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773B1 -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773B1
KR102488773B1 KR1020160085337A KR20160085337A KR102488773B1 KR 102488773 B1 KR102488773 B1 KR 102488773B1 KR 1020160085337 A KR1020160085337 A KR 1020160085337A KR 20160085337 A KR20160085337 A KR 20160085337A KR 102488773 B1 KR102488773 B1 KR 102488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air
air outlet
duct
bathroom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5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5366A (en
Inventor
류병조
김종석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5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773B1/en
Publication of KR2018000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7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06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ombined with means for drying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수건과 같은 집기 등의 건조 및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욕실의 조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되는 공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수건이 걸리는 걸이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빛을 생성하는 조명기구를 포함한다.
A bathroom manager capable of drying and sterilizing household items such as towels and performing a lighting function of the bathroom is provided.
To this end, the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or discharging air, a hook coupled to the case and holding at least a towel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d air, and installed in the case to emit light. Include lighting fixtures that create

Figure R1020160085337
Figure R1020160085337

Description

욕실관리기{BATHROOM MANAGEMENT APPARATUS}Bathroom manager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의 제습 및 항균작용을 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mana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hroom manager capable of dehumidifying and antibacterial action in a bathroom.

일반적으로 욕실은 세탁, 세면, 세수, 샤워 및 배변 등을 하는 장소로서, 집안에서 가장 다습한 장소이기 때문에, 여러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이 쉽게 일어나고, 악취가 쉽게 발생되는 장소이다.In general, a bathroom is a place where washing, washing, washing, showering, defecation, etc. are performed, and since it is the most humid place in the house, it is a place where various molds and bacteria easily occur and odors are easily generated.

대부분의 욕실은 환기팬에 의존하여 건조 및 탈취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기팬의 가동이 적절히 되지 못하거나 가동이 되더라도 욕실 전체를 건조하게 유지하는데 부족하기 때문에, 잔여 습기로 인한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에 의해 오염이 생길 수 있다.Most bathrooms rely on ventilation fans for drying and deodorization, but ventilation fans do not operate properly or even if they are operated, they are insufficient to keep the entire bathroom dry. Contamination may be caused by

따라서, 욕실 바닥의 수분을 조기에 제거하고, 욕실에 걸려있는 수건과 같은 젖은 집기도 조기에 건조시켜서, 욕실이 곰팡이 및 세균의 서식지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nage the bathroom floor so that it does not become a habitat for mold and bacteria by removing moisture from the bathroom floor at an early stage and drying wet items such as towels hanging in the bathroom at an early stag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건과 같은 집기 등의 건조 및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욕실의 조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욕실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manager capable of drying and sterilizing household items such as towels and performing the lighting function of the bathroom.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되는 공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수건이 걸리는 걸이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빛을 생성하는 조명기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or discharging air, a hook coupled to the case and holding at least a towel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d air, and It includes a lighting fixture that is installed to generate light.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embodiment specific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는, 케이스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통해 걸이부에 걸린 수건과 같은 집기 등을 건조 및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rying and sterilizing household items such as towels hung on a hanger through air discharged from a case.

또한,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조명기구를 통해 욕실의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perform the lighting function of the bathroom through the lighting device coupled to the cas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9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10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유로절환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조명기구의 설치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제어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제어블록도,
도 20은 욕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수건걸이 칼블럭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체결공에 전용홀더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지지브래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지지브래킷이 도 22에 도시된 전용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배면이 지지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에 결합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가이드 캡에 캡 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vane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shown in FIG. 1 are opene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ischarge vane shown in FIG. 5 is opened;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irst gearbox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uct shown in FIG. 3;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vane and a first discharge vane are closed;
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vane and a first discharge vane are opene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vane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are closed;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vane and a first discharge vane are opened;
13 and 14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low path switching damper;
15 to 17 are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installation positions of lighting fixtures;
1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wel rack knife block installed in a bathroom;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wel hanger knife block shown in FIG. 20 is removed;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edicated hold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shown in FIG. 21;
23 is a view showing a support bracket;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racket shown in FIG. 23 is coupled to the dedicated holder shown in FIG. 22;
2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a support bracket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26 is a view showing a cable guide coupled to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view showing the guide cap shown in FIG. 26;
2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 holder is coupled to the guide cap shown in FIG. 27;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하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vane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shown in FIG. 1 are opene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ischarge vane shown in FIG. 5 is open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욕실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14)와, 케이스(12,14)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과, 케이스(12,14) 내에 설치되는 덕트(30)와, 덕트(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토출베인(26)과, 덕트(30) 내에 설치되는 송풍팬(40)과, 덕트(30)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0)를 포함한다.1 to 6,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ide wall of a bathroom, and includes cases 12 and 14 forming an exterior and cases 12 and 14. A suction vane 22 and a first discharge vane 24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a duct 30 installed in the cases 12 and 14, and a second discharge rotatably coupled to the duct 30 It includes a vane 26, a blowing fan 40 installed in the duct 30, and a heater 50 for heating air in the duct 30.

케이스(12,14)는 전면 상부에 욕실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14a)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 하부에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공기토출구(14b)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2,14)는 하면에 히터(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공기토출구(12a)가 더 형성된다.The cases 12 and 14 have an air inlet 14a for sucking air in the bathroom on the upper front surface, and a first air outlet 14b for discharging air heated by the heater 50 on the lower front surface. do. In addition, a second air outlet 12a for discharging air heated by the heater 50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s 12 and 14 .

케이스(12,14)는 아우터 케이스(12)와 이너 케이스(14)를 포함한다. 아우터 케이스(12)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는 빈 내부와 연통되는 제2 공기토출구(12a)가 형성된다. 아우터 케이스(12)는 케이스(12,14)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후면을 형성한다.The cases 12 and 14 include an outer case 12 and an inner case 14 . The outer case 12 has a hollow structure and a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front surface. A second air outlet 12a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bi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 The outer case 12 forms the upper, lower, left, right and rear surfaces of the cases 12 and 14.

이너 케이스(14)는 아우터 케이스(12)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너 케이스(14)는 아우터 케이스(12)로 삽입되어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전방부에 배치되어서, 아우터 케이스(12)의 후면과의 사이에 덕트(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너 케이스(14)는 케이스(12,14)의 전면을 형성한다.The inner case 14 is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2 through the open front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 The inner case 14 is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2 and dispos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outer case 12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duct 30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ase 12 and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 The inner case 14 forms the front surfaces of the cases 12 and 14 .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도 1과 같이 닫힘 위치일 때, 이너 케이스(14)는 하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노출된 이너 케이스(14)의 하단에는 사용자에 의해 푸쉬되는 입력버튼(14c)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입력버튼(14c)을 푸쉬하여 욕실관리기(100)를 원하는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re in the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 1 , the lower end of the inner case 14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input button 14c pushed by a user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xposed inner case 14 . The user can operate the bathroom manager 100 in a desired mode by pushing the input button 14c.

이너 케이스(14)는 위에서 아래로 구분하였을 때 상부(14d)와 중간부(14e)와 하부(14f)를 포함한다. 이너 케이스(14)에는 상부(14d)에 공기흡입구(14a)가 형성되고, 하부(14f)에 제1 공기토출구(14b)가 형성된다. 중간부(14e)는 이너 케이스(14) 중 공기흡입구(14a) 및 제1 공기토출구(14b)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의미한다.When divided from top to bottom, the inner case 14 includes an upper portion 14d, a middle portion 14e, and a lower portion 14f. In the inner case 14, an air inlet 14a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14d, and a first air discharge port 14b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14f. The intermediate portion 14e refers to a portion of the inner case 14 between the air inlet 14a and the first air outlet 14b.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에는 공기흡입구(14a)를 복수로 분할하는 분할판(14g)이 형성된다.A divider 14g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14d of the inner case 14 to divide the air inlet 14a into a plurality of parts.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는 빛을 생성하는 조명기구(15)가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에 결합된 렌즈커버(15a)와, 렌즈커버(15a)의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대신에 빛을 생성하는 벌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흡입베인(22)이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한 상태일 때,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 및 흡입베인(22) 사이의 상측공간을 통해 노출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이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한 상태일 때, 조명기구(15)가 빛을 생성하게 되면,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은 이너 케이스(14) 및 흡입베인(22) 사이의 상측공간을 통해 욕실 내로 조사될 수 있다.A lighting device 15 for generating light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14e of the inner case 14 . The lighting device 15 may include a lens cover 15a coupled to the inner case 14 and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disposed inside the lens cover 15a, but instead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It may also be provided with a bulb that generates light. When the suction vane 22 opens the air intake port 14a, the lighting device 15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space between the inner case 14 and the suction vane 22. Therefore, when the lighting fixture 15 generates light when the suction vane 22 opens the air intake port 14a,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fixture 15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ner case 14 and the suction vane. It can be irradiated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upper space between (22).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 전면에는 필터(60)가 설치된다. 필터(60)는 공기흡입구(14a)에 설치되어 욕실 내의 공기로부터 악취, 먼지, 세균 등을 제거한다. 필터(60)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에 의해 활성화되는 광촉매 코팅층을 포함하는 항균필터로 구비된다.A filter 6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part 14d of the inner case 14 . The filter 60 is installed in the air inlet 14a to remove odor, dust, germs, and the like from the air in the bathroom. The filter 60 is provided as an antibacterial filter including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activated by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device 15 .

흡입베인(22)의 배면에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을 필터(60)로 반사하는 리플렉터(23)가 배치된다. 리플렉터(23)는 거울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60)는 리플렉터(23)가 반사하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한 빛에 의해 광촉매가 활성화된다.A reflector 23 for reflect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device 15 to the filter 6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22 . The reflector 23 may be provided as a mirror. A photocatalyst is activated in the filter 60 by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device 15 reflected by the reflector 23 .

필터(60)의 반복 사용을 위한 재생을 위하여, 필터(60) 표면에 광촉매가 코팅되게 되고, 이 코팅된 광촉매는 외부 광원(욕실 내 조명) 또는 욕실관리기의 내부 조명기구(15)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필터(60)에 포집된 냄새 입자는 무취의 물질로 분해되게 되고 그 양만큼 재생이 이루어져 연속되는 이후 동작에 탈취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For regeneration of the filter 60 for repeated use, a photocatalyst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60, and the coated photocatalyst is activated by an external light source (lighting in the bathroom) or the internal lighting device 15 of the bathroom manager. It can be. Through this, the odor particles collected in the filter 60 are decomposed into odorless substances, and as much as the amount is reproduced, the deodorization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in subsequent operations.

또한,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 전면에는 토출그릴(18)이 설치된다. 토출그릴(18)은 제1 공기토출구(14b)에 설치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로부터 배출되는 덕트(30) 내의 공기를 욕실 내로 토출한다.In addition, a discharge grill 18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14f of the inner case 14 . The discharge grill 18 is installed in the first air outlet 14b to discharge the air in the duct 30 discharged from the first air outlet 14b into the bathroom.

