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609B1 -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609B1
KR102490609B1 KR1020170172446A KR20170172446A KR102490609B1 KR 102490609 B1 KR102490609 B1 KR 102490609B1 KR 1020170172446 A KR1020170172446 A KR 1020170172446A KR 20170172446 A KR20170172446 A KR 20170172446A KR 102490609 B1 KR102490609 B1 KR 10249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ehicle
battery
battery syste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409A (ko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6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의 배터리시스템을 차체에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공차범위의 조립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위치를 조정하며 설치가능한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의 하부에 설치하는 차체연결부, 상기 차체연결부의 하부로 설치하는 차량커넥터, 차량커넥터에 설치하는 가이드핀, 상기 차량커넥터와 가이드핀에 연결되는 배터리커넥터로 구성하여; 배터리시스템을 차체에 간단하면서 빠르게 장착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단위시간당 생산량의 증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Quickdraw connector structure of automotive battery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배터리의 전력으로 운행하는 전기차량의 배터리시스템을 차체에 간단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각종 차량의 부품이나 부착물 연결 커넥터 용도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화석연료의 고갈 염려 등으로 인해 전기로 구동되는 차량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로 모터를 구동시켜 차량의 주행을 수행하거나, 내연기관과 모터를 병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를 사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배터리의 충전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배터리 자체를 교환하는 방식이 채택되어 연구되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의 보조 동력원으로써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팩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어 지고 있다. 이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팩은 Ni-MH(니켈-금속수소) 전지에 비해 전압이 3배 이상 높으며, 상온에서 출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출력 고밀도 전지인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팩은 자동차 패키징 및 출력 특성을 보완할 수 있는 전지로 개발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FCHEV)는 주동력원으로 스택(stack)을 사용하며, 보조 동력원으로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팩을 사용하게 된다.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팩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직렬/병렬로 연결되어 원하는 전압 범위 및 전지 용량을 가지게 되며, 전지 관리를 위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라 함), 퓨즈, 안전 스위치 등이 있고, 차량과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해 릴레이(relay)와 케이블 커넥터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주동력원인 스택에 의해 구동시 가속, 출발 등에 리튬 이온 폴리머배터리팩의 동력을 합하여 모터를 구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팩의 출력 성능은 상온(25℃)을 기준할 때 Ni-MH의 출력이 20kW인 것에 대하여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팩은 27kW로 출력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연료 전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가속 성능 및 최고속도 등에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측과 차량측 그리고 충전스테이션측에 각각 커넥터를 두고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여야 한다. 즉, 차량측과 배터리측 그리고 충전스테이션측과 배터리측의 전기적 연결을 단속하기 위해서는 각각 배터리와 차량측 그리고 충전스테이션측에 커넥터를 두어, 이들을 서로 결합, 분리되게 한다.
한편 차량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는 용량이 매우 커서, 배터리와 차량 사이 또는 배터리와 충전스테이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들도 용량에 맞추기 위해서 크기가 매우 커져야 한다. 즉,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의 크기가 전기용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차량용 배터리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에는 상기 터미널의 용량이 커야 하므로, 상기 터미널이 커지고, 그에 따라 하우징도 역시 커져 커넥터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된다.
결국, 상기 배터리측의 커넥터와 차량측이나 충전스테이션측의 커넥터를 서로 결합하고 분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배터리 자체만도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배터리를 차량의 배터리안착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작업자가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사이의 결합력이 큰 경우에는 지렛대 작용을 하는 레버를 사용하여 커넥터 사이의 결합과 분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레버를 사용하는 커넥터 결합장치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잘 개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레버를 잡고, 레버를 동작시켜 커넥터 사이의 결합과 분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중량물인 배터리측과 차량측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는 그 크기 자체부터가 작업자가 혼자서 들 수 없는 정도이어서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레버를 사용할 수 없다.
