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852B1 -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852B1
KR102488852B1 KR1020200107275A KR20200107275A KR102488852B1 KR 102488852 B1 KR102488852 B1 KR 102488852B1 KR 1020200107275 A KR1020200107275 A KR 1020200107275A KR 20200107275 A KR20200107275 A KR 20200107275A KR 102488852 B1 KR102488852 B1 KR 102488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stle
unit
contact
glove
s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354A (ko
Inventor
황지호
Original Assignee
황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지호 filed Critical 황지호
Priority to KR1020200107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8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41D19/0031Whistles or other war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5/00Whis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013D sensing, i.e. three-dimensional (x, y, z) position or movement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각 장갑에 있어서, 호각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내부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제1 접촉 입력을 센싱하며, 접촉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 로서, 상기 제1 접촉 센서부는 상기 호각 장갑의 엄지 손가락 끼움부 중 상기 엄지 손가락 끼움부와 검지 손가락 끼움부가 접촉되는 내측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접촉 센서부는 상기 호각 장갑의 검지 손가락 끼움부 중 상기 제1 접촉 센서부와 마주보는 내측 영역에 구비되며, 및 상기 스피커부, 상기 전원부,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접촉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1 접촉 입력이 센싱되는 동안 상기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A whistle glove and game referee system using it}
본 명세서는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양한 스포츠 경기에서 심판은 호각을 사용하여 주위를 환기시켜 경기를 심판 및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호각은 심판이 직접 입으로 불어서 사용해야 하므로 비위생적이며, 급박하게 돌아가는 경기 상황에서 심판이 빠르게 입으로 불기가 어려워 일정한 지연이 발생하여 경기 진행에 다양한 문제 및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호각 소리의 크기는 호흡 소리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는데, 축구와 같이 선수들과 함께 뛰면서 심판을 수행하는 경우, 심판이 호흡이 가쁜 상황에서 호각을 불게 되면 호각 소리가 작아 모든 선수에게 호각 소리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심판이 입으로 호각을 불지 않고 간단한 손 동작만으로 호각 소리가 출력되는 전자 호각이 구비된 장갑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각 장갑에 있어서, 호각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내부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제1 접촉 입력을 센싱하며, 접촉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 로서, 상기 제1 접촉 센서부는 상기 호각 장갑의 엄지 손가락 끼움부 중 상기 엄지 손가락 끼움부와 검지 손가락 끼움부가 접촉되는 내측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접촉 센서부는 상기 호각 장갑의 검지 손가락 끼움부 중 상기 제1 접촉 센서부와 마주보는 내측 영역에 구비되며, 및 상기 스피커부, 상기 전원부,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접촉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1 접촉 입력이 센싱되는 동안 상기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심판이 직접 입으로 호각을 불 필요가 없어 위생상 청결하며, 간단한 손 동작만으로도 호각 소리가 출력되므로, 선수와 함께 뛰는 운동 종류의 경우에도 심판은 모든 선수에게 전달 가능한 큰 호각 소리를 쉽고 일정하게 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의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공의 경기장 경계선 터치 여부를 심판이 보다 쉽고 정확하게 알 수 있어, 보다 공평하고 공정한 경기의 진행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각 장갑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각 장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심판 시스템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심판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각 장갑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호각 장갑(100)은 제1 제어부(110), 전원부(120),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130), 및 스피커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적인 구동 회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부(110)는 호각 장갑과 동일시되어 설명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는 호각 장갑(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유닛들을 제어하며, 구성/유닛들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매니지할 수도 있다.
전원부(120)는 호각 장갑(100)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 호각 장갑(100)에 내부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20)가 배터리인 경우, USB 포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저장해두었다가 호각 장갑(100)의 내부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와 전원부(1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모듈로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다.
