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992B1 -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Google Patents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8992B1 KR102488992B1 KR1020210003855A KR20210003855A KR102488992B1 KR 102488992 B1 KR102488992 B1 KR 102488992B1 KR 1020210003855 A KR1020210003855 A KR 1020210003855A KR 20210003855 A KR20210003855 A KR 20210003855A KR 102488992 B1 KR102488992 B1 KR 102488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
- block
- blocks
- learning
- gea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1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pins and hol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 G09B1/325—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the elements comprising interacting electronic compon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G09B23/18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for digital electronics; for computers, e.g. 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드 상에 결합 배치되는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이용하여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활용한 다양한 미션 등을 수행하면서 학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고, 특히 스마트블록들간 페어링 연결을 통해 다양한 블록들간 조합이 가능하고 또한, 스마트블록의 수행 기능을 학습 또는 놀이의 미션에 맞게 설정/수정/제어할 수 있으며, 기능들에 대한 시퀀스 제어를 통해 한정된 스마트블록으로도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코딩 학습에 활용시, 코딩용 작업 화면에 표시된 명령어 엔트리를 순서에 맞춰 드래그앤드롭하는 동작만으로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엔트리의 기입 및 식별 정보의 기입이 모두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대상 스마트블록의 식별정보만을 작업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 화면에 표시된 식별정보(또는 간소화 아이콘)을 엔트리의 중간에 기입하는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 완성된 기어와 스마트블록 완성품을 통해 코딩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드 상에 결합 배치되는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이용하여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활용한 다양한 미션 등을 수행하면서 학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고, 특히 스마트블록들간 페어링 연결을 통해 다양한 블록들간 조합이 가능하고 또한, 스마트블록의 수행 기능을 학습 또는 놀이의 미션에 맞게 설정/수정/제어할 수 있으며, 기능들에 대한 시퀀스 제어를 통해 한정된 스마트블록으로도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코딩 학습에 활용시, 코딩용 작업 화면에 표시된 명령어 엔트리를 순서에 맞춰 드래그앤드롭하는 동작만으로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엔트리의 기입 및 식별 정보의 기입이 모두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대상 스마트블록의 식별정보만을 작업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 화면에 표시된 식별정보(또는 간소화 아이콘)을 엔트리의 중간에 기입하는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 완성된 기어와 스마트블록 완성품을 통해 코딩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에 관한 것이다.
블록놀이 완구는 장방향, 원통형 등의 다양한 입체형상으로 이루어진 여러 개의 조각들을 서로 끼워 맞춰 연결하거나 배열하는 등의 방법으로 모양, 도형 등을 완성하면서 즐길 수 있는 완구로서, 그 조립에 의해 유아 또는 어린이들에게 각종 교육적 효과를 부여하고 각종 모형을 조립함으로써 지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블록 완구에 IoT 등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스마트블록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블록이 배치되는 보드에서도 다양한 스마트 기능성을 가미하는 보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블록이나 또는 코딩 교육용 블록 제품들의 경우, 단순하게 특정 기능성을 구현하는 스마트블록을 배열하거나 나열 또는 순서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학습 또는 놀이가 이루어지고, 코딩 교육 역시 특정 스마트블록에 특정 기능의 함수들을 구현하도록 입력한 후 이를 실행시키는 수준 정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선행특허 문헌] 등록특허 제10-1915939호(2018.10.31.등록) "유아용 스마트블록"
상기 (선행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스마트블록'의 경우에도, 기존의 조립식 블록완구와 결합하여 창의적인 놀이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 기능은 물론, 다양한 입출력이 가능한 기능성을 갖는 스마트블록을 활용하고 있기는 하나, 실제로 위 선행특허에서는 이러한 스마트블록들 간의 연결에 의한 기능 구현 외에는 특별한 개념을 개시하고 있지 않고, 코딩 교육 등에 대해서도 문제인식이나 해결과제 등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기존의 스마트블록 및 기어블록(스마트기어블록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를 구현할 수 있고 특히, 한정된 스마트블록의 갯수하에서도 스마트블록 자체의 기능성을 다양하게 설정/변경 및 스마트블록들 간의 연계 향상 및 보다 쉽고 직관적인 코딩 교육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어와 블록을 활용하는 교구에 대한 니즈는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 상에 결합 