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751B1 - Battery Storage Device - Google Patents

Battery Stora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751B1
KR102485751B1 KR1020160044097A KR20160044097A KR102485751B1 KR 102485751 B1 KR102485751 B1 KR 102485751B1 KR 1020160044097 A KR1020160044097 A KR 1020160044097A KR 20160044097 A KR20160044097 A KR 20160044097A KR 102485751 B1 KR102485751 B1 KR 102485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ndle
battery module
storage device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6404A (en
Inventor
김재환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751B1/en
Publication of KR2017011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4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7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납장치에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과, 제3하우징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제3하우징 각각에는 단부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연장부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면은 서로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제3하우징은 제1체결부재, 제2체결부재, 및 제3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을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3하우징을 이격시키는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일부분이 개구되는 손잡이설치홀이,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손잡이부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는 방수부재가 개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로 물방울이 침투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하우징이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에 부딛혀서 튀어오르는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atte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attery modul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n addition, the housing may be provided separately a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and a third housing.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extending from ends. In addition, outer surfaces of the housing may be covered with each other by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Also,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may be coupled by a first fastening member, a second fastening member, and a third fastening member. In addition, a packing member separating the third hous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may be provided. In addition, a handle installation hole having a portion open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a fixing part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handle part may be mounted on the fixing part. A waterproof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handl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of th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can be improved by being formed so that water droplets do not penetrate into the housing. In addition, since the detachably formed housing is coupled by the fastening member in a fitted state, the housing may be closely coupl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enetration of water droplets bouncing against the floor surface.

Description

배터리 수납장치{Battery Storage Device}Battery Storage Device {Battery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배터리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storage device.

현대 사회에 있어서, 석유나 석탄, 천연가스와 같은 에너지 자원이 점차 고갈되고, 환경오염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수많은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에너지저장시스템을 들 수 있다.In modern society, as energy resources such as petroleum, coal, and natural gas are gradually deplete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problem, efficient use of energy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Accordingly, numer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efficiently utilize energy. One of these efforts is an 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는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 등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 모듈에 저장한 후,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선택적,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에너지저장시스템을 이용하면 시간대 및 계절별 변동이 큰 전기부하를 평준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반적인 부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발전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전력설비증설에 필요한 투자비와 운전비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전기요금을 인하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An energy storage system is a system that increases energy efficiency by storing power generated in power plants, substations, transmission lines, etc. in a battery module and then selectively and efficiently using it when power is needed. Using an energy storage system, it is possible to equalize electric loads with large fluctuations in time and season. Through this, the overall load factor can be improved. And, it is possible to lower the unit cost of power gen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vestment cost and operation cost required for power facility expansion. In addition, electricity rates can be lowered and energy can be saved.

이러한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는 배터리 모듈이다.An important component for constructing such an energy storage system is a battery module.

배터리 모듈은 저장방식에 따라 크게 물리적 에너지 저장과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 구분된다. 물리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양수발전, 압축 공기 저장, 플라이휠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그리고, 화학적 에너지 저장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 납축전지, Nas 전지 등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Battery modul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physical energy storage and chemical energy storage according to storage methods. As physical energy storage, there are methods using pumped storage, compressed air storage, and flywheels. And, as chemical energy storage, there is a method using a lithium ion battery, a lead acid battery, a Nas battery, and the like.

최근에는,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고, 에너지의 저장이 가능한 이차 전지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반복적으로 에너지의 저장이 가능한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차 전지는 사용되는 소비처의 소비전력에 따라서 다수의 이차 전지를 하나의 모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의 장점을 이용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양한 배터리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repeatedly charged and discharged and can store energy have been widely used. Secondary batteries have a great advantage in that they can repeatedly store energy.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may be formed as one module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lace where the secondary batteries are used. Using the advantages of these secondary batteries, various battery modules used in energy storage systems are being developed.

한편, 배터리 모듈은 사용되는 소비처의 소비전력에 따라서 대용량의 전력을 취급함으로써,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은 전기적 에너지와 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주변환경의 변화에 반응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요인 및 안전문제로부터 배터리 모듈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납장치 등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module handles a large amount of power according t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lace where it is used, so safety problems may occur. Also, since the battery module uses electrical energy and chemical energy, problems may occur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the battery module from environmental factors and safety issues, it may be disposed in an internal space of a storage device or the like.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0650호, “배터리 수납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서브 수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을 들 수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120650, “a battery storage device, a sub-storage device used therein, and a battery pack using the same” may be cited.

상기 종래 기술에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하여 측면플레이트와 지지바를 결합하는 서브 수납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 수납장치를 적층하여 하나의 수납장치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또한, 하나로 형성된 수납장치는 별도의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하여만 고정이 된다.In the prior art, a technique of forming a sub-storage device combining a side plate and a support bar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forming a single storage device by stacking the sub-storage device is disclosed.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formed as one is fixed only by being mounted on a separate fixing plate.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운반하기 위하여 하나로 형성된 수납장치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하나로 형성된 수납장치를 분리해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storage device formed into one in order to transport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In addition, for maintenance of the battery modul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storage device formed into one unit.

또한, 상기 종래의 수납장치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용이하게 적층되도록 형성될 뿐, 외부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침투되는 물방울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torage device is only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easily stack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ulnerable to water droplets penetrating into the inner space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종래의 수납장치는 고정플레이트와 측면플레이트가 서로 끼워지며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위가 방수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torage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fixing plate and the side plate are interposed and coupled, so that the coupled portion is vulnerable to waterproofing.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0650호, “배터리 수납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서브 수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의 도 9 내지 도 10, 및 그와 관련되는 설명.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20650, "Battery storage device and sub-storage device used therein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Figures 9 to 10, and a description related thereto.

본 발명은, 하우징의 결합부분에서 방수성능이 향상되는 배터리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attery storage device in which waterproof performance is improv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ousing.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안전이 확보되는 배터리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attery storage device in which the safety of the battery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is ensured.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수납장치에는,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The batte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formed detachably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attery modul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터리모듈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하는 제1하우징과, 상기 배터리모듈의 후면 및 양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하여 커버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배터리모듈이 지지되는 제3하우징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covering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 a second housing covering the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 and covered by the first housing, and supporting the battery module. A third housing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제3하우징 각각에는 단부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연장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하우징의 단부에서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서 커버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extending from ends.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housing toward the second housing may be covered by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또한,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제3하우징은 제1체결부재, 제2체결부재, 및 제3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may be coupled by a first fastening member, a second fastening member, and a third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제3하우징의 저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3하우징을 이격시키는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cking member separating the third hous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일부분이 개구되는 손잡이설치홀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a handle installation hole having a partially opened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손잡이설치홀을 차폐하고,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손잡이부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는 방수부재가 개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portion may be included to cover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and to be mounted on the fixing part. A waterproof memb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handle portion.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터리모듈과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할 수 있는 전선관통홀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관통홀의 상방에는 상기 전선관통홀로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wire through-hole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passes. Also, a prevention member for preventing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into the wire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above the wire through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로 물방울이 침투되지 않도록 형성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fety of the battery accommodated in the housing can be improved by being formed so that water droplets do not penetrate into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 하우징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하우징이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y formed housing is coupled by the fastening member in a fitted state, so that the housing can be closely coupled.

