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927B1 -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927B1
KR102486927B1 KR1020220096228A KR20220096228A KR102486927B1 KR 102486927 B1 KR102486927 B1 KR 102486927B1 KR 1020220096228 A KR1020220096228 A KR 1020220096228A KR 20220096228 A KR20220096228 A KR 20220096228A KR 102486927 B1 KR102486927 B1 KR 10248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automatic lathe
raw material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택
Original Assignee
이해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택 filed Critical 이해택
Priority to KR102022009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7/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e.g. controlled by cams; Equipment therefor; Features common to automatic and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with one or more working-spindles
    • B23B7/12Automatic or semi-automatic machines for turning of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04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자동선반에서 가공 후 남은 원소재를 재사용하기 위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로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자동선반의 척에 물리는 물림부 및 물림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및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와 결합하는 잔재를 포함하고, 제 1 결합부는, 어댑터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 및 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를 포함하고, 제 2 결합부는, 일단에 형성되며, 단면이 원 형상인 함몰부, 및 함몰부로부터 잔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어댑터와 잔재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의 단부는 돌출부의 경사면에 선접촉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REUSE STURCTURE OF RAW MATERIAL FOR AUTOMATIC LATHE}
본 발명은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선반의 척에 물리는 어댑터와 원소재 가공 후 남은 잔재가 결합 가능하도록 하여 잔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원소재와 잔재의 결합 과정에서 어댑터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기계 부품 등의 가공을 위한 장치이며, 수동 조작으로만 작업이 이루어지는 수동 선반과, NC 혹은, CNC와 같이 수치제어 방식을 통해 자동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동 선반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CNC 자동 선반은 컴퓨터와 연동되면서 수치제어 방식에 의해 작업을 수행하는 선반을 의미하여, 종래의 CNC 자동 선반은 통상적으로 척에 자동 물림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대한 가공은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에 해당 길이만큼의 재료 손실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한 비용적 손실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다(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1825호 참조).
즉, CNC 자동 선반과 같이 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빠른 작업의 진행을 위해 소재에 대한 가공이 완료될 경우 소재의 잔존 부위인 잔재를 자동으로 배출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버려진 손실이 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공 후 잔존하는 소재의 미가공된 잔재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재료 이용률과 생산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동선반의 척에 물리는 어댑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어댑터의 일단은 잔재와 결합하고, 타단은 척에 물림으로써 잔재가 간접적으로 척에 물려 잔재에 대한 가공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자동선반에서 가공 후 남은 원소재를 재사용하기 위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로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자동선반의 척에 물리는 물림부 및 물림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및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와 결합하는 잔재를 포함하고, 제 1 결합부는, 어댑터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 및 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를 포함하고, 제 2 결합부는, 일단에 형성되며, 단면이 원 형상인 함몰부, 및 함몰부로부터 잔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어댑터와 잔재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의 단부는 돌출부의 경사면에 선접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선반의 척에 물리는 어댑터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어댑터의 일단은 잔재와 결합하고, 타단은 척에 물림으로써 잔재가 간접적으로 척에 물려 잔재에 대한 가공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와 잔재 간의 나사 결합 정도를 제한하여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댑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어댑터를 무는 척을 구비한 자동선반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간략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1(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5(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8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9(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1(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5(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살펴본다. 도 1 은 어댑터를 무는 척을 구비한 자동선반의 간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 간략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11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 후 남은 원소재를 재사용하기 위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110)이다.
이러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110)는 어댑터(100) 및 잔재(90)를 포함한다.