배치되는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이용하여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활용한 다양한 미션 등을 수행하면서 학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고, 스마트블록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수준 내지 난이도에 맞춘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를 구현할 수 있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블록들간 페어링 연결을 통해 다양한 블록들간 조합이 가능하고 또한, 스마트블록의 수행 기능을 학습 또는 놀이의 미션에 맞게 설정/수정/제어할 수 있으며, 기능들에 대한 시퀀스 제어를 통해 한정된 스마트블록으로도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를 구현할 수 있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드와 스마트블록간 그리고 스마트블록과 스마트블록간 인식을 돌출형코드와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가변할 수 있고 또한, 탈부착 가능한 스티커형 돌출형코드를 활용해 보드와 스마트블록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교구를 코딩 학습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코딩용 작업 화면에 표시된 명령어 엔트리를 순서에 맞춰 드래그앤드롭하는 동작만으로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엔트리의 기입 및 식별 정보의 기입이 모두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대상 스마트블록의 식별정보만을 작업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 화면에 표시된 식별정보(또는 간소화 아이콘)을 엔트리의 중간에 기입하는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 완성된 기어와 스마트블록 완성품을 통해 코딩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는 보드; 상기 보드 상에 결합 가능한 기어; 상기 보드 상에 결합 가능하고, 상기 기어와 결합하거나 또는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스마트블록; 및 상기 스마트블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블록은, 다양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하는 입력블록과, 다양한 출력신호를 표출하는 출력블록 및 다양한 논리 연산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하는 논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블록, 출력블록 및 논리블록을 활용하여 기어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블록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디모듈과, 다른 스마트블록과의 페어링연결에 활용되는 페어링모듈과,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이나 수정이 가능한 기능모듈과, 데이터 송수신에 활용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드는, 보드 상에 결합 배치되는 기어 또는 스마트블록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어는, 자체 식별정보 제공이나 기어의 회전속도에 대한 센싱이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페어링연결시킬 스마트블록과 스마트블록의 페어링모듈에 관련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페어링제어모듈과, 특정 스마트블록의 기능모듈에 대한 특정 기능을 설정 또는 수정하는 기능제어모듈과, 학습 또는 놀이를 위해 복수의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있어 각 스마트블록마다의 작동에 대한 조건, 작동 순서, 반복 여부 관련 시퀀스를 설정하는 시퀀스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드에서 스마트블록이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블록과 맞닿는 부위 및 상기 스마트블록의 상부 즉, 다른 스마트블록이 적층되는 경우 스마트블록과 맞닿는 부위에는 일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돌출형코드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블록의 하부 즉, 보드 또는 적층되는 다른 스마트블록에 형성된 상기 돌출형코드와 맞닿는 부위에는 상기 돌출형코드의 데이터를 전송받는 센서모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코드는 보드 또는 스마트블록 상에 탈부착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을 코딩하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작업 화면에 코딩된 내용을 컴파일하고, 컴파일된 제어 코드의 제어 대상을 특정하는 코딩처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작업 화면에서 선택 가능한 복수의 명령어 엔트리를 표시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선택된 엔트리가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코딩처리모듈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엔트리의 배열순서에 따라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엔트리를 컴파일하는 제1처리모듈과, 상기 제1처리모듈에 의해 엔트리가 컴파일된 제어 코드의 흠결을 분석하는 제2처리모듈과, 상기 제2처리모듈 분석 결과 제어 코드에 흠결이 존재하면 상기 작업 화면에 흠결을 표시해주는 제3처리모듈과, 상기 제2처리모듈 분석 결과 제어 코드에 흠결이 미존재하면 엔트리가 컴파일된 제어 코드를 제어 대상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4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드 상에 결합 배치되는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이용하여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활용한 다양한 미션 등을 수행하면서 학습 또는 놀이를 즐길 수 있고, 스마트블록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수준 내지 난이도에 맞춘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스마트블록들간 페어링 연결을 통해 다양한 블록들간 조합이 가능하고 또한, 스마트블록의 수행 기능을 학습 또는 놀이의 미션에 맞게 설정/수정/제어할 수 있으며, 기능들에 대한 시퀀스 제어를 통해 한정된 스마트블록으로도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보드와 스마트블록간 그리고 스마트블록과 스마트블록간 