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719B1 - Air tooth cleaner - Google Patents

Air tooth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719B1
KR102486719B1 KR1020200100902A KR20200100902A KR102486719B1 KR 102486719 B1 KR102486719 B1 KR 102486719B1 KR 1020200100902 A KR1020200100902 A KR 1020200100902A KR 20200100902 A KR20200100902 A KR 20200100902A KR 102486719 B1 KR102486719 B1 KR 102486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air
housing body
storage unit
genera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9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047A (en
Inventor
최규택
Original Assignee
최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택 filed Critical 최규택
Priority to KR102020010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719B1/en
Priority to PCT/KR2020/014575 priority patent/WO2021085949A1/en
Publication of KR2022002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2Air-blowing devices, e.g. with means for he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치아를 세정하기 위한 에어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몸체부(110)와;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압축공기가 토출되는 노즐(120)과;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압축공기 발생모듈(130)과;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 저장부(140)와;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에서 상기 공기 저장부(140)로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체크 밸브(150)와;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노즐(120)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조작 밸브(16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oral irrigator for cleaning teeth using air pressure, comprising: a housing body portion 110; a nozzle 1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110 and discharging compressed air; a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0 to generate compressed air; an air storage unit 140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0 to stor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a check valve 150 for regulating the reverse flow of compressed air transmitt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to the air storage unit 140; An operating valve 160 is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0 to control the discharge of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air storage unit 140 to the nozzle 120 .

Description

에어 구강 세정기{Air tooth cleaner}Air tooth cleaner {Air tooth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치아를 세정할 수 있는 에어 구강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oral irrigator capable of cleaning teeth using air pressure.

1960년대 후반에 처음으로 전기 모터펌프를 이용하여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구강 세정기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고압수를 이용한 구강 세정기는 가정용, 휴대용, 공공장치 등의 여러 유형의 제품들이 개발되어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의 구강위생 용품 시장의 규모는 60조 원을 넘었으며, 이중 한국 시장 규모는 2018년도 기준으로 7,000 억 원에 달한다.In the late 1960s, an oral irrigator that sprayed high-pressure water using an electric motor pump first appeared, and since then, various types of oral irrigators using high-pressure water have been developed for home use, portable devices, and public devices, and as of 2018 As a result, the global oral hygiene product market has exceeded 60 trillion won, of which the Korean market has reached 700 billion won as of 2018.

한편 최근에는 고압수가 아닌 압축공기를 이용한 구강 세정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고압수를 이용한 구강 세정장치는 다량의 물을 사용하게 되어 휴대가 불편하며, 따라서 물의 사용을 배제하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휴대가 가능한 구강 세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공보 제10-1956363호는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축공기 캡슐을 포함하여 압축공기를 이용한 휴대형 구강 세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Meanwhile, recently, an oral washing device using compressed air instead of high-pressure water has been proposed. Oral washing devices using high-pressure water are inconvenient to carry because they use a large amount of water. Therefore, a portable oral washing device using compressed air excluding the use of water has been developed. Fo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956363 discloses a portable oral irrigator using compressed air, including a compressed air capsule in which compressed air is stor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강 세정기는 압축공기 캡슐에 저장된 압축공기만을 사용하게 되므로, 압축공기 캡슐의 저장된 압축공기가 소진된 후에는 다시 압축공기 캡슐을 교체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형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압축공기 캡슐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없다는 제한이 있어서 충분한 양의 압축공기를 제공하는데도 제한이 따른다.However, since these conventional oral irrigators use only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compressed air capsule, after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compressed air capsule is exhausted, the compressed air capsule must be replaced and used again, which is cumbersome to use.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size of the compressed air capsule cannot be increased in order to be used as a portable type, so there is a limitation in providing a sufficient amount of compressed air.

