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024B1 -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024B1
KR102488024B1 KR1020170165006A KR20170165006A KR102488024B1 KR 102488024 B1 KR102488024 B1 KR 102488024B1 KR 1020170165006 A KR1020170165006 A KR 1020170165006A KR 20170165006 A KR20170165006 A KR 20170165006A KR 102488024 B1 KR102488024 B1 KR 10248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aft
rotation
suspension device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639A (ko
Inventor
성준호
김창준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0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 B60G2204/83022Mechanical using cables, wire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4Wheel angle detection
    • B60G2400/05142Wheel c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캠버를 제어할 수 있고, 캠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너클; 상기 너클의 하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현가장치의 프레임 부재와 타단이 연결되는 로워 컨트롤 암; 상기 너클의 상측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어퍼 암; 상기 어퍼 암의 상기 타단의 절점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휠의 캠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절점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FOR US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캠버를 조절할 수 있고, 캠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의 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현가 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배치되어,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사용하여, 차체와 휠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기동 중에 차량에 전달되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및 가속, 감속, 선회 등에 의해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서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캠버는 휠이 차량에 부착될 때 고려되는 차륜 정렬 요소 중의 하나로서, 차량의 선회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준다. 차량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휠의 중심선이 밖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정(+) 캠버이고 안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부(-) 캠버이다. 차량의 직진성과 선회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캠버는 소정 범위 내에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근,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휠의 캠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차량의 주행성 및 선회성,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가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연구 및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은 스트러트와 차체의 결합부위를 이동시켜 캠버를 가변시키는 현가 장치를 개시한다. 하기 특허문헌 2는 너클과 로워 컨트롤 암의 연결 부위 및 너클과 어시스트 링크의 연결 부위에 차량 주행 상태에 따라 유압을 공급하여 캠버 및 토우각을 조절하는 현가 장치를 개시한다. 하기 특허문헌 3은 너클과 로워 암의 연결 부위에 유압을 공급하여 캠버의 변화량을 조정할 수 있는 듀얼링크타입 현가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여전히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더욱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캠버를 조절할 수 있고, 캠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의 장착이 용이한 현가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10442 (2005년 01월 27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109965 (2008년 12월 18일)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32981 (2009년 12월 31일)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캠버를 제어할 수 있고, 캠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장치의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은 상술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일 양태에 따르면,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너클; 상기 너클의 하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현가장치의 프레임 부재와 타단이 연결되는 로워 컨트롤 암; 상기 너클의 상측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어퍼 암; 상기 어퍼 암의 상기 타단의 절점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휠의 캠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절점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어퍼 암의 상기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의 바디의 너트 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외측 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절 장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축이 상기 회전축과 동일 평면상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조절 장치 바디에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축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 풀리 및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단에 장착된 종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에 감겨있는 벨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 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단에 장착된 종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전동기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조절 장치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조절 장치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의 상기 이송체는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체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직선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중공의 실린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미리 결정된 위치를 넘어 이동되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방지 장치는, 상기 너트 홀이 개방되는 상기 바디의 일측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 스토퍼, 및 상기 고정 스토퍼가 고정되는 상기 일측 표면 측으로 상기 너트 홀을 통해서 연장되는 상기 회전축의 일 부분에 고정되는 회전 스토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스토퍼는 상기 바디의 상기 일측 표면에 형성된 장착 홈에 정합되는 장착 돌기, 상기 장착 돌기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 표면과 밀착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는 멈춤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스토퍼와 접촉되는 상기 고정 스토퍼의 상기 멈춤 돌기의 접촉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 부분에 고정되는 링(ring)부 및 상기 링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스토퍼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되는 상기 회전 스토퍼의 상기 걸림부의 접촉면은 상기 축선을 수용하는 가상의 평면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현가장치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점 높이 조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점 높이 조절 장치의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점 높이 조절 장치의 조절 장치 바디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점 높이 조절 장치의 캡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설명되는 특징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다양하게 조합되어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휠(W)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10); 상기 너클(10)의 하측단과 일단이, 예를 들어 제1 핀축(31)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현가장치의 프레임 부재(2)와 타단이, 예를 들어 제2 핀축(32)에 의해서 연결되는 로워 컨트롤 암(30); 상기 너클(10)의 상측단과 일단, 예를 들어 제1 암 부시(21)가 연결되는 어퍼 암(20); 상기 어퍼 암(20)의 상기 타단, 예를 들어 제2 암 부시(22)의 절점(P)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휠(W)의 캠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부재(2)에 장착되는 절점 높이 조절 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현가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현가장치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로워 컨트롤 암과 차체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 및 너클(10)과 차체 사이에 배치되는 쇽업소버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너클(10)과 현가장치의 프레임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어시스트 링크, 트레일링 링크 등이 더 장착될 수도 있다.
