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555B1 -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555B1
KR102489555B1 KR1020220003294A KR20220003294A KR102489555B1 KR 102489555 B1 KR102489555 B1 KR 102489555B1 KR 1020220003294 A KR1020220003294 A KR 1020220003294A KR 20220003294 A KR20220003294 A KR 20220003294A KR 102489555 B1 KR102489555 B1 KR 10248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al
file
pile
extension
guid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266A (ko
Inventor
송양수
Original Assignee
(주)진양비지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양비지엠텍 filed Critical (주)진양비지엠텍
Publication of KR2022012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helically or spirally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이 안내 슬리브를 이용한 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상호 간의 체결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안정적인 수직 및 회전하중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회전력에 의해 지반 매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에 날개부가 나선형상을 이루어 외주면에 구성된 헬리컬 파일과; 상기 헬리컬 파일의 상부에 연결이 이루어지는 일정 길이의 연장 파일과; 상기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 부위에 구성되어 양측의 연결을 안내하는 원통 형상의 안내 슬리브와; 상기 헬리컬 파일의 상단부와 연장 파일의 하단부가 상호 끼움 형태로 회전 결합이 가능하도록 양측의 복수의 개소에 각각 구비되는 걸림홈 및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반대측 걸림홈에 원활하게 끼움 안내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경사 안내면과; 상기 경사 안내면과 연속되어 걸림홈 및 걸림턱의 상호 걸림부위에 형성되는 연장 경사면과; 상기 헬리컬 파일과 안내 슬리브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하부 결합수단과; 상기 연장 파일과 안내 슬리브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상부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Connection structure of helical pile and extension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헬리컬 파일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 지반에 관입되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 상호 간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이루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 구축시 연약지반 등 지반을 개량할 필요가 있을 경우 지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파일을 박거나 지반을 개량하는 기초공사가 선행된다.
한편, 연약지반에 시공되는 파일은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나, 특히 크레인과 포크레인 등의 대형 장비를 이용하여 지지층까지 소정 깊이의 천공홀을 형성한 다음 공벽보호케이싱 등을 설치하고 내부에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현장타설 말뚝을 형성하는 헬리컬 파일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의 헬리컬 파일은 나선형의 날개가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며, 길이 연장을 위해 상단부에 연장 파일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 예에 따른 헬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나선형의 날개(11)가 일체로 구비된 헬리컬 파일(10)의 상부에는 암나사가 내주면에 가공된 연결부(1)가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연장 파일(20)의 선단부에는 수나사 형태의 나사탭(2)이 가공되어 상호 간에 나사 체결 방식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나사 체결 방식 헬리컬 파일 연결 구조에서는 상호 양측 연결부위의 나사탭 가공에 따른 제품원가 상승 및 이에 따른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의 종래 기술에서는 헬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의 연결부 양측에 핀체결공(4,5)을 각각 형성하여 체결핀(3)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핀 체결 방식 구조에서는 장비의 회전 및 압입하중에 따른 전단력이 체결핀(3)에 집중됨으로 인해 체결핀(3)의 파단 내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현장에서 양측 핀체결공(4,5)을 정확히 일치시키기에 어려움이 발생함과 함께 작업자가 핀체결공(4,5)에 체결핀(3)을 체결하거나 및 분해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52826호(2018.04.23.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90305호(2020.03.11.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부위 구조 개선을 통하여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상부 구조체의 회전력이 하부 구조체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회전력에 의해 지반 매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에 날개부가 나선형상을 이루어 외주면에 구성된 헬리컬 파일과; 상기 헬리컬 파일의 상부에 연결이 이루어지는 일정 길이의 연장 파일과; 상기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 부위에 구성되어 양측의 연결을 안내하는 원통 형상의 안내 슬리브와; 상호 끼움 형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개소에 각각 구비되는 걸림홈 및 걸림턱과; 상기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상호 연결이 이루어지는 대응 단부에 회동 방식에 의해 걸림턱이 반대측 걸림홈에 원활하게 끼움 안내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 안내면과; 상기 경사 안내면과 연속되어 걸림홈 및 걸림턱의 상호 걸림부위에 형성되는 연장 경사면과; 상기 헬리컬 파일과 안내 슬리브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하부 결합수단과; 상기 연장 파일과 안내 슬리브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상부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이 안내 슬리브를 이용한 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상호 간의 체결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안정적인 수직 및 회전하중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연장 파일을 하강시켜 헬리컬 파일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헬리컬 파일의 상단부가 안내 슬리브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 연장 파일을 안내 슬리브에 삽입시키기만 하면 경사면을 따라 양측의 걸림턱과 걸림홈이 걸려짐과 함께 상부 체결공이 정확히 일치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걸림 연결부위 및 체결공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 없이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연장 파일의 회전력이 헬리컬 파일에 직접 전달되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안내 슬리브는 양측의 치합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안내 슬리브의 파손 내지는 변형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걸림턱과 걸림홈이 결합되었을 때는 항상 연결 슬리브와의 체결공이 상호 일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체결볼트의 조립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나사 연결타입 헬리컬 파일 연결부 구조도.