또한,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에 부딛혀서 튀어오르는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can prevent penetration of water droplets bouncing against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이 개구되어도 물방울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In addition, even if a part of the housing is opened, water droplets may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housing.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수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배터리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배터리모듈의 사시도,
도 4는 제1하우징의 사시도,
도 5는 제2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제3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손잡이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방수부재의 정면도,
도 9는 손잡이하우징의 사시도,
도 10은 손잡이부의 단면도,
도 11은 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도 1에서 A-A'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도 1에서 B-B'부분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housin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housin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housin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art;
8 is a front view of a waterproofing member;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ndle housin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dle por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vention member;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A' in FIG. 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B' in FIG. 1;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presented below.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element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실시예 임에도 불구하고,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되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The drawings accompanying the following embodiments, despite being the same embodiment, are expressed differently for each drawing in terms of fine parts in order to be easily understood within the scope of not damaging the inventive idea, or Therefore, it may be exaggeratedly expressed.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수납장치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수납장치(1)에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는 배터리모듈(11)이 수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batter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0 that forms an exterior and has an internal space. A battery module 11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상기 배터리수납장치(1)는 실내공간 또는 실외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수납장치(1)는 상기 배터리수납장치(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상기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공간에는 건물, 가옥 등의 내부에 제공되는 방 또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battery storage device 1 may be disposed in an indoor space or an outdoor space. The battery storage device 1 may be preferably disposed in the indoor space for maintenance of the battery module 11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1 . At this time, the indoor space may be understood as a room or space provided inside a building, house, or the like.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상기 하우징(10)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11)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적층되어 제공됨으로써,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에너지 저장용량도 증가될 수 있다.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if the housing 1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ttery modules 1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may be arranged to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pace occupied by the housing 10 in the indoor spac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modules 11 are stacked and provided, the energy storage capacity of the battery module 11 may also be increased.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housing 10 may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attery module 1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상기 하우징(10)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이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경우, 상기 배터리모듈(11)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유지보수작업 및 상기 하우징(10)의 조립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The housing 10 may be detachably provided. When the housing 10 is detachably provided, the housing 10 may be combined with the battery module 11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aintenance work of the battery module 11 and assembly of the housing 10 become convenient.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을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을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housing 10 can accommodate the battery module 11 in its inner space.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11 may assemble and separate the housing 10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하우징(10)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공간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물방울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battery module 11 can be protected by the housing 10 . In detail, the housing 10 can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from the outer space of the housing 10 .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손잡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Handle parts 50 provided to move the housing 1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 . The handle part 5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As the handle part 5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the aesthetics of the housing 10 can be improved.

도 2는 배터리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내부공간(s)에는 배터리모듈(11)이 수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battery module 11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s of the housing 10 .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하는 제1하우징(20)과, 상기 내부공간의 후면과 양측면을 커버하는 제2하우징(30)과,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과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3하우징(40)으로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체결부재(6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60)에는 제1체결부재(61), 제2체결부재(62), 및 제3체결부재(6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60)는 상기 하우징(10)의 결합을 위하여 더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부재(61), 상기 제2체결부재(62), 및 상기 제3체결부재(63)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In detail, the housing 10 includes a first housing 20 covering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inner space, a second housing 30 covering the rear and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as a third housing 40 cover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The housing 10 may be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60. In this case, the fastening member 60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member 61 , a second fastening member 62 , and a third fastening member 63 . The fastening member 60 may be further added for coupling with the housing 10 .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the second fastening member 62,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are used.

다른 측면으로,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의 후면 및 양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의 하면 및 전면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housing 20 may cover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 1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The second housing 30 may cover the rear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 11 . The third housing 40 may cover a lower surface and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11 .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제1체결부재(61)에 의하여 상기 제2하우징(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배터리모듈(1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상기 제3하우징(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제2체결부재(62)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모듈(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제1체결부재(61), 상기 제2체결부재(62), 및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손잡이부(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는 결합부재(70)에 의하여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30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 The third housing 40 may support the battery module 11 . Also, the battery module 11 may be fixed to the third housing 40 by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fixed to the battery module 11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62 . That is,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as one body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 the second fastening member 62 ,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 Also, a handle part 50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housing 30 . The handle part 50 may b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30 by a coupling member 70 .

즉, 상기 제1하우징(20), 상기 제2하우징(30), 및 상기 제3하우징(40)이 결합됨으로써, 외부공간과 구획되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공간과 구획된 내부공간에 상기 배터리모듈(11)이 수용될 수 있다.That is, by combining the first housing 20, the second housing 30, and the third housing 40, the inner space S of the housing 10 partitioned from the outer space can be formed. there is.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11 may be accommodated in an internal space partitioned from an external space.

이하에서 상기 배터리수납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storage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배터리모듈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module.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모듈(11)은 다수개의 배터리가 하나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배터리가 수요처의 용량에 맞게 구성된 다량의 셀(Cell)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에는, 리튬이온베터리(LiB), 납축전지, 나트륨유황전지(NaS), 레독스흐름전지(RFB), 수퍼캐패시터(SuperCapaci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11)은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battery module 11 may be provid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ies into one. 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11 can be understood as a large number of cells configured to meet the capacity of the customer. In this case, the battery may include a lithium ion battery (LiB), a lead storage battery, a sodium sulfur battery (NaS), a redox flow battery (RFB), a supercapacitor, and the like. The battery module 11 may be fixed to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후술할 제2체결부재(62)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may fix the battery module 11 . Also,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40 . In addition, a secon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1 to which a second fastening member 62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may be formed in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상세히,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하나 이상의 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detail,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may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frames supporting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ttery module 11 .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두 면을 고정하는 “ㄱ”형상의 프레임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이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may be provided at each corner formed on the front, rear, left side, and right side of the battery module 11 . That is,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may be provided as an “a” shaped frame fixing at least two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ttery module 11 .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member recombination grooves 121 may be provided in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의 하단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63)가 결합되는 제3체결부재결합홈(12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후술할 지지부재(411)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1)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체결부재결함홈(122)가 상기 지지부재(4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A thir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2 to which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is coupled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On the other hand, a support member 411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ixed to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4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At this time, the third fastening member defect groove 12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11 .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도 4는 제1하우징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housin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제1전면부(21)와, 상기 내부공간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부(23)와,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를 연결하는 제1벤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와, 상기 제1벤딩부(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first housing 20 includes a first front part 21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 upper surface part 23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the first front surface. A first bending portion 22 connecting the portion 21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first front part 21, the upper surface part 23, and the first bending part 22 may be integrally formed.

예를 들어, 상기 제1전면부(21)의 일부분이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상기 상면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20)은 좌측면에서 바라보면, “ㄱ”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first front surface portion 21 may be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surface to form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 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the first housing 20 may be formed in an “a” shape.

다른 측면으로, 상기 제1전면부(21)와 평행한 면과 상기 상면부(23)와 평행한 면이 만나는 부분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가 이루는 일정한 각도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고이는 물방울의 이동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ortion where a surface parallel to the first front surface portion 21 and a surfac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meet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first front surface part 21 and the upper surface part 23 may guide the movement direction of water droplets poo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0 .

예를 들어, 상기 일정한 각도가 90도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고이는 물방울은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반면, 상기 일정한 각도가 90도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고이는 물방울은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angle is less than 90 degrees, water droplets poo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0 may flow down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surf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determined angle exceeds 90 degrees, water droplets poo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0 may flow down i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surface.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상면부(23)가 이루는 일정한 각도는 90도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작공정이 편리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predetermined angle formed by the first front surface portion 21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is formed at 90 degree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irst housing 20 can have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상기 제1하우징(20)에는 상기 제2하우징(30)과 결합하기 위한 제1연장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양측면 및 후면에서 상기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A first extension part 24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using 20 .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provided by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housing 30 from both side surfac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0 .

상세히,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전면부(21)의 양측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상면부(23)의 양측면에서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상면부(23)의 후측 단면에서 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전면부(21)의 하측 단면에서 상기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 및 상기 하면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S)의 후면 및 하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ont part 21 toward the rear surface.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part 23 toward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end face of the upper surface part 23 toward the lower surface.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rst front part 21 toward the rear surface. At this time, the rea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understood as the rear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S) of the housing 10 .

