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580B1 -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580B1
KR102490580B1 KR1020220063296A KR20220063296A KR102490580B1 KR 102490580 B1 KR102490580 B1 KR 102490580B1 KR 1020220063296 A KR1020220063296 A KR 1020220063296A KR 20220063296 A KR20220063296 A KR 20220063296A KR 102490580 B1 KR102490580 B1 KR 102490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astic
module
elastic for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포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포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포첵
Priority to KR102022006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웨이트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공간부에 설치되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과, 탄성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며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웨이트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라 함은 건강증진과 체력단련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운동방식과 단련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운동기구의 종류로는 근력보다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러닝머신이나 사이클 등의 유산소 운동과,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력 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근력 운동은 신체의 특정 부위를 이용해 일정 중량 이상의 웨이트 블럭(weight block)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통해 근력을 단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웨이트 블럭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웨이트 블럭을 직접 들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웨이트 블럭에 연결된 와이어를 잡아당기거나 웨이트 블럭에 파지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파지프레임을 들어올리는 등, 웨이트 블럭을 간접적으로 들어올리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근력 운동기구는 사용자에 맞게 중량을 조절하기 위해 웨이트 블럭을 교체하거나 추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웨이트 블럭의 교체, 추가시 낙하사고의 발생 위험이 있다.
아울러, 다수 개의 웨이트 블럭을 필요로 함에 따라 적절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설치 위치를 쉽게 옮기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웨이트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벽면 또는 바닥면 등 설치 위치도 쉽게 바꿀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탄성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롤러와, 상기 와이어롤러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기어와, 상기 스프링기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탄성모듈의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향해 탄성 지지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후크부재의 일측이 상기 탄성모듈의 일측에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재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확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부와, 상기 축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조절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후크부재는, 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의 전단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를 상기 회전부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에 의하면,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웨이트 중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별도의 웨이트 블럭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은 웨이트 블럭의 교체, 추가시 낙하사고의 발생 위험이 없어 안전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에 의하면, 종래의 웨이트 블럭을 이용하는 운동기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공간에 구애받지 않으며, 설치와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컴팩트한 사이즈로서, 보관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상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상부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에서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탄성모듈 및 조절모듈의 사시도.
도 10은 탄성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조절모듈의 작동 상태도.
도 13은 조절모듈의 회전부재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는 근력 운동을 위한 기구로서, 케이스(300)의 상측면 양측으로 와이어(200)가 인출되고, 케이스(300) 내부에는 와이어(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600)과, 탄성력 조절을 위한 조절모듈(700)이 설치된다.
케이스(300)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200)의 끝단에는 핸들 등 사용자가 파지하거나 팔이나 다리 등 신체의 일부를 걸어서 당길 수 있도록 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와이어(200)를 당긴 후 힘을 제거하면 탄성모듈(60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200)가 다시 케이스(300) 내부로 인입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파지부를 잡고 와이어(200)를 힘껏 잡아당긴 후 놓고, 다시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는 케이스(300)의 상측면에 올라서서 양쪽 손으로 와이어(200)를 신체의 상하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케이스(300)를 벽면이나 수직지지대(10, 도 14 참조)에 고정 설치한 후, 와이어(200)를 신체의 전후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운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는, 케이스(300)와, 케이스(3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200)와, 케이스(300) 내부에 설치되며 와이어(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600)과, 탄성모듈(6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모듈(700)을 포함한다.
케이스(300)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케이스(400)와 상부케이스(50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케이스(300)의 경우, 전체적으로 장방타원형이며 일측 장변의 중간부가 외측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의 외관을 갖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케이스(300)의 전체적인 외관 형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4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이며, 탄성모듈(600)과 조절모듈(7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부케이스(500)는 하부케이스(40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와 도 6은 상부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500)는 하부케이스(40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510)과, 상부프레임(5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520)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510)의 상측면은 둘레를 따라 낮게 단차 형성되며, 상부플레이트(520)가 상부프레임(510)의 상측면에 삽입, 결합된다.
