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466B1 -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6466B1
KR102486466B1 KR1020220099375A KR20220099375A KR102486466B1 KR 102486466 B1 KR102486466 B1 KR 102486466B1 KR 1020220099375 A KR1020220099375 A KR 1020220099375A KR 20220099375 A KR20220099375 A KR 20220099375A KR 102486466 B1 KR102486466 B1 KR 102486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interaction robot
iot device
communication unit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466B9 (ko
Inventor
박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큘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큘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큘러스
Priority to KR102022009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466B1/ko
Publication of KR10248646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46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랙션 로봇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게 인터넷을 무선 공유하고, 각 IoT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고,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INTERACTION ROBOT,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HOME NETWORKING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랙션 로봇을 이용하여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다양한 IoT(Internet on Things) 디바이스 및/또는 적외선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란, 가정 등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TV, 에어컨, 냉장고 등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들이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고,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일컫는다.
최근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가파르게 증대되고 사용자가 가정 내에서 체류하는 시간 또한 늘어남에 따라, IoT 기능을 갖는 가전 제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정 내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가정 내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특정 디바이스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기(예, 스마트폰)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IoT 디바이스만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IoT 디바이스는 비-IoT 디바이스 대비 고가이기 때문에, IoT 디바이스만으로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을 구축하는 데에는 상당한 금전적 제약이 따른다.
또한,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 내에 미리 정의(등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매핑된 몇몇 특정 동작만을 실행하도록 운용됨으로써, 내외부 상황에 맞춰 좀 더 적응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적외선 디바이스(예, 적외선 리모콘)는 뛰어난 사용 편의성으로 수많은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적외선 디바이스는 비-IoT 디바이스에 해당하기 때문에, 기존의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에서는 적외선 디바이스의 활용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이 구축된 관리 대상 공간의 내외부 상황에 맞춰, 관리 대상 공간 내 IoT 디바이스를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인터랙션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IoT 디바이스로서의 적외선 디바이스를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에 편입시킴으로써,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 내에서의 적외선 디바이스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터랙션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이 적용된 관리 대상 공간 내에서 인터랙션 로봇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하면서 IoT 디바이스, 적외선 디바이스 및 관리 대상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연관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IoT 디바이스 및/또는 적외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랙션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랙션 로봇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게 인터넷을 무선 공유하고, 각 IoT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고,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일정 기간 동안에 취득된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에 대한 분석 요청을 원격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분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된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패턴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의 시간대별 제어 필요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시간대별 제어 필요 기능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무선 공유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고, 상기 데이터 사용량이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사용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공유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복수의 대역폭 각각의 통신 상태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역폭 중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에 이용할 대역폭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대역폭으로 상기 IoT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랙션 로봇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출력 가능한 적외선 통신부, 및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위치 및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랙션 로봇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카메라, 조도 센서, 마이크로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공기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 중에서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과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 간의 이격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적외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의 하한보다 짧은 경우, 상기 이격 거리와 기준 거리 범위의 하한 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의 상한보다 긴 경우, 상기 이격 거리와 기준 거리 범위의 상한 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근접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거리 범위는,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의한 기준 적외선 신호의 수신 성공율이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미리 정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특정 기능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특정 기능이 미실행된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를 재출력하도록 상기 적외선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이 구축된 관리 대상 공간의 내외부 상황에 맞춰, 관리 대상 공간 내 IoT 디바이스를 적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인터랙션 로봇의 일종의 적외선 신호 중계기로서 활용하여, 비-IoT 디바이스로서의 적외선 디바이스를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에 편입시킴으로써,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 내에서의 적외선 디바이스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선 홈 네트워킹 환경이 적용된 관리 대상 공간 내에서 인터랙션 로봇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하면서 IoT 디바이스, 적외선 디바이스 및 관리 대상 공간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기초로 IoT 디바이스 및/또는 적외선 디바이스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어 대상이 되는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특성을 고려하여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대하여 인터랙션 로봇의 상대적인 위치와 지향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를 의도한 대로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랙션 로봇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터랙션 로봇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터랙션 로봇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터랙션 로봇의 외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10)은 IoT 디바이스(30) 및 인터랙션 로봇(100)을 포함한다.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10)은 적외선 디바이스(50), 통합 리모콘(70) 및 원격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10)이 IoT 디바이스(30) 및 인터랙션 로봇(100) 뿐만 아니라, 적외선 디바이스(50), 통합 리모콘(70) 및 원격 서버(200)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인터랙션 로봇(100)은,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10) 내에서, IoT 디바이스(30), 적외선 디바이스(50) 및 원격 서버(200)를 위한 일종의 중계기(지능형 허브)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인터랙션 로봇(100)은, 단독으로 또는 원격 서버(200)와의 협업을 통해, IoT 디바이스(30) 및 적외선 디바이스(50)를 제어함으로써, 관리 대상 공간(20)에 대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리 대상 공간(20)은, 인터랙션 로봇(100)을 활용하여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전체 공간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지칭하며, 예컨대 일반 가정, 사무실, 백화점 등과 같은 구조물의 전체 공간이거나 특정 용도의 객실(예, 거실, 침실)일 수 있다.