흡입베인(22)은 케이스(12,14)의 전면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14a)를 개폐하고, 제1 토출베인(24)은 케이스(12,14)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폐하며, 제2 토출베인(26)은 덕트(30)에 설치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폐한다.The suction vane 22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s 12 and 14 to open and close the air intake port 14a,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s 12 and 14 to open and close the air intake port 14a. 14b), and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is installed in the duct 30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air outlet 12a.

흡입베인(22)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단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단이 이너 케이스(14)로부터 벌어져서 공기흡입구(14a)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단이 이너 케이스(14)를 향해 오므라들어서 공기흡입구(14a)를 닫는다.The lower end of the suction vane 2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iddle part 14e of the inner case 14, and as the lower end rotates around the center of rotation, the upper end opens from the inner case 14 to open the air intake port 14a. And, in the open state, the upper end is retracted toward the inner case 14 to close the air inlet 14a.

제1 토출베인(24)은 흡입베인(22)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1 토출베인(24)은 상단이 흡입베인(22)의 하단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 토출베인(24)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단이 이너 케이스(14)로부터 벌어져서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에서는 하단이 이너 케이스(14)를 향해 오므라들어서 제1 공기토출구(14b)를 닫는다.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disposed below the suction vane 22 .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vane 22 . The upper end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14e of the inner case 14, and the upper end rotates around the center of rotation, while the lower end opens from the inner case 14 to open the first air discharge port ( 14b) is opened, and in the open state, the lower end is drawn toward the inner case 14 to close the first air discharge port 14b.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은 이너 케이스(14)에 대해 설정 각도인 35도로 접혀서, 공기흡입구(14a) 및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각각 개방한다.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개방된 경우, 욕실 내의 공기는 흡입베인(22) 및 이너 케이스(24) 사이의 상측 공간를 통해 공기흡입구(14a)로 이동된 후 덕트(30) 내로 흡입되고, 덕트(30) 내로 흡입된 공기는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제1 토출베인(24) 및 이너 케이스(14) 사이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된 후 욕실 내로 토출된다. 욕실 내에는 환풍구가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덕트(30) 내에서 욕실 내로 토출되는 온풍은 아랫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이 욕실 내 따듯한 바람의 순환과 바닥 건조에 유리하다.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중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되면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운전되지 않을때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닫혀 욕실관리기(100)가 전후방향으로 컴팩트해져서 사용자의 욕실 내부 이동시 부딛침이 없도록 한다.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re folded at a set angle of 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inner case 14 to open the air intake port 14a and the first air outlet port 14b, respectively. When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re open, the air in the bathroom moves to the air intake port 14a through the upper space between the suction vane 22 and the inner case 24 and then to the duct 30 ), and the air sucked into the duct 30 is moved to the lower spac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nd the inner case 14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4b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bathroom. Since the ventilation hole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bathroom, the warm air discharged from the duct 30 into the bathroom is discharged downward, which is advantageous for circulation of the warm air in the bathroom and drying of the floor. During operation of the bathroom manager 100, at least one of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he wind while rotating, and when not operating,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closed so that the bathroom manager 100 is compac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user does not bump into the bathroom while moving inside the bathroom.

덕트(30)는 케이스(12,14) 내에 설치된다. 덕트(30)는 이너 케이스(14)의 후면 및 아우터 케이스(12)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덕트(30)는 공기흡입구(14a),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를 연결한다.The duct 30 is installed within the cases 12 and 14. The duct 3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4 and the outer case 12 . The duct 30 connects the air inlet 14a, the first air outlet 14b and the second air outlet 12a.

덕트(30)는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가 서로 이격된 채로 개방되고, 하측이 개방된다. 덕트(30)는 개방된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 배치되어, 개방된 전방 상부 및 전방 하부 사이인 전방 가운데에 후방으로 함입된 공간(34)이 형성된다. 덕트(30)는 개방된 전방 상부가 공기흡입구(14a)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고, 개방된 전방 하부는 제1 공기토출구(14b)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되며, 개방된 하측은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하면에 결합된다.The front upper part and the lower front part of the duct 30 are ope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lower part is open. In the duct 30, the open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are disposed protruding forward, so that a space 34 recessed backward is formed in the front center between the open front upper part and the front lower part. The duct 3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4 so that the open front upper portion corresponds to the air intake port 14a, and the open front lower por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air discharge port 14b of the inner case 14. It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and the open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to correspond to the second air outlet 12a.

덕트(30)는 공기흡입구(14a)와 연결되는 메인유로(31)와, 메인유로(31)에서 분지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를 연결하는 제1 서브유로(32)와, 메인유로(31)에서 분지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를 연결하는 제2 서브유로(33)를 포함한다. 메인유로(31)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메인유로(31)는 상단이 공기흡입구(14a)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 배면에 결합되고, 제1 서브유로(32)는 메인유로(31)의 하단에서 분지되어 제1 공기토출구(14b)와 대응되도록 이너 케이스(14)의 하부(14f) 배면에 결합되며, 제2 서브유로(33)는 메인유로(31)의 하단에서 분지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아우터 케이스(12) 내의 하면에 결합된다.The duct 30 includes a main flow path 31 connected to the air inlet 14a, a first sub flow path 32 branched from the main flow path 31 and connecting the first air outlet 14b, and a main flow path ( 31) and a second sub-passage 33 connected to the second air outlet 12a. The main flow path 31 is disposed above the first sub flow path 32 and the second sub flow path 33 . The main flow path 31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part 14d of the inner case 14 so that its upper end corresponds to the air inlet 14a, and the first sub flow path 32 is branch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flow path 31 to It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part 14f of the inner case 14 to correspond to the first air outlet 14b, and the second sub-passage 33 is branche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flow passage 31 to connect the second air outlet 12a and It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in the outer case 12 so as to correspond.

송풍팬(40)은 메인유로(31) 내에 설치된다. 송풍팬(40)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이 회전축 방향이 된다. 즉, 송풍팬(40)은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횡류팬으로 구비된다. 메인유로(31)의 상부 좌우측에는 각각 송풍팬(40)이 좌우측단이 삽입되는 삽입홀(36)이 형성된다. 송풍팬(40)은 메인유로(31) 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14a)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blowing fan 40 is installed in the main flow path 31 . The blowing fan 40 is formed to be long from side to sid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at is, the blowing fan 40 is provided as a cross-flow fan that sucks in and discharges air in a radial direction. Insertion holes 36 into whic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blowing fans 40 are inserted are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flow passage 31, respectively. The blowing fan 40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low passage 31 and is disposed behind the air intake port 14a.

또한, 메인유로(31) 내에는 히터(50)가 더 설치된다. 히터(50)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로 구비된다. 메인유로(31)내에서 송풍팬(40)이 히터(50)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히터(50)는 송풍팬(4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만약, 송풍팬(40)이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면, 송풍팬(40)은 히터(50)를 통과하면서 바뀐 온풍을 흡입하게 되어, 상기 온풍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므로, 송풍팬(40)은 히터(50)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heater 50 is further installed in the main flow path 31 . The heater 50 is provided as an electric heater that generates heat by electric power. In the main passage 31, the blowing fan 40 is disposed above the heater 50, and the heater 50 is disposed below the blowing fan 40. If the blowing fan 40 is disposed lower than the heater 50, the blowing fan 40 sucks in the warm air that has 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er 50, and since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warm air, the blowing fan ( 40) is preferably disposed above the heater 50.

메인유로(31)에 해당하는 덕트(30)의 배면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된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덕트(30) 내로 양이온과 음이온(이하, 이온)을 다량 발산한다. 따라서,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다. 욕실 내로 방출된 상기 이온은 욕실의 미생물 및 세균 등과 반응하여 DNA파괴에 관여함으로써 괴사시키고, 곰팡이와 반응하여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메인유로(31)에 해당하는 덕트(30)의 배면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와 연통하는 연통홀(37)이 형성된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좌우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연통홀(37)은 복수의 이오나이저(70)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ionizers 70 ar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uct 30 corresponding to the main flow path 31 .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emit a large amount of positive ions and negative 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ons) into the duct 30 .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4b and the second air outlet 12a includes ions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 The ions released into the bathroom react with microorganisms and bacteria in the bathroom to cause necrosis by participating in DNA destruction, and can react with mold to inhibit the growth of mold. A communication hole 37 communicating with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uct 30 corresponding to the main flow path 31 . A plurality of ionizers 7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and are provided in plurality. The communication holes 37 ar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다. 즉, 복수의 이오나이저(70)로부터 방출된 이온입자는 가급적 거치는 구조물이 없어야 생존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히터(5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송풍팬(40)의 흡입력에 의해 공기흡입구(14a)를 통해 메인유로(31) 내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40)에 의해 히터(50)로 이동된 후, 히터(50)에 의해 가열되어서 온풍으로 바뀌고, 이 온풍에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1 공기토출구(14b) 및 제2 공기토출구(12a) 중 하나를 통해 욕실내로 배출된다.The plurality of ionizers 70 are disposed lower than the heater 50 and are dispos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irst sub-passage 32 and the second sub-passage 33 . That is, since the survival rate of the ion particles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is increased when there is no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are disposed below the heater 50 to prevent the first sub-passage 32 and Preferably, it is disposed as close to the second sub-passage 33 as possible.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flow passage 31 through the air inlet 14a by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ing fan 40 is moved to the heater 50 by the blowing fan 40 and then to the heater 50. The warm air contains ions emitted from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and then is discharged into the bathroom through one of the first air outlet 14b and the second air outlet 12a.

또한, 덕트(30) 내에는 유로절환댐퍼(35)가 더 설치된다. 유로절환댐퍼(35)는 복수의 이오나이저(70)보다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절환댐퍼(35)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 중 하나를 선택하여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킨다.In addition, a flow path switching damper 35 is further installed in the duct 30. The passage switching damper 35 is rotatably installed lower than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 The flow path switching damper 35 selects one of the first sub flow path 32 and the second sub flow path 33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flow path 31 .

유로절환댐퍼(35)는 제1 토출베인(24)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는 경우 제1 서브유로(32)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는 경우 제2 서브유로(33)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킨다. 유로절환댐퍼(35)가 제1 서브유로(32)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게 되면, 덕트(30) 내의 공기는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욕실 내로 배출되고,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메인유로(31)와 연통시키게 되면, 덕트(30) 내의 공기는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욕실 내로 배출된다.The flow path switching damper 35 communicates the first sub flow path 32 with the main flow path 31 when the first discharge vane 24 opens the first air discharge port 14b, and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When the second air outlet 12a is opened, the second sub-passage 33 communicates with the main passage 31 . When the flow path switching damper 35 communicates the first sub flow path 32 with the main flow path 31, the air in the duct 30 is discharged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4b, and the flow path switching damper ( 35) brings the second sub-passage 33 into communication with the main flow passage 31, the air in the duct 30 is discharged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second air outlet 12a.