이로써, 배터리를 교체하도록 된 차량에서 배터리를 차량에 장착하고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커넥터의 빠른 결합과 조립 공차 범위내에서 위치를 조정하며 배터리시스템에 충격을 발생시키지 않는 구성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번호공보 제10-1372374호 대한민국 등록번호공보 제10-126485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배터리시스템을 차체에 간단하면서 빠르게 장착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커넥터가 차체연결부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차량커넥터와 배터리커넥터의 조립위치가 부정확 한 경우에도 스프링의 유격을 이용하여 조립 위치를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핀의 끝단과 가이드홀단이 테이퍼져 있어 체결을 위한 삽입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차체에 설치하는 차체연결부; 상기 차체연결부에 하부로 결합되는 차량커넥터; 상기 차량커넥터의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핀; 상기 차량커넥터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핀이 삽입될 정 위치를 벗어난 조립 공차 발생 상태에서도 안내되며 삽입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홀단을 양측에 형성한 배터리시스템에 설치하는 배터리커넥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연결부는 브라켓몸체의 양측 끝단에 한 쌍으로 형성하는 걸림홀; 상기 걸림홀이 형성된 내측 양 끝단 하부면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돌기; 상기 제1돌기에 끼움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커넥터는 차체연결부의 걸림홀에 걸림되도록 차체커넥터몸체의 양 끝단 상부면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걸림단; 상기 걸림단이 형성된 내측 양 끝단 상부면에는 스프링이 끼움되는 다수개의 제2돌기; 상기 제2돌기가 형성된 양 끝단 하부면에는 가이드핀이 끼움되는 한 쌍의 핀결합단; 상기 차체커넥터몸체의 중앙 하부면에는 대응고전압커넥터, 대응저전압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커넥터는 걸림단은 탄성을 지니도록 형성하며, 상기 걸림단이 걸림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으로 차체연결부와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은 봉 형태로 하부 끝단은 뾰족하게 원뿔단을 형성하며, 상기 원뿔단이 형성된 반대측 상부에는 차량커넥터의 핀결합단에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커넥터는 배터리커넥터몸체의 양측에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홀단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커넥터몸체의 중앙 상부면에는 대응고전압커넥터, 대응저전압커넥터와 각각 접속하는 고전압커넥터, 저전압커넥터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홀단은 상부면이 하부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면을 형성하여 가이드핀의 원뿔단이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시스템을 차체에 간단하면서 빠르게 장착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단위시간당 생산량의 증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커넥터가 차체연결부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차량커넥터와 배터리커넥터의 조립위치가 부정확한 경우에도 스프링의 유격을 이용하여 조립 위치를 조정가능할 수 있어 조립허용 공차범위에서 조립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차체연결부와 차량커넥터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즉각적인 대응 및 흡수,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체연결부와 차량커넥터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배터리시스템으로 불필요한 물리적 작용력의 전달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상태 유지를 지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가이드핀의 끝단과 가이드홀단이 테이퍼져 있어 체결을 위한 삽입시 가이드 기능으로 체결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 결합사시도,
도 4는 배터리커넥터의 평면도,
도 5는 차량연결부와 결합된 차량커넥터와 배터리커넥터와 분해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차량연결부와 결합된 차량커넥터와 배터리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도,
도 8은 차량연결부와 결합된 차량커넥터와 배터리커넥터와 결합된 결합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를 결합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차체(1)의 하부에 설치하는 차체연결부(10), 상기 차체연결부(10)의 하부로 설치하는 차량커넥터(20), 차량커넥터(20)에 설치하는 가이드핀(30), 상기 차량커넥터(20)와 가이드핀(30)에 연결되는 배터리커넥터(40)로 퀵드랍커넥터(100)를 구성한다.
상기 퀵드랍커넥터(100)는 차체(1)에 설치하는 차체연결부(10)를 형성한다.
상기 차체연결부(10)는 정면에서 투영시 하부로 개방된 디귿자 형태의 판 형태의 브라켓몸체(11) 양측 끝단에 한 쌍으로 형성하는 걸림홀(12)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홀(12)이 형성된 내측 양 끝단 하부면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돌기(13)를 형성한다.
상기 제1돌기(13)에 끼움되는 스프링(14)을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는 4개로 구성함을 일 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연결부(10)에 하부로 결합되는 차량커넥터(20)를 형성하는데, 상기 차량커넥터(20)는 차체연결부(10)의 걸림홀(12)에 걸림되도록 차체커넥터몸체(21)의 양 끝단 상부면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걸림단(22)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단(22)은 넓은 판 형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된 것으로 상부 끝단에는 걸림홀(12)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판(22a)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단(22)이 형성된 내측 양 끝단 상부면에는 스프링(14)이 끼움되는 다수개의 제2돌기(23)을 형성한다.
상기 제2돌기(23)가 형성된 양 끝단 하부면에는 가이드핀(30)이 끼움되는 한 쌍의 핀결합단(24)을 형성한다.
상기 차체커넥터몸체(21)의 중앙 하부면에는 대응고전압커넥터(25), 대응저전압커넥터(26)를 구성한다.
상기 차량커넥터(20)는 걸림단(22)은 탄성을 지니도록 형성하며, 상기 걸림단(22)이 걸림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14)으로 차체연결부(10)와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차량커넥터(20)의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핀(30)를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핀(30)은 봉 형태로 하부 끝단이 뾰족하게 원뿔단(31)을 형성한다.
상기 원뿔단(31)이 형성된 반대측 상부에는 차량커넥터(20)의 핀결합단(24)에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톱퍼(32)를 형성한다.
