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676B1 -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676B1
KR102486676B1 KR1020210029670A KR20210029670A KR102486676B1 KR 102486676 B1 KR102486676 B1 KR 102486676B1 KR 1020210029670 A KR1020210029670 A KR 1020210029670A KR 20210029670 A KR20210029670 A KR 20210029670A KR 102486676 B1 KR102486676 B1 KR 102486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water
water tank
toilet seat
steriliz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5603A (ko
Inventor
김민
김유철
이주현
김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에이
Priority to KR102021002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6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의 외부 살균은 물론 내부를 효과적으로 살균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이 수도와 연결되어 설정된 수위 이하일 경우에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하게 되며, 하면 일측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된 살균수 탱크(10); 상기 살균수 탱크(10)가 상부에 올려지고, 상면에는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배수구(11)를 통한 살균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 안내공간(21)과, 배수 안내공간(21)과 연결되어 배수된 살균수가 수용되는 살균수 수용공간(22)이 형성되며, 살균수 탱크(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케이스(25)로 감싸여진 살균장치 본체(20); 상기 본체케이스(25)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채로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상부 일측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고, 살균수 탱크(10)로 투입되는 살균제가 수용된 살균제 카트리지(30); 상기 살균제 카트리지(30)와 살균수 탱크(10)를 연결하는 연결관(12)에 설치되어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35);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내부에 살균제의 용존함량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TDS센서(40); 상기 살균수 수용공간(22)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가습시켜 가습공기로 변환시켜 주는 가습수단(45); 상기 가습수단(45)에 의해 발생된 가습공기를 좌변기 외부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도록 상기 살균수 수용공간(22)과 마주보는 살균수 탱크(10)의 하면에서부터 상면 또는 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습공기 배출통로(50); 좌변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분사노즐(60) 및 상기 살균수 탱크(10)에 저장된 살균수를 펌핑시켜 분사노즐(60)로 이동시켜 주는 살균수 펌프(65); 상기 살균장치 본체(20)에 설치되는 제어부(7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Sterilization apparatus for a toilet stool}
본 발명은 좌변기의 외부 살균은 물론 내부를 효과적으로 살균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심한 악취가 발생되고 수많은 병원균이 잔존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의 내부공간은 통풍이 원활하지 않고 실내와 비교하여 습도가 높으므로 잔존된 병원균이 빠르게 증식된다.
이에 따라 화장실에 다양한 방향제를 설치하거나, 변기커버의 위생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회용 커버나 소독을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위생장치들은 대부분의 화장실 병원균이 배설물을 통해 존재하게 된다는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못한 임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여전히 변기로 배설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을 포함하는 용수가 미세한 방울 형태로 화장실의 내부공간으로 비산된 후 잔류하거나 증식되면서 화장실을 오염시키게 된다.
그리고, 병원균은 개방된 화장실 출입구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확산되어 2차 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보게 되면 비산되는 병원균이 직접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므로, 병원균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고, 특히 신체 구조상 항상 변기에 착석하여 용변을 보는 여성의 경우에는 화장실병원균에 대한 감염정도가 높고 다양한 부인병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변기의 병원균 살균을 위한 기술로서, 변기의 저수조에 구비하여 용수 자체를 살균시켜 주도록 하는 살균장치가 출원된 바 있고, 이외에도 살균수를 시트나 변기 내부로 분사하여 살균하거나 별도로 스팀살균하여 세척하도록 한 장치들이 출원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살균장치는 좌변기의 용수를 살균시켜 주도록 하거나 또는 변기의 내부 공간이나 변좌시트를 살균하는 것일 뿐 좌변기의 외표면이나 좌변기가 구비된 화장실의 해당 칸의 실내공간을 동시에 살균하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았다.
