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370B1 -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370B1
KR102490370B1 KR1020220088801A KR20220088801A KR102490370B1 KR 102490370 B1 KR102490370 B1 KR 102490370B1 KR 1020220088801 A KR1020220088801 A KR 1020220088801A KR 20220088801 A KR20220088801 A KR 20220088801A KR 102490370 B1 KR102490370 B1 KR 10249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unit
waste
plastic
uni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김수본
Original Assignee
김지원
김수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원, 김수본 filed Critical 김지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파쇄하는 플라스틱 처리부(200)가 내장되고, 파쇄된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쓰레기를 압착하는 캔 처리부(400)가 내장되고, 압착된 캔 쓰레기를 배출하는 캔 처리부 케이싱(120);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부(600)가 내장되고,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10);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처리부 케이싱(120) 및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140); 상기 연결관(140)과 연결되며, 상부면으로 태양열 발전부(160)가 결합되고, 상기 태양열 발전부(16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이 충전되며, 충전된 전력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52)가 내장되는 충전 프레임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Artificial Intelligence Multipurpose Garbag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캔, 음식물을 하나의 설비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처리된 종류별 쓰레기들의 운반시 발생하는 인건비 및 쓰레기의 운송 양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류별 쓰레기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쓰레기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 보호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들을 처리하는 경우,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와 재활용이 어려운 쓰레기로 구분하여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문적인 폐기물 처리 업체를 통해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 중, 플라스틱과 알루미늄 재질의 캔을 분류하고, 분류한 플라스틱 및 캔의 처리 장치로 각각 공급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또한, 재활용이 어려운 쓰레기로 대표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수거하기 전까지는 정해진 수거 공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보관된 상태로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여름과 같이 외부 온도와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부패에의해 유해성 세균이 증식하거나, 악취가 발생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수거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이미 부패한 상태가 다반사여서 결국 폐기 처리될 수밖에 없었다.
즉, 종래에는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인 처리가 이루어짐에 따라 처리 장치 역시 개별적으로 구비해야만 하고, 이는 폐기물 처리 업체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하였고, 단순 폐기를 위한 매립지를 추가로 확보해야만 하기 때문에 쓰레기와 같은 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캔을 처리하는 처리 장치의 경우, 산업용으로 제작된 장치가 대부분이어서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서는 구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최근 들어 각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음식물 처리 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각 가정에서의 사용이 미비하여 그 효율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5183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2470호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9551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알루미늄 재질의 캔의 부피를 최소화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살균, 건조 및 분쇄하는 등의 종류별 쓰레기 처리 방식을 하나의 설비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처리된 종류별 쓰레기들의 운반시 발생하는 인건비 및 쓰레기의 운송 양을 절감할 수 있는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류별 쓰레기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반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처리장치만으로도 자동으로 종류별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도 큰 부담 없이 증설이 가능한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류별 쓰레기의 처리시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 보호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 쓰레기를 파쇄하는 플라스틱 처리부(200)가 내장되고, 파쇄된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쓰레기를 압착하는 캔 처리부(400)가 내장되고, 압착된 캔 쓰레기를 배출하는 캔 처리부 케이싱(120);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부(600)가 내장되고,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10);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처리부 케이싱(120) 및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140); 상기 연결관(140)과 연결되며, 상부면으로 태양열 발전부(160)가 결합되고, 상기 태양열 발전부(16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이 충전되며, 충전된 전력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52)가 내장되는 충전 프레임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은, 상기 플라스틱 쓰레기를 투입하는 플라스틱 투입부(112)와, 상기 파쇄된 플라스틱이 보관되는 파쇄 플라스틱 보관부(115)와, 플라스틱 처리부(200)가 장착되며, 일정 크기로 파쇄된 플라스틱들만 배출시키는 파쇄 케이싱(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캔 처리부 케이싱(120)은, 상기 캔 쓰레기를 투입하는 캔 투입부(122)와, 상기 캔 투입부(122)의 하측 끝단부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캔 투입부(122)를 통해 투입된 캔을 상기 캔 처리부(400)로 공급하는 캔 투입 안내패널(126)과, 상기 압착된 캔 쓰레기를 보관하는 압착 캔 보관부(125)와, 상기 캔 처리부(400)를 상기 캔 처리부 케이싱(120)에 고정시키는 캔 처리부 고정 프레임(1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패널(132)과, 