IoT 디바이스(3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디바이스로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IoT 디바이스(30) 및/또는 인터랙션 로봇(1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칭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신호, 블루투스 신호(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제어 가능한 에어컨, 램프, 플러그, 스피커, 공기 청정기, 가습기 등과 같은 IoT 디바이스(30)가 관리 대상 공간(20) 내에 인터랙션 로봇(100)과 함께 위치할 수 있다. 물론, 무선 통신의 종류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지그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신 통신을 제외하여 둘 이상의 통신 디바이스 간의 무선 통신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방하다.
적외선 디바이스(50)는, 적외선 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를 칭하며, 인터랙션 로봇(100)을 비롯한 타 디바이스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예,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IoT 디바이스(30)와 구별된다. 예를 들어, 적외선 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한 TV, 선풍기, 전자 시계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50)가 관리 대상 공간(20) 내에 인터랙션 로봇(100)과 함께 위치할 수 있다.
통합 리모콘(70)은, IoT 디바이스(30), 적외선 디바이스(50) 및 인터랙션 로봇(10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용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통합 리모콘(70)은, 그에 마이크로폰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수집하고 발화 음성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발화 음성의 내용을 기초로 IoT 디바이스(30) 및 적외선 디바이스(50) 중에서 제어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제어 대상 디바이스에게 발화 음성의 내용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예, 와이파이 신호) 및 적외선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통합 리모콘(70)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는 특정 대역폭(예, 2.4 GHz)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원격 서버(200)는, 인터랙션 로봇(100)으로부터, IoT 디바이스(30) 및/또는 적외선 디바이스(50)의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인터랙션 로봇(100)과 원격 서버(200)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물론, 그 밖의 공지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 서버(200)는, 인터랙션 로봇(100)이 관리 대상 공간(20)에 대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랙션 로봇(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서버(200)는 관리 대상 공간(20)의 외부에 배치되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랙션 로봇(100)과 함께 관리 대상 공간(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터랙션 로봇(100)은, 무선 통신부(110), 데이터 저장부(130) 및 데이터 처리부(150)를 포함하고, 적외선 통신부(120), 센싱부(140), 데이터 출력부(160), 입출력 포트(170) 및 구동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터랙션 로봇(100)이 무선 통신부(110), 저장부(130) 및 데이터 처리부(150) 뿐만 아니라, 적외선 통신부(120), 센싱부(140), 데이터 출력부(160), 입출력 포트(170) 및 구동부(180)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인터랙션 로봇(100)의 외관은 본체(101) 및 본체에 탈착 가능한 주행체(102)로 구분될 수 있고, 인터랙션 로봇(100)은 각 구성요소는 본체(101) 또는 주행체(102)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WAP(Wireless Access Point)를 포함하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통신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보안을 위해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그에 접속된 인터넷 통신 라인과 IoT 디바이스(30) 및 원격 서버(200) 중 적어도 둘 간의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IoT 디바이스(30) 및 원격 서버(200) 각각과 개별적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인터넷 공유(예, 핫스팟(hotspot) 등) 중에 그와 접속 가능한 관리 대상 공간(20) 내의 기 등록되거나 새로운 IoT 디바이스(30)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IoT 디바이스(30)를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IoT 디바이스(30)와의 통신 접속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특정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접속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 출력부(16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암호의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IoT 디바이스(30)와 와이파이 통신 프로토콜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실시할 수 있으며, IoT 디바이스(30)에게 인터넷을 무선 공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IoT 디바이스(30)의 데이터 사용량 즉, IoT 디바이스(30)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공유받은 데이터량을 측정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복수의 대역폭(예, 2.4GHz, 5GHz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30) 및/또는 원격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복수의 대역폭 각각의 통신 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복수의 대역폭 중에서 IoT 디바이스(30) 및 원격 서버(200)와의 통신에 이용할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신호는 무선 신호(또는 무선 제어 신호)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무선 통신이라 함은 적외선 신호를 제외한 다른 형태의 무선 신호(또는 무선 제어 신호)를 이용한 통신인 것으로 