인식을 돌출형코드와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가변할 수 있고 또한, 탈부착 가능한 스티커형 돌출형코드를 활용해 보드와 스마트블록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교구를 코딩 학습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코딩용 작업 화면에 표시된 명령어 엔트리를 순서에 맞춰 드래그앤드롭하는 동작만으로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엔트리의 기입 및 식별 정보의 기입이 모두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대상 스마트블록의 식별정보만을 작업 화면에 표시하고 작업 화면에 표시된 식별정보(또는 간소화 아이콘)을 엔트리의 중간에 기입하는 동작을 통해 간편하게 코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배치 완성된 기어와 스마트블록 완성품을 통해 코딩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구를 이루는 세부 구성에 대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활용되는 스마트블록의 종류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구를 활용하여 미션을 수행한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돌출형코드와 센서모듈의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구를 이용한 코딩 교육에서 활용되는 인터페이스부의 작업 화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구를 이루는 세부 구성에 대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활용되는 스마트블록의 종류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구를 활용하여 미션을 수행한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돌출형코드와 센서모듈의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구를 이용한 코딩 교육에서 활용되는 인터페이스부의 작업 화면을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등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는, 보드(10); 상기 보드(10) 상에 결합 가능한 기어(30); 상기 보드(10) 상에 결합 가능하고, 상기 기어(30)와 결합하거나 또는 기어(3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스마트블록(50); 및 상기 스마트블록(50)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보드(10)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어(30) 및 스마트블록(50)을 결합,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보드(10) 상에 배치되는 기어(30)와 스마트블록(50)의 조합을 활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교육 내지 놀이용 도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드(10)에서는, 보드(10) 상에 결합 배치되는 기어(30) 또는 스마트블록(50)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예는 아래에서 도 5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기어(30)는, 본 발명에서 교구로 활용되는 스마트블록(50)과 함께 다양한 학습이나 놀이용 교구로 활용되는 구성으로, 스마트블록(50) 자체에는 운동성이 약한 단점을 상기 기어(30)의 경우 회전하는 운동성 기능을 통해 스마트블록(50)과 함께 활용되면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로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기어(30)는 단순한 기어 형상의 구성인 일반 기어로 형성될수도 있으나, 자체 식별정보 제공이나 기어(30)의 회전속도에 대한 센싱이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기어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블록(50)은, 일반적으로 학습 또는 놀이를 위해 많이 활용하는 일반 블록에 스마트 기능이 더해진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마트 기능이란, IoT와 같은 통신 기능은 물론 다양한 입출력 신호 등의 데이터를 생성 및 표출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블록(50)은 통신모듈, 기능모듈, 센서모듈 등 다양한 부품과 회로나 배터리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블록(10)은,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하는 입력블록(510)과, 다양한 출력신호를 표출하는 출력블록(520) 및 다양한 논리 연산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하는 논리블록(530)을 포함하여, 상기 입력블록(510), 출력블록(520) 및 논리블록(530)을 활용하여 기어(30)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블록(510)은, 스마트블록 자체가 다양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다른 스마트블록 내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대표적인 예로, 특정 시작 신호 내지 정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블록이나 특정 세기에 대한 조절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이얼블록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외에도 온/습도나 조도 등의 데이터를 측정하여 발생시키는 온/습도블록이나 조도블록 또는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촬영하여 전송하는 카메라블록 등도 상기 입력블록(51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출력블록(520)은, 스마트블록 자체가 다양한 출력 신호를 발생시켜 다른 스마트블록 내지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대표적인 예로, 특정 소리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블록, 특정 글자나 숫자 등을 표시할 수 있는 LED블록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외에도 회전 구동력 등을 발생시키는 모터블록 등도 상기 출력블록(52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논리블록(530)은, 스마트블록 자체가 다양한 논리적 연산(알고리즘 구현 내지 코딩 구현을 위한 연산 등을 포함)에 필요한 제어신호 등을 발생시켜 전송하는 구성으로, 대표적인 예로, 수학연산에 필요한 +,-,×,÷,= 등의 