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70B1 - Blowing device - Google Patents

Blow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70B1
KR102485170B1 KR1020210040957A KR20210040957A KR102485170B1 KR 102485170 B1 KR102485170 B1 KR 102485170B1 KR 1020210040957 A KR1020210040957 A KR 1020210040957A KR 20210040957 A KR20210040957 A KR 20210040957A KR 102485170 B1 KR102485170 B1 KR 10248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s
blowing device
vortex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35386A (en
Inventor
백종철
Original Assignee
백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철 filed Critical 백종철
Priority to KR102021004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70B1/en
Publication of KR2022013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3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 블로윙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공기를 주입시키고 배출 시키면서 볼텍스(vortex) 형성시킴으로써 반도체 공정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기가스, 미세먼지와 같은 퓸(fume)을 제거하여 반도체 수율을 증가시키는 블로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ing device, specifically, b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into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vortex, thereby removing fumes such as greenhouse gases, exhaust gases, and fine dust emitted during the semiconductor process to increase the semiconductor yield It relates to a blowing device that increases.

Description

블로윙 장치{Blowing device}Blowing device {Blowing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 과정을 비롯하여 미세한 먼지나 오염물질이 허용되지 않는 공정 등에서 발생되는 퓸(fume)을 볼텍스(vortex)를 이용하여 제거 하기 위한 블로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ing device for removing, by using a vortex, fume generated during a semiconductor process as well as a process in which fine dust or contaminants are not allowed.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공정 중에는 퓸(fume)에 의해 문제가 야기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반도체 공정 중에는 퓸이 발생함으로 인해 불량률이 크게 높아지거나 반도체 공정 과정에 투입되는 인력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자주 보고되고 있다. 반도체 공정 내에서의 퓸 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mong processes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problems are often caused by fume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it has been frequently reported that the defect rate greatly increases due to the generation of fumes during the semiconductor process, or that the health of personnel involved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is adversely affected. A more detailed look at the problems caused by fume generation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are as follows.

반도체 공정은 회로 설계 및 마스크 제작단계, 웨이퍼 제조단계, 웨이퍼 가공단계, 칩 조립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그 중에서도 웨이퍼 가공 과정은 웨이퍼에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확산, 포토, 식각, 이온 주입, 연마 등의 세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공정 중 애칭이나 화학 증착, 이온 주입 등의 공정을 거치면서 SF6(육불화항), CF4(사불화탄소), NF3(삼불화질소), HF(불화수소), NOx(질소산화물), 초미세먼지 등 다양한 인체 유해 오염물질이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많은 물질은 발암성 물질들로 불임, 호흡기 장애, 백혈병까지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설비와 고도의 기술력으로 힘들게 공정한 반도체에 미세한 먼지가 내려 앉음으로써 불량을 야기하여 큰 손실을 가져오기도 한다.The semiconductor process goes through the steps of circuit design and mask manufacturing, wafer manufacturing, wafer processing, and chip assembly. Among them, the wafer processing process is a process for constructing a circuit on a wafer and goes through detailed processes such as diffusion, photo, etching, ion implantation, and polishing. Among these processes, SF6 (hexafluoride), CF4 (carbon tetrafluoride), NF3 (nitrogen trifluoride), HF (hydrogen fluoride), NOx (nitrogen oxide), ultrafine Various human pollutants such as dust are generated. Many substances generated in this process are carcinogenic substances that can cause infertility, respiratory disorders, and even leukemia. Fine dust settles on semiconductors that are painstakingly processed with expensive equipment and advanced technology, causing defects and causing great losses. also bring

이러한 공정 과정에서 발생한 배출가스, 퓸(fume)을 처리하기 위한 노력은 이전부터 선택적 촉매환원 방법(SCR) 또는 습식 스크러버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 되었고, 최근에는 이러한 노력과 더불어 클린룸을 증설시키고 있다. 클린룸은 공기 속 존재하는 입자, 온도, 습도, 실내 공기압 등을 제어 하는 밀폐된 공간이며, 반도체 공정실 내부 공기를 청정 시키고, 반도체 수율을 높이는 데에 필수 시설이다.Efforts to treat exhaust gases and fumes generated in these processes have been used by adopting a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method (SCR) or a wet scrubber method from the past, and recently, along with these efforts, clean rooms are being expanded. A clean room is an enclosed space that controls particles in the air, temperature, humidity, indoor air pressure, etc., and is an essential facility for purifying the air inside the semiconductor process room and increasing semiconductor yield.

하지만, 선택적 촉매환원 방법(SCR)과 습식 스크러버는 반도체 공정 단계마다 발생하는 배출가스를 모두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클린룸은 반도체 공정 중 모든 단계의 배출가스를 제거 할 수 있지만 반도체 공정 중 즉각적으로 발생하는 배출가스를 제거 하기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and wet scrubbers have difficulties in removing all the exhaust gases generated at each stage of the semiconductor process, and clean rooms can remove exhaust gases from all stages during the semiconductor process.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generated exhaust gas.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가 선택적 촉매 환원(SCR) 방법, 습식 스크러버 방법 및 클린룸에서 제거 되기 전,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근원지에 설치하여 1차적으로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거나 제거 하여 반도체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source where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before the gas discharged from the semiconductor process is removed from th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method, the wet scrubber method, and the clean room. It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semiconductor yield by controlling or removing the flow of gas to be

