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454B1 -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454B1
KR102490454B1 KR1020210178835A KR20210178835A KR102490454B1 KR 102490454 B1 KR102490454 B1 KR 102490454B1 KR 1020210178835 A KR1020210178835 A KR 1020210178835A KR 20210178835 A KR20210178835 A KR 20210178835A KR 102490454 B1 KR102490454 B1 KR 10249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weight
modifier
asphalt
modifying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린
박희범
김연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4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 B28C5/14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the stirrer shaft carrying screw-blades
    • B28C5/143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the stirrer shaft carrying screw-blades for materials flowing continuously through the mixing devi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4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6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phosphorus in the anion, e.g.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03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3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08Anti-oxid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골재 92 ~ 95 중량%; 아스팔트 바인더 5 ~ 8 중량%;를 포함하되, 아스팔트 바인더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분산성 향상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12~13 중량부;가 아스팔트 바인더로 대체된다. 이때 혼합되는 분산성 향상 건식형 개질첨가제는 바인더 제조 과정에 혼합되는 것이 아니라 퍼그밀 믹서에서 조성물이 배합될 때 혼합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혼합되는 개질첨가제는 개질첨가제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SBS 개질재 55~65 중량부; 석유수지 15~25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2.3~2.9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5~ 19 중량부; 산화방지제 0.3~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되는 SBS 개질재는 리니어 타입(선형)의 SBS 개질재와 레디얼 타입(가지형)의 SBS 개질가 1 : 1.2 ~ 1 : 1.5 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SPHALT CONCRETE COMPOSITION INCLUDING SBS AND ME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설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를 제외한 도로는 대부분이 아스팔트 도로이다.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콘크리트 도로에 비해 주행성이 우수하고, 소음이 적으며, 운전자의 운전시야 확보에 용이하여 가장 많이 사용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사용성이 우수하여 국내 도로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지속적으로 그 성능이 개선되어지고 있다.
제조단계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을 생산하는 제조(생산)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중온 및 저온형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의 개발은 골재와 바인더에 어떤 첨가제를 혼합하는가에 따라 그 성능이 결정되는데, 지금까지는 SBS 개질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여 조성물의 소성변형을 억제하고 수분저항성을 향상시켜왔다.
종래에는 리니어 타입(선형 분자구조)의 SBS(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를 바인더 제작시 첨가하여 바인더에 개질재가 혼합된 상태로 사용하여 왔다.
특히 SBS(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는 배수성능이 좋고, 작업성이 우수한데, SBS(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는 분자 구조에 따라 리니어 타입(선형타입)과 레디얼 타압(방사형 구조)이 사용되어진다.
레디얼 타입은 적은 량으로 소정의 개질성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분자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시간과 믹싱시간이 길고, 생산 중 열에너지의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때문에 제조과정이 용이하고, 고온 용해성능이 우수한 리니얼 타입의 SBS를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리니얼 타입의 SBS는 분자구조가 선형이라 짧은 작업시간에 개질재를 충붕히 녹여 혼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원하는 개질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첨가량이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종래기술은 레디얼 타입과 리니어 타입의 SBS 모두 바인더 제작시에 바인더에 추가되어 바인더와 배합된 상태로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혼합되는 방식이었다.
본 발명은 리니어 타입의 SBS와 레디얼 타입의 SBS을 동시에 사용하여 제조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소량으로도 종래 개질아스팔트의 개질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골재 92 ~ 95 중량%; 아스팔트 바인더 5 ~ 8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분산성 향상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12~13 중량부;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로 대체된다.