상부프레임(510)의 중앙부 일측에 제1 관통홀(511)이 형성되는데, 이 제1 관통홀(511)과 후술하는 상부플레이트(520)의 제2 관통홀(521)을 통해 후술하는 모듈하우징(410, 도 7 참조)의 상단부가 케이스(300) 상부로 돌출된다. 제1 관통홀(511)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상부케이스(500) 위에 올라섰을 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원형의 보강리브(512)가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부프레임(510)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인출부(513)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인출부(513)의 상측면은 중앙이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출부(513)의 상측면 일측에 와이어(200) 인출을 위한 인출홀(514)이 관통 형성된다. 상부프레임(510)의 저면에는 와이어(200)가 인출홀(514)을 통해 케이스(30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200)의 인출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515)가 인출부(513)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부프레임(510)의 저면에는 제1 관통홀(511)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마운트부(516)가 구비된다. 이 마운트부(516)는 별도의 지지대에 운동기구(100) 장착시 지지대와 케이스(300)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상부프레임(5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마운트 하우징(517)과, 마운트 하우징(517)의 하부로 돌출되며 지지대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레버(518)와, 마운트 하우징(517) 내에 설치되어 결합레버(518)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결합레버(518)는 케이스(300) 내부로 수납될 수 있으며, 필요시 결합레버(518)를 회전시키면 탄성부재에 의해 결합레버(518)가 하부케이스(400)의 제6 관통홀(450, 도 7 참조)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지지대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520)는 상부프레임(510)의 상측면에 결합되며, 상부프레임(510)의 제1 관통홀(511)과 연통하도록 중앙부 일측에 제2 관통홀(52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측에는 상부프레임(510)의 인출부(513)에 대응하여 제3 관통홀(522)이 형성된다. 상부프레임(510)과 상부플레이트(520) 결합시 제3 관통홀(522)을 통해 인출홀(514)이 노출되며, 인출홀(514)을 통해 와이어(200)가 외부로 인출된다.
도 7은 도 1에서 상부케이스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하우징(410)의 내부에 탄성모듈(600)과 조절모듈(700)이 설치되며, 상부케이스(500)와 하부케이스(400) 결합시 모듈하우징(410)의 상단부가 제1,제2 관통홀(511,521)을 통해 상부케이스(500) 상부로 돌출된다.
모듈하우징(410)은, 하부케이스(400)의 바닥면 일측에 결합되는 인너하우징(420)과, 하단부가 상부프레임(510)의 제1 관통홀(511) 둘레를 따라 결합되고 상단부가 제1 관통홀(511)을 통해 상부프레임(510)의 상부로 돌출되는 아우터하우징(430)과, 아우터하우징(430)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플레이트(440)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500)와 하부케이스(400) 결합시, 아우터하우징(430)은 인너하우징(420)의 상단부 둘레와 상측을 감싸서 보호하게 된다.
또한, 아우터하우징(430)의 상측면에는 후술하는 회전부재(800)의 축부(810)가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제4 관통홀(431)이 형성되며, 하우징플레이트(440)에는 제4 관통홀(431)과 연통하도록 제5 관통홀(441)이 형성된다.
도 9는 탄성모듈 및 조절모듈의 사시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쪽 수용부(421)에 수납된 탄성모듈(600)을 삭제하여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하우징(420)에 탄성모듈(600)과 조절모듈(700)이 설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너하우징(420)의 내부에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한 쌍의 수용부(421)가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부(421)에 탄성모듈(600)이 수납된다. 즉, 인너하우징(420) 내부에 한 쌍의 탄성모듈(600)이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설치되며, 조절모듈(700)은 한 쌍의 탄성모듈(600) 사이에 설치된다.
한편, 인너하우징(420)의 하단부 양측에는 와이어(200)의 인출을 위한 가이드홀(422)이 수용부(421)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일단이 탄성모듈(600)에 감긴 와이어(200)는 타단이 가이드홀(422)을 통해 인너하우징(420)의 외부로 인출되며, 전술한 가이드롤러(515)를 거쳐 인출홀(514)을 통해 케이스(300) 외부로 연장된다.
