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663B1 - 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 - Google Patents

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663B1
KR102485663B1 KR1020180035138A KR20180035138A KR102485663B1 KR 102485663 B1 KR102485663 B1 KR 102485663B1 KR 1020180035138 A KR1020180035138 A KR 1020180035138A KR 20180035138 A KR20180035138 A KR 20180035138A KR 102485663 B1 KR102485663 B1 KR 102485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discharge
discharge check
elastic memb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3023A (en
Inventor
성열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663B1/en
Publication of KR2019011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04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 F04B27/0821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 F04B27/0839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rotary cylinder block component parts, details, e.g. valves, sealings, lubrication valve means, e.g. valv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토출체크밸브의 주요 구성을 비금속 재질의 일 예인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무게와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check valve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check valve capable of reducing weight and manufacturing cost by making a main component of the discharge check valve with plastic, which is an example of a non-metallic material, and the same. It is about a compressor that includes.

Description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Discharge check valve and compressor including the discharge check valve {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용 토출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와 진동 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경량화된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harge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charge check valve that is lightweight by improving problems caused by weight and vibration,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한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C)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냉방시스템의 구성으로서 증발기로부터 인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시켜 응축기로 보내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있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ing unit (A/C) for cooling and he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is installed. As a component of a cooling system, such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that compresses a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eous refrigerant introduced from an evaporator into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gaseous refrigerant and sends it to a condenser.

압축기는 압축 방식에 따라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식 및 회전운동에 의해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전달방식에 따라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등이 있다.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 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Compressors include a reciprocating type compressing refrigerant by reciprocating motion of a piston and a rotary type compressing refrigerant by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a compression method. In the reciprocating type, there is a crank type that uses a crank to transmit to a plurality of piston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drive source, and a swash plate type that transmits to a rotating shaft on which a swash plate is installed. The rotary type includes a vane rotary type using a rotating rotary shaft and a vane, and a scroll type using an orbiting scroll and a fixed scroll.

상술한 왕복식 압축기 중 사판식 압축기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사판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사판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왕복이동되도록 하여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Among the above-described reciprocating compressors,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rotates the swash plate while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by allowing the piston to reciproc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wash plate.

일반적으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사판식 압축기에서 사판이 압축용량에 따라 사판의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압축기를 의미한다. In general,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means a compressor configured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capacity of the swash plate in 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이러한 사판식 압축기는 공조장치 스위치의 온/오프(on/off)에 따라 구동되는데, 압축기가 구동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하강하게 되고, 압축기가 정지되면 증발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사판식 압축기는 공조장치 스위치가 켜지는 경우에는, 피스톤과 회전축 및 사판의 상대운동에 따라 고안 고압의 냉매를 압축기 외부의 응축기로 토출시킨다.Th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driven according to the on/off of the air conditioner switch. When the compressor is driven,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decreases, and when the compressor is stopped,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rises. When the air conditioner switch is turned on, the swash plate compressor discharges high-pressure refrigerant to the condenser outside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relative motion of the piston, the rotating shaft and the swash plate.

도 1은 종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실린더 블록(10)은 압축기(1)의 외관과 골격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의 중앙을 관통하여 센터 보어(12)가 형성된다. The cylinder block 10 forms part of the exterior and skeleton of the compressor 1, and a center bore 12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ylinder block.

센터 보어(12)에는 회전축(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센터 보어(12)를 감싸며 방사상으로 실린더 블록(10)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11)가 형성된다. 실린더 보어(11)는 내부에 피스톤(13)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A rotating shaft 4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enter bore 12, and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11 are formed to radially penetrate the cylinder block 10 while surrounding the center bore 12. The cylinder bore 11 is installed so that the piston 13 can linearly reciprocate therein.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13)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실린더 보어(11)는 피스톤(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13)이 실린더 보어(11)의 내부를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흡입실(31)을 통해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Preferably, the piston 1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er bore 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pac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iston 13. Accordingly, the piston 13 compresses the refrigerant sucked through the suction chamber 31 while linearly reciprocating inside the cylinder bore 11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상기 실린더 블록(10)의 일단에 전방 하우징(20)이 설치된다. 전방 하우징(20)은 실린더 블록(10)과 마주보는 쪽이 요입되어, 실린더 블록(10)과 함께 내부에 크랭크실(21)을 형성하고, 상기 크랭크실(21)은 외부와 기밀이 유지된다.In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 front housing 2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ylinder block 10. The front housing 20 is recessed on the side facing the cylinder block 10, forming a crank chamber 21 inside with the cylinder block 10, and the crank chamber 21 is airtight with the outside. .