연산기호 신호를 구현할 수 있는 연산기호블록, 만약(if), 참/거짓인 경우 등의 신호를 구현할 수 있는 케이스(case)블록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수학적, 논리적 연산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생성,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블록 등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블록(50)은, 본 발명에서의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로서의 활용 폭을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디모듈(501)과, 다른 스마트블록(50)과의 페어링연결에 활용되는 페어링모듈(502)과,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이나 수정이 가능한 기능모듈(503)과, 데이터 송수신에 활용되는 통신모듈(5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디모듈(501)은, 블록 자체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복수의 스마트블록(50)들을 이용하여 알고리즘 교육 내지 코딩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스마트블록(50) 각각의 고유의 식별정보 내지 기능에 대한 특정이 가능해야 하므로, 이를 위한 블록 자체의 고유 식별정보 등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기 페어링모듈(502)은, 다른 스마트블록(50)과의 페어링연결에 활용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복수의 스마트블록(50)들을 이용하여 알고리즘 교육 내지 코딩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특히 입력에 따른 출력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스마트블록(50)들 중에서 상호 연결하여 동작할 수 있는 스마트블록(50) 간 페어링연결이 필수적인바, 상호 연결하여 사용,동작하여야 하는 스마트블록(50)들을 서로 페어링연결시키는데 활용되는 구성으로, 페어링연결될 대상 스마트블록(50)을 식별하고 대상 스마트블록(50)간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페어링연결을 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능모듈(503)은, 스마트블록(50)의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이나 수정이 가능토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활용되는 스마트블록(50)들 중에서 특히, 논리블록(530) 등의 경우(그 외에 입력블록(510)이나 출력블록(520) 등에도 필요에 따라 적용 가능함) 해당 블록이 수행하는 함수값이나 조건값 등을 대상 학습 또는 놀이의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내지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정된 스마트블록(50) 갯수 범위 내에서도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 수행이 가능한 바, 상기 기능모듈(503)의 경우 스마트블록(50)의 특정 수행해야 할 기능에 대한 설정이나 수정 등이 후술할 제어부(70)에 의해 사용자가 니즈에 따라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504)은, 데이터 송수신에 활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블록(50)과 스마트블록(50)간 데이터 송수신은 물론, 스마트블록(50)과 제어부(70) 간, 필요에 따라서는, 스마트블록(50)과 보드(10) 내지 스마트기어 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통신모듈(504)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블루투스 등 다양한 통신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스마트블록(50) 등(필요에 따라, 스마트블록(50)뿐 아니라, 보드(10) 및 스마트기어를 포함)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알고리즘 내지 코딩 교육 내지 놀이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컴퓨터,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이 활용될 수 있음),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70)는, 구체적으로, 페어링연결시킬 스마트블록(50)과 스마트블록(50)의 페어링모듈(502)에 관련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페어링제어모듈(710)과, 특정 스마트블록(50)의 기능모듈(503)에 대한 특정 기능을 설정 또는 수정하는 기능제어모듈(720)과, 학습 또는 놀이를 위해 복수의 기어(30)와 스마트블록(50)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있어 각 스마트블록(50)마다의 작동에 대한 조건, 작동 순서, 반복 여부 관련 시퀀스를 설정하는 시퀀스제어모듈(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제어모듈(710)은, 페어링연결시킬 스마트블록(50)과 스마트블록(50)의 페어링모듈(502)에 관련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스마트블록(50) 내 페어링모듈(502)에 대한 실질적인 제어신호를 생성,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복수의 스마트블록(50)들을 이용하여 알고리즘 교육 내지 코딩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특히 입력에 따른 출력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스마트블록(50)들 중에서 상호 연결하여 동작할 수 있는 스마트블록(50) 간 페어링연결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능제어모듈(720)은, 특정 스마트블록(50)의 기능모듈(503)에 대한 특정 기능을 설정 또는 수정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스마트블록(50) 내 기능모듈(503)에 대한 실질적인 제어신호를 생성,전송함으로써, 해당 블록이 수행하는 함수값이나 조건값 등을 대상 학습 또는 놀이의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내지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정된 스마트블록(50) 갯수 범위 내에서도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 수행이 가능토록 한다.