상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챔버(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프레임부(150)에는 다수개의 카메라(156)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200)는,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2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는 제1조작패널(202); 상기 제1조작패널(202) 및 상기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처리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컨트롤러(204); 직진 이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구동수단(212)과, 상기 개폐 구동수단(212)의 단부에 연결되는 개폐 구동로드(214)와, 상기 개폐 구동로드(214)와 결합되며, 상기 개폐 구동로드(214)의 이동 방향에 따라 투입홀(114)을 개폐시키는 투입홀 개폐패널(216)을 포함하는 투입홀 개폐부재(210);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으로 각각 제1 및 제2파쇄날(222, 232)이 구성되는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와, 상기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가 결합되는 파쇄본체 회전축(240)과, 상기 파쇄본체 회전축(24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수단(250)을 포함하는 파쇄수단; 파쇄된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제1 및 제2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60, 270); 상기 제1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60)에 소정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재(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캔 처리부(400)는, 상기 캔 처리부(4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는 제2조작패널(402); 상기 제2조작패널(402) 및 상기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캔 처리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컨트롤러(404); 상기 캔 투입 안내패널(126)로부터 캔 쓰레기가 공급되는 캔 처리 본체부(410); 상기 캔 처리 본체부(410)의 상부에 구성되며, 승하강 작동에 의해 상기 캔 쓰레기를 압착시키는 압착 구동부(420); 상기 캔 처리 본체부(410)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압착 구동부(420)의 압착 작동시 발생하는 압착력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받침패널(430); 압착된 캔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스크래퍼 어셈블리(450); 상기 스크래퍼 어셈블리(450)에 의해 이동된 압착된 캔 쓰레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배출 본체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 처리부(600)는, 상기 음식물 처리부(6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는 제3조작패널(602); 상기 제3조작패널(602) 및 상기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음식물 처리부(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컨트롤러(604); 상기 음식물 처리부(600)의 내부 공간을 투입 공간부와 처리 공간부로 분할하며, 상기 제3컨트롤러(6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투입 공간부와 처리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분할판(610); 상기 투입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배기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 공간부로 공급될 때 외기를 급기하는 급배기부(620); 상기 분할판(610)의 구동시 하부면이 밀착되게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 공간부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공급블럭(630); 상기 공급블럭(630)에 구성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측으로 UV를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는 살균램프(640); 상기 처리 공간부에 구성되고,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및 분쇄시키는 다수개의 교반 블레이드가 구성되는 교반축(650); 상기 살균, 건조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음식물 배출부재(660); 및 상기 음식물 배출부재(660)를 개폐시키는 댐퍼부재(6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라스틱을 분쇄하고, 캔의 부피를 최소화하며, 음식물쓰레기를 살균, 건조 및 분쇄하는 등의 종류별 쓰레기 처리 방식을 하나의 설비에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처리된 종류별 쓰레기들의 운반시 발생하는 인건비 및 쓰레기의 운송 양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류별 쓰레기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반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처리장치만으로도 자동으로 종류별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도 큰 부담 없이 증설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류별 쓰레기의 처리시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 보호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처리부의 충전 프레임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의 플라스틱 처리부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의 캔 처리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의 음식물 처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는 프레임부(100), 플라스틱 처리부(200), 캔 처리부(400), 음식물 처리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100)는 각각의 처리부들(200, 400, 600)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플라스틱, 캔 및 음식물 등이 독립적인 공간에서 각각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처리부(200)가 결합되며, 이 플라스틱 처리부(200)측으로 폐기될 플라스틱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이 구성된다.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은 상부에 형성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폐기될 플라스틱이 내부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라스틱 투입부(112)와, 플라스틱 처리부(200)가 내장되며, 파쇄된 플라스틱을 인출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1개폐도어(113)와, 플라스틱 처리부(200)의 하부에 구성되며, 파쇄된 플라스틱이 보관되는 파쇄 플라스틱 보관부(115)와, 플라스틱 처리부(200)가 장착되며, 이 플라스틱 처리부(200)에 의해 일정 크기로 파쇄된 플라스틱들이 파쇄 플라스틱 보관부(115)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쇄 케이싱(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파쇄 케이싱(116)은 후방측 상단부가 플라스틱 투입부(112)의 하부면에 고정 결합되고, 이에 대향하는 전방측 상부로 플라스틱 투입부(112)를 통해 이동하는 폐기될 플라스틱이 파쇄 케이싱(116)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라스틱 투입홀(114)이 형성된다.