전방 하우징(20)은 일측에 풀리(6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풀리(60)는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A pulley 6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housing 20, and the pulley 60 serves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실린더 블록(10)은 마주보는 위치에 전방 하우징(20)과 마주하도록 후방 하우징(30)이 설치된다. 후방 하우징(30)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획벽에 의해 내측에는 흡입유로(33)를 통해 흡입포트(32)와 연통되도록 흡입실(31)이 형성된다. The rear housing 30 is installed so that the cylinder block 10 faces the front housing 20 at a facing position. A suction chamber 31 is formed in the rear housing 3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port 32 through the suction passage 33 on the inside by a circular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상기 흡입실(31)은 실린더 보어(11)의 내부로 압축될 냉매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후방 하우징(30)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구획벽에 의해 외측에 토출실(34)이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실(34)은 압축된 냉매를 압축기의 외부로 투출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uction chamber 31 serves to deliver the refrigerant to be compressed into the cylinder bore 11 . In addition, a discharge chamber 34 is formed outside the rear housing 30 by a circular partition wall formed therein. The discharge chamber 34 serves to temporarily store the compressed refrigerant before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회전축(40)은 상기 센터 보어(12)와, 전방 하우징(20)의 크랭크실(21)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40)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로터(41)가 설치된다. The rotating shaft 40 i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bore 12 and the crank chamber 21 of the front housing 20 . The rotating shaft 40 is rotated by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an engine, and a rotor 41 is installed.

로터(41)는 회전축(40)의 중앙을 관통하고, 회전축(40)과 일체로 회전되게 크랭크실(21) 내에 설치된다. 로터(4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회전축(40)에 고정 설치되고, 로터(41)의 일면에 힌지아암(4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The rotor 41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40 and is installed in the crank chamber 21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shaft 40 . The rotor 41 is fixedly installed to the rotating shaft 40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and a hinge arm 42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rotor 41 .

사판(44)이 슈(45)에 의해 회전축(40)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사판(44)은 로터(41)와 힌지결합되어 로터(41)와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사판(44)은 회전축(40)에 각도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상태와 회전축(4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된 상태 사이의 위치로 설치된다. The swash plate 44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40 by the shoe 45, and the swash plate 44 is hinged with the rotor 41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or 41. The swash plate 44 is installed to have a variable angle to the rotating shaft 40,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between a stat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40 and a stat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40 do.

또한, 회전축(40)에는 코일스프링인 반경사 스프링(43)이 회전축(4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반경사 스프링(43)은 로터(41)와 사판(44)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한다. 즉, 반경사 스프링(43)은 사판(44)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고, 압축기(1)의 작동이 중지되었을 때에 사판(44)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a semi-reflexive spring 43, which is a coil spring,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40 so as to surround the rotating shaft 40. The anti-reflection spring 43 exerts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rotor 41 and the swash plate 44. That is, the anti-reflection spring 43 functions to apply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44 decreases and absorbs the force acting on the swash plate 44 when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 is stopped. .

실린더 블록(10)과 후방 하우징(30) 사이에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밸브어셈블리(50)가 설치된다.A valve assembly 50 is installed between the cylinder block 10 and the rear housing 30 to control the flow of refrigerant.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압축기 중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서 후방 하우징의 일측에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온 또는 오프 작동에 따른 냉매의 역류 또는 토출에 따른 맥동을 감소하기 위해 토출체크밸브(60)가 압입에 의해 설치된다. 2, a discharge check valve (60 ) is installed by press-fitting.

상기 토출체크밸브(60)는 후방 하우징(30)에 설치되는데, 냉매의 이동에 따른 토출맥동을 댐핑시키기 위해 외형을 구성하는 바디 부분이 금속으로 제작됨으로써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The discharge check valve 60 is installed in the rear housing 30. In order to damp the discharge pulsatio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refrigerant,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exterior is made of metal, which causes a problem of increasing manufacturing cost.