어댑터(100)는 원소재를 가공한 후 남은 잔재(90)를 자동선반(20)에서 재사용하기 위해 잔재(90)가 간접적으로 척(10)에 물려서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종래의 경우, 자동선반(20) 상에서 원소재를 가공하고 나면 원소재에서 척(10)에 물린 부분은 더 이상 가공 작업에 사용할 수 없어 잔재(90)를 버려야만 했다. 따라서,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자원이 낭비되며 친환경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경우는 어댑터(100)를 이용하여 잔재(90)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어댑터(100)의 일단은 잔재(90)와 결합하고, 타단은 척(10)에 물림으로써 잔재(90)는 어댑터(100)를 통해 척(10)에 간접적으로 물려 가공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10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30) 및 물림부(30)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60)는 어댑터(10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40) 및 돌출부(4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잔재(9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100)의 제 1 결합부(60)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1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90)의 일단에 형성되며, 단면이 원 형상인 함몰부(70) 및 함몰부(70)로부터 잔재(9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댑터(100)의 수나사부(5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100)와 잔재(9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9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잔재(90)가 어댑터(100)를 통해 가공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어댑터(100)와 잔재(90)가 결합된 부분에서 이들이 서로에 대하여 유격이 발생하거나, 따로 노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어댑터(100)와 잔재(90)는 동심이 유지되지 않고, 강한 결합을 보이지 않게 되어, 가공 중에 잔재(90)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경우는, 어댑터(100)와 잔재(90)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70)의 단부는 돌출부(40)의 경사면에 선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100)와 잔재(9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4 의 A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9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100)와 잔재(9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9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10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9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100)의 물림부(30)에는 어댑터(100)와 잔재(9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1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100)와 잔재(9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100)를 부여잡아 어댑터(10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100)의 물림부(30)에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110)를 설명했다. 이하 도 5 및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5(a)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160) 및 어댑터(160)와 결합하는 잔재(90)를 포함한다.
잔재(9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재(90)와 동일할 수 있는 바, 이하 어댑터(16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어댑터(16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00)와 마찬가지로 물림부(120) 및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가이드 벽(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벽(150)은 어댑터(160)의 일단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어댑터(160)의 돌출부(130)를 둘러쌀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벽(150)은 어댑터(160)와 잔재(90) 간의 나사 결합 정도를 제한하여,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댑터(160)의 돌출부(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나사 결합 정도란 어댑터(160)와 잔재(90) 간의 나사 결합된 부분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160)와 잔재(90)가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으로 결합 과정이 진행될 경우 어댑터(160)의 돌출부(130)에서 선접촉되는 부분에 흠집이나 홈이 생길 수 있고, 손상된 어댑터(160)를 다시 사용할 경우 어댑터(160)와 잔재(90) 간의 동심이 보장되지 않아 잔재(90)에 대한 가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손상된 어댑터(160)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 버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어댑터(160)의 돌출부(130) 주변에 가이드 벽(150)을 형성하여 어댑터(160)와 잔재(90)의 나사 결합 과정에서 잔재(90)의 일단면이 가이드 벽(150)에 닿을 경우 더 이상의 결합 과정을 멈춤으로써 돌출부(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6 의 B 참조).
이 때, 가이드 벽(150)의 높이는 어댑터(160)와 잔재(90) 간의 나사결합의 정도에 따른 가공성 평가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160)의 물림부(120)에는 어댑터(160)와 잔재(9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16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160)와 잔재(9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160)를 부여잡아 어댑터(16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160)의 물림부(120)에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7 및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7(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및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210) 및 어댑터(210)와 결합하는 잔재(90)를 포함한다.
잔재(9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재(90)와 동일할 수 있는 바, 이하 어댑터(21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어댑터(21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100)와 마찬가지로 물림부(170) 및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가이드 판(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판(200)은 어댑터(210)의 돌출부(180)의 둘레를 따라 측방으로(또는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판(200)은 어댑터(210)와 잔재(90) 간의 나사 결합 정도를 제한하여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댑터(210)의 돌출부(18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210)와 잔재(90)가 나사 결합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으로 결합 과정이 진행될 경우 어댑터(210)의 돌출부(180)에서 선접촉되는 부분에 흠집이나 홈이 생길 수 있고, 손상된 어댑터(210)를 다시 사용할 경우 어댑터(210)와 잔재(90) 간의 동심이 보장되지 않아 잔재(90)에 대한 가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손상된 어댑터(210)를 버려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어댑터(210)의 돌출부(180)의 둘레에 가이드 판(200)을 형성하여 어댑터(210)와 잔재(90)의 나사 결합 과정에서 잔재(90)의 일단면이 가이드 판(200)에 닿을 경우 더 이상의 결합 과정을 멈춤으로써 돌출부(18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 의 C 참조).