아울러, 파쇄 케이싱(116)의 상부 전방측에는 폐기될 플라스틱의 투입이 이루어질 때에만 플라스틱 투입홀(114)을 개방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처리부(200)에 구성되는 투입홀 개폐부재(210)가 장착된다.
또한, 프레임부(100)는 캔 처리부(400)가 결합되며, 이 캔 처리부(400)측으로 폐기될 알루미늄 재질의 캔이 투입되는 캔 처리부 케이싱(120)이 구성된다.
캔 처리부 케이싱(120)은 상부에 형성되며, 알루미늄 재질의 캔이 내부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캔 투입부(122)와, 캔 투입부(122)의 하측 끝단부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하향 소정 경사지게 형성되어 캔 투입부(122)를 통해 투입된 캔을 캔 처리부(400)의 캔 처리 본체부(410)측으로 공급하는 캔 투입 안내패널(126)과, 캔 처리부(400)가 내장되며, 압착된 캔을 인출할 수 있도록 캔 처리부 케이싱(120)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키는 제2개폐도어(123)와, 캔 처리부(400)의 하부에 구성되며, 압착된 캔이 보관되는 압착 캔 보관부(125)와, 캔 처리부(400)를 캔 처리부 케이싱(120)에 고정시키는 캔 처리부 고정 프레임(128)으로 구성된다.
이때, 캔 투입 안내패널(126)은 그 하단부가 캔 처리부(400)의 캔 처리 본체부(410)에 구성되는 캔 공급홀(412)과 연결되게 구성되어 캔 투입부(122)를 통해 투입된 캔이 캔 투입 안내패널(126)의 외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면서 캔 처리 본체부(410)의 내부로 공급되게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부(100)는 음식물 처리부(600)가 결합되며, 이 음식물 처리부(600)측으로 폐기될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이 구성된다.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은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패널(132)과, 덮개패널(132)에 형성되며,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투시창(134)과,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챔버(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부(100)는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처리부 케이싱(120) 및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이 각각 병렬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과 캔 처리부 케이싱(120) 사이에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프레임부(100)에는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처리부 케이싱(120) 및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에 각각 구성되며, 충전 프레임부(150)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관(140)이 결합된다.