또한 토출체크밸브(60)가 후방 하우징(60)에 강제 압입된 후에 고착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In addition, a problem in that the discharge check valve 60 is stuck after being forcibly press-fitted into the rear housing 60 is caused, and a countermeasure for this is required.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3-009216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9216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변 사판식 압축기 작동시 토출맥동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하여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할 수 있는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ischarge check valve capable of promoting stable operation by minimizing vibration and noise due to discharge pulsation during operation of a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는 프런트 헤드(Front head)(110); 상기 프런트 헤드(110)와 마주보는 상대면에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150); 상기 실린더 블록(150)과 마주보는 상대면에 결합되고, 흡입실(122)과 토출실(124)이 구비된 리어 헤드(Rear head)(120); 및 상기 토출실(124)에 냉매의 토출에 따른 맥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토출실(123)에 형성된 통로(124a)에 토출체크밸브(200)가 구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scharge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include a front head (110); a cylinder block 150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front head 110; a rear head 120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cylinder block 150 and having a suction chamber 122 and a discharge chamber 124; And a discharge check valve 200 is provided in the passage 124a formed in the discharge chamber 123 to reduce pulsation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into the discharge chamber 124 .

그리고 상기 토출체크밸브(200)는 상기 토출실(124)에 형성된 통로(124a)에 걸림 유지되도록 일측 단부에 걸림부(212)가 구비되고, 냉매의 이동을 위해 원주 방향에 개구부(216)가 형성된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코어(300); 및 상기 바디부(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300)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통로(124a)의 일면에 접촉되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And, the discharge check valve 200 is provided with a hooking part 212 at one end so as to be held in the passage 124a formed in the discharge chamber 124, and an opening 216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the movement of the refrigerant. Formed body portion 210; A core 300 movably insert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body 210; and an elastic member 400 inserted into the body 210 to elastically support one side of the core 300 and elastically support one side of the passage 124a by contacting the other side.

상기 바디부(210)는 축 방향 하측에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된 확장부(214)가 형성된다.The body portion 210 is formed with an expansion portion 214 whose diameter is increased outwardly at the low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토출체크밸브(200)는 수지로 성형되고, 상기 통로(124a)에는 상기 걸림부(212)와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 홈(125)이 형성된다.The discharge check valve 200 is molded of resin, and an insertion groove 125 is formed in the passage 124a at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portion 212 .

상기 바디부(210)에는 축 방향에서 실링을 위한 오링(50)이 구비된다.The body part 210 is provided with an O-ring 50 for sealing in an axial direction.

상기 탄성부재(400)에 대한 위치 고정을 위해 상기 바디부(210)와 축 방향에서 마주보며 상기 토출 통로(124a)에서 돌출되어 상기 탄성 부재(4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위치 고정부(500)가 구비된다.A position fixing part 500 facing the body part 2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passage 124a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lastic member 400 to fix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400 is provided

상기 위치 고정부(500)는 상기 바디부(21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400)의 내측에 삽입된다.The position fixing part 500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210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lastic member 400 .

상기 위치 고정부(500)는 상기 통로(124a)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위치 고정부(500)에 수납된다.The position fixing part 500 is concave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ssage 124a so that the elastic member 400 is accommodated in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

상기 코어(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시 상기 바디부(210)에서 상기 확장부(214)의 외측으로 일측이 부분 노출되도록 구성된다.The core 300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core 300 is partially exposed from the body 210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214 when it is mov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ody 21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가변 사판식 압축기 작동시 발생되는 토출 맥동 현상에 따른 댐핑 작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여 토출 맥동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bration and noise due to discharge pulsation can be minimized by stably inducing a damp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discharge pulsation phenomen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토출체크밸브의 제작비용 및 무게를 감소시켜 제작비용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of the discharge check valv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토출체크밸브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위치 고정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맥동압력의 급격한 변화에 상관 없이 안정적인 댐핑을 유지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fixed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discharge check valve at all times, so that stable damping can be maintained regardless of rapid changes in pulsating pressure.