정의하겠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와 IoT 디바이스(30) 간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한 무선 통신부(110)와 IoT 디바이스(30) 간의 연결 강도는 무선 통신부(11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와 IoT 디바이스(30) 간의 연결 강도가 약한 경우, 무선 통신부(110)와 IoT 디바이스(30) 간의 근거리 통신이 끊어졌다 연결되기를 반복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일정 시간 동안의 무선 통신부(110)와 IoT 디바이스(30) 간의 연결 강도의 대표값(예, 평균값, 중앙값)을 연산하고, 일정 시간 동안 연결 강도가 대표값 미만이 된 횟수 또는 근거리 통신 연결이 끊어진 횟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카운팅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 IoT 디바이스(30)와의 근거리 통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인터랙션 로봇(100)과 IoT 디바이스(3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처리부(150)는 인터랙션 로봇(100)이 IoT 디바이스(30)에 근접 이동하도록 주행체(1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랙션 로봇(100)의 현 위치로부터 IoT 디바이스(30)로의 이동 거리는, 전술된 연결 강도의 대표값을 기초로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연결 강도의 대표값과 이동 거리는 반비례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인터랙션 로봇(100)으로 하여금 후술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토록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IoT 디바이스(30)의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적외선 디바이스(50)의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떤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정보란, 해당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란, 특정 시점, 특정 기간 또는 불특정 기간에 걸친, 해당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지시하는 데이터가 시계열적으로 정렬(정의)된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기간 또는 불특정 기간에 걸친, 전원 On 시각, Off 시각, 실행 기능 등이 동작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기능이란, 디바이스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들 중 실행된 기능의 식별값과 그 수준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색상 조절 기능 및 밝기 조절 기능을 갖는 IoT 디바이스(30)인 스마트 램프에서 특정 시각에 색상 조절 기능이 실행되어 적색광이 출력된 경우, '색상 조절 기능' 및 그 '색상(적색)'이 실행 기능으로서 동작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온도 조절 기능, 풍량 조절 기능 및 풍향 조절 기능을 갖는 IoT 디바이스(30)인 스마트 에어컨에서 특정 시각에 온도 조절 기능이 실행되어 25도로 설정된 경우, '온도 조절 기능' 및 '25도'가 실행 기능으로서 동작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을 통해 IoT 디바이스(30) 각각의 동작 상태를 지시하는 데이터(이하, '상태 값'이라고 칭할 수 있음)를 수집함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상태 값이 IoT 디바이스(30)로부터 무작위적으로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이러한 상태 값을 계속 수집하고 처리하는 것은 인터랙션 로봇(100)의 입장에서 비효율적이고 불필요한 연산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30)이 보내는 상태 값은 에러 성분을 포함하는 부정확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하는 IoT 디바이스(30)를 '더미(dummy) 디바이스'라고 칭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랙션 로봇(100)은, 필터링 버퍼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30)로부터 수집되는 상태 값에 유의미한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태 값을 기록하고, 기록된 상태 값을 동작 정보에 포함시켜 원격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필터링 버퍼는, 일정 시간 동안 수집된 상태 값들의 평균(mean) 또는 중앙값(median)을 연산(출력)하는 로직으로서, 데이터 처리부(150) 내에 미들웨어(middleware)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새롭게 수집되는 상태 값과 필터링 버퍼의 출력값과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새롭게 수집된 상태 값을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정보에 포함시켜 원격 서버(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IoT 디바이스(30)로서의 스마트 온도계로부터 새롭게 수집된 온도값과 필터링 버퍼의 출력값(예, 36.0도) 차이가 기준치(예, 0.2도) 이상인 경우, 인터랙션 로봇(100)은 새롭게 수집된 온도값을 원격 서버(200)에 전달하는 반면, 그 외에는 새롭게 수집된 온도값의 전송을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서버(200)는 스마트 온도계에 의해 측정된 현회의 온도값이 전회의 온도값 대비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관리 대상 공간(20)의 지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도 정보는, 관리 대상 공간(20)의 3차원적 공간 특징이 정의된 것으로서, 인터랙션 로봇(100)이 관리 대상 공간(20)을 주행하는 중에 후술된 카메라(141), 라이다(147) 등에 의해 수집되는 3차원 공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지도 정보와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여, 관리 대상 공간(20) 내에서의 인터랙션 로봇(1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물론, 인터랙션 로봇(100)은 자체적으로 위치 센서(148)를 구비하여 관리 대상 공간(20) 내에서의 인터랙션 로봇(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IoT 디바이스(30) 및 적외선 디바이스(50) 각각의 외관 특징(예, 크기, 형상, 색상)을 정의하는 객체 특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데이터 저장부(130)로부터 객체 특징 데이터를 로딩하고, 카메라(141)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130)로부터 로딩된 객체 특징 데이터와 비교하여, 촬영 이미지 내의 객체의 유형, 명칭 및/또는 위치를 식별(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제어 데이터(적외선 코드 셋)를 저장할 수 있다. 적외선 제어 데이터는, 적외선 디바이스(50)의 기능별 적외선 신호의 특성(예, 강도, 파형, 길이)를 정의한다.