상기 시퀀스제어모듈(730)은, 학습 또는 놀이를 위해 복수의 기어(30)와 스마트블록(50)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있어 각 스마트블록(50)마다의 작동에 대한 조건, 작동 순서, 반복 여부 관련 시퀀스를 설정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상기 페어링제어모듈(710) 및 기능제어모듈(720)들에 의해 특정 학습 또는 놀이를 위한 대상 스마트블록(50)들간의 입,출력 페어링연결이나 사용되는 스마트블록(50)의 필요한 기능에 대한 설정이 완료된 이후, 실질적으로 대상 스마트블록(50)들이 어떤 순서에 의해 어떤 기능들이 먼저 동작하고 그 이후 어떤 기능들이 이어서 동작해야, 목표로 한 학습 내용 등에 맞추어 연속적인 블록과 기어의 작동이 이루어져 해당 미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각 스마트블록(50)마다의 작동에 대한 조건, 작동 순서, 반복 여부 관련 시퀀스 등을 상기 시퀀스제어모듈(730)을 통해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여,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두 개의 기어가 있는 상태에서, 다양한 스마트블록(50)을 활용하여 특정 조건이 발생시에만 아래쪽 작은 기어를 동작시켜 위쪽의 큰 기어를 특정 속도로 회전시켜야 하는 학습 미션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라면, 도 4에 도시된 결과물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는 스위치블록이나 다이얼블록과 같은 입력블록(510), 모터블록과 같은 출력블록(520) 및 특정 조건이 발생시에만 모터블록을 동작시켜야 하는 논리블록(530) 등 다양한 스마트블록(50)들을 활용하여 각 스마트블록(50)들 간의 입/출력 페어링연결 및 특정 기능 부여 등을 제어부(70)를 통해 제어해야 하고, 특히 목표로 하는 대상 기어의 특정 속도를 맞추기 위한 활용되는 다양한 기어들의 갯수와 크기 및 스마트블록(50)들 간의 작동 조건 및 작동 순서 등의 시퀀스를 제어부(70)를 통해 제어해야 도 4와 같은 결과물 구성 및 제어 알고리즘 구현을 통해 학습미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보드(10), 기어(30), 스마트블록(50)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내지 놀이 수행이 가능하게 되고, 한정된 교구로도 다양한 학습 내지 놀이를 수행할 수 있는 활용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는, 상기 보드(10)에서 스마트블록(50)이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블록(50)과 맞닿는 부위 및 상기 스마트블록(50)의 상부 즉, 다른 스마트블록(50)이 적층되는 경우 스마트블록(50)과 맞닿는 부위마다 각각 일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돌출형코드(90)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스마트블록(50)의 하부 즉, 보드(10) 또는 적층되는 다른 스마트블록(50)에 형성된 상기 돌출형코드(90)와 맞닿는 부위에는 상기 돌출형코드(90)의 데이터를 전송받는 센서모듈(50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드(10)와 스마트블록(50)(및 적층되는 스마트블록(50)과 스마트블록(50))은, 상호 맞닿게 되는 양자간에 정확한 인식과 데이터 공유 등을 위해 필요한 돌출형코드(90)와 센서모듈(505)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드(10)에서 스마트블록(50)이 배치되는 경우에 스마트블록(50)과 맞닿는 부위(즉, 보드의 상부면)에는 일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돌출형코드(90)가 형성되고,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블록(50)의 하부 즉, 보드(10)에 형성된 상기 돌출형코드(90)와 맞닿는 부위에는 상기 돌출형코드(90)의 데이터를 전송받는 센서모듈(50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형코드(90)는, 도 5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돌출된 부위 하나당 1bit 정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돌출된 부위로 형성되는 돌출형코드(50) 형태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돌출된 부위가 16개인 경우, 16bit 정도의 데이터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돌출형코드(90)에 포함되는 데이터로는 주로, 보드(10)(또는 스마트블록(50))의 ID나 해당 위치정보 등이 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보드(10)에 상기 돌출형코드(90)가 형성됨으로써, 그 위치정보 등을 통해 보드(10)에 배치된 스마트블록(5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돌출형코드(90)에 저장되는 정보는 수정 내지 변경이 가능한데, 특히,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돌출형코드(90)를 스티커 형태의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더욱 유용하게 된다.
상기 센서모듈(505)은, 도 5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블록(10)의 하부 즉, 보드(10)에 형성된 상기 돌출형코드(90)와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형코드(90)와 맞닿아 돌출형코드(9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감압센서 인식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505)를 통해 인식하는 데이터로는 상기 돌출형코드(90)가 저장하고 있는 해당 보드(10)(또는 스마트블록(50))의 ID 내지 위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듈(505)은 돌출형코드(90)와의 접촉을 통해 Plug & play 방식으로 특정 스마트블록(50)의 존재와 그 위치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형코드(90)는 보드(10)의 상부면 뿐 아니라, 상기 스마트블록(50)의 상부 즉, 다른 스마트블록(50)이 적층되는 경우(스마트블록(50)과 스마트블록(50)이 상하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스마트블록(50)과 맞닿는 부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해당 돌출형코드(90)가 형성된 스마트블록(50)이 어떤 스마트블록인지와 같은 ID와 위치정보 등이 포함되어 스마트블록(50)이 다수개 상하로 적층되는 경우에도 상하로 적층된 스마트블록(50)들에 대한 ID 및 위치까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돌출형코드(90)는 보드(10) 또는 스마트블록(50) 상에 스티커 형태와 같은 탈부착 형태로 형성(이 경우, 코드 상에 저장된 정보의 수정 내지 변경이 가능하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구성이 포함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마트블록(50)을 학습 또는 놀이의 