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323B1 -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및 청력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및 청력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323B1
KR102487323B1 KR1020210005084A KR20210005084A KR102487323B1 KR 102487323 B1 KR102487323 B1 KR 102487323B1 KR 1020210005084 A KR1020210005084 A KR 1020210005084A KR 20210005084 A KR20210005084 A KR 20210005084A KR 102487323 B1 KR102487323 B1 KR 10248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level
user
hearing test
stimulus
s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763A (ko
Inventor
서재현
한우재
오용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32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eur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Neuro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검사장치가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제1 청각 검사를 하되, 설정된 특정 소음 레벨에서 임의의 제1 자극음들을 차례대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1 소음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가 임의의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하여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청각 검사를 하되, 상기 제2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2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2 소음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장치가 상기 제1 소음 레벨과 상기 제2 소음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청각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및 청력 검사 장치{HEARING TEST METHOD BASED ON HYBRID DIGITS-IN-NOISE AND HEARING TEST APPARATUS}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소음환경에서 숫자를 이용한 청각 검사 기법이다.
난청은 크게 감쇄 요소와 왜곡 요소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왜곡 요소는 감각신경성 난청에서 소리의 명료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말초 감각기관과 함께 청각중추의 손상에 기인한다. 왜곡 요소는 소음 상황에서 더 심각한 난청을 유발한다. 왜곡 요소를 고려한 청각 측정은 소음환경에서의 어음청각검사가 대표적이다.
소음환경에서의 어음청각검사는 문장(sentence in noise)이나 단어(word in noise)를 이용하는 검사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국외에서는 다화자 잡음 환경에서의 HINT(hearing in noise test), SPIN(speech perception in noise) 등의 문장을 활용한 검사도구가 개발되었고, 국내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활용한 K-HINT, K-SPIN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소음하 문장검사들은 검사 시간이 다소 길고, 국문으로 번역 및 표준화 과정에서도 제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하여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인 DIN(digits-in-noise) 검사는 0 ~ 9 사이의 숫자를 이용한 청각검사이다. 종래 DIN 검사는 고정적 자극법(method of constant stimuli) 또는 적응적 자극법(method of progressive adaptive stimuli) 기반이다.
미국공개특허 US 2019-0069811호
DIN 검사는 교육 수준이나 연령에 관계없이 친숙한 숫자를 사용하여 난청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고정적 자극법은 모든 자극 레벨에 대한 실험자의 응답을 얻을 수 있어 정확한 임계값(threshold) 추정이 가능하지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반대로 적응적 자극법은 빠른 시간내에 임계값 추정이 가능하지만 오차값이 크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고정적 자극법과 적응적 자극법의 요소를 모두 활용한 새로운 DIN 검사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은 검사장치가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제1 청각 검사를 하되, 설정된 특정 소음 레벨에서 임의의 제1 자극음들을 차례대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가 상기 제1 청각 검사 과정에서 상기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1 소음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가 임의의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하여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청각 검사를 하되, 상기 제2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가 상기 제2 청각 검사 과정에서 상기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2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2 소음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장치가 상기 제1 소음 레벨과 상기 제2 소음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청각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장치는 숫자에 대한 발성음인 자극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상기 출력되는 자극음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특정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1 소음 레벨을 결정하고, 임의의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하여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상기 제2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2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2 소음 레벨을 결정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정확하면서도 빠른 청각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개인 단말 기기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여 개인이 쉽게 청각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DIN 검사를 이용한 난청 조기 진단 및 재활을 통하여 난청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하이브리드 DIN 기반의 청력 검사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도 2는 청력 검사 장치의 화면에 대한 예이다.
도 3은 하이브리드 DIN 기반의 청력 검사 전체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4는 고정 소음 레벨에서의 제1 청력 검사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5는 고정 소음 레벨에서의 제1 청력 검사 과정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6은 가변 소음 레벨에서의 제2 청력 검사 과정에 대한 예이다.
도 7은 청력 검사 장치에 대한 예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DIN 기반의 청력 검사 기법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고정적 자극법과 적응적 자극법을 혼용하는 하이브리드 DIN 기법에 해당한다.
도 1은 하이브리드 DIN 기반의 청력 검사 시스템에 대한 예이다.