또한, 본 발명은 비단 반도체 공정에서의 퓸(fume) 배출뿐만 아니라, 반도체 공정 이외에 임의의 공정 중 퓸(fume)에 의한 문제를 예방하거나 해소하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는 블로윙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ing device that may be used not only to discharge fume in a semiconductor process, but also to prevent or solve problems caused by fume during any process other than a semiconductor proces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도체 공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정 중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볼텍스(vortex)를 형성 시킴으로써 퓸(fume)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gases discharged from various processes including a semiconductor process, and aims to effectively discharge fume by forming a vortex.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링(ring) 형상의 블로윙 장치를 채택함으로써 설치 가능한 공간의 제약을 줄이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restrictions of the installation space by adopting a ring-shaped blowing device as another object.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는 링(ring) 형상의 장치로서, 하우징; 외부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복수 개의 배출구들; 상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관으로서, 상기 주입구로부터 각 배출구들까지 이어진 유도관; 을 포함하는 블로윙 장치로서, 상기 배출구들은, 각 배출구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이 만나는 점 - 상기 점을 접점이라 함 - 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bl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ring-shaped device, comprising: a hous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the air injected from the inlet to the outside; an induction pipe through which the air injected from the inlet is moved,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respective outlets; A blowing device comprising a, in the outlets, the angle formed by the tangent line at the point where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each outle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meets - the point is called a contact point - is an acute angle can be characterized a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배출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높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outlets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utlets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도관은 플렉시블한 소재로서, 상기 주입관으로부터 배출구까지 이어진 상기 유도관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duction pipe is a flexible material, and the length of the induction pipe extending from the injection pipe to the discharge port may have the same length.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통해 형성시킨 볼텍스(Vortex)로 임의의 공정 과정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제어 또는 제거 하여 공정실 내부를 정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of purifying the inside of the process room by controlling or removing the gas discharged from any process with the vortex formed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출구의 배치가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방향이 일정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볼텍스(Vortex)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outlet has a certain pattern, and the direction of the gas discharged from the outlet is constant, so that a vortex can be easily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도관의 소재로 플렉시블한 소재를 채택함으로써, 유도관을 통해 각 배출구로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동일양의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주입된 공기가 같은 조건으로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flexible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induction pipe, it is possible to make the same moving distance of air moving to each outlet through the induction pipe, and when the same amount of air is injected, the injected air It has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discharg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결과 값에 따라 색이 다른 빛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내 대기질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visually checking indoor air quality through a display device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nd outputs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 valu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흐름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의 주입구와 유도관 배치를 달리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복수 방향의 볼텍스를 형성시키기 위해 블로윙 장치의 주입구와 배출구 배치를 달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bl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blow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explaining the flow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bl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harged.
4 is a side view of a blow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in which the arrangement of the inlet and the induction pipe of the blowing devic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different arrangements of inlets and outlets of a blowing device to form vortexes in multiple directio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Existence or additions are not excluded.

[제 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100)의 외관이다. 블로윙 장치(100)의 외관은 링 형상의 장치이다. 링 형상은 외측면의 외원과 내측면의 내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링 형상을 가진 블로윙 장치(100)의 외원으로부터 공기를 주입시키면, 상기 외원으로부터 주입시킨 공기가 내원으로 배출되어, 상기 내원에서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키게 하는 것이다.1 is an external appearance of a blowing devic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blowing device 100 is a ring-shaped device. The ring shape is composed of an outer circle on the outer side and an inner circle on the inner side, and when air is injected from the outer circle of the ring-shaped blowing device 100, the air injected from the outer circle is discharged to the inner circle, resulting in a vortex to form a vortex.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외관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이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요구되는 부가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하게 되면 외관은 달라 질 수도 있다.The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 is an example shown to make the present invention easier to understand, and the appearance may be different when additional components required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urther included.

이어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링 형상을 채택한 이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Subsequently, with reference to FIG. 2, the reason for adopting the ring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따르면, 블로윙 장치(100)는 반도체 공정으로부터 배출된 온실가스, 배기가스 등의 퓸(fume)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주입된 공기의 흐름을 변형시켜 회전운동을 격렬하게 하는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킨다. 이 때, 블로윙 장치(100)는 링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렇게 블로윙 장치(100)로 링 형상을 채택 하게 되면, 반도체 공정에서 제조, 가공 되는 원판 형상의 웨이퍼에 대응 시키기 적합하고, 링의 외주면으로부터 공기가 주입되어 링의 내주면으로 공기가 배출되면, 링 내면이 원 형상인 것을 이점으로 하여 배출된 공기가 용이하게 나선 회전할 수 있게 배출 방향을 설정 할 수 있거나, 상기 원 형상을 하는 링 내면은 배출된 공기가 나선 회전을 할 때의 공기의 흐름이 오래 지속되기 적합하기 때문이다.According to FIG. 1, the blowing device 100 transforms the flow of air injected into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fumes such as greenhouse gases and exhaust gases discharged from the semiconductor process, thereby intensifying the rotational motion. vortex) are formed. At this time, the blowing device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ring shape. When the ring shape is adopted as the blowing device 100 in this way, it is suitable to correspond to a disk-shaped wafer manufactured and processed in a semiconductor process, and the ring shape When air is inject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has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discharge direction can be set so that the discharged air can spirally rotate easily, or the circular ring This is because the inner surface is suitable for the long-lasting flow of air when the exhausted air rotates in a spiral.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인 퓸(fume)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블로윙 장치(100)는 상기 목적에 따른 바람직한 형상,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However, in order to remove fume, which is the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esired shape and shape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and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does not

이상,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100)의 형상에 대해 알아보았다.In the above, the shape of the blow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been studied.

다음으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100)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components of the blo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100)는 하우징(10), 주입구(20), 배출구(30) 및 유도관(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요구되는 부가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ow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 an inlet 20, an outlet 30, and an induction pipe 40, and in achieving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as required.

도 2에 따르면, 하우징(10)은 블로윙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몸통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우징(10)의 소재는 공기의 팽창에 의해 물리적인 폭발에 대비한 탄성력, 열에 의한 형태 변형을 대비하여 열 저항성 등을 가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반도체 공정에서 공정하고자 하는 반도체의 양이 많아 공정시간이 길어지거나, 반도체 공정 단계 중 공정시간이 긴 단계가 있을 수 있으며, 블로윙 장치(100)는 길어진 반도체 공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역할을 수행해야 하고, 지속적으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어 물리적으로 폭발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탄성력이 포함된 소재일 수 있으며, 오랜 시간 공정하면서 기계 또는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블로윙 장치(1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열 저항성이 포함된 소재 일 수 있다.According to FIG. 2 , the housing 10 serves as a body for accommodating components of the blowing device 100 . Here,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preparation for physical explosion due to air expansion and heat resistance in preparation for shape deformation by heat. In other words,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the process time may be long due to the large amount of semiconductor to be processed, or there may be a step in which the process time is long among the semiconductor process steps, and the blowing device 100 continuously plays a role during the extended semiconductor process time. It may be a material containing some degree of elasticity in order to prepare for physical explosion due to expansion by continuously injected air,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machine or equipment while processing for a long time causes the blowing device 100 to It may be a material containing a high level of heat resistance to prepare for shape deformation.