스피커부(140)는 제1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호각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130)는 다양한 접촉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제1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130)는 서로에 대한 접촉을 제1 접촉 입력으로서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두 접촉 센서부는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130)는 다양한 접촉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 센서, 터치 센서, 기울임 센서, 고도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제스쳐 센서, 적외선 센서, 및/또는 접촉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10)는 이러한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130)를 이용/제어하여 접촉 입력을 센싱할 수 있으며, 접촉 입력을 센싱한 경우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제어부(110)는 접촉 입력이 센싱되는 동안에는 호각 소리가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스피커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실제로 호각을 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다만, 심판의 자유로운 손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130)가 접촉하는 경우가 계속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호각 소리가 심판의 의도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고자, 제1 제어부(110)는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130)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약 3초)만큼 지속적으로 센싱된 접촉에 대해서만 심판이 의도한 접촉 입력으로 인식/센싱하여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호각 장갑(100)은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각 장갑을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a)는 호각 장갑(100)의 손등 면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호각 장갑(100)의 손바닥 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접촉 센서부(210-1)는 호각 장갑(100)의 엄지 손가락 끼움부 중 엄지 손가락 끼움부와 검지 손가락 끼움부가 접촉되는 내측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접촉 센서부(210-2)는 호각 장갑(100)의 검지 손가락 끼움부 중 제1 접촉 센서부(210-1)와 마주보는 내측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210-1, 210-2)는 호각 장갑(100) 중 심판이 다양한 손 동작을 취함에 따라 서로 접촉될 수 있는 마주보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의 경우, 심판이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서로 접촉시키는 손 동작으로 호각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210-1, 210-2)의 배치 실시예이다.
스피커부(220)는 호각 장갑의 손등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부(220)는 호각 장갑(100) 손등 부위의 중앙으로부터 중지가 시작되는 지점까지의 영역 범위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호각 소리 출력 방향은 손등에 대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중간 정도의 비스듬한 각도(예를 들어, 약 45도)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호각 소리의 전달력을 높일뿐 아니라, 심판의 청력을 보호하고자 함이다.
구동 모듈(제1 제어부 및 전원부 포함)(230)은 방수 처리되어 호각 장갑(100)의 손등과 손목 사이에 매립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구동 모듈(230) 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부에 구비된 충전 단자에는 보호 덮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먼지, 이물질, 빗물 등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210-1, 210-2), 스피커부(220) 및 구동 모듈(230)은 호각 장갑(100) 내에서 배선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신호를 주고받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210-1, 210-2)는 서로에 대한 접촉을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210-1, 210-2)의 일 실시예로서 전도성이 좋으며 얇은 박막 형태로 구성된 판으로 형성할 것을 제안한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210-1, 210-2)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떨어져있을 경우에는 전류가 통하지 않다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이들과 연결되어 있는 제1 제어부는 이러한 전류의 흐름을 접촉 입력으로서 센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접촉을 센싱하기 위해 별도로 고안된 센서 하드웨어를 구비하지 않고도 센싱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줄어들며 내부 구조의 복잡도가 줄어든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호각 장갑(100)은 추가적인 센서부로서 제3 및 제4 접촉 센서부(200-1~200-2, 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접촉 센서부(200-1~200-2, 240) 역시 심판의 손 동작에 따라 서로 접촉할 수 있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는데,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3 및 제4 접촉 센서부(200-1~200-2, 240)는 심판이 주먹을 쥐는 동작에 따라 접촉되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접촉 센서부(200-1, 200-2)는 검지 손가락 끼움부의 끝 영역 및 중지 손가락 끼움부의 끝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제4 접촉 센서부(240)는 호각 장갑(100)을 낀 상태로 심판이 주먹을 쥐었을 때 제3 접촉 센서부(200-1~200-2)와 맞닿는 손바닥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부는, 제3 및 제4 접촉 센서부(200-1~200-2, 240)를 이용하여 접촉 입력을 센싱한 경우, 접촉 입력이 센싱되는 동안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푸쉬 입력을 센싱하며, 호각 장갑(100)의 손바닥 영역 내 중앙부에 구비되는, 누름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250)는 심판과 구동 모듈(230)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누름부(250)를 이용하여 푸쉬 입력을 센싱한 경우, 푸쉬 입력이 센싱되는 동안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250)를 통해 심판은 두 손을 맞잡는 손 동작을 취함으로써 호각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누름부(250)는 자석식, 근접식, 눌림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제어부는 센싱/인식한 입력의 종류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호각 소리가 출력되도록 스피커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부는,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210-1, 210-2)에 의해 센싱된 접촉 입력을 제1 접촉 입력, 제3 및 제4 접촉 센서부(200-1~200-2, 240)에 의해 센싱된 접촉 입력을 제2 접촉 입력, 누름부(250)를 통해 센싱된 푸쉬 입력, 이렇게 3가지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호각 소리가 출력되도록 스피커부(2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심판은 경기 진행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손 동작을 취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호각 장갑(100)의 재질은 스포츠용 장갑을 모토로 제작, 하계용과 춘추동계용으로 구분되어 제작될 수 있다. 