도 1(A)는 하이브리드 DIN 기반의 청력 검사 시스템(100)에 대한 예이다. 도 1(A)는 사용자 단말(110)이 청력 검사 장치인 예이다. 사용자 단말은 특정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장이다. 사용자 단말은 PC, 노트북, 스마트기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A)는 청각 피검사자이다. 사용자(A)는 사용자 단말(110)을 이용하여 난청 정도를 검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청각 검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일정한 배경 소음하에 임의의 숫자인 자극음을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다양한 소음 종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소음 종류는 환경음, 말소리 등 다양할 수 있다. 소음 종류는 백색 소음, 다화자 소음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A)가 정답으로 인식한 숫자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배경 소음의 레벨을 변경하면서 자극음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은 청감 검사 과정은 후술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최종 검사 결과를 의료 기관(B)이나 다른 기관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B)는 하이브리드 DIN 기반의 청력 검사 시스템(200)에 대한 다른 예이다. 청력 검사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210) 및 서비스 서버(2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10)은 사용자에게 청력 검사를 위한 콘텐츠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210)은 이를 위한 특정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PC, 노트북, 스마트기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220)는 청력 검사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220)는 임의의 숫자와 배경 잡음의 레벨을 사용자 단말(21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서비스 서버(22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준으로 일정한 배경 소음하에서 임의의 숫자인 자극음을 출력하고, 사용자 (A)로부터 정답으로 인식한 숫자를 입력받는다. 사용자 단말(210)은 서비스 서버(22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기준으로 배경 잡음의 종류 및 잡음의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소음 종류는 생활 잡음, 말소리 등 다양할 수 있다. 소음 종류는 백색 소음, 핑크 소음 등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사용자 응답을 서비스 서버(22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20)는 사용자 응답을 기준으로 사용자(A)의 청각 수준(난청 정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20)는 검사 결과를 사용자 단말(210)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220)는 검사 결과를 의료 기관(B)이나 다른 기관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청력 검사 장치의 화면에 대한 예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110, 210)의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예이다.
사용자 단말(110, 210)은 임의의 숫자를 자극음으로 출력한다. 자극음은 한자리 이상의 숫자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10, 210)은 "314 ('삼 ', '일', '사')"와 같은 자극음을 출력할 수 있다. 청각 검사는 한쪽 귀 또는 양쪽 귀를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A)는 사용자 단말(110, 2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헤드셋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 상부는 인터페이스 화면 (S)에 대한 예이다. 인터페이스 화면 (S)에는 자극음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A)는 사용자 단말(110, 210)에 연결된 물리적인 인터페이스(키보드, 숫자판 등)를 통해 자극음에 대한 응답을 입력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A)는 사용자 단말(110, 210)의 화면에 출력되는 가상 자판을 클릭하거나, 터치하여 자극음에 대한 응답을 입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화면 (S)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가 출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화면 (S)에는 사용자 식별자(ID), 검사 대상의 귀(Ear: 왼쪽, 오른쪽 또는 양쪽), 검사 반복 횟수(trial) 및 배경 소음 레벨(SNR)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하이브리드 DIN 기반의 청력 검사 전체 과정(300)에 대한 예이다. 청력 검사 장치는 청력 검사를 위한 환경을 설정한다(310). 예컨대, 청력 검사 장치는 배경 소음의 종류, 배경 소음의 초기 레벨(강도), 검사 반복 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사용자 또는 전문가(의료진)가 사전에 설정한 초기 설정을 이용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진단 정보를 입력받고, 진단 정보를 기준으로 초기 환경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청각에 장애가 있다면, 청력 검사 장치는 해당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장애를 고려하여 배경 소음의 레벨을 설정할 수도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먼저 고정 소음하에서 복수의 자극음을 출력하고, 복수의 자극음을 기준으로 일정한 기준값 이상의 정반응율을 보이는 제1 소음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320). 제1 소음 레벨은 복수의 자극음 전체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기준값 이상의 정반응율을 보이는 소음 레벨이다.