상기 스톱퍼(32)는 핀결합단(24)의 하부 끝단에 지지되어 가이드핀(30)의 수직 방향으로 정위치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차량커넥터(2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핀(30)이 삽입될 정 위치를 벗어난 조립 공차 발생 상태에서도 안내되며 삽입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홀단(41)을 양측에 형성한 배터리시스템(2)에 설치하는 배터리커넥터(40)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커넥터(40)는 배터리커넥터몸체(42)의 양측에 가이드핀(30)이 삽입되도록 형성하는 가이드홀단(41)을 형성하는데, 상기 가이드홀단(41)은 상부로 개방된 원통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홀단(41)은 상부면이 하부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면(41a)을 형성하여 가이드핀(30)의 원뿔단(31)이 안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배터리커넥터몸체(42)의 중앙 상부면에는 대응고전압커넥터(25), 대응저전압커넥터(26)가 삽입되며 각각 접속하는 고전압커넥터(43), 저전압커넥터(44)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퀵드랍커넥터(100)는 차체(1)의 바닥에 차체연결부(10)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후, 상기 차체연결부(10)의 각 제1돌기(13)에 스프링(14)의 일 끝단을 끼워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커넥터(20)의 걸림단(22)을 차체연결부(10)의 걸림홀(12)에 삽입시켜 걸림판(22a)이 걸림홀(12)에 걸림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커넥터(20)의 핀결합단(24)에 가이드핀(30)의 상부 끝부분을 억지 끼움 방식으로 스톱퍼(32)가 핀결합단(24)의 하부 끝단에 접촉하도록 삽입한다.
이때, 상기 스톱퍼(32)가 핀결합단(24)에 밀착됨으로써 가이드핀(30)의 안정적인 결합 위치를 확보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차량커넥터(20)에 배터리커넥터(40)를 연결하는데 차량커넥터(20)의 대응고전압커넥터(25), 대응저전압커넥터(26)를 각각 배터리커넥터(40)의 고전압커넥터(43), 저전압커넥터(44)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끼워 접속 연결하는 동시에 가이드핀(30)을 배터리커넥터(40)의 가이드홀단(41)에 삽입한다.
이러한, 상기 배터리커넥터(40)는 배터리시스템(2)과 연결한 상태에서도 차량커넥터(20)와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30)의 원뿔단(31)과 가이드홀단(41)의 경사면(41a)에 접촉하면서 슬라이드 되면서 쉽게 체결 정 위치에 자연스럽게 안내하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커넥터(20)에 배터리커넥터(40)의 체결시 가이드핀(30)과 가이드홀단(41)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가이드핀(30)이나 가이드홀단(41)이 편심된 경우에는 가이드핀(30)을 가이드홀단(41)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원뿔단(31)이 경사면(41a)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차량커넥터(20)에 편심력이 전달된다.
이렇게, 상기 차량커넥터(20)에 편심력이 전달되면 배터리커넥터(40)를 이용하여 조립 공차를 극복하며 체결의 위한 움직임에 따라 차량커넥터(20)가 차체연결부(10)와 걸림단(22)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스프링(14)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이 허용되어 조립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간단하게 체결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배터리커넥터(40)에 배터리시스템(2)을 연결하면 배터리 전력이 배터리커넥터(40)의 고전압커넥터(43), 저전압커넥터(44)에 각각 접속된 대응고전압커넥터(25)와 대응저전압커넥터(26)를 통해 각각 차체(1)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퀵드랍커넥터(100)는 배터리시스템(2)을 차체에 간단하면서 빠르게 장착 및 해체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체결을 위한 설비 비중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퀵드랍커넥터(100)는 차량커넥터(20)가 차체연결부(10)와 스프링(14)으로 연결되어 차량커넥터(20)와 배터리커넥터(40)의 조립위치가 부정확한 경우에도 스프링(14)의 유격을 이용하여 조립 위치를 조정가능할 수 있어 조립허용 공차범위에서 조립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퀵드랍커넥터(100)는 차체연결부(10)와 차량커넥터(20)가 스프링(14)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즉각적인 대응 및 흡수, 분산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퀵드랍커넥터(100)는 차체연결부(10)와 차량커넥터(20)가 스프링(14)에 의해 지지되어 배터리시스템(2)으로 불필요한 물리적 작용력의 전달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상태 유지를 지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퀵드랍커넥터(100)는 가이드핀(30)의 끝단과 가이드홀단이 테이퍼져 있어 체결을 위한 삽입시 가이드 기능으로 체결 작업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차체 2 : 배터리시스템
10 : 차체연결부 11 : 브라켓몸체
12 : 걸림홀 13 : 제1돌기
14 : 스프링 20 : 차량커넥터
21 : 차체커넥터몸체 22 : 걸림단
22a : 걸림판 23 :제2돌기
24 : 핀결합단 25 : 대응고전압커넥터
26 : 저전압커넥터 30 : 가이드핀
31 : 원뿔단 32 : 스톱퍼
40 : 배터리커넥터 41 : 가이드홀단
41a : 경사면 42 : 배터리커넥터몸체
43 : 고전압커넥터 44 : 저전압커넥터
100 : 퀵드랍커넥터

Claims (7)

  1.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브라켓몸체의 양측 끝단에 한 쌍으로 형성된 걸림홀을 구비하고, 차체에 설치하는 차체연결부;
    상기 차체연결부에 하부로 결합되는 차량커넥터;
    상기 차량커넥터의 하부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한 쌍의 가이드핀; 및
    상기 차량커넥터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핀이 삽입될 정 위치를 벗어난 조립 공차 발생 상태에서도 안내되며 삽입되도록 한 쌍의 가이드홀단을 양측에 형성한 배터리시스템에 설치하는 배터리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커넥터는
    상기 차체연결부의 걸림홀에 걸림되도록 차체커넥터몸체의 양 끝단 상부면에서 돌출하는 한 쌍의 걸림단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단은 탄성을 지니도록 형성하며, 상기 걸림단이 걸림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으로 상기 차체연결부와 연결되어 좌, 우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경사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연결부는