하계용의 경우 통풍 기능을 강조한 반장갑 형식으로, 춘추동계용은 방한 기능 고려하여 두껍고 온도 유지 기능이 높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호각 장갑(100)은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가 포함된 구동 지연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지연 회로부는 제1 제어부와 스피커부(220) 사이에 연결되며, 스피커부(220)는 제1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만큼 지연된 후에 수신하여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실제 접촉 입력이 수행되고 호각 소리가 출력되기까지 일정 지연 시간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는 실제 호각을 사용할 때와 유사한 시간 지연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심판의 의도하지 않은 손동작으로 인한 호각 장갑(100)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제안된 호각 장갑(100)을 이용하는 경우, 심판이 위생적으로 호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호각을 착용하거나 물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 아니라, 심판의 안면부가 자유로워지고 경기 집중도가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심판 시스템 블록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기 심판 시스템(400)은 크게 호각 장갑(100) 및 경기 상황 감지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기 상황 감지 모듈(300)은 경기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설계/설치된 모듈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구기 경기 종목에서 공이 경기장의 경계선을 터치하는지 여부를 센싱하기 위해 설계/설치된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경기 심판 시스템에 호각 장갑(100)이 적용되는 경우, 호각 장갑(100)에는 앞서 상술한 구성/유닛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호각 장갑이 외부로부터 일정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심판으로 하여금 경기 상황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경기 상황 감지 모듈(300)은 제2 제어부(310), 송신부(320) 및 센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310)에 관한 설명은 앞서 도 1의 제1 제어부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송신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호각 장갑(100)의 수신부로 외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330)는 경기장의 경계선에 대한 공의 접촉을 센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특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기장의 경계선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330)에 관한 설명은 도 1의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센서부(330)는 선의 형태로 경기장의 경계선을 따라 구비되거나,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형태로 경계선을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310)는 센서부(330)에 의해 경기장 경계선에 대한 공의 접촉을 센싱한 경우, 외부 신호를 호각 장갑으로 송신하도록 송신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경기장 경계선에 대한 공의 접촉과 사람의 접촉을 구분하기 위해, 센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센싱한 압력의 크기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2 제어부(3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제어부(310)는 센서부(330)로부터 수신한 압력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미만이거나 및/또는 센싱된 압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에 대해서만 공이 접촉한 경우로 센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의 움직임은 너무 빨라 육안으로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이에 대해 경기 중 분쟁이 자주 발생하는데,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분쟁이 줄어들 수 있으며 보다 공정하고 정확한 심판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 심판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경기장 경계선(420)에 대한 공(430)의 터치 여부가 심판(410)의 중요한 판단 요소인 구기 종목의 경우 본 발명의 경기 심판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공(430)이 경기장 경계선(420)을 터치하면 경기 상황 감지 모듈은 경계선(420)을 따라 설치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공(430)의 접촉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를 알리기 위한 외부 신호를 호각 장갑(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호각 장갑(100)은 진동 발생부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켜 심판(410)으로 하여금 공이 경계선(420)과 접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혹은, 실시예에 따라 호각 장갑(100)은 진동 대신 스피커부를 제어하여 호각 소리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호각 장갑
110: 제1 제어부
120: 전원부
130: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
140: 스피커부

Claims (11)

  1. 호각 장갑에 있어서,
    호각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내부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제1 접촉 입력을 센싱하며, 접촉 가능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 구비된,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 로서,
    상기 제1 접촉 센서부는 상기 호각 장갑의 엄지 손가락 끼움부 중 상기 엄지 손가락 끼움부와 검지 손가락 끼움부가 접촉되는 내측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접촉 센서부는 상기 호각 장갑의 검지 손가락 끼움부 중 상기 제1 접촉 센서부와 마주보는 내측 영역에 구비되며, 및
    상기 스피커부, 상기 전원부,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접촉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1 접촉 입력이 센싱되는 동안 상기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고,
    제2 접촉 입력을 센싱하는, 제3 및 제4 접촉 센서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접촉 센서부는 상기 검지 손가락 끼움부의 끝 영역 및 중지 손가락 끼움부의 끝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제4 접촉 센서부는 상기 호각 장갑을 낀 상태로 주먹을 쥐었을 때 상기 제3 접촉 센서부와 맞닿는 손바닥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3 및 제4 접촉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접촉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제2 접촉 입력이 센싱되는 동안 상기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호각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가 포함된 구동 지연 회로부; 를 더 포함하는, 호각 장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지연 회로부는 상기 제1 제어부와 상기 스피커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기설정된 시간만큼 지연된 후에 수신하여 상기 호각 소리를 출력하는, 호각 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 센서부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만큼 지속적으로 센싱된 접촉에 대해서만 상기 접촉 입력으로서 센싱하는, 호각 장갑.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푸쉬 입력을 센싱하며, 상기 호각 장갑의 손바닥 영역 내 중앙부에 구비되는, 누름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누름부를 이용하여 상기 푸쉬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푸쉬 입력이 센싱되는 동안 상기 호각 소리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호각 장갑.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호각 장갑.