물론, 방향제와 같이 실내공간에 살균수를 미스트형태로 분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단순히 화장실의 실내공간에 살균수를 분사하는 것일 뿐 좌변기가 구비된 해당 칸의 실내공간은 물론 좌변기의 외표면을 살균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병원균 등의 오염균은 좌변기의 내부는 물론 좌변기가 구비된 해당 칸의 실내공간에 비산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오염균을 효과적으로 살균하지는 못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25342호(2019.09.19.,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1016호(2017.04.14., 살균수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살균수를 가습공기로 변환하여 분무하여 좌변기의 외부는 물론 좌변기가 구비된 화장실 실내공간을 살균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살균수를 좌변기의 내부로 미스트형태로 분사하여 변좌시트는 물론 좌변기 내벽을 살균시켜 주도록 한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소모품인 살균제가 살균장치 본체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카트리지형태로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살균제의 혼합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적정량의 살균제 공급으로 살균제의 낭비 및 살균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일측이 수도와 연결되어 설정된 수위 이하일 경우에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하게 되며, 하면 일측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된 살균수 탱크(10); 상기 살균수 탱크(10)가 상부에 올려지고, 상면에는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배수구(11)를 통한 살균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 안내공간(21)과, 배수 안내공간(21)과 연결되어 배수된 살균수가 수용되는 살균수 수용공간(22)이 형성되며, 살균수 탱크(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케이스(25)로 감싸여진 살균장치 본체(20); 상기 본체케이스(25)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채로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상부 일측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고, 살균수 탱크(10)로 투입되는 살균제가 수용된 살균제 카트리지(30); 상기 살균제 카트리지(30)와 살균수 탱크(10)를 연결하는 연결관(12)에 설치되어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35);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내부에 살균제의 용존함량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TDS센서(40); 상기 살균수 수용공간(22)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가습시켜 가습공기로 변환시켜 주는 가습수단(45); 상기 살균수 수용공간(22)과 마주보는 살균수 탱크(10)의 하면에서부터 상면 또는 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습수단(45)에 의해 발생된 가습공기를 좌변기 외부 및 좌변기가 구비된 화장실의 실내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는 가습공기 배출통로(50); 좌변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펌핑된 살균수를 좌변기의 내벽면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60); 상기 살균수 탱크(10) 또는 살균수 수용공간(22)에 수용된 살균수를 펌핑시켜 분사노즐(60)로 이동시켜 주는 살균수 펌프(65); 상기 살균장치 본체(20)에 설치되어 워터펌프(15)와 전자밸브(35)와 가습수단(45) 및 살균수 펌프(6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습공기 배출통로(5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습공기를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실내공간은 물론 좌변기의 외표면 전체에 강제 분무시켜 주도록 송풍팬(55)이 설치되며,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내부에는 살균제 카트리지(30)에서 공급된 살균제를 교반시켜 주도록 교반기(17)가 설치된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살균장치 본체(20)에는 좌변기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오염도 측정센서(80)가 설치되고, 사용자를 감지하여 좌변기의 사용유무를 확인하도록 사용자 감지센서(85)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에 따르면, 살균수를 가습공기를 변환하여 좌변기의 외부로 분무시켜 줌은 물론, 분사노즐을 통해 좌변기의 내부로 살균수를 분사해 줌으로써 화장실 실내공간은 물론 좌변기의 내외부를 효과적으로 살균시켜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수 탱크를 살균장치 본체에서 분리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의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는 화장실의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것이고, 화장실 내부의 좌변기 외부는 물론 좌변기 내부를 살균시켜 주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살균수가 저장되는 살균수 탱크(10)와, 살균수 탱크(10)가 상부에 올려지는 살균장치 본체(20)와, 살균수 탱크(10)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살균제 카트리지(30)와, 전자밸브(35)와, TDS센서(40)와, 가습수단(45)과, 가습공기 배출통로(50)와, 분사노즐(60) 및 살균수 펌프(65)와, 제어부(70)로 구성되어 있고, 살균장치 본체(20)는 살균제 카트리지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살균수 탱크 등 나머지 구성을 모두 커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케이스(25)를 포함한다.
살균수 탱크(10)는 살균수가 저장되는 탱크로서, 일측에는 수도와 연결되는 호스가 결합되어 있고, 이 호스를 통해 물을 공급받게 된다.