등록특허공보 제10-1956363호(공고일자: 2019.03.0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56363 (Announcement date: 2019.03.08.)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이용한 에어 구강 세정기에 있어서, 구강 세정에 충분한 압축공기를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전체 사이즈의 소형화에 유리한 구조를 갖는 에어 구강 세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oral irrigator using compressed air, capable of stably supplying sufficient compressed air for oral rinsing,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irrigator having a structure advantageous to miniaturization of the overall siz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구강 세정기는, 하우징 몸체부와; 상기 하우징 몸체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압축공기가 토출되는 노즐과; 상기 하우징 몸체부에 구비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압축공기 발생모듈과; 상기 하우징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 저장부와;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에서 상기 공기 저장부로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체크 밸브와; 상기 하우징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저장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노즐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조작 밸브를 포함한다.The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housing body; a nozzl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and discharging compressed air; a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to generate compressed air; an air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to stor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a check valve for regulating a reverse flow of compressed air transferr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to the air storage unit; and an operating valve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to control discharge of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air storage unit to the nozzle.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몸체부에 구비되어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저장부와; 상기 세정액 저장부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공기 저장부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와 혼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벤츄리관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a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to store a cleaning liquid; A venturi pipe for mixing and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with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torage unit is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저장부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부와; 상기 압력 센서부의 검출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a pressure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air storage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unit is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은, 모듈 하우징과; 상기 모듈 하우징 내에 구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와;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의 샤프트에 축설되는 두 개 이상의 다단 임펠러와; 상기 모듈 하우징의 내측면에 축방향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includes a module housing; a brushless motor provided in the module housing; two or more multi-stage impellers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brushless motor; It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provided to have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과 상기 하우징 몸체부는 클램프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어 클램프의 잠금/풀림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nozzle and the housing body are fixed via a clamp so that they can be attached or detached by locking/unlocking the clamp.

본 발명에 따른 에어 구강 세정기는, 압축공기 발생모듈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공기 저장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구강 세정에 필요한 공기압을 안정적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구강 세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air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so that the air pressure required for oral washing can be stably supplied, thereby increasing the oral washing effect.

또한, 본 발명의 에어 구강 세정기는, 브러시리스 모터와, 이 블러시리스 모터에 축설되는 다단의 임펠러로 구성되어 압축공기 발생을 위한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구강 세정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고압의 압축공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ir oral irrig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rushless motor and a multi-stage impeller built into the brushless motor, so that the module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can be miniaturiz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oral irrigator and providing sufficient high pressure. It has the effect of obtaining compressed ai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구강 세정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구강 세정기의 압축공기 발생모듈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구강 세정기의 단면 구성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of the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in contact” with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구강 세정기의 단면 구성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에어 구강 세정기는, 수납공간을 갖는 하우징 몸체부(110)와, 하우징 몸체부(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노즐(120)과,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압축공기 발생모듈(130)과, 압축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공기 저장부(140)와,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체크 밸브(150)와, 공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조작 밸브(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air oral irrigat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body portion 110 having a storage space, a nozzle 1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portion 110, and compression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n air generating module 130, an air storage unit 140 for storing compressed air, a check valve 150 for regulating the reverse flow of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and an air storage It includes an operating valve 160 for regulating the discharge of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unit 140.

하우징 몸체부(110)는 에어 구강 세정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주요 구성들은 하우징 몸체부(110) 내에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긴 원통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 몸체부(110)의 하단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홀(111)이 형성된다.The housing body portion 110 constitutes the exterior of the air oral irrigator, and the main components have a storage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portion 110, and has an overall long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it with one hand. .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body 110 is formed with an air inlet hole 11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하우징 몸체부(110)의 상단에는 압축공기를 토출하게 되는 노즐(120)이 구비된다. 노즐(120)은 직접 구강 안쪽으로 삽입에 불편함이 없도록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A nozzle 120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110 to discharge compressed air. The nozzle 120 may have a curved shape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inserting it directly into the oral cavity, but the shape may be variously modified.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은 하우징 몸체부(110) 내에서 대략 하단에 배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게 되며, 압축공기 발생모듈(130)과 인접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10)가 구비된다. 배터리(210)는 충전이 가능한 주지의 충전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is disposed approximately at the bottom within the housing body 110 to generate compressed air, and a battery 210 for supplying power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 The battery 210 may be provided by a known rechargeable battery capable of being charged.