이 때, 어댑터(210)의 일단면과 가이드 판(200) 간의 거리는 어댑터(210)와 잔재(90) 간의 나사결합의 정도에 따른 가공성 평가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210)의 물림부(170)에는 어댑터(210)와 잔재(9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21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210)와 잔재(9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210)를 부여잡아 어댑터(21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210)의 물림부(170)에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9 및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9(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250) 및 어댑터(250)와 결합하는 잔재(280)를 포함한다.
어댑터(25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220) 및 물림부(220)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25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230) 및 돌출부(23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잔재(28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25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25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280)의 일단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260) 및 함몰부(260)로부터 잔재(28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댑터(250)의 수나사부(24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250)와 잔재(28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28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250)와 잔재(28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250)와 잔재(280)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260)의 내측 둘레면과 돌출부(230)의 외측 둘레면은 면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250)와 잔재(28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10 의 D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28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250)와 잔재(28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28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25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28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250)의 물림부(220)에는 어댑터(250)와 잔재(28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25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250)와 잔재(28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250)를 부여잡아 어댑터(25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250)의 물림부(220)에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11 및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11(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1(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330) 및 어댑터(330)와 결합하는 잔재(360)를 포함한다.
어댑터(33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300) 및 물림부(300)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33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돌출부(310) 및 돌출부(31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잔재(36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33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33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360)의 일단에 형성되며, 원반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340) 및 함몰부(340)로부터 잔재(36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댑터(330)의 수나사부(32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330)와 잔재(36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36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330)와 잔재(36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330)와 잔재(360)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340)의 내측 둘레면과 돌출부(310)의 외측 둘레면은 면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330)와 잔재(36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12 의 E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36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330)와 잔재(36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36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33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36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330)의 물림부(300)에는 어댑터(330)와 잔재(36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33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330)와 잔재(36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330)를 부여잡아 어댑터(33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330)의 물림부(300)에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13 및 1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13(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및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400) 및 어댑터(400)와 결합하는 잔재(280)를 포함한다.
어댑터(40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375) 및 물림부(375)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40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380) 및 돌출부(38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잔재(28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40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4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280)의 일단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260) 및 함몰부(260)로부터 잔재(28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댑터(400)의 수나사부(39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400)와 잔재(28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28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400)와 잔재(28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400)와 잔재(280)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260)의 내측 둘레면과 돌출부(380)의 외측 둘레면은 면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400)와 잔재(28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14 의 F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28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400)와 잔재(28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28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40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28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400)의 물림부(375)에는 어댑터(400)와 잔재(28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4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37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400)와 잔재(28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400)를 부여잡아 어댑터(40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400)의 물림부(375)에는 물림 자리(3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370)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15 및 1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15(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5(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 및 1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440) 및 어댑터(440)와 결합하는 잔재(360)를 포함한다.
어댑터(44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415) 및 물림부(415)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44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돌출부(420) 및 돌출부(4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잔재(36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44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44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360)의 일단에 형성되며, 원반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340) 및 함몰부(340)로부터 잔재(36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댑터(440)의 수나사부(43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440)와 잔재(36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36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440)와 잔재(36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440)와 잔재(360)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340)의 내측 둘레면과 돌출부(420)의 외측 둘레면은 면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440)와 잔재(36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16 의 G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36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440)와 잔재(36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36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44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36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440)의 물림부(415)에는 어댑터(440)와 잔재(36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44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4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440)와 잔재(36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440)를 부여잡아 어댑터(44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440)의 물림부(415)에는 물림 자리(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410)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17 및 1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17(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 및 1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480) 및 어댑터(480)와 결합하는 잔재(510)를 포함한다.
어댑터(48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455) 및 물림부(455)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48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돌출부(460), 돌출부(46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470) 및 수나사부(47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대 형상의 접촉부(475)를 포함할 수 있다.