도 1은 종래의 가변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구비된 토출체크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변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토출체크밸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토출체크밸브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코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토출체크밸브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위치 고정부에 탄성부재가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check valve provided in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a discharge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e shown in Figure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 discharge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member is supported in a position fix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user or operator or a precedent.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가변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토출체크밸브의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토출체크밸브의 정면도 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ront view of the discharge check valve by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가변 사판식 압축기는 프런트 헤드(Front head)(110)와, 상기 프런트 헤드(110)와 마주보는 상대면에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150)과, 상기 실린더 블록(150)과 마주보는 상대면에 결합되고, 흡입실(122)과 토출실(124)이 구비된 리어 헤드(Rear head)(120)가 구비된다.3 to 6, the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ont head 110 and a cylinder block 150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front head 110. ), and a rear head 120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cylinder block 150 and equipped with a suction chamber 122 and a discharge chamber 124 is provided.

센터 보어에는 회전축(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센터 보어를 감싸며 방사상으로 실린더 블록(150)을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된다.A rotating shaft 2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center bore, and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are formed to penetrate the cylinder block 150 radially while surrounding the center bore.

실린더 보어는 내부에 피스톤(4)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에 사판(3)이 결합된다.The cylinder bore is installed so that the piston 4 can linearly reciprocate therein, and the swash plate 3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

토출체크밸브(200)는 토출실(124)에서 냉매의 토출에 따른 맥동을 저감하기 위해 통로(124a)에 설치되어 토출맥동을 최소화 하여 가변 사판식 압축기가 작동될 때 발생되는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The discharge check valve 200 is installed in the passage 124a to reduce the pulsation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in the discharge chamber 124 and minimizes the discharge pulsation to reduce vibration or noise generated when the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operates. can be suppressed

상기 토출체크밸브(200)는 수지(resin)로 성형되고, 상기 토출실(124)에 형성된 통로(124a)에 걸림 유지되도록 일측 단부에 걸림부(212)가 구비되며, 축 방향 하측에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된 확장부(214)가 형성되며, 냉매의 이동을 위해 원주 방향에 개구부(216)가 형성된 바디부(210)가 구비된다.The discharge check valve 200 is molded of resin, has a hooking part 212 at one end so as to be held in the passage 124a formed in the discharge chamber 124, and extends outward at the low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An expansion part 214 having an increased diameter is formed, and a body part 210 having an opening 216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movement of the refrigerant is provided.

상기 바디부(210)는 스틸 재질이 아닌 수지(resin)가 사용되므로 가공 및 성형이 스틸에 비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바디부(210)는 무게가 스틸에 비해 감소되므로 무게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body part 210 uses a resin rather than a steel material, processing and molding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than steel. In particular, since the weight of the body portion 210 is reduced compared to that of steel, weight reduction may be achieved.

상기 바디부(210)는 내열성 수지로 성형되므로 냉매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시 일정한 상태가 유지된다. 바디부(210)는 냉매의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팽창 또는 수축 되지 않고 일정하게 형태가 유지되는 것이 내구성 측면에서 안정적일 수 있다. Since the body part 210 is formed of a heat-resistant resin, it is not affected by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refrigerant and maintains a constant state at all times. The body portion 210 may be stable in terms of durability in that it does not expand or contract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refrigerant and maintains a constant shape.

특히 본 실시 예는 바디부(210)가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금속 재질 보다 제작 비용이 절감 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ody portion 210 is mad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metal materials.

상기 바디부(210)에는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수지로 성형된 코어(300) 및 상기 바디부(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300)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통로(124a)의 일면에 접촉되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400)가 구비된다.The body portion 210 is movably insert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side, and is inserted into the core 300 molded of resin and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210 to elastically support one side of the core 300,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400 elastically supported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ssage 124a.

상기 걸림부(212)는 일 예로 바디부(21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 반경 방향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림부(212)는 바디부(210)의 위치 고정과 냉매의 맥동으로 인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For example, the hooking portion 212 protrudes outward from an upper radial direction based on an ax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10 . The locking part 212 is provided to prevent movement due to fixing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210 and pulsation of the refrigerant.