즉,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하우징(20)이 상기 제2하우징(30)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하우징(20)의 각 단부에서 상기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extension part 24 extends to the second housing 30 at each end of the first housing 20 so that the first housing 20 can cover the second housing 30. It can be understood as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하우징(20)이 상기 제2하우징(30)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에 고이는 물방울이 상기 제1하우징(20)과 상기 제2하우징(3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rst housing 20 may cover the second housing 30 .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droplets pool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20 from being introduced into a portion where the first housing 20 and the second housing 30 are coupled.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4)에는 상기 제1하우징(20)을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61)가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은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은 상기 제1연장부(24)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은 후술할 제2하우징(30)의 제1체결부재결합홈(36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재(61)가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을 관통한 후,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에 체결되면, 상기 제1하우징(20)과 상기 제2하우징(30)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24 has a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241 through which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for fixing the first housing 20 to the second housing 30 passes. can be formed In detail,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hole 241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s 24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extension part 24 . Also,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24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361 of the second housing 30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when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241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361, the first housing 20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wo housings 30 may be combined.

도 5는 제2하우징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housing;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내부공간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31)와, 상기 내부공간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좌측면부(33)와, 상기 내부공간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우측면부(35)와, 상기 후면부(31)와 상기 좌측면부(33)를 연결하는 제2벤딩부(32)와, 상기 후면부(31)와 상기 우측면부(35)를 연결하는 제3벤딩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부(31), 상기 좌측면부(33), 상기 우측면부(35), 상기 제2벤딩부(32), 및 상기 제3벤딩부(3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housing 30 includes a rear part 31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 left surface part 33 covering the left side of the inner space, and a right side of the inner space. A right side portion 35 that covers, a second bending portion 32 that connects the rear portion 31 and the left side portion 33, and a third portion that connects the rear portion 31 and the right side portion 35. A bending portion 34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rear part 31, the left side part 33, the right side part 35, the second bending part 32, and the third bending part 34 may be integrally formed.

예를 들어, 상기 후면부(31)의 일부분이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상기 좌측면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31)의 타부분이 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우측면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면에서 바라보면,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면부(31)로부터 상기 좌측면부(33)와 상기 우측면부(35)가 벤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30)을 제작하는 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portion 31 may be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side to form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33 . And, the other part of the rear part 31 is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front side, so that the right side part 35 can be formed. 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formed in a “c” shape. That is, since the left side portion 33 and the right side portion 35 are formed by bending from the rear portion 31,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simplified.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면, 전면, 및 저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30)의 개구된 상면, 전면은 상기 제1하우징(2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30)의 개구된 저면은 후술할 제3하우징(40)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30 may be formed to have open top, front, and bottom surfaces. In addition, the open top and front surfaces of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covered by the first housing 20 . Also,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covered by a third housing 40 to be described later.

상세히, 상기 제2하우징(30)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3)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3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20)의 각 단부에서 상기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4)의 내면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다. In detail,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covered by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of the first housing 20 . Also,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covered by the first front surface portion 21 of the first housing 20 .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4 extending from each end of the first housing 20 toward the second housing 30 may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상기 제1연장부(24)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연장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연장부(36)는 상기 후면부(31),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에서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연장부(36)는 상기 제1연장부(24)와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20)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extension part 36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30 . For example,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6 may be formed at upper ends of the rear portion 31 , the left side portion 33 , and the right side portion 35 . In addition, the left side portion 33 and the right side portion 35 may be formed to face the first front portion 21 of the first housing 20 .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extension part 36 is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extension part 24 . That is, the first housing 20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30 .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제1하우징(20)의 내측으로 상기 제2하우징(3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20)과 상기 제2하우징(30)의 결합부분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물방울을 차단할 수 있다.Therefore, as the second housing 3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housing 20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20 and the second housing 30 It is possible to block water droplets flow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상기 제1하우징(20)을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부재(61)가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은 상기 후면부(31),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은 상기 제1연장부(24)에 의하여 커버되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은 상기 제2연장부(36)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은 상기 후면부(31),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의 테두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first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361 to which a first fastening member 61 for fixing the first housing 20 to the second housing 30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30 . there is. The first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361 may be formed on the rear part 31 , the left side part 33 , and the right side part 35 , respectively. Als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361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second housing 30 covered by the first extension part 24 . In addition, the first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36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36 . Accordingly, the first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361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edges of the rear surface portion 31 ,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33 , and the right side surface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연장부(24)가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2연장부(36)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연장부(36)의 제1체결부재결합홈(361)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연장부(24)의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재(61)는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을 관통한 후 상기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where the first extension part 24 of the first housing 20 covers the second extension part 36 of the second housing 30, the second extension part 36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241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361 . Also,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may pas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241 and then be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1 .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에는 방수를 위하여 고무재질의 물질이 개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무재질의 물질이 개입되면, 상기 제1체결부재관통홀(241)에 상기 제1체결부재(61)가 체결되어 발생되는 틈을 통하여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rubber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hole 241 for waterproofing.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When the rubber material is invol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through a gap generated when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241 .

상기 제2하우징(30)의 좌측면부(33) 및 우측면부(35)에는 손잡이부(50)가 장착되기 위한 손잡이설치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은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이 설치되는 높이는, 상기 하우징(10)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분산하기 위하여 설정된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은 상대적으로 상기 좌측면부(33) 및 상기 우측면부(35)의 상방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설치홀(39)에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부(50)를 잡기 위하여 사용자가 몸을 숙이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Handle installation holes 39 for mounting the handle 50 may be formed in the left side 33 and the right side 35 of the second housing 30 .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in the left side portion 33 and the right side portion 35 . In addition, the height at which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is installed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set in order to efficiently distribute the weight of the housing 10 . Also,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may be disposed relatively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33 and the right side surface portion 35 . Accordingly,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bending down to hold the handle part 50 installed in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can be reduced. not limited to these ideas

상기 제2하우징(30)의 좌측면부(33) 및 우측면부(35) 각각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을 고정하는 제2체결부재(62)가 관통할 수 있는 제2체결부재관통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상기 제2체결부재(62)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재관통홀(331)은 상기 제2체결부재결합홈(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체결부재(62)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2체결부재관통홀(331)을 관통한 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의 제2체결부재결합홈(121)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A second fastening member 62 for fixing the battery module 1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penetrates each of the left side 33 and the right side 35 of the second housing 30. A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331 may be formed. In detail, the battery module 1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may be fixed to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In addition, a secon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1 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62 is fastened may be formed in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33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1 . Therefore, the second fastening member 62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331 of the second housing 30, and then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1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1. That is, the battery module 1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may b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30 .

상기 제2체결부재관통홀(331)에는 방수를 위하여 고무재질의 물질이 개입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고무재질의 물질이 개입되면, 상기 제2체결부재관통홀(331)에 상기 제2체결부재(62)가 결합되어도,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rubber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331 for waterproofing.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When the rubber material intervenes, even whe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62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331, water droplets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3하우징(4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제2체결부재(62)에 의하여 상기 제2하우징(30)의 좌측면부(33) 및 우측면부(3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battery module 1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can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4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Also,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may be fixed to the left surface part 33 and the right surface part 35 of the second housing 30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62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battery module 11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can be stably fix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상기 후면부(31)에는 외부공간에서 상기 배터리모듈(11)로 연결되는 전선, 케이블 등이 관통할 수 있는 전선관통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관통홀(311)의 상방에는 상기 전선관통홀(311)로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37)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37)는 도 11에서 설명한다. A wire through-hole 311 through which wires and cables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11 in an external space can pass through may be formed in the rear part 31 . Also, a prevention member 37 preventing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into the wire through hole 311 may be provided above the wire through hole 311 . The prevention member 3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도 6은 제3하우징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housing;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하우징(40)은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을 커버하는 하면부(41)와, 상기 내부공간의 전면 일부를 커버하는 제2전면부(43)와, 상기 하면부(41)와 상기 제2전면부(43)를 연결하는 제4벤딩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면부(41), 상기 제2전면부(43), 및 상기 제4벤딩부(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third housing 40 includes a lower surface portion 41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 second front surface portion 43 covering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and the second front portion 43 may include a fourth bending portion 42 connecting. At this time,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the second front surface portion 43, and the fourth bending portion 42 may be integrally formed.