케이스(12,14)의 하면에는 걸이부(80)가 더 설치된다. 걸이부(80)는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걸이부(80)는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에 고정되어 아우터 케이스(1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걸이부(80)는 덕트(30)의 후방인 아우터 케이스(12)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있다가, 아우터 케이스(12)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Hook parts 80 are furthe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cases 12 and 14 . The hook part 8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and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air outlet 12a. The hook part 80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and is disposed in a state of protruding out of the outer case 12 . The hook part 8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case 12 at the rear of the duct 30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2 .

걸이부(80)에는 제2 공기토출구(12a)와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수건(1)이 걸린다. 사용자는 세면, 세수 및 샤워 등을 한 후에 수건(1)을 사용하여 자신에게 묻은 물기를 닦은 후 걸이부(80)에 걸어 놓는다. 이와 같이 걸이부(80)에 걸린 젖은 수건(1)은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 및 살균이 이루어진다. 걸이부(80)에 걸린 수건(1)이 건조 및 살균될 수 있도록, 제2 공기토출구(12a)는 걸이부(80)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least the towel 1 is hung on the hanger 8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ir outlet 12a. After washing the face, washing the face, showering, etc., the user wipes off the water on himself using the towel 1 and then hangs it on the hanger 80. In this way, the wet towel 1 caught on the hanger 80 is dried and sterilized b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ir outlet 12a. The second air outlet 12a is preferably formed to discharge air toward the hanger 80 so that the towel 1 hung on the hanger 80 can be dried and sterilized.

즉,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욕실 내를 건조 및 살균하는 기능을 하고,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수건(1)을 건조 및 살균하는 기능을 한다.That i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4b functions to dry and sterilize the bathroom,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ir outlet 12a functions to dry and sterilize the towel 1. do.

젖은 수건(1)이나 집기 등에도 미생물과 세균의 서식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수건(1) 등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거나, 오염된 수건(1) 등은 오염을 타인에게 전이시키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또한, 수건(1)은 세안이나 기타 욕실 내 활동에 의해 하루, 이틀 반복 사용되기도 하는데, 욕실 자체가 습한 공간이기에 이렇게 수건(1)에 잔여한 습기는 사람의 피부로부터 떨어져 나간 조직들을 영양분으로 서식하는 세균의 성장을 위한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Microorganisms and bacteria may also be present in the wet towel (1) or furniture. Due to this phenomenon, an unpleasant odor may be emitted from the towel 1 or the like, or the contaminated towel 1 may become a medium for transferring contamination to others. In addition, the towel (1) is used repeatedly for a day or two by face washing or other activities in the bathroom. Since the bathroom itself is a humid space, the remaining moisture in the towel (1) nourishes the tissues separated from the human skin as nutrients. It is also an ideal place for the growth of bacteria.

욕실관리기(100)는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을 통해 젖은 수건(1)이나 집기 등을 살균시킬 수 있고, 히터(50)에 의한 온풍을 동반한 경우 99%까지 살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건(1) 내에 미량 존재하는 습기까지 고온저습의 공기의 수증기 분압차를 크게 만들어 말끔히 증발시키는 메카니즘에 의한 부분이다. 살균 막바지에 히터(50)의 작동을 제한함으로써 에너지소모를 충분히 줄일 수 있게 구성한다.The bathroom manager 100 can sterilize wet towels 1 or household items through ions emitted from the ionizer 70, and when accompanied by warm air from the heater 50, the sterilization effect can be confirmed up to 99% there was. This is partly due to a mechanism that completely evaporates even the moisture present in a small amount in the towel 1 by making the water vapor partial pressure difference of the high-temperature and low-humidity air large. By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50 at the end of sterilization, it is configured to sufficiently reduce energy consumption.

한편, 아우터 케이스(12)의 좌측을 좌측으로 더 길게 확장시키거나, 아우터 케이스(12)의 우측을 우측으로 더 길게 확장시켜서, 그 확장된 부분에 칫솔을 수납할 수 있는 칫솔수납공간을 마련하고, 덕트(30)의 메인유로(31) 중 이오나이저(70)의 하측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유로를 하나 더 분지하여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연결함으로써,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이 포함된 공기가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칫솔수납공간에 수납된 칫솔을 빠르게 건조시키고 살균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이오나이저(70)와 함께 히터(50)도 구동시켜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이온이 포함된 온풍을 공급하여 상기 칫솔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고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유로(31)에서 유로를 하나 더 분지하는 경우 덕트(30) 내에는 상기 칫솔수납공간으로 분지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댐퍼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칫솔수납공간에는 상기 칫솔을 걸 수 있는 칫솔걸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수납공간에는 상기 칫솔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UV LED)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extending the left side of the outer case 12 longer to the left or extending the right side of the outer case 12 longer to the right, a toothbrush storage space capable of storing a toothbrush is provided in the expanded portion, ,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ionizer 70 of the main flow path 31 of the duct 30, one more flow path is branched and connected to the toothbrush storage space, thereby containing ions emitted from the ionizer 70 By allowing air to flow into the toothbrush storage space, the toothbrush stored in the toothbrush storage space can be quickly dried and sterilized.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e heater 50 may be driven together with the ionizer 70 to supply warm air containing ions to the toothbrush storage space, thereby drying and sterilizing the toothbrush more effectively. In this way, when one more flow path is branched from the main flow path 31, it is preferable that a dam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branched to the toothbrush storage space is further installed in the duct 30. In addition, a toothbrush holder for hanging the toothbrush may be provided in the toothbrush storage space. In addition, an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V LED) capable of sterilizing the toothbrush may be installed in the toothbrush storage space.

한편, 덕트(30) 전방 가운데에 후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된 공간(34)에는 컨트롤러(90)가 삽입된다.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덕트(30)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덕트(30)에 결합되거나,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된다. 또한, 덕트(30)의 공간(34)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200)가 삽입되어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덕트(30)의 공간(34)에는 제2 토출베인(26)을 작동시키는 모터(미도시)가 삽입되어 덕트(30)에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90 is inserted into the space 34 formed by being recessed backward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duct 30.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athroom manager 100, and is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duct 30 and coupled to the duct 30 or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4. In addition, at least one motor 200 for operating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34 of the duct 30 an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4. . In addition, a motor (not shown) for operating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34 of the duct 30 and coupled to the duct 30 .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덕트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박스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rst gearbox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uct shown in Figure 3;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덕트(30)의 일측에는 제1 기어박스(301)가 설치된다. 덕트(30) 중 제1 기어박스(301)가 설치되는 부분의 반대편인 공간(34)에는 제1 기어박스(301)와 결합되는 모터(미도시)가 삽입된다. 제1 기어박스(301) 내에는 제1 구동기어(302),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 구동기어(302)는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와 각각 맞물린다. 즉, 제1 종동기어(303)는 제1 구동기어(30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구동기어(302)와 맞물리고, 제2 종동기어(304)는 제1 구동기어(302)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 구동기어(302)와 맞물린다.Referring to FIGS. 3 to 7 , a first gearbox 30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uct 30 . A motor (not shown) coupled with the first gearbox 301 is inserted into the space 34 opposite to the part where the first gearbox 301 is installed in the duct 30 . In the first gearbox 301, a first drive gear 302, a first driven gear 303 and a second driven gear 304 are rotatably installed. The first drive gear 30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riven gear 303 and the second driven gear 304 and meshes with the first driven gear 303 and the second driven gear 304,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driven gear 303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gear 302 and meshes with the first driving gear 302, and the second driven gear 304 is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riving gear 302. It is disposed on and meshes with the first drive gear 302.

덕트(30)의 공간(34)에 삽입된 상기 모터의 회전축(305)은 덕트(30)의 일측 및 제1 기어박스(301)를 차례로 관통하여 제1 구동기어(302)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종동기어(303)는 제2 토출베인(26)의 회전축(26a)과 결합되고, 제2 종동기어(304)는 유로절환댐퍼(35)의 회전축(35a)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제1 구동기어(302)가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축(305)과 함께 동시에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가 회전되기 때문에, 제2 토출베인(26) 및 유로절환댐퍼(35)가 동시에 회전된다.The rotating shaft 305 of the motor inserted into the space 34 of the duct 30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duct 30 and the first gearbox 301 in turn and is coupled to the first driving gear 302. Also, the first driven gear 303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6a of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and the second driven gear 304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5a of the oil change damper 35. Therefore, when the motor is driven, the first driving gear 302 is simultaneously rotated along with the rotating shaft 305 of the motor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driven gear 303 and the second driven gear Since 304 is rotated,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and the passage switching damper 35 are rotated simultaneously.

즉,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일 때,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를 연통시키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 사이는 차단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유로절환댐퍼(35)는 제2 토출베인(26)과 함께 동시에 회전되어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 사이를 차단하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를 연통시킨다.That is, when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closes the second air outlet 12a, the flow path switching damper 35 communicates the main flow path 31 and the first sub flow path 32, and the main flow path ( 31) and the second sub-passage 33 are blocked. 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is rotated to open the second air discharge port 12a, the flow path switching damper 35 is simultaneously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to the main flow path ( 31) and the first sub-passage 32 are blocked, and the main flow passage 31 and the second sub-passage 33 are brought int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제1 종동기어(303) 및 제2 종동기어(304)의 기어비는 2:1로 형성된다.The gear ratio of the first driven gear 303 and the second driven gear 304 is 2:1.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2 토출베인(26) 및 유로절환댐퍼(35)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operate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and the flow path switching damper 35 using one motor.

걸이부(80)에 걸린 수건(1)과 같은 젖은 집기의 항균건조 모드로 욕실관리기(100)가 운전시에만,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하고,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를 연통시킨다. 이때에는 제1 토출베인(24)은 제1 공기토출구(14b)를 닫은 상태이고,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는 유로절환댐퍼(35)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The second discharge vane 26 opens the second air discharge port 12a only when the bathroom manager 100 is operated in the antibacterial drying mode for wet household items such as towels 1 hung on the hanger 80, and The switching damper 35 communicates the main passage 31 and the second sub passage 33. At this time,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ir discharge port 14b is closed, and the main passage 31 and the first sub passage 32 are blocked by the passage switching damper 35.

걸이부(80)에 걸린 수건(1)과 같은 젖은 집기의 항균건조 모드가 아닌 나머지 모드로 욕실관리기(100)가 운전시에는, 제1 토출베인(24)이 제1 공기토출구(14b)를 개방하고, 유로절환댐퍼(35)는 메인유로(31) 및 제1 서브유로(32)를 연통시킨다. 이때에는 제2 토출베인(26)은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이고, 메인유로(31) 및 제2 서브유로(33)는 유로절환댐퍼(35)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다.When the bathroom manager 100 operates in a mode other than the antibacterial drying mode for wet items such as towels 1 hanging on the hanger 80, the first discharge vane 24 covers the first air outlet 14b. When opened, the passage switching damper 35 communicates the main passage 31 and the first sub passage 32. At this time,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ir discharge port 12a is closed, and the main passage 31 and the second sub passage 33 are blocked by the passage switching damper 35.