고정 소음하에 청력을 검사하는 과정(320)은 피검사자가 정상인에 비하여 소음하에 자극음을 잘 인지하는지 또는 인지하지 못하는지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청력 검사 장치는 가변 소음하에 복수의 자극음 각각에 대하여 일정한 기준값 이상의 정반응율을 보이는 제2 소음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330). 즉, 청력 검사 장치는 복수의 자극음 각각에 대하여 제2 소음 레벨을 결정한다. 제2 소음 레벨은 하나의 자극음별로 사용자가 기준값 이상의 정반응율을 보이는 소음 레벨이다. 자극음들이 10개라면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제2 소음 레벨들을 결정한다. 10개의 제2 소음 레벨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가변 소음하에 청력을 검사하는 과정(330)은 자극음인 숫자별로 어떤 숫자는 더 높은 dB SNR을 제2 소음 레벨을 결정하고, 어떤 숫자는 보다 낮은 dB SNR을 제2 소음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소음하에 청력을 검사하는 과정(330)은 주파수가 다른 숫자별에 따라 청력 검사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듣기 어려워하는 숫자를 기준으로 음향항적 주파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제1 소음 레벨과 제2 소음 레벨(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청각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340). 청력 검사 장치는 사용자의 난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고정 소음 레벨에서의 제1 청력 검사 과정(400)에 대한 예이다. 도 4는 도 3의 320 과정에 대한 예이다. 제1 청력 검사 과정(400)은 전체 자극음을 대상으로 정반응율이 기준값 이상인 소음 레벨을 찾는 과정이다. 도 4는 기준값을 50%로 설정한 예로 설명하였다.
청력 검사 장치는 초기에 사용할 특정 소음 레벨을 설정한다(410).
청력 검사 장치는 설정된 소음 레벨의 소음하에서 복수의 자극음을 차례대로 출력한다(420). 도 4는 10개의 자극음을 사용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하나의 자극음은 한 자리 이상의 숫자 발음이다. 예컨대, 자극음은 3자리 숫자일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가능한 숫자 중 임의의 숫자를 선택하여 자극음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되는 자극음에 대한 응답을 입력한다(430). 사용자는 출력되는 자극음에 대하여 인지되는 정답을 입력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특정 레벨의 소음하에 10개의 자극음을 순서대로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각 자극음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이상인지 판단한다(440).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이상이라면, 현재 설정된 소음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450).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미만이라면,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460).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 자극음에 대하여 정반응율이 50% 이상인 소음 레벨을 찾는다.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 자극음에 대하여 정반응율이 50% 또는 가장 50% 가까운 소음 레벨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의 정반응율이 50% 이상이라고 해도, 소음 레벨을 조절하여 복수 회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N번 해당 과정을 반복한다고 가정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제1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50% 미만이라면 제1 소음 레벨보다 낮은 소음 레벨인 제2 소음 레벨을 배경 소음의 레벨을 조절한다(470).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제1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50% 이상이라면 제1 소음 레벨보다 높은 소음 레벨인 제3 소음 레벨을 배경 소음의 레벨을 조절한다(470). 청력 검사 장치가 현재 소음 레벨을 조절하는 정도는 N 번의 횟수를 고려하여 일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청력 검사 장치는 소음 레벨을 조절하는 정도를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0개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을 검토하는 과정이 N번 반복된 경우,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다. 또는 직전 i-1회 정반응율이 50% 미만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50% 이상인 경우, N번 반복하지 않았더라도,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직전 i-1회 정반응율이 50% 이상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50% 미만인 경우, N번 반복하지 않았더라도,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정반응율이 50%와 기준 범위 내의 차이라면 청력 검사 장치는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범위가 5%라고 가정하면, 현재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54%이면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음 레벨 중 최댓값을 제1 소음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480). 저장된 소음 레벨은 모두 정반응율이 50% 이상인 값이고, 이 중 최댓값이 가장 50%에 근접한 값에 해당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정상인이 가장 편하게 자극음을 듣는 레퍼런스 값과 상기 제1 소음 레벨을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난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고정 소음 레벨에서의 제1 청력 검사 과정(500)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5는 도 3의 320 과정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4는 정반응율에 대한 기준값을 하나로 설정하여 소음 레벨을 결정하는 경우이고, 도 5는 복수의 기준값을 사용하여 소음 레벨을 복수 개 찾는 경우이다. 도 5는 기준값을 50%, 70% 및 90%를 사용한 예이다. 하나의 기준값을 사용하여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소음 레벨을 찾는 과정은 도 4와 동일하다. 도 5도 10개의 자극음을 사용하는 예이다.