연결관(140)은 하단부가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처리부 케이싱(120) 및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충전 프레임부(15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관(140)은 내부에 통신 케이블, 데이터 케이블, 전원 케이블 등이 수용되어 상기 각각의 처리부들(200, 400, 600)에 구성되는 제1 내지 제3컨트롤러(204, 404, 604)와 충전 프레임부(150)에 구성되는 구동 제어부(152)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프레임부(100)에는 상부에 구성되며, 태양열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한 전력을 바탕으로 각각의 처리부들(200, 400, 600)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태양열 발전부(160)가 결합되고, 이 태양열 발전부(16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이 충전되며, 충전된 전력을 각각의 처리부들(200, 400, 600)로 공급하는 충전 프레임부(150)가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 프레임부(150)에는 상기 전력이 충전되는 충전 배터리(154)와, 이 충전 배터리(154)에 저장된 전력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구동 제어부(152)는 상기 각각의 처리부들(200, 400, 600)에 구성되는 제1 내지 제3컨트롤러(204, 404, 604)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이 제1 내지 제3컨트롤러(204, 404, 604)로부터 전송되는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의 공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충전 프레임부(150)에는 본 발명의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주변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구동 제어부(152)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카메라(156)가 장착될 수 있다.
다수개의 카메라(156)는 각각의 처리부들(200, 400, 600)에 적합한 쓰레기가 투입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적합하지 않은 쓰레기가 투입되는 경우, 구동 제어부(152)는 경고음을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처리부들(200, 400, 600)의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를 유지 관리하는 관리단말(미도시)로 부적합 쓰레기의 투입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 메세지를 전송하여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관리, 즉 부적합한 쓰레기를 배출시키고, 배출한 쓰레기를 적합한 처리부로 투입하는 등의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처리부(200)는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의 플라스틱 투입부(112)를 통해 투입된 파쇄될 플라스틱 쓰레기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여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1조작패널(202), 제1컨트롤러(204), 투입홀 개폐부재(210),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 파쇄본체 회전축(240), 회전축 구동수단(250), 제1 및 제2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60, 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조작패널(202)은 플라스틱 처리부(2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입력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제1컨트롤러(204)는 제1조작패널(202) 및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처리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투입홀 개폐부재(210)는 투입된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투입홀(114)을 개폐시키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된 쓰레기가 플라스틱인 경우에만 투입홀(114)을 개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투입홀 개폐부재(210)는 직진 이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구동수단(212)과, 이 개폐 구동수단(212)의 단부에 연결되는 개폐 구동로드(214)와, 개폐 구동로드(214)와 결합되며, 상기 개폐 구동로드(214)의 이동 방향에 따라 투입홀(114)을 개폐시키는 투입홀 개폐패널(2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투입홀 개폐패널(216)은 양측면으로 파쇄 케이싱(116)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 케이싱(116)에 슬라이딩 안내홈을 형성하고, 이 슬라이딩 안내홈에 삽입되는 개폐레일(218)이 투입홀 개폐패널(216)의 양측부에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투입홀 개폐패널(216)은 개폐레일(218)에 의해 파쇄 케이싱(116)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 다수개로 구성되며, 각각 제1 및 제2파쇄날(222, 232)이 결합된다.
이때, 다수개의 제2파쇄본체(230)는 다수개의 제1파쇄본체(220)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파쇄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파쇄본체(230)는 제1파쇄본체(220) 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는 원형의 디스크로 구성되어 제1파쇄본체(220)들 사이에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파쇄본체 회전축(240)은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결합되고, 이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일단부로 제1컨트롤러(2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파쇄본체 회전축(24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수단(250)이 구성된다.
또한, 플라스틱 처리부(200)에는 파쇄 케이싱(116)의 전방측 하부면에 결합되며, 일정 크기 이하로 파쇄된 플라스틱이 파쇄 케이싱(116)으로부터 인출되어 파쇄 플라스틱 보관부(115)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60, 270)이 구성된다.