절점 높이 조절 장치(100)는, 예를 들어 리어 크로스 멤버와 같은 프레임 부재(2)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절점 높이 조절 장치(100)와 로워 컨트롤 암(30)의 제2 핀축(32) 사이의 거리는 고정된다. 절점 높이 조절 장치(100)의 액츄에이터(15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로부터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제어부(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어퍼 암(20)의 제2 연결 부시(22)와 연결부(73)(도 2 참조)의 회동가능한 연결 지점인 절점(P)의 높이를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휠(W)의 캠버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급선회시, 선회 외측 후륜을 부(-)캠버로 하여 차량의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절점 높이 조절 장치(100)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도 2의 조절 장치(100)의 하우징(120)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된고, 도 4에는, 도 3의 조절 장치(100)의 조절 장치 바디(110)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 및 도 6에는 도 2의 조절 장치(100)의 동력 전달 메커니즘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장치(100)는, 내부 공간(115)(도 5 및 도 6 참조)을 형성하는 조절 장치 바디(110), 조절 장치 바디(11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는 액츄에이터(150), 조절 장치 바디(1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하측으로 연장되는 회전축(50), 회전축(50)의 회전에 의해서 직선운동하는 이송체(70), 이송체(70)의 슬라이더(751, 752)를 가이드하기 위해서 조절 장치 바디(1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샤프트(81, 82), 내부 공간(115)에 배치되어 액츄에이터(150)의 구동축(151)의 구동력을 회전축(50)의 일단(51)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또한, 조절 장치(100)는 이송체(70)가 회전축(50)의 수나사부(52)의 양 종단부에서, 제어 오차 또는 관성에 의한 과도한 회전축(50)의 회전에 의해 잠기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 장치(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150)의 구동축(151)은 회전축(50)과 동일 평면상에서 이격된 상태이다. 만약, 종래와 같이, 구동축(151)이 회전축(50)과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적어도 액츄에이터(150)의 길이만큼 절점 높이 조절 장치의 높이가 커져 이러한 조절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차량의 프레임 주변부 샤시 구조를 재설계할 필요가 있으나, 본 개시의 현가장치는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150)의 구동축(151)이 회전축(50)과 동일 평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상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베벨 기어 등을 통해서 구성될 수도 있고, 액츄에이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축(151)과 회전축(50)이 서로 다른 평면에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되는, 벨트를 사용하는 동력 구동 메커니즘이 유용하다.
액츄에이터(150)의 구동축(151)과 회전축(50) 간의 배열 관계가 일직선이 아닌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현가장치에 이의 큰 구조 변경 없이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50)의 상측 단부(51)는 조절 장치 바디(110)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서 내부 공간(115) 안으로 돌출되어, 종동 풀리(165) 또는 종동 기어(163)에 연결될 수도 있다. 조절 장치 바디(1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외측 표면에는 수나사부(52)가 형성된다. 이 수나사부(52)는 이송체(70)의 너트홀(78)의 내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미도시)와 협력하여, 회전축(50)의 회전운동을 이송체(70)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원통형으로 형성된, 이송체(70)의 제1 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751, 752)는 각각 여기에 미끄럼 운동가능하게 삽입된 제1 가이드 샤프트 및 제2 가이드 샤프트(81, 82)를 따라서 이동된다.
또한, 이때, 이송체(70)의 연결부(73)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어퍼 암(20)의 제2 암 부시(22)도 함께 상하(도 1의 화살표 방향)로 이동된다.
본 개시의 회전 방지 장치(90, 900)는, 예를 들어, 제어부(1) 또는 관련 센서의 고장 내지 오동작으로 인해, 액츄에이터(50)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 회전되는 경우에도, 회전축(50)과 이송체(70)가 서로 잠기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체(70)가 회전축(50)을 따라서 어떤 위치를 넘어 이동되는 경우, 회전축(50)의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종래 이송 나사 장치가 갖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본 개시에 따른 현가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회전 방지 장치(90, 900)는 회전축(50)의 양단(51, 53)에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단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회전축(50)의 양단에 각각 다른 구성의 회전 스토퍼(92, 92a)가 장착될 수도 있다.