도 8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9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의 절개사시도이다.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vane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are closed, and FIG. 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vane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are ope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은 동일한 구조의 개폐기구에 의해 회전되면서 개폐된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는 흡입베인(22)과 흡입베인(22)을 개폐하는 흡입베인 개폐기구만을 도시하고, 제1 토출베인(24)과 제1 토출베인(24)을 개폐하는 제1 토출베인 개폐기구는 괄호안에 도면부호를 넣어 표시하였다.8 and 9,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re opened and closed while being rotated by a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having the same structure. 8 and 9 show only the suction vane 22 and the suction vane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van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s indicated by putting reference numerals in parentheses.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는 제1 구동모터(200)가 설치된다. 제1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은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1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에는 제1 캠(202)이 결합된다. 제1 캠(202)은 회전축(201) 중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캠(202)은 전면이 경사진 제1 경사부(202a)로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베인(22)의 후면 하단부에는 제2 캠(203)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캠(203)은 후면이 제1 경사부(202a)와 대응되는 제2 경사부(203a)로 형성된다.A first drive motor 20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4 . The rotating shaft 201 of the first drive motor 200 penetrates the inner case 14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inner case 14 . A first cam 202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01 of the first drive motor 200 . The first cam 202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201 that penetrates the inner case 14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inner case 14 and is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inner case 14 . The first cam 202 is formed of a first inclined portion 202a with an inclined front surface. In addition, a second cam 203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lower end of the suction vane 22 .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am 203 is formed as a second inclined portion 203a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202a.

제1 경사부(202a) 및 제2 경사부(203a)로 인해, 제1 구동모터(200)의 구동력에 의해 제1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과 함께 제1 캠(202)이 회전됨에 따라, 제1 캠(202)은 제2 캠(203)을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흡인베인(22)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흡입베인(22)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1 구동모터(200)가 흡입베인(22)의 닫힘위치로 회전되면, 흡입베인(22)은 제1 리턴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Due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202a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203a, the first cam 202 along with the rotating shaft 201 of the first driving motor 200 is form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200. As it rotates, the first cam 202 pushes the second cam 203 forward, and thus the suction vane 22 opens. In this way, when the first drive motor 20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of the suction vane 22 while the suction vane 22 is open, the suction vane 22 is mov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not shown). It will be closed.

또한, 이너 케이스(14)의 배면에는 제2 구동모터(400)가 설치된다. 제2 구동모터(400)의 회전축(401)은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제2 구동모터(400)의 회전축(401)에는 제3 캠(402)이 결합된다. 제3 캠(402)은 회전축(401) 중 이너 케이스(14)를 관통하여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어, 이너 케이스(14)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3 캠(402)은 전면이 경사진 제3 경사부(402a)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토출베인(24)의 후면 상단부에는 제4 캠(403)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4 캠(403)은 후면이 제3 경사부(402a)와 대응되는 제4 경사부(403a)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second driving motor 40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4 . The rotating shaft 401 of the second drive motor 400 penetrates the inner case 14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inner case 14 . A third cam 402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401 of the second driving motor 400 . The third cam 402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401 that penetrates the inner case 14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inner case 14 and is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inner case 14 . The third cam 402 is formed of a third inclined portion 402a with an inclined front surface. Also, a fourth cam 403 protrudes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 The fourth cam 403 has a rear surface formed of a fourth inclined portion 403a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clined portion 402a.

제3 경사부(402a) 및 제4 경사부(403a)로 인해, 제2 구동모터(400)의 구동력에 의해 제2 구동모터(400)의 회전축(401)과 함께 제3 캠(402)이 회전됨에 따라, 제3 캠(402)은 제4 캠(403)을 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토출베인(24)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제1 토출베인(24)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2 구동모터(400)가 제1 토출베인(24)의 닫힘위치로 회전되면, 제1 토출베인(24)은 제2 리턴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닫히게 된다.Due to the third inclined portion 402a and the fourth inclined portion 403a, the third cam 402 along with the rotary shaft 401 of the second driving motor 400 is form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otor 400. As it rotates, the third cam 402 pushes the fourth cam 403 forward, and thus the first discharge vane 24 opens. When the second drive motor 40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opened in this way,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driven by a second return spring (not shown). ) is closed by the restoring force.

상기와 같이, 흡입베인(22)에 형성된 제2 캠(203)의 후면이 제2 경사면(203a)으로 형성되고, 제1 구동모터(200)의 회전축(201)에 결합된 제1 캠(202)의 전면이 제1 경사면(202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흡입베인(22)을 수동으로 열 수 있다. 또한, 제1 토출베인(24)에 형성된 제4 캠(403)의 후면이 제4 경사면(403a)으로 형성되고, 제2 구동모터(400)의 회전축(401)에 결합된 제3 캠(402)의 전면이 제3 경사면(402a)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am 203 formed on the suction vane 22 is formed as a second inclined surface 203a, and the first cam 202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01 of the first drive motor 200 Since the front surface of ) is formed as the first inclined surface 202a, the user can manually open the suction vane 22.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of the fourth cam 403 formed on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formed as a fourth inclined surface 403a, and the third cam 402 coupled to the rotary shaft 401 of the second drive motor 400 ) is formed as the third inclined surface 402a, the user can manually open the first discharge vane 24.

이와 같이, 사용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열 수 있기 때문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수동으로 연 후, 필터(60)의 교체가 가능하며, 덕트(30) 내부 및 송풍팬(40) 등을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중(송풍팬 구동중)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적어도 하나를 열게 되면, 홀 센서(미도시)가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린 것을 감지하여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user can manually open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fter manually opening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the filter 60 It can be replaced, and the inside of the duct 30 and the blowing fan 40 can be easily cleaned. When the user manually opens at least one of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while the bathroom manager 100 is operating (while the blowing fan is running), a Hall sensor (not shown) operates on the suction vane 22 ) and the ope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90, and the controller 90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bathroom manager 100.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흡입베인 개폐기구 및 상기 제1 토출베인 개폐기구 각각에 모터(200,400)가 포함되기 때문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개폐하기 위해 2개의 모터(200,400)를 필요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하나의 모터를 이용한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개폐하는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However, in this structure, since the motors 200 and 400 are included in each of the suction van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wo motors are used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Requires (200,400).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using one mo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

도 10은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흡입베인 및 제1 토출베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vane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are closed, and FIGS. 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of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vane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are open.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구동모터(500)와, 구동모터(500)의 회전축(501)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02)와,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결합되고 구동기어(502)와 맞물리는 인터널기어(503)와, 기어박스(504)와, 기어박스(50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기어(505)와, 기어박스(50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기어(505)와 맞물리는 제2 기어(506)와, 흡입베인(22)의 회전축(22a)에 결합되고 제1 기어(505)와 맞물리는 제3 기어(507)와, 제1 토출베인(24)의 회전축(24a)에 결합되고 제2 기어(506)와 맞물리는 제4 기어(508)를 포함한다.10 to 12,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otor 500, a driving gear 502 coupled to a rotating shaft 501 of the driving motor 500, 1 The internal gear 503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charge vane 24 and meshed with the drive gear 502, the gear box 504, and the first gear 505 rotatably installed in the gear box 504 ), a second gear 506 rotatably installed in the gearbox 504 and engaged with the first gear 505, and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2a of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gear 505 It includes a third gear 507 meshed with and a fourth gear 508 coupled to the rotational shaft 24a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nd meshed with the second gear 506.

구동모터(500)는 덕트(30)의 공간(34)으로 삽입되어 회전축(501)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수평하게 배치된다. 구동모터(500)는 공간(34) 내에서 덕트(3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이너 케이스(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500)는 이너 케이스(14) 및 덕트(30)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스(12,14) 내에서 덕트(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500 is inserted into the space 34 of the duct 30, and the rotating shaft 501 is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rive motor 500 may be coupled to the duct 30 within the space 34 or may be coupled to the inner case 14 . The drive motor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14 and the duct 30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duct 30 within the cases 12 and 14 .

인터널기어(503)는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결합되고, 길이를 따른 내측 일부구간에 구동기어(502)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널기어(503)는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결합되지만, 구동모터(500)의 설치위치가 상측으로 변경된다면, 흡입베인(22)의 배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인터널기어(503)는 제1 토출베인(24)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internal gear 503 is formed in an arc shape, one en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nd gear teeth meshing with the driving gear 502 are formed in a partial inner section along the length. In this embodiment, the internal gear 503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but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22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rive motor 500 is changed to the upper side. . Hereinafter, the internal gear 503 will only be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

기어박스(504)는 이너 케이스(14)의 측면에 결합되어, 케이스(12,14)에 설치될 수 있다.The gearbox 504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inner case 14 and installed in the cases 12 and 14 .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닫힌 상태에서, 구동모터(500)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모터(500)의 회전축(501)과 함께 구동기어(50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인터널기어(503)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 토출베인(24)이 회전되면서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제1 토출베인(24)의 회전축(24a)에 결합된 제4 기어(508)가 회전되고, 제4 기어(508)와 맞물린 제2 기어(506)가 회전되며, 제2 기어(506)와 맞물린 제1 기어(505)가 회전됨으로써, 제1 기어(505)와 맞물려 있고 흡입베인(22)의 회전축(22a)에 결합된 제3 기어(507)가 회전되기 때문에, 흡입베인(22)은 제1 토출베인(24)과 함께 동시에 개방된다.When the drive gear 502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long with the rotating shaft 501 of the drive motor 500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500 in a state where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re closed, The internal gear 503 moves forward, and accordingly, the first discharge vane 24 rotates and opens. At the same time, the fourth gear 508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4a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4 rotates, the second gear 506 meshed with the fourth gear 508 rotates, and the second gear 506 ) As the first gear 505 meshed with is rotated, the third gear 507 meshed with the first gear 505 and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2a of the suction vane 22 is rotated, so that the suction vane 22 ) is opened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discharge vane 24.

