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388B1 -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388B1
KR102487388B1 KR1020220041453A KR20220041453A KR102487388B1 KR 102487388 B1 KR102487388 B1 KR 102487388B1 KR 1020220041453 A KR1020220041453 A KR 1020220041453A KR 20220041453 A KR20220041453 A KR 20220041453A KR 102487388 B1 KR102487388 B1 KR 102487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processing
sealing groo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플랜트
Priority to KR102022004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05Y2900/6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압력 조건(진공 상태 포함)에서 살균이나 약품처리 등의 프로세스가 특정 처리 공간 내에서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처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순간에 발생하는 급격한 압력 변화를 최소화시켜 에너지 손실 없이 연속적인 정밀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도 향상된 실링 기능에 의해 처리 공간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물품 처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and preservation of goods}
본 발명은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압력 조건(진공 상태 포함)에서 살균이나 약품처리 등의 프로세스가 특정 처리 공간 내에서 진행되는 경우에, 상기 처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순간에 발생하는 급격한 압력 변화를 최소화시켜 에너지 손실 없이 연속적인 정밀 처리를 가능하게 하고,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도 향상된 실링 기능에 의해 처리 공간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물품 처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물품 가공 및 보전 처리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투여되거나 접촉되는 약물이나 화장품의 경우 철저한 위생성이 담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의 살균이나 약품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살균이나 약품처리 프로세스는 약물이나 화장품이 수용된 복수의 병들을 트레이에 올려 놓은 후, 그 트레이를 살균 처리용 탱크의 내부 공간에 이송시킨 다음, 상기 내부 공간의 압력(ex.진공)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특정 약품을 상기 병들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물품 가공 및 보전 처리용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장치에 마련된 살균 처리용 탱크는 외부에 위치된 복수의 약품병들이 수용된 트레이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폐도어는 보통 회전식 여닫이 구조가 채택됨에 따라, 개방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의 살균 처리용 탱크 내부 공간으로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나, 트레이 유입 이후 닫히는 경우에 상기 탱크의 외면에 압력을 가함은 물론,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의 폭을 반지름으로 하는 회전동작에 의해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외부 공기를 탱크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내부 압력의 변화를 초래하고, 상기 트레이에 수용된 병들을 쓰러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개폐도어가 열리는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탱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내부 압력의 변화를 초래하고, 닫힘 상태에서 요구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에도 실링력이 약하여 누설에 따른 압력 변화를 초래하여, 결국 살균이나 약품 처리의 정밀성을 저해함은 물론,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6-000672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살균이나 약품처리 등의 프로세스가 특정 처리 공간 내에서 진행되는 경우에, 처리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열림 및 닫힘시의 압력 변화를 최소화시켜 에너지 손실 없이 연속적인 정밀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를 제공하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요구되는 프로세스 진행 동안에 향상된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물품 가공 및 보전 처리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는 외부에 위치된 물품의 가공이나 보존 처리를 위해 그 물품을 내부 처리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유입구를 한정하는 것으로, 그 유입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를 개방시키는 동작시에 상기 내부 처리공간의 압력 변화를 억제하고 그 유입구를 폐쇄시키는 동작시에 상기 플랜지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부는, 상기 개폐도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유입구를 감싸는 트랙 형태로 형성된 제1실링홈부와 그 제1실링홈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실링홈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은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제1실링홈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탄성을 가진 제1실링부재; 및 상기 제2실링홈부에 헐거운 상태로 삽입되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에어 작용에 의해 그 제2실링홈부 내에서 이동되는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여서, 제1실링부재 및 제2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부와 개폐도어 간의 밀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 유입구의 폐쇄상태에서 개방이 요구됨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의 상승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와 개폐도어 간의 밀착 상태를 해제시켜 원활한 