공기 저장부(140)는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장하게 되며, 하우징 몸체부(110) 내에서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 저장부(140)는 하우징 몸체부(110)의 수납 공간의 일부를 밀폐하여 제공될 수도 있으나, 하우징 몸체부(110)와는 별도의 밀폐된 챔버로 이루어져 내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소재의 용기에 의해 제공된다.The air storage unit 140 stores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and is preferably disposed on top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within the housing body 110. The air storage unit 140 may be provided by sealing a part of the storage space of the housing body 110, but it is a container made of a material that can sufficiently withstand the internal pressure and is composed of a separate sealed chamber from the housing body 110. provided by

압축공기 발생모듈(130)과 공기 저장부(140) 사이의 유로 상에는 압축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150)가 마련된다. A check valve 150 for preventing a reverse flow of compressed air is provided on a flow path between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and the air storage unit 140 .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의 토출단에는 압축공기가 노즐(120)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조작 밸브(160)가 구비되며, 이 조작 밸브(160)는 하우징 몸체부(110)의 바깥으로 조작 버튼과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다.The discharge end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valve 160 for regulating the discharge of compressed air to the nozzle 120, and the operating valve 16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body 110. It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button and can be operat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의 토출단에는 토출되는 압축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 필터(101)가 구비된다. 한편, 이러한 에어 필터는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의 토출단 이외에도 공기 유로 상에 추가로 구비되어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an air filter 101 is provided at the discharge end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such an air filter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in addition to the discharge end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mixed.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몸체부(110)는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저장부(170)와, 이 세정액 저장부(170)에 저장된 세정액을 공기 저장부(140)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와 혼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벤츄리관(180)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housing body 110 includes a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170 in which cleaning liquid is stored, and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170 is mixed with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torage unit 140 and discharged. It further includes a venturi tube 180 for

세정액 저장부(170)는 압축공기와 함께 혼입되어 구강 세정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능성 용액을 저장하게 되며, 예를 들어, 살균, 입 냄새 제거, 프라그 제거 등이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세정액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washing liquid storage unit 170 is mixed with compressed air to store a functional solution for enhancing the oral cleaning effect. can

벤츄리관(180)은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의 토출 구간에 마련되며, 벤츄리관(180)에서는 압력차에 의해 세정액 저장부(170)에 저장된 세정액과 압축공기의 혼입이 이루어져 에어로졸 형태로 노즐(120)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세정액 저장부(170)와 벤츄리관(180) 사이의 유로 상에는 세정액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는 별도의 밸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밸브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버튼이 하우징 몸체부(110)에 별도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세정액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The venturi tube 180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section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and in the venturi tube 180,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170 is mixed with compressed air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so that a nozzle in the form of an aerosol is produced. Discharge is made via 120.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valve capable of regulating the supply of the cleaning liquid may be provided on the flow path between the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170 and the venturi tube 180, and a control button capable of operating the valve may be provided on the housing body portion. 110, the user can select whether or not to use the cleaning solution.

조작 밸브(160)는 노즐(120)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최종 토출단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작 밸브는 기구적인 밸브이거나 전동식 밸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The control valve 160 is provided at the final discharge end of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to the nozzle 120 and is operated by a user's manipulation. This control valve may be provided by a mechanical valve or an electric valve.

바람직하게는, 공기 저장부(140)는 내압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부(2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 몸체부(110) 내에는 압력 센서부(201)의 검출 신호를 검출하여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ir storage unit 14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unit 201 for detecting internal pressure, and a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unit 201 is detected in the housing body 110 to generate compressed ai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200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generation module 130 .

제어부(200)는 압력 센서부(201)의 압력 신호를 검출하고, 공기 저장부(140)의 내압이 일정 압력 이하인 경우에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을 구동하여 공기 저장부(140)를 적정 압력까지 충전하여 공기 저장부(140)는 항시 일정 압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detects the pressure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unit 201 and,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 storage unit 140 is below a certain pressure, drives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to titrate the air storage unit 140. By filling up to the pressure, the air storage unit 140 can always maintain a constant pressure leve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구강 세정기의 압축공기 발생모듈의 단면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of the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은 모듈 하우징(131)과, 모듈 하우징(131) 내에 구비되는 모터(132)와, 모터(132)의 샤프트에 축설되는 두 개 이상의 임펠러(133)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모듈 하우징(131)의 내측 면에 축방향(c)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34)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module housing 131, a motor 132 provided in the module housing 131, and two or more components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motor 132. It includes an impeller 133, and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134 provided to have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c)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31.