도 2는 종래 핀 연결타입 헬리컬 파일 연결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일 연결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파일 연결부 상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걸림턱 및 걸림홈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파일 연결부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헬리컬 파일 상부에 안내 슬리브가 체결된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연장 파일이 안내 슬리브에 의해 하강 안내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연장 파일과 헬리컬 파일의 경사면 회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연장 파일과 헬리컬 파일이 연결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연장 파일과 헬리컬 파일이 연결된 상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연장 파일과 헬리컬 파일이 연결된 상태 측면 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 헬리컬 파일 연결부의 회전력 및 상승력 작용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핀타입 연결구조 분리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핀타입 연결구조 결합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용접-핀타입 연결구조 분리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용접-핀타입 연결구조 결합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핀-용접타입 연결구조 분리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핀-용접타입 연결구조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구조를 도 3 내지 도 1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는, 수직 회전력에 의해 지반 매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에 스크류 형상의 날개부(11)가 나선형상을 이루어 외주면에 구성된 헬리컬 파일(10)과, 상기 헬리컬 파일(10)에 회전력 전달을 위해 상부에 연결이 이루어지는 일정 길이의 연장 파일(20)과, 상기 헬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의 연결 부위에 구성되어 양측의 연결을 안내하는 원통 형상의 안내 슬리브(30)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때, 헬리컬 파일(10)의 상단부와 연장 파일(20)의 하단부에는 안내 슬리브(30) 내에서 상호 끼움 형태로 회전 결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개소에 각각 걸림홈(12,22) 및 걸림턱(13,23)이 "ㄷ"형상을 이루어서 상호 대칭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걸림턱(13,23)이 반대측 걸림홈(12,22)에 원활하게 끼움 안내될 수 있도록 양측에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 안내면(14,24)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12,22) 및 걸림턱(13,23)은 일정 각도(θ)의 경사 형태를 이루어 구비됨으로써, 걸림홈(12,22) 및 걸림턱(13,23)의 상호 걸림부위에는 경사 안내면(14,24)과 연속되어 연장 경사면(a,b)이 형성되고, 걸림홈(12,22)의 내벽면 및 걸림턱(13,23)의 선단부는 상호간에 안정적인 회전력 전달을 위해 수직면(c,d)을 이루어 구비된다. 이때, 수직면(c,d)은 연장 경사면(a,b)과 직각 보다 작은 크기의 예각 형태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안내 슬리브(30)에 내입된 상기 헬리컬 파일(10) 상단부와 안내 슬리브(30)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하부 결합수단과, 상기 연장 파일(20)과 안내 슬리브(30)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상부 결합수단이 구성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헬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 안내 슬리브(30)의 상호 대응 위치에 체결공(15,35)(26,36)이 각각 관통 형성되어 체결볼트(40)에 의한 조립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걸림홈(12,22) 및 걸림턱(13,23)이 체결 완료된 위치에서 헬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 안내 슬리브(30)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5,35)(26,36)의 위치가 상호 일치될 수 있도록 걸림홈(12,22), 걸림턱(13,23), 경사 안내면(14,24) 및 체결공(15,35)(26,36)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서 헬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의 연결작업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시공 초기에는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헬리컬 파일(10) 상단부를 포크레인 헤드부의 지그에 연결한 상태에서 회전력 전달에 따른 지반에 일정 깊이로 헬리컬 파일(10)의 근입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지면에 일부 노출된 헬리컬 파일(10) 상단부에서 포크레인 지그를 분리시킨 후 연장 파일(20)을 연결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헬리컬 파일(10) 상단부에 안내 슬리브(30)를 체결볼트(40)를 이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즉, 체결볼트(40)를 하부 체결공(15,35)에 체결 후 체결너트(41)를 고정시킴으로써 헬리컬 파일(10) 상부에 안내 슬리브(30)가 조립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안내 슬리브(30)는 시공 과정에서 현장 조립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시공 전에 먼저 헬리컬 파일(10) 상단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시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안내 슬리브(30)의 조립이 이루어져 있는 헬리컬 파일(10)의 상부에 도 8 및 도 9에서와같이 연장 파일(20)을 서서히 하강시키게 되면 안내 슬리브(30)에 연장 파일(20)의 가이드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헬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에 각각 구비된 걸림턱(13,23)이 대향되는 경사 안내면(14,24)과 접촉이 이루어짐과 함께 경사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안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각각의 걸림턱(13,23)이 양측 경사 안내면(14,24)을 따라 하향으로 안내되는 과정에서 연장 파일(20)을 회전시키게 되면, 도 10에서와같이 걸림턱(13,23)이 걸림홈(12,22)에 동시에 끼워지면서 상호 걸림상태의 연결구조를 이루게 된다.