청력 검사 장치는 순서에 관계없이, 어느 하나의 기준값을 시작으로 전체 기준값에 대한 복수의 소음 레벨을 찾는다. 복수의 소음 레벨은 정반응율 50%인 경우, 정반응율 70%인 경우 및 정반응율 90%인 경우에 대한 3개의 소음 레벨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50%, 70% 및 90% 순서로 설명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초기에 사용할 특정 소음 레벨을 설정한다(511). 청력 검사 장치는 특정 레벨의 소음하에 10개의 자극음을 순서대로 출력하고(512), 사용자로부터 각 자극음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513).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이상인지 판단한다(514).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이상이라면, 현재 설정된 소음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515).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미만이라면,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516).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 자극음에 대하여 정반응율이 50% 이상인 소음 레벨을 찾는다.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 자극음에 대하여 정반응율이 50% 또는 가장 50% 가까운 소음 레벨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의 정반응율이 50% 이상이라고 해도, 소음 레벨을 조절하여 복수 회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N번 해당 과정을 반복한다고 가정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제1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50% 미만이라면 제1 소음 레벨보다 낮은 소음 레벨인 제2 소음 레벨을 배경 소음의 레벨을 조절한다(517).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제1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50% 이상이라면 제1 소음 레벨보다 높은 소음 레벨인 제3 소음 레벨을 배경 소음의 레벨을 조절한다(517). 청력 검사 장치가 현재 소음 레벨을 조절하는 정도는 N 번의 횟수를 고려하여 일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청력 검사 장치는 소음 레벨을 조절하는 정도를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0개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을 검토하는 과정이 N번 반복된 경우,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다. 또는 직전 i-1회 정반응율이 50% 미만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50% 이상인 경우, N번 반복하지 않았더라도,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직전 i-1회 정반응율이 50% 이상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50% 미만인 경우, N번 반복하지 않았더라도,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정반응율이 50%와 기준 범위 내의 차이라면 청력 검사 장치는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범위가 5%라고 가정하면, 현재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54%이면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음 레벨 중 최댓값을 제1 소음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518). 저장된 소음 레벨은 모두 정반응율이 50% 이상인 값이고, 이 중 최댓값이 가장 50%에 근접한 값에 해당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정상인이 가장 편하게 자극음을 듣는 레퍼런스 값과 상기 제1 소음 레벨을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난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초기에 사용할 특정 소음 레벨을 설정한다(521). 이때 초기 소음 레벨은 이전 과정에서 선택한 소음 레벨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청력 검사 장치는 50% 정반응율에 대한 제1 소음 레벨보다는 낮은 소음 레벨로 초기 소음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특정 레벨의 소음하에 10개의 자극음을 순서대로 출력하고(522), 사용자로부터 각 자극음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523).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70% 이상인지 판단한다(524).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70% 이상이라면, 현재 설정된 소음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525).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70% 미만이라면,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526).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 자극음에 대하여 정반응율이 70% 이상인 소음 레벨을 찾는다.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 자극음에 대하여 정반응율이 70% 또는 가장 70% 가까운 소음 레벨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의 정반응율이 70% 이상이라고 해도, 소음 레벨을 조절하여 복수 회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N번 해당 과정을 반복한다고 가정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제1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70% 미만이라면 제1 소음 레벨보다 낮은 소음 레벨인 제2 소음 레벨을 배경 소음의 레벨을 조절한다(527).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제1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70% 이상이라면 제1 소음 레벨보다 높은 소음 레벨인 제3 소음 레벨을 배경 소음의 레벨을 조절한다(527). 청력 검사 장치가 현재 소음 레벨을 조절하는 정도는 N 번의 횟수를 고려하여 일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청력 검사 장치는 소음 레벨을 조절하는 정도를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0개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을 검토하는 과정이 N번 반복된 경우,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다. 또는 직전 i-1회 정반응율이 70% 미만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70% 이상인 경우, N번 반복하지 않았더라도,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직전 i-1회 정반응율이 70% 이상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70% 미만인 경우, N번 반복하지 않았더라도,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정반응율이 70%와 기준 범위 내의 차이라면 청력 검사 장치는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범위가 5%라고 가정하면, 현재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74%이면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음 레벨 중 최댓값을 제2 소음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528). 