적외선 통신부(120)는,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적외선 디바이스(50)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출력한다.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10)의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적외선 디바이스(50)가 다수인 경우, 적외선 디바이스(50) 각각의 디바이스 식별 정보 및 적외선 코드 셋이 데이터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적외선 통신부(120)는, 통합 리모콘(70)으로부터 전송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부(120)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머리 부분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관리 대상 공간(20)에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가 추가되는 경우, 인터랙션 로봇(100)은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기능별 적외선 신호를 학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랙션 로봇(100)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적외선 학습 기능을 활성화한다. 이어서, 인터랙션 로봇(100)은,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와 한 세트로서 제공된 적외선 리모콘의 특정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짐(또는 터치)에 따라 적외선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집한다. 그 다음, 인터랙션 로봇(1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기능의 명칭을, 기 수집된 적외선 신호의 적외선 코드에 매칭시켜 데이터 저장부(130)에 기록함으로써,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특정 기능에 대한 적외선 신호의 학습을 완료한다.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기능이 여러 개인 경우, 전술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여러 기능에 일대일 매칭되는 여러 적외선 코드를 포함하는 적외선 코드 셋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랙션 로봇(100)에 의해 학습된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에 대한 적외선 코드 셋은,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고유의 기기 식별 정보(예, 모델명)와 매핑되어 원격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서버(200)에 의해 관리되는 다른 공간에서 활용되는 다른 인터랙션 로봇의 사용자는, 그가 사용하는 적외선 디바이스에 대한 별도의 학습 과정없이도, 기기 식별 정보(또는 특정 적외선 코드)를 원격 서버(200)에서 조회(검색)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해당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코드 셋을 원격 서버(200)로부터 인터랙션 로봇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물론, 인터랙션 로봇(100)의 사용자 역시도,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기기 식별 정보에 대한 적외선 학습 정보가 원격 서버(200)로부터 조회되는 경우, 해당 적외선 학습 정보를 인터랙션 로봇(100)으로 다운로드하여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센싱부(140)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주변 공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센싱부(140)는, 카메라(141), 조도 센서(142), 마이크로폰(143), 온도 센서(144), 습도 센서(145), 공기질 센서(146), 라이다(147) 및 위치 센서(14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41)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주변을 촬영하여, 주변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141)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머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41)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양쪽 눈 부분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왼쪽 눈에는 광각 카메라가 배치되고, 오른쪽 눈에는 망원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조도 센서(142)는, 인터랙션 로봇(1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한다. 조도 센서(142)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머리 부분이나 가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43)은, 인터랙션 로봇(100)의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마이크로폰(143)에 의해 감지된 소리의 음압, 강도, 진폭, 주파수, 피치, 파장, 주기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마이크로폰(143)은, 인터랙션 로봇(100)의 가슴 부분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랙션 로봇(100)의 머리 부분과 가슴 부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목 관절(183)은 적어도 2 자유도(예, 상하, 좌우)를 갖는 전동 관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센싱부(140)에 의해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여, 머리 부분에 배치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관리 대상 공간(20)에서의 지향 방향(또는 센싱 대상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지향 방향(또는 센싱 대상 영역)에 따라 전동 관절(183)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센서(144)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다. 습도 센서(145)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한다. 공기질 센서(146)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주변의 공기질(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사, 미세먼지, 유해 가스, 연기의 농도, 대기 온도, 대기 습도 등)을 감지한다. 온도 센서(144), 습도 센서(145) 및 공기질 센서(146)는, 각각 인터랙션 로봇(100)의 가슴 부분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랙션 로봇(100)은, 주행체(102)에 의해 관리 대상 공간(20) 내에서 자율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구동부(180)의 차륜(181) 및/또는 다리 관절(182)에 의해 인터랙션 로봇(100)이 관리 대상 공간(20) 내에서 이동 중에 측정된 위치별 온도, 습도 및/또는 공기질을 기초로, 관리 대상 공간(20)에 대한 온도 지도, 습도 지도 및/또는 공기질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다(147)는, 관리 대상 공간(20)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관리 대상 공간(20)의 구조물(예, 바닥, 벽, 천장, 문)이나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물체(예, 가구)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감지하여, 관리 대상 공간(20)에 대한 공간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센서(148)는, 관리 대상 공간(20) 내에서의 인터랙션 로봇(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센서가 위치 센서(148)로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160)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사용자에게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형태로 출력한다. 데이터 출력부(160)는, 예컨대 스피커(161) 및 디스플레이(16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포트(170)는, TV 등의 디지털 디바이스와 유선 라인을 통해 접속되어, 디지털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디지털 디바이스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HDMI 포트, USB 포트), LAN 포트 등과 같은 공지의 포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 입출력 포트(170)로서 이용될 수 있다.
