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598B1 -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598B1
KR102490598B1 KR1020210050889A KR20210050889A KR102490598B1 KR 102490598 B1 KR102490598 B1 KR 102490598B1 KR 1020210050889 A KR1020210050889 A KR 1020210050889A KR 20210050889 A KR20210050889 A KR 20210050889A KR 102490598 B1 KR102490598 B1 KR 10249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function
adapter
module
platform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509A (ko
Inventor
김대호
박병현
윤주현
심범석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5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8Execution paradigms, e.g. implementations of programming paradigms
    • G06F9/4482Procedural
    • G06F9/4484Executing sub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5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model driv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6Software re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로세서가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설치파일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파일 내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용 문서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에 대응되는 어댑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어댑터에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 INSTALLATION SERVICE}
본 발명은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시 외부 라이브러리와의 호환성을 강화하고 독립성을 증진시켜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을 구현하는 어댑터(Adapter)를 제공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게임 개발은 대부분 게임에 필요한 모든 시스템을 직접 개발하였지만, 최근에는 게임 엔진의 발전으로 인해 필요한 특정 게임 시스템 부분들만 개발을 하면 되기 때문에 개발에 필요한 시간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게임 엔진은 게임 개발에 있어서 공통적이고 자주 쓰이는 하부 작업들을 대신해 줄 뿐 아니라 고급 게임 기술들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최근의 게임 개발 동향은 거의 대부분이 게임 엔진을 사용하여 만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게임 엔진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현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게임 엔진들은 언리얼 엔진, 크라이 엔진, 소스 엔진, 오우거 엔진, 유니티3d 엔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게임 엔진은 게임을 제작하기 위해 제공되는 각종 API 집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보통 게임 엔진은 게임 하나만을 위해 사용되고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게임 제작에 자주 활용되는 것들을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나 모듈의 형태로 구현해 놓는다.
또한, 제작된 게임이 특정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게임 엔진 상에 각종 개발 키트(Development Kit)를 적용하고, 제작된 게임에서의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게임 개발 과정에서 각종 sdk를 연동시킨다.
다만, 플랫폼에 따라서 적용 가능한 sdk가 상이하여 게임 개발자들은 일일이 제작된 게임이 실행될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 이에 적합한 sdk를 조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또한, 적용할 sdk를 다운로드 받은 후에도 게임 엔진의 external tools을 이용하여 sdk가 위치하는 경로를 지정하는 과정에서 게임 엔진의 사용법에 대한 많은 지식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는 게임 엔진에 대한 초기 접근을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아울러, 각종 sdk들은 각각의 개발자들이 지속으로 기능을 개선하거나 오류를 수정하여 업데이터 버전을 내놓고 있으나 게임 개발자 자신의 컴퓨팅 장치나 게임 엔진과 sdk 간의 호환성 문제 등으로 sdk 설치 및 설정 정보를 세팅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에 대처할 뚜렷한 방법을 아직까지 제안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더하여, 위와 같은 각종 sdk들이 제공하는 수많은 라이브러리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은 유지보수의 관점에서나 통일된 개발 엔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만들고 있다.
