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999B1 -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999B1
KR102488999B1 KR1020200054688A KR20200054688A KR102488999B1 KR 102488999 B1 KR102488999 B1 KR 102488999B1 KR 1020200054688 A KR1020200054688 A KR 1020200054688A KR 20200054688 A KR20200054688 A KR 20200054688A KR 102488999 B1 KR102488999 B1 KR 10248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hole
solar panel
fastening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438A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비에이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이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비에이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54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99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고정 가능한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에 지지되는 받침부, 상기 대상물에 상기 받침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받침부의 일측부에 기립하게 결합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STRUCTURE FOR SUPPORTING SOLAR PANEL}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회전 고정 가능한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생산은 그 설치 규모에 따라 일반 가정용에서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과, 청정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환경오염발생이 없고 무한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그 이용이 다른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비추어 더욱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은 태양을 이용한다는 특징으로 대부분 옥외에 설치되는데, 건물의 외벽이나 옥상, 지붕 또는 지면에 지주를 설치하고 그 지주 위에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태양광 프로파일을 빛의 일사조건이 유리한 건축물의 지붕에 클램프를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하여 전력이 안정적으로 생산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2138호에는 종래의 태양광 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모듈"을 기재하고 있다.
종래의 태양광 패널 지지모듈은 태양광 패널을 일정 방향으로 고정되게 지지하였다.
하지만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태양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태양광 패널의 방향을 한 방향으로만 설치할 경우 음영 등의 발생으로 발전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태양광 패널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은 대상물에 지지되는 받침부, 상기 대상물에 상기 받침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 상기 받침부의 일측부에 기립하게 결합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중앙에 장방형으로 관통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둘레부에 상기 관통홀과 이격되고 원호 형상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장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복수 개이고, 상기 대상물의 둘레 일부를 감싸되 상기 체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복수 개의 상기 장홈 중 하나의 장홈과 체결하고, 상기 체결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복수 개의 상기 장홈 중 다른 하나의 장홈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는 육각면체의 형상이고, 일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타단부를 상기 관통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판체이고, 상기 경사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기둥부의 일단부 양측에 상기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와 결합하는 연장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의 수평각을 조절한 후 고정할 수 있어 태양광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태양광 패널의 수평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받침부 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체결부재 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을 대상물에 체결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기둥부 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고정부 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체결부재 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받침부 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좌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은 대상물(M)에 지지되는 받침부(100), 상기 대상물(M)에 상기 받침부(10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200), 상기 받침부(100)의 일측부에 기립하게 결합하는 기둥부(300) 및 상기 기둥부(300)의 일단부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서 받침부 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는 판체를 형성할 수 있고, 원판 또는 다각형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받침부(100)는 관통홀(110)과 장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10)은 받침부(100)의 중앙에 장방형으로 관통된 구멍일 수 있다.
장홈(12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홈(120)은 관통홀(110)의 둘레부에 관통홀(110)과 이격되고 관통홀(11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체결부재 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부분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을 대상물에 체결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0)는 대상물(M)에 받침부(100)를 지지한 상태에서 받침부(100)를 대상물(M)에 고정되도록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체결부재(200)는 대상물(M)의 둘레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일단부와 타단부를 받침부(100)의 복수 개의 장홈(120) 중 하나의 장홈(120)과 볼트 등에 의해 체결할 수 있다.
즉, 체결부재(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장홈(120)은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부재(20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2개의 장홈(120) 중 제1 장홈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체결부재(200) 중 다른 하나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2개의 장홈(120) 중 제2 장홈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체결부재(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장홈(120)은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대상물(M)의 둘레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일단부를 받침부(100)의 복수 개의 장홈(120) 중 하나의 장홈(120)과 볼트 등에 의해 체결하고, 타단부를 복수 개의 장홈(120) 중 다른 하나의 장홈(120)과 볼트 등에 의해 체결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체결부재(20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는 4개의 장홈(120) 중 제1 장홈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4개의 장홈(120) 중 제2 장홈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체결부재(200) 중 다른 하나의 일단부는 4개의 장홈(120) 중 제3 장홈에 체결될 수 있고, 타단부는 4개의 장홈(120) 중 제4 장홈에 체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서 기둥부 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300)는 육각면체의 형상이고, 기둥부(300)의 일단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기둥부(300)의 타단부는 받침부(100)의 관통홀(110)에 결합하는데, 일 실시예로 기둥부(300)의 타단부가 관통홀(110)을 관통한 상태에서 대상물(M)과 볼트 등에 의해 결합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기둥부(300)의 타단부를 관통홀(110)에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고정부 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0)는 판체이고, 기둥부(300)의 일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400)는 태양광 판낼 등과 결합할 수 있다.
기둥부(300)의 일단부 양측부에 각각 경사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장 결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결합부(310)는 고정부(400)와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400)와 결합한 기둥부(300)는 받침부(100)와 결합하고 대상물(M)에 고정된 체결부재(200)는 받침부(100)에 형성된 장홈(120)에 체결되는데, 장홈(120)의 길이 중 어느 한 부분에 체결부재(200)를 체결함에 따라 태양광 패널과 결합하는 고정부(400)의 방위각을 변경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태양광 패널의 방위각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체결부재 만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부분 좌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체결부재(200)는 양단부에 각각 볼트 체결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체결홀(210)은 체결부재(200)를 관통하고 관통된 내부 둘레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트 체결홀(210)은 체결부재(200)와 받침부(100)가 서로 체결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받침부(100)의 장홈(120)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볼트 체결홀(210)이 장홈(120)에 끼움 결합함에 따라 체결부재(200)를 받침부(100)에 볼트 등으로 결합하기 전에 체결부재(200)와 받침부(100)의 결합 위치를 정렬하여 결합을 쉽게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받침부 만을 평면에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의 받침부(100)는 장홈(120)의 내측 둘레에 탄성 가이드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 가이드부(121)는 물결 형상으로 웨이브(wave)되는 금속 또는 수지재의 탄성 소재일 수 있다.
탄성 가이드부(121)는 장홈(120)에 끼움 결합한 볼트 체결홀(210)을 탄성 가이드부(121)의 오목한 부분에 안착하도록 유도하고 볼트 체결홀(210)이 탄성 가이드부(121)에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탄성 가이드부(121)의 볼록한 부분의 탄성력보다 강한 힘으로 받침부(100)를 회전시켜야 받침부(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탄성 가이드부(121)에 의해 작업자가 받침부(100)를 회전 시킨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어 받침부(1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설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의 수평각을 조절한 후 고정할 수 있어 태양광 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태양광 패널의 수평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을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받침부
110: 관통홀
120: 장홈
121: 탄성 가이드부
200: 체결부재
210: 볼트 체결홀
300: 기둥부
310: 연장 결합부
400: 고정부