예를 들어, 상기 하면부(41)의 일부분이 상면을 항햐는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어, 상기 제2전면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하우징(40)은 우측면에서 바라보면, “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면부(41)로부터 상기 제2전면부(43)가 벤딩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하우징(40)을 제작하는 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may be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upper surface to form the second front surface portion 43 . 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the third housing 40 may be formed in an “b” shape. That is, since the second front part 43 is formed by bending the lower surface part 41,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third housing 40 may be simplified.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는 상기 배터리모듈(11)을 지지하기 위한 배터리모듈고정부(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가 고정되는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는 지지부재(411)가 제공될 수 있다. The battery module 11 may be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41 . In addition, a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for supporting the battery module 11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art 41 . At this time, a support member 411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to which the battery module fixing portion 12 is fixed.

상기 지지부재(411)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상기 하면부(41)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11)는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재(411)는 와셔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셔는 고무, 금속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모듈(11) 또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는 상기 하면부(41)로부터 상기 지지부재(411)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41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and the lower surface part 41 . The support member 411 may be provided in multiple pieces.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411 may be provided as a washer. Also, the washer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rubber and metal. Accordingly, the battery module 11 or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part 41 by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411 .

다른 측면으로, 상기 지지부재(411)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411)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재(411)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가 상기 하면부(4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됨으로써,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 침투된 물방울이 상기 배터리모듈(1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upport member 411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That is, the support member 4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However,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41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is spaced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part 41, so that the water droplet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art 41 are removed from the battery module 11. ) can be prevented from direct contact with

상기 하면부(41)의 저면에는 패킹부재(41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12)는 상기 하면부(41)의 저면에서 상방으로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면부(41)의 저면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63)가 관통할 수 있는 제3체결부재관통홀(4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411)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결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12)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하면부(41)를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412)는 고무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412)는 상기 고무재질과 상기 금속재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킹부재(412)의 내부는, 상기 제3체결부재(63)가 체결되는 부분은 금속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412)의 내부를 감싸는 외부에는 상기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A packing member 412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41 . The packing member 412 may be coupled upwardly by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In detail, a thir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413 through which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can pas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art 41 . In addition, the thir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11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 The packing member 412 may space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of the third housing 40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The packing member 412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In addition, the packing member 412 may be formed by mixing the rubber material and the metal material. 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packing member 412, the portion to which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is fastened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And the outside surround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member 412 may be formed of the rubber material.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패킹부재(412)는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상기 제3체결부재결합홈(122)에 결합됨으로써, 제3하우징(40)의 저면에서 물방울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41)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됨으로써, 상기 하면부(41)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acking member 412 is coupled to the thir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2 by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thereby preventing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40. can block In addition, when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is provided to be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from being submerged.

상기 제3체결부재(63)는 상기 하면부(41)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상기 하면부(41)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41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와 상기 지지부재(4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에는 상기 제3체결부재(63)가 결합될 수 있는 제3체결부재결합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체결부재(63)는 상기 하면부(41), 상기 지지부재(411)에 형성된 상기 제3체결부재관통홀(413)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may be coupled to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part 41 .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411 may be included between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and the lower surface part 41 . Also,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and the supporting member 411 may be integrally formed. Accordingly, a thir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2 to which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 Accordingly,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may pass through the third fastening member through hole 413 formed in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and the support member 411 and coupled thereto.

결과적으로, 상기 제3체결부재(63)는 상기 하면부(41)와 상기 지지부재(411)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의 제3체결부재결합홈(122)에 결합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can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and the support member 411 and be coupled to the third fastening member coupling groove 122 of the battery module fixing part 12. there is.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하면부(41), 상기 지지부재(411), 및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12)를 상기 제3체결부재(63)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을 조립과정에서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the support member 411, and the battery module fixing portion 12 are coupled by the third fastening member 63, thereby assembling the housing 10.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r.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2전면부(43)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면부(43)는 상기 제1전면부(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면부(21)의 일 단부와 상기 제2전면부(43)의 일 단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단부(21)의 일 단부는 상기 제1전단부(21)의 하방에 배치되는 단부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단부(43)의 일 단부는 상기 제2전단부(43)의 상방에 배치되는 단부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front part 43 of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front part 21 of the first housing 20 . For example, the second front portion 43 may be formed by b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front portion 21 .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front part 21 and one end of the second front part 43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front end 21 may refer to an end disposed below the first front end 21 .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front end 43 may refer to an end disposed above the second front end 43 .

다른 측면으로, 상기 제2전면부(43)는 상기 제1전면부(21)의 하측 단면에 접촉되도록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전면부(21)의 하측 단면에는 상기 제1연장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면부(21)의 하측 단면은 후방을 향하도록 벤딩되는 제1연장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면부(43)는 상기 제1연장부(24)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연장부(24)의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econd front surface part 43 may be formed to extend to contact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rst front surface part 21 . In detail,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rst front part 21 .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rear. That i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rst front part 21 may be formed with a first extension part 24 bent toward the rear. At this time, the second front part 43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first extension part 24 . Alternatively, it may contact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4 .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방향의 외부에서,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물방울이 튀어올라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splashing up and penetrating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from the outsid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housing 10 .

상기 하면부(41)의 양측면 및 후면에서 상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는 제3연장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3연장부(44)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양측면 및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이 상기 제3하우징(40)에 결합되면, 상기 제3연장부(44)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A third extension part 44 that is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upper surface from both side surfaces and rear surface of the lower part 41 may be formed. In detail, the third extension part 4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both side surfac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40 toward the second housing 30 .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housing 30 is coupled to the third housing 40, the third extension part 44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상기 제2전면부(43)의 상단에서 상기 제1전면부(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2전면부(43)보다 상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1전면부(21)의 제1연장부(24)보다 상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1전면부(21)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전면부(43)의 제4연장부(45)가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의 내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1전면부(21)와 상기 제2전면부(43)의 사이로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fourth extension part 45 may be formed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front part 43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front part 21 .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may be disposed upward from the second front part 43 . In addition,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may be formed upward than the first extension part 24 of the first front part 21 . That is,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first front part 21 .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of the second front part 43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ront part 21 of the first housing 20, so that the first front part 21 ) and the second front part 43,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상기 제2전면부(43)의 양측면에서 후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연장부(46)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5연장부(46)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하면부(41)와 상기 제4연장부(45)의 사이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5연장부(46)는 상기 하면부(41)와 상기 제2전면부(43)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4벤딩부(42)의 양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20), 상기 제2하우징(30), 및 상기 제3하우징(40)이 결합될 때 발생되는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연장부(46)는 상기 제3연장부(44)와 연결될 수 있다.A fifth extension part 46 may be provided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front part 43 in a direction toward the rear surface. In detail, the fifth extension part 46 may be provided in a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part 41 of the third housing 40 and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 That is, the fifth extension part 46 may be formed on both end surfaces of the fourth bending part 42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surface part 41 and the second front part 43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ver a space generated when the first housing 20, the second housing 30, and the third housing 40 are combined. Also, the fifth extension part 46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extension part 44 .