KR 2018-0027031 A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시 외부 라이브러리와의 호환성을 강화하고 독립성을 증진시켜 원활한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을 구현하는 어댑터(Adapter)를 제공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개발 엔진)의 SDK 설치 및 SDK의 설정 정보를 세팅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로세서가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설치파일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파일 내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용 문서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에 대응되는 어댑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어댑터에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는,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1 어댑터와,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2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2 어댑터와, 제2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3 어댑터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하드웨어 아키텍처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의미하고, 상기 부가기능은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은, 상기 부가기능 별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가기능 별 어댑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가기능 별 어댑터 모듈은, 상기 플랫폼 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플랫폼 별 어댑터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획득된 부가기능 설치모듈과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세팅하는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된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플랫폼 중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부가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플랫폼과 상기 선택된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는, 제3 부가기능에 대한 제4 어댑터와, 상기 제4 어댑터와 복수의 플랫폼의 제3 부가기능의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브릿지 어댑터 모듈(Bridge Adapter Modules)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이 상기 제3 부가기능일 때,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에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소정의 플랫폼 별 카테고리 및 소정의 부가기능 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설치파일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파일 내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용 문서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고,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에 대응되는 어댑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어댑터에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1 어댑터와,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2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2 어댑터와, 제2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3 어댑터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시 외부 라이브러리와의 호환성을 강화하고 독립성을 증진시켜 원활한 크로스 플랫폼을 구현하는 어댑터를 제공함으로써, 자체의 플랫폼과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외부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외부 라이브러리를 가져오더라도 호환성 문제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위와 같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플랫폼 간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어댑터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플랫폼과 연동하여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시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고, 수많은 외부 라이브러리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하는 외부 라이브러리가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되더라도 쉽게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외부 라이브러리에 대한 추가/삭제 등과 같은 유지보수 비용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개발 엔진)의 sdk 설치 및 sdk의 설정 정보를 세팅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대한 sdk의 적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제작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각종 부가기능용 sdk의 설치 및 설정 정보를 세팅하여 제공 가능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상에 소정의 sdk를 빠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과 브릿지 어댑터 모듈(Bridge Adapter Modules)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sdk 설치 및 sdk의 설정 정보를 세팅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 상에서 표시되는 제1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용 플랫폼 체크 박스와 ios 플랫폼 체크 박스를 체크한 상태에서의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든 체크 박스를 체크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용 플랫폼 항목에 대한 부가기능용 sdk의 정보를 나타낸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든 체크 박스를 체크한 상태에서 안드로이드 플랫폼 항목에 대한 부가기능용 sdk의 정보를 나타낸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댑터 모듈 및/또는 브릿지 어댑터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dk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관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이하, 부가기능 제공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단말(100),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 SDK 제공서버(3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의 각 요소들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펌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러한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요소들은 예를 들어 서버들, 소프트웨어 프로세서들, 그리고 엔진들 및/또는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연관될 수 있다. 그리고 요소들은 콘텐츠 비딩 및/또는 분산 네트워크로써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제공 시스템(10)은,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시 외부 라이브러리와의 호환성을 강화하고 독립성을 증진시켜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을 구현하는 어댑터(Adapter)를 제공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댑터란,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호환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여 크로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주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어댑터는, 일 플랫폼의 인터페이스를 타 플랫폼의 인터페이스로 변환해주어 상호 호환성 문제로 인해 함께 사용될 수 없었던 인터페이스 간 연결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가기능이란,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 및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인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제작 엔진(예컨대, 유니티(Unity) 및/또는 언리얼(Unreal)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핵심 서비스 이외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가기능은, 상기 제작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 게임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해당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핵심 서비스인 게임 서비스 이외의 로그인 인증 서비스, 결제 서비스, 알림 서비스 및/또는 보안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부가적인 서비스들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부가기능은, 소정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예컨대, 구글(google), 안드로이드(Android), IOS,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페이코(payco), 유니티(Unity) 및/또는 언리얼(Unreal) 등)이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 모듈 각각에서 구현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랫폼은,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하드웨어 아키텍처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술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자체 플랫폼 및/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이외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외부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가기능은, 상기 자체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자체 sdk모듈에 의하여 구현되는 서비스인 자체 부가기능과, 상기 외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외부 sdk모듈에 의하여 구현되는 서비스인 외부 부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자체 부가기능은, 기본적으로 상술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탑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체 