구동부(180)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본체(101)에 대한 모빌리티 기능을 제공하고, 머리 부분의 자세를 제어한다. 주행체(102)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본체(101)에 탈부착 가능한 일종의 도킹 스테이션이며, 구동부(180)의 차륜(181) 및/또는 다리 관절(182)이 주행체(102)에 구비될 수 있다. 인터랙션 로봇(100)의 본체(101)가 주행체(102)에 마련된 도킹 결합 부위에 안착 시, 본체(101)에 구비된 데이터 처리부(150)와 구동부(180)에 구비된 차륜(181) 및/또는 다리 관절(182)은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차륜(181) 및/또는 다리 관절(182)은, 인터랙션 로봇(100)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및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차륜(181)은 전동 모터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다리 관절(182)는, 전술된 목 관절(183)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전동 관절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라이다(147)는 주행체(102)에 배치될 수 있다. 주행체(102)의 주행 중에 라이다(147)를 통해 수집되는 관리 대상 공간(20)의 공간 특징을 나타내는 센싱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150)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관리 대상 공간(20)의 공간 지도로 작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의 방법은,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IoT 디바이스(3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관리 대상 공간(20)에 다수의 IoT 디바이스(30)가 존재하는 경우, 도 4의 방법은 다수의 IoT 디바이스(30)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실행되거나, 둘 이상의 IoT 디바이스(30) 각각에 대해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정보를 수집한다. 동작 정보는,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상태와 연관된 미리 정해진 유형의 데이터를 통칭할 수 있다. 참고로, IoT 디바이스(30)는, 자신의 동작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또는 인터랙션 로봇(100)의 요청 시마다, 자신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무선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일정 기간 동안에 취득된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정보에 대한 분석 요청을 원격 서버(200)에 전송한다.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정보는, IoT 디바이스(30)의 기기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서버(200)는, 분석 요청에 응답하여, IoT 디바이스(30)에 대해 과거의 일정 기간 동안에 취득된 동작 정보를 분석하여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패턴 정보를 생성한 다음,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패턴 정보를 인터랙션 로봇(100)에게 전송한다. 특정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패턴 정보는, 해당 IoT 디바이스(30)의 사용 빈도, 시간대 별 사용 패턴, 사용자의 활동 내역 등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과거의 일정 기간 동안에 취득된 동작 정보로부터 동작 패턴 정보로의 변환은, 대량의 학습 데이터로 학습 완료된 것으로서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딥러닝 기반의 신경망 모델(예, CNN, RNN, LSTM)이 원격 서버(200) 및/또는 데이터 처리부(150)에 의해 로딩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과거 일정 시간 동안, IoT 디바이스(30)가 전원 Off로부터 전원 On으로 전환된 평균 시각, IoT 디바이스(30)가 전원 On로부터 전원 Off로 전환된 평균 시각, IoT 디바이스(30)가 전원 On으로 유지되는 동안에 실행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별 실행 횟수 등이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패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패턴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30)의 시간대별 제어 필요 기능을 결정한다. 일 예로,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패턴 정보가 특정 시간대(예, 오전 10시~11시)에서 전원 On 상태로 동작하고 그 외에는 전원 Off 상태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경우, 특정 시간대(예, 오전 10시~11시)의 시작 시점에서의 제어 필요 기능으로 전원 On 기능을 결정하고, 특정 시간대의 종료 시각에서의 제어 필요 기능으로는 전원 Off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패턴 정보에 포함된 제어 대상 시각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대상 시각은, 특정 제어 필요 기능의 시간대의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S440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4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45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IoT 디바이스(30)의 시간대별 제어 필요 기능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IoT 디바이스(30)는, 무선 제어 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도 1에는 원격 서버(200)가 인터랙션 로봇(100)과의 협업을 통해 단일의 관리 대상 공간(20)에 대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즉, 원격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관리 대상 공간 각각에서 동작하는 다수의 인터랙션 로봇과 개별적으로 통신하면서, 관리 대상 공간별로 개별적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원격 서버(200)는, 다른 관리 대상 공간의 IoT 디바이스별 동작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원격 서버(200)는, 관리 대상 공간(20)과의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 다른 관리 대상 공간에서 단위 기간 당 사용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IoT 디바이스별 기능을 선별하고, 선별된 IoT 디바이스별 기능에 대한 추천 정보를 인터랙션 로봇(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인터랙션 로봇(100)은, 데이터 출력부(160)를 통해, 추천 정보에 따른 IoT 디바이스별 기능의 사용 유도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두 관리 대상 공간 간의 유사도는, 공간의 속성(예, 면적, 유형)에 인공지능 기반의 유사도 산출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의 방법은,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IoT 디바이스(3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관리 대상 공간(20)에 다수의 IoT 디바이스(30)가 존재하는 경우, 도 4의 방법은 다수의 IoT 디바이스(30)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실행되거나, 둘 이상의 IoT 디바이스(30) 각각에 대해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정보를 수집한다.
단계 S52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에 의해 무선 공유된 IoT 디바이스(30)의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측정)한다.