도 10은 탄성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탄성모듈(600)은 와이어(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와이어(200)가 권취되는 와이어롤러(610)와, 와이어롤러(610)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620)과, 회전축(6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기어(630)와, 와이어(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660)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인너하우징(420)의 수용부(421)에 와이어롤러(610)와 다수 개의 스프링기어(630)가 상하 적층된 형태로 수납된다. 이때, 와이어롤러(610)와 다수 개의 스프링기어(630)의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축(620)이 수직하게 설치되는데, 와이어롤러(610)는 회전축(6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스프링기어(630)는 회전축(62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스프링기어(630)는, 내부에 수납부(641)가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이빨(642)이 돌출 형성되는 몸체(640)와, 수납부(641)를 가리도록 몸체(640)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650)를 포함하며, 몸체(640) 내부의 수납부(641)에 스파이럴 스프링(일명, '태엽 스프링')(660)이 설치된다.
스파이럴 스프링(660)은 일단이 회전축(620)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이 스프링기어(630)의 몸체(640)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200) 인출에 따른 와이어롤러(610) 회전시, 와이어롤러(610)와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620)이 함께 회전하며, 회전축(620) 회전시 회전축(620)에 일단이 결합된 스파이럴 스프링(660)이 탄성 변형되면서 스프링기어(63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기어(630)의 회전이 강제로 억제되면, 회전축(620)의 회전력이 스파이럴 스프링(660)에 축적되면서 스파이럴 스프링(660)의 탄성력이 점점 증가하게 되며, 와이어(200)에 걸리는 탄성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와이어(200)를 잡아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스파이럴 스프링(66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620)과 함께 와이어롤러(610)가 역회전하면서 와이어롤러(610)에 와이어(200)가 권취된다.
이를 위해, 수용부(421)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록킹돌기(423, 도 9 참조)가 다수 개의 스프링기어(6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치합하여 스프링기어(63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스프링기어(630) 중 최하단 스프링기어(63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수용부(421)의 하단부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록킹돌기(4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록킹돌기(423)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스프링기어(630)는, 스파이럴 스프링(66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와이어롤러(610)에 와이어(200)를 권취할 수 있는 기본적인 회전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와이어(200)를 잡아당길 때 와이어(200)에 탄성력이 걸리게 된다.
여기서, 조절모듈(700)은 스파이럴 스프링(66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620)에 걸리는 회전력과, 이로 인해 와이어(200)에 걸리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근력 운동기구에서는 필요시 웨이트 블럭을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웨이트 중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100)의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660)이 웨이트 블럭의 역할을 한다. 즉, 와이어(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660)의 개수(또는, 회전이 제한된 스프링기어(630)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근력 운동에 필요한 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조절모듈(700)은, 탄성모듈(600)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부재(800)와, 회전부재(800)를 향해 탄성 지지되는 후크부재(900)를 포함하며, 회전부재(800)의 회전에 따른 후크부재(900)의 전후 방향 이동에 의해 스프링기어(630)가 록킹/록킹 해제됨으로써,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조절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모듈(600) 사이에 회전부재(800)가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회전부재(800)는,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축부(810)와, 축부(8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폭이 확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부(820)와, 축부(810)의 상단에 형성되며 모듈하우징(410)의 상부로 노출되는 조절노브(840)를 포함한다. 이때, 다수 개의 걸림부(820)는 다수 개의 스프링기어(630) 및 후술하는 다수 개의 후크부재(900)와 각각 대향하게 되며, 걸림부(8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후크부재(900)의 삽입부(920)가 삽입되도록 걸림홈(830)이 형성된다.