Claims (6)

  1. 대상물(M)에 지지되는 받침부(100);
    상기 대상물(M)에 상기 받침부(10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200);
    상기 받침부(100)의 일측부에 기립하게 결합하는 기둥부(300);
    상기 기둥부(300)의 일단부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고정부(400); 및
    상기 기둥부(300)의 일단부 양측에 경사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400)와 결합하는 연장 결합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100)는,
    중앙에 장방형으로 관통된 관통홀(110)과,
    상기 관통홀(110)의 둘레부에 상기 관통홀(110)과 이격되고 원호 형상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장홈(12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홈(120)은 4개로 형성되며,
    한 쌍의 체결부재(200)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는 4개의 장홈(120) 중 제1 장홈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4개의 장홈(120) 중 제2 장홈에 체결되며,
    한 쌍의 체결부재(200) 중 다른 하나의 일단부는 4개의 장홈(120) 중 제3 장홈에 체결되며, 타단부는 4개의 장홈(120) 중 제4 장홈에 체결되며,
    상기 기둥부(300)는 육각면체의 형상이고, 일단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타단부를 상기 관통홀(110)에 결합하며,
    상기 체결부재(200)는,
    양단부에 각각 볼트 체결홀(210)을 포함하며,
    상기 볼트 체결홀(210)은 상기 체결부재(200)를 관통하고 관통된 내부 둘레에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 체결홀(210)은 상기 체결부재(200)와 상기 받침부(100)가 서로 체결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100)의 상기 장홈(120)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100)는 상기 장홈(120)의 내측 둘레에 탄성 가이드부(121)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가이드부(121)는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54688A 2020-05-07 2020-05-07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 KR10248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88A KR102488999B1 (ko) 2020-05-07 2020-05-07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688A KR102488999B1 (ko) 2020-05-07 2020-05-07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38A KR20210136438A (ko) 2021-11-17
KR102488999B1 true KR102488999B1 (ko) 2023-01-17

Family

ID=7870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688A KR102488999B1 (ko) 2020-05-07 2020-05-07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2634A (ja) * 2015-06-12 2017-01-05 菱中産業株式会社 杭頭接合構造
JP2017017834A (ja) * 2015-06-30 2017-01-19 日軽金アクト株式会社 太陽光パネル用架台
JP2017028889A (ja) 2015-07-23 2017-02-02 ネミー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968875B1 (ko) * 2018-10-10 2019-04-12 주식회사 대국지아이에스 도로명판 조명 장치
KR102008570B1 (ko) * 2017-06-23 2019-08-07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2634A (ja) * 2015-06-12 2017-01-05 菱中産業株式会社 杭頭接合構造
JP2017017834A (ja) * 2015-06-30 2017-01-19 日軽金アクト株式会社 太陽光パネル用架台
JP2017028889A (ja) 2015-07-23 2017-02-02 ネミー株式会社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008570B1 (ko) * 2017-06-23 2019-08-07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68875B1 (ko) * 2018-10-10 2019-04-12 주식회사 대국지아이에스 도로명판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438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326B2 (en) Camming clamp for roof seam
KR102456022B1 (ko) 휴대용 태양광 전지 어레이
KR101444818B1 (ko) 공장 지붕용 태양광 모듈 거치대
US20150052712A1 (en) Solar panel clamp
KR101593533B1 (ko) 태양광 패널 지지 구조체
WO2020125059A1 (zh) 一种光伏跟踪器
KR100760043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CN204392150U (zh) 钢屋面三维可调节无导轨光伏支架以及光伏组件系统
KR101343342B1 (ko) 대용량 태양광 추적장치
KR20120100334A (ko) 수동식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42153B1 (ko) 가변형 태양광 패널 기초 구조체
CA2849924A1 (en) Solar panel assembly with a mounting structure
CN107395108B (zh) 一种光伏发电的系统
KR101318888B1 (ko) 경사 선형 양축식 솔라 트래커
KR20240058830A (ko) 솔라발전시설물
KR102488999B1 (ko) 태양광 패널 지지용 구조물
CN204947991U (zh) 一种可调整角度的光伏支架
CN104038143B (zh) 光伏阵列支架
KR100840400B1 (ko) 경사각도 조정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207346B1 (ko) 태양광 패널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20150117513A (ko) 태양광 어레이의 조립식 지붕 고정 구조물
US20200049378A1 (en) Solar panel clamp
CN108429518B (zh) 高采光率的光伏电站支架系统及光伏电站
US10042147B2 (en) Glass concentrator mirror assembly
KR101495104B1 (ko)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