바디부(210)에는 축 방향으로 냉매의 이동을 위해 상면 중앙에 냉매 유입 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냉매 유입 홀(211)을 통해 냉매가 유입된 후에 개구부(216)를 통해 통로(124a)의 영역으로 배출되면서 냉매의 이동으로 인한 맥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A refrigerant inlet hole 2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210 for the movement of refrigerant in the axial direction, and after the refrigerant flows in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hole 211, the passage 124a passes through the opening 216.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ulsation nois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refrigerant.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디부(210)는 위치 고정을 위해 통로(124a)에 상기 걸림부(212)와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 홈(12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 홈(125)은 작업자가 토출체크밸브(200)를 설치할 때 바디부(210)의 고정을 위해 구비되므로 손쉽게 통로(124a)에 삽입 설치할 수 있다.In the body par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insertion groove 125 is formed in the passage 124a at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part 212 to fix the position. Since the insertion groove 125 is provided for fixing the body part 210 when a worker installs the discharge check valve 200,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passage 124a.

본 실시 예에 의한 바디부(210)에는 축 방향에서 실링을 위한 오링(50)이 구비된다. 상기 오링(50)은 냉매의 이동을 상기 냉매 유입 홀(211)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냉매의 막동에 따른 안정적인 맥동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body part 2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O-ring 50 for sealing in the axial direction. The O-ring 50 allows the refrigerant to move only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hole 211 so that the stable pulsation pressure according to the film movement of the refrigerant can be adjusted.

상기 오링(50)은 1개 또는 2개 이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특별히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One or two or more O-rings 50 may be provided, and the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코어(300)는 바디부(210)의 내측에 위치되고, 냉매의 압력 변동에 따라 상기 냉매 유입 홀(211)을 통해 유입된 냉매에 의해 축 방향에서 이동된다. 상기 코어(300)는 냉매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개구부(216)의 개구된 영역을 막고 있어 냉매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The core 300 is located inside the body 210 and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hole 211 according to the pressure fluctuation of the refrigerant. Whe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s not applied, the core 300 blocks the open area of the opening 216 so that the refrigerant does not move.

코어(300)는 냉매의 압력에 의해 바디부(21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후술할 탄성부재(400)를 탄성 압축 시키면서 도면 기준 6시 방향인 하측으로 이동된다.When the core 30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210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it moves downward at 6 o'clock in the drawing while elastically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400 to be described later.

이 경우 개구부(216)가 개방되므로 냉매가 통로(124a)로 이동되므로 냉매의 이동에 따른 맥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 216 is opened, the refrigerant is moved to the passage 124a, so that pulsation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refrigerant can be minimized.

본 실시 예에 의한 확장부(214)는 면적 증가를 통해 코어(300)의 후방(도 4 기준 6시 위치)에서 탄성부재(400)가 상기 코어(300)를 전방(도 4 기준 12시 위치)로 탄지하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In the expansion part 2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400 moves the core 300 from the rear of the core 300 (6 o'clock position in FIG. 4) to the front (12 o'clock position in FIG. 4) by increasing the area. ) is formed to increase the force of the ball.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코어(300)를 탄지하기 위해 스프링 상수가 증가된 구성으로 구성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300)에 대한 지지 능력이 상승되도록 확장부(214)의 면적을 증가시켜 구성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400 is configured with an increased spring constant to support the core 300 or, as described above, the area of the extension part 214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support capacity for the core 300. can be configured.

상기 탄성부재(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상수가 증가될 경우 사양 변경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고, 가변 사판식 압축기 작동시 발생되는 구동 주파수와 중첩으로 인해 예상하지 못한 노이즈 증폭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ember 400 increases the cost of specification change when the spring constant is increased, and unexpected noise amplification may occur due to overlap with the driving frequency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problems can arise.

본 실시 예는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부재(400)의 스프링 상수를 감소시키되, 가변 사판식 압축기 작동시 발생되는 구동 주파수와 중첩으로 인한 노이즈가 증폭되지 않도록 스프링 상수를 변경하고, 부족한 댐핑력은 상기 확장부(214)의 면적 증가를 통해 상기 코어부(300)에 대한 지지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ring constant of the elastic member 400 is reduced so that the above problems do not occur, but the spring constant is changed so that noise due to overlapping with the driving frequency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is not amplified, and insufficient damping The force can stably maintain the support capacity for the core part 300 through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expansion part 214 .