저장된 소음 레벨은 모두 정반응율이 70% 이상인 값이고, 이 중 최댓값이 가장 70%에 근접한 값에 해당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정상인이 가장 편하게 자극음을 듣는 레퍼런스 값과 상기 제2 소음 레벨을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난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초기에 사용할 특정 소음 레벨을 설정한다(531). 이때 초기 소음 레벨은 이전 과정에서 선택한 소음 레벨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청력 검사 장치는 70% 정반응율에 대한 제3 소음 레벨보다는 낮은 소음 레벨ㄹ로 초기 소음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특정 레벨의 소음하에 10개의 자극음을 순서대로 출력하고(532), 사용자로부터 각 자극음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는다(533).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90% 이상인지 판단한다(534).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90% 이상이라면, 현재 설정된 소음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535).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의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90% 미만이라면,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536).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 자극음에 대하여 정반응율이 90% 이상인 소음 레벨을 찾는다. 청력 검사 장치는 10개 자극음에 대하여 정반응율이 90% 또는 가장 90% 가까운 소음 레벨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의 정반응율이 90% 이상이라고 해도, 소음 레벨을 조절하여 복수 회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N번 해당 과정을 반복한다고 가정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제1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90% 미만이라면 제1 소음 레벨보다 낮은 소음 레벨인 제2 소음 레벨을 배경 소음의 레벨을 조절한다(537).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소음 레벨(제1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90% 이상이라면 제1 소음 레벨보다 높은 소음 레벨인 제3 소음 레벨을 배경 소음의 레벨을 조절한다(537). 청력 검사 장치가 현재 소음 레벨을 조절하는 정도는 N 번의 횟수를 고려하여 일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청력 검사 장치는 소음 레벨을 조절하는 정도를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10개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을 검토하는 과정이 N번 반복된 경우,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한다. 또는 직전 i-1회 정반응율이 90% 미만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90% 이상인 경우, N번 반복하지 않았더라도,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직전 i-1회 정반응율이 90% 이상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90% 미만인 경우, N번 반복하지 않았더라도,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정반응율이 90%와 기준 범위 내의 차이라면 청력 검사 장치는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범위가 5%라고 가정하면, 현재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94%이면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음 레벨 중 최댓값을 제3 소음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538). 저장된 소음 레벨은 모두 정반응율이 90% 이상인 값이고, 이 중 최댓값이 가장 90%에 근접한 값에 해당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정상인이 가장 편하게 자극음을 듣는 레퍼런스 값과 상기 제3 소음 레벨을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난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제1 소음 레벨, 제2 소음 레벨 및 제3 소음 레벨을 기준으로 피검사자에 대한 난청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540). 예컨대, 청력 검사 장치는 제1 소음 레벨, 제2 소음 레벨 및 제3 소음 레벨에 대하여 각각 정상인의 레퍼런스 값과 차이를 비교하고, 해당 차이값의 평균을 난청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가변 소음 레벨에서의 제2 청력 검사 과정(600)에 대한 예이다. 도 6은 도 3의 330 과정에 대한 예이다. 제1 청력 검사 과정(600)은 개별 자극음을 대상으로 정반응율이 기준값 이상인 소음 레벨을 찾는 과정이다. 도 6은 기준값을 50%로 설정한 예로 설명하였다. 도 6은 각 자극음에 대하여 10회 응답을 반복하는 예로 설명하였다.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자극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찾고, 다음 자극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찾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청력 검사 과정에서 동일한 자극음을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청력 검사는 도 6과 달리 자극음의 종류를 변경해가면서 진행할 수도 있다. 각 자극음 별로 10회 반복되기만하면 동일한 평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청력 검사 장치는 특정 자극음에 대하여 마지막 설정한 소음 레벨을 저장하고, 특정 자극음에 대한 10회 평가가 반복되기 전에 다른 자극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자극음은 한 자리 이상의 숫자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청력 검사 과정(600)은 특정 숫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소음 레벨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로, 복수의 자리수를 사용하는 경우 청력 검사 장치는 유사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숫자들 중에서 임의의 숫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청력 검사 장치는 사전에 주파수 특성이 동일 내지 유사한 숫자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해 놓을 수 있다. 이후 청력 검사 장치가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에 속한 임의의 숫자를 선택하여 복수의 자리수를 갖는 숫자를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특성이 유사하다는 것은 숫자의 발성이 특정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청력 검사 장치는 사전에 주파수 대역을 일정한 길이 또는 서로 다른 길이로 구분하여 구분된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청력 검사 장치는 A라는 숫자와 B라는 숫자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동일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속하면, A와 B를 주파수 특성이 유사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청력 검사 장치는 한 자리 숫자인 자극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후보 자극음들 중 특정 자극음을 선택한다(610).