상승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유입구의 개방상태에서 폐쇄가 요구됨에 따라 개폐도어의 하강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를 개폐도어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원활한 하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실링홈부는, 상기 에어 작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된 공압 펌프와 소통되는 에어 소통구를 포함하고, 본 발명은 상기 에어 소통구와 공압 펌프를 소통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소통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2실링홈부를 한정하는 일면과 그 제2실링홈부에 삽입된 제2실링부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상기 에어 흡인에 의한 제2실링부재의 가압으로 수축되고 반대로 상기 에어 블로윙에 의한 제2실링부재의 개폐도어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실링홈부의 트랙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코일링된 코일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도어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전면과 후면을 제외한 4개의 측면 중 3면에 대향 배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직교하는 각도로 그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단차진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승강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동력원인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그 이송스크류에 연결되는 승강바; 및 상기 개폐도어에 결합되어서 그 개폐도어와 함께 승강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바를 통해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승강바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라켓의 연직 상측에 배치된 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개폐도어와 함께 상승되는 도중에 상기 핀 수용부에 삽입되는 위치정렬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는, 약품이나 화장품과 같이 인체에 직접 작용되는 물품이 담기는 병이나 용기 를 케이스의 내부 처리공간 내에서 살균이나 약품처리 등을 하는 경우에, 내부 처리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의 열림 과정에서 기존의 여닫이식 회전 방식에 의해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내부 처리공간과 외부 공간을 소통시키는 유입구를 점진적으로 조금씩 확대 개방시킴으로써, 급격한 내부 압력 변화를 초래하지 않게 하고, 마찬가지 원리로 개폐도어 열림 상태에서 개폐도어의 닫힘 상태로 이르는 과정에서 기존의 여닫이식 회전 방식에 채용된 개폐도어가 케이스에 충격을 가함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급견한 내부 압력 변화를 초래하는 것과는 달리, 케이스에 대해 하강하면서 유입구를 점직적으로 조금씩 폐쇄시킴으로써 진동유발 및 급격한 압력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의 일부 구성인 개폐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개폐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Ⅲ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Ⅳ부분 확대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도 6의 Ⅶ부분 확대도.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의 일부 구성인 개폐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개폐도어의 닫힘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이며, 도 7은 도 6의 Ⅶ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는 약품이나 화장품과 같이 위생성이 매우 높게 요구되는 물품들을 소비자의 구매 이전에 요구되는 위생조건에 부합되게 할 수 있도록, 일정 압력과 온도 조건에서 살균이나 약품처리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 위치된 물품의 가공이나 보존 처리를 위한 내부 처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 처리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도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는 내부 처리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내압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약병이나 화장품 용기를 상기 내부 처리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유입구(11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11)는 상기 본체부의 유입구(112)를 한정하는 것으로, 그 유입구(1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개폐도어(2)는 상기 케이스(1) 본체부의 유입구(1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의 플랜지부(11)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에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유입구(112)를 개방시키는 동작시에 상기 내부 처리공간의 압력 변화를 억제하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그 유입구(112)를 폐쇄시키는 동작시에 상기 플랜지부(11)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는, 약품이나 화장품과 같이 인체에 직접 작용되는 물품이 담기는 병이나 용기 를 케이스(1)의 내부 처리공간 내에서 살균이나 약품처리 등을 하는 경우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내부 처리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2)의 열림 과정에서 기존의 여닫이식 회전 방식에 의해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내부 처리공간과 외부 공간을 소통시키는 유입구(112)를 점진적으로 조금씩 확대 개방시킴으로써, 급격한 내부 압력 변화를 초래하지 않게 하고, 마찬가지 원리로 개폐도어(2) 열림 상태(도 5 및 도 6 참조)에서 개폐도어(2)의 닫힘 상태(도 1 및 도 2 참조)로 이르는 과정에서 기존의 여닫이식 회전 방식에 채용된 개폐도어(2)가 케이스(1)에 충격을 가함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급견한 내부 압력 변화를 초래하는 것과는 달리, 케이스(1)에 대해 하강하면서 유입구(112)를 점직적으로 조금씩 폐쇄시킴으로써 진동유발 및 급격한 압력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요구되는 프로세스 진행 동안에 향상된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채택되었다.