즉 상기 코어부(300)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400)가 갖는 탄성력과 상기 직경이 확장된 확장부(214)가 받는 압력이 더해진 힘이 가해지므로 상기 탄성부재(400)의 스프링 상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토출체크밸브(200)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할 수 있고,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 주파수와 일치되는 현상도 예방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orce applied to the core part 300 is a force obtained by add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00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xpansion part 214 having an expanded diameter, the spring constant of the elastic member 400 It is possible to achieve stable operation of the discharge check valve 200 without increasing ,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that coincides with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실시 예는 탄성부재(400)에 대한 위치 고정을 위해 상기 바디부(210)와 축 방향에서 마주보며 상기 토출 통로(124a)에서 돌출되어 상기 탄성 부재(4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위치 고정부(500)가 구비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fixing part protrudes from the discharge passage 124a an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lastic member 400 while facing the body part 210 in the axial direction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400. 500 is provided.

상기 위치 고정부(500)는 탄성 부재(400)의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로 삽입되므로 상기 탄성 부재(400)의 위치 고정을 도모하고, 상기 코어(300)에 의해 탄성변형 되는 경우에도 바디부(2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Since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member 40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he elastic member 400 is fixed in position, and even when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re 300, the body part ( 210)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상기 위치 고정부(500)는 상기 바디부(210)의 내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상기 확장부(214)의 높이 보다 짧은 길이로 연장된다. 위치 고정부(500)는 코어(300)가 바디부(21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다.The position fixing part 500 extends to a length shorter than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art 214 when it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210 . When the core 30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210,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preferably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it.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코어(300)는 상기 위치 고정부(500)와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도록 도면 기준으로 하면이 내측으로 요입된 홈부(310)가 형성된 타입도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ttached, the core 300 may also be of a type in which a groove 310 recessed inwards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based on the drawing so as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상기 홈부(310)는 상기 탄성 부재(400)의 반경과 유사 내지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어(300)가 상기 위치 고정부(500)를 향해 하향 이동하는 경우 코어(300)의 하면에 위치 고정부(500)의 상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groove part 310 may have a diameter similar to or the same as the radius of the elastic member 400, and when the core 300 moves downward toward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3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is directly contacted.

따라서 상기 코어(300)가 냉매의 급격한 압력 변동을 댐핑하기 위해 탄성 부재(400)를 탄성 압축 시키는 과정에서 위치 고정부(500)와 간섭으로 인한 소음 또는 오작동을 예방하고 토출맥동으로 인한 안전한 댐핑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while the core 300 elastically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400 to damp the rapid pressure fluctuation of the refrigerant, noise or malfunction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position fixing unit 500 is prevented and safe damping due to discharge pulsation can help

상기 탄성부재(400)는 선경이 0.45이고, 중심경이 5.7이며, 외경이 6.15이고, 내경은 5.25이며, 유효권수는 9.5이고, 스프링 상수는 20.4gf/mm이며,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는 115.58 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astic member 400 has a wire diameter of 0.45, a central diameter of 5.7, an outer diameter of 6.15, an inner diameter of 5.25, an effective number of turns of 9.5, a spring constant of 20.4 gf/mm, and a natural frequency of 115.58.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z.

상기 탄성부재(400)는 종래에 사용되었던 사양에 비해 선경과 외경과 유효권수 및 스프링 상수가 감소된다. The wire diameter, outer diameter, effective number of turns, and spring constant of the elastic member 400 are reduced compared to specifications used in the related art.

일 예로 종래의 탄성부재는 선경이 0.5이고, 중심경이 5.7이며, 외경이 6.2이고, 내경은 5.2이며, 유효권수는 10.5이고, 스프링 상수는 28.1gf/mm이며,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는 136.76 Hz가 유지된다.For example, the conventional elastic member has a wire diameter of 0.5, a center diameter of 5.7, an outer diameter of 6.2, an inner diameter of 5.2, an effective number of turns of 10.5, a spring constant of 28.1 gf/mm, and a natural frequency of 136.76. Hz is maintained.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탄성부재(400)와 종래의 탄성부재에 대해 세부 사양을 상호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탄성부재(400)는 고유 진동수가 상당 하게 차이 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way, when comparing the detailed specifications of the elastic memb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elastic member, it can be seen that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elastic member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상기 탄성부재(400)의 고유 진동수는 가변 사판식 압축기가 작동 되면서 발생되는 주파수와, 차량에 구비된 엔진이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주파수와 중첩되지 않도록 최대한 낮은 주파수가 유지되는 것이 불필요한 진동 소음을 감소시키고 상기 코어(300)의 안정적인 작동에 유리해지고, 가변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 주파수와 중첩으로 인한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natural frequency of the elastic member 400 is maintained as low as possible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requency generated when the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operated and the frequency generated when the engine provided in the vehicle is operated Reduce unnecessary vibration noise It is advantageous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core 30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occurrence of vibration due to overlap with the drive frequency of the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실시 예는 이를 위해 탄성부재(400)의 고유 진동수를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탄성부재 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세부 사양을 변경시켜 가변 사판식 압축기가 작동 되면서 발생되는 구동 주파수와, 차량에 구비된 엔진이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주파수와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진동 발생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present embodiment changes the detailed specifications so that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elastic member 400 is kept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elastic memb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riving frequency generated while the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s operated and the engine provided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vibration to a minimum by not overlapping with the frequency generated during operation.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코어(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시 상기 바디부(210)에서 상기 확장부(214)의 외측으로 일측이 부분 노출된다.Referring to the attached FIG. 7 , when the core 300 mov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210 at maximum, one side is partially exposed from the body part 210 to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part 214 .