단계 S53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데이터 저장부(130)로부터 IoT 디바이스(30)의 허용 사용량을 조회한다. 허용 사용량은, IoT 디바이스(30)별로 상이하게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게임이나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실행하는 IoT 디바이스(30)에게는 높은 허용 사용량이 할당되고, 출입문 감지 등을 실행하는 IoT 디바이스(30)에게는 낮은 허용 사용량이 할당될 수 있다. 물론, 허용 사용량은 모든 IoT 디바이스(30)에게 동일하게 할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 S530은 생략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IoT 디바이스(30)의 데이터 사용량이 허용 사용량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40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5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540의 값이 "아니오"인 경우, 단계 S560로 진행한다. 참고로, 데이터 처리부(150)는, IoT 디바이스(30)의 데이터 사용량이 허용 사용량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데이터 사용량과 허용 사용량 간의 비율에 따라 사전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데이터 출력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IoT 디바이스(30)에 대한 데이터 공유를 제한한다. 여기서, 데이터 공유를 제한한다는 것은, 무선 통신부(110)에 의한 인터넷의 무선 공유를 완전히 차단하거나, 또는 초과 사용량(데이터 사용량과 허용 사용량 간의 차분)에 따라 인터넷 공유 속도를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저하시킴을 의미한다.
단계 S56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의 복수의 대역폭 각각의 통신 상태 및 IoT 디바이스(30)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복수의 대역폭 중에서 IoT 디바이스(30)와의 무선 통신에 이용할 대역폭을 선택하여, 선택된 대역폭으로 IoT 디바이스(3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IoT 디바이스(30)의 기기 식별 정보와 대역폭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통신 테이블이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해당 통신 테이블에 의해 IoT 디바이스(30)별로 무선 통신에 사용될 대역폭이 정해져 있다. 다만, IoT 디바이스(30)에서 대용량 및/또는 고속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기능(예, CCTV의 이미지 처리, 대용량 파일 다운로드)이 실행 중이거나, 특정 대역폭을 통해 통신 접속된 IoT 디바이스(30)의 수가 집중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대역폭 중에서 각 IoT 디바이스(30)와의 무선 통신에 사용할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통신 속도의 저하를 회피하고 통신 신호 간섭과 혼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60은 단계 S540의 값이 "아니오"인 것으로 조건으로만 실시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랙션 로봇(100)이 인터넷을 공유 중인 각각의 IoT 디바이스(30)를 대상으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의 방법은,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를 식별 및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적외선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적외선 신호의 적외선 코드를 추출한다. 적외선 코드는, 적외선 신호의 특징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여러 적외선 신호들을 상호 구별되도록 하는 데이터이다. 적외선 통신부(120)에 의해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는, 타 디바이스(예, 통합 리모콘, 적외선 리모콘)에서 발생된 것일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단계 S610에서 추출된 적외선 코드가 인터랙션 로봇(100)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데이터 저장부(130)에는,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등록 완료된 적외선 디바이스(50)의 기능별 적외선 코드를 해당 적외선 디바이스(50)의 기기 식별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다. 단계 S620의 값이 "아니오"인 것은, 단계 S610에서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인식 가능한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가 인터랙션 로봇(100)에 미등록 상태로 관리 대상 공간(20)에 추가되었음을 의미한다. 단계 S620의 값이 "아니오"인 경우, 단계 S630으로 진행된다.
단계 S63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단계 S610에서 추출된 적외선 코드가 원격 서버(200)에 기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30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640으로 진행된다. 단계 S630의 값이 "아니오"인 경우, 단계 S650으로 진행된다.
단계 S64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단계 S610에서 추출된 적외선 코드를 갖는 적외선 코드 셋을 원격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참고로, 적외선 코드 셋은, 적외선 디바이스(50)별로 하나씩 매핑되는 것이다. 특정 적외선 코드 셋의 특정 적외선 코드는,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단계 S65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에 대한 적외선 신호별 학습을 실시하여,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코드 셋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단계 S65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데이터 출력부(160)를 통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에 대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필요함을 통지한 다음, 전술된 적외선 학습 과정을 거쳐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코드 셋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6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코드 셋을 원격 서버(200)에 업로드(등록)한다. 물론,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코드 셋은 통합 리모콘(70)에 업로드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에 따르면, 관리 대상 공간(20)에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가 추가되는 경우, 인터랙션 로봇(100)은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코드 셋을 원격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직접 생성할 수 있다. 인터랙션 로봇(100)의 사용자는, 음성이나 통합 리모콘(70)을 이용하여 인터랙션 로봇(100)에게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인터랙션 로봇(100)은 사용자 음성 또는 통합 리모콘(7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특징 기능에 대한 적외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와 한 세트로 제공된 적외선 리모콘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도, 인터랙션 로봇(100) 또는 통합 리모콘(70)을 이용하여 새로운 적외선 디바이스(50)의 기능별 제어가 가능하다.