즉, 상기 케이스(1)의 플랜지부(11)는, 상기 개폐도어(2)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유입구(112)를 감싸는 트랙 형태로 형성된 제1실링홈부(11a)와 그 제1실링홈부(11a)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실링홈부(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이중 실링을 위한 구조가 채택되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실링홈부(11a)에 결합되는 제1실링부재(41)와 제2실링홈부(11b)에 결합되는 제2실링부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실링부재(41)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제1실링홈부(11a)에 억지끼움 결합된다. 상기 제2실링부재(42)는 상기 제2실링홈부(11b)에 헐거운 상태로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에어 작용에 의해 그 제2실링홈부(11b) 내에서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단순히 개수를 늘려 실링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제1실링부재(41)는 기존 방식과 마찬가지로 제1실링홈부(11a)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제2실링부재(42)는 기존 방식과는 달리 제2실링홈부(11b)에 헐겁게 끼워져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에어 작용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제1실링부재(41) 및 제2실링부재(42)에 의해 상기 케이스(1)의 플랜지부(11)와 개폐도어(2) 간의 밀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 유입구(112)의 폐쇄상태에서 개방이 요구됨에 따라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개폐도어(2)의 상승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6의 확대부분에 해당하는 도 7과 같이 상기 제2실링부재(42)와 개폐도어(2) 간의 밀착 상태를 해제시켜 원활한 상승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유입구(112)의 개방상태에서 폐쇄가 요구됨에 따라 개폐도어(2)의 하강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42)를 개폐도어(2)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원활한 하강을 가능하게 하며, 도 1 및 도 2와 같이 개폐도어(2)의 닫힘 상태에서 요구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도 2의 확대부분인 도 3과 같이 에어 작용에 의해 상기 제2실링부재(42)를 개폐도어(2) 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실링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채용된 제2실링홈부(11b)는, 상기 에어 작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1)의 외측에 배치된 공압 펌프와 소통되는 에어 소통구(111)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는 이러한 에어 소통구(111)와 공압 펌프를 소통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소통관(3)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상기 제2실링홈부(11b)를 한정하는 일면과 그 제2실링홈부(11b)에 삽입된 제2실링부재(4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스페이서(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페이서(6)는 나선형으로 코일링된 스프링과 같이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도 7과 같이 상기 에어 흡인에 의한 제2실링부재(42)의 가압으로 수축되고 반대로 도 3과 같이 상기 에어 블로윙에 의한 제2실링부재(42)의 개폐도어(2)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스페이서(6)가 제2실링홈부(11b)에 배치됨으로써 에어 작용이 없는 경우에도 제2실링부재(42)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서 개폐도어(2)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개폐도어(2)의 열림 및 닫힘 과정에서 그 개폐도어(2)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추가적인 실링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에어 작용에 의해서 더욱 큰 실링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스페이서(6)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실링홈부(11b)의 트랙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코일링된 코일부재가 채용되었다.
본 실시예는 상기 개폐도어(2)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 가이드(12)는 상기 케이스(1)의 플랜지부(11)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2)의 전면과 후면을 제외한 4개의 측면 중 3면에 대향 배치되는 결합부(12a)와, 상기 결합부(12a)와 직교하는 각도로 그 결합부(12a)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폐도어(2)의 단차진 부분(21)을 커버하는 커버부(12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개폐도어(2)의 승강 동작시에 케이스(1)로부터 임의로 크게 이격되지 않고 최초 설계시 발생하는 부품 공차 수준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승강 동작의 정밀성과 원활함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개폐도어(2)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동력원인 모터(51)와 이송스크류(52)와 승강바(53)와 브라켓(54)이 채택되었다.
상기 이송스크류(52)는 상기 모터(51)의 구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하고, 상기 승강바(53)는 상기 이송스크류(52)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서 이송스크류(52)의 회전에 따라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브라켓(54)은 상기 개폐도어(2)에 결합되어서 그 개폐도어(2)와 함께 승강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바(53)에 연결되어서 그 승강바(53)를 통해 개폐도어(2)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하나의 모터(51)와 하나의 이송스크류(52)에 의해 한 쌍의 승강바(53)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구성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케이스(1)는 도 6의 확대부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4)의 연직 상측에 배치된 핀 수용부(13)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54)은 상기 개폐도어(2)와 함께 상승되는 도중에 상기 핀 수용부(13)에 삽입되는 위치정렬핀(54a)을 포함하여서, 개폐도어(2)의 상승시 그 최대 상승 위치를 가이드하고 개폐도어(2)의 개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케이스 내에 약품이나 화장품 등을 수용하는 병 또는 용기를 살균하는 용도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동결건조기와 같이 케이스 내에 제품을 수용시켜서 일정한 압력과 온도 조건에서 가공 또는 보존 처리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케이스 11:플랜지부
11a:제1실링홈부 11b:제2실링홈부
111:에어 소통구 112:유입구
12:승강 가이드 12a:결합부
12b:커버부 13:핀 수용부
2:개폐도어 21:단차진 부분
3:소통관 41:제1실링부재
42:제2실링부재 51:모터
52:이송스크류 53:승강바
54:브라켓 54a:위치정렬핀
6:스페이서

Claims (8)