상기 개질첨가제는 상기 개질첨가제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SBS 개질재 55~65 중량부; 석유수지 15~25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2.3~2.9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5~ 19 중량부; 산화방지제 0.3~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BS 개질재는 리니어 타입(선형)의 SBS 개질재와 레디얼 타입(가지형)의 SBS 개질가 1 : 1.2 ~ 1 : 1.5 의 비율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폐놀계 산화방지제와 인계 산화방지제가 각각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첨가제는 고체상태의 알겡이 로서, 상기 SBS 개질재와 상기 프로세스 오일을 혼합하여 고온 믹싱하는 1차 혼합단계;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와 상기 석유수지, 상기 폐놀계 산화방지제를 더 혼합하여 믹싱하는 2차혼합단계;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고체화 시키는 조성물 냉각단계; 고체화된 상기 개질첨가제를 절단하여 알겡이 상태로 만드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길이가 0.1 ~ 3mm이고, 지름이 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점도가 140 ~ 180 cPs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상태의 알겡이인 상기 개질첨가제는 상기 골재,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와 함께 퍼그밀 믹서에 혼합되어 믹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첨가제는 0.5 ~ 2mm의 길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골재를 오븐에서 160~18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골재가열단계;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를 150~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바인더 가열단계; 상기 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를 혼합하여 상기 퍼그밀 믹서에서 혼합하는 골재바인더혼합단계; 상기 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가 혼합된 상기 퍼그밀 믹서에 상기 개질첨가제를 혼합하는 개질첨가제혼합단계; 상기 골재,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 상기 개질첨가제를 180℃로 가열하는 고온가열혼합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리니어타입의 SBS 개질재와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를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소량의 개질재 혼합으로 분산성 향상과 소성변형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개질재를 퍼그밀 믹서에 투입하여 골재, 바인더와 함께 혼합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제조시간을 단축하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형타입의 SBS 개질재 분자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 분자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질재 제조장치
본 발명에 따른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의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조성물은 골재 92 ~ 95 중량%; 아스팔트 바인더 5 ~ 8 중량%;를 포함하되, 아스팔트 바인더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분산성 향상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12~13 중량부;가 아스팔트 바인더로 대체된다. 이때 혼합되는 분산성 향상 건식형 개질첨가제는 바인더 제조 과정에 혼합되는 것이 아니라 퍼그밀 믹서에서 조성물이 배합될 때 혼합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혼합되는 개질첨가제는 개질첨가제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SBS 개질재 55~65 중량부; 석유수지 15~25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2.3~2.9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5~ 19 중량부; 산화방지제 0.3~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되는 SBS 개질재는 리니어 타입(선형)의 SBS 개질재와 레디얼 타입(가지형)의 SBS 개질가 1 : 1.2 ~ 1 : 1.5 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폐놀계 산화방지제와 인계 산화방지제가 각각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폐놀계 산화 방지제와 인계 산화방지제는 1 : 1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0.8 : 1.2 의 비율로 혼합될 수 도 있다.
이는 2번 째로 혼합되는 인계 산화방재의 량을 늘려 사용하는데, 이는 개질첨가제의 냉각 응고효과를 증대하고, 조성물의 압출 및 절단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퍼그밀 믹서에 바로 혼합되는 개질첨가제는 고체상태의 알겡이 로서, SBS 개질재와 프로세스 오일을 혼합하여 고온 믹싱하는 1차 혼합단계; 셀룰로오스 섬유와 석유수지, 폐놀계 산화방지제를 더 혼합하여 믹싱하는 2차혼합단계; 인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고체화 시키는 조성물 냉각단계; 고체화된 개질첨가제를 절단하여 알겡이 상태로 만드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개질첨가제는 0.5 ~ 2mm의 길이인 고체 알겡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되는 석유수지는 조성물의 점착력 향상을 위해 혼합되는데, 120도인 P-120 grade를 사용할 수 있다.