원격 서버(200)는, 원격 서버(200)의 관리자에 의해 관리 대상 공간(20)에 기 등록된 적외선 디바이스(50)별 적외선 코드 셋의 업데이트가 발생되는 경우, 업데이트된 적외선 코드 셋을 인터랙션 로봇(100)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업데이트된 적외선 코드 셋을 수신하고,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전의 적외선 코드 셋을 업데이트된 적외선 코드 셋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의 방법은,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적외선 디바이스(5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제어 명령은, 사용자의 발화 음성(예, "로봇(100)아, TV 좀 켜줘") 또는 통합 리모콘(70)의 무선 신호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관리 대상 공간(20)의 모든 적외선 디바이스(50) 중에서 제어 명령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를 제어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인터랙션 로봇(100)과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 간의 이격 거리를 연산한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처리부(150)는, 센싱 데이터로부터 인터랙션 로봇(100)의 위치와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위치를 각각 검출한 다음, 두 위치 간의 차이와 동일하게 이격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기준 거리 범위는,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에 의한 기준 적외선 신호의 수신 성공율이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미리 정해진 것일 수 있다. 기준 적외선 신호는, 각각 미리 정해진 신호 세기와 파형을 갖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다. 수신 성공율은,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수신 영역의 크기 및 위치와 적외선 수신 성능에 의존한다. 따라서, 적외선 디바이스(50)별로 기준 거리 범위는 상이할 수 있다. 단계 S730의 값이 "아니오"인 경우, 단계 S740으로 진행한다. 단계 S730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750으로 진행한다.
단계 S74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 이내가 되도록 구동부(180)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의 하한보다 짧은 경우, 데이터 처리부(150)는 이격 거리와 기준 거리 범위의 하한 간의 차이를 기초로 인터랙션 로봇(100)이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동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의 상한보다 긴 경우, 데이터 처리부(150)는 이격 거리와 기준 거리 범위의 상한 간의 차이를 기초로 인터랙션 로봇(100)이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에 근접하도록 구동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740의 완료 후, 단계 S750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적외선 통신부(120)의 지향 방향이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도록 구동부(180)를 제어한다.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의 적외선 수신 영역은, 카메라(141)의 촬영 화상으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목 부분의 자유도가 2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50)는 적외선 통신부(120)의 지향 방향이 적외선 수신 영역의 특정 지점(예, 중심)을 향하도록 목 부분을 상하좌우로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76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단계 S710에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도록 적외선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예컨대, "로봇아, TV 좀 켜줘"라는 발화 음성이 제어 명령으로서 단계 S710에서 기 수신된 경우, 데이터 처리부(150)는 TV의 적외선 코드 셋 중에서 제어 명령에 의해 지시되는 '전원 On 기능'의 적외선 코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적외선 코드를 적외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도 7의 방법은 단계 S7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70에서, 데이터 처리부(150)는,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50)에서 단계 S760에서 출력된 적외선 신호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단계 S760에서 전송된 적외선 신호가 TV의 전원 On 기능의 실행시키기 위한 것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50)는 센싱부(140)에 의해 취득되는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적외선 신호의 전송 전후로의 TV의 동작 상태(예, 화면 출력 여부, 음성 출력 여부)를 비교하여, TV의 전원이 Off로부터 On으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770의 값이 "아니오"인 경우, 단계 S760이 다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인터랙션 로봇(1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자율 제어 자율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자율 제어 모드에서 동작 중에, 인터랙션 로봇(100)은 사용자나 통합 리모콘(70)으로부터의 제어 명령없이도, 관리 대상 공간(20)에 위치하는 IoT 디바이스(30) 및 적외선 디바이스(50) 각각을 자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랙션 로봇(100)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 대상 공간(20)의 조명 환경(예, 실내 밝기, 색 온도)을 식별하고, 식별된 조명 환경과 기준 조명 환경 간의 차이가 제거되도록, 조명 환경에 연관된 적외선 디바이스(TV) 및 스마트 램프(IoT 디바이스)의 밝기나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터랙션 로봇(100)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 대상 공간(20)의 음향 환경(예, 구조, 소음도)을 식별하고, 식별된 음향 환경과 기준 음향 환경 간의 차이가 제거되도록, 음향 환경에 연관된 스마트 스피커(IoT 디바이스)나 TV(적외선 디바이스)의 출력 정도와 음향 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인터랙션 로봇(100)은,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 대상 공간(20) 내 사용자 위치를 검출하고, 사용자 위치에 따라 스마트 에어컨(IoT 디바이스)의 풍량 및 풍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인터랙션 로봇(100)은, 주행체(102)에 의해 관리 대상 공간(20)을 이동 중에 수집된 센싱 데이터(예, 공기질 지도)를 기초로, 관리 대상 공간(20) 내에서 측정된 공기질이 기준 공기질 미만이어서 공기 정화가 요구되는 영역을 탐색하고, 탐색된 영역의 면적과 위치 그리고 공기 청정기(IoT 디바이스)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지향 방향과 공기 정화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무선 홈 네트워킹 시스템
20: 관리 대상 공간
30: IoT 디바이스
50: 적외선 디바이스
70: 통합 리모컨
100: 인터랙션 로봇
200: 원격 서버

Claims (10)

  1.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랙션 로봇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게 인터넷을 무선 공유하고, 각 IoT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고,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일정 기간 동안에 취득된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에 대한 분석 요청을 원격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분석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된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패턴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의 시간대별 제어 필요 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시간대별 제어 필요 기능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인터랙션 로봇.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무선 공유된 상기 IoT 디바이스의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고,
    상기 데이터 사용량이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해 기 설정된 허용 사용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공유를 제한하는, 인터랙션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의 복수의 대역폭 각각의 통신 상태 및 상기 IoT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역폭 중에서 상기 IoT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에 이용할 대역폭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대역폭으로 상기 IoT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인터랙션 로봇.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출력 가능한 적외선 통신부; 및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위치 및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로봇.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싱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는,
    카메라, 조도 센서, 마이크로폰,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공기질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로봇.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 중에서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과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 간의 이격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적외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인터랙션 로봇.