부가기능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예컨대, 유니티(Unity) 등)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로그인 인증 서비스, 결제 서비스, 통계 서비스, 점검 서비스, 알림(PUSH) 서비스 및/또는 보안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상기 외부 부가기능은, 구글(google), 안드로이드(Android), IOS,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및/또는 페이코(payco) 등의 외부 플랫폼이 제공하는 로그인 인증 서비스, 결제 서비스, 통계 서비스, 점검 서비스, 알림(PUSH) 서비스 및/또는 보안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부가기능 제공 시스템(10)을 구현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 SDK 제공서버(300) 및 네트워크(500)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클라이언트 단말(100: Client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 폰, 모바일 전화기, PDA, 태블릿 PC, 혹은 서버와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다양한 머신들 상에서 실행되고, 다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해석하여 실행하는 프로세싱 로직을 포함하고, 외부 입력/출력 디바이스 상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위한 그래픽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로세스들 등과 같이 다양한 기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입력 장치(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 감지 표면 등) 및 출력 장치(예를 들면 모니터, 스크린 등)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들,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워드 프로세서들, 미디어 플레이어들, 스프레드시트들, 이미지 프로세서들, 보안 소프트웨어 또는 그 밖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과 브릿지 어댑터 모듈(Bridge Adapter Modules)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자세히,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은, 컴퓨터·비디오 게임 같은 실시간 그래픽 표시 기능을 갖춘 상호 작용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핵심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은,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재사용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은 상용 엔진으로써 언리얼 엔진, 유니티 엔진, 크라이 엔진, 코코스2d 등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게임 개발사 등이 개발한 각종 자체 게임 제작 엔진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새롭게 개발되는 게임 제작 엔진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구동과 연관되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각종 패키지를 적용할 수 있는 임포트(impor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은,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상술된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400: 이하, 세팅 애플리케이션)을 임포트시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과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이 상호 작용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은,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팅 애플리케이션(400)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sdk모듈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를 호환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 Base Adapter Modules)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이란, 상술된 플랫폼 및 부가기능(즉, sdk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 집합을 포함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은, 각각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sdk모듈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들을 포함하는 집합체에 의한 모듈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별 어댑터 모듈(431)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 내에 소정의 제1 부가기능(예컨대, 로그인 인증 서비스) 어댑터 모듈, 제2 부가기능(예컨대, 결제 서비스) 어댑터 모듈, 제3 부가기능(예컨대, 알림 서비스) 어댑터 모듈, …, 제n 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부가기능 별 어댑터 모듈(431)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 별 어댑터 모듈(43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부가기능 별 어댑터 모듈(431)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제1 플랫폼(예컨대, 구글(google)) 어댑터 모듈, 제2 플랫폼(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 어댑터 모듈, 제3 플랫폼(예컨대, IOS) 어댑터 모듈, …, 제n 플랫폼 어댑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 내에 제1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 별 어댑터 모듈(432)(실시예에서, 제1 내지 n 플랫폼 어댑터 모듈)과, 제2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 별 어댑터 모듈(432)(실시예에서, 제1 내지 n 플랫폼 어댑터 모듈)과, 제n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 별 어댑터 모듈(432)(실시예에서, 제1 내지 n 플랫폼 어댑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소정의 부가기능(즉, 실시예에서 sdk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및 플랫폼 별로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어댑터를 사전에 구축하고, 이를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소정의 부가기능을 임포트(import)할 시 활용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자체 플랫폼과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외부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sdk모듈을 가져오더라도 상호 상이한 인터페이스에 의한 호환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sdk모듈에 대한 의존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하는 외부 sdk모듈이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되더라도 쉽게 연동할 수 있고, 해당 외부 sdk모듈에 대한 추가/삭제 등과 같은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자체 부가기능과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임포트되는 외부 부가기능이 중첩되는 경우,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 Bridge Adapter Module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이란, 상기 자체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자체 sdk모듈과, 상기 자체 부가기능과 동일한 부가기능의 외부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sdk모듈 간의 중복되는 클래스나 인스턴스 등을 필터링하고 상호 통합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부가기능에 대한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생성해주는 모듈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은, 상기 자체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자체 부가기능 별로 매칭되어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소정의 제1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제1 자체 sdk모듈과, 상기 제1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제1 외부 sdk모듈을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이용하여 통합해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한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에 기초하여 생성된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해당하는 플랫폼 및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에 기초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임포트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생성된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에 대응되는 제1 외부 플랫폼에 대한 플랫폼 어댑터 모듈을 상술된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에 기초하여 검출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이 소정의 제1 외부 플랫폼으로부터 획득된 소정의 제1 부가기능에 대한 제1 외부 sdk모듈에 기반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로부터 상기 제1 외부 플랫폼에 대응되는 제1 플랫폼 어댑터 모듈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검출된 제1 플랫폼 어댑터 모듈로부터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제1 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검출된 제1 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한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임포트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자체 부가기능과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임포트되는 외부 부가기능이 중첩되면, 해당하는 부가기능에 대한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과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의 어댑터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상기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sdk모듈을 인터페이스 간 호환성 문제를 최소화하며 임포트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외부의 장치(예컨대,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 및/또는 SDK 제공서버(300) 등)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Memory)들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들을 포함할 수 있다.