회전축(50)은 이송체(70)의 바디(71)에 형성된 너트홀(78)이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된다. 너트홀(78)이 개방되는 바디(71)의 상하 표면에는, 고정 스토퍼(91, 911)가 고정된다. 고정 스토퍼(91)(이하에서, 고정 스토퍼(911)도 유사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됨)는 바디(71)의 표면에 형성되는 장착홈(72)에 삽입되는 장착 돌기(93), 장착 돌기(93)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94), 및 플랜지부(94)로부터 회전축(50)의 축선을 따라서 돌출되는 멈춤 돌기(95)를 포함한다.
고정 스토퍼(91)는 플랜지부(94)를 통해서 체결되는 나사(96)에 의해서 바디(7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멈춤 돌기(95)의 높이가 다른 복수의 고정 스토퍼(91)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체(70)의 이동 구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멈춤 돌기(95)의 높이가 크면 클 수록 멈춤 돌기(95)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송체(70)가 이동할 수 있는 구간이 단축될 수 있다.
고정 스토퍼(91)의 멈춤 돌기(95)의 접촉면(952, 도 4 참조)은 회전축(50)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술되는 회전 스토퍼(92)의 걸림부(98)의 접촉면(982)은 회전축(50)의 축선을 수용하는 가상 평면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멈춤 돌기(95)의 접촉면(952)은 회전축(50)의 축선(500)을 수용하는 가상 평면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 스토퍼(92)의 걸림부(98)의 접촉면(982)은 회전축(50)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양 접촉면(952, 982)이 축선을 수용하는 가상 평면의 일부로서 형성되지 않으나, 서로 접촉하여 형성되는 접촉면이 회전축(50)의 축선에 평행한 가상의 평면의 일부가 되도록 멈춤 돌기(95)와 걸림부(98)가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고정 스토퍼(91)의 접촉면(952)과 회전 스토퍼(92)의 접촉면(982)의 구성에 의하면, 양 접촉면(952, 982) 사이에서 이송체(70)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면의 접촉이 없고, 회전축(50)의 회전 방향으로도 양 접촉면의 접촉면이 회전축에 평행한 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양 접촉면(952, 982) 사이에서 잠김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회전축(50)의 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회전축(50)의 수나사부(52)가 이송체(70)의 암사부(76)에 힘을 가하지 못하고, 따라서 이들 사이에서 잠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 방지 장치가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회전축의 수나사부가 이동체의 암나사부에 힘을 가하지 못하여, 이들 사이에서 잠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 방지 장치의 회전 스토퍼와 고정 스토퍼 사이에서 회전축의 축선에 대해 경사진 면에 의한 접촉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잠김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캠버가 안정되게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조절 장치(100)는 회전축(50), 이송체(70) 및 가이드 샤프트(81, 82)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12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20)의 상측은 조절 장치 바디(110)의 하측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일측 벽에는 이송체(70)의 연결부(73)를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125)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125)에는 벨로우즈(미도시)가 마련되어, 개구를 통한 하우징(120)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외측에는, 예를 들어 현가장치의 프레임 부재에 대한 연결을 위한 플랜지부(129)가 마련될 수도 있다.
조절 장치 바디(110)의 상측에는 내부공간(115) 및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커버할 수 있는 캡(130)이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액츄에이터(150)의 구동축(151)에 장착된 구동 풀리(164) 및 회전축(50)의 상측 일단(51)에 장착된 종동 풀리(165) 및 구동 풀리(164)와 종동 풀리(165)에 감겨있는 벨트(166)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액츄에이터(150)의 구동축(151)에 장착된 구동 기어(161) 및 회전축(50)의 상측 단부(51)에 장착된 종동 기어(163) 및 구동 기어(161)와 상기 종동 기어(163)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전동기어(16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현가장치에 의하면, 기존 프레임 주변부 샤시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절점 높이 조절 장치의 장착이 가능해지고, 제어상의 오류 또는 관성에 의해서 절점이 미리정해진 범위를 벗어나게 이동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아울러, 나사이송장치의 잠김 현상이 방지되므로, 잠김을 대비하여 실제 요구되는 토크보다 더 큰 토크를 발생할 수 있는 큰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실제 요구되는 토크를 발생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 의해서 일부 구성이 용이하게 변경 내지 수정 또는 균등한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하여 만들어지는 형태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 너클
100 절점 높이 조절 장치
110 조절 장치 바디
120 하우징
125 개구
130 캡
20 어퍼 암
21, 22 암 부시
30 로워 컨트롤 암
31, 32 핀 축
50 회전축
51 상측 단부
52 수나사부
53 하측 단부
70 이송체
73 연결부
751, 752 슬라이더
81, 82 가이드 샤프트
90, 900 회전 방지 장치
91, 911 고정 스토퍼
92, 921 회전 스토퍼

Claims (16)

  1.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너클;
    상기 너클의 하측단과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현가장치의 프레임 부재와 타단이 연결되는 로워 컨트롤 암;
    상기 너클의 상측단과 일단이 연결되는 어퍼 암;