또한, 하우징(10)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주입시키는 복수 개의 주입구(20)를 수용하고, 하우징(10)은 상기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복수 개의 배출구(30)를 수용한다. 이어서, 하우징(10) 내부에는 상기 주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까지 이어진 관으로서, 공기가 이동되는 유도관(40)이 수용되어 있으며, 하우징(10) 상단 또는 하단에 반도체 공정에 쓰이는 장비와 결합할 수 있는 소정의 홈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10 accommodates a plurality of inlets 20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and the housing 10 accommodates a plurality of outlets 30 through which the injec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n, inside the housing 10, as a pipe lea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 induction pipe 40 through which air is moved is accommodated, an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housing 10, a device that can be combined with equipment used in the semiconductor process There may be a predetermined groove.

다음으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주입구(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inlet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에 따르면, 주입구(20)는 용어 그대로 블로윙 장치(100)에 공기가 주입되는 홀(Hole)이다. 통상적으로 홀(hole)이라고 하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여러 방향으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주입구(20)는 공기가 주입시키고자 할 때만 개방되어 틈이 생기며, 그 틈을 통해서만 공기가 주입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블로윙 장치(10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공기 공급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주입구(2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공급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형상을 가진 삽입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에 압력을 가해야만 주입구(20)가 개방 되어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FIG. 2 , the inlet 20 is a hole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into the blowing device 100 as the term implies. Normally, a hole allows air to flow in and out in various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can be designed to be injected. Specifically, in order to supply air to the blowing device 100, a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air is required, and a space into which such air supply means can be inserted is required. Accordingly, an insertion groove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nto which the air supply means can be inser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inle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sertion groove, the inlet ( 20) is opened so that air can be injected.

또 다른 방법으로는, 주입구(20)와 공기공급수단 사이에 밸브(미도시)를 구비시킴으로써 공기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는 주입구(20)는 통상적인 홀(hole)과 같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여러 방향으로 공기가 드나들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밸브가 이러한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밸브를 주입구(20)와 공기 공급수단 사이에 장착하여, 공기 공급 시에는 밸브를 열고, 평상 시에는 밸브를 닫아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통제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may be controlled by providing a valve (not shown) between the inlet 20 and the air supply unit. Specificall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20 allows air to flow in and out in various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like a conventional hole, and the valve can control such air. In other words, by installing a valve between the inlet 20 and the air supply means, the valve is opened when air is supplied, and the valve is closed at normal times to easily control the flow of air.

밸브를 사용 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상기 삽입홈에 압력을 주어 만든 틈을 통해 공기를 공급할 때보다 더 많은 양의 공기를 제어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굳이 많은 양의 공기를 제어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은 양의 공기만 사용될 수 있기에, 본 발명의 공기공급방법에 있어서, 목적과 수단에 따라 방법을 달리 할 수 있음을 말하는 바이다. When using a val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larger amount of air can be controlled than when air is supplied through a gap mad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ertion groove described above. However, since it may not be necessary to control a large amount of air and only a small amount of air can be used as needed, in the air suppl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eans that the method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means. it's a bar

이어서,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출구(30)를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utle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에 따르면, 배출구(30)는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키는 핵심 구성요소이며, 배출구(30)들의 형상, 배치 등은 볼텍스(vortex)를 형성하는 것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According to FIG. 2, the outlet 30 is a key component for forming a vortex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outlets 30 are important for forming a vortex. become an element

우선, 배출구(30)의 형상에 대해 알아보면, 배출구(30)의 일 단에는 유도관(4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도관(40)에는 갑작스럽게 많은 공기가 공급되었을 때 공기가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게 설계된 공기조절마개(31)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공기조절마개(31)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에 불과할 뿐 필수구성은 아니라 할 것이다. 다른 한편, 상기 유도관(40)의 타 단에는 하우징(10)과 접하여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 구멍이 구비 되어 있다. First, looking at the shape of the outlet 30, an induction pipe 4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outlet 30. On the other hand, the induction pipe 4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conditioning stopper 31 designed to constantly discharge air when a large amount of air is suddenly supplied. The air conditioning stopper 31 is optionally provided. It's just something that can be done, but it's not a necessary configuration.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induction pipe 4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10.

정리하면, 주입구(20)로부터 공기가 주입되고, 상기 주입된 공기는 유도관(40)을 따라 배출구(30)까지 이동될 수 있으며, 이 때 배출구(30) 일단과 유도관(40)이 사이에는 공기조절마개(31)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절마개(31)는 유도관(40)과 배출구(3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배출구(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summary, air is injected from the inlet 20, and the injected air can be moved along the induction pipe 40 to the outlet 30, and at this time, one end of the outlet 30 and the induction pipe 40 are separated. The air conditioning stopper 31 may be optionally further provided. The air conditioning stopper 31 may serve to couple the induction pipe 40 and the outlet 30 and simultaneously control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30 .