-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 Additional service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제작 엔진(예컨대, 유니티(Unity) 및/또는 언리얼(Unreal) 등))의 애플리케이션(실시예로, 게임 애플리케이션) 제작에 필요한 각종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가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설치파일을 sdk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다양한 형식의 부가기능을 설치하기 위한 부가기능 설치파일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파일에 포함된 부가기능 설치모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복수의 SDK 제공서버(300) 각각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sdk모듈을 버전 별로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체 sdk모듈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sdk 설치 및 설정 정보 세팅에 필요한 설정용 문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설정용 문서 파일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라는 마크업 언어로 구성되어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와 클라이언트 단말(100) 사이의 데이터를 주고받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저장된 각종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각종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단말(100)은, 수신된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제작하고자 하는 소정의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 상에 설치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클라이언트 단말(100)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소정의 sdk모듈을 상술된 어댑터(Adapter)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 상에 설치할 수 있는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SDK 제공서버(300: sdk providing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DK 제공서버(300)는, 해당하는 SDK 제공서버(300)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예컨대, 구글(google), 안드로이드(Android), IOS,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및/또는 페이코(payco) 등)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sdk모듈을,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또는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 등)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소정의 제1 플랫폼(예컨대, 구글(google) 등)의 제1 SDK 제공서버(300)는,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1 내지 n 부가기능을 구현하는 제1 내지 n sdk모듈을 클라이언트 단말(100) 및/또는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 네트워크(500: Network)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5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 및/또는 SDK 제공서버(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500) 및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는, 무선 통신망, 유선 통신망, 광학, 초음파, 또는 이들의 조합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네트워크(500)는 무선 인터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는 인공위성 통신, 모바일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그리고 WiMAX(wor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500)는 유선 인터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는 이더넷(Ethernet),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ver to the home),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500)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긴 거리를 가로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500)는 직접 접속,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500)는 상술된 구성 요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실시예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시 외부 라이브러리와의 호환성을 강화하고 독립성을 증진시켜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을 구현하는 어댑터(Adapter)를 기반으로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100) 상에는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된 것으로 전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S110),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기초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임포트(import)하는 단계(S120),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이 임포트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기초로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S130), 획득된 설정용 문서 파일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140), 제공된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sdk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S110)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 및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인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제작 엔진(예컨대, 유니티(Unity) 및/또는 언리얼(Unreal) 등))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기초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임포트(import)할 수 있다. (S120)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기초로 1)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연동하여 상술된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부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sdk모듈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를 호환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 Base Adapter Modules)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제작 엔진)에서 제공하는 각종 어포던스(affordance)들 중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의 다운로드를 실행하는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의 다운로드용 어포던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의 다운로드용 어포던스의 선택에 응답하여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청을 수신한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저장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상기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2) 상기 다운로드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임포트(import)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임포트 시키기 위하여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 대한 경로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입력된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다운로드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상에 임포트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이 임포트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기초로 소정의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S130)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이 임포트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기초로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가 포함하는 복수의 플랫폼 별 sdk모듈(이하, 플랫폼용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는, 복수의 플랫폼 각각이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별 sdk(이하, 부가기능용 sdk)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sdk 설치 및 sdk의 설정 정보를 세팅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100) 상에서 표시되는 제1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보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S130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제작 엔진)에 임포트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실행하는 단계(S131), 상기 실행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기초로 제1 어포던스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410)를 표시하는 단계(S132), 상기 제1 어포던스의 선택을 검출하여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복수의 플랫폼용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S133) 및 수신된 복수의 플랫폼용 sdk를 설치하는 단계(S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 기초하여 소정의 제1 인터페이스(4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인터페이스(410)는, 소정의 제1 어포던스(af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어포던스(af1)는,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 미리 정해진 파일의 전송을 요청을 실행하기 위한 일종의 버튼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포던스(af1)를 선택(예시적으로, 클릭이나 터치 등)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포던스(af1)의 선택에 응답하여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 미리 정해진 파일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의 미리 정해진 파일은 복수의 플랫폼용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는, 예시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용 sdk, 안드로이드 sdk 및/또는 iso sdk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용 sdk는, 각종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가 될 수 있다.
여기서의 각종 운영체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제작된 애플리케이션이 기본적으로 실행 가능한 운영체제로써 예시적으로 윈도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안드로이드 sdk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이용하는 기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가 될 수 있고, ios sdk는, ios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기기 상에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가 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술된 파일의 전송 요청에 따라서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플랫폼용 sdk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플랫폼용 애플리케이션(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기본 환경을 갖출 수 있다.