도 7은 손잡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part.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부(50)는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좌측면부(33)와 상기 우측면부(35)의 내면에는 상기 손잡이부(5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상하 방향에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8)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서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상방에 형성되는 고정부(38)를 제1고정부(381)로,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방에 형성되는 고정부(38)를 제2고정부(382)라 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handle part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30 . In detail, a fixing part 38 may b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left side part 33 and the right side part 35 so that the handle part 50 can be fixed. A plurality of fixing parts 38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 The fixing part 38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In addition, the fixing part 38 formed above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is used as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fixing part 38 formed below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is used as the second fixing part 381.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government 382.

상기 고정부(38)의 일부분에는 결합부재결합홈(383)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은 상기 손잡이부(50)을 상기 고정부(38)에 설치한 후,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에 결합부재(70)를 체결하여 상기 손잡이부(50)를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70)에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은 상기 고정부(38)의 일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은 상기 고정부(38)에서 상기 손잡이부(50)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A part of the fixing part 38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383 .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383 is formed by fastening the coupling member 70 to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383 after the handle portion 50 is installed on the fixing portion 38, and the handle portion 50 may b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30. At this time, a bolt may be used for the coupling member 70 .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383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fixing part 38 . For example,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383 may b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38 excluding a portion where the handle portion 50 is mounted.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상기 손잡이부(50)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손잡이(51)와, 상기 손잡이(51)를 커버하는 손잡이하우징(5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일부분이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우징(52)과 상기 제2하우징(30)이 접촉하는 사이공간에 방수부재(53)가 포함될 수 있다. The handle part 50 may include a handle 51 provided for a user to hold, and a handle housing 52 covering the handle 51 . The handle housing 52 may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handle housing 5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using 30 . In addition, a waterproof member 53 may be included in a space between the handle housing 52 and the second housing 30 in contact.

상기 손잡이(51)에는 상기 제1고정부(381)에 지지되는 연결부(511)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그립부(5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11)와 상기 그립부(512)는 서로 다른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51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11)는 상기 손잡이(51)를 제2하우징(30)의 제1고정부(381)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11)와 상기 그립부(5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511)의 일부분을 벤딩(Bending)하여 상기 그립부(5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부(512)는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le 51 may include a connection part 511 supported by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a grip part 512 that a user can hold. The connection part 511 and the grip part 512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thicknesses. The grip part 512 can be understood as a part that the user holds by hand. Also, the connection part 511 can be understood as a part for fixing the handle 51 to the first fixing part 381 of the second housing 30 . The connection part 511 and the grip part 512 may be integrally formed. For example, the grip portion 512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511 . In this case, the grip part 512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51)를 잡는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512)의 두께는 연결부(511)의 두께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에 접촉되는 상기 손잡이(51)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피로감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11)를 벤딩하여 상기 그립부(512)를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편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hand holding the handle 51 can be minimized. In detail, the thickness of the grip part 512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connection part 511 . Accordingly, the area of the handle 5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hand can be increased. In other word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hand can be reduced. Therefore, fatigue on the user's hand can be reduced. In addition, by bending the connecting portion 511 to form the grip portion 512,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상기 연결부(511)에는 상기 고정부(38)에 고정되는 제1관통홀(5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511)에는 상기 제1고정부(381)과 대응되는 크기의 상기 제1관통홀(51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11)의 제1관통홀(513)은 상기 제1고정부(38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11)의 제1관통홀(513)이 상기 제1고정부(381)에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제1고정부(381)에 고정될 수 있다. A first through hole 513 fixed to the fixing part 38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511 . In detail, the first through hole 513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first fixing part 381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511 . Therefore, the first through hole 513 of the connection part 51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381 . When the first through hole 513 of the connection part 51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381 , the handle 51 may be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381 .

한편, 상기 고정부(38)의 제2고정부(382)에는 상기 방수부재(53)가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방수부재(53)에는 상기 제2고정부(382)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3관통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부재(53)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을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proof member 53 may be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382 of the fixing part 38 . In detail, a third through hole 533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art 382 may be formed in the waterproof member 53 . Also, the waterproof member 53 may b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손잡이(51)와 상기 방수부재(53)가 상기 고정부(38)에 고정되면, 상기 손잡이(51)와 상기 방수부재(53)를 커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는 상기 제1고정부(381)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관통홀(52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는 상기 제2고정부(382)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4관통홀(5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손잡이(51)와 상기 방수부재(53)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 결합될 수 있다.The handle housing 52 may cover the handle 51 and the waterproof member 53 when the handle 51 and the waterproof member 53 are fixed to the fixing part 38 . In detail, a second through hole 525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part 381 may be formed in the handle housing 52 . Also, a fourth through hole 526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art 382 may be formed in the handle housing 52 . Accordingly, the handle housing 5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382 while covering the handle 51 and the waterproof member 53 .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이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 결합되면,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제2관통홀(525)은 상기 제1고정부(38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제4관통홀(526)은 상기 제2고정부(38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하우징(52)과 상기 제2하우징(30)의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51) 및 상기 방수부재(53)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은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에 손을 투입하여, 상기 손잡이(51)를 잡을 수 있다.When the handle housing 52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82 , the handle housing 52 may b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30 . In detail, the second through hole 525 of the handle housing 5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381 . Also, the fourth through hole 526 of the handle housing 5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ixing part 382 . At this time, the handle 51 and the waterproof member 5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andle housing 52 and the second housing 30 . Accordingly,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may be shielded by the handle housing 52 . Also, the user can hold the handle 51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

도 8은 방수부재의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a waterproof member.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방수부재(53)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양측방에 배치되는 제2방수부재(53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양측방에 배치되는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waterproof member 53 includes a first waterproof member 531 disposed below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and a second waterproof member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Member 532 may be included.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방수부재(53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수부재(53)는 정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and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may be formed to be separated. In detail,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Also,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waterproof member 53 may be formed in a “U” shape.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상기 제1방수부재(531)에는 일부분이 돌출되는 제1돌출부(5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538)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A first protrusion 538 may be formed in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a portion of which protrudes. The first protrusion 538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

상기 제2방수부재(532)에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의 제1돌출부(538)와 대응되는 제1함몰부(5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부(539)는 상기 제2방수부재(53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함몰부(539)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A first depression 539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538 of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 The first recessed portion 539 may be recessed from one side of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to the other side. For example, the first recessed portion 539 may be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538)와 상기 제1함몰부(539)는 서로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538 and the first recessed portion 539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즉, 상기 제1방수부재(531)의 제1돌출부(538)와 상기 제2방수부재(532)의 제1함몰부(539)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출부(538)는 상기 제1함몰부(539)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방수부재(53)의 내측에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부재(53)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를 둘러쌓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물방울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돌출부(538)가 상기 제1함몰부(539)보다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을 통하여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538 of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and the first recessed portion 539 of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538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depression 539 . Because, the inside of the waterproof member 53,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can be installed. Also, the waterproof member 53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 Therefore, when water droplets flow into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the first protrusion 538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recessed portion 539, so that the water droplets permeate through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상기 제1방수부재(531)에는 상기 제3관통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방수부재(531)는 상기 제2고정부(38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방수부재(531)는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단부와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through hole 533 may be formed in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 Accordingly,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may be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382 . Also,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may be formed to elong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nd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양측방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3방수부재(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 And, it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and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addition,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and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a third waterproof member (not shown) disposed above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may be further included.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하우징(30)과 상기 손잡이부(50)의 사이공간에 상기 방수부재(53)가 제공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30)과 상기 손잡이부(50)의 사이공간으로 물방울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by being coupled with the waterproof member 53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housing 30 and the handle portion 50, the second housing 30 and the handle portion 50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도 9는 손잡이하우징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housing;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고정부(38)에 고정되는 지지부(521)와, 사용자의 손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handle housing 52 includes a support portion 521 fixed to the fixing portion 38 of the second housing 30, and a cover portion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portion of the user's hand is accommodated ( 522) may be formed.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제2하우징(30)에 일면이 접촉되는 판(Boar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521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521 may be formed in a board shape with one surface contacting the second housing 30 . And, the support part 521 may be formed to a certain thickness.