잔재(51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48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48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5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490), 함몰부(490)로부터 잔재(51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댑터(480)의 수나사부(47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500) 및 암나사부(50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 형상의 접촉 공간(5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480)와 잔재(51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51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480)와 잔재(51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480)와 잔재(510)가 나사 결합할 때 접촉부(475)와 접촉 공간(505)은 면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480)와 잔재(51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18 의 H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51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480)와 잔재(51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51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48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51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480)의 물림부(455)에는 어댑터(480)와 잔재(51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48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45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480)와 잔재(51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480)를 부여잡아 어댑터(48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480)의 물림부(455)에는 물림 자리(4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450)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19 및 2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19(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19(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 및 2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550) 및 어댑터(550)와 결합하는 잔재(510)를 포함한다.
어댑터(55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525) 및 물림부(525)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55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530), 돌출부(53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540) 및 수나사부(54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대 형상의 접촉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잔재(51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55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55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5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490), 함몰부(490)로부터 잔재(51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댑터(550)의 수나사부(54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500) 및 암나사부(50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 형상의 접촉 공간(5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550)와 잔재(51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51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550)와 잔재(51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550)와 잔재(510)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490)의 내측 둘레면과 돌출부(530)의 외측 둘레면은 면접촉할 수 있으며(도 20 의 I 참조), 동시에 접촉부(555)와 접촉 공간(505)도 면접촉할 수 있고(도 20 의 J 참조), 그에 따라 어댑터(550)와 잔재(51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51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550)와 잔재(51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51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55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51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550)의 물림부(525)에는 어댑터(550)와 잔재(51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55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5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550)와 잔재(51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550)를 부여잡아 어댑터(55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550)의 물림부(525)에는 물림 자리(5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520)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21 및 2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21(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1(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 및 2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600) 및 어댑터(600)와 결합하는 잔재(640)를 포함한다.
어댑터(60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575) 및 물림부(575)의 일단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600)의 일단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함몰부(590), 물림부(575)의 내측에 형성되며 함몰부(590)의 전방에 형성된 암나사부(580) 및 암나사부(58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 형상의 접촉 공간(560)을 포함할 수 있다.
잔재(64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60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6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510)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원반 형상의 돌출부, 돌출부의 전방에 형성되며 암나사부(580)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620) 및 수나사부(62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대 형상의 접촉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600)와 잔재(64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64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600)와 잔재(64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600)와 잔재(640)가 나사 결합할 때 접촉부(610)와 접촉 공간(560)은 면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600)와 잔재(64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22 의 K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64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600)와 잔재(64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64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60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64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600)의 물림부(575)에는 어댑터(600)와 잔재(64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6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57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600)와 잔재(64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600)를 부여잡아 어댑터(60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600)의 물림부(575)에는 물림 자리(5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570)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23 및 2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23(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 및 2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600) 및 어댑터(600)와 결합하는 잔재(680)를 포함한다.
어댑터(60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575) 및 물림부(575)의 일단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600)의 일단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함몰부(590), 물림부(575)의 내측에 형성되며 함몰부(590)의 전방에 형성된 암나사부(580) 및 암나사부(58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 형상의 접촉 공간(560)을 포함할 수 있다.
잔재(68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60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6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680)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돌출부(660) 및 돌출부(660)의 전방에 형성되며 암나사부(580)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600)와 잔재(68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68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600)와 잔재(68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600)와 잔재(680)가 나사 결합할 때, 함몰부(590)의 내측 둘레면과 돌출부(660)의 외측 둘레면은 면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600)와 잔재(68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24 의 L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68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600)와 잔재(68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68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60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68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600)의 물림부(575)에는 어댑터(600)와 잔재(68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6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57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600)와 잔재(68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600)를 부여잡아 어댑터(60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600)의 물림부(575)에는 물림 자리(5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570)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25 및 2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25(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5(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 및 2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720) 및 어댑터(720)와 결합하는 잔재(750)를 포함한다.
어댑터(72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695) 및 물림부(695)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72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반 형상의 돌출부(700), 돌출부(70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710) 및 수나사부(71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대 형상의 접촉부(7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나사부(710)의 경우 수나사부(710)의 나사산을 이은 가상의 직선은 결합 방향으로 기울어져 테이퍼질 수 있다.