참고로 도 2에 따르면, 상기 공기조절마개(31)의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은 이상적인 볼텍스(vortex)를 형성 하는 것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이상적인 볼텍스(vortex)를 형성 하기 위해서 각각의 배출구(30) 에서 동일한 양의 공기가 배출되어야 하고, 만약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공기가 주입되어 이를 조절하지 못한다면, 복수 개의 배출구(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각각 상이하게 배출 되어, 무분별하게 배출된 공기의 양은 서로의 공기흐름을 방해 할 수 있기에 이상적인 볼텍스(vortex)를 형성하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배출구(30) 상단에 공기조절마개(31)를 설계하여 주입된 공기를 일정하게 배출시켜 이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다.For reference, according to FIG. 2, the ro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ing stopper 31 can also play a large role in forming an ideal vortex. Specifically, the ideal vortex ) In order to form, the same amount of air must be discharged from each outlet 30, and if a large amount of air is suddenly injected and cannot be controlle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outlets 30 It is difficult to form an ideal vortex because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differently and indiscriminately discharged can interfere with each other's air flow. Therefore, by designing the air control stopper 31 at the top of the outlet 30, it is possible to solve this problem by constantly discharging the injected air.

이어서, 볼텍스(vortex)를 형성하기 위한 배출구(30)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outlet 30 for forming a vortex will be described.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이상적인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배출구(30)에서 각각 일정량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일정량으로 공기가 배출된다고만 해서 볼텍스(vortex)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량으로 배출된 공기가 어느 한 기준 축을 중심으로 나선 회전을 해야 볼텍스(vortex)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it is important that a certain amount of air is discharg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30 in order to form an ideal vortex. However, a vortex is not formed only when a certain amount of air is discharged, and a vortex is formed only when the air discharged in a certain amount rotates in a spiral around a certain reference axis.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의 기준 축은 블로윙 장치(100)의 중심을 지나는 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나선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배출구(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방향이 일정한 패턴을 가져야 한다. 다시 말해, 블로윙 장치(100)의 중심을 지나는 기준 축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나선 회전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배출구(30)의 배치와 배출 방향이 일정한 패턴을 가져, 배출된 공기가 나선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배출구(30), 각 배출구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L1: 도 3 참고)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이 만나는 점 즉 상기 가상의 직선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이 접하는 접점을 지나는 접선(L2: 도 3 참고)이 이루는 각이 예각인 θ(도면 3: 참고)의 각도 값을 가질 때, 상기 복수의 배출구(30) 각각이 동일한 θ 값을 가지고,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블로윙 장치(100)의 중심을 기준 축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정하여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한 방향으로 동일하게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면 나선형의 볼텍스(vortex)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θ는 바람직하게는 15도 내지 40도의 범위 내에서 어느 한 값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FIG. 3, the reference axi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ferred to as an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lowing device 100, and in order to spirally rotat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30 must have a certain pattern. In other words, in order to spirally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long the reference axis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blowing device 100,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outlets 30 and the discharge direction have a constant pattern, so that the discharged air spirals make it rotate For example, a plurality of outlets 30, a point where an imaginary straight line (L1: see FIG. 3)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each outle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meet, that is, the virtual straight line and the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tangent line (L2: see FIG. 3) passing through the contact point w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comes into contact has an angle value of θ (see FIG. 3:), which is an acute angle,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30 has the same θ With a value, if the air is discharged in one direction by setting the center of the blowing device 100 in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reference axis, the air is discharged in the same direction. can be formed. For reference, the θ may preferably have any value within the range of 15 degrees to 40 degrees.

그러나,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배출구(30)의 배치된 각도가 동일 하다 해서, 나선회전을 하는 이상적인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키지 못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복수 개의 배출구(30)가 하우징(10)의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면 가로 방향으로 동일 선상으로 배치 되어, 배출구(30)로부터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의 흐름이 서로 간섭 되기 때문에 이상적인 볼텍스(vortex)가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를 참고 하면, 배출구(30)가 하우징(10)에 배치 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높이에 배치되어 공기의 흐름이 서로 간섭 되지 못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느 하나의 배출구(30)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내주면 상에서 다음 번 순서에 형성되는 배출구(30)는 앞선 것에 비해 1mm 내지 5mm 더 낮게, 그리고 그 다음 번의 배출구(50)는 다시 같은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선후 배출구 간 2mm 높이 차를 가지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However, even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discharged has a certain pattern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outlet 30 is the same, it may not be possible to form an ideal vortex that performs a spiral rotation. The reason is that if the plurality of outlets 30 are arranged at the same height of the housing 10, they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30, the air flow interferes with each other, so the ideal vortex ( vortex) may be difficult to form. Therefore, referring to FIG. 4 , when the outlet 3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outlets 30 b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air flows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Preferably, assuming that any one outlet 30 exists as shown in FIG. 4, the outlet 30 formed in the next ord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1 mm to 5 mm lower than the previous one, and then The burn outlet 50 may be formed higher by the same height again. More preferably, it may be formed to have a height difference of 2 mm between the front and rear discharge ports.

또한, 이상적인 볼텍스(vortex) 형성을 위해서는 배출구(30)의 개수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배출구(30)가 수용되는 하우징(10)의 내주의 지름을 300(mm) 로, 배출구(30)의 개수는 총 8개 로, 8개의 배출구(30) 각각의 간격은 블로윙 장치(100) 내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8등분을 배치할 때에 이상적인 볼텍스(vortex)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블로윙 장치(100)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배출구(30)의 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 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outlets 30 may affect the formation of an ideal vortex, and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10 in which the outlets 30 are accommodated. to 300 (mm), the number of outlets 30 is 8 in total, and the spacing of each of the 8 outlets 30 is equal to the center of the inner circle of the blowing device 100. (vortex) formation may be possible. For referenc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blowing device 100 shown in FIG. 2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outlets 30 shown in FIG. 2 .

이상, 이상적인 볼텍스(Vortex) 형성을 위한 배출구의 배치 구조와 개수를 알아보았다.Above,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number of outlets for forming an ideal vortex were investigated.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주입구(20)와 배출구(30)사이에서 공기가 이동되는 관인 유도관(40)을 설명 하도록 한다.Returning to FIG. 2 again, the induction pipe 40, which is a pipe through which air moves between the inlet 20 and the outlet 30, will be described.