상기 지지부(521)에는 상기 제2관통홀(525) 및 상기 제4관통홀(52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홀(525) 및 상기 제4관통홀(526)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1고정부(381) 및 제2고정부(382)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through hole 525 and the fourth through hole 526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521 . Also, the second through hole 525 and the fourth through hole 526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82 of the second housing 30 . Therefore, the support part 521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

상기 지지부(521)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가 장착되는 연결부장착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A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to which the connection part 511 of the handle 51 is mounted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521 .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은 상기 지지부(521)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은 상기 연결부(5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의 일면은 상기 연결부(511)의 두께만큼 상기 지지부(521)의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은, 상기 제2하우징(30)과 마주보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의 타면은,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521)에는 상기 연결부(51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11)가 삽입되는 공간을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이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11)가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513)과 동일한 위치에 상기 제2관통홀(525)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toward the other surface.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511 .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may protrude toward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by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511 . At this time,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can be understood as a surface facing the second housing 30 .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can be understood as a surfac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 That is, a space into which the connection part 511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521 . Also, the space into which the connection part 511 is inserted can be understood as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511 can be mounted in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 In addition, the second through hole 525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through hole 513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511 of the handle 51 .

다른 측면으로,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은 상기 연결부(5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은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은, 상기 제2하우징(30)과 마주보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의 타면은,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된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art 511 . In detail,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in a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to the other surface. At this time,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can be understood as a surface facing the second housing 30 .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can be understood as a surfac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의 함몰되는 깊이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연결부(511)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11)가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511)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513)과 상기 지지부(521)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525)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recessed depth of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511 of the handle 51 . That is, a space into which the connection part 511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 Therefore, the connection part 511 can be mounted in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 In this case, the first through hole 513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5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25 formed in the support part 521 may be formed at the same location.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제2관통홀(525) 및 상기 제4관통홀(52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일부가 상기 제2하우징(30)의 고정부(38)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하우징(30)의 손잡이설치홀(39)을 커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가 돌출되면, 상기 지지부(521)는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공간이 생길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공간을 그립공간(g)이 칭할 수 있다. 상기 그립공간(g)은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손잡이부(50)가 설치되면, 사용자의 손이 투입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공간(g)은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커버부(522)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공간(g)에는 상기 손잡이(51)의 그립부(512)가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part 522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 In detail, the cover part 522 may be formed so that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 Also, the cover part 5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 525 and the fourth through hole 526 . The cover part 522 protrudes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support part 521 is fixed to the fixing part 38 of the second housing 30, 2 can be understood as covering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of the housing 30. At this time, when the cover part 522 protrudes, the support part 521 may have a space in a direction toward the inner space. At this time, the formed space may be referred to as the grip space g. The grip space (g)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into which a user's hand is put when the handle part 5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 . Also, the grip space g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support part 521 and the cover part 522 . In addition, the grip part 512 of the handle 51 may be disposed in the grip space g.

다른 측면으로, 상기 지지부(521)에는 일부분이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의 관통된 일부분을 상기 커버부(522)가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지지부(521)의 관통된 일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22)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52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21)에는 사각형으로 관통된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는 사각형으로 관통된 일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522)에 형성된 공간은 상기 지지부(521)의 관통된 일부분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522)에 형성된 공간을 그립공간(g)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커버부(5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커버부(522)는 용접 등의 결합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a portion may penetrate through the support part 521 . Also, the cover part 522 may be formed to cover a penetrating portion of the support part 521 . In this case, the cover part 522 may shield a penetrating portion of the support part 521 . And, the cover part 522 may be formed in at least a polygonal shape so as to have a space therein.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521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521 may include a portion penetrated in a rectangular shape. In this case, the cover part 522 may shield a portion penetrat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is, the space formed in the cover part 522 may communicate with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support part 521 . At this time, the space formed in the cover part 522 may be referred to as a grip space g. Meanwhile, the support part 521 and the cover part 522 may be integrally formed. Alternatively, the support part 521 and the cover part 52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 combination such as welding.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손잡이부(50)를 편리하게 잡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521)와 상기 커버부(522)의 사이에 그립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51)를 잡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손을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손을 투입하며 발생될 수 있는 문제, 즉 손가락의 끼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conveniently hold the handle part 50 . In detail, a grip space g may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 part 521 and the cover part 522 . In addition, the user may put his/her hand into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to grip the handle 51 .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that may occur when a hand is put into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that is, a finger jammed.

상기 커버부(522)는 상기 연결부장착홈(524)과 연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부(521)에는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522)에는 상기 그립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공간(g)에는 상기 손잡이(51)의 그립부(51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51)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1고정부(381)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 상기 연결부(511)가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공간(g)에는 상기 그립부(512)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하우징(30)의 고정부(38)에 상기 손잡이(51)가 장착된 후,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이 상기 손잡이(51)에 장착될 수 있다.The cover part 522 may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 In detail,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521 . Also, the grip space g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522 . The connection part 511 of the handle 51 may be mounted in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 The grip part 512 of the handle 51 may be disposed in the grip space g. That is, while the handle 51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381 of the second housing 30, the connecting part 511 can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art mounting groove 524. Also, the grip part 512 may be disposed in the grip space g. In other words, after the handle 51 is mounted on the fixing part 38 of the second housing 30, the handle housing 52 may be mounted on the handle 51.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51)가 상기 손잡이하우징(52)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2하우징(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1)와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handle 51 may be fixed to the second housing 30 while being mounted on the handle housing 52 .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handle 51 and the handle housing 52 is easy.

상기 커버부(522)는 사용자의 손을 상기 손잡이(51)의 그립부(512)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경사면(523)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면(523)은 상기 그립부(512)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523)은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단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523)의 단면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523)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 예에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523)의 일부분은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part 522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523 that guides the user's hand toward the grip part 512 of the handle 51 . In detail, the inclined surface 523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grip part 512 .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523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 A cross s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523 may be formed to have a certain angle. 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523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However,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to have a certain angle.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52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투입되는 사용자의 손을 상기 경사면(523)을 통하여 상기 그립부(512)를 향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경사면(523)을 따라서 손을 이동시켜 상기 그립부(512)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523)의 일부분이 상기 손잡이설치홀(39)의 하단과 인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손잡이설치홀(39)로 유입될 수 있는 물방울은 상기 경사면(523)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ser's hand inserted into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can be guided toward the grip part 512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523 .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grip part 512 by moving his/her hand along the inclined surface 523 . In addition, since a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52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water droplets that may flow into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523. can

도 10은, 손잡이부의 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andle portion.

도 10을 참조하면, 제2하우징(30)의 내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1고정부(381) 및 제2고정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제2하우징(30)에는 손잡이설치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제1고정부(381) 및 제2고정부(382)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first fixing part 381 and a second fixing part 382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 A handle installation hole 39 may b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30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82 . The handle part 50 may be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82 of the second housing 30 .

먼저, 상기 제1고정부(381)에는 상기 손잡이부(50)의 손잡이(51)를 장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에 형성된 제1관통홀(513)이 상기 제1고정부(38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513)은 상기 제1고정부(381)와 동일한 크기 또는 상기 제1고정부(38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관통홀(513)은 상기 제1고정부(38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First, the handle 51 of the handle part 5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fixing part 381 . In detail, the first through hole 513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511 of the handle 5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381 . In this case, the first through hole 513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first fixing part 381 or be larger than the first fixing part 381 . Thus, the first through hole 513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381 .