후크부재(900)는 인너하우징(4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다수 개의 스프링기어(630) 및 다수 개의 걸림부(820)와 대향하여 다수 개의 후크부재(9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인너하우징(420)의 일측에 후크부재(90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4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장착부(424)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슬라이드 공간부(425, 도 3 참조)가 구획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 공간부(425)에는 후크부재(9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940)에 의해 회전부재(800) 및 스프링기어(630)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또한, 후크부재(900)의 이탈 방지를 위해 장착부(424)의 후면에 백플레이트(426)가 결합되며, 후술하는 후크부재(900)의 삽입부(920)와 걸림돌기(930)가 수용부(421)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장착부(424)의 전면 중앙과 양측에 다수 개의 가이드홈(427, 도 9 참조)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후크부재(900)는, 플레이트 형태의 슬라이드 몸체(910, 도 11 참조)와, 슬라이드 몸체(910)의 전단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920)와, 슬라이드 몸체(910)의 양측 전단에서 스프링기어(6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930)와, 슬라이드 몸체(910)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94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공간부(425)에 장착된 후크부재(900)는 삽입부(920)가 회전부재(800)의 걸림부(820)와 대향하며, 걸림돌기(930)는 스프링기어(630)와 대향하게 된다. 후크부재(9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걸림돌기(930)가 스프링기어(630)의 이빨(642)과 치합하면 스프링기어(630)의 회전이 제한되며, 와이어(200) 인출에 의한 회전축(620) 회전시 스프링기어(630) 내부의 스파이럴 스프링(660)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크부재(90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스프링기어(630)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후크부재(90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스프링기어(630)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와이어롤러(610) 및 회전축(620)의 회전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파이럴 스프링(660)의 개수가 늘어나며, 스파이럴 스프링(660)으로부터 회전축(620)을 거쳐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증가하여, 종래 웨이트 블럭을 추가하여 웨이트 중량을 늘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게 되는 것이다.
도 11과 도 12는 조절모듈의 작동 상태도이다.
사용자는 회전부재(800)를 회전시켜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후크부재(900) 모두가 스프링기어(630)와 이격해 있는 경우, 록킹돌기(423)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스프링기어(630)(예컨대, 최하단 스프링기어(630))의 스파이럴 스프링(660)만이 와이어(2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8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체(940)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부재(900)가 회전부재(800) 방향으로 전진하여, 후크부재(900)의 삽입부(920)가 걸림부(820)의 걸림홈(830)으로 삽입된다.
이때, 후크부재(900)의 걸림돌기(930)는 스프링기어(630)의 이빨(642)과 치합하며, 이로 인해 스프링기어(630)의 회전이 제한되어, 와이어(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660)의 개수가 늘어난다. 즉, 종래 록킹돌기(423)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스프링기어(630)(예컨대, 최하단 스프링기어(630))의 스파이럴 스프링(660)에 더하여, 후크부재(90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 스프링기어(630)(예컨대, 최상단 스프링기어(630))의 스파이럴 스프링(660)에 의해서도 와이어(200)에 탄성력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인너하우징(420)의 수용부(421)에는 다수 개의 스프링기어(630)가 회전축(620)을 따라 적층되어 있으며, 이하, 제일 위층의 스프링기어(630)부터 차례로 제1 스프링기어(631, 도 10 참조), 제2 스프링기어(632), 제3 스프링기어(633), 제4 스프링기어(634), 제5 스프링기어(635)라 하기로 한다. 여기서, 록킹돌기(423)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 최하단 스프링기어(630)는 제5 스프링기어(635)에 해당하며, 제4 스프링기어(634)와 제5 스프링기어(635) 사이에 와이어롤러(610)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후크부재(900)는 최상단 후크부재(900)부터 차례로 제1 후크부재(901, 도 3 참조), 제2 후크부재(902), 제3 후크부재(903), 제4 후크부재(904)로 구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후크부재(901~904)는 제1 내지 제4 스프링기어(631~634)와 각각 대향하며, 회전부재(800)의 회전에 의해 차례로 제1 내지 제4 스프링기어(631~634)의 회전을 제한하면서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조절모듈의 회전부재 평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걸림부(820)에 각각 걸림홈(830)이 형성되는데, 이하, 회전부재(800)에 형성된 최상단 걸림부(820)를 제1 걸림부(821)라 하고, 그 아래쪽의 걸림부들을 차례로 제2, 제3, 제4 걸림부(822,823,824)라 하기로 한다.
제1 걸림부(821)에는 45° 간격으로 총 4개의 걸림홈(830)이 형성되고, 제2 걸림부(820)에는 45° 간격으로 총 3개의 걸림홈(830)이 형성된다. 인접하는 한 쌍의 걸림홈(830) 사이 각도 간격은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3 걸림부(820)에는 45° 간격으로 총 2개의 걸림홈(830)이 형성되고, 제4 걸림부(820)에는 1개의 걸림홈(830)이 형성된다.