이와 같이,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이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500)의 회전축(50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인터널기어(503)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 토출베인(24)이 회전되면서 닫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4 기어(508), 제2 기어(506), 제1 기어(505) 및 제3 기어(507)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은 동시에 닫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rotational shaft 501 of the drive motor 50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are open, the internal gear 503 is moved backward and Accordingly,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closed while being rotated. At the same time, since the fourth gear 508, the second gear 506, the first gear 505, and the third gear 507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is closed at the same time.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덕트(30)에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되었으나, 복수의 이오나이저(70)는 제1 서브유로(32) 및 제2 서브유로(33)에 최대한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반드시 덕트(30)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although a plurality of ionizers 70 are installed in the duct 30 in FIGS. 3 and 4,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are located as close to the first sub-passage 32 and the second sub-passage 33 as possible. Since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t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in the duct 30.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ionizers 70 are instal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

도 13 및 도 14는 유로절환댐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3 and 14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low path switching damper.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유로절환댐퍼(35)에 설치된다. 도 13과 같이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닫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닫은 상태에서는, 히터(50)를 통과한 메인유로(31) 내의 공기는 제1 서브유로(32)의 입구에서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발산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면서 욕실의 바닥을 건조 및 살균시킨다. 또한, 도 14와 같이 유로절환댐퍼(35)가 제2 서브유로(33)를 개방하고 제2 토출베인(26)이 제2 공기토출구(12a)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히터(50)를 통과하는 메인유로(31) 내의 공기는 제2 서브유로(33)의 입구에서 복수의 이오나이저(70)가 발산하는 이온이 포함된 후,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욕실 내로 토출되면서 걸이부(80)에 걸린 젖은 수건과 같은 집기를 건조 및 살균시킨다.Referring to FIGS. 13 and 14 , a plurality of ionizers 70 are installed in the passage switching damper 35 . As shown in FIG. 13, in a state where the flow path switching damper 35 closes the second sub flow path 33 and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closes the second air discharge port 12a, the main flow path passing through the heater 50 ( 31) After the air in the first sub-passage 32 contains ions emitted by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at the inlet of the first sub-passage 32, it is discharged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4b to dry the floor of the bathroom and Steriliz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 in a state in which the passage switching damper 35 opens the second sub passage 33 and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opens the second air outlet 12a, the heater 50 passes through. The air in the main flow path 31 containing ions emitted by the plurality of ionizers 70 at the entrance of the second sub flow path 33 is discharged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second air discharge port 12a, and the hook part (80) Dry and sterilize household items such as wet towels.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명기구(15)가 이너 케이스(14)의 중간부(14e)에 설치되었으나, 조명기구(15)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조명기구(15)의 위치에 따라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조명기구(15)의 설치위치의 변경실시에 대해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lighting device 15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14e of the inner case 14, but the loc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5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lighting devic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15), the reflector 23 may not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22. Below,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for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ighting fixture 15 .

도 15 내지 도 17은 조명기구의 설치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5 to 17 are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installation positions of lighting fixtures.

도 15를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의 상부(14d)에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이너 케이스(14) 중 공기흡입구(14a)의 상측에 해당하는 이너 케이스(14)에 설치된다. 흡입베인(22)의 배면에는 조명기구(15)가 생성하는 빛을 필터(60)로 반사하는 리플렉터(23)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5 , the lighting device 15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14d of the inner case 14 . The lighting device 15 is installed in the inner case 14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air inlet 14a of the inner case 14 . A reflector 23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22 to reflect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device 15 to the filter 60.

도 16을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흡입베인(22)의 배면에 설치된다. 조명기구(15)는 빛을 생성하여 필터(60)로 직접 조사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Referring to FIG. 16 , the lighting device 15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22 . The lighting device 15 generates light and directly irradiates it to the filter 60 .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reflector 23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22 .

도 17을 참조하면, 조명기구(15)는 덕트(30) 내에 설치된다. 덕트(30)에는 메인유로(31) 내로 돌출되는 설치부(39)가 형성되고, 조명기구(15)는 설치부(39)에 결합된다. 조명기구(15)는 빛을 생성하여 필터(60)로 직접 조사한다. 따라서, 흡입베인(22)의 배면에 리플렉터(23)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Referring to FIG. 17 , the lighting device 15 is installed in the duct 30 . An installation part 39 protruding into the main passage 31 is formed in the duct 30, and the lighting device 15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part 39. The lighting device 15 generates light and directly irradiates it to the filter 60 .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reflector 23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22 .

조명기구(15)가 도 3, 도 15, 도 16과 같이 설치되는 경우 흡입베인(22)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필터(60)로 빛을 조사할 수 있지만, 도 17과 같이 조명기구(15)가 덕트(30) 내에 설치되는 경우, 흡입베인(22)이 닫힌 상태에서도 필터(60)로 빛을 조사하여 필터(60)의 광촉매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욕실 외부에서 볼 때 욕실 간접조명의 기능으로 심미적 만족감을 줄 수 있다.When the lighting device 15 is installed as shown in FIGS. 3, 15, and 16, light can be irradiated with the filter 60 only in the state in which the suction vane 22 is open, but as shown in FIG. 17, the lighting device 15 When installed in the duct 30, the photocatalyst of the filter 60 can be activated by irradiating light with the filter 60 even when the suction vane 22 is closed, and the function of bathroom indirect lighting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bathroom can give aesthetic satisfac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필터(60)의 광촉매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하는 조명기구(15)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조명기구(15)를 욕실 간접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조명기구(15)를 욕실 간접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시예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fixture 15 that functions to activate the photocatalyst of the filter 60 can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and the lighting fixture 15 can be installed in the bathroom. Since it can be used as indirect lighting, an embodiment for using the lighting fixture 15 as indirect lighting in a bathroom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제어블록도이다.18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인체감지센서(300)와, 조도센서(60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8 ,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uman body sensor 300 and an illuminance sensor 600 .

인체감지센서(300)는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90)는 인체감지센서(300)의 감지에 따라 조명기구(15)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인체감지센서(300)가 인체를 감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컨트롤러(90)로 전송하여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컨트롤러(90)로 입력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조명기구(15)를 점등시키고, 상기 인체감지신호가 컨트롤러(90)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90)는 조명기구(15)를 소등시킬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300)는 욕실관리기(1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욕실의 출입구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human body sensor 300 detects a human body and transmits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90, and the controller 90 turns on or off the lighting fixture 15 according to the human body sensor 300 detects.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300 detects a human body and transmits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90, and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ler 90, the controller 90 turns on the lighting fixture 15, When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not input to the controller 90, the controller 90 may turn off the light fixture 15.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300 may be installed in the bathroom manager 100 or near the entrance of the bathroom.

조도센서(600)는 욕실 외부의 조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욕실 외부는 욕실의 출입구가 주택 내에 위치하는 경우 욕실과 이웃하는 실내공간인 거실이 되고, 욕실의 출입구가 주택 바깥에 위치하는 경우 주택 바깥이 된다. 즉, 조도센서(600)는 상기 거실 내에 설치되는 경우 거실의 조도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주택 바깥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주택 바깥의 조도를 감지하게 된다. 조도센서(600)는 욕실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조도감지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90)는 조도센서(600)가 감지한 상기 욕실 외부의 조도감지값에 따라 조명기구(15)의 점등광량을 조절한다.The illuminance sensor 600 detects the illuminance outside the bathroom. Here, the exterior of the bathroom becomes a living room, which is an indoor space adjacent to the bathroom, when the entrance of the bathroom is located inside the house, and becomes the outside of the house when the entrance of the bathroom is located outside the house. That is, the illuminance sensor 600 detects the illuminance of the living room when installed inside the living room, and detects the illuminance outside the house when installed outside the house. The illuminance sensor 600 detects the illuminance outside the bathroom and transmits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to the controller 90, and the controller 90 transmits the detected illuminance value outside the bathroom to the lighting fixture ( 15) Adjusts the lighting amount.

컨트롤러(90)에는 조도값에 따른 조명기구(15)의 점등광량이 복수로 설정된다. 컨트롤러(90)는 조도센서(600)가 감지한 조도감지값이 입력되면, 복수로 설정된 점등광량 중 조도감지값에 해당하는 점등광량을 선택하여, 조명기구(15)가 선택된 점등광량으로 빛을 생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조명기구(15)는 욕실 외부와 대등한 광량으로 점등됨으로써, 사용자가 욕실 외부에서 욕실로 입실하는 순간, 욕실 및 욕실 외부의 조도차로 인한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controller 90, a plurality of lighting amounts of the lighting fixture 15 are set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value. When the illuminance detection value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600 is input, the controller 90 selects a turn-on light amount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sense value among a plurality of set turn-on light amounts, and the lighting fixture 15 emits light with the selected turn-on light amount. to create Therefore, the lighting device 15 is turned on with the same amount of light as the outside of the bathroom, so that when the user enters the bathroom from outside the bathroom, it is possible to prevent glare due to a difference in illumination between the bathroom and the outside of the bathroom.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사용자가 욕실로 입실하는 순간 인체감지센서(300)의 인체감지에 따라 조명기구(15)가 자동으로 점등되고, 사용자가 욕실을 퇴실하면 조명기구(15)가 자동으로 소등되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조명기구(15)는 점등시에 욕실 외부와 대응한 조도로 점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욕실 외부에서 욕실을 입실하는 순간 사용자의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fixture 15 is automatically turned on according to the human body detection of the human body sensor 300 the moment the user enters the bathroom, and the user enters the bathroom. Since the lighting fixture 15 is automatically turned off when leaving the room,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lighting device 15 is lit at an illumination intensity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outside of the bathroom when it is turned on, it does not cause glare to the user the moment the user enters the bathroom from outside the bathroom.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제어블록도이다.19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온도센서(700)와, 습도센서(800)와, 가스센서(900)를 더 포함한다. 온도센서(700), 습도센서(800) 및 가스센서(900)는 케이스(12,14)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700, a humidity sensor 800, and a gas sensor 900. The temperature sensor 700, humidity sensor 800, and gas sensor 900 may be installed in the cases 12 and 14.

온도센서(700)는 욕실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감지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하고, 습도센서(800)는 욕실 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감지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하며, 가스센서(900)는 욕실 내의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감지값을 컨트롤러(90)로 전송한다.The temperature sensor 700 detects the temperature in the bathroom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ler 90, the humidity sensor 800 detects the humidity in the bathroom and transmits the humidity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ler 90, and the gas sensor Step 900 detects gas in the bathroom and transmits the gas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ler 90 .

컨트롤러(90)는 욕실내의 이벤트(용변, 샤워 및 목욕, 청소 등) 발생시, 온도센서(700), 습도센서(800), 가스센서(900) 및 인체감지센서(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감지값을 이용하여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The controller 90 is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 700, the humidity sensor 800, the gas sensor 900, and the human body sensor 300 when an event in the bathroom (toilet, shower and bath, cleaning, etc.) occurs. The bathroom manager 100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using the detected value.

예를 들어,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이 설정온도값 이상이고, 습도센서(80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감지값이 설정습도값 이상이면,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이 고온다습한 상태일 때 욕실을 건조 및 살균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90 controls the bathroom manager 100 when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00 is greater than the set temperature value and the humidity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humidity sensor 800 is greater than the set humidity value.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dry and sterilize the bathroom when the bathroom is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state.