  8. 제 7 항에 있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외부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1 접촉 입력을 센싱한 경우, 상기 호각 소리 또는 상기 진동을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 또는 상기 진동 발생부를 각각 제어하는, 호각 장갑.
  9. 경기 심판 시스템에 있어서,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호각 장갑;
    상기 외부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경기장의 경계선에 대한 공의 접촉을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경기장의 경계선을 따라 구비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경계선에 대한 공의 접촉이 센싱된 경우, 상기 외부 신호를 상기 호각 장갑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경기 심판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압력의 크기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상기 제2 제어부로 전송하는, 경기 심판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압력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미만이고 센싱된 압력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를 상기 공의 접촉으로서 센싱하는, 경기 심판 시스템.
KR1020200107275A 2020-08-25 2020-08-25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 KR102488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275A KR102488852B1 (ko) 2020-08-25 2020-08-25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275A KR102488852B1 (ko) 2020-08-25 2020-08-25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354A KR20220026354A (ko) 2022-03-04
KR102488852B1 true KR102488852B1 (ko) 2023-01-13

Family

ID=8081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275A KR102488852B1 (ko) 2020-08-25 2020-08-25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8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20Y1 (ko) 1999-09-04 2000-03-15 윤순관 소리나는 장갑
US20030058744A1 (en) 2001-09-24 2003-03-27 Calace Michael A. Timekeeping device and system
WO2010086643A1 (en) 2009-01-28 2010-08-05 Brian Patterson Glove
CN108476285A (zh) * 2015-12-18 2018-08-31 克里斯蒂娜·尚纳特 具有能以人体工程学方式被有利地触发的集成相机的手套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37U (ko) * 1996-10-26 1997-01-24 윤형상 관개용 급수호스 및 멀칭필름과 이를 이용한 급수장치
JPH113081A (ja) * 1997-06-12 1999-01-06 Saikichi Nawata 指操作音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520Y1 (ko) 1999-09-04 2000-03-15 윤순관 소리나는 장갑
US20030058744A1 (en) 2001-09-24 2003-03-27 Calace Michael A. Timekeeping device and system
WO2010086643A1 (en) 2009-01-28 2010-08-05 Brian Patterson Glove
CN108476285A (zh) * 2015-12-18 2018-08-31 克里斯蒂娜·尚纳特 具有能以人体工程学方式被有利地触发的集成相机的手套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354A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8016B2 (ja) 指の動き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111135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1144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information in sports applications
KR100941638B1 (ko) 접촉 행동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31414B2 (en) Bump suppression
CN104423591A (zh) 用于光谱图的视觉处理以生成触觉效果的系统和方法
US20100248822A1 (en) Personalization using a hand-pressure signature
US201700115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WI638280B (zh) 自動配置感測器的方法、電子設備及記錄媒體
JP2016529980A (ja) 手首に装備されるジェスチャ認識と電力管理を行なうアスレチック装置
JP2014505955A (ja) ジェスチャ認識システム
TW200738311A (en) Video game program, video game machine, and video game control method
US11745080B2 (en) System for sensor-based objective determination
US201801460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1196989A1 (zh) 睡眠状态的判断方法、系统、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07272892A (zh) 一种虚拟触控系统、方法及装置
CN109753777A (zh) 一种身份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2488852B1 (ko) 호각 장갑 및 이를 이용한 경기 심판 시스템
CN108325185A (zh) 一种基于多传感器数据融合的运动球拍
US20140210739A1 (en) Operation receiver
US10441848B1 (en) System for automatic evaluation of martial arts moves
CN107961144A (zh) 一种电子导盲系统及方法
US20100198406A1 (en) Electronic pe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pet
WO2016101348A1 (zh) 用于预测士兵执行任务能力的检测系统和方法
CN206475183U (zh) 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