이때, 제1 걸림부(821)의 두 번째 걸림홈(830)은 제2 걸림부(820)의 첫 번째 걸림홈(830)과 동일 수직선 상에 형성되며, 제1 걸림부(821)의 세 번째 걸림홈(830)은 제2 걸림부(820)의 두 번째 걸림홈(830) 및 제3 걸림부(820)의 첫 번째 걸림홈(830)과 동일 수직선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걸림부(821)의 네 번째 걸림홈(830)은 제2 걸림부(820)의 세 번째 걸림홈(830)과 제3 걸림부(820)의 두 번째 걸림홈(830) 및 제4 걸림부(820)의 걸림홈(830)과 동일 수직선 상에 형성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평면도를 기준으로, 후크부재(900)의 삽입부(920) 접촉지점(O)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약 45° 이격한 지점(A)에 제1 걸림부(821)의 걸림홈(830)이 형성되고, 후크부재(900)의 삽입부(920) 접촉지점(O)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 이격한 지점(B)에는 제1 걸림부(821)와 제2 걸림부(820)의 걸림홈(830)이 중첩하여 형성된다. 또한, 후크부재(900)의 삽입부(920) 접촉지점(O)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약 135° 이격한 지점(C)에는 제1 걸림부(821)와 제2 걸림부(820) 및 제3 걸림부(820)의 걸림홈(830)이 중첩하여 형성되며, 후크부재(900)의 삽입부(920) 접촉지점(O)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약 180° 이격한 지점(D)에는 제1 걸림부(821)와 제2 걸림부(820), 제3 걸림부(820) 및 제4 걸림부(820)의 걸림홈(830)이 중첩하여 형성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조절노브(840)를 파지하여 회전부재(8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도 13에서 회전부재(800)를 시계 방향으로 약 45° 회전시켰을 때, 제1 후크부재(901)가 탄성체(9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800)를 향해 전진하여, 삽입부(920)가 제1 걸림부(821)의 걸림홈(830)에 삽입된다(A 지점). 이때, 제2 내지 제4 후크부재(902~904)는 이동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며, 제1 후크부재(901)의 걸림돌기(930)가 제1 스프링기어(631)와 치합하여 제1 스프링기어(631)의 회전을 제한한다.
여기서, 회전부재(800)를 시계 방향으로 약 45° 더 회전시키면, 제1,제2 후크부재(901,902)의 삽입부(920)가 제1,제2 걸림부(821,822)의 걸림홈(830)에 삽입된다(B 지점). 이때, 제3 내지 제4 후크부재(903~904)는 이동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며, 제1,제2 후크부재(901,902)의 걸림돌기(930)가 제1,제2 스프링기어(631,632)와 치합하여 제1,제2 스프링기어(631,632)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후, 회전부재(800)를 시계 방향으로 약 45° 더 회전시키면, 제1 내지 제3 후크부재(901~903)의 삽입부(920)가 제1 내지 제3 걸림부(821~823)의 걸림홈(830)에 삽입된다(C 지점). 이때, 제4 후크부재(904)는 이동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하며, 제1 내지 제3 후크부재(901~903)의 걸림돌기(930)가 제1 내지 제3 스프링기어(631~633)와 치합하여 제1 내지 제3 스프링기어(631~633)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후, 회전부재(800)를 시계 방향으로 약 45° 더 회전시키면, 제1 내지 제4 후크부재(901~904)의 삽입부(920)가 제1 내지 제4 걸림부(821~824)의 걸림홈(830)에 삽입된다(D 지점). 이때, 제1 내지 제4 후크부재(901~904)의 걸림돌기(930)가 제1 내지 제4 스프링기어(631~634)와 치합하여 제1 내지 제4 스프링기어(631~634)의 회전을 제한한다.