또한, 컨트롤러(90)는 가스센서(900)로부터 입력되는 가스감지값이 설정가스값 이상이면,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을 탈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욕실이 사용자의 배변 후의 상태일 때 욕실을 탈취시킴으로써 다음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욕실전용세제를 이용한 청소 후의 상태일 때 욕실을 탈취시킴으로써 상기 욕실전용세제의 냄새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90 may deodorize the bathroom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bathroom manager 100 when the gas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gas sensor 9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gas value. In this situation, when the bathroom is in a state after the user defecates, the bathroom is deodorized so that the next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In addition, the smell of the bathroom detergent can be quickly removed by deodorizing the bathroom when the bathroom is in a state after cleaning using the bathroom detergent.

욕실전용세제로부터 발생되는 강력한 환원성 가스의 냄새는 타 냄새 성분과 구별되기 때문에, 컨트롤러(90)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기 환원성 가스의 냄새가 검출되는 주기를 파악하여, 욕실 청소주기를 파악할 수 있으며, 온도센서(700) 및 습도센서(8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연동하여 적절 욕실 청소주기를 알려주거나 잔여한 욕실 내 환원성 가스 냄새가 제거될 때까지 환기를 유도하거나, 그에 대한 환경정보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욕실 환원성 가스 냄새의 잔여 상황을 알려줄 수 있으며, 월별 주별 욕실 청소 현황도 알려줄 수 있다.Since the smell of the strong reducing gas generated from the bathroom detergen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odor components, the controller 90 can identify the cycle of detecting the smell of the reducing gas over time, and determine the bathroom cleaning cycle. In conjunction with the data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00 and the humidity sensor 800, an appropriate bathroom cleaning cycle is notified, or ventilation is induced until the residual smell of reducing gas in the bathroom is removed, or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it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By transmitting,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of the remaining status of the smell of reducing gas in the bathroom, and also the status of cleaning the bathroom by month and week.

또한,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이면,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이 상기 설정온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관리기(100)를 운전시키고, 상기 설정온도값에 도달하면 욕실관리기(1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겨울철과 같이 욕실의 온도가 낮은 상태일 때 사용자가 욕실로 입실하기 전에 욕실의 온도를 높여줌으로써, 사용자가 욕실로 입실하는 순간 따뜻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90 may supply warm air to the bathroom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bathroom manager 100 when the temperature sensed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0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temperature valu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90 operates the bathroom manager 100 until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00 reaches the set temperature value, and when the set temperature value is reached, the bathroom manager 100 is operated. can be stopped In this situatio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throom is low, such as in winter,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bathroom before the user enters the bathroom, the user can feel warmth as soon as he or she enters the bathroom.

또한,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이고, 인체감지센서(300)로부터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사용자가 욕실에 입실하는 상태에서만 욕실관리기(100)가 운전되기 때문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90 automatically operates the bathroom manager 100 when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00 is less than the set temperature value and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300, You can supply warm air to the bathroom. In this situation, since the bathroom manager 100 is operated only when the user enters the bathroom,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온도센서(700)가 감지한 욕실 내의 온도감지값이 설정온도값 이하이더라도,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입력버튼(14c)들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샤워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만, 욕실관리기(100)를 운전시켜서, 상기 설정온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욕실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temperature sensor 700 detects the temperature in the bathroom is less than the set temperature value, the controller 90 does not automatically operate the bathroom manager 100, and the user presses at least one of the input buttons 14c.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operating the bathroom manager 100 only when the shower mode is selected by manipulating and supplying warm air into the bathroom until the set temperature is reached.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온도감지값 및 습도센서(8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습도감지값의 히스토릭 데이터(historic data)를 이용하여 욕실 상태를 관리해줄 수 있다.The controller 90 may manage the state of the bathroom by using historical data of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00 and the humidity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humidity sensor 800 .

컨트롤러(90)는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 및 습도센서(80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감지값으로부터, 욕실 내의 온도 및 습도의 추의를 시간에 따라 수집하고, 고습도가 유지되는 구간의 지속시간이 곰팡이나 세균의 급격한 생성을 유발할 수 있는 값을 넘는 경우, 욕실 청소나 관리를 알려줄 수 있다.The controller 90 collects an estimate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bathroom over time from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00 and the humidity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humidity sensor 800, If the duration exceeds a value that may cause rapid growth of mold or bacteria, it may alert you to cleaning or maintenance of the bathroom.

또한, 거실에 온도센서가 더 설치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거실에 설치된 온도센서의 데이터와, 온도센서(700)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욕실의 온도를 거실의 온도와 대등한 수준이 되도록, 욕실관리기(100)를 자동으로 운전시켜서 욕실 내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탈의 후 욕실 입실 시 갑작스런 온도변화로 인한 쇼크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temperature sensor is further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the controller 90 compares the data of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with the data of the temperature sensor 700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bathroom becomes equal to that of the living room. , By automatically operating the bathroom manager 100 to supply warm air into the bathroo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eing shocked by a sudden temperature change when entering the bathroom after undressing.

또한, 거실에 습도센서가 더 설치되는 경우, 컨트롤러(90)는 거실에 설치된 습도센서(800)의 데이터와, 습도센서(800)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욕실의 습도가 거실의 습도와 대등한 수준이 되도록, 욕실 문의 개방 시간을 알려주거나 욕실 환경에 대해 알려줄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humidity sensor is further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the controller 90 compares the data of the humidity sensor 800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with the data of the humidity sensor 800, and determines that the humidity in the bathroom is equal to the humidity in the living room. In order to level up, it may inform the opening time of the bathroom door or inform about the bathroom environment.

한편, 욕실관리기(100)는 습한 욕실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습 상황에 노출되게 되며 이에 따라 자체의 위생구현도 중요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bathroom manager 100 is installed in a humid bathroom, it is exposed to a high humidity situation, and accordingly, its own hygiene implementation becomes important.

컨트롤러(90)는 흡입베인(22), 제1 토출베인 및 제2 토출베인(26)을 닫거나 최소한 연 상태로, 히터(50)만을 설정된 시간동안 간헐적 동작시키거나, 송풍팬(40)만 설정된 시간동안 간헐적 동작시켜서, 욕실관리기(100)의 내부 건조를 우선 진행한다.The controller 90 closes or at least opens the suction vane 22, the first discharge vane, and the second discharge vane 26, and intermittently operates only the heater 50 for a set time, or operates only the blower fan 40 for a set time. By operating intermittently for a period of time, the interior drying of the bathroom manager 100 is first performed.

욕실관리기(100)의 내부 건조가 진행된 이후, 컨트롤러(90)는 이오나이저(70)만을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시키거나, 이오나이저(70) 및 히터(50)를 동시에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시켜, 욕실관리기(100)의 내부 살균을 진행한다.After the internal drying of the bathroom manager 100 is in progress, the controller 90 operates only the ionizer 70 for a set time, or simultaneously operates the ionizer 70 and the heater 50 for a set time, so that the bathroom manager Proceed with internal sterilization of (100).

컨트롤러(90)는 욕실관리기(100)의 내부건조 및 내부살균을 진행하는 도중에, 온도센서(70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을 통해 욕실관리기(100) 내 온도변화를 알 수 있으며, 욕실관리기(100) 내의 온도변화를 통해 욕실관리기(100)의 운전중지시점을 판단하여 욕실관리기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90)는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욕실관리기 내부의 살균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The controller 90 can know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bathroom manager 100 through the temperature detection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700 during the internal drying and internal sterilization of the bathroom manager 100, and the bathroom manager (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bathroom manager 100 by determining the point in tim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bathroom manager 100 through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bathroom manager 10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90 may end the sterilization mode inside the bathroom manager after a preset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덕트(30) 내의 유로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실링구조(방수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욕실관리기(100)의 청소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흡입베인(22) 및 제1 토출베인(24)을 이너 케이스(14)로부터 90도로 젖힌 후, 욕실관리기(100)의 내부에 물을 뿌리며 청소할 수 있다.In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 of the structure except for the flow path in the duct 30 is a sealing structure (waterproof structure). Therefore, the user can clean the bathroom manager 100. After the user tilts the suction vane 22 and the first discharge vane 24 from the inner case 14 by 90 degrees, the user can clean the bathroom manager 100 by spraying water thereon.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스(12,14)에 적어도 수건(1)을 걸 수 있는 걸이부(80)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욕실에 설치되어 있던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을 제거한 후, 상기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이 설치되었던 부분에, 욕실관리기(10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hanger 80 for hanging at least a towel 1 is coupled to the cases 12 and 14 for discharging air. do. Therefore, after removing the existing towel rack knife block installed in the bathroom,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bathroom manager 100 in the part where the existing towel rack knife block was installed. Hereinafter, a process of installing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bathroom wa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5 .

도 20은 욕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수건걸이 칼블럭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체결공에 전용홀더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지지브래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지지브래킷이 도 22에 도시된 전용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의 배면이 지지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20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wel hanger knife block installed in a bathroom, 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wel hanger knife block shown in FIG. 20 is removed, and FIG. 22 is dedicated to the fastening hole shown in FIG. FIG. 2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fastened, FIG. 23 is a view showing a support bracket, FIG. 2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racket shown in FIG. 23 is coupled to the dedicated holder shown in FIG. 22, and FIG.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욕실 벽면(2)에는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1000)이 설치되어 있다. 욕실 벽면(2)에서 기존의 수건걸이 칼블럭(1000)을 제거하면 욕실 벽면(2)에는 체결공(3,4)이 남게 된다. 체결공(3,4)은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체결공(3) 및 제2 체결공(4)을 포함한다. 제1 체결공(3) 및 제2 체결공(4)은 각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신축건물과 같이 욕실 벽면(2)에 수건걸이 칼블럭(1000)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욕실 벽면(2)에 체결공(3,4)을 타공하여 형성시킨다.20 and 21, a conventional towel rack knife block 1000 is installed on the bathroom wall 2. When the existing towel rack knife block 1000 is removed from the bathroom wall surface 2, fastening holes 3 and 4 remain on the bathroom wall surface 2. The fastening holes 3 and 4 include a first fastening hole 3 and a second fastening hole 4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left and right. Each of the first fastening hole 3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4 may be formed in plurality. If the towel rack knife block 1000 is not installed on the bathroom wall 2, such as in a new building, the fastening holes 3 and 4 are perforated in the bathroom wall 2.