여기서, 제1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60)에는 그 양단부에 소정의 진동을 제공하여 제1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60)의 메쉬홀에 대한 크기 보다 큰 플라스틱 쓰레기가 상기 메쉬홀에 끼임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메쉬홀 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는 플라스틱 쓰레기 만이 제2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70)을 통해 파쇄 플라스틱 보관부(115)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부재(28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진동부재(280)는 제1컨트롤러(204)의 제어에 따라 회전축 구동수단(250)의 구동시 함께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처리부(200)는 쓰레기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경우, 카메라(156) 및 구동 제어부(152)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가 플라스틱 종류의 쓰레기인지 확인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투입홀 개폐부재(210)가 투입홀(114)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제1컨트롤러(204)로 구동 제어부(152)로부터 구동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1컨트롤러(204)는 투입홀 개폐부재(210)의 구동을 제어하여 투입홀(114)을 개방함과 동시에 투입된 플라스틱 쓰레기가 파쇄 케이싱(116)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플라스틱의 파쇄가 진행되는 경우, 투입홀 개폐부재(210)는 투입홀(114)을 폐쇄시켜 파쇄되는 플라스틱이 투입홀(114)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캔 처리부(400), 캔 처리부 케이싱(120)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 캔 처리부 케이싱(120)의 캔 투입부(122)를 통해 투입된 알루미늄 재질의 캔 쓰레기를 소정의 압력을 가압하여 압착시킨 후, 압착된 캔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제2조작패널(402), 제2컨트롤러(404), 캔 처리 본체부(410), 압착 구동부(420), 받침패널(430), 배출호퍼(440), 스크래퍼(450), 배출 본체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조작패널(402)은 캔 처리부(4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입력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제2컨트롤러(404)는 제2조작패널(402) 및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캔 처리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캔 처리 본체부(410)는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압착 구동부(420)의 승하강 작동을 지지하며, 전방으로 캔 투입 안내패널(126)과 연결되어 투입된 캔 쓰레기를 공급받는 캔 공급홀(412)이 형성된다.
또한, 캔 처리 본체부(410)에는 일측부로 압착 구동부(420)에 의해 압착된 캔 쓰레기를 공급받아 배출하도록 캔 배출부(462)가 마련되는 배출 본체부(460)가 연결된다.
이때, 배출 본체부(460)에는 유입된 캔 쓰레기를 저장챔버(136)측으로 배출하는 배출호퍼(440)가 구성된다.
또한, 캔 처리 본체부(410)에는 압착 구동부(420)의 압착 작동시 발생하는 압착력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고, 압착된 캔 쓰레기가 안정적으로 배출 본체부(460)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받침패널(430)이 구성된다.
이때, 받침패널(430)은 캔 공급홀(412)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캔 처리 본체부(410)에는 타측부, 즉 배출 본체부(46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고, 압착된 캔 쓰레기를 배출 본체부(460)측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래퍼 어셈블리(4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캔 처리부(400)에는 전술한 투입홀 개폐부재(210)를 더 구성하여 캔 투입부(122)와 캔 투입 안내패널(126) 사이에 형성되는 캔 투입홀(124)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200)와 마찬가지로 카메라(156) 및 구동 제어부(152)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가 캔 쓰레기인지 확인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투입홀 개폐부재(210)가 캔 투입홈(124)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음식물 처리부(600)는 음식물 쓰레기를 살균 및 건조시켜 친환경 비료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운반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제3조작패널(602), 제3컨트롤러(604), 분할판(610), 급배기 수단(620), 공급블럭(630), 살균램프(640), 교반축(650), 음식물 배출부재(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조작패널(602), 제3컨트롤러(604), 분할판(610), 급배기 수단(620), 공급블럭(630), 살균램프(640), 교반축(650), 음식물 배출부재(6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조작패널(602)은 음식물 처리부(6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입력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제3컨트롤러(604)는 제3조작패널(602) 및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음식물 처리부(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분할판(610)은 처리 공간부와 투입 공간부로 분할하고, 제3컨트롤러(604)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투입 공간부와 처리 공간부가 연통되게 함으로써,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 공간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분할판(610)은 일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컨트롤러(6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할판(610)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분할판 회전수단(612)이 구성된다.