유도관(40)은 주입구(20)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방향을 잃지 않고 배출구(30)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관으로서, 상기 유도관(40)은 상기 주입구(20)로부터 연결되어 복수 개의 배출구(30)까지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상기 유도관이 복수 개의 배출구(40) 각각에 배치 되어있는 것이다. The induction pipe 40 is a pipe that guides the air injected from the inlet 20 to reach the outlet 30 without losing its direction. The induction pipe 40 is connected from the inlet 20 to a plurality of Up to the outlet 30 are arranged on each side. What should be noted here is that the guide pipe is disposed at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40.

만약, 주입구(20)로부터 동일한 공기 양이 주입되어있다면, 상기 주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거리가 같아야만 각각의 배출구(40)들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동일해져, 뒤늦게 배출된 공기가 이상적인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키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입구(20)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배출구(30)까지 이동하는 거리, 즉 유도관(40)의 길이가 모두 동일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same amount of air is injected from the inlet 20, the time to reach the respective outlets 40 is the same only when the distance the injected air moves is the same, so that the late discharged air is an ideal vortex. ) can be prevented from obstructing the flow of air that forms.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that the air injected from the inlet 20 moves to the outlet 30, that is, the length of the induction pipe 40 should be all the same.

따라서, 하우징(10)의 내부는 각각의 동일한 길이를 가진 유도관(40)을 수용 해야 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진 유도관(40)이 링 형상의 하우징(10)의 내부로부터 수용 되려면 유도관(40)의 소재, 주입구(20)의 개수와 배치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must accommodate the guide pipe 40 having the same length, and the guide pipe 40 having the same length is accommodated from the inside of the ring-shaped housing 10, the guide pipe (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aterial of 40) an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inlets 20.

도 2에 따르면, 2개의 주입구(20)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주입구(20)들로부터 배출구(30)가 가깝게 배치된 배출구가 존재하거나, 상기 주입구(20)로부터 멀게 배치된 배출구가 존재 할 수 있어, 동일한 길이를 갖는 유도관(40)을 배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According to FIG. 2, two inlets 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re is an outlet in which the outlet 30 is disposed close to the inlets 20, or an outlet disposed far from the inlet 20 However, it is difficult to arrange guide tubes 40 having the same length.

이를 해결하고자, 유도관(40)을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로 하여 주입구(40)로부터 배출구(30)가 가깝게 배치된 곳에는 플렉시블(flexible)한 유도관에 굴곡을 주어, 주입구(40)로부터 배출구(30)가 멀게 배치된 곳과 공기의 이동거리를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induction pipe 4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the flexible induction pipe is bent where the inlet 40 and the outlet 30 ar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inlet 40 It is possible to set the air movement distance equal to that of the place where the outlet 30 is disposed far away.

이렇게, 유도관(40)이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를 가지게 하면 주입구(20)의 개수나 배치와 상관없이 주입된 공기가 각각의 배출구(30)들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모두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하지만, 유도관(40)의 플렉시블(flexible)한 소재에 지나치게 의존 하게 되면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관(40)에 과한 굴곡이 가해지거나, 상기 굴곡이 가해진 유도관끼리 너무 밀착되거나, 블로윙 장치(100)를 구동시킬 때에 유도관들이 서로 엉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 하기 위해서는 매니폴드(41: 도 2 참고) 관 형식을 채택할 수 있다. In this way, if the induction pipe 4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distances that the injected air travels to the respective outlets 30 can be equal regardless of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the inlets 20. . However, another problem may occur if the guide tube 40 is excessively dependent on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problems such as excessive bending applied to the guide tube 40, to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entanglement of the guide tubes when the blowing device 100 is driven may occur.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manifold (41: see Fig. 2) tube type can be adopted.

상기 매니폴드(41) 관 형식이란 하나의 본줄기 관으로부터 여러 개의 지관이 갈라져 있는 관이다. 즉 주입구(20)로부터 하나의 본줄기인 유도관(40)이 이어지다가 하나의 분기점에서 여러 갈래의 유도관(40)으로 나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매니폴드(41) 관 형식을 채택하게 되면, 상기 매니폴드(41) 관 형식에 사용되는 분기점으로부터 유도관(40)이 여러 갈래로 나뉘게 되고, 상기 나뉘어진 여러 갈래의 관의 길이를 같게 하여 주입구(40)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거리를 맞출 수 있다. 이렇듯, 상기 매니폴드(41) 관 형식을 사용함으로써, 분기점으로부터 나뉘어진 여러 갈래 관들의 길이만 동일하게 하면 되기에, 공기의 이동거리를 맞추기 위해 불가피하게 심한 굴곡을 주어야 하는 것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The manifold 41 pipe type is a pipe in which several branch pipes are diverged from one main stem pipe. That is, the induction pipe 40, which is one main stem, continues from the inlet 20, and then can be divided into several branches of the induction pipe 40 at one branch point. When the manifold (41) tube type is adopted, the induction pipe (40) is divided into several branches from the branching point used in the manifold (41) tube type, and the lengths of the divided tubes are equalized The distance that the air injected from the inlet 40 moves can be matched. In this way, by using the manifold (41) tube type, only the lengths of the various branched tubes divided from the branch point need to be the same, so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need to inevitably give a severe bend to match the air movement distance to some extent. there is.