청력 검사 장치는 초기에 사용할 특정 소음 레벨을 설정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설정된 소음 레벨의 소음하에서 현재 자극음을 출력한다(621). 사용자는 출력되는 자극음에 대한 응답을 입력한다(622). 청력 검사 장치는 이 과정을 10회 반복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자극음에 대한 10회 평가가 완료된 경우 종료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한다(623).
청력 검사 장치는 10회 평가를 반복한 현재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이상인지 판단한다(630).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미만이라면, 배경 소음의 레벨을 일정하게 감소시키고(640), 현재 자극음에 대한 평가를 반복할 수 있다. 감소 정도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이상이라면, 현재 배경 소음의 레벨을 저장한다(650).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자극음에 대한 종료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660).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종료 조건이 만족하지 않았다면, 배경 소음의 레벨을 일정하게 증가시키고(670), 현재 자극음에 대한 평가를 반복할 수 있다. 증가 정도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중 어느 하나의 경우 종료 조건이 만족했다고 볼 수 있다. (1) 현재 자극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조정한 횟수가 N번인 경우,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또는 직전 i-1회 현재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미만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50% 이상인 경우,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3) 또는 직전 i-1회 현재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 이상이었고, 현재 i회 정반응율이 50% 미만인 경우,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40) 또는 현재 자극음에 대한 정반응율이 50%와 기준 범위 내의 차이라면 청력 검사 장치는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준 범위가 3%라고 가정하면, 현재 소음 레벨에서 정반응율이 52%이면 청력 검사 장치는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종료 조건이 만족한다면,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자극음에 대하여 저장된 소음 레벨 중 최댓값을 현재 자극음에 대한 소음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680). 현재 자극음에 대하여 저장된 소음 레벨은 모두 정반응율이 50% 이상인 값이고, 이 중 최댓값이 가장 50%에 근접한 값에 해당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종료 조건이 만족하는지 판단한다(690). 청력 검사 장치는 전체 후보 자극음들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예컨대, 후보 자극음이 0 ~ 9의 한 자리 숫자이고,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면 다른 자극음을 대상으로 검사를 반복한다. 전체 종료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청력 검사 장치는 검사 대상인 자극음을 변경하고(695), 다시 전체 과정을 반복한다.
청력 검사 장치는 현재 자극음에 대하여 정상인이 가장 편하게 자극음을 듣는 레퍼런스 값과 결정된 소음 레벨을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난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숫자는 발성음의 주파수 특성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청력 검사 과정(600)이 완료되면, 피검사자에 대한 주파수 특성별로 난청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즉, 피검사자가 어떤 주파수 대역에서 난청 정도가 심한지 평가가 가능하다.
도 7은 청력 검사 장치(700)에 대한 예이다. 청력 검사 장치(700)는 도 1의 사용자 단말(110 또는 210) 또는 서비스 서버(220)에 해당한다. 청력 검사 장치(700)는 스마트기기, PC, 네트워크상의 서버, 임베디드 칩셋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청력 검사 장치(700)는 저장 장치(710), 메모리(720), 연산장치(730), 인터페이스 장치(740), 통신 장치(750) 및 출력장치(76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710)는 청력 평가를 위한 지시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내지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710)는 피검사자가 입력한 응답값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710)는 특정 자극음들에 대하여 정상인이 편하게 들을 수 있는 소음 레벨(레퍼런스값)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20)는 청력 검사 장치(700)가 피검사자 청력 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74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한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인터페이스 장치(740)는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일정한 명령 내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740)는 피검사자가 자극음에 대하여 인지한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740)는 청각 검사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 장치(740)는 피검사자 식별자, 검사 대상인 귀(한쪽 또는 양쪽), 배경 소음의 종류, 배경 소음의 레벨을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 장치(7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일정한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통신 장치(750)는 외부 객체로부터 피검사자가 자극음에 대하여 인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750)는 피검사자 식별자, 검사 대상인 귀(한쪽 또는 양쪽), 배경 소음의 종류, 배경 소음의 레벨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의 경우, 통신 장치(750)는 피검사자 식별자, 검사 대상인 귀(한쪽 또는 양쪽), 배경 소음의 종류, 배경 소음의 레벨을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ㅅ 있다.