미션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블록(50)들을 다양한 위치에 필요에 따라 맞춤형으로 다양하게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바,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여 위치정보 등을 수정/변경할 수 있는 탈부착 타입의 돌출형코드(90)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 내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어, 스마트블록 및 보드를 활용하는 교구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교육이나 놀이의 목적/내용에 따라 자유롭게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변경하여 활용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내지 블록들을 다수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ID 및 위치 인식 등이 가능하여, 스마트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는, 본 발명의 교구를 코딩 학습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을 코딩하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74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740)의 작업 화면에 코딩된 내용을 컴파일하고, 컴파일된 제어 코드의 제어 대상을 특정하는 코딩처리모듈(75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740)는,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을 코딩하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대상물(즉, 스마트블록(50) 등)의 제어 명령을 코딩하는 작업 화면(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 화면에는 명령어 엔트리 등과 같은 각종 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40)는 제어부(70)에 저장된 메뉴 정보, 작업 화면의 프레임 정보를 추출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40)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40)는 작업 화면 상에서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각종 입력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740)는, 상기 작업 화면에서 선택 가능한 복수의 명령어 엔트리를 표시하는 제1영역(741)과, 상기 제1영역(741)에서 선택된 엔트리가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2영역(74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부(74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작업 화면의 제1영역(741)에 선택 가능한 복수의 명령어 엔트리(도 6에서 박스로 표시됨)를 표시할 수 있다. 명령어 엔트리는 사용자 친화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엔트리(entry)는 프로그램 중의 하나의 문장(기술항)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그램의 문장은 원칙적으로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규정한 각종 문법, 문구 등을 이용해서 작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를 전문적을 배우지 않은 일반 사용자, 특히 저연령층의 경우에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만 사용하는 문법, 문구를 익히는 것이 쉽지 않다. 본 명세서에 등장하는 명령어 엔트리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규정한 문법이나 문구를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 등장하는 명령어 엔트리는 복잡한 문법이나 규정을 일상 생활의 용어 등으로 변환해 놓을 것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740)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엔트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화면의 제1영역(741)에 엔트리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 작업 화면의 가운데에 그어진 세로 점선의 좌측 영역이 제1영역(741)에 해당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40)는 제1영역(741)에서 선택된 엔트리가 드래그앤드롭(drag & drop)되는 제2영역(742)을 작업 화면에 설정할 수 있다. 도 6에서 작업 화면의 가운데 세로 점선의 우측 영역이 제2영역(742)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코딩처리모듈(750)은, 상기 인터페이스부(740)의 작업 화면에 코딩된 내용을 컴파일하고, 컴파일된 제어 코드의 제어 대상을 특정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딩처리모듈(750)은, 상기 제2영역(742)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엔트리의 배열순서에 따라 상기 제2영역(742)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엔트리를 컴파일하는 제1처리모듈(751)과, 상기 제1처리모듈(751)에 의해 엔트리가 컴파일된 제어 코드의 흠결을 분석하는 제2처리모듈(752)과, 상기 제2처리모듈(752) 분석 결과 제어 코드에 흠결이 존재하면 상기 작업 화면에 흠결을 표시해주는 제3처리모듈(753)과, 상기 제2처리모듈(752) 분석 결과 제어 코드에 흠결이 미존재하면 엔트리가 컴파일된 제어 코드를 제어 대상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4처리모듈(75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코딩처리모듈(750)에서는, 제2영역(742)에 배치된 복수의 엔트리의 배열 순서에 따라, 제2영역(742)에 배치된 복수의 엔트리를 상기 제1처리모듈(751)을 통해 컴파일할 수 있는데, 이때, 엔트리가 프로그래밍 언어와 다른 일반 언어로 표시된 경우, 인터페이스부(740) 또는 코딩처리모듈(750)은 사전에 해당 일반 언어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선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모듈(752)을 통해 엔트리가 컴파일된 제어 코드의 흠결을 분석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모듈(752)의 분석 결과, 제어 코드에 흠결이 존재하면, 상기 제3처리모듈(753)을 통해 작업 화면에 'ERROR'와 같이 흠결 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처리모듈(752)의 분석 결과, 제어 코드에 흠결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4처리모듈(754)을 통해 엔트리가 컴파일된 제어 코드를 대상물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복수로 존재하는 스마트블록(50) 중 특정 스마트블록(50)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코딩하기 위해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특정 스마트블록(50)의 식별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트리는 대분류와 소분류를 포함할 수 있다. 