여기서, 분할판 회전수단(612)은 통상의 모터, 기어, 스프로켓, 체인 및 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분할판(610) 및 분할판 회전수단(61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후술할 공급블럭(630)의 경사면에 밀착되게 하향 회전하면서 그 중앙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급배기 수단(620)은 분할판(610)에 의해 분할된 상부 공간, 즉 투입 공간부 상에 구성되고, 이 투입 공간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음식물 처리부(600)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부(624)와,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 공간부로 공급되어 살균, 건조 및 분쇄할 때 외기를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급기부(622)로 구성된다.
이때, 배기부(624)에는 필터부재를 장착하여 배기되는 악취에 포함된 유해성분에 대한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급블럭(630)은 분할판(610)의 하부에 구성되며,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의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결합되어, 분할판(610)이 하향 회전하면서 분할판(61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 공간부에 배치되는 교반축(650)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공급블럭(630)은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할판(610)의 하부면이 밀착되게 구성된다.
또한, 공급블럭(630)의 하부면에는 살균램프(64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 살균램프(640)는 교반축(650)측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공급되는 경우, 제3컨트롤러(604)의 제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측으로 UV를 조사하여 살균 및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교반축(650)은 분할판(610)에 의해 분할된 공간 중 하부에 형성되는 처리 공간부 상에 구성되며,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교반축(650)은 외주면을 따라 교반 블레이드가 다수개 결합되어 공급받은 음식물 쓰레기가 살균 및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반축(650)은 통상의 모터로 이루어지는 교반축 구동부(652)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음식물 처리부(600)의 하부에 구성되는 음식물 배출부재(660)는 그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챔버(136)로 배출하는 통상의 호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음식물 배출부재(660)에는 관통된 중앙부를 개폐시키는 댐퍼부재(670)와, 이 댐퍼부재(670)를 제3컨트롤러(604)의 제어에 따라 회전시키는 댐퍼 회전수단(672)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부(600)는 전술한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200) 및 캔 처리부(400)와 마찬가지로 카메라(156) 및 구동 제어부(152)를 통해 투입된 쓰레기가 음식물 쓰레기인지 확인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분할판(610)에 의해 처리 공간부와 투입 공간부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부 110: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
112: 플라스틱 투입부 113: 제1개폐도어
114: 플라스틱 투입홈 115: 파쇄 플라스틱 보관부
116: 파쇄 케이싱 120: 캔 처리부 케이싱
122: 캔 투입부 123: 제2개폐도어
124: 캔 투입홈 125: 압착 캔 보관부
126: 캔 투입 안내패널 128: 캔 처리부 고정 프레임
130: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 132: 덮개패널
134: 투시창 136: 저장챔버
140: 연결관 150: 충전 프레임부
152: 구동 제어부 154: 충전 배터리
156: 카메라 160: 태양열 발전부
200: 플라스틱 처리부 202: 제1조작패널
204: 제1컨트롤러 210: 투입홀 개폐부재
212: 개폐 구동수단 214: 개폐 구동로드
216: 투입홀 개폐패널 218: 개폐레일
220: 제1파쇄본체 222: 제1파쇄날
230: 제2파쇄본체 232: 제2파쇄날
240: 파쇄본체 회전축 250: 회전축 구동수단
260: 제1파쇄 플라스틱 배출망
262: 진동부재 270: 제2파쇄 플라스틱 배출망
400: 캔 처리부 402: 제2조작패널
404: 제2컨트롤러 410: 캔 처리 본체부
412: 캔 공급홀 420: 압착 구동부
422: 압착패널 430: 받침패널
440: 배출호퍼 450: 스크래퍼
460: 배출 본체부 462: 캔 배출부
600: 음식물 처리부 602: 제3조작패널
604: 제3컨트롤러 610: 분할판
612: 분할판 회전수단 620: 급배기 수단
622: 급기부 624: 배기부
630: 공급블럭 640: 살균램프
650: 교반축 652: 교반축 구동부
660: 음식물 배출부재 670: 댐퍼부재
672: 댐퍼 회전수단

Claims (5)