    상기 어퍼 암의 상기 타단의 절점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휠의 캠버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상기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절점 높이 조절 장치를 포함하,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어퍼 암의 상기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의 바디의 너트 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외측 표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절 장치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축이 상기 회전축과 동일 평면상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조절 장치 바디에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되는, 차량용 현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축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가 배치되는, 차량용 현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 풀리 및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단에 장착된 종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에 감겨있는 벨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구동축에 장착된 구동 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단에 장착된 종동 기어 및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와 맞물리게 배치되는 전동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메커니즘은 상기 조절 장치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조절 장치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현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의 상기 이송체는 슬라이더를 구비하여, 상기 이송체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중공의 실린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점 높이 조절 장치는 상기 이송체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서 미리 결정된 위치를 넘어 이동되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장치는, 상기 너트 홀이 개방되는 상기 바디의 일측 표면에 고정되는 고정 스토퍼, 및 상기 고정 스토퍼가 고정되는 상기 일측 표면 측으로 상기 너트 홀을 통해서 연장되는 상기 회전축의 일 부분에 고정되는 회전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토퍼는 상기 바디의 상기 일측 표면에 형성된 장착 홈에 정합되는 장착 돌기, 상기 장착 돌기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 표면과 밀착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는 멈춤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토퍼와 접촉되는 상기 고정 스토퍼의 상기 멈춤 돌기의 접촉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현가 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회전축의 상기 일 부분에 고정되는 링(ring)부 및 상기 링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토퍼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되는 상기 회전 스토퍼의 상기 걸림부의 접촉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선을 수용하는 가상의 평면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차량용 현가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현가장치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인, 차량용 현가장치.
KR1020170165006A 2017-12-04 2017-12-04 차량용 현가장치 KR10248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06A KR102488024B1 (ko) 2017-12-04 2017-12-04 차량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06A KR102488024B1 (ko) 2017-12-04 2017-12-04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39A KR20190065639A (ko) 2019-06-12
KR102488024B1 true KR102488024B1 (ko) 2023-01-13

Family

ID=6684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006A KR102488024B1 (ko) 2017-12-04 2017-12-04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66795A1 (en) * 2017-01-19 2023-06-01 Doftek Pty Ltd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518U (ko) * 1996-08-27 1998-06-05 박병재 차량용 듀얼 링크식 리어 서스펜션의 캠버각 조정장치
KR100527721B1 (ko) 2003-07-21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캠버 능동 제어 현가장치
KR20070079739A (ko) * 2006-02-03 2007-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의 액튜에이터 구조
KR20080109965A (ko) 2007-06-14 2008-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
KR20090132981A (ko) 2008-06-23 2009-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캠버가변장치
KR20100064207A (ko) * 2008-12-04 2010-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KR20110058462A (ko) * 2009-11-26 2011-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120064539A (ko) * 2010-12-09 2012-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제어 서스펜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66795A1 (en) * 2017-01-19 2023-06-01 Doftek Pty Ltd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US12084110B2 (en) * 2017-01-19 2024-09-10 Doftek Pty Ltd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39A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090B2 (en) Inverted tricycle
US10836425B2 (en) Wheel steering system
US6776426B2 (en) Suspension device permitting camber
KR101361287B1 (ko) 차량용 서스펜션 암 연결 장치
KR101283231B1 (ko) 회전조인트를 갖는 ctba
JP4966273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10689031B2 (en) Passive steering for tilting vehicle
EP2969604B1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080089609A (ko) 자동차용 휠 서스펜션
JP2009226972A (ja) ジオメトリ可変装置
US10744833B2 (en) Independent suspension
KR102488024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2010052583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20064539A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장치
KR20220068549A (ko) 독립 현가 시스템
CN105365510A (zh) 车辆悬架
CN202623827U (zh) 一种车轮外倾角可调的麦弗逊式前悬挂系统
JP5724808B2 (ja) キャンバ角調整装置
KR102224004B1 (ko) 지오메트리 가변 능동 현가장치
KR100993355B1 (ko) 현가장치용 토우 조정유닛
JP5056235B2 (ja) 車両用副操舵輪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406077B1 (ko) 차량의 ctba
WO2018015942A1 (en) Vehicle wheel knuckle configuration
KR101219564B1 (ko) 바퀴의 정렬을 변경할 수 있는 서스펜션 너클
KR100461427B1 (ko) 차량용 맥퍼슨 현가장치의 캐스터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