1차 혼합단계와 2차 혼합단계는 가열실린더에서 이루어지는데, 셀룰로오스 섬유는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의 분자고리를 용이하게 절단하여 용해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혼합된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천연펄프, 재생지 또는 폐지를 햄머 크류서 등을 사용하여 건식으로 분쇄하고, 기계적인 가공을 통해 미세 셀룰로오스 단섬유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길이가 0.1 ~ 3mm이고, 지름이 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섬유가 혼합됨으로 분산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로세스 오일은 점도가 140 ~ 180 cPs 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스 오일은 SBS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골재를 오븐에서 160~18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골재가열단계;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를 150~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바인더 가열단계; 상기 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를 혼합하여 상기 퍼그밀 믹서에서 혼합하는 골재바인더혼합단계; 상기 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가 혼합된 상기 퍼그밀 믹서에 상기 개질첨가제를 혼합하는 개질첨가제혼합단계; 상기 골재,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 상기 개질첨가제를 180℃로 가열하는 고온가열혼합단계; 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바인더의 PG 등급 중 고온에서의 등급을 만족하기 위해서 고무를 많이 사용한다. 본 발명은 SBS 개질재로서 리니어 타입과 레디얼 타입을 혼합하여 PG 82-22의 등급을 만족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로서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종래에는 사용된 SBS 고무는 분자량이 높은 선형 구조의 리니어 SBS 개질재를 주로 사용하였다. 단일 재료를 씀으로서 배합의 복잡성을 배제할 수 있고, 단독 사용만으로도 목표 물성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PG 82-22의 등급 만족하기 위해서 리니어 타입의 SBS고무를 상당히 많이 투입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많은 양의 투입하게 되면 퍼그밀에서의 분산이 용이하지 않아 성능 발현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골재와 아스팔트와의 부착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핫멜트 접착제에 많이 사용되는 저분자량의 화학물질인 석유수지를 혼합한다. 석유 수지는 무엇과 접착하느냐 그리고 연화점에 따라 그 사용 범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개질재가 아스팔트에 용해되는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온도에 의해 좌우되지만 퍼그밀이라는 특수한 환경은 물리적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는 골재끼리의 마찰로 인한 밀링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으로, 물리적 힘으로 개질제를 찢어내는 힘을 이용하는 것이 분산 시간을 단축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적으로 수소결합을 하고 있는 극성재료를 사용하였으며, 아스팔트 개질제와는 반대의 극성을 갖고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극성재료와 반대 극성을 갖고 있는 첨가제를 서로 혼합하게 되면 반대의 극성 때문에 화학적으로 결합하지 않고 느슨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질제가 퍼그밀에 투입될 시 골재의 밀링효과로 인해 느슨한 결합 부분이 깨지게 되고 작은 힘으로도 찢기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렇게 잘 찢겨진 개질제는 표면적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아스팔트와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화학적으로 유사한 아스팔트와 개질제는 접촉 면적에 비례하여 용해 시간이 단축되기에 퍼그밀에서의 용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극성재료로는 수소결합을 하고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셀룰로오스 섬유는 비중이 낮아서 소량만 첨가하더라다고 부피 비율로는 10% 가량에 해당한다. 너무 많이 첨가할 시 개질제 생산에 있어 많은 발열이 수반되기 때문에 SBS가 열화될 수 있기에 그 투입량이 제한적일 뿐 아니라 개질제가 뭉쳐지지 않도록 한다.
SBS는 다른 고분자 물질과 마찬가지로 온도를 높임에 따라 점도가 감소한다. 하지만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180℃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다. SBS는 이중결합을 갖고 있는 특성에 열화 온도가 200℃ 내외이다. 즉 180℃ 이상 200℃ 이하의 온도에서 가공되어야 한다. 20℃의 온도 범위는 개질제의 생산 및 아스콘의 생산에서 자칫하면 벗어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개질제의 점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SBS에 프로세스오일을 첨가하였다.
프로세스 오일을 첨가하면 가공온도를 150도 정도로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오일로 인한 개질제의 점도 감소로 퍼그밀 믹서에서 더 쉽게 SBS 개질재를 찢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아스콘의 생산과 이송 중 발생하는 열화를 막기 위해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혼합하였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배합비이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
개질첨가재 투입 함량 (%) 10.0 10.0 10.0 11.5 12.5
리니어 타입의 SBS 개질재 60.0 25.0 0.0 25.0 25.0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 0.0 35.0 60.0 35.0 35.0
석유수지 20.0 20.0 20.0 20.0 20.0
셀룰로오스 섬유 2.6 2.6 2.6 2.6 2.6
프로세스 오일 17.0 17.0 17.0 17.0 17.0
산화방지제 0.4 0.4 0.4 0.4 0.4
아래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1에 대한 물성 시험결과이다.