이때,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운영체제나 애플리케이션 제작 정보의 고유 정보 등에 따라서, 호환 가능한 플랫폼용 sdk에 소정의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복수의 플랫폼용 sdk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과의 호환성 문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sdk와의 원활한 호환성을 지원하는 소정의 어댑터(Adapter)를 이용하여, 자체 플랫폼(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외부 플랫폼으로부터 상술된 sdk를 가져오더라도 호환성 문제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고 상기 sdk의 업데이트에 따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포던스(af1)의 선택에 응답하여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 미리 정해진 파일의 전송을 요청함과 동시에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고유 정보, 운영체제 정보 및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를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위와 같이 수신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고유 정보, 운영체제 정보 및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 등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설정용 문서 파일들 중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적합한 설정용 문서 파일과 해당 설정용 문서 파일에 매칭된 복수의 플랫폼용 sdk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설정용 문서 파일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 상에 플랫폼용 sdk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의 고유 정보 및 운영체제 정보에 적합한 설정용 문서 파일을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획득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개별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특정 플랫폼에 대한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만을 추출하여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맞춤형 sdk를 기초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종 플랫폼용 애플리케이션(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기본 환경을 세팅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설치된 복수의 플랫폼용 sdk에 대한 삭제 프로세스나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설치된 복수의 플랫폼용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 대한 삭제 프로세스나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획득된 sdk 및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소정의 제2 인터페이스인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를 제공할 수 있다. (S140)
자세히,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수신된 설정용 문서 파일을 파싱하고(S141), 파싱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설치된 복수의 플랫폼용 sdk의 위치 경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42).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 정보를 소정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분류할 수 있다(S143).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소정의 카테고리에 따라서 분류된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 sdk 정보를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S144).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란, 제작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설치하고자 하는 sdk를 세팅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를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카테고리에 따라서 분류하여 표시해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를 소정의 플랫폼(예컨대, 구글(google), 안드로이드(Android), IOS,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페이코(payco), 유니티(Unity) 및/또는 언리얼(Unreal) 등) 별로 구분되는 카테고리인 플랫폼 별 카테고리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를 제1 플랫폼(예컨대, 구글(google)) 카테고리, 제2 플랫폼(예컨대, IOS) 카테고리, …, 제n 플랫폼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를 소정의 부가기능(예컨대, 로그인 인증 서비스, 결제 서비스, 통계 서비스, 점검 서비스, 알림(PUSH) 서비스 및/또는 보안 서비스 등) 별로 구분되는 카테고리인 부가기능 별 카테고리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플랫폼용 sdk 내 복수의 부가기능용 sdk를 제1 부가기능(예컨대, 로그인 인증 서비스) 카테고리, 제2 부가기능(예컨대, 결제 서비스) 카테고리, …, 제n 부가기능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상기 플랫폼 별 카테고리 및/또는 부가기능 별 카테고리로 분류된 상태의 복수의 플랫폼용 sdk를 획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소정의 플랫폼 및/또는 부가기능 별 카테고리에 따라서 분류되어 획득된 복수의 플랫폼용 sdk를 상술된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를 기초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플랫폼의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이용하여 제작된 게임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부가기능용 sdk는, 제1 플랫폼의 제작자가 제공하는 로그인 인증 부가기능용 sdk가 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작된 게임에서 제2 플랫폼을 통한 결제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는 경우 부가기능용 sdk는, 제2 플랫폼의 제작자가 제공하는 결제 부가기능용 sdk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제작된 게임이 설치된 특정 운영체제 및/또는 제작된 게임이 설치된 기기 상의 다른 플랫폼을 통한 알림(push)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부가기능용 sdk는, 알림 부가기능용 sdk가 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예시에서, 제2 플랫폼을 통한 결제 기능이 특정 플랫폼에서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에 의한 호환성 문제로 인하여 구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구비된 어댑터(Adapter)를 이용하여, 호환성 문제를 가지는 소정의 부가기능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의 플랫폼 상에서도 구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용 플랫폼 체크 박스와 ios 플랫폼 체크 박스를 체크한 상태에서의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든 체크 박스를 체크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용 플랫폼 항목에 대한 부가기능용 sdk의 정보를 나타낸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에 대한 예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에 기반하여 복수의 어포던스들과 플랫폼 표시바(423)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어포던스들은, 제1 및 제2 체크 박스(421, 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체크 박스(421, 422)는, 설정용 문서 파일에 포함된 플랫폼용 sdk 및 부가기능용 sdk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제1 체크 박스(421)는,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플랫폼 체크 박스, 안드로이드 플랫폼 체크 박스 그리고 ios 플랫폼 체크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예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플랫폼 체크 박스, 안드로이드 플랫폼 체크 박스 그리고 ios 플랫폼 체크 박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플랫폼 표시바(423)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체크된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플랫폼 정보만을 상기 플랫폼 표시바(42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플랫폼 표시바(423)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 중에서 선택된 플랫폼에 대응하는 부가기능용 sdk 정보를, 상기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를 기초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예서 상기 부가기능용 sdk 정보는, 상술된 제2 체크 박스(422)내에 포함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더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프로세서는,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플랫폼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인증 기능을 구현하는 제1 로그인 인증용 sdk 정보를 포함한 제2 체크 박스(42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든 체크 박스를 체크한 상태에서 안드로이드 플랫폼 항목에 대한 부가기능용 sdk의 정보를 나타낸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에 대한 예시도이다.