상기 코어(300)는 냉매에 의해 바디부(210)의 축 방향에서 이동 거리가 냉매의 압력 변동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상기 코어(300)에 최대 맥동 압력이 가해질 경우 확장부(214)의 외측으로 하측 단부가 일부 노출될 수 있다.The core 300 may have a different moving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part 210 due to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pressure fluctuations of the refrigerant, but when the maximum pulsat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re 300, the expansion part 214 A lower end portion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일 예로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서 토출맥동이 발생될 경우 냉매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바디부(210)의 내측을 경유하여 이동되고, 코어(300)는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부재(400)를 탄성 압축 변형시키면서 이동되므로 급격한 압력 변동을 안정적으로 댐핑시켜 가변 사판식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discharge pulsation occurs in a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the refrigerant moves along the arrow direction via the inside of the body 210, and the core 300 elastically compresses and deforms the elastic member 400 in the arrow direction. Since it is moved, it is possible to stably dampen sudden pressure fluctuations and minimiz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from the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따라서 코어(300)는 냉매의 다양한 변동에 대해 안정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토출맥동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re 300 can stably operate with respect to various fluctuations of the refrigerant, and through this, vibration and noise due to discharge pulsation can be minimiz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위치 고정부에 탄성부재가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member is supported in a position fix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의한 위치 고정부(500)는 탄성부재(400)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400)의 하측이 상기 위치 고정부(500)의 내측으로 부분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part 5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concave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40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for stable support of the elastic member 400. there is.

이 경우 탄성부재(400)는 위치 고정부(500)의 오목한 위치에 정 위치될 수 있고 탄성 변형에 따른 위치 이탈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된다.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400 can be positioned in the concave position of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and the position deviation does not occur due to elastic deformation and the installed state is stably maint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will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belongs.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50 : 오링
200 : 밸브토출체크밸브
210 : 바디부
214 : 확장부
300 : 코어
400 : 탄성부재
500 : 위치 고정부
50 : O-ring
200: valve discharge check valve
210: body part
214: extension
300: core
400: elastic member
500: position fixing part

Claims (8)