한편, 하우징(10)에 동일한 길이를 가진 유도관(40)을 수용시키는 다른 방법으로, 주입구(20)의 개수를 늘리거나, 주입구(20)의 배치를 달리하는 방법이 채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면, 총 8개의 배출구(30)가 배치될 때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배출구(30)사이에 주입구(20) 1 개를 배치하여 총 4개의 주입구(20)를 이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5에서 볼 수 있듯이, 총 8개의 배출구는 블로윙 장치(100)의 내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8등분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배출구(30)사이에 배치되되, 주입구(20)가 블로윙 장치(100)의 외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하게 4등분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총 4개의 주입구(20)를 이용하는 것이며, 각각의 주입구(20)로부터 이웃해 있는 2개의 배출구(30)에 동일한 길이의 유도관(40)을 연결 시킬 수 있기에, 굳이 유도관(40)에 굴곡을 주지 않고 연결 시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method of accommodating the guide pipe 40 having the same length in the housing 10, a method of increasing the number of injection ports 20 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injection ports 20 may be adopte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when a total of eight outlets 30 are arranged, one inlet 20 is placed between two outlets 30 adjacent to each other to use a total of four inlets 20. . Specifically, as can be seen in FIG. 5, assuming that a total of 8 outlets are equally arranged in 8 equal parts based on the center of the inner circle of the blowing device 100, the two outlets 30 adjacent to each other are disposed Doedoe, the inlet 20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equally divided into 4 parts based on the center of the outer circle of the blowing device 100, using a total of four inlets 20, and each inlet 20 from the neighboring Since the induction pipe 40 of the same length can be connected to the two outlets 30,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use the induction pipe 40 without giving a bend.

이렇듯, 주입구(20)의 배치와 개수를 변화를 주어, 주입구(20)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배출구(30)까지 이동하는 거리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주입된 공기가 배출구(30)로부터 동시에 배출될 수 있도록 구조적 조건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들에 의해 이상적인 볼텍스(vortex)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njected 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outlet 30 at the same time by changing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the inlets 20 to keep the distance that the air injected from the inlet 20 moves to the outlet 30 is constan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ame structural conditions so that an ideal vortex is formed b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is.

이상, 제 1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았다.In the above, the first embodiment was examined.

다음으로, 도6을 참고하여, 제 1실시와 달리 복수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 하는 제 2 실시 예를 설명 하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 6,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a vortex is formed in multiple direction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 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100)의 구성요소의 개수나 배치 상황을 제외하고 여타의 구성들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100)의 구성요소와 대동소이 하므로 제2 실시 예의 동작원리에 대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Except for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components of the blow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mponents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blow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description of the operating principle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로윙 장치(100)는 복수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복수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 시키거나, 선택적으로 볼텍스(vortex)의 방향을 고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ing device 100 may form a vortex in multiple directions. This means that a vortex can be formed in multiple directions or the direction of the vortex can be selectively selected.

도 6을 참고하여 도3과 비교하면, 복수의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 시키기 위해 주입구(20)와 배출구(30)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배치상황을 변화를 주어 복수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nd comparing with FIG. 3, in order to form a vortex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the number of inlets 20 and outlets 30 is increased or the arrangement is changed to form a vortex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 can be formed.

예를 들어, 제 1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 시키기 위해, 도 3과 같이, 하우징(10) 내원을 중심으로 8등분하게 배치된 8개의 제 1 배출구들(30)과 하우징(10) 외원으로부터 서로 이웃해 있는 2개의 제 1주입구들(20)이 배치되어 공기가 주입된다면 제 1방향의 볼텍스(vortex)가 형성된다. 이어서, 제 2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 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 1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킨 배치를 그대로 둔 채로, 제 2 배출구(30)들과 제 2 주입구(20)들을 추가 배치하면 된다. For example, in order to form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 3, the eight first outlets 30 and the outer circle of the housing 10 are divided into eight equal parts around the inner circle of the housing 10 If two first inlets 20 adjacent to each other are disposed and air is injected,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Next, in order to form a vortex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outlets 30 and the second inlets 20 are additionally placed while leaving the existing arrangement in which the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You can do it.

구체적으로, 하우징(10) 내원을 중심으로 8등분하게 배치된 제1 배출구(30)들 사이에 하우징(10) 내원의 중심으로 16등분하게 배치된 제 2 배출구(30)들을 추가로 배치 되되, 방향이 다른 복수 의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제 2방향의 배출구(30)들을 제 1 방향의 배출구(30)들과 상이한 배출방향을 가져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설명하면, 제 2 주입구들(20)은 제 1주입구(20)들과 마찬가지로 2개의 주입구(20)들이 서로 이웃해 있다. 다만, 제 1 주입구(20)들과 제 2 주입구(20)들을 구분하기 위해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between the first outlets 30 arranged in 8 equal parts around the inner circle of the housing 10, second outlets 30 arranged in 16 equal parts around the center of the inner circle of the housing 10 are additionally disposed, In order to form a plurality of vortexes having different direc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ets 30 in the second direction have different discharge directions from the outlets 30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like the first inlets 20, the second inlets 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However, in order to distinguish the first inlets 20 and the second inlets 20, it is preferable to leav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이렇게, 제 2 배출구(30)들과 제 2 주입구(20)들을 추가 하게 되면, 제 1 배출구(30)들과 제 1 주입구(20)들로부터 제 1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키고, 제 2 배출구(30)들과 제 2 주입구(20)들로부터 제 2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 시킬 수 있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의 볼텍스(votex) 선택적으로 형성 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when the second outlets 30 and the second inlets 20 are added,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from the first outlets 30 and the first inlets 20, Since a vortex in the second direction can be formed from the second outlets 30 and the second inlet 20, the vortex in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can be selectively formed.

한편, 제 2 배출구(30)들과 제 2 주입구(20)들을 추가 함으로써, 제 3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3 방향의 볼텍스(vortex)는 제 1 방향의 볼텍스(vortex)와 제 2방향의 볼텍스(votex)를 동시에 형성시켜 만든 볼텍스(vortex)이며, 제 1방향의 볼텍스(vortex)와 제 2 방향의 볼텍스(vortex)가 합해져 제 3방향의 볼텍스(vortex)가 더 강력한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제 1 배출구(30)들의 배출방향과 제 2 배출구(30)들의 배출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 즉, 공기가 배출되었을 때 서로 간섭할 수 있는 방향이면 제 3 방향의 볼텍스(vortex)를 형성시키는데 무의미 하므로, 제 1 방향의 볼텍스(vortex)와 제 2 방향의 볼텍스(vortex)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적절한 배출 방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Meanwhile, by adding the second outlets 30 and the second inlets 20, a vortex in the third direction may be formed. In other words, the vortex in the third direction is a vortex made by simultaneously forming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vortex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vortex in the second direction is combined, and the vortex in the third direction can form a more powerful turbulent flow. However, if the discharge directions of the first outlets 30 and the discharge directions of the second outlets 30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directions that can interfere with each other when air is discharged, a vortex in the third direction is formed. Since it is meaningless, an appropriate discharge direction in which a vortex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vortex in the second direction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should be considered.