상기 제2고정부(382)에는 방수부재(53)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방수부재(53)의 제1방수부재(531)에 형성된 제2관통홀(525)이 상기 제2고정부(38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부재(53)의 제2방수부재(532)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의 양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방수부재(532)는 상기 제1방수부재(531)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A waterproof member 53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fixing part 382 . In detail, the second through hole 525 formed in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of the waterproof member 53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part 382 . Also,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of the waterproof member 53 may be disposed adjacent to both ends of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 At this time,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lso, the second waterproof member 532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aterproof member 531 .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상기 제1고정부(381)에 상기 손잡이(51)가 장착되고, 상기 제2고정부(382)에 상기 방수부재(53)가 장착되면, 상기 제1고정부(381)와 상기 제2고정부(382)에는 손잡이하우징(52)을 장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하우징(10)의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제1고정부(381)가 삽입될 수 있는 제3관통홀(5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지지부(521)에는 상기 상기 제2고정부(382)가 삽입될 수 있는 제4관통홀(52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커버부(522)는 상기 제2하우징(30)에 형성된 손잡이설치홀(39)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장착홈(524)에는 상기 손잡이(51)의 연결부(511)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21)의 일면에는 상기 방수부재(53)가 접촉될 수 있다.When the handle 51 is attached to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waterproof member 53 is attached to the second fixing part 382,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82 are attached. A handle housing 52 may be mounted on the top 382 . In detail, a third through hole 533 into which the first fixing part 381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part mounting groove 524 of the handle housing 10 . Also, a fourth through hole 526 into which the second fixing part 382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521 of the handle housing 52 . Accordingly, the handle housing 52 may be mounted on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82 . At this time, the cover part 522 of the handle housing 52 may cover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39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30 . Also, the connection part 511 of the handle 51 may be mounted in the connection part mounting groove 524 . In addition, the waterproof member 53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521 .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이 장착되면, 결합부재(70)에 의해서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이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고정부(381) 및 상기 제2고정부(382)에는 상기 결합부재(7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재결합홈(38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70)를 상기 결합부재결합홈(383)에 결합하면,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은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과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면과 상기 손잡이하우징(52)의 사이에 상기 방수부재(53)가 배치됨으로써, 물방울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handle housing 52 is mounted on the first fixing part 381 and the second fixing part 382, the handle housing 52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30 by the coupling member 70. Can be fixed on the inside. In detail,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s 383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70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fixing portion 38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82 . Therefore, when the coupling member 70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coupling groove 383, the handle housing 52 can be clos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At this time, since the waterproof member 53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and the handle housing 52, penetration of water droplets can be prevented.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38)에 대응되는 상기 제1관통홀(513), 상기 제2관통홀(525), 상기 제3관통홀(533), 및 상기 제4관통홀(526)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조립작업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rst through hole 513, the second through hole 525, the third through hole 533, and the fourth through hole 526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art 38 This formation may have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user's assembly work.

도 11은 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vention member.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전선관통홀(311)의 상방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30) 또는 제1하우징(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후면부(3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3)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3)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1 ,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30 or the first housing 2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wire through hole 311 . In detail,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formed on the rear part 31 of the second housing 30 . Also,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of the first housing 20 .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However,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prevention member 37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of the first housing 20 .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전선관통홀(311)로 물방울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선관통홀(3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전선관통홀(311)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re through hole 311 in order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into the wire through hole 311 . Also,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disposed above the wire through hole 311 .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1하우징(20)과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1체결부재(61)에 의하여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연장부(24)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1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provided to be separable from the first housing 20 . In this case,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mounted on the first extension part 24 of the first housing 20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61 . Alternatively,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ousing 20 .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3)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방지부재(371)와, 상기 제1방지부재(371)와 수직한 방향으로, 하방으로 형성되는 제2방지부재(372)와, 상기 제1방지부재(371)와 상기 제2방지부재(372)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방지부재(37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지부재(37)는 하측방향으로 일면이 개구된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revention member 37 includes a first prevention member 371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of the first housing 20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revention member 371, It may include a second prevention member 372 formed downward and a third prevention member 373 connecting ends of the first prevention member 371 and the second prevention member 372 . For example,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with one surface opened in a downward direction.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즉,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전선관통홀(311)이 차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3)의 후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20)과 함께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과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prevention member 37 may be formed to shade the wire through hole 311 . In addition, the prevention member 37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3 of the first housing 20,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20. And, it may have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assembly process.

상기 제2방지부재(372)에는 개구부(3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구부(374)는 상기 제2방지부재(372)의 일면에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74)는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구부(374)는 적어도 일부분이 개구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74)에는 스크류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An opening 37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revention member 372 . In detail, a plurality of openings 374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prevention member 372 . Also, the opening 374 may be formed to be depressed upward. Alternatively, the opening 374 may be formed as a hol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opened. A screw member (not shown) may be mounted in the opening 374 .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전도되는 문제에 취약한 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방지부재(372)의 개구부(374)는 실내공간의 벽, 또는 지지대 등에 스크류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구부(374)는 상기 전선관통홀(31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개구부(374)를 통하여 상기 제1하우징(20)의 상면부(21)를 유동한 물방울이 상기 개구부(374)를 유동하여, 상기 전선관통홀(3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detail, the exterior of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housing 10 is vulnerable to conduction problems. Accordingly, the opening 374 of the second prevention member 372 may be fixed to a wall of an indoor space or a support by a screw member (not show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374 be spaced apart from the wire through hole 311 . This is to prevent water droplets flowing through the opening 374 on the upper surface 21 of the first housing 20 from flowing through the opening 374 and flowing into the wire through hole 311. to be.

따라서, 상기 제2방지부재(372)가 실내공간이나 벽 등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럼으로, 상기 방지부재(37)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도를 방지하는 전도방지부재로도 이해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second prevention member 372 is fixed to an indoor space or a w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using 10 from tipping over. Therefore, the prevention member 37 can also be understood as a fall prevention member preventing the housing 10 from falling.

도 12는 도 1에서 A-A'의 부분 단면도이다.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3하우징(40)에는 상방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제3연장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연장부(44)에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일부분이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하우징(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3하우징(40)보다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6연장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연장부(301)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하우징(30)의 후면부(31), 좌측면부(33), 및 우측면부(35)의 하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a third extension part 44 formed by being bent upward may be formed in the third housing 40 . A part of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supported by the third extension part 44 . In detail, a sixth extension 30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ird housing 40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30 . The sixth extension part 301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30 .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housing 30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s of the rear surface portion 31 , the left side surface portion 33 , and the right side surface portion 35 .

상기 제6연장부(301)는 상기 제2하우징(3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6연장부(301)는 상기 제2하우징(30)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6연장부(301)는 상기 제3연장부(44)의 일면과 인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6연장부(301)가 함몰된 제2하우징(30)의 일면에는 상기 제3연장부(44)의 일면이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하우징(30)은 상기 제3연장부(44)의 일부분에 지지될 수 있다.The sixth extension part 301 may be formed by being depressed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30 toward the outside. Alternatively, the sixth extension part 301 may be formed by ben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housing 30 and extending downward.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Also, the sixth extension part 301 may be adjacent to one surfac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44 . In addition, one surfac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44 may be seat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in which the sixth extension part 301 is recessed. That is, the second housing 30 may be supported on a portion of the third extension part 44 .

이때, 상기 제3하우징(40)에서, 상기 제2하우징(30)의 일면과, 상기 제3연장부(44)의 일면이 만나는 부분을 제2하우징(30)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48)라 칭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third housing 40, a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30 is first seated at a portion where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0 and one surface of the third extension part 44 meet. It may be referred to as section 48.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3연장부(44)에는 상기 제6연장부(301)가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연장부(44)의 하측으로 상기 제6연장부(301)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연장부(44)와 상기 제6연장부(301)의 사이공간으로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ixth extension part 301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third extension part 44 . In addition, the sixth extension part 301 may extend below the third extension part 44 .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into a space between the third extension part 44 and the sixth extension part 301 .