프런트 헤드(Front head)(110);
상기 프런트 헤드(110)와 마주보는 상대면에 결합되는 실린더 블록(150);
상기 실린더 블록(150)과 마주보는 상대면에 결합되고, 흡입실(122)과 토출실(124)이 구비된 리어 헤드(Rear head)(120);
상기 토출실(124)에 냉매의 토출에 따른 맥동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토출실(124)에 형성된 통로(124a)에 토출체크밸브(200)가 구비되되,
상기 토출체크밸브(200)는 상기 토출실(124)에 형성된 통로(124a)에 걸림 유지되도록 일측 단부에 걸림부(212)가 구비되고, 냉매의 이동을 위해 원주 방향에 개구부(216)가 형성된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코어(300); 및
상기 바디부(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코어(300)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통로(124a)의 일면에 접촉되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210)는 축 방향 하측에 외측으로 직경이 증가된 확장부(214)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300)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400)가 갖는 탄성력과 상기 확장부(214)가 받는 압력이 더해진 힘이 가해지고,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통로(124a)의 전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부터 하측 단부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Front head 110;
a cylinder block 150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front head 110;
a rear head 120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cylinder block 150 and having a suction chamber 122 and a discharge chamber 124;
A discharge check valve 200 is provided in the passage 124a formed in the discharge chamber 124 to reduce pulsation caused by the discharge of the refrigerant in the discharge chamber 124,
The discharge check valve 200 is provided with a hooking part 212 at one end so as to be held in the passage 124a formed in the discharge chamber 124, and an opening 216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the movement of the refrigerant. body portion 210;
A core 300 movably inserte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body 210; and
An elastic member 400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10 to elastically support one side of the core 300 and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other sid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ssage 124a,
The body portion 210 is formed with an expansion portion 214 having an increased diameter outwardly at the lower side in the axial direction,
The force applied to the core 300 is a force obtained by add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00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expansion part 214,
The body part 210 is a compressor including a discharge check valve extending from an upper side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lower e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124a.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체크밸브(200)는 수지로 성형되고,
상기 통로(124a)에는 상기 걸림부(212)와 마주보는 위치에 삽입 홈(125)이 형성된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check valve 200 is molded of resin,
A discharge check valve having an insertion groove 125 formed in the passage 124a at a position facing the locking portion 212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10)에는 축 방향에서 실링을 위한 오링(50)이 구비된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According to claim 3,
A discharge check valve having an O-ring 50 for sealing in an axial direction in the body part 210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0)에 대한 위치 고정을 위해 상기 바디부(210)와 축 방향에서 마주보며 상기 토출 통로(124a)에서 돌출되어 상기 탄성 부재(4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위치 고정부(500)가 구비된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According to claim 1,
A position fixing part 500 facing the body part 210 in the axial direction and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passage 124a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elastic member 400 to fix the position of the elastic member 400 Discharge check valve provided with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500)는 상기 바디부(21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400)의 내측에 삽입되는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According to claim 5,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210,
A discharge check valve inserted inside the elastic member 400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500)는 상기 통로(124a)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위치 고정부(500)에 수납되는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According to claim 5,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is concave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ssage 124a, and the discharge check valve in which the elastic member 400 is accommodated in the position fixing part 500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시 상기 바디부(210)에서 상기 확장부(214)의 외측으로 일측이 부분 노출되는 토출체크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ore 300 is a discharge check valve in which one side is partially exposed from the body part 210 to the outside of the expansion part 214 when it mov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210 at maximum,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KR1020180035138A 2018-03-27 2018-03-27 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 KR1024856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138A KR102485663B1 (en) 2018-03-27 2018-03-27 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138A KR102485663B1 (en) 2018-03-27 2018-03-27 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23A KR20190113023A (en) 2019-10-08
KR102485663B1 true KR102485663B1 (en) 2023-01-09

Family

ID=6820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138A KR102485663B1 (en) 2018-03-27 2018-03-27 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6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9205A (en) * 2006-05-18 2007-11-29 Calsonic Kansei Corp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18B1 (en) 2002-05-27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pring surporter structure of discharge valve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1936099B1 (en) * 2013-07-10 2019-01-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Swash plate type compres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9205A (en) * 2006-05-18 2007-11-29 Calsonic Kansei Corp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23A (en)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968A (en)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CN108291534B (en) Suction pulsation reducing apparatus of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2485663B1 (en) Discharge check valve for compressor
KR102073110B1 (en) Discharge check valve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101753403B1 (en) Compressor
KR102138565B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2008169811A (en) Gas compressor
KR102138568B1 (en) Compressor
KR102547594B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2118600B1 (en) Suction damping device of compressor
KR102524602B1 (en) Suction valve for variable capacity type compressure
KR102122792B1 (en) Gasket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102073108B1 (en) Suctiion check valve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KR102080626B1 (en) Damping device of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101877258B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1181003B1 (en) The Sealing Assembly for Driving Shaft of Compressor
KR102118601B1 (en) Suction damping device of compressor
US11761442B2 (en) Scroll compressor
JP6556372B1 (en) Hermetic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20130025647A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2087676B1 (en) Minimum swash plate angle holding device of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102130412B1 (en) Discharge pulsation reduction structure of a compressor
KR102671320B1 (en) Suction pulsation reduction device of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1453103B1 (en) Compressor
KR102069600B1 (en)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