잔재(75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72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72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750)의 일단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730), 함몰부(730)로부터 잔재(75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어댑터(720)의 수나사부(71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740) 및 암나사부(740)의 전방에 위치한 원뿔 형상의 접촉 공간(7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나사부(740)의 경우 암나사부(740)의 골을 이은 가상의 직선은 결합 방향으로 기울어져 테이퍼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720)와 잔재(75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75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720)와 잔재(75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720)와 잔재(750)가 나사 결합할 때, 수나사부(710)의 테이퍼진 형상과 암나사부(740)의 테이퍼진 형상은 나사결합될 수 있다(도 26 의 M 참조).
추가적으로, 접촉부(715)와 접촉 공간(745)은 면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어댑터(720)와 잔재(75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26 의 N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75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720)와 잔재(75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75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72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75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720)의 물림부(695)에는 어댑터(720)와 잔재(75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72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69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720)와 잔재(75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720)를 부여잡아 어댑터(72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720)의 물림부(695)에는 물림 자리(69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690)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했다. 이하 도 27 및 2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27(a)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도이다. 도 2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잔재의 단면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 및 2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척(10)에 물리는 어댑터(800) 및 어댑터(800)와 결합하는 잔재(860)를 포함한다.
어댑터(800)는 자동선반(20)의 척(10)에 물리는 물림부(750) 및 물림부(750)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결합부는 어댑터(800)의 일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제 1 돌출부(760), 제 1 돌출부(760)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부(770), 원기둥부(700)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제 2 돌출부(780) 및 제 2 돌출부(780)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잔재(860)는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어댑터(800)의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어댑터(8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부는 잔재(860)의 일단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810), 함몰부(810)로부터 잔재(86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제 1 접촉 공간(830), 제 1 접촉 공간(830)으로부터 잔재(86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제 2 접촉 공간(840) 및 제 2 접촉 공간(840)으로부터 잔재(86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수나사부(790)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잔재(860)의 외측 둘레에는 제 1 접촉 공간(830)을 관통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820)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어댑터(800)와 잔재(860)는 나사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며, 잔재(860)는 자동선반(20)에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 시에 어댑터(800)와 잔재(860)가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어댑터(800)와 잔재(860)가 나사 결합할 때, 제 1 돌출부(760)와 제 1 접촉 공간(810)이 면접촉할 수 있고, 제 2 돌출부(780)와 제 2 접촉 공간(840)이 면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720)와 잔재(750)가 서로 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 따로 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720)와 상기 잔재(750)가 나사 결합할 때 관통홀(820)에 나사가 조여지면서 원기둥부(770)를 압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나사는 머리 없는 나사일 수 있다(도 28 참조).
이렇게 됨으로써, 잔재(860)가 가공되는 중에도 어댑터(800)와 잔재(860)는 동심이 유지되어 잔재(860)에 대한 가공 작업이 계획대로 진행될 수 있다.
아울러, 어댑터(800)를 통해 그동안 버려왔던 잔재(860)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소재 구매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친환경적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댑터(800)의 물림부(750)에는 어댑터(800)와 잔재(860)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어댑터(800)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댑터(800)와 잔재(860)는 결합 시에는 서로에 대하여 조여지고, 서로에 대하여 분리 시에는 나사 결합이 풀리게 된다. 이 때,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로 어댑터(800)를 부여잡아 어댑터(800)를 고정시키면 조임과 풀림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어댑터(800)의 물림부(750)에는 물림 자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패너와 같은 고정 부재는 이 물림 자리를 물게 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척 20: 자동선반
30, 120, 170: 물림부 40, 130, 180: 돌출부
50, 140, 190: 수나사부 60: 제 1 결합부
70: 함몰부 80: 암나사부
90: 잔재 100, 160, 210: 어댑터