도 13은 도 1에서 B-B'의 부분 단면도이다.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1 .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3하우징(40)에는 하면부(41)에서 상방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제2전면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41)와 상기 제2전면부(43)의 사이에는 제4벤딩부(42)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면부(41), 상기 제2전면부(43) 및 상기 제4벤딩부(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면부(43)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2전면부(43)의 상단에서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를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second front portion 43 formed by b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portion 41 may be formed in the third housing 40 . Also, a fourth bending part 4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part 41 and the second front surface part 43 . That is, the lower surface portion 41, the second front portion 43, and the fourth bending portion 42 may be integrally formed. Also, a fourth extension part 45 extending upward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front part 43 .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may extend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front part 43 toward the first front part 21 of the first housing 20 .

다른 측면으로, 상기 제4연장부(45)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2전면부(43)보다 작은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4연장부(45)는 상기 제2전면부(43)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at is,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may be provided with a smaller width than the second front part 43 . Alternatively, the fourth extension portion 45 may be formed by bending inward from the second front portion 43 and extending upward. It is not limited to these ideas.

제1하우징(20)의 제1전면부(21)에는 제1연장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하우징(20)의 단부에서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1전단부(21)에서 제2하우징(3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on the first front part 21 of the first housing 20 . In detail,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by bending an end of the first housing 20 toward the second housing 30 . Accordingly,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front end part 21 toward the second housing 30 .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20)의 제1연장부(24)는 상기 제3하우징(40)의 일부분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연장부(24)의 일면은, 상기 제2전면부(43)의 일부분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부(24)의 타면은, 상기 제4연장부(45)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하우징(40)에서, 상기 제3하우징(40)의 일면과, 상기 제1연장부(24)의 일면이 만나는 부분을 제1하우징(20)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49)라 칭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extension part 24 of the first housing 20 may be supported on a part of the third housing 40 . In detail, on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be supported on a part of the second front part 43 . Also,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ay contact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 At this time, in the third housing 40, a part of the first housing 20 is seated at a portion where one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40 and on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4 meet. It may be referred to as section 49.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4연장부(45)에는 상기 제1연장부(24)가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연장부(45)가 상기 제1연장부(24)보다 상방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연장부(24)와 상기 제4연장부(45)의 사이공간으로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rst extension part 24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 In addition, since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is formed up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24, water droplets penetrate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24 and the fourth extension part 45. tha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납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배터리의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한 배터리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장치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배터리 수납장치에 한층 더 접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fety of a battery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device, and to provide a battery storage device for convenient battery maintenance work. In addition, by forming a handle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f the storage device,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battery storage device that maximizes user convenience.

10 하우징 20 제1하우징
30 제2하우징 37 방지부재
40 제3하우징 50 손잡이부
53 방수부재 60 체결부재
70 결합부재
10 housing 20 first housing
30 Second housing 37 Prevention member
40 Third housing 50 Handle part
53 waterproof member 60 fastening member
70 bonding member

Claims (14)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모듈; 이 포함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면 및 상면을 커버하는 제1하우징;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면 및 양측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하여 커버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배터리 모듈이 지지되고,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일부분이 안착되는 제3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제3하우징의 일부분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3하우징의 일부분이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단부에서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A housing formed to be detachable and having an inner space; and
a battery modul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storing energy; is included,
In the housing,
a first housing covering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
a second housing covering the rea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 and covered by the first housing; and
A third housing is included in which the battery module is supported and portion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seated,
A portion of the third housing is in contact with inner surfaces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a portion of the third housing is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n the first housing,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first hous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The batter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xtension portion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일부분이 개구되는 손잡이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설치홀에 인접한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에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1,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A handle installation hole in which a part is opened is formed,
A battery storage device in which a fixing part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djacent to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설치홀을 차폐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제2하우징의 사이에는 방수부재가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handle portion shielding the handle installation hole and being mounted to the fixing part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housing is provided;
A battery storage device including a waterproof member between the handle and the second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1관통홀이 구비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립부가 포함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커버하여 그립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제2관통홀이 포함되는 손잡이 하우징이 포함되고,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손잡이하우징의 일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3,
In the handle part,
a handle having a first through hole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and including a grip part that can be held by hand; and
A handle housing that covers the handle to form a grip space and includes a second through hole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The waterproof member is a batter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handle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방수부재를 상기 제2하우징에 결합하는 결합부재가 포함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battery storage device including a coupling member coupl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waterproof member to the second hous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의 일부분은, 상기 제3하우징에 안착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ortion of the first extension part is seated in the third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이 일단부에서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rom one end toward the first housing,
The batter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xtension is dispo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3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3하우징보다 하측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8,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An extension part extending downward of the second housing is included,
The batter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part is disposed outside the third housing and is located in a lower direction than the third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의 저면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3하우징을 이격시키기 위한 패킹부재가 장착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storage device in which a pack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third housing from the bottom surface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에 상기 배터리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배터리모듈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모듈고정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3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battery module fixing part for fixing the battery module to the third housing is provided,
The batter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module fix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third housing by a faste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는 전선이 유입될 수 있는 전선관통홀이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housing,
A battery storage device in which a wire through-hole is formed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battery module can flow.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관통홀의 상방에는, 상기 전선관통홀로 물방울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부재가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12,
A battery storage device in which a prevention member is formed above the wire through hole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enetrating into the wire through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하우징에 상기 배터리모듈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배터리모듈에 제1체결부재 및 제2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수납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module is supported by the third hous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coupled to the battery module by a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storage device.

KR1020160044097A 2016-04-11 2016-04-11 Battery Storage Device KR102485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97A KR102485751B1 (en) 2016-04-11 2016-04-11 Battery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97A KR102485751B1 (en) 2016-04-11 2016-04-11 Battery Stora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04A KR20170116404A (en) 2017-10-19
KR102485751B1 true KR102485751B1 (en) 2023-01-09

Family

ID=6029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097A KR102485751B1 (en) 2016-04-11 2016-04-11 Battery Stora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75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044B1 (en) * 2013-04-16 2014-03-03 세방전지(주) Extenal box for car battery
WO2015029619A1 (en) * 2013-08-30 2015-03-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Battery pa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488Y1 (en) * 1995-04-08 1998-08-17 전성원 Holder for battery
KR101278979B1 (en) 2011-04-25 2013-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storage device and sub-storage device for the sam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1730959B1 (en) * 2011-10-04 2017-04-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having sealing member
KR101547395B1 (en) * 2013-10-11 2015-08-25 세방전지(주) Housing for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044B1 (en) * 2013-04-16 2014-03-03 세방전지(주) Extenal box for car battery
WO2015029619A1 (en) * 2013-08-30 2015-03-0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404A (en)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12199B (en) Power storage device
EP2706593B1 (en) Battery wiring module
US10784478B2 (en) Battery pack
JP6205808B2 (en) Storage element module
CN100459175C (en) Terminal box
KR102490868B1 (en) Battery rack
KR102360951B1 (en)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the battery rack
CN106256032B (en) Battery pack including spacer
CN203644848U (en) Electronic device
JP6156938B2 (en) Battery container and power storage device
JP6146820B2 (en) Power storage device
JP2013152814A (en) Bus bar module
WO2016035537A1 (en) Battery pack
JP6134157B2 (en) Battery pack
JP5931923B2 (en) Solar cell module
KR101844014B1 (en) Battery Storage Device
KR102485753B1 (en) Battery Storage Device and Making Method
KR102485751B1 (en) Battery Storage Device
JP5300581B2 (en) Unit building
KR101283628B1 (en) Junction box
KR101323584B1 (en) Apparatus for fixing module of solar cell
WO2012077703A1 (en)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onnection box used therein
CN215644801U (en) Housing assembly for battery module
WO2017175636A1 (en) Accumulator device pack
CN220155674U (en) Battery cell support,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