A1 (en) Video distribution system for live distributing video containing animation of character object generated based on motion of actors
CN105051603A (zh) 用于扩展主图像的视觉元素的多投影系统
KR102490873B1 (ko) 콘서트 및 전시회 융합 기반 미술작품 전시를 위한 콘스비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6293999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その装置
Broll Augmented reality
KR102140077B1 (ko)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7538140A (ja) リアルタイム3d映像多重画面同期化システム
KR102163601B1 (ko) 4d 상영관 시스템
US10534571B2 (en) Object-based presentation system
CN107465850A (zh) 虚拟现实系统
Peake et al. The virtual experiences portals—a reconfigurable platform for immersive visualization
CN210015702U (zh) 摩天轮多媒体资讯化伴唱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