시험항목 실시예 비교예 1
함부르크 휠트랙킹 시험
(AASHTO T 324)
처짐량, mm 6.3 12.4
휠트랙킹 시험
(KS F 2374)
동적안정도
(회/mm)
5,550 3,246
간접인장강도
(ASTM D 6931), MPa
1.89 1.24
피로균열저항성(AASHTO T 321-07), Nf 24,678회 19,448회
시험결과 본 발명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은 충분한 수분저항성(함부프크 휠트랙킹)을 확보하고 있고, 소성 저항성과 피로균열 저항성 및 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3은 비교예들과 실시예에 대한 시험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사용된 아스팔트 바인더 PG 64-16(SK170930)
아스팔트 바인더 첨가비율 % 10.00 10.00 10.00 11.50 12.50
구 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실시예
Original Binder soft. point (℃) 60 82.9 85 88.9 89.7 93.1
Visc.(cPs) 135 250 2750 2825 3050 3025 3450
G*/sinδ
(㎪)
94 1.00          
88 0.655 0.857 1.156 1.327 1.577
82 0.995 1.358 1.708 2.084 2.214
76 1.479 2.219 2.622 3.156 3.322
70 2.205 3.184 3.958 4.841 5.591
ductility
(㎝)
5 10          
10 30 93.3 69.2 44.8 71.1 71.5
15 50          
Fraass (℃) -12 -26.7 -24.3 -20 -24 -24.3
Rolling Thin Film Oven
(163℃)
G*/sinδ
≥2.2(㎪)
94 2.20          
88 0.95 1.253 0.861 1.613 1.845
82 1.782 1.958 1.739 2.157 2.499
76 2.592 2.961 2.452 4.008 4.509
70 4.159 5.633 4.074 7.945 8.462
Pressure Aging Vessel Residue (100℃) G**?*sinδ
≤5000
(㎪)
40 5000          
37          
34 842 955 2313 989 1056
Creep
m-value
≥0.3
0 0.30          
-6          
-12 0.331 0.316 0.288 0.322 0.327
-18 0.262 0.238 0.212 0.254 0.243
융해시간, min 13 18 24 14 15
최종결과 등급 PG 76-22 PG 76-22 PG 76-16 PG 76-22 PG 82-22
표 3의 시험결과에서와 같이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를 혼합하는 경우 높은 분자량으로 인해 연화점과 점도, G*/sinδ(original binder)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높은 분자량으로 인해 저온 물성을 보이고 신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분자의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확인된다.
특히 RTFO 후의 G*/sinδ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PG 고온 등급을 만족하지 못하는 수준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리니어 타입의 SBS 개질재만 사용하는 경우,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만 첨가한 경우보다 연화점 등의 고온 성능이 다소 떨어지지만 저온에서의 성능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분자량의 영향때문으로, 분자량이 작을수록 분자간 얽힘 현상이 적어 강도를 충분히 발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리니어 타입의 SBS 개질재를 사용한 경우는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를 사용한 것 보다 RTFO 후의 G*/sinδ값이 우수한데, 이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리니어 타입의 SBS 개질재가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을 갖으므로 인해 RTFO 과정에서 받는 열에너지를 분자 진동, 회전 에너지로 잘 전환함으로써 에너지를 소산시킨 결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리니어타입의 SBS 개질재와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여 이 둘을 혼합사용한 기술로서, 약 15분의 용해시간을 갖으면서 PG 82-22 등급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개질첨가재를 아스팔트 바인더를 대체하여 12~13% 까지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혼합되는 개질첨가재의 SBS 개질재는 레디얼 타입과 리니어 타입이 혼합되는데 일반적인 PG 82-22 등급을 위해 혼합되는 리니어 타입의 SBS 개질재보다 적은 량의 SBS 개질재를 혼합하여 PG 82-22 등급을 구현할 수 있다.
100 : 리니어 타입의 SBS 개질재 200 : 레디얼 타입의 SBS 개질재

Claims (10)

  1. 골재 92 ~ 95 중량%;
    아스팔트 바인더 5 ~ 8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분산성 향상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12~13 중량부;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로 대체됨과 아울러,
    상기 개질첨가제는
    상기 개질첨가제의 중량 100을 기준으로,
    SBS 개질재 55~65 중량부;
    석유수지 15~25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2.3~2.9 중량부;
    프로세스 오일 15~ 19 중량부;
    산화방지제 0.3~0.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SBS 개질재는
    리니어 타입(선형)의 SBS 개질재(100)와 레디얼 타입(가지형)의 SBS 개질재(200)가 1 : 1.2 ~ 1 : 1.5 의 비율로 혼합되되,
    상기 산화방지제는 폐놀계 산화방지제와 인계 산화방지제가 각각 혼합되고,
    상기 개질첨가제는 고체상태의 알겡이 로서,
    상기 SBS 개질재와 상기 프로세스 오일을 혼합하여 고온 믹싱하는 1차 혼합단계;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와 상기 석유수지, 상기 폐놀계 산화방지제를 더 혼합하여 믹싱하는 2차혼합단계;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고, 고체화 시키는 조성물 냉각단계;
    고체화된 상기 개질첨가제를 절단하여 알겡이 상태로 만드는 절단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길이가 0.1 ~ 3mm이고, 지름이 5~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점도가 140 ~ 18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고체상태의 알겡이인 상기 개질첨가제는
    상기 골재,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와 함께 퍼그밀 믹서에 혼합되어 믹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첨가제는