대분류는 실행 조건, 실행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조건에는 '~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세번 누르면'과 같은 소분류가 트리 형식 등으로 부가될 수 있다. 실행 내용에는 '~모터를 10바퀴 돌려라', '~모터를 30도만큼 돌려라'와 같은 소분류가 부가될 수 있다. 여기서, 문제는 버튼 또는 모터가 구비된 스마트블록(50)이 복수인 경우인데, 이 경우 어떤 스마트블록(50)의 버튼을 지시하는지 기입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선택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선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스마트블록(50)의 식별 정보가 필요하다. 만약, 사용자가 실수로 준비 상태에 있지 않은, 다시 말해 다른 블록이나 기어에 조립되지 않은 스마트블록(50)의 식별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엔트리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교구는 코딩 학습이나 알고리즘 학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지, 메뉴얼 탐색 능력을 키우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메뉴얼 탐색 작업은 심각한 피로도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하고 사용자의 피로도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70)는 제어 코드를 수신받을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 대상물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보드(10)나 기업()에 연결된 스마트블록(50)은 온(on) 상태로 변환되고 이와 같은 정보가 통신모듈(504) 등을 통해 제어부(70)에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70)는 이러한 정보가 제공된 스마트블록(5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740) 등에 전달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부(740)는 준비 상태가 된 대상물(스마트블록(50) 등)의 식별 정보를 작업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작업 화면에 고유 번호와 같이 순수 식별 정보만 표시되면, 사용자는 해당 식별 정보가 어떤 스마트블록(50)을 나타내는지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작업 화면에 표시된 식별 정보가 어떤 스마트블록(50)을 나타내는지 쉽게 파악될 수 있도록, 식별 정보는 스마트블록(50)의 종류를 나타내는 분류 정보('motor', 'switch' 등) 및 스마트블록(50) 고유의 고유 식별정보('①', '②' 등)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40)는 작업 화면에 코딩되는 엔트리의 객체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식별 정보가 선택되거나, 식별 정보가 객체 항목에 드래그앤드롭(drag & drop)되면, 객체 항목에 식별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일단, 작업 화면에 표시된 식별 정보는 블록 조립체에 사용된 것임을 증명한다. 따라서, 해당 식별 정보가 기입된 엔트리는 일단 동작하게 된다. 사용자는 블록 조립체의 동작을 검토해서, 자신이 원하는 방향에 맞춰 코딩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보드 30: 기어
50: 스마트블록
501: 아이디모듈 502: 페어링모듈
503: 기능모듈 504: 통신모듈 505: 센서모듈
510: 입력블록 520: 출력블록
530: 논리블록
70: 제어부
710: 페어링제어모듈 720: 기능제어모듈
730: 시퀀스제어모듈 740: 인터페이스부
741: 제1영역 742: 제2영역
750: 코딩처리모듈 751: 제1처리모듈
752: 제2처리모듈 753: 제3처리모듈
754: 제4처리모듈
90: 돌출형코드
50: 스마트블록
501: 아이디모듈 502: 페어링모듈
503: 기능모듈 504: 통신모듈 505: 센서모듈
510: 입력블록 520: 출력블록
530: 논리블록
70: 제어부
710: 페어링제어모듈 720: 기능제어모듈
730: 시퀀스제어모듈 740: 인터페이스부
741: 제1영역 742: 제2영역
750: 코딩처리모듈 751: 제1처리모듈
752: 제2처리모듈 753: 제3처리모듈
754: 제4처리모듈
90: 돌출형코드
Claims (8)
- 보드;
상기 보드 상에 결합 가능한 기어;
상기 보드 상에 결합 가능하고, 상기 기어와 결합하거나 또는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스마트블록; 및
상기 스마트블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블록은, 다양한 입력 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하는 입력블록과, 다양한 출력신호를 표출하는 출력블록 및 다양한 논리 연산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하는 논리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블록, 출력블록 및 논리블록을 활용하여 기어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학습 또는 놀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블록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디모듈과, 다른 스마트블록과의 페어링연결에 활용되는 페어링모듈과, 특정 기능에 대한 설정이나 수정이 가능한 기능모듈과, 데이터 송수신에 활용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는, 보드 상에 결합 배치되는 기어 또는 스마트블록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어는, 자체 식별정보 제공이나 기어의 회전속도에 대한 센싱이 가능한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페어링연결시킬 스마트블록과 스마트블록의 페어링모듈에 관련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페어링제어모듈과, 특정 스마트블록의 기능모듈에 대한 특정 기능을 설정 또는 수정하는 기능제어모듈과, 학습 또는 놀이를 위해 복수의 기어와 