다른 한편, 도면에서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이 상호 크로스 되도록 배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만 도시하였으나,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같은 방향을 바라보도록 배출구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방향의 배출구들을 통해 공기를 배출 시켰을 때에 볼텍스(vortex)가 형성되었다면, 제2 방향의 배출구들을 통해 공기를 더 배출 시킴으로써 볼텍스(vortex)의 규모나 속도를 더 증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only the embodiment in which the outlets are formed so that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cross each other is shown in the drawings, the outlets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face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if a vortex is formed when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s in the first direction, the size or speed of the vortex may be further increased by further discharging air through the outlets in the second direction. .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여, 제 1실시 예에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한 제 3실시 예에 설명 하도록 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7, a third embodiment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 3실시 예][Example 3]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 장치(100)는 블로윙 장치(100)의 추가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장치(50)를 제외하고 제1 실시 예에 따른 블로윙(100)의 구성요소와 동작원리에 대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The blow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mponents and operation principles of the blow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display device 50, which is an additional component of the blowing device 100. The same description of the same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에 따르면, 블로윙 장치(100)의 추가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각각 다른 색의 빛을 출력하거나, 어두운 작업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조명 역할을 수행한다.According to FIG. 7, the display device 50, which is an additional component of the blowing device 100, outputs light of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or serves as a light that can be used in a dark workplace.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블로윙 장치(100) 상단의 전체 또는 상단의 테두리에 배치되거나, 블로윙 장치(100) 옆면 전체 또는 옆면의 길이방향으로 일부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배치는 상기 배치에 한정 되지 않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50)로부터 얻은 결과값을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는 배치라면 제한 없이 허용된다.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50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entire top or the upper edge of the blowing device 100, or disposed on the entire side of the blowing device 100 or par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but the display device 50 The arrangement of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rrangement, and any arrangement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result value obtained from the display device 50 is allowed without limitation.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전원공급부(미도시), 측정부(미도시), 발광부(미도시), 제어부(미도시)로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display device 5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 measurement unit (not shown), a light emitting uni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디스플레이 장치(50)의 구성요소를 나열한 순서대로 설명하자면, 전원공급부는 당해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성이 필수인 당해 발명의 특성상 위 전원 공급수단(101)은 건전지 또는 충전지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블로윙 장치(100) 사용을 위해 건전지를 구입하여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또는 이미 내부에 충전단자가 삽입된 하우징(10)을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시킴으로써 장치 사용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7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회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10)을 충전기 상에 올려두는 행위만으로 해당 장치를 충전할 수 있게 당해 전원공급수단을 구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50 are listed, the power supply unit i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device, and the power supply unit 101 may be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due to the n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requires portability. there is. That is, the user can purchase a battery for use of the blowing device 100 and insert it into the housing 10, or connect the housing 10 with a charging terminal already inser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cable or the lik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electric energy necessary for using the device.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FIG. 7, a series of circuits enabling wireless charging may be included in the housing 10. In this case, the user simply places the housing 10 on the charger.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implemented to charge the corresponding device.

이어서, 측정부는 실내에 확산된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전자 센서로서, 상기 측정부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측정부의 여과지에 공기를 통과시켜 여과지의 중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이거나, 측정기내부에 들어온 공기에 빛을 투과시켜 상기 빛이 산란되는 수치를 측정하는 센서 등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미세먼지 측정센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Subsequently, the measurement unit is an electronic sensor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diffused in the room.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fine dust in the measurement unit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filter paper by passing air through the filter paper of the measurement unit, It may be any one of the fine dust measuring sensors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uch as a sensor that transmits light to the air entering the measuring instrument and measures the number of scattering of the light.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대기질을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대기질은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으로 구분 될 수 있으며, 좋음일 때의 미세먼지 농도는 0~30 (㎍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1
), 보통일 때의 미세먼지 농도는 31~80 (㎍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2
), 나쁨일 때의 미세먼지 농도는 81~150 (㎍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3
), 매우 나쁨일 때의 미세먼지 농도는 151 이상((㎍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4
)이다.Air qualit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and the air quality can be classified into good, normal, bad, and very bad according to the standards presen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t the time is 0~30 (μg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1
),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t normal times is 31-80 (μg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2
),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hen bad is 81 to 150 (μg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3
),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hen it is very bad is 151 or more ((μg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4
)to be.

이렇게,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대기질의 변화를 발광부에서 출력하는 빛으로 구분되어 표현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부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로서, 측정부으로부터 얻은 결과값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색의 빛을 출력하는 것을 말하며, 예컨대 대기질이 좋음(= 미세먼지 농도(0~30(㎍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5
))) 일 때는 제 1색상, 대기질이 보통(= 미세먼지 농도(31~80((㎍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6
)))일 때는 제 2색상, 대기질이 나쁨(= 미세먼지 농도(81~150((㎍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7
)))일 때는 제 3색상, 대기질이 매우 나쁨(= 미세먼지 농도(150 이상(㎍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8
)))일 때는 제 4색상의 빛을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통해 대기질을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게 구현한 것이다.In this way, the change in air qual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an be expressed by dividing it into light outpu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Specifically, the light emitting unit is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and refers to outputting light of at least one or more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result value obtained from the measuring unit, for example, the air quality is good (= fine dust concentration (0 to 30 (μg))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5
))), the first color, the air quality is normal (= fine dust concentration (31 ~ 80 ((μg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6
))), the second color, air quality is poor (= fine dust concentration (81 ~ 150 ((μg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7
))), the third color, the air quality is very bad (= fine dust concentration (more than 150 (μg /
Figure 112021037178520-pat00008
))), the light of the fourth color is output so that the air quality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5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색이 다른 빛을 출력하는 역할 말고도, 어두운 부분 밝히는 조명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역할을 할 때는 제 1 색상 내지 제 4색상과 상이한 제 5색으로 구분하여, 대기질을 판단 할 때의 역할과 빛을 비추는 조명의 역할을 할 때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50 may play a role of illuminating a dark part in addition to a role of outpu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hen performing the role of lighting, it is divided into a fifth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to fourth colors, so that the role of determining the air quality and the role of lighting to illuminate can be separated and used.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제어부를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control unit of the display device 50 will be described.