  8.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랙션 로봇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게 인터넷을 무선 공유하고, 각 IoT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고,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출력 가능한 적외선 통신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위치 및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싱부;
    를 포함하되,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 중에서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과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 간의 이격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적외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의 하한보다 짧은 경우, 상기 이격 거리와 기준 거리 범위의 하한 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의 상한보다 긴 경우, 상기 이격 거리와 기준 거리 범위의 상한 간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근접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인터랙션 로봇.
  9.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랙션 로봇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게 인터넷을 무선 공유하고, 각 IoT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고,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출력 가능한 적외선 통신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위치 및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싱부;
    를 포함하되,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 중에서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과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 간의 이격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적외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기준 거리 범위는,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의한 기준 적외선 신호의 수신 성공율이 소정값 이상인 것으로 미리 정해진 것인, 인터랙션 로봇.
  10.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랙션 로봇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IoT 디바이스에게 인터넷을 무선 공유하고, 각 IoT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취득하고, 각 IoT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각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출력 가능한 적외선 통신부;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위치 및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인터랙션 로봇의 관리 대상 공간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취득하는 센싱부;
    를 포함하되,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디바이스 중에서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 시,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인터랙션 로봇과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 간의 이격 거리를 연산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기준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외선 통신부의 지향 방향이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의 적외선 수신 영역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의해 지시되는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적외선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특정 기능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특정 적외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특정 기능이 미실행된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을 유도하는 적외선 신호를 재출력하도록 상기 적외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인터랙션 로봇.
KR1020220099375A 2022-08-09 2022-08-09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86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75A KR102486466B1 (ko) 2022-08-09 2022-08-09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375A KR102486466B1 (ko) 2022-08-09 2022-08-09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466B1 true KR102486466B1 (ko) 2023-01-12
KR102486466B9 KR102486466B9 (ko) 2023-06-09

Family

ID=8492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375A KR102486466B1 (ko) 2022-08-09 2022-08-09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4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883A (ko) * 2014-09-26 2017-04-07 애플 인크.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네트워크 대역폭 공유
KR20190088122A (ko) * 2018-01-04 2019-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홈 로봇 및 이동형 홈 로봇의 제어 방법
KR20190134863A (ko) * 2018-04-27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8883A (ko) * 2014-09-26 2017-04-07 애플 인크.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네트워크 대역폭 공유
KR20190088122A (ko) * 2018-01-04 2019-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형 홈 로봇 및 이동형 홈 로봇의 제어 방법
KR20190134863A (ko) * 2018-04-27 2019-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466B9 (ko) 202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2335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utilizing radar with smart devices
US11022333B2 (en) Control for device in a predetermined space area
EP363167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 recognition data management
EP3798685B1 (en) Systems and methods of ultrasonic sensing in smart devices
US10012963B2 (en) Smart household applian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usehold appliance
US2021007237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ultrasonic sensing in smart devices
CN108574515B (zh) 一种基于智能音箱设备的数据分享方法、装置和系统
EP388834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lorizing infrared images
CN204903983U (zh) 一种智能家居系统及其无人飞行器、智能中枢设备
US1174357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ower-management on smart devices
KR102390979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도록 IoT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운용 방법
US20230018686A1 (en) Privacy-preserving radar-based fall monitoring
CN112544122B (zh) 用于在检测到空间中的对象时提供动作的设备
EP3398029B1 (en) Intelligent smart room control system
CN107846696B (zh) ZigBee系统、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61303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a system
KR102486466B1 (ko) 인터랙션 로봇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홈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304035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issioning environmental sensors
KR20200030452A (ko) 실내 공기 상태를 관리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인공 지능 시스템
WO2019126470A1 (en) Non-invasive detection of infant bilirubin levels in a smart home environment
JP7291301B2 (ja) ポータブルセンサデバイスによって空間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69832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US20240077870A1 (en) Robot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US11851179B1 (en) Imaging control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CN117207215A (zh) 一种多功能陪伴助老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