다른 예시로, 프로세서는, 도 10과 같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인증 기능을 구현하는 제2 및 제3 로그인 인증용 sdk 정보, 결제 기능을 구현하는 제1 결제용 sdk 정보, 알림 기능을 구현하는 제1 및 제2 알림용 sdk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체크 박스(422)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술된 바와 같은 복수의 제2 체크 박스(422)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시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과 관련된 부가기능용 sdk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제공된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sdk를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상에 설치할 수 있다. (S150)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를 기초로 표시되는 복수의 부가기능용 sdk 중,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선택된 부가기능용 sdk(이하,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상술된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설치하고 그 설정 정보를 세팅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는,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서 제작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는, 상기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 상에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수신, 설치 그리고 자동 세팅을 실행하기 위한 제2 어포던스(af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어포던스(af2)는, 상술된 제2 체크 박스(422)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체크된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어포던스(af2)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체크 박스(422) 상에서 선택된 확정 부가기능용 sdk의 전송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위와 같이 전송된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저장된 부가기능용 sdk를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술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 기반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부가기능용 sdk를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에 설치하고 설정 정보를 세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기초로 상술된 설정용 문서 파일에 대한 분석 정보에 기반하여 적절한 저장 경로에 따라 수신한 부가기능용 sdk를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특정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특정 부가기능용 sdk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플랫폼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경로 상에 해당 부가기능용 sdk의 저장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제작 엔진)을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플랫폼용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경우,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기능용 sdk를 상기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경로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는, 상기 제작되는 게임 상에 각종 부가기능을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대하여 지정된 경로 상에 설치된 각종 부가기능용 sdk를, 상기 경로를 통해 진입한 메모리 내 저장 공간 상에서 호출하여 상기 게임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각종 부가기능용 sdk를 다운로드할 시 이들이 적용되는 플랫폼과 해당 플랫폼의 저장 위치 그리고 플랫폼이 지정한 부가기능용 sdk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확인하지 않고도, 해당 각종 부가기능용 sdk를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420)에 제3 어포던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어포던스에 대한 사용자 선택에 응답하여 상술된 제2 체크 박스들(422) 중 체크되어 있는 제2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sdk를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단말(100) 상에서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는, 상기 체크된 제2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sdk가 이미 설치된 경우에만 상기 제3 어포던스를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상기 체크된 제2 체크 박스에 대응하는 sdk가 이미 설치된 경우에만 상기 제3 어포던스를 활성화함으로써, 해당하는 부가기능용 sdk의 설치가 필요하거나 필요하지 않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 및/또는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sdk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다시 돌아와서, 도 2,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확정 부가기능 sdk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설치할 시 프로세서는, 상술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이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 및/또는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에 기반하여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으로 제작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와,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의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를 호환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을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 기초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이란, 상술된 플랫폼 및/또는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 집합을 포함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은, 각각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sdk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들을 포함하는 집합체에 의한 모듈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구동하여 상술된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용 sdk 즉, 확정 부가기능용 sdk에 대응되는 소정의 제1 플랫폼-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을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가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에 대한 sdk인 경우,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로부터 상기 제1 플랫폼의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어댑터인 제1 플랫폼-제1 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1 플랫폼-제1 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에 기반하여,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호환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되고 선택된 제1 플랫폼-제1 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에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임포트함으로써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원활히 호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각각의 플랫폼 및/또는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어댑터를 사전에 구축하고 이를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임포트(import)할 시 활용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자체 플랫폼(즉,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플랫폼)과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외부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가져오더라도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해당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에 대한 의존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하는 확정 부가기능용 sdk가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되더라도 쉽게 연동할 수 있고, 해당 확정 부가기능용 sdk에 대한 추가/삭제 등과 같은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에 의하여 제공되는 부가기능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자체 부가기능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의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이용하여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상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이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의 자체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자체 sdk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이외의 외부 플랫폼에서 상기 자체 부가기능과 동일한 부가기능의 외부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외부 sdk 간의 중복되는 클래스나 인스턴스 등을 필터링하고 상호 통합되도록 연결하여 상기 부가기능에 대한 자체-외부 단일 sdk를 생성해주는 모듈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은, 상기 자체 부가기능 별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자체 부가기능 별로 매칭되어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을 구동하여 상술된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가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자체 부가기능 중 적어도 하나(이하, 제1 자체 부가기능)와 중복되면,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와 상기 제1 자체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제1 자체 부가기능용 sdk를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 상에 설치된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이용하여 통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임포트된 상기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체 부가기능 중에서,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가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과 중첩되는 제1 자체 부가기능이 존재하면,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된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이용하여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와 상기 제1 자체 부가기능용 sdk를 통합할 수 있다.