  1. 외부에 위치된 물품의 가공이나 보존 처리를 위해 그 물품을 내부 처리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하는 유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유입구를 한정하는 것으로, 그 유입구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를 개방시키는 동작시에 상기 내부 처리공간의 압력 변화를 억제하고 그 유입구를 폐쇄시키는 동작시에 상기 플랜지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부는, 상기 개폐도어와 대향하는 면에 상기 유입구를 감싸는 트랙 형태로 형성된 제1실링홈부와 그 제1실링홈부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실링홈부를 포함하고, 일부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제1실링홈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탄성을 가진 제1실링부재; 및 상기 제2실링홈부에 헐거운 상태로 삽입되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에어 작용에 의해 그 제2실링홈부 내에서 이동되는 제2실링부재;를 포함하여서, 제1실링부재 및 제2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부와 개폐도어 간의 밀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 유입구의 폐쇄상태에서 개방이 요구됨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의 상승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와 개폐도어 간의 밀착 상태를 해제시켜 원활한 상승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유입구의 개방상태에서 폐쇄가 요구됨에 따라 개폐도어의 하강 동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를 개폐도어와 접촉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시켜 원활한 하강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실링홈부를 한정하는 일면과 그 제2실링홈부에 삽입된 제2실링부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서, 에어 흡인에 의한 제2실링부재의 가압으로 수축되고 반대로 에어 블로윙에 의한 제2실링부재의 개폐도어 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홈부는, 상기 에어 작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된 공압 펌프와 소통되는 에어 소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소통구와 공압 펌프를 소통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소통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실링홈부의 트랙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코일링된 코일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의 승강 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플랜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전면과 후면을 제외한 4개의 측면 중 3면에 대향 배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직교하는 각도로 그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개폐도어의 단차진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승강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동력원인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그 이송스크류에 연결되는 승강바; 및
    상기 개폐도어에 결합되어서 그 개폐도어와 함께 승강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바를 통해 개폐도어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승강바에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브라켓의 연직 상측에 배치된 핀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개폐도어와 함께 상승되는 도중에 상기 핀 수용부에 삽입되는 위치정렬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KR1020220041453A 2022-04-04 2022-04-04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KR10248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53A KR102487388B1 (ko) 2022-04-04 2022-04-04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53A KR102487388B1 (ko) 2022-04-04 2022-04-04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388B1 true KR102487388B1 (ko) 2023-01-11

Family

ID=8489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453A KR102487388B1 (ko) 2022-04-04 2022-04-04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3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25A (ko) 1994-07-12 1996-02-23 나이토 하루오 물약병과 같은 밀봉용기의 멸균방법 및 멸균장치
JP2001212212A (ja) * 2000-02-02 2001-08-07 Chiyoda Manufacturing Co Ltd 滅菌器
KR20050080685A (ko) * 2004-02-10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JP2007145424A (ja) * 2005-11-02 2007-06-14 Miura Co Ltd 密閉容器とこれを備える食品機械および蒸気滅菌機
KR101452341B1 (ko) * 2013-05-28 2014-10-23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기판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725A (ko) 1994-07-12 1996-02-23 나이토 하루오 물약병과 같은 밀봉용기의 멸균방법 및 멸균장치
JP2001212212A (ja) * 2000-02-02 2001-08-07 Chiyoda Manufacturing Co Ltd 滅菌器
KR20050080685A (ko) * 2004-02-10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JP2007145424A (ja) * 2005-11-02 2007-06-14 Miura Co Ltd 密閉容器とこれを備える食品機械および蒸気滅菌機
KR101452341B1 (ko) * 2013-05-28 2014-10-23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기판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87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eptically filling a container
US20190185191A1 (en) Controlled non-classified filling device and method
CN110384407A (zh) 食物储存器和烹饪器皿
KR102487388B1 (ko) 물품 가공 및 보존 처리용 장치
CN110436027B (zh) 一种用于存储生物样本的系统
CA2365828A1 (en) Cassette for vacuum and steam sterilization apparatus
NZ524535A (en) Self-sealing valve
CN104441579B (zh) 用于使塑料型胚成形的具有洁净室的装置
US20150004076A1 (en) Medical seal and medical sterilizing container
NL9100393A (nl) Klep, klepsamenstel alsmede vulinrichting.
ITMO950120A1 (it) Impianto di imbottigliamento asettico in continuo
WO2007060705A1 (en) Apparatus for applying sleeve labels comprised of heat-shrinkable plastic material
EP1048608A1 (en) Continuous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terilization of bottled drinks
CN102672943A (zh) 吹塑模具锁定在洁净室中的吹塑机
CN111787796B (zh) 用于保存角膜标本的盘盒形式的医疗设备
US20120076883A1 (en) Sterile De-Molding Apparatus and Method
ITPR20070051A1 (it) Valvola di riempimento per una macchina riempitrice
CN104080484A (zh) 消毒器
CN113136317B (zh) 一种用于微生物检测的微生物培养箱
NL2030239B1 (en) Device and method for freeze-drying liquid-containing composition
NL2030240B1 (en) Device and method for freeze-drying liquid-containing composition
NL2030242B1 (en) Device and method for freeze-drying liquid-containing composition
NL2030238B1 (en) Device and method for freeze-drying liquid-containing composition
CN102270565A (zh) 基板处理装置
CN106742940B (zh) 医疗废物回收与暂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