  1. 플라스틱 쓰레기를 파쇄하는 플라스틱 처리부(200)가 내장되고, 파쇄된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쓰레기를 압착하는 캔 처리부(400)가 내장되고, 압착된 캔 쓰레기를 배출하는 캔 처리부 케이싱(120);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부(600)가 내장되고,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10);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 캔 처리부 케이싱(120) 및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관(140);
    상기 연결관(140)과 연결되며, 상부면으로 태양열 발전부(160)가 결합되고, 상기 태양열 발전부(16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이 충전되며, 충전된 전력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52)가 내장되는 충전 프레임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 케이싱(110)은, 상기 플라스틱 쓰레기를 투입하는 플라스틱 투입부(112)와, 상기 파쇄된 플라스틱이 보관되는 파쇄 플라스틱 보관부(115)와, 플라스틱 처리부(200)가 장착되며, 일정 크기로 파쇄된 플라스틱들만 배출시키는 파쇄 케이싱(116)을 포함하고,
    상기 캔 처리부 케이싱(120)은, 상기 캔 쓰레기를 투입하는 캔 투입부(122)와, 상기 캔 투입부(122)의 하측 끝단부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캔 투입부(122)를 통해 투입된 캔을 상기 캔 처리부(400)로 공급하는 캔 투입 안내패널(126)과, 상기 압착된 캔 쓰레기를 보관하는 압착 캔 보관부(125)와, 상기 캔 처리부(400)를 상기 캔 처리부 케이싱(120)에 고정시키는 캔 처리부 고정 프레임(128)을 포함하며,
    상기 음식물 처리부 케이싱(130)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도록 상부를 개폐시키는 덮개패널(132)과, 상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챔버(136)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200)는,
    상기 플라스틱 처리부(2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는 제1조작패널(202);
    상기 제1조작패널(202) 및 상기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플라스틱 처리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컨트롤러(204);
    직진 이동에 대한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 구동수단(212)과, 상기 개폐 구동수단(212)의 단부에 연결되는 개폐 구동로드(214)와, 상기 개폐 구동로드(214)와 결합되며, 상기 개폐 구동로드(214)의 이동 방향에 따라 투입홀(114)을 개폐시키는 투입홀 개폐패널(216)을 포함하는 투입홀 개폐부재(210);
    서로 다른 직경으로 구성되며, 외주면으로 각각 제1 및 제2파쇄날(222, 232)이 구성되는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와, 상기 제1 및 제2파쇄본체(220, 230)가 결합되는 파쇄본체 회전축(240)과, 상기 파쇄본체 회전축(24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구동수단(250)을 포함하는 파쇄수단;
    파쇄된 플라스틱 쓰레기를 배출하는 제1 및 제2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60, 270);
    상기 제1파쇄 플라스틱 배출망(260)에 소정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부재(2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레임부(150)에는 다수개의 카메라(156)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처리부(400)는,
    상기 캔 처리부(4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는 제2조작패널(402);
    상기 제2조작패널(402) 및 상기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캔 처리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컨트롤러(404);
    상기 캔 투입 안내패널(126)로부터 캔 쓰레기가 공급되는 캔 처리 본체부(410);
    상기 캔 처리 본체부(410)의 상부에 구성되며, 승하강 작동에 의해 상기 캔 쓰레기를 압착시키는 압착 구동부(420);
    상기 캔 처리 본체부(410)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압착 구동부(420)의 압착 작동시 발생하는 압착력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받침패널(430);
    압착된 캔 쓰레기를 이동시키는 스크래퍼 어셈블리(450);
    상기 스크래퍼 어셈블리(450)에 의해 이동된 압착된 캔 쓰레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배출 본체부(4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처리부(600)는,
    상기 음식물 처리부(600)의 구동 신호를 입력하는 제3조작패널(602);
    상기 제3조작패널(602) 및 상기 구동 제어부(152)와 연결되어 음식물 처리부(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3컨트롤러(604);
    상기 음식물 처리부(600)의 내부 공간을 투입 공간부와 처리 공간부로 분할하며, 상기 제3컨트롤러(6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투입 공간부와 처리 공간부를 연통시키는 분할판(610);