그리하여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한 제1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가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임포트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서 제공하는 자체 부가기능 중 적어도 하나(이하, 제1 자체 부가기능)와 중복되면, 상술된 세팅 애플리케이션(400)에 기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된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로부터 상기 제1 자체 부가기능에 매칭되어 있는 제1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1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이용하여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와 상기 제1 자체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제1 자체 부가기능용 sdk를 통합한 제1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가 제공하는 제1 부가기능이 소정의 제1 플랫폼(예컨대, 구글(google) 등)의 로그인 인증 서비스이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자체 로그인 인증 서비스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자체 로그인 인증 서비스에 매칭되어 있는 제1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1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플랫폼의 로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확정 부가기능용 sdk와, 상기 자체 로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자체 부가기능용 sdk를 통합한 제1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위와 같이 생성된 제1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해당하는 부가기능 및 플랫폼에 대응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에 기초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임포트시킬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제1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에 대응되는 외부 플랫폼에 대한 제1 플랫폼 어댑터 모듈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제1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이 소정의 제1 외부 플랫폼으로부터 획득하여 생성된 제1 부가기능에 대한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인 경우,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로부터 상기 제1 외부 플랫폼에 대응되는 제1 플랫폼 어댑터 모듈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1 플랫폼 어댑터 모듈로부터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제1 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1 부가기능 어댑터 모듈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한 제1 자체-외부 단일 sdk모듈을 임포트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자체 부가기능과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임포트되는 외부 부가기능이 중첩되면, 해당하는 부가기능에 대한 브릿지 어댑터 모듈(440)과 베이스 어댑터 모듈(430)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의 어댑터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상기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sdk를 소정의 충돌이나 오류 없이 임포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설치된 sdk에 대한 코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설치된 sdk와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정/편집할 수 있는 코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상기 코딩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하려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실시예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상기 sdk 기반 코드들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로 구현되는 모듈 간의 호환성을 사용자의 인지적 능력까지 동원하여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시 외부 라이브러리와의 호환성을 강화하고 독립성을 증진시켜 원활한 크로스 플랫폼을 구현하는 어댑터를 제공함으로써, 자체의 플랫폼과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외부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외부 라이브러리를 가져오더라도 호환성 문제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위와 같이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플랫폼 간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어댑터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플랫폼과 연동하여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시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고, 수많은 외부 라이브러리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하는 외부 라이브러리가 업데이트되거나 변경되더라도 쉽게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외부 라이브러리에 대한 추가/삭제 등과 같은 유지보수 비용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실시예로, 게임 개발 엔진)의 sdk 설치 및 sdk의 설정 정보를 세팅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에 대한 sdk의 적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제작하고자 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각종 부가기능용 sdk의 설치 및 설정 정보를 세팅하여 제공 가능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제작 프로그램 상에 소정의 sdk를 빠르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클라이언트 단말의 프로세서가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설치파일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파일 내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용 문서 파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에 대응되는 어댑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어댑터에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는,
    제1 부가기능에 대한 제1 어댑터와, 상기 제1 어댑터와 복수의 플랫폼의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브릿지 어댑터 모듈(Bridge Adapter Modules)을 설치하는 단계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Bridge Adapter Modules)은,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의 제1 자체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제1 자체 모듈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의 상기 제1 자체 부가기능과 동일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 간의 중복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상기 중복 데이터를 필터링한 상기 제1 자체 모듈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한 자체-외부 단일 모듈을 생성하는 모듈인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는,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2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2 어댑터와,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3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3 어댑터와, 제2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2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4 어댑터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는 하드웨어 아키텍처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의미하고,
    상기 부가기능은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은,