스마트블록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있어 각 스마트블록마다의 작동에 대한 조건, 작동 순서, 반복 여부 관련 시퀀스를 설정하는 시퀀스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에서 스마트블록이 위치하는 경우 스마트블록과 맞닿는 부위 및 상기 스마트블록의 상부 즉, 다른 스마트블록이 적층되는 경우 스마트블록과 맞닿는 부위에는 일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돌출형코드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블록의 하부 즉, 보드 또는 적층되는 다른 스마트블록에 형성된 상기 돌출형코드와 맞닿는 부위에는 상기 돌출형코드의 데이터를 전송받는 센서모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코드는 보드 또는 스마트블록 상에 탈부착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 대상에 대한 제어명령을 코딩하는 작업 화면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작업 화면에 코딩된 내용을 컴파일하고, 컴파일된 제어 코드의 제어 대상을 특정하는 코딩처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작업 화면에서 선택 가능한 복수의 명령어 엔트리를 표시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선택된 엔트리가 드래그앤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표시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코딩처리모듈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엔트리의 배열순서에 따라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상기 엔트리를 컴파일하는 제1처리모듈과, 상기 제1처리모듈에 의해 엔트리가 컴파일된 제어 코드의 흠결을 분석하는 제2처리모듈과, 상기 제2처리모듈 분석 결과 제어 코드에 흠결이 존재하면 상기 작업 화면에 흠결을 표시해주는 제3처리모듈과, 상기 제2처리모듈 분석 결과 제어 코드에 흠결이 미존재하면 엔트리가 컴파일된 제어 코드를 제어 대상에 전송하도록 하는 제4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3855A KR102488992B1 (ko) | 2021-01-12 | 2021-01-12 |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3855A KR102488992B1 (ko) | 2021-01-12 | 2021-01-12 |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1854A KR20220101854A (ko) | 2022-07-19 |
KR102488992B1 true KR102488992B1 (ko) | 2023-01-17 |
Family
ID=8260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3855A KR102488992B1 (ko) | 2021-01-12 | 2021-01-12 |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899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14440A1 (en) | 2003-05-22 | 2005-01-20 | Kunitz David F. | Toy block assembly |
CN204050977U (zh) * | 2014-06-24 | 2014-12-31 | 臧晓霄 | 学前儿童智力开发魔盘 |
KR101698471B1 (ko) * | 2015-08-31 | 2017-02-0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96385B1 (ko) * | 2019-06-25 | 2021-09-01 | 김종태 | 동작기준 및 출력내용 설정이 가능한 스마트 코딩블록 |
-
2021
- 2021-01-12 KR KR1020210003855A patent/KR1024889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014440A1 (en) | 2003-05-22 | 2005-01-20 | Kunitz David F. | Toy block assembly |
CN204050977U (zh) * | 2014-06-24 | 2014-12-31 | 臧晓霄 | 学前儿童智力开发魔盘 |
KR101698471B1 (ko) * | 2015-08-31 | 2017-02-0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조립 유닛 및 조립 유닛 세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1854A (ko) | 2022-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Papadakis | Robots and robotics kits for early childhood and first school age | |
JP4617322B2 (ja) | 自律型ロボットとの相互作用の装置と方法 | |
KR101368749B1 (ko) | 프로그래밍 학습용 디지털 예술 토이 키트 | |
KR102175316B1 (ko) | 코딩교육장치 | |
KR100679634B1 (ko) | 아이콘 기반 로봇제어 프로그램 작성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70053185A (ko) | 동작카드를 이용한 블록완구 동작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76676B1 (ko) | 저항과 자석이 내장된 카드키 및 보드를 이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용 키트 및 방법 | |
CN111932985A (zh) | 一种编程语言实物化积木编程系统 | |
KR101697511B1 (ko) |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 |
KR20220006347A (ko) | 블록코딩 장치 | |
KR102488992B1 (ko) | 기어와 블록을 이용한 학습 또는 놀이용 교구 | |
CN213159402U (zh) | 一种编程语言实物化积木编程系统 | |
KR102579179B1 (ko) | 코딩 알고리즘 훈련 교구 | |
KR102543159B1 (ko) | 전원 공급 및 위치 인식이 가능한 스마트블록 및 이의 제어시스템 | |
CN209297530U (zh) | 启蒙教育机器人 | |
US20240274032A1 (en) | Coding algorithm training tool capable of speech recognition | |
KR102450527B1 (ko) | 코딩 알고리즘 훈련 교구 | |
CN109102724A (zh) | 启蒙教育机器人 | |
CN114415924A (zh) | 一种基于实物编程的多模态交互方法及相关设备 | |
CN114055482A (zh) | 一种多模块教育机器人套件 | |
CN2901411Y (zh) | 带飞梭的人机交互定位系统 | |
KR20190048188A (ko) | 전자 블록을 이용한 언플러그드 코딩 시스템 | |
KR102426349B1 (ko) | 복수 방식의 코딩 학습 체험이 가능한 교육 시스템 | |
KR101840826B1 (ko) | 리모컨을 이용한 언플러그드 로봇 프로그래밍 시스템 | |
Merrill | Interaction with embodied medi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