110: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150: 가이드 벽
200: 가이드 판

Claims (12)

  1. 자동선반에서 가공 후 남은 원소재를 재사용하기 위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로서,
    상기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상기 자동선반의 척에 물리는 물림부 및 상기 물림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및
    상기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는 잔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어댑터의 일단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일단에 형성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로부터 상기 잔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잔재가 나사 결합할 때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는 접촉하는 것이고,
    상기 돌출부는 원뿔대 형상이며,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가 접촉하는 것은 상기 함몰부의 단부가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과 선접촉하는 것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가이드 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어댑터와 상기 잔재 간의 나사 결합 정도를 제한하는 것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 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판은 상기 어댑터와 상기 잔재 간의 나사 결합 정도를 제한하는 것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자동선반에서 가공 후 남은 원소재를 재사용하기 위한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로서,
    상기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는,
    상기 자동선반의 척에 물리는 물림부 및 상기 물림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및
    상기 원소재가 가공 후 남은 부분으로서, 일단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와 결합하는 잔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어댑터의 일단면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인 제 1 돌출부;
    상기 제 1 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기둥부;
    상기 원기둥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인 제 2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일단에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함몰부;
    상기 함몰부로부터 상기 잔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인 제 1 접촉 공간;
    상기 제 1 접촉 공간으로부터 상기 잔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뿔대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제 2 접촉 공간; 및
    상기 제 2 접촉 공간으로부터 상기 잔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재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제 1 접촉 공간을 관통하며 암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와 상기 잔재가 나사 결합할 때 상기 관통홀에 나사가 조여지면서 상기 원기둥부를 압박하는 것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12. 제 1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에는 상기 어댑터와 잔재가 나사 결합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풀릴 시에 상기 어댑터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무는 물림 자리가 형성된 것인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KR1020220096228A 2022-08-02 2022-08-02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KR10248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228A KR102486927B1 (ko) 2022-08-02 2022-08-02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228A KR102486927B1 (ko) 2022-08-02 2022-08-02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927B1 true KR102486927B1 (ko) 2023-01-09

Family

ID=8489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228A KR102486927B1 (ko) 2022-08-02 2022-08-02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9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336Y1 (ko) * 2004-10-13 2005-01-27 주식회사 대일기구 밀링공구 또는 선반용 공구의 모듈러헤드
JP2007223041A (ja) * 1994-08-29 2007-09-0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着脱可能頂部を備えたエンドミル
KR20110043297A (ko) * 2009-10-21 2011-04-27 최병우 자동 선반의 소재 공급장치와 이를 가지는 씨엔씨 자동 선반과 그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잔존 소재 재사용을 위한 어댑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041A (ja) * 1994-08-29 2007-09-0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着脱可能頂部を備えたエンドミル
KR200373336Y1 (ko) * 2004-10-13 2005-01-27 주식회사 대일기구 밀링공구 또는 선반용 공구의 모듈러헤드
KR20110043297A (ko) * 2009-10-21 2011-04-27 최병우 자동 선반의 소재 공급장치와 이를 가지는 씨엔씨 자동 선반과 그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잔존 소재 재사용을 위한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3054A (ko) 절삭 공구를 위한 결합 메커니즘
CN105127463B (zh) 用于刀具夹持的刀柄结构
KR102486927B1 (ko) 자동선반용 원소재 재사용 구조체
CN104084653A (zh) 一种螺纹毛刺去除方法
CN102873564B (zh) 多刀车床自动定心装夹具
KR102108367B1 (ko) 공작물 고정용 척 어셈블리
CN104400046A (zh) 一种刀具夹头
KR101044046B1 (ko) 회전공구용 공구홀더
CN202825319U (zh) 多刀车床自动定心装夹具
CN204747553U (zh) 一种精密夹头
US3304837A (en) Means for quickly changing tools in machine spindles
KR101635462B1 (ko) 보링바용 연결대
CN113894857A (zh) 一种搭配专用铣削刀具的纵-扭共振变幅杆
CN210255302U (zh) 一种螺母及具有其的刀柄系统
KR102091818B1 (ko) 샤프트 가공 방법
CN210817518U (zh) 一种后拉式三爪夹头
US2778650A (en) Collet chuck
CN204724920U (zh) 一种锥形铣刀防退装置
CN103394998A (zh) 一种弹性夹头固定装置
KR20200040124A (ko) 샤프트 가공 장치
CN214640771U (zh) 一种具有导屑功能的螺纹成型加工辅助工具
CN215541525U (zh) 一种干法造粒机的一体式破碎刀
CN214557478U (zh) 一种法兰盘车床加工用定位装置
CN212351131U (zh) 一种刀柄二次加工用夹具
CN216989876U (zh) 高精度大尺寸薄壁零件加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