이때, 물 공급시 역류 등을 방지하기 위해 물 공급을 위해 별도로 워터펌프(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설정된 수위 이하일 경우에 워터펌프(15)가 작동되어 펌핑동작되면서 물을 내부 수용공간으로 저장하게 된다.
수위측정을 위해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일측에는 수위센서(13)가 설치된다. 수위센서(13)는 살균수 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외부에 물과 비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살균수 탱크(10)의 하면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살균수의 배수를 위해 배수구(11)가 형성된다.
살균수 탱크(10)에는 살균제가 투입되면서 내부로 공급된 물에 살균제가 희석되어져 살균수를 만들게 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살균수 탱크(10)의 상부 일측에는 살균제가 수용되어 있는 살균제 카트리지(30)가 구비된다.
살균제 카트리지(30)는 살균수 탱크(10)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살균제를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균제 카트리지(30)와 살균수 탱크(10)를 연결하는 연결관(12)에는 살균제의 정량 투입을 위해 전자밸브(35)가 구비된다.
전자밸브(35)는 예로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유로를 개방하게거나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전자밸브(35)를 개폐를 통해 살균제를 살균수 탱크(10)로 투입시킬 경우, 상기 살균수 탱크(10)에 저장된 살균수에 포함된 살균제의 용존함량을 감지하기 위해 TDS센서(40)가 설치된다.
TDS센서(4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70)로 전달되는 것이며, 제어부(70)에서는 TDS센서(40)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살균제의 투입량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살균수 탱크(10)에 적정량의 살균제가 투입되어 희석된 상태에서 살균수의 일부가 배수구(11)를 통해 배수되어져 저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 워터펌프(15)가 작동되면서 물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살균수의 살균제 용존함량이 그만큼 낮아지게 되는데, TDS센서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가 전자밸브(35)를 개방하여 살균제 카트리지(30)에 수용된 살균제를 살균수 탱크(10)의 내부로 적정량 투입시켜 설정된 용존함량 수치로 맞춰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내부에는 살균제 카트리지(30)에서 공급된 살균제를 교반시켜 주도록 교반기(17)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기(17)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살균제를 살균수 탱크(10)의 내부로 투입되면 물과 희석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TDS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부정확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투입된 살균제를 단시간내에 혼합시켜 줌으로써 용존함량의 측정시간 단축은 물론 용존함량의 정확도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살균장치 본체(20)는 살균수 탱크(10)의 설치를 위해 구비되는 것이고, 표면에는 동작상태 등의 확인을 위해 디스플레이창이 설치되어 있으며, 살균수 탱크(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채 살균제 카트리지(30)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본체케이스(25)로 감싸여져 있다.
살균제 카트리지(30)는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25)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게 구비된다.
제어부(70)는 전원 및 각종 조작버튼과 이러한 버튼은 물론 각 부품(워터펌프, 전자밸브, 가습수단, 살균수 펌프 등)의 제어를 위해 설계된 PCB기판 등을 포함한다.
살균장치 본체(20)의 상부에 상기 살균수 탱크(10)가 올려지는 것이고, 상면에는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살균수의 안내를 위한 배수 안내공간(21)과, 배수 안내공간(21)과 연결되어 배수된 살균수가 수용되는 살균수 수용공간(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 안내공간(21)과 살균수 수용공간(22)의 청소 등을 위해, 상기 살균수 탱크(10)는 살균장치 본체(20)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가습수단(45)은 살균수 수용공간(22)에 수용된 살균수를 가습시켜 가습공기로 변환해 주기 위한 수단이고, 예로서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할 수 있다.