모듈 하우징(131)은 하단에 공기 유입홀(131a)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공기 유입홀(131a)은 유입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에어 필터가 부가될 수 있다.An air inlet hole 131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odule housing 131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 Although not shown, an air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inlet air may be added to the air inlet hole 131a. .

모터(132)는 내구성이 높고 고속 회전에 유리한 브러시리스 모터(BLDC)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모터(132)의 샤프트에는 두 개 이상의 다단 임펄러(133)가 축설되어 고압의 압축공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motor 132 may be provided by a brushless motor (BLDC) that is highly durable and advantageous for high-speed rotation, and two or more multi-stage impellers 133 are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motor 132 to generate high-pressure compressed air. can make it

블레이드(134)는 모듈 하우징(131)의 내측 면에 경사를 갖도록 배치되며, 공기 유입홀(131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류를 유도하여 역류를 방지하면서도 다단 임펄러(133)에서의 공기 압축율을 높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얻을 수 있다.The blade 134 is disposed to have an inclina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31, induces a rotational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hole 131a to prevent reverse flow, and air in the multi-stage impeller 133.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pressure compressed air by increasing the compression ratio.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모듈 하우징(131)을 별도로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모듈 하우징(131)은 하우징 몸체부의 일부 수용 공간을 구획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공기 유입홀(131a)은 하우징 몸체부(110)의 공기 유입홀(111)(도 1 참고)과 대응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module housing 131 has been separately exemplified and described to aid understanding, the module housing 131 may be provided by partitioning a portion of the housing body portion, and in this case, the air inlet hole 131a is Corresponds to the air inlet hole 111 (see FIG. 1) of the housing body 11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구강 세정기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압축공기가 발생되는 하우징 몸체부(310)와, 이 하우징 몸체부(310)에 수납되는 주요 구성은 앞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since the housing body portion 310 generating compressed air and the main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portion 31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에어 구강 세정기는, 하우징 몸체부(310)와 노즐(320)은 클램프(330)를 매개로 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며, 클램프(330)의 잠금/풀림에 의해 노즐(320)의 탈부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320)은 브러쉬 일체형의 노즐로써, 압축공기가 토출되는 에어 토출구(321)가 마련된다.As illustrated in FIG. 3 , in the air oral irrigator of this embodiment, the housing body 310 and the nozzle 320 are fixed via the clamp 330, and locking/unlocking of the clamp 330 As a result, the nozzle 320 can be attached or detached. In this embodiment, the nozzle 320 is a brush-integrated nozzle, and is provided with an air outlet 321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is discharged.

이러한 클램프(330)는 하우징 몸체부(310)와 노즐(320)과 각각 나사 조립되어 하우징 몸체부(310)와 노즐(320)을 고정하게 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서 잠금/풀림이 이루어진다.The clamp 330 is screwed together with the housing body 310 and the nozzle 320 to fix the housing body 310 and the nozzle 320, and is locked/unlock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에어 구강 세정기는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서 다양한 노즐(320)을 선택하여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The air oral irrig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by selecting and replacing various nozzles 320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10 : 하우징 몸체부 120 : 노즐
130 : 압축공기 발생모듈 140 : 공기 저장부
150 : 체크 밸브 160 : 조작 밸브
170 : 세정액 저장부 180 : 벤츄리관
190 : 클램프 200 : 제어부
201 : 압력 센서부
110: housing body 120: nozzle
130: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40: air storage unit
150: check valve 160: operation valve
170: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180: Venturi tube
190: clamp 200: control unit
201: pressure sensor unit

Claims (5)