특히, 이러한 걸림 상태의 연결구조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연장 파일(20)에 형성된 상부 체결공(26)과 안내 슬리브(30)에 형성된 상부 체결공(36)이 레이저 가공에 의해 정확히 일치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양측 상부 체결공(26,36)에 체결볼트(40)의 체결을 통해 체결부의 이탈이 방지되는 가운데 헬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의 안정적인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연결 작업이 완료되면 상부 연장 파일(20)에 상부 동력장치로 부터 회동력이 전달되고, 연장 파일(20)의 회전력은 하부의 헬리컬 파일(10)로 전달되어 지반 근입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걸림홈(12,22)과 걸림턱(13,23)의 경사형 치합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부 연장 파일(20)의 회전 하중이 하부 헬리컬 파일(10)와의 연결 부위에서 하향으로 안내되면서 효율적인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 13에서와같이 연장 파일(20)의 일방향 회전력이 작용되었을 때 헬리컬 파일(10)과 연결부에서는 걸림홈(12,22) 및 걸림턱(13,23)의 일정 각도(θ) 결합 구조로 인해 하향의 스크류 회동력이 전달되어질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지반 근입동작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반 근입 과정에서 암반 등으로 인해 헬리컬 파일(10)을 천공홀로 부터 인출해야 하는 경우, 연장 파일(20)을 상승시키게 되면 걸림홈(12,22)과 걸림턱(13,23)의 연결 구조로 인해 수직방향 상승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되는데, 헬리컬 파일(10)의 하중에 의한 힘이 대부분 걸림홈(12,22)과 걸림턱(13,23) 부위에 작용되어질 수 있게 되어 안내 슬리브(30)에 체결된 체결볼트(40)의 파단 등의 문제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결이 이루어진 연장 파일(20)을 헬리컬 파일(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상부 체결공(26,36)으로 부터 체결볼트(40)를 분해한 후 연장 파일(2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만 하면 걸림턱(23)이 경사 안내면(14)을 따라 상향 안내되면서 걸림홈(12)으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데 되어 신속한 분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이 안내 슬리브를 이용한 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상호 간의 체결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안정적인 수직 및 회전하중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결합수단으로 체결핀(50)이 압입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1 실시 예에서의 체결볼트를 대신하여 체결핀(50)에 의한 헬리컬 파일(10)과 안내 슬리브(30)의 조립 및 안내 슬리브(30)와 연장 파일(2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하부 결합수단으로 용접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서, 헬리컬 파일(10)과 안내 슬리브(30)는 용접부(60)에 의한 용접 고정이 이루어지고, 안내 슬리브(30)와 연장 파일(20)은 체결볼트(40)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에서 연장 파일(20)과 안내 슬리브(30)가 용접부(60)에 의해 용접된 상태에서 하부의 헬리컬 파일(10)과의 조립 작업이 체결볼트(40)에 의해 이루어지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헬리컬 파일 연장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걸림홈 및 걸림턱 구조가 상,하 각각 2개로 구성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연결부 구성은 필요에 따라 3개 또는 4개가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헬리컬 파일 11 : 날개부
12,22 : 걸림홈 13,23 : 걸림턱
14,24 : 경사 안내면 15,35 : 하부 체결공
20 : 연장 파일 26,36 : 상부 체결공
30 : 안내 슬리브 40 : 체결볼트
41 : 체결너트 50 : 체결핀
60 : 용접부 a,b : 연장 경사면
c,d : 수직면

Claims (8)

  1. 수직 회전력에 의해 지반 매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헬리컬 파일의 하부에는 날개부가 나선형상을 이루어 외주면에 구성되고;
    상기 헬리컬 파일에 회전력 전달을 위해 상부에는 일정 길이의 연장 파일이 연결되며;
    상기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 부위에는 양측의 연결을 안내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안내 슬리브가 구성되고;
    상기 안내 슬리브 내에서 헬리컬 파일의 상단부와 연장 파일의 하단부가 상호 끼움 형태로 회전 결합이 가능하도록 양측의 복수의 개소에 각각 걸림홈 및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턱이 반대측 걸림홈에 원활하게 끼움 안내될 수 있도록 양측에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 안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안내면과 연속되어 걸림홈 및 걸림턱의 상호 걸림부위에는 연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은 걸림턱과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ㄷ"형상을 이룸과 함께, 내벽면 및 걸림턱의 선단부는 연장 경사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수직면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안내 