통신 장치(750)는 피검사자의 검사 결과를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750) 내지 인터페이스 장치(740)는 외부로부터 일정한 데이터 내지 명령을 전달받는 장치이다. 통신 장치(750) 내지 인터페이스 장치(740)를 입력장치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연산 장치(730)는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자극음에 대한 소음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연산 장치(730)는 임의의 자극음을 생성할 수 있다. 연산 장치(730)는 자극음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의 정반응율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 장치(730)는 피검사자의 응답에 따라 현재 배경 소음의 레벨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산 장치(730)는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특정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1 소음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도 4 내지 도 5 참고). 연산 장치(730)는 제1 청력 검사 과정(400 또는 500)에서 결정한 소음 레벨과 정상인의 레퍼런스 값을 비교하여 피검사자의 난청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연산 장치(730)는 임의의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하여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상기 제2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2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2 소음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도 6 참고). 연산 장치(730)는 제2 청력 검사 과정(600)에서 결정한 소음 레벨로 피검사자의 주파수별 난청 정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연산 장치(730)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일정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AP, 프로그램이 임베디드된 칩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화면 출력 장치(760)는 분석 과정에 필요한 정보 내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760)는 피검사자에 대한 검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 장치(770)는 숫자에 대한 발성음인 자극음을 출력한다. 사운드 출력 장치(770)는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자극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운드 출력 장치(770)는 헤드셋과 같은 주변 기기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극음을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청각 검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M, EPROM) 또는 EEPROM(Electrically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스태틱 램(Static RAM,SRAM), 다이내믹 램(Dynamic RAM,DRAM), 싱크로너스 디램 (Synchronous DRAM,SDRAM), 2배속 SDRAM(Double Data Rate SDRAM,DDR SDRAM), 증강형 SDRAM(Enhanced SDRAM,ESDRAM), 동기화 DRAM(Synclink DRAM,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DRRAM) 과 같은 다양한 RAM을 의미한다.
본 실시례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전술한 기술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기술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례는 모두 전술한 기술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검사장치가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사용자에 대한 제1 청각 검사를 반복 하되, 단일 제1 청각 검사 과정에서는 설정된 특정 소음 레벨에서 임의의 제1 자극음들을 차례대로 출력하고, 상기 제1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가 상기 제1 청각 검사 과정에서 상기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1 소음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가 임의의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하여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청각 검사를 하되, 상기 제2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사장치가 상기 제2 청각 검사 과정에서 상기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2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2 소음 레벨을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장치가 상기 제1 청각 검사 및 상기 제2 청각 검사 과정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청각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자극음들 및 상기 제2 자극음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자극음은 적어도 하나의 숫자에 대한 숫자 발음이고
    상기 제1 청각 검사 과정은
    상기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높은 제3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3 소음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상기 제3 기준값보다 높은 제4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4 소음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청각 검사 과정을 통해 상기 검사장치가 사용자의 청각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제1 소음 레벨, 상기 제3 소음 레벨 및 상기 제4 소음 레벨을 정상인인 인지하는 레퍼런스값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난청정도를 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청각 검사 과정을 통해 상기 검사장치가 사용자의 청각수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자극음들 각각에 대한 주파수 특성 및 상기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2소음레벨을 정상인이 인지하는 레퍼런스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파수별 난청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극음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일 자극음은 주파수 대역이 동일한 숫자 발음이고,
    상기 제2 자극음들은 서로 주파수 대역이 다른 숫자 발음으로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극음은 3자리 숫자에 대한 숫자 발음인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각 검사 과정에서
    상기 검사장치는 제1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전체 정반응율이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소음 레벨보다 낮은 제2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을 확인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검사장치는 제1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전체 정반응율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소음 레벨보다 높은 제3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을 확인하는 제2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과정 및 제2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 횟수 내로 반복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는 최대 소음 레벨을 상기 제1 소음 레벨로 결정하는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숫자에 대한 발성음인 자극음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상기 출력되는 자극음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장치; 및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제1청각검사를 반복하되, 단일 제1청각 검사 과정에서는 설정된 특정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1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1소음 레벨을 결정하고, 제2청각검사로서 임의의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하여 소음 레벨을 변경하면서 상기 제2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제2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2 소음 레벨을 결정하는 연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청각검사는