    0.5 ~ 2mm의 길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10. 제8항 또는 제9항의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골재를 오븐에서 160~180℃의 온도로 가열하는 골재가열단계;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를 150~160℃의 온도로 가열하는 바인더 가열단계;
    상기 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를 혼합하여 상기 퍼그밀 믹서에서 혼합하는 골재바인더혼합단계;
    상기 골재와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가 혼합된 상기 퍼그밀 믹서에 상기 개질첨가제를 혼합하는 개질첨가제혼합단계;
    상기 골재, 상기 아스팔트 바인더, 상기 개질첨가제를 180℃로 가열하는 고온가열혼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210178835A 2021-11-25 2021-12-14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90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658 2021-11-25
KR20210164658 2021-11-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454B1 true KR102490454B1 (ko) 2023-01-19

Family

ID=8507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835A KR102490454B1 (ko) 2021-11-25 2021-12-14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4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414A (ko) * 2005-06-27 2005-07-18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고점도 배수성 아스팔트 개질재를 함유한 아스팔트 혼합물
KR20090049386A (ko) * 2007-11-13 2009-05-1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기계적 강도, 내 노화 성능 및 균열저항성이 개선된 칼라아스팔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3561B1 (ko) * 2009-03-24 2009-06-23 (주)에이알앤씨 플랜트 믹스형 에스비에스 개질 역청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5180A (ko) * 2010-06-10 2011-12-16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드레인다운 방지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개질 아스팔트
JP2017025142A (ja) * 2015-07-16 2017-02-02 旭化成株式会社 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粘接着組成物、改質アスファルト組成物、舗装用バインダ組成物及び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414A (ko) * 2005-06-27 2005-07-18 주식회사 한수도로산업 고점도 배수성 아스팔트 개질재를 함유한 아스팔트 혼합물
KR20090049386A (ko) * 2007-11-13 2009-05-1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기계적 강도, 내 노화 성능 및 균열저항성이 개선된 칼라아스팔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3561B1 (ko) * 2009-03-24 2009-06-23 (주)에이알앤씨 플랜트 믹스형 에스비에스 개질 역청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35180A (ko) * 2010-06-10 2011-12-16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드레인다운 방지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개질 아스팔트
JP2017025142A (ja) * 2015-07-16 2017-02-02 旭化成株式会社 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粘接着組成物、改質アスファルト組成物、舗装用バインダ組成物及び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05B1 (ko) 고점도 배수성 아스팔트 개질재를 함유한 아스팔트 혼합물
KR101239399B1 (ko)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7613B1 (ko) 드레인다운 방지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개질 아스팔트
WO2019129148A1 (zh) 一种改性沥青及其制备方法
CN104194366B (zh) 一种耐低温型高模量沥青改性剂及其制备方法
CN101891964B (zh) 一种彩色铺面用胶结料及其制造方法
CN111377661B (zh) 一种基于环保橡胶粉的超薄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CN103408953B (zh) 一种沥青化橡胶颗粒改性剂及制备方法
CN101104739A (zh) 一种胶粉改性沥青及其加工方法
CN101456700B (zh) 制备复合改性橡胶沥青混合料的方法
CN101775223A (zh) 高温重载道路排水性沥青混合料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713590B1 (ko) Sda공정의 잔유물 포함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을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2944A (ko) 고내구성 중온 아스팔트용 개질재 및 이를 이용한 중온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CN108752850B (zh) 一种氧化石墨烯改性彩色沥青胶结料及其制备方法
CN105038114A (zh) 一种通过纤维增强的复合材料
CN103360774A (zh) 一种沥青化橡胶改性沥青及制备方法
CN109762354A (zh) 一种改性沥青及其制备方法
KR102005942B1 (ko) 응급보수용 상온형 개질아스팔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234547A (zh) 一种环保型低标号硬质沥青改性方法
KR102490454B1 (ko) 건식형 개질첨가제가 혼합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5939B1 (ko) 고탄성 개질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5948B1 (ko) 고기능성 아스팔트 개질재를 포함하는 개질아스팔트 침투식 마카담 포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카담 포장 방법
KR102579462B1 (ko)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CN109824289B (zh) 一种沥青混凝土高模量改性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634671B (zh) 沥青混合料改性添加剂及制备方法和高强韧沥青混合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