슬리브에 내입된 헬리컬 파일 상단부와 안내 슬리브는 하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안내 슬리브에 내입된 연장 파일 하단부와 안내 슬리브는 상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수단 및 상부 결합수단은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 안내 슬리브의 상호 대응 위치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볼트 또는 체결핀에 의한 조립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수단 및 상부 결합수단은 용접에 의해 형성되는 용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결합수단 및 상부 결합수단 중 일측은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볼트 또는 체결핀에 의한 조립 체결이 이루어지고, 타측은 용접에 의한 용접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2,22) 및 걸림턱(13,23)은 일정 각도(θ)의 경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2,22) 및 걸림턱(13,23)이 체결 완료된 위치에서 헬러컬 파일(10)과 연장 파일(20), 안내 슬리브(30)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5,35)(26,36)의 위치가 상호 일치될 수 있도록 걸림홈(12,22), 걸림턱(13,23), 경사 안내면(14,24) 및 체결공(15,35)(26,36)은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의 연결구조를 이루는 헬리컬 파일을 이용하여 지반 매입 시공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상부 연장파일의 회전력이 걸림턱 및 걸림홈 부위를 통해 헬리컬 파일로 전달되어 시공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20003294A 2021-03-12 2022-01-10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89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2778 2021-03-12
KR1020210032778 2021-03-12
KR20210077436 2021-06-15
KR1020210077436 2021-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66A KR20220128266A (ko) 2022-09-20
KR102489555B1 true KR102489555B1 (ko) 2023-01-17

Family

ID=8344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294A KR102489555B1 (ko) 2021-03-12 2022-01-10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9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141B1 (ko) 2023-01-12 2024-01-02 송양수 헬리컬 파일과 커플링 용접 방법 및 이에 의해 용접 고정된 커플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7135A (ja) * 1996-04-22 1997-11-04 Kubota Corp 柱状体連結継手及び柱状体
KR20160025180A (ko) * 2014-08-27 2016-03-08 백승훈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52826B1 (ko) 2017-07-13 2018-04-27 김용모 선단확장형 헬리컬파일
KR102090305B1 (ko) 2019-10-04 2020-03-17 이정섭 그라우팅 시공이 용이한 빅헬리컬파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66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201B1 (ko) 헬리컬 파일과 연장 파일의 연결구조
US9739024B2 (en) End plate for concrete piles
US4293148A (en) Pile connector
US4239419A (en) Precast concrete threaded pilings
KR101803358B1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US7314335B2 (en) Anchor pil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2489555B1 (ko) 헬리컬 파일과 연장파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35777B1 (ko)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JP4753426B2 (ja) 鋼管の接合継手
US9458591B1 (en) Method for placing reinforced concrete piling without utilizing a pile driver or an auger
KR101451164B1 (ko) 콘크리트 말뚝 연장 체결장치
KR20048099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101759879B1 (ko) 회전 관입 말뚝 유니트, 회전 관입 말뚝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9287357A (ja) 鋼管の継手構造
GB2276217A (en) A connector with a dowel device for connecting rotary drill casings
KR20048100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102548386B1 (ko) Phc 말뚝의 연결장치
US6979151B1 (en) Timber pile connector
KR102128820B1 (ko) 파일의 무용접 이음장치
KR102031188B1 (ko) 결합이 용이하고 항타에 강한 phc 파일 연결구조
KR102121804B1 (ko) 시공용이성을 향상시킨 무용접 phc파일 연결구조
KR102622384B1 (ko) 강관 파일 연결 구조
KR102620141B1 (ko) 헬리컬 파일과 커플링 용접 방법 및 이에 의해 용접 고정된 커플링
JP5954679B2 (ja) 杭の無溶接継ぎ手
KR200494977Y1 (ko) 기초보강용 파일압입시스템에서 기초판 하부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