    상기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높은 제3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3 소음 레벨을 결정하고, 검사장치가 상기 제1 청각 검사 과정에서 상기 제1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상기 제3 기준값보다 높은 제4 기준값 이상이 되는 제4 소음 레벨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장치는
    상기 제1청각검사 과정을 통해 측정된 측정된 제1 소음 레벨, 상기 제3 소음 레벨 및 상기 제4 소음 레벨을 정상인이 인지하는 레퍼런스 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난청정도를 결정하고 상기 제2자극음들 각각에 대한 주파수 특성 및 상기 제2 자극음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2소음레벨을 정상인이 인지하는 레퍼런스 값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파수별 난청정도를 결정하며
    상기 제2 자극음들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일 자극음은 주파수 대역이 동일한 숫자 발음이고,
    상기 제2자극음들은 서로 주파수 대역이 다른 숫자에 대한 발음으로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숫자 기반 청력 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장치는
    제1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전체 정반응율이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소음 레벨보다 낮은 제2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을 확인하는 제1 과정과,
    상기 검사장치는 제1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전체 정반응율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소음 레벨보다 높은 제3 소음 레벨에서 출력되는 임의의 자극음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을 확인하는 제2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1 과정 및 제2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 횟수 내로 반복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응답들의 정반응율이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는 최대 소음 레벨을 상기 제1 소음 레벨로 결정하는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극음들은 3자리 숫자에 대한 숫자 발음이고, 상기 제2 자극음들은 한자리 이상의 숫자에 대한 숫자 발음인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청력 검사 장치
KR1020210005084A 2021-01-14 2021-01-14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및 청력 검사 장치 KR10248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84A KR102487323B1 (ko) 2021-01-14 2021-01-14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및 청력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084A KR102487323B1 (ko) 2021-01-14 2021-01-14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및 청력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763A KR20220102763A (ko) 2022-07-21
KR102487323B1 true KR102487323B1 (ko) 2023-01-11

Family

ID=8261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084A KR102487323B1 (ko) 2021-01-14 2021-01-14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및 청력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3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69811A1 (en) 2016-03-01 2019-03-07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udiology testing techniqu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2493A (en) * 1976-11-30 1978-05-3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peech recognition system
US5566272A (en) * 1993-10-27 1996-10-15 Lucent Technologies Inc.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processing using confidence measures
KR102112311B1 (ko) * 2018-03-29 2020-06-0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 기능 검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69811A1 (en) 2016-03-01 2019-03-07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udiology testing techniqu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학술지, Han, Ji-Hye, et al., Development of a Smartphone-Based Digits-in-Noise Test in Korean: a Hearing Screening Tool for Speech Perception in Noise.,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35.21 (20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763A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6348B (zh) 声音补偿参数计算方法和设备、声音补偿系统
Schädler et al. Matrix sentence intelligibility prediction using a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CN102112051B (zh) 语音清晰度评价系统、其方法
US20140309549A1 (en) Methods for testing hearing
JP5542206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の知覚品質を判定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Lien et al. Effects of phonetic context on relative fundamental frequency
KR20110090066A (ko) 청력을 검사하는 휴대용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Kressner et al. Evaluating the generalization of the hearing aid speech quality index (HASQI)
CN102469961B (zh) 语音清晰度评价系统和方法
US20100056951A1 (en) System and methods of subject classification based on assessed hearing capabilities
Ozimek et al. Polish sentence tests for measuring the intelligibility of speech in interfering noise
Ooster et al. Speech audiometry at home: automated listening tests via smart speakers with normal-hearing and hearing-impaired listeners
Yamamoto et al. Comparison of remote experiments using crowdsourcing and laboratory experiments on speech intelligibility
KR102487323B1 (ko) 하이브리드 기법을 적용한 소음하 숫자 기반 청력 검사 방법 및 청력 검사 장치
Shukla et al. Measurement of speech in noise abilities in laboratory and real-world noise
JP7307507B2 (ja) 病態解析システム、病態解析装置、病態解析方法、及び病態解析プログラム
Schönfelder et al. Identification of stimulus cues in narrow-band tone-in-noise detection using sparse observer models
KR20110018829A (ko) 청력을 검사하는 휴대용 음원재생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방법
CN112205981B (zh) 一种基于言语可懂度指数的听力评估方法及设备
Richard et al. Comparison of objective and subjective methods for evaluating speech quality and intelligibility recorded through bone conduction and in-ear microphones
JP6639857B2 (ja) 聴力検査装置、聴力検査方法および聴力検査プログラム
CN112203205A (zh) 一种骨传导耳机语言可懂度测量方法及系统
Taira et al. Estimation of binaural intelligibility using the frequency-weighted segmental SNR of stereo channel signals
Baasch et al. Parkinson-Speech Analysis: Methods and Aims
Kondo Estimation of forced-selection word intelligibility by comparing objective distances between candid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