    상기 투입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배기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 공간부로 공급될 때 외기를 급기하는 급배기부(620);
    상기 분할판(610)의 구동시 하부면이 밀착되게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 공간부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공급블럭(630);
    상기 공급블럭(630)에 구성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측으로 UV를 조사하여 살균 처리하는 살균램프(640);
    상기 처리 공간부에 구성되고,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및 분쇄시키는 다수개의 교반 블레이드가 구성되는 교반축(650);
    상기 살균, 건조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음식물 배출부재(660); 및
    상기 음식물 배출부재(660)를 개폐시키는 댐퍼부재(6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20088801A 2022-02-08 2022-07-19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90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16138 2022-02-08
KR1020220016138 2022-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370B1 true KR102490370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01A KR102490370B1 (ko) 2022-02-08 2022-07-19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3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39B1 (ko) * 2009-12-16 2010-03-24 박진만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2713B1 (ko) * 2009-12-17 2010-06-11 광주광역시 남구 패트병과 캔 처리장치를 가진 크린하우스
KR200492470Y1 (ko) 2020-03-26 2020-10-21 사공탁 빌라 주택용 쓰레기 수거함
KR200495183Y1 (ko) 2021-12-16 2022-03-24 최교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95517Y1 (ko) 2019-01-07 2022-06-13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20220081039A (ko) *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백산테크 크린하우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039B1 (ko) * 2009-12-16 2010-03-24 박진만 음식물 처리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62713B1 (ko) * 2009-12-17 2010-06-11 광주광역시 남구 패트병과 캔 처리장치를 가진 크린하우스
KR200495517Y1 (ko) 2019-01-07 2022-06-13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200492470Y1 (ko) 2020-03-26 2020-10-21 사공탁 빌라 주택용 쓰레기 수거함
KR20220081039A (ko) *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백산테크 크린하우스
KR200495183Y1 (ko) 2021-12-16 2022-03-24 최교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62247A (zh) 一种医疗塑料垃圾处理装置
KR100942781B1 (ko) 살처분 또는 폐사된 가축 사체의 친환경 처리용 이동식 특장차
CN102500595B (zh) 一种厨房垃圾处理机及其绞碎器
CN101730595A (zh) 多功能废弃材料处理系统
CN106622473A (zh) 一种建筑垃圾粉碎装置
CA281662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mpostable waste processing
KR101151385B1 (ko) 가축 살균 처리용 특장차
WO2010060111A1 (en) Containerized medical waste treat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
CN211757555U (zh) 一种厨余垃圾处理器
CN111790736A (zh) 一种医疗废弃物处理装置及方法
KR10122287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90370B1 (ko) 인공 지능 다목적 쓰레기 처리장치
CN110624931A (zh) 一种厨房垃圾的处理再利用装置
CN109553439A (zh) 一种垃圾处理设备
CN102699010A (zh) 医疗废弃物现场实时无害化处理再利用的方法及设备
CN108043554A (zh) 一种城市固体垃圾处理设备
CN208990899U (zh) 一种垃圾分类处理装置
CN111515230A (zh) 一种金属垃圾处理装置
KR101541690B1 (ko) 음식물 쓰레기 압축 장치
CN106582976A (zh) 厨余垃圾处理机
CN216827836U (zh) 一种医疗固体废物分类收集装置
KR102358780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CN214107437U (zh) 一种生活垃圾焚烧炉渣处理用废铁回收装置
FR2953726A1 (fr) Procede de traitement de dechets a risques infectieux et equipement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KR101064291B1 (ko) 음식물처리기의 회전드럼 몸체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