도 22를 참조하면, 이후 체결공(3,4)에 전용홀더(2000,3000)를 체결한다. 전용홀더(2000,3000)에는 각각 스크류(5,6)가 관통되어 체결공(3,4)에 체결될 수 있다. 전용홀더(2000,3000)는 제1 체결공(3)에 체결되는 제1 전용홀더(2000)와, 제2 체결공(4)에 체결되는 제2 전용홀더(30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2 , exclusive holders 2000 and 3000 are then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3 and 4 . Screws 5 and 6 penetrate the dedicated holders 2000 and 3000, respectively, and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s 3 and 4. The exclusive holders 2000 and 3000 include a first exclusive holder 2000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3 and a second exclusive holder 3000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4 .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이후 전용홀더(2000,3000)에 지지브래킷(4000)을 결합한다. 지지브래킷(4000)은 메인브래킷(4100)과, 메인브래킷(4100)의 일단에 인출 가능토록 결합되는 제1 서브브래킷(4200)과, 메인브래킷(4100)이 타단에 인출 가능토록 결합되는 제2 서브브래킷(4300)을 포함한다. 메인브래킷(4100)은 사각단면의 중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서브브래킷(4200)은 일단이 사각 단면을 갖는 긴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브래킷(4100)의 일단에서 중공 내로 삽입되어 메인브래킷(4100)의 일단에 인출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고, 제2 서브브래킷(4300)은 일단이 사각 단면을 갖는 긴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브래킷(4100)의 타단에서 중공 내로 삽입되어 메인브래킷(4100)의 타단에 인출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23 and 24, the support bracket 4000 is then coupled to the exclusive holders 2000 and 3000. The support bracket 4000 includes a main bracket 4100, a first sub-bracket 4200 retrac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racket 4100, and a second sub-bracket 4200 retrac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racket 4100. A sub-bracket 4300 is included. The main bracket 41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with a square cross-section, and the first sub-bracket 4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bar with one end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t one end of the main bracket 4100. It can be retrac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main bracket 41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is formed in a long bar shape with one end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hollow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racket 4100 to form a main bracket. It can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4100 to be withdrawable.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은 메인브래킷(410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이 메인브래킷(4100)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경우,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을 당겨 메인브래킷(4100)으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고,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을 밀어 메인브래킷(4100)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racket 4100 . In this way, when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are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racket 4100,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are pulled to secure the main bracket ( 4100,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can be pushed and inserted into the main bracket 4100.

만약, 메인브래킷(4100),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의 단면이 원형단면을 갖는다면, 메인브래킷(4100)의 일단 및 타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서브브래킷(4200)의 일단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의 일단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인브래킷(410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인브래킷(41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If the main bracket 4100,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have circular cross-sections, threads may be formed o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bracket 4100, Screw threads screwed into the screw threads may be formed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one end of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one end of the second sub-bracket 4300 . In this case,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aken out of the main bracket 4100, and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main bracket 4100.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이 메인브래킷(4100)의 내부에서 인출됨으로써 지지브래킷(40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고,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이 메인브래킷(410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지지브래킷(4000)의 전체적인 길이가 짧아지는 방식으로, 지지브래킷(4000)은 전체적인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As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are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racket 4100, the overall length of the support bracket 4000 is increased, and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As the 4300 is inserted into the main bracket 4100, the overall length of the support bracket 4000 is shortened, and the overall length of the support bracket 4000 can be changed.

상기와 같이, 지지브래킷(40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제1 전용홀더(2000) 및 제2 전용홀더(3000)의 좌우 간격에 맞게 지지브래킷(40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브래킷(400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제1 서브브래킷(4200)을 제1 전용홀더(2000)에 결합하고, 제2 서브브래킷(4300)을 제2 전용홀더(3000)에 결합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ength of the support bracket 4000 can be varied, the operator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bracket 4000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between the first exclusive holder 2000 and the second exclusive holder 3000. there is. In this way, afte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upport bracket 4000, the first sub-bracket 4200 is coupled to the first exclusive holder 20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is attached to the second exclusive holder 3000. combine

제1 서브브래킷(4200) 중 제1 전용홀더(2000)에 결합되는 부분의 배면과, 제2 서브브래킷(4300) 중 제2 전용홀더(3000)에 결합되는 부분의 배면에는, 전용홀더(2000,3000) 및 벽면(2) 사이로 삽입되는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되어, 제1 서브브래킷(4200) 및 제2 서브브래킷(4300)은 전용홀더(2000,3000)의 상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전용홀더(2000,3000) 및 벽면(2) 사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전용홀더(2000,3000)에 결합될 수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part coupled to the first exclusive holder 2000 of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part coupled to the second exclusive holder 3000 of the second sub-bracket 4300, the exclusive holder 2000 3000) and a sliding protrusion inserted between the wall surface 2 is formed, so that the first sub-bracket 4200 and the second sub-bracket 4300 are on the upper side of the exclusive holders 2000 and 3000, and the sliding protrusions are dedicated holders ( 2000 and 3000) and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wall surface 2, it can be coupled to the dedicated holders 2000 and 3000.

도 25를 참조하면, 지지브래킷(4000)을 전용홀더(2000,3000)에 결합한 후, 욕실관리기(1000)의 배면에 형성된 지지부(150)가 지지브래킷(40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2)에 설치할 수 있다. 욕실관리기(100)의 배면에는 지지부(150)의 하측에 홀(151)이 형성된다. 지지브래킷(4)은 욕실관리기(100)의 배면에 형성된 홀(151)을 통해 욕실관리기(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지지부(150)를 지지함으로써,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after the support bracket 4000 is coupled to the dedicated holders 2000 and 3000, the bathroom manager 150 formed on the back of the bathroom manager 10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4000. (100) can be installed on the bathroom wall (2). A hole 15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150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 The support bracket 4 is inserted into the bathroom manager 100 through the hole 151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to support the support 150, so that the bathroom manager 100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there is.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2)에 설치한 후,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을 전원과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 전원케이블을 전원과 연결하는 방법은 욕실 벽면(2)에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는 방법과, 욕실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의 전원케이블과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욕실관리기(100)를 욕실 벽면에 설치하게 되면 전원케이블을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하는 것이 불가할뿐만 아니라, 욕실 사용시 물튀김에 의해 안전성 문제가 있으므로, 욕실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의 전원케이블과 연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을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의 전원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after installing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throom wall 2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cabl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should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method of connecting the power cable to a power source includes a method of connecting to an outlet installed on the bathroom wall 2 and a method of connecting to a power cable of a ventilato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athroom. However, when the bathroom manager 100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athroom, it is not only impossible to connect the power cable to the outlet installed on the wall, but also there is a safety problem due to splashing water when using the bathroom. How to connect is preferred. Hereinafter, a process for connecting the power cabl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to the power cable of the ventilation fan installed on the ceil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6 to 28.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에 결합되는 케이블 가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캡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가이드 캡에 캡 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6 is a view showing a cable guide coupled to a bathroom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7 is a view showing a guide cap shown in FIG. 26, and FIG. 28 is a view showing a cap holder coupled to the guide cap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us.

도 26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욕실관리기(100)의 상측면에는 케이블 가이드(5000)의 하단이 결합된다. 케이블 가이드(5000)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케이블 가이드(5000) 내부를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이 관통한다.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은 케이블 가이드(5000)를 관통한 후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을 통해 빠져나온다.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이 케이블 가이드(5000)의 내부를 관통한 후, 케이블 가이드(5000)의 하단을 욕실관리기(100)에 결합한다. 욕실관리기(100)의 상측면에는 케이블 가이드(5000)의 하단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5000)가 욕실관리기(100)의 상측면에 형성된 홀로 삽입된 후, 그 홀과 케이블 가이드(5000) 사이의 틈을 실리콘과 같은 실링부재로 실링함으로써, 케이블 가이드(5000)의 하단은 욕실관리기(100)에 결합될 수 있다.26 to 28, the lower end of the cable guide 50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The cable guide 5000 is formed of a hollow pipe, and the power cabl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ble guide 5000. The power cabl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passes through the cable guide 5000 and then exits through the top of the cable guide 5000. After the power cabl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cable guide 5000, the lower end of the cable guide 5000 is coupled to the bathroom manager 100. A hole into which a lower end of the cable guide 500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 After the cable guide 5000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the gap between the hole and the cable guide 5000 is sealed with a sealing member such as silic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able guide 5000 is It can be coupled to the bathroom manager 100.

이후,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에 가이드 캡(6000)을 결합한다. 가이드 캡(6000)은 상부를 형성하는 관통부(6100)와, 관통부(610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하부를 형성하는 걸림부(6200)를 포함한다. 관통부(6100)는 걸림부(6200)의 상단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걸림부(6200)는 최소한 상단이 관통부(6100)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Then, the guide cap 6000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cable guide 5000. The guide cap 6000 includes a penetrating portion 6100 forming an upper portion and a hooking portion 6200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penetrating portion 6100 to form a lower portion. The through portion 6100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ooking portion 6200 . At least the upper end of the hanging portion 620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penetrating portion 6100 .

이후, 작업자는 천장에 관통부(6100)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형성시켜 놓은 후, 천장의 하측에서 관통부(6100)를 천장에 형성된 상기 관통홀로 삽입한 후, 천장의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부(6100)에 캡 홀더(7000)를 결합함으로써,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할 수 있다. 캡 홀더(7000)를 관통부(6100)에 결합할 때에는, 천장에 설치된 환풍기를 제거한 후 남게 되는 환풍구를 통해 천장의 상측으로 손을 밀어 넣어 천장의 상측에 위치하는 관통부(6100)에 캡 홀더(7000)를 결합할 수 있다.Thereafter, the operator forms a through hole in the ceiling into which the through part 6100 is inserted, inserts the through part 6100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il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ceiling, and then inserts the through hol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By coupling the cap holder 7000 to the 6100, the upper end of the cable guide 5000 can be coupled to the ceiling. When coupling the cap holder 7000 to the penetrating part 6100, insert the cap holder into the penetrating part 610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by pushing a han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remaining after removing the ventilator installed in the ceiling. (7000) can be combined.

이와 같이, 캡 홀더(7000)가 가이드 캡(6000)에 결합되면 걸림부(6200)는 천장의 하측에 걸림되어 케이블 가이드(5000)가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캡 홀더(7000)는 천장의 상측에 걸림되어 케이블 가이드(5000)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캡 홀더(7000)가 가이드 캡(6000)에 결합된 상태이면, 캡 홀더(7000) 및 걸림부(6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7500)에 천장이 위치한다.As such, when the cap holder 7000 is coupled to the guide cap 6000, the hooking part 6200 is caught on the lower side of the ceiling to prevent the cable guide 5000 from moving upward, and the cap holder 7000 is attached to the ceiling. It is caught on the upper side to prevent the cable guide 5000 from moving downward. That is, when the cap holder 7000 is coupled to the guide cap 6000, the ceiling is located in the space 7500 spaced between the cap holder 7000 and the hanging part 6200.

관통부(6100)에는 천장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에 걸림홈(615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캡 홀더(7000)는 일측에 개구된 개구부(7100)가 형성되고, 개구부(7100)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상기 양측의 걸림홈(6150)에 삽입됨으로써, 캡 홀더(7000)는 가이드 캡(6000)의 관통부(6100)에 결합되어,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한다.Locking grooves 615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portion 610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iling,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ap holder 7000 has an opening 7100 opened on one side, and both sides of the cap holder 7000 ar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s 6150 on both sides based on the opening 7100, so that the cap holder 7000 has a guide cap. It is coupled to the through part 6100 of the 6000, and the upper end of the cable guide 5000 is coupled to the ceiling.