가습공기 배출통로(50)는 상기 살균수 수용공간(22)과 마주보는 살균수 탱크(10)의 하면에서부터 상면 또는 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통로로서, 상기 가습수단(45)에 의해 발생된 가습공기를 좌변기 외부공간으로 배출시켜 주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습공기 배출통로(5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습공기를 외부로 강제 분무시켜 주도록 송풍팬(55)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55)이 설치됨에 따라 가습공기를 강제로 분무시켜 줌에 따라 살균수 탱크가 구비된 부근 외에도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실내공간은 물론 좌변기의 외표면 전체에 가습공기를 분무시켜 줄 수 있음으로써 살균효과를 더욱 높여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수 탱크(10) 또는 살균수 수용공간(22)에는 살균수 펌프(65)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수 펌프(65)에는 펌핑된 살균수의 분사를 위해 분사호스(61)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분사호스(61)의 단부에는 살균수를 좌변기의 내벽면으로 분사시켜 주기 위해 분사노즐(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60)은 좌변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수 펌프(65)의 펌핑동작에 의해 펌핑되어 살포된 살균수에 의해 좌변기의 내부공간 및 내벽면을 살균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살균장치는 가습공기를 좌변기가 구비된 화장실의 실내공간으로 분무시켜 줌으로써 화장실 실내공간은 물론 좌변기의 외표면의 살균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분사노즐(60)을 통해 살균수를 좌변기의 내부공간을 분사시켜 줌으로써 좌변기의 내부공간도 살균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70)는 수위센서(13)로부터 수위정보를 전달받아 워터펌프(15)의 온오프(on/off)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키게 되고, TDS센서(40)로부터 살균제의 용존함량 정보를 전달받아 전자밸브(35)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키게 된다.
또한, 제어부(70)는 가습수단(45)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게 되고, 살균수 펌프(65)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살균장치 본체(20)에는 전원 온오프버튼은 물론 각종 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70)에 의한 가습수단의 작동과 살균수 펌프의 작동은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거나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한 수동조작을 통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제어시 타이머에 의한 작동 외에도 별도로 좌변기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도 측정센서(80)를 더 구비하여 측정된 오염도가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오염도 측정센서(80)는 좌변기가 구비된 화장실의 해당 칸막이 내부공간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염도 측정센서(80)외에 온도센서나 습도센서 등의 센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분사노즐(60)을 통해 살균수가 분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를 감지하여 좌변기의 사용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감지센서(8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감지센서(85)는 좌변기의 변좌시트에 설치되거나 좌변기가 구비된 해당 칸막이 내부공간 벽면이나 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공기를 분무하여 좌변기의 외부는 물론 좌변기가 구비된 화장실 내부 해당 칸의 실내공간을 살균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살균수의 분사를 통해 변좌시트는 물론 좌변기 내벽 및 내부공간을 살균시켜 줄 수 있어 살균효율을 매우 높여줄 수 있다.
특히, 소모품인 살균제가 카트리지형태로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10: 살균수 탱크 11: 배수구
12: 연결관 13: 수위센서
15: 워터펌프 17: 교반기
20: 살균장치 본체 21: 배수 안내공간
22: 살균수 수용공간 25: 본체케이스
30: 살균제 카트리지 35: 전자밸브
40: TDS센서 45: 가습수단
50: 가습공기 배출통로 55: 송풍팬
60: 분사노즐 61: 분사호스
65: 살균수 펌프 70: 제어부
80: 오염도 측정센서 85: 사용자 감지센서

Claims (4)

  1. 일측이 수도와 연결되어 설정된 수위 이하일 경우에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저장하게 되며, 하면 일측에는 배수구(11)가 형성된 살균수 탱크(10);
    상기 살균수 탱크(10)가 상부에 올려지고, 상면에는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배수구(11)를 통한 살균수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 안내공간(21)과, 배수 안내공간(21)과 연결되어 배수된 살균수가 수용되는 살균수 수용공간(22)이 형성되며, 살균수 탱크(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본체케이스(25)로 감싸여진 살균장치 본체(20);
    상기 본체케이스(25)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된 채로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상부 일측에 교체가능하게 구비되고, 살균수 탱크(10)로 투입되는 살균제가 수용된 살균제 카트리지(30);
    상기 살균제 카트리지(30)와 살균수 탱크(10)를 연결하는 연결관(12)에 설치되어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35);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내부에 살균제의 용존함량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TDS센서(40);