    상기 걸림홀이 형성된 내측 양 끝단 하부면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에 끼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커넥터는
    상기 걸림단이 형성된 내측 양 끝단 상부면에는 스프링이 끼움되는 다수개의 제2돌기;
    상기 제2돌기가 형성된 양 끝단 하부면에는 가이드핀이 끼움되는 한 쌍의 핀결합단; 및
    상기 차체커넥터몸체의 중앙 하부면에는 대응고전압커넥터, 대응저전압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봉 형태로 하부 끝단이 뾰족하게 원뿔단을 형성하며,
    상기 원뿔단이 형성된 반대측 상부에는 차량커넥터의 핀결합단에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구성되는 것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핀결합단의 하부 끝단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핀의 수직 방향으로 정위치하는 것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커넥터는 배터리커넥터몸체의 양측에 가이드핀이 삽입되도록 가이드홀단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커넥터몸체의 중앙 상부면에는 대응고전압커넥터, 대응저전압커넥터와 각각 접속하는 고전압커넥터, 저전압커넥터가 구성되는 것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단은 상부면이 하부로 경사지게 함몰된 경사면을 형성하여 가이드핀의 원뿔단이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KR1020170172446A 2017-12-14 2017-12-14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KR10249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46A KR102490609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46A KR102490609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09A KR20190071409A (ko) 2019-06-24
KR102490609B1 true KR102490609B1 (ko) 2023-01-19

Family

ID=6705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446A KR102490609B1 (ko) 2017-12-14 2017-12-14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730A (ko) * 2020-02-19 2021-08-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및 커넥터 어셈블리
KR20230028035A (ko) 2021-08-20 2023-0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제어기 출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시스템
CN114030367B (zh) * 2021-11-05 2023-12-29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电动汽车、升降式车用电池箱及电池箱的降温抛弃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74B1 (ko) * 2013-04-18 2014-03-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장착장치
KR101595188B1 (ko) * 2014-10-29 2016-02-17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자가 정렬 가능한 전기 접속 장치 및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854B1 (ko) 2011-05-04 2013-05-15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모듈의 전압센싱 커넥터모듈
KR101373597B1 (ko) * 2012-06-22 2014-03-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배터리 연결장치
KR20170073145A (ko) * 2015-12-18 2017-06-28 중소기업은행 전기 자동차 배터리 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74B1 (ko) * 2013-04-18 2014-03-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배터리용 커넥터 장착장치
KR101595188B1 (ko) * 2014-10-29 2016-02-17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자가 정렬 가능한 전기 접속 장치 및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409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9296B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CN110603662B (zh) 用于结合电极引线的汇流条组件和包括该汇流条组件的电池模块
CN110710027B (zh) 汇流条组件和包括该汇流条组件的电池模块
KR102490609B1 (ko)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퀵드랍 커넥터 구조
KR102002954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379227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6953039B (zh) 电池模块和电池组
KR101561123B1 (ko) 조립식 전압 센싱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269112B1 (ko) Bms 유동 방지용 댐핑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7843165B2 (en) Charging apparatus
KR20190064839A (ko) 전장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74776B1 (ko) 배터리 모듈
US11764504B2 (en) Connector
KR2017005630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095077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094985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9964336B (zh) 动力电池顶盖结构、动力电池及电池模组
CN109937494B (zh) 动力电池顶盖结构、动力电池及电池模组
KR101792819B1 (ko) 전지팩용 릴레이 어셈블리
US20220393394A1 (en) Connector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Vehicle, and Connector Assembly
KR20190036245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CN210437040U (zh) Bms主动均衡插接组件及充电系统
KR101817238B1 (ko) 배터리 팩
CN218414965U (zh) 单体电池、电池包及电器设备
CN218996947U (zh) 通用电池模组及电池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