이와 같이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한 후, 케이블 가이드(5000)의 상단으로 빠져나온 욕실관리기(100)의 전원케이블을 환풍기의 전원케이블과 연결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coupling the upper end of the cable guide 5000 to the ceiling, the power cable of the bathroom manager 100 exiting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cable guide 500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of the ventilation fa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욕실관리기(100)는, 제1 공기토출구(14b)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으로 욕실의 바닥면을 조기에 건조시킬 수 있고, 제2 공기토출구(12a)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으로 욕실에 걸린 젖은 수건(1)과 같은 집기를 조기에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욕실에 곰팡이 및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욕실의 악취를 필터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오나이저(70)에서 발산되는 이온을 욕실내로 토출하기 때문에 살균효과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hroom manag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ry the floor of the bathroom at an early stage with warm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outlet 14b, and the second air outlet 12a Since household items such as wet towels 1 hung in the bathroom can be dried at an early stage with the warm air discharged through, it is possible to prevent mold and bacteria from inhabiting the bathroom. In addition, odors in the bathroom can be removed through the filter. In addition, since ions emitted from the ionizer 70 are discharged into the bathroom, there is also a sterilization effec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2: 아우터 케이스 12a: 제2 공기토출구
14: 이너 케이스 14a: 공기흡입구
14b: 제1 공기토출구 15: 조명기구
18: 토출그릴 22: 흡입베인
22a: 흡입베인의 회전축 23: 리플렉터
24: 제1 토출베인 24a: 제1 토출베인의 회전축
26: 제2 토출베인 26a: 제2 토출베인의 회전축
30: 덕트 31: 메인유로
32: 제1 서브유로 33: 제2 서브유로
35: 유로절환댐퍼 35a: 유로절환댐퍼의 회전축
40: 송풍팬 50: 히터
60: 필터 70: 이오나이저
80: 걸이부 90: 컨트롤러
100: 욕실관리기 150: 지지부
151: 홀 200: 제1 구동모터
201: 제1 구동모터의 회전축 202: 제1 캠
202a: 제1 경사부 203: 제2 캠
203a: 제2 경사부 300: 인체감지센서
301: 제1 기어박스 302: 제1 구동기어
303: 제1 종동기어 304: 제2 종동기어
400: 제2 구동모터 401: 제2 구동모터의 회전축
402: 제3 캠 402a: 제3 경사부
403: 제4 캠 403a: 제4 경사부
500: 구동모터 501: 구동모터의 회전축
502: 구동기어 503: 인터널기어
504: 기어박스 505: 제1 기어
506: 제2 기어 507: 제3 기어
508: 제4 기어 600: 조도센서
700: 온도센서 800: 습도센서
900: 가스센서 2000: 제1 전용홀더
3000: 제2 전용홀더 4000: 지지브래킷
4100: 메인브래킷 4200: 제1 서브브래킷
4300: 제2 서브브래킷 5000: 케이블 가이드
6000: 가이드 캡 6100: 관통부
6150: 걸림홈 6200: 걸림부
7000: 캡 홀더 7100: 개구부
12: outer case 12a: second air outlet
14: inner case 14a: air inlet
14b: first air outlet 15: lighting fixture
18: discharge grill 22: suction vane
22a: rotating shaft of suction vane 23: reflector
24: first discharge vane 24a: rotational shaft of the first discharge vane
26: second discharge vane 26a: rotational shaft of the second discharge vane
30: duct 31: main flow
32: first sub-flow path 33: second sub-flow path
35: Euro switching damper 35a: Rotational shaft of Euro switching damper
40: blowing fan 50: heater
60: filter 70: ionizer
80: hook 90: controller
100: bathroom manager 150: support
151: hall 200: first drive motor
201: rotation axis of the first drive motor 202: first cam
202a: first inclined portion 203: second cam
203a: second inclined portion 300: human body sensor
301: first gearbox 302: first drive gear
303: first driven gear 304: second driven gear
400: second drive motor 401: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drive motor
402: third cam 402a: third inclined portion
403: fourth cam 403a: fourth inclined portion
500: driving motor 501: rotational axis of the driving motor
502: drive gear 503: internal gear
504: gearbox 505: first gear
506: second gear 507: third gear
508: fourth gear 600: illuminance sensor
700: temperature sensor 800: humidity sensor
900: gas sensor 2000: first dedicated holder
3000: second dedicated holder 4000: support bracket
4100: main bracket 4200: first sub-bracket
4300: second sub-bracket 5000: cable guide
6000: guide cap 6100: penetration
6150: hooking groove 6200: hooking part
7000: cap holder 7100: opening

Claims (20)

전면에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하면에 공기를 토출하는 제2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토출되는 공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적어도 수건이 걸리는 걸이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빛을 생성하는 조명기구;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흡입베인;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2 토출베인; 및
상기 공기흡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기구가 생성한 빛에 의해 광촉매가 활성화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걸이부를 향하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베인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조명기구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베인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기구가 생성한 빛을 상기 필터로 반사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a case having an air inlet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air outlet on the lower side of the case;
a hanger coupled to the case and holding at least a towel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d air;
A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case to generate light;
a duct disposed within the case to connect the air inlet and the second air outlet;
a blowing fan installed in the duct, sucking in air through the air inlet and blowing air to the second air outlet;
a suction vane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take;
a second discharge vane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air outlet; and
A filter installed in the air inlet and activating a photocatalyst by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devic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air outlet is directed toward the hook,
The lighting fixture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The suction van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is disposed forward of the lighting device,
The bathroom manager further comprising a reflector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and reflecti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device to the fil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
욕실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조명기구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고,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상기 욕실 외부의 조도에 따라 상기 조명기구의 점등광량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human body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A light sensor that detects the light level outside the bathroom; and
A bathroom manager including a controller that turns on or off the lighting fixtures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human body sensor and adjusts the lighting amount of the lighting fixtures according to the external illuminance of the bathroom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Bathroom manager further comprising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in the duc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히터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blowing fan is a bathroom manager disposed above the hea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에 제1 공기토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공기흡입구 및 상기 제1 공기토출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air outlet is furth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h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between the air intake and the first air outl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공기흡입구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ing fixture is a bathroom manager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air intak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흡입베인의 배면에 설치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ing fixture is a bathroom manager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ction va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기구가 생성한 빛에 의해 광촉매가 활성화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bathroom manager further comprising a filter installed in the air inlet and activating a photocatalyst by light generated by the lighting devic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상기 덕트 내에 설치되는 욕실관리기.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12,
The lighting fixture is a bathroom manager installed in the du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로 이온을 발산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Bathroom manager further comprising; an ionizer installed in the duct to emit ions into the du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에 제1 공기토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덕트는 상기 공기흡입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며,
상기 송풍팬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공기토출구 및 상기 제2 공기토출구로 송풍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air outlet is furth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he duct connects the air inlet, the first air outlet, and the second air outlet,
The blowing fan sucks air through the air inlet and blows it to the first air outlet and the second air outle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개폐하는 제1 토출베인;을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5
A bathroom manag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discharge vane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discharge por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되는 메인유로;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1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제1 서브유로;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 공기토출구를 연결하는 제2 서브유로;를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duct is
a main flow path connected to the air inlet;
a first sub-passage branching from the main flow passage and connecting the first air outlet;
A bathroom manager comprising a second sub-flow path branched from the main flow path and connected to the second air outlet.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덕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서브유로 및 상기 제2 서브유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메인유로와 연통시키는 유로절환댐퍼;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7
A bathroom manager further comprising a flow path switching damper disposed in the duct and selecting one of the first sub-passage and the second sub-passage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flow passag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유로절환댐퍼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로 이온을 발산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8
Bathroom manager further comprising an ionizer installed in the flow-changing damper to emit ions into the duct.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토출구에 설치되는 토출그릴;을 더 포함하는 욕실관리기.
The method of claim 15
A bathroom manager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grill installed in the first air outlet.
KR1020160085337A 2016-07-06 2016-07-06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24887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37A KR102488773B1 (en) 2016-07-06 2016-07-06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5337A KR102488773B1 (en) 2016-07-06 2016-07-06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66A KR20180005366A (en) 2018-01-16
KR102488773B1 true KR102488773B1 (en) 2023-01-13

Family

ID=6106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337A KR102488773B1 (en) 2016-07-06 2016-07-06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7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9205A (en) * 2018-08-23 2020-10-13 台州睿鑫科技有限公司 Domestic intelligent drying towel rack and hook assembly thereof
CN108968752B (en) * 2018-08-23 2020-12-11 江西艾芬达暖通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towel rack
CN108814385B (en) * 2018-08-23 2020-10-02 台州睿鑫科技有限公司 Electric heating drying intelligent towel rack
CN109123982B (en) * 2018-08-27 2021-10-26 台州睿鑫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intelligent electric hair drier kit
KR102478518B1 (en) * 2021-08-06 2022-12-16 김현호 Towel dry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588A (en) * 1998-08-06 2000-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om drier and clothes drier using the same
JP2001238939A (en) * 2000-02-29 2001-09-04 Nippon Kobunshi Kk Air cleaner
JP2005097898A (en) * 2003-09-24 2005-04-14 Toto Ltd Toilet control unit and system toilet
US20100180462A1 (en) * 2009-01-21 2010-07-22 Christopher Adam Proskey Hold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54365C (en) * 1996-09-20 2006-05-0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Thin photocatalytic film and articles provided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1588A (en) * 1998-08-06 2000-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om drier and clothes drier using the same
JP2001238939A (en) * 2000-02-29 2001-09-04 Nippon Kobunshi Kk Air cleaner
JP2005097898A (en) * 2003-09-24 2005-04-14 Toto Ltd Toilet control unit and system toilet
US20100180462A1 (en) * 2009-01-21 2010-07-22 Christopher Adam Proskey Hold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66A (en)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438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2544917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2488773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2542121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CN108227512B (en) Bathroom management system
KR102544918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2511840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JP5936482B2 (en) Ion generator and toilet seat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KR102017129B1 (en) Sanitary Management and Health Care Devices for Companion Animal
JP6099219B2 (en) Toilet seat device incorporating an ion generator
KR102521846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JP5104121B2 (en) Hot water jetting device
KR102389874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20160073207A (en) Towel dryer
KR102521847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2484776B1 (en)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100949035B1 (en) Clothing of shoes dryer
KR20180005367A (en) Mounting mean and mounting method of bathroom management apparatus
KR200334441Y1 (en) Multi-Purpose Air-Blower
JP2007138399A (en) Floor-surface drying and deodorizing equipment of floor-standing urinal
KR200379898Y1 (en) A clean room
JP2008095414A (en) Drying and deodorizing device for floor surface of floor-mount type urinal for men
US20220186958A1 (en) Hygiene management device for entrance hall
JP2007138400A (en) Floor-surface drying and deodorizing equipment of floor-standing ur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