    상기 살균수 수용공간(22)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가습시켜 가습공기로 변환시켜 주는 가습수단(45);
    상기 살균수 수용공간(22)과 마주보는 살균수 탱크(10)의 하면에서부터 상면 또는 측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습수단(45)에 의해 발생된 가습공기를 좌변기 외부 및 좌변기가 구비된 화장실의 실내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는 가습공기 배출통로(50);
    좌변기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펌핑된 살균수를 좌변기의 내벽면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60);
    상기 살균수 탱크(10) 또는 살균수 수용공간(22)에 수용된 살균수를 펌핑시켜 분사노즐(60)로 이동시켜 주는 살균수 펌프(65);
    상기 살균장치 본체(20)에 설치되어 워터펌프(15)와 전자밸브(35)와 가습수단(45) 및 살균수 펌프(6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습공기 배출통로(50)를 통해 배출되는 가습공기를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실내공간은 물론 좌변기의 외표면 전체에 강제 분무시켜 주도록 송풍팬(55)이 설치되며,
    상기 살균수 탱크(10)의 내부에는 살균제 카트리지(30)에서 공급된 살균제를 교반시켜 주도록 교반기(1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 본체(20)에는 좌변기 주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도록 오염도 측정센서(80)가 설치되고, 사용자를 감지하여 좌변기의 사용유무를 확인하도록 사용자 감지센서(8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KR1020210029670A 2021-03-05 2021-03-05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KR102486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70A KR102486676B1 (ko) 2021-03-05 2021-03-05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70A KR102486676B1 (ko) 2021-03-05 2021-03-05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603A KR20220125603A (ko) 2022-09-14
KR102486676B1 true KR102486676B1 (ko) 2023-01-10

Family

ID=8327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670A KR102486676B1 (ko) 2021-03-05 2021-03-05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6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3390A (ja) *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Lixil 泡発生装置および便器
KR101870283B1 (ko) * 2017-10-31 2018-07-23 주식회사 프레시즘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497B1 (ko) * 2012-12-28 2019-10-01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살균기능이 구비된 비데
KR102456314B1 (ko) 2015-10-06 2022-10-19 코웨이 주식회사 살균수 분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2056317B1 (ko) * 2017-09-15 2019-12-16 김세웅 공중화장실 변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2025342B1 (ko) 2018-09-03 2019-09-25 이민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3390A (ja) *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Lixil 泡発生装置および便器
KR101870283B1 (ko) * 2017-10-31 2018-07-23 주식회사 프레시즘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화장실 살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603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034B1 (ko) 사람 소독 장치
US5906009A (en) Toilet bowl noxious fume and mist evacuation
KR20100011542U (ko) 살균수 분무 장치
KR101382693B1 (ko)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KR101628229B1 (ko) 위생 세정 장치
CN113091250A (zh) 卫生间空调器的杀菌控制方法及卫生间空调器
KR102212662B1 (ko) 다기능 변기세정장치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2486676B1 (ko) 좌변기 내외부 살균장치
KR20190061457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0398315Y1 (ko) 사람 소독 시스템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100688927B1 (ko) 자동 급수 방식의 복합기능 가정용 가습기
KR101671743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0468386B1 (ko) 공동주택 실내 출입용 인체 소독기구 박스 설치 구조
KR101775395B1 (ko) 위생 세정 장치
KR102258492B1 (ko) 변기 오물 유출 방지 장치
KR200464141Y1 (ko) 공기 제균장치 및 이를 갖는 비데
KR20230061722A (ko) 스마트 IoT 마나케어 살균장치
CN217578395U (zh) 一种厕所空间、水体综合消毒杀菌除臭系统
CN218757806U (zh) 小便器
KR20220139084A (ko) 화장실용 살균 청정기
KR200344348Y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2485270B1 (ko) 좌변기용 소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