    상기 부가기능 별로 구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가기능 별 어댑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부가기능 별 어댑터 모듈은, 상기 플랫폼 별로 구분되는 복수의 플랫폼 별 어댑터 모듈을 포함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부가기능 설치모듈과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세팅하는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공된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된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플랫폼 중 하나의 플랫폼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부가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플랫폼과 상기 선택된 부가기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설치하고자 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이 상기 제1 부가기능일 때, 상기 브릿지 어댑터 모듈에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 세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소정의 플랫폼 별 카테고리 및 소정의 부가기능 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9. 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기능 설치파일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파일 내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용 문서 파일을 획득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상기 설정용 문서 파일을 기초로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 상에 설치하고,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플랫폼 및 부가기능 별로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댑터를 포함하는 베이스 어댑터 모듈(Base Adapter Modules)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고,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에 대응되는 어댑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어댑터에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제1 부가기능에 대한 제1 어댑터와, 상기 제1 어댑터와 복수의 플랫폼의 상기 제1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브릿지 어댑터 모듈(Bridge Adapter Modules)을 설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부가기능 세팅 애플리케이션의 제1 자체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제1 자체 모듈과 상기 복수의 플랫폼의 상기 제1 자체 부가기능과 동일한 부가기능을 제공하는 부가기능 설치모듈 간의 중복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상기 중복 데이터를 필터링한 상기 제1 자체 모듈 및 상기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한 자체-외부 단일 모듈을 생성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2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2 어댑터와, 상기 제1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3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3 어댑터와, 제2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제2 부가기능에 대한 부가기능 설치모듈을 연결하는 제4 어댑터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어댑터 모듈을 상기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에 설치하는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50889A 2021-04-20 2021-04-20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9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89A KR102490598B1 (ko) 2021-04-20 2021-04-20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89A KR102490598B1 (ko) 2021-04-20 2021-04-20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509A KR20220144509A (ko) 2022-10-27
KR102490598B1 true KR102490598B1 (ko) 2023-01-19

Family

ID=8381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889A KR102490598B1 (ko) 2021-04-20 2021-04-20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5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956B1 (ko) * 2018-10-22 2020-06-09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게임 제작 엔진의 sdk 설치 및 sdk의 설정 정보를 셋팅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8629B2 (en) * 2011-04-06 2014-11-25 Media Direc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platform
KR102512883B1 (ko) * 2014-07-03 2023-03-21 에이블 월드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작업 환경에서 도구를 작동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응용하는 기계
KR101892702B1 (ko) 2016-09-05 2018-10-04 바이플러그 주식회사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는 앱 저작 서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956B1 (ko) * 2018-10-22 2020-06-09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게임 제작 엔진의 sdk 설치 및 sdk의 설정 정보를 셋팅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509A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52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rust levels for computing components
US9948700B2 (en) ADFDI support for custom attribute properties
KR101660148B1 (ko) 애플리케이션 서버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콤포넌트에 의한 서비스에 대한 콜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
US7984424B2 (en) Isolating declarative code to preserve customizations
Jendrock et al. Java EE 7 Tutorial, The, Volume 1
US202302444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retrofitting of customized code objects
US10089092B2 (en) Creating a software product from a software application
US117972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odels with auto-wiring
US11157270B2 (en) Multi-platform pattern-based user interfaces
CN111279321A (zh) 在api注册器中将后端服务端点绑定到api函数
US20120089485A1 (en) Product browser for software products
US20150365275A1 (en) Cloud environment configuration for cloud applications
CA30849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ource code generation to provide service layer functionality for legacy computing systems in 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US10268456B2 (en) Standardized approach to contextual code identification in editors and IDEs
CN117112060A (zh) 组件库构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490598B1 (ko) 부가기능 설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20956B1 (ko) 게임 제작 엔진의 sdk 설치 및 sdk의 설정 정보를 셋팅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및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US11443011B2 (en) Page objects library
US11132374B2 (en) Property painter
US20240078101A1 (en) Automated application deployment
Khushalani CI/CD Systems
Nayyeri et al. How to Extend and Customize SignalR Functionality
Hashimi et al. Supplement to Inside the Microsoft Build Engine: Using MSBuild and Team Foundation Bu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