즉, 회전부재(800)를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약 45° 간격씩 회전시킬 때마다 후크부재(90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는 스프링기어(630)의 개수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회전축(620)을 통해 와이어(200)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660)의 개수가 증가하면서, 와이어(200)에 걸리는 탄성력, 즉 웨이트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100)는 케이스(300)를 바닥에 안착시킨 후, 사용자가 케이스(300) 위에 올라선 상태로 양쪽의 와이어(200)를 잡아당기면서 근력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운동기구(100)를 벽면이나 별도의 수직지지대(10)에 수직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도 14는 이처럼 별도의 수직지지대에 운동기구를 설치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수직지지대(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 손잡이(21)를 갖는 슬라이드 패널(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운동기구(100)의 하부케이스(400) 저면으로 결합레버(518)를 돌출시킨 후, 이 결합레버(518)를 슬라이드 패널(20)에 슬라이드 결합함으로써, 수직지지대(10)에 운동기구(10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운동기구 200 : 와이어
300 : 케이스 400 : 하부케이스
410 : 모듈하우징 420 : 인너하우징
430 : 아우터하우징 440 : 하우징플레이트
500 : 상부케이스 510 : 상부프레임
520 : 상부플레이트 600 : 탄성모듈
610 : 와이어롤러 620 : 회전축
630 : 스프링기어 660 : 스파이럴 스프링
700 : 조절모듈 800 : 회전부재
810 : 축부 820 : 걸림부
840 : 조절노브 900 : 후크부재

Claims (6)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탄성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탄성모듈의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향해 탄성 지지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확장 형성되며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다수 개의 걸림부와, 상기 축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조절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2.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는 와이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탄성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탄성모듈의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를 향해 탄성 지지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재는, 슬라이드 몸체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의 전단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슬라이드 몸체를 상기 회전부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와이어롤러와, 상기 와이어롤러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기어와, 상기 스프링기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후크부재의 일측이 상기 탄성모듈의 일측에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탄성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기구.
  5. 삭제
  6. 삭제
KR1020220063296A 2022-05-24 2022-05-24 운동기구 KR102490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96A KR102490580B1 (ko) 2022-05-24 2022-05-24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96A KR102490580B1 (ko) 2022-05-24 2022-05-24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580B1 true KR102490580B1 (ko) 2023-01-19

Family

ID=8507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296A KR102490580B1 (ko) 2022-05-24 2022-05-24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9589B1 (en) * 2004-05-20 2005-08-16 Thomas J. Bruggemann Athletic exerciser pulling device
KR20050117466A (ko) * 2004-09-23 2005-12-14 김경 간이 헬스운동구
KR20200084570A (ko) * 2019-01-03 2020-07-13 장동학 릴스프링을 이용한 웨이트 운동기구
US20210322813A1 (en) * 2017-11-28 2021-10-21 Lagree Technologies, Inc. Adjustable Resistance Exercise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9589B1 (en) * 2004-05-20 2005-08-16 Thomas J. Bruggemann Athletic exerciser pulling device
KR20050117466A (ko) * 2004-09-23 2005-12-14 김경 간이 헬스운동구
US20210322813A1 (en) * 2017-11-28 2021-10-21 Lagree Technologies, Inc. Adjustable Resistance Exercise Machine
KR20200084570A (ko) * 2019-01-03 2020-07-13 장동학 릴스프링을 이용한 웨이트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635B2 (en) Adjustable-load unitary multi-position bench exercise unit
US7281563B2 (en) Venetian blind with a cord-winding device
US10398919B2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US11786775B2 (en) Constant force resistance cable retractor
US20140224914A1 (en) Housing device
EP1804930A2 (en) Exercise device
BR122015015920B1 (pt) Conjunto de barra de pé e conjunto de suporte de barra de pé para uso em um aparelho de exercícios reformador
EP1017454A1 (en) Weight release mechanism for weight-lifting equipment
CN207217928U (zh) 开关插座
KR102490580B1 (ko) 운동기구
CN102233173A (zh) 健身机
JP2014140753A (ja) ベッドサイドテーブル
JP5689312B2 (ja) オーバーベッドテーブル
KR100498058B1 (ko) 승강가능한 칠판
KR100535654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리프터
US20180104525A1 (en) Weight Selecting Mechanism for Exercise Equipment
US11047172B2 (en) Cord-resistance adjusting device
KR20220073311A (ko) 운동기구
CN114046419A (zh) 一种基于bim的工程造价现场施工辅助装置
CN218918581U (zh) 一种电感器支架
KR101060623B1 (ko) 블라인드
CN218754301U (zh) 一种电力施工缠线装置
CN108980582A (zh) 桌上型集成工作站
CN213313140U (zh) 一种拉力训练器
CN219950124U (zh) 一种电力放线用电力线拉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