제어부는 주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측정부로부터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의 발광부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mainly serves to give a signal to operate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display device 50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easuring unit of the display device 50 .

제어부는 먼저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값을 적어도 둘 이상의 범위로 구분하고, 특정 범위의 미세먼지 농도값이 감지되면 발광부에서 특정 범위에 대응된 특정한 색상을 가진 빛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즉, 둘 이상의 미세먼지 농도 값의 범위 각각에 대해 상이한 빛의 색을 매칭하여 발광부가 상황에 맞는 대기질을 표현 하도록 신호를 준다.The control unit first divid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into at least two or more ranges, and controls the light emitting unit to display light having a specific col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ange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 in the specific range is detected. That is, by matching different colors of light for each of two or more ranges of fine dust concentration values, a signal is given to the light emitting unit to express the air quality suitable for the situation.

이에 따라. 제 3실시 예는 제 1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이 역할을 잘 수행하였는지 즉, 제 1실시 예로부터 형성된 볼텍스(Vortex)로 퓸(fume)이 제거되었는지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거나, 단순히 미세먼지의 농도값을 측정하여 실내의 대기 질을 판단하는 장치로서도 이용될 수 있는 실시 예임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third embodiment,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whe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performed its role well from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whether fume is removed by the vortex formed in the first embodiment, or simpl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t can be seen that this is an embodiment that can be used as a device for determining indoor air quality by measuring a value.

이상 블로윙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모두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 및 응용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l embodiments of the above blowing device have been looked at.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하우징
20: 주입구
30: 배출구
31: 공기조절마개
40: 수용관
41: 매니폴드
5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블로윙 장치
10: housing
20: inlet
30: outlet
31: air conditioning stopper
40: water pipe
41: manifold
50: display device
100: blowing device

Claims (3)

링(ring) 형상의 장치로서,
하우징;
외부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복수 개의 배출구들;
상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이동되는 관으로서, 상기 주입구로부터 각 배출구들까지 이어진 유도관;
을 포함하는 블로윙 장치로서,
상기 배출구들은, 각 배출구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연장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이 만나는 점 - 상기 점을 접점이라 함 - 에서의 접선이 이루는 각(θ)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유도관은 플렉시블한 소재로서, 상기 주입구로부터 배출구까지 이어진 상기 유도관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윙 장치.
As a ring-shaped device,
hous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the air injected from the inlet to the outside;
an induction pipe through which the air injected from the inlet is moved,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respective outlets;
As a blowing device comprising a,
In the outlets, an angle θ formed by a tangent line at a point where an imaginary straight line extending a direction in which air is discharged from each outlet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meet - the point is referred to as a contact point - forms an acute angle,
The induction pipe is a flexibl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induction pipe exten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has the same length,
blow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배출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다른 높이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로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preven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outlets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outlet is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blowing device.
삭제delete
KR1020210040957A 2021-03-30 2021-03-30 Blowing device KR1024851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57A KR102485170B1 (en) 2021-03-30 2021-03-30 Blow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57A KR102485170B1 (en) 2021-03-30 2021-03-30 Blow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86A KR20220135386A (en) 2022-10-07
KR102485170B1 true KR102485170B1 (en) 2023-01-06

Family

ID=8359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57A KR102485170B1 (en) 2021-03-30 2021-03-30 Blow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7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811B1 (en) 2015-03-31 2016-05-12 주식회사 케이씨텍 Apparatus to clean substrate to clean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662U (en) * 1998-02-09 1998-04-30 손진배 Dust removing device and method in exhaust pipe using air nozzle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KR20030001695A (en) * 2001-06-26 2003-01-08 삼성전자 주식회사 cleaning equipment of HDP CVD chamber and method there of
KR101530357B1 (en) * 2013-11-22 2015-06-23 주식회사피에스디이 equipment front end module
KR102212856B1 (en) * 2019-04-08 2021-02-05 주식회사 에이케이테크 Inner back side gas spray unit for wafer seating cassette of side stor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9811B1 (en) 2015-03-31 2016-05-12 주식회사 케이씨텍 Apparatus to clean substrate to clean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86A (en)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4191B1 (en) Air purge system for optical sensor
USRE46682E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high molecular weight gases from a combustion source
MY139703A (en) Oxygen concentrating apparatus.
KR102485170B1 (en) Blowing device
JP2009042165A (en) Gas analyzing apparatus
CN214289808U (en) Pipeline dust cleaning device
KR101611518B1 (en) Exhaust and load port having therof
KR101638454B1 (en) Exhaust and load port having therof
KR20210124801A (en) Gas dilution apparatus and fine particle measu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4271064U (en) Wafer conveying robot
CN111354616A (en)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CN210772367U (en) Air suction and exhaust device
CN106215648A (en) A kind of waste gas purification apparatus of easy installation
CN114405931B (en) Air bath device
CN207923696U (en) Gas analyzer eyeglass blow device
SU1318837A1 (en) Device for remote proximate analyzing of gases
ATE484338T1 (en) DEVICE FOR A CYCLONE SCRUBBER
JPH02290453A (en) Artificial tornado type local discharger
KR102509012B1 (en) Gas diffuser in the water for plasma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like
HU0102269D0 (en) Suction apparatus
CN2905192Y (en) Active carbon dedusting and desulfurizing integrated working tower
KR20030089119A (en) Gas adsoption tower
CN106622660A (en) Side outlet type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06308275A5 (en)
CN112466771A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