하우징 몸체부(110)와;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압축공기가 토출되는 노즐(120)과;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압축공기 발생모듈(130)과;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 저장부(140)와;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에서 상기 공기 저장부(140)로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역방향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체크 밸브(150)와;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노즐(120)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조작 밸브(160)와;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에 구비되어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저장부(170)와;
상기 세정액 저장부(170)에 저장된 세정액을 상기 공기 저장부(140)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와 혼합하여 배출하기 위한 벤츄리관(180)과;
상기 공기 저장부(140)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센서부(201)와;
상기 압력 센서부(201)의 검출 신호에 의해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공기 발생모듈(130)은,
모듈 하우징(131)과;
상기 모듈 하우징(131) 내에 구비되는 브러시리스 모터(132)와;
상기 브러시리스 모터(132)의 샤프트에 축설되는 두 개 이상의 다단 임펠러(133)와;
상기 모듈 하우징(131)의 내측면에 축방향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34)를 포함하는 에어 구강 세정기.
a housing body 110;
a nozzle 120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body 110 and discharging compressed air;
a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0 to generate compressed air;
an air storage unit 140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0 to stor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a check valve 150 for regulating the reverse flow of compressed air transmitted from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to the air storage unit 140;
an operating valve 160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0 to regulate discharge of the compressed air stored in the air storage unit 140 to the nozzle 120;
a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170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110 to store a cleaning liquid;
a venturi tube 180 for mixing and discharging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170 with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storage unit 140;
a pressure sensor unit 201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air storage unit 140;
And a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by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unit 201,
The compressed air generating module 130,
module housing 131;
a brushless motor 132 provided in the module housing 131;
two or more multi-stage impellers 133 installed on the shaft of the brushless motor 132;
Air oral irrig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blades 134 provided to have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housing 13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120)과 상기 하우징 몸체부(110)는 클램프(330)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어 클램프(330)의 잠금/풀림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구강 세정기.

The air oral irrig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zzle 120 and the housing body 110 are fixed via a clamp 330 and detachable by locking/unlocking the clamp 330. .

KR1020200100902A 2019-10-31 2020-08-12 Air tooth cleaner KR102486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02A KR102486719B1 (en) 2020-08-12 2020-08-12 Air tooth cleaner
PCT/KR2020/014575 WO2021085949A1 (en) 2019-10-31 2020-10-23 Oral cleaner using 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902A KR102486719B1 (en) 2020-08-12 2020-08-12 Air tooth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047A KR20220021047A (en) 2022-02-22
KR102486719B1 true KR102486719B1 (en) 2023-01-11

Family

ID=8049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902A KR102486719B1 (en) 2019-10-31 2020-08-12 Air tooth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71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558A (en) * 2002-08-20 2004-03-11 Kikuchiseisakusho Co Ltd Oral cavity cleaning device
JP2008515489A (en) * 2004-10-07 2008-05-15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790635B1 (en) * 2014-05-26 2017-10-26 웬-산 초우 portable air injector equipment se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935B1 (en) * 2013-05-09 2015-05-28 김기수 Mixing type Oral Irrigator
KR101956363B1 (en) 2017-03-29 2019-03-08 신춘우 Cleaning device of oral cavity using compressed 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558A (en) * 2002-08-20 2004-03-11 Kikuchiseisakusho Co Ltd Oral cavity cleaning device
JP2008515489A (en) * 2004-10-07 2008-05-15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790635B1 (en) * 2014-05-26 2017-10-26 웬-산 초우 portable air injector equipment s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047A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236B2 (en) Steam vacuum cleaner
US6471679B1 (en) Portable nasal mucus removing device
US5184370A (en) Detergent injection type vacuum cleaner
US20220127121A1 (en) A cartridge and a base unit for use in an oral care appliance
CN110167479A (en) Oral rinsing device
JP2005137660A (en) Dental apparatus and liquid tank used therein
US8894750B2 (en) Holding tank-less water ozonating system
FR2812203A1 (en) PATIENT VENTILATION ASSISTANCE APPARATUS
US8454360B2 (en) Liquid droplet interproximal cleaning apparatus with gas stream protection
US9150443B2 (en) Holding tank-less water ozonating system using electrolytic decomposition of water
KR102486719B1 (en) Air tooth cleaner
JP2011200424A (en) Oral cavity purifier
US7322071B2 (en) Complex type cleaner
JPH11104149A (en) Hand-piece for dental sandblast
US20050096573A1 (en) Non-electrical driven dental hygiene pulsating sprayer
WO2009119519A1 (en) Medicine administration device
JP2015217175A (en) Oral cavity washing device
KR20190135615A (en) Rechargeable Automatic Sprayer
CN115104944A (en) Spot cleaner apparatus
CN219020954U (en) Mouthwash machine
CN217219540U (en) Nose washing device
KR200324957Y1 (en) Eyewash container
CN215290569U (en) Sewage lifting mechanism
KR200245005Y1 (en) Cleanse polisher
KR102341664B1 (en) Spray apparatus for dis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